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668B1 - 통기 부재 - Google Patents

통기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668B1
KR101440668B1 KR1020107024738A KR20107024738A KR101440668B1 KR 101440668 B1 KR101440668 B1 KR 101440668B1 KR 1020107024738 A KR1020107024738 A KR 1020107024738A KR 20107024738 A KR20107024738 A KR 20107024738A KR 101440668 B1 KR101440668 B1 KR 101440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film
support
housing
mai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4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4092A (ko
Inventor
요우조우 야노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4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3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with provision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5K5/0216Venting plugs compri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30Ventilation or drainage of ligh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5/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2205/09Machines characterised by drain passages or by venting, breathing or pressure compensa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Abstract

통기 부재(1A)는, 통기막(2)과, 통기막(2)을 지지하는 지지체(3)와, 밀봉 부재(4)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체(3)는, 표면(31a)에 통기막(2)이 부착되고, 이면(31b)에서 밀봉 부재(4)를 하우징(6)에 가압하는 주부(31)와, 개구(61)에 삽입되는, 선단에 갈고리부(33)가 형성된 복수의 다리부(32)를 갖고 있다. 주부(31)에는, 다리부(32)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갈고리부(33)와 대응하는 위치에, 갈고리부(33)를 주부(31)의 표면(31a)측에 노출시키는 관통 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통기 부재{GAS PERMEABLE MEMBER}
본 발명은, 하우징에 장착되는 통기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자동차용 램프나 ECU(Electrical Control Unit) 등의 자동차 전장 부품, OA(오피스 오토메이션) 기기, 가전 제품, 의료 기기 등에서는, 전자 부품이나 제어 기판 등을 수용하는 하우징에, 하우징 내의 압력 변동을 완화시키거나 하우징 내를 환기할 목적으로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가 형성된 부분에 통기 부재가 장착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 통기 부재는, 하우징의 내외에서의 통기를 확보하면서 하우징 내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41629호 공보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통기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이 통기 부재는, 하우징(14)에 고정됨으로써 하우징(14)의 개구(14a)를 통기막(11)으로 막는 지지체(12)와, 지지체(12)에 설치되어 통기막(11)을 덮는 커버체(15)와, 개구(14a)를 둘러싸는 위치에서 지지체(12)와 하우징(14) 사이의 밀봉을 행하는 밀봉 부재(13)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체(12)는, 표면(도 9에서는 상면)에 통기막(11)이 부착되고, 이면(도 9에서는 하면)에서 밀봉 부재(13)를 하우징(14)에 가압하는 플랜지부(12a)와, 플랜지부(12a)의 이면의 내주연부로부터 연장되어 하우징(14)의 개구(14a)에 삽입되는 통 형상부(12b)를 갖고 있다. 그리고, 통 형상부(12b)의 선단에는, 하우징(14)의 내측으로부터 개구(14a)의 주연부에 걸리는 갈고리부(12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형상의 지지체(12)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지지체(12)에서는, 통 형상부(12b)의 축심 방향에 있어서 갈고리부(12c)와 플랜지부(12a)가 중첩되어 있으므로, 사출 성형할 때에 사용하는 금형으로서는, 통 형상부(12b)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축 금형 및 이 축 금형의 축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분리 가능한 한 쌍의 슬라이드 금형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축 금형 및 슬라이드 금형을 사용한 사출 성형에서는, 한번에 다수의 지지체(12)를 제작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양산성이 우수한 통기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에 장착되는 통기 부재이며, 통기막과, 상기 통기막을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개구로부터 상기 통기막에 이르는 통기로를 형성하는 지지체와, 상기 개구를 둘러싸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지지체와의 사이의 밀봉을 행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표면에 상기 통기막이 부착되고, 이면에서 상기 밀봉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가압하는 주부와, 상기 주부의 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복수의 다리부로서 선단에 상기 하우징에 걸리는 갈고리부가 형성된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부에는, 상기 다리부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갈고리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갈고리부를 상기 주부의 표면측에 노출시키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 및 상기 다리부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의해 