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748B1 -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건강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건강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748B1
KR102444748B1 KR1020200035991A KR20200035991A KR102444748B1 KR 102444748 B1 KR102444748 B1 KR 102444748B1 KR 1020200035991 A KR1020200035991 A KR 1020200035991A KR 20200035991 A KR20200035991 A KR 20200035991A KR 102444748 B1 KR102444748 B1 KR 102444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acid
intestinal
mak
pi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0151A (ko
KR102444748B9 (ko
Inventor
함경식
강성국
영 오
박경희
샬마 디비야
타쯔야 운노
서홍석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35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748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748B1/ko
Publication of KR102444748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748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40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8Molluscs, e.g. fresh-water molluscs, oysters, clams, squids, octopus, cuttlefish, snails or s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4Membrane proce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자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건강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장내 염증반응 및 점액층 분비 세포의 손상을 줄여주고, 장내 점질층 두께를 일정한 두께로 유지시켜 줄 뿐만 아니라 장내 유익균의 증식 및 장내 단쇄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건강 개선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improving intestinal health comprising cockles powder or cockles liquid}
본 발명은 장내 염증반응 및 점액층 분비 세포의 손상을 줄여주고, 장내 점질층 두께를 일정한 두께로 유지시켜 줄 뿐만 아니라 장내 유익균의 증식 및 장내 단쇄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건강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에 따라 건강의 유지 및 증진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사회적 트렌드로 형성되어 건강에 도움이 되는 식품은 더욱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특히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건강문제 중 장 건강에 관한 관심도가 매우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노화가 진행되면서 면역기능의 감퇴, 영양상태의 변화에 따라 장내미생물의 조성을 변화시키게 되며, 노화로 인하여 장의 적응력 감퇴가 발생되면서 고령자의 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좋은 식품의 섭취는 매우 중요하다.
또한 서구화된 식생활과 부적절한 식습관으로 인한 염증성 장 질환 및 과민성 대장증후군 등 장 질환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당뇨병, 알츠하이머병 등 많은 대사질환도 궁극적으로 장건강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어 장 건강과 성인병과의 연관성이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 퇴행성 뇌질환(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의 원인이 장 건강의 문제 때문일 수 있다는 논문이 발표되고 대사질환 등 우리 몸의 모든 건강에 장 건강이 관여한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한편, 꼬막은 돌조개목(Arcoida), 돌조개과(Arcidae)에 속하는 조개류로 참꼬막(Tegillarca granosa), 새꼬막(Scapharca subcrenata), 피꼬막(Scapharca broughtonii) 등으로 분류되며, 국내에서는 보성 및 여수 등 전남에서 대량 양식되고 있고 이중 참꼬막은 생산량이 적어 대부분 새꼬막과 피꼬막이 주로 소비되고 있다.
꼬막류는 타 조개류(전복, 굴, 홍합 등)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높고 유리 아미노산이 풍부하며 필수아미노산이 균형있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특히, 타우린과 베타인 및 각종 미네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영양적 가치가 우수하다.
특히 꼬막에 함유되어 있는 타우린은 최근 Amino Acid(2016)에 발표된 논문에 의하면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대사산물인 단쇄 지방산 함량 및 장내 유익균 조성을 증가시키고, 베타인은 간 기능 보호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물질로서, Nutrients(2018)에 장내 소화효소를 강화시키고 장내 유익균을 조성함으로써 장 건강에 도움을 준다고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팀의 선행연구에서는 꼬막이 노화 유도 동물 모델에서 알츠하이머병 예방효과가 있음을 밝힌 바 있다. 따라서 꼬막의 퇴행성 뇌질환 예방효과와 더불어 장 건강과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능성 검증 결과를 통하여 꼬막 홍보 및 꼬막 양식 어가의 부가 가치 창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꼬막을 가공할 때 생성되는 가공 부산물 중 부산물 용액의 경우에는 유리아미노산, 유가산 및 핵산 관련 물질 등과 같은 용출성 영양 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순 조미액 등으로 소비되거나 폐기되고 있어 부가가치가 높은 가공제품으로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꼬막 가식부 가공을 위해 부산물로 나오는 꼬막 부산물 용액을 재활용하고 가공효율을 높이고자 꼬막과 더불어 꼬막 부산물 용액의 장 건강 개선 대한 기능성 검증을 실시하여 다양한 각도로 꼬막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시도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1441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9-008687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장내 염증반응 및 점액층 분비 세포의 손상을 줄여주고, 장내 점질층 두께를 일정한 두께로 유지시켜 줄 뿐만 아니라 장내 유익균의 증식 및 장내 단쇄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건강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염증성 장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건강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염증성 장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동물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건강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장건강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또는 장내 유익균 증식 촉진용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다.
상기 꼬막은 참꼬막(Tegillarca granosa), 새꼬막(Scapharca subcrenata) 및 피꼬막(Scapharca broughtonii)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꼬막 분말은 (A) 꼬막을 증숙시키는 단계; (B) 상기 증숙된 꼬막에서 가식부를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가식부를 열풍건조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열풍건조된 가식부를 입자크기가 1 내지 5 ㎛가 되도록 분말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증숙은 100 내지 150 ℃에서 5 내지 2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C)단계에서 열풍건조는 35 내지 55 ℃에서 1 내지 5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꼬막 증숙액은 (a) 꼬막을 증숙시키는 단계; (b) 상기 증숙 시 발생한 부산물 용액을 수득한 후 1차 여과하는 단계; (c) 상기 1차 여과된 부산물 용액을 농축시키는 단계; (d) 상기 농축된 농축액을 2차 여과시키는 단계; (e) 상기 2차 여과된 농축액을 방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증숙은 100 내지 150 ℃에서 40 내지 100초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b) 및 (d)단계에서 여과는 100 내지 300 mesh의 여과망을 통해 여과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농축은 80 내지 120 ℃에서 4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e)단계에서 2차 여과된 농축액은 3 내지 8 ℃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상기 꼬막 증숙액의 고형분 함량은 1 내지 5 %(w/v)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염증성 장질환은 궤양성 대장염 또는 크론병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건강 개선용 사료 조성물은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은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장내 염증반응 및 점액층 분비 세포의 손상을 줄여주고, 점질층 두께가 얇아지는 현상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장내 단쇄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장내 유익균의 증식 촉진 및 유해균 증식을 억제하여 장내 균총을 개선함으로써 장 건강 또는 장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평상시 음식 섭취 시 자연스럽게 섭취가능하며, 조미료나 소스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실생활에서 더욱 규칙적으로 섭취할 수 있어, 꼬막 분말 및 꼬막 증숙액의 유효성분의 섭취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A는 정상군, 대조군,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의 대장 조직에서 산화스트레스 관련 인자인 지질과산화물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B는 정상군, 대조군,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의 대장 조직에서 단백질 산화물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정상군, 대조군,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의 대장 조직에서 염증 관련 인자인 TNF-α(A), NF-kB p65(B), IL-1β(C), IL-6(D) 발현을 나타낸 웨스턴 블럿 및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정상군, 대조군,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의 분변에서 장내 균총에 의한 단쇄지방산(SCFA)의 생성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A는 정상군, 대조군,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의 대장을 H&E염색법으로 염색하여 대장의 음와샘(crypt gland), 배상세포 등을 형태학적으로 분석한 것이며, 도 4B는 도 4A에서 측정한 대장의 배상세포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정상군, 대조군,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의 대장을 PAS염색법으로 염색하여 대장 조직의 점질층 두께를 분석한 것이고, 도 5B는 도 5A에서 측정한 점질층 두께의 평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는 정상군, 대조군,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의 장내 미생물 조성을 비교한 것이다.
