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0299A - 윈도우 조절기용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윈도우 조절기용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0299A
KR20190040299A KR1020197008218A KR20197008218A KR20190040299A KR 20190040299 A KR20190040299 A KR 20190040299A KR 1020197008218 A KR1020197008218 A KR 1020197008218A KR 20197008218 A KR20197008218 A KR 20197008218A KR 20190040299 A KR20190040299 A KR 20190040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ble
drive
bearing
carrier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2145B1 (ko
Inventor
롤랜드 칼프
가브리엘레 랑게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Publication of KR20190040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7Motor units therefor, e.g. geared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8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4Dru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82Strength alteration by reinforcing, e.g. by applying ri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구성요소, 특히 윈도우 액추에이터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장치를 위한 구동 장치(1)로서, 캐리어 요소(4), 케이블 드럼(3), 캐리어 요소(4)의 제1 측면에 배치되고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케이블 드럼(3)을 회전가능하게 지탱하는 제1 베어링 요소(22)를 갖는 케이블 출구 하우징(2), 모터 유닛(8)에 의해 구동가능한 구동 휠(6), 및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구동 휠(6)을 회전가능하게 지탱하는 제2 베어링 요소(72)를 갖는, 제1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캐리어 요소(4)의 제2 측면에 배치되는 구동 하우징(7)을 포함하는 구동 장치(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 출구 하우징(2) 및 구동 하우징(7)은 제1 베어링 요소(22)와 제2 베어링 요소(72) 사이에서 동작하는 체결 요소(9)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따라서 장착이 간단하고 동작 중에 유리한 동작 거동을 가질 수 있는 구동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윈도우 조절기용 구동 장치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차량 부품, 특히 파워 윈도우 액추에이터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기구용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유형의 구동 장치는 캐리어 요소, 케이블 드럼, 캐리어 요소의 제1 측면에 배치되는 케이블 출구 하우징, 모터 유닛에 의해 구동가능한 구동 휠, 및 캐리어 요소의 제1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제2 측면에 배치되는 구동 하우징을 포함한다. 케이블 출구 하우징은 케이블 드럼을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기 위한 제1 베어링 요소를 갖는다. 대조적으로, 구동 하우징은 구동 휠을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기 위한 제2 베어링 요소를 갖는다.
이러한 유형의 구동 장치는 특히 파워 윈도우 기구의 구성 부품일 수 있으며, 따라서 윈도우 글래스를 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동 장치는 차량의 다른 조정 요소, 예를 들어 슬라이딩 루프 등을 조정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파워 윈도우 액추에이터의 경우에, 윈도우 글래스에 커플링되는 하나의 동반 요소가 각각 안내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가이드 레일이 예를 들어 도어 모듈의 장치 캐리어에 배치될 수 있다. 동반 요소는 (독점적으로) 인장력을 전달하기 위해 고안되는 굴곡식 연성 견인 케이블을 통해 구동 장치에 커플링되며, 견인 케이블은, 견인 케이블이 케이블 드럼의 회전 이동에서 하나의 단부를 통해 케이블 드럼에 감기고 다른 단부를 통해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풀리는 방식으로 드럼 케이블에 배치된다. 따라서, 견인 케이블에 의해 형성된 케이블 루프의 변위는 각각 할당된 가이드 레일을 따른 동반 요소의 이동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윈도우 글래스는 예를 들어 차량의 측면 상의 도어의 윈도우 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기구는 일반적으로 윈도우 글래스가 조정되게 하기 위해 충분한 강도의 토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여기서 구동 장치는 작은 설치 공간을 가질 수 있어야 하고, 예를 들어 할당된 캐리어 요소, 예를 들어 도어 모듈의 장치 캐리어에 용이하게 조립되어야 하며, 동작시 예를 들어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에서 작은 소음 발생을 수반하는 유리한 동작 거동을 가져야 한다.
DE 10 2004 044 863 A1으로부터 공지된, 자동차의 조정 기구용 구동장치의 경우, 케이블 드럼이 구동 하우징의 베이링 돔에 배치되며, 구동 하우징은 나사 형태의 체결 요소를 통해 장치 캐리어 형태의 캐리어 요소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이 특히 간단하고 동작 시에 유리한 동작 거동을 가질 수 있는 구동 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주제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케이블 출구 하우징 및 구동 하우징은 제1 베어링 요소와 제2 베어링 요소 사이에 작용하는 체결 요소를 통해 서로 체결된다.
본원에서 케이블 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제1 베어링 요소 및 구동 휠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 하우징의 제2 베어링 요소는 (제1 베어링 요소의) 제1 회전축 및 (제2 베어링 요소의) 제2 회전축이 상호 정렬되는 방식으로 상호 동축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매우 간단한 조립은, 캐리어 요소의 하나의 제1 측면의 케이블 출구 하우징 및 캐리어 요소의 다른 제2 측면의 구동 하우징이 제1 베어링 요소와 제2 베어링 요소 사이에 작용하는 (단일) 체결 요소를 통해 서로 체결되어 캐리어 요소에 설치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조립을 위해, 특히 한편의 케이블 출구 하우징과 다른 편의 구동 하우징을 캐리어 요소에 부착하고 그후에 케이블 출구 하우징 및 구동 하우징을 서로 연결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체결 요소, 예를 들어 나사 요소를 통해 상기 케이블 출구 하우징과 상기 구동 하우징을 축방향으로 상호 조일 수 있다.
본원에서 체결 요소는 베어링 요소 중 하나로부터 베어링 요소의 다른 것에 결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베어링 요소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한편의 케이블 출구 하우징 및 다른 편의 구동 하우징은 베어링 요소를 통해 상호 설치된다.
