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5181A - 통기 부재 및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통기 부재 및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5181A
KR20190045181A KR1020197005522A KR20197005522A KR20190045181A KR 20190045181 A KR20190045181 A KR 20190045181A KR 1020197005522 A KR1020197005522 A KR 1020197005522A KR 20197005522 A KR20197005522 A KR 20197005522A KR 20190045181 A KR20190045181 A KR 20190045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housing
sealing
ventilation member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8290B1 (ko
Inventor
요오조오 야노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5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10Protection of ligh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5K5/0216Venting plugs compri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F21S45/33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d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50Waterproof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3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with provision for ven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5K5/0214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ith means preventing penetration of rain water or 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통기 부재(1)는, 하우징(101)의 관통 구멍(101K)에 설치되는 통기 부재(1)이며, 하우징(101) 내외의 기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통기 경로(13)가 마련되는 지지체(10)와, 지지체(10)와 하우징(101)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30)와, 통기 경로(13) 상에 마련되어, 액체 및 고체의 통과를 저지함과 함께 기체가 투과하는 통기막(20)과, 지지체(10)에 마련됨과 함께, 높이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통기 경로(13)의 단부 개구(111)를 둘러싸는 피접촉부(112)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통기 부재의 통기 경로를 용이하게 막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통기 부재 및 검사 방법
본 발명은 통기 부재 및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차량용 램프 등에 있어서는, 하우징 내외의 온도 차에 기인하는 하우징의 변형 및 파열을 방지하는 등의 목적으로, 하우징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관통 구멍에는 하우징 내로의 물이나 진애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통기 부재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통기 부재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지지체와, 지지체의 관통 구멍을 막는 통기막과, 통기막을 덮는 커버 부품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통기 부재에서는, 커버 부품의 천장부에 통기 구멍이 형성되고, 측벽부에 절결이 형성되고, 이들 통기 구멍 및 절결이 커버 부품의 내외 통기 경로로서 기능하고, 통기 구멍은 축방향에 있어서, 통기막의 통기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고, 또한, 커버 부품의 측벽부는 통기막이 배치되어 있는 위치보다도 축방향의 하측까지 연장되고, 통기막을 주위 방향의 전역에 걸쳐 보호하고, 통기막은 축방향의 상측에 볼록한 단면 사다리꼴 형상부에 배치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41629호 공보
그런데, 통기 부재를 하우징에 설치하는 경우, 통기 부재와 하우징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부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 밀봉부에 있어서의 시일성의 검사를 행하는 데 있어서는, 통기 부재의 통기 경로를 통한 기체의 흐름을 멈추고 행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통기 부재의 통기 경로를 용이하게 막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통기 경로를 용이하게 막는 것이 가능한 통기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 하에서, 본 발명은, 하우징의 관통 구멍에 설치되는 통기 부재이며, 상기 하우징 내외의 기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통기 경로가 마련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부와, 상기 통기 경로 상에 마련되어, 액체 및 고체의 통과를 저지함과 함께 기체가 투과하는 통기막부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됨과 함께, 높이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통기 경로의 단부 개구를 둘러싸는 포위부를 구비하는 통기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포위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단부 개구보다도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단부 개구를 막을 때에 상기 밀봉부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시키는 저감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부 개구는,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통기 부재의 설치면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단부 개구는,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통기 부재의 설치면을 따른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밀봉부는, 내측에 개구부를 갖고, 상기 통기막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밀봉부의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기막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통기 부재의 설치면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밀봉부의 폭 영역의 범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봉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통기 부재의 설치면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본체부의 폭 영역의 범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하에서, 본 발명은, 본체부에 형성되는 통기 경로 상에 마련되어 액체 및 고체의 통과를 저지함과 함께 기체가 투과하는 통기막부를 갖는 통기 부재의 검사 방법이며, 밀봉부를 사이에 개재시키고 하우징의 관통 구멍에 상기 본체부를 장착하는 장착 스텝과, 상기 밀봉부보다도 경도가 작고, 상기 통기 경로를 통한 기체의 흐름을 억제하는 지그를 상기 본체부에 설치하는 설치 스텝과, 상기 하우징 내에 기체를 충전하는 충전 스텝을 구비하는 검사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기 경로를 용이하게 막는 것이 가능한 통기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램프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 (B) 및 (C)는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의 시일성 검사의 설명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의 통기 경로를 지그에 의해 막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변형예 1의 통기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변형예 2의 통기 부재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8의 (A), (B) 및 (C)는 제3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제4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의 설명도이다.
도 10의 (A) 및 (B)는 제4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의 시일성 검사의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램프(10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램프(100)는 차량의 전장 부품 등을 보호하는 기기 하우징(101)과, 전장 부품의 하나인 광을 출사하는 벌브(102)와, 기기 하우징(101)에 설치되는 렌즈(103)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램프(100)는 이 기기 하우징(101)과 렌즈(103)에 의해, 차량용 램프(100)의 폐쇄된 하우징 내(램프 하우징 내)(104)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차량용 램프(100)는 하우징 내(104)의 각 전장 부품에 대한 방수성이나 방진성을 높이고 있다. 단, 하우징 내(104)는 완전한 밀봉 상태는 아니고, 관통 구멍(101K)을 경유하여 통기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램프(100)는 램프 내외의 공기의 전달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통기 부재(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기기 하우징(101)에 있어서 관통 구멍(101K)이 형성되는 설치면(101P)에 직교하는 방향[관통 구멍(101K)의 깊이 방향]을 따른 방향을 「축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축방향에 있어서 하우징 내(104)에 대응하는 측을 「축방향 내측」이라고 하고, 기기 하우징(101)의 외측에 대응하는 측을 「축방향 외측」이라고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1)의 중앙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반경 방향」이라고 한다. 그리고, 반경 방향에 있어서, 통기 부재(1)의 중앙측을 「반경 방향 내측」이라고 하고, 중앙측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을 「반경 방향 외측」이라고 한다.
그리고, 통기 부재(1)는 설치면(101P)의 관통 구멍(101K)에 삽입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램프(100)에 있어서, 설치면(101P)은 대략 연직 방향을 따라 세워진 면이다. 따라서, 통기 부재(1)의 후술하는 단부 개구(111)는 대략 수평 방향을 향해 개구된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램프(100)에서는, 통기 부재(1)에 액체가 들어가기 어렵게 하거나, 통기 부재(1)에 침입한 액체가 유출되기 쉽게 하거나 하고 있다.
또한, 통기 부재(1)는 도 1에 도시하는 차량용 램프(100)에 한정되지 않고, 인버터, 컨버터, ECU(Electronic Control Unit), 전지 박스, 밀리미터파 레이더, 차량 탑재 카메라 등의 기기 하우징(101)에 장착할 수 있다. 즉, 통기 부재(1)는 온도 변화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 발생하는 차압의 해소가 요구되는 하우징에 설치된다.
〔통기 부재(1)의 구성·기능〕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1)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2의 (A)는 기기 하우징(101)에 설치된 상태의 통기 부재(1)를 도시한다. 도 2의 (B)는 통기 부재(1)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의 (C)는 도 2의 (A)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1)의 IIC-IIC 단면선에서의 사시 단면도이다. 즉, 도 2의 (C)는 통기 부재(1)를 축방향을 따라 절단하고, 반경 방향으로 본 통기 부재(1)의 단면이다.
도 2의 (B) 및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부재(1)(본체부의 일례)는 지지체(10)와, 지지체(10)에 지지되는 통기막(20)(통기막부의 일례)과, 지지체(10)와 기기 하우징(101) 사이에 마련되는 밀봉 부재(30)(밀봉부의 일례)를 갖고 있다.
