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5086A -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5086A
KR20100085086A KR1020107009844A KR20107009844A KR20100085086A KR 20100085086 A KR20100085086 A KR 20100085086A KR 1020107009844 A KR1020107009844 A KR 1020107009844A KR 20107009844 A KR20107009844 A KR 20107009844A KR 20100085086 A KR20100085086 A KR 20100085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device
receiving
plugs
fuse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9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2481B1 (ko
Inventor
울프갱 랑구프
미카엘 크노들러
Original Assignee
암페놀-투켈 엘렉트로닉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07022270A external-priority patent/EP2061063B1/de
Priority claimed from DE202007016140U external-priority patent/DE202007016140U1/de
Application filed by 암페놀-투켈 엘렉트로닉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암페놀-투켈 엘렉트로닉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85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54Protective devices wherein the fuse is carried, held, or retained by an 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 removable from the base, or used as sectionalisers
    • H01H85/542Protective devices wherein the fuse is carried, held, or retained by an 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 removable from the base, or used as sectionalisers the 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 being provided with bayonet-type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 장치(receiving device, 1)와 커넉터에 의해 구현된 연결을 보호하기 위한 전류 전달 요소로써 소켓(socket, 52, 52') 사이에 배열된 퓨즈(fuse, 60) 및, 플러그(51, 51')와 소켓(52, 52')으로 구성되는 2개의 커넥터를 수용하고 고정하기 위한 수용 장치(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용 장치는 플러그(51, 51')를 수용하기 위한 상단 부분(64)과 소켓(52, 52')과 퓨즈(60)를 수용하기 위한 기저부(base, 62)를 포함하고, 상기 기저부는 커넥터를 접촉하기 위해 상단 부분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퓨즈(60)가 커넥터 접촉 위치에 있어 수용 장치 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퓨즈(60)는 수용 장치 내에서 배열된다.

Description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장치{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A CONNECTOR}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수용 장치와 청구항 제 15 항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 수용 장치에 의해 주변 효과에 대해 보호되거나 또는 수용 장치 내 수용될 수 있는 커넥터는 삽입 방향에 대해 마주하여 작동하는 래치 결합 연결부 또는 플러그와 소켓의 접합 방향에 대해 마주하여 작동하는 래치 결합 연결부에 의해 고정되고, 종종 제 2의 맞물림은 가능한 한 소켓으로부터 플러그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상기 래치 결합 연결부는 기술적인 문제로써 발생될 수 있는 플라스틱 재료의 뒤틀림(creep)인, 오랜 서비스 제공 시간에 걸쳐 커넥터의 착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자인되고 안정적으로 구현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수용 장치는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차량(hybrid vehicle)으로, 전기 또는 전기적으로 지원되는 구동기(drive)와 함께 차량 작동에 필요한 전기 또는 전자 장치의 분리 가능한 연동 장치에서 특히 사용된다. 이러한 응용물에 있어 특유성은 상당한 전류가 커넥터에 흐르는 것이다. 더욱이, 커넥터가 삽입 및/또는 결합 방향으로 매우 높은 하중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해야만 하는 제한이 있다. 종래 커넥터 또는 커넥터를 위한 수용 장치에 있어, 하중은 추가적인 잠금 클립을 통해 종종 수용된다.
더욱이 전류 전달 요소로써 퓨즈는 라인 세트(line set)에서 제공되어야 하고 주어진 전압 수치 및/또는 전류 수치가 초과되는 경우 전류 발생기와 수집기(collector) 사이 전기 연결부를 파손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퓨즈는 새로운 퓨즈로 교체되어야만 한다. 상기 퓨즈가 교체될 때 작동기는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구동기인, 전류 발생기의 전류화된 전극(energized pole)에 접촉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으며, 그러한 경우 전류 쇼크(current shock)에 노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의 당업자들은 기능적으로 간단한 가능성을 구현하는 일에 직면해 있으며 이에 의해 커넥터는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동시에 높은 하중이 삽입 및/또는 접합 방향으로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 및 제 15 항의 특징으로부터 구현된다. 본 발명의 개선 방안은 종속항에서 주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뼈대는 명세서, 청구항 및/또는 도면에서 주어진 2개 이상의 특징의 모든 복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퓨즈(fuse)가 플러그 및 소켓 연결부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되는 수용 장치를 제공하는 생각에 기초된다. 상기 수용 장치는 퓨즈(fuse)가 플러그와 소켓 연결부 또는 라인이 방해받은 이후 제거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은 2개의 구성요소로 구성되는 수용 장치가 있으며, 상기 2개의 구성요소 중 어느 한 구성요소는 플러그와 소켓 연결부의 플러그를 고정하고 또 다른 구성요소는 플러그와 소켓 연결의 소켓을 고정하며 이에 따라 퓨즈가 한편으로 수용 장치 이내에서 - 이에 따라 외측부로부터 접근 가능하지 않게 - 함께 구성요소를 플러그 형성함으로써 고정되도록 하고, 또 한편으로 플러그와 소켓 연결이 상기 구성요소를 결합 또는 분리함으로써 커플 결합되도록 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말로, 가능성 있는 퓨즈의 파괴를 제외하고 전류 발생기와 전류 수집기 사이 전류 전달 연결이 있을 때 해체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퓨즈를 교체하기 위해서 플러그와 소켓 연결은 언제나 우선 분리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회로는 2개의 전극(pole)이 접촉할 때조차 전기 기술자에 의해 밀폐되지 않도록 한다.
