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9032A - 클러치 작동기구용 댐핑장치 - Google Patents

클러치 작동기구용 댐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9032A
KR20190049032A KR1020170144441A KR20170144441A KR20190049032A KR 20190049032 A KR20190049032 A KR 20190049032A KR 1020170144441 A KR1020170144441 A KR 1020170144441A KR 20170144441 A KR20170144441 A KR 20170144441A KR 20190049032 A KR20190049032 A KR 20190049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iston
transmitting member
pressure transmitting
dam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4422B1 (ko
Inventor
김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4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422B1/ko
Priority to US15/833,499 priority patent/US10316871B2/en
Priority to DE102017222069.4A priority patent/DE102017222069A1/de
Publication of KR20190049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08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7/00Systems in which the movement produced is definitely related to the output of a volumetric pump; Telemotors
    • F15B7/06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20Reducing vibrations in the driveline
    • B60Y2300/202Reducing vibrations in the driveline related or induced by the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80Other types of control related to particular problems or conditions
    • F15B2211/86Control during or prevention of abnormal conditions
    • F15B2211/8616Control during or prevention of abnormal conditions the abnormal condition being noise or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2048/0215Control by fluid pressure for damping of pulsations within the fluid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22Vibration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12Details not specific to one of the before-mentioned types
    • F16D25/14Fluid press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클러치 작동기구용 댐핑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러치 작동기구용 댐핑장치는 제1유압라인에 의해 마스터실린더와 연결된 제1실린더; 제2유압라인에 의해 작동실린더와 연결되며 제1실린더와 인접한 위치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2실린더; 제1실린더에 설치되며 제1실린더 내 액압에 의해 진퇴하는 제1피스톤; 제2실린더에 설치되며 제2실린더 내 액압에 의해 진퇴하는 제2피스톤; 및 양측이 제1피스톤의 가압부와 제2피스톤의 가압부에 접한 상태로 시소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압력전달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러치 작동기구용 댐핑장치{DAMPING DEVICE FOR CLUTCH ACTUATING DEVICE}
본 발명은 클러치 페달 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며 클러치 페달의 답력을 조절할 수 있는 클러치 작동기구용 댐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클러치는 차량의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설치되며 엔진의 회전력을 변속기 쪽으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열할을 한다.
통상적인 클러치 작동기구는 클러치 페달, 마스터실린더, 작동실린더, 작동포크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치 작동기구는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밟으면, 마스터실린더의 유압이 유압라인을 따라 작동실린더로 전달되고, 작동실린더가 클러치와 연결된 작동포크를 동작시켜 클러치에 의한 동력전달이 차단되도록 한다. 반대로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의 가압을 해제하면, 클러치 페달, 마스터실린더, 작동실린더, 작동포크가 역으로 움직여 클러치에 의해 동력이 연결되도록 한다.
클러치 작동기구는 작동실린더가 엔진룸의 변속기 쪽에 설치된다. 따라서 엔진과 변속기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은 클러치 작동기구의 유압라인을 통해 차량 실내 측 클러치 페달 쪽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 진동은 클러치 페달의 떨림이나 소음을 유발하므로 관련분야에서는 유압라인을 통해 클러치 페달 쪽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종래에는 클러치 페달 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해 유압라인에 레귤레이터를 설치하고, 아울러 클러치 동작을 멈출 때 유압라인을 차단하여 진동의 전달을 막기 위해 유압라인에 AVU(Anti - Vibration Unit)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레귤레이터와 AVU는 구조가 매우 복잡한 장치이고 이들을 함께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클러치 작동기구의 제조원가 상승을 초래하였다.
