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9960A - 다차원 음향 효과를 재생하기 위한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차원 음향 효과를 재생하기 위한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9960A
KR20190039960A KR1020197005429A KR20197005429A KR20190039960A KR 20190039960 A KR20190039960 A KR 20190039960A KR 1020197005429 A KR1020197005429 A KR 1020197005429A KR 20197005429 A KR20197005429 A KR 20197005429A KR 20190039960 A KR20190039960 A KR 20190039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head
user
listening
lat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에르파올로 구에리니
란도 산테리니
Original Assignee
사운드6디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IT102016000085955A external-priority patent/IT201600085955A1/it
Priority claimed from IT102016000085931A external-priority patent/IT201600085931A1/it
Application filed by 사운드6디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사운드6디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90039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9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04R5/023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in a chair, pil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27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with spe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04R1/083Special constructions of mouthpie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6Spatial arrangements of separate transducers responsive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7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microphones, e.g. in dummy h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04S1/002Non-adaptive circuits, e.g. manually adjustable or static, for enhancing the sound image or the spatial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04S7/303Tracking of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2009/006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sound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3Transducers incorporated in garment, rucksack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01Enhancing the perception of the sound image or of the spatial distribution using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s [HRTF's] or equivalents thereof, e.g. interaural time difference [ITD] or interaural level difference [I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11Application of ambisonics in stereophonic audio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Stereophonic Arrangement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변형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 사용자의 머리(50)를 위한 레스트 요소(10); 레스트 요소(10)의 2개의 각각의 우측 및 좌측 측면(11, 12)에 각각 위치되는 우측 측방향 지지 요소(20) 및 좌측 측방향 지지 요소(30)로서, 레스트 요소(10)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우측 측방향 지지 요소(20) 및 좌측 측방향 지지 요소(30)의 서로의 사이에 청취 공간 및 측방향 지지 요소에 평행한 길이 방향을 획정하는, 상기 우측 측방향 지지 요소(20) 및 상기 좌측 측방향 지지 요소(30); 및 우측(20) 및 좌측(30) 측방향 지지 요소에 각각 장착되고, 우측 및 좌측 지지 요소 사이에 획정된 청취 공간(80)을 향하는 소리 방출면(22, 32)을 각각 갖는 우측 라우드 스피커(21) 및 좌측 라우드 스피커(31)를 포함하는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100)이 개시된다. 레스트 요소(10)는 우측 및 좌측 라우드 스피커(21, 31)를 향하여 배향된 우측 및 좌측 귀부(52, 53)와 사용자를 정렬하도록 구성된, 머리(50)의 부분(51)을 위한 하우징(13)을 제공하며, 우측 및 좌측 귀부(52, 53)는 청취 축(54)을 생성한다. 라우드 스피커(21, 31)는 우퍼(23, 33) 및 트위터(24, 34)를 각각 가지며, 트위터(24, 34)는 대칭축(60)을 가지며, 상기 대칭축은, 트위터(24, 34)가 서로 정렬되고 청취 축(54)에 평행한 대칭축(60)을 갖게 되는 실질적으로 0과 같은 제1 고도값, 트위터(24, 34)가 청취 축보다 높이 위치된 지점을 향해 수렴하는 대칭축을 갖게 되는 실질적으로 45°와 같은 제2 고도값(α) 사이에서 청취 축(54)에 대해 사전 결정된 고도 각도(α)로 배향된다.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 및 다차원 효과를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이 또한 포함된다.

