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9832A - 화장품용 패키징 및 주출 조립체 - Google Patents

화장품용 패키징 및 주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9832A
KR20190049832A KR1020197010246A KR20197010246A KR20190049832A KR 20190049832 A KR20190049832 A KR 20190049832A KR 1020197010246 A KR1020197010246 A KR 1020197010246A KR 20197010246 A KR20197010246 A KR 20197010246A KR 20190049832 A KR20190049832 A KR 20190049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cosmetic
carrier
flocked
si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9064B1 (ko
Inventor
마크 라메
Original Assignee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레알 filed Critical 로레알
Publication of KR20190049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8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with provision for sieves or shaping parts for sticks e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45D40/0075Jars with dispen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7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12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Landscapes

  • Cosmetic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을 수납하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리저버(212) 및 화장품이 주출되는 복수의 구멍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체(224)를 구비하고, 상기 구멍은 적어도 하나의 외측 주출 구역을 획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주출 구역은 플록 가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역(220)과 플록 가공되지 않거나 제1 구역과는 다르게 플록 가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222)을 구비하는 것인 화장품용 패키징 및 주출 조립체(2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화장품 캐리어 및 상기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품용 패키징 및 주출 조립체
본 발명은 화장품용 패키징 및 주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패키징 및 주출 조립체는 화장품을 수납하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리저버 및 화장품이 주출되도록 복수의 구멍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체를 구비하고, 상기 구멍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주출 구역을 획정한다.
"화장품"이라는 표현은 화장품에 관한 2009년 11월 30일자 유럽 이사회 및 의회 규칙 1223/2009에 있어서 규정된 제품을 정의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은 액체 또는 유체의 제품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은 케어 용품 또는 메이크업 용품, 예를 들면 파운데이션 또는 크림일 수 있다.
화장료 조립체, 예를 들어 화장료 컴팩트는 간단하고 편리한 메이크업용 도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화장료 조립체는 화장품(화장료 조성물, 제형), 예를 들면 파운데이션을 수용하고, 사용자의 신체 또는 얼굴에 있어서 원하는 영역에 화장품을 도포할 때 사용된다. 통상의 화장료 조립체는 화장품용 리저버 및 리저버를 닫도록 구성된 뚜껑을 구비한다.
최근, 화장품, 예를 들면 크림 타입 또는 액체 타입의 파운데이션이 함침된 화장품 캐리어가 개발되어 있다. 캐리어는 일반적으로 발포성 재료 또는 스펀지,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또는 폴리우레탄(PU) 스펀지로 형성될 수 있다. 캐리어는 리저버 내에 삽입되어 있다.
"쿠션 파운데이션"으로 통상 불리는 스펀지에 함침시킨 액체 파운데이션 또는 크림계는, 2008년에 최초로 한국에 출현하여 현재 세계 시장에 걸쳐 성공적으로 퍼지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캐리어에는 예를 들어, 액체 화장품이 함침되고, 사용자는 어플리케이터, 예를 들면 퍼프를 사용하여, 캐리어의 표면으로부터 화장품을 취할 수 있다.
상기 제품은 어플리케이터에 의해, 또는 손가락에 의해서도 약간의 압력을 가하여 캐리어 상외측면의 세공을 통해 캐리어에 의해 직접 주출될 수 있거나, 또는 개별 체(예를 들면, 메쉬) 또는 네트를 통해 주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션" 타입의 용기는 하기 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EP0528705호는 유체 화장품이 함침된 스펀지형 요소를 구비하는 함침 화장료 물품에 대해 개시한다. 스펀지형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오픈 셀을 갖는 가요성 합성 발포체에 의해 구성된다. 당해 합성 발포체는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에폭시 수지 또는 폴리스티렌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펀지형 요소에는 가요성 스크린 네트가 실려 있다. 상기 스크린 네트는 스펀지형 요소의 주변부를 압입하는 프레임에 의해 스펀지형 요소 위에 지지된다. 스크린 네트는 스펀지형 요소가 압박받았을 때 스펀지형 요소를 변형시킬 수 있고, 이어서 사용자가 압박을 멈추었을 때에는 그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가요성을 갖는 임의의 재료로 제조된다.
JP-U-H01-131422호는 섬유 조각에 액체를 스며들게 하는 부재를 개시한다. 부직판 및 합성 수지 시트가 연속적으로 적층된다. 부직판은 판 모양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합성 수지 시트는 부직판과 대략 동일한 표면 형상을 가지며, 연성 합성 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에 의해 형성된다. 많은 세공이 합성 수지 시트 내에 드릴 가공되고, 이어서 이 시트는 체로서 작용할 수 있다.
