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928A - 덕트 연결용 씰링유니트 - Google Patents

덕트 연결용 씰링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928A
KR20110083928A KR1020100003918A KR20100003918A KR20110083928A KR 20110083928 A KR20110083928 A KR 20110083928A KR 1020100003918 A KR1020100003918 A KR 1020100003918A KR 20100003918 A KR20100003918 A KR 20100003918A KR 20110083928 A KR20110083928 A KR 20110083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sealing unit
frame
fema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국동호
서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에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에어
Priority to KR1020100003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3928A/ko
Publication of KR20110083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 연결용 씰링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환기용 덕트와 덕트를 덕트연결구로 연결할 때 연결되는 부분을 씰링하는 덕트 연결용 씰링유니트에 있어서; 외주면은 상기 덕트연결구의 내주면과 접촉되게 덕트연결구에 삽입되고, 내주면은 연결용 덕트의 단부측 외주면과 접촉되게 덕트의 단부가 삽입되며, 일측 단면에는 테두리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된 다수의 끼움돌기를 갖는 메일프레임과; 일측 단면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대응 삽입되는 다수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타측단 외주면에는 상기 덕트연결구의 단부가 끼워지는 연결구삽입홈이 형성된 피메일프레임과; 상기 메일프레임과 피메일프레임 사이에 개재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된 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리브에는 상기 메일프레임과 피메일프레임의 각 대응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을 형성하는 외판이 수직하게 연결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덕트의 삽입 단부 외주면과 밀착되는 핀부가 구비된 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덕트 연결용 씰링유니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덕트연결구와 덕트 사이에 단순 끼움방식으로 끼워 넣기만 해도 씰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립 및 해체 작업이 쉽고, 패킹이 열화될 경우에도 교체작업이 용이하며, 단품화가 가능하여 소비자가 선택 사용할 수 있는 폭이 넓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덕트 연결용 씰링유니트{SEALING UNIT FOR CONNECTING DUCT}
본 발명은 덕트 연결용 씰링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종 덕트 연결시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공기 누설이나 외부 이물질 유입을 원천 차단하여 효율향상 및 보다 쾌적하고 건강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덕트 연결용 씰링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거주하는 사무실, 주택 등을 포함한 건물에는 내부를 냉,난방 또는 환기를 위한 덕트(Duct)들이 설치된다.
이러한 덕트들은 건물의 설계에 따라 'ㅡ'형, 'ㅜ'형, 'ㄱ'형 등과 같이 용도에 따른 연결구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충분한 길이를 갖고 연결설치되게 된다.
그런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덕트연결구(10)가 덕트(30)와 덕트의 연결을 위해 사용될 경우 덕트연결구(10)와 결합된 덕트(30)의 단부 테두리 일부가 도시와 같이 휨변형되면서 틈새(g)를 형성하여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누설을 초래하여 효율을 떨어뜨리거나 혹은 내부의 공기 흐름방향으로 외부에서 이물질이 흡입되어 내부를 오염시키게 되고, 오염된 관 내부를 흐르는 공기가 실내로 공급될 경우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등 매우 비위생적이었다.
특히, 덕트(30)의 폭이 커질수록 이러한 현상은 더욱 가중되었으며, 또한 공기유동시 소음이 발생되는 단점도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일환으로, 공개특허 2006-0018919에서는 덕트연결구에 씰링용 러버를 구비시켜 덕트와의 틈새를 막도록 한 구성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에 나타난 구성은 씰링용 러버와 덕트의 단부가 억지끼움 형태로 압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성형 후 수축과정에서 이미 변형이 진행된 상태로 입고된 덕트의 단부를 정확히 맞춰 끼우기가 쉽지 않아 조립작업이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를 위해 덕트와 덕트연결구를 분리해야 할 경우, 씰리용 러버가 덕트와 함께 덕트연결구로부터 이탈되어 버리기 때문에 재조립시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준다.
또한, 씰링용 러버는 패킹 형태를 갖는 일종의 가스켓이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열화되게 되는데 이의 교체 작업이 용이치 않은 단점도 있다.
