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9856A - 점퍼들을 포함한 플러그인 커넥터 - Google Patents

점퍼들을 포함한 플러그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9856A
KR20190049856A KR1020197010817A KR20197010817A KR20190049856A KR 20190049856 A KR20190049856 A KR 20190049856A KR 1020197010817 A KR1020197010817 A KR 1020197010817A KR 20197010817 A KR20197010817 A KR 20197010817A KR 20190049856 A KR20190049856 A KR 20190049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 carrier
plug
housing cover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0145B1 (ko
Inventor
우베 준더마이어
안드레 베네케
Original Assignee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filed Critical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49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8Short-circuiting members for bridging contacts in a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4Securing in base or cas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sulating parts having at least one resilient insul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플러그인 커넥터 내에서 점퍼들의 편리하면서도 유연한 변경이 가능한 형성을 위해, 본 발명에 따라서, 하우징 커버(10)에는 그에 분리 가능하게 걸림 고정되는 접촉 캐리어(3)가 구비된다. 접촉 캐리어(3)는 2개 부재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 부재(1)와 하부 부재(32)를 보유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는, 플러그인 커넥터의 소켓 접점들(28)을 브리지하기 위한 개별 U형 접점 핀들(8, 8', 8")을 수용하거나, 또는 인출하고, 그리고/또는 옮겨 끼우기 위해, 서로 분리되고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완전한 접촉 캐리어(3)는 다른 브리지 할당을 갖는 다른 접촉 캐리어와 교체될 수도 있다. 그 결과, 전기 시스템의 작동 상태는 개별적으로 정의되고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가 개방된 경우, 외부 테스트 플러그가 유지보수 목적을 위해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접촉 캐리어(3)는 하우징 커버(10) 내의 공차 보상을 위해 소정의 기계적 "유격"을 보유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접점 핀들(8, 8', 8") 및 접촉 캐리어(3)는 하우징 커버(10)를 개방하고 폐쇄할 때 기계적 응력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점퍼들을 포함한 플러그인 커넥터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 제1항의 유형에 따르는 접촉 캐리어(contact carrier)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등의 독립 청구항 제20항에 따르는 전기 시스템, 특히 에스컬레이트의 작동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점퍼들을 포함한 플러그인 커넥터들은 특히 전기 시스템들에서, 예컨대 에스컬레이터들에서 유지보수 작업의 실시를 위해 요구된다.
종래 기술에는, 대략 1996년 이후 기능상 필적하는 플러그인 커넥터들이 공지되어 있다. 당시, "하르팅 엘렉트로니쉐 바우엘레멘트 게엠베하(HARTING elektronische Bauelemente Ges.m.b.H.)" 사는 빈(Wien)에 소재한 "콤팩트 일렉트릭(Compact Electric)" 사와 협력하여 "쉰들러(Schindler)" 사[오늘날 상호: 쉰들러 파르트레펜 인터나치오날 게엠베하(Shindler Fahrtreppen International GmbH)"]를 위해 부착 하우징을 포함한 6-핀 중부하 플러그인 커넥터(6-pin heavy load plug-in connector)를 제조하였으며, 부착 하우징은 회동 가능한, 특히 젖힘 개방 및 스냅식 폐쇄가 가능한 하우징 커버를 포함한다. 이런 회동 가능한 하우징 커버들 내에는, 6개까지의 접점 핀이 그 위에 납땜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이 각각 나사 조임된다. 상기 접점 핀들은 일반적으로 한 쌍씩 인쇄회로기판의 각각 하나의 스트립 도체를 통해 전기 전도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그렇게 단축형으로 보통 "브리지"라고도 하는 전기 점퍼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는 6개의 접점 소켓들이 그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절연체를 보유한다. 하우징 커버를 폐쇄하는 것을 통해, 예컨대 접점 소켓들 중 각각 2개가 "브리지"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브리지들 중 하나를 통해 전기 전도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 상에서 스트립 도체들의 경로를 통해, 하나의 브리지에 속하는 접점 핀들과 그에 따른 이 접점 핀들에 대향하여 위치하여 브리지될 접점 소켓들이 상응하는 쌍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을 다른 상응하는 인쇄회로기판으로 교체하는 것을 통해, 상기 쌍 형성은 각각의 요건들에 매칭된다.
하우징 커버를 폐쇄하는 것을 통해, 브리지된 접점들을 통해 전기 시스템, 예컨대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이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폐쇄된 하우징 커버가 작동 상태에 상응한다. 하우징 커버가 개방될 경우 작동은 중단되며, 그리고 그 대신 테스트 플러그(test plug)가 카운터 플러그(counter plug)로서 플러그인 커넥터 상으로 끼워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개방된 하우징 커버는 유지보수 상태에 상응한다.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의 기본적인 하우징 구조 형상은 당시의 종래 기술에 상응한다. 예컨대 하우징 커버의 필적하는 힌지 조인트 메커니즘은 이미 독일 공보 DE 24 51 662 A1호에 기술되었다. 또한, 유럽 공보 EP 0 731 534 A2호도 당시 사용되던 이른바 "이지록(Easy-Lock)" 록킹 브래킷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 록킹 브래킷의 측면 부재들은 포켓부들(pocket)을 포함하고, 이 포켓부들 내에는 각각 하나의 스프링 부재와 하나의 토글 레버(toggle lever)형 록킹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조금 늦게 개시되었고 특히 우수한 EMC("전자기 호환성") 보호형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을 기술하고 있는 유럽 공보 EP 0 957 540 B1호에는, 특히 실링 링이 언급되어 있으며, 이 실링 링에 의해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은 먼지 및 습기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카운터 플러그에 대해, 또는 자체 하우징 커버에 대해서도 밀봉될 수 있다.
실제로 자신의 하우징 커버 내에 전기 점퍼들이 배치되어 있는 것인 플러그인 커넥터의 기능성은 기본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가끔, 접점 소켓들 내로 삽입되는 접점 핀들이 하우징 커버의 회동 이동 동안 접점 소켓들과 함께 소정의 기계적 모멘트를 인쇄회로기판에 가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이 기계적 하중에 노출된다는 결함에 대한 지적이 있었다. 또한, 하나의 단순한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많은 개수의 브리지들의 구현은 적어도 어렵거나, 또는 심지어는 더 이상 실현될 수 없다. 이는 특히 바람직하지 못한데, 그 이유는 상기 브리지 기능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개수의 접점 핀들을 포함하는 플러그인 커넥터를 위해서도, 예컨대 10-핀 플러그인 커넥터를 위해서도 점점 더 많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의 종래 기술에서 또 다른 단점은, 브리지들의 구성을 한번 변경해야 할 경우, 인쇄회로기판의 교체 또는 완전한 하우징 커버의 비용 집약적 교환의 조립 비용에 있다.
그에 상응하게, 예컨대 작동 상태의 변경을 위해 브리지 할당의 편리하면서도 비용 효과적인 변경의 옵션이 요구된다. 또한, 일부 적용을 위해, 브리지들의 높은 통전 용량도 요구된다.
독일 특허 및 상표청은 본 출원에 대한 우선권 출원에서 하기의 종래 기술을 조사하였다. - DE 81 21 654 U1호, DE 44 13 043 A1호, JP 2001-110511 A호, DE 694 04 001 T2호, JP 2013-12437 A호, DE 10 2004 018 554 A1호, DE 20 2011 108 572, U1호 및 US 2014/0057483 A1호.
본 발명의 과제는, 전기 시스템, 예컨대 에스컬레이터에서 유지보수 상태와 작동 상태 간의 편리한 전환을 허용하는 내구성 있는 장치를 명시하는 것에 있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의 과제는, 유지보수 모드에서 플러그인 커넥터의 최대한 많은 접점 소켓들이 외부 테스트 플러그에 접근할 수 있고 작동 상태에서는 한 쌍씩 브리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과제는, 브리지들의 구성이 편리하면서도 경제적 가격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들을 통해 해결된다.
