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815A -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 동물용 면역 부활제 및 동물용 사료 - Google Patents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 동물용 면역 부활제 및 동물용 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815A
KR20190053815A KR1020187004312A KR20187004312A KR20190053815A KR 20190053815 A KR20190053815 A KR 20190053815A KR 1020187004312 A KR1020187004312 A KR 1020187004312A KR 20187004312 A KR20187004312 A KR 20187004312A KR 20190053815 A KR20190053815 A KR 20190053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mal
molecular weight
polysaccharide
producing
immunostimulat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요시 야노시
시게키 카와카미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마야 인더스트리
황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마야 인더스트리, 황기진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마야 인더스트리
Publication of KR20190053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81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2Spore-forming bacteria, e.g. Bacillus coagulans, Bacillus subtilis, clostridium or Lactobacillus sporoge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4Polysaccharides, i.e.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21/00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y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r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의 면역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 동물용 면역 부활제 및 이 동물용 면역 부활제를 이용한 동물용 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은, 탄소원 및 질소원을 함유하는 배지에 있어서 바실러스·폴리믹사를 25℃ 초과 35℃ 이하에서 배양하는 발효 전기 공정과, 상기 발효 전기 공정에 있어서 얻어진 배양물을 25℃ 이하에서 30일 이상 보존하는 발효 후기 공정과, 상기 발효 후기 공정 후의 배양물에 유기산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바실러스·폴리믹사에 의해 생산된 다당류 및 단백질의 분자량을 조정하는 분자량 조정 공정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 동물용 면역 부활제 및 동물용 사료
[0001] 본 발명은,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 동물용 면역 부활제 및 이러한 동물용 면역 부활제를 이용한 동물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0002] 축산업 및 수산업에 있어서, 매년,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증이 유행, 만연되고 있다. 구체적인 질병으로서는, 돼지의 대장균증이나 살모넬라증, 소의 구제역, 닭의 살모넬라증, 은어의 냉수병(冷水病) 등이 있다.
[0003] 특히 은어의 냉수병에 관해서는, 세균성으로 전염성이 강하여, 양식 은어뿐만 아니라 천연 은어에서도 볼 수 있게 되었다. 냉수병이 발병한 은어는, 체표(體表)의 백탁이 생기는 것 외에, 아가미뚜껑 하부의 출혈이나 체표의 궤양 등의 증상을 볼 수 있다.
[0004] 이러한 감염증을 예방, 치료하기 위하여, 종래부터 항생 물질이 사용되어 왔으나, 축육(畜肉)이나 양식어 등에 있어서의 약제의 잔류로 인한 공중위생상의 문제나, 다제내성균(super bacteria) 출현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또 항생 물질의 장기(長期) 투여에 의해, 그 약제에 내성을 가지는 균이 선택적으로 증가한 특이한 균총(菌叢)이 형성되어, 새로운 질병을 일으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상황 때문에, 항생 물질의 사용이 금지되는 경향이다.
[0005] 항생 물질 투여의 대체 방법으로서, 면역을 부활하는 성분(면역 부활제)을 배합한 동물용 사료를 공급(給餌)함으로써, 동물의 면역을 높이고 질병을 예방하는 방법이 검토된 바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상술한 은어의 냉수병과 같은 전염성이 강한 질병에 대해서는, 종래의 면역 부활제로는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0006] 다른 한편으로, 사육 동물의 비육(肥育)의 촉진 등을 목적으로 하여, 바실러스(Bacillus) 속(屬)에 속하는 미생물인 바실러스·폴리믹사(Bacillus polymyxa)를 배합한 동물용 사료가 검토된 바 있다(특허문헌 2 참조). 바실러스·폴리믹사는, 자당 및 질소원(효모엑기스 등)을 함유하는 배지(培地)에서 배양함으로써, 고분자량의 레반(levan) 및 단백질을 생산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0007]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5-172019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8-253226호
[0008]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바실러스·폴리믹사를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는, 사육 동물의 비육의 촉진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바실러스·폴리믹사와 면역능(免疫能)의 향상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아무런 검토도 되어 있지 않다.