Description

다차원 음향 효과를 재생하기 위한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소리 재생 수단(sound reproduction means)을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head support)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차원 효과를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차원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녹음된 소리의 보다 신뢰 가능한 인지를 가능하게 하는 소리 재생 수단을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마이크로폰은 재생할 때, 소리를 녹음하기 위해 사용되는 마이크로폰 시스템에 대한 음원(sound source)의 이동 방향을 인지하기 위하여 전방 및 후방, 좌측 및 우측, 위아래와 같은 그 방향에 따라서 신뢰 가능한 방식으로 소리를 녹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한 시퀀스의 소리 및 다른 다차원 음향 효과를 재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소리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라우드 스피커(loudspeaker) 또는 다른 소리 재생 수단을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 덕분에 녹음 순간에 음원의 실제 위치에 대한 보다 신뢰 가능한 느낌을 청취자에게 제공하는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마이크로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2채널 오디오 재생에서, 전방 및 후방, 측면 우측 및 측면 좌측, 위아래, 정지 또는 접근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은 음원의 적어도 6개의 방향으로 소리의 인지를 제공하는 녹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US5031216A 또는 WO9807299A1에 기술된 시스템과 같이, 입체 음향 마이크로폰(binaural microphone)을 사용하여 녹음된 매우 고충실도(high fidelity)의 녹음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오디오 녹음은 음원 방향 또는 오디오 원본(audio source)의 움직임 방향과 같은 공간 효과를 재현하기 위해 서라운드 시스템 또는 고충실도 헤드폰과 같은 정교한 재생 디바이스를 요구한다.
단일 사용자가 이를 듣게 하기 위하여, 오디오 녹음을 전파하고 머리를 위한 편안한 받침을 또한 제공하기 위해 배열되는 상이한 종류의 라우드 스피커 통합 디바이스가 공지되어 있다. "뮤지컬 베개(musical pillow)"로 또한 지칭되는 이러한 디바이스는 헤드레스트(headrest)의 편안함과 통합된 라우드 스피커에 의해 제공되는 음악 엔터테인먼트를 조합한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가정에서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환경(professional context), 즉, 웰빙 센터, 마사지 센터, 대기실, 음악 치료 센터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US8566986B1은 뮤지컬 베개의 예를 기술한다. 디바이스는, 특히, 엎드리는 자세로 있는 사용자의 얼굴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원형 개구, 및 진동 유닛 및 회전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기판(electronic board)이 장착된 중앙 바디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또한 2개의 측면 바디를 포함하며, 각각의 측면 바디는 전자 기판 및 회전 유닛에 연결된 스피커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2개의 측면 바디는 중앙 바디와 동일 평면인 제1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중앙 바디와 직교하는 제2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전자 기판을 통해 진동 유닛 및 회전 유닛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2개의 측면 바디에 위치된 라우드 스피커를 구동하기 위한 입력 채널이 또한 존재한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청취하는 동안 임의의 수면 자세를 위하여 사용자의 머리를 위한 편안한 받침대를 제공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측면 바디는 2개의 측면 바디가 중앙 바디와 동일 평면 상에 있는 최소 간섭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배향될 수 있다. 포털 프레임(portal frame)은 중앙 평면 상에 디바이스의 중앙 바디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수면 자세로 청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디바이스는 다차원 오디오 녹음을 청취하도록 설계되지 않았다.
FR2877554A1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 직사각형 베이스 및 2개의 측벽을 포함하는 또 다른 다기능 디바이스를 기술한다. 각각의 측벽은 베이스의 우측 및 좌측 측면에 배열되고,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한다. 또한, 커버 직물(cover fabric)은 베이스에 대해, 2개의 측벽의 직교 위치 설정을 위한 인장 요소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양호한 스테레오 청취(stereophonic listening)가 베이스와 직교하는 라우드 스피커로부터 획득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의 머리의 뒷부분을 편안한 방식으로 수용하도록 배열된 형상 기억 직사각형 요소를 또한 포함한다. 특히, 이러한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머리의 무게에 따라서 그 형상을 적응시킨다.
