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901A -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901A
KR20190044901A KR1020170137486A KR20170137486A KR20190044901A KR 20190044901 A KR20190044901 A KR 20190044901A KR 1020170137486 A KR1020170137486 A KR 1020170137486A KR 20170137486 A KR20170137486 A KR 20170137486A KR 20190044901 A KR20190044901 A KR 20190044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road
weather
traffic safet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7260B1 (ko
Inventor
김철용
조중호
이용자
박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래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래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래도
Priority to KR1020170137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260B1/ko
Publication of KR20190044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은 운영 단말과, 상기 운영 단말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VPN서버와, 상기 VPN서버와 연결되어 데이터가 송수신 되도록 하는 제1모뎀을 구비하는 운영부; 및 도로시설물 또는 도로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도로 주변의 기상을 감지하는 기상감지기와, 상기 기상 감지기와 연계되어 상기 기상감지기에서 감지 된 기상여건에 따라 제한속도를 가변하여 표출하는 교통안전표지와, 상기 교통안전표지 및 상기 기상감지기와 연계되어 상기 교통안전표지 및 상기 기상감지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작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Active Spee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간 및 악천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교통수단으로는 도로, 항만, 철도, 항공교통이 있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면서 전문적인 운전자보다 전문 운전자가 아닌 사용자들이 운전하는 수가 더 많은 교통수단이 바로 도로를 사용하는 차량이다.
따라서, 교통사고의 대부분이 도로상에서 차량에 의하여 발생하고 있으며 그 중 상당수가 과속에 의하여 운전자가 돌발 상황에 대처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한다.
특히, 우천, 안개 등의 기상 악화로 인하여 운전자의 시정거리가 정상 시보다 줄어들거나 도로의 미끄럼 등으로 인한 차량의 주행에 방해 요인이 발생한 때에는 그에 따른 적정 속도가 정상적인 도로의 적정속도보다 낮아져야 하고 운전자들에게 낮아진 적정속도를 알려주는 것이 교통사고 방지에 더욱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지정된 도로 구역(예를 들면, 안개 다발 지역에 있는 도로)의 시정거리변화를 감지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안개 다발 지역 등 특정 지역의 시정거리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기상변화 사실 및 그에 따른 도로의 적정한 주행제한속도를 신속하고도 지능적으로 알려줄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98784호(2008.11.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야간 및 악천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야간 및 악천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야간 및 악천후에 따른 교통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은 운영 단말과, 상기 운영 단말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VPN서버와, 상기 VPN서버와 연결되어 데이터가 송수신 되도록 하는 제1모뎀을 구비하는 운영부; 및 도로시설물 또는 도로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도로 주변의 기상을 감지하는 기상감지기와, 상기 기상 감지기와 연계되어 상기 기상감지기에서 감지 된 기상여건에 따라 제한속도를 가변하여 표출하는 교통안전표지와, 상기 교통안전표지 및 상기 기상감지기와 연계되어 상기 교통안전표지 및 상기 기상감지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작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상감지기는 상기 도로 주변의 안개, 눈 및 비를 감지하는 현천계와, 상기 도로 주변의 풍향 및 풍속을 감지하는 풍향풍속계와, 상기 도로의 노면온도를 감지하는 노면온도계와, 상기 현천계, 상기 풍향풍속계 및 상기 노면온도계와 연결되어 상기 현천계, 상기 풍향풍속계 및 상기 노면온도계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통합제어모듈과, 상기 통합제어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통합제어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부와, 상기 통합제어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통합제어모듈에 제공된 데이터를 상기제어기에 송신하는 제1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교통안전표지는 상기 도로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계와, 상기 제어기에서 제공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와, 