예를 들어, 차량에서의 의도된 사용에 따른 구성의 경우에, 케이블 드럼은 차량의 측면의 도어, 예를 들어 습윤 공간에 배치되는 한편, 구동 장치의 모터 유닛은 건조 공간에 놓인다. 본원에서 습윤 공간과 건조 공간 사이의 분리는 캐리어 요소, 예를 들어 도어 모듈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장치 캐리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습윤 공간/건조 공간 분리는, 상기 습윤 공간/건조 공간의 분리가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으로 결합되는 체결 요소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상태에서, 캐리어 요소의 하나의 측면에 있는 케이블 출구 하우징과 캐리어 요소의 다른 측면에 있는 구동 하우징이 조립되고 (간단한) 중앙 체결 요소를 통해 연결되는 것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1 베어링 요소는 케이블 드럼을 장착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베이스로부터 돌출하는 원통형 베어링 돔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캐리어 요소의 측면에 구동 휠을 장착하는 역할을 하는 구동 하우징의 제2 베어링 요소는 구동 하우징 상의 원통형 베어링 돔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베어링 돔은 체결 요소를 통해 축방향으로 상호 조여지고, 그래서 한편의 케이블 출구 하우징과 다른 편의 구동 하우징이 상기 조임을 통해 캐리어 요소에 설치된다.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제1 베어링 요소와 구동 하우징의 제2 베어링 요소가 조립시 위치적으로 정확한 방식으로 서로 부착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베어링 요소 중 하나는 원추형 부분(이른바 중심맞춤 원추)를 갖는 한편, 다른 베어링 요소는 예를 들어 원추형 개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중심맞춤 결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에서 케이블 출구 하우징이 캐리어 요소에 부착되고 다른 편에서 구동 하우징이 캐리어 요소에 부착될 때, 원추형 부분과 인입 결합부가 상호 맞물리고, 그래서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제1 베어링 요소와 구동 하우징의 제2 베어링 요소가 상호 중심맞춤되며,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제1 베어링 요소의) 제1 회전축 및 (구동 하우징의 제2 베어링 요소의) 제2 회전축이 상호 동축이 되도록 정렬되는 것이 보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한편의 원추형 부분과 다른 편의 중심맞춤 결합부 사이의 중심 정렬 결합은 예를 들어 조립 동안 조임을 행할 때만 성취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출구 하우징과 구동 하우징이 캐리어 요소 상에 배치되지만 아직 체결 요소를 통해 상호 축방향으로 조여지지 않는 제1 조립 위치에서, 원추형 부분과 중심맞춤 결합부는 상호 축방향 유격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원추형 부분과 중심맞춤 결합부는 제1 조립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직접적으로 지탱되지 않는다. 한편의 원추형 부분과 다른 편의 중심맞춤 결합부의 원추형 면적 부분은 특히 서로에 대해 아직 활주되지 않았다. 축방향 유격에 의해, 제1 베어링 요소 및 제2 베어링 요소는 서로에 대해 (아직) 축방향으로 지지되지 않는다.
그러나, 케이블 출구 하우징과 구동 하우징이 체결 요소를 통해 상호 축방향으로 조여지는 제2 조립 위치(동작에 따른 기능 위치에 대응)에서, 원추형 부분 및 중심맞춤 결합부는 서로에 대해 지탱된다. 따라서, 제1 조립 위치에서 존재하는 것과 같은 제1 베어링 요소와 제2 베어링 요소 사이의 유격은 제2 조립 위치에서 제거된다. 제1 베어링 요소 및 제2 베어링 요소는 서로에 대해 지탱되는 원추형 부분과 중심맞춤 결합부에 의해 상호 중심맞춤되며, 그래서 제1 베어링 요소의 제1 회전축 및 제2 베어링 요소의 제2 회전축은 적절한 방식으로 서로 정렬된다.
예를 들어 나사 요소로서 구성되는 체결 요소를 통한 구동 하우징에 대한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조임에서, 케이블 출구 하우징은 하나의 영역 또는 복수의 영역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케이블 출구 하우징, 캐리어 요소 및 구동 하우징 사이의 임의의 유격뿐만 아니라 케이블 드럼의 장착에 있어서의 임의의 유격은 이러한 변형 능력에 의해 균등화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변형 능력은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일부에 대한 목표된 형성을 통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변형 능력은 예를 들어 제1 베어링 요소가 돌출하는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베이스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본원에서 베이스는 예를 들어 제1 베어링 요소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는 하나 이상의 하우징 부분을 통해 캐리어 요소에 연결되며, 그래서 베이스는 캐리어 요소로부터 떨어져서 놓이고 케이블 드럼은 케이블 출구 하우징 내에 수용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를 보강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구조 요소가 베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전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또는 제1 회전축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리브가 베이스에 성형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보강 리브가 부분적으로 중단될 수 있고, 그래서 할당된 보강 리브에 리세스가 제공되며, 그래서 본원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위치에서 베이스의 (탄성적)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재료 약화부가 상기 리세스에서 달성되어 베이스에서 미리결정된 파단점이 달성되도록 한다.
보강 리브는 상기 보강 리브가 제1 회전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점에서 제1 회전축에 대해 축방향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리세스는 상기 리세스가 예를 들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을 따라 배치되는 점에서 제1 회전축에 대해 축방향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베어링 요소 사이의 축방향 유격은 케이블 출구 하우징을 구동 하우징에 대해 조일 때 리세스를 통해 달성되는 미리정해진 파단점(예를 들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미리결정된 변형선에 대응)에 의해 탄성적으로 균등화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분의 베이스 부분은 또한 예를 들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그래서 유격이 체결 요소를 통한 구동 하우징에 대한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조임에서 이러한 베이스 부분 상에서의 탄성적 변형에 의해 균등화될 수도 있다.
케이블 출구 하우징 및 구동 하우징은, 캐리어 요소의 개재에 의해,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제1 베어링 요소와 구동 하우징의 제2 베어링 요소 사이에 작용하는 체결 요소를 통해 축방향으로 상호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 출구 하우징 및 상기 구동 하우징은 조임에 의해 캐리어 요소 상에서 상호 체결된다. 본원에서 토크가 제1 베어링 요소에 장착되는 케이블 드럼을 통해 케이블 출구 하우징에 작용할 수 있으며, 토크는 또한 제2 베어링 요소에 장착되는 구동 휠을 통해 구동 하우징에 전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케이블 출구 하우징은, 구동 하우징과 마찬가지로, 구동 장치의 동작에서 캐리어에 대해 그리고 서로에 대해 회전 방식으로 이동할 수 없는 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회전-방지 안전장치가 한편에서 케이블 출구 하우징과 캐리어 요소 사이에 그리고 다른 편에서 구동 하우징과 캐리어 요소 사이에 제공된다.
