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902A - 스티프너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 - Google Patents

스티프너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3902A
KR20190043902A KR1020170135986A KR20170135986A KR20190043902A KR 20190043902 A KR20190043902 A KR 20190043902A KR 1020170135986 A KR1020170135986 A KR 1020170135986A KR 20170135986 A KR20170135986 A KR 20170135986A KR 20190043902 A KR20190043902 A KR 20190043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stiffener
surface por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6767B1 (ko
Inventor
양우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5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767B1/ko
Priority to TW107123781A priority patent/TWI793140B/zh
Priority to JP2018131955A priority patent/JP7251719B2/ja
Publication of KR20190043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1Arrangements for reducing stress or warp in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e.g. caused by loads, vibrations or differences in thermal expan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티프너는, 인쇄회로기판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면에 실장되는 소자를 노출시키는 개구를 구비한 상면부; 및 상기 상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티프너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STIFFENER AND PACKAGE SUBSTRAT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티프너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에 관한 것이다.
패키지 기판의 박판화에 따라 박판 인쇄회로기판의 어셈블리 시 효과적으로 휨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휨을 제어하고, 안정적으로 마더 보드(mother board)에 인쇄회로기판을 부착하는 것은 어셈블리 수율 향상 및 원가 절감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휨을 제어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에 강성을 부여하는 보강부재가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10- 2010-0134338호 (공개: 2010.12.23)
본 발명은 휨을 제어하도록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스티프너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면에 실장되는 소자를 노출시키는 개구를 구비한 상면부; 및 상기 상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스티프너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절연층 및 회로층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의 소자 실장 영역에 실장되는 소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티프너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프너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소자 실장 영역을 노출시키는 개구가 마련된 상면부; 및 상기 상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를 나타낸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를 나타낸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기판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기판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기판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기판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기판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스티프너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100)는, 인쇄회로기판(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부(110); 및 측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티프너(100)는 인쇄회로기판(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인쇄회로기판(200) 핸들링 시 발생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200)의 휨(warpage)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인쇄회로기판(200)에 칩과 같은 소자(300)가 실장되고, 인쇄회로기판(200)이 메인 보드(400)에 접합되는 동안에 발생할 수 있는 휨을 제어하기 위하여, 인쇄회로기판(200)에 스티프너(100)가 임시 부착된다. 스티프너(100)의 역할이 종료되면, 최종 제품에서는 스티프너(100)가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스티프너(100)는 다수의 인쇄회로기판에 대해 반복적, 영구적으로 재사용될 수 있다.
스티프너(100)는 SUS(stainless steel), 구리(Cu)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스티프너(100)는 상면부(110) 및 측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부(110)는 인쇄회로기판(200)의 상면에 결합되어 인쇄회로기판(20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200)의 상면은 인쇄회로기판(200)의 측면을 제외한 두 개의 면 중에 소자(300)가 실장되는 면이다. 반대로, 하면은 상면과 평행하게 대향하는 면이고, 메인 보드(400)와 접합되는 면이다. 즉, 상면과 하면의 개념은 기능 및 다른 부품과의 결합관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지, 최종 제품에서의 상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면부(110)에는 개구(111)가 마련되고, 개구(111)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200) 상면에 실장된 소자(300)가 노출된다. 상면부(110)에 개구(111)가 없다면 소자(300) 실장이 스티프너(100)에 의해 방해받기 때문에 소자(300)를 노출시키는 개구(111)는 필요하다. 개구(111)의 면적은 소자(300)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면부(110)는 인쇄회로기판(200) 상면의 소자 실장 영역(M)을 제외한 더미(dummy)(D)에 위치하고, 개구(111)는 더미(D) 외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면부(110)는 인쇄회로기판(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 액자와 같은 형상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00)에 실장되는 소자(300)는 복수일 수 있다. 이 경우에 개구(111)는 한 개일 수 있고, 한 개의 개구(111)가 복수의 소자(300)를 한꺼번에 노출시킬 수 있다. 개구(111)가 복수로 형성되고, 각각의 소자(300)는 각각의 개구(111)에 의하여 노출될 수도 있다.