[0009]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동물의 면역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 동물용 면역 부활제 및 이 동물용 면역 부활제를 이용한 동물용 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10] (1) 본 발명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은, 탄소원(炭素源) 및 질소원(窒素源)을 함유하는 배지에 있어서 바실러스·폴리믹사를 25℃ 초과 35℃ 이하에서 배양하는 발효 전기 공정과, 상기 발효 전기 공정에 있어서 얻어진 배양물을 25℃ 이하에서 30일 이상 보존하는 발효 후기 공정과, 상기 발효 후기 공정 후의 배양물에 유기산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바실러스·폴리믹사에 의해 생산된 다당류 및 단백질의 분자량을 조정하는 분자량 조정 공정을 구비한다.
[0011] 상기 (1)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발효 후의 배양물에 유기산을 첨가함으로써, 바실러스·폴리믹사에 의해 생산된 다당류 및 단백질의 고분자쇄가 분단되어, 그 분자량이 적당히 조정되기 때문에, 비교적 저분자량의 다당류와, 펩티드를 함유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가 얻어진다. 이 비교적 저분자량의 다당류와 펩티드를 함유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는, 동물의 면역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그 이유는 확실하지 않지만, 비교적 저분자량의 다당류와 펩티드가 동물의 장내 플로라(intestinal flora)를 개선하는 동시에, NK(Natural Killer) 세포를 활성화 시키기 때문에, 감염을 막을 수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상기 「다당류」는, 단당(單糖) 분자가 3개 이상 중합된 당류를 가리킨다.
[0012] (2) 상기 (1)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의 분자량 조정 공정에 있어서, 상기 배양물에 유기산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배양물의 pH를 5.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동물의 면역능을 보다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분자량의 다당류 및 펩티드를 함유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가 얻어진다.
[0013] (3) 상기 (1) 또는 (2)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지가, 비타민, 미네랄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발효를 촉진시킬 수가 있다.
[0014] (4) 상기 (1)~(3)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자량 조정 공정 후의 배양물이 분자량 1000 이하의 저분자 다당류를 함유하며, 상기 배양물 중의 다당류 전량에 대한 상기 저분자 다당류의 함유량이 8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동물의 면역능을 보다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분자량 분포를 가지는 다당류를 함유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가 얻어진다.
[0015] (5) 상기 (4)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의 분자량 조정 공정 후에 있어서, 상기 배양물 중의 다당류 전량에 대한 상기 저분자 다당류의 함유량이 99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동물의 면역능을 더욱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분자량 분포를 가지는 다당류를 함유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가 얻어진다.
[0016] (6) 상기 (4) 또는 (5)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 다당류가 분자량 1000 이하의 레반(이하, 「올리고레반」이라고도 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동물의 면역능을 더욱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다당류를 함유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가 얻어진다.
[0017] (7) 상기 (1)~(6)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이 구연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연산은 안전성이 높은 데다가, 배양물의 pH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다당류 및 단백질의 분자량 조정이 용이해진다.
[0018] (8) 상기 (1)~(7)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의 발효 후기 공정에 있어서, 상기 배양물의 보존 기간이 100일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조 비용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0019] (9) 상기 (1)~(8)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의 발효 후기 공정에 있어서, 상기 배양물을 6℃ 이상에서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발효 후기 공정에 있어서 다당류 및 단백질의 분자량이 적당히 조정되기 때문에, 유기산 첨가에 의한 분자량 조정이 용이해진다.
[0020] (10) 상기 (1)~(9)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탄소원이 당질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바실러스·폴리믹사에 의한 다당류의 생산을 촉진시킬 수가 있다.
[0021] (11) 상기 (10)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당질이 이당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바실러스·폴리믹사에 의한 다당류의 생산을 보다 촉진시킬 수가 있다.
[0022] (12) 상기 (11)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당류가 자당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바실러스·폴리믹사에 의한 다당류(레반)의 생산을 더욱 촉진시킬 수가 있다.
[0023] (13) 상기 (1)~(12)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질소원이 효모 엑기스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바실러스·폴리믹사에 의한 단백질의 생산을 촉진시킬 수가 있다.
[0024] (14) 본 발명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는, 다당류 및 펩티드를 함유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이며, 상기 다당류로서 분자량 1000 이하의 저분자 다당류를 함유하고, 상기 다당류 전량에 대한 상기 저분자 다당류의 함유량이 80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5] 상기 (14)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에 의하면, 동물의 면역능을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분자량 분포를 가지는 다당류와, 펩티드를 함유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를 제공할 수가 있다.