일반적으로, 전술한 시스템은, 음원이 상기에서 인용된 US5031216A 및 WO9807299A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충실도의 녹음 시스템으로부터 비롯되면, 원음의 전달 방향의 현실적인 인지를 가능하게 하는 재생된 소리의 청취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재생될 때 녹음된 소리에 다차원성의 느낌을 부여하는 WO96/10884A1, DE2545446A1, US5073936에 기술된 바와 같은 입체 음향 녹음(binaural recording)의 시스템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특히 정면 영역이 청취자보다 아래에 있으면, 위아래 방향으로의 움직임의 느낌을 인지하지 못하고 정면 영역으로부터 비롯된 소리를 인식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은 고충실도 녹음으로부터 비롯되고, 녹음 시에 마이크로폰에 대한 음원의 방향에 가능한 대응하는 음원의 방향을 사용자가 인지하게 하는 소리의 재생을 회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녹음 디바이스에 대한 녹음 시에 음원의 위치에 가능한 가장 근접한 음원의 위치를 사용자가 인지하게 하는,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러한 머리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녹음 디바이스에 접근하거나 멀리 이동하는 녹음된 음원의 움직임의 방향에 대응하는 움직임의 오디오 느낌(audio sensation)을 제공할 수 있는,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러한 머리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다차원 녹음의 고충실도의 청취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자세에 대해 다용도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러한 머리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사용자의 다양한 자세를 허용하고 많은 응용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러한 머리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다차원 소리 확산을 청취 안락감과 조합하는,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별한 특징은 소리의 다차원 청취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상이한 머리 형상 및 무게를 갖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와 함께 사용될 때, 사용자 또는 보조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방향으로부터 비롯되는 것으로 인지되는 사전 결정된 시퀀스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다차원 음향 효과를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본 발명에 따른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를 통한, 또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재생 시스템을 통한 스테레오 청취 환경에서, 녹음 순간에 음원의 움직임에 접근하는/멀어지게 이동하는 방향을 현실적으로 인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 특징은, 이러한 스테레오 청취 환경에서, 녹음 시에 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로 오면 음원의 인지, 특히 녹음의 순간에 가상의 청취자와 지면 사이에서 이동하는 소리의 인지의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 특징은 이러한 입체 음향 청취 환경에서, 정면으로부터 오면 음원, 예를 들어 녹음할 때 실제 소리의 가상의 청취자의 정면에서 이동하는 소리의 인지의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이러한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및 다른 특징은,
- 변형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 사용자의 머리를 위한 레스트 요소(rest element);
- 상기 레스트 요소의 우측 및 좌측 측면에 각각 위치되는 우측 측방향 지지 요소(right lateral support element) 및 좌측 측방향 지지 요소로서, 상기 우측 및 좌측 측방향 지지 요소는 상기 레스트 요소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우측 및 좌측 측방향 지지 요소는 서로의 사이에 청취 공간(listening space) 및 상기 측방향 지지 요소에 평행한 길이 방향을 획정하는, 상기 우측 측방향 지지 요소 및 상기 좌측 측방향 지지 요소;
- 상기 우측 및 좌측 측방향 지지 요소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청취 공간을 향하는 소리 방출면(sound emission face)을 각각 갖는 우측 라우드 스피커 및 좌측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되;
상기 레스트 요소는 우측 및 좌측 라우드 스피커를 향하여 배향된 우측 및 좌측 귀부(ear)와 사용자를 정렬하도록 구성된, 머리의 부분을 위한 하우징 구역(housing zone)을 제공하며, 상기 우측 및 좌측 귀부는 청취 축(listening axis)을 생성하고,
상기 라우드 스피커는 우퍼(woofer) 및 트위터(tweeter)를 각각 가지며, 상기 트위터는 대칭축을 가지며, 상기 라우드 스피커는 상기 트위터가 상기 청취 공간을 향해 배향되도록 상기 우측 및 좌측 측방향 지지 요소에 장착되며, 상기 대칭축은, 실질적으로 0과 같은 제1 고도값(elevation value)(여기서, 상기 트위터는 서로 정렬되고 상기 청취 축에 평행한 상기 대칭축을 가짐)과, 실질적으로 45°와 같은 제2 고도값(여기서, 상기 트위터는 상기 청취 축보다 더 높이 위치된 지점을 향해 수렴하는 상기 대칭축을 가짐) 사이에서 상기 청취 축에 대해 사전 결정된 고도 각도(angle of elevation)로 배향되는, 본 발명에 따른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트위터는 0 내지 5㎝로 설정된 사전 결정된 높이만큼 상기 청취 축보다 높은 중심을 가진다.
