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565B1 -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 - Google Patents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565B1
KR102269565B1 KR1020210066709A KR20210066709A KR102269565B1 KR 102269565 B1 KR102269565 B1 KR 102269565B1 KR 1020210066709 A KR1020210066709 A KR 1020210066709A KR 20210066709 A KR20210066709 A KR 20210066709A KR 102269565 B1 KR102269565 B1 KR 102269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central shaft
loading space
rods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채우
Original Assignee
신제일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제일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제일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6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5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구조 가변형 틀 장치는, 적재 공간의 상부 중앙에 전후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중앙 프레임; 상기 중앙 프레임을 따라 상기 중앙 프레임의 하부에 전후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중앙 축봉; 기단부가 상기 중앙 축봉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수평봉들; 상단부가 상기 제1 수평봉들 각각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수직봉들; 기단부가 상기 중앙 축봉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수평봉들; 상단부가 상기 제2 수평봉들들 각각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수직봉들; 상기 적재 공간 바닥의 좌측 모서리를 따라 어레이되며, 상기 제1 수직봉들이 상기 중앙 축봉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질 때, 상기 제1 수직봉들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좌측 삽입홀들; 상기 적재 공간 바닥의 좌측 모서리를 따라 어레이되며, 상기 제2 수직봉들이 상기 중앙 기준으로 좌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질 때, 상기 제2 수직봉들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2 좌측 삽입홀들; 상기 적재 공간 바닥의 우측 모서리를 따라 어레이되며, 상기 제1 수직봉들이 상기 중앙 축봉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질 때, 상기 제1 수직봉들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우측 삽입홀들; 및 상기 적재 공간 바닥의 우측 모서리를 따라 어레이되며, 상기 제2 수직봉들이 상기 중앙 축봉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질 때, 상기 제2 수직봉들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2 우측 삽입홀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structure variable type frame apparatus for transport}
본 발명은 화물 수송을 위한 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화물 수송을 위해 윙바디 트럭의 화물칸에 설치되며, 화물의 모양, 화물의 양, 또는 화물의 적재 방식에 따라, 구조를 변화시켜 이용할 수 있는,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적재함의 양 측면 덮개를 들어올릴 수 있는 트럭을 흔히 욍바디 또는 윙카로 부른다. 윙바디는 일반적인 카고 트럭과 달리 상부가 덮인 박스형 적재함을 구비하므로 비나 눈과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화물을 보호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적재함 후방에 문이 달린 일반적인 적재함 트럭의 경우, 안쪽에 있는 화물을 빼내기 위해 바깥쪽 화물도 꺼내야 하는 불편한 경우가 있지만, 윙바디는 양 옆면의 덮개를 열고 안쪽 화물과 바깥쪽 화물 모두 손쉽게 꺼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적재함은 원단, 특히, 롤 형태로 감긴 원단이나 파이프 등과 같이 움직임이 있는 화물을 적재할 경우 움직임이나 이탈 등과 같은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봉으로 이루어진 사각 틀을 윙바디의 화물칸에 설치하여 그 사각틀 내에 화물을 적재하는 안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사각틀의 봉들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화물의 모양, 양, 크기 등의 차이로 화물을 싣고 내리는데 그리고 화물을 제자리에 유지시키는데 있어서 불편함과 어려움이 있을 수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79477호(등록일 2016년 1월 26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물 