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5222A - 흡수성 물품 및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및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5222A
KR20190045222A KR1020197007807A KR20197007807A KR20190045222A KR 20190045222 A KR20190045222 A KR 20190045222A KR 1020197007807 A KR1020197007807 A KR 1020197007807A KR 20197007807 A KR20197007807 A KR 20197007807A KR 20190045222 A KR20190045222 A KR 20190045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region
lateral
transverse directio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9798B1 (ko
Inventor
준 후카사와
도시야스 요시오카
구니히코 가츠라가와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67106A external-priority patent/JP67520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67107A external-priority patent/JP6715730B2/ja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45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placed longitudinally, transversely or diagonally over the art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58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58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 A61F13/15593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having elastic ribbons fixed thereto; Devices for applying the rib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39Sealing, e.g. involving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47Folding; Pleating; Coiling; Stacking;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804Plant, e.g. involving several st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5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 A61F13/49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the diaper having an outer chassis forming the diaper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chassis
    • A61F13/49061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the diaper having an outer chassis forming the diaper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chassis the diaper having one or two waist members forming the diaper waist region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one or two waist members forming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61F13/496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characterized by the s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6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 A61F2013/1587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by thermal bo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3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being elastic in longitudin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2013/4908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leg opening
    • A61F2013/49092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leg opening comprising leg cuffs
    • A61F2013/4909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leg opening comprising leg cuffs having multiple barri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체를 구비하며, 길이 방향이 세로 방향을 따른 흡수성 본체(10)와,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위치하고, 가로 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 부재(22, 32)를 구비하는 한 쌍의 몸통둘레부(20, 30)를 갖고, 흡수성 본체(10)는, 흡수체(12)의 가로 방향의 양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또한, 세로 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 부재(61)가 배치된 한 쌍의 연출부(60)를 구비하며, 흡수체(12)의 비피부측면측의 위치로부터 가로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또한, 가로 방향으로 연속하는 시트(14)에 의해, 연출부(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출부(60)가 다리둘레 개구부를 형성하는 부위에,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용착 영역(62)이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이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및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 및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일회용 기저귀를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흡수성 본체와 웨이스트 벨트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저귀의 웨이스트 벨트에는, 내측 시트부와, 외측 시트부와, 그들의 사이에 쿠션 형성 시트부가 배치되어 있다. 또, 외측 시트부와 쿠션 형성 시트부의 사이에 웨이스트 신축재가 신장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쿠션 형성 시트부와 내측 시트부가, 웨이스트 둘레를 따르는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쿠션 형성 시트부와 내측 시트부 사이의 비(非)접합부에 공간이 생겨, 착용자의 피부에 주는 자극을 저감할 수 있다.
일본국 특개 2013-70711호 공보
또, 상기의 기저귀에서는, 배설물의 가로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흡수체의 가로 방향의 양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제 2 입체 개더(연출부(延出部))가 설치되고, 제 2 입체 개더가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밀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2 입체 개더에서는 3개의 신축재가 가로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으며 가로 방향으로 폭을 갖는다. 그러나, 제 2 입체 개더는, 웨이스트 신축재의 영향을 받기 쉬워, 가로 방향으로 수축하거나, 말리거나 할 우려가 있다. 그러면, 제 2 입체 개더는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면(面)으로 밀착할 수 없어, 가로 누설 방지의 효과가 저감되어 버린다. 또, 제 2 입체 개더는 사이드 시트와 커버 시트가 접합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양 시트의 이음매로부터 배설물이 스미기 쉽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다리둘레로부터의 누설이 억제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을 갖고, 흡수체를 구비하며, 길이 방향이 상기 세로 방향을 따른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길이 방향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한 쌍의 몸통둘레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흡수체의 상기 가로 방향의 양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또한, 상기 세로 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 부재가 배치된 한 쌍의 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흡수체의 비(非)피부측면측의 위치로부터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또한,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속하는 시트에 의해, 상기 연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출부가 다리둘레 개구부를 형성하는 부위에, 상기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용착(溶着)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분명히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리둘레로부터의 누설이 억제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1)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개 또한 신장 상태의 기저귀(1)를 피부측면측으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기저귀(1)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흡수성 본체(10)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흡수성 본체(10)와 한 쌍의 몸통둘레부(20, 30)의 접착 영역(40)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다리둘레 연출부(60)의 특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가로 용착 영역(62) 및 세로 용착 영역(66)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다리둘레 연출부(60)가 착용자에게 밀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가로 용착 영역(62)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흡수성 본체(10) 제조의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LSG 탄성 부재 배치 공정에 대해서 설명하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2는 용착 영역 형성 공정에 대해서 설명하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영역 A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탄성 부재 배치 공정에 대해서 설명하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5는 흡수체 전사 공정에 대해서 설명하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6은 다리둘레 연출부 형성 공정에 대해서 설명하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분명해진다.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을 갖고, 흡수체를 구비하며, 길이 방향이 상기 세로 방향을 따른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길이 방향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한 쌍의 몸통둘레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흡수체의 상기 가로 방향의 양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또한, 상기 세로 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 부재가 배치된 한 쌍의 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흡수체의 비피부측면측의 위치로부터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또한,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속하는 시트에 의해, 상기 연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출부가 다리둘레 개구부를 형성하는 부위에, 상기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용착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연출부가 다리둘레 개구부를 형성하는 부위의 가로 방향으로의 강성이 높아져, 그 부위가 가로 방향으로 폭을 가진 상태가 유지되기 쉬워,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면으로 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다리둘레로부터의 누설이 억제된다. 또, 연출부 및 그 주변의 비피부측면에 시트의 이음매가 노출되지 않아, 시트의 이음매로부터의 배설물의 스며나옴이 억제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용착 영역은, 제 1 용착 영역과 제 2 용착 영역을 갖고, 상기 연출부가 상기 다리둘레 개구부를 형성하는 부위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착 영역이 배치된 상기 연속하는 시트의 부위와, 상기 제 2 용착 영역이 배치된 상기 연속하는 시트의 부위가, 상기 연출부의 두께 방향으로 접어 겹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연출부가 다리둘레 개구부를 형성하는 부위의 가로 방향으로의 강성이 더욱 높아져, 그 부위가 가로 방향으로 폭을 가진 상태가 유지되기 쉬워, 다리둘레로부터의 누설이 보다 확실히 억제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평면시(平面視)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착 영역과 상기 제 2 용착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연출부가 다리둘레 개구부를 형성하는 부위의 보다 넓은 평면 범위에 용착 영역이 존재하게 되어, 가로 방향으로의 강성이 더욱 높아지기 때문에, 다리둘레로부터의 누설이 보다 확실히 억제된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용착 영역은, 상기 연출부의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단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연출부가 다리둘레 개구부를 형성하는 부위의 가로 방향 외측의 단부(端部)가 유연하기 때문에, 피부 감촉이 좋다. 또, 착용자의 다리의 끼워 넣는 힘이 흡수되기 때문에, 그 부위가 가로 방향으로 폭을 가진 상태가 유지되기 쉬워, 다리둘레로부터의 누설이 억제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연출부가 상기 다리둘레 개구부를 형성하는 부위에 있어서, 상기 연속하는 시트가 접어 겹쳐져 있고, 상기 흡수체와 상기 연속하는 시트의 사이, 및 접어 겹쳐져 있는 상기 연속하는 시트의 사이에, 액체 불투과성의 시트가 배치되며, 상기 액체 불투과성의 시트는, 상기 연출부의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단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연출부가 다리둘레 개구부를 형성하는 부위의 가로 방향 외측의 단부가 유연하기 때문에, 피부 감촉이 좋다. 또, 착용자의 다리의 끼워 넣는 힘이 흡수되기 때문에, 그 부위가 가로 방향으로 폭을 가진 상태가 유지되기 쉬워, 다리둘레로부터의 누설이 억제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연출부에 배치된 상기 세로 방향으로 신축하는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용착 영역이 교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연출부가 다리둘레 개구부를 형성하는 부위 중 용착 영역이 배치된 부위가,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일체가 되어 착용자측으로 들어 올려져,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면으로 밀착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연출부에 배치된 상기 세로 방향으로 신축하는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와 상기 용착 영역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연출부가 다리둘레 개구부를 형성하는 부위가, 탄성 부재의 수축에 의해 착용자측으로 들어 올려져, 기립 높이가 확보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밀착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연출부에 배치된 상기 세로 방향으로 신축하는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연출부의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단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연출부가 다리둘레 개구부를 형성하는 부위는 가로 방향의 외측단의 위치까지 착용자에게 밀착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흡수체의 상기 가로 방향의 양측부에, 착용자측으로 기립 가능한 한 쌍의 방루벽부(防漏壁部)를 구비하며, 상기 연속하는 시트에 의해 상기 방루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연출부와 방루벽부와의 경계에 시트의 이음매가 존재하지 않아, 다리둘레로부터의 누설이 한층 더 억제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공통의 상기 연속하는 시트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연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측면에 시트의 이음매가 노출되지 않아, 시트의 이음매로부터의 누설이 억제된다. 또, 착용 시에 한 쌍의 연출부가 일체가 되어 끌어 올려지기 때문에, 한 쌍의 연출부가 각각 밸런스 좋게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밀착할 수 있다.