상면부(110)의 두께는 다양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200)의 층 수, 두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면부(110)의 두께는 소자의 두께 이상일 수 있다.
측면부(120)는 상면부(110)로부터 연장되고, 인쇄회로기판(200)의 측면에 결합된다. 즉, 측면부(120)는 상면부(110)로부터 인쇄회로기판(200)의 측면을 따라 인쇄회로기판(200)의 하면 측으로 연장되고, 인쇄회로기판(200)의 측면을 커버한다. 측면부(120)는 상면부(110)의 최외곽 지점에서 연장될 수 있다.
측면부(120)는 인쇄회로기판(200)의 측면에 부착되거나 인쇄회로기판(200)의 측면에 형성된 홈(240)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200)은 측면부(120)에 의하여 구속될 수 있다.
측면부(120)는 복수로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200)의 측면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부(120)는 4개로 구성되고, 인쇄회로기판(200)의 4개의 측면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또는 4개의 측면부(120)가 인쇄회로기판(200)의 측면 모서리 4개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측면부(120)는, 각각의 측면들이 서로 접하도록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회로기판(200)의 측면의 전면(全面)은 측면부(120)에 의하여 모두 커버될 수 있다.
측면부(120)의 수직 길이는 인쇄회로기판(200)의 두께 이상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100)는, 인쇄회로기판(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부(110); 및 측면부(120)를 포함하고, 하면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면부(130)는 측면부(120)의 하단으로부터 인쇄회로기판(200)의 하면 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즉, 측면부(120)의 상단은 상면부(110)에 연결되고, 측면부(120)의 하단은 하면부(130)와 연결된다. 하면부(130)는 인쇄회로기판(200)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꺾어져 형성되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200)이 스티프너(100)에 강력하게 구속될 수 있다. 상면부(110), 측면부(120), 하면부(130)를 포함하는 스티프너(100)는 인쇄회로기판(200)을 감싸 쥐게 된다.
하면부(130)의 길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인쇄회로기판(200)의 하면에 형성되는 솔더볼(S)과 접촉되지 않는 정도의 길이다.
하면부(130)는 상면(132)과 하면(131)을 포함할 수 있다. 하면부(130)의 상면(132)은 인쇄회로기판(200)의 하면(131)과 대향하고, 하면부(130)의 하면(131)은 하면부(130)의 상면(132)과 서로 반대쪽을 향하고 있다. 하면부(130)의 상하면(131, 132)은 서로 평행하고, 인쇄회로기판(200)의 하면과도 평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회로기판(200)은 하면부(130)의 상면(132) 전체와 접촉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100)는, 인쇄회로기판(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부(110); 및 측면부(120)를 포함하고, 하면부(130) 및 돌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40)는 상면부(110)에 개구(111)를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측으로 돌출된다. 돌출부(140)는 개구(111)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돌출부(140)는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돌출부(140)에 내측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면부(110)가 아래로 볼록하게 휘어지고, 이에 따라 한 쌍의 측면부(120)가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내측'은 개구(111)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측면부(120)는 적어도 두 개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측면부(120)가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한 인쇄회로기판(200)의 측면에 하나씩 배치된다. 이 때, 돌출부(140)와 측면부(120)는 서로 동일한 측면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200)의 측면이 1면, 2면, 3면, 4면의 4개로 구성되는 경우, 한 쌍의 측면부(120) 각각이 1면과 3면에 형성되고, 한 쌍의 돌출부(140) 각각 역시 1면과 3면 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돌출부(140)에 내측으로 힘이 가해지면, 1면과 3면에 각각 위치한 한 쌍의 측면부(120)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다.
스티프너(100)가 인쇄회로기판(200)에 결합되면, 인쇄회로기판(200)은 측면부(120) 또는 측면부(120)와 하면부(130)에 의하여 스티프너(100)에 구속된다. 돌출부(140)에 내측으로 힘이 가해지면, 결과적으로 측면부(120)가 외측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200)은 구속 해제될 수 있다. 즉, 스티프너(100)가 인쇄회로기판(200)으로부터 분리될 때, 돌출부(140)에 내측으로 힘이 가해질 수 있다. 한편, 스티프너(100)가 인쇄회로기판(200)을 구속할 때에도 돌출부(140)에 내측으로 힘이 가해져 측면부(120)가 외측으로 벌어진 후에 스티프너(100)가 인쇄회로기판(20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결국, 인쇄회로기판(200)이 스티프너(100)에 구속되고 구속 해제될 때 모두 돌출부(140)에 내측으로 힘이 가해질 수 있다. 힘을 가하는 주체는 외부 장치의 지그(jig)일 수 있다.
