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0466A - 암형 컨택트 - Google Patents

암형 컨택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0466A
KR20190040466A KR1020180119571A KR20180119571A KR20190040466A KR 20190040466 A KR20190040466 A KR 20190040466A KR 1020180119571 A KR1020180119571 A KR 1020180119571A KR 20180119571 A KR20180119571 A KR 20180119571A KR 20190040466 A KR20190040466 A KR 20190040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pring
contact
spring portion
unit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5421B1 (ko
Inventor
켄 사카이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90040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과제] 수형 컨택트와의 양호한 접촉압을 확보하면서,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는 암형 콘택트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암형 컨택트(10)는, 제1 구부(34A) 및 제2 구부(34B)로 구성된 천정부(34)를 갖는다. 제1 구부(34A)는, 제1 접촉 용수철부(32)의 상단연으로부터 제2 접촉 용수철부(33) 측을 향해 연장된 제1 완부(341A)를 갖는다. 또, 제2 구부(34B)는, 제2 접촉 용수철부(33)의 상단연으로부터 제1 접촉 용수철부(32) 측을 향해 연장된 제2 완부(341B)를 갖는다. 또한, 제1 구부(34A)는, 제2 완부(341B)를 향해 연장된 제1 조부(342A)를 갖는다. 또, 제2 구부(34B)는, 제1 완부(341A)를 향해 제1 조부(342A)로부터 이간하여 연장된 제2 조부(342B)를 갖는다. 제1 접촉 용수철부(32)와 제2 접촉 용수철부(33) 사이가 소정 간격으로 넓어지면 제1 조부(342A)와 제2 조부(342B)가 서로 계지하고, 그것을 넘는 넓어짐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암형 컨택트{FEMALE CONTACT}
본 발명은, 기초부와, 그 기초부의 양측연의 각각에서 세워지도록(立上), 삽입된 봉상(棒狀)의 수형(雄型) 컨택트를 사이에 끼우는 2개의 접촉 용수철부를 구비하는 암형(雌型) 컨택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구조의 암형 컨택트에, 2개의 접촉 용수철부끼리의 간격을 크게 넓히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수형 컨택트가 정규의 삽입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삽입되는 것 등에 의해, 그러한 힘이 작용한다. 2개의 접촉 용수철부끼리의 간격이 탄성한계를 넘어 넓어지면, 수형 컨택트와의 사이의 접촉압을 얻지 못하고, 도통의 신뢰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여기서, 특허문헌 1에는, 상기의 2개의 접촉 용수철부에 대응하는 2개의 측판끼리의 간격이 넓어지지 않게 계지한 구조의 접속 단자가 개시되고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상기의 2개의 접촉 용수철부에 대응하고, 서로 대향하는 단자편의 열림을 소정 간격 이내로 규제하는 규제편을 설치한 암형 단자가 개시되고 있다.
일본 공개 특허 특개평7-326415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특개평8-306421호 공보
상게(上揭)의 특허문헌 1의 접속 단자의 경우, 2개의 접촉 용수철부(2개의 측판)끼리가 열리지 않게 계지되고 있기 때문에, 접촉압을 생성하기 위해서 부가적인 용수철 부재를 필요로 하여, 코스트 업이 된다.
