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235U - 차량용 박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235U
KR20120002235U KR2020100009799U KR20100009799U KR20120002235U KR 20120002235 U KR20120002235 U KR 20120002235U KR 2020100009799 U KR2020100009799 U KR 2020100009799U KR 20100009799 U KR20100009799 U KR 20100009799U KR 20120002235 U KR20120002235 U KR 201200022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terminal
main body
coupling
terminal portion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봉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9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2235U/ko
Publication of KR201200022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23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2085/2075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 H01H2085/208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9Junction box with busbar for plug-socket type interconnection with recepta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차량용 박스는 메인몸체(50)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메인몸체(5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부품장착부(52)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52)에는 각각 부품(54)이 장착된다. 상기 메인몸체(50)의 하부에는 하부커버(60)가 설치되어 상기 메인몸체(50)의 하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공간에 버스바(64,64')가 설치된다. 상기 버스바(64,64')는 절연판(62)에 의해 구획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64)의 일단부에 형성된 결합단자부(66)는 메인몸체(50)에 형성된 결합단자부설치부(58) 내의 설치공간(58')에 위치된다. 상기 설치공간(58')은 메인몸체(50)의 하부와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어 외부에서 전원단자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단자부(66)에는 관통공(6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67)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걸이돌기(68)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67)을 관통하게 체결볼트(70)가 설치된다. 상기 체결볼트(70)는 사각판상의 지지판(72)에 봉형상의 나사부(7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74)는 상기 관통공(67)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나사부(74)와 지지판(72)의 사이에는 걸이홈(78)이 형성된 스페이서부(76)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결합단자부(66)의 강성이 좋아지고 조립작업이 간소하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박스{Box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단자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가 버스바의 결합단자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차량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박스는 차량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장치로 전원과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차량용 박스의 내부에는 퓨즈와 릴레이와 같은 전자부품들이 설치된다. 배터리나 발전기 등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퓨즈와 릴레이를 거쳐 각각의 전자부품들에 전달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박스로 공급되는 전원은 배터리나 발전기 측과 연결된 전선의 끝부분에 설치된 전원단자가 박스에 설치되는 버스바의 결합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의해 전달된다.
도 1에는 차량용 박스의 요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차량용 박스의 골격을 메인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메인몸체(10)의 상면으로는 부품이 장착되는 부품장착부(도시되지 않음)들이 구비된다. 상기 메인몸체(10)의 일측에는 차폐벽(12)이 3면을 둘러 구비되어 내부에 결합단자부설치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단자부설치공간(14)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면 및 상면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단자부설치공간(14)에는 버스바(18)의 결합단자부(20)가 설치된다.
상기 메인몸체(10)의 하면에는 하부커버(16)가 결합되어 상기 메인몸체(10)의 하부를 차폐하게 된다. 상기 하부커버(16)의 상면과 상기 메인몸체(10)의 하면 사이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버스바(18)와 절연판(도시되지 않음) 등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커버(16)상에는 상기 부품장착부에 장착된 부품들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버스바(18)가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버스바(18)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결합단자설치공간(14)에 위치되는 결합단자부(2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단자부(20)에는 그 선단까지 개방되게 관통슬롯(2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슬롯(22)은 전원단자(도시되지 않음)를 상기 결합단자부(20)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볼트(24)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볼트(24)는 일단부에 사각판상의 지지판(26)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26)에서 봉형상의 나사부(2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28)가 상기 관통슬롯(22)을 관통하고, 상기 지지판(26)은 상기 결합단자부설치공간(14) 내에서 상기 결합단자부(20)의 배면과 마주보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차량용 박스에서는 상기 버스바(18)를 상기 하부커버(16)상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커버(16)와 메인몸체(10)를 결합하면서 상기 버스바(18)의 결합단자부(20)가 상기 결합단자부설치공간(24)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단자부설치공간(24)에 상기 버스바(18)의 결합단자부(20)가 설치된 후에 상기 관통슬롯(22)을 통해 체결볼트(24)를 설치한다. 