상기 통기로가 구성되는 통기 부재를 제공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다리부의 삽입 방향으로는 관통 구멍에 의해 주부와 갈고리부가 중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지지체를 제작할 때에는, 상기한 삽입 방향으로 분할된 금형, 즉 지지체를 주부의 표면측으로부터 성형하는 금형과 주부의 이면측으로부터 성형하는 금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한번에 다수의 지지체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양산성이 우수한 통기 부재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제1 실시 형태의 지지체를 상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 도 2의 (b)는 상기 지지체를 하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지지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커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 형태의 커버체의 하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통기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1A)는, 하우징(6)의 개구(61)가 형성된 부분에 장착되는 것이며, 통기막(2)과, 통기막(2)을 지지하는 지지체(3)와, 지지체(3)와 하우징(6) 사이에 끼여 있는 밀봉 부재(4)와, 통기막(2)을 지지체(3)와 반대측으로부터 덮는 커버체(5)를 구비하고 있다. 통기막(2)은, 기체의 투과를 허용하면서, 하우징(6) 내에 물방울이나 진애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통기막(2)의 기체 투과 작용에 의해, 하우징(6) 내의 압력은 외부의 압력과 동일하게 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지체(3)와 하우징(6)이 밀봉 부재(4)를 끼워 넣는 방향 중 지지체(3)측(도 1의 상측)을 상방, 하우징(6)측(도 1의 하측)을 하방이라고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6)의 개구(61)는 상기 하우징(6)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원 형상의 관통 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개구(61)는 상측 부분이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직경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막(2)은, 기체의 투과를 허용하고, 액체의 투과를 저지하는 막이면, 구조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통기막(2)으로서는, 수지 다공질막을 포함하는 것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수지 다공질막으로서는, 공지의 연신법, 추출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불소 수지 다공체나 폴리올레핀 다공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불소 수지로서는, PTEF(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을 구성하는 단량체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4-메틸펜텐-1,1부텐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단량체를 단체로 중합하거나, 또는 공중합하여 얻은 폴리올레핀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일론, 폴리유산을 사용한 나노파이버 필름 다공체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중에서도, 소면적으로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고, 하우징(6) 내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저지하는 기능이 높은 PTFE 다공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다공질막에는, 하우징(6)의 용도에 따라서 발액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발액 처리는, 표면 장력이 작은 물질을 수지 다공질막에 도포하고, 건조 후, 큐어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발액 처리에 사용하는 발액제는 수지 다공질막보다도 낮은 표면 장력의 피막을 형성할 수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발액제가 적합하다. 발액제의 도포는, 함침, 스프레이 등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충분한 방수성을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수지 다공질막의 평균 구멍 직경은 0.01㎛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다공질막에는, 보강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보강층을 형성함으로써, 고강도의 통기막(2)으로 할 수 있다. 보강층은, 수지 다공질막보다도 통기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보강층으로서는, 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직포, 부직포, 메쉬, 네트, 스펀지, 폼, 다공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 다공질막과 보강층을 접합하는 방법으로서는, 접착제 라미네이트, 열 라미네이트, 가열 용착, 초음파 용착,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의 방법이 있다.
통기막(2)의 두께는, 강도 및 지지체(3)에의 고정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1㎛ 내지 5㎜의 범위로 조정하면 된다. 통기막(2)의 통기도는, 걸리(Gurley)값으로 0.1 내지 300sec/100mL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 형상의 통기막(2)을 사용하고 있지만, 통기막(2)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다각 형상이어도 된다.
지지체(3)는, 하우징(6)에 고정됨으로써 하우징(6)의 개구(61)로부터 통기막(2)에 이르는 통기로(30)를 형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지지체(3)는, 도 1 및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6)의 표면과 대향하는 주부(31)와, 주부(3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개구(61)에 삽입되는 복수(도면의 예에서는 3개)의 다리부(32)를 갖고 있다.
