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193A - 자동 견인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견인 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193A
KR20190048193A KR1020170142841A KR20170142841A KR20190048193A KR 20190048193 A KR20190048193 A KR 20190048193A KR 1020170142841 A KR1020170142841 A KR 1020170142841A KR 20170142841 A KR20170142841 A KR 20170142841A KR 20190048193 A KR20190048193 A KR 20190048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fting
parking
vehicle
roll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택무
김상호
Original Assignee
남택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택무 filed Critical 남택무
Priority to KR1020170142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8193A/ko
Publication of KR20190048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1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ar-gripping transf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견인 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타워 혹은 지하주차시설물 등의 주차시스템에서 차량을 자동으로 격납고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사이드브레이크 및 기어의 파킹 상태에서 별도의 리프팅 장치 없이 차량의 4륜 전체를 상승시킨 후 이동 가능하게 할 목적으로, 전후 좌우측 사이드 면에 각각 사이드 롤러(11)가 구비된 프레임(10); 복수 개의 프레임 휠축(21)의 양측 단부에 마련되고, 제1구동모터(22)의 구동에 의해 상기 프레임을 전후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복수 개의 프레임 휠(20); 회전축부(31)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부 면에 리프팅 롤러(32)가 구비되며, 외측으로 펼침시 차량 휠을 상승시키도록 마련된 한 쌍의 리프팅 날개(30); 제2구동모터(41)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부와 연결된 동력 전달부(42)를 구동시켜서 상기 리트팅 날개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날개 구동부(40); 를 포함하되, 상기 리프팅 날개(30)의 상단 면에 경사면(33)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33)에는 각각 위상차를 가진 제1롤러부(321) 및 제2롤러부(322)가 구비된 자동 견인 주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견인 주차장치{AUTOMATIC TOWING PARK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 견인 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타워 혹은 지하주차시설물 등의 주차시스템에서 차량을 자동으로 격납고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4륜 전체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자동 견인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타워 혹은 승각식 지하주차시설물에는 차량을 이동시키는 리프트가 설치되고, 이때 일부 주차 시스템에는 차량을 주자장 입구에서 리프트로 견인하거나, 반대로 리프트에서 주차장 입구로 견인하기 위한 로봇 견인 주차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견인 주차장치는 주차를 위해 운전자가 직접 격납고로 차를 운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주차 중 혹은 출자 중 운전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운전 부주의에 의한 충돌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견인 장치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3899호(특허문헌 1)에서는 엘리베이터에 의한 상하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며, 종횡방향으로 주행되는 주행수단을 갖는 로봇판넬과; 이 로봇판넬의 전방 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위치되어 차량의 전륜을 양측에서 홀딩시키는 바퀴홀더와; 상기 바퀴홀더를 수납상태에서 바퀴홀딩위치로 구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바퀴홀더가 전륜에 접촉될 때 전륜을 바닥면에서 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떠오르도록 리프팅시키는 리프팅수단이 구비되는 것에 의해, 바퀴홀더에 의해 바퀴가 고정되는 순간 바닥면에서 바퀴가 떠오르면서 자동 위치정렬되어 바퀴의 고정상태가 항상 일정하게 안정되어 있으며, 차량의 주행이 곧바르게 이루어져 정확한 구획정리가 가능하게 하는 기계식 주차기의 차량 출입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이, 차량의 전륜만을 떠올려서 위치 정렬시키는 경우 후륜은 그대로 바닥면과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브레이크를 고정한 상태에서 차량 견인이 불가능하고, 더욱이 후륜 구동 차량인 경우에는 사이드브레이크뿐 아니라 기어가 중립 상태에서만 견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예컨대 기어가 파킹 위치에 있을 경우 견인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더욱이 차량의 사이드브레이크를 고정시킨 상태 또는 기어가 중립 상태가 아닌 상태에서 견인시 차량 또는 견인장치의 파손을 초래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관리에 많은 주의가 요구되어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차량의 사이드브레이크를 해제시킨 상태 또는 기어를 중립 상태로 놓은 경우에는 차량이 고정되지 않아 사고의 위험성을 내포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3899호 (2000.02.15 공고)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차타워 혹은 지하주차시설물 등의 주차시스템에서 차량을 자동으로 격납고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사이드브레이크 및 기어의 파킹 상태에서 별도의 리프팅 장치 없이 차량의 4륜 전체를 상승시킨 후 이동 가능하게 하는 자동 견인 주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 견인 주차장치는,
