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306A -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306A
KR20190054306A KR1020170150423A KR20170150423A KR20190054306A KR 20190054306 A KR20190054306 A KR 20190054306A KR 1020170150423 A KR1020170150423 A KR 1020170150423A KR 20170150423 A KR20170150423 A KR 20170150423A KR 20190054306 A KR20190054306 A KR 20190054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elastic band
assembled
flow piec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465B1 (ko
Inventor
백은선
최무영
Original Assignee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영진건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영진건설 (주) filed Critical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50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465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2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 F16L21/005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made of elastic material, e.g. partly or completely surrounded by clam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09Joints for pipes with a square or rectangular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덕트 조립시 별도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작업의 편리성과 효용성 그리고 기밀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덕트 자체에 체결구를 구성하여 간편하게 조립이 가능토록 한,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정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재질로 제조된 탄성밴드; 탄성밴드와 조립되는 유동편; 및 탄성밴드와 유동편의 조립체를 수납하는 커버로 구성되고, 유동편은 상기 탄성밴드와의 조립을 위하여 외주면 둘레에 소정깊이의 홈이 형성되고, 내주면 둘레에는 덕트의 삽입시 안내를 위하여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탄성밴드와 유동편이 조립됨으로써 유동편 내주면에 의해 통공이 형성되며, 덕트의 삽입시 탄성밴드에 의해 커졌다가 덕트 조립 완료시 복귀력이 덕트에 적용됨에 따라 덕트의 기밀한 조립 상태가 유지된다.

Description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 조립체{DUCT ASSEMBLY USING CONNECTING MEMBER}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덕트 조립시 별도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작업의 편리성과 효용성 그리고 기밀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덕트 자체에 체결구를 구성하여 간편하게 조립이 가능토록 한,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덕트는 냉난방 공조용, 보일러 연도용, 공기수송용, 송배기관, 보온파이프 보호용, 가설배수관, 집수관, 콘크리트 현장 타설관 및 토목건축용으로 널리 쓰이는 제품이다.
일반적으로 생산 판매되는 덕트 조립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덕트를 예로 들면, 통로(P)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고 단부에 절첩부위(2)가 구성된 덕트(3)와, 덕트(3)의 절첩부위(2)에 끼워져서 다른 덕트(6)와 조립 가능토록 네 모서리에 각각 볼트삽입홈(4)이 형성된 "ㄱ"자 형상의 프레임(5)으로 구성되어, 프레임(5)이 통로(P)를 폐쇄하지 않는 상태에서 덕트(3)에 밀착되어 끼워지면 절첩부위(2)로 압박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조가 완료된다.
이 같이 제조된 덕트의 복수 개 조립시에는 덕트(3)에 다른 덕트(6)를 밀착 접촉시켜 프레임(5)(7)에 형성된 볼트삽입홈(4)(8)이 일치된 상태에서 볼트(B) 및 너트(도시 생략) 등의 체결도구로 결합시킴으로써 조립체가 완성된다.
그러나 이 같은 종래 덕트(3)(6)는 볼트삽입홈(4)(8)을 형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프레임(5)(7)이 외곽둘레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크기가 커지게 되어 일반 주택이나 건물 등 덕트 설치공간 높이가 한정된 곳에서는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 덕트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덕트(3)(6)에 형성된 통로(P)들을 서로 일치시킨 후 프레임(5)(7)에 형성된 볼트삽입홈(4)(8)을 정확하게 일치시킨 상태에서 조립해야 하므로 그 작업 공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릴 뿐 아니라, 덕트의 문제 발생시 해체 조립 공정이 매우 복잡하여 경제적이지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660946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 등록기술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공기, 물, 시멘트 등의 통로(유로)(9)(12)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태의 덕트(10)(11)와, 양쪽에 두 개의 덕트(10)(11)가 결합됨으로써 통로(9)(12)를 서로 연통시키도록 외측으로 절첩된 연결부재(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20)는 양측을 서로 대칭되도록 절첩하여 각각 덕트(10)(11)가 삽입 결합되도록 한 구조로써, 외부 사각 둘레에 걸쳐 덕트(10)(11)삽입용 삽입부(21)(22)가 일정폭(23)(24)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20)의 절첩부위(삽입부)의 단부(25)(26)는 덕트(10)(11)의 삽입이 용이함과 동시에 미적감각을 위하여 상측으로 약간 절곡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첩부의의 폭(23)(24)에는 덕트(10)(11)와 연결부재(20)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미적감각을 위하여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의 용접부분(V)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등록기술은, 연결부재(2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부(21)에 폭(23)만큼 덕트(10)를 삽입결합하고, 연결부재(20)의 타측에 형성된 삽입부(22)에는 폭(24)만큼 다른 덕트(11)를 삽입결합하면 덕트(10)(11)의 통로(9)(12)가 서로 연통하여 조립이 완료된다.