주부(31)는 상하 방향으로 편평한 대략 원형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방을 향하는 표면(31a)과 하방을 향하는 이면(31b)을 갖고 있다. 표면(31a)에는, 통기막(2)이 부착되어 있다. 표면(31a)에의 통기막(2)의 접착은, 열 용착, 초음파 용착, 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2)가 하우징(6)에 고정되었을 때에는, 이면(31b)에 의해 밀봉 부재(4)가 하우징(6)에 가압된다. 또한, 주부(31)의 형상은, 통기막(2)의 형상에 맞추어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고, 예를 들어 다각형 판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표면(31a)은 경사 상방을 향하고 있으며, 통기막(2)의 두께 방향이 경사 방향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31a)에는, 통기막(2)보다도 한치수 작은 영역이 하방으로 오목해짐으로써, 통기막(2)과의 사이에 공간(38a)을 형성하는 오목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즉, 표면(31a)에는 통기막(2)의 주연부만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오목부(38)의 저면에 후술하는 관통 구멍(37)의 전체가 개구되어 있다. 오목부(38)의 깊이는 0.2㎜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31a)에는, 통기막(2)을 둘러싸는 위치인 주연부에, 통기막(2)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이면(31b)측으로 후퇴하는 후퇴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즉, 주부(31)는 상향으로 볼록해지는 대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에 의해, 커버체(5) 내에 물방울 등의 이물질이 침입해 왔다고 해도, 그 이물질이 통기막(2) 상으로부터 배제되기 쉽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퇴부(39)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후퇴부(39)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서 계단 형상으로 이면(31b)측으로 후퇴하는 형상이어도 되고, 매끄러운 곡선을 그리도록 이면(31b)측으로 후퇴하는 형상이어도 된다.
주부(31)의 이면(31b)에는, 그 이면(31b)의 주연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밀봉 부재(4)를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외측 주위벽부(35)와, 외측 주위벽부(35)와 대향하도록 이면(31b)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외측 주위벽부(35) 및 주부(31)와 함께 밀봉 부재(4)를 수용하는 수용 홈(34a)을 형성하는 내측 주위벽부(제2 주위벽부)(34)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주위벽부(34)는 개구(61)의 최대 직경[개구(61)가 하우징(5)의 표면에 개구되는 부분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은 내경 및 개구(61)의 최대 직경보다도 약간 큰 외경을 갖고 있다. 그리고, 내측 주위벽부(34)의 외주면에 의해 밀봉 부재(4)가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외측 주위벽부(35)의 내주면에 의해 밀봉 부재(4)를 보유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밀봉 부재(4)는 하우징(6)의 개구(61)를 둘러싸는 위치에서 지지체(3)와 하우징(6) 사이의 밀봉을 행하는 것이다. 밀봉 부재(4)는 NBR(니트릴 고무), EPDM(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수소화니트릴 고무 등의 엘라스토머류, 발포체, 혹은 점착층을 갖는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탄성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형 단면의 밀봉 링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밀봉 링이 눌려 찌부러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외측 주위벽부(35)는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한 밀봉 부재(4)에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외측 주위벽부(35)의 높이는, 지지체(3)가 하우징(6)에 고정되었을 때에, 외측 주위벽부(35)의 하단부와 하우징(6)의 표면과의 사이의 거리가 0.5㎜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 주위벽부(35)의 외주면의 하단부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36)는 커버체(5)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그 비어져나온 부분은, 커버체(5)의 후술하는 측벽부(52)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다.