또,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과 두께 방향을 갖고, 길이 방향이 상기 세로 방향을 따른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의 비피부측에 겹쳐지고, 상기 흡수체의 비피부측면측의 위치로부터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며, 또한,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속한 외장 시트를 구비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외장 시트가 상기 두께 방향으로 겹쳐진 부분을 용착하여, 상기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용착 영역을 형성하는 용착 영역 형성 공정과, 상기 외장 시트의 소정의 영역에, 상기 세로 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 부재를 배치하는 탄성 부재 배치 공정과, 상기 흡수체의 상기 가로 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면서,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용착 영역과 중복된 다리둘레 연출부를 형성하는 다리둘레 연출부 형성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이 분명해진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용착 영역이 설치됨으로써, 다리둘레 연출부의 가로 방향으로의 수축이나 말림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되어, 다리둘레 연출부가 가로 방향으로 폭을 가진 면 형상이 유지되기 쉬운 팬티형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리둘레 탄성 부재에 의해 세로 방향으로 수축하는 힘이 작용함으로써, 다리둘레 연출부의 표면에는 가로 방향을 따른 주름이 다수 형성되고, 당해 주름의 요철에 의해, 촉감이 양호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용착 영역 형성 공정에서는,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전개된 상태의 상기 외장 시트의 양단부를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되접어, 상기 두께 방향으로 접어 겹쳐진 부분에 상기 용착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다리둘레 연출부 형성 공정에서는,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외장 시트의 양단부를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재차 되접음으로써, 상기 다리둘레 연출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한 장의 외장 시트를 되접음으로써 연출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연출부에 시트 부재의 이음매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착용자의 다리둘레 부근에 있어서 시트의 이음매로부터 배설물이 누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탄성 부재 배치 공정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용착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복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다리둘레 탄성 부재를 절단하는 일 없이 용착을 행할 수 있다. 즉, 다리둘레 연출부에 있어서, 다리둘레 탄성 부재의 신축력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다리둘레 탄성 부재와 중복된 영역에 용착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착용 시에 말림이 생기기 어려워, 면 형상을 유지하기 쉬운 다리둘레 연출부를 갖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을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용착 영역은, 제 1 용착 영역과 제 2 용착 영역을 갖고,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착 영역과 상기 제 2 용착 영역은 비연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가로 방향에 있어서 용착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서, 외장 시트에 강성이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다리둘레 연출부 형성 공정에 있어서, 상기 외장 시트는,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용착 영역과 상기 제 2 용착 영역의 사이의 소정 위치에 있어서 되접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외장 시트의 강성이 소정 위치에 있어서 너무 높아지지 않아, 당해 소정 위치에 있어서 외장 시트를 확실히 접어 구부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다리둘레 연출부를 깨끗한 평면상으로 형성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용착 영역은, 상기 가로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용착 영역을 형성하는 엠보스 롤러의 회전에 수반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점이 순차 이동하면서 해당 용착 영역이 형성되기 때문에, 국소적인 용착 불량 등이 생기기 어려워, 용착이 안정된다. 또, 압력이 가해지는 개소가 순차 이동하기 때문에, 엠보스 롤러의 외주면에 설치된 돌기(예를 들면 초음파 혼(ultrasound horns))가 마모되기 어려워져,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용착 영역은, 복수의 도트가 상기 가로 방향으로 나열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도트 형상의 용착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용착이 행하여짐으로써, 각각의 용착부(도트)의 형상이 작아져, 초음파 진동 등을 일점에 집중하여 반복해서 가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용착 영역 전체에 대해서 안정적으로 용착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흡수체의 상기 가로 방향의 양측부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기립하는 한 쌍의 방루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착 영역은,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방루벽부가 기립하는 기점의 위치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방루벽부가 기립하는 기점이 되는 부분(사이드 접합부(53))과 용착 영역이 중복되지 않음으로써, 당해 기점 부분에 있어서의 외장 시트의 강성이 높아지는 것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외장 시트는 사이드 접합부의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자연스럽게 접어 구부리기 쉬워져, 방루벽부를 기립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다리둘레 연출부에는,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가로 방향으로 나열되어 복수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 중, 상기 가로 방향의 가장 내측에 설치되는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와 상기 용착 영역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가로 방향의 가장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61a)가 수축함으로써,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에 있어서, 다리둘레 연출부 중 탄성 부재(61a)보다도 가로 방향 외측의 부위가,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들어 올려지는 기점이 되어, 다리둘레 연출부의 기립 높이가 확보된다. 이것에 의해, 다리둘레 연출부를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밀착시키기 쉬워진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다리둘레 연출부에는,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가로 방향으로 나열되어 복수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 중, 상기 가로 방향의 가장 외측에 설치되는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다리둘레 연출부의 외측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가로 방향의 가장 외측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61d)의 수축력에 의해 다리둘레 연출부를 착용자의 다리에 밀착시키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가로 방향 외측단부에 있어서 다리둘레 연출부가 평면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라도, 다리둘레 연출부의 피트성이 악화되는 것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용착 영역과 중복하여 배치되는 상기 탄성 부재의 피부측에,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백 시트가 다리둘레 탄성 부재의 피부측을 덮도록 배치됨으로써, 다리둘레 탄성 부재가 피부측에 노출되는 것이 억제되어, 다리둘레 탄성 부재의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제가 착용자의 신체에 부착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엔드 접합부나 사이드 접합부와 다리둘레 탄성 부재가 접촉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다리둘레 탄성 부재에 의한 수축력이 몸통둘레부에 작용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 실시 형태 ===
본 발명에 관한 흡수성 물품(팬티형 흡수성 물품)으로서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를 예로 들어 이하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는 영유아용으로도 어른용으로도 이용 가능하다.
===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의 기본 구성 ===
도 1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1)(이하 「기저귀」라고 함)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개 또한 신장 상태의 기저귀(1)를 피부측면측으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기저귀(1)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흡수성 본체(10)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흡수성 본체(10)와 한 쌍의 몸통둘레부(20, 30)의 접착 영역(40)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1 이외의 도면은, 기저귀(1)의 주름을 시인(視認)할 수 없게 되는 정도까지, 기저귀(1)가 구비하는 탄성 부재를 신장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기저귀(1)를 구성하는 각 부재(예를 들면 후술하는 외장 시트(14) 등)의 치수가 그 부재 단체(單體)의 치수와 일치 또는 그것에 가까운 치수가 될 때까지 신장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티형인 기저귀(1)는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기저귀(1)에는 몸통둘레 개구부(BH) 및 한 쌍의 다리둘레 개구부(LH)가 형성되어 있다. 세로 방향에 있어서, 몸통둘레 개구부(BH)측을 상측으로 하고,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가 되는 측을 하측으로 한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착용자의 복측(腹側)이 되는 측을 전측으로 하고, 착용자의 등측(背側)이 되는 측을 후측으로 한다. 또, 기저귀(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을 갖고, 두께 방향에 있어서 착용자에게 접촉하는 측을 피부측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비피부측으로 한다.
기저귀(1)는, 소위 3피스 타입이며, 흡수성 본체(10)와 한 쌍의 몸통둘레부(20, 30)를 갖는다. 흡수성 본체(10)는 평면시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며, 그 길이 방향이 세로 방향을 따르고 있다. 몸통둘레부(20, 30)는 평면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며, 그 길이 방향이 가로 방향을 따르고 있다. 한 쌍의 몸통둘레부(20, 30) 중 착용자의 복측부를 덮는 것을 앞몸통둘레부(20)라고도 하고, 착용자의 등측부를 덮는 것을 뒷몸통둘레부(30)라고도 한다.
도 2의 전개 상태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앞몸통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중앙부가 위치하고,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타단측에, 뒷몸통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중앙부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흡수성 본체(10)의 비피부측면과 한 쌍의 몸통둘레부(20, 30)의 피부측면이 접착제 등에 의해 도 5에 나타내는 접착 영역(40)에서 접합되어 있다. 도 2의 전개 상태로부터, 앞몸통둘레부(20)와 뒷몸통둘레부(30)가 겹쳐지도록 흡수성 본체(10)가 그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서 둘로 접히고, 앞몸통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양측부(20a)와 뒷몸통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양측부(30a)가 접합됨으로써, 기저귀(1)는 팬티형이 된다.
앞몸통둘레부(20) 및 뒷몸통둘레부(30)는 각각, 부직포 등의 유연한 2장의 시트(21과 21, 31과 31)와, 가로 방향으로 신축하는 실 고무 등의 복수의 탄성 부재(22, 32)를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탄성 부재(22, 32)를 몸통둘레 탄성 부재(22, 32)라고도 한다. 복수의 몸통둘레 탄성 부재(22, 32)는,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어 배치되는 동시에, 가로 방향으로 신장한 상태에서 2장의 시트(21과 21, 31과 31)의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앞몸통둘레부(20) 및 뒷몸통둘레부(30)는 가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며, 착용자의 몸통둘레에 피트된다.
흡수성 본체(1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의 피부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톱 시트(11)와, 흡수체(12)와, 백 시트(13)와, 외장 시트(14)를 구비한다. 톱 시트(11)는 액체 투과성 시트이면 되고, 친수성의 에어 스루 부직포나 스펀본드 부직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백 시트(13)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이면 되고, 폴리에틸렌 필름이나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톱 시트(11) 및 백 시트(13)는 흡수체(12) 전체를 덮는 크기로 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톱 시트(11)의 가로 방향의 양측부가 흡수체(12)의 비피부측면측에 접어넣어져 있다. 외장 시트(14)는 액체 투과성 시트여도 액체 불투과성 시트여도 된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장 시트(14)에 의해 방루벽부(50)가 형성되기 때문에, 외장 시트(14)로서 소수성의 SMS 부직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흡수체(12)는, 평면시 직사각형 형상이며,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성 코어(121)와, 흡수성 코어(121)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코어 랩 시트(122)를 구비한다. 흡수성 코어(121)는, 액체 흡수성 소재가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 것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길이 방향의 중앙부가 잘록한 대략 모래시계 형상을 이루고 있다. 액체 흡수성 소재로는, 펄프 섬유 등의 액체 흡수성 섬유에 고흡수성 폴리머(소위 SAP) 등이 함유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코어 랩 시트(122)로는, 티슈페이퍼나 부직포 등의 액체 투과성 시트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코어 랩 시트(122)는 없어도 된다.
또, 흡수성 본체(10)는, 한 쌍의 방루벽부(50)와, 한 쌍의 다리둘레 연출부(60)(한 쌍의 연출부)를 구비한다.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이나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장의 외장 시트(14)의 가로 방향의 양측부가 접어 겹침으로써, 한 쌍의 방루벽부(50) 및 한 쌍의 다리둘레 연출부(6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방루벽부(50)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흡수체(12)의 가로 방향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 흡수체(12)와 겹치는 위치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위치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각 방루벽부(50)는 길이 방향(기저귀(1)의 세로 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 부재(51)(이하, 「LSG 탄성 부재(51)」라고도 부름)를 구비하는 동시에, 방루벽부(50)를 형성하는 외장 시트(14)를 톱 시트(11)나 백 시트(13)에 접합하는 한 쌍의 엔드 접합부(52) 및 사이드 접합부(53)를 구비한다. 한 쌍의 엔드 접합부(52)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고, 사이드 접합부(53)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장되고, 또한, 엔드 접합부(52)보다도 가로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방루벽부(50)에서는, 탄성 부재(51)의 수축에 의해, 한 쌍의 엔드 접합부(52) 사이의 외장 시트(14)의 부위가, 사이드 접합부(53)를 기점으로 착용자측(두께 방향의 피부측)으로 기립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가로로 흐른 배설물이 방루벽부(50)에 의해 가로막힌다. 단, 기저귀(1)가 방루벽부(50)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한 쌍의 다리둘레 연출부(60)는, 흡수체(12)의 가로 방향의 양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부위이다. 상세하게는 흡수체(12)의 가로 방향의 외측단으로부터 흡수성 본체(10)의 가로 방향의 외측단까지의 부위를 다리둘레 연출부(60)로 한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다리둘레 연출부(60)는, 다리둘레 개구부(LH)를 형성하는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와, 앞몸통둘레부(20) 및 뒷몸통둘레부(30)의 각각과 세로 방향에 있어서 중복하는 한 쌍의 「중복부(60b)」, 바꾸어 말하면, 앞몸통둘레부(20) 및 뒷몸통둘레부(30)의 각각과 두께 방향으로 겹치는 한 쌍의 「중복부(60b)」를 갖는다. 또, 각 다리둘레 연출부(60)는, 길이 방향(기저귀(1)의 세로 방향)으로 신축하고, 또한, 가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4개의 탄성 부재(61)(이하, 다리둘레 탄성 부재(61)라고도 함)를 구비한다. 따라서, 다리둘레 연출부(60)에 있어서의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는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피트된다.
또, 각 다리둘레 연출부(60)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가로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가로 용착 영역(62)(본 발명에 있어서의 용착 영역)」이 복수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가로 용착 영역(62)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 1 가로 용착 영역(63)과, 두께 방향의 비피부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을 갖는다. 복수의 제 1 가로 용착 영역(63) 및 복수의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은 모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둘레 연출부(60)의 길이 방향의 전역(全域)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 각 다리둘레 연출부(60)에는, 가로 용착 영역(62)보다도 가로 방향의 내측에, 세로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세로 용착 영역(66)」이 배치되어 있다. 세로 용착 영역(66)도, 다리둘레 연출부(60)의 길이 방향의 전역에 걸쳐 배치되며, 두께 방향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제 1 세로 용착 영역(67)과, 두께 방향의 비피부측에 위치하는 제 2 세로 용착 영역(68)을 갖는다.
또한, 앞몸통둘레부(20), 뒷몸통둘레부(30), 방루벽부(50) 및 다리둘레 연출부(60)가 구비하는 탄성 부재(22, 32, 51, 61)로서 실 고무 등의 실상(絲狀)의 탄성 부재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 고무 대신에, 예를 들면 신축성 필름이나 신축성 부직포 등의 시트상의 탄성 부재를 단수 또는 복수 배치해도 된다. 또, 도면에는 탄성 부재 중 신축성을 발현하는 부위(소위 유효 길이의 부위)만을 나타낸다. 그 때문에 도시하는 탄성 부재의 길이 방향의 외측에 신축성을 발현하지 않는 탄성 부재의 부위가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또, 탄성 부재의 배치나 개수도 도시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 흡수성 본체(10)의 형성 방법 ===
다음으로, 한 장의 외장 시트(14)에 의해 한 쌍의 방루벽부(50) 및 한 쌍의 다리둘레 연출부(60)가 형성되는 방법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기저귀(1)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10)의 상세한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
우선, 도 4A 및 도 4B의 왼쪽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 시트(14)의 가로 방향의 양측부에 방루벽부(50)용 탄성 부재(51)가 길이 방향으로 신장한 상태로 고정된다. 그 후, 방루벽부(50)용 탄성 부재(51)가 고정된 가로 방향의 위치를 접음 위치(f1)로 하여, 외장 시트(14)의 가로 방향의 양측부가 두께 방향의 피부측(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되접힌다.