도 6B는 정상군과 대조군,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간의 장내 미생물군 차이를 문(phylum level)수준에 대한 상대적 풍부도(relative abundance)로 확인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C는 정상군과 대조군,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간의 장내 미생물군 차이를 과(family level)수준에 대한 상대적 풍부도(relative abundance)로 확인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D는 정상군과 대조군,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간의 장내 미생물군 차이를 속(genus level)수준에 대한 상대적 풍부도(relative abundance)로 확인하여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장내 염증반응 및 점액층 분비 세포의 손상을 줄여주고, 장내 점질층 두께를 일정한 두께로 유지시켜 줄 뿐만 아니라 장내 유익균의 증식 및 장내 단쇄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건강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꼬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참꼬막(Tegillarca granosa), 새꼬막(Scapharca subcrenata) 및 피꼬막(Scapharca broughtonii)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꼬막 분말은 (A) 꼬막을 증숙시키는 단계; (B) 상기 증숙된 꼬막에서 가식부를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가식부를 열풍건조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열풍건조된 가식부를 입자크기가 1 내지 5 ㎛가 되도록 분말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상기 (A)단계에서는 세척한 꼬막을 100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20 ℃의 끓는 물 또는 증기를 이용하여 5 내지 20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분 동안 증숙시킨다.
증숙은 가공과정에서 꼬막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껍질과 가식부의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것으로서, 증숙 시 온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증숙시간이 길어지므로 유효성분의 손실이 많이 발생하여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촉진하지 못하고 장기능 저하를 개선할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비린맛이 강하여 관능성이 저하되고 염증 반응이 오히려 심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증숙된 꼬막에서 가식부(edible protion)를 분리한 후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가식부를 35 내지 55 ℃,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0 ℃에서 1 내지 5일,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일 동안 열풍건조시킨다.
꼬막의 가식부를 건조 시 열풍건조 대신 냉풍건조, 자연건조 또는 동결건조 등의 다른 건조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장내 염증반응 및 점액층 분비 세포의 손상을 줄여주지 못하고 장내 유익균 증식이 증가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열풍건조 방법으로 건조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건조 시 온도 및 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장내 염증반응 및 점액층 분비 세포의 손상을 줄여주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장내 유익균이 증식하지 못하고 염증 반응이 오히려 심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열풍건조된 가식부를 입자크기가 1 내지 5 ㎛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가 되도록 분말화시킨다.
건조된 꼬막 가식부를 분말화시킴으로써 액상 성분과의 혼용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식품 또는 식품 첨가제 등 다양한 곳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꼬막 증숙액은 (a) 꼬막을 증숙시키는 단계; (b) 상기 증숙 시 발생한 부산물 용액을 수득한 후 1차 여과하는 단계; (c) 상기 1차 여과를 수행한 부산물 용액을 농축시키는 단계; (d) 상기 농축된 농축액을 2차 여과시키는 단계; (e) 상기 2차 여과된 농축액을 방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상기 (a)단계에서는 세척된 꼬막을 증숙기를 이용하여 100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30 ℃에서 40 내지 100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초 동안 증숙시킨다.
증숙을 통해 꼬막을 익히는데 이때 증숙과정을 통하여 꼬막의 유효물질이 함유된 부산물 용액이 다량 방출되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부산물 용액을 이용하여 꼬막 증숙액을 수득한다.
증숙 시 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부산물 용액 내에 유효물질이 적게 함유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부산물 용액 내에 더 이상 유효물질의 함량이 증가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증숙 시 발생한 부산물 용액을 수득한 후 100 내지 300 mesh,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 mesh의 여과망을 이용하여 1차 여과시킨다.
1차 여과를 통해 부산물 용액에 함유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할 뿐 아니라 본 발명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1차 여과된 부산물 용액을 80 내지 120 ℃,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 ℃에서 4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시간 동안 농축시킨다.
농축 시 온도 및 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장내 염증반응 및 점액층 분비 세포의 손상을 줄여주지 못하고 장내 점질층 두께를 일정한 두께로 유지시키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장내 유익균이 증식되지 못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농축된 농축액을 100 내지 300 mesh,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 mesh의 여과망으로 2차 여과시킨 후 (d)단계에서 상기 2차 여과된 농축액을 3 내지 8 ℃,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에서 20 내지 30시간, 24 내지 28시간 동안 방치시킨다.
상기 농축된 농축액을 2차 여과하여 농축액에 함유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할 뿐 아니라 본 발명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여과된 농축액을 낮은 온도에서 방치시킴으로써 장내 염증반응 및 점액층 분비 세포의 손상을 줄여주고, 장내 점질층 두께를 일정한 두께로 유지시켜 줄 뿐만 아니라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방치 시 온도 및 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장내 염증반응 및 점액층 분비 세포의 손상을 줄여주지 못하고 장내 점질층 두께를 일정한 두께로 유지시키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장내 유익균이 증식하지 못하고 염증 반응이 오히려 심해질 수 있다.
꼬막 증숙액은 고형분 함량이 1 내지 5 %(w/v)일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 또는 식품 첨가제 등 다양한 곳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은 장건강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장건강 개선용 사료 조성물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법적 기준에 따라 제조(가공을 포함)한 식품(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호)을 말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국가마다 용어나 범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미국의 ‘식이 보충제(Dietary Supplement)’, 유럽의 ‘식품 보충제(Food Supplemnet)’, 일본의 ‘보건기능식품’ 또는 ‘특정보건용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 중국의 ‘보건식품’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따른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상기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과 함께 “장건강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사용되는 ‘기능성 원료’로 고시된 원료 또는 개별인정된 원료로서, 이소말토올리고당, 대두올리고당, 라피노스, 액상 프락토올리고당 등의 장내 유익균 증식 및 유해균 억제에 도움이 되는 건강기능식품 소재를 복합하여 장건강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용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 이외에,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에 기재된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식품 원료, 식품첨가물 공전에 기재된 식품첨가물을 사용할 수 있고,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식품 원료 또는 식품첨가물이 아니더라도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 별표 1의 단미사료의 범위에 해당하는 원료, 별표 2의 보조사료의 범위에 해당하는 원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에 따른 보조사료 중 추출제일 수 있고, 상기 보조사료를 포함하는 배합사료일 수 있다.
