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529A - 스태빌라이저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스태빌라이저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529A
KR20190041529A KR1020197009437A KR20197009437A KR20190041529A KR 20190041529 A KR20190041529 A KR 20190041529A KR 1020197009437 A KR1020197009437 A KR 1020197009437A KR 20197009437 A KR20197009437 A KR 20197009437A KR 20190041529 A KR20190041529 A KR 20190041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bar
dust cover
stabilizer
shaft portion
ball st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9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0839B1 (ko
Inventor
슈지 오무라
시게루 구로다
Original Assignee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1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04Construction of the male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66Sealing means between the socket and the inner member shaft
    • F16C11/0671Sealing means between the socket and the inner member shaft allowing operative relative movement of joint parts due to flexing of the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50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able members, by means of a sealing without relatively-moving surfaces, e.g. fluid-tight sealings for transmitting motion through a wall
    • F16J15/5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able members, by means of a sealing without relatively-moving surfaces, e.g. fluid-tight sealings for transmitting motion through a wall by means of sealing bellows or diaphrag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3/00Diaphragms; Bellows; Bellows pistons
    • F16J3/04Bel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3Torsion spring
    • B60G2202/135Stabiliser bar and/or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 B60G2204/1224End mounts of stabiliser on wheel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6/00Joining parts; Fastening; Assembling or mounting parts
    • F16C2226/10Force connections, e.g. clamping
    • F16C2226/12Force connections, e.g. clamping by press-fit, e.g. plu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Seal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Abstract

파이프재로 이루어지는 스태빌라이저 바(2)와, 스태빌라이저 바(2)와 서스펜션 장치를 연결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3)를 갖는 스태빌라이저 장치이며, 스태빌라이저 링크(3)는, 스태빌라이저 바(2)의 개구단부에 삽입 고정되는 축부(4) 및 축부(4)의 선단에 형성되는 볼부(5)를 갖는 볼 스터드(6)와, 볼부(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7)과, 일단부가 하우징(7)에 있어서 볼 스터드 축(O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되고, 타단부가 축부(4) 및 스태빌라이저 바(2)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하우징(7)과 볼 스터드(6)의 간극(S)을 밀봉하는 가요성의 더스트 커버(8)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스태빌라이저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본 발명은, 스태빌라이저 장치 및 그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종래예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볼 스터드의 볼부를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소켓부(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함과 함께, 볼 스터드의 축부를 스태빌라이저 바의 개구단부에 코킹에 의해 결합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1-182109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스태빌라이저 장치에서는,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하우징과 볼 스터드의 축부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는 구조가 되기 때문에, 볼 조인트부에 물이나 진애가 침입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작된 것이며, 볼 조인트부에의 물이나 진애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스태빌라이저 장치 및 그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파이프재로 이루어지는 스태빌라이저 바와, 해당 스태빌라이저 바와 서스펜션 장치를 연결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갖는 스태빌라이저 장치이며, 상기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개구단부에 삽입 고정되는 축부 및 해당 축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볼부를 갖는 볼 스터드와, 상기 볼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과,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볼 스터드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축부 및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볼 스터드의 간극을 밀봉하는 가요성의 더스트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과 볼 스터드의 간극을 밀봉하는 가요성의 더스트 커버에 의해, 볼 조인트부에의 물이나 진애 등의 침입을 간단한 구조로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더스트 커버는, 그 