EP2837306호는 스크린 네트와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흡수 재료 또는 캐리어를 구비하는 함침 화장료 물품을 개시한다. 흡수 재료는 스크린 네트에 인접한다. 스크린 네트는 폴리우레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TPE),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아크릴 및 올레핀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 제조된다. 흡수 재료는 예를 들면, 스펀지, 발포체, 또는 부직 섬유일 수 있다.
미공개의 PCT 특허출원 PCT/EP2015/067542호는, 또한 캐리어가 섬유, 바람직하게는, 부직 섬유로 제조된 쿠션 타입의 화장료 조립체를 개시한다. 화장품은 스크린 네트를 통해 주출된다.
대안적으로, 화장품은 리저버 내에서는 자유로울 수 있고, 즉 상기 예시된 체 또는 스크린 네트를 통해 주출될 수 있지만, 캐리어 내에 함침되지 않을 수 있다. 체는 화장품이 사용됨에 따라 그에 수반하여 리저버의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고, 또는 리저버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용기는 하기 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CN202664613호는 중앙 육각형 구멍과 이 중앙 구멍의 주위에 배치되는 몇 개의 다른 구멍을 갖는 체를 구비하는 조립체를 개시한다.
JP2003-79425호는 메쉬로 제조되는 체가 프레임에 설치되고, 이에 의해 화장품이 사용됨에 따라, 체가 리저버의 하방으로 이동하는 조립체를 기재한다.
WO2016/038546호는 그 단면이 체의 중심으로부터 체의 주변부를 향하여 크기가 작아지는 구멍을 갖는 체를 구비하는 조립체를 개시한다.
캐리어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해, 표면 처리, 구체적으로는 WO2013/154391호에 개시되어 있는 플록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플록 가공 처리는 JP2010/154876호에도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체 또는 스크린 네트를 통해 화장품을 주출하기 위한 이러한 조립체를 개선하고, 새롭고 특징적인 도포 또는 메이크업 효과를 가질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출면이 다공성 요소 또는 균일한 메쉬로 제조되는 경우, 다양한 세공 크기를 위해 주출 흐름을 조절하기 어려울 수 있다.
다른 문제는 체의 주변부 또는 주출면에 화장품이 과도하게 주출되는 것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체의 주변부에서의 화장품은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취하는 것이 어렵거나 전혀 취하지 못할 수 있고, 화장품이 건조하게 되어, 이는 화장품의 낭비 및 위생상 문제로 이어진다.
화장품의 주출 흐름을 조정하기 위해, 다른 크기의 구멍을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는 성형된 체 또는 드릴 가공된 구멍을 갖는 체에 대해 달성될 수 있지만, 발포체의 다공성 막 또는 메쉬에 대해서는 달성될 수 없다. 성형된 체 또는 드릴 가공된 구멍을 갖는 체의 경우에도, 특수한 금형을 가질 필요성, 또는 다양한 크기의 드릴을 이용하여 몇 개의 드릴 가공 작업을 수행할 필요성이 있고, 이는 복잡하고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 캐리어에 적절한 주출 흐름에 최적화된 화장품 분포를 갖는 화장품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인은 화장품 분포가 플록 가공 기법을 이용하여 잘 조절되고 최적화될 수 있음을 알아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장품을 수납하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리저버 및 화장품이 주출되는 복수의 구멍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체를 구비하고, 상기 구멍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주출 구역을 획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주출 구역은 플록 가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역 및 플록 가공되지 않거나 제1 구역과는 다르게 플록 가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패키징 및 주출 조립체를 제공한다.
실제로 놀랍게도, 플록 가공에 사용되는 플록 섬유 및 접착제가 주출 흐름을 조정하고 더욱 정확하게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어떠한 이론에도 구속되는 것이 아니지만, 접착제 및 플록 섬유는 체의 세공 또는 구멍을 부분적으로 방해하게 된다.
체의 몇 개의 구역을 다르게 플록 가공함으로써, 선택적 주출 유로를 획정하고, 그리고/또는 체의 다른 구역에 있어서 주출 흐름을 강하게 제한하거나 심지어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 플록 가공하는 것은, 사용되는 접착제 또는 사용되는 섬유의 종류가 주출 흐름에 영향을 초래하여, 구멍을 다르게 방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는 체의 주출면의 어느 구역을 플록 가공하고 다른 구역은 플록 가공하지 않음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섬유의 밀도(면 단위 당 섬유의 수)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주어진 직경의 섬유를 사용하여 어느 구역을 플록 가공하고, 크거나 작은 직경의 섬유를 사용하여 다른 구역을 플록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형적으로는, 섬유의 직경은 1 내지 5dtex(데시텍스, 직물 측정 단위)의 사이일 수 있다.