[0026] (15) 상기 (14)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 전량에 대한 상기 저분자 다당류의 함유량이 99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동물의 면역능을 더욱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분자량 분포를 가지는 다당류를 함유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를 제공할 수가 있다.
[0027] (16) 상기 (14) 또는 (15)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 100질량부에 대한 상기 펩티드의 함유량이 1질량부 이상 2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동물의 면역능을 더욱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비율로 다당류 및 펩티드를 함유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를 제공할 수가 있다.
[0028] (17) 상기 (14)~(16)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 다당류가 분자량 1000 이하의 레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동물의 면역능을 보다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다당류를 함유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를 제공할 수가 있다.
[0029] (18) 상기 (14)~(17)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는, 어패류용의 면역 부활제여도 된다.
[0030] (19) 상기 (18)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는, 은어, 다랑어류, 연어류, 장어류, 복어류, 방어, 잿방어, 참돔 또는 이들의 조합에 적용하는 면역 부활제여도 된다.
[0031] (20) 본 발명의 동물용 사료는, 상기 (14)~(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동물용 면역 부활제를 함유하는 동물용 사료이다.
[0032] 상기 (20)의 동물용 사료에 의하면, 동물의 면역능을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분자량 분포를 가지는 다당류와, 펩티드를 함유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가 배합되어 있기 때문에, 동물의 면역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0033] 본 발명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동물의 면역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를 제조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 및 동물용 사료에 의하면, 동물의 면역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0034]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0035]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
본 실시형태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은, 탄소원 및 질소원을 함유하는 배지에 있어서 바실러스·폴리믹사를 25℃ 초과 35℃ 이하에서 배양하는 발효 전기(前期) 공정과, 상기 발효 전기 공정에 있어서 얻어진 배양물을 25℃ 이하에서 30일 이상 보존하는 발효 후기(後期) 공정과, 상기 발효 후기 공정 후의 배양물에 유기산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바실러스·폴리믹사에 의해 생산된 다당류 및 단백질의 분자량을 조정하는 분자량 조정 공정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발효 후의 배양물에 유기산을 첨가함으로써, 바실러스·폴리믹사에 의해 생산된 다당류 및 단백질의 분자량이 적당히 조정되어, 비교적 저분자량의 다당류와, 펩티드를 함유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가 얻어진다. 이 비교적 저분자량의 다당류와 펩티드를 함유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는, 동물의 면역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기술한다.
[0036] [발효 전기 공정]
발효 전기 공정은, 탄소원 및 질소원을 함유하는 배지에 있어서 바실러스·폴리믹사를 25℃ 초과 35℃ 이하에서 배양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에 있어서 바실러스·폴리믹사는, 고분자량의 다당류와, 단백질을 생산한다.
[0037] (배지)
본 공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배지는 탄소원 및 질소원을 함유한다. 탄소원으로서는, 바실러스·폴리믹사에 의한 다당류의 생산을 촉진시키는 관점에서 당질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나, 자당, 유당, 맥아당 등의 이당류, 혹은 전분, 올리고당, 글리코겐 등의 다당류 등을 들 수 있다. 당질 중에서는, 이당류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자당을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공정에 있어서 탄소원으로서 자당을 이용하면, 바실러스·폴리믹사에 의해 레반이 생산된다.
[0038] 상기 질소원으로서는, 바실러스·폴리믹사에 의해 생산되는 단백질의 질소원이 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효모 엑기스, 펩톤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실러스·폴리믹사에 의한 단백질의 생산을 촉진시키는 관점에서 효모 엑기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39] 배지는, 예컨대 상술한 탄소원 및 질소원을 정제수에 첨가한 후, 살균함으로써 조제된다. 배지 중의 탄소원의 함유량은, 예컨대 1질량% 이상 20질량% 이하 정도이다. 또, 배지 중의 질소원의 함유량은, 예컨대 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 정도이다.
