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948A - 즉석 떡 제조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프리믹스 조성물을 이용한 즉석 떡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즉석 떡 제조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프리믹스 조성물을 이용한 즉석 떡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948A
KR20190050948A KR1020190052048A KR20190052048A KR20190050948A KR 20190050948 A KR20190050948 A KR 20190050948A KR 1020190052048 A KR1020190052048 A KR 1020190052048A KR 20190052048 A KR20190052048 A KR 20190052048A KR 20190050948 A KR20190050948 A KR 20190050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weight
parts
rice
rice c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지연
Original Assignee
한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지연 filed Critical 한지연
Priority to KR1020190052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0948A/ko
Publication of KR20190050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94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12Starch; Modified starch; Starch derivatives, e.g. esters or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즉석 떡 제조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프리믹스 조성물을 이용한 즉석 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팽화미 분말 100중량부, 전분 50~70중량부, 탈지분유 5~10중량부, 분말유지 30~50중량부, 증점제 5~10중량부, 소금 1~3 중량부 및 당분 30~4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가열 조리 또는 전자레인지 조리 없이 그대로 취식이 가능한 즉석 떡용 프리믹스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가정에서 손쉽게 식감 및 풍미가 우수한 떡의 제조가 가능토록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즉석 떡 제조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프리믹스 조성물을 이용한 즉석 떡의 제조방법{Compositions for rice cake premix and preparation method of instant rice cake using thereby}
본 발명은 즉석 떡 제조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프리믹스 조성물을 이용한 즉석 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팽화미를 주성분으로 하는 프리믹스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물을 혼합하여 성형하는 것만으로 가열처리 또는 전자레인지의 조리 없이 바로 취식이 가능한 떡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즉석 떡 제조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프리믹스 조성물을 이용한 즉석 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떡은 주로 멥쌀이나 찹쌀, 또는 다른 곡식을 쪄서 찧거나 가루 내어 쪄서 빚어 만든 음식을 통칭하는 말이다. 이러한 떡은 쌀을 주식으로 하는 한국인에게 명절, 잔치 그 외 여러 행사 등을 함께하는 전통음식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떡의 제조방법은 일반적으로 곡식을 가루로 빻고, 축축하게 습기가 있는 곡식의 가루를 그대로 시루에 안쳐서 찌거나, 그 가루에 물을 섞어 반죽을 한 후 빚어서 찌는 것이다. 즉, 종래 떡의 제조방법은 그 과정이 매우 복잡할 뿐 아니라, 찜기나 시루와 같은 집기가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가정에서 직접 만들어 먹기 어려웠다.
또한, 이러한 제조방법으로 인해 떡을 한번 제조할 때는 원하는 양만큼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대량으로 제조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대량으로 제조된 떡은 보존기간이 짧아서 제조 후 하루, 이틀만 지나도 굳어버리거나 맛이 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떡의 보존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냉동보관하는 경우, 떡을 다시 해동해서 취식하고자 할 때 통상적으로 쪄내거나 가열하는 등의 후처리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한번 냉동된 후에 다시 쪄내거나 가열된 떡은 맛과 식감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소비자가 가정에서 즉석 떡을 제조할 수 있도록 전자레인지에 짧은 시간 조리가 가능한 즉석 떡 제조용 프리믹스의 개발이 시도되었다.
