KR100978398B1 -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 - Google Patents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398B1
KR100978398B1 KR1020080044634A KR20080044634A KR100978398B1 KR 100978398 B1 KR100978398 B1 KR 100978398B1 KR 1020080044634 A KR1020080044634 A KR 1020080044634A KR 20080044634 A KR20080044634 A KR 20080044634A KR 100978398 B1 KR100978398 B1 KR 100978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rice
water
discharg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8697A (ko
Inventor
신문수
Original Assignee
신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문수 filed Critical 신문수
Priority to KR1020080044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398B1/ko
Publication of KR20090118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과 각종 잡곡을 동시에 신선하게 저장이 가능하고, 상호 역회전 하는 2단 세미봉을 장착하여 쌀의 영양소 파손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정교한 세미기능을 갖추도록 하며, 저장된 쌀과 잡곡을 설정량 만큼 세미통으로 인출하여 세미를 행한 후 취사수와 함께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쌀과 각종 잡곡을 동시에 보관 및 세미할 수 있도록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1)을 구성하되, 이는 본체(2)의 상부에는 격벽(9)으로 구분 형성되며 하부에 배출공(10,11)을 개폐 단속하는 제1,2솔레노이드밸브(10a,11a)를 구비한 쌀저장고(3)와 잡곡저장고(4) 및 상기 쌀저장고(3)의 바닥면(12)과 격벽(9)에 배관되어 수돗물이 공급되어 물탱크(7)로 환수되도록 한 냉수공급관(13)과, 상기 본체(2) 내부 하측에 설치되어 배출공(10,11)과 연통된 쌀·잡곡공급관(14)과 연통되어 공급되는 쌀과 잡곡을 세미하기 위한 세미통(5)과, 상기 세미통(5)으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물탱크(7)에서 양수기(27)를 통해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관(28)과, 상기 용수공급관(28)과 연결되어 용수를 세미통(5) 내부로 분사공급하는 분사노즐(29)과, 상기 세미통(5)에 세미용 모터(15)와 연결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구동되는 상부의 제1종동축(17)과 하부의 제2종동축(24)상에 각각 설치되는 세미용 삼각날개(18)와 세미봉(26)과, 상기 세미통(5) 하부에 형성된 배출공(31)을 개폐토록 배출공개폐모터(37)와 연결된 배출뚜껑(32)과, 상기 세미통(5) 하부에 용수가 배수되는 배수공(47)과, 상기 배수공(47)을 개폐토록 제3솔레노이드밸브(49)와 연결된 배수문(48)과, 상기 세미통(5)의 배출공(31) 하부에 안치되는 배출통(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쌀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시켜 변질의 우려를 방지하여 밥맛을 향상시키며, 쌀을 씻어서 취사를 행해야 하는 번거로움 일소 및 바쁜 직장인에게 시간 절약 효과를 제공하고, 쌀과 잡곡을 동시에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세미까지 전자동으로 이루어져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 쌀저장고, 잡곡저장고, 세미통, 세미봉, 세미용 삼각날개

Description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Rice dispenser having rice washing function}
본 발명은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쌀과 각종 잡곡을 동시에 신선하게 저장이 가능하고, 상호 역회전 하는 2단 세미봉을 장착하여 쌀의 영양소 파손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정교한 세미기능을 갖추도록 하며, 저장된 쌀과 잡곡을 설정량 만큼 세미통으로 인출하여 세미를 행한 후 취사수와 함께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쌀통은 단순히 쌀을 보관 및 인출 가능한 기능만 구비하고 있으며, 한편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은 쌀저장고에서 중력낙하방식 혹은 기계식으로 세미통에 쌀을 투입한 후 구동모터에 축설치된 회전날개를 회전시켜 세미를 행하거나, 세미수를 강하게 회전시켜 마찰력으로 쌀을 세미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기존의 세미기가 부설된 쌀통의 경우, 가정용으로 사용할 수 없을 정도의 크기나 투박한 디자인으로 실용적인 면에서 상당히 낙후되어 현재 가전제품으로 출시되지 못하고 있고, 또한 작동 알고리즘이 단순한 기계식에 의존함으로 기능이 단순하다.