이러한 등록기술은, 외측으로 절첩된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두 덕트를 결합시켜 조립체를 완성함으로써 작업공정이 단순화되고 작업시간이 절약되는 이점이 있으나, 기밀성 유지에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66094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관련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덕트 조립에 탄성력을 이용함으로써 그 기밀성이 확실하게 유지될 있도록 한,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덕트의 고장 발생시 약간의 힘만으로 별도의 도구없이 분해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에 따라 유추 가능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 조립체는,
소정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재질로 제조된 탄성밴드;
상기 탄성밴드와 조립되는 유동편; 및
상기 탄성밴드와 유동편의 조립체를 수납하는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유동편은 상기 탄성밴드와의 조립을 위하여 외주면 둘레에 소정깊이의 홈이 형성되고, 내주면 둘레에는 덕트의 삽입시 안내를 위하여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유동편은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탄성밴드와 유동편이 조립됨으로써 유동편 내주면에 의해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통공은 덕트의 삽입시 탄성밴드의 탄성력에 의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통공은 최초에는 덕트의 종단 부분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탄성밴드는 덕트의 조립시 팽창되었다가 덕트 조립 완료시 복귀력이 덕트에 적용됨에 따라 덕트의 기밀한 조립이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유동편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홈은 탄성밴드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커버는 탄성밴드와 유동편의 조립체를 수납하기 위하여 내주면 둘레에 상기 탄성밴드와 유동편의 조립체의 외주면 직경보다 큰 소정 깊이의 홈이 연속으로 형성되며, 홈은 탄성밴드와 유동편의 조립체가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 조립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뛰어난 효과가 있다.
첫째, 조립된 덕트가 탄성력에 의해 압박감을 받아 기밀성이 확실하게 유지됨으로써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확보된다.
둘째, 덕트의 고장 발생시 수리가 용이하며, 별도의 도구없이 약간의 힘만으로 덕트의 분해 조립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 시간 단축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덕트의 조립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덕트의 조립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의 조립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조립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체결구 양쪽에서 덕트가 삽입되도록 덕트의 삽입부 직경 보다 약간 작은 크기의 통공이 형성되어 간편하게 두 개의 덕트 조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탄성밴드의 탄성력에 의해 소정 크기로 덕트 삽입구가 확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덕트의 삽입이 완료되면, 탄성밴드의 원위치로의 복귀력에 의한 압박감에 의해 덕트의 유동이 방지되면서 덕트가 조립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제조된 탄성밴드와, 덕트의 외주면과 접촉되도록 탄성밴드와 조립되는 유동편으로 구성된다. 유동편은 덕트 삽입시 확장되어야 하므로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리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유동편과 탄성밴드가 조립되면, 유동편마다 형성된 가이드홈이 연속으로 연결되어 대체로 원형을 이루게 되며, 이 가이드홈을 통해 덕트의 삽입이 안내된다. 또한, 유동편과 탄성밴드가 조립되면 중앙부분에 일정 크기의 통공이 형성되어 덕트 삽입구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에서 가이드홈은 덕트의 통공으로의 안내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중앙부분을 향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탄성밴드와 유동편의 조립을 위해 유동편 외주면에 소정깊이의 홈이 연속으로 형성되며, 홈은 탄성밴드가 이탈되지 않도록 유동편 조립에 의해 유동편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홈이 탄성밴드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탄성밴드가 억지 끼움식으로 유동편 외주면 홈에 삽입됨으로써 체결구가 원형 그대로 유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탄성밴드의 탄성은, 덕트의 통공에 대한 삽입시, 덕트를 타이트하게 압박 록킹하여 이탈되지 않을 정도로 설정하면 될 것이다. 탄성이 지나치면 잠금 및 해제시 무리한 힘이 가해질 수밖에 없으므로 이를 감안하면 될 것이다.