이러한 시도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07652호에서는 수분 함량 25% 이상인 습식 쌀가루를 주요 재료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안함으로써, 전자레인지에 짧은 시간 조리하여 떡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9406호에서는 수분 함량이 높은 찹쌀 분말을 이용하여 인절미 프리믹스를 제조함으로써, 전자레인지에 짧은 시간 조리하여 떡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42672호에서도 상온에서 유통가능한 전자레인지 조리용 찰떡 프리믹스 조성물을 제안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8499호에서도 전자레인지에서 짧은 시간 조리되는 떡 프리믹스 조성물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들 중 일부는 수분함량이 높아 상온 유통이 어려운 단점이 있음은 물론, 전자레인지 조리시간이 길어 즉석 편의식으로의 이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모두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반죽을 가열처리하는 방식으로, 짧은 시간 전자레인지의 조리만으로 높은 호화도를 구현할 수 없어 식감이 좋지 못하고, 전자레인지 조리로 인해 떡의 표면이 딱딱해지는 현상, 즉 표면경화현상이 나타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KR 10-2007-0007652 A KR 10-0869406 B1 KR 10-2009-0042672 A KR 10-1298499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팽화미를 주성분으로 하는 프리믹스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가열 조리 또는 전자레인지의 조리 없이 바로 취식이 가능한 즉석 떡 제조용 프리믹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건조된 분말상태로 제조 및 유통됨으로써, 그 보존기간이 길고, 보관이 편리한 즉석 떡 제조용 프리믹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프리믹스 조성물을 이용하여 간편한 방법으로 빠른 시간 내에 맛과 풍미가 우수한 즉석 떡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즉석 떡 제조용 프리믹스 조성물은, 팽화미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팽화미 분말은 멥쌀, 찹쌀 또는 이들 혼합물을 팽화한 분말이며, 상기 프리믹스 조성물은 팽화 분말을 더 포함하되, 상기 팽화 분말은, 찹쌀, 감자, 고구마, 타피오카, 보리, 귀리, 밀, 수수, 옥수수, 콩, 녹두, 율무, 조, 기장, 팥 및 메밀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곡물을 팽화시킨 후, 분쇄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분, 탈지분유, 분말유지 및 증점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분은 옥수수 전분, 찹쌀 전분, 멥쌀 전분, 감자 전분, 타피오카 전분, 고구마 전분, 밀 전분, 찰옥수수 변성전분, 옥수수 변성전분, 타피오카 변성전분, 감자 변성전분, 고구마 변성전분 및 밀 변성전분 중 1종 이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말유지는 식물성 유지 분말, 동물성 유지 분말 및 이들의 혼합물 중 1종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점제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메틸셀룰로오스(Methylcellulos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cellulose), 잔탄검(Xanthan Gum), 구아검(Guar Gum), 로커스트검(locust gum),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카제인나트륨(sodium caseinate), 팩틴(Pectin), 프로필렌글리콜알기네이트(Propylene Glycol Alginate), 폴리아크릴산나트륨(Sodium Polyacrylate), 한천(aqar) 및 카라기난(Carrageenan)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소금 및 당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당분은 설탕 또는 슈가파우더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리믹스 조성물은, 상기 팽화미 분말 100중량부, 전분 50~70중량부, 탈지분유 5~10중량부, 분말유지 30~50중량부, 증점제 5~10중량부, 소금 1~3 중량부 및 당분 30~4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즉석 떡의 제조방법은, 상기한 프리믹스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프리믹스 조성물에 물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와, 상기 반죽된 반죽물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가열 조리 또는 전자레인지 조리 없이 그대로 취식이 가능한 즉석 떡용 프리믹스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가정에서 손쉽게 식감 및 풍미가 우수한 떡의 제조가 가능토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말형으로서 프리믹스 조성물의 실온 보관기간이 긴 장점이 있다.
또한, 떡의 소비를 늘려 쌀의 소비를 촉진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종래 떡은 집에서 손쉽게 제조하여 먹을 수 없는 식품으로 인식되었으며, 그 보관기간 역시 상온에서 1~2일 정도로 보관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떡을 냉동보관하는 경우 그 보관기간이 연장되나, 식감이 현저히 저하되었다.