상기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을 유효성분으로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은 장건강 개선을 나타내는 함량이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0.1 내지 99 중량%, 0.5 내지 95 중량%, 1 내지 90 중량%, 2 내지 80 중량%, 3 내지 70 중량%, 4 내지 60 중량%, 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은 섭취 동물의 상태, 체중, 질병의 유무나 정도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들 들어 1일 투여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00 m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mg,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0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mg일 수 있고, 투여 횟수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1일 3회 내지 1주일에 1회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조절할 수 있다.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간, 또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또는 동물용 의약 제조를 위한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의 신규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유효성분으로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 이외에, 약학 조성물 등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이다. 상기 ‘희석제’는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시키게 되는 물에서 희석되는 화합물이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유당, 포도당, 설탕,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의 사용량은 환자 또는 치료대상 동물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치료대상 개체의 상태, 치료 대상 질환의 특정한 카테고리 또는 종류, 투여 경로, 사용되는 치료제의 속성에 의존적일 것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배설속도, 환자 또는 치료대상 동물의 연령 및 체중,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일반적으로 1일 0.1 내지 1,000 mg/k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 mg/kg,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0 mg/kg,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형화 된 단위 투여형 제제는 필요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개별적으로 예방제 또는 치료제로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트로키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형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설탕 또는 유당,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염증성 장질환 치료방법은 인간, 또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 특히 포유동물에게 상기 조성물을 투여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염증성 장질환을 가진 치료대상 개체에게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이다.
상기 염증성 장질환을 가진 치료대상 개체 여부는, 장내에 염증을 가지고 있는 경우일 수 있다.
상기 치료를 위한 투여량, 투여 방법 및 투여 횟수는 상기 약학 조성물, 의약,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의 투여량, 투여 방법 및 투여 횟수를 참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꼬막 분말 및 꼬막 증숙액>
실시예 1. 새꼬막 분말
전라남도 벌교에서 양식한 새꼬막을 세척한 후 110 ℃의 끓는 물에 10분 동안 증숙시킨 다음 상기 증숙된 새꼬막에서 껍질과 가식부를 분리하고 상기 가식부를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45 ℃에서 3일 동안 건조시킨 후 입자크기가 2 ㎛ 이하가되록 분쇄하여 새꼬막 분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피꼬막 분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새꼬막 대신 피꼬막을 사용하여 피꼬막 분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새꼬막 증숙액
전라남도 벌교에서 양식한 새꼬막을 세척한 후 120 ℃에서 60초 동안 증숙시켜 수득한 부산물 용액을 200 mesh망으로 1차 여과시켜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상기 1차 여과된 부산물 용액을 100 ℃에서 6시간 동안 농축시키고 농축이 완료되면 200 mesh망을 통해 2차 여과시키고 상기 여과된 농축액을 5 ℃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분순물을 제거한 새꼬막 증숙액을 수득하였다. 고형분 함량은 1%(w/v)이다.
<시험예>
시험예 1. 꼬막 분말 및 증숙액의 타우린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 확인 함량 확인
타우린은 황을 함유한 아미노산으로 포유동물의 뇌세포, 신경세포 등에 다량 존재하며, free radical의 산화적 손상을 예방하여 산화스트레스로부터 세포막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대사산물인 단쇄 지방산 함량 및 장내 건강 유익균 조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타우린은 이외에도 기억력 감퇴 및 인지능력 저하를 줄여주고 알츠하이머병 유발물질 생성을 억제하여 알츠하이머병을 예방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심혈관 질환 개선, 동맥경화 방지, 혈압 저하 등의 혈관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되었다.
이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꼬막 분말 및 꼬막 증숙액에 함유된 타우린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아미노산 자동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분(단위: mg/100g) 실시예 1
(새꼬막 분말)
실시예 2
(피꼬막 분말)
실시예 3
(꼬막 증숙액)
Phosphoserine 47.100 58.991 2.365
Taurine 1,572.097 1,515.633 93.625
Phosphoethanolamine N. D. N. D. N. D.
Urea N. D. N. D. N. D.
Aspartic acid 92.468 156.751 6.532
Hydroxyproline N. D. N. D. N. D.
Threonine 11.197 15.929 1.198
serine 7.833 11.635 0.206
Asparagine N. D. 10.461 N. D.
Glutamic acid 160.465 242.950 21.573
Sarcocine N. D. N. D. N. D.
α-aminoadipic acid 6.618 8.611 0.578
Proline 79.188 43.734 5.775
Glycine 150.276 256.851 8.135
Alanine 116.101 177.140 13.248
Citrulline 28.996 22.183 0.532
α-aminobutyric acid N. D. 8.916 0.355
Valine 19.542 28.397 0.782
Cystine N. D. N. D. N. D.
Methionine 28.629 26.295 1.540
Isoleucine 15.069 22.132 0.432
Leucine 37.060 49.393 1.048
Tyrosine 35.462 34.574 0.142
phenylalanine 37.192 27.261 0.855
β-alanine 782.632 885.797 44.754
β-aminoisobutyric acid 42.051 19.506 1.685
γ-amino-n-butyric acid 6.010 14.674 0.422
Histidine 30.552 23.674 2.160
1-methylhistidine N. D. N. D. N. D.
3-methylhistidine N. D. N. D. N. D.
Carnosine N. D. N. D. N. D.
Tryptopan N. D. N. D. N. D.
Hydroxylysine N. D. N. D. N. D.
Ornitine N. D. 45.475 0.511
Lysine 87.817 74.547 1.596
Arginine 110.561 66.111 N. D.