그리고 기존 세미기는 단순히 쌀을 세척하는 기능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이것은 쌀을 씻는 사람의 다양한 특성을 제대로 반영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즉, 쌀을 씻을 때 영양을 고려하여 1회만 씻는 사람과 2회 이상 수회 씻는 사람이 있어서, 다양한 수요자의 욕구에 부응할 수 없었다.
그리고 쌀을 직접 씻는 세미부는 쌀과 직접 닿는 부분이 금속이거나 혹은 강한 회전력으로 쌀을 씻기 때문에 쌀눈의 파괴가 쉽게 이루어져 세미 후 쌀의 영양소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쌀을 저장하는 저장고 재질을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제작함으로써 보관된 쌀의 신선도가 오래 가지 못해 쌀이 변질되며 쌀벌레가 발생하는 등 보관상의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한편, 알려진 세미기는 백미와 각종 잡곡을 동시에 보관, 세미할 수 있는 고안이나 발명을 찾아 볼 수 없었으며, 근자에는 백미만 사용하여 밥을 짓는 경우가 드물다. 따라서 백미와 각종 잡곡을 동시에 보관하고, 일정 분량의 비율로 함께 씻어줄 수 있는 쌀통 겸용의 세미기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을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특히 쌀과 함께 잡곡을 동시에 신선하게 보관이 가능하고, 원하는 쌀과 잡곡을 세미부로 공급받아 세척 후 취사가 가능한 상태로 취사수와 함께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 쌀통 및 세미기가 안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을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특히쌀과 각종 잡곡을 동시에 보관 및 세미할 수 있도록 본체에 쌀저장고와 잡곡저장고를 별도 형성하며, 이를 개폐수단을 사용하여 취사량에 맞추어 정량 인출시킨 후 세미가 가능토록 하고, 쌀통은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였으며, 세미부를 구성하는 세미통에는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용수가 중앙부 및 내연부 전체 골고루 분사될 수 있도록 하고, 투입된 쌀과 잡곡은 1,2차 세미용 삼각날개와 세미봉 사이에서 영양가 손실없이 깨끗하고 신속하게 세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세미가 이루어지면 배수구를 통해 세미수는 배수가 이루어지고, 세미된 쌀과 잡곡은 배출뚜껑이 모터에 의해 개방되면 취사수와 함께 배출통으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은 쌀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시켜 변질의 우려를 방지하여 밥맛을 향상시키며, 쌀을 세미하여 취사를 행해야 하는 번거로움 일소 및 바쁜 직장인에게 시간 절약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쌀을 보관하는 쌀통의 단순기능을 혁신적으로 변화시켜 단순히 쌀만 저장하는 쌀통이 아니라 쌀의 신선도를 오랫동안 유지시켜주고, 쌀과 잡곡을 동시에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세미를 2단 세미봉을 사용하여 쌀의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하면서 정교한 세미가 가능하고, 쌀과 잡곡의 인출 및 세미, 배출까지 전자동으로 이루어져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1)의 전체 외형 구성을 보인 정면도 및 평면도, 좌우측면도로서, 개략 직사각형 등의 박스 형태로 본체(2)를 구성하고, 상기 본체(2)의 상부에는 쌀을 보관할 수 있는 쌀저장고(3)와 각종 잡곡을 보관할 수 있는 잡곡저장고(4)를 설치하며, 상기 쌀저장고(3)와 잡곡저장고(4)에 저장된 쌀과 잡곡을 인출하여 세미를 행할 수 있는 세미통(5)이 본체(2)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세미통(5)의 하부에는 세미가 이루어진 쌀과 잡곡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통(6)이 설치되며, 상기 세미통(5)의 일측방으로는 세미수 공급을 위한 물탱크(7)가 설치되며, 본체(2)의 외측 상부로는 콘트롤패널(control panel; 8)이 구비된다. 이하 각 구성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본 발명의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1)은 도 2,3의 단면 구성도에서 보는 바 와 같이 본체(2)의 상부에 쌀저장고(3)와 잡곡저장고(4)를 격벽(9)으로 구분 형성하고 쌀과 잡곡의 배출량을 단속하는 배출공(10,11)에는 제1,2솔레노이드밸브(10a,11a)를 각각 설치하여 전기적으로 개폐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쌀저장고(3)의 내부 바닥면(12)과 격벽(9)은 옥이나 대리석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패널을 사용토록 하고, 상기 바닥면(12)과 격벽(9)에는 수돗물과 같은 냉수가 경유토록 냉수공급관(13)을 지그재그 상으로 배관고정토록 한다. 상기 냉수공급관(13)은 쌀저장고(3)의 바닥면(12)과 격벽(9)을 순환한 후 물탱크(7)로 유입되도록 배관한다.