[0040] 또, 본 공정에 있어서의 배지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정도로 다른 성분을 첨가할 수 있다. 예컨대, 다른 성분으로서, 비타민, 미네랄 또는 이들의 조합을 첨가하면, 발효를 촉진시킬 수가 있다. 비타민을 첨가할 경우, 배지 중의 비타민의 함유량은, 예컨대 0.1질량% 이상 5질량% 이하 정도이다. 또, 미네랄을 첨가할 경우, 배지 중의 미네랄의 함유량은, 예컨대 0.01질량% 이상 1질량% 이하 정도이다.
[0041] (발효 조건)
본 공정에서는, 25℃ 초과 35℃ 이하의 온도에서 바실러스·폴리믹사를 배양한다. 온도 조건으로서는, 발효를 촉진시키는 관점에서 27℃ 이상 32℃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공정에 있어서의 발효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1주간 이상 100일 이하 정도이다.
[0042] [발효 후기 공정]
발효 후기 공정은, 상술한 발효 전기 공정에 있어서 얻어진 배양물을 25℃ 이하에서 30일 이상 보존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에서는, 상술한 발효 전기 공정에 있어서 바실러스·폴리믹사에 의해 생산된 다당류 및 단백질의 분자량이 적당히 조정된다.
[0043] (발효 조건)
발효 후기 공정에서는, 배양물을 25℃ 이하에서 30일 이상 보존한다. 온도 조건으로서는, 후술하는 분자량 조정 공정에 있어서 다당류 및 단백질의 분자량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6℃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2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본 공정에 있어서의 발효 시간(보존 기간)으로서는, 제조 비용 저감의 관점에서 100일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공정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정도로 효소 제제 등을 배지에 무균적(無菌的)으로 첨가할 수도 있다.
[0044] [분자량 조정 공정]
분자량 조정 공정은, 상술한 발효 후기 공정 후의 배양물에 유기산을 첨가함으로써, 바실러스·폴리믹사에 의해 생산된 다당류 및 단백질의 분자량을 적당히 조정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에서는, 배양물의 오염 방지의 관점에서, 살균한 유기산을 배양물에 무균적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45] (유기산)
본 공정에서 사용되는 유기산으로서는, 예컨대 초산, 사과산, 구연산 등을 들 수 있으며, 구연산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연산은 안전성이 높은 데다가, 배양물의 pH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다당류 및 단백질의 분자량 조정이 용이해진다.
[0046] (배양물의 pH)
본 공정에 있어서 배양물에 유기산을 첨가함으로써, 배양물의 pH를 5.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양물의 pH를 5.0 이하로 함으로써, 동물의 면역능을 보다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분자량의 다당류 및 펩티드를 함유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가 얻어진다.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본 공정 후의 배양물의 pH의 하한(下限)으로서는 4.0이 바람직하다.
[0047] [그 밖의 공정]
본 실시형태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공정 이외에, 고액(固液) 분리 공정 등의 다른 공정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고액 분리 공정으로서는, 예컨대 분자량 조정 공정 후의 배양물을 15℃ 이하로 냉각한 후, 여과하는 공정을 들 수 있다.
[0048] [배양물(동물용 면역 부활제)]
상술한 각 공정을 거쳐, 비교적 저분자량의 다당류와, 펩티드를 함유하는 배양물(동물용 면역 부활제)이 얻어진다. 이 비교적 저분자량의 다당류와 펩티드를 함유하는 배양물은, 동물의 면역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0049] (다당류)
다당류로서는, 배지의 탄소원 등에 따라 다르지만, 예컨대 자당을 탄소원으로 한 경우에는 저분자량의 레반이 얻어진다. 다당류의 분자량 분포에 대해서는, 배양물 중의 다당류 전량에 대한 분자량 1000 이하의 저분자 다당류(이하, 단순히 「저분자 다당류」라고도 함)의 함유량이 8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동물의 면역능을 보다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분자량 분포를 가지는 다당류를 함유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로 할 수가 있다.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다당류 전량에 대한 저분자 다당류의 함유량이 99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다당류의 분자량 분포는, 상기 분자량 조정 공정에 있어서 첨가하는 유기산의 종류나 첨가량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0050] (펩티드)
펩티드는, 바실러스·폴리믹사에 의해 생산된 단백질의 고분자쇄가 상기 분자량 조정 공정 등에 있어서 분단되어 얻어진다. 펩티드의 분자량 분포에 대해서도, 상기 다당류와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배양물 중의 펩티드 전량에 대한 분자량 1000 이하의 펩티드의 함유량이 8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펩티드 전량에 대한 분자량 1000 이하의 펩티드의 함유량이 99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펩티드의 분자량 분포에 대해서도, 상기 분자량 조정 공정에 있어서 첨가하는 유기산의 종류나 첨가량 등에 의해 제어할 수가 있다.