또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트위터는 0 내지 10㎝로 설정된 사전 결정된 거리만큼 사용자에 대해 근위로 길이 방향으로 병진된 중심을 가진다.
제1 고도값에서, 트위터는 사용자가 머리를 하우징 구역에 놓을 때 대칭축이 청취 축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배열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트위터와 우퍼는 사전 결정된 방향으로 배향되고, 상기 방향은 수평면과 0°내지 45°로 설정된 각도를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경사각은 0° 내지 35°로 설정된다.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트위터와 우퍼는 사전 결정된 방향으로 배향되고, 상기 방향은 수직면과 0°내지 10°로 설정된 각도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위에서 한정된 위치 사이에 설정된 위치에서 트위터, 우퍼와 트위터 사이의 소리의 구별, 및 사용자의 머리의 위치에 대한 우측 및 좌측 트위터의 대칭축의 배향을 유지하는 것은 머리가 레스트 요소에 있을 때 원래 녹음된 모든 다차원 소리 데이터를 사용자가 인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트위터의 대칭축과 청취 축 사이가 일치하는 위치에서, 청취 축에 대한 소리의 고주파수의 대칭은, 고충실도의 입체 음향 마이크로폰에 의해 획득된 오디오 녹음을 청취할 때, 위에서 언급된 녹음 시스템으로 취해진 소리의 방향성의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존의 뮤지컬 베개의 전형적인 음원의 방향성에 대한 소리 인지가 개선된다. 예를 들어, 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하는 소리 또는 청취자에 대하여 정면으로 이동하는 소리의 청취가 개선될 수 있다. 사실, 청취 축과 동축인 우측 및 좌측 트위터의 위치는 트위터가 청취 축보다 높거나 낮게 위치되는 것을 피하며, 그러므로 음원이 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하면 청취를 혼란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마찬가지로, 청취 축과 동축인 우측 및 좌측 트위터의 위치는 트위터가 청취 축의 길이 방향으로 더 멀리 앞에 또는 뒤에 위치되는 것을 피하며, 그러므로 음원이 길이 방향에 대해 앞으로 또는 뒤로 이동하면 청취를 혼란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대신, 낮은 주파수를 재생하는 우퍼의 비대칭 위치는 방향 정보를 추가로 한정하기 위해 낮고 높은 주파수 스펙트럼 사이의 방향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2개의 트위터가 사용자 머리의 청취 축 위에서 수렴하는 방식으로 배향되는 위치에서, 녹음 시에, 소리를 획득하도록 사용된 마이크로폰에 대해 정면 방향으로부터 비롯되는 소리의 개선된 인지가 획득된다.
유리하게는, 우측 및 좌측 트위터 사이의 거리는 40 내지 80㎝로 설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러한 거리는 사용자의 머리를 둘러싸는 청취 공간 내에 소리 재생 영역을 형성하고, 재생의 충실도를 최대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레스트 요소는 사용자의 머리의 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길이 방향에 대해 대칭인 수용 오목부를 제공한다.
특히, 사용자가 누운 자세를 취하면, 수용 오목부는 사용자에게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는 편안한 방식으로, 턱, 입, 코 및 눈을 포함하는 사용자 얼굴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전술한 구조 중 하나를 유지하면, 트위터는 서로 맞바뀌고, 우퍼가 서로 맞바뀐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얼굴이 반대쪽으로 배향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에 대한 다차원 효과는 유지된다.