수송을 위해 윙바디 트럭의 화물칸에 설치되며, 화물의 모양, 화물의 양, 또는 화물의 적재 방식에 따라, 구조를 변화시켜 이용할 수 있는,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는, 적재 공간의 상부 중앙에 전후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중앙 프레임; 상기 중앙 프레임을 따라 상기 중앙 프레임의 하부에 전후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중앙 축봉; 기단부가 상기 중앙 축봉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수평봉들; 상단부가 상기 제1 수평봉들 각각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수직봉들; 기단부가 상기 중앙 축봉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수평봉들; 상단부가 상기 제2 수평봉들들 각각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수직봉들; 상기 적재 공간 바닥의 좌측 모서리를 따라 어레이되며, 상기 제1 수직봉들이 상기 중앙 축봉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질 때, 상기 제1 수직봉들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좌측 삽입홀들; 상기 적재 공간 바닥의 좌측 모서리를 따라 어레이되며, 상기 제2 수직봉들이 상기 중앙 기준으로 좌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질 때, 상기 제2 수직봉들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2 좌측 삽입홀들; 상기 적재 공간 바닥의 우측 모서리를 따라 어레이되며, 상기 제1 수직봉들이 상기 중앙 축봉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질 때, 상기 제1 수직봉들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우측 삽입홀들; 및 상기 적재 공간 바닥의 우측 모서리를 따라 어레이되며, 상기 제2 수직봉들이 상기 중앙 축봉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질 때, 상기 제2 수직봉들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2 우측 삽입홀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제1 수평봉의 기단부와 제2 수평봉의 기단부는 서로 인접한 채로 상기 축봉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회전부쉬와 제2 회전부쉬를 포함하고, 상기 축봉의 외주에는 상기 제1 회전부쉬와 상기 제2 회전부쉬가 끼워지는 영역을 피해 상기 중앙 프레임의 하부면에 용접되는 고정부쉬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 수평봉의 선단부는 전방으로 돌출된 제1 축부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2 수평봉의 선단부는 후방으로 돌출된 제2 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봉의 상단부는 상기 제1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베어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직봉의 상단부는 제2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베어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봉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 수직봉보다 작은 단면 크기를 가진 채 상기 제1 좌측 삽입홀 또는 상기 제1 우측 삽입홀에 삽입되는 제1 삽입 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직봉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2 수직봉보다 작은 단면 크기를 가진 채 상기 제2 좌측 삽입홀 또는 상기 제2 우측 삽입홀에 삽입되는 제2 삽입 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좌측 삽입홀과 상기 제2 좌측 삽입홀은 상기 화물 적재 공간의 바닥에 전후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좌측 선형 그루브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우측 삽입홀과 상기 제2 우측 삽입홀은 상기 화물 적재 공간의 바닥에 전후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우측 선형 그루브 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는, 화물 수송을 위해 윙바디 트럭의 화물칸에 설치되며, 화물의 모양, 화물의 양, 또는 화물의 적재 방식에 따라, 구조를 변화시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구조 가변형 틀 장치는, 화물의 모양, 양, 크기, 적재 방식 등이 달라지더라도, 틀의 구조를 변경하여, 그에 대처함으로써, 화물을 싣고 내리는데 불편함을 없애고 다양한 크기 및 모양의 화물을 이탈 없이 유지시킬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가 적용된 윙바디 트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가 설치되는 윙 바디 트럭의 화물 적재 공간의 바닥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구조 가변형 틀 장치의 구조를 변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가 적용된 윙바디 트럭(2)을 불 수 있다.