2개의 커넥터를 수용하고 고정하기 위한 수용 장치는 플러그와 소켓과 상기 수용 장치에 의해 형성된 플러그와 소켓 연결부를 보호하기 위한 전류 전달 요소로써 소켓 사이에 위치된 퓨즈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플러그를 고정하기 위한 상단 부분과 기저부 부분으로 구성되고 이는 퓨즈와 소켓을 고정하기 위한 커넥터와 접촉하기 위한 상단 부분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퓨즈는 특히 분리 가능하지 않게, 수용 장치 내에서 상기 커넥터의 접촉 위치에 있는 퓨즈가 고정되도록 수용 장치 내에서 배열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수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독립된 생각에 기초되고, 상기 하우징은 커넥터의 접합 및 삽입 방향으로 고정되지 않지만, 상기 커넥터는 폼-피트 수용기(form-fit receiver)로 삽입되고 래치 결합에 의해 위치에 있어 선택적으로 고정되며 래치 결합은 상대적으로 약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당한 폼-피트로 인하여, 매우 높은 하중이 삽입 방향 및/또는 접합 방향으로 숙박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추가적인 잠금 클립(locking clip) 또는 종래 래치 결합으로 구현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 추가적인 잠금 클립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퓨즈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의 어느 한 분리 위치에서 제거될 수 있다. 플러그와 소켓 커넥터 중 어느 하나가 방해되지만, 플러그와 소켓 연결부들 모두는 보다 용이하게 기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유리하게 차단될 수 있다.
유리하게, 수용 장치는 어느 한 삽입 위치에서 커넥터의 삽입 방향(SR)에 대해 가로지르게 작동하는 플러그 고정 특징부(plug fixing feature)와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플러그에 대응하는 수용 윤곽을 가지고, 플러그의 삽입 위치 내 수용 윤곽은 삽입 방향(SR)으로 작동하는 플러그 스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실시예의 특징은 공간 절약을 하는 것이며, 여기서 플러그를 고정하기 위한 수용 윤곽은 수용 장치의 상단 부분의 상단부 상에서 위치되고, 수용 장치의 상단 부분의 기저부 내 소켓을 위한 연결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기저부는 상단부에 대해 후방으로 위치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L-형 플러그는 플러그의 라인 세트 터미널 방향으로, 플러그의 종방향 전개부(LE)를 따라, 수용 윤곽으로 삽입 방향(SR)으로, 대략 90°로 가로지르게 가압될 수 있다. 상기 수용 장치의 이러한 형상으로 인하여, 상기 플러그는 소켓을 가지는 L-형 플러그 접합 방향 또는 삽입 방향(SR)인, 자유도(degree of freedom)에 의해 수용 장치의 기하 도형적인 형상에 의해 감소되고 상기 수용 장치로 용이하게 가압될 수 있다.
유리하게, 상기 고정 특징부는 플러그의 외측면 윤곽에서 작동하는 래치 결합 연결부로써 구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L-형 플러그는 에러가 없는 조립체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 장치로 플러그 형성된 소켓이 없이 수용 장치 내에서 고정된다.
고정 특징부는 이의 삽입 방향으로 L-형 플러그에 래치 결합될 수 있는, 동시에 2개의 마주보는 캐치 돌출부에 의해 특히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래치 결합 돌출부가 배열되어 이들이 L-형 플러그 상에 알려진 기존 돌출부(existing projection),로 래치 결합될 수 있도록 배열되고, 상기 돌출부는 L-형 플러그의 특히 적합 가능한 하우징 래치 결합 요소이다.
삽입 방향(SR)에 대해 작동하는 플러그 스톱은 소켓의 삽입 방향인 삽입 위치에서, 특히 어느 한 삽입 영역에서, L-형 플러그 후방에 전개되도록 구현되며 L-형 플러그 후방에 전개되는 하나 이상의 클립으로부터 유리하게 형성된다.
L-형 플러그를 수용 장치로 관통하거나(strike) 또는 방향을 전환하도록 하는 라인 세트(line set)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플러그 스톱은 L-형 플러그 뒤로 전개되고 L-형으로 각도가 형성되는 2개의 클립으로부터 각각 형성되고, 상기 클립의 단부는 마주하여 배열되고 상기 단부 사이 간극이 존재한다.
수용 장치의 조립체는 바람직하게 대략 평행하게, 서로에 대해 특히 비스듬히 오프셋 되며,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결되어 배열된다.
