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843Y1 -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조립체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843Y1
KR200276843Y1 KR2019990008812U KR19990008812U KR200276843Y1 KR 200276843 Y1 KR200276843 Y1 KR 200276843Y1 KR 2019990008812 U KR2019990008812 U KR 2019990008812U KR 19990008812 U KR19990008812 U KR 19990008812U KR 200276843 Y1 KR200276843 Y1 KR 2002768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ealing sleeve
pipes
assembly
coupl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534U (ko
Inventor
권영조
Original Assignee
정갑철
주식회사 우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갑철, 주식회사 우리 filed Critical 정갑철
Priority to KR2019990008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843Y1/ko
Publication of KR199900405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5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8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843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With Sleev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서 2개의 파이프를 직렬로 연결할 때에 사용하는 커플링 내에 삽입하는 실링 슬리브의 양단 플랜지에 돌출단부를 형성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고무 재질의 실링 슬리브(20)와 이 실링 슬리브(20)의 외주면에 밀착 조립되는 커플링(30)과 이 커플링(3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조여주는 밴드(32)로 구성된 커플링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30)을 사용하여 2개의 파이프(10, 12)를 직렬로 연결할 때, 상기 커플링(30)의 내부에 배치되는 실링 슬리브(20)의 양단 플랜지에는 유동방지용 돌출단부(28)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조립체{COUPLING ASSEMBLY FOR CONNECTING PIPES}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서 2개의 파이프를 직렬로 연결할 때에 사용하는 커플링 내에 삽입하는 실링 슬리브의 양단 플랜지에 돌출단부를 형성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가스 등의 유체를 수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철제 등의 파이프 결합시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커플링 조립체를 사용한다.이때, 상기 커플링 조립체는 고무로 제조된 실링 슬리브(20)와, 상기 슬링 슬리브(20)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조된 커플링(30)과; 상기 커플링(30) 외주면에 배치되어 조여주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밴드(32)로 구성되어 있다.즉, 상기 커플링 조립체를 이용하여 2개의 파이프(10, 12)를 직렬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이들 파이프(10, 12)의 연결부위에 고무로 제조된 실링 슬리브(20)를 배치한 다음, 커플링(30)을 씌워 체결한다.물론, 통상적으로는 커플링(30)이 실링 슬리브(20)의 외주면에 조립된 상태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두개의 파이프 (10,12)사이에 실링 슬리브(20)와 커플링(30)을 함께 끼운 다음 체결하게 된다.이때, 커플링(30)의 외부면 상에는 다수의 밴드(32)가 끼워져 있어 클립(34)에 끼워진 체결볼트(36)를 돌리게 되면, 밴드(32)가 죄어지면서 실링 슬리브(20)가 압착됨으로써, 상기 커플링 조립체로 2개의 파이프(10, 12)를 견고하게 죄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실링 슬리브(20)와 커플링의 체결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로, 실링 슬리브(20)의 외측면(20)에는 커플링(30)이 고정 조립되며, 실링 슬리브(20)의 내부에는 중앙 격벽(24) 및 파이프(10, 12)를 압착하여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다수의 압착돌기(2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조립체에서는 고무 실링 슬리브의 양단 플랜지가 외부면과 동일한 평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커플링와의 조립시에 위치 규제가 상당히 힘들며, 실링 슬리브와 커플링 사이에 유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 처럼 커플링 조립체 내에서 실링 슬리브가 좌우로 움직이는 경우에 파이프를 체결하는데 많은 불편이 따른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고안은 실링 슬리브의 양단 플랜지에 유동을 제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여 커플링 조립체의 조립성을 향상시킨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플링 조립체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종래의 실링 슬리브과 커플링의 체결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커플링 조립체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실링 슬리브와 커플링의 체결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링 슬리브와 커플링의 체결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체결볼트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2:파이프 20:실링 슬리브
28:돌출단부 30:커플링
36:체결볼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2개의 파이프를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고무 재질의 실링 슬리브와 이 실링 슬리브의 외주면에 밀착 조립되는 커플링과 이 커플링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조여주는 밴드로 구성된 커플링 조립체에 있어서, 커플링의 내부에 배치되는 실링 슬리브의 양단 플랜지에는 유동방지용 돌출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조립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 1에서 설명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커플링 조립체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링 슬리브와 커플링의 체결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링 슬리브와 커플링의 체결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체결볼트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2개의 파이프(10, 12)를 직렬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이들 파이프(10, 12)의 연결부위에 고무로 제조된 실링 슬리브(20)를 배치한 다음, 커플링(30)을 씌워 체결한다.이때, 커플링(30)의 외부면 상에는 다수의 밴드(32)가 끼워져 있어 체결볼트(36)를 돌리게 되면, 밴드(32)가 죄어지면서 실링 슬리브(20)가 압착됨으로써, 커플링(30)으로 2개의 파이프(10, 12)를 견고하게 죄게 된다.이러한 구조의 커플링 조립체에 있어서, 실링 슬리브(20)와 커플링(30) 사이에서의 유동을 막아 커플링 조립체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실링 슬리브(20)의 양단 플랜지에 돌출단부(28)를 형성하였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 슬리브(20)의 외측면에는 커플링(30)이 조립 고정되며, 상기 실링 슬리브(20)의 내부에는 중앙 격벽(24) 및 다수의 압착돌기(26)가 형성되어 있는 실링 슬리브(20)의 양단에는 위치 규제용 돌출단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단부(28)는 도 5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반원형 형상으로 외향 돌출되어 있다. 상기 돌출단부(28)의 크기는 커플링(30)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면 된다.그리고, 상기 실링 슬리브(20)내의 중앙 격벽(24)을 중심으로 2개의 파이프(10, 12)가 배치되며, 이들 파이프(10, 12)는 압착돌기(26)에 의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기밀이 유지된다.
도 6은 본 고안에서 채용한 체결볼트(36)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로, 양단(36a, 36b)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나선부(38)의 외경이 점차 커졌다 줄어드는 형태의 크라운부(A)가 형성되어 있어 조립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체결력도 상당히 우수하다.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 상태를 살펴 보도록 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파이프(10,12)를 서로 대고서 커플링(30)이 외주면에 체결 조립된 실링 슬리브(20)를 접촉부분에 설치하도록 하고, 밴드(32)를 커플링(30)의 외부면에 대고서 클립(34)을 고정하고, 체결볼트(36)로 조여주므로 조립하도록 한다.이때, 상기 실링 슬리브(20)의 양측 끝단부에 형성된 돌출단부(28) 사이에서 커플링(30)이 조립됨에 따라 상기 실링 슬리브(20)의 돌출단부(28)에 의하여 커플링(30)과 실링 슬리브(20) 사이의 좌우 유동이 방지됨은 물론 밴드(32)의 위치를 잡기가 쉬우며, 실링 슬리브(20)와 커플링(30)에서 밴드(32)가 정확하게 위치를 잡은 상태에 있으므로 체결볼트(36)로 클립(34)을 조일 때 가압력이 정확하게 실링슬리브(20)를 통하여 파이프(10,12)의 외주면에 가하여져 효과적으로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서 2개의 파이프를 직렬로 연결할 때에 사용하는 커플링 조립체 내에 삽입하는 실링 슬리브의 양단 플랜지에 돌출단부를 형성하여 쉬일드와 실링 슬리브 사이의 좌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커플링 조립체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조립후에도 실링 슬리브의 이동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기밀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1)