다음으로, 도 4A 및 도 4B의 오른쪽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접혀 2층으로 되어 있는 외장 시트(14)의 부위가 부분적으로 용착됨으로써, 가로 용착 영역(62) 및 세로 용착 영역(66)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2층으로 되어 있는 외장 시트(14)의 부위 중, 가로 방향의 외측의 부위에 복수의 제 1 가로 용착 영역(63)이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어 형성되고, 가로 방향의 내측의 부위에 복수의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이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어 형성된다. 또, 제 1 가로 용착 영역(63)보다도 가로 방향의 외측에 제 1 세로 용착 영역(67)이 형성되고, 제 2 가로 용착 영역(64)보다도 가로 방향의 내측에 제 2 세로 용착 영역(68)이 형성된다. 또한, 용착 영역(62, 66)의 형성은 주지의 용착 방법으로 행하면 되며, 예를 들면 열 용착, 초음파 용착, 레이저 조사에 의한 용착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2층으로 되어 있는 외장 시트(14)의 부위의 피부측면으로서 가로 용착 영역(62)보다도 가로 방향의 외측의 부위에, 방루벽부(50)의 엔드 접합부(52) 및 사이드 접합부(53)를 형성하기 위한 접착제가 도포된다. 그리고, 외장 시트(14)의 피부측면이고 사이드 접합부(53)보다도 가로 방향의 내측의 부위에, 4개의 다리둘레 탄성 부재(61)가 길이 방향으로 신장한 상태로 고정된다. 그 후, 외장 시트(14)의 가로 방향의 중앙부에, 백 시트(13)와, 톱 시트(11)가 감겨진 흡수체(12)가 겹쳐져 접합된다.
마지막으로, 제 1 가로 용착 영역(63)과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의 사이의 접음 위치(f2)에서, 외장 시트(14)의 가로 방향의 양측부가 톱 시트(11)보다도 두께 방향의 피부측으로 되접혀, 도 3에 나타내는 흡수성 본체(10)가 형성된다. 즉, 외장 시트(14)의 가로 방향의 양측부는 각각 4층으로 접어 겹쳐져 있다. 또, 제 1 가로 용착 영역(63)과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이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고, 제 1 세로 용착 영역(67)과 제 2 세로 용착 영역(68)이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그 4층의 외장 시트(14)의 부위를 두께 방향의 피부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시트부(14a), 제 2 시트부(14b), 제 3 시트부(14c), 제 4 시트부(14d)라고도 한다. 방루벽부(50)는 제 1 시트부(14a) 및 제 2 시트부(14b)에 의해 형성되고, 다리둘레 연출부(60)는 제 1 시트부(14a)부터 제 4 시트부(14d)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 다리둘레 연출부(60) ===
도 6은 다리둘레 연출부(60)의 특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가로 용착 영역(62) 및 세로 용착 영역(66)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다리둘레 연출부(60)가 착용자에게 밀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8에서는 도면의 번잡함을 해소하기 위해 방루벽부(50) 등을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1)에서는, 다리둘레 연출부(60)의 가로폭이 비교적 넓게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영유아용 S 사이즈 기저귀(1)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의 가로폭을 200mm로 한 경우에, 다리둘레 연출부(60)의 가로폭이 40mm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다리둘레 연출부(60)를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넓은 폭의 면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리둘레로부터 배설물이 누설되기 어려워진다. 또, 다리둘레 연출부(60)의 가로폭이 넓음으로써, 복수개(여기에서는 4개)의 다리둘레 탄성 부재(61)를 가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하여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가로 누설되지 않기 위해 필요한 다리둘레 연출부(60)의 신축력을 복수개의 다리둘레 탄성 부재(61)에서 분담할 수 있다. 즉, 1개당의 다리둘레 탄성 부재(61)의 신축력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다리둘레 탄성 부재(61)의 국소적인 밀착에 의한 피부에의 부담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기저귀(1)가 착용자의 몸통둘레에 피트되도록, 몸통둘레부(20, 30)에는 가로 방향으로 신축하는 몸통둘레 탄성 부재(22, 32)가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다리둘레 연출부(60)에 있어서의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는 몸통둘레 탄성 부재(22, 32)의 영향을 받아, 가로 방향으로 수축하거나, 내측이나 외측으로 말리거나 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기저귀(1)의 제조 과정에서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가 말려 접힌 상태에서 개별 포장되면,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에 접힌 자국이 남아 버려,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가 접혀 있는 상태로 착용되어 버린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다리둘레 연출부(60)는, 흡수성 본체(10)의 외장 시트(14)에 의해 형성되고, 몸통둘레부(20, 30)와의 중복부(60b)를 갖는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복부(60b)의 일부는 접착 영역(40)에 의해 몸통둘레부(20, 30)에 접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중복부(60b)는 몸통둘레부(20, 30)의 가로 방향으로의 수축의 영향을 받기 쉽고, 그것에 수반하여,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도 가로 방향으로 수축하거나, 말리거나 할 우려가 있다. 그러면, 다리둘레 연출부(60)를 넓은 폭으로 설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다리둘레 연출부(60)를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면으로 밀착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 여기에서 가령, 외장 시트(14)가 흡수체(12)와 동일한 정도의 가로폭이고, 다리둘레 연출부(60)가 외장 시트(14)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외장 시트(14)로부터 가로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또한, 외장 시트(14)와는 별도 부재인 사이드 시트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 주변의 비피부측면에, 외장 시트(14)와 사이드 시트의 이음매가 노출되어 버린다. 또, 가령, 외장 시트(14)의 가로 방향의 양측부가 접어 겹쳐지는 일 없이, 외장 시트(14)의 피부측면에, 외장 시트(14)와는 별도 부재인 사이드 시트를 맞붙임으로써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의 가로 방향의 외측단에, 외장 시트(14)와 사이드 시트의 이음매가 노출되어 버린다. 그러면, 시트의 이음매로부터 배설물이 스며나와 버린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1)에서는, 흡수체(12)의 비피부측면측의 위치로부터 가로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또한, 가로 방향으로 연속하는 외장 시트(14)에 의해, 다리둘레 연출부(6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본 발명에 있어서의 「연출부가 다리둘레 개구부를 형성하는 부위」)에,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도 6의 L1)를 갖는 가로 용착 영역(62)이 복수 배치되어 있다. 또한, 흡수체(12)의 비피부측면측의 위치란, 흡수체(12)보다도 두께 방향의 비피부측이며, 가로 방향에 있어서 흡수체(12)와 중복하는 위치이다.
그 때문에, 기저귀(1)에서는, 가로 용착 영역(62)에 의해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의 가로 방향에 대한 강성이 높아져,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가 몸통둘레부(20, 30)나 중복부(60b)의 가로 방향으로의 수축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의 가로 방향으로의 수축이나 말림이 억제되어,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가 가로 방향으로 폭을 가진 상태(폭이 넓은 상태)가 유지되기 쉬워진다. 그러면,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가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넓은 폭의 면으로 밀착할 수 있어, 다리둘레로부터의 배설물의 누설이 억제된다.
또, 자연 상태의 기저귀(도 1)에 있어서,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가 가로 방향으로 대략 수평하게 연장되어 나오므로, 착용자가 기저귀(1)의 다리둘레 개구부(LH)에 다리를 통과시키는 것 만으로,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가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면으로 밀착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내측으로 말린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를 손가락으로 꺼내는 등의 동작이 불필요해져, 기저귀(1)가 용이하게 적절히 장착된다. 또, 기저귀(1)의 착용 중에 있어서도,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의 폭이 넓은 상태가 유지되기 쉬워, 착용자의 다리의 끼워 넣는 힘이 작용해도,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가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면으로 밀착한다. 또, 폭이 넓은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가 착용자에게 밀착함으로써, 착용자의 엉덩이부를 피복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엉덩이부를 피복하는 커버 등을 몸통둘레부(20, 30)와는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기저귀(1)의 구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기저귀(1)에서는,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에 가로 용착 영역(62)을 배치함으로써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의 강성을 높이고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에 별도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의 강성을 높이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저귀(1)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외장 시트(14)에 의해 다리둘레 연출부(60)가 형성됨으로써,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 및 그 주변의 비피부측면에 시트의 이음매가 노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1)에서는,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에 가로 용착 영역(62)이 배치되기 때문에, 외장 시트(14)의 측부가 접어 겹쳐진다. 그 때문에,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의 가로 방향의 외측단(60d)에 시트의 이음매가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1)에서는, 시트의 이음매로부터의 배설물의 스며나옴이 방지되어, 다리둘레로부터의 누설이 한층 더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가로 용착 영역(62)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트 형상의 용착부(69)(예를 들면 엠보스 롤러의 외주면에 설치된 돌기 패턴 중의 1개의 돌기로 형성된 용착부)가, 가로 방향으로 나열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3개의 용착부(69)가 나열된 도트의 열이 2개, 가로 방향으로 어긋나고 또한 세로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세로 용착 영역(66)도, 도트 형상의 용착부(69)가 세로 방향으로 다수 나열된 도트의 열이 2개, 세로 방향으로 어긋나고 또한 가로 방향으로 나열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용착 영역(62, 66)이 부분적으로 용착되어 있어도 되고, 이 경우에도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의 가로 방향에 대한 강성이 높아진다. 또한,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엠보스 롤러의 외주면에 설치된 1개의 돌기의 평면 형상을 용착 영역(62, 66)과 같은 형상으로 하여, 용착 영역(62, 66)의 전역이 용착되도록 해도 된다. 단, 본 실시 형태와 같이 1개의 용착부(69)의 형상을 작게 함으로써 용착 시에 가해지는 압력이 일정하게 되기 쉬워, 용착이 안정된다.
또, 가로 용착 영역(62)이 갖는 가로 방향의 소정의 길이란 0mm보다도 크면 되지만, 어느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다리둘레 연출부(60)의 가로폭이 40mm인 경우, 가로 용착 영역(62)의 가로 방향의 길이가, 바람직하게는 7.5mm 내지 27.5mm의 범위이면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7.5mm 정도이면 된다.
또, 가로 용착 영역(62)이 갖는 가로 방향의 소정의 길이(예를 들면 도 6의 L1)란, 가로 용착 영역(62)의 가로 방향의 일단에서부터 타단까지의 가로 방향의 길이이다. 그 때문에, 가로 용착 영역(62)의 형상은, 가로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형상(도시하지 않음)이어도 되고,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가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이어도 된다. 단, 예를 들면 엠보스 롤러의 축 방향에 가로 용착 영역(62)의 가로 방향이 대응하는 경우, 가로 용착 영역(62)이 가로 방향에 평행하면, 순간적으로 가로 용착 영역(62)이 형성되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가로 용착 영역(62)이 가로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면, 엠보스 롤러의 회전에 수반하여 순차 압력이 가해지면서 가로 용착 영역(62)이 형성되기 때문에, 용착이 안정된다.