한편, 돌출부(140)의 기능이 발휘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스티프너(100) 상면부(110)를 이루는 금속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탄성을 가질 만큼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100)는, 인쇄회로기판(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부(110); 및 측면부(120)를 포함하고, 하면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면부(130)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하면부(130)의 하면(131)에 제1 경사면(131a)이 포함되고, 하면부(130)의 상면(132)에 제2 경사면(132a)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하면부(130)의 하면(131) 전체가 제1 경사면(131a)일 수 있다. 제1 경사면(131a)은 측면부(120)와 이루는 각도가 90도보다 작다. 여기서, 경사면과 측면부(120)가 이루는 각도는 경사면과 측면부(120)가 상측에서 이루는 각도이다. 즉, 제1 경사면(131a)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인쇄회로기판(200) 하면과 가까워진다. '외측'은 측면부(120) 쪽이고, '내측'은 그 반대 쪽이다.
하면부(130)가 하면(131)에 제1 경사면(131a)을 포함하는 경우에, 스티프너(100)가 인쇄회로기판(200)을 향하여 수직 하향 이동하는 경우, 스티프너(100)가 인쇄회로기판(200)에 미끄러져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하면부(130)의 상면(132) 전체는 제2 경사면(132a)이다. 제2 경사면(132a)은 측면부(120)와 이루는 각도가 90도보다 크다. 즉, 제2 경사면(132a)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인쇄회로기판(200) 하면과 멀어진다. 결국, 제1 경사면(131a)과 제2 경사면(132a)은 하면부(130)의 단부에서 서로 만나게 되고, 하면부(130)의 종단면에서 제1 경사면(131a)과 제2 경사면(132a)은 서로 만나 삼각형의 꼭지점을 이룬다.
하면부(130)가 상면(132)에 제2 경사면(132a)을 포함하는 경우에, 스티프너(100)가 인쇄회로기판(200)으로부터 수직 상향 이동하는 경우, 스티프너(100)가 인쇄회로기판(200)으로부터 미끄러져 분리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하면부(130)는 경사면을 포함하지만, 인쇄회로기판(200) 하면과 평행한 면(이하, 평행면이라고 함)도 포함한다. 즉, 하면부(130)의 하면(131)은 '평행면+제1 경사면(131a)'으로 이루어지고, 하면부(130)의 상면(132)은 '평행면+제2 경사면(132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하면부(130)의 상면(132)에 위치한 평행면은 인쇄회로기판(200)의 하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면부(130)의 상면(132)은 평행면+제2 경사면(132a)으로 이루어지되, 하면부(130)의 하면(131)은 평행면이 없이 제1 경사면(131a)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복수의 측면부(120)에 각각 하면부(130)가 연장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 모든 하면부(130)에 경사면이 포함될 필요가 없다. 즉, 도 5A,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하면부(130)의 일부에는 경사면이 포함되고, 나머지에는 경사면이 포함되지 않고, 평행면만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100)가 돌출부(140)를 포함하는 경우, 돌출부(140)가 형성된 쪽의 하면부(130)에는 경사면이 포함되지 않고 평행면만 형성되고, 돌출부(140)가 형성되지 않은 쪽의 하면부(130)에는 경사면이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스티프너(100)가 인쇄회로기판(200)에 탈착 시, 경사면이 없는 하면부(130)는 돌출부(140)의 기능에 따라 외측으로 회전 이동하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200)과 접촉되지 않고, 경사면이 포함된 하면부(130)는 외측으로 회전 이동 하지 않아 인쇄회로기판(200)과 접촉되더라도 인쇄회로기판(200)에 미끄러져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200)의 측면이 1면, 2면, 3면, 4면의 4개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측면부(120)가 1면, 2면, 3면, 4면에 하나씩 형성되고, 한 쌍의 돌출부(140) 각각이 1면과 3면 측에 형성된다면, 1면과 3면에 위치한 하면부(130)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고, 평행면만 형성되며, 2면과 4면에 위치한 하면부(130)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티프너(100)가 인쇄회로기판(200)에 결합 또는 분리될 때에는, 한 쌍의 돌출부(140)에 내측으로 힘이 가해지고, 1면과 3면에 형성된 측면부(120)는 바깥으로 벌어지고, 1면과 3면에 형성된 하면부(130)는 인쇄회로기판(200)과 접촉되지 않는다. 반대로 2면과 4면에 위치한 측면부(120)는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으므로 원래의 상태를 유지한 채로 수직 이동을 하게 되고, 다만, 경사면에 의하여 인쇄회로기판(200)에 대해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100)는, 인쇄회로기판(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부(110); 및 측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측면부(120)는 인쇄회로기판(200)의 일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면부(120)의 수평길이는 인쇄회로기판(200)의 일측면의 수평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부(120)가 형성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200) 측면이 존재하고, 인쇄회로기판(200)과 스티프너(100)가 결합될 때, 스티프너(100)가 인쇄회로기판(200)을 향하여 수평 이동할 수 있고, 스티프너(100)의 측면부(120)가 존재하지 않는 쪽으로 인쇄회로기판(200)이 삽입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00)과 스티프너(100)가 분리될 때 역시, 스티프너(100)가 인쇄회로기판(200)으로부터 수평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스티프너(100)는 돌출부(140)를 포함할 수 