타단부가 상기 축부에 있어서 볼 스터드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의 타단부를 축부에 설치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더스트 커버를 하우징과 축부에 이미 조립한 상태에서, 축부를 스태빌라이저 바의 개구단부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더스트 커버는, 그 타단부가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있어서 볼 스터드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에 의해, 볼 조인트부에의 물이나 진애 등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음과 함께, 스태빌라이저 바와 축부의 간극에의 물이나 진애 등의 침입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더스트 커버는, 그 일단부와 타단부의 사이가 상기 축부에 있어서 볼 스터드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되고, 또한 타단부가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에 의해, 볼 조인트부에의 물이나 진애 등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음과 함께, 덮개부에 의해, 스태빌라이저 바와 축부의 간극에의 물이나 진애 등의 침입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축부의 말단에는,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개구단부의 내경보다도 대직경에서 볼 스터드 축을 중심으로 원추형을 이루는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축부는, 상기 테이퍼면이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개구단부에 부딪쳐서 용착에 의해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퍼면에 의해 볼 스터드와 스태빌라이저 바의 센터링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간단한 용착 구조로 볼 스터드와 스태빌라이저 바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축부는, 컬러를 개재시켜 압입에 의해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의 사양에 따라 스태빌라이저 바의 직경이 상이한 경우라도, 복수 사이즈의 컬러를 준비함으로써, 축부의 사양 변경 없이 압입 치수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재로 이루어지는 스태빌라이저 바와, 해당 스태빌라이저 바와 서스펜션 장치를 연결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갖는 스태빌라이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개구단부에 삽입 고정되는 축부 및 해당 축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볼부를 갖는 볼 스터드와, 상기 볼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과,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볼 스터드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볼 스터드의 간극을 밀봉하는 가요성의 더스트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더스트 커버를 휘게 하여 그 타단부를 상기 하우징 쪽으로 일단 퇴피시킨 상태에서 상기 축부와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를 고정하고, 그 후, 상기 더스트 커버의 타단부를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조립 방법으로, 더스트 커버에 의해, 볼 조인트부에의 물이나 진애 등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음과 함께, 덮개부에 의해, 스태빌라이저 바와 축부의 간극에의 물이나 진애 등의 침입도 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볼 조인트부에의 물이나 진애의 침입을 간단한 구조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하우징에 대한 더스트 커버의 제1 설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하우징에 대한 더스트 커버의 제2 설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볼 스터드와 스태빌라이저 바를 용접에 의해 연결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볼 스터드와 스태빌라이저 바를 컬러를 개재시켜서 압입에 의해 연결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 장치(1)는, 스태빌라이저 바(2)와, 좌우 한 쌍의 스태빌라이저 링크(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태빌라이저 장치(1)는, 차량의 선회 시 등에 있어서, 좌우의 쇼크 업소버(21)의 변위량의 차이에 의해 굽힘과 비틀림이 발생하고,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차량의 롤을 억제한다.
스태빌라이저 바(2)는, 강관 등의 파이프재로 구성되어 있고, 차 폭(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토션부(2A)와, 토션부(2A)의 양단으로부터 대략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암부(2B)를 갖고 평면으로 보아 대략 コ자상을 나타내고 있다.
스태빌라이저 링크(3)는, 암부(2B)의 단부와, 차륜(W)을 지지하는 차체측 부재로서의 서스펜션 장치(20)의 쇼크 업소버(21)를 연결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 링크(3)는, 스태빌라이저 바(2)의 개구단부에 삽입 고정되는 축부(4) 및 축부(4)의 선단에 형성되는 볼부(5)를 갖는 볼 스터드(6)와, 볼부(5)를 유니버설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7)과, 일단부가 하우징(7)의 외면에 있어서 볼 스터드 축(O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되고, 타단부가 축부(4) 및 스태빌라이저 바(2)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하우징(7)과 볼 스터드(6)의 간극(S)을 밀봉하는 가요성의 더스트 커버(8)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7)은, 일단부측이 개구된 대략 원통 형상을 나타낸 부재이며, 그 개구부로부터 집어넣어진 볼 스터드(6)의 볼부(5)를 구면 베어링인 볼 시트(9)를 개재시켜 유니버설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하우징(7), 볼 스터드(6)는 예를 들어 금속제이며, 볼 시트(9)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7)은 섬유 강화 수지재 등이어도 된다. 하우징(7)의 외면에는, 볼 스터드 축(O1)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바(10)의 일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연결 바(10)의 타단부측에도 마찬가지의 하우징(7) 및 볼 스터드(6)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 바(10)의 타단부측 볼 스터드(6)는 쇼크 업소버(21)(도 1)에 설치된다.