또 통상의 클러치 작동기구는 적용하는 차량(가솔린엔진 차량 또는 디젤엔진 차량)에 따라 클러치 페달의 답력을 다르게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클러치 페달의 공용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설령 공용화가 가능한 클러치 페달을 적용하더라도 답력 조절을 위한 장치를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클러치 페달 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클러치 작동기구용 댐핑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클러치 페달의 답력을 조절할 수 있는 클러치 작동기구용 댐핑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유압라인에 의해 마스터실린더와 연결된 제1실린더; 제2유압라인에 의해 작동실린더와 연결되며 상기 제1실린더와 인접한 위치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2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에 설치되며 상기 제1실린더 내 액압에 의해 진퇴하는 제1피스톤; 상기 제2실린더에 설치되며 상기 제2실린더 내 액압에 의해 진퇴하는 제2피스톤; 및 양측이 상기 제1피스톤의 가압부와 상기 제2피스톤의 가압부에 접한 상태로 시소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압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클러치기구용 댐핑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댐핑장치는 상기 압력전달부재를 시소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결합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지지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핑장치는 상기 제1피스톤과 상기 압력전달부재의 접점으로부터 상기 지지핀 사이의 거리(L1)를 상기 제2피스톤과 상기 압력전달부재의 접점으로부터 상기 지지핀 사이의 거리(L2)보다 길거나 짧게 조정하여 클러치 페달의 답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댐핑장치는 상기 제1실린더, 상기 제2실린더, 상기 제1피스톤, 상기 제2피스톤, 상기 압력전달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사각 박스형으로 마련되고 한쪽 측면과 하면이 개방되며 상기 제1실린더와 상기 제2실린더가 내면에 평행하게 고정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측면과 하면을 덮는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전달부재와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핀의 결합위치 변경을 위한 다수의 위치조절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피스톤의 가압부와 상기 제2피스톤의 가압부는 외면이 구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압력전달부재는 평판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핀은 상기 제1피스톤 가압부와 상기 제2피스톤 가압부 사이에서 상기 압력전달부재에 위치 변경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러치 작동기구용 댐핑장치는 제2유압라인을 통하여 제2실린더 내부로 전달된 진동이 제2실린더로부터 제1실린더에 이르기까지 수차례의 매질 변동과 진동의 전달면적 변화를 통해 감쇄되도록 하기 때문에 클러치 쪽의 진동이 클러치 페달 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클러치 작동기구용 댐핑장치는 지지핀의 위치를 변경시켜 클러치 페달의 답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클러치 작동기구를 장착하는 차량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클러치 페달의 공용화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댐핑장치가 적용된 클러치 작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러치 작동기구용 댐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러치 작동기구용 댐핑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러치 작동기구용 댐핑장치의 하우징 몸체부와 제1 및 제2실린더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러치 작동기구용 댐핑장치에서 지지핀의 위치 변경에 따른 동작을 각각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 등을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댐핑장치가 적용된 클러치 작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작동기구는 클러치 페달(10), 마스터실린더(20), 제1유압라인(31), 제2유압라인(32), 작동실린더(40), 작동포크(50), 댐핑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치 페달(10)은 차량의 실내 측에 설치되고, 마스터실린더(20)는 푸시로드(21)에 의해 클러치 페달(10)과 연결된 상태로 차량의 엔진룸 쪽에 설치될 수 있다. 마스터실린더(20)는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10)을 밟을 때 클러치(60)의 동작을 위한 액압을 발생시킨다.
클러치(60)는 차량의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작동포크(50)의 동작에 의해 엔진으로부터 변속기 쪽으로 전달되는 동력을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작동포크(50)는 한쪽이 클러치(60) 외측으로 연장되고, 작동실린더(40)는 푸시로드(41)에 의해 작동포크(50)와 연결된 상태로 변속기 쪽에 장착될 수 있다.
마스터실린더(20)와 작동실린더(40)는 제1유압라인(31), 댐핑장치(100), 제2유압라인(32)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따라서 클러치 작동기구는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10)을 밟으면, 마스터실린더(20)의 액압이 제1유압라인(31), 댐핑장치(100), 제2유압라인(32)을 거쳐 작동실린더(40)로 전달되고, 작동실린더(40)가 작동포크(50)를 동작시키므로 클러치(60)에 의해 동력전달이 차단된다. 반대로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10)의 가압을 해제하면, 클러치 페달(10), 마스터실린더(20), 작동실린더(40), 작동포크(50)가 역으로 움직이므로 클러치(60)에 의해 동력이 연결된다.