전후 단부의 좌우측 사이드 면에 각각 사이드 롤러가 구비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프레임 휠축의 양측 단부에 마련되고, 제1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프레임을 전후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복수 개의 프레임 휠;
상기 프레임의 횡방향 양쪽 단부에서 각각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부 면에 리프팅 롤러가 구비되며, 외측으로 펼침시 차량의 휠 전후와 접촉하여 상기 휠을 상승시키도록 마련된 한 쌍의 리프팅 날개;
제2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부와 연결된 동력 전달부를 구동시켜서 상기 리트팅 날개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마련된 날개 구동부; 를 포함하되,
전후로 배치된 한 쌍의 리프팅 날개의 상단 면은, 마주보는 면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상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리프팅 롤러는 평행한 2개의 축 상에 각각 설치된 제1롤러부 및 제2롤러부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제1롤러부는 상기 경사면의 하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2롤러부는 상기 경사면의 상위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롤러부와 제2롤러부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위상차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2개가 전후로 연속 배치되어 차량의 전륜 및 후륜을 각각 리프팅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전후로 배치된 각 프레임이 동일 속도로 이동하도록 동기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 견인 주차장치에 의하면, 로봇 자동 견인 주차장치에 있어서 경사면을 가진 리프팅 날개에 의해서 휠을 지면으로부터 상승시킬 수 있게 되어 별도의 리프팅 수단 없이 차량을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에 2개 축의 롤러를 구비하되, 각 롤러의 높이를 다르게 배치함으로써 휠의 상승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부드러운 리프팅이 가능하다.
더욱이, 자동 견인 주차장치를 전후로 2개 배치하고, 이들의 구동속도를 동기화시킴으로써 차량의 전륜과 후륜을 동시에 리프팅하여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사이드브레이크 및 기어 파킹 위치에서 차량 이동이 가능하므로 사용이 편리할 뿐 아니라 차량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견인 주차장치의 평면 구성도로서 리프팅 날개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견인 주차장치의 평면 구성도로서 리프팅 날개가 접힌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견인 주차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견인 주차장치의 평면 구성도로서 리프팅 날개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견인 주차장치의 평면 구성도로서 리프팅 날개가 접힌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로봇 자동 견인 주차장치는, 프레임(10), 프레임 휠(20), 리프팅 날개(30), 날개 구동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대략 사각 틀 형태로 이루어지고, 전후 단부의 좌우측 사이드 면에는 각각 사이드 롤러(11)가 구비됨으로써 주차타워 혹은 지하주차시설물 등의 주차시스템에 마련된 레일을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 휠(20)은 상기 프레임(10)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프레임 휠축(21)의 양측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 휠축(21)은 상기 프레임(10) 일측에 구비된 제1구동모터(22)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구동모터(22)가 정역회전 구동함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상기 프레임(10)을 전후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상기 리프팅 날개(30)는 상기 프레임(10)의 횡방향 양쪽 단부에서 전후로 한 쌍씩 마련된 것으로, 각 리프팅 날개(30)는 회전축부(31)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마련된다.
도 1과 같이 각 리프팅 날개(30)가 펼침 상태에서 전후로 배치된 각 리프팅 날개(30)에 의해서 차량 휠(W)의 전후 부분이 접촉하여 휠(W)을 상승시키게 되고, 반대로 도 2와 같이 각 리프팅 날개(30)가 접힘 상태시 휠(W)을 구속하지 않게 된다.
상기 리프팅 날개(30)가 상기 휠(W)과 접촉시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리프팅 날개(30)에는 리프팅 롤러(32)가 구비된다.