「제1 실시 형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더스트 커버(8)의 일단부는, 하우징(7)의 외주면(7A)에 링 부재(11)에 의해 볼 스터드 축(O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더스트 커버(8)는,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이 개구 형성되고, 휨값을 확보하기 위해서 직경 외 방향으로 팽출된 주위벽부를 갖는 부재이며, 고무재 등의 가요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링 부재(11)는, 금속 재료로 구성되고 예를 들어 단면 L자상을 나타내고 있고, 더스트 커버(8)의 단부에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해 매설되어 있다. 더스트 커버(8)는, 링 부재(11)가 매설된 일단부에 하우징(7)의 외주면(7A)이 압입됨으로써, 하우징(7)에 대하여 볼 스터드 축(O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링 부재(11)는 더스트 커버(8)와 별체로 마련해도 된다. 도 3은, 더스트 커버(8)의 일단부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2조로 코일 감기한 단면 직사각상의 링 부재(11)를 끼워 맞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형태에서는, 링 부재(11)가 일단 확경된 상태가 되어서 더스트 커버(8)의 일단부가 하우징(7)의 외주면(7A)으로 외부 끼움되고, 링 부재(11)가 축경하려고 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더스트 커버(8)가 하우징(7)에 볼 스터드 축(O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볼 스터드(6)의 축부(4)의 외주면에는, 2조의 플랜지(12A, 12B)가 형성되고, 더스트 커버(8)의 타단부는, 플랜지(12A, 12B) 사이에 끼움 지지되게 축부(4)의 외주면에 밀착함으로써, 축부(4)에 대하여 볼 스터드 축(O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축부(4)의 외주면에 홈을 오목하게 마련하고, 이 홈에 더스트 커버(8)의 타단부를 끼워 맞추게 해도 된다.
볼 스터드(6)의 축부(4)는, 스태빌라이저 바(2)의 개구단부에 삽입되고, 프레스기 등으로 스태빌라이저 바(2)의 주위벽부에서 코킹됨으로써(주위벽부를 소성 변형시킨다), 스태빌라이저 바(2)와 일체로 연결된다. 축부(4)의 외주면에는, 스태빌라이저 바(2)의 내주면을 물려 들어가게 하기 위한 요철 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다. 요철 형상부로서는,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 스터드 축(O1) 방향으로 복수의 물결 형상의 요철을 형성하거나, 평선이나 능선으로 이루어지는 널링 등이다.
「작용」
일단부가 하우징(7)에 볼 스터드 축(O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되고, 하우징(7)과 볼 스터드(6)의 간극(S)을 밀봉하는 가요성의 더스트 커버(8)에 의해, 볼부(5) 주위, 즉 볼 조인트부에의 물이나 진애 등의 침입이 저지된다. 하우징(7)에 대한 더스트 커버(8)의 설치 구조로서, 금속제의 링 부재(11)를 개재시켜 더스트 커버(8)의 일단부를 하우징(7)의 외주면(7A)에 외부 끼움시키는 구조로 함으로써, 하우징(7)에 대한 더스트 커버(8)의 조립 작업을 신속히 행할 수 있다.
더스트 커버(8)의 타단부를 축부(5)에 있어서 볼 스터드 축(O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더스트 커버(8)를 하우징(7)과 축부(5)로 이미 조립한 상태로 해서, 축부(5)를 스태빌라이저 바(2)의 개구단부에 고정할 수 있다. 더스트 커버(8)의 타단부를 2조의 플랜지(12A, 12B)로 끼움 지지하는 구조에 의해, 축부(5)에 대한 더스트 커버(8)의 조립 작업을 신속히 행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 바(2)의 개구단부에의 물이나 진애 등의 침입은, 이 개구단부 주위가 볼 스터드(6)의 외주면에 코킹됨으로써 저지된다. 특히 볼 스터드(6)의 외주면에 볼 스터드 축(O1) 방향으로 복수의 요철을 형성하거나, 널링을 형성함으로써, 물이나 진애의 침입을 이들 요철부의 래비린스 구조로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4에 있어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더스트 커버(18)는, 그 타단부가 스태빌라이저 바(2)에 있어서 볼 스터드 축(O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더스트 커버(18)의 타단부에는, 예를 들어 일단부측과 마찬가지로 금속제의 링 부재(13)가 매설되어 있다. 더스트 커버(18)는, 링 부재(13)가 매설된 타단부에 스태빌라이저 바(2)의 외주면이 압입됨으로써, 스태빌라이저 바(2)에 대하여 볼 스터드 축(O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링 부재(11)는 더스트 커버(18)와 별체로 설치해도 된다. 또한, 스태빌라이저 바(2)의 외주면에 홈 등을 형성하여 더스트 커버(18)의 타단부를 그 홈에 끼워 맞추게 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볼 스터드(6)의 축부(4)는, 스태빌라이저 바(2)의 개구단부에 삽입되고, 프레스기 등으로 스태빌라이저 바(2)의 주위벽부에서 코킹됨으로써, 스태빌라이저 바(2)와 일체로 연결된다.