아울러, 전자레인지 등을 이용하여 떡을 조리하는 종래의 프리믹스 조성물은, 전자레인지 가열처리를 통해서는 충분한 호화가 일어나지 못하여 풍미 및 식감이 제한적인 것은 물론, 표면경화 현상 역시 나타나 기호도가 좋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정에서 손쉽게 떡을 제조할 수 있는 즉석 떡용 프리믹스 조성물을 제공하되, 종래기술들과는 달리 가열 조리과정이 전혀 없이, 즉 전자레인지 조리 역시 없이 즉석 떡의 제조가 가능한 프리믹스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프리믹스 조성물은 가래떡, 절편, 개피떡, 송편, 단자, 시루떡, 꽃떡, 망개떡, 찹쌀떡, 인절미, 영양찰떡 등 다양한 종류의 떡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즉석 떡용 프리믹스 조성물은, 팽화미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팽화미 분말이란, 쌀을 고온고압상태에서 상온상압상태로 갑자기 유지하여 급격한 부피 팽창을 유도하며, 전분의 호화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팽화미 분말은 이미 전분이 일부 호화된 상태이고, 그 호화도를 그대로 분말로서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므로, 이를 이용하면 별도의 가열 조리과정 없이 즉석 떡의 제조가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팽화미 분말을 이용할 경우 그 식감이나 풍미 역시 종래 전통적인 떡의 제조방법과 유사한 수준으로 제조된다.
상기 팽화미 분말은 시판되는 상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쌀을 물에 4~5회 깨끗이 세척한 다음, 2~5시간 수침한다. 그리고 이를 체나 소쿠리 등에 받쳐 물기를 제거하고, 이를 15~90분간 증숙하여 호화시킨다. 상기 증숙은 100~150℃의 증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증기의 공급 압력은 0.3~0.7kgf/㎠ 정도일 수 있으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증숙 시의 호화도는 70~90% 정도임이 바람직하나, 이 역시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증숙된 증숙미를 수분함량 10~15% 정도가 되도록 건조한다. 상기 건조는 35~45℃ 정도의 온풍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된 건조미를 팽화기를 이용하여 200~260℃ 및 1.0~1.2Mp의 압력으로 팽화시킨 후, 10~50mesh의 입도로 분쇄하여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팽화미 분말의 입도가 10mesh 보다 크면 입자가 거칠어 제조된 떡의 질감이 거칠게 되고, 입도가 50mesh보다 작으면 물과 혼합시 물의 흡수력이 떨어져 전체적인 성형성 및 식감이 저하되므로, 그 입도는 10~50mesh로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쌀로는 백미 또는 현미로 되는 멥쌀, 찹쌀 및 이들의 혼합미 중 1종 이상의 것을 사용 가능한바, 제조하고자 하는 떡의 종류 및 식감에 따라 적절히 선택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프리믹스 조성물은 팽화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팽화 분말은 앞선 팽화미와 같이, 곡물을 팽화하여 된 것으로, 이러한 팽화 분말을 더 포함함으로써, 즉석 떡의 질감 및 맛을 더욱 좋게 한다. 상기 팽화 분말은 앞선, 팽화미와 동일한 방법으로 증숙, 건조, 팽화 및 분쇄하여 제조하는바, 곡물로서 감자, 고구마, 타피오카, 보리, 귀리, 밀, 수수, 옥수수, 콩, 녹두, 율무, 조, 기장, 팥 및 메밀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곡물을 이용한다. 이때, 상기 팽화 분말 역시 팽화미와 동일한 입도로 분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팽화 분말은 앞서 설명된 팽화미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50중량부 정도 포함하는데, 그 함량이 너무 높으면 상대적으로 팽화미 분말의 함량이 낮아져 떡의 질감 및 성형성이 좋지 못하게 되고, 그 함량이 너무 낮으면 풍미 및 식감 개선의 효과가 미미하므로, 10~50중량부로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프리믹스 조성물은 전분, 탈지분유, 분말유지 및 증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분은 조성물의 반죽시 점성을 부여하여 성형성을 좋게 하고, 결착성을 높여 성형 후 형태 안정성을 유지해주며, 제조된 떡의 보습성을 높여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전분으로는, 옥수수 전분, 찹쌀 전분, 멥쌀 전분, 감자 전분, 타피오카 전분, 고구마 전분, 밀 전분은 물론, 찰옥수수 변성전분, 옥수수 변성전분, 타피오카 변성전분, 감자 변성전분, 고구마 변성전분 및 밀 변성전분 중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변성전분으로 알파화 전분을 이용할 경우, 즉 찰옥수수 알파화 전분, 옥수수 알파화 전분, 타피오카 알파화 전분, 감자 알파화 전분, 고구마 알파화 전분, 밀 알파화 전분 중 1종 이상을 이용할 경우, 제조되는 즉석 떡의 보습성이 한층 더 우수해지고, 식감을 더욱 쫄깃하게 해준다. 이러한 알파화 전분의 일례로는 시판되는 상품 중 썬크리미가 있다.