그리고 상기 쌀저장고(3)와 잡곡저장고(4)에서 제1,2솔레노이드밸브(10a,11a) 개방 시 인출된 쌀과 잡곡을 세미통(5)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쌀·잡곡공급관(14)이 세미통(5)의 상부로 배관연결되며, 세미통(5)의 내부에는 쌀과 잡곡을 세미할 수 있는 세미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세미수단은 세미통(5)의 상부에 설치된 세미용 모터(15)의 제1원동축(16)과 축고정되는 제1종동축(17)에는 세미용 삼각날개(18)를 실리콘과 같은 부드러운 연질수지를 사용하여 고정하고, 상기 제1종동축(17)의 하단에는 제1베벨기어(19)를 축고정시켜 세미통(5)의 내부 하측에 삼각 지지대(20)로 고정된 보스(21) 내연의 대응 제2,3베벨기어(22,23)와 기어물림토록 하고, 상기 제2,3베벨기어(22,23)의 하측에는 제2종동축(24)을 축설치하여 제2종동축(24) 상단에 축고정된 제4베벨기어(25)와 상기 제2,3베벨기어(22,23)가 상호 기어물림되어 구동되면서 제2종동축(24)이 제1종동축(17)과는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종동축(24)의 하부에는 세미봉(26)이 고정설치된다.
상기 세미통(5)으로 세미를 위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7)는 본체(2) 내부에 설치되어 양수기(27)에 의해 용수를 용수공급관(28)을 통해 세미통(5) 상부의 분사노즐(29)로 펌핑할 수 있도록 하며, 수돗물은 전기한 냉수공급관(13)을 통해 물탱크(7)로 급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세미통(5) 상부에 배관 설치되는 분사노즐(29)은 중심방향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향 테이퍼진 경사면(29a)과 중앙 하부에 각각 분사공(30,30a)을 형성하여 세미수가 세미통(5) 내부에 골고루 분사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세미통(5) 하부에는 세미가 이루어진 쌀과 잡곡을 배출통(6)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공(31)을 천공하여 배출뚜껑(32)으로 개폐토록 한다.
상기 배출뚜껑(32)은 상면부에 배출공(31)과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폐쇄될 수 있도록 원형 패킹(33)과, 상기 패킹(33) 하부에 물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비산방지판(34)으로 구성되며, 비산방지판(34)을 세미통(5)과 힌지(35) 연결하여 각운동 하면서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배출뚜껑(32)의 개폐수단(36)은 도 7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공개폐모터(37)의 제2원동축(38)에 나사봉(39)을 축고정하고, 상기 나사봉(39)에 나사결합된 안내돌기(40)를 갖는 슬라이드안내관(41)을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드안내관(41) 단부에는 슬라이드로드(42)를 핀연결하여 배출뚜껑(32)에 핀결합된 연결관(43)상에 스프링(44)을 탄력 개재시켜 슬라이드로드(42)를 끼움조립하여 연 결관(43)에 형성된 슬라이드장공(45)을 따라 슬라이드로드(42)가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핀(46)으로 연결토록 한다.