있고,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측면부(120)가 형성되는 위치는 돌출부(140)가 형성되는 쪽의 인쇄회로기판(200) 측면과 일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140)에 내측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측면부(120)가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프너(100)는, 인쇄회로기판(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부(110); 및 측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측면부(120)의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의 측면과 대향하는 면(121)이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이러한 볼록한 곡면(121)의 측면부(120)는 인쇄회로기판(200)의 홈(240)에 삽입되기 용이하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기판은, 절연층(R) 및 회로층(C)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200);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의 상면의 소자 실장 영역(M)에 실장되는 소자(칩 등)(300);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티프너(1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티프너(100)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즉, 상기 스티프너(1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의 상면(210)에 결합되고, 상기 소자 실장 영역(M)을 노출시키는 개구(111)가 마련된 상면부(110); 및 상기 상면부(11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의 측면(220)에 결합되는 측면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120)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의 하면(230) 측으로 연장되는 하면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티프너(100)는 상기 상면부(110)에 상기 개구(111)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120)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측면부(12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의 측면(220)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기판은, 인쇄회로기판(200), 소자(칩 등)(300), 스티프너(100)를 포함하고, 메인 보드(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보드(400)는 인쇄회로기판(200)의 하면(230)에 솔더볼(S)을 매개로 접합될 수 있다.
스티프너(100)는 소자(300)가 인쇄회로기판(200)에 실장되고, 인쇄회로기판(200) 하면(230)에 솔더볼(S)이 어태치(attach)되고, 솔더볼(S)을 매개로 인쇄회로기판(200)이 메인 보드(400)는 접합되는 동안, 인쇄회로기판(200)의 휨을 제어한다. 특히, 인쇄회로기판(200)이 메인 보드(400)에 접합될 때, 리플로우(reflow)공정을 거치는 경우에, 박판의 인쇄회로기판(200)이 휘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리플로우 공정에서 스티프너(100)가 인쇄회로기판(200)의 형상을 유지시켜줄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00)이 메인 보드(400)에 접합된 후에는 스티프너(100)가 인쇄회로기판(2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스티프너(100)에 돌출부(140)가 형성된 경우에는 돌출부(140)에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측면부(120)가 외측으로 회전 이동하고, 인쇄회로기판(200)이 스티프너(10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면부(130)의 하면(131)에 제1 경사면(131a)이 포함되고, 상기 하면부(130)의 상면(132)에 제2 경사면(132a)이 포함되고, 상기 측면부(120)와 상기 제1 경사면(131a)이 이루는 각도는 90도보다 작고, 상기 측면부(120)와 상기 제2 경사면(132a)이 이루는 각도는 90도보다 큰 경우에, 경사면이 인쇄회로기판(200)에 미끄러져 이동하기 때문에, 스티프너(100)의 인쇄회로기판(200)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티프너(100)의 측면부(12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의 적어도 일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의 측면에 홈(240)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120)는 상기 홈(24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1과 같이, 인쇄회로기판(200)의 측면 홈(240) 내부는 각진 형상일 수 있고, 도 12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00)의 측면 홈(240) 내부는 곡면일 수 있다. 측면 홈(240) 내부가 곡면, 특히 반원 기둥인 경우, 드릴(drill) 비트와 같은 장치로 반원 기둥의 홀을 인쇄회로기판(200)에 형성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200)의 측면 홈(240)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인쇄회로기판(200)의 측면 홈(240)이 어떤 형상을 가지든, 스티프너(100)의 측면부(120) 형상과 적어도 일부가 일치하여야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스티프너
110: 상면부
111: 개구
120: 측면부
130: 하면부
131: 하면부의 하면
131a: 제1 경사면
132: 하면부의 상면
132a: 제2 경사면
140: 돌출부
200: 인쇄회로기판
R: 절연층
C: 회로층
210: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M: 소자 실장 영역
D: 더미 영역
220: 인쇄회로기판의 측면
230: 인쇄회로기판의 하면
240: 홈
300: 소자
400: 메인 보드
S: 솔더

Claims (19)

  1. 인쇄회로기판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면에 실장되는 소자를 노출시키는 개구를 구비한 상면부; 및