또, 가로 용착 영역(62)의 형상은,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도트상의 용착부(69)가 가로 방향으로 나열된 라인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사다리꼴, 타원, 배럴형(barrel shape) 등이어도 된다. 또, 도트상의 용착부(69)에 한정되지 않고, 정방형이나 삼각형 등의 그 외의 형상의 용착부(69)를 가로 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함으로써 가로 용착 영역(62)을 형성해도 된다. 또,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에 있어서 가로 방향으로 복수의 가로 용착 영역(62)이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의 가로 용착 영역(62)의 수는 1개 이상이면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1)에서는, 다리둘레 연출부(60)에 있어서의 중복부(60b)에도 복수의 가로 용착 영역(62)이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중복부(60b)의 가로 방향에 대한 강성도 높아, 중복부(60b)의 가로 방향으로의 수축도 억제된다. 즉, 몸통둘레부(20, 30)의 가로 방향으로의 수축력이 중복부(60b)를 통하여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에 전달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의 폭이 넓은 상태가 한층 더 유지되기 쉬워,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가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면으로 밀착할 수 있어, 다리둘레로부터의 누설이 보다 확실히 억제된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둘레 연출부(60a)의 길이 방향의 전역에 걸쳐, 복수의 가로 용착 영역(62)이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가로 용착 영역(62)의 형성 간격의 조정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기저귀(1)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단, 중복부(60b)에 가로 용착 영역(62)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형태여도 된다. 또, 각 다리둘레 연출부(60)가 갖는 한 쌍의 중복부(60b)의 한쪽에만 가로 용착 영역(62)이 배치되고, 다른 쪽에 가로 용착 영역(62)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형태여도 된다. 이러한 경우, 비교적 딱딱한 가로 용착 영역(62)의 수가 줄어 들기 때문에, 피부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어, 기저귀(1)의 착용감이 향상된다. 또, 다리둘레 연출부(60)가 한 쌍의 중복부(60b)를 갖지 않아도 된다. 즉, 다리둘레 연출부(60)가 앞몸통둘레부(20)와 뒷몸통둘레부(30)의 한쪽하고만 중복되는 형태나 양쪽에 중복되지 않는 형태여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1)에서는, 외장 시트(14)에 의해 방루벽부(50)도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방루벽부(50)와 다리둘레 연출부(60)와의 경계에도 시트의 이음매가 존재하지 않게 되어, 다리둘레로부터의 누설이 한층 더 억제된다. 예를 들면, 방루벽부(50)에서 가로막힌 배설물이 방루벽부(50)와 다리둘레 연출부(60)와의 경계로부터 스며나와, 착용자의 다리가 더러워져 버리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외장 시트(14)는, 흡수체(12)의 비피부측면측의 위치로부터 가로 방향의 양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있다. 즉, 공통의 외장 시트(14)에 의해, 한 쌍의 다리둘레 연출부(60)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흡수성 본체(10)의 비피부측면에 외장 시트(14)의 이음매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시트의 이음매로부터의 누설이 억제된다. 또, 기저귀(1)의 착용 시에 한 쌍의 다리둘레 연출부(60)가 일체가 되어 끌어 올려진다. 그 때문에, 한 쌍의 다리둘레 연출부(60)가 각각 밸런스 좋게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밀착할 수 있어, 다리둘레로부터의 누설이 억제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1)에서는, 공통의 외장 시트(14)에 의해 한 쌍의 방루벽부(50)도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1장의 외장 시트(14)에 의해 가로 방향의 한쪽측의 다리둘레 연출부(60)나 방루벽부(50)를 형성하거나, 1장의 외장 시트(14)에 의해 가로 방향의 양측의 한 쌍의 다리둘레 연출부(60)나 한 쌍의 방루벽부(50)를 형성하거나 함으로써, 자재 수를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저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단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방루벽부(50)와 다리둘레 연출부(60)가 다른 시트로 형성되어 있거나, 한 쌍의 다리둘레 연출부(60)가 각각 다른 외장 시트(14)에 의해 형성되어 있거나, 다리둘레 연출부(60)가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13)에 의해 형성되어 있거나 해도 된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둘레 연출부(60)에 있어서의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 및, 중복부(60b)에 있어서, 제 1 가로 용착 영역(63)이 배치된 외장 시트(14)의 부위(즉 제 1 시트부(14a) 및 제 2 시트부(14b))와,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이 배치된 외장 시트(14)의 부위(즉 제 3 시트부(14c) 및 제 4 시트부(14d))가, 다리둘레 연출부(60)의 두께 방향으로 겹쳐져 있다.
그 때문에,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 및 중복부(60b)의 가로 방향에 대한 강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또, 제 1 가로 용착 영역(63)과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을 겹치기 위해, 외장 시트(14)는 4층으로 접어 겹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외장 시트(14)의 적층 수가 증가함으로써도,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 및 중복부(60b)의 가로 방향에 대한 강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중복부(60b)는 몸통둘레부(20, 30)의 수축의 영향을 한층 더 받기 어려워져,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는 한층 더 폭이 넓은 상태가 유지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는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면으로 밀착할 수 있어, 다리둘레로부터의 누설이 보다 확실히 억제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가로 용착 영역(63) 및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을 겹침으로써, 1개당의 가로 용착 영역(62)의 용착 강도를 약하게 하여 강성을 낮추어도,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의 강성 및 중복부(60b)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가로 용착 영역(62)을 비교적 부드럽게 할 수 있어, 기저귀(1)의 착용감이 향상된다. 또, 가로 용착 영역(62)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용착 강도를 높이고자 한 결과, 가로 용착 영역(62)의 두께가 너무 얇아지거나, 구멍이 뚫리거나 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 및 중복부(60b)에 있어서, 복수의 가로 용착 영역(62)이 두께 방향으로 겹쳐져 있지 않아도 된다. 그 경우, 외장 시트(14)는 2층으로 접어 겹쳐져, 그 2층이 용착되어 가로 용착 영역(62)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 3개 이상의 가로 용착 영역(62)이 두께 방향에 겹쳐져 있어도 된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에 있어서, 가로 용착 영역(62)은, 다리둘레 연출부(60)의 가로 방향의 외측단(60d)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의 가로 방향 외측의 단부에는 가로 용착 영역(62)이 존재하지 않고, 유연하므로, 착용자의 다리둘레의 피부 감촉이 좋아, 기저귀(1)의 착용감이 향상된다. 또, 착용자의 다리의 끼워 넣는 힘이 흡수된다. 그 때문에, 착용 중에 있어서도,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의 폭이 넓은 상태가 유지되기 쉬워,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가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면으로 밀착할 수 있어, 다리둘레로부터의 누설이 억제된다.
또, 흡수성 본체(10)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톱 시트(11)가 감겨진 흡수체(12)와 외장 시트(14)의 사이 및, 접어 겹쳐져 있는 외장 시트(14)의 사이에, 백 시트(13)가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시트(13)의 가로 방향의 외측단(13a)도, 다리둘레 연출부(60)의 가로 방향의 외측단(60d)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의 가로 방향 외측의 단부에는 백 시트(13)가 존재하지 않고, 유연하므로, 착용자의 다리둘레의 피부 감촉이 좋아, 기저귀(1)의 착용감이 향상된다. 또, 착용자의 다리의 끼워 넣는 힘이 흡수되기 때문에,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의 폭이 넓은 상태가 유지된다.
또,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에는, 도 2나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다리둘레 탄성 부재(61a∼61d)가 가로 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중의 한가운데의 2개의 다리둘레 탄성 부재(61b, 61c)는,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에 배치된 가로 용착 영역(62)과 교차하고 있다. 가로 용착 영역(62)이 배치된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의 부위는 강성이 높아, 평면 형상이 유지되기 쉽다. 그 때문에, 다리둘레 탄성 부재(61b, 61c)의 수축에 의해, 가로 용착 영역(62)이 배치된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의 부위는 일체가 되어 착용자측으로 들어 올려진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 용착 영역(62)이 배치된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의 부위는,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면으로 밀착할 수 있어, 다리둘레로부터의 누설이 억제된다.
또, 4개의 다리둘레 탄성 부재(61a∼61d) 중 가로 방향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다리둘레 탄성 부재(61a)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 흡수체(12)와 가로 용착 영역(62)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둘레 탄성 부재(61a)의 수축에 의해, 다리둘레 탄성 부재(61a)보다도 가로 방향 외측의 부위가 착용자측으로 들어 올려져, 기립 높이가 확보된다. 그 때문에,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를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 4개의 다리둘레 탄성 부재(61a∼61d) 중 가로 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다리둘레 탄성 부재(61d)는,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의 가로 방향의 외측단(60d)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다리둘레 탄성 부재(61d)의 수축에 의해,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는 가로 방향의 외측단(60d)의 위치까지 확실히 착용자에게 밀착할 수 있다. 특히, 가로 용착 영역(62)이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의 가로 방향의 외측단(60d)까지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는 가로 방향의 외측단(60d)의 위치까지 착용자에게 밀착할 수 있다.
또, 다리둘레 연출부(60)에 있어서의 중복부(60b)는, 세로 방향에 있어서 몸통둘레부(20, 30)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중복부(60b)와 몸통둘레부(20, 30)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 영역(41)(도 5의 굵은 선으로 둘러싸인 영역(41))을 갖는다. 그리고, 그 비접합 영역(41)에 가로 용착 영역(62a)이 배치되어 있다.
중복부(60b) 중, 몸통둘레부(20, 30)와의 접착 영역(40)(도 5의 사선이 그어진 영역)과 비교하여, 비접합 영역(41) 쪽이, 몸통둘레부(20, 30)의 가로 방향으로의 수축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그 때문에, 중복부(60b)와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와의 경계부에 비접합 영역(41)을 설치함으로써, 그 경계부의 폭이 넓은 상태가 유지되기 쉬워진다. 또한, 경계부(비접합 영역(41))에 가로 용착 영역(62a)이 배치됨으로써, 경계부의 폭이 넓은 상태가 한층 더 유지되기 쉬워진다. 그 결과,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도 폭이 넓은 상태가 유지되기 쉬워진다. 바꾸어 말하면, 몸통둘레부(20, 30)의 가로 방향으로의 수축력이, 비접합 영역(41)의 가로 용착 영역(62)에 의해 가로막혀,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에 전달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의 폭이 넓은 상태가 유지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는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면으로 밀착할 수 있어, 다리둘레로부터의 누설이 억제된다.
또, 기저귀(1)에는, 상기의 접착 영역(40) 외에, 도 3에 나타내는 접합 영역(42, 43, 44)이 설치되고,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방루벽부(50)를 형성하는 외장 시트(14)의 제 1 시트부(14a)와 제 2 시트부(14b)가 접합 영역(42)에서 접합되어 있다. 또, 톱 시트(11)가 감겨진 흡수체(12)의 비피부측면과 백 시트(13)가 접합 영역(43)(이하, 「흡수체 접합부(43)」라고도 부름)에서 접합되어 있다. 또, 백 시트(13)와 외장 시트(14)가 접합 영역(44)(이하, 「백 시트 접합부(44)」라고도 부름)에서 접합되어 있다.
한편, 도 3에 나타내는 다리둘레 연출부(60)의 가로 방향 외측의 부위(60c)(상세하게는 방루벽부(50)의 사이드 접합부(53)보다도 가로 방향의 외측의 부위(60c))에서는, 외장 시트(14)의 제 1 시트부(14a)와 제 2 시트부(14b)의 사이가, 길이 방향의 전역에 걸쳐, 접착제로 접합되어 있지 않다. 마찬가지로, 외장 시트(14)의 제 3 시트부(14c)와 제 4 시트부(14d)의 사이도, 길이 방향의 전역에 걸쳐, 접착제로 접합되어 있지 않다. 즉, 외장 시트(14)의 제 1 시트부(14a) 및 제 2 시트부(14b)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나열되는 제 1 가로 용착 영역(63)의 사이의 부위(예를 들면 도 5의 65의 부위)가 접합되어 있지 않아, 공간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쿠션성이 높다. 마찬가지로, 외장 시트(14)의 제 3 시트부(14c) 및 제 4 시트부(14d)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나열되는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의 사이의 부위가 접합되어 있지 않아, 공간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쿠션성이 높다. 이와 같이 다리둘레 연출부(60)의 쿠션성을 높임으로써, 기저귀(1)의 착용감이 향상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1)에서는, 제 1 가로 용착 영역(63) 및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을 두께 방향으로 겹치기 때문에, 쿠션성이 높은 제 1 시트부(14a) 및 제 2 시트부(14b)와 제 3 시트부(14c) 및 제 4 시트부(14d)가 더욱 겹쳐지게 된다. 그 때문에, 다리둘레 연출부(60)의 쿠션성이 보다 높아진다.