상기 조도계 및 상기 제2통신부와 연계되어 표출될 제한속도와 조도를 제어하는 표출제어부와, 상기 표출제어부와 연결되어 제한속도가 표출되도록 하는 표출부와, 상기 표출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표출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기상감지기 및 상기 교통안전표지와 연계되며 상기 기상감지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3전원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제어된 데이터를 상기 제2통신부로 송신하는 제3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상감지기를 제어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제어유닛과 연계되며, 상기 제3통신부를 통해 송수신 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모뎀에 송신하는 제2모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출제어부는 상기 노면온도계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노면상태가 건조상태인지 또는 습윤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표출제어부는 상기 현천계에서 측정된 안개, 눈 및 비에 의해 시정거리가 200m, 150m, 100m 또는 50m와 같거나 초과하는지 미만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표출제어부는 상기 풍향풍속계에서 측정된 바람의 세기에 따라 풍속이 15m/s 또는 20m/s와 같거나 초과하는지 미만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에 의하면, 기상감지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기상 여건을 감지하고 제어기를 통해 교통안전표지를 제어함으로써 야간 및 악천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야간 및 악천후에 능동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야간 및 악천후에 따른 교통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의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10)은 운영부(100)와 작동부(2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운영부(100)는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10)을 운영 및 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도로(20)와의 인접 여부에 상관없이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작동부(200)는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10)이 실질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도로(20)와 인접한 도로시설물에 설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운영부(100)와 작동부(200)는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운영부(100)에서 작동부(200)의 작동 및 통제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의 운영부(100)는 운영 단말(110), VPN서버(120) 및 제1모뎀(1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운영부(100)는 컴퓨터 등과 같은 운영 단말(110)을 통해 각종 정보나 데이터 값을 입력할 수 있고, VPN서버(120) 및 제1모뎀(130)을 통해 운영 단말(110)에서 입력된 각종 정보나 데이터를 작동부(2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운영부(100)와 작동부(200)가 무선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의 운영부(100)와 작동부(200)는 경우에 따라 유선망을 통해 유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작동부(200)는 도로(2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도로(20) 주변의 기상을 감지하고 기상여건에 따라 도로(20)의 제한속도를 가변하여 야간 및 악천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의 작동부(200)는 기상감지기(210), 교통안전표지(220) 및 제어기(2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기상감지기(210)는 도로시설물이나 도로(20)변에 설치되어 도로(20) 주변의 기상을 감지할 수 있다. 여러 가지 기상 여건 중에서 안개, 눈, 비, 풍향, 풍속 및 노면온도가 기상감지기(210)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여기서, 안개, 눈 및 비는 현천계(211)를 통해 감지되고, 풍향 및 풍속은 풍향풍속계(212)를 통해 감지될 수 있으며, 노면온도는 노면온도계(213)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의 현천계(211), 풍향풍속계(212) 및 노면온도계(213)를 통해 감지된 안개, 눈, 비, 풍향, 풍속 및 노면온도에 대한 데이터는 현천계(211), 풍향풍속계(212) 및 노면온도계(213)와 연결된 통합제어모듈(214)에 제공되며, 통합제어모듈(214)에 의해 현천계(211), 풍향풍속계(212) 및 노면온도계(213)가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통합제어모듈(214)에는 제1전원부(215)가 연결되어 통합제어모듈(21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통합제어모듈(214)에는 제1통신부(216)가 연결되어 통합제어모듈(214)에 제공된 안개, 눈, 비, 풍향, 풍속 및 노면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제어기(230)에 송신할 수 있다.