여기서 작동실린더(40)는 마스터실린더(20)의 유압을 전달받아 작동포크(50)를 동작시키는 클러치 릴리스 실린더(CRC: clutch release cylinder) 형태를 제시하고 있으나, 작동실린더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클러치 작동기구의 작동실린더는 콘센트릭 슬레이브 실린더 어셈블리(CSC: Concentric slave cylinder Assembly) 형태의 유압실린더일 수도 있다.
댐핑장치(100)는 마스터실린더(20)와 연결된 제1유압라인(31)과, 작동실린더(40)와 연결된 제2유압라인(32)을 연결하며, 엔진, 변속기 등으로부터 제2유압라인(32)을 통해 클러치 페달(10) 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댐핑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댐핑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댐핑장치(100)는 하우징(110), 제1실린더(121), 제2실린더(122), 제1피스톤(131), 제2피스톤(132), 압력전달부재(140), 지지핀(15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제1실린더(121), 제2실린더(122), 제1피스톤(131), 제2피스톤(132), 압력전달부재(140)를 수용한다. 하우징(110)은 사각 박스형으로 마련되고 한쪽 측면과 하면이 개방된 몸체부(111)와, 몸체부(111)의 개방된 측면과 하면을 덮는 커버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린더(121)는 제1유압라인(31)과 연결된 상태로 하우징(110)의 몸체부(111) 내에 고정되고, 제2실린더(122)는 제2유압라인(32)과 연결된 상태로 하우징(110)의 몸체부(111) 내에 고정된다.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린더(121)와 제2실린더(122)는 상호 인접한 위치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의 측면이 몸체부(111)의 내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제1유압라인(31)은 몸체부(111)의 상측을 관통하여 제1실린더(121) 내부와 연통하도록 연결되고, 제2유압라인(32)은 몸체부(111)의 상측을 관통하여 제2실린더(122) 내부와 연통하도록 연결된다.
제1피스톤(131)은 하측의 가압부(131a)가 노출된 상태로 제1실린더(121)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피스톤(132)은 역시 하측의 가압부(132a)가 노출된 상태로 제2실린더(122)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린더(121)의 개구 쪽 내면에는 제1피스톤(131) 외면과 접하여 밀봉을 유지하는 제1밀봉씰(121a)이 설치되고, 제2실린더(122)의 개구 쪽 내면에는 제2피스톤(132) 외면과 접하여 밀봉을 유지하는 제2밀봉씰(122a)이 설치된다. 따라서 제1피스톤(131)은 제1실린더(121) 내부의 액압 변동에 의해 진퇴할 수 있고, 제2피스톤(132)은 제2실린더(122) 내부의 액압 변동에 의해 진퇴할 수 있다. 즉 제1피스톤(131)과 제2피스톤(132)은 상호 인접 위치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진퇴한다.
압력전달부재(14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 상면이 제1피스톤(131)의 가압부(131a)와 제2피스톤(132)의 가압부(132a)에 접한 상태에서 시소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우징(110) 내에 설치된다. 이러한 압력전달부재(140)는 평판형으로 마련될 수 있고, 지지핀(150)은 제1피스톤(131)의 가압부(131a)와 제2피스톤(131)의 가압부(132a) 사이에서 압력전달부재(140)를 시소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압력전달부재(140)와 접하는 제1피스톤(131)의 가압부(131a)와 제2피스톤(132)의 가압부(132a)는 외면이 구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피스톤(131)의 가압부(131a)와 제2피스톤(132)의 가압부(132a)는 압력전달부재(140)의 시소운동에도 불구하고 항상 압력전달부재(140)의 상면과 점접촉을 유지할 수 있고, 압력전달부재(140)의 원활한 시소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 (b)의 예처럼 제1피스톤(131)이 신장하여 압력전달부재(140)의 일측을 가압할 때 압력전달부재(140) 반대편이 상승하여 제2피스톤(132)을 상방으로 가압할 수 있는데, 제1피스톤(131)의 가압부(131a)와 제2피스톤(131)의 가압부(132a)가 구면이기 때문에 압력전달부재(140)의 시소운동이 원활할 수 있다.