또, 본 실시 형태의 다리둘레 연출부(60)에는, 제 1 세로 용착 영역(67) 및 제 2 세로 용착 영역(68)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시트부(14a) 및 제 2 시트부(14b)에 있어서 제 1 가로 용착 영역(63)의 사이가 비접합이어도, 제 1 세로 용착 영역(67)에 의해 제 1 시트부(14a) 및 제 2 시트부(14b)가 확실히 접합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세로 용착 영역(68)에 의해 제 3 시트부(14c) 및 제 4 시트부(14d)도 확실히 접합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착용자의 다리의 끼워 넣음이 작용했을 때에도, 제 1 시트부(14a)와 제 2 시트부(14b)가 분리되기 어렵고, 제 3 시트부(14c) 및 제 4 시트부(14d)가 분리되기 어렵기 때문에,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의 폭이 넓은 상태가 유지된다. 단, 제 1 세로 용착 영역(67), 제 2 세로 용착 영역(68)이 없는 형태여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가로 용착 영역(62)은 가로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가로 용착 영역(62)이 가로 방향으로 평행한 경우에 비해, 제 1 시트부(14a) 및 제 2 시트부(14b)의 비접합부의 세로 방향의 길이가 짧고, 제 3 시트부(14c) 및 제 4 시트부(14d)의 비접합부의 세로 방향의 길이가 짧다. 그 때문에, 제 1 시트부(14a)와 제 2 시트부(14b)가 분리되기 어렵고, 제 3 시트부(14c) 및 제 4 시트부(14d)가 분리되기 어렵기 때문에,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의 폭이 넓은 상태가 유지된다.
또, 다리둘레 연출부(60)의 가로 방향 외측의 부위(60c) 중 중복부(60b)에서는, 외장 시트(14)의 제 2 시트부(14b)와 백 시트(13)와의 사이나, 백 시트(13)와 외장 시트(14)의 제 3 시트부(14c)의 사이가 접착제로 접합되어 있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한다. 특히 백 시트(13)와 제 3 시트부(14c)의 사이를 접합하지 않음으로써, 신장 상태로 고정되지 않는 다리둘레 탄성 부재(61)의 양단부를 수축시킬 수 있고, 다리둘레 연출부(6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다리둘레 탄성 부재(61)가 노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외장 시트(14)의 제 3 시트부(14c) 및 제 4 시트부(14d)는, 접착 영역(40) 및 가로 용착 영역(62)에서 몸통둘레부(20, 30)에 접합되지만, 외장 시트(14)의 제 1 시트부(14a) 및 제 2 시트부(14b)는, 몸통둘레부(20, 30)로부터 이격하기 때문에, 몸통둘레부(20, 30)의 가로 방향으로의 수축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의 폭이 넓은 상태가 유지되기 쉬워진다. 또, 상기의 부분이 접합되어 있지 않아도 중복부(60b)에 가로 용착 영역(62)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다리둘레 연출부(6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의 벌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다리둘레 연출부(60)의 가로 방향 외측의 부위(60c) 중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에서는, 외장 시트(14)의 제 2 시트부(14b)와 백 시트(13)와의 사이 및, 백 시트(13)와 외장 시트(14)의 제 3 시트부(14c)와의 사이가 접착제로 접합되어 있으면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착용자의 다리의 끼워 넣음이 작용했을 때에, 외장 시트(14)의 4층(14a∼14d)이 분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의 폭이 넓은 상태가 유지된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몸통둘레부(20, 30)에 있어서 복수의 몸통둘레 탄성 부재(22, 32)가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중복부(60b)에 있어서 복수의 가로 용착 영역(62)이 세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중복부(60b)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 용착 영역(62)의 세로 방향의 간격(L2)보다도, 복수의 몸통둘레 탄성 부재(22, 32)의 세로 방향의 간격(L3) 쪽이 좁게 되어 있다(L2>L3).
그 때문에, 몸통둘레 탄성 부재(22, 32)의 수가 너무 적은 일이 없어, 몸통둘레부(20, 30)의 착용자에의 피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가로 용착 영역(62)에 의해 중복부(60b)의 가로 방향으로의 수축을 억제하여 다리둘레로부터의 누설을 억제하면서, 몸통둘레부(20, 30)의 착용자에의 피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중복부(60b)에 배치된 가로 용착 영역(62)의 수가 너무 많은 일이 없어, 비교적 딱딱한 가로 용착 영역(62)에 의해 피부에의 부담이 증가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가로 용착 영역(62)의 간격이 너무 좁아짐으로써 가로 용착 영역(62)이 중복부(60b)의 찢어짐의 기점이 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중복부(60b)에 배치된 가로 용착 영역(62)의 세로 방향의 간격(L2)을 몸통둘레 탄성 부재(22, 32)의 세로 방향의 간격(L3) 이하로 해도 된다. 그 경우, 가로 용착 영역(62)의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중복부(60b)의 가로 방향으로의 수축이 보다 확실히 억제된다. 또, 상기의 비교는, 세로 방향의 위치가 중복부(60b)와 동일한 몸통둘레 탄성 부재(22, 32)의 간격과 비교해도 되고, 중복부(60b)보다도 위쪽의 몸통둘레 탄성 부재(22, 32)의 간격과 비교해도 된다. 또, 가로 용착 영역(62)의 간격이나 몸통둘레 탄성 부재(22, 32)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몸통둘레 탄성 부재(22, 32)의 간격의 적어도 1개가, 가로 용착 영역(62)의 간격의 적어도 1개보다도 좁으면 된다.
또, 다리둘레 연출부(6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평면시(도 6)에 있어서, 중복부(60b)에 배치된 가로 용착 영역(62)과 몸통둘레 탄성 부재(22, 32)가 중복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로 용착 영역(62)과 몸통둘레 탄성 부재(22, 32)가 세로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중복부(60b)와 겹쳐지는 몸통둘레 탄성 부재(22, 32)의 부위의 수축이 가로 용착 영역(62)에 의해 과도하게 억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그 몸통둘레 탄성 부재(22, 32)의 부위가 적당히 수축한다. 따라서, 몸통둘레 탄성 부재(22, 32)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몸통둘레부(20, 30)의 착용자에의 피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가로 용착 영역(62)의 일부 또는 전부의 세로 방향의 위치가, 몸통둘레 탄성 부재(22, 32)의 세로 방향의 위치와 일치하고 있어도 된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12)보다도 세로 방향의 위쪽에 위치하는 몸통둘레 탄성 부재(22a, 32a)는, 몸통둘레부(20, 30)의 가로 방향의 한쪽측의 측부로부터 다른쪽측의 측부까지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다. 한편, 세로 방향의 위치가 흡수체(12)와 동일한 몸통둘레 탄성 부재(22b, 32b)는, 몸통둘레부(20, 30)의 가로 방향의 한쪽측의 측부로부터 흡수체(12)의 가로 방향의 한쪽측의 측부까지의 부위와, 흡수체(12)의 가로 방향의 다른쪽측의 측부로부터 몸통둘레부(20, 30)의 가로 방향의 다른쪽측의 측부까지의 부위를 갖는다. 즉, 몸통둘레 탄성 부재(22b, 32b)는, 몸통둘레부(20, 3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흡수체(12)와 겹쳐지는 부위에 불연속인 부분(예를 들면 도 6의 점 a∼점 b)을 갖는다.
그 때문에, 흡수체(12)는 몸통둘레 탄성 부재(22, 32)의 가로 방향으로의 수축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 흡수체(12)의 뒤틀림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체(12)를 착용자에게 밀착시킬 수 있고, 배설물은 흡수체(12)에 확실히 흡수되기 때문에, 다리둘레로부터의 누설이 억제된다. 또, 흡수체(12)의 뒤틀림을 억제함으로써,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를 가로 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어 나오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를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면으로 밀착시킬 수 있어, 다리둘레로부터의 누설이 억제된다.
<변형예>
도 9A 내지 도 9C는 가로 용착 영역(62)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의 왼쪽의 도면은, 기저귀(1)의 제조 도중에 있어서 제 1 가로 용착 영역(63)과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을 외장 시트(14)에 형성한 상태의 도면이며, 오른쪽의 도면은, 다리둘레 연출부(60)에 있어서의 제 1 가로 용착 영역(63)과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 시트(14)의 접음 위치(f2)에 대하여 제 1 가로 용착 영역(63)과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즉 경사의 방향이 대칭이고, 세로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 및 중복부(60b)의 각각에 있어서, 제 1 가로 용착 영역(63)과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이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평면시에 있어서, 제 1 가로 용착 영역(63)과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의 일부 또는 전부가 중복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즉,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 및 중복부(60b)의 각각에 있어서, 제 1 가로 용착 영역(63)의 평면상의 위치(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의 위치)와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의 평면상의 위치가 어긋나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9A의 왼쪽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가로 용착 영역(63)과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을, 접음 위치(f2)에 대하여 경사 방향을 대칭으로 하고, 세로 방향의 위치를 어긋나게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도 9A의 오른쪽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둘레 연출부(60)의 평면시에 있어서, 동일 방향으로 경사진 제 1 가로 용착 영역(63) 및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이 세로 방향으로 교대로 나열하여 배치된다.
또, 예를 들면, 도 9B의 왼쪽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가로 용착 영역(63)과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을, 접음 위치(f2)에 대하여 경사 방향을 동일하게 하고, 세로 방향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도 9B의 오른쪽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둘레 연출부(60)의 평면시에 있어서, 역방향으로 경사진 제 1 가로 용착 영역(63) 및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이 세로 방향으로 교대로 나열하여 배치된다.
또, 예를 들면, 도 9C의 왼쪽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가로 용착 영역(63)과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을, 접음 위치(f2)에 대하여 경사 방향을 동일하게 하고, 세로 방향의 위치를 동일하게 하여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도 9C의 오른쪽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둘레 연출부(60)의 평면시에 있어서, 역방향으로 경사진 제 1 가로 용착 영역(63) 및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이 교차하여 배치된다.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가로 용착 영역(63)과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이 완전히 어긋나 있어도 되고,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가로 용착 영역(63)과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의 일부가 중복하고, 나머지 일부가 어긋나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평면시에 있어서, 제 1 가로 용착 영역(63)과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이 어긋나 있음으로써,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 및 중복부(60b)의 보다 넓은 평면 범위에 가로 용착 영역(62)이 존재하게 되어,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 및 중복부(60b)의 가로 방향에 대한 강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중복부(60b)는 몸통둘레부(20, 30)의 가로 방향으로의 수축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지고,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의 폭이 넓은 상태가 유지되기 쉬워져, 다리둘레로부터의 누설이 억제된다.