유리하게, 상기 기저부 부분은 주변 래치 결합 수단에 의해 터미널 장치로 잠금될 수 있으며, 공동으로 삽입될 수 있는 캐리어를 가진 기저부 부분(the former)에 의해 상기 수용 장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기저부 부분은 특히 공간이 절약되고 상기 소켓들이 기저부 부분에서 서로에 대해 및 서로 마주하여 바람직하게 인접하여 배열되는, 원통형 플러그 인 수용기(plug-in receiver)인, 어느 하나를 각각 가질 때 용이하게 장착/해체할 수 있으며, 원통형 고전류 퓨즈인 퓨즈는 2개의 플러그 인 수용기 사이에서 속박될 수 있다(accommodated).
상당한 폼-피트(form-fit)로 인하여, 매우 높은 하중은 예를 들어 추가적인 잠금 클립 또는 종래 래치 결합으로 수행되지 않으며, 삽입 방향 및/또는 접합 방향으로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가적인 잠금 클립이 생략될 수 있다.
수용 장치의 형태 또는 상호 삽입 윤곽으로 인하여 고의가 아닌 분리가 접합 및/또는 삽입 방향으로 매우 높은 하중에 대해 본질적으로 배제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용 장치는 유리하게 구현된다.
상기 수용 장치는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특히 피벗 회전할 수 있는 구성요소 없이 유리하게 구현되고, 이에 의해 상기 생산 비용과 수용 장치의 에러 발생 정도(fault susceptibility)가 감소된다.
커넥터의 삽입 방향으로 가로지르게 작동하는, L-형 플러그의 고정 특징부는 L-형 플러그와 소켓의 플러그 및 소켓 연결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은 상기 수용 장치 내 소켓의 수용과 함께 상호적으로 상기 커넥터의 삽입 방향(SR)에 대해 가로지르게 작동한다.
수용 장치의 수용 윤곽이 L-형 플러그에 대응되어 이에 따라 상기 수용 윤곽은 수용 장치로 가능한 한 삽입 위치까지 삽입될 수 있으며, 다만 추가적인 자유도(degree of freedom)을 가지지 않는다.
수용 장치의 형태 또는 상호적인 삽입 윤곽으로 인하여 접합 및/또는 삽입 방향으로 매우 높은 하중과 함께 고의가 아닌 분리가 본질적으로 배제되도록 수용 장치는 유리하게 구현된다.
구성요소 서로에 대하여 특히 피벗 회전하는 움직임을 가질 수 있는 구성 요소 없이 수용 장치는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작 비용과 수용 장치의 에러 발생 정도가 감소된다.
커넥터의 삽입 방향(SR)에 대해 가로지르게 작동하는 L-형 플러그의 고정 특징부는 수용 장치 내 소켓의 속박(accommodation)으로 상호 작동하게 커넥터의 삽입 방향(SR)으로 가로지르게 작동하는, L-형 플러그와 소켓들의 플러그 및 소켓 연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장치의 수용 윤곽이 L-형 플러그에 대응하도록 하여 이에 따라 수용 윤곽은 삽입 위치까지 상기 수용 장치로 삽입될 수 있으며, 다만 추가적인 자유도를 가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L-형 플러그는 L-형 플러그의 라인 세트 터미널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L-형 플러그의 종방향 전개부를 따라, 상기 수용 윤곽을 향해 삽입 방향(SR)으로 대략 90°인,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수용 장치의 이러한 형태로 인하여, 상기 플러그는 소켓과 함께 L-형 플러그의 접합 방향 또는 삽입 방향(SR)에 대하여, 추가적인 자유도에 의해 수용 장치의 기하 도형적 형태에 의해 감소되거나 상기 수용 장치로 용이하게 가압될 수 있다.
유리하게, 고정 특징부는 플러그의 외측부 윤곽 상에서 특히 작동하는 래치 결합 연결로써 구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L-형 플러그는 에러가 없는 조립체를 구현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 장치로 플러그가 형성된 소켓 없이 상기 수용 장치 내에서 고정된다.
상기 고정 특징부는 이의 삽입 위치에서 L-형 플러그로 래치 결합될 수 있는, 동시에 2개의 마주보는 캐치 돌출부에 의해 특히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L-형 플러그 상에서 알려진 기존 돌출부로 잠금될 수 있도록 캐치 돌출부가 배열되는 형태가 특히 유리하고, 상기 돌출부는 특히 적합한 L-형 플러그의 하우징 래치 결합 요소이다.
삽입 방향(SR)에 대해 작동하는 플러그 스톱은 소켓의 삽입 방향(SR)인 삽입 위치로, 특히 어느 한 삽입 영역에서, L-형 플러그 후방에서 전개되도록 구현되고 L-형 후방에서 전개되는 하나 이상의 클립으로부터 유리하게 형성된다.
L-형 플러그를 수용 장치로 관통하거나(strike) 또는 방향을 전환하도록 하는 라인 세트(line set)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플러그 스톱은 L-형 플러그 후방에서 전개되고 L-형으로 각도가 형성되는 2개의 클립으로부터 각각 형성되고, 상기 클립의 단부는 마주하여 배열되고 상기 단부 사이 간극이 존재한다.
