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430A - 높이와 폭이 가변되고 윙바디가 구비된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높이와 폭이 가변되고 윙바디가 구비된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3430A
KR20190043430A KR1020170135499A KR20170135499A KR20190043430A KR 20190043430 A KR20190043430 A KR 20190043430A KR 1020170135499 A KR1020170135499 A KR 1020170135499A KR 20170135499 A KR20170135499 A KR 20170135499A KR 20190043430 A KR20190043430 A KR 20190043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tainer
width
height
right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7980B1 (ko
Inventor
이길봉
Original Assignee
이길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봉 filed Critical 이길봉
Priority to KR1020170135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980B1/ko
Publication of KR20190043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05Large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e.g. with movable or adjustable walls or wall parts, mod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7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open-sided container, i.e. having substantially the whole side free to provide access, with or without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58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by displacement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65D90/14Legs, e.g.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의 적재되는 공간을 높이는 물론 좌우 폭을 가변되도록 하여 적재되는 화물의 크기나 양에 따라서 효율적인 화물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한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컨테이너는 바닥판과 상판이 전면판과 후면판에 의해 일정높이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판의 좌우 양측에는 폭조절장치에 의해 슬라이드 작동으로 폭이 조절되는 슬라이드판이 장착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판에 장착된 슬라이드판 좌우 양측에는 상,하로 위치된 슬라이드판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이 형성되어 컨테이너 좌우 양 측면 각각이 하나의 틀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바에는 폭 조절시에 전면판과 후면판의 좌우 양측으로 슬라이드 작동되는 폭조절판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좌우 양측에 장착된 슬라이드판에는 개폐장치를 통해 상향으로 절첩으로 개폐되는 윙바디를 장착토록 한 것이다.
또한 전면판과 후면판과 연결바는 하부체와 상부체로 구분하여 내측으로 높이조절장치를 장착하여 상부체가 승강되어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컨테이너가 높이가 조절된 만큼 윙바디 내측에는 하방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판을 장착토록 한 것이다.
또한 연결바의 하단에는 컨테이너를 지면에서 부상시키는 리프트를 구비하여 컨테이너를 트랙터에 장착할 때 운반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높이와 폭이 가변되고 윙바디가 구비된 컨테이너{Container with variable height and width and wingbody}
본 발명은 화물을 적재하고 운송하는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물의 적재되는 공간을 높이는 물론 좌우 폭을 가변되도록 하여 적재되는 화물의 크기나 양에 따라서 효율적인 화물적재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을 운반할 경우에는 전방에 운전을 위한 탑승부와 후방에 적재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화물트럭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화물트럭은 화물을 단순히 운반하는 기능에 불과하며, 화물을 적재하는 용량이 한정되어 있고, 적재공간의 지상고가 높아 적재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적재된 화물은 외부에 노출되는 구조로 끈이나 방수천을 사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거나 덮어서 화물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운송된 후에는 적재된 화물을 다시 하차해야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운송업을 하는 기사나 업체에서는 많은 시간과 금전적인 손해가 발생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직사각형의 박스형으로 이루어져 후면에 개폐문이 형성된 컨테이너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컨테이너는 화물트럭보다 많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상상태나 여건에 따라서 화물이 손상되지 않게 안전한 운반이 가능하고,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대형의 트레일러 적재공간에 컨테이너를 상,하차 함으로써 운송에 따른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컨테이너는 구조상 화물을 적재할 때 개폐문을 통해서만 적재가 가능하기 때문에 화물을 적재하는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와 대형의 기계장치나 고중량의 화물은 적재공간의 한정으로 적재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즉, 후방의 개폐문을 통해서 화물을 내부 안쪽부터 차곡차곡 쌓아야 하기 때문에 화물 적재의 어려움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적재공간이 밀폐되어 규격화된 는 것이다.
따라서 화물의 적재가 용이한 윙바디 트레일러가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윙바디 트레일러는 탑승부의 후방에 적재공간을 구비한 적재함이 일체로 형성되어 적재함의 좌우 양측으로 상향으로 개폐되는 개폐문에 의해 화물이 적재되는 것이다.