유리하게는, 얼굴을 위한 수용 오목부는 부드러운 재료로 만들어지며, 대상인의 얼굴에 적응 가능하도록 설계된 라텍스 또는 다른 재료와 같이 통기성이다.
사용자가 엎드린 자세에서 레스트 요소 상에 있으면, 수용 오목부는 사용자의 머리의 뒷부분을 위한 센터링 영역을 제공한다.
특히, 수용 오목부는 원형 단면 또는 반원형 단면, 또는 사용자의 머리의 센터링을 지원하는 다른 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사용자가 머리의 뒷부분을 받치면, 서로 상이한 경도를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 제거 가능한 삽입물(insert)이 제공될 수 있다. 삽입물은 머리를 보다 편하게 지지하는 것 외에도 사용자의 머리의 뒷부분을 센터링하기 위한 기준점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머리의 센터링을 지원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레스트 요소에는 변형 가능한 플라스틱 마이크로 천공 재료 및 우측 및 좌측 라우드 스피커로의 연결을 위한 와이어가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성 변형 가능한 재료의 존재는 사용자가 쉬는 동안 어깨와 목의 관절의 정확한 자세를 가능하게 하여 근골격계 질환을 방지한다.
유리하게는, 마이크로 천공은 1 내지 5 mm의 크기를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멍의 이러한 크기는 사용자의 머리가 항상 건조하게 유지하여 증산 작용(transpiration)을 지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레스트 요소의 표면 상에 미끄럼 방지 스티커가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미끄럼 방지 스티커의 존재는 예를 들어 안락 의자의 헤드레스트에 레스트 요소를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많은 상항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좌측 및 우측 측방향 지지 요소를 위한 연결 요소가 제공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연결 요소의 존재는 머리에 머리 받침대를 착용하고, 이동 동안 머리 받침대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요소는 가요성이며, 그러므로 사용자의 머리에 맞추어지고, 그 동안, 연결 요소는 그 분리를 막는 탄력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우측 및 좌측 측방향 지지 요소는 청취 공간 내부의 사용자를 방음하는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머리 받침대는 예를 들어 휴식 동안 또는 여행 동안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우측 및 좌측 측방향 지지 요소 및 레스트 요소는 라텍스, 발포 폴리우레탄(expanded polyurethane)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인체 공학적 재료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태블릿, 스마트폰, PC, CD/DVD 리더기 또는 데이터 스트리밍을 위한 이더넷 네트워크와 같은 디바이스로의 머리 받침대의 연결이 제공된다. 사용자기 전술한 디바이스와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하는 원격 제어가 제공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레스트 요소 상에는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도록 센서가 제공된다. 이러한 센서는 사용자의 머리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레스트 요소에 가하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사용자의 상태를 검출하여, 예를 들어 머리와 눈의 움직임을 식별하고, 머리 받침대의 소프트웨어 콘텐츠와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또한 책의 페이지 개폐를 인식하여 동기화된 소리 환경을 활성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센서는 주위 조명과 상호 작용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라운드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청취 공간에 위치된 5개의 라우드 스피커가 제공된다. 증폭된 오디오 신호 또는 HDMI를 통해 채널들이 연결될 수 있다. PC와 같은 오디오 전송 디바이스는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한다.