수용 장치의 조립체는 2개의 전극과 함께 어느 한 커넥터 또는 2개의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수용 윤곽이 존재함으로써 가속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 윤곽은 바람직하게 평행하고, 서로에 대해 비스듬하게 오프셋되어,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결되어 배열된다.
본 발명의 형태는 공간이 절약되고, 이에 상기 수용 윤곽은 수용 장치의 상단에서 위치되고 상기 상단부에 대해 후방으로 위치된 수용 장치의 기저부에서 소켓에 대한 연결 영역이 존재한다.
수용 장치 내 소켓의 장착은 소켓을 가지는 퓨즈 수단과 공동으로부터 형성된 연결 영역에 의해 촉진된다.
유리하게, 상기 퓨즈 수단은 캐리어를 가지는 퓨즈 수단에 의해 장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캐리어는 주변 래치 결합 수단을 경유하여 연결 수단으로 특히 래치 결합될 수 있는 공동으로 삽입될 수 있다.
퓨즈 수단은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퓨즈 수단에서 서로에 대해 및 서로 마주하여 바람직하게 인접하여 배열되는 원통형 플러그-인 수용기를 각각 소켓이 가질 때 용이하게 장착/해체될 수 있으며, 2개의 플러그-인 수용기 사이에서 전류 전달 요소로써 특히 원통형 고전류 퓨즈는 수용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플러그 및 소켓 연결을 보호하기 위해 고정될 수 있다.
독립 발명은 전술된 바에 따르는 수용 장치의 시스템과 가용성 링크 연동(fusible link)인 특히 고전류 퓨즈인 퓨즈와, L-형 플러그와 소켓으로 구성되는 커넥터(connector)이다.
시스템과 함께 도면에서 도시되거나 또는, 청구항, 명세서에서 기술된 커넥터 또는 수용 장치의 개별 특징의 복합물은 동시에 공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외 다른 장점, 특징 및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면을 사용하고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화된다.
도 1은 삽입 위치에 있는 L-형 플러그와 본 발명에서 청구되는 수용 장치의 투시도를 도시하고, 수용 장치로 플러그가 삽입되는 방향은 L-형 플러그의 종방향 확장부를 따라 화살표에 의해 도시되며,
도 2는 수용 장치 내 L-형 플러그의 고정을 보다 상세하게 확대하고 삽입 위치에 있는 L-형 플러그를 포함한 본 발명에서 청구되는 수용 장치의 투시도를 도시하며,
도 3은 수용 장치의 기저부 상에서 본 발명에서 청구되는 수용 장치의 투시도를 도시하고,
도 4는 L-형 플러그의 투시도를 도시하며,
도 5는 소켓 사이에 위치한 퓨즈를 갖는 소켓의 투시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은 수용 장치, 2개의 L-형 플러그와 삽입 위치에서 2개의 소켓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은 시스템의 투시도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은 수용 장치, 2개의 L-형 플러그와 삽입되지 않은 위치에 있는 2개의 소켓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은 시스템의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와 동일하고, 그 외 다른 동일한 구성요소는 아포스트로피(apostrophe)로 표시되어 동일하다. 보다 명확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 청구되면서 2중으로 제공된 모든 구성요소가 도시되는 것은 아니다.
참조 번호 리스트
1 수용 장치 1u 기저부
10 상단부 2, 2' 수용 윤곽
3, 3' 플러그 스톱 3.1, 3.1' 클립
3.2, 3.2' 클립 4, 4' 고정 특징부
4.1, 4.1' 캐치 돌출부 4.2, 4.2' 캐치 돌출부
5.1, 5.1' 단부 5.2, 5.2' 캐치 돌출부
6, 6' 간극 7 연결 영역
8 공극(cavity) 9 캐리어(carrier)
10.1, 10.1' 다리(leg) 10.2, 10.2' 다리
51, 51' L-형 플러그 52, 52' 소켓
53, 53' 라인 세트 스톱(line set stop)
54, 54' 외측면 윤곽 55.1, 55.1' 돌출부
55.2, 55.2' 돌출부 56, 56' 삽입 영역
60 고전류 퓨즈 61, 61' 플러그 인 수용기
62 기저 부분, 퓨즈 수단
63 주변 래치 결합 수단
64 상단 부분
SR 삽입 방향
LE 종방향 연장부
도 1에 있어서, 수용 장치(receiving device, 1)의 상단 부분(64)은 2개의 L-형 플러그(plug, 51, 51')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수용 윤곽(receiving contour, 2, 2')을 가진, 본질적으로 장방향 하부 형태(rectangular base shape)와 함께 도시되고, 도 1에서 2개의 플러그(51, 51') 중 어느 하나는 삽입 위치로 도시된다. 상기 플러그(51)는 다소 후방으로 즉, 플러그(51)의 라인 설정 종료부(line set termination, 53)가 전진하여 수용 윤곽(receiving contour, 2)으로 삽입되고, 상기 라인 설정 종료부(53)로 연결되는 라인 설정은 수용 윤곽(2)에 형성되었던 간극(gap, 6) 내 수용 윤곽(2)을 통하여 노선이 형성된다(route).