지지핀(15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몸체부(111), 압력전달부재(140), 하우징(110)의 커버부재(112)를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압력전달부재(140)는 하우징(110) 내에 시소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압력전달부재(140), 하우징(110)의 몸체부(111), 하우징(110)의 커버부재(112)에는 지지핀(150)의 결합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다수의 위치조절공(161,162,163)이 형성된다.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핀(150)의 결합위치를 변경시켜 제1피스톤(131)과 압력전달부재(140)의 접점으로부터 지지핀(150) 사이의 거리(B), 제2피스톤(132)과 압력전달부재(140)의 접점으로부터 지지핀(150) 사이의 거리(A)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클러치 페달(10)의 답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실린더(121) 내부의 액압과 제2실린더(122) 내부의 액압은 평소 대등한 상태로 유지하고, 제1피스톤(131)과 제2피스톤(132)은 항상 설정된 압력으로 압력전달부재(140)의 양측을 가압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클러치 페달(10)을 밟지 않은 상황에서도 제1피스톤(131)의 가압부(131a)와 제2피스톤(132)의 가압부(1321a)가 압력전달부재(140)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들의 접촉부분에서 진동이나 떨림이 생기지 않는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러치 작동기구용 댐핑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와 도 5의 (a)는 클러치 페달(10)을 밟지 않은 상태, 도 5의 (b)는 클러치 페달(10)을 밟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2와 도 5 (a)의 예처럼, 클러치 페달(10)을 밟지 않을 경우, 제1피스톤(131)과 제2피스톤(132)이 대등한 압력으로 압력전달부재(140)의 양측을 가압하므로, 압력전달부재(140)는 대략 하우징(110)의 하면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와 도 5 (a)의 상태에서 제2유압라인(32)을 통하여 클러치(60) 쪽으로부터 댐핑장치(100)의 제2실린더(122)로 전달되는 진동은 제2실린더(122) 내 확장된 공간에 도달하면서 1차로 감쇄된다. 즉 진동이 제2실린더(122) 내의 확장된 공간으로 전해지면서 대폭 감쇄된다. 그리고 1차 감쇄된 진동은 제2실린더(122) 내부의 유체로부터 매질이 다른 제2피스톤(132)으로 전달되면서 2차로 감쇄된다. 또 2차로 감쇄된 진동은 제2피스톤(132)에서 압력전달부재(140)로 전달되면서 매질의 차이 및 진동전달 면적의 차이로 인해 3차로 감쇄된다. 3차로 감쇄된 진동은 마찬가지로 압력전달부재(140)로부터 제1피스톤(131)으로 전달되면서 4차로 감쇄된다. 4차로 감쇄된 진동은 다시 제1피스톤(131)으로부터 매질이 다른 제1실린더(121) 내 유체로 전달되면서 5차로 대폭 감쇄된다.
이처럼 본 실시 예의 댐핑장치(100)는 제2유압라인(32)을 통하여 전달되는 진동이 제2실린더(122)로부터 제1실린더(121)에 이르기까지 수차례의 매질 변동과 진동의 전달면적 변화가 생기면서 감쇄된다. 제1실린더(121)에 이르러서는 진동이 소멸되므로 제1유압라인(31) 쪽으로는 진동의 전달이 생기지 않아 진동이 클러치 페달(10) 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클러치 페달(10)을 밟아 마스터실린더(20)의 액압이 제1유압라인(31)을 통해 제1실린더(121) 내로 전달되면, 도 5 (b)의 예처럼 제1피스톤(131)이 하강하며 압력전달부재(140)의 한쪽을 가압해 압력전달부재(140)의 시소운동을 유발하고, 압력전달부재(140)의 반대편이 상승하며 제2피스톤(132)의 가압부(132a)를 가압해 제2실린더(122) 내의 액압을 상승시킨다. 따라서 제2실린더(122)의 액압이 제2유압라인(32)을 통해 작동실린더(40)로 전달되므로 클러치(60)를 동작(동력전달 차단)시킬 수 있다.
