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3163B1 - 정션박스 - Google Patents

정션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163B1
KR100783163B1 KR1020060106594A KR20060106594A KR100783163B1 KR 100783163 B1 KR100783163 B1 KR 100783163B1 KR 1020060106594 A KR1020060106594 A KR 1020060106594A KR 20060106594 A KR20060106594 A KR 20060106594A KR 100783163 B1 KR100783163 B1 KR 100783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over
bus bar
junction box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6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6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1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resilient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션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10)의 하면에 걸이후크(16)가 쌍을 이루도록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16)의 선단에는 걸이턱(17)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턱(17)이 돌출된 반대방향, 즉 걸이후크(16)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누름단(18)이 형성된다. 상기 누름단(18)은 제1커버(20)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채널(22)에 안착된 버스바(30)를 눌러 제1커버(20)에 고정한다. 상기 안착채널(22)에는 상기 걸이후크(16)가 걸어지는 후크공(26)이 천공된다. 상기 후크공(26)의 내부에는 상기 걸이후크(16)의 걸이턱(17)이 걸어지는 걸이단(27)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턱(17)의 경사면(17')이 안착되는 안착면(27')도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도구없이 정션박스 내부에 버스바를 기구적 구성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어 정션박스의 제조원가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특히 버스바의 조립을 위한 준비작업이 필요없고 열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정션박스의 조립을 위한 조립작업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되어 정션박스의 생산성이 높아지며, 버스바의 조립을 위한 구조가 프레임과 제1커버 사이의 결합을 위해서도 사용되므로 정션박스의 조립상태가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정션박스, 버스바, 고정

Description

정션박스{Junction box}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부분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커버의 구성을 보인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스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부커버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부커버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프레임 12: 릴레이
14: 퓨즈 16: 걸이후크
17: 걸이턱 17': 경사면
18: 누름단 20: 제1커버
22: 안착채널 24: 가이드돌기
26: 후크공 26': 삽입안내면
27: 걸이단 27': 안착면
28: 리워크공 30: 버스바
32,32': 안착부 33: 연결부
34: 직립부 36: 가이드공
40: 제2커버
본 발명은 정션박스에 관한 것으로 ,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에서 각종 부품들에 공급되는 전원을 분배하는 역할을 하는 정션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정션박스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전원을 분배하는 역할을 하고 각 부품으로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면 어떤 명칭을 쓰더라도 상관없다.
정션박스에서는 외부에서 전달된 전원을 공급받아 각각 부품으로 전달하기 위해 버스바 등을 사용하여 전원을 각각의 부품으로 분배한다. 즉, 배터리 등으로 부터 들어온 전원을 버스바 등을 통해 각각의 부품과 관련된 퓨즈나 릴레이 등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버스바는 판상의 금속을 소정 폭과 길이로 절단하고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정션박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버스바는 정션박스의 하부커버에 장착되거나, 별도의 절연판에 장착되어 정션박스의 내부에 설치된다. 절연판에 버스바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수개의 절연판상에 각각 버스바를 설치하여 하나의 버스바조립체를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버스바를 정션박스의 하부커버나 버스바조립체의 절연판에 장착하는 것은, 하부커버나 절연판에 형성된 융착돌기가 버스바를 관통한 상태에서 융착돌기를 융착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버스바를 하부커버나 절연판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융착작업을 수행해야 하는데, 융착작업은 열로 융착돌기를 녹여야 하므로 융착장비가 필요하다. 하지만, 상기 융착장비가 고가이어서 제조원가를 높이는 원인이 되고, 융착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미리 작업준비를 해야 하고 융착돌기를 녹이기 위해 열을 사용해야 하므로 작업환경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장비나 도구없이 버스바를 정션박스 내에 고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버스바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정션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스바를 장착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프레임과 커버사이의 결합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골격을 형성하고 걸이턱을 구비하는 걸이후크가 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걸이후크가 형성된 일면에 마주보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걸이후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걸이후크가 걸어지는 후크공이 형성되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상에 안착되고 상기 걸이후크에 의해 상기 제1커버에 고정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버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이후크는 상기 버스바의 양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쌍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걸이후크의 선단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이턱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걸이후크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버스바를 눌러주는 누름단을 구비한다.