한편, 교통안전표지(220)는 기상감지기(210)를 통해 감지된 기상여건에 따라 도로(20)의 제한속도를 가변하여 표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교통안전표지(220)는 조도계(221), 제2통신부(225), 표출제어부(222), 표출부(223) 및 제2전원부(22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조도계(221)는 도로(20)의 조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조도계(221)를 통해 도로(20)의 조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함으로써 안개, 눈 또는 비에 의해 전방의 시정상태가 좋지 않을 시 표출되는 제한속도의 조도를 높여 도로(20)의 전방 시정상태가 좋지 않더라도 운전자가 제한속도를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제2통신부(225)는 제어기(230)에서 송신된 데이터 즉, 기상감지기(210)를 통해 감지된 안개, 눈, 비, 풍향, 풍속 및 노면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의 표출제어부(222)는 상기의 조도계(221) 및 제2통신부(225)와 연계되며, 조도계(221)에서 측정된 도로(20)의 전방 시정상태에 따라 조도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기(230)로부터 수신된 기상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판단 및 제어하여 표출될 제한속도를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표출제어부(222)에서 기상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판단 및 제어하는 방법은 추후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의 표출부(223)는 상기의 표출제어부(222)와 연결되어 표출제어부(222)에서 종합적으로 판단한 제한속도를 실질적으로 표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표출부(223)는 LED 모듈과 듀얼 렌즈 등을 구비하여 표출성능을 향상시키고 차광판과 방수고무를 구비하여 빛 공해 및 빗물 등에 의한 고장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의 제2전원부(224)는 상기의 표출제어부(222)와 연결되어 표출제어부(222)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제어기(230)는 상기의 기상감지기(210) 및 교통안전표지(220)와 연계되어 기상감지기(210) 및 교통안전표지(22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기(230)는 제어부(231), 제3전원부(232) 및 제3통신부(2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제어부(231)는 기상감지기(210) 및 교통안전표지(220)와 연계되며 기상감지기(2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의 제3전원부(232)는 제어부(231)와 연결되어 제어부(231)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의 제3통신부(233)는 제어부(231)와 연결되며, 제1통신부(216)를 통해 제공되고 제어부(231)를 통해 제어된 데이터를 제2통신부(225)로 송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제어부(231)는 제3통신부(233)를 통해 수신된 기상감지기(210)의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231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의 제어유닛(2311)으로는 IWVC(Integrate Weather VSL Control: 통합기상검지기 기반 VSL 제어보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31)는 제어유닛(2311)과 연계되며, 제1통신부(216)에서 제3통신부(233)로 송신되는 데이터와 제3통신부(233)에서 제2통신부(225)로 송신되는 데이터를 운영부(100)의 제1모뎀(130)에 송신하는 제2모뎀(2312)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부(200)의 기상감지기(210) 및 교통안전표지(220)에서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가 운영부(100)에 전달될 수 있으므로 운영부(100)에서는 전달된 데이터를 통해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10)을 통제,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의 작동부(200)가 하나인 것을 보였으나, 상기의 작동부(200)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작동부(200)는 각각의 제2모뎀(2312)을 통해 운영부(100)의 제1모뎀(130)과 유무선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의 표출제어부(222)에서 기상감지기(210)로부터 감지된 기상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판단 및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의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10)은 기상감지기(210)에서 감지된 도로(20)의 주변 기상 데이터를 분석 및 판단하여 기상 여건에 적합한 도로(20)의 제한속도를 교통안전표지(220)를 통해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기상감지기(210)에서 감지된 도로(20)의 주변 기상 데이터를 분석 및 판단하여 기상 여건에 적합한 도로(20)의 제한속도를 표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기상감지기(210)의 노면온도계(213)에서 측정된 노면의 온도 데이터가 표출제어부(222)에 전달되고, 표출제어부(222)는 노면온도계(213)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노면상태가 건조상태인지 또는 습윤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이와 동시에 현천계(211)에서 측정된 안개, 눈 및 비에 의한 도로(20)의 시정상태를 판단하고, 풍향풍속계(212)에서 측정된 바람의 세기를 판단한다.
그리고 표출제어부(222)에서는 노면상태가 건조하다고 판단되었을 시, 시정거리가 200m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게 되고, 시정거리가 200m 초과라고 판단되면 해당 구간의 평균속도가 100kph 초과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평균속도가 100kph 초과라고 판단되면 표출부(223)를 통해 제한속도로 '100'을 표출하게 된다. 해당구간의 평균속도가 100kph 이하라고 판단될 시에는 평균속도가 80kph 초과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평균속도가 80kph 초과라고 판단되면 표출부(223)를 통해 '80'을 표출하게 된다. 해당구간의 평균속도가 80kph 이하라고 판단될 시에는 평균속도가 60kph 초과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평균속도가 60kph 초과이라고 판단되면 도로(20)의 종단경사가 -3% 초과인지의 여부에 따라 초과일시 '90', 아닐시 '70'을 표출하게 된다. 해당구간의 평균속도가 60kph 이하라고 판단될 시에는 평균속도가 50kph 초과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평균속도가 50kph 초과라고 판단되면 표출부(223)를 통해 '60'을 표출하게 되고, 이하라고 판단되면 '50'을 표출하게 된다.