접촉 캐리어는 점퍼들의 형성을 위한 복수의 U형 접점 핀들을 수용하는데 이용되며, 그리고 플러그인 커넥터의 하우징 커버 내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합하다. 접촉 캐리어는 특히 적어도 2개 부재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접촉 캐리어는 예컨대 2개 부재형으로, 3개 부재형으로, 4개 부재형으로, ..., n개 부재형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접촉 캐리어는 적어도 2개 부재형으로, 적어도 3개 부재형으로, 적어도 4개 부재형으로, ... 적어도 n개 부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접촉 캐리어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전기 절연 재료,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접촉 캐리어는 플러그인 커넥터의 하우징 커버 내에서 분리 가능하게, 그리고 이와 동시에 바람직하게는 기설정된 공차 범위 이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파지될 수 있다. 접촉 캐리어 내에 배치되는 U형 접점 핀들은 플러그인 커넥터의 절연체 내에 배치되는 접점 소켓들에 대한 전기 점퍼들을 형성하는데 이용된다. 케이블 연결부 측에서 상기 접점 소켓들은 예컨대 전기 시스템, 특히 에스컬레이터의 컴포넌트들과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촉 캐리어의 다중 부재형, 다시 말해 적어도 2개 부재형, 예컨대 적어도 3개 부재형 형태를 통해, 브리지들("전기 점퍼들"에 대한 단축형)을 형성하는 U형 접점 핀들의 경로들은 접촉 캐리어의 내부에서 교차될 수 있다. 구성의 경제적 가격의 변경을 위해, U형 접점 핀들은, 예컨대 접촉 캐리어의 복수의 부재들을 분리하고 결합하는 것을 통해, 접촉 캐리어에서 개별적으로 인출되고, 그리고/또는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한 특정 브리지가 각각의 필요에 따라서 탈거되고, 그리고/또는 부가될 수 있으며, 더욱 정확하게 말하면 특히 용이하게 탈거되거나 부가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U형 접점 핀들은 인쇄회로기판의 스트립 도체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횡단면을 보유할 수 있다. 이는, 그 결과 인쇄회로기판 해결책에 비해 브리지들의 기계적 안정성뿐만 아니라 통전 용량 역시도 현저하게 향상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자명한 사실로서, 특별한 구현예에서, 다중 부재형 접촉 캐리어의 부재들은 U형 접점 핀들의 삽입 후에 상호 간에 걸림 고정(latching)되고, 그리고/또는 상호 간에 접착될 수 있다. 그러나 접착하는 경우, 그 시점부터, 상기 부재들의 인출 가능성, 그리고 그에 따른 상기 접촉 캐리어의 변경된 구성 가능성은 더 이상 제공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강하게 제한된다. 이와 반대로, 걸림 고정은 상기 접촉 캐리어의 차후 재구성 역시도 가능하게 한다.
접촉 캐리어가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의 하우징 커버 상에 배치되면, 그 즉시 U형 접점 핀들은, 특히 회동 이동을 이용하여 하우징 커버를 폐쇄/스냅식 폐쇄하는 것을 통해, 자동으로 플러그인 커넥터의 각각의 접점 소켓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그리고 그 결과 각각 이를 위해 제공된 접점 소켓 쌍을 전기적으로 브리지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상기 쌍을 형성하는 두 접점 소켓을 전기 전도 방식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접촉 캐리어는, 사용될 때, 단순한 접점 핀들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납땜되거나, 또는 U형 접점 핀들이 오직 하우징 커버 내로만 삽입되고 예컨대 플라스틱 재료로 인서트 성형되는 해결책에 비해 특히 바람직하다.
그에 비해, 다중 부재형 접촉 캐리어는, 예컨대 개별 U형 접점 핀들이 언제든지 손으로 접촉 캐리어에서 탈거되고, 그리고/또는 그 내로 삽입될 수 있다는 장점을 보유한다. 그에 따라, 하기에 여전히 설명되는 것처럼, 전기 시스템, 예컨대 에스컬레이터의 작동 상태 역시도 변경될 수 있다.
접촉 캐리어가 그 내에 파지되는 하우징 커버에 대해 접촉 캐리어의 소정의 이른바 "유격(play)"을 통해, U형 접점 핀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러그인 커넥터의 접점 소켓들 내에 삽입되어 있는 동안에도, 의도되지 않는 기계적 응력들의 생성 없이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의 하우징 커버를 폐쇄, 다시 말해 스냅식으로 폐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또는 개방, 다시 말해 젖힘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기계적 공차들이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안정적이면서 유연하다는 장점을 보유한다. 상기 유격은 예컨대 하우징 커버 내에 원형 횡단면을 보유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의 포지셔닝 핀(positioning pin)이 배치되는 것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접촉 캐리어는, 장공(long hole)형 횡단면을 보유하여 상기 포지셔닝 핀의 수용을 위해 적합한 포지셔닝 개구부들을 보유할 수 있으며, 보조 축(secondary axis)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커버의 회전축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되고 주축(main axis)은 바람직하게는 그에 수직으로 정렬된다. 그 결과, 접촉 캐리어는 하우징 커버의 회동 방향으로 전술한 공차를 보유하고 그에 대해 수직으로 포지셔닝되며 그와 동시에 자신의 래치 아암들(latch arm)로 하우징 커버의 카운터 래치 아암들 내에서 파지될 수 있다.
또한, 브리지들의 구성은, 접촉 캐리어를 통해 기설정된 가능성 이내에서, 예컨대 접촉 캐리어 내로/외로 개별 U형 접점 핀들의 적합한 교환, 배치, 탈거 및/또는 부가를 통해, 언제든지 작동 상태의 의도되고 변경된 기능에 매칭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접촉 캐리어는 전술한 자신의 적어도 2개의 부재들에 추가로, 서로 연결된 부재들 상에 장착될 수 있는 제3 부재, 특히 그 상에 스냅온 고정(snap-on)될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접촉 캐리어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부재와 하나의 하부 부재와 전술한 커버를 보유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접촉 캐리어는 이런 경우에 적어도 총 3개 부재형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런 경우, 상부 부재는 우선 하부 부재 상에 장착된다. 이후, 커버는 상부 부재 상에 장착되고 특히 하부 부재 상에서는 고정되며, 예컨대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는, 예컨대 하부 부재의 래치 돌출부들(latch projection) 상에 걸림 고정되는 래치 잠금용 공간부들(space for locking latch)을 구비한 고정 섀클들을 보유할 수 있다. 이런 걸림 고정을 통해,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한편으로 상부 부재 역시도 하부 부재 상에서 파지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다른 한편으로, 커버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부 부재 상에 안착되고 그 결과 상부 부재를 통과하여, 특히 상부 부재의 하나 이상의 접점 수용부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접점들 역시도 덮는 보호면을 보유한다. 이런 방식으로, 상기 보호면을 통해, 하나 이상의 통전하는 접점 핀에 대한 예컨대 손의 접촉은 확실하게 방지된다. 다시 말해, 커버는 이중 기능, 요컨대 전기적 안전 기능뿐만 아니라 기계적 구조 고정 기능 역시도 충족할 수 있다.
전기적 안전 기능은, 특히 (적어도 이론상으로, 그리고/또는 손상이 있는 경우에) 플러그인 커넥터의 하우징 커버의 개방 시, 하우징 커버 상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 접촉 캐리어가 한편으로 의도하지 않게 하우징 커버로부터 분리되며, 그에 반해 다른 한편으로 하우징 커버 내에 수용된 접점 핀들이 여전히 절연체 내에 끼워져 있고 그 결과 기계적으로 그 상에 파지되어 있는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이는, 자명한 사실로서, 접촉 캐리어의 규정에 따른 사용에 상응하지 않으며, 그리고 오조작 또는 손상 시 가능한 위험원을 나타내는데, 왜냐하면, 접점 핀들이 절연체 내에 배치된 소켓 접점들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상기 소켓 접점들 중 적어도 하나, 그리고 그에 따라 각각 소켓 접점과 연결된 접점 핀 역시도 최악의 경우 심지어 생명에 위험한 전압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접촉 캐리어의 전술한 커버 및 특히 접촉 캐리어의 보호면을 통해, 상기 결함이 있는 경우, 상기 접점 핀과 손의 접촉은 확실하기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기초적인 결함 조건을 통한, 예컨대 접촉 캐리어를 커버 내에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응하는 안전 규정을 무시하여 절연체 내에 직접 끼우는 교육을 받지 않은 직원을 통한 상기 유형의 위험은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이를 위해 특히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측에서 최종적으로 개별 구성되는, 다시 말하면 의도되는 U형 접점 핀들을 구비하는 접촉 캐리어를 접착하며, 그리고 이와 동시에 접촉 캐리어의 커버를 다른 부재들, 특히 상부 및 하부 부재와 접착하는데, 그 이유는 커버가 그런 다음 최종적으로 더 이상 제거될 수 없기 때문이다.
브리지 할당을 훨씬 더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컨대 개조된 시스템과 함께 플러그인 커넥터를 작동시키거나, 또는 시스템의 작동을 기본적으로 전환하기 위해,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자명한 사실로서 의도되고 새로운 구성을 보유하는 다른 접촉 캐리어가 현재 사용 중인 접촉 캐리어와 교환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현재 사용 중인 접촉 캐리어 대신 하우징 커버 내에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비용 효과적이고 복잡하지 않은 방식으로, 교환 대상 접점 캐리어 내에 접점 수용부들이 제공되지 않는 새로운 브리지 연결들도 가능해진다.