[지지체(10)]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10)는 축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외측 단부(11)와, 축방향 내측에 마련되는 통기막 보유 지지부(12)와, 기기 하우징(101) 내외의 기체의 경로를 형성하는 통기 경로(13)와, 축방향 내측에 마련되는 밀봉 부재 보유 지지부(14)를 갖고 있다.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단부(11)는 기기 하우징(101)의 외측을 향하는 단부이다. 그리고, 외측 단부(11)는 외측 단부(11)의 반경 방향 내측에 마련되는 중앙 단부(110)와, 중앙 단부(110)의 반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단부 개구(111)와, 단부 개구(1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피접촉부(112)를 갖고 있다.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단부(110)는 대략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단부(110)의 외경은 후술하는 제3 통기 경로부(133)의 내경보다도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 단부(110)는 제3 통기 경로부(133)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 개구(111)는 복수(제1 실시 형태에서는 4개) 형성된다. 단부 개구(111)는 후술하는 제1 통기 경로부(131)의 축방향 외측의 종단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또한, 단부 개구(111)는 각각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단부 개구(111)는 외측 단부(11)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갖고 배열된다.
그리고,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 개구(111)는 기기 하우징(101)의 설치면(101P)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접촉부(112)(포위부의 일례)는,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 단부(110)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피접촉부(112)는 복수의 단부 개구(111)의 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피접촉부(11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축방향에 있어서의 돌출 높이가 균일하게 형성된 개소이다. 즉, 피접촉부(112)는 외측 단부(11)에 있어서 대략 원환형으로 형성된 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피접촉부(112)는 후술하는 시일성 검사를 행하는 경우에, 검사 지그가 접촉하는 개소를 형성한다.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막 보유 지지부(12)는 하우징 내(104)에 대향하여 마련된다. 또한, 통기막 보유 지지부(12)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통기막 보유 지지부(12)는 통기막(20)을 설치하는 개소를 형성한다.
통기 경로(13)는 축방향 외측으로부터 축방향 내측을 향해, 제1 통기 경로부(131), 제2 통기 경로부(132) 및 제3 통기 경로부(133)를 갖는다.
제1 통기 경로부(131)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통기 경로부(131)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체의 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제1 통기 경로부(131)는 축방향 외측에서 단부 개구(111)에 접속한다. 제2 통기 경로부(132)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체의 경로를 형성한다. 제3 통기 경로부(133)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3 통기 경로부(133)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체의 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제3 통기 경로부(133)는 축방향 내측에서 통기막(20)과 대향한다.
그리고,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부재(1)에서는, 통기막(20)에 대향하는 제3 통기 경로부(133)의 내경보다도 외경이 큰 중앙 단부(11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통기 부재(1)는 통기 경로(13)가 축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에 의해, 통기 부재(1)에서는, 단부 개구(111)를 통해 통기 부재(1)의 내부를 들여다 본 경우라도, 통기막(20)이 보이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통기 부재(1)에서는, 예를 들어 비산물 등이 단부 개구(111)에 날아든 경우라도, 비산물 등이 통기막(20)에 바로 충돌하지 않도록 하여, 통기막(20)의 손상을 억제하고 있다.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 부재 보유 지지부(14)는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오목한 환형의 홈이다. 그리고, 밀봉 부재 보유 지지부(14)는 밀봉 부재(30)가 끼워 넣어지는 부분을 형성한다. 밀봉 부재 보유 지지부(14)는 지지체(10)에 축방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밀봉 부재(30)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지지체(10)는 사출 성형, 압축 성형, 절삭 등의 일반적인 성형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10)의 재료로는, 지지체(10) 자체의 성형성이나, 통기막(20)을 용착에 의해 설치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는 관점에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지지체(10)의 재료로는, PA(나일론),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PS(폴리페닐렌술피드), PB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C(폴리카르보네이트), PPE(폴리페닐렌에테르), 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10)의 재료로는, 금속이나, NBR(니트릴 고무), EPDM(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수소화 니트릴 고무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통기막(20)]
통기막(20)은 원반형으로 형성되는 부재이다. 통기막(20)은 기체의 투과를 허용하고, 액체의 투과를 저지하는 구멍이 복수 형성된 막이다. 통기막(20)이 침입을 저지하는 액체로서는, 물, 염수, 오수, 세정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통기막(20)은 지지체(10)가 상술한 통기막 보유 지지부(12)에 고정된다. 또한, 통기막(20)의 고정에는 지지체(10)가 열가소성 수지인 경우에는, 아이론 용착, 초음파 용착, 레이저 용착 등 열 용착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통기막(20)은 통기막(20)을, 예를 들어 금형에 설치하고, 지지체(10)를 구성하는 수지를 흘리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고정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의 통기막(20)은 수지 다공질막에 보강층을 적층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수지 다공질막의 재료로는, 공지의 연신법, 추출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불소 수지 다공체나 폴리올레핀 다공체를 사용할 수 있다. 불소 수지로서는,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을 구성하는 모노머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4-메틸펜텐-1,1부텐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들의 모노머를 단체로 중합하거나, 또는 공중합하여 얻은 폴리올레핀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지 다공질막의 재료로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일론, 폴리락트산을 사용한 나노파이버 필름 다공체 등을 사용해도 된다. 특히, 재료로는, 소면적으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고, 하우징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저지하는 기능이 높은 PTFE 다공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다공질막에는, 기기 하우징(101)의 용도에 따라 발액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통기막(20)에는 발유 처리를 실시하고 있다. 발액 처리는, 예를 들어 불소로 포화한 탄화수소기(퍼플루오로알킬기)를 측쇄에 포함하고, 주쇄가 아크릴계, 메타크릴계, 실리콘계 등인 화합물을 성분으로 하는 발액제를 통기막(20)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통기막(20)의 표면에 발액제를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그라비아 도포 시공, 스프레이 도포 시공, 키스 코팅, 침지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발유 처리로서는,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발유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형성 방법으로서는, 에어 스프레이법, 정전 스프레이법, 딥 코트법, 스핀 코트법, 롤 코트법, 커튼 플로우 코트법, 함침법 등에 의한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고분자의 용액 혹은 디스퍼젼의 코팅이나, 전착 도장법이나 플라스마 중합법에 의한 피막 형성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발유 처리는 통기막(20)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체(10)에 대하여 행해도 된다.
또한, 통기막(20)은 기체의 투과를 허용하고, 액체의 투과를 저지하는 것이라면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기막(20)에는, 예를 들어 수지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직포, 부직포, 메쉬, 네트, 스펀지, 다공체 등, 각종 재료나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밀봉 부재(30)]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 부재(30)는 반경 방향 내측에 개구부(31)를 갖는 대략 환형의 탄성 부재이다. 그리고,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 부재(30)는 지지체(10)의 반경 방향 외측이며 기기 하우징(101)의 관통 구멍(101K)의 반경 방향 내측에 마련되고, 기기 하우징(101)과 지지체(10) 사이를 밀봉한다.
또한,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 부재(30)는 반경 방향 내측에 지지 부재 대향부(32)와, 반경 방향 외측에 하우징 대향부(33)를 갖고 있다.
지지 부재 대향부(32)는 밀봉 부재 보유 지지부(14)에 끼워 넣어지는 형상을 한 부분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지지 부재 대향부(32)는 지지체(10)와 함께, 기체가 흐르는 경로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 대향부(33)는 단면이 U자형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그리고, 하우징 대향부(33)는 관통 구멍(101K)을 축방향 외측, 측부 및 축방향 내측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하여, 기기 하우징(101)에 접속한다. 이에 의해, 밀봉 부재(30)가, 기기 하우징(101)에 대하여 벗어나기 어렵게 하고 있다.