코킹 가공 시에 있어서는, 더스트 커버(18)를 휘게 하여 프레스기와 간섭하지 않도록 그 타단부를 하우징(7) 쪽으로 일단 퇴피시킨 상태에서, 축부(4)와 스태빌라이저 바(2)를 코킹 고정한다. 그 후, 더스트 커버(18)의 타단부를 스태빌라이저 바(2)의 외주면에 링 부재(11)에 의해 밀착시킨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더스트 커버(18)가 하우징(7)과 스태빌라이저 바(2)에 걸쳐 걸쳐지게 되므로, 더스트 커버(18)의 보스 스터드 축(O1) 방향의 길이가 길어진다. 이러한 경우, 더스트 커버(18)를 주름 상자 형상으로 하면, 볼 조인트의 움직임에 대한 더스트 커버(18)의 추종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18)에 의해, 볼 조인트부에의 물이나 진애 등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음과 함께, 스태빌라이저 바(2)와 축부(4)의 간극에의 물이나 진애 등의 침입도 저지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5에 있어서,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더스트 커버(28)는, 그 일단부와 타단부의 사이가 축부(4)에 있어서 볼 스터드 축(O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되고, 또한 타단부가 스태빌라이저 바(2)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더스트 커버(28)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사이는, 예를 들어 플랜지(12A, 12B)에 끼움 지지됨으로써 축부(4)에 있어서 볼 스터드 축(O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더스트 커버(28)의 내에서 축부(4)에 대한 설치부로부터 타단부까지의 범위는 덮개부(14)로 된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볼 스터드(6)의 축부(4)는, 스태빌라이저 바(2)의 개구단부에 삽입되고, 프레스기 등으로 스태빌라이저 바(2)의 주위벽부에서 코킹됨으로써, 스태빌라이저 바(2)와 일체로 연결된다. 코킹 가공 시에 있어서는, 덮개부(14)를 휘게 하여 프레스기와 간섭하지 않도록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뒤집어서 하우징(7)측으로 일단 퇴피시킨 상태에서, 축부(4)와 스태빌라이저 바(2)를 코킹 고정한다. 그 후,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부(14)를 걷어 붙여, 덮개부(14)의 타단부를 스태빌라이저 바(2)의 외주면에 밀착시킨다. 또한, 코킹 가공 시에, 프레스기로 스태빌라이저 바(2)의 외주면이 볼록 형상 또는 오목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어긋남 방지부(16)를 동시에 형성해 두면, 덮개부(14)의 타단부의 어긋남을 어긋남 방지부(16)로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28)에 의해, 볼 조인트부에의 물이나 진애 등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음과 함께, 덮개부(14)에 의해, 스태빌라이저 바(2)와 축부(4)의 간극에의 물이나 진애 등의 침입도 저지할 수 있다. 덮개부(14)의 타단부측은 볼 조인트부의 움직임의 영향을 그다지 받지 않으므로, 스태빌라이저 바(2)의 외주면에 대한 어긋남도 그다지 발생하지 않아, 초기의 밀착성이 유지된다.