윙바디 트럭(2)은 화물 적재 공간(A)의 좌우 양측면을 개폐하도록 제공된 한 쌍의 윙(22)을 포함한다. 한 쌍의 윙(22)은 상부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된 프레임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닫혔을 때, 화물 적재 공간(A)의 상부 및 좌측 또는 우측면을 막도록 대략 L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적재 공간(A)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바닥(24)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유압실린더(26)들이 구동하여 상기 윙(22)을 회동시키며, 상기 윙(22)의 회동에 의해, 상기 화물 적재 공간(A)의 좌측 또는 우측이 개방되거나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닫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 가변형 틀 장치(10)는, 이하 설명되는 다수개의 수평봉들과 수직봉들을 포함하는 대략 직육면체형 틀 구조가 화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사용되되, 간단한 조작에 의해, 틀 구조가 변형되어, 틀을 구성하는 봉들의 사이를 필요에 따라 넓히거나 좁힐 수 있다. 또한, 화물 적재 공간의 좌측 또는 우측을 선택하여 그 좌측 또는 우측 중에서 필요한 구간에 봉 사이를 극단적으로 넓혀 개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그 개구를 통해 화물의 로딩과 언로딩을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가 설치되는 윙 바디 트럭의 화물 적재 공간의 바닥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6은 구조 가변형 틀 장치의 구조를 변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10)는, 적재 공간(A)의 상부 중앙에 전후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중앙 프레임(100)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 프레임(100)은 윙 바디 트럭(2; 도 1 참조)의 화물 적재 공간(A)에 미리 설치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프레임(100)은 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앙 프레임(100)의 내부는 비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 가변형 틀 장치(10), 상기 중앙 프레임(100)을 따라 상기 중앙 프레임(100)의 하부에 전후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중앙 축봉(2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앙 축봉(200)은 상기 중앙 프레임(100)의 하부에 고정되는데, 그러한 고정을 위해, 상기 중앙 축봉(200)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부쉬(260)가 이용된다.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쉬(260)들은 일정 간격으로 두고 이격된 상태로 어레이되며, 내주면은 상기 중앙 축봉(200)에 용접되거나 체결되고 외주면은 상기 중앙 프레임(100)에 용접된다.
상기 중앙 축봉(200)은 상기 고정부쉬(260)들의 없는 구간에서는 상기 중앙 프레임(100)과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므로, 고정부쉬(260)가 없는 구간에, 이하 설명되는 제1 회전부쉬(320)과 제2 회전부쉬(420)가 서로 인접한 채로 상기 중앙 축봉(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달리 말하면, 제1 회전부쉬(320)과 제2 회전부쉬(420)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영역을 피해 상기 고정부쉬(260)들이 상기 중앙 축봉(100)에 설치된다. 그리고, 두 고정부쉬(260) 사이에서 서로 인접해 있는 상기 제1 회전부쉬(320)와 상기 제2 회전부쉬(420)의 위치가 정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 가변형 틀 장치(10)는, 기단부가 상기 중앙 축봉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수평봉(300)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수평봉(300)들 각각의 기단부는 상기 중앙 축봉(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제1 회전부쉬(320)를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제1 수평봉(300)은 상기 중앙 축봉(200)에 대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 가변형 틀 장치(10), 기단부가 상기 중앙 축봉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수평봉(400)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수평봉(400)들 각각의 기단부는 상기 중앙 축봉(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제2 회전부쉬(420)를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제2 수평봉(400)은 상기 중앙 축봉(200)에 대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일반적인 화물 가둠 상태에서는, 제1 수평봉(300)이 상기 회전 축봉(200)을 기준으로 좌측에 수평 상태로 위치하고 제2 수평봉(400)이 상기 회전 축봉(200)을 기준으로 우측에 수평 상태로 위치한다. 