이처럼 클러치 페달(10)을 밟는 경우에도 진동이 제2유압라인(32)을 통하여 댐핑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는데, 이러한 진동은 댐핑장치(100)의 제2실린더(122)로부터 제1실린더(121)에 이르기까지 수차례의 매질 변동과 진동의 전달면적 변화가 생기면서 감쇄된다. 따라서 이 경우도 진동이 클러치 페달(10) 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의 댐핑장치(10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위치조절공(161,162,163)을 이용하여 압력전달부재(140)를 지지하는 지지핀(150)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클러치 페달(10)의 답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5 (a)의 예는 클러치 페달(10)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제1피스톤(131)과 압력전달부재(140)의 접점으로부터 지지핀(150) 사이의 거리(B)를 제2피스톤(132)과 압력전달부재(140)의 접점으로부터 지지핀(150) 사이의 거리(A)와 동일하게 한 경우다. 이 경우 클러치 페달(10)을 밟으면, 도 5의 (b)처럼 제1피스톤(131)과 압력전달부재(140)의 접점으로부터 지지핀(150) 사이의 거리(L1)가 제2피스톤(132)과 압력전달부재(150)의 접점으로부터 지지핀(150) 사이의 거리(L2)보다 짧아지고, 제1피스톤(131)의 이동거리(S1)보다 제2피스톤(132)의 이동거리(S2)가 커진다. 따라서 이때는 클러치(60) 쪽보다 클러치 페달(10) 쪽의 답력이 커진다.
도 6 (a)의 예는 클러치 페달(10)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제1피스톤(131)과 압력전달부재(140)의 접점으로부터 지지핀(150) 사이의 거리(B)를 제2피스톤(132)과 압력전달부재(140)의 접점으로부터 지지핀(150) 사이의 거리(A)보다 짧게 한 경우다. 이 경우 클러치 페달(10)을 밟으면, 도 6의 (b)처럼 제1피스톤(131)과 압력전달부재(140)의 접점으로부터 지지핀(150) 사이의 거리(L1)가 제2피스톤(132)과 압력전달부재(140)의 접점으로부터 지지핀(150) 사이의 거리(L2)보다 더 짧아지고, 제1피스톤(131)의 이동거리(S1)보다 제2피스톤(132)의 이동거리(S2)가 더 커진다. 따라서 이때는 도 5의 경우보다 클러치 페달(10) 쪽의 답력이 더 커진다.
도 7 (a)의 예는 클러치 페달(10)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제1피스톤(131)과 압력전달부재(140)의 접점으로부터 지지핀(150) 사이의 거리(B)를 제2피스톤(132)과 압력전달부재(140)의 접점으로부터 지지핀(150) 사이의 거리(A)보다 크게 한 경우다. 이 경우 클러치 페달(10)을 밟으면, 도 7의 (b)처럼 제1피스톤(131)과 압력전달부재(140)의 접점으로부터 지지핀(150) 사이의 거리(L1)가 제2피스톤(132)과 압력전달부재(140)의 접점으로부터 지지핀(150) 사이의 거리(L2)와 대등해지고, 제1피스톤의 이동거리(S1)와 제2피스톤의 이동거리(S2)도 대등해진다. 따라서 이때는 클러치(60) 쪽과 클러치 페달(10) 쪽의 답력이 대등해지고, 도 5의 경우보다 클러치 페달(10)의 답력이 감소한다.
도 8 (a)의 예는 클러치 페달(10)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제1피스톤(131)과 압력전달부재(140)의 접점으로부터 지지핀(150) 사이의 거리(B)를 제2피스톤(132)과 압력전달부재(140)의 접점으로부터 지지핀(150) 사이의 거리(A)보다 더 크게 한 경우다. 즉 도 7보다 B를 더 크게 한 경우다. 이 경우 클러치 페달(10)을 밟으면, 도 8의 (b)처럼 제1피스톤(131)과 압력전달부재(140)의 접점으로부터 지지핀(150) 사이의 거리(L1)가 제2피스톤(132)과 압력전달부재(140)의 접점으로부터 지지핀(150) 사이의 거리(L2)보다 커지고, 제1피스톤(131)의 이동거리(S1)가 제2피스톤(132)의 이동거리(S2)보다 증가한다. 따라서 이때는 도 7의 경우보다 클러치 페달(10)의 답력이 더 감소한다.