도 6은,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서는, 더스트 커버(28)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사이를 축부(4)의 플랜지(12A, 12B)로 끼움 지지하고 있지만, 도 6은 더스트 커버(28)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사이를 축부(4)의 외주면에 간단히 밀착시키고 있다. 도 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코킹 가공 시에 있어서는, 덮개부(14)는 프레스기와 간섭하지 않도록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뒤집어진 상태에서 하우징(7)측으로 일단 퇴피한 상태에 있고, 축부(4)와 스태빌라이저 바(2)의 코킹 가공이 완료된 후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부(14)를 걷어 붙여, 덮개부(14)의 타단부를 스태빌라이저 바(2)의 외주면에 밀착시킨다. 또한, 스태빌라이저 바(2)의 외주면에 어긋남 방지부(16)를 형성해 두면, 덮개부(14)의 타단부의 어긋남을 어긋남 방지부(16)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따라서도, 더스트 커버(28)에 의해, 볼 조인트부에의 물이나 진애 등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음과 함께, 덮개부(14)에 의해, 스태빌라이저 바(2)와 축부(4)의 간극에의 물이나 진애 등의 침입도 저지할 수 있다. 덮개부(14)의 타단부측은 볼 조인트부의 움직임의 영향을 그다지 받지 않으므로, 스태빌라이저 바(2)의 외주면에 대한 어긋남도 그다지 발생하지 않고, 초기의 밀착성이 유지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플랜지(12A, 12B)에 의한 이동 규제는 없기는 하지만, 축부(4)와 밀착하는 부분의 더스트 커버(28)의 직경 치수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덮개부(14)의 타단부측에서 밀봉 기능이 유지되어 있기만 하면, 축부(4)에서의 어긋남도 그다지 문제는 되지 않는다.
이상, 더스트 커버(8)의 설치에 관한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링 부재(11)를 사용하여 더스트 커버(8)의 일단부를 하우징(7)의 외주면(7A)에 설치하고 있지만,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7)의 외주면(7A)에 홈을 형성하여 이 홈에 더스트 커버(8)의 일단부를 끼워 맞추게 해도 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 시트(9)의 에지부(9A)를 하우징(7)의 외부에 배치시키고, 에지부(9A)와 하우징(7)의 개구 에지부에서 더스트 커버(8)의 일단부를 끼움 지지하는 구조로 해도 된다.
볼 스터드(6)의 축부(4)와 스태빌라이저 바(2)의 사이의 수밀성을 확보하는데 있어서는, 코킹에 의한 구조 이외여도 가능하다. 도 9는, 축부(24)의 말단에, 스태빌라이저 바(2)의 개구단부의 내경보다도 대직경에서 볼 스터드 축(O1)을 중심으로 원추형을 이루는 테이퍼면(24A)을 형성하고, 테이퍼면(24A)을 스태빌라이저 바(2)의 개구단부에 맞닿게 하여, 그 맞닿음부를 용착시킨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테이퍼면(24A)은 볼 스터드 축(O1)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맞닿는 것만으로 축부(24)와 스태빌라이저 바(2)의 센터링이 이루어진다. 용착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접이며, 저항 용접이어도 되고 TIG 용접 등이어도 된다.
또한, 축부(4)를 스태빌라이저 바(2)의 개구단부에 압입에 의해 삽입함으로써 수밀성을 확보하게 해도 된다. 스태빌라이저 바(2)의 직경은 차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가 존재하기 때문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34)와 스태빌라이저 바(2)의 사이에 컬러(15)를 개재시키는 구조로 하면, 복수 사이즈의 컬러(15)를 준비함으로써, 축부(34)의 사양 변경 없이 압입 치수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컬러(15)는, 예를 들어 축부(34)에 압입에 의해 외부 끼움된 상태에서, 스태빌라이저 바(2)의 개구단부에 압입에 의해 삽입된다.
또한, 그 밖에, 축부(4)의 외주면과 스태빌라이저 바(2)의 내주면의 사이를 접착제로 결합함으로써 수밀성을 확보하게 해도 된다.
