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291A - 정션블록 하우징 - Google Patents

정션블록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291A
KR20190044291A KR1020170136541A KR20170136541A KR20190044291A KR 20190044291 A KR20190044291 A KR 20190044291A KR 1020170136541 A KR1020170136541 A KR 1020170136541A KR 20170136541 A KR20170136541 A KR 20170136541A KR 20190044291 A KR20190044291 A KR 20190044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late
junction block
block terminal
fixe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8164B1 (ko
Inventor
고형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6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164B1/ko
Publication of KR20190044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정션블록 단자 조립시 단자가 볼트에 가거치됨으로써, 단자에서부터 안착좌면까지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정션블록 단자 조립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정션블록 하우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정션블록 하우징{HOUSING OF JUNCTION BLOCK}
본 발명은 정션블록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션블록 단자 조립시 단자가 볼트에 가거치됨으로써, 단자에서부터 안착좌면까지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정션블록 단자 조립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정션블록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퓨즈와 릴레이를 통해서 전원을 분배하기 위한 정션블록(1)이 장착된다. 정션블록은 차량의 알터네이터(+) 및 배터리(+)와 와이어링으로 연결되어 퓨즈를 거쳐 각종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알터네이터(+) 및 배터리(+)와 연결되는 와이어링(2)의 단자가 안착되는 정션블록의 좌면 내부에는 너트가 적용되어 단자의 체결홀과 정션블록 체결홀을 맞춰서 작업자가 볼트로 조립을 실시하게 된다.
종래 와이어링 제조 공법 특성상 정션블록 체결 와이어링의 길이 공차가 0~5mm 정도 존재한다. 이로 인해, 단자가 정션블록 안착 좌면에서 5mm 정도 떠있어서 단자 체결홀과 정션블록 체결홀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고, 이를 맞춰서 조립하려고 해도 와이어링 텐션으로 인해 볼트가 기울어져 조립되어 단자가 정션블록에 불완전 체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체결 불량이 되면 시동 불량, 방전 및 온도 상승으로 인한 정션블록 용융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돌출된 볼트에 단자를 삽입하는 와이어링 제조 공법의 경우 조립하기 전 단자를 볼트 상단까지 들어올렸다가 매칭시켜서 좌면에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대형차종의 경우 와이어링 사이즈가 커서 텐션이 과다하여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볼트 길이가 보통 16mm 정도이므로 와이어링 공차를 고려하면 단자가 정션블록의 안착 좌면에서 16mm 정도 떨어져 있게 된다. 이로 인해, 16mm 더 긴 와이어링을 눌러서 단자를 안착시키는 방식을 적용해야하므로 너트 체결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이 필요하였던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7-0035190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정션블록 단자 조립시 단자가 볼트에 가거치됨으로써, 단자에서부터 안착좌면까지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정션블록 단자 조립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정션블록 하우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션블록 하우징은, 헤드부와 나사부를 갖는 볼트가 삽입되어 고정된 무빙플레이트; 및 상기 무빙플레이트가 삽입 및 고정되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공간에는 상기 무빙플레이트 삽입시 압축되는 스프링이 고정되어 있으며, 체결홀이 형성된 정션블록 단자가 상기 무빙플레이트에 결합시 상기 스프링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볼트의 나사부를 상기 정션블록 단자의 체결홀에 삽입시키는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빙플레이트는, 양 측면, 저면, 저면으로부터 일정높이까지 이격되도록 양 측면에 결합된 이격면을 가지며, 상기 이격면의 단부에는 상기 볼트의 나사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저면과 상기 이격면 사이에 볼트의 헤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는, 상기 무빙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면 중 저면에 돌출형성되어 스프링을 고정시키는 스프링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는, 상기 무빙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면 중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고정부에 고정된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무빙플레이트 삽입시 상기 무빙플레이트가 스프링 팽창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무빙플레이트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는, 상기 무빙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면 중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이 형성된 정션블록 단자가 상기 무빙플레이트에 결합시 상기 무빙플레이트고정부의 상기 무빙플레이트 고정을 해제시켜 상기 스프링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볼트의 나사부를 상기 체결홀에 삽입시키는 고정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는, 상기 무빙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면 중 일면에는 두 개의 홈이 형성되어 외력 작용시 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레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레버부에는 상기 무빙플레이트고정부 및 상기 고정해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는, 상기 무빙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면 중 일면을 형성하는 전방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면 중 양 측면에는 각각 상기 전방커버가 삽입되어 고정될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는,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나사부가 관통하는 홀 및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양 측면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전방커버의 상단,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양 측면 및 상기 고정해제부 하단에 결합되는 상단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면 중 양 측면에는 각각 상기 상단커버가 삽입되어 고정될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해제부는, 상기 체결홀이 형성된 정션블록 단자가 상기 상단커버와 밀착하여 상기 고정해제부에 압력을 가하면서 결합시, 상기 무빙플레이트 고정을 해제시켜 상기 