그러나 윙바디 트레일러는 화물의 적재가 용이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적재공간이 한정되어 대형의 기계장치나 반도체 같은 전자장비나 고중량의 화물은 적재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결국 이러한 대형의 기계장치나 고중량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적재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대형의 트레일러의 적재배드에 적재한 후에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수단으로 고정하고 있으며, 습하거나 우천시에는 방수막으로 덮어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럴 경우에 반도체 장비나 전자장비는 습기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완벽한 밀폐보관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고장의 원인이 발생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 좌우 폭만 조절되는 확장형 컨테이너가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컨테이너는 단순히 좌우 폭만 조절되고 높이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컨테이너보다 높이가 큰 대형의 기계장치나 전자장비는 적재가 불가능하고, 또한 화물을 적재하는 구조가 어려운 문제가 있는 것이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20-0448692 (2010.04.30)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테이너의 측면 전체가 개폐되는 윙바디를 구비하여 대량의 화물 적재작업이 용이하면서 운송용 컨테이너의 규격을 유지하는 범위내에서 많은 화물의 적재와 기계장치나 전자장비와 같은 대형의 화물을 크기에 상관없이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공간의 좌우 폭은 물론 높이까지 조절하여 가변토록 하고, 컨테이너를 트랙터로 장착이 용이토록 한 것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의 본 발명은,
바닥면과 상면과 상기 바닥면과 상면을 일정높이로 이격시키는 전면과 후면으로 형성되고, 좌우 양측면에는 폭조절장치에 의해 슬라이드로 작동으로 폭이 조절되는 측면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컨테이너에 있어서,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컨테이너의 바닥판과 상판은 전면판과 후면판에 의해 일정높이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판의 좌우 양측에는 폭조절장치에 의해 슬라이드 작동으로 폭이 조절되는 슬라이드판이 장착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판에 장착된 슬라이드판 좌우 양측에는 상,하로 위치된 슬라이드판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이 형성되어 컨테이너 좌우 양 측면 각각이 하나의 틀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폭 조절시에 전면판과 후면판의 좌우 양측으로 슬라이드 작동되는 폭조절판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좌우 양측에 장착된 슬라이드판에는 개폐장치를 통해 상향으로 절첩으로 개폐되는 윙바디를 장착토록 한 것이다.
또한 전면판과 후면판과 연결바는 하부체와 상부체로 구분하여 내측으로 높이조절장치를 장착하여 상부체가 승강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컨테이너가 높이가 조절될 경우에 높이가 조절된 만큼 노출되는 윙바디 내측에는 하방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판을 장착토록 한 것이다.
또한 연결바의 하단에는 컨테이너를 지면에서 부상시키는 리프트를 구비하여 컨테이너를 트랙터에 장착할 때 운반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윙바디가 구비되는 양측면이 개폐됨에 따라서 많은 화물과 대형의 기계장치나 전자장치의 적재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 적재공간의 좌우 폭은 물론 높이까지 가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화물을 원상태로 적재가능하여 작업시간과 절약과 고장 등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화물적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컨테이너를 지면에서 부상되도록 리프팅함으로써 트랙터에 장착하거나 컨테이너를 다단으로 적층하기 위한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윙바디가 구비된 가변식 컨테이너의 외관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윙바디가 개방된 컨테이너의 저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바닥판 및 상판과 슬라이드판의 결합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바닥판과 상판과 전면판과 후면판의 결합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전면판과 후면판에 마감판체와 폭조절판이 장착되는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 측면에 개폐되는 윙바디가 결합되는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의 폭조절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8은 본 발명의 폭조절 장치로 폭이 조절되는 바닥판과 상판의 작동도.
도9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판이 폭조절을 위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윙바디가 개방 상태를 나타낸 컨테이너의 정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의 높이조절 구조를 나타낸 전면판과 후면판의 또 다른 실 시예를 나타낸 분해도.
도12는 본 발명의 컨테이너가 높이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에 따른 윙바디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14는 본 발명의 적재공간의 밀폐를 나타낸 개략도.