구조의 변경을 위해 상기 제1 수평봉(300) 또는 제2 수평봉(400)는 수평 상태에서 벗어나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 가변형 틀 장치(10)는, 상단부가 상기 제1 수평봉(300)들 각각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수직봉(500)들과, 상단부가 상기 제2 수평봉(400)들 각각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수직봉(600)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수평봉(300) 각각의 선단부는 전방으로 돌출된 제1 축부(36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수평봉(400)의 선단부는 후방으로 돌출된 제2 축부(4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수직봉(500)의 상단부는 상기 제1 축부(3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베어링부(5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직봉(600)의 상단부는 제2 축부(4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베어링부(620)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수직봉(500)은 상기 제1 수평봉(300)의 선단부에 구비된 제1 축부(360)를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고, 상기 제2 수직봉(600)은 상기 제2 수평봉(400)의 선단부에 구비된 제2 축부(460)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일반적인 화물 가둠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수직봉(500)이 상기 회전 축봉(200)을 기준으로 좌측에 수직 상태로 위치하고 제2 수직봉(600)이 상기 회전 축봉(200)을 기준으로 우측에 수직 상태로 위치한다. 상기 제1 수직봉(500)과 상기 제2 수직봉(600)이 모두 좌측에 수직 상태로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수직봉(500)과 상기 제2 수직봉(600)이 모두 우측에 수직 상태로 위치하도록 구조 가변형 틀 장치(10)의 구조가 변경될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축부(360)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축부(460)는 그와 반대 방향인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함으로써, 제1 수직봉(500)과 상기 제2 수직봉(600)이 좌측 또는 우측에서 서로 인접하게 나란하게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수직봉(500)과 상기 제2 수직봉(600) 사이의 최소한의 거리 확보가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 가변형 틀 장치(10)는, 상기 적재 공간 바닥(24)의 좌측 모서리를 따라 어레이되며, 상기 제1 수직봉(500)들이 상기 중앙 축봉(200)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질 때, 상기 제1 수직봉(500)들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좌측 삽입홀(710)들과, 상기 적재 공간 바닥(24)의 좌측 모서리를 따라 어레이되며, 상기 제2 수직봉(600)들이 상기 중앙 기준으로 좌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질 때, 상기 제2 수직봉(600)들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2 좌측 삽입홀(720)들과, 상기 적재 공간 바닥(24)의 우측 모서리를 따라 어레이되며, 상기 제1 수직봉(500)들이 상기 중앙 축봉(200)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질 때, 상기 제1 수직봉(500)들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우측 삽입홀(730)들과, 상기 적재 공간 바닥(24)의 우측 모서리를 따라 어레이되며, 상기 제2 수직봉(600)들이 상기 중앙 축봉(200)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질 때, 상기 제2 수직봉(600)들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2 우측 삽입홀(740)들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수직봉(500)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 수직봉(500)보다 작은 단면 크기를 가진 채 상기 제1 좌측 삽입홀(710) 또는 상기 제1 우측 삽입홀(730)에 삽입되는 제1 삽입 단부(54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직봉(600)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2 수직봉(500)보다 작은 단면 크기를 가진 채 상기 제2 좌측 삽입홀(720) 또는 상기 제2 우측 삽입홀(740)에 삽입되는 제2 삽입 단부(6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삽입 단부(540)와 상기 제2 삽입 단부(640)가 상기 제1 좌측 삽입홀(710), 상기 제2 좌측 삽입홀(720), 상기 제1 우측 삽입홀(730) 또는 상기 제2 우측 삽입홀(740)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좌측 삽입홀(710) 및 상기 제2 좌측 삽입홀(720)은 상기 화물 적재 공간의 바닥(24)에 전후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경사진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좌측 선형 그루브(750)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우측 삽입홀(730)과 상기 제2 우측 삽입홀(740)은 상기 화물 적재 공간의 바닥(24)에 전후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경사진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우측 선형 그루브(760) 내에 형성된다.
도 6은 구조 가변형 틀 장치의 구조를 변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상태는 제1 수평봉(300) 및 제1 수직봉(500)이 회전 축봉(200)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고 제2 수평봉(400) 및 제2 수직봉(600)은 회전 축봉(200)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제1 수평봉(300) 및 제2 수평봉(400)은 수평 상태 있고 제1 수직봉(500) 및 제2 수직봉(600)은 수직 상태에 있다.