소비자가 플록 가공된 다양한 주출 구역을 명확히 특정하기 위해, 착색된 섬유 또는 착색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체"라는 용어는 화장품이 주출되는 복수의 구멍을 갖는 요소를 의미한다. 체는 메쉬 또는 그리드일 수 있다. 체는 다공성 재료, 예를 들면 다공성 막 또는 발포체로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드릴 가공에 의해 얻어진 구멍을 갖는 비다공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재료의 성형으로 직접 제조될 수 있다. 체는 시트 형상이거나, 아닐 수 있다. 체는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거나, 아닐 수 있다. 체는 화장품 캐리어로부터 분리되어 있거나, 캐리어와 일체일 수 있다. 이는, 또한 체가 실제로 캐리어의 상면에 의해 직접 구성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화장품은 캐리어 내에 함침시킬 수 있고, 캐리어는 리저버 내에 위치한다. 캐리어는 발포체 재료(스펀지),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또는 폴리우레탄(PU) 스펀지로 제조될 수 있다. 캐리어는 섬유, 바람직하게는 부직 섬유로 제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외부 주출 구역은 주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주변 영역은 주변 영역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주영역보다 조밀하게 플록 가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외부 주출 구역은 주변 영역의 구멍을 통해 주출되는 화장품이 주변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주영역의 구멍을 통해 주출되는 화장품보다 적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세공 또는 구멍을 갖는 화장품 함침 타입의 화장품 캐리어를 추가로 제공하고, 이 화장품 캐리어는 화장품이 주출될 수 있는 화장품 캐리어의 외측면에서 플록 가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역과, 플록 가공되지 않거나 제1 구역과는 다르게 플록 가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을 구비한다.
화장품 캐리어는 화장품 캐리어의 외측면에서 개별 체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고, 여기서 복수의 구멍이 체에 의해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역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은 체에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리저버와 리저버 내 상기 화장품 캐리어를 구비하는 화장료 조립체를 추가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추가로 제공하고, 이 방법은 (a) 화장품을 수납하도록 의도된 리저버 및 화장품이 주출되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주출 구역을 획정하는 복수의 구멍을 갖는 체를 제공하는 단계, (b) 체의 적어도 하나의 외부 주출 구역에서 플록 가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역과 플록 가공되지 않거나 제1 구역과는 다르게 플록 가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을 특정하는 단계로서, 제1 구역은 전체 주출 구역보다 작은 단계, 및 (c)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역에서 플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역에서 플록을 제공하는 단계와는 다른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에서 플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역에서 플록을 제공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역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역에 걸쳐 플록을 산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는 스텐실을 사용함으로써 도포될 수 있다.
플록을 제공하는 단계는 각 플록이 화장품 캐리어의 외측면에서 수직으로 흡착되도록 고전압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비한정적이고 대표적인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뚜껑이 열려 있는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립체의 제1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뚜껑이 열려 있는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립체의 제2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뚜껑이 열려 있는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립체의 제3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화장품을 수납하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리저버 및 화장품이 주출되는 복수의 구멍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체를 구비하고, 상기 구멍은 적어도 하나의 외측 주출 구역을 획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주출 구역은 플록 가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역과 플록 가공되지 않거나 제1 구역과는 다르게 플록 가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패키징 및 주출 조립체에 주로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화장품 캐리어 및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화장료 조립체]
(제1 실시형태)
도 1은 뚜껑이 열려 있는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립체(10)의 제1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화장료 조립체>
화장료 조립체(10)는 개구를 갖는 리저버(12), 화장품 캐리어(14), 내부 뚜껑(16) 및 외부 뚜껑(18)을 구비한다.
리저버(12)는 바닥 벽 및 원통형 측벽을 구비한다. 리저버(12)의 개구는 화장품 캐리어(14)를 수용하기 위해 리저버(12)의 바닥 벽 및 원통형 측벽에 의해 획정된다. 리저버(12)의 형상은 도 1에서는 원형이지만, 리저버의 형상이 정사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타원형, 또는 임의의 다른 형상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화장품 캐리어(14)는 화장품, 예를 들면 크림 타입 또는 액체 타입의 파운데이션을 함침하도록 구성된다. 화장품 캐리어(14)는 내부 뚜껑(16)과 외부 뚜껑(18)의 양쪽 모두가 열려 있을 때, 캐리어(14)의 상측면이 노출되도록, 리저버(12)의 개구 내에 위치한다.