다리부(32)는 동일 원주 상에 등각도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주부(3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즉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확대되도록, 주부(31)의 이면(31b)으로부터 경사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다리부(32)의 단면 형상은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다리부(32)의 선단에는, 주부(31)의 이면(31b)측을 향하는 외측면(32b)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갈고리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갈고리부(33)는, 다리부(32)가 개구(61)에 삽입되었을 때에, 하우징(6)의 내측으로부터 개구(61)의 주연부에 걸린다. 즉, 밀봉 부재(4)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다리부(32)가 개구(61)에 삽입되면, 밀봉 부재(4)의 복귀력에 의해 주부(31)가 상방으로 가압되지만, 갈고리부(33)의 걸림에 의해 다리부(32)가 개구(61)로부터 발출되는 것이 저지된다. 이에 의해, 지지체(3)가 하우징(6)에 고정된다. 또한, 갈고리부(33)의 돌출 부분은, 그 갈고리부(33)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내측 주위벽부(34)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이는 원형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주부(31)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다리부(32)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 갈고리부(33)와 대응하는 위치에, 주부(3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 구멍(37)의 크기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갈고리부(33)의 투영 형상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관통 구멍(37)은 대략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폭은, 다리부(32)의 외측면(32b)의 기점[상기 외측면(32b)과 주부(31)의 이면(31b)과의 교점]으로부터 내측 주위벽부(34)의 내주면까지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관통 구멍(37)의 내주면의 외측 부분과 내측 주위벽부(34)의 내주면은, 연속된 벽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각 관통 구멍(37)의 둘레 방향의 길이는, 갈고리부(33)의 둘레 방향의 길이보다도 약간 길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갈고리부(33) 및 다리부(32)의 외측면(32b)은, 관통 구멍(37)에 의해 주부(31)의 표면(31a)측으로 노출되어 있고, 주부(31)와 갈고리부(33) 및 다리부(32)의 외측면(32b)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중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 구멍(37), 다리부(32)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32a), 및 오목부(38)로 형성되는 공간(38a)에 의해, 하우징(6)의 개구(61)로부터 통기막(2)에 이르는 통기로(30)가 구성된다. 여기서, 간극(32a)이라 함은, 다리부(32)로 둘러싸이는 주부(31)의 이면(31b)으로 향하는 공간과 다리부(32)를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주부(31)의 이면(31b)으로 향하는 공간을 연속시키는 간극이며, 보다 정확하게는, 인접하는 다리부(32)의 폭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둘레 방향)의 단부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부(31)의 이면(31b)에, 그 이면(31b)의 중심으로부터 관통 구멍(37)끼리의 사이를 통하여 내측 주위벽부(34)에 이르는 3개의 리브(31c)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지지체(3)는, 사출 성형, 압축 성형, 분말 성형 등의 일반적인 성형 방법 또는 절삭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양산성의 관점에서는, 사출 성형이 적합하다. 지지체(3)의 재료에는, 성형성의 관점에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PB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A(나일론),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열가소성 수지나, EPDM(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3)의 재료는, 카본 블랙, 티타늄 화이트 등의 안료류, 유리 입자, 유리 섬유 등의 보강용 필러류, 발수재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지지체(3)는, 그 표면에 발액 처리가 실시되면, 커버체(5) 내에 침입해 온 액체(물이나 오일)를 배제하기 쉬워진다. 접착 용이화 처리, 절연 처리, 반도체 처리, 도전 처리 등의 다른 처리를 지지체(3)에 실시해도 된다.
커버체(5)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기막(2)에 대향하는 천장부(51)와, 이 천장부(51)의 주연부로부터 하방[지지체(3)측]으로 연장되는 측벽부(52)와, 이 측벽부(52)로부터 하방[지지체(3)측]으로 돌출되는 복수[도면의 예에서는 3개]의 돌출부(53)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커버체(5)는, 지지체(3)와 같은 재료를 사용함과 함께, 공지의 사출 성형법 등에 의해 천장부(51), 측벽부(52), 및 돌출부(53)를 일체의 것으로서 제작할 수 있다.
천장부(51)는, 상하 방향으로 편평한 대략 원형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주연부는, 측벽부(52)에 원활하게 연결되도록 하방으로 만곡되어 있다. 측벽부(52)는 지지체(3)의 외측 주위벽부(35)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갖고 있다.