이처럼 본 실시 예의 댐핑장치(10)는 진동을 감쇄하는 기능 뿐 아니라 지지핀(150)의 위치를 변경시켜 클러치 페달(10)의 답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클러치 작동기구를 장착하는 차량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클러치 페달(10)을 공용화할 수 있도록 한다.
10: 클러치 페달, 20: 마스터실린더,
31: 제1유압라인, 32: 제2유압라인,
40: 작동실린더, 50: 작동포크,
60: 클러치, 100: 댐핑장치,
110: 하우징, 121: 제1실린더,
122: 제2실린더, 131: 제1피스톤,
132: 제2피스톤, 140: 압력전달부재,
150: 지지핀, 161,162,163: 위치조절공.

Claims (8)

  1. 제1유압라인에 의해 마스터실린더와 연결된 제1실린더;
    제2유압라인에 의해 작동실린더와 연결되며 상기 제1실린더와 인접한 위치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2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에 설치되며 상기 제1실린더 내 액압에 의해 진퇴하는 제1피스톤;
    상기 제2실린더에 설치되며 상기 제2실린더 내 액압에 의해 진퇴하는 제2피스톤; 및
    양측이 상기 제1피스톤의 가압부와 상기 제2피스톤의 가압부에 접한 상태로 시소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압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클러치기구용 댐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전달부재를 시소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결합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지지핀;을 더 포함하는 클러치기구용 댐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과 상기 압력전달부재의 접점으로부터 상기 지지핀 사이의 거리(L1)를 상기 제2피스톤과 상기 압력전달부재의 접점으로부터 상기 지지핀 사이의 거리(L2)보다 길거나 짧게 조정하여 클러치 페달의 답력을 조절할 수 있는 클러치기구용 댐핑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 상기 제2실린더, 상기 제1피스톤, 상기 제2피스톤, 상기 압력전달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클러치기구용 댐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사각 박스형으로 마련되고 한쪽 측면과 하면이 개방되며 상기 제1실린더와 상기 제2실린더가 내면에 평행하게 고정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측면과 하면을 덮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클러치기구용 댐핑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전달부재와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핀의 결합위치 변경을 위한 다수의 위치조절공을 포함하는 클러치기구용 댐핑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전달부재는 평판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핀은 상기 제1피스톤 가압부와 상기 제2피스톤 가압부 사이에서 상기 압력전달부재에 위치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러치기구용 댐핑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의 가압부와 상기 제2피스톤의 가압부는 외면이 구면으로 마련되는 클러치기구용 댐핑장치.