한편, 노면이 건조한 상태에서 시정거리가 200m 이하이거나 노면이 습윤상태라고 판단되면, 시정거리가 150m 초과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시정거리가 150m 초과라고 판단되면 풍속이 15m/s 미만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풍속이 15m/s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해당구간의 평균속도가 80kph 초과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평균속도가 80kph 초과라고 판단되면 표출부(223)를 통해 '80'을 표출하게 된다. 해당구간의 평균속도가 80kph 이하라고 판단될 시에는 평균속도가 60kph 초과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평균속도가 60kph 초과라고 판단되면 도로(20)의 종단경사가 -3% 초과인지의 여부에 따라 초과일시 '90', 아닐시 '70'을 표출하게 된다. 해당 구간의 평균속도가 60kph 초과라고 판단될 시에는 평균속도가 50kph 초과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평균속도가 50kph 초과라고 판단되면 표출부(223)를 통해 '60'을 표출하게 되고, 이하라고 판단되면 '50'을 표출하게 된다. 여기서, 풍속이 15m/s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풍속이 20m/s 미만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풍속이 20m/s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해당구간의 평균속도가 60kph 초과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평균속도가 60kph 초과라고 판단되면 도로(20)의 종단경사가 -3% 초과인지의 여부에 따라 초과일시 '90', 아닐시 '70'을 표출하게 된다. 풍속이 20m/s 이사이라고 판단되면 해당구간의 평균속도가 50kph 초과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평균속도가 50kph 초과라고 판단되면 표출부(223)를 통해 '60'을 표출하게 되고, 이하이라고 판단되면 '50'을 표출하게 된다.
한편, 시정거리가 150m 이하라고 판단되면 시정거리가 100m 초과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시정거리가 100m 초과로 판단되면 풍속이 20m/s 미만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풍속이 20m/s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해당구간의 평균속도가 60kph 초과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평균속도가 60kph 초과라고 판단되면 도로(20)의 종단경사가 -3% 초과인지의 여부에 따라 초과일시 '90', 아닐시 '70'을 표출하게 된다. 풍속이 20m/s 이사이라고 판단되면 해당구간의 평균속도가 50kph 초과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평균속도가 50kph 초과라고 판단되면 표출부(223)를 통해 '60'을 표출하게 되고, 이하라고 판단되면 '50'을 표출하게 된다.
한편, 시정거리가 100m 이하라고 판단되면 시정거리가 50m 초과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시정거리가 50m 초과로 판단되면 해당구간의 평균속도가 50kph 초과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평균속도가 50kph 초과라고 판단되면 표출부(223)를 통해 '60'을 표출하게 되고, 이하라고 판단되면 '50'을 표출하게 된다.