돌출부(53)는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측벽부(52)를 그대로 또한 하방으로 연장시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3)의 하단부는, 지지체(3)의 외측 주위벽부(25)의 외주면 및 플랜지부(36)의 상면에서 형성되는 코너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53)에 의해, 측벽부(52)와 지지체(3) 사이에, 통기막(2)이 향하는 커버체(5) 내의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간극(54)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체(3)에의 돌출부(53)의 고정은, 결합 구조, 접착제에 의한 접착, 또는 초음파 용착 등으로 행할 수 있다.
돌출부(53)의 돌출 높이는, 측벽부(52)가 통기막(2)보다도 지지체(3)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측벽부(52)의 하단부면으로부터 통기막(2)의 하면까지의 높이는, 0.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벽부(52)의 내주면의 하단부에는, 지지체(3)의 후퇴부(39)와 평행한 경사면(52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되어 있으면, 간극(54)을 크게 확보하여, 커버체(5) 내에 진입해 온 이물질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1A)에서는, 상하 방향에서는 관통 구멍(37)에 의해 주부(31)와 갈고리부(33) 및 결합부(32)의 외측면(32b)이 중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지지체(3)를 제작할 때에는, 상하 방향으로 분할된 금형, 즉 지지체(3)를 주부(31)의 표면(31a)측으로부터 성형하는 금형과 주부(31)의 이면(31b)측으로부터 성형하는 금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한번에 다수의 지지체(3)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양산성이 우수한 통기 부재(1A)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통기 부재에서는, 슬라이드 금형을 사용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금형에 의해 성형되는 부분에 축 금형의 축심 방향의 요철을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12a)의 이면은 편평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1A)에서는, 상하 분할형의 금형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부(31)의 이면(31b)에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종래의 통기 부재에서는, 밀봉 부재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통기 부재가 장착된 하우징이 고압 세정된 경우에는, 외부로부터의 압력이 밀봉 부재에 직접적인 충격을 주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부(31)의 이면(31b)에 외측 주위벽부(3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의 압력이 밀봉 부재(4)에 직접적으로 충격을 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외측 주위벽부(35)의 내측에 밀봉 부재(4)를 배치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으므로, 지지체(3)에 있어서의 하우징(6)과 통기막(2) 사이에 개재하는 부분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벽부(52)가 통기막(2)보다도 지지체(3)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의 압력이 통기막(2)에 직접적으로 충격을 부여하는 것도 억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외부로부터의 압력 및 이물질에 대하여 통기막(2) 및 밀봉 부재(4)가 직접적인 충격을 받기 어렵고, 또한, 박형의 통기 부재(1A)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기 부재(1A)는 고압 세차에의 내구성이나 새로운 박형화 등이 구해지는 자동차용 통기 부재로서 특히 유용하다.
여기서, 오목부(38)를 생략하여, 관통 구멍(37)을 통기막(2)으로 직접 막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오목부(38)의 저면에 모든 관통 구멍(37)이 개구되어 있어, 통기막(2)으로 향하는 공간(38a)과 모든 관통 구멍(37)이 연통되어 있으면, 관통 구멍(37)을 통한 기체의 유출ㆍ유입이 원활하게 행해지게 될 뿐만 아니라, 통기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어, 양호한 통기성이 얻어지게 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통기 부재(1B)를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 및 후술하는 제3 실시 형태 및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특별히 다른 부분 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1B)에서는, 밀봉 부재(4)로서, 수용 홈(34a)을 채우도록 지지체(3)와 일체로 성형된 탄성체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탄성체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미리 성형한 탄성체를 지지체(3)에 인서트 성형하거나, 탄성체를 구성하는 재료와 지지체(3)를 구성하는 재료를 사용하여 2색 성형하면 된다. 이와 같이 밀봉 부재(4)가 지지체(3)에 일체화되어 있으면, 통기 부재(1B)를 하우징(6)에 장착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밀봉 부재(4)를 원하는 형상으로 할 수 있으므로, 통기 부재(1B)의 한층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제3 실시 형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1C)에서는, 커버체(3)의 돌출부(53)의 돌출 높이가 작게 억제되어 있어, 측벽부(52)와 지지체(3)와의 겹침 부분이 크게 확보되어 있다. 또한, 천장부(51)의 하면에는, 상기 하면의 중심으로부터 측벽부(52)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홈(51a)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 구성에서는, 커버체(5)의 천장부(51a)와 통기막(2) 사이의 거리가 작게 되어 있어도, 홈(51a)에 의해 양호한 통기성이 확보된다. 즉,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양호한 통기성을 유지한 채로, 통기 부재(1C)의 한층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6)의 개구(61)가 2군데에 형성되어 있다. 각 개구(61)는 하우징(6)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 형상의 관통 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4 실시 형태의 통기 부재(1D)에서는, 주부(31)의 이면(31b)으로부터 수직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리부(32)가 한 쌍 설치되어 있고, 이들 다리부(32)는 서로 대향하고 있다. 각 다리부(32)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다리부(32)의 선단에는, 내측면(32c)에 서로 대향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갈고리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다리부(32)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다리부(32)의 폭 방향의 단부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32a)은 이차원적인 것이 된다.