수용 윤곽(2)은 L-형 플러그(51)의 외측면 윤곽(54)과 본질적으로 대응되고, 상기 수용 윤곽(2)은 전체 표면에 걸쳐서 상기 L-형 플러그(51)를 둘러싸지 않는다.
수용 윤곽(2)의 일부분은 수용 장치(1)의 상단(10)으로부터 상부로 돌출하는 L-형 클립(3.1, 3.1' 및 3.2, 3.2')이고, 이는 제 2 플러그(51')를 위한 플러그 스톱(stop, 3')과 플러그(51)을 위한 플러그 스톱(3)으로써 사용된다. 상기 L-형 클립(3.1 및 3.2)은 다리(leg, 10.1 및 10.2)를 각각 가지고, 이는 수용 장치(1)의 상단(10)과 평행하게 연결되며 L-형 플러그(51)가 삽입 방향(SR)으로 이의 삽입 위치로 블록이 형성되도록 삽입 위치의 L-형 플러그(51)의 삽입 영역(56) 내 L-형 플러그(51) 뒤로 확장된다.
도 2에서 도시된 삽입 위치에서, L-형 플러그(51')는 2개의 마주보는 캐치 돌출부(catch projection, 4.1', 4.2')에 의해 상기 수용 윤곽(2')의 외부로 뽑아 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L-형 플러그(51')의 종방향 연장부(LE)를 따르고 삽입 방향(SR)에 대해 가로지르게 이의 삽입 위치 외부로 뽑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수용 윤곽(2)은 상기 수용 장치의 세로 방향 연장부에 대해 α각도로 비스듬하게 전개되며, 이에 따라 2개의 L-형 플러그(51, 51')인 여러 L-형 플러그(51, 51')의 래치 결합과 수용 공간 절약이 가능하다. 각도α에 대한 어느 한 바람직한 각도 범위는 15°와 75°사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 20°와 40°사이에서 형성된다.
도 3은 수용 장치 기저부(1u)의 바로 아래에서 바라보는 수용 장치를 도시하고, 상기 기저부(1u) 내에서 몰드 성형된 공동(cavity, 8)을 도시한다. 상기 공동(8)에서,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되는 캐리어(carrier, 9)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캐리어는 상기 플러그(51, 51')와 대응되는 2개의 소켓(52, 52') 또는 2개의 폴 소켓(pole socket, 52)을 고정하고, 상기 소켓(52, 52')으로 수용 장치(1)와 래치 결합할 수 있다. 여기에서 래치 결합은 캐리어(9)와 상단 부분(64) 사이에서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주변 래치 결합 수단(peripheral latch means, 63)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어느 한 대안적인 형상에 있어서 전기적인 접촉을 구현하는, 리시버 사이에서 고전류 퓨즈(high current fuse, 60)를 고정하는 플러그 인 리시버(plug-in receiver, 61, 61')와 고전류 퓨즈(60), 소켓(52, 52') 및 캐리어(9)는 기저부 부분(62)을 형성하고, 상기 기저부 부분은 소켓(52, 52')에 의하여 플러그(51, 51') 사이 수용 장치(1)에 의해 소켓과 플러그의 연결을 방지한다. 고전류 퓨즈(60)는 기저부 부분(62)이 상기 수용 장치(1)로 삽입되거나 또는 래치 결합될 경우에만 활성화되는 가용성 링크(fusible link) 장치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 장치(1)의 기하 도형적 형상의 결과로써, 기저부 부분(62)은 2개의 L-형 플러그(51, 51')가 수용 윤곽(2, 2')으로 완전하게 삽입된 이후 상기 수용 장치(1)로 삽입/래치 결합으로만 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플러그(51, 51')와 소켓(52, 52') 사이에 삽입되는 기하 도형적 형상이 상단 부분(64)으로 기저부 부분(62)의 삽입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상기 수용 장치(1) 안으로 또는 외부로 기저부 부분(62)의 간단한 장착/탈착(mounting/dismounting) 기능은 안내된 원통형 고전류 퓨즈(60)에 의해 소켓(52)과 소켓(52') 사이에서 결함이 있는 퓨즈(60)를 용이하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고 손상되지 않은 퓨즈(60)에 의해 래치 결합되지 않고 교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은 수용 장치(1)에 있어서 착탈되는 플러그와 소켓 연결없이 삽입/접합 방향의 상당한 끌어당김 하중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함에도 불구하고 용이하게 교체되는 퓨즈로 동시에 커넥터를 래치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전류 퓨즈(60)가 설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 엔진 내에서 일반적인 흐름이 전류 운반 요소(current carrying element) 특히, 고전류 퓨즈(60)에 의해 운반될 수 있지만, 규정된 전류 밀도(defined current intensity)가 초과되는 경우 특히 전류 차단인, 보호의 경우(protective case)가 발생된다.