화장품 캐리어(14)는 도 1에서는 스펀지이지만, 화장품 캐리어(14)는 적어도 하나의 체를 갖거나 갖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다공성 물품, 예를 들면 스펀지, 또는 화장품을 함침하는 임의의 다른 캐리어를 구비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화장품 캐리어는 스펀지 및 스펀지의 상측면에 설치되는 체를 구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체는 화장료 캐리어와 일체일 수 있고, 다공성 캐리어의 상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화장품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다. 캐리어의 재료는 발포체 재료,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또는 폴리우레탄(PU) 발포체, 섬유, 바람직하게는 부직 섬유, 또는 임의의 다른 공지의 적합한 재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내에 함침된 화장품은 필요에 따라 캐리어의 상측면을 통해 주출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상측면은 체를 구성한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압박력이 어플리케이터(예를 들면, 퍼프),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해 캐리어의 상측면에 가해졌을 때, 캐리어는 캐리어의 상측면이 조립체의 리저버 바닥에 접근하도록 변형된다. 결과적으로, 캐리어 내부의 화장품은 캐리어의 상측면을 통과하여 캐리어의 상측면 밖으로 스며 나온다. 사용 후, 캐리어의 상측면에 대한 압박력이 해제되었을 때, 캐리어는 그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그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온다.
화장료 조립체는 화장품이 함침된 이러한 화장품 캐리어를 반드시 구비하는 것은 아니고, 화장품은 리저버 내에서 "자유"일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즉, 예를 들어 화장품은 고체 상태 또는 겔 폼 등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리저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바람직하게는, 체가 화장품을 덮어서 제공될 수 있고, 화장품은 체의 복수의 구멍을 통해 주출될 수 있다.
내부 뚜껑(16)은 리저버(12)의 원통형 벽의 상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내부 뚜껑(16)은 내부 뚜껑(16)이 닫혀 있을 때, 화장품 캐리어(14)를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외부 뚜껑(18)도 또한 리저버(12)의 측면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외부 뚜껑(18)은 외부 뚜껑(18)이 닫혀 있을 때, 닫힌 내부 뚜껑(16)을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뚜껑(18)의 열림/닫힘 방향은 리저버(12)에 대한 내부 뚜껑(16)의 열림/닫힘 방향과는 다르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뚜껑(18)에는 그 내면에 메이크업용 거울이 제공된다.
그러나, 화장료 조립체(10)는 화장품 캐리어(14)가 조립체(10) 내에 받아 들여질 수 있는 한, 상기 이외의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뚜껑 및/또는 외부 뚜껑은 조립체의 리저버에 회전 가능 및/또는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뚜껑 및/또는 외부 뚜껑은 조립체의 리저버에 나사 체결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화장품 캐리어>
리저버(12) 내 화장품 캐리어(14)는 그 상측면에 플록 가공 구역(20) 및 비플록 가공 구역(22)을 갖는다. 도 1에서, 6개의 꽃잎 형상의 플록 가공 영역(20)이 캐리어(14)의 상측면의 양측에 형성된다. 그 중심 부분을 포함하는 다른 구역은 비플록 가공 구역(22)에 대응한다.
복수의 플록이 플록 가공 구역(20) 위에 분포된다. 플록의 재료는 천연 섬유, 예를 들면 실크 또는 면, 또는 합성 섬유,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나일론 및 레이온일 수 있다. 각 플록의 길이는 예를 들어, 1 mm일 수 있다. 각 플록의 직경은, 예를 들어 1 내지 5dtex(데시텍스, 직물 측정 단위)의 사이일 수 있다. 그러나, 각 플록의 재료, 길이, 또는 직경은 적절히 선택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플록 가공 구역(20)은 주위의 비플록 가공 구역(22)에 비해 전체적으로 솟아오른 구역의 외관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플록 가공 구역(20)은 화장품 캐리어(14)에서 임의의 시각적 패턴, 마크, 기호, 문자, 또는 임의의 다른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플록 가공된 패턴은 화장품의 주출 흐름을 변형시키므로, 도포 전에 패턴은 퍼프에, 최종적으로는 피부에 전사될 수 있다.