이를 위해, 케이블 출구 하우징을 캐리어 요소에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분은 예를 들어 캐리어 요소에 회전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된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경우 포지티브-잠금 개구를 통해 다른 각각의 구성요소(따라서 캐리어 요소 또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분의 베이스 부분)에 결합되는 포지티브-잠금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분의 베이스 부분 또는 캐리어 요소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출구 하우징과 캐리어 요소 사이의 회전-방지 안전장치가 포지티브-잠금 개구의 포지티브-잠금 요소의 결합을 통해 제공된다. 따라서 토크는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분이 제1 베어링 요소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고 따라서 제1 회전축 외부로 반경방향으로 케이블 드럼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것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본원에서 케이블 출구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분을 통해 캐리어 요소에 축방향으로 지지되며, 케이블 출구 하우징을 구동 하우징에 대해 축방향으로 조임으로써 캐리어 요소에도 조여진다. 체결 요소의 인장력은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분을 통해 캐리어 요소에 지지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구동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 기구, 예를 들어 제2 베어링 요소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는, 포지티브-잠금 개구가 내부에 성형된 체결 부시를 가질 수 있다. 구동 하우징은 또한 제2 베어링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작용하는 토크가 흡수되어 배출될 수 있고 특히 캐리어 요소 상에서의 구동 하우징의 회전을 초래하지 않을 수 있도록 체결 기구를 통해 캐리어 요소에 회전 고정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구동 하우징을 캐리어 요소 상에서의 회전에 대해 고정하기 위해, 캐리어 요소 또는 구동 하우징의 체결 기구에 배치되는 포지티브-잠금 요소는 각각의 다른 구성요소(따라서 구동 하우징의 체결 기구 또는 캐리어 요소)에 형성되는 포지티브-잠금 개구에 포지티브-잠금 방식으로 결합되는 바람직하다. 토크는 구동 하우징이 캐리어 요소 상에 회전 고정 방식으로 설치되도록 포지티브-잠금 결합을 통해 흡수 및 배출될 수 있다.
케이블 출구 하우징과 구동 하우징 양쪽 모두는 캐리어 요소에 회전 고정되도록 포지티브-잠금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 포지티브 잠금은 케이블 출구 하우징을 캐리어 요소의 제1 측면에 부착할 때 그리고 구동 하우징을 캐리어 요소의 제2 측면에 부착할 때 자체-작용 방식으로 생성되며, 이를 위해 별도의 조립 단계가 요구되지 않고 예를 들어 나사 요소 형태의 추가적인 체결 요소는 설치될 필요가 없다. 케이블 출구 하우징과 구동 하우징의 상호 (축방향) 설치는 오로지 구동 하우징 및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베어링 요소 사이에서 중앙에 작용하는 체결 요소를 통해서만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지티브-잠금 요소와 포지티브-잠금 개구의 벽 사이에 탄성 감쇄 중간층을 형성하는 감쇄 요소가 포지티브-잠금 요소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동작에서 구동 하우징과 캐리어 요소 사이의 음향 분리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개념은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에서,
도 1a는 구동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도 1b는 상이한 관점으로부터의 도 1a에 따른 분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캐리어 요소에 부착되기 전의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3은 캐리어 요소에 부착되기 전의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다른 도면을 도시하고;
도 4a는 캐리어 요소 상에서의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4b는 도 4a에 따른 조립체의 단편의 확대된 도면을 도시하고;
도 5는 아래에서 비스듬히 본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전용 도면을 도시하고;
도 6은 케이블 출구 하우징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7은 도 6에 따른 A-A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8은 케이블 출구 하우징이 캐리어 요소에 부착되어 있는 도 7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9는 체결 요소를 통해 구동 하우징과 케이블 출구 하우징을 조이기 전의 도 4a에 따른 B-B 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0a는 단면도에서의 구동 장치의 추가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도 10b는 도 10a에 따른 제1 단편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10c는 도 10a에 따른 제2 단편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10d는 도 10a에 따른 제3 단편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11a는 조여진 상태에서의 도 10a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1b는 제1 단편에서의 도 11a에 따른 조립체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11c는 제2 단편에서의 도 11a에 따른 조립체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11d는 제3 단편에서의 도 11a에 따른 조립체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12는 파워 윈도우 액추에이터 형태의 차량의 조정 기구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a, 도 1b 내지 도 9는 예를 들어 차량의 측면 도어 등의 윈도우 글래스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장치에서 구동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는 구동 장치(1)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파워 윈도우 액추에이터 형태의 이러한 조정 장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11)을 가지며, 예를 들어 이 가이드 레일 상에서 윈도우 글래스(13)에 커플링되는 하나의 동반 요소(12)가 각각 조정가능하다. 각각의 동반 요소(12)는 인장력을 (독점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견인 케이블(10)을 통해 구동 장치(1)에 커플링되며, 견인 케이블(10)은 닫힌 케이블 루프를 구성하며, 이를 위해 상기 견인 케이블(10)의 단부를 통해 구동 장치(1)의 케이블 드럼(3)(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 참조)에 연결된다. 견인 케이블(10)은 구동 장치(1)로부터 가이드 레일(11)의 하위 단부 상의 편향 롤러(110)를 돌아 동반 요소(12)까지 연장되며, 동반 요소(12)로부터 가이드 레일(11)의 상위 단부의 편향 롤러(111)를 돌아 다시 구동 장치(10)까지 연장된다.
작동시, 구동 장치(1)의 모터 유닛은, 견인 케이블(10)이 일 단부를 통해 케이블 드럼(3) 상에 감기고, 다른 단부를 통해 케이블 드럼(3)으로부터 풀리는 방식으로 케이블 드럼(3)을 구동한다. 이로 인해, 견인 케이블(10)에 의해 형성되는 케이블 루프는 자유롭게 연장되는 케이블 길이의 어떠한 변화도 없이 변위되고, 이는 동반 요소(12)가 가이드 레일(11) 상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며, 윈도우 글래스(13)는 이로 인해 가이드 레일(11)을 따라 조정된다.
도 12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경우의 파워 윈도우 액추에이터는 도어 모듈의 장치 캐리어(4) 상에 배치된다. 장치 캐리어(4)는 예를 들어 차량 도어의 내부 도어 패널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장치 캐리어(4) 상에 배치된 파워 윈도우 액추에이터를 갖는 사전-조립된 상태에서 차량 도어에 조립될 수 있는 사전-조립된 유닛을 나타낸다.