상기 날개 구동부(40)는 프레임(10) 일측에 마련된 제2구동모터(41)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부(31)와 연결된 동력 전달부(42)를 구동시켜서 상기 리트팅 날개(30)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예를 들면 상기 날개 구동부(40)와 상기 동력 전달부(42)는 랙(rack)과 피니언(pinion) 구조이거나 웜 기어(worm gear) 등을 비롯하여 기타 공지의 기어 모듈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도 3과 같이 전후로 배치된 한 쌍의 리프팅 날개(30)의 상단 면에는 각각 경사면(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33)은 전후의 각 리프팅 날개(30)에서 마주보는 면을 기점으로 하여 멀어질수록 점차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며, 이 경우 전후 각 리프팅 날개(30)가 펼쳐질 때, 즉 각 리프팅 날개(30)의 간격이 좁아질 때 차량의 휠(W)이 경사면(33)을 타고 상승하여 리프팅 날개(30) 위에 올라서게 된다.
더욱이, 상기 리프팅 롤러(32)는 상기 경사면(33)에 설치되되, 평행한 2개의 축 상에 각각 제1롤러부(321) 및 제2롤러부(322)로 분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1롤러부(321) 및 제2롤러부(322)에는 각각 하나의 축 상에 다수의 롤러가 마련됨으로써 차종에 따른 차폭의 다양성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차폭이 좁은 소형 차량을 비롯하여 차폭이 넓은 대형 차량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롤러부(321)는 상기 경사면(33)의 하위(下位)에 배치되고, 상기 제2롤러부(322)는 상기 경사면(33)의 상위(上位)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롤러부(321)와 제2롤러부(322)가 상기 경사면(33)을 따라 높이에 차이가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제1롤러부(321)와 제2롤러부(322)가 위상차가 형성된 경우 휠(W)이 낮은 위치에 있는 제1롤러부(321)에 접촉한 다음,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제2롤러부(322)와 접촉하면서 경사면(33)을 타고 상승하게 되어 접촉시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휠(W)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부드러은 리프팅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견인 주차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프레임(10)은 2개가 전후로 연속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측 프레임(10)을 포함하는 전륜 견인 주차장치(100)는 두 쌍의 리프팅 날개(30)에 의해서 차량의 전륜을 리프팅할 수 있고, 후측 프레임(10')을 포함하는 후륜 견인 주차장치(100')는 두 쌍의 리프틸 날개(30')에 의해서 차량의 후륜을 리프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륜 견인 주차장치(100)와 후륜 견인 주차장치(100')는 상호 동기화를 통해 이동속도가 동일하게 할 수 있는데, 동기화는 각 견인 주차장치(100)(100')의 제1구동모터(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구동속도를 상호 동일하게 조절하는 방식, 또는 전측 프레임(10)과 후측 프레임(10') 간 거리를 지속적으로 측정하는 센서를 마련하고, 각 프레임(10)(10') 간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후측 프레임(10')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프레임
11 : 사이드 롤러
20 : 프레임 휠
21 : 프레임 휠축
22 : 제1구동모터
30 : 리프팅 날개
31 : 회전축부
32 : 리프팅 롤러
33 : 경사면
40 : 날개 구동부
41 : 제2구동모터
42 : 동력 전달부
321 : 제1롤러부
322 : 제2롤러부

Claims (3)

  1. 전후 단부의 좌우측 사이드 면에 각각 사이드 롤러가 구비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프레임 휠축의 양측 단부에 마련되고, 제1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프레임을 전후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복수 개의 프레임 휠;
    상기 프레임의 횡방향 양쪽 단부에서 각각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부 면에 리프팅 롤러가 구비되며, 외측으로 펼침시 차량의 휠 전후와 접촉하여 상기 휠을 상승시키도록 마련된 한 쌍의 리프팅 날개;
    제2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부와 연결된 동력 전달부를 구동시켜서 상기 리트팅 날개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마련된 날개 구동부; 를 포함하되,
    전후로 배치된 한 쌍의 리프팅 날개의 상단 면은, 마주보는 면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상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견인 주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롤러는 평행한 2개의 축 상에 각각 설치된 제1롤러부 및 제2롤러부로 분리되고, 상기 제1롤러부는 상기 경사면의 하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2롤러부는 상기 경사면의 상위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롤러부와 제2롤러부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위상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견인 주차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2개가 전후로 연속 배치되어 차량의 전륜 및 후륜을 각각 리프팅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견인 주차장치.