도15는 본 발명의 컨테이너에 리프트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가 리프트장치로 부상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변식 컨테이너(100)의 구성은 내부에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공간(101)이 형성된 직육면체의 바닥판(110)과 상판(120)과 전면판(130)과 후면판(140)과 좌우 양측면에 개폐되는 윙바디(400)로 구성되고 상기 윙바디(400)가 형성된 좌우 양 측면이 좌우로 폭이 조절되어 적재공간(101)이 가변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때 컨테이너(100)의 좌우 폭조절을 위하여, 상기 바닥판(110)과 상판(120)은 전면판(130)과 후면판(140)에 의해 일정높이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110)과 상판(120)의 좌우 양측에는 내삽된 상태에서 폭조절장치(210)에 의해 슬라이드 작동으로 폭이 조절되는 슬라이드판(200)이 장착되고 상기 바닥판(110)과 상판(120)에 장착된 슬라이드판(200) 좌우 양측에는 상,하로 위치된 슬라이드판(200)을 연결하여 동시에 폭이 조절되도록 폭조절판(310)이 장착된 연결프레임(300)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판(200)의 좌우 양측에 장착된 슬라이드판(200)에는 컨테이너(100)의 적재공간(101)으로 화물적재나 대형의 기계장치 또는 전자장치 등의 적재가 용이하도록 개폐장치(410)를 통해 측면 전체가 상향으로 절첩으로 개폐되는 윙바디(400)가 장착되는 것이다.
이때 폭조절을 위한 작동은 컨테이너(100)의 어느 일측에는 조작부가 장착되거나 별도로 구성되는 리모트콘트롤러를 통하여 작업자가 원격조종으로 폭조절장치(210)를 동작시켜 작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바닥판(110)과 상판(120)이 폭이 조절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판(110)과 상판(120)은 일정길이의 관체(112,122)가 일정간격으로 배열형성되고 배열된 상기 관체(112,122) 사이사이에 복수 개의 연결바(113,123)가 공간(114,124)이 형성되도록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베이스프레임(111m12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11,121)의 상단으로 공간이 노출되지 않도록 베이스프레임(111,121)과 동일한 크기의 메인바닥판(115,125)이 마감되어 형성된 것이다.
또한 폭이 조절되는 상기 슬라이드판(20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1,121)의 관체(112,122)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되는 가이드바(221)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프레임바(220)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바(220)의 상면에서 가이드바(221)가 형성된 부분까지 마감을 위한 보조바닥판(230)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바닥판(230)은 메인바닥판(115,125) 상면에서 위치되어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슬라이드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판(200)의 프레임바(220) 높이는 바닥판(110)과 상판(120)의 베이스프레임(111,121)에 메인바닥판(115,125)이 장착된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바(220) 상면에 보조마감판(230)이 형성됨으로써 폭 조절을 위한 작동시에 상기 프레임바(220)가 바닥판(110)과 상판(120)에 밀착되어 출입을 위한 슬라이드 작동이 단속될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바닥판(230)이 메인바닥판(115,125)에서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기밀이 유지된 상태로 폭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면판(130)과 후면판(140)은 외측면으로 마감판체(132,142)가 형성된 수직프레임(131,141)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31,141)은 바닥판(110)과 상판(120)의 전,후방 양측에 위치되어 바닥판(110)과 상판(120)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베이스프레임(111,121)과 연결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31,141)과 마감판체(132,142) 사이에는 전면판(130)과 후면판(140)의 좌우 양측에서 폭이 조절되는 슬라이드판(200)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300)에 장착된 폭조절판(310)이 내입된 상태에서 폭조절을 위한 출입이 가능하도록 폭조절판(310)의 두께만큼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어느 하나의 공간(113)에는 상기 슬라이드판(120)을 슬라이드 작동시키는 위한 폭조절장치(210)가 장착하여 적재공간(101)으로 폭조절장치(21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적재공간(101)을 활용하면서도 폭조절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폭조절장치(210)는 공간(114,124)에 위치된 상태에서 일단이 내측에 위치된 연결바(113,123)와 고정되고, 타단은 외측에 위치된 연결바(113,123)에 형성된 관통공(113a,123a)을 통해 관통되어 슬라이드판(200)의 프레임바(220)에 고정수단으로 고정장착하여 폭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폭조절장치(210)는 컴프레서와 연결된 유압실린더와 컴프레서에 공급받는 유압으로 실린더로드를 이동시키는 유압방식의 액츄에이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100)는 좌우 폭이 조절됨은 물론 적재되는 화물의 크기에 따라서 높이까지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화물을 