    상기 상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스티프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면 측으로 연장되는 하면부를 더 포함하는 스티프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의 하면에 제1 경사면이 포함되고
    상기 측면부와 상기 제1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는 90도보다 작은 스티프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의 상면에 제2 경사면이 포함되고,
    상기 측면부와 상기 제2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는 90도보다 큰 스티프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측면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스티프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에 상기 개구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스티프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부에 내측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상면부가 아래로 볼록하게 휘어지고,
    상기 측면부가 외측으로 회전하는 스티프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적어도 일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스티프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과 대향하는 면이 볼록한 곡면인 스티프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스티프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더미 영역에 결합되는 스티프너.
  12. 절연층 및 회로층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의 소자 실장 영역에 실장되는 소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티프너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프너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소자 실장 영역을 노출시키는 개구가 마련된 상면부; 및
    상기 상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에 결합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프너는, 상기 측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면 측으로 연장되는 하면부를 더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의 하면에 제1 경사면이 포함되고,
    상기 하면부의 상면에 제2 경사면이 포함되고,
    상기 측면부와 상기 제1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는 90도보다 작고,
    상기 측면부와 상기 제2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는 90도보다 큰 패키지 기판.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측면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패키지 기판.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프너는, 상기 상면부에 상기 개구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적어도 일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패키지 기판.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패키지 기판.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면에 접합되는 메인 보드를 더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
KR1020170135986A 2017-10-19 2017-10-19 스티프너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 KR102516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986A KR102516767B1 (ko) 2017-10-19 2017-10-19 스티프너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
TW107123781A TWI793140B (zh) 2017-10-19 2018-07-10 加固物以及具備該加固物的封裝基板
JP2018131955A JP7251719B2 (ja) 2017-10-19 2018-07-12 スティフナ及びこれを含むパッケージ基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986A KR102516767B1 (ko) 2017-10-19 2017-10-19 스티프너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902A true KR20190043902A (ko) 2019-04-29
KR102516767B1 KR102516767B1 (ko) 2023-03-31

Family

ID=66282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986A KR102516767B1 (ko) 2017-10-19 2017-10-19 스티프너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251719B2 (ko)
KR (1) KR102516767B1 (ko)
TW (1) TWI79314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5849B2 (en) 2020-03-27 2022-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package having stiffener
KR20220096398A (ko) 2020-12-31 2022-07-07 스노우화이트팩토리(주)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95252A (zh) * 2022-06-20 2023-12-26 华为技术有限公司 电路板组件、电子设备及电路板组件的制作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6296A (ja) * 2002-05-17 2005-09-02 ヴィズテック,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電気光学表示装置の可撓性を高める複合構造
KR20100134338A (ko) 2009-06-15 2010-12-23 (주)인터플렉스 인쇄회로기판용 보강판 및 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KR20130068901A (ko) * 2011-12-16 2013-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쉴드캔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150046491A (ko) * 2013-10-22 2015-04-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20150113725A (ko) * 2014-03-31 2015-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쉴드캔 고정구조