아울러, 씰링용 러버를 갖추기 위해 덕트연결구 자체의 구조를 변형시킨 상태이므로 규격화가 어려워 시중에 통용되고 있는 규격화된 덕트연결구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비용이 증대되고, 선택의 폭이 좁아지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덕트연결구의 변형없이 사용할 수 있는 단품화 된 씰링 유니트를 제공하여 해체, 조립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규격화 된 덕트연결구에 단순히 끼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에 그 만큼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덕트 연결용 씰링유니트를 제공함에 그 주된 해결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환기용 덕트와 덕트를 덕트연결구로 연결할 때 연결되는 부분을 씰링하는 덕트 연결용 씰링유니트에 있어서; 외주면은 상기 덕트연결구의 내주면과 접촉되게 덕트연결구에 삽입되고, 내주면은 연결용 덕트의 단부측 외주면과 접촉되게 덕트의 단부가 삽입되며, 일측 단면에는 테두리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된 다수의 끼움돌기를 갖는 메일프레임과; 일측 단면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대응 삽입되는 다수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타측단 외주면에는 상기 덕트연결구의 단부가 끼워지는 연결구삽입홈이 형성된 피메일프레임과; 상기 메일프레임과 피메일프레임 사이에 개재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된 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리브에는 상기 메일프레임과 피메일프레임의 각 대응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을 형성하는 외판이 수직하게 연결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덕트의 삽입 단부 외주면과 밀착되는 핀부가 구비된 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용 씰링유니트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메일프레임은, 상기 끼움돌기가 형성된 쪽 반대측 단부 내주면에 삽입된 덕트의 단부를 잡아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덕트가이드가 더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메일프레임 및 피메일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덕트의 단부 처짐변형시 이를 흡수 완충하는 메일측 탄성홈 및 피메일측 탄성홈이 테두리를 따라 각각 더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메일프레임 및 피메일프레임은 합성수지의 사출성형품이고, 상기 패킹은 고무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덕트연결구와 덕트 사이에 단순 끼움방식으로 끼워 넣기만 해도 씰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립 및 해체 작업이 쉽고, 패킹이 열화될 경우에도 교체작업이 용이하며, 단품화가 가능하여 소비자가 선택 사용할 수 있는 폭이 넓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덕트 연결부의 연결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씰링유니트의 설치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씰링유니트가 설치된 요부를 절개하여 분해한 예시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씰링유니트의 조립과정을 보인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씰링유니트의 적용예를 보인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씰링유니트의 설치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씰링유니트가 설치된 요부를 절개하여 분해한 예시적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씰링유니트의 조립과정을 보인 요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씰링유니트의 적용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씰링유니트는 덕트(100)와 덕트연결구(200) 사이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덕트(100)는 하나의 유로를 가질 수도 있고, 두 개의 유로를 가질 수도 있는 바, 이는 송풍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도시된 예는 두 개의 유로를 갖는 덕트(100)를 보여 준다.
그리고, 상기 덕트연결구(200)는 내부 길이 중앙에 일정폭의 분리벽(210)이 형성되고, 이 분리벽(210)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끼움부(220)가 형성된 구조로 표준화된 상태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씰링유니트는 메일프레임(300)과 피메일프레임(400)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사이에 패킹(500)이 개재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메일프레임(300)은 상기 분리벽(210)과 접촉되는 변(邊), 즉 단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덕트가이드(310)가 형성된다.
상기 덕트가이드(310)는 상기 덕트(100)의 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걸릴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덕트(100)의 단부가 안쪽으로 휨변형되지 못하도록 제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덕트가이드(310)가 형성된 변(邊) 자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덕트(100)의 단부가 접촉되도록 하여 진행을 제한하는 일종의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면 더욱 좋다.
그리고, 상기 덕트가이드(310)가 형성된 쪽 변(邊)에는 테두리를 따라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은 메일측 탄성홈(320)이 형성된다.
상기 메일측 탄성홈(320)은 덕트(100)의 단부가 다소 변형되어 있는 경우라도 삽입시 탄성완충되면서 변형을 충분히 수용하면서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메일측 탄성홈(320)이 형성된 변의 반대쪽 변(邊)에는 테두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끼움돌기(330)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끼움돌기(330)는 상기 패킹(500)의 적소를 관통하여 상기 피메일프레임(40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패킹(500)이 유동되지 않고 항상 정위치된 상태로 긴밀한 씰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종의 고정수단이다.
한편, 피메일프레임(400)의 일측변, 즉 상기 끼움돌기(330)와 대응되는 면에는 상기 끼움돌기(33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4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홈(430, 도 5의 (a)참조)이 형성된 변의 반대쪽 변에는 앞서 설명한 메일측 탄성홈(320)과 대응되는 형태로 피메일측 탄성홈(420)이 형성되며, 그 기능 또한 동일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피메일측 탄성홈(420)이 형성된 피메일프레임(400)의 외테두리에는 연결구삽입홈(440, 도 3 참조)이 형성되며, 이 연결구삽입홈(440)에는 덕트연결구(200)의 단부가 삽입된다.