그리고, 밀봉 부재(30)의 재료로는, 실리콘 고무, NBR(니트릴 고무), EPDM(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수소화니트릴 고무 등의 엘라스토머류, 발포체 또는 점착층이 구비된 발포체 등의 각종 탄성체를 사용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1)의 각 구성부의 크기나 위치의 관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방향에 있어서의 지지체(10)의 폭은 지지체 폭 10H라 한다. 또한, 축방향에 있어서의 통기막(20)의 폭은 통기막 폭 20H라고 한다. 또한, 축방향에 있어서의 밀봉 부재(30)의 폭은 밀봉 부재 폭 30H라고 한다.
그리고,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체 폭 10H와 밀봉 부재 폭 30H는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통기막 폭 20H는 지지체 폭 10H 및 밀봉 부재 폭 30H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의 (C)에 통기 부재(1)의 단면에 있어서, 지지체(10)가 축방향으로 차지하는 영역은, 지지체 폭 영역(10L)이라고 한다. 또한, 밀봉 부재(30)가 축방향으로 차지하는 영역은, 밀봉 부재 폭 영역(30L)이라고 한다.
그리고,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통기막(20)은 축방향에 있어서, 지지체 폭 영역(10L)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통기막(20)은 축방향에 있어서, 밀봉 부재 폭 영역(30L)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막(20)의 외경(외형)(20D)은 밀봉 부재(30)의 개구부(31)의 내경(30D)(내형)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통기 부재(1)에 있어서, 통기막(20)은 축방향 및 반경 방향에 있어서, 밀봉 부재(30)의 개구부(31)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통기 부재(1)에서는, 반경 방향에 있어서 지지체(10), 통기막(20) 및 밀봉 부재(30)가 배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통기 부재(1)에서는, 지지체(10), 통기막(20) 및 밀봉 부재(30)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 폭 영역(101L)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통기 부재(1)는 기기 하우징(10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기기 하우징(101)에 매립되도록 배치된다. 즉, 통기 부재(1)가 기기 하우징(101)의 축방향으로 차지하는 치수가 작게 되어 있다.
또한, 통기 부재(1) 단체로 해도, 박형화가 도모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체(10)에서는, 통기막(20)이나 밀봉 부재(30)가 지지체(10)의 중심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만큼, 그 통기막(20)을 보유 지지하거나 밀봉 부재(30)를 지지하거나 하기 위해 축방향을 따라 길게 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지지체(10)의 두께, 즉 통기 부재(1) 전체적인 두께는 커진다.
이에 비해, 통기 부재(1)에서는, 통기막(20)은 밀봉 부재 폭 영역(30L)의 범위 내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통기 부재(1)는 축방향에 있어서의 두께가 얇아진다. 또한, 밀봉 부재(30)는 지지체 폭 영역(10L)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통기 부재(1)는 전체적인 박형화가 더욱 도모된다.
또한,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부재(1)에 있어서, 단부 개구(111)는 기기 하우징(101)의 설치면(101P)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교차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단부 개구(111)를 설치면(101P)을 따른 방향을 향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축방향 외측에서 기체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구조부가 불필요해진다. 이것에 의해서도, 통기 부재(1)에서는, 통기 부재(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박형화가 도모된다.
이어서,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1)의 시일성 검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1)의 시일성 검사의 설명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1)의 통기 경로를 지그에 의해 막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기 하우징(101)의 관통 구멍(101K)에 통기 부재(1)를 설치한 상태(도 1 참조)에서, 밀봉 부재(30)가 지지체(10)와 기기 하우징(101) 사이를 밀봉하고 있는지 여부의 시일성 검사를 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통기 부재(1) 자체는 기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통기 부재(1)의 통기 경로(13)를 막은 후, 밀봉 부재(30)의 시일성 검사를 행할 필요가 있다. 이하, 시일성 검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밀봉 부재(30)를 사이에 개재시키고, 기기 하우징(101)의 관통 구멍(101K)에 통기막(20)이 마련된 지지체(10)를 장착하는 장착 스텝을 행한다(S101). 그 후, 밀봉 부재(30)보다도 경도가 작고, 통기 경로(13)를 통한 기체의 흐름을 저지하는 지그를 지지체(10)에 설치하는 설치 스텝을 행한다(S102).
구체적으로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탄성 지그(91)를 사용하여, 통기 경로(13)를 막는다. 탄성 지그(91)는 원기둥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탄성 지그(91)의 외경은 피접촉부(112)의 외경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탄성 지그(91)를 피접촉부(112)에 밀어붙인다. 이에 의해, 탄성 지그(91)가 단부 개구(111)를 외측으로부터 덮음으로써, 통기 경로(13)를 통한 기체의 흐름이 저지된다. 여기서, 통기 부재(1)에 있어서, 피접촉부(1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높이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피접촉부(112)에는, 예를 들어 복수 부재의 접합 개소나, 부분적인 돌기나 오목부 등, 탄성 지그(91)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요철이 없다. 따라서, 통기 부재(1)는 탄성 지그(91)에 의해 통기 경로(13)를 용이하게 막을 수 있다.
그 후, 하우징 내(104)(도 1 참조)에 소정의 기체를 충전시키는 충전 스텝(S103)을 행한다. 이에 의해, 기기 하우징(101) 내의 기압이 높아지면, 밀봉 부재(30)의 시일성이 있는 것이 확인된다. 한편, 하우징 내(104)의 기압이 높아지지 않으면, 밀봉 부재(30)의 시일성이 불충분한 것이 확인된다.
또한, 도 4의 (A)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탄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지그를 피접촉부(112)에 접촉시키고 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성을 갖는 필름 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부착 지그(92)를 사용하여 시일성 검사를 행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대략 원 형상의 부착 지그(92)를, 피접촉부(112)에 부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기 부재(1)에서는, 피접촉부(112)의 높이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부착 지그(92)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요철이 없다. 따라서, 통기 부재(1)는 부착 지그(92)에 의해서도 통기 경로(13)를 용이하게 막을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부 개구(111)는 기기 하우징(101)의 설치면(101P)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교차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피접촉부(112)에 탄성 지그(91)를 밀어붙일 때나, 피접촉부(112)에 부착 지그(92)를 붙일 때 등, 작업을 행할 때의 작업성이 높게 되어 있다.
<변형예 1>
도 5는 변형예 1의 통기 부재(1)의 설명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예 1의 통기 부재(1)의 기본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1)와 마찬가지이다. 단, 변형예 1의 통기 부재(1)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피접촉부(112) 대신에, 제2 피접촉부(112h)를 갖는 것이다.
제2 피접촉부(112h)(포위부의 일례)는 축방향에 있어서의 돌출 높이가, 중앙 단부(110) 및 단부 개구(111)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피접촉부(112h)는 축방향에 있어서의 돌출 높이가, 밀봉 부재(30)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즉, 통기 부재(1)에 있어서, 제2 피접촉부(112h)는 축방향 외측을 향해 가장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2 피접촉부(112h)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높이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피접촉부(112h)는 복수의 단부 개구(111)의 주위를 둘러싼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변형예 1의 통기 부재(1)에 있어서, 상술한 밀봉 부재(30)의 시일성 검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탄성 지그(91)(도 4 참조)를 제2 피접촉부(112h)에 접촉시킨다. 이때, 통기 부재(1)에서는, 제2 피접촉부(112h)가 축방향에 있어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지그(91)가, 예를 들어 중앙 단부(110) 등의 다른 개소의 간섭을 받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변형예 1의 통기 부재(1)에서는, 시일성 검사에 있어서, 통기 경로(13)를 용이하게 막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내용은 부착 지그(92)를 사용하여 검사를 행할 때에도 마찬가지이고, 통기 경로(13)를 용이하게 막을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제2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통기 부재(20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201)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6의 (A)는 기기 하우징(101)에 설치된 상태의 통기 부재(20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의 (B)는 도 6의 (A)에 도시하는 VIB-VIB 절단선에서의 사시 단면도이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의 (A) 및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부재(201)는 지지체(40)(본체부의 일례)와, 지지체(40)에 지지되는 통기막(20)과, 지지체(40)와 기기 하우징(101) 사이에 마련되는 밀봉 부재(50)(밀봉부의 일례)를 갖고 있다.