한편, 시정거리가 50m 이하라고 판단되거나 노면의 상태가 건조 또는 습윤 어느 상태도 아니라고 판단되면 표출부(223)를 통해 '폐쇄'를 표출하게 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상감지기(210)로부터 감지된 도로(20)의 기상 여건에 따라 교통안전표지(220)를 통해 표출되는 제한속도를 가변함으로써 야간 및 악천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야간 및 악천후에 따른 교통사고 발생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 100: 운영부
110: 운영 단말 120: VPN서버
130: 제1모뎀 200: 작동부
210: 기상감지기 211: 현천계
212: 풍향풍속계 213: 노면온도계
214: 통합제어모듈 215: 제1전원부
216: 제1통신부 220: 교통안전표지
221: 조도계 222: 표출제어부
223: 표출부 224: 제2전원부
225: 제2통신부 230: 제어기
231: 제어부 232: 제3전원부
233: 제3통신부

Claims (8)

  1. 운영 단말과, 상기 운영 단말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VPN서버와, 상기 VPN서버와 연결되어 데이터가 송수신 되도록 하는 제1모뎀을 구비하는 운영부; 및
    도로시설물 또는 도로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도로 주변의 기상을 감지하는 기상감지기와, 상기 기상 감지기와 연계되어 상기 기상감지기에서 감지 된 기상여건에 따라 제한속도를 가변하여 표출하는 교통안전표지와, 상기 교통안전표지 및 상기 기상감지기와 연계되어 상기 교통안전표지 및 상기 기상감지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감지기는 상기 도로 주변의 안개, 눈 및 비를 감지하는 현천계와,
    상기 도로 주변의 풍향 및 풍속을 감지하는 풍향풍속계와,
    상기 도로의 노면온도를 감지하는 노면온도계와,
    상기 현천계, 상기 풍향풍속계 및 상기 노면온도계와 연결되어 상기 현천계, 상기 풍향풍속계 및 상기 노면온도계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통합제어모듈과,
    상기 통합제어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통합제어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부와,
    상기 통합제어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통합제어모듈에 제공된 데이터를 상기제어기에 송신하는 제1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안전표지는 상기 도로 주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계와,
    상기 제어기에서 제공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와,
    상기 조도계 및 상기 제2통신부와 연계되어 표출될 제한속도와 조도를 제어하는 표출제어부와,
    상기 표출제어부와 연결되어 제한속도가 표출되도록 하는 표출부와,
    상기 표출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표출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기상감지기 및 상기 교통안전표지와 연계되며 상기 기상감지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3전원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제어된 데이터를 상기 제2통신부로 송신하는 제3통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상감지기를 제어하는 제어유닛과,
    상기 제어유닛과 연계되며, 상기 제3통신부를 통해 송수신 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모뎀에 송신하는 제2모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출제어부는 상기 노면온도계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노면상태가 건조상태인지 또는 습윤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표출제어부는 상기 현천계에서 측정된 안개, 눈 및 비에 의해 시정거리가 200m, 150m, 100m 또는 50m와 같거나 초과하는지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표출제어부는 상기 풍향풍속계에서 측정된 바람의 세기에 따라 풍속이 15m/s 또는 20m/s와 같거나 초과하는지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
KR1020170137486A 2017-10-23 2017-10-23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 KR102037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486A KR102037260B1 (ko) 2017-10-23 2017-10-23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486A KR102037260B1 (ko) 2017-10-23 2017-10-23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901A true KR20190044901A (ko) 2019-05-02
KR102037260B1 KR102037260B1 (ko) 2019-11-26

Family

ID=66581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486A KR102037260B1 (ko) 2017-10-23 2017-10-23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26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85028A (zh) * 2019-05-05 2019-08-02 同济大学 一种团雾天气条件下的交通安全风险分级管控方法
CN110491154A (zh) * 2019-07-23 2019-11-22 同济大学 基于安全风险和距离的建议车速制定方法
CN113077646A (zh) * 2021-03-22 2021-07-06 北京工业大学 一种桥梁运行安全多层级差异化防控方法
CN114360270A (zh) * 2021-07-26 2022-04-15 云南省交通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不良天气影响高速公路最大容许速度研判方法与系统
CN115359649A (zh) * 2022-07-04 2022-11-18 长安大学 一种基于能见度识别的易发团雾路段动态限速系统及方法
KR20230125026A (ko) 2020-12-25 2023-08-28 가부시끼가이샤 레조낙 리튬 이온 전도성 고체 전해질 및 전고체 전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664Y1 (ko) * 2004-10-21 2005-04-07 남일희 기후 변화에 따라 최고 제한속도가 변경되는 교통표시장치.