접합 프로세스가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되고, 2개의 도면에서 수용 장치 내 2개의 L형 플러그(51, 51')는 삽입 위치에 있고, 도 7에 있어서 2개의 소켓(52, 52')을 가진 퓨즈는 삽입되지 않으며, 반면 도 6 내 퓨즈 수단(62)은 삽입 위치에서 도시된다. 도 6에서 도시된 삽입 위치에서 2개의 L-형 플러그(51, 51')는 2개의 소켓(52, 52')과 접촉한다. 도 4는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격리되어 있는 L-형 플러그(51)를 도시한다.
소켓(52)과 L-형 플러그(51)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수용하고 래치 결합시키기 위한 수용 장치(1)는
- L-형 플러그(51)의 고정 특징부(4)가 어느 한 삽입 위치에서 상기 커넥터의 삽입 방향(SR)으로 가로지르게 작동하고,
- 수용 윤곽(2)이 상기 L-형 플러그(51)를 수용하기 위한 L-형 플러그(51)와 대응되고, 상기 수용 윤곽(2)은 L-형 플러그(51)의 삽입 위치에서 삽입 방향(SR)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 항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은 수용 장치(1)에 있어서 상기 L-형 플러그(51)는 가로지르게 특히, 대략 90°로 수용 윤곽을 향해 삽입 방향(SR)으로 가압될 수 있으며, 특히 L-형 플러그(51)의 세로 연장부(LE)를 따라, 바람직하게 L-형 플러그의 라인 설정 터미널(line set terminal, 53)의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청구 범위 내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은 수용 장치(1)에 있어 고정 특징부(fixing feature, 4)는 플러그(51)의 외측부 윤곽(54)에서 특히 작동되는 래치 연결과 같이 형성된다.
청구 범위 내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은 수용 장치(1)에 있어 상기 고정 특징부(4)는 삽입 위치로 L-형 플러그(51)를 사용하여 래치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마주보는 캐치 돌출부(catch projection, 4.1, 4.2)를 가진다.
청구항 제 4 항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은 수용 장치(1)에 있어 캐치 돌출부(4.1, 4.2)가 장착되어 L-형 플러그(51) 상에 알려진 실재 돌출부(existing projection, 55.1, 55.2)로 래치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청구 범위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은 수용 장치(1)에 있어, 플러그 스톱(plug stop, 3)은 L-형 플러그(51) 후방으로 전개되고 소켓(520의 삽입 방향(SR)으로 삽입 위치에서 특히, 삽입 영역(56)에서 L-형 플러그(51) 후방에서 전개되는 하나 이상의 클립(3.1, 3.2)으로부터 형성된다.
청구 범위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은 수용 장치(1)에 있어, 플러그 스톱(3)은 L-형 플러그(51) 후방에서 전개되고 L-형으로 각이 형성되는 2개의 클립(3.1, 3.2)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클립(3.1, 3.2)의 단부(5.1, 5.2)는 마주하여 배열되고 상기 간극(5.1, 5.2) 사이 간극(6)이 존재한다.
청구 범위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은 수용 장치(1)에 있어 2개의 극(pole)을 가지는 어느 하나의 커넥터 또는 2개의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수용 윤곽(receiving contour, 2.2)이 존재하고, 상기 2개의 수용 윤곽(2.2)은 바람직하게 대략 평행인, 특히 서로에 대해 비스듬하게 오프셋 형성되어,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배열된다.
청구 범위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은 수용 장치(1)에 있어 상기 수용 윤곽(2.2')은 수용 장치(1)의 상단(10)에 위치되고 상기 수용 장치(1)의 최저부(1u) 내 소켓(52, 52')에 대한 연결 영역이 존재하며, 상기 최저부는 후방으로 상단(10)에 위치된다.
청구항 제 9 항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은 수용 장치(1)에 있어 연결 영역(7)은 소켓(52, 52')을 가지는 퓨즈 수단(62)과 공동(8)으로부터 형성된다.
청구항 제 10 항에서 플러그 수단(62)은 상기 공동(8)으로 삽입될 수 있는 캐리어(9)를 가지고, 특히 주변 래치 결합 수단(63)에 의해 연결 수단(1)으로 래치 결합된다.
청구항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은 수용 장치(1)에 있어 상기 소켓(52, 52')은 특히 원통형 플러그-인 수용기(plug-in receiver, 61, 61')를 각각 가지고, 이는 상기 퓨즈 수단에서 서로에 대해서 인접하여 바람직하게 배열되고 서로에 대해 마주하여 인접하여 배열되며, 2개의 플러그 인 수용기(61, 61') 사이에서 특히 원통형 고전류 퓨즈(60)는 수용 수단(1)에 의해 형성된 소켓 연결과 플러그를 보호하기 위한 전류 전달 요소(current carrying element)로써 수용될 수 있다.