또한,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가로 용착 영역(63)과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이 완전히 어긋나 있는 경우, 용착 시에, 예를 들면 엠보스 롤러의 회전에 수반하여 순차 압력이 가해지면서 가로 용착 영역(62)이 형성되기 때문에, 용착이 안정된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복수의 제 1 가로 용착 영역(63) 중의 일부가 제 2 가로 용착 영역(64)과 중복하고, 나머지의 제 1 가로 용착 영역(63)이 제 2 가로 용착 영역(64)과 중복되어 있지 않은 형태여도 된다. 또, 제 1 가로 용착 영역(63)과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의 평면 형상이나 크기가 달라도 되고, 제 1 가로 용착 영역(63)끼리나 제 2 가로 용착 영역(64)끼리의 평면 형상이나 크기가 달라도 된다. 또, 중복부(60b)와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60a)에서, 제 1 가로 용착 영역(63)과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의 배치가 달라도 된다. 또, 제 1 가로 용착 영역(63)의 수와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의 수가 달라도 된다. 예를 들면, 비피부측인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의 수를, 피부측인 제 1 가로 용착 영역(63)의 수보다도 많게 함으로써, 다리둘레 연출부(60)의 가로 방향의 강성을 높이면서, 피부 감촉을 좋게 할 수 있다.
=== 흡수성 본체(10)의 제조 방법 ===
한 쌍의 방루벽부(50) 및 다리둘레 연출부(60)를 구비한 흡수성 본체(10)의 구체적인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흡수성 본체(10) 제조의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1)는, 제조 라인에 있어서 도 10으로 나타나는 S101∼S105의 각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제조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수성 본체(10)의 기재(基材) 시트가 소정의 반송 방향을 따라 소정의 반송 속도로 반송되는 사이에 S101∼S105의 각 공정이 실시된다. 「흡수성 본체(10)의 기재 시트」란, 외장 시트(14)가 도 2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세로 방향)으로 복수 연결된 상태로 연속하여 이루어지는 외장 연속 시트(14l)이며, 당해 외장 연속 시트(14l)가 길이 방향을 따라 반송되는 방향이 반송 방향이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반송 방향(즉, 외장 시트(14)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을 MD 방향(세로 방향에 상당), MD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CD 방향(가로 방향에 상당)이라고도 부른다.
(S101)
먼저, MD 방향으로 반송되는 기재 시트(외장 시트(14))에 대하여, 상술한 방루벽부(50)의 LSG 탄성 부재(51)를 배치하는, LSG 탄성 부재 배치 공정이 행하여진다(S101). 도 11은, LSG 탄성 부재 배치 공정에 대해서 설명하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해당 도 11에서는, 외장 시트(14)가 전개된 상태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외장 연속 시트(14l)가 제품(기저귀(1)) 단위로 절단되어, 상술의 외장 시트(14)가 된 상태에 대해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후술하는 도 12∼도 16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LSG 탄성 부재 배치 공정(S101)에서는,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외장 시트(14)(외장 연속 시트(14l))의 CD 방향(가로 방향) 양측의 소정 위치(f1)(상술한 접음 위치(f1))에, MD 방향(세로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의 LSG 탄성 부재(51)가 MD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LSG 탄성 부재(51)의 표면에는 핫멜트 접착제(HMA) 등의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당해 접착제에 의해 LSG 탄성 부재(51)가 외장 시트(14)에 접합된다. 이것에 의해, 외장 시트(14)의 소정 위치(f1)에 있어서 LSG 탄성 부재(51)가 접합된 부분에 세로 방향(길이 방향)의 신축성이 발현하여, 기저귀(1)를 팬티형으로 형성했을 때에, 방루벽부(50)를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기립시킬 수 있다.
또, S101에 있어서, 소정 위치(f1)보다도 CD 방향(가로 방향)의 내측의 영역에는, 도 11과 같이 MD 방향을 따라 접착제(예를 들면 핫멜트 접착제 HMA)가 설치됨(도포됨)으로써, LSG 접착부(55)가 형성된다. 이 LSG 접착부(55)는 다음 공정(S102)에 있어서, 소정 위치(f1)에서 외장 시트(14)를 되접을 때에, 두께 방향으로 접어 겹쳐진 외장 시트(14)끼리를 접합하기 위한 접착부이다. 또한, LSG 접착부(55)는 LSG 탄성 부재(51)가 배치되기 전에 형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S102)
이어서, 전개된 상태의 외장 시트(14)(외장 연속 시트(14l))의 CD 방향(가로 방향) 양단부를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되접어, 외장 시트(14)가 두께 방향으로 접어 겹쳐진 부분에 가로 용착 영역(62) 및 세로 용착 영역(66)을 형성하는, 용착 영역 형성 공정(S102)이 행하여진다. 도 12는, 용착 영역 형성 공정에 대해서 설명하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영역 A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며, 가로 용착 영역(62) 및 세로 용착 영역(66)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용착 영역 형성 공정(S102)에서는, 우선, LSG 탄성 부재(51)(LSG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소정 위치(f1)를 접음 위치로 하여, 외장 시트(14)의 양단부가 CD 방향(가로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되접힌다. 즉, LSG 탄성 부재(51)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f1)를 되접음 기점으로 하여 LSG 탄성 부재(51)를 끼워 넣도록 외장 시트(14)가 두께 방향으로 접어 겹쳐지고, LSG 접착부(55)에 의해 접합된다. 이 접합되는 부분은, 기저귀(1) 착용 시에 있어서 방루벽부(50)로서 기립하는 부분이며, 접어 겹쳐진 외장 시트(14)끼리가 서로 접합됨으로써 방루벽부(50)의 강도가 확보되어, 방루벽부(50)가 쓰러지거나 형상이 무너지거나 하는 것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또한, 외장 시트(14)를 되접을 때에는, 외장 연속 시트(14l)를 MD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CD 방향으로 되접는, 되접음 기구(실러)가 이용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LSG 접착부(55)가 소정 위치(f1)보다도 CD 방향(가로 방향)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실러에 접착제가 부착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실러의 청소나 메인터넌스 등을 위해 제조 라인을 멈출 필요가 감소하여, 기저귀(1)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외장 시트(14)가 접어 겹쳐진 부분 중, LSG 접착부(55)에 의해 접합된 영역보다도 가로 방향의 내측의 영역이 부분적으로 용착됨으로써, 가로 용착 영역(62) 및 세로 용착 영역(66)이 형성된다. 이 용착 영역(62, 66)이 형성되는 부분은, 기저귀(1) 착용 시에 있어서 다리둘레 연출부(60)로서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부분이다. 용착부(62, 66)가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외장 시트(14)에 의해 형성되는 다리둘레 연출부(60)의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강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용착 영역(62, 66)은, 도 13과 같이, 두께 방향으로 2층으로 겹쳐진 외장 시트(14) 중, 가로 방향의 외측의 부위에 복수의 제 1 가로 용착 영역(63)이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하여 형성되고, 제 1 가로 용착 영역(63)에 대하여 소정 위치(f2)(상술한 접음 위치(f2))를 사이에 두고 가로 방향의 내측의 부위에 복수의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이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하여 형성된다. 즉, 제 1 가로 용착 영역(63)과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은 가로 방향에 있어서 비연속이고, 또한, 제 1 가로 용착 영역(63) 및 제 2 가로 용착 영역(64)은, 가로 방향에 있어서 소정 위치(f2)와 중복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소정 위치(f2)의 강성이 높아지는 것이 억제되어, 후술하는 연출부 형성 공정(S105)에 있어서, 외장 시트(14)를 소정 위치(f2)에서 되접을 때에, 확실히 되접을 수 있게 된다.
또, 제 1 가로 용착 영역(63)보다도 가로 방향의 외측에 제 1 세로 용착 영역(67)이 형성되고, 제 2 가로 용착 영역(64)보다도 가로 방향의 내측에 제 2 세로 용착 영역(68)이 형성된다. 또한, 가로 용착 영역(62) 및 세로 용착 영역(66)은, 모두, 가로 방향에 있어서, 외장 시트(14)의 에지가 되는 단(端)(14e)과 중복되지 않도록 형성된다(도 12 참조). 이것에 의해, 당해 에지부(14e)에 있어서 강성이 높아져 시트 부재가 딱딱해지는 것을 억제하여, 기저귀(1) 착용 시에 에지 부분이 착용자의 피부에 밀어붙여지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촉감이 악화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가로 용착 영역(62)(63, 64)은, 도트 형상의 용착부(69)가, 가로 방향으로 복수 나열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3개의 용착부(69)가 나열된 도트의 열이 2개, 가로 방향으로 어긋나고 또한 세로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세로 용착 영역(66)(67, 68)도, 도트 형상의 용착부(69)가 세로 방향으로 다수 나열된 도트의 열이 2개, 세로 방향으로 어긋나고 또한 가로 방향으로 나열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용착부(69)는, 예를 들면 CD 방향을 따라 회전축이 설치된 엠보스 롤러를 이용하고, 해당 엠보스 롤러의 외주면에 설치된 돌기 패턴 중의 1개의 돌기를 이용하여, 초음파 용착 등의 용착 수단에 의해 형성된다. 단, 용착부(69)가 열 용착이나 레이저 조사 등의 다른 용착 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용착 영역(62, 66)이 도트 형상의 용착부(69)에 의해 부분적으로 용착되어 있기 때문에, 개개의 용착부(69)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용착 시에 돌기 패턴에 의해 초음파 진동 등을 일점에 집중하여 반복해서 가하는 것이 가능해져, 안정적으로 용착을 행할 수 있다. 단, 용착 영역(62, 66)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엠보스 롤러의 외주면에 설치된 1개의 돌기의 평면 형상을 용착 영역(62, 66)과 동일한 형상으로 하여, 용착 영역(62, 66)의 전역이 용착되도록 해도 된다. 즉, 도 13의 점선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의 전역이 용착된 선상의 용착 영역(62, 66)이 형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 가로 용착 영역(62)이 갖는 가로 방향의 소정의 길이란, 가로 용착 영역(62)의 가로 방향의 일단에서부터 타단까지의 가로 방향의 길이이며, 도 13에 있어서 L62로 나타내어진다. 가로 용착 영역(62)의 형상은,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L62)를 갖고 있는 것이면, 가로 방향(CD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형상(도시하지 않음)이어도 되고,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가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이어도 된다.
단, 엠보스 롤러의 돌기 패턴이 CD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가로 용착 영역(62)이 CD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과 같은 경우, 엠보스 롤러의 회전에 수반하여 돌기 패턴의 열이 외장 시트(14)(외장 연속 시트(14l))와 접촉한 순간에, CD 방향(가로 방향)을 따른 가로 용착 영역(62)이 동일 타이밍에 형성되게 된다. 이 경우, 가로 방향의 모든 영역에 균등한 압력을 가하는 것이 어려워, 가로 용착 영역(62)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 용착 강도가 불균일해질 우려가 있다. 또, 돌기 패턴의 열에 한 번에 큰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돌기 패턴이 마모되기 쉬워진다. 이것에 대하여, 가로 용착 영역(62)이 가로 방향(CD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면, 엠보스 롤러의 회전에 수반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점이 순차 이동하면서 가로 용착 영역(62)이 형성되기 때문에, 국소적인 용착 불량 등이 생기기 어려워, 용착 강도가 불균일해지기 어렵다. 또, 압력이 가해지는 개소가 순차 이동하기 때문에, 엠보스 롤러의 외주면에 설치된 돌기가 마모되기 어려워져, 효율적으로 제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가로 용착 영역(62)이 갖는 가로 방향의 소정의 길이란 0mm보다도 크면 되지만, 어느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다리둘레 연출부(60)의 가로폭이 40mm인 경우, 가로 용착 영역(62)의 가로 방향의 길이가, 바람직하게는 7.5mm 내지 27.5mm의 범위이면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7.5mm 정도이면 된다.