바로 다른 접촉 캐리어와 접촉 캐리어의 상기 교환은 각각의 접촉 캐리어 미 하우징 커버의 래치 및 포지셔닝 수단을 통해 마찬가지로 매우 편리하면서도 비용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본 변형예는, 앞에서 기술한 것처럼, 예컨대 현재 사용 중인 접촉 캐리어가 자신의 접점 수용부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정해지고 요구되는 브리지의 경로를 지원하지 않을 때 제공된다.
특히 상기 방법은, 접착된 접촉 캐리어, 특히 안전의 이유에서 접착된 커버를 포함한 접촉 캐리어들의 사용을 위해 적합하다.
이런 방식으로, 사용자에 의해, 기존 플러그인 연결부를 위해 상이한 브리지 기능들을 갖는 다양한 접촉 캐리어들이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상이한 적용들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다양한 접촉 캐리어들을 특징들, 특히 광학 특징들로 구별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특히 각각의 적용에 접촉 캐리어들의 할당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상이한 색상들로 접촉 캐리어들을 구현할 수 있다(예: 에스컬레이트가 상향 이동해야 하는 경우: 접촉 캐리어는 녹색이다; 에스컬레이트가 하향 이동해야 하는 경우: 접촉 캐리어는 적색이다)
그 대안으로, 또는 그에 보충되어, 접점 소켓들의 특별한 할당들은 케이블 연결부 측에서 실현될 수도 있지만, 그러나 이는 실제로 예컨대 기본적으로 결정된, 예컨대 표준화된 접점 소켓들의 할당을 기반으로 가끔 요구되지 않는다. 이런 경우에도,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 접촉 캐리어는, 기설정된 케이블 연결부 측 할당에 간단하게 취급될 수 있으면서 유연하면서도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매칭되는 특히 유연하고 그와 동시에 매우 편리하게 조작 가능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하기에서는, 다중 부재형 접촉 캐리어의 특별한 장점들이 명백하게 제시된다.
예컨대 10-핀 플러그인 커넥터를 위한 접촉 캐리어는, 5개의 U형 접점 핀들을 수용하기 위해 적합하며, 그런 다음 접점 핀들은 접촉 소켓 쌍들(5-10; 4-6; 1-7; 2-8; 3-9) 간에 각각 하나의 브리지를 형성한다. 접촉 소켓들(5-10) 사이의 브리지와 접촉 소켓들(2-8) 사이의 브리지가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 경우, 상응하는 U형 접점 핀들은 접촉 캐리어의 개별 부재들의 적합한 분리를 통해 용이하게 접촉 캐리어에서 탈거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이를 위해 접촉 캐리어는 사전에 하우징 커버에서 인출되고 그런 후에 다시 하우징 커버에 고정되며, 이는 특히 공통의 래칭 메커니즘을 통해 매우 용이하게 가능하다. 그런 관점에서, 하우징 커버를 폐쇄할 때 단지 접점 소켓 쌍들(4-6; 1-7; 3-9)만이 여전히 브리지된다.
차후에 예컨대 상기 브리지들 중 하나가 다시 요구된다면, 사전에 탈거된 U형 접점 핀은 특히 용이하게 동일한 방식으로 접촉 캐리어 내에 조립될 수 있다. 이런 개별 접촉 브리지들의 조립 및 분해의 과정은 접촉 캐리어의 개별 부재들을 간단하게 분리하는 것을 통해 비파괴 방식으로, 그리고 거의 임의로 자주 반복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경우에 따라 플러그인 커넥터의 케이블 연결부 측 할당과 함께 구성의 특히 유연하고 그와 동시에 특히 복잡하지 않은 변경을 허용한다.
특히 2개 부재형 접촉 캐리어는, 접촉 캐리어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될 수 있는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하기에서 기술되는 기술은 예시로서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포함하는 2개 부재형 접촉 몸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된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 교시가 정확히 각각 임의의 다중 부재형 실시예로, 다시 말해 예컨대 접촉 캐리어의 3개, 4개, 5개, ..., n개 부재형 실시예로도 즉시 전용된다는 것을 분명하게 알고 있다.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 모두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인 기본 형태를 보유할 수 있으며, 그리고 각각 하나의 접촉면과 그에 대향하여 하나의 플러그인 영역을 포함한다.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결합할 때, 상부 부재의 플러그인 영역은 하부 부재의 접촉면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부재의 접촉면 내에는, 접점 수용부로서 하나 이상의 긴 함몰부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부재의 접촉면 내에는 마찬가지로 접점 수용부로서 하나 이상의 긴 함몰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예컨대 10-핀 플러그인 커넥터 내에서의 사용을 위해 제공되는 접촉 캐리어는 5개의 접점 수용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하부 부재의 접촉면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예컨대 4개의 접점 수용부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부 부재의 접촉면은 그에 상응하게 하나의 접점 수용부를 보유할 수 있다. 접점 수용부들 중 일부는 동일한 길이를 보유할 수 있다. 접점 수용부들 중 일부는 자신들의 길이와 관련하여 서로 다를 수 있다.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 모두는, 각각의 접점 수용부의 단부들 상에, 접점 관통 접속을 위해, 특히 U형 접점 핀들의 플러그 측 단부 영역들의 관통 접속을 위해 각각의 접촉면으로 이어지는 관통 개구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부재는, 접촉 캐리어의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부재의 관통 개구부들로 이어지는 추가 관통 개구부들을 추가로 보유할 수 있다. 그 결과, 상부 부재의 접점 수용부 내로 삽입된 U형 접점 핀은, 결과적으로 각각의 접점 소켓들에 대해 자신의 브리지 기능을 충족하기 위해, 자신의 플러그 측 단부 영역들로, 그리고 상부 부재의 관통 개구부들 및 하부 부재의 추가 관통 개구부들을 모두 통과하여 안내될 수 있다.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는 상호 간의 걸림 고정 및 맞물림 고정을 위해 래치 수단들, 예컨대 래치 후크들 및 래치 리세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래치 수단들은 추가로 포지셔닝 기능 역시도 보유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또는 그에 보충되어,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는 자신들의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간의 포지셔닝을 위한 별도의 포지셔닝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부 부재는 자신의 플러그인 영역에 포지셔닝 핀들을 포함할 수 있고, 하부 부재는 자신의 접촉면 상에 그에 적합한 포지셔닝 리세스들을 보유할 수 있다. 매우 특별한 구현예에서,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는 U형 접점 핀들의 삽입 후에 상호 간에 접촉될 수 있으며, 이는 비록 안정성을 높이기는 하지만, 그러나 유연성을 제한한다. 그러나 접착은 공장 측에서 수행되지 않아도 되지만, 그러나 접촉 캐리어의 최종적인 구성/장착이 수행된 후에 고객에 의해서도 실시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항상 브리지 할당의 개별화는 유연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접촉 캐리어는 자체에 분극 및 걸림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분극 수단은 접촉 캐리어의 바람직하게 L형인 분극 요소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분극 요소는 접촉 캐리어 상에, 예컨대 접촉 캐리어의 상부 부재 상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래치 수단은 접촉 캐리어의 하나 또는 복수의 래치 아암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래치 아암은 예컨대 하부 부재 상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 수단들은 하우징 커버의 카운터 래치 수단들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접촉 캐리어는, 하우징 커버의 카운터 래치 아암들에 걸림 고정되는 래치 아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보충되어, 하우징 커버는 포지셔닝 핀들을 보유할 수 있고 접촉 캐리어는 포지셔닝 개구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접촉 캐리어가 절연체와 관련하여 정의된 위치를 보유함으로써 접촉 캐리어에 의해 파지되는 U형 접점 핀들이 절연체 내에 배치된 접점 소켓들에 접촉하도록 하기 위해 절연체의 접촉 리세스들 내로 밀어 넣어진다는 장점을 갖는다. 포지셔닝 핀들과 포지셔닝 개구부들 사이에는, 하우징 커버에 대해 접촉 캐리어의 약간의 경동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전술한 유격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부재는, 자신의 플러그인 영역에서, 전술한 관통 개구부들 상에 U형 접점 핀들의 플러그 측 단부 영역들의 기계적 가이드 및 더 나은 상호 간 전기 절연을 위한 중공 원통형 형상부들도 보유할 수 있다.