보다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면판(130)과 후면판(140)의 수직프레임(131,141)과 연결프레임(300)은 상단에 축바(131a-1,141a-1,300a-1)가 형성된 하부체(131a,141a,300a)와 상기 하부체(131a,141a,300a)의 축바(131a-1,141a-1,300a-1)에 결합되는 상부체(131b,141b,300b)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판(130)과 후면판(140)의 마감판체(132,142)와 폭조절판(310)은 하부체(131a,141a,300a)에 형성되는 하판(132a,142a,310a)과 상부체(131b,141b,300b)에 형성되는 상판(132b,142b,300b)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하부체(300a)에 형성된 축바(300a-1) 내측에는 상부체(300b)를 높이조절시키는 높이조절장치(320)가 장착되어 컨테이너(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장치(320)는 폭조절장치(210)와 동일한 컴프레서와 연결된 유압실린더와 컴프레서에 공급받는 유압으로 실린더로드를 이동시키는 유압방식의 액츄에이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131,141))과 연결프레임(300) 사이에는 폭 조절 및 높이 조절이 되는 구조를 감안하여 조립 틈새에 의해 기밀저하 발생으로 적재공간(101)에 적재되는 화물이 습기로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밀폐구조를 갖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적재공간(101)의 밀폐를 위해서 전면판(130)과 후면판(140)의 내측에 접힘과 펼침으로 폭이 조절되는 방수기능을 갖는 밀폐천(500)을 구비토록 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밀폐천(500)의 일측을 수직프레임(131,141)에 고정하고, 타측은 폭이 조절되도록 이동되는 연결프레임(300)에 고정하여 컨테이너(100)가 폭이 조절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밀폐천(500)이 간결하게 접힘상태를 유지토록 하고, 폭지 조절되면 접혀진 밀폐천(500)이 펼쳐지면서 조립 틈새를 완벽하게 차단하여 적재공간(101)을 완벽하게 밀폐토록 한 것이다.
또한 컨테이너(100)가 높이조절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 밀폐천(500)을 하단과 상단으로 구분하고 높이가 조절되는 높이만큼 중첩구간을 형성하는 중간부분을 형성하여 높이조절시에도 밀폐가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컨테이너(100)의 높이 조절시에 윙바디(400)의 하단에는 높이가 조절된 만큼 노출되는 공간을 차단하도록 슬라이드로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판(420)을 장착토록 한 것이다.
상기 길이조절판(420)의 장착을 위하여 윙바디(400)는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면서 하단에 일정폭을 갖는 개구부(401)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401)를 통해 컨테이너(100)의 높이가 조절된 만큼 길이조절판(420)이 노출되어 개방되는 부분을 가리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길이조절판(420)은 길이 조절시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상단 좌우 양측으로 걸림돌부(421)가 형성되고 하단에 내측방향으로 직교되게 절곡된 받침부(422)가 형성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개구부(401)를 통해 길이조절판(420)의 걸림돌부(421)가 윙바디(400) 내측에 위치되어 걸림되도록 하고, 받침부(422)는 외부에 위치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장착되면서 길이가 조절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윙바디(400)의 측면에는 길이조절판(420)의 길이 조절을 단속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430)을 구비토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길이조절판(420)의 길이 조절을 위한 고정수단(430)은 고정핀 결합으로 고정하는 방식이나 컨테이너(100)가 높이가 조절되는 동시에 높이조절장치(320)와 동시에 작동되는 유압방식으로 구동되는 유압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컨테이너(100)를 운송하기 위하여 트랙터에 운반하거나 여러 개의 컨테이너(100)를 다단으로 적층하기 위하여 컨테이너(100) 바닥면(110)에 리프트장치를 구비하여 컨테이너(100)를 지면에서 부상시켜 운반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즉,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프레임(300)을 관체로 형성하여 내측에 유압방식의 액츄에이터로 작동되는 구동장치(330)를 장착하고 연결프레임(300)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330)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는 리프트바(340)를 장착하여 리프트바(340)가 구동장치(330)에 의해 작동되어 컨테이너(100)가 바닥면에서 부상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부상된 컨테이너(100)를 운반차를 이용하여 이동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100: 컨테이너 101: 적재공간
110: 바닥판 120: 상판
130: 전면판 140: 후면판
200: 슬라이드판 210: 폭조절장치
300: 연결프레임 320: 높이조절장치
330: 구동장치 340: 리프트바
400: 윙바디 410: 개폐장치
420: 길이조절판
500: 밀폐천

Claims (8)

  1. 좌우 폭이 조절되는 육면체로 이루어진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컨테이너에 있어서,