상기 제1커버에는 상기 프레임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버스바가 안착되는 안착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채널에는 상기 버스바에 형성된 가이드공을 관통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의 선단은 반구형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후크공의 내부에는 상기 걸이후크의 걸이턱이 걸어지는 걸이단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단과 마주보게 상기 걸이턱의 경사면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공은 상기 제1커버의 하면으로 개구되어 리워크공을 형성한다.
상기 후크공의 입구에는 상기 걸이후크의 걸이턱에 형성된 경사면을 안내하는 삽입안내면이 상기 안착채널의 가장자리 측에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제1커버가 장착된 반대쪽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2커버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에 의하면 별도의 도구없이 정션박스 내부에 버스바를 기구적 구성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어 정션박스의 제조원가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특히 버스바의 조립을 위한 준비작업이 필요없고 열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정션박스의 조립을 위한 조립작업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되어 정션박스의 생산성이 높아지며, 버스바의 조립을 위한 구조가 프레임과 제1커버 사이의 결합을 위해서도 사용되므로 정션박스의 조립상태가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부분단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커버의 구성이 저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스바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부커버의 요부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부커버의 요부 구성이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정션박스의 골격을 프레임(10)이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10) 상에는 릴레이(12)나 퓨즈(14)와 같은 부품들이 장착된다. 상기 릴레이(12)나 퓨즈(14)와 같은 부품의 장착을 위해 상기 프레임(10)을 관통하여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을 통해서는 릴레이(12)나 퓨즈(14)의 연결리드가 통과한다. 물론, 상기 프레임(12)의 표면에 상기 릴레이(12)나 퓨즈(14)와 같은 부품을 안내하기 위한 리브 등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의 하면에는 걸이후크(16)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16)는 상기 프레임(10)의 하면에서 하부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약간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걸이후크(16)는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30)의 양단을 동시에 잡아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반드시 걸이후크(16)가 마주보게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설계조건에 따라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걸이후크(16)의 선단에는 걸이후크(16)의 연장방향에 직교하게 걸이턱(17)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7)은 서로 인접한 걸이후크(16)에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7)에는 걸이후크(16)의 선단 방향으로 경사면(17')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7')은 상기 걸이후크(16)를 아래에서 설명될 후크공(26)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걸이후크(16)에는 누름단(18)이 형성된다. 상기 누름단(18)은 서로 인접하는 걸이후크(16)의 것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좋다. 상기 누름단(18)은 상기 걸이후크(16)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누름단(18)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30)를 눌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1커버(20)는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10)의 하면에 장착된다. 상기 제1커버(20)에서 상기 프레임(10)과 마주보는 면에는 안착채널(22)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채널(22)은 제1커버(20)의 상면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안착채널(2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30)의 안착부(32)가 안착된다.
상기 안착채널(22)에는 다수개의 가이드돌기(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24)는 봉형상의 것으로 상기 안착채널(22)의 바닥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24)의 상단은 반구형상의 곡면으로 된다. 상기 가이드돌기(24)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30)의 가이드공(36)이 관통한다.
상기 안착채널(22)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상기 걸이후크(16)가 걸어지는 후크공(26)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공(26)은 상기 제1커버(20)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후크공(26)의 입구에는 상기 안착채널(22)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부분에 경사지게 삽입안내면(26')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안내면(26')은 상기 걸이후크(16)의 걸이턱(17)에 형성된 경사면(17')이 안내된다.
상기 후크공(26)의 내부에는 상기 걸이후크(16)의 삽입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걸이단(27)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걸이단(27)에는 상기 걸이후크(16)의 걸이턱(17)이 걸어진다. 상기 걸이단(27)과 마주보게는 상기 걸이후크(16)의 걸이턱(17)에 형성된 경사면(17')이 안착되는 안착면(27')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면(27')은 상기 경사면(17')과 대응되는 경사를 가진다.