(S103)
이어서, 외장 시트(14)(외장 연속 시트(14l))의 소정의 영역에 다리둘레 탄성 부재(61)를 배치하는 탄성 부재 배치 공정(S103)이 행하여진다. 도 14는, 탄성 부재 배치 공정에 대해서 설명하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우선, 2층으로 되어 있는 외장 시트(14)의 피부측면으로서 가로 용착 영역(62) 및 세로 용착 영역(66)보다도 가로 방향(CD 방향)의 외측의 부위에, 방루벽부(50)의 엔드 접합부(52) 및 사이드 접합부(53)를 형성하는 접착제가 도포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가로 방향의 가장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세로 용착 영역(67)보다도 더욱 가로 방향의 외측에 사이드 접합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가로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용착 영역(62, 63)과 중복되지 않도록 사이드 접합부(53)가 형성된다. 또, 외장 시트(14)의 피부측면으로서, 가로 방향(CD 방향) 중앙의 영역에, 다음 공정(S104)에서 백 시트(13)를 접합하기 위한 백 시트 접합부(44)를 형성하는 접착제가 본 공정에서 도포되어도 된다(도 14 참조). 또한, 각 접합부(44, 52, 53)가 형성되는 순번은 임의이지만, 이들은 외장 시트(14)의 피부측면에 있어서 서로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동시에 접착제를 도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착제를 동시에 도공함으로써, 제조 라인의 설비 스페이스를 콤팩트하게 하면서, 제조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접합부(44, 52, 53)를 형성한 후, 외장 시트(14)의 피부측면으로서 사이드 접합부(53)보다도 가로 방향(CD 방향)의 내측의 부위에, 복수의 다리둘레 탄성 부재(61)가 세로 방향(MD 방향)으로 신장한 상태로 접합된다. 또한, 다리둘레 탄성 부재(61)에는 도 14에서 나타내어지는 영역(L61)의 범위에 미리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이 영역(L61)의 범위에 있어서 외장 시트(14)에 대하여 세로 방향(MD 방향)의 신축성이 부여된다. 이것에 의해, 적어도 영역(L61)의 범위에서 다리둘레 연출부(60)에 세로 방향을 따른 신축성이 발현하여, 기저귀(1) 착용 시에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대한 다리둘레 연출부(60)의 피트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에 61a∼61d의 4개의 다리둘레 탄성 부재가 설치된다. 이 중, 다리둘레 탄성 부재(61b 및 61c)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 가로 용착 영역(64)(62)과 중복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가로 방향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다리둘레 탄성 부재(61a)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 흡수체(12)와 가로 용착 영역(62)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된다. 또, 가로 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다리둘레 탄성 부재(61d)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 소정 위치(f2)에 배치된다. 또한, 소정 위치(f2)는, 기저귀(1)를 팬티형으로 형성했을 때에, 다리둘레 연출부(60)의 가로 방향의 외측단(60d)이 되는 위치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에서는, S102에서 가로 용착 영역(62)을 형성한 후에, S103에서 다리둘레 탄성 부재(61)를 배치함으로써, 다리둘레 연출부(60)에있어서 가로 용착 영역(62)(64)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 다리둘레 탄성 부재(61)에 의한 세로 방향의 신축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가령, 다리둘레 탄성 부재(61)가 배치된 후에, 가로 용착 영역(62)을 형성하고자 하면, 해당 가로 용착 영역(62)을 형성할 때에 발생하는 엠보스 롤러 등의 압력에 의해 다리둘레 탄성 부재(61)가 절단되어 버려, 다리둘레 연출부(60)에 신축력이 발현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다리둘레 탄성 부재(61)의 신축력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다리둘레 탄성 부재(61)와 중복된 영역에 가로 용착 영역(62)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리둘레 연출부(60)에 있어서 다리둘레 탄성 부재(61)와 가로 용착 영역(62)을 중복하여 배치하는 효과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
(S104)
이어서, 외장 시트(14)(외장 연속 시트(14l))의 피부측에 흡수체(12)(톱 시트(11)가 감겨진 상태의 흡수체(12))를 부착하는 흡수체 전사 공정(S104)이 행하여진다. 도 15는, 흡수체 전사 공정에 대해서 설명하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우선, 외장 시트(14)의 피부측면에, 백 시트(13)가 접합된다. 백 시트(13)는, 가로 방향(CD 방향)에 있어서, 다리둘레 탄성 부재(61a∼61c)와 중복하도록 배치된다. 즉, 백 시트(13)는, 적어도 가로 방향의 한쪽측에 배치되어 있는 다리둘레 탄성 부재(61c)와, 가로 방향의 다른쪽측에 배치되어 있는 다리둘레 탄성 부재(61c)와의 사이의 영역을 두께 방향의 피부측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고, 백 시트 접합부(44) 및, 다리둘레 탄성 부재(61)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외장 시트(14)의 피부측면에 접합된다.
또한, 흡수성 본체(10)의 구성상, 백 시트(13)를 다리둘레 탄성 부재(61)보다도 비피부측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다리둘레 탄성 부재(61)의 일부가 피부측에 노출될 우려가 있어, 기저귀(1)의 착용 시에 해당 다리둘레 탄성 부재(61)의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접착제가 착용자의 신체에 부착하는 등에 의해,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기저귀(1)에서는, S104에 있어서 백 시트(13)가 다리둘레 탄성 부재(61a∼61c)의 피부측을 덮도록 배치됨으로써, 다리둘레 탄성 부재(61)가 피부측에 노출되는 것이 억제되어, 기저귀(1)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신체에 접착제가 부착하는 것과 같은 일은 발생하기 어렵다.
그리고, 백 시트(13)의 피부측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흡수체 접합부(43)를 개재하여, 백 시트(13)의 피부측면에 흡수체(12)가 접합된다(전사된다).
(S105)
이어서, 외장 시트(14)(외장 연속 시트(14l))의 가로 방향의 양단부를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재차 되접음으로써, 다리둘레 연출부(60)를 형성하는 다리둘레 연출부 형성 공정(S105)이 행하여진다. 도 16은, 다리둘레 연출부 형성 공정에 대해서 설명하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6의 단면도는,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연출부 형성 공정(S105)에서는, 다리둘레 탄성 부재(61d)가 배치되어 있는 소정 위치(f2)를 접음 위치로 하여, 외장 시트(14)의 양단부가 가로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되접힌다. 그리고, 두께 방향으로 접어 겹쳐진 외장 시트(14)의 대향하는 면끼리가, 엔드 접합부(52) 및 사이드 접합부(53)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 이것에 의해,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다리둘레 연출부(60)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 위치(f2)에는, 가로 용착 영역(62) 및 세로 용착 영역(66)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외장 시트(14)의 강성은 소정 위치(f2)에 있어서 너무 높아지지 않아, 외장 시트(14)를 확실히 접어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리둘레 연출부(60)를 깨끗한 평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외장 시트(14)가 소정 위치(f2)에서 되접힘으로써, 제 1 가로 용착 영역(63) 및 제 1 세로 용착 영역(67)과, 제 2 가로 용착 영역(64) 및 제 2 세로 용착 영역(68)이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고, 그 사이에 다리둘레 탄성 부재(61b 및 61c)가 끼워 넣어진 상태가 된다. 즉, 복수의 다리둘레 탄성 부재(61) 중의 적어도 일부가 가로 용착 영역(62)과 중복된 다리둘레 연출부(60)가 형성된다.
종래, 기저귀(1)와 같이 다리둘레 연출부가 가로 방향으로 크게 연장되어 나와있는 기저귀(도 1 참조)에서는, 착용 시에 다리둘레 연출부가 가로 방향으로 수축하거나 말리거나 하여 피트성이 악화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기저귀(1)에서는, 가로 용착 영역(62)이 복수 설치됨으로써, 다리둘레 연출부(60)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강성이 높아져, 다리둘레 연출부(60)가 면 형상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즉, 다리둘레 탄성 부재(61)에 의한 수축력이 작용한 상태라도, 다리둘레 연출부(60)의 가로 방향으로의 수축이나 말림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되어, 다리둘레 연출부(60)가 가로 방향으로 폭을 가진 상태(폭이 넓은 상태)가 유지되기 쉬워진다. 또, 다리둘레 연출부(60)가 면 형상을 유지한 채로 세로 방향으로 수축하는 힘이 작용함으로써, 다리둘레 연출부(60)의 표면에는 가로 방향을 따른 주름이 다수 형성되고, 당해 주름의 요철에 의해, 다리둘레 연출부(60)의 촉감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저귀(1)의 착용 시에 있어서, 다리둘레 연출부(60)의 피트성을 향상시키면서,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넓은 폭의 면으로 밀착시킴으로써 다리둘레로부터의 배설물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저귀(1)에서는, 도 16의 단면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외장 시트(14)가 소정 위치(f2)에서 되접혀, 두께 방향으로 겹쳐 맞춰진 상태에서, 다리둘레 탄성 부재(61a∼61c)와 엔드 접합부(52) 및 사이드 접합부(53)의 두께 방향의 사이에는, 백 시트(13)가 개재된 구성이 된다. 즉, 흡수성 본체(10)에 있어서, 다리둘레 탄성 부재(61a∼61c)와 엔드 접합부(52) 및 사이드 접합부(53)는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접촉하고 있지 않다. 가령, 엔드 접합부(52) 및 사이드 접합부(53)와 다리둘레 탄성 부재(61)가 두께 방향에 있어서 중복하여 배치되어 있었다고 하면, 다리둘레 탄성 부재(61) 중 표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영역(L61) 이외의 부분에도 다리둘레 탄성 부재(61)에 의한 신축력이 작용하게 되어, 흡수성 본체(10)의 세로 방향 양단부, 나아가서는, 앞몸통둘레부(20) 및 뒷몸통둘레부(30)를 세로 방향으로 수축시켜 버릴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리둘레 탄성 부재(61)의 피부측에 백 시트(13)가 배치됨으로써, 엔드 접합부(52) 및 사이드 접합부(53)와 다리둘레 탄성 부재(61)가 접촉하는 것이 억제되어, 앞몸통둘레부(20) 및 뒷몸통둘레부(30) 등에 대하여 다리둘레 탄성 부재(61)에 의한 수축력이 작용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또, 다리둘레 연출부(60)가 형성된 상태에 있어서, 4개의 다리둘레 탄성 부재(61a∼61d) 중 가로 방향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다리둘레 탄성 부재(61a)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 흡수체(12)와 용착 영역(62, 66)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다리둘레 탄성 부재(61a)의 수축에 의해, 다리둘레 연출부(60) 중 다리둘레 탄성 부재(61a)보다도 가로 방향 외측의 부위가, 기저귀(1)의 착용 시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들어 올려지는 기점이 되어, 다리둘레 연출부(60)의 기립 높이가 확보된다. 이것에 의해, 다리둘레 연출부(60)를 착용자의 다리둘레에 밀착시키기 쉬워진다.
한편, 4개의 다리둘레 탄성 부재(61a∼61d) 중 가로 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다리둘레 탄성 부재(61d)는, 다리둘레 연출부(60)의 가로 방향의 외측단(60d)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다리둘레 탄성 부재(61d)의 수축에 의해, 다리둘레 연출부(60)는 가로 방향의 외측단(60d)의 위치까지 확실히 착용자에게 밀착할 수 있다. 특히, 기저귀(1)에서는 가로 용착 영역(62)이 다리둘레 연출부(60)의 가로 방향의 외측단(60d)까지 도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해당 외측단(60d)의 영역에서는 다리둘레 연출부(60)가 면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다리둘레 탄성 부재(61d)의 수축력에 의해 착용자의 다리에 밀착시킴으로써, 다리둘레 연출부(60)의 피트성이 악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연출부 형성 공정(S105)에서 다리둘레 연출부(60)가 형성되면, 세로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엔드 접합부(52) 사이의 외장 시트(14)가, LSG 탄성 부재(51)의 수축에 의해 사이드 접합부(53)를 기점으로 하여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기립함으로써, 방루벽부(50)가 형성된다. 사이드 접합부(53)(즉 방루벽부(50)의 기립 기점)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 용착 영역(62, 66)과 중복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S103), 외장 시트(14) 중 사이드 접합부(53)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은 강성이 높게 되어 있지 않아, 외장 시트(14)는 사이드 접합부(53)를 기점으로 하여 자연스럽게 접어 구부려지기 쉬워, 방루벽부(50)가 기립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 기저귀(1)에서는, 외장 시트(14)를 되접음으로써 방루벽부(50) 및 다리둘레 연출부(60)를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기저귀(1)에서는, 흡수성 본체(10)와 방루벽부(50)와 다리둘레 연출부(60)의 사이에, 시트 부재의 이음매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착용자의 다리둘레 부근에 있어서 시트의 이음매로부터 배설물이 누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상기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는 일 없이, 변경이나 개량될 수 있는 동시에,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외장 시트(14)가 앞몸통둘레부(20)와 뒷몸통둘레부(30)를 연결하여 일체화된 기저귀(소위 2 피스 타입)여도 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팬티형의 일회용 기저귀에 한정되지 않고,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여도 된다. 또한, 테이프형의 기저귀 등의 경우, 한 쌍의 몸통둘레부의 적어도 한쪽에 가로 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그 외에, 쇼츠형 패드, 소변흡수 패드로서도 이용 가능하다.
