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1096B1 - 전자동 취반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동 취반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096B1
KR0161096B1 KR1019950018721A KR19950018721A KR0161096B1 KR 0161096 B1 KR0161096 B1 KR 0161096B1 KR 1019950018721 A KR1019950018721 A KR 1019950018721A KR 19950018721 A KR19950018721 A KR 19950018721A KR 0161096 B1 KR0161096 B1 KR 0161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water
amount
mot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8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140A (ko
Inventor
김선수
Original Assignee
김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수 filed Critical 김선수
Priority to KR1019950018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1096B1/ko
Publication of KR970000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0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반(炊飯)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취반을 위하여 가열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실시하기 위한 전기 밥솥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널리 보급되어 편리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밥솥과 쌀과 적량의 물을 넣는 과정을 포함한 이전 공정은 여전히 사람의 손을 빌려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투입된 쌀 중 원하는 분량의 쌀을 인출하기 위한 정량인출수단과 인출된 쌀을 물에 씻어 내기 위한 세미(洗米) 수단과 세미수단에 의하여 배출되는 쌀과 쌀의 분량에 상응하는 양의 물을 밥솥에 투입하기 위한 투입수단과, 투입된 쌀과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에 의하여 전체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쌀과 물을 상당량 취반 장치에 미리 넣어 두고 리모콘을 조작하는 극히 간단한 조작만으로 취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완벽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동 취반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동 취반 장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동 취반 장치의 요부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정량인출수단의 회동체를 보인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동 취반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쌀 투입구 2 : 쌀통
3 : 배출공 4 : 지지판
5 : 모우터 6 : 구획칸
7 : 회동체 8 : 정량 인출수단
9 : 이송스크류 10 : 모우터
11 : 수조 12 : 개폐밸브
13 : 필터 14 : 배수구
15 : 세미수단 16 : 제어밸브
17 : 연결관 18 : 모우터
19 ; 개폐판 20 : 개폐기구
21 : 투입수단 22 : 배출밸브
23 : 밀폐뚜껑 24 : 가열히터
25 : 리모콘 26 : 신호수신회로
27 : 콘트롤 패널 28 : 입력포트
29 : 출력포트 30 : 마이크로 컴퓨터
31 : 표시램프 32 : 부져
33 : 밥솥
본 발명은 전자동 취반(炊飯)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밥을 짓기 위하여는 먼저 원하는 량의 쌀을 꺼내고 이를 물에 씻은 다음 적량의 물과 함께 솥에 넣고 상당 시간 동안 가열하여야 하며 가열이 완료되면 화력을 감소시키고 뜸을 들이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사람이 줄곧 지키고 있어야 하는 것이어서 분주한 현대인들에게는 매우 번거로운 일이 아닐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중 가열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실시하기 위한 전기 밥솥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널리 보급되어 편리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밥솥에 쌀과 적량의 물을 넣는 과정을 포함한 이전 공정은 여전히 사람의 손을 빌려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밥을 짓는 일은 현재도 번거로운 일로 남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쌀과 물을 상당량 취반 장치에 미리 넣어두고 리모콘을 조작하는 극히 간단한 조작만으로 취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완벽한 편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투입된 쌀중 원하는 분량의 쌀을 인출하기 위한 정량인출수단과 인출된 쌀을 물에 씻어내기 위한 세미(洗米) 수단과 세미수단에 의하여 배출되는 쌀과 쌀의 분량에 상응하는 양의 물을 밥솥에 투입하기 위한 투입수단과, 투입된 쌀과 물을 가열하기 위한 밥솥에 의하여 전체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동 취반기의 외관을 제1도로 보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의 상방에 쌀투입구(1)가 설치되어 있고 전면에는 밥솥을 넣을 수 있는 밥솥 수납함 그리고 전자렌지 수납함 그리고 정수기에서 낙하되는 물을 받을 수 있는 음료수 배출코크등이 배치되어 있다.