스프링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볼트의 나사부를 상기 정션블록 단자의 체결홀에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션블록 하우징에 따르면, 정션블록 단자 조립시 단자가 볼트에 가거치됨으로써, 단자에서부터 안착좌면까지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정션블록 단자 조립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정션블록 단자 체결시 와이어링의 상방향 텐션을 최소화하여 너트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정션블록 단자 체결 작업이 용이해짐에 따라 시동 불량, 배터리 방전, 정션블록 용융 등의 품질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한 차량의 정션블록 단자 체결 개소가 총 5개소로 40SQ 전선 5개 길이가 15mm 축소되기 때문에 원가 및 중량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정션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플레이트가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에 삽입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단커버가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에 삽입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커버가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에 삽입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 내지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 단자의 체결홀에 볼트가 삽입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정션블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종래 정션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플레이트가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에 삽입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단커버가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에 삽입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커버가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에 삽입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 내지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 단자의 체결홀에 볼트가 삽입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블록 하우징(5)은, 헤드부(10a)와 나사부(10b)를 갖는 볼트(10)가 삽입되어 고정된 무빙플레이트(100); 및 상기 무빙플레이트(100)가 삽입 및 고정되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공간에는 상기 무빙플레이트(100) 삽입시 압축되는 스프링(312)이 고정되어 있으며, 체결홀(202)이 형성된 정션블록 단자(200)가 상기 무빙플레이트(100)에 결합시 상기 스프링(312)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볼트(10)의 나사부(10b)를 상기 정션블록 단자(200)의 체결홀(202)에 삽입시키는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플레이트(100)는 양 측면(101, 102), 저면(103), 저면(103)으로부터 일정높이까지 이격되도록 양 측면에 결합된 이격면(104)을 가지며, 이격면(104)의 단부에는 볼트(10)의 나사부(10b)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103)과 이격면(104) 사이에 볼트(10)의 헤드부(10a)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볼트(10)가 삽입되어 고정된 무빙플레이트(100)는 후술할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300)에 삽입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300)는 무빙플레이트(10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면 중 저면(301)에 돌출형성되어 스프링(312)을 고정시키는 스프링고정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고정부(31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모양으로 돌출형성되며, 링형상의 스프링(312)은 스프링고정부(310)에 조립되어 후술할 무빙플레이트(100) 삽입시 압축되었다가 무빙플레이트(100) 고정해제에 의해 팽창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300)는, 무빙플레이트(10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면 중 일면(302)에는 두 개의 홈이 형성되어 외력 작용시 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레버부(33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레버부(330)에는 후술할 무빙플레이트고정부(332)와 고정해제부(334)가 형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300)는 무빙플레이트(10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면 중 일면(302)에 형성되어 스프링고정부(310)에 고정된 스프링(312)을 압축시키면서 무빙플레이트(100) 삽입시 무빙플레이트(100)가 스프링(312) 팽창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무빙플레이트고정부(3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빙플레이트고정부(332)는 무빙플레이트(10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일면(302)의 레버부(330)에 형성되고, 무빙플레이트(100) 삽입시 레버부(330)가 뒤로 밀렸다가 무빙플레이트고정부(332)는 무빙플레이트(100)의 이격면(104) 상단에 체결된다. 이 과정에서 스프링(312)은 무빙플레이트(100) 삽입으로 인해 압축되고, 무빙플레이트고정부(332)에 의해 압축상태가 유지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300)는, 무빙플레이트(10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면 중 일면을 형성하는 전방커버(400)를 포함하며, 복수의 면 중 양 측면(303, 304)에는 각각 전방커버(400)가 삽입되어 고정될 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전방커버(400)는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300)의 양 측면(303, 304)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무빙플레이트(100)가 삽입 및 고정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300)는, 무빙플레이트(100)의 나사부(10b)가 관통하는 홀(502) 및 무빙플레이트(100)의 양 측면이 삽입되는 홈(504)이 형성되어 전방커버(400)의 상단, 무빙플레이트(100)의 양 측면 및 후술할 고정해제부(334) 하단에 결합되는 상단커버(500)를 더 포함하며, 복수의 면 중 양 측면(303, 304)에는 각각 상단커버(500)가 삽입되어 고정될 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단커버(500)는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300)의 양 측면(303, 304)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정션블록 단자(200)가 상단커버(500) 상에서 고정해제부(334)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단커버(500)는 고정해제부(334) 하단에 결합됨으로써, 정션블록 단자(200) 조립시 상단커버(500) 상에 밀착하여 이동시 정확히 고정해제부(334)를 누를수 있어서, 정션블록 단자 체결홀(202)에 볼트(10)를 정확히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을 참조하면,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300)는, 무빙플레이트(10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면 중 일면(302)에 형성되어 체결홀(202)이 형성된 정션블록 단자(200)가 무빙플레이트(100)에 결합시 무빙플레이트고정부(332)의 무빙플레이트 고정을 해제시켜 스프링(312)의 팽창력에 의해 볼트(10)의 나사부(10b)를 체결홀(202)에 삽입시키는 고정해제부(3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해제부(334)는 무빙플레이트(10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일면(302)의 레버부(330)에 형성된다. 정션블록 단자(200)가 상단커버(500) 상에 밀착하여 고정해제부(334)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해제부(334)를 누르게 되면, 무빙플레이트고정부(332)의 무빙플레이트 고정이 해제되어 압축상태에 있던 스프링(312)의 팽창력에 의해 볼트(10)의 나사부(10b)는 상단커버(500)의 홀(502) 및 정션블록 단자(200)의 체결홀(202)을 통과하게 되고, 정션블록 단자(200)는 볼트(10)에 가거치가 되고, 이후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정션블록 단자(200)는 정션블록에 안착된다.