수용 장치(1)의 시스템 및 케넥터는 청구 범위의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다.

Claims (16)

  1. 수용 장치(1)에 의해 형성되는 소켕 연결과 플러그를 보호하기 위한 전류 전달 요소로써 소켓(52, 52') 사이에 위치된 퓨즈(60)와 플러그(51, 51') 및 소켓(52, 52')으로 구성되는 2개의 커넥터를 수용하고 래치 결합시키기 위한 수용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 플러그(51, 51')를 수용하기 위한 상단 부분(64)을 포함하며,
    - 소켓(52, 52') 및 퓨즈(60)를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와 접촉하기 위한 상단 부분(64)으로 연결될 수 있는 기저부 부분(62)을 포함하고, 상기 퓨즈(60)는 수용 장치 내에 위치되어 상기 퓨즈(60)가 수용 장치(1) 내 커넥터 접촉 위치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퓨즈(60)는 수용 장치 내 커넥터의 접촉 위치에서 분리 가능하지 않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3.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퓨즈(60)는 커넥터의 분리 위치에서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 장치는 플러그(51, 511')의 고정 특징부(4, 4')를 가지고, 상기 특징부는 플러그(51, 51')를 수용하기 위해 플러그(51, 51')에 대응하는 수용 윤곽(2, 2')과 삽입 위치로 커넥터의 삽입 방향(SR)으로 가로지르게 작동하며, 상기 플러그(51, 51')의 삽입 위치 내 수용 윤곽(2, 2')은 삽입 방향(SR)으로 작동하는 플러그 스톱(3, 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러그(51, 5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윤곽(2, 2')은 수용 장치(1)의 상단 부분(64)의 상단(10)에 위치되고 수용 장치(1)의 상단 부분(64)의 기저부 내 소켓(52, 52')에 대한 연결 영역(7)이 존재하고, 상기 기저부는 상단부(10)를 향해 후방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L-형 플러그(51, 51')는 횡방향으로 특히, 대략 90°로 수용 윤곽(2, 2')을 향해 삽입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으며, 특히 플러그(51, 51')의 라인 셋 터미널(53, 53')의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51, 51')의 종방향 확장부(LE)를 따라 가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특징부(4, 4')는 플러그(51, 51')의 외측면 윤곽(54, 54') 상에서 특히 작동하는 래치 결합 연결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특징부(4, 4')는 동시에 2개의 마주보는 캐치 돌출부(4.1, 4.2, 4.1', 4.2')를 가지고 이는 이들의 삽입 위치에서 특히 L-형 플러그(51, 51')에 래치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캐치 돌출부(4.1, 4.2, 4.1', 4.2')가 배열되어 특히 L-형 플러그(51, 51') 상에서 알려진 기존 돌출부(55.1, 55.2, 55.1', 55.2')로 래치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러그 스톱(3, 3')은 L-형 플러그(51, 51') 후방에서 전개되는 하나 이상의 클립(3.1, 3.2, 3.1', 3.2')으로부터 형성되고, 소켓(52, 52')의 삽입 방향(SR)으로 삽입 위치에서, 특히 삽입 영역(56, 56')에서 L-형 플러그(51, 51') 후방에서 전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L-형 플러그(51, 51') 후방에서 전개되고 L-형으로 각도가 형성되는 2개 이상의 클립(3.1, 3.2, 3.1', 3.2')으로부터 플러그 스톱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3.1, 3.2, 3.1', 3.2')의 단부(5.1, 5.2, 5.1', 5.2')는 마주하여 배열되고 상기 단부(5.1, 5.2, 5.1', 5.2') 사이에서 간극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 윤곽(2.2')은 바람직하게 평행한, 서로에 대해 특히 비스듬하게 오프셋 형성되어,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결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저부 부분(62)은 공동(8)으로 삽입될 수 있는 캐리어(9)를 가지고, 특히 이는 주변 캐치 수단(63)에 의해 상단 부분(64)으로 래치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켓(52, 52')은 특히 원통형 플러그-인 수용기(61, 61')를 각각 가지고, 이는 기저부 부분(62)에서 서로에 대해 마주하여 바람직하게 인접되고, 원통형 고전류 퓨즈(60)로써 퓨즈(60)는 2개의 플러그-인 수용기(61, 61') 사이에서 수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 커넥터와 퓨즈(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의 시스템.