Total 3,504.915 3,847.623 210.045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기능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타우린은 새꼬막 1,572 mg/100 g, 피꼬막 1,515 mg/100 g, 꼬막 증숙액 93 mg/100 g으로 함유된 것을 확인되었다. 또한 아스파트산(aspartic acid)과 트레오닌(threonine)의 경우에는 피꼬막 분말이 새꼬막 분말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γ-amino-n-butyric acid(GABA) 함량은 피꼬막 분말이 새꼬막 분말에 비해 2배 정도 높은 함량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총 아미노산 함량의 경우에는 새꼬막 분말이 3,504 mg/100 g, 피꼬막 분말이 3,847 mg/100 g로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꼬막 증숙액은 210 mg/100 g로 함량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꼬막 분말 및 꼬막 증숙액의 일반성분 및 미네랄 함량 확인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꼬막 분말 및 꼬막 증숙액의 일반성분(9대 영양성분)을 분석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꼬막 분말 및 꼬막 증숙액의 미네랄 함량을 분석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새꼬막 분말)
실시예 2
(피꼬막 분말)
실시예 3
(꼬막 증숙액)
나트륨(mg/100g) 1185.7 1532.4 416.1
지방(g/100g) 9.0 4.9 0.3
콜레스테롤(mg/100g) 146.0 194.5 0.6
트랜스지방(g/100g) 0.0 0.0 N. D.
탄수화물(g/100g) 22.9 27.6 2.0
단백질(g/100g) 56.5 53.6 1.8
당류(g/100g) 0.3 0.4 N. D.
열량(kcal/100g) 398.6 368.9 17.9
포화지방(g/100g) 0.8 1.5 0.0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트륨과 포화지방은 피꼬막 분말이 새꼬막 분말에 비해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지방과 열량은 새꼬막 분말이 피꼬막 분말에 비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외의 영양성분은 거의 유사한 수준이었다.
구분(단위: mg/kg) 실시예 1
(새꼬막 분말)
실시예 2
(피꼬막 분말)
실시예 3
(꼬막 증숙액)
Na 7212.3 10882.4 2467.3
K 7668.7 7267.6 N. D.
Ca 1686.5 2817.8 511.2
Mg 1659.7 2289.4 401.9
Fe 430.6 547.4 3.3
P 3922.6 5762.8 326.2
Se N. D. 4.9 2.7
Cu N. D. N. D. N. D.
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꼬막 분말에서 칼륨을 제외한 Na, Ca, Mg, P, Fe 등 함량이 높았으며, 꼬막 증숙액에도 Ca, Mg, P과 같은 미네랄이 용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피꼬막 분말의 경우에는 가식부의 hemoglobin 함량이 높아 새꼬막 분말에 비해 Fe 함량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동물실험: 꼬막 분말 및 꼬막 증숙액이 장 건강에 미치는 영향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꼬막 분말 및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꼬막 증숙액이 노화에 의한 장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150 mg/kg/day의 갈락토스를 복강 내 주사하여 노화를 유도시켰으며 노화가 유도된 쥐의 대장을 대상으로 장 건강 관련 평가를 시행하였다.
실험동물은 12주령의 정상쥐(Male Sprage-Dawley rats, 체중 320 ± 30 g)를 오리엔트바이오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상대습도 55±5%, 온도 25±1 ℃, 조명주기 12시간(06:00~18:00)으로 설정되어 있는 사육실에서 일반 사료(Zeigler사의 Rodent NIH-31 제품)로 1주일 동안 적응시킨 후 체중을 측정한 다음, 난괴법에 의해 각 실험군을 n=8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실험집단은 정상식이군과 노화가 유도된 대군군에 AIN-93G를 기준으로 제조된 일반사료를 12주 동안 섭취 시키고, 노화가 유도된 쥐에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새꼬막 분말,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피꼬막 분말 및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꼬막 증숙액을 상기 사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5 중량부로 첨가하여 사료를 제조하고 이를 12주 동안 섭취시켰다. 즉, 각 식이군은 정상군, 대조군,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으로 실험하고 실험 종료 후 혈액과 대장 조직은 -80 ℃의 급속 냉동고(deep freezer)에 보관한 다음 실험에 이용하였다.
시험예 3. 대장 내 산화 스트레스 억제 확인
다양한 스트레스인자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는 공격성이 매우 강하며 체내에서 세포손상, 지질산화 등을 통해 다양한 질병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과도한 산화스트레스는 노화를 촉진하고 장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갈락토스로 노화를 유도할 경우 갈락토스가 대사되면서 ROS를 생성하여 높은 산화스트레스를 가지게 된다. 이에 갈락토스로 노화를 유도시키면서 꼬막식이를 한 쥐의 장에서 산화스트레스의 발생 지표로 지질과산화물과 단백질 산화물 함량을 측정하였다.
각 실험군의 대장 조직에서의 산화스트레스 관련 인자인 지질과산화물 함량을 TBARS 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즉, 동물실험에서 얻어진 대장 조직(0.15 g)에 0.01 M Tris-HCl buffer (pH 7.4) 1 mL을 가한 후 얼음 상에서 폴리트론(Polytron, PT1200E, Kinematicca AG)으로 균질화하고 4 ℃에서 5,000×g으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등액 100 μL에 0.15 M Tris-HCl buffer(pH 7.4) 1 mL 와 10 mM phosphate buffer(KH2PO4) 300 μL를 첨가한 후 진탕 항온 수조(shaking water bath)를 이용하여 37 ℃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20% trichloroacetic acid가 함유된 0.6 M HCl 0.5 mL와 0.67% thiobarbituric acid가 함유된 1 M NaOH용액 0.5 mL를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95 ℃에서 15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용액을 냉각시킨 다음 n-butanol 0.8 mL 첨가하여 1,500×g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등액(n-butanol 층)을 5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들 흡광도 값은 작성된 표준용액(malondialdehyde, MDA)의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대장 조직에서의 지질 과산화물 함량으로 환산하였다.
또한, 각 실험군의 대장 조직에서의 산화스트레스 관련 인자인 Protein carbonyl 함량을 측정하였다. 즉 10 mM 2,4-dinitrophenylhydrazine(DNPH)의 2 M HCl 용액 100 μL에 대장 조직으로부터 얻어진 단백질 용액(1.5 mg)을 가한 다음 상온 및 암실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으며 이때 15분 간격으로 교반하였다. 이 반응용액에 얼음으로 냉각시킨 10% trichloroacetic acid (w/v) 1 mL를 가하여 혼합한 다음 3000 xg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얻어진 단백질 펠렛(pellet)을 ethanol/ethyl acetate (1:1, v/v) 용액 2 mL로 3회 반복하여 세척한 다음 이를 6 M guanidine hydrochloride(pH 2.3) 1.5 mL로 용해시켜 37 ℃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3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흡광도 값에 대한 DNPH의 molar extinction coefficient(ε= 2.2 x 104 /cm·mL)를 나누어 대장 조직에서의 protein carbonyl 함량으로 환산하였다.