또, 상게의 특허문헌 2의 암형 단자의 경우, 접촉 용수철부(단자편)끼리의 소정 간격 이내의 열림이 허용되고 있기 때문에, 접촉 용수철부(단자편)의 스프링력을 사용하여 신뢰성 높은 접촉압을 확보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특허문헌 2의 암형 단자의 경우, 소정 간격을 넘는 열림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편이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암형 컨택트는, 일반적으로, 금속판의 펀칭 가공 및 휨 가공에 의해 제조된다. 이 때문에, 소정 면적의 금속판으로부터 몇개의 암형 컨택트를 제조할 수 있을지가 코스트 상 중요하다. 여기서, 특허문헌 2의 암형 단자의 경우, 길게 연장된 규제편이 필요하고, 재료 얻기가 양호하지 않고, 코스트 업의 우려가 있다. 또, 이 규제편은 복잡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2의 암형 단자는, 그 제조에서 복잡한 가공 공정을 필요로 하고, 이 점도 코스트 업의 요인이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수형 컨택트와의 양호한 접촉압을 확보하면서, 특허문헌 2의 구조와 비교하여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는 암형 컨택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암형 컨택트는, 기초부와, 그 기초부의 양측연 각각으로부터 세워지는 제1 접촉 용수철부 및 제2 접촉 용수철부를 구비하고, 제1 접촉 용수철부와 제2 접촉 용수철부 사이에 봉상의 수형 컨택트가 삽입되고 그 수형 컨택트를 제1 접촉 용수철부와 제2 접촉 용수철부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수형 컨택트와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암형 컨택트이며,
제1 접촉 용수철부 및 제2 접촉 용수철부의 각 상단연끼리의 사이에 형성되어, 제1 접촉 용수철부와 제2 접촉 용수철부 사이의 소정 간격을 넘는 넓어짐을 방지하는 천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암형 컨택트에서, 상기 천정부가, 제1 접촉 용수철부에 연결되는 제1 구부(鉤部)와 제2 접촉 용수철부로 연결되는 제2 구부를 구비하고,
제1 구부가, 제1 접촉 용수철부의 상단연으로부터 제2 접촉 용수철부 측을 향해 연장된 제1 완부(腕部)를 갖고,
제2 구부가, 수형 컨택트의 삽입 방향에 따라 제1 완부와의 사이에 간격을 비워 제2 접촉 용수철부의 상단연으로부터 제1 접촉 용수철부 측을 향해 연장된 제2 완부를 갖고, 또한,
제1 구부가, 제1 완부의, 제2 접촉 용수철부 측의 단부로부터 제2 완부를 향해 연장된 제1 조부(爪部)를 갖고,
제2 구부가, 제2 완부의, 제1 접촉 용수철부 측의 단부로부터 제1 완부를 향해 제1 조부로부터 이간하여 연장된 제2 조부를 갖고,
제1 접촉 용수철부와 제2 접촉 용수철부 사이가 소정 간격으로 넓어졌을 때에 제1 조부와 제2 조부가 서로 계지하여 제1 접촉 용수철부와 제2 접촉 용수철부 사이의 소정 간격을 넘는 넓어짐을 방지하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암형 컨택트에서, 상기의 제1 구부 및 제2 구부를 구비했을 경우에, 제1 완부, 제2 완부, 제1 조부, 및 제2 조부에 둘러싸인 천창이, 수형 컨택트의 삽입 방향 및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쌍방에 의해, 천정부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암형 컨택트에 의하면, 상기의 천정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1개에는, 소정 간격 이내의 넓어짐이 허용되고, 제1 접촉 용수철부 및 제2 접촉 용수철부의 스프링력을 사용하여 양호한 접촉압이 확보된다. 또, 본 발명의 암형 컨택트에 의하면, 상기의 천정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재료 얻기가 양호하고, 간이(簡易)한 구조로의 소정 간격을 넘는 넓어짐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암형 컨택트에 의하면, 코스트 업을 억제하면서, 신뢰성이 높은 접촉압이 확보된다.
또, 본 발명의 암형 컨택트에서, 상기의 천창을 천정부의 중앙부에 형성하면, 제1 접촉 용수철부와 제2 접촉 용수철부가 소정 간격으로 넓어졌을 때의 제1 구부와 제2 구부에 걸리는 힘의 배분이 균등하게 된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의 암형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2] 도 1에 사시도를 나타내는 암형 컨택트의 3면도이다.