이를 통해, 정션블록 단자(200) 조립시 단자(200)가 볼트(10)에 가거치됨으로써, 단자(200)에서부터 안착좌면까지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정션블록 단자 조립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정션블록 단자 체결시 와이어링의 상방향 텐션을 최소화하여 너트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정션블록 단자 체결 작업이 용이해짐에 따라 시동 불량, 배터리 방전, 정션블록 용융 등의 품질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한 차량의 정션블록 단자 체결 개소가 총 5개소로 40SQ 전선 5개 길이가 15mm 축소되기 때문에 원가 및 중량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만약 너트 체결 완료 후에 다시 정션블록 단자(200) 탈거가 필요한 경우 너트를 풀고 볼트(10)를 눌러 무빙플레이트고정부(332)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정션블록 단자(200)를 탈거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정션블록 하우징에 따르면, 정션블록 단자 조립시 단자가 볼트에 가거치됨으로써, 단자에서부터 안착좌면까지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정션블록 단자 조립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정션블록 단자 체결시 와이어링의 상방향 텐션을 최소화하여 너트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정션블록 단자 체결 작업이 용이해짐에 따라 시동 불량, 배터리 방전, 정션블록 용융 등의 품질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한 차량의 정션블록 단자 체결 개소가 총 5개소로 40SQ 전선 5개 길이가 15mm 축소되기 때문에 원가 및 중량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정션블록 2: 와이어링
5: 정션블록 하우징 10: 볼트
100: 무빙플레이트 200: 정션블록 단자
300: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 310: 스프링고정부
330: 레버부 332: 무빙플레이트고정부
334: 고정해제부 400: 전방커버
500: 상단커버

Claims (9)

  1. 헤드부와 나사부를 갖는 볼트가 삽입되어 고정된 무빙플레이트; 및
    상기 무빙플레이트가 삽입 및 고정되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공간에는 상기 무빙플레이트 삽입시 압축되는 스프링이 고정되어 있으며, 체결홀이 형성된 정션블록 단자가 상기 무빙플레이트에 결합시 상기 스프링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볼트의 나사부를 상기 정션블록 단자의 체결홀에 삽입시키는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를 포함하는 정션블록 하우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빙플레이트는,
    양 측면, 저면, 저면으로부터 일정높이까지 이격되도록 양 측면에 결합된 이격면을 가지며, 상기 이격면의 단부에는 상기 볼트의 나사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저면과 상기 이격면 사이에 볼트의 헤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하우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는,
    상기 무빙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면 중 저면에 돌출형성되어 스프링을 고정시키는 스프링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하우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는,
    상기 무빙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면 중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고정부에 고정된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무빙플레이트 삽입시 상기 무빙플레이트가 스프링 팽창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무빙플레이트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하우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는,
    상기 무빙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면 중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이 형성된 정션블록 단자가 상기 무빙플레이트에 결합시 상기 무빙플레이트고정부의 상기 무빙플레이트 고정을 해제시켜 상기 스프링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볼트의 나사부를 상기 체결홀에 삽입시키는 고정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하우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는,
    상기 무빙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면 중 일면에는 두 개의 홈이 형성되어 외력 작용시 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레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레버부에는 상기 무빙플레이트고정부 및 상기 고정해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하우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는,
    상기 무빙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면 중 일면을 형성하는 전방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면 중 양 측면에는 각각 상기 전방커버가 삽입되어 고정될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하우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정션블록 단자 체결부는,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나사부가 관통하는 홀 및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양 측면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전방커버의 상단,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양 측면 및 상기 고정해제부 하단에 결합되는 상단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면 중 양 측면에는 각각 상기 상단커버가 삽입되어 고정될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하우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해제부는,
    상기 체결홀이 형성된 정션블록 단자가 상기 상단커버와 밀착하여 상기 고정해제부에 압력을 가하면서 결합시, 상기 무빙플레이트 고정을 해제시켜 상기 스프링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볼트의 나사부를 상기 정션블록 단자의 체결홀에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블록 하우징.