[0051] (다당류와 펩티드의 비율)
배양물(동물용 면역 부활제) 중의 다당류와 펩티드 간의 비율에 대해서는, 동물의 면역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다당류 100질량부에 대한 펩티드의 함유량이 1질량부 이상 2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질량부 이상 10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당류와 펩티드 간의 비율은, 예컨대 배지 중의 탄소원과 질소원 간의 비율 등을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0052] (그 밖의 성분)
배양물(동물용 면역 부활제)에는, 상술한 성분 이외에, 예컨대 바실러스·폴리믹사의 잔사(殘渣)나, 배지에 포함되는 성분, 혹은 발효 후기 공정, 분자량 조정 공정 등에서 필요에 따라서 첨가한 성분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0053] <동물용 면역 부활제>
다음으로, 본 발명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는, 다당류 및 펩티드를 함유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이며, 다당류로서 분자량 1000 이하의 저분자 다당류를 함유하고, 다당류 전량에 대한 상기 저분자 다당류의 함유량이 80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에 의하면, 동물의 면역능을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분자량 분포를 가지는 다당류와, 펩티드를 함유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를 제공할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는, 상술한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적합한 배양물(동물용 면역 부활제)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0054] 본 실시형태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가 적용되는 동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어패류에 적용하면, 면역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보다 발휘시킬 수가 있다. 어패류로서는, 은어, 다랑어류, 연어류, 장어류, 복어류, 방어, 잿방어, 참돔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복수 종(種)을 조합한 어패류에 적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은어의 냉수병의 발생 방지에 효과적이다.
[0055] <동물용 사료>
다음으로, 본 발명의 동물용 사료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동물용 사료는, 상술한 실시형태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가 배합된 동물용 사료이다. 본 실시형태의 동물용 사료에 의하면, 동물의 면역능을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분자량 분포를 가지는 다당류와, 펩티드를 함유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가 배합되어 있기 때문에, 동물의 면역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동물용 사료로 이용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는, 상술한 실시형태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와 같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0056] 본 실시형태의 동물용 사료는, 상기 동물용 면역 부활제를 임의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는데, 사료 총질량에 대하여 건조질량으로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상 3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질량% 이상 20질량% 이하의 상기 동물용 면역 부활제를 함유한다. 예컨대 상기 적절한 양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를 사료 원료와 혼합하여, 동물용 사료를 제조할 수가 있다.
(실시예)
[0057]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0058] 은어의 냉수병의 예방 효과에 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 검토하였다.
[0059] <면역 부활제(1)의 조제>
정제수에, 탄소원(자당 5질량%, 포도당 1질량% 및α-전분 1질량%)과, 질소원(효모 엑기스 0.5질량%)과, 비타민(야채 추출 엑기스 3질량%)과, 미네랄(비장탄 숯재(備長炭灰; Binchotan charcoal ash) 추출 미네랄 0.02질량% 및 인산염 0.02질량%)을 배합한 후, 120℃에서 15분간 살균하고, 냉각하여 배지를 조제하였다. 이 배지에 훈양(訓養)한 바실러스·폴리믹사를 식균(植菌)하여, 30℃에서 60일간 배양하고(발효 전기 공정), 그 후, 20℃~25℃의 실온에서 90일간 보존하였다(발효 후기 공정). 이어서, 살균한 50질량% 구연산 수용액을 배양물에 무균적으로 첨가함으로써 배양물의 pH를 4.5로 한 후(분자량 조정 공정), 15℃ 이하로 냉각하고 여과하여(고액(固液) 분리 공정), 얻어진 여과액을 후술하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하는 면역 부활제(1)로 하였다. 얻어진 면역 부활제(1)에 대해 공지된 방법으로 조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레반의 함유량은 7.8g/100mL이며, 펩티드의 함유량은 0.3g/100mL였다. 따라서, 면역 부활제(1)는, 레반 100질량부에 대해 펩티드를 3.8질량부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0060] <면역 부활제(2)의 조제>
상기 면역 부활제(1)의 조제에 있어서 분자량 조정 공정을 실시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같은 순서로 후술하는 비교예 1에서 사용하는 면역 부활제(2)를 조제하였다. 또한, 얻어진 면역 부활제(2)에 대하여, 면역 부활제(1)와 마찬가지로 조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레반 100질량부에 대해 단백질 및 펩티드를 합계 3.8질량부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0061] <면역 부활제 중의 레반의 분자량 분포>
상기 면역 부활제(1) 및 면역 부활제(2)에 포함되는 레반의 분자량 분포는,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0062] [표준 용액의 조제]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분자량 표준품을 물, 아세토니트릴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의 혼합액(용량비로 55:45:0.1)에 용해시켜 0.05~0.1 W/V%의 표준 용액을 조제하였다.