도 6의 (b)는 도 6의 (a)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6의 (c)에 도시된 상태로 구조를 변경하는 중간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2 수평봉(400)을 상기 회전 축봉(200)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2 수직봉(600)을 상기 제2 수평봉(400)의 제2 축부를 기준으로 회동시키키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6의 (c)는 원래 우측에 위치한 가장 뒤쪽의 제2 수평봉(400)과 제2 수직봉(600)이 좌측으로 옮겨진 것을 보여준다. 도 6의 (c) 상태에서, 가장 뒤쪽의 제2 수평봉(400)과 제2 수직봉(600)은 인접하는 제1 수평봉(300) 및 제1 수직봉(500)과 나란하게 위치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좌측에서 수평으로 존재하는 제1 수평봉(300)과 제1 수직봉(500)을 위의 방식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우측으로 옮길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수평봉(300)과 제1 수직봉(500)은 회전축봉(200)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제2 수평봉(400) 및 제2 수직봉(600)과 나란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수평봉(300)은 고정 수평봉(300a)와 그 고정 수평봉(300a)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 수평봉(300b)과 고정 수평봉(300a)에 대한 이동 수평봉(300b)의 이동에 의해 길이가 조절된 제1 수평봉(300)의 길이를 고정하는 고정부(300c)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 수평봉(400)도 고정 수평봉(400a)와 그 고정 수평봉(400a)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 수평봉(400b)과 고정 수평봉(400a)에 대한 이동 수평봉(400b)의 이동에 의해 길이가 조절된 제2 수평봉(400)의 길이를 고정하는 고정부(400c)로 구성된다.
제1 수평봉(300) 및 상기 제2 수평봉(400)의 길이 가변가능한 구성에 의해, 제1 수직봉(500) 및 상기 제2 수직봉(600)의 상기 회전축봉(100)에 대한 거리도 조절이 가능해진다. 또한, 회전축봉(100)에 대해 거리가 조절된 제1 수직봉(500) 및 제2 수직봉(600)의 삽입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화물 적재 공간의 바닥(24)에는 기존 좌측 제1 삽입홀, 좌측 제2 삽입홀, 우측 제1 삽입홀 및 우측 제2 삽입홀 외에 다수의 보조 삽입홀(770)들이 더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100.......................................중앙 프레임
200.......................................중앙 축봉
300....................................제1 수평봉
400....................................제2 수평봉
500....................................제1 수직봉
600....................................제2 수직봉

Claims (2)

  1. 적재 공간의 상부 중앙에 전후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중앙 프레임;
    상기 중앙 프레임을 따라 상기 중앙 프레임의 하부에 전후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중앙 축봉;
    기단부가 상기 중앙 축봉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수평봉들;
    상단부가 상기 제1 수평봉들 각각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수직봉들;
    기단부가 상기 중앙 축봉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수평봉들;
    상단부가 상기 제2 수평봉들 각각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수직봉들;
    상기 적재 공간 바닥의 좌측 모서리를 따라 어레이되며, 상기 제1 수직봉들이 상기 중앙 축봉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질 때, 상기 제1 수직봉들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좌측 삽입홀들;
    상기 적재 공간 바닥의 좌측 모서리를 따라 어레이되며, 상기 제2 수직봉들이 상기 중앙 축봉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질 때, 상기 제2 수직봉들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2 좌측 삽입홀들;
    상기 적재 공간 바닥의 우측 모서리를 따라 어레이되며, 상기 제1 수직봉들이 상기 중앙 축봉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질 때, 상기 제1 수직봉들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우측 삽입홀들; 및
    상기 적재 공간 바닥의 우측 모서리를 따라 어레이되며, 상기 제2 수직봉들이 상기 중앙 축봉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수직으로 세워질 때, 상기 제2 수직봉들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2 우측 삽입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제1 수평봉의 기단부와 제2 수평봉의 기단부는 서로 인접한 채로 상기 중앙 축봉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회전부쉬와 제2 회전부쉬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축봉의 외주에는 상기 제1 회전부쉬와 상기 제2 회전부쉬가 끼워지는 영역을 피해 상기 중앙 프레임의 하부면에 용접되는 고정부쉬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 수평봉의 선단부는 전방으로 돌출된 제1 축부를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2 수평봉의 선단부는 후방으로 돌출된 