아우러 그 상방에는 콘트롤 패널이 배치되어 있으며 리모콘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다용도로 활용가능한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고, 전자렌지와 음료수 배출코크가 구비되지 않은 취반 전용 장치의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제2도에는 제1도의 본체에 내장된 취반 장치의 요부 구조만을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쌀투입구(1)가 구비된 쌀통(2)과, 쌀통(2)의 하방에 설치되고 배출공(3)이 형성된 지지판(4) 위에서 모우터(5)의 회전력으로 회동하는 구획칸(6)을 갖는 회동체(7)로 된 정량 인출수단(8)과, 지지판(4)의 하방에 설치되고 낙하하는 쌀을 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9)와 모우터(10) 그리고 세미에 필요한 물을 적량 공급하기 위한 수조(11)에 연결된 개폐밸브(12)와, 이송스크류(9)의 하방에 설치되어 쌀을 씻은 물을 배출하기 위한 필터(13)와, 배수구(14)등으로 구성된 세미수단(15)과, 세척된 쌀과 적량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조(11)에 연결된 제어밸브(16) 그리고 이들을 밥솥(33)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17)과 연결관(17) 하단에 고정되어 모우터(18)의 동작에 의하여 작동되는 개폐판(19)을 구비하여서 된 개폐기구(20)로 구성된 투입수단(21)과, 공지의 배출밸브(22)와 밀폐뚜껑(23) 그리고 가열히터(24)등으로 구성된 밥솥(33)으로 구성된 것이며, 리모콘(25)에 의한 신호수신회로(26)와 콘트롤 패널(27)이 입력포트(28)에 연결되고 모우터(5,10,18)와 개폐기구(20) 그리고 개폐밸브(12)와 제어밸브(16) 그리고 가열히터(24) 및 표시램프(31)와 부져(32)가 출력포트(29)에 연결된 마이크로 컴퓨터(30)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쌀을 투입구(1)로 넣어 두고 이어서 정수기나 수도관에 연결된 수조(11)에 적량의 수위가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고 리모콘(25)을 조작하면 밥솥(33)에서 바로 취식할 수 있는 상태로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쌀과 물이 준비된 상태에서 리모콘(25)이나 콘트롤 패널(27)의 버튼을 조작하여 취사할 쌀의 분량과 작동 개시버튼을 눌러 주면 마이크로 컴퓨터(30)는 먼저 모우터(5)를 가동시켜 회동체(7)를 필요한 쌀의 분량에 상응하여 설정된 각도만큼 완만한 속도로 회동시키는 것이다.
그러크로 회동체(7)의 구획칸(6)에 쌀통(2)에서 하중에 의하여 밀려 내려온 쌀이 채워지고 회동체(70의 회전에 따라 지지판(4)위에서 회동하면서 배출공(3) 상부까지 이동하므로 배출공(3)에 도달하여 낙하하고 세미수단(15)에 도달하는 것이어서, 결국 정량 인출수단(8)에 의하여 원하는 량의 쌀이 세미수단(15)으로 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마이크로 컴퓨터(30)는 모우터(10)를 가동시켜 이송스크류(9)가 회동하도록 함으로써 도달한 쌀을 전방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개폐밸브(12)를 작동시켜 수조(11)내부의 물이 이송스크류(9)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송되는 쌀은 물과 혼합되면서 이송스크류(9)에 의하여 접찰되므로 쌀이 물에 씻기는 결과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필터(13)위를 계속 이동하게 되므로 필터(13)를 통과하는 동안 물이 필터(13)하방으로 흘러내리게 되고 그 결과 배수구(14)로 물이 배출되고 쌀만이 이송스크류(9)에 의하여 계속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마이크로 컴퓨터(30)는 제어 밸브를 작동시켜 수조(11)의 물이 연결판(17)으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개폐기구(20)를 작동시켜 이송스크류(9)에 의하여 이송된 쌀과 함께 밥솥(33)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마이크로 컴퓨터(30)는 제어밸브(16)를 개방시키는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제어 밸브에 의하여 낙하되는 물의 량을 쌀의 분량에 따라 결정하여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밥솥(33)에는 원하는 량의 쌀과 물이 채워진 상태로 되는 것이며 마이크로 컴퓨터(30)는 개폐기구(20)를 작동시켜 밥솥(33)의 상부를 밀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마이크로 컴퓨터(30)는 밥솥(33)의 가열히터(24)에 전원을 인가한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도록 함으로써 밥을 짓게 되는 것이고 이어서 가열히터(24)의 열량을 제어하여 뜸들이 한 다음 전원을 차단하고 표시 램프(31)와 부져(32)를 작동시켜 취반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밀폐 뚜껑을 열고 식사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쌀과 물을 넣고 리모콘(25)으로 취반할 쌀의 분량버튼과 작동개시버튼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취반을 위한 더 이상의 수고 없이 밥을 지을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므로 분주한 현대인들에게 취사와 관련한 수고를 크게 덜어 줄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며 특히 노약자나 연소자들도 안전하게 원하는 량의 밥을 손쉽게 지을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수조(11)와 음료수 배출코크를 연결하여 필요시 원하는 량의 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전자렌지등을 일체로 내장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도에서는 정량인출수단(8)과 세미수단(15) 그리고 투입수단(21)과 밥솥(33)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다양한 형태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