그리고 세미통(5)의 배출공(31)에 인접하여 배수공(47)을 형성하되, 상기 배수공(47)은 세미수만 배수가 되도록 타공망 형태로 구성하고 배수공(47)의 개폐를 위한 배수문(48)을 제3솔레노이드밸브(49)와 연결하여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개폐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기구적인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1)은 전자제어부(Electric Control Unit)를 장착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의 세미 방법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전자제어부는 각 장치의 온(ON), 오프(OFF) 제어를 미리 프로그래밍한 입력 신호에 따라 제어하도록 설계한다. 이러한 제어기술은 일반적인 것이며, 본 발명에서 보호받고자 하는 사항이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은 우선 쌀은 쌀저장고(3)에 투입, 보관하게 되며, 각종 잡곡은 잡곡저장고(4)에 투입, 보관을 하게 되어 쌀과 잡곡을 동시에 보관 및 취사를 할 시에 쌀과 잡곡의 비율을 사전에 설정하여 설정된 양만큼 세미하여 취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쌀저장고(3)에 보관된 쌀은 격벽(9)과 바닥면(12)이 옥이나 대리석과 같은 성질이 차가운 패널로 제작되어 있고, 이에 배관된 냉수공급관(13)으로 수돗물이 직수로 공급되어 쌀을 신선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어 쌀벌레 등의 발생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사전에 콘트롤패널(8)에서 세미코자 하는 쌀과 잡곡의 양, 그리고 세미 횟수 등을 설정한 후 작동 버튼을 터치하면, 이 신호를 인가받은 ECU에서 제어신호를 구동부에 각각 인가하여 사전 프로그래밍 된 순서에 따라 세미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즉, 쌀저장고(3)와 잡곡저장고(4)의 배출공(10,11)에 각각 설치된 제1,2솔레노이드밸브(10a,11a)가 신호를 인가받아 배출공(10,11)이 개방되면서 쌀과 잡곡이 쌀·잡곡공급관(14)을 통해 세미통(5)으로 공급되며, 설정량(1~10인분 등) 만큼 쌀과 잡곡이 세미통(5)으로 공급되면 제1,2솔레노이드밸브(10a,11a)가 배출공(10,11)을 폐쇄하게 된다.
세미통(5)에 쌀, 잡곡이 공급완료되면 차기로 물탱크(7)에 냉수공급관(13)을 통해 공급, 저수된 물이 양수기(27)의 가동에 의해 일정 수압을 가지고 용수공급관(28)을 통해 세미통(5) 상부에 설치된 분사노즐(29)을 통해 세미통(5) 내부로 분사가 이루어진다.
상기 분사노즐(29)은 중심방향으로 하향 테이퍼진 경사면(29a)과 중앙 하부에 각각 분사공(30,30a)이 형성되어 있어 세미수를 직하방은 물론 세미통(5) 내연부 벽쪽으로 동시에 분사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세미수 공급과 더불어 세미용 모터(15)가 회전수를 30~35rpm 정도로 구동되어 제1종동축(17)에 고정된 세미용 삼각날개(18)와 상기 제1종동축(17)의 하단에는 제1~4베벨기어(19,22,23,24)로 연결되어 역방향 구동하는 제2종동축(24)에 고정된 세미봉(26)이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세미를 행하게 된다.
상기 세미용 삼각날개(18)와 세미봉(26)은 쌀과 잡곡의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하면서도 종래 세미기에 비해 휠씬 정교한 세미능력을 발휘한다. 