KR20160087470A (ko) * 2015-01-13 2016-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2017045985A (ja) * 2015-08-28 2017-03-02 斐成企業股▲分▼有限公司 回路板、電子素子の殻体及び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4966B2 (ja) * 1995-09-29 1998-10-27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4096808B2 (ja) * 2003-05-15 2008-06-04 エプソントヨコム株式会社 電子部品用パッケージ及びこれを用いた圧電発振器
JP4116017B2 (ja) * 2005-05-25 2008-07-09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
JP2011066027A (ja) * 2009-09-15 2011-03-31 Nec Corp 矯正キャップ
US8283777B2 (en) * 2010-03-05 2012-10-0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Compressive ring structure for flip chip packaging
US20110235304A1 (en) * 2010-03-23 2011-09-29 Alcatel-Lucent Canada, Inc. Ic package stiffener with beam
TWI516664B (zh) * 2013-06-04 2016-01-11 坴賦佳金屬有限公司 綠建材多層次防火複合鋼板結構
US20160073493A1 (en) * 2014-09-05 2016-03-10 Andrew KW Leung Stiffener ring for circuit boar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6296A (ja) * 2002-05-17 2005-09-02 ヴィズテック,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電気光学表示装置の可撓性を高める複合構造
KR20100134338A (ko) 2009-06-15 2010-12-23 (주)인터플렉스 인쇄회로기판용 보강판 및 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KR20130068901A (ko) * 2011-12-16 2013-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쉴드캔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KR20150046491A (ko) * 2013-10-22 2015-04-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20150113725A (ko) * 2014-03-31 2015-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쉴드캔 고정구조
KR20160087470A (ko) * 2015-01-13 2016-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2017045985A (ja) * 2015-08-28 2017-03-02 斐成企業股▲分▼有限公司 回路板、電子素子の殻体及びフィル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5849B2 (en) 2020-03-27 2022-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package having stiffener
KR20220096398A (ko) 2020-12-31 2022-07-07 스노우화이트팩토리(주)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6767B1 (ko) 2023-03-31
JP7251719B2 (ja) 2023-04-04
JP2019080040A (ja) 2019-05-23
TWI793140B (zh) 2023-02-21
TW201918130A (zh) 2019-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1015B2 (en) Internal component arrangement within a housing
KR20190043902A (ko) 스티프너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 기판
JP2007059586A (ja) 回路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90006777A1 (en) Printed Circuit Board Solder Joints
KR101462728B1 (ko) 기판 캐리어 지그
US10912219B2 (en) Waterproof structure
US8480411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assembly
JP4279268B2 (ja) ソケット接続用のシュラウド、及び、シュラウドを対応するソケットと組み立てる方法
JP4649098B2 (ja) 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半導体装置、電子モジュール並びに電子機器
US6178095B1 (en) Structure for fixing an element to a printed wiring board,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the structure
US20070170626A1 (en) Panel positioning device
JP2006253442A (ja)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の製造方法、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07012934A (ja) フレキシブル配線板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板の接続構造
JP2005086169A (ja) 半導体装置製造用治具、半導体装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US20110240325A1 (en) Printed Wiring Board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090057374A1 (en) Hot-bar soldering tool head
US10887983B2 (en) Printed circuit board
JP4912281B2 (ja) 回路基板のはんだ付け用治具
JP2010010212A (ja) プリント回路板、電子機器および半導体パッケージ
JP2009290144A (ja) 電子機器、プリント回路板、およびこのプリント回路板の製造方法
KR102185663B1 (ko) 케이블 커넥터
JP2001156439A (ja) 部品実装用サポート治具
JP2009064799A (ja)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実装体
JP2006202868A (ja) 電子機器の基板取り付け構造
JP2006032693A (ja) はんだ付けパレット及びプリント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