도 1A는 정상군, 대조군,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의 대장 조직에서 산화스트레스 관련 인자인 지질과산화물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B는 정상군, 대조군,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의 대장 조직에서 단백질 산화물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질산화의 지표물질인 지질과산화물(malondialdehyhde, MDA) 함량은 노화유도 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며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의 경우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단백질 산화물 함량도 지질과산화물 함량과 유사한 경향으로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의 경우 노화유도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꼬막 섭취가 갈락토스로 유도된 노화로 인한 산화스트레스를 줄여줌으로서 지질과산화물 및 단백질산화물 함량을 줄여준 것으로 여겨진다.
시험예 4. 대장 내 염증 억제 효과 확인
정상군, 대조군,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의 대장 조직에서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TNF-α, NF-kB p65, IL-1β, IL-6 발현량을 조사하였다. 즉, 대장 조직(0.15 g)에 0.01 M NaF, 0.01 M EDTA(pH 7.4), 2 mM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0.01 M sodium pyrophosphate, 1 μg/mL pepstain, 1 μg/mL leupeptin, 및 0.1 μg/mL aprotin으로 조제된 RIPA buffer 1 mL를 가한 다음 ice 상에서 polytron(PT1200E, Kinematicca AG, Switzerland)으로 균질화하였다. 균질화된 용액은 4 ℃에서 1시간 동안 서서히 교반시켜 추출하고 4 ℃에서 15,000 Xg 로 4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얻었다. 각 처리군의 단백질 함량은 브래드 포드 법(Bradford method)으로 측정하였다. 각 식이군에 대한 동일한 단백질 용액(100 μg, 20 μL)에 2x Trcine sample buffer(Biorad) 20 μL을 가하여 95 ℃에서 5분 동안 변성한 다음 이 용액을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SDS-PAGE)로 전기영동하였다. 전개된 단백질들은 polyvinylidene fluoride(PVDF) 멤브레인 I에 이동시킨 다음 상기 멤브레인을 TBS(Tris buffered saline)로 세척하고 3% bovine serum albumin(BSA)이 함유된 0.05% Tween-20(TBST) buffer로 1시간 동안 차혜(blocking)하였다. 이어 TBST 용액으로 5분씩 3회 반복 세척된 멤브레인을 1차 항체(primary antibody)들이 함유된 동결 건조한 완충액(lyophilized buffer)에 넣고 상온에서 서서히 교반시키면서 오버나잇(overnight) 동안 반응시켰다. 1차 항체 반응이 끝난 멤브레인을 TBST 용액으로 5분씩 3회 반복 세척한 다음 horseradish peroxidase(HRP)-conjugated goat anti-rabbit immunoglobin G(Jackson Immuno Research, LABORATORIES, INC)를 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세척된 멤브레인은 루미놀이 함유된 enhanced chemiluminescence(ECL) 용액과 반응시키고 Davinch Chemisystem(Core Bio System Co., Ltd)을 이용하여 현상하였으며 ImageJ software(NIH, Bethesda, Maryland,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차 항체들은 TNF-α(1:1,000), NF-kB p65(1:1,000), IL-1β(1:1,000), IL-6(1:1,000), β-actin(1:1,000)로 각각 희석한 동결 건조한 완충액을 사용하였다.
체내 산화스트레스의 증가는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경로에 의해 염증반응을 유발시키게 되며 TNF-α 함량의 증가와 함께 NF-kB 발현을 증가시키면서 다양한 cytokine 분비를 촉진시키는데, 염증반응이 심할 경우 결국 세포를 사멸(apoptosis)시키거나 괴사(necrosis)시켜 각종 질병을 유발시킨다고 보고되어있다.
Interleukin-1 (IL-1)의 주요기능은 TNF와 비슷하게 염증반응의 매개인자로서의 역할이며 여러 가지 생성 유도 물질의 자극을 통하여 대식세포, NK세포, 비만세포, 호중구, 신경세포 등 다양한 세포들에서 생성되며 염증반응을 통한 면역반응이 큰 범위를 차지하고 있다.
Interleukin-6 (IL-6)의 경우 선천면역 및 적응면역에서 기능을 하는 다기능성 사이토카인으로 면역반응, 급성 염증반응 등에 관여하는 염증 반응 인자로 잘 알려져 있다.
도 2는 정상군, 대조군,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의 대장 조직에서 염증 관련 인자인 TNF-α(A), NF-kB p65(B), IL-1β(C), IL-6(D) 발현을 나타낸 웨스턴 블럿 및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TNF-α, NF-kB p65, IL-1β, IL-6에서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이 노화유도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발현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새꼬막 분말, 실시예 2의 피꼬막 분말 식이군, 실시예 3의 꼬막 증숙액의 섭취가 염증반응 인자들의 발현을 낮게 조절함으로서 갈락토스로 유도된 노화로 인한 염증반응 및 산화스트레스를 줄여 주는 것으로 해석되었으며 결과적으로 꼬막이 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식품소재로 활용이 기대된다.
시험예 5. 대장 내 단쇄지방산(Short chain fatty acid, SCFA)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
장내 균총에 의한 단쇄지방산(SCFA)의 생성은 체내 에너지 공급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식이섬유와 같은 난소화성 탄수화물은 장내미생물에 의해 oligosaccharide와 monosaccharide로 분해되고 최종적으로 혐기적 조건에서 주로 SCFA (예, acetic acid, butyric acid 등)와 가스로 발효된다.
장내 미생물로부터 생성된 대표적인 대사산물인 단쇄지방산(SCFA)은 대장조직으로 흡수되어 음이온으로 작용, 숙주의 에너지원, 면역조절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되며 항염증, 장운동, 항암 등의 효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꼬막 섭취에 따라 장내 균총에 의한 단쇄지방산(SCFA)의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각 식이군의 12주째에 채취한 분변을 대상으로 GC[Shimadzu GC-17A system(Bellefonte, PA, USA)]을 이용하여 SCFA류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컬럼은 A J&W DB-FFAP capillary column(Agilent Technologies Inc., USA; Part # J125-3232, 30 m× 0.53 mm× 1-μm film thickness)을 이용하였으며, 기기분석조건은 하기 [표 4]와 같다.