KR1020170144441A 2017-11-01 2017-11-01 클러치 작동기구용 댐핑장치 KR102364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441A KR102364422B1 (ko) 2017-11-01 2017-11-01 클러치 작동기구용 댐핑장치
US15/833,499 US10316871B2 (en) 2017-11-01 2017-12-06 Damping device for clutch actuating device
DE102017222069.4A DE102017222069A1 (de) 2017-11-01 2017-12-06 Dämpfungsvorrichtung für Kupplungsbetätigungseinricht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441A KR102364422B1 (ko) 2017-11-01 2017-11-01 클러치 작동기구용 댐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032A true KR20190049032A (ko) 2019-05-09
KR102364422B1 KR102364422B1 (ko) 2022-02-17

Family

ID=66138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441A KR102364422B1 (ko) 2017-11-01 2017-11-01 클러치 작동기구용 댐핑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16871B2 (ko)
KR (1) KR102364422B1 (ko)
DE (1) DE102017222069A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84368A (en) * 1932-10-12 1937-06-22 Bendix Prod Corp Hydraulic control for throttle valves
US3253518A (en) * 1964-03-02 1966-05-31 Grove Valve & Regulator Co Piston operator
US3965798A (en) * 1973-07-02 1976-06-29 Raytheon Company Adaptive actuator system
US4225110A (en) * 1978-09-27 1980-09-30 Baker Gac Inc. Actuator for converting linear to rotary motion
US5070983A (en) * 1990-10-29 1991-12-10 Automotive Products Plc Damper for hydraulic clutch actuator
US5320203A (en) * 1990-01-16 1994-06-14 Automotive Products Plc Damper for hydraulic clutch actuator
US6430928B1 (en) * 2000-07-20 2002-08-13 Automotive Products (Usa), Inc. Dual action damper for hydraulic clutch actuator
US6742463B2 (en) * 2001-04-06 2004-06-01 Andritz Oy Combustion air system for recovery boilers, burning spent liquors from pulping processes
US6997523B1 (en) * 2003-03-26 2006-02-14 Bella Banoczky Brak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2643B2 (en) * 2002-08-08 2004-06-01 Automotive Products (Usa), Inc. Elastomeric damper for hydraulic clutch actuator
DE102015201718A1 (de) 2015-02-02 2016-08-0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pedal mit einstellbarem Übersetzungsverhältnis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84368A (en) * 1932-10-12 1937-06-22 Bendix Prod Corp Hydraulic control for throttle valves
US3253518A (en) * 1964-03-02 1966-05-31 Grove Valve & Regulator Co Piston operator
US3965798A (en) * 1973-07-02 1976-06-29 Raytheon Company Adaptive actuator system
US4225110A (en) * 1978-09-27 1980-09-30 Baker Gac Inc. Actuator for converting linear to rotary motion
US5320203A (en) * 1990-01-16 1994-06-14 Automotive Products Plc Damper for hydraulic clutch actuator
US5070983A (en) * 1990-10-29 1991-12-10 Automotive Products Plc Damper for hydraulic clutch actuator
US6430928B1 (en) * 2000-07-20 2002-08-13 Automotive Products (Usa), Inc. Dual action damper for hydraulic clutch actuator
US6742463B2 (en) * 2001-04-06 2004-06-01 Andritz Oy Combustion air system for recovery boilers, burning spent liquors from pulping processes
US6997523B1 (en) * 2003-03-26 2006-02-14 Bella Banoczky Brak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4422B1 (ko) 2022-02-17
US20190128294A1 (en) 2019-05-02
US10316871B2 (en) 2019-06-11
DE102017222069A1 (de)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0596B2 (ja) ハイドロリックエレメント
US4328883A (en) Hydraulic actuator mechanism for a friction clutch
US4428471A (en) Clutch operator with a hydraulic actuator
CN103122995B (zh) 用于操纵变速器的至少一个换挡元件的液压系统的阀装置
WO2020002221A3 (de) Selbstnachstellender kupplungssteller
KR20190049032A (ko) 클러치 작동기구용 댐핑장치
US4653272A (en) Fluid actuation device with compensation for wear
US4986404A (en) Hydraulic clutch releasing means
WO2018199114A1 (ja)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US11009087B2 (en) Clutch connecting/disconnecting device
US3369639A (en) Fluid actuated clutch with modulated exhaust valve
WO2018180042A1 (ja) 荷重制御装置
KR100520312B1 (ko) 가변형 클러치 부스터
KR20200105307A (ko) 차량의 클러치 하우징
EP4098901A1 (en) Concentric clutch actuator
KR20080016214A (ko) 차량용 클러치 페달 답력저감장치
RU2117833C1 (ru) Привод управления фрикционной муфты
JPH0615140Y2 (ja) 液圧式クラッチレリーズ装置
KR20190049029A (ko) 클러치 작동기구용 레귤레이터
KR101469530B1 (ko) 자동변속기
KR100783574B1 (ko) 자동차용 콘센트릭 슬레이브 실린더의 누유방지구조
KR20120081317A (ko)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의 구조
KR101672037B1 (ko) 페달감 개선을 위한 차량의 제동장치의 제어방법
JP2018179134A (ja) 油路切替装置
JP2016145605A (ja) クラッチ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