U형 접점 핀들은 바람직한 방식으로 전기 전도 재료,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구성되며, 그리고 특히 직선으로 연장되는 중앙 영역을 보유하며, 이 중앙 영역은 바람직한 방식으로 접촉 캐리어의 적어도 하나의 접점 수용부와 동일한 길이를 보유한다. 중앙 영역의 양쪽 단부들 상에는 플러그 측 단부 영역들이 직각으로 만곡된다. 이를 위해, U형 접점 핀들은 중앙 영역과 플러그 측 단부 영역들 사이에 벤딩 영역(bending region)을 보유하며, 이 벤딩 영역은 자연히 소정의 곡률을 보유할 수 있다. 그에 따라 U형 접점 핀들의 중앙 영역은 각각의 접점 수용부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중앙 영역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측 단부 영역들은 동시에 각각의 관통 개구부들을 통과하여 끼워질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상기 단부 영역들은 하부 부재의 플러그 측 단부에서 접점 소켓의 접촉을 위해 하부 부재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이를 위해, 상부 부재 상에 배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U형 접점 핀은 하부 부재의 추가 관통 개구부들을 통과하여 관통 접속될 수 있다. 이렇게 하부 부재의 접촉면 상에서 모든 U형 접점 핀의 플러그 측 단부 영역들은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와 동시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인 영역의 전술한 중공 원통형 형상부들에 의해 섹션별로 둘러싸일 수 있지만, 그러나 자신의 단부들에서는 각각의 접점 소켓들 내로 끼워지도록 하기 위해 그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U형 접점 핀들은 다양한 구성들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접점 핀들은 특히 자신들의 중앙 영역의 길이를 통해, 그리고/또는 자신들의 플러그 측 단부 영역들의 길이를 통해 구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로 구성되는 2개 부재형 접촉 캐리어를 포함한 사용을 위해, 적어도 자신들의 플러그 측 단부 영역들의 길이에서 서로 구분되는 U형 접점 핀들의 사용이 제공된다.
상부 부재 내에서의 이용을 위해 제공되는 제1 접점 핀은 바람직한 방식으로 하부 부재 내에서의 이용을 위해 제공되는 제2 접점 핀보다 더 긴 단부 영역들을 보유한다. 마지막으로, 제1 U형 접점 핀의 단부 영역들은, 접점 소켓들에 접촉하기 위해, 상부 부재의 2개의 관통 개구부들뿐만 아니라 하부 부재의 2개의 추가 관통 개구부들, 그리고 경우에 따라 하부 부재의 원통형 형상부들을 통과하여 계속하여 하부 부재의 플러그인 영역에서 외부로 돌출되어야 한다. 제2 U형 접점 핀의 단부 영역들은, 각각의 접점 소켓들에 접촉하기 위해, 오직 하부 부재의 관통 개구부 및 경우에 따른 원통형 형상부를 통과하여 플러그인 영역에서 외부로 돌출되기만 하면 된다.
또한, U형 접점 핀들은 자신들의 중앙 영역들의 길이를 통해 서로 구분된다. 이를 통해, 각각의 접점 소켓들이 플러그인 커넥터의 절연체 내에서 어느 만큼 상호 간에 이격되어 배치되는지를 통해 기설정되는 브리지의 길이가 결정된다.
이런 방식으로, 정해진 접촉 캐리어를 포함한 사용을 위해, 적합한 U형 접점 핀들의 세트가 조립될 수 있으며, 이들 접점 핀 중에서 적어도 일부는 자신의 구조 형상에서 서로 구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U형 접점 핀들 중 적어도 2개는 자신들의 중앙 영역들의 길이를 통해, 그리고/또는 자신들의 플러그 측 단부 영역들의 길이를 통해 서로 구분된다.
하부 부재 내로 삽입된 U형 접점 핀들은 상부 부재와의 결합 및 경우에 따른 걸림 고정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부 부재 내로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U형 접점 핀은 하우징 커버 내에 접촉 캐리어의 고정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본원의 플러그인 커넥터는 적어도 하기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 그 상에 젖힘 개방 및 스냅식 폐쇄가 가능하게 파지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는 부착 하우징;
- 내부에 배치되는 접점 소켓들을 포함하는 절연체;
- 스냅식으로 폐쇄된 상태에서 하우징 커버를 잠금 고정하기 위한 록킹 메커니즘.
이미 언급한 것처럼, 접촉 캐리어는 하우징 커버 내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며, 특히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촉 캐리어는, 하우징 커버의 카운터 래치 아암들과 분리 가능하게 걸림 고정될 수 있는 래치 아암들을 보유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의 스냅식 폐쇄를 통해, 하나 이상의 접점 핀은, 접점 소켓들을 전기 전도 방식으로 서로 연결하기 위해, 다시 말해 브리지하기 위해, 자신의 두 단부 영역들로 접점 소켓들 중 2개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접촉 캐리어는, 이미 언급한 것처럼, 분극 수단, 예컨대 L형 분극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체는 이에 적합한 카운터 분극 수단, 예컨대 분극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분극 리세스 내로는 하우징 커버를 폐쇄할 때 접촉 캐리어의 분극 요소가 자동으로 맞물린다. 그에 대향하여, 절연체는 추가 카운터 분극 수단, 예컨대 분극 웨브(polarization web)를 보유할 수 있으며, 이 분극 웨브는 절연체에 상대적으로 접촉 몸체를 반대로 정렬할 때 하우징 커버의 폐쇄를 방지한다.
접촉 캐리어는, 하나 이상의 U형 접점 핀이 플러그 측에서, 특히 자신의 플러그 측 단부들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러그인 커넥터의 접점 소켓들 내에 삽입되어 있는 동안에도, 의도되지 않는 기계적 응력들의 생성 없이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의 하우징 커버를 젖힘 개방하거나 스냅식 폐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설정된 기계적 공차 범위 이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 커버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하우징 커버가 폐쇄 및 개방될 때 회전/회동 이동을 수행하는 동안, U형 접점 핀들의 플러그 측 단부 영역들은 접촉 소켓들 내에서 자연히 세로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접촉 캐리어와 하우징 커버 사이의 전술한 기계적 공차를 통해, 상기 두 이동은 기계적 응력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가능해진다.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는 측정 인터페이스로서 전기 시스템, 예컨대 에스컬레이터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블 연결부 측에서, 작동 상태에서 서로 전기 연결되어야 하는 시스템의 2개 이상의 전기 컴포넌트들은 플러그인 커넥터에 연결되며, 다시 말하면 플러그인 커넥터의 접점 소켓들 중 각각 하나와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된다. 하우징 커버를 개방하는 것을 통해, 작동 상태는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전기 컴포넌트들은 더 이상 전기 전도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이런 상태에서, 측정 장치의 테스트 플러그가 플러그인 커넥터 상으로 끼워질 수 있고 컴포넌트들은 별도로, 다시 말해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검사될 수 있다. 작동 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테스트 플러그는 탈거되고 하우징 커버는 다시 폐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각각의 접점 소켓들은 다시 브리지되며, 그리고 이들 접점 소켓에 연결된 시스템의 전기 컴포넌트들은 다시 전기 전도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그러나 가끔, 작동 상태가 변경되어야 하고, 시스템의 전기 컴포넌트들이 교체되어야 하고, 그리고/또는 플러그 핀 할당이 변경되는 등으로써 접촉 캐리어 내에서 브리지들의 구성의 변경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접촉 캐리어는, 요구되는 구성을 보유하는 다른 접촉 캐리어와 매우 용이하게만 교환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사례에서, 전기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 접촉 캐리어의 구성을 하기와 같이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A. 플러그인 커넥터의 하우징 커버로부터 접촉 캐리어를 분리하는 단계;
B. 접촉 캐리어의 2개 이상의 부재들을 상호 간에 분리하는 단계;
C. 접촉 캐리어 외로/내로 하나 이상의 U형 접점 핀을 인출하고, 그리고/또는 부가하고, 그리고/또는 옮겨 끼우는 단계;
D. 접촉 캐리어의 2개 이상의 부재들을 결합하는 단계;
E. 하우징 커버 상에 접촉 캐리어를 고정하는 단계.
특히 본원의 방법은 이어서 하기의 추가 방법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F. 하우징 커버를 폐쇄하며, 그리고 그 결과 접촉 캐리어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U형 접점 핀을 통해 2개 이상의 접점 소켓들 간의 전기 전도식 연결부를 자동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그 결과
G. 전기 시스템의 2개 이상의 전기 컴포넌트들을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하여, 상기 컴포넌트들이 각각 전기 전도 방식으로 2개 이상의 접점 소켓들 중 하나와 연결되게 하는 단계.