    바닥판(110)과 상판(120)은 전면판(130)과 후면판(140)에 의해 일정높이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110)과 상판(120)의 좌우 양측에는 폭조절장치(210)에 의해 슬라이드 작동으로 폭이 조절되는 슬라이드판(200)이 장착되고,
    상기 바닥판(110)과 상판(120)에 장착된 슬라이드판(200) 좌우 양측에는 상,하로 위치된 슬라이드판(200)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300)이 형성되어 컨테이너(100) 좌우 양 측면 각각이 하나의 틀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300)에는 폭 조절시에 전면판(130)과 후면판(140)의 좌우 양측으로 슬라이드 작동되는 폭조절판(310)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120)의 좌우 양측에 장착된 슬라이드판(200)에는 개폐장치(410)를 통해 상향으로 절첩으로 개폐되는 윙바디(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가 구비된 가변식 컨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10)과 상판(120)은 일정길이의 관체(112,122)가 일정간격으로 배열형성되고 배열된 관체(112,122) 사이에 복수 개의 연결바(113,123)가 공간(114,124)이 형성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연결된 베이스프레임(111,12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1,121)의 상단으로 메인바닥판(115,125)이 마감되어 형성되고,
    폭이 조절되는 상기 슬라이드판(20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1,121)의 관체(112,122)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되는 가이드바(221)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프레임바(220)와 상기 프레임바(220)의 상면에 메인바닥판(115,125)의 상면에서 슬라이드 되는 보조바닥판(230)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130)과 후면판(140)은 바닥판(110)과 상판(120)의 베이스프레임(111,121)을 연결하는 수직프레임(131,141)과 상기 수직프레임(131,141)의 외측면으로 마감판체(132,142)가 형성되어 연결프레임(300)의 폭조절판(310)이 마감판체(132,142)의 내측에 위치되어 슬라이드 작동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가 구비된 가변식 컨테이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11,121)의 공간(114,124)에는 상기 슬라이드판(200)을 슬라이드 작동시키는 위한 폭조절장치(210)가 장착되되, 상기 폭조절장치(210)의 일단은 공간(114,124)의 내측에 위치된 연결바(113,123)와 고정되고, 타단은 외측에 위치된 연결바(113,123)에 형성된 관통공(113a,123a)을 통해 슬라이드판(200)의 프레임바(220)에 고정되어 폭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가 구비된 가변식 컨테이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30)과 후면판(140)의 수직프레임(131,141)과 연결프레임바(300)는 상단에 축바(131a-1,141a-1,300a-1)가 형성된 하부체(131a,141a,300a)와 상기 하부체(131a,141a,300a)의 축바에 결합되는 상부체(131b,141b,300b)로 구분되고,
    상가 전면판(130)과 후면판(140)의 마감판체(132,142)와 연결프레임바(300)d의 폭조절판(310)은 하판(132a,132b,310a)과 상판(132b,142b,310b)으로 구분되고,
    각 연결프레임(300)의 축바(300a-1) 내측에는 상부체(300b)를 높이조절시키는 높이조절장치(320)가 장착되어 컨테이너(100)의 높이가 조절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가 구비된 가변식 컨테이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131,141)과 연결프레임(300) 사이에는 적재공간(101)의 밀폐를 위해 접힘과 펼침으로 폭이 조절되는 밀폐천(50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와 폭이 가변되고 윙바디가 구비된 컨테이너.
  6. 제1항에 있어서,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프레임(300)은 속이 빈 관체로 형성되어 내측에 구동장치(330)가 장착되고 연결프레임(300)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330)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는 리프트바(340)가 장착되어 컨테이너(100)를 지면에서 부상시켜 이동이 용이토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가 구비된 가변식 컨테이너.
  7. 제2항에 있어서,
    컨테이너(100)의 높이 조절시에 윙바디(400)의 하단에는 높이가 조절된 만큼 노출되는 공간을 차단하도록 슬라이드로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판(420)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가 구비된 가변식 컨테이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판(420)의 장착을 위하여 윙바디(400)는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면서 하단에 일정폭을 갖는 개구부(401)가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판(420)은 상단 좌우 양측으로 걸림돌부(421)와 하단에 내측방향으로 직교되게 절곡된 받침부(422)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401)를 통해 길이조절판(420)의 걸림돌부(421)는 윙바디(400) 내측 공간에 위치되고 받침부(422)는 윙바디(400) 외부에 위치되게 장착되고, 윙바디(400) 측면에는 길이조절판(420)의 길이 조절을 단속하는 고정하는 고정수단(43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윙바디가 구비된 가변식 컨테이너.