도 1a, 도 1b 내지 도 9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구동 장치(1)는, 예를 들어 장치 캐리어에 의해 실현되고, 캐리어 요소(4)의 제1 측면에 배치되는 케이블 출구 하우징(2) 및 캐리어 요소(4)의 제2 측면에 배치되는 구동 하우징(7)을 갖는 캐리어 요소(4)의 면적 부분(40)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측면은 제1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한다.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은 케이블 드럼(3)을 캐리어 요소(4) 상에 장착하는 역할을 하고, 구동 하우징(7)은 특히 케이블 드럼(3)이 구동 휠(6)의 구동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모터 유닛(8)을 통해 구동될 수 있고 케이블 드럼(3)에 연결되는 구동 휠(6)을 둘러싼다.
캐리어 요소(4)의 제1 측면 상의 케이블 드럼(3)은, 차량의 차량 도어에서의 의도된 사용에 따라 배치될 때, 예를 들어 차량 도어의 습윤 공간에 배치된다. 대조적으로, 구동 하우징(7)은 차량 도어의 건조 공간에 위치된다. 습윤 공간과 건조 공간 사이의 분리는 캐리어 요소(4)를 통해 확립되며, 따라서 구동 휠(6)과 케이블 드럼(3) 사이의 계면은 방습 방식으로 밀봉되고, 그래서 수분은 습윤 공간으로부터 건조 공간으로 이동할 수 없다.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은 베이스(20), 베이스(20)로부터 중앙으로 돌출하는 베어링 돔 형태의 원통형 베어링 요소(22), 및 원통형 베어링 요소(22)와 평행하도록 연장되고 베어링 요소(2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하우징 웨브 형태의 하우징 부분(21)을 갖는다. 케이블 드럼(3)은 베어링 요소(2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케이블 드럼(3)이 캐리어 요소(4)에 유지되는 방식으로 케이블 출구 하우징(2)에 의해 둘러싸인다.
케이블 드럼(3)은 몸체(30)를 가지며, 몸체(30)의 원주 쉘면(shell face)에 견인 케이블(10)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블 채널(300)을 가지며, 상기 케이블 채널(300)은 몸체(30)에 성형된다. 케이블 드럼(3)은 링 기어(31)를 통해 캐리어 요소(4)의 개구(41)에 삽입되며, 구동 휠(6)의 회전 이동이 케이블 드럼(3)의 회전 이동을 초래하도록 구동 휠(6)에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된다.
구동 하우징(7)은 개재된 밀봉 요소(5)를 통해 캐리어 요소(4)의 다른 제2 측면에 부착되며, 하우징 케이스(70)에서 중앙에 구성되고 구동 휠(6)의 개구(62)를 통해 결합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구동 휠(6)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는 원통형 베어링 돔 형태의 베어링 요소(72)를 갖는 하우징 케이스(70)를 갖는다. 웜 하우징(74)이 하우징 케이스(70)에 인접해 있고, 모터 유닛(8)의 전기 모터(80)의 구동 샤프트(800)에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되는 구동 웜(81)이 상기 웜 하우징(74)에 놓이고 웜 치형부를 통해 구동 휠(6)의 몸체(60)의 외부 치형부(600)와 맞물린다. 구동 샤프트(800)는, 전기 모터(8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그 단부에서, 베어링(82)을 통해 웜 하우징(74)에 장착된다. 본원에서, 전기 모터(80)는 구동 하우징(7)의 모터 케이스(73)에 놓이고, 상기 모터 케이스(73)는 하우징 커버(75)를 통해 외부에 대해 폐쇄된다.
또한, 구동 하우징(7)은 제어 전자기기가 배치된 회로 보드(760)가 내부에 배치된 전자기기 하우징(76)을 갖는다. 전자기기 하우징(76)은 하우징 플레이트(761) 상에 배치된 회로 보드(760)의 전자기기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플러그 커넥터(762)를 갖는 하우징 플레이트(761)를 통해 외부에 대해 폐쇄된다.
구동 휠(6)은, 몸체(60)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외부 치형부(610)가 성형되어 있는 연결 휠(61)을 가지며, 상기 연결 휠(61)은, 링 기어(31)(예를 들어 도 1b 참조)의 내부 치형부(310)가 맞물림 방식으로 연결 휠(610)의 외부 치형부(610)와 연결되도록 케이블 드럼(3)의 링 기어(31)와 결합된다. 구동 휠(6)과 케이블 드럼(3)은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 회전 고정식으로 연결되며, 그래서 케이블 드럼(3)은 구동 휠(6)의 구동에 의해 캐리어 요소(4) 상에서 회전가능하다.
구동 장치(1)가 조립되도록 하기 위해, 한편에서는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이 캐리어 요소(4)에 부착되고, 다른 편에서는 구동 하우징(7)이 캐리어 요소(4)에 부착된다. 캐리어 요소(4)에 대한 체결은 이 경우에는 체결 요소(9)가 구동 하우징(7)(도 9 참조)의 베어링 요소(72)의 개구(720)를 통해 연장되고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의 베어링 요소(22) 내의 개구(221)에서 중심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나사 요소의 형태의 체결 요소(9)가 구동 하우징(7)의 하위 측면의 결합 개구(721) 내로 삽입되도록 행해진다. 케이블 출구 하우징(2) 및 구동 하우징(7)은 체결 요소(9)를 통해 베어링 요소(22, 72) 상에서 상호 축방향으로 조여지고 또한 캐리어 요소(4) 상에 설치된다.
체결 요소(9)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산부는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의 베어링 요소(22)의 개구(221) 내에 성형될 수 있다. 그러나, 체결 요소(9)가 자체-태핑 방식으로 개구(221) 내로 나사체결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며 가능하다.
조립을 위해,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은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이 도 2 내지 도 4a,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드럼(3)을 둘러싸고 케이블 드럼을 캐리어 요소(4)에 유지하도록 캐리어 요소(4)의 제1 측면에 부착된다. 본원에서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은, 베이스 부분(210)을 통해 베어링 요소(2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는 하우징 부분(21)을 통해, 캐리어 요소(4)의 개구(41)를 원주방향으로 둘러싸는 접촉 링(45)에 지탱되게 된다.