즉, 세미용 삼각날개(18)와 세미봉(26)은 상하 2단으로 설치되어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토록 되어 있고, 세미용 삼각날개(18)는 3개의 원호형 막대 타입으로 이루어지며 그 재질이 실리콘과 같은 무공해의 연질수지로 구성되므로 쌀과 물이 세미용 삼각날개(18)와 마찰할 시에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세미용 삼각날개(18)와 역방향으로 세미봉(26)이 회전하므로 그로 인해 세미수가 와류를 발생하게 되어 쌀과 잡곡을 뒤집어 줌과 동시에 마찰력을 보다 높여 세미효과를 보다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1차 세미가 완료되면 먼저 세미에 사용된 세미수를 배수공(47)을 통해 배수하기 위하여 배수문(48)이 제3솔레노이드밸브(49)의 작동에 의해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어 세미수의 배수가 행해지며, 배수가 완료되면, 다시 제3솔레노이드밸브(49)의 역작동에 의해 배수문(48)이 배수공을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이 1사이클의 세미과정이 행해지고, 2~5회 세척은 사전 설정에 따라 동일한 작동으로 세미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세미통(5) 하부의 배출공(31)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배출뚜껑(32)이 개방되어 배출통(6)으로 쌀과 잡곡이 배출이 이루어지는 바, 배출뚜껑(32)은 배출공개폐모터(37)의 구동에 의해 제2원동축(38)에 축고정된 나사봉(39)이 정회전하게 되고, 상기 나사봉(39)에 나사결합된 안내돌기(40)를 갖는 슬라이드안내관(41)이 당겨지면서 이에 핀연결된 슬라이드로드(42)도 동시에 당겨지게 되므 로 슬라이드로드(42)에 핀(46) 연결된 연결관(43)이 당겨지면서 배출뚜껑(32)이 힌지(35)를 기점으로 개방되어 세미가 완료된 쌀과 잡곡은 배출통(6)으로 낙하수거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통(6)으로 쌀과 잡곡이 낙하 시에 양수기(27)가 가동되어 배출되는 쌀과 잡곡을 사용하여 취사를 할 시에 가장 적정한 물량을 공급한다. 이때 분사노즐(29)로 공급, 분사되는 물은 세미수가 아니라 취사수로써, 세미통(5)의 내벽면에 붙어 있던 쌀과 잡곡을 깨끗이 씻어 내리면서 배출통(6)으로 수거되어 배출통(6)을 쌀통(1)으로부터 분리하여 바로 밥솥에 투입 후 취사를 행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쌀과 잡곡, 취사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배출공개폐모터(37)가 역방향으로 제2원동축(38)에 축고정된 나사봉(39)이 역회전하게 되고, 상기 나사봉(39)에 나사결합된 안내돌기(40)를 갖는 슬라이드안내관(41)이 밀리면서 이에 핀연결된 슬라이드로드(42)도 동시에 밀리게 되고, 슬라이드로드(42)에 핀(46) 연결된 연결관(43)은 슬라이드로드(42)가 밀리는 압력에 스프링(44)이 압축되면서 동시에 연결관(43)도 밀리게 되어 배출뚜껑(32)이 힌지(35)를 기점으로 폐쇄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스프링(44)은 슬라이드로드(42)가 밀리면서 배출뚜껑(32)이 배출공(31)을 폐쇄할 시에 탄성으로 연결관(43)을 압축하게 되어 밀착도를 우수한 상태로 폐쇄작동을 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뚜껑(32)은 패킹(33)이 상면부에 설치되어 있어 스프링(44)의 압축탄성과 함께 배출공(31)을 기밀성 있게 폐쇄하며, 비산방지판(34)은 쌀과 잡곡을 배출공(31)을 통해 배출 시에 주위로 비산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1)을 사용함에 있어서, 다양한 세미 메뉴(유형), 또한 세미통 청소모드, 예약모드 등을 사전에 설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로 세미, 청소, 예약 등을 수행할 수도 있는 바, 이러한 메뉴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① 3 STEP 세척기능.
◇ 웰빙 세척 = 1회 세척 후 세미 배출. (1 cycle)
◇ 표준 세척 = 3회 세척 후 세미 배출. (3 cycle)
◇ 완벽 세척 = 5회 세척 후 세미 배출. (5 cycle)
※ 1 cycle = 쌀+물 투입 → 세미봉 회전 → 배수 → 세미완료(쌀배출,물공급)
※ 3 cycle = 쌀+물 투입 → 세미봉 회전 → 배수 → 물공급 → 세미봉 회전 → 배수 → 물공급 → 세미봉 회전 → 배수 → 세미완료(쌀배출, 물공급)
② 청소 모드 = 세미통의 찌꺼기 제거나 청결유지를 위한 청소모드(쌀 배출 없음).
③ 예약 모드 =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분량의 쌀을 씻어 놓는 기능.