[도 3] 도 1, 도 2에 나타내는 암형 컨택트의 제조 도중의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도 2에 나타내는 원(R)의 부분의 확대도 (A)와, 도 2(A)에 나타내는 화살표 A-A에 따르는 단면도 (B)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의 암형(雌型)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A), (B)는 동일한 암형 컨택트를 상하 역방향으로 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 도 2는, 도 1에 사시도를 나타내는 암형 컨택트의 3면도이다. 여기서, 도 2(A), (B), 및 (C)는, 각각,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암형 컨택트(10)에는, 전선(미도시)이 압착 접속되지만, 도 1, 도 2에는, 전선 압착 전의 형상의 암형 컨택트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도 1, 도 2에 나타내는 암형 컨택트(10)에는, 캐리어(20)가 접속되고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캐리어(20)는, 암형 컨택트 1개분에 대응하는 부분이며, 실제로는, 이 캐리어(20)는, 길이가 긴 띠형상(帶形狀)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캐리어(20)에는, 여기에 나타내는 암형 컨택트(10)와 동형상의 다수의 암형 컨택트가, 일정 간격으로 접속되고 있다. 또, 이 캐리어(20)에는, 그 일정 간격과 같은 간격으로, 암형 컨택트 반송용의 천공(穿孔)(21)이 형성되고 있다. 이 캐리어(20)는, 다수의 암형 컨택트가 제조 도중에 뿔뿔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들 다수의 암형 컨택트를 순서대로 반송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각 암형 컨택트(10)는, 최종적으로는 캐리어(20)에서 분리된다.
도 3은, 도 1, 도 2에 나타내는 암형 컨택트의 제조 도중의 형상(전개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암형 컨택트(10)의 제조에서는, 금속판이 도 3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타발(打拔)되고, 도 1, 도 2에 나타낸 형상으로 절곡 가공된다. 여기에서는, 절고 가공 전(도 3)에도 절곡 가공 후(도 1, 도 2)의 각 요소에 대응하는 요소에는, 절곡 가공 후의 각 요소에 교부한 부호와 같은 부호를 교부하여 나타내 보이고 있다.
이 암형 컨택트(10)는, 삽입된 수형(雄型) 컨택트에 접촉하는 접촉부(30)와, 전선(미도시)의 심선을 압착 접속하는 심선 압착부(40)와, 피복된 채로의 전선(미도시)의 노출된 심선에 인접하는 부분을 압착 파지하는 전선 압착부(50)를 갖는다. 전선(미도시)는, 심선 압착부(40) 및 전선 압착부(50)에 압착되는 부분을 선단부로 하여, 캐리어(20)를 횡단하여 연장된 방향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접촉부(30)는, 기초부(31)와, 제1 접촉 용수철부(32)와, 제2 접촉 용수철부(33)와, 천정부(34)를 가진다.
제1 접촉 용수철부(32) 및 제2 접촉 용수철부(33)는, 기초부(31)의 양측연 각각으로부터 세워져 있는 부분이다. 제1 접촉 용수철부(32) 및 제2 접촉 용수철부(33)의 각각에는, 내향으로 돌출된 접촉 돌기부(32a, 33a)가 형성되고 있다. 수형 컨택트(미도시)는,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 X의 방향으로, 접촉부(30)에 삽입된다. 그리고, 접촉부(30)에 수형 컨택트가 삽입되면, 제1 접촉 용수철부(32)와 제2 접촉 용수철부(33)가 서로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 수형 컨택트를 사이에 끼운다. 이것에 의해, 접촉 돌기부(32a, 33a)가 수형 컨택트에 소정의 접촉압으로 접촉하고, 이 암형 컨택트(10)와, 거기에 꽂은 수형 컨택트 사이가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또, 이 암형 컨택트(10)의 접촉부(30)는, 천정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천정부(34)의 설명에서는, 도 1~도 3에 더하여, 또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원(R)의 부분의 확대도 (A)와, 도 2(A)에 나타내는 화살표 A-A에 따르는 단면도 (B)이다.
이 천정부(34)는, 제1 접촉 용수철부(32) 및 제2 접촉 용수철부(33)의 각 상단연 끼리의 사이에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이 천정부(34)는, 제1 접촉 용수철부(32) 및 제2 접촉 용수철부(33)의 각각에 연결되는 제1 구부(鉤部)(34A) 및 제2 구부(34B)로 구성되어 있다.