KR1020170142841A 2017-10-30 2017-10-30 자동 견인 주차장치 KR201900481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841A KR20190048193A (ko) 2017-10-30 2017-10-30 자동 견인 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841A KR20190048193A (ko) 2017-10-30 2017-10-30 자동 견인 주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193A true KR20190048193A (ko) 2019-05-09

Family

ID=66545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841A KR20190048193A (ko) 2017-10-30 2017-10-30 자동 견인 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819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45581A (zh) * 2019-11-20 2020-05-12 恒大智慧科技有限公司 一种社区停车方法、社区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155805A (zh) * 2020-02-24 2020-05-15 武义圣理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设置于地下的停车辅助装置
CN112031499A (zh) * 2020-09-11 2020-12-04 江苏小白兔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从侧面内叉车的两叉齿泊车机器人及停车方法
CN112282456A (zh) * 2020-10-22 2021-01-29 深圳精智机器有限公司 重载车辆搬运器和方法
CN112324207A (zh) * 2020-10-23 2021-02-05 吴红光 一种新型夹取车搬运机器人
WO2021047176A1 (zh) * 2019-09-12 2021-03-18 杭州极木科技有限公司 一种潜入式汽车搬运机器人及其控制方法
KR102494726B1 (ko) * 2021-12-20 2023-02-06 주식회사 포스코 차량의 무인 이송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899Y1 (ko) 1999-07-31 2000-02-15 이금철 기계식 주차기의 차량 출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899Y1 (ko) 1999-07-31 2000-02-15 이금철 기계식 주차기의 차량 출입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7176A1 (zh) * 2019-09-12 2021-03-18 杭州极木科技有限公司 一种潜入式汽车搬运机器人及其控制方法
CN111145581A (zh) * 2019-11-20 2020-05-12 恒大智慧科技有限公司 一种社区停车方法、社区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155805A (zh) * 2020-02-24 2020-05-15 武义圣理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设置于地下的停车辅助装置
CN111155805B (zh) * 2020-02-24 2020-09-04 武义圣理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设置于地下的停车辅助装置
CN112031499A (zh) * 2020-09-11 2020-12-04 江苏小白兔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从侧面内叉车的两叉齿泊车机器人及停车方法
CN112282456A (zh) * 2020-10-22 2021-01-29 深圳精智机器有限公司 重载车辆搬运器和方法
CN112282456B (zh) * 2020-10-22 2022-05-20 深圳精智机器有限公司 重载车辆搬运器和方法
CN112324207A (zh) * 2020-10-23 2021-02-05 吴红光 一种新型夹取车搬运机器人
CN112324207B (zh) * 2020-10-23 2022-04-08 吴红光 一种夹取车搬运机器人
KR102494726B1 (ko) * 2021-12-20 2023-02-06 주식회사 포스코 차량의 무인 이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8193A (ko) 자동 견인 주차장치
CN107921931A (zh) 用于移动四轮车辆的可移动输送机
CN105822117A (zh) 一种抱轮式汽车搬运器
CN108412285A (zh) 一种可折叠通用型汽车搬运装置
CN211032326U (zh) 一种agv搬运小车
ES2944457T3 (es) Transportador para el desplazamiento de vehículos de cuatro ruedas
EP3594037A1 (en) Conveying device and battery swap station
EP3733486A1 (en) Forklift-type towing vehicle
CN208498738U (zh) 可收放式船舶跳板装置
CN113802903B (zh) 一种基于agv小车转运车辆的停取方法
CN218843897U (zh) 一种可变轴距的调中搬运器及吊运装置
CN109398531B (zh) 一种越障搬运工程车
JPH1171098A (ja) 鉄道車両の持ち上げ装置
CN215706778U (zh) 一种停车场车辆转运用agv小车
CN115027889B (zh) 一种自动巡航小车爬坡装置及方法
CN106593037B (zh) 一种摆动式无避让立体车库
EP2181230B1 (en) Device for handling cars in multistorey car parks with improved raising system
CN111287519B (zh) 一种巷道堆垛立体停车辅助机构及其使用方法
WO2021155652A1 (zh) 运输子母车及其运输母车
CN109653564A (zh) 一种多功能车辆移送搬运器
CN113428810A (zh) 一种夹举式车辆搬运agv
CN110230417B (zh) 一种智能停车系统的自动挪车机构
CN217996669U (zh) 一种具有限位结构的车辆升降台
CN209908051U (zh) 立体停车装置
CN220599366U (zh) 一种立体停车库载车板用支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