물론, 상기한 다양한 세미 및 세척, 청소, 예약 모드 등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프로그래밍 방법에 의해 콘트롤패널(8)에서 ECU에 입력, 설정하여 입출력 제어 신호에 따라 수행되는 것이며, 이는 본 발명에 종사하는 당업자 상간에서 널리 알려진 제어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보호받고자 하는 기술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될 것이나, 당해업계의 종사가가 극히 용이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도 기본적인 기술사상을 같이 하는 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 쌀통은 물론 세미기 제조업체에서 바로 접목시켜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을 제공할 수 있어, 관련산업에 널리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의 바람직한 외형도를 보인 정면도 및 평면도, 좌우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의 측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에 있어서, 쌀저장고와 잡곡저장고를 발췌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에 있어서, 세미통 내부에 설치되는 세미수단을 발췌한 분해 상태 정면도 및 요부 발췌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에 있어서, 분사노즐을 발췌한 사시도 및 정면도와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에 있어서, 세미통과 배출뚜껑 및 배수구 구성을 설명키 위한 발췌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에 있어서, 세미통의 구성을 발췌한 사시도 및 평면도, 정면도, 배면도 및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에 있어서, 세미통 하부 배출공을 개폐 단속하는 배출뚜껑을 발췌한 정면도 및 평면도,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에 있어서, 배출뚜껑을 개폐단속하는 구동부를 발췌한 분해 상태 정면도 및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에 있어서, 콘트롤패 널과 전자제어부 및 각 모터와 솔레노이브밸브의 회로 구성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 (세미 기능을 갖는)쌀통 2: 본체
3: 쌀저장고 4: 잡곡저장고
5: 세미통 6: 배출통
7: 물탱크 8: 콘트롤패널
9: 격벽 10,11: 배출공
10a,11a: 제1,2솔레노이드밸브 12: 바닥면
13: 냉수공급관 14: 쌀·잡곡공급관
15: 세미용 모터 16: 제1원동축
17: 제1종동축 18: 세미용 삼각날개
19: 제1베벨기어 20: (삼각)지지대
21: 보스 22: 제2베벨기어
23: 제3베벨기어 24: 제2종동축
25: 제4베벨기어 26: 세미봉
27: 양수기 28: 용수공급관
29: 분사노즐 29a: 경사면
30,30a: 분사공 31: 배출공
32: 배출뚜껑 33: 패킹
34: 비산방지판 35: 힌지
36: 개폐수단 37: 배출공개폐모터
38: 제2원동축 39: 나사봉
40: 안내돌기 41: 슬라이드안내관
42: 슬라이드로드 43: 연결관
44: 스프링 45: 슬라이드장공
46: 핀 47: 배수공
48: 배수문 49: 제3솔레노이드밸브

Claims (7)

  1. 본체(2)의 상부에는 격벽(9)으로 구분 형성되며 하부에 배출공(10,11)을 개폐 단속하는 제1,2솔레노이드밸브(10a,11a)를 구비한 쌀저장고(3)와 잡곡저장고(4) 및,
    상기 쌀저장고(3)의 바닥면(12)과 격벽(9)에 배관되어 수돗물이 공급되어 물탱크(7)로 환수되도록 한 냉수공급관(13)과,
    상기 본체(2) 내부 하측에 설치되어 배출공(10,11)과 연통된 쌀잡곡공급관(14)과 연통되어 공급되는 쌀과 잡곡을 세미하기 위한 세미통(5)과,
    상기 세미통(5)으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물탱크(7)에서 양수기(27)를 통해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관(28)과, 상기 용수공급관(28)과 연결되어 용수를 세미통(5) 내부로 분사공급하는 분사노즐(29)과,
    상기 세미통(5) 하부에 형성된 배출공(31)을 개폐토록 배출공개폐모터(37)와 연결된 배출뚜껑(32)과,
    상기 세미통(5) 하부에 용수가 배수되는 배수공(47)과, 상기 배수공(47)을 개폐토록 제3솔레노이드밸브(49)와 연결된 배수문(48)과,
    상기 세미통(5)의 배출공(31) 하부에 안치되는 배출통(6)을 구비하여 쌀과 각종 잡곡을 동시에 보관 및 세미할 수 있도록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세미통(5)에는 세미용 모터(15)와 연결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구동되는 상부의 제1종동축(17)과 하부의 제2종동축(24)상에 각각 세미용 삼각날개(18)와 세미봉(26)을 설치하되,
    상기 제1종동축(17)과 제2종동축(24)의 결합은 제1종동축(17)의 하단에는 제1베벨기어(19)를 축고정시켜 세미통(5)의 내부 하측에 지지대(20)로 고정된 보스(21) 내연의 대응 제2,3베벨기어(22,23)와 기어물림토록 하고, 상기 제2,3베벨기어(22,23)의 하측에는 제2종동축(24)을 축설치하여 제2종동축(24) 상단에 축고정된 제4베벨기어(25)와 상기 제2,3베벨기어(22,23)가 상호 기어물림되어 구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29)은 중심방향으로 하향 테이퍼진 경사면(29a)과 중앙 하부에 각각 분사공(30,30a)을 형성하여 세미수가 세미통(5) 내부에 골고루 분사 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개폐모터(37)의 제2원동축(38)에 나사봉(39)을 축고정하고, 상기 나사봉(39)에 나사결합된 안내돌기(40)를 갖는 슬라이드안내관(41)을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드안내관(41) 단부에는 슬라이드로드(42)를 핀연결하여 배출뚜껑(32)에 핀결합된 연결관(43)상에 스프링(44)을 탄력 개재시켜 슬라이드로드(42)를 끼움조립하여 연결관(43)에 형성된 슬라이드장공(45)을 따라 슬라이드로드(42)가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핀(46)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