본 발명은, 탄성밴드과 유동편의 조립체(체결구)를 수납하는 커버가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의 조립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조립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덕트 체결구(100)는, 양쪽에서 덕트(300)가 조립되도록 덕트(300)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 더 바람직하게는 약간 작은 크기의 통공(110)이 형성된다.
덕트(300)는 체결구(100)의 양쪽에서 이 통공(110)을 통해 서로 삽입되어 서로 조립된다. 덕트(300)의 통공(110)에 대한 삽입시 통공(110)은 체결구(100)에 구성된 탄성밴드(120)의 탄성력에 의해 소정 크기로, 더 구체적으로는 덕트(200)의 종단 삽입부 직경만큼 팽창되며, 덕트(300)의 삽입이 완료되면, 탄성밴드(120)의 원위치로의 복귀력에 의해 덕트(300)가 압박받음으로써 체결구(100)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체결구(100)는 양쪽에서 덕트(300)가 각각 조립되도록 소정크기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덕트의 삽입이 충분히 이루어져 자칫 이탈될 수도 잇다는 우려를 거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덕트(300)는 체결구(100)의 통공(110)에 대한 삽입이 용이하도록 종단 부분이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덕트(300)의 체결 원리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체결구(100)는 소정 탄성력을 갖는 재질의 탄성밴드(120)와, 덕트(300)의 통공(110)에 대한 삽입시 덕트(300)의 외주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탄성밴드(120)와 조립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유동편(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동편(130)은 통공(110)에 대한 덕트(300)의 정확한 삽입을 위하여, 그 일면에 소정깊이의 단 형태 가이드홈(14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40)은 삽입되는 덕트(300)의 종단부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앙부분을 향하여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덕트(300)의 삽입이 미끄러지듯 이루어져서 통공(110)으로 용이하게 도달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가이드홈(140)은, 유동편(130)이 탄성밴드(120)에 조립되어 체결구(100)가 완성되도록 유동편(130) 전부에 형성되며, 유동편(130) 전부가 탄성밴드(120)와 조립되면, 유동편(130)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홈(140)이 연속으로 연결되면서 대체로 원형을 이루게 된다. 원형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가이드홈(140)이 소정각도의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소정각도의 곡면을 가지고 형성된 유동편(130)이 탄성밴드(120)와 조립됨에 따라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통공(110)이다.
상기 유동편(130)은, 탄성밴드(120)와의 조립을 위해 그 전체 외주면 둘레에 소정깊이로 옴폭 파인 홈(150)이 형성된다. 홈(150)의 깊이는 탄성밴드(120)의 굵기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면 될 것이다. 즉 탄성밴드(120)가 상기 홈(150)에 억지끼움식으로 조립되어 이탈되지 않을 정도면 된다.
만일, 탄성밴드(120)의 굵기가 홈(150)의 깊이에 비해 다소 굵으면 유동편(130)으로부터의 이탈은 없지만, 과도하게 굵으면 유동편(130)으로부터 이탈될 수도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적절한 굵기로 설정하면 될 것이다.
또한, 홈(150)은 탄성밴드(120)가 이탈되지 않도록 탄성밴드(1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홈(150)이 형성되면 탄성밴드(120)는 억지 끼움식으로 홈(150)에 삽입되어 이탈이 방지되면서 체결구(100)가 원형 그대로 유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체결구(100)는, 두 개의 유동편(130)에 형성된 가이드홈(140)이 연속으로 이어지도록 유동편(130)의 홈(150)에 탄성밴드(120)를 삽입하면 탄성밴드(120)가 유동편(130)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조립이 완료된다.