시료의 처리과정은 동결된 시료 1 g에 메탄올 5 mL을 첨가한 후 3분간 균질화하여 17%(w/w) 현탁액에 5 M HCl을 첨가하고 pH 2-3으로 조절하였다. 그 다음 2분마다 혼합하면서 실온에 10분간 배양하고 4 ℃에서 원심분리(5000 rpm, 20분)하여 상층액을 얻고 여과(0.2 μm)하였다. 이때 표준물질로는 12%의 1 mM 포름산이 포함된 2-에틸부티르산을 이용하였다. 얻어진 상층액을 GC-FID 분석를 통해 아세트산(AA), 부티르산(BA), 프로피온산(PA)을 포함한 SCFA을 정성 및 정량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Instrument Shimadzu GC-17A system (Kyoto, Japan)
Column A J&W DB-FFAP capillary column
(30 m× 0.53 mm× 1-μm film thickness)
Oven temp. 100 ℃에서 1분 유지한 후, 180 ℃까지 8 ℃/min 속도로 증가시키고, 180 ℃에서 200 ℃까지 20 ℃/min 속도로 증가시킨 후, 200 ℃에 서5분으로 정체
Detector Flame ionization detector(FID)
Injection port temp. 200 ℃
Detector temp. 240 ℃
Injection vol. 1.0 μL
Carrier gas, flow H2 30 mL/min, air 300 mL/min, He 25 mL/min
도 3은 정상군, 대조군,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의 분변에서 장내 균총에 의한 단쇄지방산(SCFA)의 생성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세트산(AA), 부티르산(BA), 프로피온산(PA)의 경우 모두 비슷한 경향으로 노화유도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은 노화가 유도되었음에도 정상군과 유사하거나 정상군에 비해 우수한 함량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노화 조건에서 꼬막의 섭취는 단쇄지방산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궁극적으로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시험예 6. 대장조직에서 배상세포(goblet cell) 및 음와샘(crypt gland)의 형태학적 분석
체내 장은 소장에서 대장까지 배상 세포(goblet cell)라고 불리는 점액 분비 세포가 상피를 덮고 있어 장내강과 조직 사이의 경계를 형성하고, 장 점막 상피조직은 일차적인 방어체계를 담당하며 배상 세포의 경우 장의 점막층(mucus layer)을 구성하는 주효소인 뮤신을 분비한다.
이러한 장내 세포는 장의 줄기세포(stem cell)로부터 계속 공급받아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줄기세포는 장벽의 음와(crypt)라고 하는 좁게 함입된 부위의 바닥에 존재하여 장내의 유해환경으로부터 보호받게 된다. 따라서 crypt의 손상이 있으면 줄기세포의 손상으로 연결됨을 알 수 있다.
실험 종료 후 실험동물을 희생시켜 대장 조직을 적출한 뒤 대장의 일부를 10%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한 다음 탈수, 투명, 침투화하고 이를 파라핀으로 포매한 다음 조직 절편기(microtome)를 이용하여 4 μm 두께로 박절하여 연속절편을 제작하였다.
분리한 연속 절편된 시료는 자일렌으로 조직 외부에 포매된 파라핀을 제거한 후 함수하고 H&E 염색법에 의해 헤마톡실린(haematoxylin) 용액으로 10분간 염색하고 이를 다시 함수한 다음 에오신(eosin)용액에 20초 동안 염색하였다. 그 다음, 알코올로 탈수, 투명과정을 시행한 후 permount 봉입제로 봉입(mounting)하여 광학현미경(Olympus, Japan)으로 조직의 형태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도 4A는 정상군, 대조군,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의 대장을 H&E염색법으로 염색하여 대장의 음와샘(crypt gland), 배상세포 등을 형태학적으로 분석한 것이며, 도 4B는 도 4A에서 측정한 대장의 배상세포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군의 경우에는 점막층, 음와샘이 정상적인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노화유도 대조군의 경우에는 대장조직의 심각한 손상이 관찰되어 음와샘의 변형 및 배상세포의 감소 등의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의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하여 음와샘의 변형 및 배상세포의 손상이 유의적으로 적게 관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새꼬막 분말, 피꼬막 분말 및 꼬막 증숙액의 섭취는 노화가 유도된 대장에서 대장점막조직 손실을 줄여주고 장기능 및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예 7. 대장조직에서 점질층 두께(mucus layer thickness) 분석
배상세포(goblet cells)에서 분비되는 뮤신(mucus glycoprotein)은 장의 점질층(mucus layer)을 구성하는 주요소이고, 장 상피세포의 crypt에 존재하는 파네트 세포(paneth cell)에서는 방어물질로 대표되는 anti-microbial peptide를 분비하여 외부에서 침입한 병원성 미생물을 중화시켜 숙주를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장 점막 상피조직은 일차적인 방어기능을 담당하는 점액(mucus)으로 덮여 있으며 장에 염증반응이 증가 시 mucin이 양적으로 감소되며 mucin 양 감소로 인한 점질층 두께의 변화는 대장암의 위험과도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꼬막 섭취 후 대장 조직의 mucus layer 두께 변화를 관찰해보고자, 점질층 다당류를 periodic acid로 산화하여 aldehyde를 유리시키고, aldehyde와 Schiff의 반응으로 mucus layer를 적색으로 염색시키는 PAS 염색법으로 조직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실험 종료 후 실험동물을 희생시켜 대장 조직을 적출한 뒤 대장의 일부를 carnoy’s 용액(60% dry methanol, 30% chloroform and 10% glacial acetic acid)에 고정한 다음 methanol-alcohol-xylene 순서로 탈수, 투명, 침투화하고 이를 파라핀으로 포매한 다음 조직절편기(microtome)을 이용하여 4 μm 두께로 박절하여 연속절편을 제작하였다.
연속 절편된 시료는 xylene-alcohol으로 조직 외부에 포매된 파라핀을 제거한 후, 함수하고 PAS 염색법에 의해 점질층을 염색하였다. 즉, 0.5% periodic acid 용액으로 5분 염색하고 다시 함수시킨 다음 Schiff’s reagent 용액으로 15분 동안 염색하였다. 이 후 알코올로 탈수, 투명과정을 시행한 후, permount 봉입제로 봉입(mounting)하여 광학현미경(Olympus, Japan)으로 대장 조직의 점질층 두께를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도 5A는 정상군, 대조군,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의 대장을 PAS염색법으로 염색하여 대장 조직의 점질층 두께를 분석한 것이고, 도 5B는 도 5A에서 측정한 점질층 두께의 평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군의 경우에는 점질층의 두께가 약 270 μm로 일정한 두께로 유지되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노화유도 대조군의 경우에는 약 110 μm으로 점질층의 두께가 2배 이상 얇아져 있어 노화로 인하여 대장 조직이 손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의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하여 점질층 두께가 일정한 두께로 유지되었으며 특히 피꼬막 분말 식이군의 경우 약 220 μm로 가장 두껍게 유지되었다.
대장 조직의 점질층 두께를 분석한 결과, 상기 배상세포 및 음와샘 분석 결과와 유사한 결과로 꼬막이 노화 유도 조건에서 장내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식품 소재로 가능성이 있음을 재차 확인되었다.