플록 가공 구역(20)에서, 플록은 그 세공 크기를 축소하기 위해 캐리어(14)의 세공을 부분적으로 막고, 이는 플록 가공 구역 내 주출 흐름의 감소로 이어진다. 플록은 화장품이 세공 또는 구멍을 통해 주출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비플록 가공 구역(22) 내보다 플록 가공 구역(20) 내 세공 또는 구멍을 통해 주출되는 화장품은 적다. 즉, 이러한 부분적인 선택적 플록 가공은 캐리어(14) 내 화장품의 주출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화장품 캐리어는 캐리어의 외측면에 복수의 구멍을 갖는 체(예를 들면, 메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플록은 전형적으로 체에 제공된다. 캐리어가 다양한 크기의 구멍을 갖는 이러한 체를 갖는 경우, 플록은 마찬가지로 구멍을 막거나 닫는다.
대안적으로, 화장품 캐리어의 외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플록 가공 구역 및 제1 플록 가공 구역과는 다르게 플록 가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플록 가공 구역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록 가공 구역 및 제2 플록 가공 구역은 플록의 밀도, 또는 플록의 타입(재료, 길이, 직경 등) 등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하나의 이점은 화장품의 분포가 많이 플록 가공된 구역, 적게 플록 가공된 구역 및/또는 비플록 가공 구역의 위치에 따라 조절되고 최적화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화장품 캐리어의 경우, 함침된 화장품은 캐리어의 주변부에서 퍼질 가능성이 있다. 화장품이 어플리케이터에 옮겨질 때,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캐리어로부터 주변부에서의 이러한 화장품을 취하는 것은 어렵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캐리어는 이러한 사용되지 않는 화장품을 감소시키기 위해, 적절한 화장품 분포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록 가공 구역이 주로 캐리어의 상측면의 주변 영역에 위치하고, 비플록 가공 구역이 주로 캐리어의 상측면의 주변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중심(주된)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주변 영역에서의 이러한 사용되지 않는 화장품은 종래의 화장료 조립체의 그것보다 적어진다.
캐리어 표면의 중심 영역보다 캐리어 표면의 주변 영역에 많은 플록 가공 구역 및 적은 비플록 가공 구역이 있는 경우, 주변 영역에 있어서의 사용되지 않는 화장품은 감소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화장품의 이러한 감소는, 또한 비플록 가공 구역의 표면적에 대한 플록 가공 구역의 표면적 비율이 화장품 캐리어의 상측면의 중심 영역에서 주변 영역을 향하여 증가하는 경우에도 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대안적으로, 주변 영역은 중심 영역보다 조밀하게 플록 가공될 수 있다.
화장품 캐리어(14)의 부분적인 플록 가공의 다른 이점은, 부분적인 플록 가공에 의해 다양한 패턴, 마크, 기호, 또는 문자를 캐리어 표면에 형성하여 화장품 캐리어의 특정성 또는 미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이점이 화장품 캐리어에 대해서만 아니라, 체를 갖는 화장료 조립체에 대해서도 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제2 실시형태)
도 2는 뚜껑이 열려 있는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립체(110)의 제2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제1 실시형태와 같은 특징에 대해서는 이하 생략한다.
화장료 조립체(110)는 개구를 갖는 리저버(112), 화장품 캐리어(114), 내부 뚜껑(116) 및 외부 뚜껑(118)을 구비한다. 화장료 조립체(110)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구성과 유사하다.
리저버(112) 위의 화장품 캐리어(114)는 그 상측면에 플록 가공 구역(120) 및 비플록 가공 구역(122)을 갖는다. 도 2에서는, 꽃모양 플록 가공 구역(120)이 화장품 캐리어(114)의 상측면의 중심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플록가공 구역(120) 주위의 다른 구역은 비플록 가공 구역(122)이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품 캐리어(114)에 있어서는, 꽃패턴은 주위 비플록 가공 구역(122)과 비교하여 솟아오른 플록 가공 구역(120)에 의해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물론, 구역(122)은 또한 구역(120)보다 조밀하지 않게 플록 가공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플록 가공 구역(120)은 화장품이 그 내부의 세공 또는 구멍을 통해 주출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비플록 가공 구역(122) 내보다 플록 가공 구역(120) 내 세공 또는 구멍을 통해 주출되는 화장품은 적다.
(제3 실시형태)
도 3은 뚜껑이 열려 있는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립체(210)의 제3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와 같은 특징에 대해서는 이하 생략한다.