[지지체(40)]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40)는 제1 지지부(40A)와, 제2 지지부(40B)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40A)는 축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외측 단부(41)와, 축방향 내측에 마련되는 통기막 보유 지지부(42)와, 반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접속부(43)를 갖고 있다. 또한, 제2 지지부(40B)는,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단부(44)와, 중앙 단부(44)의 반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다리부(45)를 갖고 있다. 그리고,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40)에서는 제1 지지부(40A)와 제2 지지부(40B)에 의해 통기 경로(46)를 형성한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단부(41)는 기기 하우징(101)의 외측을 향하는 단부이다. 그리고, 외측 단부(41)는 반경 방향 내측에 마련되는 수용부(411)와, 수용부(4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피접촉부(412)를 갖고 있다.
수용부(411)는 제2 지지부(40B)가 내측에 삽입되는 부분을 형성한다. 그리고, 통기 부재(201)에서는, 제1 지지부(40A)와 제2 지지부(40B)에 의해 단부 개구(411H)를 형성한다. 단부 개구(411H)는 복수(제2 실시 형태에서는 4개) 형성된다. 단부 개구(411H)는 후술하는 제1 통기 경로부(461)의 축방향 외측의 종단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또한, 단부 개구(411H)는 각각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단부 개구(411H)는 외측 단부(41)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갖고 배열되어 마련된다. 그리고, 단부 개구(411H)는 기기 하우징(101)의 설치면(101P)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접촉부(412)(포위부의 일례)는,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 단부(44)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피접촉부(412)는 복수의 단부 개구(411H)의 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피접촉부(412)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축방향에 있어서의 돌출 높이가 균일하게 형성된 개소이다. 즉, 피접촉부(412)는 외측 단부(41)에 있어서 대략 원환형으로 형성된 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피접촉부(412)는 상술한 시일성 검사를 행하는 경우에, 검사 지그가 접촉하는 개소를 형성한다.
통기막 보유 지지부(42)는 하우징 내(104)에 대향하여 마련된다. 또한, 통기막 보유 지지부(42)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통기막 보유 지지부(42)는 통기막(20)을 설치하는 개소를 형성한다.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43)(저감부의 일례)는 밀봉 부재 보유 지지부(431)와, 밀봉 부재 보유 지지부(431)의 축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하우징 접속부(432)를 갖는다.
밀봉 부재 보유 지지부(431)는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오목한 환형의 홈에 형성된다. 그리고, 밀봉 부재 보유 지지부(431)는 밀봉 부재(50)가 끼워 넣어지는 부분을 형성한다.
하우징 접속부(432)는 축방향 내측을 향하는 면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 접속부(432)는 지지체(40)를 축방향 외측으로부터 축방향 내측을 향해 누른 경우에, 기기 하우징(101)에 걸리는 부분을 형성한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단부(44)는 대략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단부(44)의 외경은 후술하는 제3 통기 경로부(463)의 내경보다도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 단부(44)는 제3 통기 경로부(463)에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45)는 중앙 단부(44)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됨과 함께, 축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45)는 중앙 단부(44)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갖고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하고 있다.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경로(46)는 축방향 외측으로부터 축방향 내측을 향해, 제1 통기 경로부(461), 제2 통기 경로부(462) 및 제3 통기 경로부(463)를 갖는다.
제1 통기 경로부(461)는 수용부(411)와, 중앙 단부(44) 및 다리부(45)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통기 경로부(461)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체의 경로를 형성한다.
제2 통기 경로부(462)는 수용부(411)와, 중앙 단부(44) 및 다리부(45)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통기 경로부(462)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체의 경로를 형성한다.
제3 통기 경로부(463)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3 통기 경로부(463)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체의 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제3 통기 경로부(463)는 축방향 내측에서 통기막(20)에 대향한다.
그리고, 통기 부재(201)에서는, 통기막(20)에 대향하는 제3 통기 경로부(463)의 내경보다도 외경이 큰 중앙 단부(44)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통기 부재(201)는 통기 경로(46)가 축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에 의해, 통기 부재(201)에서는 단부 개구(411H)를 통해 통기 부재(201)의 내부를 들여다 본 경우라도, 통기막(20)이 보이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지지체(40)는 제1 실시 형태의 지지체(10)와 동일한 재료나 성형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밀봉 부재(50)]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 부재(50)는 반경 방향 내측에 개구부(51)를 갖는 대략 환형의 탄성 부재이다. 또한, 밀봉 부재(50)를 축방향을 따라 절단한 경우의 단면 형상은 대략 원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밀봉 부재(50)는 지지체(40)의 반경 방향 외측이며 기기 하우징(101)의 관통 구멍(101K)의 반경 방향 내측에 마련되어, 기기 하우징(101)과 지지체(40) 사이를 밀봉한다. 특히, 밀봉 부재(50)는 기기 하우징(101)의 관통 구멍(101K)의 내면 P1과 지지체(40)의 반경 방향 외측의 외면 P2에 각각 접촉하고, 반경 방향으로 압축 변형되어 기기 하우징(101)과 지지체(40)를 밀봉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밀봉 부재(50)에는 제1 실시 형태의 밀봉 부재(30)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통기 부재(201)에 있어서, 피접촉부(4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높이가 균일하게 형성되고, 예를 들어 탄성 지그(91)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요철이 없다. 따라서, 통기 부재(201)는 상술한 시일성 검사에 있어서, 탄성 지그(91) 등에 의해 통기 경로(46)를 용이하게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부재(201)에서는 접속부(43)(저감부의 일례)가, 시일성 검사에 있어서 통기 경로(46)를 막을 때에 밀봉 부재(50)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시킨다.
즉, 밀봉 부재(50)는 밀봉 부재 보유 지지부(431)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밀봉 부재(50)는 축방향에 있어서, 지지체(40)와 기기 하우징(101) 사이에 끼워지지 않는 위치 관계에 있다. 또한, 지지체(40)는 하우징 접속부(432)에서 기기 하우징(101)에 걸려 있다. 이에 의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축방향 외측으로부터 축방향 내측으로 탄성 지그(91)에 의해 지지체(40)를 압박하여 통기 경로(46)를 막을 때에, 밀봉 부재(50)가 변형되기 어렵다.
여기서, 밀봉 부재(50)의 시일성을 검사하는 데 있어서, 밀봉 부재(50) 자체를 변형시켜 버리면, 검사를 행하지 않을 때의 밀봉 부재(50)의 통상의 사용 조건과 상이해져 버린다. 이에 대해, 통기 부재(201)에서는, 밀봉 부재(50)의 시일성 검사를, 통상의 사용 조건과 동일한 조건에서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밀봉 부재(50)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시킨다는 관점에서는, 밀봉 부재 보유 지지부(431) 및 하우징 접속부(432) 중 어느 한쪽이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계속해서, 통기 부재(201)의 각 구성부의 크기나 위치의 관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방향에 있어서의 지지체(40)[제1 지지부(40A)]의 폭은 지지체 폭 40H라고 한다. 또한, 축방향에 있어서의 통기막(20)의 폭은 통기막 폭 20H라고 한다. 또한, 축방향에 있어서의 밀봉 부재(50)의 폭은 밀봉 부재 폭 50H라고 한다.
그리고,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밀봉 부재 폭 50H는 지지체 폭 40H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기막 폭 20H는 지지체 폭 40H 및 밀봉 부재 폭 50H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의 (B)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201)의 단면에 있어서, 지지체(40)[제1 지지부(40A)]가 축방향으로 차지하는 영역은 지지체 폭 영역(40L)이라고 한다. 또한, 밀봉 부재(50)가 축방향으로 차지하는 영역은 밀봉 부재 폭 영역(50L)이라고 한다.