즉, 상기 지지판(26)을 상기 버스바(18)의 결합단자부(20)의 배면과 상기 차폐벽(12)의 일측 내면사이에 위치되게 하고 나사부(28)가 상기 관통슬롯(22)을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되게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결합단자부(20)에는 전원단자가 상기 체결볼트(24)의 지지판(26)과 마주보는 반대 면에 밀착되어 상기 체결볼트(24)에 너트(도시되지 않음)가 체결됨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은 결합시에 상기 관통슬롯(22) 부분은 상기 전원단자와의 접촉면적을 상대적으로 줄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전원단자와 결합단자부(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상대적으로 불안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볼트(24)에 너트를 체결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전동공구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전동공구의 체결력은 상기 결합단자부(20)를 변형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관통슬롯(22)이 상기 결합단자부(20)의 선단까지 형성되어 있음으로 해서 결합단자부(20)의 강도가 약해져 변형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결합단자부(20)의 관통슬롯(22)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체결볼트(24)가 결합단자부(20)와 별도의 결합구조를 가지지 않으므로 상기 메인몸체(10) 측에 체결볼트(24)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구조를 두어야 하므로 조립작업시에 버스바(18)를 먼저 설치한 후에 상기 체결볼트(24)를 버스바(18)에 설치해야 하므로 조립라인에서의 조립작업공수가 많아지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용 박스에서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와 이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단자부 사이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원단자와 결합되는 결합단자부의 강도를 높이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버스바의 결합단자부에 체결볼트를 결합한 상태로 메인몸체에 버스바를 조립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상면에 부품장착부가 형성되고 하부 및 측방향으로 내부의 설치공간이 개방되게 결합단자부설치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메인몸체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커버와, 상기 메인몸체와 하부커버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부품장착부에 장착되는 부품과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며 일측에 상기 결합단자설치부에 위치되어 외부의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결합단자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버스바와, 상기 결합단자부를 관통하여 결합단자부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단자설치부에 위치되고 상기 전원단자를 결합단자부에 결합시키는 너트가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단자부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체결볼트와의 결합을 위한 걸이턱이 형성된 걸이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볼트는 사각판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서 돌출되어 상기 결합단자부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너트와 체결되는 나사부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과 나사부의 사이에는 스페이서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스페이서부에는 상기 결합단자부의 걸이돌기가 걸어지는 걸이홈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홈은 그 입구에 비해 내측의 폭이 더 넓게 형성되어 상기 걸이돌기의 걸이턱이 입구를 통해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단자부와 체결나사가 상대 회전함에 의해 걸이턱이 걸이홈의 내부에 걸어진다.
상기 결합단자부설치부의 내면에는 상기 체결돌트의 지지판 양측면을 지지하는 측방지지리브와 상기 지지판의 외면을 지지하는 후방지지리브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간의 내부에 체결볼트가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측방지지리브는 상기 결합단자부설치부의 내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에 상기 결합단자부의 후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이돌기는 상기 결합돌기의 선단에 직교하게 절곡되는데, 각각의 걸이돌기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박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서 차량용 박스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버스바의 결합단자부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이에 체결볼트가 설치되므로 버스바의 결합단자부의 표면적이 커져 상대물인 전원단자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전기적 연결성이 좋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서는 또한 결합단자부에 체결볼트의 설치를 위한 구성이 관통공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공은 결합단자부의 중앙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므로 결합단자부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하여 외력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결합단자부의 관통공에 체결볼트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돌기를 형성하여 버스바에 미리 체결볼트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조립라인에 체결볼트를 결합한 상태로 버스바를 공급할 수 있어 조립라인에서의 조립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용 박스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결합단자부와 체결볼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체결볼트가 메인몸체에 설치되는 것을 보인 횡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차량용 박스의 골격을 메인몸체(50)가 형성한다. 상기 메인몸체(50)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다수개의 부품장착부(52)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52)는 상기 메인몸체(50)의 상부로 개방되게 형성되는데, 장착되는 부품(54)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메인몸체(5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걸이편(56)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56)은 탄성변형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하부커버(60)의 결합턱(60')에 걸어져 메인몸체(50)와 하부커버(60)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메인몸체(50)의 일측에는 결합단자부설치부(58)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단자부설치부(58)는 내부에 형성되는 설치공간(58')이 상기 메인몸체(50)의 하부와 일측면 방향으로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간(58')은 상기 메인몸체(50)의 상부 방향으로는 차폐되어 있다.