  1. 쌀투입구(1)가 구비된 쌀통(2)과, 쌀통(2)의 하방에 설치되고 배출공(3)이 형성된 지지판(4) 위에서 모우터(5)의 회전령으로 회동하는 구획칸(6)을 갖는 회동체(7)로 된 정량 인출수단(8)과, 지지판(4)의 하방에 설치되고 낙하하는 쌀을 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9)와 모우터(10) 그리고 세미에 필요한 물을 적량 공급하기 위한 수조(11)에 연결된 개폐밸브(12)와, 이송스크류(9)의 하방에 설치되어 쌀을 씻은 물을 배출하기 위한 필터(13)와, 배수구(14)등으로 구성된 세미수단(15)과, 세척된 쌀과 적량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조(11)에 연결된 제어밸브(16) 그리고 이들을 밥솥(33)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17)과 연결관(17)하단에 고정되어 모우터(18)의 동작에 의하여 작동되는 개폐관(19)을 구비하여서 된 개폐기구(20)로 구성된 투입수단(21)과, 공지의 배출밸브(22)와 밀폐뚜껑(23) 그리고 가열히터(24)등으로 구성된 밥솥(33)으로 구성된 것이며, 리모콘(25)에 의한 신호수신회로(26)와 콘트롤 패털(27)이 입력포트(28)에 연결되고 모우터(5,10,18)와 개폐기구(20) 그리고 개폐밸브(12)와 제어밸브(16) 그리고 가열히터(24) 및 표시램프(31)와 부져(32)가 출력포트(29)에 연결된 마이크로 컴퓨터(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취반 장치.
KR1019950018721A 1995-06-30 1995-06-30 전자동 취반 장치 KR0161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8721A KR0161096B1 (ko) 1995-06-30 1995-06-30 전자동 취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8721A KR0161096B1 (ko) 1995-06-30 1995-06-30 전자동 취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140A KR970000140A (ko) 1997-01-21
KR0161096B1 true KR0161096B1 (ko) 1998-11-16

Family

ID=19419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8721A KR0161096B1 (ko) 1995-06-30 1995-06-30 전자동 취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10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760B1 (ko) * 2008-10-13 2011-03-0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매립형 취사장치
KR20190054341A (ko) * 2017-11-13 2019-05-22 코닉오토메이션 주식회사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760B1 (ko) * 2008-10-13 2011-03-0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매립형 취사장치
KR20190054341A (ko) * 2017-11-13 2019-05-22 코닉오토메이션 주식회사 세미 및 세척기능이 구비된 취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140A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6708B2 (en) Cooking machine
KR0161096B1 (ko) 전자동 취반 장치
JPH0116168B2 (ko)
KR100292039B1 (ko) 전자동 시스템 밥솥
CN211093314U (zh) 一种全自动电饭锅
JPH01313013A (ja) 貯米、自動洗米注水炊飯装置
KR970068959A (ko) 전자동 취사 장치
KR20020069320A (ko) 씽크대와 일체로 구비되는 자동 세미기
JP4258362B2 (ja) 洗米処理装置
JP3234521B2 (ja) 洗米装置
JPH01320017A (ja) 自動炊飯装置
KR960001332Y1 (ko) 전자동 취반기의 제어장치
KR940008620B1 (ko) 전자동 취반기 및 그 제어방법
KR940006257Y1 (ko) 전자동 취사장치
KR900008829B1 (ko) 전자동 취사기
KR930006197Y1 (ko) 자동세척 및 밥솥을 겸한 쌀통
JP3823561B2 (ja) 自動炊飯装置
JPH0681610B2 (ja) 洗米給水法および装置
KR900001035B1 (ko) 쌀통 하단에서 자동으로 쌀이 씻겨지고, 밥이되는 장치.
JPH0591944A (ja) 自動炊飯器
JPH0337013A (ja) 自動炊飯装置
KR940006753B1 (ko) 곡물 자동 세척 및 취사장치
KR960001334Y1 (ko) 전자동 취반기의 가스밥솥 뚜껑개폐장치
KR19980082662A (ko) 정미세정겸비의 전자동식 취반방법과 그 취반기
KR940005558Y1 (ko) 자동 취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