그리고, 밀봉 부재(50)는 축방향에 있어서, 지지체 폭 영역(40L)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밀봉 부재(50)는 축방향에 있어서, 하우징 폭 영역(101L)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통기막(20)의 외경 20D(외형)는 밀봉 부재(50)의 개구부(51)의 내경 50D(내형)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통기 부재(201)에 있어서, 통기막(20)은 반경 방향에 있어서, 밀봉 부재(50)의 개구부(51)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통기 부재(201)에서는, 반경 방향에 있어서 지지체(40), 통기막(20) 및 밀봉 부재(50)가 배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통기 부재(201)는 지지체(40) 및 밀봉 부재(50)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 폭 영역(101L)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통기 부재(201)는 기기 하우징(10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기기 하우징(101)에 매립되도록 배치된다. 즉, 통기 부재(201)가 기기 하우징(101)의 축방향으로 차지하는 치수가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통기 부재(201)에서는, 밀봉 부재(50)는 지지체 폭 영역(40L)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밀봉 부재(50)는 모두가 기기 하우징(101)의 관통 구멍(101K)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통기 부재(201)는 통기 부재(201) 전체적인 박형화가 도모된다.
또한, 통기 부재(201)에 있어서, 단부 개구(411H)는 기기 하우징(101)의 설치면(101P)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도, 통기 부재(201)에서는, 통기 부재(20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박형화가 도모된다.
<변형예 2의 통기 부재(201)>
도 7은 변형예 2의 통기 부재(201)의 사시 단면도이다.
변형예 2의 통기 부재(201)는 지지체(40)와, 밀봉 부재(50) 및 통기막(20)을 갖고 있다. 변형예 2의 통기 부재(201)의 기본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201)와 마찬가지이다. 단, 변형예 2의 통기 부재(201)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2개의 부재였던 제1 지지부(40A)와 제2 지지부(40B)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지지체(40)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변형예 2의 통기 부재(201)는 통기막(20), 지지체(40) 및 밀봉 부재(50)가 반경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축방향에 있어서의 두께가 얇게 되어 있다. 특히, 밀봉 부재(50)는 지지체(40)의 지지체 폭 영역(40L)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통기 부재(201) 전체적으로도 박형화가 도모된다.
그리고, 변형예 2의 통기 부재(201)에서는, 시일성 검사에 있어서,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201)와 마찬가지로, 통기 경로(46)를 용이하게 막을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이어서, 제3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통기 부재(30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제3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301)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8의 (A)는 통기 부재(301)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8의 (B)는 통기 부재(30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의 (C)는 도 8의 (A)에 도시하는 VIIIB-VIIIB 절단선에서의 사시 단면도이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다른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의 (A) 및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부재(301)는 지지체(60)(본체부의 일례)와, 지지체(60)에 지지되는 통기막(20)과, 지지체(60)와 기기 하우징(101) 사이에 마련되는 밀봉 부재(70)(밀봉부의 일례)를 갖고 있다.
[지지체(60)]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60)는 제1 지지부(60A)와, 제2 지지부(60B)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60A)는 축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외측 단부(61)와, 축방향 내측에 마련되는 통기막 보유 지지부(62)와, 반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대향부(63)를 갖고 있다. 그리고, 지지체(60)에서는, 제1 지지부(60A)와 제2 지지부(60B)에 의해 통기 경로(64)를 형성한다.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단부(61)는 기기 하우징(101)의 외측을 향하는 단부이다. 그리고, 외측 단부(61)는 반경 방향 내측에 마련되는 수용부(611)와, 수용부(6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경로 형성부(612)와, 경로 형성부(612)의 반경 방향 외측에 마련되는 피접촉부(613)를 갖고 있다.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611)는 제2 지지부(60B)가 내측에 삽입되는 부분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부재(301)에서는 제1 지지부(60A)와 제2 지지부(60B)에 의해 단부 개구(611H)를 형성한다. 단부 개구(611H)는 복수(제3 실시 형태에서는 4개) 형성된다.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 개구(611H)는 통기 경로(64)의 축방향 외측의 종단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또한,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 개구(611H)는 각각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단부 개구(611H)는 외측 단부(61)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갖고 배열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 개구(611H)는 기기 하우징(101)의 설치면(101P)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로 형성부(612)는 제1 경로 형성부(612a)와, 제1 경로 형성부(612a)의 축방향 내측에 마련되는 제2 경로 형성부(612b)를 갖고 있다. 제1 경로 형성부(612a)는 수용부(611)보다도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2 경로 형성부(612b)는 수용부(611)보다도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접촉부(613)는,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지지부(60B)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피접촉부(613)는 복수의 단부 개구(611H)의 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피접촉부(613)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축방향에 있어서의 돌출 높이가 균일하게 형성된 개소이다. 즉, 피접촉부(613)는 외측 단부(61)에 있어서 대략 원환형으로 형성된 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피접촉부(613)는 상술한 시일성 검사를 행하는 경우에, 검사 지그가 접촉하는 개소를 형성한다.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막 보유 지지부(62)는 하우징 내(104)에 대향하여 마련된다. 또한, 통기막 보유 지지부(62)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통기막 보유 지지부(62)는 통기막(20)을 설치하는 개소를 형성한다.
대향부(63)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대향부(63)는 밀봉 부재(70)가 끼워지는 부분을 형성한다.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지지부(60B)는 대략 원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지지부(60B)의 외경은, 후술하는 제2 통기 경로부(642)의 내경보다도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지지부(60B)는 제2 통기 경로부(642)의 축방향 외측에서 제2 통기 경로부(642)와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경로(64)는 축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제1 통기 경로부(641)와, 제1 통기 경로부(641)의 축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제2 통기 경로부(642)와, 제2 통기 경로부(642)의 축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제3 통기 경로부(643)를 갖는다.
제1 통기 경로부(641)는 제2 지지부(60B)와 제1 경로 형성부(612a)[도 8의 (B) 참조]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통기 경로부(641)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체의 경로를 형성한다.
제2 통기 경로부(642)는 제2 지지부(60B)와 제2 경로 형성부(612b)[도 8의 (B) 참조]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통기 경로부(642)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체의 경로를 형성한다.
제3 통기 경로부(643)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3 통기 경로부(643)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체의 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제3 통기 경로부(643)는 축방향 내측에서 통기막(20)에 대향한다.
그리고,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부재(301)에서는, 통기막(20)에 대향하는 제3 통기 경로부(643)의 내경보다도 외경이 큰 제2 지지부(60B)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통기 부재(301)는 통기 경로(64)가 축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에 의해, 통기 부재(301)에서는 단부 개구(611H)를 통해 통기 부재(301)의 내부를 들여다 본 경우라도, 통기막(20)이 보이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지지체(60)는 제1 실시 형태의 지지체(10)와 동일한 재료나 성형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밀봉 부재(70)]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 부재(70)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밀봉 부재(30)와 마찬가지이다. 밀봉 부재(70)는 반경 방향 내측에 개구부(71)를 갖고 있다. 그리고,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 부재(70)는 개구부(71)의 내면이 평탄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밀봉 부재(70)는 측면이 평탄한 원통형인 지지체(60)의 대향부(63)에 압입된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밀봉 부재(70)에는 제1 실시 형태의 밀봉 부재(30)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통기 부재(301)는 피접촉부(6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높이가 균일하게 형성되고, 예를 들어 탄성 지그(91)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요철이 없다. 따라서, 통기 부재(301)는 상술한 시일성 검사에 있어서, 탄성 지그(91)나 부착 지그(92) 등에 의해 통기 경로(64)를 용이하게 막을 수 있다.