시험예 8. 분변 내 장내 미생물 조성(gut microbiota) 분석
식이 12주째에 채취한 분변을 대상으로 DNA extraction kit[QLAamp DNA Stool Mini Kit (Cat # 51504, Qiagen, USA)]를 이용하여 bacteria DNA를 추출하였으며, 완전한 상태의 DNA는 agarose gel 전기영동을 전개하고 분석 전까지 -20 ℃에 보관하였다.
실험동물의 분변에서 추출한 DNA의 16S rRNA 과변 부위 중 V4를 PCR에 의해 증폭시키고, MiSeq library 제작은 2-step PCR을 이용하여 준비하였으며 MiSeq(illumina, Inc.) 플렛폼을 이용한 sequencing은 랩지노믹스(LABGENOMICS Inc., Seongnam-si, Gyeonggi-do, Republic of Korea)에서 수행하였다.
MiSeq 데이터는 대용량 서열 분석 도구모음인 Mothu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열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chimera. uchime 명령어를 이용하여 키메라 서열을 확인하고 제거하였다.
얻어진 염기 서열의 길이가 짧거나 길어 염기쌍들이 일치되지 않을 경우, pre.cluster Mothur subroutine을 이용하여 수정하고 Silva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정렬하였으며, 염기서열의 분류는 greengene 데이터베이스(version 13.5.99)를 이용하고, 진핵 생물(eukaryote), 남세균(cyanobacteria),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는 제거한 후 분류학적 동정을 수행하였다.
클러스터링 분석은 Vesearch, 미생물 군집 간 다양성 분석은 Bray-Curtis distance, 속 분류는 LEfSe, 16S rRNA 유전자 서열의 대사기능 예측은 PICRUSt, 다양한 대사 기능의 분리를 위해 STAMP를 이용하여 각 식이군 간 장내미생물 다양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도 6A는 정상군, 대조군,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의 장내 미생물 조성을 비교한 것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차원 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 MDS) 분석결과에 의하면 노화유도 조건에서 각각 식이군들간 장내 미생물 조성이 확연히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나 과도한 노화가 장내 미생물을 변화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노화유도식이 중 피꼬막 분말과 꼬막 증숙액의 섭취는 장내 미생물 조성이 확연히 변화되었으며 새꼬막 분말 식이군의 장내 미생물 조성의 경우 노화유도대조군과 비교하여 약간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또한, 도 6B는 정상군과 대조군,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간의 장내 미생물군 차이를 문(phylum level)수준에 대한 상대적 풍부도(relative abundance)로 확인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꼬막 증숙액 식이군을 제외한 노화유도군들의 장내 미생물에는 Firmicutes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꼬막 증숙액 식이군의 경우 Verrucomicrobia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도 6C는 정상군과 대조군,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간의 장내 미생물군 차이를 과(family level)수준에 대한 상대적 풍부도(relative abundance)로 확인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꼬막 분말 식이군과 피꼬막 분말 식이군의 경우에는 단쇄지방산 생성에 관여하는 Ruminococcaceae속 균주가 증가하였으며 Porphyromonadaceae는 감소하였고 꼬막 증숙액 식이군에서는 최근 장내 유익균으로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비만, 당뇨 및 염증을 줄여주는 데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는 Verrucomicrobiaceae (Akkermansia)의 조성이 증가하였다.
또한, 도 6D는 정상군과 대조군, 새꼬막 분말 식이군, 피꼬막 분말 식이군, 꼬막 증숙액 식이군간의 장내 미생물군 차이를 속(genus level)수준에 대한 상대적 풍부도(relative abundance)로 확인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화유도군에서 Ruminococcus가 증가한 반면 Parabacteroides는 감소하였으며 Akkermansia의 경우 꼬막 증숙액을 섭취함으로써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식이는 장내 미생물 조성의 변화를 초래하고 식이 종류에 따라 장내 미생물에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도 장내 미생물 조성에서 특별한 OTUs의 상대적 풍부도가 식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며 노화가 진행되는 과정 중 꼬막의 섭취는 장내 미생물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특히 꼬막 증숙액 섭취의 경우 장내 유익균 조성 및 장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아래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3의 혼합 추출물 분말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3의 혼합 추출물 분말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3의 혼합 추출물 분말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3의 혼합 추출물 분말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5: 음료 제형의 제조
실시예 3의 혼합 추출물 분말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제제예 6: 사료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의 개다래 물 추출물 분말 0.1 kg, 옥수수 25.5 kg, 소맥 15.04 kg, 소맥분 8.15 kg, 미강 7.4 kg, 대두박 18 kg, 옥구르텐 1kg, 닭부산물 14 kg, 동물성유지 9 kg, 가공염 0.3 kg, 인산제삼칼슘 0.3 kg, 석회석 1 kg, 염화콜린 0.01 kg, 비타민 0.05 kg, 미네랄 0.05 kg 및 소화효소제 0.1 kg을 혼합하여 동물(개, 애완견)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Claims (16)

  1. 피꼬막(Scapharca broughtonii)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피꼬막 분말은 (A) 피꼬막을 증숙시키는 단계; (B) 상기 증숙된 피꼬막에서 가식부를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가식부를 열풍건조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열풍건조된 가식부를 입자크기가 1 내지 5 ㎛가 되도록 분말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1,515.633 mg/100g의 타우린(Taurine), 156.751 mg/100g의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15.929 mg/100g의 트레오닌(Threonine), 10.461 mg/100g의 아스파라진(Asparagine), 242.950 mg/100g의 글루탐산(Glutamic acid), 8.611 mg/100g의 α-아미노아디프산(α-aminoadipic acid), 256.851 mg/100g의 글리신(Glycine), 177.140 mg/100g의 알라닌(Alanine), 8.916 mg/100g의 α-아미노부티르산(α-aminobutyric acid) 및 45.475 mg/100g의 오르니틴(Ornitine)을 포함하므로,
    노화유도 후 피꼬막(Scapharca broughtonii) 분말로 처리한 경우의 점질층 두께가 노화유도된 경우에 비하여 2배 증가한 220 μm이며, 루미노코카세(Ruminococcaceae)속의 장내 유익균이 증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건강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건강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또는 장내 유익균 증식 촉진용 건강기능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건강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증숙은 100 내지 150 ℃에서 5 내지 20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건강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열풍건조는 35 내지 55 ℃에서 1 내지 5일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건강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피꼬막(Scapharca broughtonii)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피꼬막 분말은 (A) 피꼬막을 증숙시키는 단계; (B) 상기 증숙된 피꼬막에서 가식부를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가식부를 열풍건조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열풍건조된 가식부를 입자크기가 1 내지 5 ㎛가 되도록 분말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1,515.633 mg/100g의 타우린(Taurine), 156.751 mg/100g의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15.929 mg/100g의 트레오닌(Threonine), 10.461 mg/100g의 아스파라진(Asparagine), 242.950 mg/100g의 글루탐산(Glutamic acid), 8.611 mg/100g의 α-아미노아디프산(α-aminoadipic acid), 256.851 mg/100g의 글리신(Glycine), 177.140 mg/100g의 알라닌(Alanine), 8.916 mg/100g의 α-아미노부티르산(α-aminobutyric acid) 및 45.475 mg/100g의 오르니틴(Ornitine)을 포함하므로,