웨브-형상 핀 형태의 축방향 돌출 포지티브-잠금 요소(42)가 접촉 구조(45) 상에 형성되고, 상기 포지티브-잠금 요소(42)는,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을 캐리어 요소(4)에 부착할 때, 하우징 부분(21)의 베이스 부분(210)의 포지티브-잠금 개구(212)(도 4b 참조)와 결합되고, 이런 방식으로 케이블 출구 하우징(2)과 캐리어 요소(4) 사이에 회전축(D)을 중심으로 한 회전-방지 안전장치를 달성하며, 상기 회전축(D)은 베어링 요소(22)에 의해 형성된다.
웨브-형상 포지티브-잠금 요소(42)는, 베어링 요소 주위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볼 때, 그 측방향 에지에서 비스듬하게(미소한 각도로) 연장될 수 있고, 그래서 하우징 부분(21)은 베이스 부분(210)을 포지티브-잠금 요소(42)에 플러그-끼워맞춤할 때 원주 방향을 따라 유격이 없도록 포지티브-잠금 요소(42)에 설치된다.
부착된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의 경우 하우징 부분(21) 상의 외향 돌출 래칭 캡 형태의 래칭 요소(211)가 결합되는 래칭 클리어런스(420)(예를 들어, 도 1a 참조)가 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8을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포지티브-잠금 요소(42)의 내측에 제공된다.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은, 그 내부에 둘러싸인 케이블 드럼(3)과 결합하여, 구동 하우징(7)이 체결 요소(9)를 통해 케이블 출구 하우징(2)에 대해 아직 조여지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래칭 연결을 통해 사전-조립 위치에서 캐리어 요소(4)에 유지된다. 래칭 연결은 따라서 조립을 단순화하고 아직 조립되지 않은 구동 하우징(7)의 경우에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사전-조립 위치에서의 케이블 드럼(3)은, 링 기어(31)(예를 들어 도 1a 참조)의 상위 주변부 상의 반경방향 돌출 베어링 요소(32)를 통해, 캐리어 요소(4)(예를 들어 도 8 참조)의 개구(41) 내의 베어링 링(46) 상에 지탱되게 되고, 그래서 사전-조립 위치에서의 케이블 드럼(3)은 개구(41)를 통해 빠질 수 없으며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을 통해 캐리어 요소(4) 상에 유지된다.
베어링 요소(32)는 특히 사전-조립 위치에서 캐리어 요소(4) 상의 케이블 드럼(3)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동 장치(1)의 완전한 조립시, 케이블 드럼(3)은 링 기어(31)를 통해 구동 휠(6)에 연결되고 케이블 출구 하우징(2)과 구동 하우징(7) 사이에 축방향으로 설치된다.
반경방향 내향으로 돌출하는 축방향 연장 고정 요소(23)는 하우징 부분(21)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 요소(23)는 몸체(30)의 쉘면 상의 케이블 채널(300)에 대면하며 동작 시 상기 쉘면을 따라 활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요소(23)를 통해, 케이블 채널(300)에 수용된 견인 케이블(10)이 케이블 채널(300)로부터 튀어나갈 수 없는 것이 보장된다.
구동 하우징(7)은, 모터 케이스(73)가 면적 부분(40)의 성형부(44)에 놓이게 되고, 웜 하우징(74)이 상기 성형부(44)(도 1a, 도 1b 및 도 2 참조)에 인접하는 면적 부분(40)의 성형부(440)에 놓이게 되는 방식으로 캐리어 요소(4)의 다른 제2 측면에 부착된다. 내부에 포지티브-잠금 개구(710)가 성형되어 있는 결합 부시 형태의 체결 기구(71)는 구동 하우징(7)이 부착될 때 캐리어 요소(4)의 하측으로부터 돌출하는 핀 형태의 포지티브-잠금 요소(43)와 결합된다. 캐리어 요소(4) 상의 핀 형태의 포지티브-잠금 요소(43)와 똑 닮은 체결 기구(71)의 포지티브-잠금 개구(710)가 구동 하우징(7)의 베어링 요소(72)에 의해 형성되는 회전축(D)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하우징은 상기 포지티브-잠금 결합에 의해 구동 하우징(7)을 위한 회전-방지 안전장치가 제공되도록 캐리어 요소(4) 상에 회전 고정 방식으로 설치된다.
결합부(51)가 캐리어 요소(4)의 포지티브-잠금 요소(43) 상의 밀봉 요소(5)의 환형 시일(50) 상에 배치되고, 그래서 체결 기구(71) 상의 포지티브-잠금 개구(710)에서의 포지티브-잠금 요소(43)의 포지티브-잠금 결합이 결합부(51)의 개재에 의해 수행된다. 이는 음향 분리를 위한 역할을 한다.
웜 하우징(74)을 수용하는 성형부(440)의 영역에 놓이는 만곡 부분(52)이 밀봉 요소(5) 상에 구성된다. 만곡 부분(52)은 웜 하우징(74)과 캐리어 요소(4) 사이에 중간층을 형성하여, 캐리어 요소(4)로부터의 구동 하우징(7)의 음향 분리가 달성된다.
구동 하우징(7)이 밀봉 요소(5)의 개재에 의해 캐리어 요소(4)에 부착되었을 때, 구동 하우징(7)은 체결 요소(9)를 통해 케이블 출구 하우징(2)에 대해 조여지며, 그래서 케이블 출구 하우징(2) 및 구동 하우징(7)은 이에 의해 상호 설치되며 캐리어 요소(4) 상에 설치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요소(9)는, 체결 요소(9)가 섕크(90)에 의해 개구(720)를 통해 베어링 요소(72)의 헤드에 결합되고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의 베어링 요소(22)의 개구(221)에 결합되도록 구동 하우징(7)의 베어링 요소(72) 내의 결합 개구(721) 내로 삽입된다. 여기서 체결 요소(9)의 헤드 (91)는,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이 체결 요소(9)를 베어링 요소(22) 내의 개구(221) 내로 나사체결함으로써 구동 하우징(7)에 대해 조여지도록 베어링 요소(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개구(720)의 측면에 놓이게 된다.
도 2 및 도 6으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캐리어 요소(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측면에서의 베이스(20) 상의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은 베어링 요소(22)에 의해 형성되는 회전축(D)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거나 회전축(D)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리브 형태의 구조 요소(200, 201)를 가지며, 베이스(20)를 보강한다. 여기서 구조 요소(200) 상의 재료를 약화시키는 국부적인 리세스(202)가 반경방향 연장 구조 요소(200)에서 달성되며, 상기 리세스(202)는 회전축(D)을 중심으로 링을 따라 배치되며 베이스(20)의 탄성적인 변형을 위한 미리결정된 파단선을 달성한다.