계속해서, 통기 부재(301)의 각 구성부의 크기나 위치의 관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방향에 있어서의 지지체(60)[제1 지지부(60A)]의 폭은 지지체 폭 60H라고 한다. 또한, 축방향에 있어서의 통기막(20)의 폭은 통기막 폭 20H라고 한다. 또한, 축방향에 있어서의 밀봉 부재(70)의 폭은 밀봉 부재 폭 70H라고 한다.
그리고, 밀봉 부재 폭 70H는 지지체 폭 60H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기막 폭 20H는 지지체 폭 60H 및 밀봉 부재 폭 70H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301)의 단면에 있어서, 지지체(60)[제1 지지부(60A)]가 축방향으로 차지하는 영역은 지지체 폭 영역(60L)이라고 한다. 또한, 밀봉 부재(70)가 축방향으로 차지하는 영역은 밀봉 부재 폭 영역(70L)이라고 한다.
그리고, 통기막(20)은 축방향에 있어서, 지지체 폭 영역(60L)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통기막(20)은 축방향에 있어서, 밀봉 부재 폭 영역(70L)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밀봉 부재 폭 영역(70L)은 지지체 폭 영역(60L)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막(20)의 외경 20D는 밀봉 부재(70)의 개구부(71)의 내경 70D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통기 부재(301)에 있어서, 통기막(20)은 반경 방향 및 축방향에 있어서, 밀봉 부재(70)의 개구부(71)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통기 부재(301)에서는 반경 방향에 있어서 지지체(60), 통기막(20) 및 밀봉 부재(70)가 배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통기 부재(301)에서는, 지지체(60), 통기막(20) 및 밀봉 부재(70)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 폭 영역(101L)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통기 부재(301)는 기기 하우징(10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매립되도록 배치된다. 즉, 통기 부재(301)가 기기 하우징(101)의 축방향으로 차지하는 치수는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통기 부재(301)에서는, 통기막(20)은 밀봉 부재 폭 영역(70L)의 범위 내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통기 부재(301)는 축방향에 있어서의 두께가 얇아진다. 또한, 밀봉 부재(70)는 지지체 폭 영역(60L)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통기 부재(301)는 전체적인 박형화가 더욱 도모되어 있다.
또한, 통기 부재(301)에 있어서, 단부 개구(611H)는 기기 하우징(101)의 설치면(101P)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도, 통기 부재(301)에서는 통기 부재(30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박형화가 도모된다.
<제4 실시 형태>
이어서, 제4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통기 부재(40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제4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401)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9의 (A)는 통기 부재(401)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9의 (B)는 도 9의 (A)에 도시하는 IXB-IXB 절단선에서의 사시 단면도이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다른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통기 부재(401)는 지지체(80)(본체부의 일례)와, 지지체(80)에 지지되는 통기막(20)과, 지지체(80)와 기기 하우징(101) 사이에 마련되는 밀봉 부재(50)를 갖고 있다.
[지지체(80)]
지지체(80)는 축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개구 형성부(81)와, 개구 형성부(81)의 축방향 내측에 마련되는 플랜지부(82)와, 플랜지부(82)의 축방향 내측에 마련되는 원통부(83)와, 통기 경로(84)를 갖고 있다.
개구 형성부(81)는 외측 단부(811)와, 외주부(812)를 갖는다. 외측 단부(811)는 대략 원반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외주부(812)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외주부(812)에는 복수(제4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단부 개구(812H)가 형성된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 개구(812H)는 기기 하우징(101)의 설치면(101P)을 따른 방향(반경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또한, 외주부(812)는 단부 개구(812H)가 형성되는 개소를 제외하고, 주위 방향에 있어서 요철이 형성되지 않고,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길이)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82)는 반경 방향에 있어서 개구 형성부(81)보다도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82)는 축방향 외측을 향하는 외측면(821)과, 축방향 내측을 향하는 내측면(822)을 갖고 있다.
외측면(821)은 단부 개구(812H)의 반경 방향 외측에 마련된다. 그리고, 플랜지부(82)는 복수의 단부 개구(812H)의 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플랜지부(82)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축방향에 있어서의 돌출 높이가 균일하게 형성된 개소이다. 즉, 플랜지부(82)는 대략 원환형으로 형성된 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플랜지부(82)는 상술한 시일성 검사를 행하는 경우에, 검사 지그가 접촉하는 개소를 형성한다.
내측면(822)은 지지체(80)를 축방향 외측으로부터 축방향 내측을 향해 누른 경우에, 기기 하우징(101)에 걸리는 부분을 형성한다.
원통부(83)는 밀봉 부재 보유 지지부(831)와, 통기막 보유 지지부(832)를 갖는다.
밀봉 부재 보유 지지부(831)는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오목한 환형의 홈에 형성된다. 그리고, 밀봉 부재 보유 지지부(831)는 밀봉 부재(50)가 끼워 넣어지는 부분을 형성한다.
통기막 보유 지지부(832)는 후술하는 제2 통기 경로부(842)의 내경보다도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통기막 보유 지지부(832)는 제2 통기 경로부(842)와의 내경의 차이에 의해 형성된 단차로 통기막(20)을 보유 지지한다.
통기 경로(84)는 축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제1 통기 경로부(841)와, 제1 통기 경로부(841)의 축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제2 통기 경로부(842)를 갖는다.
제1 통기 경로부(841)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체의 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제1 통기 경로부(841)는 반경 방향 외측에서 단부 개구(812H)에 접속한다. 제2 통기 경로부(842)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체의 경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부재(401)에서는, 통기막(20)에 대향하는 제2 통기 경로부(842)의 내경보다도 외경이 큰 외측 단부(811)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통기 부재(401)는 통기 경로(84)가 축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에 의해, 통기 부재(401)에서는, 단부 개구(812H)를 통해 통기 부재(401)의 내부를 들여다 본 경우라도, 통기막(20)이 보이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의 지지체(80)는 제1 실시 형태의 지지체(10)와 동일한 재료나 성형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계속해서, 통기 부재(401)의 각 구성부의 크기나 위치의 관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방향에 있어서의 지지체(80)의 폭은 지지체 폭 80H라고 한다. 또한, 축방향에 있어서의 통기막(20)의 폭은 통기막 폭 20H라고 한다. 또한, 축방향에 있어서의 밀봉 부재(50)의 폭은 밀봉 부재 폭 50H라고 한다.
그리고, 밀봉 부재 폭 50H는 지지체 폭 80H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기막 폭 20H는 지지체 폭 80H 및 밀봉 부재 폭 50H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의 (B)에 도시하는 통기 부재(401)의 단면에 있어서, 지지체(80)가 축방향으로 차지하는 영역은 지지체 폭 영역(80L)이라고 한다. 또한, 밀봉 부재(50)가 축방향으로 차지하는 영역은 밀봉 부재 폭 영역(50L)이라고 한다.
그리고, 통기막(20)은 축방향에 있어서, 밀봉 부재 폭 영역(50L)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어서,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막(20)의 외경(20D)은 밀봉 부재(50)의 개구부(51)의 내경(50D)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통기 부재(401)에 있어서, 통기막(20)은 축방향 및 반경 방향에 있어서, 밀봉 부재(50)의 개구부(51)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통기 부재(401)에서는 반경 방향에 있어서 지지체(80), 통기막(20) 및 밀봉 부재(50)가 배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통기 부재(401)에서는 지지체(80), 통기막(20) 및 밀봉 부재(50)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 폭 영역(101L)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통기 부재(401)는 기기 하우징(10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매립되도록 배치된다. 즉, 통기 부재(401)가 기기 하우징(101)의 축방향으로 차지하는 치수는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통기 부재(401)에서는, 통기막(20)은 밀봉 부재 폭 영역(50L)의 범위 내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통기 부재(401)는 축방향에 있어서의 두께가 얇아진다. 또한, 밀봉 부재(50)는 지지체 폭 영역(80L)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밀봉 부재(50)는 전부가 기기 하우징(101)의 관통 구멍(101K)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통기 부재(401)는 통기 부재(401) 전체적인 박형화가 도모된다.