상기 설치공간(58')의 내부에는 측방지지리브(59)와 후방지지리브(59')가 형성된다. 상기 측방지지리브(50)는 상기 설치공간(58')의 양측 내면에 횡단면이 사각형상으로 되게 상하방향으로 길게 돌출되게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볼트(70)의 지지판(72) 양단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후방지지리브(59')는 상기 설치공간(58')의 내면에서 상기 개방된 일측면 방향 외측을 향해 다수개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후방지지리브(59')는 대략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볼트(70)의 지지판(72)의 일면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메인몸체(5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커버(60)는 대략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커버(6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걸이편(56)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턱(60')이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부커버(60)는 상기 메인몸체(50)의 하부에 결합되어 메인몸체(50)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커버(60) 상에는 판형상으로 만들어진 절연판(62)이 대략 사각판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절연판(62)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버스바(64,64')들이 안착된다. 즉, 상기 메인몸체(50)의 하면과 상기 절연판(62)의 상면 사이에 버스바(64)가 위치되고 상기 절연판(62)과 하부커버(60)의 상면 사이에 버스바(64')가 위치된다. 물론, 상기 절연판(62)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고, 그 형상 또한 반드시 도시된 바와 같이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버스바(64,64')들은 각각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버스바(64)의 일측에는 결합단자부(56)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단자부(56)는 버스바(64)의 일단에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단자부(56)는 상기 결합단자부설치부(58) 내에 형성된 설치공간(58')내에 위치되도록 그 형성 위치가 선정된다.
상기 결합단자부(56)는 배터리나 발전기 등으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달하는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단자부(56)에는 그 중간부분을 관통하여 관통공(67)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67)은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67)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걸이돌기(68)가 다수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68)는 상기 결합단자부(56)의 배면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걸이돌기(68)의 끝부분에는 직교하게 절곡되어 걸이턱(68')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68')들은 각각의 걸이돌기(68)의 것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관통공(67)의 중심 방향을 향해 상기 걸이턱(68')이 돌출된다.
체결볼트(70)는 상기 결합단자부(56)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지지판(72)에서 나사부(7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72)은 대략 사각형의 판형상이고, 상기 나사부(74)는 봉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판(72)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74)의 외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72)과 나사부(74)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스페이서부(76)가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부(76)는 그 직교이 상기 나사부(74)의 직경보다는 크고 상기 지지판(72)의 양측 변 사이의 수직거리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부(76)의 외면에는 걸이홈(78)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홈(78)은 상기 걸이턱(68')이 삽입되어 상대 회전함에 의해 걸어지는 부분으로, 그 입구의 폭이 내측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걸이턱(68')이 입구를 통과해서 내측으로 들어가 회전됨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박스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하부커버(60) 상에는 다수개의 버스바(64')가 안착되고, 상기 버스바(64')상에는 다시 절연판(62)이 설치된다, 상기 절연판(62) 상에는 상기 버스바(64)가 위치된다. 이때, 상기 버스바(64)의 결합단자부(66)에는 체결볼트(70)가 결합된 상태이다. 상기 체결볼트(70)가 상기 결합단자부(66)의 관통공(67)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체결볼트(70)의 나사부(74)를 상기 관통공(67)에 결합단자부(66)의 배면에서부터 삽입한다. 상기 나사부(74)가 상기 결합단자부(66)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스페이서부(76)의 외면을 둘러 형성된 각각의 걸이홈(78)의 입구에 상기 결합단자부(66)의 걸이돌기(68)가 위치된다. 특히, 상기 걸이돌기(68)의 걸이턱(68')이 상기 걸이홈(78)의 입구에 위치된다. 상기 지지판(72)을 상기 걸이돌기(68)의 선단에 밀착되게 하면 상기 걸이턱(68')이 상기 걸이홈(78)의 내부에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70)를 약간 회전시키면 상기 걸이턱(68')이 상기 걸이홈(78)의 내부에 걸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72)의 양측 변은 상기 결합단자부(66)의 양측 변과 나란히 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좋다.
상기 버스바(64)가 상기 절연판(62)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커버(60)와 메인몸체(50)가 서로 결합된다. 이들의 결합은 상기 걸이편(56)과 결합턱(6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몸체(50)의 상면에 형성된 부품장착부(52)에는 각각 해당되는 부품(54)이 장착된다.
상기 하부커버(60)와 메인몸체(50)가 결합될 때, 상기 버스바(64)의 결합단자부(66)는 상기 결합단자부설치부(58)의 설치공간(58')내에 결합단자부설치부(58)의 하부를 통해 삽입된다. 이는 상기 설치공간(58')이 메인몸체(50)의 하부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결합단자부(66)에 설치된 체결볼트(70)가 상기 결합단자부설치부(58)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측방지지리브(59)와 후방지지리브(59')가 상기 체결볼트(70)를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체결볼트(70)가 설치된 결합단자부(66)가 설치공간(58')에 삽입완료된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지지리브(59)는 상기 지지판(72)의 양측면을 지지하고, 후방지지리브(59')는 지지판(72)의 일측 외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70)가 중앙을 관통하게 전원단자가 상기 결합단자부(66)에 밀착되고, 상기 체결볼트(70)의 나사부(74)에 너트가 체결되면 상기 전원단자가 결합단자부(66)에 밀착되어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너트는 전동공구에 의해 상기 체결볼트(70)의 나사부(74)에 체결되는데, 전공공구의 회전력이 작용할 때, 상기 체결볼트(70)는 상기 결합단자부(66)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측방지지리브(59)와 후방지지리브(59')에 의해 지지되어 있어 회전력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박스몸체(50)와 하부커버(60)의 사이에는 절연판(62)이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절연판(62) 하부와 하부커버(60)사이에 위치되는 버스바(64')는 사용되지 않게 된다.