이러한 전분은 상기 팽화미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0~7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하는데, 상기 전분이 50중량부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7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량이 되어 즉석 떡의 풍미, 성형성, 식감 등이 오히려 저하되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탈지분유는 우유에서 지방을 분리, 제거하고, 이를 건조시켜 분말로 만든 것으로, 그 보존기간이 1년 이상이며, 물을 부으면 다시 우유로 환원되는 환원유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를 본 발명의 프리믹스 조성물에 포함할 경우, 떡에 우유의 영양성분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풍미를 개선하고, 질감을 부드럽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러한 탈지분유는 상기 팽화미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1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하는데, 상기 탈지분유가 5중량부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오히려 즉석 떡의 전체적인 맛이 좋지 못해지는 등의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분말유지는 유지의 입자가 아교질 물질에 의하여 싸여 외기와 차단되어 있으므로 장기 보존이 가능하며, 제조되는 즉석 떡의 수분보유력을 높여주고, 부드러운 식감을 부여한다. 아울러, 노화지연 등의 부가적인 효과 역시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분말유지로는 식물성 유지 분말, 동물성 유지 분말 및 이들의 혼합물 중 1종인 것을 사용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식물성 유지는 팜유, 채종유, 대두유, 야자유, 해바라기유, 현미유 및 상기 유지의 경화유 또는 에스테르 교환 유지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고, 상기 동물성 유지는 돈지, 우지, 어유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수분산성인 모든 식물성 또는 동물성 유지의 분말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분말유지는 상기 팽화미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30~5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하는데, 상기 분말유지 30중량부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50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제조되는 즉석 떡의 품질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증점제는 프리믹스 조성물을 물과 혼합할 시 점도를 높이고, 유화안정성을 증진하며, 물성 및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식품 첨가물로서,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메틸셀룰로오스(Methylcellulos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cellulose), 잔탄검(Xanthan Gum), 구아검(Guar Gum), 로커스트검(locust gum),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카제인나트륨(sodium caseinate), 팩틴(Pectin), 프로필렌글리콜알기네이트(Propylene Glycol Alginate), 폴리아크릴산나트륨(Sodium Polyacrylate), 한천(aqar) 및 카라기난(Carrageenan)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증점제는 상기 팽화미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1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리믹스 조성물은 소금 및 당분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소금으로는 정제염을, 당분으로는 설탕 또는 슈가파우더의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팽화미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소금은 1~3중량부, 당분은 30~45중량부의 범위로 포함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즉석 떡 제조용 프리믹스 조성물은 별도의 가열 또는 전자레인지의 조리 없이 그대로 반죽, 성형하는 것만으로, 즉석 떡의 제조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프리믹스 조성물을 이용하여 즉석 떡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와 같은 조성의 프리믹스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준비된 프리믹스 조성물에 물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와, 상기 반죽된 반죽물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먼저 상기 프리믹스 조성물을 준비하고, 이에 물을 투입하여 반죽한 후, 상기 반죽된 반죽물을 성형함으로써 제조를 완료한다. 이때, 물은 상온의 물 또는 미온수를 사용하는 정도(물의 온도가 20~40℃ 정도)면 족하며, 그 사용량 역시 프리믹스 조성물과 물을 1: 0.5~1 중량비 정도로 혼합하면 된다.