따라서, 체결 요소(9)가 구동 하우징(7)의 측면으로부터 베어링 요소(22) 내로 나사체결될 때, 베이스(20)는 제조-관련 공차가 균일해질 수 있고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이 하우징 부분(21) 상의 베이스 부분(210)을 통해 캐리어 요소(4) 상에 무유격 방식으로 설치되도록 적어도 약간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 요소(22)는, 베이스(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단부에,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을 구동 하우징(7)에 대해 조일 때 구동 하우징(7)의 베어링 요소(72) 상의, 상보적인 방식으로 형성되는 중심맞춤 결합부에 결합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구동 하우징(7)의 베어링 요소(72)에 대해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의 베어링 요소(22)의 중심맞춤 위치를 설정하는 중심맞춤 원추(도 8 및 도 9 참조) 형태의 원추형 부분(220)을 갖는다. 베어링 요소(22)의 단부 상의 원추형 부분(220)과 베어링 요소(72)의 헤드 상의 중심맞춤 결합부(722)의 양자 모두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호 상보적이며(원추형 부분(220) 외부 원추를 실현하는 한편, 중심맞춤 결합부(722)는 내부 원추를 형성하며), 그래서 결합부의 경우의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의 베어링 요소(22)는 구동 하우징(7)의 베어링 요소(72)에 대해 중심맞춤되도록 정렬된다.
여기서,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의 베어링 요소(22) 및 구동 하우징(7)의 베어링 요소(72)는 한편에서는 케이블 드럼(3)을 위한 그리고 다른 편에서는 구동 휠(6)을 위한 공통 회전축(D)을 형성하며, 그래서 케이블 드럼(3) 및 구동 휠(6)은 동작시에 상호 동축으로 그리고 공동 방식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a, 도 1b 및 도 9에 의해 위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베어링 요소(22)는 도 10a 내지 도 10d 및 도 11a 내지 도 11d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에는 길어지며, 그 단부를 통해 예를 들어 도 10a 및 도 10d에 따른 확대도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동 하우징(7)의 베어링 요소(72)에 결합된다.
여기서 도 10a 내지 도 10d는, 한편에서는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이 그리고 다른 편에서는 구동 하우징(7)이 캐리어 요소(4)에 부착되지만 체결 요소(9)에 의해 아직 상호 조여지지는 않는 제1 조립 위치의 구동 장치(1)를 도시한다. 이 제1 조립 위치에서,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은 그 하우징 부분(21)의 베이스 부분(210)을 통해 캐리어 요소(4)의 접촉 링(45)(도 10c에 따른 확대도 참조)에 지탱되며, 케이블 드럼(3)과 베이스(20)(도 10b에 따른 확대도 참조) 사이에는 유격(X1)이 존재하고, 또한 베어링 요소(22)의 단부 상의 원추형 부분(220)과 베어링 요소(72) 상의 중심맞춤 결합부(722)(도10d에 따른 확대도 참조) 사이에는 유격(X2)이 존재한다.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이 체결 요소(9)를 통해 이제 구동 하우징(7)에 대해 축방향으로 조여질 때, 이로 인해 베어링 요소(22)는 베어링 요소(72) 내로 더 당겨지고, 이로 인해 도 11b에 따른 확대도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어링 요소(22)의 원추형 부분(220)과 베어링 요소(72)의 중심맞춤 결합부(722) 사이의 유격(X2)이 상쇄된다. 이는 특히 미리결정된 파단점(202)에서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의 베이스(20)를 (약간) 변형시키면서 행해지며, 베이스 부분(210) 또한 (약간) 변형되고, 이로 인해 각각의 하우징 부분(21)의 래칭 요소(211)와 각각의 할당된 포지티브-잠금 요소(42)의 래칭 클리어런스(420)(도 11c)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유격(X3)이 설정된다. 또한, 베이스(20)와 케이블 드럼(3) 사이의 유격(X1)은 크게 상쇄되고(도 11b 참조), 그래서 케이블 드럼(3)은 케이블 출구 하우징(2)과 구동 하우징(7)의 베어링 요소(72)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무유격 방식으로 축방향으로 유지되지만, 여기서 상기 케이블 드럼(3)은 베어링 요소(22) 상에서 용이하게 회전가능하다.
그렇지 않은 경우, 도 10a 내지 도 10d 및 도 11a 내지 도 11d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그 기능 면에서 도 1a, 도 1b 내지 도 9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와 동일하며, 그래서 상술한 것을 참조한다.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을 구동 하우징(7)에 대해 조이는 것에 의한 도 10a 내지 도 10b 및 도 11a 내지 도 11d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은 유격의 제거는 도 1a, 도 1b 내지 도 9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공될 수 있고, 그래서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도 어느정도 기능적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개념은 기본적으로 위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기본적으로 또한 완전히 상이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설명된 유형의 구동 장치는 특히 파워 윈도우 액추에이터에서의 사용으로 한정되지 않고, 차동차의 다른 조정 요소, 예를 들어 슬라이딩 루프 등을 조정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구동 장치는 특히 (단일) 축방향 조임 체결 요소를 사용하여 간단한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캐리어 요소에 대한 케이블 출구 하우징 및 구동 하우징의 신뢰성 있는 설치와 쌍을 이루는 간단하고 비용 효과적일 수 있는 조립체는 조립 단계가 거의 없다.