이런 방식으로, 유연하고 비용 효과적이면서 특히 복잡하지 않게 전기 시스템의 작동 상태가 변경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예컨대 에스컬레이터는 자신의 운전 방향을 변경하는 등의 과정이 수행되며, 이는 접촉 캐리어의 추가적인 장점을 나타낸다. 이런 경우에, 이와 동시에, 추가 부품이 요구되는 것이 아니라, 오직 기존 부품들만이 단지 적은 수작업만으로도 다른 방식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개방된 하우징 커버 및 그 내에 수용된 접촉 캐리어를 포함하는 플러그인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접촉 캐리어의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3b 및 3c는 U형 접점 핀들로 구성된 세트의 3가지 구조 형상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4b 및 4c는 접촉 캐리어를 도시한 각각의 분해도, 조립 시 상태도 및 조립된 상태도이다.
도 4d 및 4e는 커버를 포함하는 접촉 캐리어를 분리된 상태 및 조립된 상태에서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5b는 U형 접점 핀들이 장착된 접촉 캐리어를 도시한 각각의 하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 5c, 5d 및 5e는 장착된 하부 부재를 도시한 각각의 상면도, 측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 6a 및 6b는 하우징 커버를 그 내에 수용되는 접촉 캐리어를 포함하지 않은 상태 및 포함한 상태에서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6c, 6d 및 6e는 접촉 캐리어가 장착되고 하우징 커버가 개방되어 있는 플러그인 커넥터를 3가지 관점에서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6f는 하우징 커버가 폐쇄되어 있는 플러그인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들은 부분적으로 간소화된 개략도들을 포함하고 있다. 부분적으로, 동일하지만, 경우에 따라 같은 모양이 아닌 요소들을 위해 동일한 도면부호들이 이용된다. 동일한 요소들의 상이한 모습들은 상이한 축척 비율로 도시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1에는, 조인트(11);와 이 상에 회동 가능하게 파지된 하우징 커버(10);를 구비한 부착 하우징(12)을 보유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을 포함한 플러그인 커넥터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인 커넥터는, 본 도면에서 보이지 않는 접점 소켓들(28)을 구비한 절연체(2); 및 자신의 록킹 핀(104) 상에 경우에 따라 폐쇄된 하우징 커버(10)를 잠금 고정하기 위한 록킹 브래킷(14);을 보유한다.
하우징 커버(10) 내에는 2개 부재형 접촉 캐리어(3)가 수용되며, 이 접촉 캐리어는 여기서 명확성을 이유로 여전히 표시되지 않은 상부 부재(31)와 하부 부재(32)로 구성된다. 접촉 캐리어(3) 내에는, 본 도면에서 마찬가지로 명확성을 이유로 여전히 표시되어 있지 않은 U형 접점 핀들(8, 8', 8")이 전기 브리지들로서 배치되어 있다.
접촉 캐리어(3)는 서로 대향해 있는 2개의 단부들 상에 각각 하나의 래치 아암(321)을 보유한다. 하우징 커버(10)는 2개의 카운터 래치 아암들(101)을 보유하며, 이 카운터 래치 아암들의 자기 지지형 단부들 상에는 래치 후크들(103)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래치 후크들(103) 상에는 접촉 캐리어(3)가 자신의 래치 아암들(321)로 걸림 고정되고 이렇게 하우징 커버(10) 상에서 파지된다.
또한, 접촉 캐리어는 L형 분극 요소(311)를 보유하며, 이 분극 요소는 하우징 커버(10)를 폐쇄할 때 절연체(2)의 분극 리세스 내로 맞물리며, 분극 리세스는 이 분극 리세스를 한정하는 2개의 분극 웨브들(211)을 통해 형성된다. 절연체는 자신의 대향하는 면 상에, 중심에 배치되는 분극 웨브(211')를 포함하며, 이 분극 웨브는 절연체(2)에 상대적으로 접촉 몸체(3)를 반대로 정렬할 때 하우징 커버(10)의 폐쇄를 방지한다.
도 2a 및 2b에는, 접촉 캐리어(3)의 상부 부재(31) 및 하부 부재(32)가 자신들의 각각의 접촉면(314, 324)이 보이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그에 대향하여, 상기 부재들은 각각 하나의 플러그인 영역(315, 325)을 포함하며, 각각의 플러그인 영역들은 본 사시도에서 비록 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러나 실제로는 상부 부재(31) 또는 하부 부재(32)에 의해 덮이고 그로 인해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상부 부재(31)는 측면에서 그 상에 일체로 형성된 L형 분극 요소(311)를 포함하는 직육면체형 기본 형태를 보유한다. 상부 부재의 접촉면(314) 상에는 제1 접점 수용부(316)가, 자신의 단부들에서 각각 관통 개구부(318)를 통해 접촉 영역(315)과 연결되는 긴 함몰부의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부재(31)는 자신의 단부들의 근처에 관통하는 장공형 포지셔닝 개구부들(319)을 보유한다. 포지셔닝 개구부들(319)의 횡단면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반원들을 보유하며, 이들 반원들은 2개의 짧은 직선 섹션들을 통해 연결된다. 이처럼 포지셔닝 개구부들(319)의 특별한 횡단면 형태는, 하기에서 여전히 설명되는 것처럼, 공차 보상으로서 하우징 커버(10)에 대한 접촉 캐리어(3)의 이른바 "유격"으로 이용된다. 그 결과, 하우징 커버(10)를 폐쇄할 때 하우징 커버(10)에 대해 약간의 경동 이동이 가능해진다.
하부 부재(32)는 바로 전술한 상기 포지셔닝 개구부들(329)을 보유하며, 이 포지셔닝 개구부들은 상부 부재(31)와 결합될 때 상부 부재의 포지셔닝 개구부들(319)에 이어진다.
또한, 하부 부재(32)는 자신의 접촉면(324) 내에 4개의 접점 수용부들(326', 326"), 요컨대 3개의 제2 접점 수용부들(326')과 하나의 제3 접점 수용부(326")를 보유하며, 이들 접점 수용부의 단부들 상에는 마찬가지로 하부 부재(32)의 플러그인 영역(325)에 대한 연결부로서 관통 개구부들(328)이 배치된다. 제3 접점 수용부(326")는 3개의 제2 접점 수용부들(326')보다 더 짧다.
그 외에도, 하부 부재(32)는 추가 관통 개구부들(322)을 보유하며, 이 추가 관통 개구부들은 상부 부재(31)와 결합될 때 상부 부재의 관통 개구부들(318)에 직접 이어진다.
하부 부재(32)는, 이미 언급한 두 래치 아암(321)에 추가로, 하부 부재(32)와 상부 부재(31)를 결합시킬 때 본 도면에는 여전히 도시되어 있지 않은 상부 부재(31)의 포지셔닝 핀들(317)과 상호작용하는 포지셔닝 리세스들(327)을 포함한다.
도 3a, 3b 및 3c에는, 접촉 캐리어(3) 내로 삽입하기 위한 U형 접점 핀들(8, 8', 8")의 세트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브리지 기능을 만족시키기 위해, 상기 접점 핀들은 금속으로 구성되고 U자 형태로 만곡되어 있다.
U형 접점 핀들(8, 8', 8")의 상기 세트는 예시로서 정해진 브리지 기능을 위해 조립되며, 그리고 3가지 유형의 U형 접점 핀들(8, 8', 8"), 요컨대 하나의 제1 접점 핀(8), 3개의 제2 접점 핀들(8') 및 하나의 제3 접점 핀(8")을 포함한다.
U형 접점 핀들(8, 8', 8")은 각각 상호 간에 평행한 2개의 플러그 측 단부 영역들(81, 81', 81"); 이들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중앙 영역(82, 82', 82"); 및 이들 사이에 각각 하나의 벤딩 영역(83, 83', 83");을 보유한다. 벤딩 영역은 자연히 소정의 곡률을 갖는다.
도면에서 쉽게 알 수 있는 것처럼, 상이한 U형 접점 핀들(8, 8', 8")은, 자신들의 중앙 영역(82, 82', 82")의 길이, 및/또는 자신들의 플러그 측 단부 영역들(81, 81', 81")의 길이를 통해 서로 구분된다.
도 3a에 도시된 제1 접점 핀(8)은, 다른 접점 핀들(8', 8")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플러그 측 단부 영역들(81)을 보유하는데, 왜냐하면 상기 제1 접점 핀은 상부 부재(31)에 제공되는 반면, 다른 접점 핀들(81', 81")은 하부 부재(32) 내에서의 이용을 위해 제공되기 때문이다.
도 3b에 도시된 제2 접점 핀(8')은, 제1 접점 핀(8)의 중앙 영역(82)보다 더 짧고 제3 접점 핀(8")의 중앙 영역(82")보다는 더 긴 중앙 영역(82')을 보유한다.
도 3c에 도시된 제3 접점 핀(8")은, 다른 접점 핀들(8, 8')의 중앙 영역(8')보다 더 짧은 중앙 영역(82")을 보유한다.
자명한 사실로서, 다른 요구되는 브리지 기능을 위해, 개수 및 형태에서 다른 세트의 접점 핀들이 조립된다.