[0063] [표 1]
Figure pct00001
[0064] [시험 용액의 조제]
각 면역 부활제 0.2g을 채취하고, 물, 아세토니트릴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의 혼합액(용량비로 55:45:0.1) 10mL을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25℃에서 하룻밤 방치한 후, 구멍 지름 0.45㎛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얻어진 용액을 시험 용액으로 하였다.
[0065] [분자량 분포의 측정]
상술한 표준 용액 및 시험 용액에 대하여, 하기에 나타내는 고속 액체 크로마토 그래프 조작 조건으로 측정하여, 얻어진 결과를 시마즈제작소(SHIMADZU CORPORATION)의 「CLASS-VP용 GPC 옵션 소프트웨어」에 의해 해석하였다. 또한, 각 피크의 분자량의 추정은, 분자량 표준품의 용출(溶出)시간 및 분자량을 바탕으로 작성한 검량선(檢量線)을 이용해 수행하였다.
[0066] (고속 액체 크로마토 그래프 조작 조건)
기종:쇼와덴코(SHOWA DENKO K.K.)의 「Shodex GPC-101」
검출기:쇼와덴코의 자외(紫外) 분광 광도계 「UV-41」
컬럼:토소(TOSOH CORPORATION)의 「TSKgel G2500PWXL(φ7.8㎜×300㎜)」
컬럼 온도:40℃
이동상(移動相):물, 아세토니트릴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의 혼합액(용량비로 55:45:0.1)
액량:0.5mL/분
측정 파장:220㎚
측정 레인지:0.032 AUFS
주입량:20㎕
[0067] <은어용 사료의 조제>
시판 사료(일본배합사료사(Nippon Formula Feed Manufacturing Co., Ltd.)의 「EP-2C」) 100질량부에 대해서, 상술한 면역 부활제(1) 및 면역 부활제(2)를 각각 10질량부 혼합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은어용 사료를 조제하였다. 또, 면역 부활제를 혼합하지 않은 은어용 사료(일본배합사료사의 「EP-2C」)를 비교예 2의 은어용 사료로서 이용하였다. 이들 사료는 4℃에서 냉장 보존하였다.
[0068] <시험구(試驗區)의 설정>
시험에 이용하는 은어(치어기(稚魚期))의 사육은, 옥외에서, 콘크리트제의 2t 수조(2m×3m×0.35m)에 지하수(20℃)를 1일 4회 환수(換水)되도록 물을 주입하여 실시하였다. 이 수조를 제1 시험구, 제2 시험구 및 제3 시험구의 3개의 시험구로 구분하고, 각 시험구에 냉수병에 감염되지 않은 은어(치어기)를 100마리씩 도입하였다. 또한, 이때, 통계 분석에 의해 각 시험구의 사이에서 체중에 있어서의 의미있는(有意) 차이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0069] <은어에 대한 사료 공급방법>
상술한 은어용 사료를 각 시험구에 공급하는 방법으로서는, 야마하사(YAMAHA)의 자동 급이기(給餌機) 「YDF-160SO」를 이용해, 타이머를 사용하여 1일 3회(9시, 13시, 17시), 눈으로 보고 관찰하면서 배가 부를 때까지(滿腹) 먹이는 방법(포식 섭이)을 채용하였다. 이때, 제1 시험구에는 실시예 1의 은어용 사료, 제2 시험구에는 비교예 1의 은어용 사료, 제3 시험구에는 비교예 2의 은어용 사료를 각각 공급하였다. 이 사료 공급 방법에 의해 60일간 사육하였다.