1 구동 장치
10 케이블
11 가이드 레일
110, 111 편향부
12 동반 요소
13 윈도우 글래스
2 케이블 출구 하우징
20 베이스
200, 201 구조 요소(보강 리브)
202 리세스(재료 약화부)
21 하우징 부분
210 베이스 부분
211 래칭 요소
212 포지티브-잠금 개구(슬롯 개구)
22 베어링 요소(베어링 돔)
220 중심맞춤 원추
221 개구
23 고정 요소
3 케이블 드럼
30 몸체
300 케이블 채널
31 링 기어
310 치형부
32 베어링 요소
4 캐리어 요소(장치 캐리어)
40 면적 부분
41 개구
42 포지티브-잠금 요소
420 래칭 클리어런스
43 포지티브-잠금 요소
44 성형부
440 성형부
45 접촉 링
46 베어링 링
5 밀봉 요소
50 환형 시일
51 결합 부분
52 만곡 부분
6 구동 휠
60 몸체
600 외부 치형부
61 연결 휠
610 치형부
62 개구
7 구동 하우징
70 하우징 케이스
71 체결 기구(결합 부시)
710 포지티브-잠금 개구
72 베어링 요소(베어링 돔)
720 개구
721 결합 개구
722 중심맞춤 결합부
73 모터 케이스
74 웜 하우징
75 하우징 커버
76 전자기기 하우징
760 회로 보드
761 하우징 플레이트
762 플러그 커넥터
8 모터 유닛
80 전기 모터
800 구동 샤프트
81 구동 웜
82 베어링
9 체결 요소
90 섕크
91 헤드
D 회전축
X1, X2, X3 유격

Claims (13)

  1. 차량 부품, 특히 파워 윈도우 액추에이터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기구를 위한 구동 장치(1)로서,
    - 캐리어 요소(4);
    - 케이블 드럼(3); 및
    - 캐리어 요소(4)의 제1 측면에 배치되고 케이블 드럼(3)을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기 위한 제1 베어링 요소(22)를 갖는 케이블 출구 하우징(2);
    - 모터 유닛(8)에 의해 구동가능한 구동 휠(7); 및
    캐리어 요소(4)의 제1 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제2 측면에 배치되고 구동 휠(6)을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기 위한 제2 베어링 요소(72)를 갖는 구동 하우징(7)을 포함하는 구동 장치에 있어서,
    케이블 출구 하우징(2) 및 구동 하우징(7)은 제1 베어링 요소(22)와 제2 베어링 요소(72) 사이에 작용하는 체결 요소(9)를 통해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은 상호 동축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체결 요소(9)는 케이블 출구 하우징(2) 및 구동 하우징(7)을 제1 및/또는 제2 회전축을 따라 축방향으로 상호 조이는 나사 요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 요소(9)는 베어링 요소(22, 72) 중 하나의 개구(720)를 통해 겹합되고 체결을 위해 다른 베어링 요소(72, 2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어링 요소(22, 72) 중 하나는 원추형 부분(220)을 구비하며, 베어링 요소(72, 22) 중 다른 것은 제1 베어링 요소(22) 및 제2 베어링 요소(72)가 상호 중심맞춤되게 하기 위해 원추형 부분(220)과 상호작용하는 중심맞춤 결합부(7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6. 제5항에 있어서,
    - 케이블 출구 하우징(2) 및 구동 하우징(7)이 캐리어 요소(4) 상에 배치되지만 아직 체결 요소(9)를 통해 상호 축방향으로 조여지지 않은 제1 조립 위치에서, 원추형 부분(220) 및 중심맞춤 결합부(722)는 상호 축방향 유격(X2)을 가지며;
    - 케이블 출구 하우징(2) 및 구동 하우징(7)이 체결 요소(9)에 의해 상호 축방향으로 조여지는 제2 조립 위치에서, 원추형 부분(220) 및 중심맞춤 결합부(722)는 서로에 대해 지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은 제1 베어링 요소(22)가 돌출하는 베이스(20)를 구비하며, 베이스(20)는,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을 구동 하우징(7)에 대해 조일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8. 제7항에 있어서, 베이스(20)는 미리결정된 파단점을 제공하는 강성 약화 리세스(202)가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구조 요소(200, 20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9.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구조 요소(200, 201)는 보강 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은, 제1 베어링 요소(2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고, 케이블 출구 하우징(2)이 제1 회전축에 대해 회전 고정되도록 캐리어 요소(4)에 유지되는 방식으로 캐리어 요소(4)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분(2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11. 제10항에 있어서, 하우징 부분(21)은 캐리어 요소(4)에 부착되는 베이스 부분(210)을 구비하며, 베이스 부분(210) 또는 캐리어 요소(4) 상의 포지티브-잠금 요소(42)는 각각의 다른 구성요소 상에서 포지티브-잠금 개구(212)에 포지티브-잠금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 하우징(7)은, 제2 베어링 요소(7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고, 구동 하우징(7)이 제2 회전축에 대해 회전 고정되도록 캐리어 요소(4)에 유지되는 방식으로 구동 하우징(7)이 캐리어 요소(4)에 설치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기구(7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13. 제12항에 있어서, 캐리어 요소(4) 또는 체결 기구(71) 상의 포지티브-잠금 요소(43)는 각각의 다른 구성요소 상의 포지티브-잠금 개구(710)에 포지티브-잠금 방식으로 결하보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1).