화장료 조립체(210)는 개구를 갖는 리저버(212), 체(224), 내부 뚜껑(216) 및 외부 뚜껑(218)을 구비한다. 화장료 조립체(210)의 구성은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구성과 유사하다. 체(224)는 복수의 구멍을 갖지만, 간략히 하기 위해 도 3에는 구멍을 나타내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리저버(212) 위의 체(224)는 그 상측면에 플록 가공 구역(220) 및 비플록 가공 구역(222)을 갖는다. 도 3에서는, 방사형 도트 형상의 비플록 가공 구역(222)이 체(224)의 상측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다른 구역은 플록 가공 구역(220)이다. 도트 형상의 비플록 가공 구역(222)의 크기는 체(224)의 상측면의 중심 영역에서 주변 영역을 향하여 점차 작아진다. 비플록 가공 구역(222)은 8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퍼지는 8개의 보다 긴 도트선 및 보다 긴 도트선 사이를 방사형으로 퍼지는 8개의 보다 짧은 도트선으로 구성된다. 즉, 주변 영역보다 중심 영역에서 도트가 많고, 크게 존재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WO2016/038546호에 개시되어 있는 효과와 유사한 효과에 보다 간단한 제조법으로 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체(224)에서는, 방사형 도트 패턴은 주위 플록 가공 구역(220)과 비교하여 움푹 들어간 비플록 가공 구역(222)에 의해 형성된다. 화장품 또는 화장품 캐리어는 리저버(212) 내의 체(224)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체(224)는 화장품 캐리어의 상면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화장품은 체(224)의 구멍을 통해 어플리케이터, 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취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플록 가공 구역(220)은 화장품이 체(224) 또는 리저버에서 주출되는 것을 제한하므로, 체(224) 내 주변 영역에서 주출된 화장품의 양에 대한 중심 영역에서 주출된 화장품의 양의 비율은 종래의 화장품 캐리어의 그것보다 크다. 따라서, 종래의 화장품 캐리어보다 체(224) 내 주변 영역에 존재하는 사용되지 않는 화장품은 적다.
[화장료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이하에서 검토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록 가공 구역은 통상의 정전 플록 가공 기법에 의해 형성된다. 정전 플록 가공에 있어서는, 접착제가 화장품 캐리어의 표면, 또는 화장품 또는 화장품 캐리어를 덮는 체의 표면이 플록 가공되는 소정의 구역에 도포된다. 이어서, 섬유를 절단함으로써 제조되는 복수의 짧은 플록이 이 접착제 구역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고전압환경 하에서 산재한다. 정전력에 의해 각 플록은 캐리어 또는 체의 표면에 수직으로 흡착된다. 그 후, 플록을 갖는 캐리어 또는 체는 플록을 캐리어 또는 체의 표면에 고정하기 위해, 건조 및/또는 가열된다.
정전 플록 가공을 사용하면, 균일하고 밀접하게 간격이 비워진 플록은 캐리어 또는 체의 표면에서 얻을 수 있다. 플록 가공 구역 전체의 크기 및 형상은 플록 가공 구역의 원하는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제1 플록 가공 구역 및 제1 플록 가공 구역과는 다르게 플록 가공되는 제2 플록 가공 구역을 제공하는 경우, 접착제는 동일하게 제2 구역에 도포되고, 이어서 플록은 제1 구역의 산재와는 다른 형태로 제2 구역에 걸쳐 산재한다. 예를 들어, 플록의 밀도, 또는 플록의 타입(재료, 길이, 직경 등) 등은 다를 수 있다. 플록 가공되는 구역은 스텐실을 사용함으로써 경계가 결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텐실은 접착제를 구체적으로 한정된 구역에 도포하기 위해, 또는 접착제에 의해 완전히 커버되는 표면에 선택적으로 플록 섬유를 도포하기 위해 사용된다.
플록 가공 공정은 정전 플록 가공 이외의 임의의 기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접착제 또는 플록 섬유는 어플리케이터, 스텐실, 또는 임의의 다른 공정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플록 가공은 접착제 없이, 예를 들어 플록 가공되는 구역을 물리적으로 경계 결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화장료 조립체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립체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이하에서 검토한다.