도 4a, 4b 및 4c에는 접점 핀들(8, 8', 8")과 함께 접촉 캐리어(3)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는, 상기 어셈블리가 분해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부 부재(31)와 하부 부재(32)가 별도로, 그리고 각각 그 위에 배치되어 그 안쪽으로 삽입될 U형 접점 핀(들)(8, 8', 8")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제1 접점 요소(8)는, 자신의 중앙 영역(82)으로 제1 접점 수용부(316) 내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분명하게는, 제2 및 제3 접점 요소(8, 8")는, 자신들의 각각의 중앙 영역(82', 82")으로 제2 및 제3 접점 수용부(316', 316") 내에 각각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본 도면에는, 상부 부재(31)의 2개의 포지셔닝 핀들(317)도 확인할 수 있는데, 명확성을 이유로 이들 중 단지 하나만이 표시되어 있다. 상부 부재(31)는, 상기 포지셔닝 핀들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는 2개의 추가의 상기 유형의 포지셔닝 핀들(317)도 보유하며, 이들 포지셔닝 핀은 본 도면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쉽게 생각해볼 수 있는 점에 따라, 상기 4개의 포지셔닝 핀들(317)은, 상부 부재(31)와 하부 부재(32)를 결합시킬 때, 결합된 상부 부재(31) 및 하부 부재(32)의 정확한 포지셔닝을 보장하기 위해, 약간 깔때기 형태로 형성된 하부 부재(32)의 상응하는 포지셔닝 리세스들(327) 내로 삽입된다.
도 4b에는, 상호 간의 결합 과정에서의 상부 부재(31)와 하부 부재(32)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접점 핀(8') 및 제3 접점 핀(8")은 이미 하부 부재(32) 내로 삽입되어 있으며, 다시 말하면 상기 접점 핀들의 각각의 중앙 영역들(82', 82")은 제2 접점 수용부(326') 및 제3 접점 수용부(326")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점 핀들의 플러그 측 단부 영역들(81', 81")은 하부 부재(32)의 플러그인 영역(325)의 상응하는 관통 개구부들(328) 및 상응하는 중공 원통형 형상부들(323)을 통해 안내된다.
제1 접점 요소(8)는 자신의 중앙부(82)로 상부 부재(31)의 제1 접점 수용부(316) 내로 삽입되기 직전에 있다. 제1 접점 요소의 플러그 측 단부 영역들(81)은 이미 상부 부재(31)의 상응하는 관통 개구부들(318)을 통해 안내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와 동시에 하부 부재(32)의 추가 관통 개구부들(322) 내로 끼워지기 직전에 있다.
도 4c에는, 상부 부재(31)와 하부 부재로 결합된 접촉 캐리어(3)가, 그 내에 삽입된 U형 접점 핀들(8, 8', 8")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상부 부재(31) 및 하부 부재(32)의 포지셔닝 개구부들(319, 329)은 서로 겹쳐지게 된다.
도 4d에는, 접촉 캐리어(3)가 약간 변형된 유형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부 부재(31)는 4개의 관통 리세스들(310)을 포함한다. 하부 부재(32)는 내부에 배치되는 각각 하나의 래치 돌출부(3201)를 구비한 4개의 래치 리세스들(320)을 보유한다.
추가로, 접촉 캐리어(3)는 커버(33)를 포함한다. 커버(33)는 직사각형 보호면(334); 및 이 보호면(334) 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각각 하나의 래치 잠금용 공간부(330)를 보유하는 고정 섀클들(331);을 보유한다.
도 4e에는, 조립된 접촉 캐리어(3')가 도시되어 있다. 커버(33)는 자신의 보호면(334)으로 상부 부재(31) 상에 배치되고 그 결과 상부 부재(31)의 제1 접점 수용부(316)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U형 접점 핀(8)을 덮는다. 고정 섀클들(331)은 상부 부재(31)의 관통 리세스들(310)을 통해 안내되어 하부 부재(32)의 래치 리세스들(320) 내로 맞물려서 하부 부재(32)의 래치 돌출부들(3201) 상의 자신들의 래치 잠금용 공간부들(330)과 걸림 고정된다. 그에 따라, 커버(33)는 상부 부재(31) 상에 장착될 수 있고 하부 부재(32)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 부재(31)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앞에서 이미 언급한 U형 접점 핀(8)은 예컨대 일부 적용에서 높은 전압을 전달할 수도 있다. 통상, 이는, 접촉 캐리어(3)가 동시에 하우징 커버(10) 내에 고정되고 그에 따라 접점 핀(8)은 접근될 수 없기 때문에, 비록 위험하지는 않긴 하다. 그러나 손상 및/또는 오조작의 경우에 전적으로 예컨대 상기 접점 핀(8)과 손이 접촉하는 위험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는, 본 실시예에서의 접촉 캐리어(3')의 경우, 커버(33)의 전기 절연 보호면(334)을 통해 확실하게 방지된다. 그 외에도, 이런 방식으로, 커버(33)는 자신뿐 아니라 상부 부재(31) 역시도 하부 부재(32)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커버(33)는 이중 기능을 갖는데, 왜냐하면 상기 커버가 기계적 고정 및 그 외에 전기적 안전에 이용되기 때문이다. 특히 전기적 안전은, 접촉 캐리어(3')가 조립된 상태에서 접착될 때 적용된다.
도 5a에는, 상기 어셈블리가 플러그인 영역(325)의 방향에서 보이는 모습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상부 부재(31)의 포지셔닝 개구부(319)의 장공형 횡단면 형태가 특히 잘 확인된다.
도 5b에는, 동일한 대상이 횡단면 표면(A)을 통해 절단된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각각의 플러그 측 단부 영역(81, 81')을 포함하는 제1 U형 접점 핀(8)뿐만 아니라 제2 U형 접점 핀(8') 역시도 잘 보인다.
도 5c에는, 상응하는 U형 접점 핀들(8', 8")이 장착된 하부 부재(32)가 자신의 접촉면(4)에서 보이는 모습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하부 부재(32)의 포지셔닝 개구부(329)의 장공형 횡단면 형태가 특히 잘 확인된다.
도 5d에는, 동일한 대상이 제3 접점 수용부(326")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횡단면 표면(B)을 통해 절단된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5e에는, 장착된 하부 부재(32)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6a에는, 접촉 캐리어(3)를 포함하지 않은 하우징 커버(10)가 도시되어 있다. 그 결과, 그 상에 일체로 형성된 래치 핀들(103)을 포함하는 하우징 커버의 포지셔닝 핀들(109) 및 래치 후크들(101)이 특히 잘 보인다. 포지셔닝 핀들(109)은 원통형 섹션, 다시 말하면 횡단면이 원형인 섹션을 보유한다.
도 6b에는, 상기 하우징 커버(10)가, 접촉 브리지들로서 그 내에 수용된 U형 접점 핀들(8, 8', 8")을 구비하여 그 내에 삽입된 접촉 캐리어(3)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는, 포지셔닝 개구부(329)가 장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면, 포지셔닝 핀(109)의 횡단면은 적어도 자신의 상응하는 원통형 섹션에서 원형인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기인하는 유격은, 하우징 커버(10)를 개방하고 폐쇄할 때 공차 보상으로서 하우징 커버(10)의 회동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접촉 캐리어(3)의 약간의 경동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6c에서는, 상기 공차 보상의 장점이 분명해진다. 하우징 커버(10)가 폐쇄되면, 다시 말하면 부착 하우징(12) 상으로 회동되면, U형 접점 핀들(8)의 플러그 측 단부들(81)은 절연체(2)의 소켓 리세스들(228) 내로 삽입되고 이곳에서 불가피하게 세로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는데, 이런 세로방향 이동은 하우징 커버(10)의 동시적인 회동 이동과 함께 통상 기계적 응력을 야기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기계적 응력은 접촉 캐리어(3)와 하우징 커버(10) 간의 공차를 통해, 요컨대 하우징 커버(10)에 대한 접촉 캐리어(3)의 약간의 경동 이동을 통해 방지된다.
도 6d 및 도 6f에는, 동일한 어셈블리가 정면도 및 상면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6f에는, 하우징 커버가 폐쇄되어 있는 상기 어셈블리가 접촉 캐리어(32)의 제3 접점 수용부(326")를 통해 절단된 측면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우선, 접점 소켓들(28) 역시도 도시되고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제3 U형 접점 핀(8")이, 서로 대향해 있는 2개의 접점 소켓들(28)을 상호 간에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하는 점이 충분히 확인될 수 있다.
케이블 연결부 측에서, 접점 소켓들(28)은 예컨대 전기 시스템의 전기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상기 컴포넌트들은 그에 따라 단락된다.