50: 메인몸체 52: 부품장착부
54: 부품 56: 걸이편
58: 결합단자부설치부 58': 설치공간
60: 하부커버 62: 절연판
64,64': 버스바 66: 결합단자부
67: 관통공 68: 걸이돌기
68': 걸이턱 70: 체결볼트
72: 지지판 74: 나사부
76: 스페이서부 78: 걸이홈

Claims (6)

  1. 상면에 부품장착부가 형성되고 하부 및 측방향으로 내부의 설치공간이 개방되게 결합단자부설치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메인몸체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커버와,
    상기 메인몸체와 하부커버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부품장착부에 장착되는 부품과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며 일측에 상기 결합단자설치부에 위치되어 외부의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결합단자부가 일측에 형성되는 버스바와,
    상기 결합단자부를 관통하여 결합단자부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단자설치부에 위치되고 상기 전원단자를 결합단자부에 결합시키는 너트가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단자부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체결볼트와의 결합을 위한 걸이턱이 형성된 걸이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는 사각판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서 돌출되어 상기 결합단자부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너트와 체결되는 나사부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판과 나사부의 사이에는 스페이서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스페이서부에는 상기 결합단자부의 걸이돌기가 걸어지는 걸이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홈은 그 입구에 비해 내측의 폭이 더 넓게 형성되어 상기 걸이돌기의 걸이턱이 입구를 통해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단자부와 체결나사가 상대 회전함에 의해 걸이턱이 걸이홈의 내부에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박스.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자부설치부의 내면에는 상기 체결돌트의 지지판 양측면을 지지하는 측방지지리브와 상기 지지판의 외면을 지지하는 후방지지리브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간의 내부에 체결볼트가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박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지지리브는 상기 결합단자부설치부의 내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박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에 상기 결합단자부의 후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걸이돌기는 상기 결합돌기의 선단에 직교하게 절곡되는데, 각각의 걸이돌기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박스.
KR2020100009799U 2010-09-17 2010-09-17 차량용 박스 KR2012000223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799U KR20120002235U (ko) 2010-09-17 2010-09-17 차량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799U KR20120002235U (ko) 2010-09-17 2010-09-17 차량용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235U true KR20120002235U (ko) 2012-03-27

Family

ID=46179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799U KR20120002235U (ko) 2010-09-17 2010-09-17 차량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223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415U (ko) 2015-07-21 2017-02-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기적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415U (ko) 2015-07-21 2017-02-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기적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0914B2 (ja) 電気接続箱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5836811B2 (ja) ねじ締めブロックの接続構造
JP6174759B2 (ja) 保護導体ブリッジを備えるプラグコネクタ
KR20060045066A (ko) 전기기기의 단자 장치
KR20090008655U (ko) 박스의 브라켓 장착구조
JP5836810B2 (ja) 電気接続箱のねじ締めブロック組付構造
US9130360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20120131216A (ko) 전기 정션박스의 조립구조
KR20140136152A (ko) 정션박스
JP2011234484A (ja) 係止構造
KR101787068B1 (ko) 박스와 그 조립방법
KR20120002235U (ko) 차량용 박스
JP4914746B2 (ja) 電気接続箱のハーネス付設構造
JP6327596B2 (ja) 電気接続箱
KR20090006803U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버스바고정구조
KR100783163B1 (ko) 정션박스
KR200436538Y1 (ko) 퓨즈박스의 버스바 장착구조
KR100944013B1 (ko) 박스
JP2020188533A (ja) 電気接続箱
KR200458067Y1 (ko) 조인트 박스
JP4856517B2 (ja) 電力分配装置
JP2009207221A (ja) 分岐端子箱
KR100907539B1 (ko) 퓨즈박스 용 버스바 고정구조
JP2013021757A (ja) 電気接続箱
KR20090004245U (ko) 퓨즈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