우선, 외부 뚜껑이 열리고, 이어서 내부 뚜껑이 열려, 화장품이 함침된 화장품 캐리어, 또는 리저버 내 화장품 또는 화장품 캐리어를 덮는 체를 노출시킨다. 화장품은 전형적으로는 어플리케이터, 예를 들면 퍼프를 사용하여, 캐리어 또는 체의 표면으로부터 취한다. 이어서, 어플리케이터를 사용자의 피부, 예를 들면 뺨에 가져가서 어플리케이터 상의 화장품을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는 외부 뚜껑의 내면의 거울에 비친 자신의 얼굴을 보면서, 어플리케이터로 메이크업을 행할 수 있다.

Claims (20)

  1. 화장품용 패키징 및 주출 조립체로서,
    상기 화장품을 수납하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리저버; 및
    상기 화장품이 주출되는 복수의 구멍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체를 구비하고,
    상기 구멍은 적어도 하나의 외측 주출 구역을 획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주출 구역이 플록 가공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역 및 플록 가공되지 않거나 상기 제1 구역과는 다르게 플록 가공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패키징 및 주출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이 캐리어 내에 함침되고, 상기 캐리어가 상기 리저버 내에 위치하는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또는 폴리우레탄(PU) 스펀지와 같은 발포체 재료로 제조되는 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섬유, 바람직하게는 부직 섬유로 제조되는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이 캐리어 없이 상기 리저버 내에 수납되는 조립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가 메쉬 또는 그리드인 조립체.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가 다공성 재료, 예를 들어 다공성 막 또는 발포체로 제조되는 조립체.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가, 예를 들어 드릴 가공에 의해 얻어진 구멍을 갖는 비다공성 재료로 제조되거나, 상기 재료의 성형으로 직접 제조되는 것인 조립체.
  9.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가 상기 캐리어와 일체이며, 상기 체가 예를 들어 상기 캐리어의 상면에 의해 구성되는 조립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주출 구역이 주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 영역이 상기 주변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주영역보다 조밀하게 플록 가공되는 조립체.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주출 구역은 주변 영역의 구멍을 통해 주출되는 화장품이 상기 주변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주영역의 구멍을 통해 주출되는 화장품보다 적도록 구성되는 조립체.
  12. 복수의 세공 또는 구멍을 갖는 화장품 함침 타입의 화장품 캐리어로서, 상기 세공 또는 구멍은 화장품이 주출될 수 있고, 상기 화장품 캐리어의 외측면에서 플록 가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역 및 플록 가공되지 않거나 상기 제1 구역과는 다르게 플록 가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을 구비하는 화장품 캐리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캐리어의 상기 외측면에서 체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구멍은 상기 체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이 상기 체에 형성되는 화장품 캐리어.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캐리어의 상기 외측면이 주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 영역이 상기 주변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주영역보다 조밀하게 플록 가공되는 화장품 캐리어.
  15. 적어도 하나의 리저버 및 상기 리저버 내에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의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 캐리어를 구비하는 화장료 조립체.
  16.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상기 화장품을 수납하도록 의도된 리저버 및 상기 화장품이 주출되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주출 구역을 획정하는 복수의 구멍을 갖는 체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주출 구역에서 플록 가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역 및 플록 가공되지 않거나 상기 제1 구역과는 다르게 플록 가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을 특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구역은 전체 주출 구역보다 작은 단계, 및
    (c)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역에서 플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역에서 플록을 제공하는 단계와는 다른 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역에서 플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방법.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역에서 플록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역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역에 걸쳐 플록을 산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스텐실을 사용하여 도포되는 방법.
  20.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록을 제공하는 단계는 각 플록이 화장품 캐리어의 외측면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흡착되도록 고전압 하에서 수행되는 방법.