한편, 용이하게 가능한 사항으로 제3 접점 핀(8")이 접촉 캐리어에서 탈거된다면, 상기 브리지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고, 전기 시스템의 두 전술한 전기 컴포넌트는 하우징 커버(10)가 폐쇄된 경우에도 더 이상 단락되지 않는다. 자명한 사실로서, 추가 점퍼들은 접촉 캐리어(3) 내에서 유지될 수 있으며, 그리고 그에 따라 시스템의 다른 전기 컴포넌트들을 계속하여 단락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전기 시스템의 작동 상태는 특히 편리한 방식으로, 그리고 추가 부품들의 사용 없이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0)를 스냅식으로 폐쇄할 때, 절연체(2)와 접촉 캐리어(3) 사이의 정확한 배향은 L형 분극 요소(311)를 통해, 그리고 절연체(2)의 하나 이상의 분극 웨브(211')를 통해 보장된다.
비록 도면들에는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 또는 특징들이 각각 조합되어 도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통상의 기술자에게, 도시되고 논의된 조합들이 유일하게 가능한 조합들이 아니라는 점은 명백하다. 특히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서로 상응하는 유닛들 또는 특징 복합물들은 서로 교환될 수 있다.
1: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10: 하우징 커버
101: 카운터 래치 아암
103: 래치 후크
104: 록킹 핀
109: 포지셔닝 핀
11: 조인트
12: 부착 하우징
14: 록킹 브래킷
2: 절연체
211, 211': 분극 웨브
228: 소켓 리세스
28: 접점 소켓
3, 3': 접촉 캐리어
31: 상부 부재
310: 관통 리세스
311: 분극 요소
314: 상부 부재의 접촉면
315: 상부 부재의 플러그인 영역
316: 제1 접점 수용부
317: 포지셔닝 핀
318: 상부 부재의 관통 개구부
319: 상부 부재의 포지셔닝 개구부
32: 하부 부재
320: 래치 리세스
3201: 래치 돌출부
321: 래치 아암
322: 추가 관통 개구부
323: 중공 원통형 형상부
324: 하부 부재의 접촉면
325: 하부 부재의 플러그인 영역
326', 326": 제2, 제3 접점 수용부(들)
327: 포지셔닝 리세스
328: 상부 부재의 관통 개구부
329: 하부 부재의 포지셔닝 개구부
33: 커버
330: 래치 잠금용 공간부
331: 고정 섀클
334: 보호면
8, 8', 8": 제1, 제2 및 제3 U형 접점 핀
81, 81', 81": U형 접점 핀의 플러그 측 단부 영역
82, 82', 82": U형 접점 핀의 중앙 영역
83, 83', 83": 접점 핀의 벤딩 영역

Claims (21)

  1. 점퍼들의 형성을 위한 복수의 U형 접점 핀들(8, 8', 8")의 수용을 위한 접촉 캐리어(3)에 있어서, 접촉 캐리어(3)는 플러그인 커넥터의 하우징 커버(10) 내에 또는 상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적합한, 접촉 캐리어(3).
  2. 제1항에 있어서, 접촉 캐리어(3)는 적어도 2개 부재형으로 형성되는, 접촉 캐리어(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캐리어는 2개 이상의 부재들을 포함하며, 요컨대 각각 하나의 접촉면(314, 324) 및 이에 대향하여 하나의 플러그인 영역(315, 325)을 보유하는 상부 부재(31) 및 하부 부재(32)를 포함하며, 상기 두 접촉면(314, 324) 각각 내에는 각각 하나의 긴 함몰부가 접점 수용부(316, 326', 326")로서 배치되는, 접촉 캐리어(3).
  4. 제3항에 있어서, 접촉 캐리어(3)는, 커버(33)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제3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부 부재(31)의 하나 이상의 접점 수용부(316, 326', 326")를 덮기 위한 보호면(334)을 보유하는, 접촉 캐리어(3).
  5. 제4항에 있어서, 커버(33)는 상부 부재(31) 상에 장착될 수 있고 하부 부재(32) 상에서는 고정될 수 있는, 접촉 캐리어(3).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부재(31) 및 하부 부재(32) 모두는 각각의 접점 수용부(316, 326', 326")의 단부들 상에 접점 관통 접속을 위한 관통 개구부들(318, 328)을 포함하는, 접촉 캐리어(3).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부재(31)와 하부 부재(32)는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부재(31)의 플러그인 영역(315)은 하부 부재(32)의 접촉면(324)과 기계적으로 접촉하며, 그리고 하부 부재(32)는,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부재(31)의 관통 개구부들(318)에 이어지는 추가 관통 개구부들(322)을 보유하는, 접촉 캐리어(3).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부재(31)와 하부 부재(32)는 상호 간의 걸림 고정 및 맞물림을 위한 래치 수단들, 또는 적어도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간의 포지셔닝을 위한 포지셔닝 수단들(317, 327)을 포함하는, 접촉 캐리어(3).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부재(32)는 자신의 플러그인 영역(325)에서 관통 개구부들(322, 328) 상에 접점 핀들(8, 8', 8")의 기계적 가이드 및 더 나은 전기 절연을 위한 중공 원통형 형상부들(323)을 보유하는, 접촉 캐리어(3).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 캐리어(3)는,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의 절연체(2)에 대한 자신의 분극 및 하우징 커버(10) 상에서의 자신의 걸림 고정 및 맞물림을 위한 분극 수단(311) 및 걸림 고정 수단(321)을 포함하는, 접촉 캐리어(3).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접촉 캐리어(3)와, 상기 접촉 캐리어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접점 핀들(8, 8', 8")로 구성되는 어셈블리에 있어서, 접점 핀들(8, 8', 8")은 각각 하나의 중앙 영역(82, 82', 82")과; 벤딩 영역들(83, 83', 83")을 통해 중앙 영역(82, 82', 82")으로부터 직각으로 만곡된 2개의 플러그 측 단부 영역들(81, 81', 81");을 보유하는,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접점 핀들(8, 8', 8") 중 적어도 2개는 자신들의 중앙 영역들(82, 82', 82")의 길이를 통해, 그리고/또는 자신들의 플러그 측 단부 영역들(81, 81', 81")의 길이를 통해 서로 구분되는, 어셈블리.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접촉 캐리어(3)는 결합 가능한 2개의 부재들, 요컨대 상부 부재(31)와 하부 부재(32)를 포함하며, 상기 부재들은 각각 전술한 접촉면(314, 324) 및 이에 대향하여 전술한 플러그인 영역(315, 325)을 보유하며, 접촉면(314, 324) 내에는 각각 적어도 전술한 긴 함몰부가 접점 수용부(316, 326', 326")로서 배치되며, 상부 부재(31) 및 하부 부재(32) 모두는 각각의 접점 수용부(316, 326', 326")의 단부들 상에 접점 관통 접속을 위한 관통 개구부들(318, 328)을 포함하며, 접점 핀들(8, 8', 8") 각각은 자신의 각각의 중앙 영역(82, 82', 82")으로 상부 부재(31)의 접점 수용부(316) 내에, 또는 하부 부재(32)의 접점 수용부(326', 326") 내에 배치되고 자신의 플러그 측 단부 영역들(81, 81', 81")로는 상부 부재(31) 및/또는 하부 부재(32)의 관통 개구부들(318, 328, 322)을 통과하여 끼워지며, 플러그 측 단부 영역들(81, 81', 81")은 하부 부재(32)의 플러그인 영역(325)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자신의 중앙 영역(82, 82', 82")이 하부 부재(32)의 접점 수용부들(326', 326") 중 하나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접점 핀들(8, 8', 8")은 접촉 캐리어(3) 내에서 하부 부재(32) 및 상부 부재(31)를 결합하는 것을 통해 자신들의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고정되는, 어셈블리.
  15. 플러그인 커넥터와,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어셈블리로 구성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는
    - 그 상에 젖힘 개방 및 스냅식 폐쇄가 가능하게 파지된 하우징 커버(10)를 구비한 부착 하우징(12);
    - 내부에 배치되는 접점 소켓들(28)을 구비한 절연체(2); 및
    - 스냅식으로 폐쇄된 상태에서 하우징 커버(10)를 잠금 고정하기 위한 록킹 메커니즘(14, 104);을 포함하며,
    접촉 캐리어(3)는 하우징 커버(10) 내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접촉 캐리어(3)는 하우징 커버(10) 내에 걸림 고정될 수 있는,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캐리어는, 하우징 커버(10)의 카운터 래치 아암들(101)과 분리 가능하게 걸림 고정될 수 있는 래치 아암들(321)을 보유하는, 시스템.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 커버(10)의 스냅식 폐쇄를 통해 하나 이상의 U형 접점 핀(8, 8', 8")은, 상기 접점 소켓들을 전기 전도 방식으로 서로 연결하기 위해, 접점 소켓들(28) 중 적어도 2개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접촉 캐리어(3)는, 하나 이상의 U형 접점 핀(8, 8', 8")이 플러그 측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연체(2)의 2개 이상의 접점 소켓들(28) 내에 삽입되어 있는 동안에도, 의도되지 않는 기계적 응력들의 생성 없이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1)의 하우징 커버(10)의 젖힘 개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기설정된 기계적 공차 범위 이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 커버(10) 내에 고정되는, 시스템.