KR1020197008218A 2016-09-06 2017-09-05 윈도우 조절기용 구동 장치 KR102262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16876.2 2016-09-06
DE102016216876.2A DE102016216876A1 (de) 2016-09-06 2016-09-06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Fensterheber
PCT/EP2017/072229 WO2018046491A1 (de) 2016-09-06 2017-09-05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fensterhe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299A true KR20190040299A (ko) 2019-04-17
KR102262145B1 KR102262145B1 (ko) 2021-06-07

Family

ID=59791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218A KR102262145B1 (ko) 2016-09-06 2017-09-05 윈도우 조절기용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13166B2 (ko)
EP (1) EP3510224B1 (ko)
JP (1) JP6843231B2 (ko)
KR (1) KR102262145B1 (ko)
CN (1) CN109690006B (ko)
DE (1) DE102016216876A1 (ko)
WO (1) WO20180464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16877A1 (de) * 2016-09-06 2018-03-0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Fensterheber, mit einem Anschlagsring für eine Seiltrommel
DE102016216879A1 (de) * 2016-09-06 2018-03-0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Fensterheber, mit einer Anlagestruktur an einem Trägerelement
DE102019215367A1 (de) * 2019-05-22 2020-11-26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Modulbaugruppe für ein verstellbares Fahrzeugteil und Kraftfahrzeug
CN113738222B (zh) * 2021-08-24 2023-10-24 东风博泽汽车系统有限公司 一种单导轨汽车玻璃升降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31350A2 (en) * 2001-02-07 2002-08-14 Meritor Light Vehicle Systems-France An assembly
US20060105877A1 (en) * 2002-08-02 2006-05-18 Thomas Bornchen Servo drive
KR20130073580A (ko) * 2011-12-23 2013-07-03 덴소풍성(주) 파워윈도우 모터용 체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5641A (ja) * 1982-03-26 1983-09-30 Asmo Co Ltd 自動車用直流電動機の取付構造
JPS63177583U (ko) * 1987-05-01 1988-11-17
US5207393A (en) * 1990-08-30 1993-05-04 Klaus Marscholl Electric-motor drive for a bowden-cable window lifter
US5890321A (en) * 1996-08-05 1999-04-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Window regulator mounting panel
DE19707850C1 (de) * 1997-02-27 1998-03-12 Brose Fahrzeugteile Motor-Getriebe-Einheit für Verstelleinrichtungen in Kraftfahrzeugen
DE19812875C1 (de) 1998-03-17 1999-06-02 Brose Fahrzeugteile Seilfensterheberantrieb
DE19914598B4 (de) * 1998-04-02 2008-07-03 Asmo Co., Ltd., Kosai Montageanordnung und Stellglied für ein Fenster mit elektrischem Scheibenheber
DE19944915A1 (de) * 1999-09-14 2001-03-15 Brose Fahrzeugteile Antrieb für Verstellvorrichtungen in Kraftfahrzeugen
FR2799493B1 (fr) * 1999-10-07 2001-11-23 Sai Automotive Sal Gmbh Ensemble comprenant une doublure interieure de portiere de vehicule et un mecanisme leve-vitre fixe a cette doublure
DE10019512A1 (de) 2000-02-19 2001-08-23 Bosch Gmbh Robert Motorgehäuse und Poltopf, insbesondere für Fensterheber- oder Schiebedachmotoren
ES2242709T3 (es) * 2000-03-10 2005-11-16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tems-France Metodo y aparato para montar un mecanismo de accionamiento en el interior de un modulo de una puerta.
JP3796513B2 (ja) * 2000-04-28 2006-07-12 自動車電機工業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アクチュエータ用たるみ検出スイッチ
FR2811038B1 (fr) * 2000-07-03 2003-06-27 Meritor Light Vehicule Sytems Systeme d'assemblage de deux composants d'un dispositif d'activation de leve-vitre sur un support
US6574922B2 (en) * 2000-10-06 2003-06-10 Meritor Light Vehicle Systems Door trimming panel having a window-lift mechanism
FR2836507A1 (fr) * 2002-02-22 2003-08-29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Dispositif comprenant un tambour de cable maintenu par un joint dans un carter et procede d'assemblage correspondant
US7591104B2 (en) * 2003-07-23 2009-09-22 Ohi Seisakusho Co., Ltd. Mounting structure of a power window apparatus
FR2857908B1 (fr) * 2003-07-25 2005-09-09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 Boitier de dispositif d'actionnement de leve-vitre
JP4718494B2 (ja) * 2004-02-12 2011-07-06 ブローゼ・ファールツォイクタイレ・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コンパニ・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コーブルク ケーブルドラムを収容するためのハウジング
DE102004017322A1 (de) * 2004-04-06 2005-11-03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Trommelgehäuse
JP4031457B2 (ja) * 2004-04-16 2008-01-09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ワイヤ式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の駆動装置
DE102004044863A1 (de) 2004-09-14 2006-03-3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Antriebseinheit für Verstelleinrichtungen von Kraftfahrzeug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04061254A1 (de) * 2004-12-20 2006-06-29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tems-France Baugruppe mit einem Fensterheberantrieb und einer damit verbundenen Motor/Getriebe-Einheit
US20070017159A1 (en) * 2005-07-20 2007-01-25 Hi-Lex Corporation, A Michigan Corporation Attachment of guide rail to door module plate
DE102010002511A1 (de) 2010-03-02 2011-09-08 Robert Bosch Gmbh Verstellantrieb, insbesondere Fensterheberantrieb
JP6846116B2 (ja) * 2016-04-12 2021-03-24 シロキ工業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駆動装置
DE102016216879A1 (de) * 2016-09-06 2018-03-0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Fensterheber, mit einer Anlagestruktur an einem Trägerelement
US10895097B2 (en) * 2018-09-17 2021-01-19 Hi-Lex Controls, Inc. Drive unit assembly for a window regul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31350A2 (en) * 2001-02-07 2002-08-14 Meritor Light Vehicle Systems-France An assembly
US20060105877A1 (en) * 2002-08-02 2006-05-18 Thomas Bornchen Servo drive
KR20130073580A (ko) * 2011-12-23 2013-07-03 덴소풍성(주) 파워윈도우 모터용 체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10224B1 (de) 2021-04-21
CN109690006A (zh) 2019-04-26
KR102262145B1 (ko) 2021-06-07
JP6843231B2 (ja) 2021-03-17
CN109690006B (zh) 2021-06-15
JP2019529742A (ja) 2019-10-17
US11313166B2 (en) 2022-04-26
US20190203518A1 (en) 2019-07-04
DE102016216876A1 (de) 2018-03-08
WO2018046491A1 (de) 2018-03-15
EP3510224A1 (de)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9800A (ko) 캐리어 요소 상의 베어링 구조를 갖는 윈도우 개방기를 위한 구동 장치
KR20190040299A (ko) 윈도우 조절기용 구동 장치
US11236538B2 (en) Acoustically decoupled drive device for a window lifter
US11396769B2 (en) Drive assembly for a window lifter having a stop ring for a cable drum
US7390018B2 (en) Steering wheel with non-rotating airbag
US7679236B2 (en) Electric actuator
KR20120028814A (ko) 클러치 및 모터
CN101925499B (zh) 具有方向盘、转向轴和叠加传动装置的机动车的转向装置
US7147496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EP3549844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US20050067521A1 (en) Gear unit and motor-driven gear unit for cable window lift systems
US20070194640A1 (en) Electric motor
US11821252B2 (en) Drive device for a window lifter having a gear cover
US20200056416A1 (en) Drive device for a window lift, having an obliquely extending shaft axis
US20130105270A1 (en) Load torque lock and unit having a load torque lock
US20220332360A1 (en) Steering device
KR20090051180A (ko) 축방향 고정부를 가진 트랜스미션 장치
CN118043571A (zh) 用于打开车辆的可移动的打开元件的打开机构的驱动装置以及用于车辆的打开系统
CN118124304A (zh) 插接轴单元
JP2002331829A (ja) パワーウインド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