KR1020197010246A 2016-10-19 2017-08-16 화장품용 패키징 및 주출 조립체 KR102219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04954A JP6657050B2 (ja) 2016-10-19 2016-10-19 化粧品のためのパッケージング/注出組立体
JPJP-P-2016-204954 2016-10-19
PCT/JP2017/030004 WO2018074050A1 (en) 2016-10-19 2017-08-16 Packaging and dispensing assembly for a cosmetic produ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832A true KR20190049832A (ko) 2019-05-09
KR102219064B1 KR102219064B1 (ko) 2021-02-22

Family

ID=59887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246A KR102219064B1 (ko) 2016-10-19 2017-08-16 화장품용 패키징 및 주출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57050B2 (ko)
KR (1) KR102219064B1 (ko)
CN (1) CN109788834B (ko)
WO (1) WO20180740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2403B1 (fr) * 2018-06-19 2021-06-18 Oreal Article cosmetique en dentelle
FR3082402B1 (fr) * 2018-06-19 2020-05-22 L'oreal Article cosmetique en broderie
FR3087099B1 (fr) * 2018-10-15 2021-10-22 Oreal Dispositif cosmetique
FR3097725B1 (fr) * 2019-06-27 2022-12-23 Oreal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article cosmétique
CN114269199A (zh) * 2019-10-22 2022-04-01 株式会社黛怡茜 化妆品、液体化妆料用的垫以及液体化妆料含浸体
WO2021149557A1 (ja) * 2020-01-22 2021-07-29 株式会社タイキ 化粧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化粧品用の調整シート
WO2023120123A1 (en) * 2021-12-22 2023-06-29 L'oreal Screen for cosmetic container and cosmetic container
FR3132617A1 (fr) * 2022-02-14 2023-08-18 L'oreal Tamis pour contenant cosmétique et contenant cosmétiqu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825Y2 (ja) * 1980-11-19 1985-03-29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携帯用まほうびん
JP2004313791A (ja) * 2003-04-15 2004-11-11 L'oreal Sa 指に装着可能なアプリケータ
JP2016530923A (ja) * 2014-02-14 2016-10-06 エルジー ハウスホールド アンド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化粧品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644Y2 (ja) * 1977-07-14 1983-03-11 山本産業株式会社 化粧パフ
JPH068825Y2 (ja) * 1986-09-25 1994-03-09 憲司 中村 化粧用パフ
JPH0446689Y2 (ko) 1988-03-01 1992-11-04
FR2680455B1 (fr) 1991-08-19 1993-11-05 Oreal Ensemble de conditionnement d'un produit cosmetique sous forme fluide.
JP4738676B2 (ja) 2001-09-14 2011-08-03 株式会社 資生堂 粉末化粧料容器
US7416358B2 (en) * 2003-04-15 2008-08-26 L'oreal Applicator intended to be attached to a finger
JP2010154876A (ja) 2008-12-26 2010-07-15 Kao Corp 化粧用使い捨て不織布
KR20130116194A (ko) 2012-04-13 2013-10-23 (주)아모레퍼시픽 스크린망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SG11201406395VA (en) 2012-04-13 2014-11-27 Amorepacific Corp Cosmetic composition carrier comprising foams
CN202664613U (zh) 2012-05-09 2013-01-16 苏州兴广五金制品有限公司 化妆粉盒用筛粉板
JP6008825B2 (ja) 2013-11-18 2016-10-19 株式会社藤商事 弾球遊技機
KR101619128B1 (ko) * 2014-07-15 2016-05-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FR3025409B1 (fr) 2014-09-09 2017-12-22 Oreal Dispositif comportant un tamis avec orifices de section variab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825Y2 (ja) * 1980-11-19 1985-03-29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携帯用まほうびん
JP2004313791A (ja) * 2003-04-15 2004-11-11 L'oreal Sa 指に装着可能なアプリケータ
JP2016530923A (ja) * 2014-02-14 2016-10-06 エルジー ハウスホールド アンド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化粧品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57050B2 (ja) 2020-03-04
CN109788834B (zh) 2021-11-19
KR102219064B1 (ko) 2021-02-22
WO2018074050A1 (en) 2018-04-26
JP2018064742A (ja) 2018-04-26
CN109788834A (zh) 201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064B1 (ko) 화장품용 패키징 및 주출 조립체
CN108135783B (zh) 具有纤维和筛网的浸渍化妆品制品
EP3391773B1 (en) Method for producing cosmetic puff using membrane film, and cosmetic puff produced using same
JP2002034648A (ja) 優先的に供給されるアプリケータ領域を有するような包装及びアプリケータ装置
KR20150028272A (ko) 스크린망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US6666216B2 (en) Device for applying a product to a surface
KR20160110034A (ko) 액상 화장품이 함침되는 화장품 용기의 함침부재
KR102169055B1 (ko)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
KR102570143B1 (ko) 화장용 콤팩트
WO2012001072A1 (en) Application device
JPH061059Y2 (ja) 化粧用パフ
KR102176747B1 (ko) 기능성 화장료의 자가 배출형 퍼프
JP7345575B2 (ja) 化粧用物品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KR102508240B1 (ko) 배출제어부재를 포함하는 화장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209399B1 (ko) 함침스펀지의 내용물 멀티 충전 방법
KR102349215B1 (ko) 다양한 배출특성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20220084310A (ko) 화장품 포장 장치
CN111713840A (zh) 具有化妆料储存空间的化妆料载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