아울러, 상기 제조하는 떡의 종류는 제한하지 않는바, 가래떡, 절편, 개피떡, 송편, 단자, 시루떡, 꽃떡, 망개떡, 찹쌀떡, 인절미, 영양찰떡 등 다양한 종류의 떡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별도의 떡성형용 소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프리믹스 조성물로 제조된 즉석 떡은 가열 또는 전자레인지의 처리 없이도 그대로 취식이 가능한 것이며, 그 관능적 특성 역시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떡과 유사한 수준으로, 떡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프리믹스 조성물을 제조하고, 물을 혼합하여 반죽한 후, 떡을 성형하였다. 이때, 떡의 성형은 절편으로 하였다. 그리고 팽화미 분말로는 실시예 1 내지 4는 멥쌀 백미를, 실시예 5 내지 8은 찹쌀 백미를 이용하였으며, 팽화 곡물 분말로는 실시예 3, 7은 콩, 실시예 4, 8은 옥수수를 이용하였다. 또한, 모든 실시예에서 전분으로는 옥수수 전분을 이용하되, 실시예 2 및 실시예 6에서만 옥수수 알파화 전분을 이용하였으며, 분말유지로는 시판상품인 썬크리미를, 증점제로는 알긴산나트륨을, 소금으로는 천일염을, 당분으로는 슈가파우더를 사용하였다.
아울러, 물은 30℃의 것을 사용하였으며, 물과 프리믹스 조성물과 1:0.7중량비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실시예들의 조성비(중량부)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팽화미 분말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팽화
분말
- - 20 20 - - 20 20
전분 60 60 60 60 60 60 60 60
탈지
분유
7.5 7.5 7.5 7.5 7.5 7.5 7.5 7.5
분말유지 46 46 46 46 46 46 46 46
증점제 7.5 7.5 7.5 7.5 7.5 7.5 7.5 7.5
소금 1.5 1.5 1.5 1.5 1.5 1.5 1.5 1.5
당분 38 38 38 38 38 38 38 38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팽화미 분말을 대신하여 건조 쌀 분말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시판중인 전자레인지 제조용 즉석 떡용 프리믹스 조성물을 구입하여, 표기된 조리법대로 떡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상기와 같이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을 통해 제조된 떡의 맛, 식감, 선호도 등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관능시험은 식품관련 전문가 및 일반 소비자 1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였고, 점수 및 평가기준은 9점 채점법을 이용하였으며,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한편, 대조군으로는 떡집에서 판매하고 있는 백미 절편을 구입하였다.
시험예 1의 평가기준
점수 평가 기준
9 매우 좋음
7 좋음
5 보통
3 나쁨
1 매우 나쁨
시험예 1의 결과
구분 식감 종합적 선호도
실시예 1 7.2 7.0 7.2
실시예 2 7.4 7.4 7.4
실시예 3 7.4 7.4 7.4
실시예 4 7.4 7.6 7.4
실시예 5 7.0 7.0 7.0
실시예 6 7.4 7.2 7.2
실시예 7 7.4 7.4 7.4
실시예 8 7.2 7.2 7.2
비교예 1 3.4 4.0 3.6
비교예 2 5.2 4.4 4.8
대조군(절편) 7.0 7.4 7.2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8은 쌀가루를 사용한 비교예 1과, 전자레인지 가열처리한 비교예 2에 비해 맛, 식감 및 종합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대조군인 절편과 유사한 수준의 기호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알파화 전분을 이용한 실시예 2 및 실시예 6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5보다 맛, 식감, 기호도에서 다소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팽화 분말을 더 추가한 실시예 3, 4, 7, 8이 실시예 1, 5보다 맛, 식감, 기호도에서 다소 높은 평가를 받았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

  1. 팽화미 분말 100중량부, 팽화 분말 10~50중량부, 전분 50~70중량부, 탈지분유 5~10중량부, 분말유지 30~50중량부, 증점제 5~10중량부, 소금 1~3 중량부 및 당분 30~45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팽화미 분말은, 멥쌀, 찹쌀 또는 이들 혼합물을 증숙하여 호화시키고, 건조한 후, 팽화시켜 분쇄한 것이고,
    상기 팽화 분말은, 찹쌀, 감자, 고구마, 타피오카, 보리, 귀리, 밀, 수수, 옥수수, 콩, 녹두, 율무, 조, 기장, 팥 및 메밀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곡물을 팽화시킨 후, 분쇄한 것이며,
    상기 당분은 설탕 또는 슈가파우더임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 제조용 프리믹스 조성물.