가능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지지하도록 관절식 구조(articulated structure)가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레스트 요소 상에 있는 사용자는 대블릿을 사용할 때 경험을 최대화하도록 관절식 구조를 자신의 취향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레스트 요소는 사전 결정된 방향으로 배향된 사용자의 머리를 위한 하우징 구역을 가지며, 그 방향은 수평면과 각도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우징 구역의 경사는 머리가 레스트 요소 상에 있을 때 사용자가 모든 다차원 소리 정보를 원래 녹음된 것으로서 인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음원의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러한 시스템은,
- 2개의 대향하는 우측 및 좌측 측면 사이에 물리적 및 음향 장벽을 제공하도록 배열된 더미 헤드(dummy head),
- 상기 더미 헤드의 2개의 대향하는 우측 및 좌측 측면에 장착된 2개의 귓바퀴부(auricle)로서, 상기 귓바퀴부는 외측을 향하는 진입부를 갖는 오목부를 획정하는 중앙 채널, 및 귓바퀴(helix)와 귓불(lobe) 사이의 캐비티(cavity)를 갖는, 상기 귓바퀴부, 및
- 상기 2개의 귓바퀴부와 관련된 2개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을 포함하되,
상기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은 녹음 환경에 존재하는 음원으로부터 비롯된 소리를 녹음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은 집음면(sound collection face)을 가지며, 상기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의 각각은 실질적으로 상기 진입부 및 상기 오목부에 배열된 상기 집음면이 각각의 귓바퀴부의 상기 중앙 채널의 상기 오목부에 위치되며,
상기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은, 그 2개의 대향하는 우측 및 좌측 측면 상에서 상기 더미 헤드에 장착되고, 상기 더미 헤드에 대해 측방향으로 배향된 집음면을 갖는 2개의 추가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이 제공되며, 상기 2개의 추가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은 상기 귓바퀴부로부터 일정 거리에, 특히 상기 귓바퀴부에, 특히 상기 귓바퀴부 위에 장착된 상기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장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리는 종래 기술의 입체 음향 마이크로폰과 같은 인공 청각 채널(artificial auditory channel)을 폐쇄한 후가 아닌, 귓바퀴부의 중앙에 있는 채널의 진입부에서 집음된다. 이러한 해결책은 소리가 인공 청각 채널을 통해 전파될 때 일어날 수 있는 원음의 왜곡 및 굉음(rumbles)을 방지한다.
집음면이 귓바퀴부의 오목부에 위치된다는 사실은 귓바퀴부, 특히 귓바퀴부의 귓바퀴가 머리 뒤 또는 머리 위로부터 비롯된 것과 같은 소리를 차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것은 측방향 측면들로부터 비롯된 소리와 비교하여 소리의 보다 양호한 구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2개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의 존재는 귓바퀴부에 위치되고 위에서 한정된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을 통해 집음된 소리에 측방향으로부터 비롯된 소리의 완전하고 직접적인 인지를 추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는 녹음된 소리를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더미 헤드의 전방면(frontal face)을 향하여 배향된 집음면을 갖는 2개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은 상기 더미 헤드에 장착되며, 특히 귓바퀴부에 장착된 상기 2개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의 상기 2개의 집음면은 서로로부터 사전 결정된 제1 거리에 배열되며, 상기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은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서로로부터 제2 거리에 배열된다. 특히, 제1 거리는 귓바퀴부로부터, 15 내지 13㎝로 설정되고, 제2 거리는 13 내지 10㎝로 설정되며, 특히 2개의 귓바퀴부의 귓바퀴는 서로로부터 15 내지 20㎝로 설정된 거리에 있다. 특히, 2개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은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h1)에 배열되고, 특히 이로부터 1 내지 3㎝ 더 높거나 낮게 배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위에서 한정된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을 통해 획득된 집음에 대하여, 정면 방향으로부터 비롯된 소리의 집음이 획득되며, 사람의 얼굴의 정면 부분에 의한 소리의 느낌(sonic sensation) 처럼 들리게 만들고, 그러므로 정면 방향으로부터 비롯된 소리의 충실도를 개선한다.
또한,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이 사람의 귀의 귓바퀴에 의한 소리의 집음처럼 들리게 만들지만,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의 내부 위치는 내부 위치에서 수행되는 집음을 유발한다. 이러한 효과는 귓바퀴 안에 있는, 사람의 귀의 달팽이관에 의해 제공되는 집음과 유사하다.