KR1020170136541A 2017-10-20 2017-10-20 정션블록 하우징 KR102438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541A KR102438164B1 (ko) 2017-10-20 2017-10-20 정션블록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541A KR102438164B1 (ko) 2017-10-20 2017-10-20 정션블록 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291A true KR20190044291A (ko) 2019-04-30
KR102438164B1 KR102438164B1 (ko) 2022-08-31

Family

ID=66285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541A KR102438164B1 (ko) 2017-10-20 2017-10-20 정션블록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1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60209A (zh) * 2021-06-21 2021-08-13 天津瑞能电气有限公司 一种接地线便捷式装配结构
KR102410775B1 (ko) * 2020-12-11 2022-06-2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프로텍터용 결합마운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6053A (ja) * 1992-05-26 1993-12-10 Fujitsu Ltd 端子ブロック
JPH10134859A (ja) * 1996-08-22 1998-05-22 Fuji Electric Co Ltd 電気機器の端子装置
JP2003151656A (ja) * 2001-11-12 2003-05-23 Digital Electronics Corp 端子台
JP2008103230A (ja) * 2006-10-20 2008-05-01 Idec Corp 端子装置
KR101445307B1 (ko) * 2014-06-23 2014-10-06 (주)범우정보기술 전기접속용 단자대
KR20170035190A (ko) 2015-09-22 2017-03-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엔진의 정션블록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6053A (ja) * 1992-05-26 1993-12-10 Fujitsu Ltd 端子ブロック
JPH10134859A (ja) * 1996-08-22 1998-05-22 Fuji Electric Co Ltd 電気機器の端子装置
JP2003151656A (ja) * 2001-11-12 2003-05-23 Digital Electronics Corp 端子台
JP2008103230A (ja) * 2006-10-20 2008-05-01 Idec Corp 端子装置
KR101445307B1 (ko) * 2014-06-23 2014-10-06 (주)범우정보기술 전기접속용 단자대
KR20170035190A (ko) 2015-09-22 2017-03-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엔진의 정션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0775B1 (ko) * 2020-12-11 2022-06-2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프로텍터용 결합마운트
CN113260209A (zh) * 2021-06-21 2021-08-13 天津瑞能电气有限公司 一种接地线便捷式装配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164B1 (ko) 202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8605B2 (en) Device connector
JP2005322554A (ja) 電気機器の端子装置
KR101625293B1 (ko) 전기 커넥터
JP2005222771A (ja) 基板用コネクタ
JP2013115006A (ja) 端子台装置
KR20190044291A (ko) 정션블록 하우징
KR19980080737A (ko) 스웨이지 락
JP6782448B2 (ja) Usbコンセント
RU236602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соединения соединительного штыря прерывателя цепи
CN219695230U (zh) 电流传感器
US11165227B2 (en) Power distribution unit, such as a fuse box for a vehicle
KR101445307B1 (ko) 전기접속용 단자대
US9925970B2 (en) Electrohydraulic pressure control device for vehicle brake systems
KR101699239B1 (ko) 퀵단자를 이용한 릴레이 소켓
JPH0928018A (ja) ロック構造及びロック解除用治具及びロック解除方法
KR101916397B1 (ko) 차량용 배터리 단자 결합구
JP2021132215A (ja) Usbコンセント
KR100783163B1 (ko) 정션박스
KR20050031761A (ko) 차량용 정션박스
JP3116836B2 (ja) 電気接続箱
CN221041016U (zh) 保险丝盒和车辆
KR200479350Y1 (ko) 부품장착장치
JP2002164141A (ja) コネクタ取外し工具
CN218513517U (zh) 电池系统管理单元固定装置及电池系统
JPH0765898A (ja) コネクタの締着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