  20. 전기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플러그인 커넥터의 하우징 커버(10)로부터 접촉 캐리어(3)를 분리하는 방법 단계;
    B. 접촉 캐리어(3)의 2개 이상의 부재들(31, 32)을 상호 간에 분리하는 방법 단계;
    C. 접촉 캐리어(3) 외로/내로 하나 이상의 U형 접점 핀(8, 8', 8")을 인출하고, 그리고/또는 부가하고, 그리고/또는 옮겨 끼우는 방법 단계;
    D. 접촉 캐리어(3)의 2개 이상의 부재들(31, 32)을 결합하는 방법 단계; 및
    E. 하우징 커버(10) 상에 접촉 캐리어(3)를 고정하는 방법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시스템의 작동 상태의 변경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 단계 E에 이어서
    F. 하우징 커버(10)를 폐쇄하며, 그리고 그 결과 접촉 캐리어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U형 접점 핀(8, 8', 8")을 통해 2개 이상의 접점 소켓들(28) 간의 전기 전도식 연결부를 자동으로 형성하는 방법 단계; 및 그 결과
    G. 전기 시스템의 2개 이상의 전기 컴포넌트들을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하여, 상기 컴포넌트들이 각각 전기 전도 방식으로 2개 이상의 접점 소켓들(28) 중 하나와 연결되게 하는 방법 단계;가 수행되는, 전기 시스템의 작동 상태의 변경 방법.
KR1020197010817A 2017-08-31 2018-08-06 점퍼들을 포함한 플러그인 커넥터 KR102220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20095.9 2017-08-31
DE102017120095.9A DE102017120095A1 (de) 2017-08-31 2017-08-31 Steckverbinder mit Kurzschlussbrücken
PCT/DE2018/100687 WO2019042492A1 (de) 2017-08-31 2018-08-06 Steckverbinder mit kurzschlussbrück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856A true KR20190049856A (ko) 2019-05-09
KR102220145B1 KR102220145B1 (ko) 2021-02-26

Family

ID=63404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817A KR102220145B1 (ko) 2017-08-31 2018-08-06 점퍼들을 포함한 플러그인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62256B2 (ko)
EP (1) EP3526859B1 (ko)
KR (1) KR102220145B1 (ko)
CN (2) CN113285271B (ko)
DE (1) DE102017120095A1 (ko)
WO (1) WO20190424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37068S1 (en) * 2019-07-08 2021-11-30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Locking device
FR3104836B1 (fr) * 2019-12-12 2022-11-11 Bernard Kaissaris Ensemble de connexion électrique destiné à connecter électriquement deux éléments coulissants l’un par rapport à l’autre.
DE102019134559A1 (de) 2019-12-16 2021-06-17 Amphenol Tuchel Industrial GmbH Kurzschlussbrücke für Steckverbindung
GB2591811B (en) * 2020-02-10 2023-09-13 Dyson Technology Ltd A portable electrical appliance
US11362448B2 (en) * 2020-06-01 2022-06-14 Tag-Connect, Llc Connector having latching pins that change angle for mounting to a circuit board
CN114552249A (zh) * 2022-01-17 2022-05-27 广东机电职业技术学院 调试转接板和连接器
WO2023151870A1 (en) * 2022-02-09 2023-08-17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Splice block system for connecting multiple components in a power distribution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121654U1 (de) * 1981-07-23 1981-10-29 Fischer-Elektronik oHG, 5880 Lüdenscheid Codierstecker für gedruckte leiterplatten
JPH06310227A (ja) * 1993-04-19 1994-11-04 Yazaki Corp コネクタ装置
KR19990015044U (ko) * 1997-10-10 1999-05-15 전주범 감전방지 장치를 갖는 플러그
CN202797560U (zh) * 2012-08-08 2013-03-13 厦门唯恩电气有限公司 自带短接功能的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51662A1 (de) 1974-10-30 1976-05-06 Bunker Ramo Gehaeusearmatur fuer steckverbinder
JPH06327123A (ja) * 1993-05-08 1994-11-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DE19508605C1 (de) 1995-03-10 1996-07-11 Harting Elektronik Gmbh Elektrische Steckverbindung
DE19821928C1 (de) 1998-05-15 2000-01-13 Harting Kgaa Abgeschirmter Steckverbinder
JP2001110511A (ja) * 1999-10-07 2001-04-20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ジョイントキャップおよび、防水ジョイントコネクタ
DE102004018554B4 (de) * 2004-04-14 2018-09-27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Brücker für elektrische Klemmen
DE102011001714A1 (de) * 2011-03-31 2012-10-04 Phoenix Contact Gmbh & Co. Kg Querbrücker für eine elektrische Klemme
US8460027B2 (en) * 2011-05-03 2013-06-11 Lear Corporation Interlock for an electrical system
JP5738093B2 (ja) * 2011-06-30 2015-06-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
DE202011108572U1 (de) * 2011-12-02 2012-01-16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dapter und Set aus Reihenklemme und Adapter
US8986030B2 (en) * 2012-12-06 2015-03-24 Phoenix Cont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Inc. Modular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
CN203056337U (zh) * 2013-01-06 2013-07-10 杭州恒信电气有限公司 一种试验短接端子
CN203895673U (zh) 2014-04-28 2014-10-22 合肥市宏键精工模具有限责任公司 一种电线快速接头
CN205159681U (zh) * 2015-11-26 2016-04-13 北京长安汽车工程技术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及其线束接点短路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121654U1 (de) * 1981-07-23 1981-10-29 Fischer-Elektronik oHG, 5880 Lüdenscheid Codierstecker für gedruckte leiterplatten
JPH06310227A (ja) * 1993-04-19 1994-11-04 Yazaki Corp コネクタ装置
KR19990015044U (ko) * 1997-10-10 1999-05-15 전주범 감전방지 장치를 갖는 플러그
CN202797560U (zh) * 2012-08-08 2013-03-13 厦门唯恩电气有限公司 自带短接功能的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120095A1 (de) 2019-02-28
CN110121817B (zh) 2021-06-15
CN113285271B (zh) 2024-03-01
EP3526859A1 (de) 2019-08-21
KR102220145B1 (ko) 2021-02-26
WO2019042492A1 (de) 2019-03-07
US20200091669A1 (en) 2020-03-19
CN113285271A (zh) 2021-08-20
EP3526859B1 (de) 2022-10-05
US10862256B2 (en) 2020-12-08
CN110121817A (zh) 201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9856A (ko) 점퍼들을 포함한 플러그인 커넥터
KR101119713B1 (ko) 어댑터 모듈을 구비하는 시스템 플러그 커넥터
KR101527057B1 (ko) 전기 콘택 요소와 케이블에 대한 고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US6261109B1 (en) Fastener for all-purpose power supply sockets
US9022813B2 (en) Contact housing for electrical contact units, electrical plug connector or mating connector as well as an assembled electrical conductor
US5651690A (en) Electrical connector adapter
JP6285936B2 (ja) 配電センタ
FI97429C (fi) Suojattu kontaktorikatkaisinlaite
JP2559833Y2 (ja) モジューラ電気コネクタ用ホルダ
US11251560B2 (en)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with multiple latches
JPH04245182A (ja) 電気コネクタ
US20070290778A1 (en) Combination of Two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s
JP2010135078A (ja) 小型据置端子
US11996648B2 (en) Plug connector part for contacting in multiple spatial directions
WO2007005434A1 (en) Apparatus configured to attach to an electrical connector block
KR100327896B1 (ko) 조인트박스
JP4749208B2 (ja) 機器の保守に用いられる試験用電気接続器具、着脱カバー体及び電気試験方法
KR102167718B1 (ko) 부품 캐리어
ES2758035T3 (es) Conector directo con patillas de codificación eliminables
US5795183A (en) Connector apparatus
WO2017137373A1 (en) Current transmission device having a monitoring device
KR102506783B1 (ko) 조인트 커넥터
US20110207364A1 (en) Termination tool,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idc) block and metho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n electrical conductor to an idc block
KR20100085086A (ko)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장치
US20230066985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