[0070] <냉수병의 확인 방법>
60일간의 사육기간 중, 은어의 체표(體表)에 백탁이 생긴 것을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었을 경우, 해당 은어가 냉수병에 감염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와 같이 각 시험구에 있어서 눈으로 보고 확인하여, 사육기간 중에 냉수병에 감염된 은어의 개체 수를 계측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표 2에 있어서, 레반 전량(全量)에 대한 올리고 레반(분자량 1000 이하의 레반)의 함유량은, 레반과 펩티드(또는 단백질) 간의 비율, 및 상술한 분자량 분포의 측정 결과로부터 산출한 것이다.
[0071] [표 2]
Figure pct00002
[007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자량 조정 공정을 행함으로써 레반 전량에 대한 올리고레반의 함유량을 적절한 범위로 한 실시예 1에 대해서는, 냉수병에 감염된 은어는 볼 수 없었다. 한편, 분자량 조정 공정을 실시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대해서는, 올리고레반의 함유량이 적기 때문에, 8마리의 은어가 냉수병에 감염되었다. 또, 면역 부활제를 혼합하지 않은 비교예 2에 대해서는, 27마리의 은어가 냉수병에 감염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면, 동물의 면역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0073] 본 발명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은, 예컨대 축산업, 수산업 등에 있어서, 사육하는 동물의 면역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으로서 적합하다. 또, 본 발명의 동물용 면역 부활제 및 동물용 사료는, 예컨대 축산업, 수산업 등에 있어서, 사육하는 동물의 면역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료에 적합하다.

Claims (20)

  1. 탄소원(炭素源) 및 질소원(窒素源)을 함유하는 배지(培地)에 있어서 바실러스·폴리믹사(Bacillus polymyxa)를 25℃ 초과 35℃ 이하에서 배양하는 발효 전기(前期) 공정과,
    상기 발효 전기 공정에 있어서 얻어진 배양물을 25℃ 이하에서 30일 이상 보존하는 발효 후기(後期) 공정과,
    상기 발효 후기 공정 후의 배양물에 유기산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바실러스·폴리믹사에 의해 생산된 다당류 및 단백질의 분자량을 조정하는 분자량 조정 공정
    을 구비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량 조정 공정에 있어서, 상기 배양물에 유기산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배양물의 pH를 5.0 이하로 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가, 비타민, 미네랄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함유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량 조정 공정 후의 배양물이 분자량 1000 이하의 저분자 다당류를 함유하며,
    상기 배양물 중의 다당류 전량(全量)에 대한 상기 저분자 다당류의 함유량이 80질량% 이상인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량 조정 공정 후에 있어서, 상기 배양물 중의 다당류 전량에 대한 상기 저분자 다당류의 함유량이 99질량% 이하인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 다당류가 분자량 1000 이하의 레반(Levan)인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이 구연산인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후기 공정에 있어서, 상기 배양물의 보존 기간이 100일 이하인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후기 공정에 있어서, 상기 배양물을 6℃ 이상에서 보존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원이 당질을 함유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당질이 이당류인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당류가 자당인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원이 효모 엑기스를 함유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
  14. 다당류 및 펩티드를 함유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로서,
    상기 다당류로서 분자량 1000 이하의 저분자 다당류를 함유하고,
    상기 다당류 전량에 대한 상기 저분자 다당류의 함유량이 80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면역 부활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 전량에 대한 상기 저분자 다당류의 함유량이 99질량% 이하인
    동물용 면역 부활제.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 100질량부에 대한 상기 펩티드의 함유량이 1질량부 이상 20질량부 이하인
    동물용 면역 부활제.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 다당류가 분자량 1000 이하의 레반인
    동물용 면역 부활제.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패류용의 면역 부활제인
    동물용 면역 부활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어패류가, 은어, 다랑어류, 연어류, 장어류, 복어류, 방어, 잿방어, 참돔 또는 이들의 조합인
    동물용 면역 부활제.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동물용 면역 부활제가 배합된 동물용 사료.