1: 스태빌라이저 장치
2: 스태빌라이저 바
3: 스태빌라이저 링크
4, 24, 34: 축부
5: 볼부
7: 하우징
8, 18, 28: 더스트 커버
11, 13: 링 부재
14: 덮개 부재
15: 컬러

Claims (7)

  1. 파이프재로 이루어지는 스태빌라이저 바와, 해당 스태빌라이저 바와 서스펜션 장치를 연결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갖는 스태빌라이저 장치이며,
    상기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개구단부에 삽입 고정되는 축부 및 해당 축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볼부를 갖는 볼 스터드와,
    상기 볼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과,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볼 스터드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축부 및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볼 스터드의 간극을 밀봉하는 가요성의 더스트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는, 그 타단부가 상기 축부에 있어서 볼 스터드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는, 그 타단부가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있어서 볼 스터드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는, 그 일단부와 타단부의 사이가 상기 축부에 있어서 볼 스터드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되고, 또한 타단부가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말단에는,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개구단부의 내경보다도 대직경에서 볼 스터드 축을 중심으로 원추형을 이루는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축부는, 상기 테이퍼면이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개구단부에 부딪쳐서 용착에 의해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컬러를 개재시켜 압입에 의해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7. 파이프재로 이루어지는 스태빌라이저 바와, 해당 스태빌라이저 바와 서스펜션 장치를 연결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갖는 스태빌라이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개구단부에 삽입 고정되는 축부 및 해당 축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볼부를 갖는 볼 스터드와,
    상기 볼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과,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있어서 볼 스터드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볼 스터드의 간극을 밀봉하는 가요성의 더스트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더스트 커버를 휘게 하여 그 타단부를 상기 하우징 쪽으로 일단 퇴피시킨 상태에서 상기 축부와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를 고정하고, 그 후, 상기 더스트 커버의 타단부를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의 조립 방법.
KR1020197009437A 2016-09-05 2017-08-07 스태빌라이저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KR102210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72571 2016-09-05
JP2016172571A JP6762176B2 (ja) 2016-09-05 2016-09-05 スタビライザ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PCT/JP2017/028546 WO2018043044A1 (ja) 2016-09-05 2017-08-07 スタビライザ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529A true KR20190041529A (ko) 2019-04-22
KR102210839B1 KR102210839B1 (ko) 2021-02-02

Family

ID=61300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437A KR102210839B1 (ko) 2016-09-05 2017-08-07 스태빌라이저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850589B2 (ko)
EP (1) EP3508361A4 (ko)
JP (1) JP6762176B2 (ko)
KR (1) KR102210839B1 (ko)
CN (1) CN109641503B (ko)
BR (1) BR112019003518B1 (ko)
CA (1) CA3035735C (ko)
MX (1) MX2019002538A (ko)
WO (1) WO20180430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911A (ko) * 2019-10-14 2021-04-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2176B2 (ja) 2016-09-05 2020-09-30 日本発條株式会社 スタビライザ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USD894797S1 (en) * 2018-11-20 2020-09-01 Ki Kwang Lee Link packing installed between track bush and bottom of link counter hole for road-rail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2109A (ja) 1988-01-18 1989-07-20 Nhk Spring Co Ltd 車両用スタビライザ装置
JPH08127220A (ja) * 1994-10-31 1996-05-21 Chuo Spring Co Ltd 自動車用スタビライザーバー
US6076840A (en) * 1998-05-19 2000-06-20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Self-locking plug-in stabilizer bar links
JP2011247338A (ja) * 2010-05-26 2011-12-08 Nhk Spring Co Ltd スタビリン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4910U (ko) * 1989-08-15 1991-04-05