  7. 제 1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뚜껑(32)은 상면부에 배출공(31)과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폐쇄될 수 있도록 패킹(33)과, 상기 패킹(33) 하부에 고정되는 비산방지판(34)으로 구성되며,
    상기 비산방지판(34)은 세미통(5)과 힌지(35) 연결하여 각운동 개폐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
KR1020080044634A 2008-05-14 2008-05-14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 KR100978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634A KR100978398B1 (ko) 2008-05-14 2008-05-14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634A KR100978398B1 (ko) 2008-05-14 2008-05-14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697A KR20090118697A (ko) 2009-11-18
KR100978398B1 true KR100978398B1 (ko) 2010-08-30

Family

ID=41602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634A KR100978398B1 (ko) 2008-05-14 2008-05-14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3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341A (ko) * 2017-11-13 2019-05-22 코닉오토메이션 주식회사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
WO2020003168A1 (en) * 2018-06-27 2020-01-02 Gendroi Technologies Private Limited Autonomous robotic rice cooking device and semi-autonomous recipe cook with voice guid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172A (ko) * 2001-07-25 2003-02-05 이금숙 전 자동 무인 압력 전기밥솥의 쌀 세척 및 이송기능과정수 공급기능과 폐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쌀 세척장치.
KR200409596Y1 (ko) 2005-08-17 2006-02-24 이상균 가정취사기
KR20070092531A (ko) * 2006-03-10 2007-09-13 서종한 자동 밥솥
KR100798726B1 (ko) * 2007-01-08 2008-01-28 김성한 자동 세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172A (ko) * 2001-07-25 2003-02-05 이금숙 전 자동 무인 압력 전기밥솥의 쌀 세척 및 이송기능과정수 공급기능과 폐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쌀 세척장치.
KR200409596Y1 (ko) 2005-08-17 2006-02-24 이상균 가정취사기
KR20070092531A (ko) * 2006-03-10 2007-09-13 서종한 자동 밥솥
KR100798726B1 (ko) * 2007-01-08 2008-01-28 김성한 자동 세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341A (ko) * 2017-11-13 2019-05-22 코닉오토메이션 주식회사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
KR102001892B1 (ko) 2017-11-13 2019-07-22 코닉오토메이션 주식회사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
WO2020003168A1 (en) * 2018-06-27 2020-01-02 Gendroi Technologies Private Limited Autonomous robotic rice cooking device and semi-autonomous recipe cook with voice gu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697A (ko)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9262B2 (en) Frosty swirl machine
EP3354184A1 (en) In-sink lokated dishwasher
KR100917826B1 (ko) 식기세척기
CN108577508A (zh) 一种多功能烹饪柜
KR100978398B1 (ko) 세미 기능을 갖는 쌀통
CN104545756A (zh) 水槽式清洗机的清洗剂添加装置及所应用的水槽式清洗机
EP2772175B1 (en) Dishwasher
CN105105615A (zh) 电饭锅
CN108013797A (zh) 烹饪器具
CN206612712U (zh) 烹饪器具
CN111441427A (zh) 一种水槽洗菜机
CN204934089U (zh) 自动加液体装置
CN101889180B (zh) 冰箱用制冰装置
CN110974110A (zh) 一种喷淋孔出水可调的喷淋臂
CN109965741A (zh) 水槽式果蔬清洗机
CN107536476B (zh) 一种淘米装置及可淘米电饭煲
US20210386269A1 (en) Detergent cartridge for a dishwasher
CN2704307Y (zh) 附有水龙头配置盖的肥皂盘
CN208909722U (zh) 一种多功能烹饪柜
CN204379214U (zh) 水槽式清洗机的清洗剂添加装置及所应用的水槽式清洗机
CN111839175B (zh) 烹饪器具、烹饪器具的控制方法和可读取存储介质
KR101264390B1 (ko) 자동 취사장치
KR20020069320A (ko) 씽크대와 일체로 구비되는 자동 세미기
CN203789882U (zh) 免洗涤剂的洗碗机
CN105937257A (zh) 一种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