조립은, 하나의 유동편(130)의 홈(150)에 탄성밴드(120)의 일부를 끼우고, 다른 유동편(130)의 홈(150)에 탄성밴드(120)의 나머지 부분을 끼우면, 탄성밴드(120)의 탄성에 의해 체결구(100)가 대체로 원형을 유지하게 된다.
탄성밴드(120)의 홈(150)에 대한 조립완료시 탄성밴드(120)는 유동편(130)의 둘레부를 이루게 되므로 시각적으로 외부로 노출된다.
탄성밴드(120)의 탄성은, 덕트(300)의 통공(110)에 대한 삽입시, 덕트(300)를 타이트하게 압박하여 체결구(10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정도로 설정하면 될 것이다. 탄성이 지나치면 잠금 및 해제시 무리한 힘이 가해질 수밖에 없으므로 이를 감안하면 될 것이다.
상기 탄성밴드(120)는, 고무재질 또는 우레탄재질의 링 형상일 수 있고, 통상적인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설계함으로써 덕트(300)의 삽입시 통공(110)에서의 움직임은, 탄성을 갖는 탄성밴드(120)가 덕트(300)의 외주면과 접하면서 탄성력에 의해 삽입시에는 벌어졌다가 해제시에는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므로, 덕트(300)의 종단 부분에 대한 체결구(100)의 적절한 탄성 부여에 의해 조립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고, 해제시에는 체결구(100)의 소정 탄성력 부여에 의해 용이하게 해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된 체결구(100)는 커버(200)에 수납된다.
커버(200)는 상기 체결구(100)를 수납하도록 내주면 둘레에 연속으로 소정 깊이의 홈(210)이 형성되며, 홈(210)의 크기는 체결구(100)가 수납되도록 외주면 둘레를 기준으로 한 체결구(100)의 크기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고, 홈(210)의 단부면은 약간 절곡되도록 형성하여 체결구(1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커버(200)가 체결구(100)보다 약간 크게 형성됨으로써 체결구(100)의 유동편(130)이 탄성밴드(120)의 탄성력에 의해 확장 가능한 범위를 확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200)에 형성되는 통공(205)은 탄성밴드(120)와 유동편(130)의 조립체가 커버(200)에 조립된 상태에서 약간 유동하더라도 통공(110)과 통공(205)이 서로 통하도록 통공(110)과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밴드(120)와 유동편(130)의 조립체가 커버(200)에 수납된 상태에서 통공(110)과 통공(205)이 서로 연통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체결구(100)의 양쪽에서 각각 덕트(300)가 조립되면 통공(110)(205)(310)이 모두 연통되어 연장 조립된 덕트로서의 기능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체결구(100)를 각각의 덕트(300)마다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덕트(300)의 일측에만 체결구(100)를 구성하고, 타측은 체결구(100)를 구성하지 않은 상태로 놔둔 상태에서 소정 덕트(300)의 일측을 다른 덕트에 조립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 조립체의 실시예가 기술되었다. 위에 기술된 실시예는 본원발명에 기술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많은 구체적 실시예 중에서 일부분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함에 따라 당업자들이 본원발명의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범위 내에서 많은 다른 배열들을 쉽게 구현해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체결구 110 : 통공
120 : 탄성밴드 130 : 유동편
140 : 가이드홈 150 : 홈
200 : 커버 300 : 덕트

Claims (8)

  1. 소정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재질로 제조된 탄성밴드;
    상기 탄성밴드와 조립되는 유동편; 및
    상기 탄성밴드와 유동편의 조립체를 수납하는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유동편은 상기 탄성밴드와의 조립을 위하여 외주면 둘레에 소정깊이의 홈이 형성되고, 내주면 둘레에는 덕트의 삽입시 안내를 위하여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편은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와 유동편이 조립됨으로써 유동편 내주면에 의해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덕트의 삽입시 탄성밴드의 탄성력에 의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 조립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최초에는 덕트의 종단 부분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는 덕트의 조립시 팽창되었다가 덕트 조립 완료시 복귀력이 덕트에 적용됨에 따라 덕트의 기밀한 조립이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편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홈은 탄성밴드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 조립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탄성밴드와 유동편의 조립체를 수납하기 위하여 내주면 둘레에 상기 탄성밴드와 유동편이 조립된 조립체의 외주면 직경보다 큰 소정 깊이의 홈이 연속으로 형성되며, 홈은 탄성밴드와 유동편의 조립체를 내부에 구속함으로써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 조립체.