상기 후크공(26)은 상기 제1커버(20)의 하부로 까지 개구되어 있는데, 상기 후크공(26)이 상기 제1커버(20)의 하부로 개구된 부분은 상기 걸이후크(16)를 후크공(26)에서 분리하기 위한 리워크공(28)이다. 상기 리워크공(28)으로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걸이후크(16)를 후크공(26)에서 분리할 수 있다.
버스바(30)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버스바(30)는 금속판을 절단하고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버스바(30)는 상기 제1커버(20)의 안착채널(22)에 안착되는 안착부(22)를 구비한다. 상기 안착부(22)에 직교하게 연결부(33)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연결부(33)는 상기 제1커버(20)의 하부로 연장되어, 다른 높이에 있는 안착부(32')와 연결된다. 상기 안착부(32')는 상기 제1커버(20)의 단차진 상면 등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2)에서는 직립되게 직립부(34)가 구비된다. 상기 직립부(34)는 상기 제1커버(20)의 상면 상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릴레이(12)나 퓨즈(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직립부(34)는 상기 릴레이(12)나 퓨즈(14)가 위치되는 부분에 직립되게 형성된다.
제2커버(4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릴레이(12)나 퓨즈(14)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커버(40)는 상기 프레임(10)에 직접 장착되거나, 상기 제1커버(20)와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프레임(10)이 위치되게 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버스바(30)를 정션박스에 조립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버스바(30)는 상기 제1커버(20)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채널(22)에 상기 안착부(32)가 안착된다. 이때, 상기 안착채널(22)의 가이드돌기(24)가 상기 버스바(30)의 안착부(32)에 형성된 가이드공(36)을 관통한다.
이와 같이, 상기 안착부(32)가 상기 안착채널(2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0)과 제1커버(20)를 결합한다. 즉, 상기 프레임(10)의 걸이후크(16)가 상 기 후크공(26)으로 삽입되게 한다. 이때, 상기 걸이후크(16)는 그 선단의 걸이턱(17)에 형성된 경사면(17')이 상기 삽입안내면(26')을 따라 안내된다. 이는 상기 걸이턱(17)의 안내면(17')을 상기 삽입안내면(26')에 대고 누르면 된다.
상기 걸이턱(17)의 상기 안내면(17')이 상기 삽입안내면(26')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걸이턱(17)이 상기 후크공(26)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안착면(27')에 상기 걸이후크(16)의 경사면(17')이 안착되고, 상기 걸이턱(17)이 상기 걸이단(27)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는 것은 상기 걸이후크(16)와 상기 걸이단(27) 등의 탄성변형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걸이후크(16)가 상기 후크공(26)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누름단(18)이 상기 버스바(30)의 안착부(32)의 가장자리를 눌러주게 된다. 이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버스바(30)는 상기 안착채널(22)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단(18)에 의해 눌러져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릴레이(12)와 퓨즈(14) 등이 장착된다. 상기 릴레이(12)와 퓨즈(14) 등은 상기 버스바(30)의 직립부(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버스바(30)의 직립부(34)는 상기 프레임(10)의 하부를 통해 프레임(10) 내부에 돌출되어 상기 릴레이(12)와 퓨즈(14)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되면, 예를 들어 상기 안착부(32')를 통해 외부의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직립부(34)를 통해 릴레이(12)와 퓨즈(14)가 버스바(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상기 버스바(30)의 다른 부분을 통해 정션박스의 외부의 부품과 연결된다.