덧붙여, 상기 메일프레임(300)과 피메일프레임(400)은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도록 하여 일정한 강도를 갖고 외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패킹(500)은 고무로 형성되며, 상기 메일프레임(300)과 피메일프레임(400)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 패킹(500)은 일정폭을 가지며, 그 내주면에는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핀부(Fin Part)(510)가 형성된다.
상기 핀부(510)는 일종의 지느러미 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기 덕트(200)의 단부 삽입시 구부려지면서 덕트(200)의 외주면과 사이의 틈새를 완전히 밀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패킹(500)의 외주면에는 일정폭의 리브(520)가 전 테두리에 걸쳐 일정높이로 돌출되고, 상기 리브(520)에는 그와 수직하게 외판(530)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판(530)과 리브(520)와 패킹(500)의 외주면에 의해 리브(520)를 중심으로 양쪽에 홈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 홈들에는 메일프레임(300)의 끼움돌기(330) 쪽 변과 피메일프레임(400)의 끼움홈(430) 쪽 변이 각각 삽입된다.
아울러, 상기 리브(520)에는 상기 메일프레임(300)에 형성된 끼움돌기(33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구멍(도면번호 생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끼움돌기(330)가 이 구멍을 통과한 후 피메일프레임(400)의 끼움홈(430)에 삽입 체결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씰링유니트는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덕트 연결 부분에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소비자가 선택하지 않을 경우에는 기존처럼 덕트(100)와 덕트연결구(200) 사이의 틈새를 실리콘 등 씰링수단으로 밀봉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는 외관이 불량하고 작업공수가 많이 드는 단점을 감수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씰링유니트는 단지 패킹(500)의 좌우 양측에 메일프레임(300)과 피메일프레임(400)을 끼워 넣는 것만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을 완료할 수 있으며, 조립된 씰링유니트를 단지 덕트연결구(200)의 좌우측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덕트(100)와 덕트연결구(200) 사이를 긴밀하고 간단하게 씰링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소음 발생을 줄이고 공기의 누설이나 외부 이물질의 흡입을 원천 봉쇄하여 보다 쾌적하고 위생적인 공조 환경을 만들 수 있게 된다.
특히,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패킹(500) 열화시 해당 부품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피메일프레임(400)의 끼움홈(430)측 변을 상기 패킹(500)의 좌측 홈(외판과 리브와 패킹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 속으로 끼워 넣는다.
그런 다음, 메일프레임(300)의 끼움돌기(330)를 패킹(500)의 리브(520)에 형성된 구멍(미도시)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밀어 넣게 되면 도 5,6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상기 끼움돌기(330)는 상기 리브(520)를 관통하여 피메일프레임(400)의 끼움홈(430)에 삽입된다.
그러면, 패킹(500)은 상기 메일프레임(300)과 피메일프레임(400)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견고히 고정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본 발명 씰링유니트를 덕트연결구(200)의 일측 끼움부(220)에 밀어 넣게 되면, 메일프레임(340)의 걸림턱(340)이 형성된 변이 상기 덕트연결구(200)의 내부에 형성된 분리벽(210)에 접촉되면서 밀착된다.
이어, 연결하고자 하는 덕트(100)의 일단을 씰링유니트의 피메일프레임(400) 쪽으로 삽입하게 되면, 덕트(100)의 단부는 피메일프레임(400), 패킹(500), 메일프레임(300)을 순차로 지난 후 걸림턱(340)에 걸림과 동시에 덕트가이드(310)에 끼워져 고정되게 된다.
동시에, 상기 덕트(100)의 단부 외주면은 패킹(500)의 내주면에 돌출된 핀부(510)를 진행방향으로 구부리게 되고, 구부려진 핀부(510)는 상기 패킹(500)의 내주면과 덕트(100)의 외주면 사이를 완전히 밀봉하게 된다.
특히, 상기 핀부(510)는 충분히 길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덕트(100)의 외주면이 늘어지더라도 완벽하게 씰링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상기 핀부(510)는 다수개 형성되므로 씰링공간을 길이방향으로 여러층 형성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그 씰링력은 더욱 높아진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실링유니트는 도 6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덕트연결구(200)에 사용되어 이들 연결부에서의 씰링작업을 견실 안정적이면서 간편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씰링 기능도 우수하며, 소비자의 선택의 폭도 넓힐 수 있고, 교체가 용이하며, 단품화가 가능하며 열화된 부분만 부분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 비용 절감도 기대할 수 있다.