  2. 제1항의 프리믹스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프리믹스 조성물에 물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 및
    상기 반죽된 반죽물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즉석떡의 제조방법
KR1020190052048A 2019-05-03 2019-05-03 즉석 떡 제조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프리믹스 조성물을 이용한 즉석 떡의 제조방법 KR201900509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048A KR20190050948A (ko) 2019-05-03 2019-05-03 즉석 떡 제조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프리믹스 조성물을 이용한 즉석 떡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048A KR20190050948A (ko) 2019-05-03 2019-05-03 즉석 떡 제조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프리믹스 조성물을 이용한 즉석 떡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539A Division KR102003791B1 (ko) 2016-02-25 2016-02-25 즉석 떡 제조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프리믹스 조성물을 이용한 즉석 떡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948A true KR20190050948A (ko) 2019-05-14

Family

ID=66581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048A KR20190050948A (ko) 2019-05-03 2019-05-03 즉석 떡 제조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프리믹스 조성물을 이용한 즉석 떡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094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7652A (ko) 2005-07-11 2007-01-16 한국식품연구원 전자레인지 조리용 즉석떡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0869406B1 (ko) 2008-03-04 2008-11-21 백석문화대학 산학협력단 즉석 인절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인절미
KR20090042672A (ko) 2007-10-26 2009-04-30 씨제이제일제당 (주) 전자레인지 조리용 찰떡 프리믹스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298499B1 (ko) 2011-08-31 2013-08-21 대상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용 떡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즉석 떡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7652A (ko) 2005-07-11 2007-01-16 한국식품연구원 전자레인지 조리용 즉석떡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090042672A (ko) 2007-10-26 2009-04-30 씨제이제일제당 (주) 전자레인지 조리용 찰떡 프리믹스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69406B1 (ko) 2008-03-04 2008-11-21 백석문화대학 산학협력단 즉석 인절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인절미
KR101298499B1 (ko) 2011-08-31 2013-08-21 대상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용 떡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즉석 떡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89702A (zh) 用于生产带馅食品用馅料的方法和包含馅料的食品
KR102003791B1 (ko) 즉석 떡 제조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프리믹스 조성물을 이용한 즉석 떡의 제조방법
KR101869015B1 (ko) 소스가 첨가된 떡볶이 및 그 제조방법
Kaur et al. Quality characterization of brown rice pasta supplemented with vital gluten and hydrocolloides
US6641856B1 (en) Beverage containing a kayu-like fermentation product
JPH0775479A (ja) 菓子類の製造法
KR20140067708A (ko) 쌀국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쌀국수
KR101771099B1 (ko) 통 옥수수 빵 제조방법
JP2012130278A (ja) スポンジケーキ類の製造方法
KR101406345B1 (ko) 구운 한과 찹쌀 스낵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32487A (ko) 무발효 호떡
KR101271281B1 (ko) 비지 분말을 포함하는 쿠키용 조성물
KR20190050948A (ko) 즉석 떡 제조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프리믹스 조성물을 이용한 즉석 떡의 제조방법
JP5859292B2 (ja) チルドパンの製造方法
KR20200050605A (ko) 영양성분이 균형있게 조합된 식사대용 선식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식사대용 선식
KR20100057342A (ko) 쌀을 기재로한 카스타드 크림 및 그 제조 방법
JP2023042787A (ja) 人工肉を用いた加工食品および人工肉を用いた加工食品の製造方法
KR102115214B1 (ko) 통밀 발아 숙성물을 이용한 빵 또는 과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빵 또는 과자
JP6855214B2 (ja) 風味改善剤
KR20110048294A (ko) 다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쌀국수의 제조방법
KR20070009904A (ko) 겉절이용 양념 조성물
JP4119599B2 (ja) 油脂添加小麦粉の製造法
JP3902782B2 (ja) 含泡食品用粉体組成物
JP2016002073A (ja) お好み焼粉
JP3590185B2 (ja) 菓子類用小麦粉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