제1 구부(34A)는, 제1 접촉 용수철부(32)의 상단연으로부터 제2 접촉 용수철부(33) 측을 향해 연장된 제1 완부(腕部0(341A)를 갖는다. 또, 제2 구부(34B), 수형 컨택트의 삽입 방향(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 X의 방향)을 따라 제1 완부(341A)와의 사이에 간격(d1)을 비워 제2 접촉 용수철부(33)의 상단연으로부터 제1 접촉 용수철부(32) 측을 향해 연장된 제2 완부(341B)를 갖는다. 또한, 제1 구부(34A)는, 제1 완부(341A)의, 제2 접촉 용수철부(33) 측의 단부로부터 제2 완부(341B)를 향해 연장된 제1 조부(爪部)(342A)를 갖는다. 또, 이와 동일하게, 제2 구부(34B)는, 제2 완부(341B)의, 제1 접촉 용수철부(32) 측의 단부로부터 제1 완부(341A)를 향해 제1 조부(342A)로부터 이간(간격(d2))하여 연장된 제2 조부(342B)를 갖는다. 그리고, 이 천정부(34)에는, 제1 완부(341A), 제2 완부(341B), 제1 조부(342A), 및 제2 조부(342B)에 둘러싸인, d1×d2의 치수의 천창(天窓)(35)이 형성되고 있다. 이 천창(35)은, 수형 컨택트의 삽입 방향 및 그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쌍방에 의해, 천정부(34)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있다.
천정부(34)를 구성하고 있는 제1 구부(34A) 및 제2 구부(34B)는, 제1 접촉 용수철부(32)와 제2 접촉 용수철부(33) 사이의 소정 간격을 넘는 넓어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즉, 이들 제1 구부(34A) 및 제2 구부(34B)는, 제1 접촉 용수철부(32)와 제2 접촉 용수철부(33) 사이가 소정 간격으로 넓어졌을 때에 제1 조부(342A)와 상기 제2 조부(342B)가 서로 계지하고, 제1 접촉 용수철부(32)와 제2 접촉 용수철부(33) 사이의 소정 간격을 넘는 넓어짐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암형 컨택트(10)는, 제1 구부(34A) 및 제2 구부(34B)로 구성되는 천정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암형 컨택트(10)는, 1개에는, 소정 간격 이내의 넓어짐이 허용되고, 제1 접촉 용수철부(32) 및 제2 접촉 용수철부(33)의 스프링력을 사용하여 양호한 접촉압이 확보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암형 컨택트(10)에 의하면, 상기의 천정부(34)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재료 얻기가 양호하고, 간이한 구조로의 소정 간격을 넘은 넓어짐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암형 컨택트(10)에 의하면, 코스트 업을 억제하면서, 신뢰성이 높은 접촉압이 확보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암형 컨택트(10)의 경우, 상기의 천창(35)이 천정부(34)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접촉 용수철부(32)와 제2 접촉 용수철부(33)가 소정 간격으로 넓어졌을 때의 제1 구부(34A)와 제2 구부(34B)에 걸리는 힘의 배분이 균등하게 된다.
10 암형 컨택트
20 캐리어
21 천공(穿孔)
30 접촉부
31 기초부
32 제1 접촉 용수철부
33 제2 접촉 용수철부
34 천정부
34A 제1 구부
34B 제2 구부
341A 제1 완부
342A 제1 조부
341B 제2 완부
342B 제2 조부
35 천창(天窓)
40 심선 압착부
50 전선 압착부

Claims (3)

  1.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의 양측연 각각에서 세워지는 제1 접촉 용수철부 및 제2 접촉 용수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촉 용수철부와 상기 제2 접촉 용수철부 사이에 봉상의 수형 컨택트가 삽입되어 상기 수형 컨택트를 상기 제1 접촉 용수철부와 상기 제2 접촉 용수철부로 사이에 끼움으로써 상기 수형 컨택트와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암형 컨택트이며,
    상기 제1 접촉 용수철부 및 상기 제2 접촉 용수철부의 각 상단연끼리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접촉 용수철부와 상기 제2 접촉 용수철부 사이의 소정 간격을 넘는 넓어짐을 방지하는 천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컨택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부가, 상기 제1 접촉 용수철부에 연결되는 제1 구부와 상기 제2 접촉 용수철부로 연결되는 제2 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구부가, 상기 제1 접촉 용수철부의 상단연으로부터 상기 제2 접촉 용수철부 측을 향해 연장된 제1 완부를 갖고,
    상기 제2 구부가, 상기 수형 컨택트의 삽입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완부와의 사이에 간격을 비워 상기 제2 접촉 용수철부의 상단연으로부터 상기 제1 접촉 용수철부 측을 향해 연장된 제2 완부를 갖고, 또한,
    상기 제1 구부가, 상기 제1 완부의, 상기 제2 접촉 용수철부 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완부를 향해 연장된 제1 조부를 갖고,
    상기 제2 구부가, 상기 제2 완부의, 상기 제1 접촉 용수철부 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완부를 향해 상기 제1 조부로부터 이간하여 연장된 제2 조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촉 용수철부와 상기 제2 접촉 용수철부 사이가 상기 소정 간격으로 넓어졌을 때 상기 제1 조부와 상기 제2 조부가 서로 계지하여 상기 제1 접촉 용수철부와 상기 제2 접촉 용수철부 사이의 상기 소정 간격을 넘는 넓어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컨택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부, 상기 제2 완부, 상기 제1 조부, 및 상기 제2 조부로 둘러싸인 천창이, 상기 수형 컨택트의 삽입 방향 및 상기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쌍방에 의해, 상기 천정부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컨택트.