  1. 2개의 파이프(10,12)를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고무 재질의 실링 슬리브(20)와 이 실링 슬리브(20)의 외주면에 밀착 조립되는 커플링(30)과 이 커플링(3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조여주는 밴드(32)로 구성된 커플링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30)의 내부에 배치되는 실링 슬리브(20)의 양단 플랜지에는 유동방지용 돌출단부(2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조립체.
KR2019990008812U 1999-05-21 1999-05-21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조립체 KR2002768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812U KR200276843Y1 (ko) 1999-05-21 1999-05-21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812U KR200276843Y1 (ko) 1999-05-21 1999-05-21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534U KR19990040534U (ko) 1999-12-06
KR200276843Y1 true KR200276843Y1 (ko) 2002-05-30

Family

ID=54757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812U KR200276843Y1 (ko) 1999-05-21 1999-05-21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84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354B1 (ko) * 2013-02-19 2014-09-01 이종태 파이프 연결장치
KR200489471Y1 (ko) * 2019-02-09 2019-06-21 김상수 상하수관 보수용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534U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76163A (en) Pipe-clamp assembly
KR100936701B1 (ko) 파이프 커플러
US20050039306A1 (en) Band clamp
US5826920A (en) Conduit coupling
GB2101702A (en) Mounted check valve assembly
CN101285547A (zh) 可扣紧的卡箍
US5104159A (en) Threadless coupling for pipes and an air-tight inner cylinder therefor
US3533650A (en) Pipe clamp for plastic or thin walled pipe
JPH1038160A (ja) 接続コネクタ
US6073977A (en) Device for coupling pipe sections
KR200395248Y1 (ko) 파이프 커플링의 고무밴드 구조
KR200276843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조립체
KR200432862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0395246Y1 (ko) 면접촉부를 갖는 파이프 커플링의 인장봉
KR200191230Y1 (ko) 합성수지 관체의 접속구
KR200257366Y1 (ko) 플랜지와 슬리브형 연결이 가능한 파이프의 연결구조
KR20010088989A (ko) 파이프연결구
KR200269987Y1 (ko) 관 이음 장치
KR970005209B1 (ko) 관 이음쇠
CA1064544A (en) Pipe connection
KR200259849Y1 (ko) 배관이음용 커플링
KR200386198Y1 (ko) 렌지후드 배기구와 후렉시블 호스 접속 연결장치
JP2002340637A (ja) 電磁流量計
JPS5940635Y2 (ja) ホ−スと継手の結合構造
RU2109198C1 (ru) Стык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