US5954353A (en) 1998-02-06 1999-09-21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Plug in direct acting stabilizer bar link
EP1065077A1 (en) * 1999-07-01 2001-01-03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Plug in direct acting stabilizer bar link
US6648350B1 (en) * 2000-05-08 2003-11-18 Meritor Light Vehicle Systems, Inc.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 vehicle stabilizer bar with integral end links
DE10156548A1 (de) * 2001-11-20 2003-05-28 Zf Lemfoerder Metallwaren Ag Gelenk
US7004665B2 (en) * 2002-11-08 2006-02-28 Automotive Components Holdings, Llc Snap together automotive coupler
CN100368693C (zh) * 2003-04-07 2008-02-13 株式会社索密克石川 球接头
CN101161490A (zh) * 2006-10-10 2008-04-16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独立后悬架及包括该后悬架的汽车
CN103277404B (zh) * 2013-06-26 2015-10-14 玉环津力汽车配件有限公司 汽车球头组件
KR101500239B1 (ko) * 2013-12-23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태빌라이저 링크
JP6204521B2 (ja) * 2016-03-17 2017-09-27 日本発條株式会社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スタビリンク
DE102016206863A1 (de) * 2016-04-22 2017-10-26 Zf Friedrichshafen Ag Axialkugelgelenk und längeneinstellbarer Zweipunktlenker mit einem solchen Axialkugelgelenk
JP6335986B2 (ja) * 2016-08-25 2018-05-30 日本発條株式会社 スタビリンク
JP6762176B2 (ja) 2016-09-05 2020-09-30 日本発條株式会社 スタビライザ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6648001B2 (ja) * 2016-11-02 2020-02-14 日本発條株式会社 スタビリンク
JP6768584B2 (ja) * 2017-03-31 2020-10-14 日本発條株式会社 ボールジョイントの製造方法、及びスタビリンク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2109A (ja) 1988-01-18 1989-07-20 Nhk Spring Co Ltd 車両用スタビライザ装置
JPH08127220A (ja) * 1994-10-31 1996-05-21 Chuo Spring Co Ltd 自動車用スタビライザーバー
US6076840A (en) * 1998-05-19 2000-06-20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Self-locking plug-in stabilizer bar links
JP2011247338A (ja) * 2010-05-26 2011-12-08 Nhk Spring Co Ltd スタビリン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911A (ko) * 2019-10-14 2021-04-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링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35735A1 (en) 2018-03-08
CN109641503A (zh) 2019-04-16
JP6762176B2 (ja) 2020-09-30
WO2018043044A1 (ja) 2018-03-08
JP2018039279A (ja) 2018-03-15
CN109641503B (zh) 2022-04-08
BR112019003518A2 (pt) 2019-05-21
US10850589B2 (en) 2020-12-01
KR102210839B1 (ko) 2021-02-02
MX2019002538A (es) 2019-07-15
BR112019003518B1 (pt) 2024-02-20
US20190202255A1 (en) 2019-07-04
CA3035735C (en) 2021-03-09
EP3508361A1 (en) 2019-07-10
EP3508361A4 (en)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1759B2 (en) Elastomeric bush bearing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EP2868501B1 (en) Ball joint
KR20190041529A (ko) 스태빌라이저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KR101446446B1 (ko) 볼 조인트 및 볼 조인트 제조 방법
US20180245654A1 (en) Stabilizer bush
US9085214B2 (en) Connection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wheel suspension
KR102067684B1 (ko) 볼 조인트 및 이것을 사용한 스태빌라이저 링크
US8876399B2 (en) Suspension strut bearing
WO2018083995A1 (ja) スタビリンク及びスタビリンク付きスタビライザ
US9909616B2 (en) Ball joint
WO2013176008A1 (ja) ボールジョイント
KR20170099258A (ko)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US11585372B2 (en) Ball joint, stabilizer link using ball joint, and stabilizer assembly
KR20140068816A (ko) 차량 부품
KR102522852B1 (ko) 조인트 및 상기 조인트의 제조 방법
KR101840792B1 (ko)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결합 구조
KR20200020706A (ko) 차량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에 따라 제조된 차량 부품
JP7012345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14346B1 (ko) 컨트롤 암
WO2022239311A1 (ja) アーム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EP1250538B1 (fr) Securisation d'articulation elastique
JP2022175743A (ja) アーム部材
KR100889000B1 (ko) 너클 브라켓의 용접 방법
JPH0460842B2 (ko)
JP4660331B2 (ja) 摺動ブッシュ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