  16. 소켓(52, 52')과 플러그(51, 51') 및, 커넥터와 수용 장치(1)에 의해 형성되는 소켓 연결부와 플러그를 보호하기 위한 전류 전달 요소로써 상기 소켓(52, 52') 사이에 배치된 퓨즈(60)로 구성되는 2개의 커넥터를 수용하고 래치 결합시키기 위한 수용 장치에 있어서, 커넥터가
    - 플러그(51, 51')의 래치 결합을 위한 캐치 돌출부(4.1, 4.2, 4.1', 4.2')를 가지는 플러그(51, 51')를 수용하기 위한 상단 부분(64) 및
    - 퓨즈(60)와 소켓(52, 52')을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와 접촉하기 위한 상단 부분(64)에 연결될 수 있는 기저부 부분(62)을 포함하고, 상기 퓨즈(60)가 수용 장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퓨즈(60)가 수용 장치(1) 내 커넥터의 캐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KR1020107009844A 2007-11-16 2008-11-06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장치 KR101402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022270.8 2007-11-16
EP07022270A EP2061063B1 (de) 2007-11-16 2007-11-16 Aufnahmeeinrichtung zur Aufnahme eines Steckverbinders
DE202007016140.9 2007-11-16
DE202007016140U DE202007016140U1 (de) 2007-11-16 2007-11-16 Aufnahmeeinrichtung zur Aufnahme eines Steckverbinders
PCT/EP2008/009342 WO2009062625A1 (de) 2007-11-16 2008-11-06 Aufnahmeeinrichtung zur aufnahme eines steckverbind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086A true KR20100085086A (ko) 2010-07-28
KR101402481B1 KR101402481B1 (ko) 2014-06-03

Family

ID=40328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9844A KR101402481B1 (ko) 2007-11-16 2008-11-06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79866B2 (ko)
JP (1) JP5404640B2 (ko)
KR (1) KR101402481B1 (ko)
CN (1) CN101884083B (ko)
WO (1) WO20090626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3203A1 (de) * 2014-03-11 2015-09-17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eckbare Gerätekombination
CN103904498B (zh) * 2014-04-21 2015-10-14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一种保险盒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79478A (ko) * 1944-02-02
FR2063804A5 (ko) * 1969-10-31 1971-07-09 Marechal Sepm
JPS56110556U (ko) * 1980-01-29 1981-08-26
JP2510353Y2 (ja) * 1989-12-14 1996-09-11 エナジーサポート株式会社 箱形カットアウト
US5588876A (en) * 1991-06-11 1996-12-31 Multico International Pty. Ltd. Fused electrical connectors
HUT66016A (en) * 1991-06-11 1994-08-29 Multico Int Pty Ltd Improvements in fused electrical connectors
JP2715356B2 (ja) * 1992-04-23 1998-02-18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ジブルリンクの組付構造
JP3019748B2 (ja) * 1995-05-31 2000-03-13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源切断器の防水構造
EP0747592B1 (en) 1995-06-09 1999-10-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installation structure for fuel tank
US5700165A (en) * 1995-12-11 1997-12-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sed high ampacity electrical quick disconnect
JPH1083753A (ja) 1996-09-05 1998-03-31 Yazaki Corp サービスプラグ
CN2293129Y (zh) * 1997-02-27 1998-09-30 王建元 插座护闸
DE20000160U1 (de) 2000-01-07 2000-03-30 Kostal Leopold Gmbh & Co Kg Elektrisches Steckverbindungsteil
JP3783198B2 (ja) * 2000-03-31 2006-06-07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ボックス、ヒューズ及びヒューズブロック
DE102004037277B4 (de) 2004-07-31 2010-06-17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r Mehrfachstecker
DE102006012337B3 (de) 2006-03-17 2007-11-29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79866B2 (en) 2011-12-20
CN101884083A (zh) 2010-11-10
WO2009062625A1 (de) 2009-05-22
US20100311271A1 (en) 2010-12-09
CN101884083B (zh) 2013-12-11
KR101402481B1 (ko) 2014-06-03
JP5404640B2 (ja) 2014-02-05
JP2011503813A (ja)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0462B1 (ko) 고 전류 어플리케이션용 안전 시스템
US8529291B2 (en) Wall bushing plug connector and fastening element for it
KR20180005634A (ko) 차량용 커넥터
KR101550229B1 (ko) 플러그인 유닛
JP2002369336A (ja) 電気接続箱
GB2434700A (en) Multi-function power connection device
KR20190057883A (ko) 정션 블록
US20230054502A1 (en) Charging inlet assembly having a proximity resistor assembly
JP2008529469A (ja) 切り替え可能なヒューズ付き配電ブロック
KR101794340B1 (ko) 차량용 커넥터
KR20180005633A (ko) 차량용 커넥터
US7147521B2 (en) Wiring junction block
KR20100085086A (ko)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장치
US7446635B2 (en) Combination of two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s
US8507809B2 (en) Component-equipped-holder mounting structure
JP7086081B2 (ja) 内蔵ロックアウト機能付き電気接続デバイス
JPWO2020100731A1 (ja) コネクタ
KR101794339B1 (ko) 차량용 조인트 커넥터
KR101794338B1 (ko) 조인트 커넥터
CN115458968A (zh) 接头连接器
WO2011160958A2 (en) Hv battery connector
US8864534B2 (en) Double-locking socket for an electric bulb
WO2009005521A1 (en) Fused power intercept
TWI528654B (zh) 具容限補償之組合電氣連接器
US20220359129A1 (en) Manual service disconnect for in-vehicle electric curr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