KR1020187004312A 2016-09-12 2016-09-12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 동물용 면역 부활제 및 동물용 사료 KR201900538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76798 WO2018047338A1 (ja) 2016-09-12 2016-09-12 動物用免疫賦活剤の製造方法、動物用免疫賦活剤及び動物用飼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815A true KR20190053815A (ko) 2019-05-20

Family

ID=61562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312A KR20190053815A (ko) 2016-09-12 2016-09-12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 동물용 면역 부활제 및 동물용 사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90053815A (ko)
TW (1) TW201823468A (ko)
WO (1) WO20180473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5891A1 (ko) * 2022-10-07 2024-04-1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배려이노베이션 신규 산화질소 공여전달체 및 그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25692A (zh) * 2020-12-28 2021-03-02 苏州科宁多元醇有限公司 左聚糖作为饲料添加剂的应用
CN113729109B (zh) * 2021-07-20 2023-04-28 华南农业大学 一种富含抗菌物质的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3226A (ja) 2007-04-09 2008-10-23 Shigeru Nakano 動物用飼料
JP2015172019A (ja) 2014-03-12 2015-10-01 株式会社鎌田工業 魚介類用の免疫賦活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2534B2 (ja) * 1997-11-27 2008-02-27 コーア株式会社 魚介類用薬剤及び飼料
KR100440357B1 (ko) * 2001-10-25 2004-07-15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세포증식 및 피부 보습에 의한 탄력 증강 효능을 갖는레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JP2006298783A (ja) * 2005-04-18 2006-11-02 Nisshin Sugar Mfg Co Ltd 免疫賦活組成物
JP2011024453A (ja) * 2009-07-23 2011-02-10 Mitsubishi Rayon Co Ltd 多糖類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3226A (ja) 2007-04-09 2008-10-23 Shigeru Nakano 動物用飼料
JP2015172019A (ja) 2014-03-12 2015-10-01 株式会社鎌田工業 魚介類用の免疫賦活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5891A1 (ko) * 2022-10-07 2024-04-1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배려이노베이션 신규 산화질소 공여전달체 및 그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23468A (zh) 2018-07-01
WO2018047338A1 (ja)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8643B2 (ja) 感染予防治療剤、抗エンドトキシン剤、ワクチンアジュバント剤および成長促進剤
ES2333259T3 (es) Composiciones destinadas a mejorar la salud intestinal y el rendimiento en animales que comprenden beta-glucanos y alfa-fucanos.
Choi et al. Effects of Ecklonia cava as fucoidan-rich algae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intestinal morphology and caecal microflora in weanling pigs
JP2009051836A (ja) 治療剤
JP2015142566A (ja) 養魚用飼料
Walsh et al. The effect of chitooligosaccharide supplementation on intestinal morphology, selected microbial populations, volatile fatty acid concentrations and immune gene expression in the weaned pig
KR20190053815A (ko) 동물용 면역 부활제의 제조방법, 동물용 면역 부활제 및 동물용 사료
JP4901950B2 (ja) 2,5−ピペラジンジオン,3,6−ビス(フェニルメチル)−,(3s,6s)−を含有する酸性飲食品
KR101802245B1 (ko) 갯지렁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및 이의 용도
KR101836365B1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32를 첨가한 김치 양념소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20220070799A (ko) 버섯 유래 키토산을 이용한 가축 및 반려동물용 음수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05322B1 (ko) 유산균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101765574B1 (ko) 양어 사료 조성물
EP3713427A1 (en) Endoglucanase-treated glucans
Ali et al. Enhancing growth performance and feed utilization using prebiotics in commercial diets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fingerlings
KR20190076979A (ko) 사료 및 그 제조 방법
JP2022153109A (ja) 静菌用組成物
EP1133991A1 (en) Bacteriostatic compositions for salmonellae
KR20200058353A (ko) 왕귀뚜라미 추출물의 헥센 분획물 또는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Genc et al. The effects of different salinity and supplemented mannan oligosaccharides (MOS) on growth of Litopenaeus varmamei (Penaeus: Decapoda)
KR101623318B1 (ko) 이질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헥산디올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JP4422404B2 (ja) 感染予防・治療剤および食品
KR102444748B1 (ko)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건강 개선용 조성물
KR20130085706A (ko) 가축의 세균성 소화기질병 예방, 치료용 항생제 대체 사료첨가제
EP4342477A1 (en) Immunostimulator and glucan composition production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