또한, 주부(31)에는, 다리부(32)끼리의 사이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갈고리부(33)와 대응하는 위치에, 다리부(32)의 내측면(32b)과 연속되는 내주면을 갖는 한 쌍의 관통 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 구멍(37)에 의해 갈고리부(33)가 주부(31)의 표면(31a)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내측 주위벽부(34)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외측 주위벽부(35)만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통기 부재(1D)라도, 간극(32a)을 포함하는 주부(31)의 이면(31b)으로 향하는 공간 및 통기 구멍(37)에 의해, 개구(61)로부터 통기막(2)에 이르는 통기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서도, 상하 분할형의 금형을 사용하여 지지체(3)를 제작할 수 있다.

Claims (11)

  1. 하우징에 장착되는 통기 부재이며,
    통기막과, 상기 통기막을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개구로부터 상기 통기막에 이르는 통기로를 형성하는 지지체와, 상기 개구를 둘러싸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지지체 사이의 밀봉을 행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표면에 상기 통기막이 부착되고, 이면에서 상기 밀봉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가압하는 주부와, 상기 주부의 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복수의 다리부로서 선단에 상기 하우징에 걸리는 갈고리부가 형성된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부에는, 상기 다리부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갈고리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갈고리부를 상기 주부의 표면측에 노출시키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 및 상기 다리부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의해 상기 통기로가 구성되는 통기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주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외측으로 확대되도록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고, 상기 갈고리부는 상기 다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주부의 이면측을 향하는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다리부의 상기 외측면도 상기 주부의 표면측에 노출시키는 것인 통기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부의 표면에는, 상기 통기막을 둘러싸는 위치에, 상기 통기막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상기 이면측으로 후퇴하는 후퇴부가 형성되어 있는 통기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밀봉 부재를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주위벽부를 더 포함하는 통기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주위벽부 및 상기 주부와 함께, 상기 밀봉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 홈을 형성하는 제2 주위벽부를 더 포함하는 통기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부의 표면에는, 상기 통기막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의 저면에 상기 관통 구멍의 전체가 개구되어 있는 통기 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막을 상기 지지체와 반대측으로부터 덮는 커버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체는, 상기 통기막에 대향하는 천장부와, 이 천장부의 주연부로부터 상기 지지체측으로 연장되는 측벽부와, 이 측벽부로부터 상기 지지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지지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측벽부와 상기 지지체 사이에, 상기 통기막이 면하는 상기 커버체 내의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통기 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통기막보다도 상기 지지체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통기 부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체측의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통기 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막은 수지 다공질막을 포함하는 것인 통기 부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다공질막은 발액 처리가 실시된 것인 통기 부재.