KR100775571B1 (ko) * 2005-03-30 2007-11-13 남일희 기후 변화에 따라 최고 제한속도가 변경되는교통표시장치의 제어방법
KR20080098784A (ko) 2007-05-07 2008-11-12 조병완 도로 기상 변화에 의한 법정 주행 한계 속도 변화 시스템 및 방법
KR100963849B1 (ko) * 2008-07-15 2010-06-16 (주)미라클산업 도로 기상 종합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20170000245A (ko) * 2015-06-23 2017-01-02 태웅이엔에스 주식회사 이상기상환경에 대응하는 가변속도제한 표지판 제어 시스템
KR101765207B1 (ko) * 2016-11-08 2017-08-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교통 신호 보안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664Y1 (ko) * 2004-10-21 2005-04-07 남일희 기후 변화에 따라 최고 제한속도가 변경되는 교통표시장치.
KR100775571B1 (ko) * 2005-03-30 2007-11-13 남일희 기후 변화에 따라 최고 제한속도가 변경되는교통표시장치의 제어방법
KR20080098784A (ko) 2007-05-07 2008-11-12 조병완 도로 기상 변화에 의한 법정 주행 한계 속도 변화 시스템 및 방법
KR100963849B1 (ko) * 2008-07-15 2010-06-16 (주)미라클산업 도로 기상 종합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20170000245A (ko) * 2015-06-23 2017-01-02 태웅이엔에스 주식회사 이상기상환경에 대응하는 가변속도제한 표지판 제어 시스템
KR101765207B1 (ko) * 2016-11-08 2017-08-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교통 신호 보안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85028A (zh) * 2019-05-05 2019-08-02 同济大学 一种团雾天气条件下的交通安全风险分级管控方法
CN110491154A (zh) * 2019-07-23 2019-11-22 同济大学 基于安全风险和距离的建议车速制定方法
KR20230125026A (ko) 2020-12-25 2023-08-28 가부시끼가이샤 레조낙 리튬 이온 전도성 고체 전해질 및 전고체 전지
CN113077646A (zh) * 2021-03-22 2021-07-06 北京工业大学 一种桥梁运行安全多层级差异化防控方法
CN114360270A (zh) * 2021-07-26 2022-04-15 云南省交通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不良天气影响高速公路最大容许速度研判方法与系统
CN114360270B (zh) * 2021-07-26 2023-02-14 云南省交通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不良天气影响高速公路最大容许速度研判方法与系统
CN115359649A (zh) * 2022-07-04 2022-11-18 长安大学 一种基于能见度识别的易发团雾路段动态限速系统及方法
CN115359649B (zh) * 2022-07-04 2023-07-04 长安大学 一种基于能见度识别的易发团雾路段动态限速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260B1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4901A (ko)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
JP4005358B2 (ja) 自発光道路標識システム
US20220080993A1 (en) Vehicle automated driving system
CN104488010B (zh) 基于车外数据和车内数据警告使用者预防危险状况的机动车运行方法以及相应运行的机动车
KR101363510B1 (ko) 고장자동차 표지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90066539A1 (en) Road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device
KR101397191B1 (ko) 엘이디 터널등 디밍 제어시스템 및 방법
CN104854638A (zh) 视觉辨认度估计装置、视觉辨认度估计方法及安全驾驶支持系统
CN110047287A (zh) 一种道路状况提示方法及其装置
KR20170000245A (ko) 이상기상환경에 대응하는 가변속도제한 표지판 제어 시스템
KR20180126199A (ko) 도로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3024997A (ja) 車載用映像表示制御装置
US11498537B1 (en) System for determining road slipperiness in bad weather conditions
KR20180057971A (ko) 비상안내조명 투사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137818A (ko) 차량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90015678A (ko) 절전형 도로표지 제어 장치
KR101025834B1 (ko) 지능형 유도 표시 장치 및 표시 방법
KR101458396B1 (ko) 터널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50221A (ko) 위험 상황을 표시하는 가로등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515036B1 (ko) 가변형 표시 장치를 구비한 안전운전 유도 정보 표출 시스템 및 그 표출 방법
CN112397017A (zh) 一种车载led显示屏的亮度调节方法及装置
KR200440380Y1 (ko) 안개 경보 시스템
KR101086738B1 (ko) 시정거리 변화에 따른 도로의 주행한계속도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341118B (zh) 一种在特大桥上对团雾进行预警的系统和方法
KR102022217B1 (ko) 고속도로 풍속 안내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