    노화유도 후 피꼬막(Scapharca broughtonii) 분말로 처리한 경우의 점질층 두께가 노화유도된 경우에 비하여 2배 증가한 220 μm이며, 루미노코카세(Ruminococcaceae)속의 장내 유익균이 증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장질환은 궤양성 대장염 또는 크론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5. 피꼬막(Scapharca broughtonii)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피꼬막 분말은 (A) 피꼬막을 증숙시키는 단계; (B) 상기 증숙된 피꼬막에서 가식부를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가식부를 열풍건조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열풍건조된 가식부를 입자크기가 1 내지 5 ㎛가 되도록 분말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1,515.633 mg/100g의 타우린(Taurine), 156.751 mg/100g의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15.929 mg/100g의 트레오닌(Threonine), 10.461 mg/100g의 아스파라진(Asparagine), 242.950 mg/100g의 글루탐산(Glutamic acid), 8.611 mg/100g의 α-아미노아디프산(α-aminoadipic acid), 256.851 mg/100g의 글리신(Glycine), 177.140 mg/100g의 알라닌(Alanine), 8.916 mg/100g의 α-아미노부티르산(α-aminobutyric acid) 및 45.475 mg/100g의 오르니틴(Ornitine)을 포함하므로,
    노화유도 후 피꼬막(Scapharca broughtonii) 분말로 처리한 경우의 점질층 두께가 노화유도된 경우에 비하여 2배 증가한 220 μm이며, 루미노코카세(Ruminococcaceae)속의 장내 유익균이 증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건강 개선용 사료 조성물.
  16. 피꼬막(Scapharca broughtonii)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피꼬막 분말은 (A) 피꼬막을 증숙시키는 단계; (B) 상기 증숙된 피꼬막에서 가식부를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가식부를 열풍건조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열풍건조된 가식부를 입자크기가 1 내지 5 ㎛가 되도록 분말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1,515.633 mg/100g의 타우린(Taurine), 156.751 mg/100g의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15.929 mg/100g의 트레오닌(Threonine), 10.461 mg/100g의 아스파라진(Asparagine), 242.950 mg/100g의 글루탐산(Glutamic acid), 8.611 mg/100g의 α-아미노아디프산(α-aminoadipic acid), 256.851 mg/100g의 글리신(Glycine), 177.140 mg/100g의 알라닌(Alanine), 8.916 mg/100g의 α-아미노부티르산(α-aminobutyric acid) 및 45.475 mg/100g의 오르니틴(Ornitine)을 포함하므로,
    노화유도 후 피꼬막(Scapharca broughtonii) 분말로 처리한 경우의 점질층 두께가 노화유도된 경우에 비하여 2배 증가한 220 μm이며, 루미노코카세(Ruminococcaceae)속의 장내 유익균이 증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
KR1020200035991A 2020-03-25 2020-03-25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건강 개선용 조성물 KR102444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991A KR102444748B1 (ko) 2020-03-25 2020-03-25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건강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991A KR102444748B1 (ko) 2020-03-25 2020-03-25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건강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151A KR20210120151A (ko) 2021-10-07
KR102444748B1 true KR102444748B1 (ko) 2022-09-20
KR102444748B9 KR102444748B9 (ko) 2023-03-23

Family

ID=78114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991A KR102444748B1 (ko) 2020-03-25 2020-03-25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건강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74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9018A (ko) * 2015-12-30 2017-07-10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꼬막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 예방용 식품 조성물
KR20190086871A (ko) 2018-01-15 2019-07-24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피조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억제용 조성물
KR102014413B1 (ko) 2019-01-03 2019-08-26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피조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iechota-Polanczyk A., Naunyn-Schmiedeberg’s Arch Pharmacol 387:605-620(2014)*
Wang, H., et al. Nutrients 10(7):907(2018)*
Yu, H., et al. Amino Acids 48:1601-1617(2016)*
김정빈 외 4명.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30(2):212-218(2014)*
오영.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19.08.)(공지예외 미주장 문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151A (ko) 2021-10-07
KR102444748B9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32759B1 (en) Pharmaceutical and nutritional compositions containing a di- or oligosaccharide as insulin secretion promoter
KR20070117629A (ko) 면역 조절 작용을 갖는 발효 조성물
CN112384074A (zh) 用于动物饲料的甘蔗提取物
Meng et al. Modulation of gut microbiota in rats fed whole egg diets by processing duck egg to preserved egg
KR20040007720A (ko) 관절염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
Pilco-Romero et al. House cricket (Acheta domesticus): A review based on its nutritional composition, quality, and potential uses in the food industry
WO2004075905A1 (ja) 筋肉増強剤および筋肉減衰の予防または治療剤
KR101836365B1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32를 첨가한 김치 양념소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CN1777420A (zh) 用于预防和/或改善与生活方式相关疾病的经加工的油脂组合物
JP4401659B2 (ja) インスリン分泌促進剤
JP6742981B2 (ja) 免疫調節剤及びその用途
KR102444748B1 (ko) 꼬막 분말 또는 꼬막 증숙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건강 개선용 조성물
KR20100037310A (ko)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액상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WO2020218148A1 (ja) 過酸化脂質生成抑制剤
US20090263356A1 (en) Anti-angiogenic composition comprising grain-derived component as active ingredient
KR102042352B1 (ko) 땅콩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력강화 또는 근감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A2012278C (en) Mutant of microbacterium, a strain 851r, and a process for producing 851r nutrient solution by application of the strain
KR102225351B1 (ko) 지충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 건강 개선용 조성물
KR102586723B1 (ko) 꽃새우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68848A (ko) 배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88764B1 (ko) 열처리 가공염을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용 조성물
KR102602070B1 (ko) 함초 혼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 건강 개선용 조성물
KR102546973B1 (ko) 바실러스 밸레젠시스 Kh2-2 균주를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613440B1 (ko) 마늘 껍질을 포함하는 생균제의 제조방법
JP6381284B2 (ja) 記憶障害の予防及び/又は治療のための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