KR1020107024738A 2008-04-04 2009-02-16 통기 부재 KR1014406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98418A JP5122347B2 (ja) 2008-04-04 2008-04-04 通気部材
JPJP-P-2008-098418 2008-04-04
PCT/JP2009/052507 WO2009122785A1 (ja) 2008-04-04 2009-02-16 通気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092A KR20100134092A (ko) 2010-12-22
KR101440668B1 true KR101440668B1 (ko) 2014-10-13

Family

ID=4113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4738A KR101440668B1 (ko) 2008-04-04 2009-02-16 통기 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46726B2 (ko)
EP (1) EP2269874A1 (ko)
JP (1) JP5122347B2 (ko)
KR (1) KR101440668B1 (ko)
CN (1) CN101983144B (ko)
WO (1) WO20091227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181A (ko) * 2016-08-30 2019-05-0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통기 부재 및 검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2530B2 (ja) * 2005-11-17 2011-04-20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AU2009312033B9 (en) * 2008-11-06 2014-01-30 Japan Gore-Tex Inc. Vent plug
US8828125B2 (en) 2010-04-09 2014-09-09 Nitto Denko Corporation Ventilation member
JP2011233580A (ja) * 2010-04-23 2011-11-17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た通気筐体
JP5652128B2 (ja) * 2010-10-29 2015-01-14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の水抜き構造
US20120255375A1 (en) * 2011-04-11 2012-10-11 LMS Technologies,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retaining particles
JP5714403B2 (ja) * 2011-04-27 2015-05-07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ユニット
JP5714402B2 (ja) * 2011-04-27 2015-05-07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ユニット
JP5746559B2 (ja) * 2011-05-19 2015-07-08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構造
EP2560469B1 (en) 2011-08-18 2019-01-16 W.L.Gore & Associates Gmbh Venting device comprising a seal protection
JP2013091412A (ja) * 2011-10-26 2013-05-16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車載制御装置
DE102011121716B3 (de) * 2011-12-20 2013-02-2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Gehäuse einer Antriebsvorrichtung
FR2987427B1 (fr) * 2012-01-27 2015-03-20 Valeo Illuminacion Ventilation d'un boitier de dispositif d'eclairage ou de signalisation d'un vehicule
JP6068886B2 (ja) * 2012-03-30 2017-01-25 日東電工株式会社 換気システム
JP2014102970A (ja) * 2012-11-20 2014-06-05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
DE102012223332B4 (de) * 2012-12-17 2016-07-2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Druckausgleichseinrichtung und Gehäusebauteil
US10314189B2 (en) * 2012-12-17 2019-06-04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Electronics module enclosure
JP6150578B2 (ja) * 2013-03-26 2017-06-21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6121210B2 (ja) * 2013-03-26 2017-04-26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6130182B2 (ja) * 2013-03-26 2017-05-17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JP6130183B2 (ja) * 2013-03-26 2017-05-17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材
US20140311345A1 (en) * 2013-04-18 2014-10-23 James Peter Morrissette Hydration container
JP6167658B2 (ja) * 2013-05-13 2017-07-26 株式会社デンソー 通気部材取付冶具および電子装置の製造方法
DE102013019181B3 (de) * 2013-11-18 2015-03-19 Mann + Hummel Gmbh Tankbelüftungsfilter
JP2015181153A (ja) * 2014-03-06 2015-10-15 日東電工株式会社 気体透過部材及び通気性容器
JP2015170473A (ja) * 2014-03-06 2015-09-28 日東電工株式会社 気体透過部材及び通気性容器
DE102014206735A1 (de) * 2014-04-08 2015-10-0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Druckausgleichselement für ein Gehäuse
US9332662B2 (en) * 2014-04-24 2016-05-03 Nitto Denko Corporation Ventilation member
US9242198B2 (en) * 2014-04-24 2016-01-26 Nitto Denko Corporation Ventilation member