도 10은 제4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401)의 시일성 검사의 설명도이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 부재(401)의 시일성 검사에는 개구 형성부(81)를 덮음과 함께, 플랜지부(82)의 외측면(821)에 접촉 가능한 탄성 지그(93)를 사용한다. 그리고, 탄성 지그(93)를 통기 부재(401)에 밀어붙임으로써, 통기 부재(401)의 통기 경로(84)를 통한 기체의 흐름을 저지한다.
여기서, 통기 부재(401)의 외측면(82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높이가 균일하게 형성되고, 예를 들어 탄성 지그(93)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요철이 없다. 따라서, 통기 부재(401)는 상술한 시일성 검사에 있어서, 예를 들어 탄성 지그(93)에 의해 통기 경로(84)를 용이하게 막을 수 있다.
또한, 통기 부재(401)에서는, 밀봉 부재(50)는 밀봉 부재 보유 지지부(831)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밀봉 부재(50)는 축방향에 있어서, 지지체(80)와 기기 하우징(101) 사이에 끼워지지 않는 위치 관계에 있다. 또한, 지지체(80)는 플랜지부(82)의 내측면(822)에서 기기 하우징(101)에 걸려 있다. 이에 의해,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축방향 외측으로부터 축방향 내측으로 탄성 지그(93)에 의해 지지체(80)를 압박하여 통기 경로(84)를 막을 때에, 밀봉 부재(50)가 변형되기 어렵다.
또한, 밀봉 부재(50)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시킨다는 관점에서는, 밀봉 부재 보유 지지부(831) 및 플랜지부(82)의 어느 한쪽이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도 10의 (A)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탄성 지그(93)를 통기 부재(401)에 밀어붙여, 통기 경로(84)를 막도록 하고 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 형상의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환형 탄성 지그(94)를 사용하여, 통기 부재(401)의 시일성 검사를 행해도 된다.
여기서, 통기 부재(401)와 같이, 단부 개구(812H)가 기기 하우징(101)의 설치면(101P)을 따른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에, 통기 경로(84)를 막기 위해 통기 부재(401)에 가하는 힘의 방향은 반경 방향이 된다. 그 때문에, 시일성 검사 시에, 밀봉 부재(50)에 가해지는 부하가 저감되어, 통상의 사용 조건과 동일한 조건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사용 조건과 동일한 조건에서 시일성 검사를 행한다는 점에서는, 단부 개구(812H)가 기기 하우징(101)의 설치면(101P)을 따른 방향을 향하고 있는 구성을 채용한 경우, 통기 부재(401)에 플랜지부(82)를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통상의 사용 조건과 동일한 조건에서 시일성 검사를 행한다는 점에서는, 단부 개구(812H)가 기기 하우징(101)의 설치면(101P)을 따른 방향을 향하고 있는 구성을 채용한 경우, 밀봉 부재(50)가 축방향에 있어서 지지체(80)와 기기 하우징(101)의 설치면(101P) 사이에 끼워 넣어져 있는 형태여도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1)에 있어서, 피접촉부(112)는 요철이 형성되지 않는 등, 탄성 지그(91) 등에 의해 간극 없이 누를 수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유발 형상이나 원추형 등 반경 방향에 있어서 완만하게 경사져 있어도 된다. 이것은, 다른 실시 형태나 변형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축방향에 있어서, 통기막(20) 전부가 밀봉 부재(30)의 밀봉 부재 폭 영역(30L)의 범위 내에 들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축방향에 있어서, 통기막(20)의 적어도 일부라도 밀봉 부재 폭 영역(30L)의 내측에 들어 있음으로써, 통기 부재(1)의 축방향 두께가 얇아진다. 이것은, 다른 부재끼리의 관계나, 다른 실시 형태나 변형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1(201, 301, 401) : 통기 부재
10(40, 60, 80) : 지지체
13 : 통기 경로
20 : 통기막
30(50, 70) : 밀봉 부재
31 : 개구부
91 : 탄성 지그
100 : 차량용 램프
101K : 관통 구멍
101P : 설치면
111 : 단부 개구
112 : 피접촉부
201 : 통기 부재

Claims (9)

  1. 하우징의 관통 구멍에 설치되는 통기 부재이며,
    상기 하우징 내외의 기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통기 경로가 마련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부와,
    상기 통기 경로 상에 마련되어, 액체 및 고체의 통과를 저지함과 함께 기체가 투과하는 통기막부와,
    상기 본체부에 마련됨과 함께, 높이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통기 경로의 단부 개구를 둘러싸는 포위부
    를 구비하는 통기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위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단부 개구보다도 돌출되어 있는 통기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단부 개구를 막을 때에 상기 밀봉부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시키는 저감부를 갖고 있는 통기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개구는,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통기 부재의 설치면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는 통기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개구는,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통기 부재의 설치면을 따른 방향을 향해 개구되어 있는 통기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내측에 개구부를 갖고,
    상기 통기막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밀봉부의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통기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막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통기 부재의 설치면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밀봉부의 폭 영역의 범위 내에 배치되는 통기 부재.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통기 부재의 설치면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본체부의 폭 영역의 범위 내에 배치되는 통기 부재.
  9. 본체부에 형성되는 통기 경로 상에 마련되어 액체 및 고체의 통과를 저지함과 함께 기체가 투과하는 통기막부를 갖는 통기 부재의 검사 방법이며,
    밀봉부를 사이에 개재시키고 하우징의 관통 구멍에 상기 본체부를 장착하는 장착 스텝과,
    상기 밀봉부보다도 경도가 작고, 상기 통기 경로를 통한 기체의 흐름을 억제하는 지그를 상기 본체부에 설치하는 설치 스텝과,
    상기 하우징 내에 기체를 충전하는 충전 스텝
    을 구비하는 검사 방법.