100 : 덕트 200 : 덕트연결부
300 : 메일프레임 400 : 피메일프레임
500 : 패킹

Claims (4)

  1. 환기용 덕트와 덕트를 덕트연결구로 연결할 때 연결되는 부분을 씰링하는 덕트 연결용 씰링유니트에 있어서;
    외주면은 상기 덕트연결구의 내주면과 접촉되게 덕트연결구에 삽입되고, 내주면은 연결용 덕트의 단부측 외주면과 접촉되게 덕트의 단부가 삽입되며, 일측 단면에는 테두리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돌출형성된 다수의 끼움돌기를 갖는 메일프레임과;
    일측 단면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대응 삽입되는 다수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타측단 외주면에는 상기 덕트연결구의 단부가 끼워지는 연결구삽입홈이 형성된 피메일프레임과;
    상기 메일프레임과 피메일프레임 사이에 개재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된 리브가 돌출되고, 상기 리브에는 상기 메일프레임과 피메일프레임의 각 대응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을 형성하는 외판이 수직하게 연결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덕트의 삽입 단부 외주면과 밀착되는 핀부가 구비된 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용 씰링유니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일프레임은, 상기 끼움돌기가 형성된 쪽 반대측 단부 내주면에 삽입된 덕트의 단부를 잡아주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덕트가이드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용 씰링유니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일프레임 및 피메일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덕트의 단부 처짐변형시 이를 흡수 완충하는 메일측 탄성홈 및 피메일측 탄성홈이 테두리를 따라 각각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용 씰링유니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일프레임 및 피메일프레임은 합성수지의 사출성형품이고, 상기 패킹은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연결용 씰링유니트.
KR1020100003918A 2010-01-15 2010-01-15 덕트 연결용 씰링유니트 KR20110083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918A KR20110083928A (ko) 2010-01-15 2010-01-15 덕트 연결용 씰링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918A KR20110083928A (ko) 2010-01-15 2010-01-15 덕트 연결용 씰링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928A true KR20110083928A (ko) 2011-07-21

Family

ID=44921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918A KR20110083928A (ko) 2010-01-15 2010-01-15 덕트 연결용 씰링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39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306A (ko) * 2017-11-13 2019-05-22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 조립체
CN110260075A (zh) * 2019-06-04 2019-09-20 厦门佰地建筑设计有限公司 土建风道内装金属风管插接式连接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306A (ko) * 2017-11-13 2019-05-22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체결구를 이용한 덕트 조립체
CN110260075A (zh) * 2019-06-04 2019-09-20 厦门佰地建筑设计有限公司 土建风道内装金属风管插接式连接法
CN110260075B (zh) * 2019-06-04 2020-09-29 厦门佰地建筑设计有限公司 土建风道内装金属风管插接式连接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01766A1 (en) Thermal break air-conditioner tank
JP6586481B2 (ja) 耐流体性及び防塵性の分割グロメット
US7036825B2 (en) Integrally molded lateral compression seal
KR100556213B1 (ko) 환기덕트 연결구 및 연결구조
KR20110083928A (ko) 덕트 연결용 씰링유니트
KR20060122777A (ko) 결합되는 2개의 유체 라인의 동축방향 단부 부분에 대한연결 시스템
KR100877141B1 (ko) 합성수지제 환기용 덕트 연결관
KR101842398B1 (ko) 패킹을 포함하는 덕트 커넥터
KR100861586B1 (ko) 합성수지제 환기용 덕트 연결관
KR100953201B1 (ko) 결로방지용 공기조화기 케이스
US20210389019A1 (en) Air conditioning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KR200451839Y1 (ko) 덕트와 덕트 연결구의 조립구조
KR200464306Y1 (ko) 공조기용 단열패널
JP2009144765A (ja) シールパッキン
KR20160075119A (ko) 복합 창호 프레임
KR20150022128A (ko) 공기조화기
KR100748618B1 (ko) 냉,난방용 체결 시스템에 구비된 연결장치
KR101033852B1 (ko) 덕트 연결구
KR200430565Y1 (ko) 창문의 외기차단장치
CN105352150A (zh) 一种风道与蒸发器的密封结构及空调
KR200328837Y1 (ko) 공조용 필터의 조립구조
CN105422852B (zh) 密封结构及风门组件
JP3221607U (ja) 空調ダクトの接続構造
KR10121153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5176203B2 (ja) クリーンルームのパネル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