1 : 기저귀(흡수성 물품, 팬티형 흡수성 물품)
10 : 흡수성 본체
11 : 톱 시트
12 : 흡수체
121 : 흡수성 코어
122 : 코어 랩 시트
13 : 백 시트(액체 불투과성의 시트)
14 : 외장 시트(연속하는 시트)
14l : 외장 연속 시트
20 : 앞몸통둘레부(몸통둘레부)
21 : 시트
22 : 몸통둘레 탄성 부재(가로 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 부재)
30 : 뒷몸통둘레부(몸통둘레부)
31 : 시트
32 : 몸통둘레 탄성 부재(가로 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 부재)
40 : 접착 영역
41 : 비접합 영역
42∼44 : 접합 영역
50 : 방루벽부
51 : 탄성 부재(LSG 탄성 부재)
52 : 엔드 접합부
53 : 사이드 접합부
55 : LSG 접착부
60 : 다리둘레 연출부(연출부)
60a : 다리둘레 개구 형성부(연출부가 다리둘레 개구부를 형성하는 부위)
60b : 중복부
61 : 다리둘레 탄성 부재(세로 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 부재)
62 : 가로 용착 영역(용착 영역)
63 : 제 1 가로 용착 영역(제 1 용착 영역)
64 : 제 2 가로 용착 영역(제 2 용착 영역)
66 : 세로 용착 영역
67 : 제 1 세로 용착 영역
68 : 제 2 세로 용착 영역
69 : 용착부
LH : 다리둘레 개구부
BH : 몸통둘레 개구부

Claims (21)

  1.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을 갖고,
    흡수체를 구비하며, 길이 방향이 상기 세로 방향을 따른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길이 방향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한 쌍의 몸통둘레부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흡수체의 상기 가로 방향의 양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또한, 상기 세로 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 부재가 배치된 한 쌍의 연출부(延出部)를 구비하며,
    상기 흡수체의 비(非)피부측면측의 위치로부터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고, 또한,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속하는 시트에 의해, 상기 연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출부가 다리둘레 개구부를 형성하는 부위에, 상기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용착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착 영역은, 제 1 용착 영역과 제 2 용착 영역을 갖고,
    상기 연출부가 상기 다리둘레 개구부를 형성하는 부위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착 영역이 배치된 상기 연속하는 시트의 부위와, 상기 제 2 용착 영역이 배치된 상기 연속하는 시트의 부위가, 상기 연출부의 두께 방향으로 접어 겹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평면시(平面視)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착 영역과 상기 제 2 용착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착 영역은, 상기 연출부의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단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부가 상기 다리둘레 개구부를 형성하는 부위에 있어서, 상기 연속하는 시트가 접어 겹쳐져 있고,
    상기 흡수체와 상기 연속하는 시트의 사이 및, 접어 겹쳐져 있는 상기 연속하는 시트의 사이에, 액체 불투과성의 시트가 배치되며,
    상기 액체 불투과성의 시트는, 상기 연출부의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단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부에 배치된 상기 세로 방향으로 신축하는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용착 영역이 교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부에 배치된 상기 세로 방향으로 신축하는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와 상기 용착 영역의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부에 배치된 상기 세로 방향으로 신축하는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연출부의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단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흡수체의 상기 가로 방향의 양측부에, 착용자측으로 기립 가능한 한 쌍의 방루벽부(防漏壁部)를 구비하며,
    상기 연속하는 시트에 의해 상기 방루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통의 상기 연속하는 시트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연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1.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과 두께 방향을 갖고,
    길이 방향이 상기 세로 방향을 따른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의 비피부측에 겹쳐지고, 상기 흡수체의 비피부측면측의 위치로부터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며, 또한,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속한 외장 시트를 구비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외장 시트가 상기 두께 방향으로 겹쳐진 부분을 용착하여, 상기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용착 영역을 형성하는 용착 영역 형성 공정과,
    상기 외장 시트의 소정의 영역에, 상기 세로 방향으로 신축하는 탄성 부재를 배치하는 탄성 부재 배치 공정과,
    상기 흡수체의 상기 가로 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면서,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용착 영역과 중복된 다리둘레 연출부를 형성하는 다리둘레 연출부 형성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착 영역 형성 공정에서는,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전개된 상태의 상기 외장 시트의 양단부를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되접어, 상기 두께 방향으로 접어 겹쳐진 부분에 상기 용착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다리둘레 연출부 형성 공정에서는,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외장 시트의 양단부를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재차 되접음으로써, 상기 다리둘레 연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 배치 공정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용착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착 영역은, 제 1 용착 영역과 제 2 용착 영역을 갖고,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착 영역과 상기 제 2 용착 영역은 비연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둘레 연출부 형성 공정에 있어서, 상기 외장 시트는,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용착 영역과 상기 제 2 용착 영역의 사이의 소정 위치에 있어서 되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착 영역은, 상기 가로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17.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착 영역은, 복수의 도트가 상기 가로 방향으로 나열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18.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상기 가로 방향의 양측부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기립하는 한 쌍의 방루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착 영역은,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방루벽부가 기립하는 기점의 위치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19. 제 1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둘레 연출부에는,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가로 방향으로 나열되어 복수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 중, 상기 가로 방향의 가장 내측에 설치되는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와 상기 용착 영역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20. 제 1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둘레 연출부에는,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가로 방향으로 나열되어 복수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 중, 상기 가로 방향의 가장 외측에 설치되는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다리둘레 연출부의 외측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21. 제 1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용착 영역과 중복하여 배치되는 상기 탄성 부재의 피부측에,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KR1020197007807A 2016-08-29 2017-07-05 흡수성 물품 및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KR102419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67106 2016-08-29
JPJP-P-2016-167107 2016-08-29
JP2016167106A JP6752085B2 (ja) 2016-08-29 2016-08-29 吸収性物品
JP2016167107A JP6715730B2 (ja) 2016-08-29 2016-08-29 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PCT/JP2017/024696 WO2018042875A1 (ja) 2016-08-29 2017-07-05 吸収性物品、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222A true KR20190045222A (ko) 2019-05-02
KR102419798B1 KR102419798B1 (ko) 2022-07-12

Family

ID=61301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807A KR102419798B1 (ko) 2016-08-29 2017-07-05 흡수성 물품 및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48157B2 (ko)
EP (1) EP3482730B1 (ko)
KR (1) KR102419798B1 (ko)
CN (1) CN109640910B (ko)
BR (1) BR112019002317B1 (ko)
WO (1) WO20180428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93076B2 (ja) * 2019-09-30 2023-06-19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着用物品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4244A (ja) * 2001-12-28 2005-05-19 エスシーエー・ハイジーン・プロダクツ・アーベー 伸縮性ウエブとそれを製造する装置及び伸縮性ウエブを含む使い捨て吸収物品
JP2012192058A (ja) * 2011-03-17 2012-10-11 Oji Nepia Co Ltd 吸収性物品
JP2013013682A (ja) * 2011-07-06 2013-01-24 Kami Shoji Kk テープ式の使い捨ておむつ
JP2013013580A (ja) * 2011-07-04 2013-01-24 Unicharm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
JP2013070711A (ja) 2011-09-26 2013-04-22 Oji Nepia Co Ltd ベルト型使い捨ておむつ
JP2014171688A (ja) * 2013-03-08 2014-09-22 Oji Holdings Corp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3694A (en) * 1997-05-09 2000-09-26 Paragon Trade Brands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unitary leg gathers
JP3595471B2 (ja) * 1999-11-19 2004-12-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尿とりパッド
US8043275B2 (en) * 2001-12-19 2011-10-25 Kimberly 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garment with dual containment flaps
US6682516B2 (en) * 2002-01-16 2004-01-27 Paragon Trade Brands, Inc. Leg gasketing index for absorbent undergarments
JP4113397B2 (ja) * 2002-08-30 2008-07-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5270292B2 (ja) * 2008-10-17 2013-08-21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JP5575419B2 (ja) 2009-03-27 2014-08-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おむつ
US8206205B2 (en) * 2009-05-12 2012-06-26 Deere & Company Method of unplugging control for a feeding system
JP5483682B2 (ja) * 2009-08-31 2014-05-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US8764722B2 (en) * 2011-04-28 2014-07-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cushioned waistband
US20130255865A1 (en) * 2012-03-30 2013-10-03 Tina Brow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king Leg Cuffs for Absorbent Articles
US8932273B2 (en) 2012-06-29 2015-01-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insert for two-piece wearable absorbent article
JP6211777B2 (ja) * 2013-03-18 2017-10-11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CN107920934B (zh) * 2015-09-29 2019-11-29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腰部密封得到改善的选择性定位的腰部防漏构件的吸收制品
WO2017201401A1 (en) * 2016-05-20 2017-1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waist gasketing element
JP6232471B1 (ja) * 2016-06-06 2017-11-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0603227B2 (en) * 2016-08-26 2020-03-31 Ontex Bvba Diaper with transverse barriers
JP6751625B2 (ja) * 2016-08-29 2020-09-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4244A (ja) * 2001-12-28 2005-05-19 エスシーエー・ハイジーン・プロダクツ・アーベー 伸縮性ウエブとそれを製造する装置及び伸縮性ウエブを含む使い捨て吸収物品
JP2012192058A (ja) * 2011-03-17 2012-10-11 Oji Nepia Co Ltd 吸収性物品
JP2013013580A (ja) * 2011-07-04 2013-01-24 Unicharm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
JP2013013682A (ja) * 2011-07-06 2013-01-24 Kami Shoji Kk テープ式の使い捨ておむつ
JP2013070711A (ja) 2011-09-26 2013-04-22 Oji Nepia Co Ltd ベルト型使い捨ておむつ
JP2014171688A (ja) * 2013-03-08 2014-09-22 Oji Holdings Corp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48157B2 (en) 2023-05-16
US20190209397A1 (en) 2019-07-11
CN109640910A (zh) 2019-04-16
EP3482730A1 (en) 2019-05-15
CN109640910B (zh) 2022-03-11
WO2018042875A1 (ja) 2018-03-08
KR102419798B1 (ko) 2022-07-12
BR112019002317A2 (pt) 2019-06-18
EP3482730B1 (en) 2021-08-25
BR112019002317B1 (pt) 2023-01-31
EP3482730A4 (en) 201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07457A1 (ja) 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JP6752085B2 (ja) 吸収性物品
JP6397947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5977590B2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WO2020189280A1 (ja) 吸収性物品
JP6250926B2 (ja) 吸収性物品
JP2019162372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WO2019031124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CN210330913U (zh) 短裤型吸收性物品
JP7037428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6035381B1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KR20190045222A (ko) 흡수성 물품 및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WO2017183257A1 (ja) パンツ型の吸収性物品、及び、パンツ型の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7374768B2 (ja) 使い捨ておむつおよび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WO2019131109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715730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WO2023032386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WO2023127549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吸収性物品包装体、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WO2019220934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5958295B2 (ja) 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