KR1020197005522A 2016-08-30 2017-05-26 통기 부재 및 검사 방법 KR102418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68486 2016-08-30
JP2016168486A JP7034581B2 (ja) 2016-08-30 2016-08-30 通気部材
PCT/JP2017/019741 WO2018042782A1 (ja) 2016-08-30 2017-05-26 通気部材および検査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181A true KR20190045181A (ko) 2019-05-02
KR102418290B1 KR102418290B1 (ko) 2022-07-08

Family

ID=61300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522A KR102418290B1 (ko) 2016-08-30 2017-05-26 통기 부재 및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00699B2 (ko)
EP (1) EP3508776B1 (ko)
JP (1) JP7034581B2 (ko)
KR (1) KR102418290B1 (ko)
CN (1) CN109642710A (ko)
WO (1) WO20180427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11825A1 (de) * 2019-07-01 2021-01-07 Vitesco Technologies Germany Gmbh Vorrichtung zum Druckausgleich eines Gehäuses
DE102019215433A1 (de) * 2019-10-09 2021-04-1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Druckausgleichselement zur Dichtigkeitsprüfung eines Gehäuses
JP7286789B2 (ja) * 2019-11-07 2023-06-05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品
JP6762630B1 (ja) * 2020-01-08 2020-09-30 東和化学株式会社 通気防水構造体
US20230043612A1 (en) * 2020-01-14 2023-02-09 Nitto Denko Corporation Ventilation component
JP7272305B2 (ja) * 2020-03-19 2023-05-12 株式会社デンソー アクチュエータのブリーザ構造
DE102020112565A1 (de) 2020-05-08 2021-11-11 Hugo Benzing Gmbh & Co. Kg Druckentlastungsventil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1629A (ja) 2005-11-17 2007-06-07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
JP2011198615A (ja) * 2010-03-19 2011-10-06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40574B1 (ko) * 2013-10-28 2014-01-02 정인석 자동차 전자제어장치의 통기부재
EP2787277A1 (en) * 2011-11-28 2014-10-08 Nitto Denko Corporation Ventilation member
KR101440668B1 (ko) * 2008-04-04 2014-10-1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통기 부재
JP5969356B2 (ja) * 2012-11-05 2016-08-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密閉型電池の封止部材および密閉型電池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9992A (en) * 1990-12-20 1993-05-11 Exide Corporation Water by-passing, flame retardant battery vent plug
US5353949A (en) * 1992-09-21 1994-10-11 Pall Corporation Vent filter assembly
US5348570A (en) * 1993-04-05 1994-09-20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Axle housing breather
US5522769A (en) * 1994-11-17 1996-06-04 W. L. Gore & Associates, Inc. Gas-permeable, liquid-impermeable vent cover
US5785390A (en) * 1995-01-31 1998-07-28 Stemco Inc. Vented hubcap
US5775794A (en) * 1995-07-31 1998-07-07 Textron Inc. Headlamp adjustor with vent tube
JP3219700B2 (ja) * 1996-09-18 2001-10-15 日東電工株式会社 ベントフィルタ部材
US6210014B1 (en) * 1997-01-21 2001-04-03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System for reducing condensation in enclosed lamp housings
US6056439A (en) * 1999-01-28 2000-05-02 Fres-Co System Usa, Inc. High flow/volume valve for flexible packaging
WO2000055877A1 (en) * 1999-03-18 2000-09-21 Nok Corporation Hole sealing plate and pressure regulating mechanism for the hole sealing plate
JP4043674B2 (ja) * 1999-11-18 2008-02-06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屋外用ランプ,自動車用ランプならびに自動車用電装部品
US6524361B1 (en) * 2000-10-26 2003-02-25 Hubbell Incorporated Micro-porous filter
DE10053681B4 (de) * 2000-10-28 2004-08-26 W.L. Gore & Associates Gmbh Gehäuse mit mindestens einem EMI abschirmender Kunststoffkörper bzw. Be- und Entlüftungs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Kunststoffkörpers
IT1319364B1 (it) * 2000-12-06 2003-10-10 Goglio Spa Luigi Milano Valvola selettrice di degasazione per contenitori di prodottiaromatici o odorosi, quali caffe' e simili.
US6883948B2 (en) * 2002-01-17 2005-04-26 Guide Corporation Automotive lamp assembly moisture control system
JP2003336874A (ja) * 2002-05-15 2003-11-28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
US7357709B2 (en) * 2004-04-12 2008-04-15 Gore Enterprise Holdings Metal vent
US20060113236A1 (en) * 2004-09-13 2006-06-01 Andrew Dahlgren Breather filter
JP4683625B2 (ja) * 2005-05-13 2011-05-18 東海興業株式会社 通気部品及び通気部品の製造方法並びに防水性通気膜
JP4836677B2 (ja) * 2005-08-24 2011-12-14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2007087666A (ja) * 2005-09-20 2007-04-05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及び通気構造
US20090268475A1 (en) * 2008-04-24 2009-10-29 Earl Ball Ventilation system for lamp enclosures
JP4864074B2 (ja) * 2008-12-11 2012-01-25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構造および通気構造の製造方法
US8828125B2 (en) * 2010-04-09 2014-09-09 Nitto Denko Corporation Ventilation member
CZ2010314A3 (cs) * 2010-04-23 2011-11-02 Ventilacní clen s pohlcovacem vlhkosti, zejména pro svetlomet motorového vozidla
CN101834313B (zh) * 2010-05-12 2012-07-04 郭治 一种带有气体释放和防爆弹出安全阀的锂离子电池
IT1400703B1 (it) * 2010-06-24 2013-06-28 Gvs Spa Dispositivo di sfiato e ventilazione di sicurezza antiscoppio perfezionato di un contenitore
JP5666336B2 (ja) * 2011-02-15 2015-02-12 東海興業株式会社 複合成形品
JP5712352B2 (ja) * 2011-02-28 2015-05-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Led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5746559B2 (ja) * 2011-05-19 2015-07-08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構造
DE102011086108A1 (de) * 2011-11-10 2013-05-16 Zf Friedrichshafen Ag Druckausgleichsvorrichtung, Gehäus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Druckausgleichsvorrichtung
ITMI20120654A1 (it) * 2012-04-19 2013-10-20 Gvs Spa Elemento di ventilazione di un involucro contenente un organo elettrico, meccanico o elettromeccanico
DE102012112098A1 (de) * 2012-12-11 2014-06-12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Anordnung zum Druckausgleich eines Gehäuses
JP6130182B2 (ja) * 2013-03-26 2017-05-17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6150578B2 (ja) * 2013-03-26 2017-06-21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US9605869B2 (en) * 2013-04-25 2017-03-28 Wayne Edward Bailey Radon exhaust system with internial gaseous fluid fan within diagnostic bypass filter fan apparatus
FR3012938B1 (fr) 2013-11-07 2018-01-26 Valeo Systemes De Controle Moteur Dispositif d'aeration et systeme electriqu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d'aeration
JP6428223B2 (ja) * 2014-04-09 2018-11-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装置
DE102014105193A1 (de) * 2014-04-11 2015-10-15 Schreiner Group Gmbh & Co. Kg Druckausgleichsetikett zum Aufkleben auf eine Oberfläche und Verfahren
DE102014106501A1 (de) * 2014-05-08 2015-11-12 AZ Ausrüstung und Zubehör GmbH & Co. KG Belüftungssystem für Fahrzeugbeleuchtungen
DE102015211906A1 (de) * 2015-06-26 2016-12-29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Belüftete Kraftfahrzeugbeleuchtungseinrichtung
DE102016117692A1 (de) * 2016-09-20 2018-03-22 HELLA GmbH & Co. KGaA Verschlusselement zum Verschließen des Gehäuses eines Scheinwerfer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1629A (ja) 2005-11-17 2007-06-07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
KR101440668B1 (ko) * 2008-04-04 2014-10-1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통기 부재
JP2011198615A (ja) * 2010-03-19 2011-10-06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50926A (ko) * 2010-03-19 2013-05-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통기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EP2787277A1 (en) * 2011-11-28 2014-10-08 Nitto Denko Corporation Ventilation member
JP5969356B2 (ja) * 2012-11-05 2016-08-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密閉型電池の封止部材および密閉型電池
KR101340574B1 (ko) * 2013-10-28 2014-01-02 정인석 자동차 전자제어장치의 통기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37239A (ja) 2018-03-08
EP3508776B1 (en) 2023-12-27
US11700699B2 (en) 2023-07-11
US20190219246A1 (en) 2019-07-18
EP3508776A4 (en) 2020-03-25
JP7034581B2 (ja) 2022-03-14
KR102418290B1 (ko) 2022-07-08
EP3508776A1 (en) 2019-07-10
WO2018042782A1 (ja) 2018-03-08
CN109642710A (zh) 201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5181A (ko) 통기 부재 및 검사 방법
KR101580756B1 (ko) 통기 부재
KR101958036B1 (ko) 통기 유닛
US9120060B2 (en) Ventilation unit
US9528622B2 (en) Ventilation member
KR102270552B1 (ko) 하우징 키트 및 통기 하우징
KR102144136B1 (ko) 통기 부재
KR20140117302A (ko) 통기 부재
KR20140117305A (ko) 통기 부재
JP5558761B2 (ja) 通気構造および通気部材
KR20180093941A (ko) 통기 부재, 램프
EP3618589B1 (en) Ventilation member
KR102634104B1 (ko) 통기 부품
US20230034108A1 (en) Ventilation component
KR20140117304A (ko) 통기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