JP6438683B2 (ja) 2014-06-02 2018-12-19 日東電工株式会社 筐体キット及び通気筐体
JP6194513B2 (ja) * 2014-06-19 2017-09-13 豊田合成株式会社 車両用灯具の防水構造
JP5944955B2 (ja) * 2014-07-24 2016-07-05 藤倉ゴム工業株式会社 通気非透水装置
JP6803130B2 (ja) * 2014-11-19 2020-12-23 日東電工株式会社 ランプ
JP2017084928A (ja) * 2015-10-27 2017-05-18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機器のシールカバー
US9702465B1 (en) * 2016-08-10 2017-07-11 Fca Us Llc Seal for cylindrical ports
CN110574503B (zh) * 2017-04-28 2021-05-11 日东电工株式会社 通气部件
KR102452791B1 (ko) * 2018-02-20 2022-10-1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통기성 캡
US20190331312A1 (en) * 2018-04-25 2019-10-31 Jute Industrial Co., Ltd. Breathable element for lighting of vehicle
FR3081672B1 (fr) 2018-05-22 2021-04-09 A Raymond Et Cie Boitier de protection d'un dispositif electronique
JP7394521B2 (ja) * 2018-06-20 2023-12-08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ユニット
US10281107B1 (en) * 2018-06-26 2019-05-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ap assembly and vent body for a light housing on a vehicle
US11519617B2 (en) * 2019-02-08 2022-12-06 Ryan Oddy Modular vent for metallic roofing
JP2020132000A (ja) * 2019-02-21 2020-08-31 住友電装株式会社 電子モジュール
NL2022953B1 (nl) * 2019-04-16 2020-10-26 Qos Group B V Een filter voor een ontluchtingsopening van een container
JP7378967B2 (ja) * 2019-06-07 2023-11-14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部品
CN114207333A (zh) * 2019-08-09 2022-03-18 日东电工株式会社 通气构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2520A (ja) 2002-06-20 2004-01-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気部品のシール構造
JP2007087929A (ja) 2005-08-24 2007-04-05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
JP2007141629A (ja) 2005-11-17 2007-06-07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1093A (en) * 1982-06-09 1983-08-30 Ford Motor Company Oil fill/air breather cap with integral oil separator
DE3914759A1 (de) * 1989-05-05 1990-11-08 Mann & Hummel Filter Einfuelloeffnung fuer das einfuellen von schmieroel in eine brennkraftmaschine
US5129371A (en) * 1991-09-03 1992-07-14 Saturn Corporation Cam cover oil separator for crankcase ventilation
JP2004266211A (ja) * 2003-03-04 2004-09-24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気筐体
US7357709B2 (en) * 2004-04-12 2008-04-15 Gore Enterprise Holdings Metal vent
JP2007087666A (ja) * 2005-09-20 2007-04-05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及び通気構造
US7678169B1 (en) * 2006-07-12 2010-03-16 Cummins Filtration Ip Inc. Oil fill cap with air/oil separ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2520A (ja) 2002-06-20 2004-01-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気部品のシール構造
JP2007087929A (ja) 2005-08-24 2007-04-05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
JP2007141629A (ja) 2005-11-17 2007-06-07 Nitto Denko Corp 通気部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181A (ko) * 2016-08-30 2019-05-0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통기 부재 및 검사 방법
KR102418290B1 (ko) * 2016-08-30 2022-07-0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통기 부재 및 검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83144B (zh) 2013-12-11
US20110016836A1 (en) 2011-01-27
JP2009252508A (ja) 2009-10-29
CN101983144A (zh) 2011-03-02
WO2009122785A1 (ja) 2009-10-08
US8246726B2 (en) 2012-08-21
KR20100134092A (ko) 2010-12-22
EP2269874A1 (en) 2011-01-05
JP5122347B2 (ja)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0668B1 (ko) 통기 부재
KR101958036B1 (ko) 통기 유닛
KR101958035B1 (ko) 통기 유닛
US9121626B2 (en) Ventilation member
US9255719B2 (en) Ventilation member
US8821226B2 (en) Vent member
US9052119B2 (en) Ventilation member
KR20180093941A (ko) 통기 부재, 램프
JP5611536B2 (ja) 通気部材および通気構造
JP5710359B2 (ja) 通気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