제2 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봉의 상단부는 상기 제1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베어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직봉의 상단부는 제2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베어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봉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 수직봉보다 작은 단면 크기를 가진 채 상기 제1 좌측 삽입홀 또는 상기 제1 우측 삽입홀에 삽입되는 제1 삽입 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직봉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2 수직봉보다 작은 단면 크기를 가진 채 상기 제2 좌측 삽입홀 또는 상기 제2 우측 삽입홀에 삽입되는 제2 삽입 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좌측 삽입홀과 상기 제2 좌측 삽입홀은 상기 화물 적재 공간의 바닥에 전후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좌측 선형 그루브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우측 삽입홀과 상기 제2 우측 삽입홀은 상기 화물 적재 공간의 바닥에 전후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우측 선형 그루브 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
KR1020210066709A 2021-05-25 2021-05-25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 KR102269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709A KR102269565B1 (ko) 2021-05-25 2021-05-25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709A KR102269565B1 (ko) 2021-05-25 2021-05-25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565B1 true KR102269565B1 (ko) 2021-06-25

Family

ID=76628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709A KR102269565B1 (ko) 2021-05-25 2021-05-25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5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462Y1 (ko) * 1997-04-04 1999-07-15 박성회 화물자동차의 적재함구조
KR200217807Y1 (ko) * 2000-08-24 2001-03-15 주식회사아성천막건업 화물자동차 적재함의 구조
KR200479477Y1 (ko) 2014-08-21 2016-02-01 배흥수 화물 이탈방지 윙바디 트럭
KR20210026968A (ko) * 2019-09-02 2021-03-10 주식회사 아이엠아이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462Y1 (ko) * 1997-04-04 1999-07-15 박성회 화물자동차의 적재함구조
KR200217807Y1 (ko) * 2000-08-24 2001-03-15 주식회사아성천막건업 화물자동차 적재함의 구조
KR200479477Y1 (ko) 2014-08-21 2016-02-01 배흥수 화물 이탈방지 윙바디 트럭
KR20210026968A (ko) * 2019-09-02 2021-03-10 주식회사 아이엠아이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345942U (zh) 中门组件和机动车辆
JPH08230481A (ja) 降下自在のルーフ構造を有する車両
US20160090057A1 (en) Work vehicle
US9403560B2 (en) Work vehicle
US7992911B2 (en) Pick-up style utility vehicle with expandable cargo bed
US6412847B2 (en) Motor vehicle with a displaceable cargo area
KR20100124285A (ko) 판 형상 화물의 수송용 날개식 컨테이너 및 그것을 적재하는 트레일러
KR950003586B1 (ko) 화물 운반용 트럭
KR102269565B1 (ko) 수송을 위한 구조 가변형 틀 장치
KR101997980B1 (ko) 높이와 폭이 가변되고 윙바디가 구비된 컨테이너
EP0630329A1 (en) CLOSURE SYSTEM FOR A TRANSPORT TRUCK, INCLUDING AN IMPROVED ACCESS DEVICE.
US10384523B2 (en) Convertible top having link arrangements for adjusting a convertible-top element
US9522591B1 (en) Seal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top surface element
KR101615110B1 (ko)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KR101411388B1 (ko) 화물차용 적재함 덮개장치
JP2007006908A (ja) 乗用型茶葉摘採機
EP1992523B1 (en) An adjustable bolster assembly for a semi-trailer
KR20150021201A (ko)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BR112019011912B1 (pt) Porta traseira de carroceria de caminhão ou de reboque de caminhão
US7976105B2 (en) Double cylinder assembly for raising and lowering a dump truck tailgate
JP7430467B2 (ja) 連結トラックの橋渡し構造及びトラック用ゲート板の取り付け構造
KR102541581B1 (ko) 루프 개폐가 이루어지는 화물 운송용 윙바디 적재함
US20130257135A1 (en) Non-circular cylinder assembly for raising and lowering a dump truck tailgate
KR200252642Y1 (ko) 유개차형 화물차용 적재함
JP4458580B2 (ja) バン型車両の荷箱等輸送用容器の引戸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