KR1020180119571A 2017-10-10 2018-10-08 암형 컨택트 KR1026154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96686 2017-10-10
JP2017196686A JP2019071212A (ja) 2017-10-10 2017-10-10 雌型コンタク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466A true KR20190040466A (ko) 2019-04-18
KR102615421B1 KR102615421B1 (ko) 2023-12-19

Family

ID=6611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571A KR102615421B1 (ko) 2017-10-10 2018-10-08 암형 컨택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9071212A (ko)
KR (1) KR102615421B1 (ko)
CN (1) CN10965974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6415A (ja) 1994-05-27 1995-12-12 Ryosei Denso Kk 接続端子
JP2017157315A (ja) * 2016-02-29 2017-09-0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ンタク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06509A (zh) * 1996-10-15 1999-01-27 Ut迪伯恩汽车有限公司 电接线端子
JP4013151B2 (ja) * 2004-04-13 2007-11-28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ITPD20070035A1 (it) * 2007-02-02 2008-08-03 Inarca Spa Terminale elettrico femmina
CN101950872A (zh) * 2010-09-21 2011-01-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插座电极定位夹
JP6100495B2 (ja) * 2012-10-02 2017-03-22 矢崎総業株式会社 メス端子
CN203056177U (zh) * 2012-12-12 2013-07-10 深圳君泽电子有限公司 阴端子及用于汽车上的连接器
CN203826624U (zh) * 2014-04-24 2014-09-10 河南天海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正向力保持结构的汽车插接器插座端子
CN206134999U (zh) * 2016-10-11 2017-04-2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端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6415A (ja) 1994-05-27 1995-12-12 Ryosei Denso Kk 接続端子
JP2017157315A (ja) * 2016-02-29 2017-09-0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ンタク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71212A (ja) 2019-05-09
KR102615421B1 (ko) 2023-12-19
CN109659741A (zh) 2019-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63224A (en) Electrical connector
JP5809198B2 (ja) ガイド金具付電気コネクタ
US4553808A (en) Electrical terminal intended for mating with a terminal tab
JP6119524B2 (ja) 端子金具
EP2164137B1 (en) A joint connector, joint terminal, a wiring harness with a joint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it
US7938694B2 (en) Connector terminal and connector with the connector terminal
JP6342608B2 (ja) 雌端子
US10938125B2 (en) Connection terminal and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US5030132A (en) Bidirectional insulation displacement electrical contact terminal
JPH05242923A (ja) 電気端子
EP2445057A1 (en) Terminal fitting
EP2020702A2 (en) Receptacle terminal
US4527857A (en) Terminal for connecting a wire to a blade type terminal
EP0191539B1 (en) Electrical connecting terminal for a connector
KR960016876B1 (ko) 과도 응력 방지 수단을 갖는 수 전기 단자
CN203103582U (zh) 连接端子和连接器组件
JP6041949B2 (ja) 金具付電気コネクタ
JP2002025674A (ja) 接続端子
KR20190040466A (ko) 암형 컨택트
EP0122780A1 (en) Wire-slot type electrical terminal intended for mating with a terminal tab
US6086434A (en) One piece terminal system
CN101005171B (zh) 端子接头及设置有该端子接头的连接器
JP2014099370A (ja) 端子金具および電線の接続構造
TWI616037B (zh) 連接器及其製造方法
US20130337704A1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