KR1020170135499A 2017-10-18 2017-10-18 높이와 폭이 가변되고 윙바디가 구비된 컨테이너 KR101997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499A KR101997980B1 (ko) 2017-10-18 2017-10-18 높이와 폭이 가변되고 윙바디가 구비된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499A KR101997980B1 (ko) 2017-10-18 2017-10-18 높이와 폭이 가변되고 윙바디가 구비된 컨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430A true KR20190043430A (ko) 2019-04-26
KR101997980B1 KR101997980B1 (ko) 2019-10-01

Family

ID=6628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499A KR101997980B1 (ko) 2017-10-18 2017-10-18 높이와 폭이 가변되고 윙바디가 구비된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9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784B1 (ko) * 2020-08-12 2020-11-09 김종목 트레일러 장치
KR102607021B1 (ko) * 2023-09-12 2023-11-29 신현식 윙바디 적재함의 개구 차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683B1 (ko) * 2020-11-23 2021-04-08 장경섭 캠핑카의 내부공간 확장장치
KR102366511B1 (ko) 2021-07-01 2022-02-24 주식회사 세종특장 윙바디 적재함의 승강식 윙도어 연동형 방수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174A (ko) * 2001-07-11 2003-01-23 김기수 적재함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윙바디 트럭
KR20040038182A (ko) * 2002-10-31 2004-05-08 임영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윙바디 트럭
KR20050119496A (ko) * 2004-06-16 2005-12-21 (주)알텍 고정장치를 갖춘 윙바디 트레일러의 가변식 적재함
KR200448692Y1 (ko) 2008-06-17 2010-05-07 우용림 확장형 운송 컨테이너
KR101023419B1 (ko) * 2010-09-02 2011-03-24 이숙희 공간이 확장되는 적재함을 갖춘 특장차
KR101597489B1 (ko) * 2015-05-20 2016-02-24 이길봉 적재공간 확장형 트레일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174A (ko) * 2001-07-11 2003-01-23 김기수 적재함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윙바디 트럭
KR20040038182A (ko) * 2002-10-31 2004-05-08 임영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윙바디 트럭
KR20050119496A (ko) * 2004-06-16 2005-12-21 (주)알텍 고정장치를 갖춘 윙바디 트레일러의 가변식 적재함
KR200448692Y1 (ko) 2008-06-17 2010-05-07 우용림 확장형 운송 컨테이너
KR101023419B1 (ko) * 2010-09-02 2011-03-24 이숙희 공간이 확장되는 적재함을 갖춘 특장차
KR101597489B1 (ko) * 2015-05-20 2016-02-24 이길봉 적재공간 확장형 트레일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784B1 (ko) * 2020-08-12 2020-11-09 김종목 트레일러 장치
KR102607021B1 (ko) * 2023-09-12 2023-11-29 신현식 윙바디 적재함의 개구 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7980B1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3430A (ko) 높이와 폭이 가변되고 윙바디가 구비된 컨테이너
EP1796990B1 (en) A large collapsible container with central hinges in side covers
US9103111B2 (en) Deployment shelter
JP5295032B2 (ja) 貨物用コンテナ
KR101026436B1 (ko) 물품 판매를 위한 적재함 분리형 탑차
KR102224293B1 (ko) 컨테이너
US20140202088A1 (en) Deployment shelter
KR20210031219A (ko) 트럭용 윙바디
KR101859873B1 (ko) 윙바디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
US20060016807A1 (en) Foldable freight container
RU193026U1 (ru) Кузов съемного модуля
JP5237068B2 (ja) 荷受台昇降ユニットおよびその搬送方法
KR20140122912A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장치
JP4591822B2 (ja) 貨物自動車の荷物庫用運搬装置、並びに荷物庫用運搬装置を備えた貨物自動車
DE19501111A1 (de) Transportvorrichtung für großvolumiges Stückgut
KR101903680B1 (ko) 적재함의 높이와 폭이 가변되면서 밀폐가 유지되는 가변식 윙바디 트레일러
CN101327867A (zh) 托盘箱及利用该托盘箱装载车门的方法
FI129523B (en) Transport container
EP3599119A1 (de) Feuchtigkeitsdichter planenaufbau
KR200496067Y1 (ko) 화물차의 적재함 탑재용 승강 하우징 프레임
KR20160017392A (ko) 화물차량의 2단 적재장치
CN220639672U (zh) 一种大型货车运输的货物锁紧装置
KR102511274B1 (ko) 개폐구조가 개선된 냉동 윙바디
KR102269565B1 (ko)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
CN107720022A (zh) 一种上开门铁路运输集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