KR1020170150423A 2017-11-13 2017-11-13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 조립체 KR102089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423A KR102089465B1 (ko) 2017-11-13 2017-11-13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423A KR102089465B1 (ko) 2017-11-13 2017-11-13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306A true KR20190054306A (ko) 2019-05-22
KR102089465B1 KR102089465B1 (ko) 2020-03-16

Family

ID=66680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423A KR102089465B1 (ko) 2017-11-13 2017-11-13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46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946B1 (ko) 2006-09-15 2006-12-26 영진기계설비주식회사 개선된 조립구조를 갖는 덕트조립체
KR20100004840U (ko) * 2008-10-31 2010-05-11 이금로 덕트와 덕트 연결구의 조립구조
KR100993207B1 (ko) * 2008-05-23 2010-11-10 (주)화용씨티에스 플랫덕트용 연결구 패킹 구조물
KR20110083928A (ko) * 2010-01-15 2011-07-21 주식회사 포에어 덕트 연결용 씰링유니트
KR20130008329A (ko) * 2011-07-12 2013-01-22 (주) 에이텍 덕트 연결부재용 패킹
KR20160082923A (ko) * 2015-01-01 2016-07-11 (주)웨지엔 회전쐐기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946B1 (ko) 2006-09-15 2006-12-26 영진기계설비주식회사 개선된 조립구조를 갖는 덕트조립체
KR100993207B1 (ko) * 2008-05-23 2010-11-10 (주)화용씨티에스 플랫덕트용 연결구 패킹 구조물
KR20100004840U (ko) * 2008-10-31 2010-05-11 이금로 덕트와 덕트 연결구의 조립구조
KR20110083928A (ko) * 2010-01-15 2011-07-21 주식회사 포에어 덕트 연결용 씰링유니트
KR20130008329A (ko) * 2011-07-12 2013-01-22 (주) 에이텍 덕트 연결부재용 패킹
KR20160082923A (ko) * 2015-01-01 2016-07-11 (주)웨지엔 회전쐐기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465B1 (ko) 202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6801B2 (en) Coupling device for media conduits
US20110233927A1 (en) Coupling Element
KR20080006588A (ko) 유체 라인용 연결 장치
ITMI20010003A1 (it) Dispositivo di collegamento a innesto
JP2008540942A (ja) 差し込み固定部を有する迅速連結具
US20030178850A1 (en) Pipe coupling with V-shaped tongue and recess
KR100856472B1 (ko) 결합되는 2개의 유체 라인의 동축방향 단부 부분에 대한연결 시스템
CN207094002U (zh) 可拆卸的快速连接装置
JP2592358B2 (ja) 管継手
TWI414689B (zh) 用於爪形軸環之總成,相對應的軸環及管形接頭
KR20190054306A (ko)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 조립체
KR200432862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US20170356584A1 (en) Grooved-End Rubber Expansion Joint with 4-Way Compression Grooved Coupling
US20110049871A1 (en) Self aligning coupling
KR200184270Y1 (ko) 배관이음용 커플링
KR200276843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조립체
KR200318982Y1 (ko) 수지관 원터치식 연결장치
KR20190027239A (ko) 연결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용접식 파이프 이음매 구조
JPH088384Y2 (ja) 離脱防止管継手
JP4596983B2 (ja) リブパイプ用管継手
JP3221607U (ja) 空調ダクトの接続構造
KR200422531Y1 (ko) 유체이송관 분기용 내측와셔
JPH01206197A (ja) 管継手
JP2588699Y2 (ja) 配管カバー
JPH0251789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