한편, 상기 버스바(30)를 상기 제1커버(20)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커버(20)의 하부로 개구된 상기 리워크공(28)으로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걸이후크(16)의 걸이턱(17)이 상기 걸이단(27)에서 빠져나가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버스바를 제1커버에 장착함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와 결합되는 프레임에 형성된 걸이후크가 제1커버에 형성된 후크공에 걸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별도의 장비나 도구없이 버스바를 정션박스 내부에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제조원가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버스바를 정션박스에 조립함에 있어서 걸이후크를 후크공에 단순히 삽입하기만 하면 되므로 버스바의 조립작업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되어 정션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커버에 버스바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가 프레임과 커버를 결합하기 위한 구조로 사용될 수 있어 프레임과 커버 사이의 결합을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7)

  1. 골격을 형성하고 걸이턱을 구비하는 걸이후크가 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걸이후크가 형성된 일면에 마주보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걸이후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걸이후크가 걸어지는 후크공이 형성되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상에 안착되고 상기 걸이후크에 의해 상기 제1커버에 고정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버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후크는 상기 버스바의 양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쌍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걸이후크의 선단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이턱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걸이후크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버스바를 눌러주는 누름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에는 상기 프레임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버스바가 안착되는 안착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채널에는 상기 버스바에 형성된 가이드공을 관통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의 선단은 반구형의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공의 내부에는 상기 걸이후크의 걸이턱이 걸어지는 걸이단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단과 마주보게 상기 걸이턱의 경사면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공은 상기 제1커버의 하면으로 개구되어 리워크공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공의 입구에는 상기 걸이후크의 걸이턱에 형성된 경사면을 안내하는 삽입안내면이 상기 안착채널의 가장자리 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제1커버가 장착된 반대쪽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제2커버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KR1020060106594A 2006-10-31 2006-10-31 정션박스 KR100783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594A KR100783163B1 (ko) 2006-10-31 2006-10-31 정션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594A KR100783163B1 (ko) 2006-10-31 2006-10-31 정션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163B1 true KR100783163B1 (ko) 2007-12-07

Family

ID=39139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6594A KR100783163B1 (ko) 2006-10-31 2006-10-31 정션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1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594B1 (ko) 2013-09-17 2015-01-19 신선숙 고효율 태양광모듈 원터치 정션박스
KR20180064100A (ko) 2016-12-05 2018-06-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분리형 버스바의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728A (ja) * 1991-07-12 1993-02-02 Kawasaki Steel Corp 熱間圧延方法
JPH0518219U (ja) * 1991-08-26 1993-03-0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のブスバー保持構造
JP2000083311A (ja) 1998-09-04 2000-03-21 Sumitomo Wiring Syst Ltd 自動車用電気接続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728A (ja) * 1991-07-12 1993-02-02 Kawasaki Steel Corp 熱間圧延方法
JPH0518219U (ja) * 1991-08-26 1993-03-0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のブスバー保持構造
JP2000083311A (ja) 1998-09-04 2000-03-21 Sumitomo Wiring Syst Ltd 自動車用電気接続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594B1 (ko) 2013-09-17 2015-01-19 신선숙 고효율 태양광모듈 원터치 정션박스
KR20180064100A (ko) 2016-12-05 2018-06-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분리형 버스바의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4585B2 (ja) 絶縁材を除去された導体端部を接続するための接続装置
JP4211622B2 (ja) 基板用コネクタ
KR20060045066A (ko) 전기기기의 단자 장치
JP6200439B2 (ja) 電気部品ユニット、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及び固定構造
US8641430B2 (en) Bus bar edge structure of electric junction box
EP2975761B1 (en) Terminal box and method of connecting output line
KR100783163B1 (ko) 정션박스
JP5472724B2 (ja) 電気接続箱
JP5088229B2 (ja) 電気接続箱
KR200445633Y1 (ko) 커넥터용 스페이서
KR100547277B1 (ko) 정션박스용 기판의 터미널 설치구조
JP4349328B2 (ja) 電気接続箱
JP5671709B2 (ja) プラグイン式分電盤用の端子台
KR100944013B1 (ko) 박스
WO2022215483A1 (ja) 電気接続箱
KR100874971B1 (ko)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럭 결합구조
JP4585986B2 (ja) 電気接続箱
JP5271117B2 (ja) ネジ式端子台
JP2010061814A (ja) ヒューズブロック
KR100874965B1 (ko) 커넥터용 홀더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어셈블리
KR20120002235U (ko) 차량용 박스
JP4353140B2 (ja) 電気接続箱
CN115377834A (zh) 一种拼接式配电箱箱体、照明配电箱及其制造方法
KR200427088Y1 (ko) 버스바조립체
JP2014192378A (ja) 基板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