사람의 귀에서 더욱 측방향에 있는, 귓바퀴부, 특히 2개의 귓바퀴부에 있는 귓바퀴는 우측 및 좌측 측면으로부터 비롯된 소리로부터 상부 또는 뒤로부터 비롯된 소리를 차폐하기 위하여 서로로부터 15 내지 20㎝로 설정된 거리에 있다.
가능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2개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은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보다 수직 방향으로 더 낮은 위치에 있다.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이 1 내지 3㎝로 설정된 높이의 차이에 대해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보다 더 낮은 위치에 있다는 사실은 청취자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소리를 보다 신뢰 가능한 방식으로 인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사실, 측면 마이크 캡슐은 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하는 소리의 세기를 정면과 다르게 인지한다. 이러한 효과는 사람의 귀처럼, 청각 채널보다 낮은 달팽이관의 위치를 재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2개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 사이에 격벽이 배열된다. 2개의 정면 캡슐을 음향 방음하도록 배열된 격벽은 방음재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격벽의 존재는 각각의 정면 캡슐이 각각의 우측 및 좌측 측면으로부터 비롯된 소리를 구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음향 차폐(acoustic shield)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위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에 의해 획득된 오디오 녹음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오디오 제품 또는 시청각 제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에 따라서, 다차원 음향 효과를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며, 시스템은,
- 특히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
- 복수의 오디오 트랙을 포함하는 메모리 유닛으로서, 각각의 오디오 트랙이 인체의 부수물(encumbrance)을 한정하는 물체와 관련된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에 의해 획득되고, 각각의 오디오 트랙이 음원이 녹음 시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 결정된 인체 부분(body part)과 관련되는, 상기 메모리 유닛;
- 상기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에 상기 오디오 트랙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
- 상기 제어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또는 각각의 인체 부분의 화상(representation)을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적어도 하나의 인체 부분을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인터페이스에 존재하는 상기 또는 각각의 인체 부분이 선택될 때, 상기 받침대의 라우드 스피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인체 부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트랙을 재생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에 대하여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기원하는 소리에 각각 응답하는 복수의 오디오 트랙이 획득된다. 특히, 공간의 각각의 위치는 인체의 부수물처럼 보이게 만들도록 배열된 물체를 사용하여 식별되는 인체 부분으로 지칭된다.
특히, 받침대 상에 그의 머리를 놓는 사용자는 받침대의 라우드 스피커에 의해 재생되는 오디오 트랙의 청취를 통하여, 선택된 인체 부분에 대응하는, 녹음된 음원의 다차원 음향 효과의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청취 경험을 받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스템은 예를 들어 자폐증 환자 또는 청각 장애인의 청각 기술을 자극하는 재활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사는 환자에 의해 식별되거나, 또는 어떤 경우에는 환자를 더욱 자극하여야만 하는 다른 인체 영역의 활성화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 및/또는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한이 아니라 예시인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A는 2개의 라우드 스피커가 청취 축에 대해 사전 결정된 제1 고도 각도로 배향되고, 각각의 트위터가 서로 대칭 배열되고 청취 축에 평행한 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의 개략 배면도;
도 1B는 2개의 라우드 스피커가 청취 축에 대해 사전 결정된 제2 고도 각도로 배향되고, 각각의 트위터가 청취 축에 대하여 상부에 위치된 지점을 향해 수렴하는 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의 개략 배면도;
도 2A는 도 1A의 받침대의 개략 측면도;
도 2B는 도 1B의 받침대의 개략 측면도;
도 3A는 도 1A의 받침대의 개략 평면도.
도 3B는 도 1B의 받침대의 개략 평면도.
도 4는 사용자의 얼굴 부분을 위한 수용 오목부를 구비하는, 도 1A의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 정면도;
도 5, 도 6, 도 7 및 도 8은 각각 도 1A의 받침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방향 단면도, 배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9,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도 1A의 머리 받침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 단면도 및 추가의 사시도;
도 12, 도 13 및 14는 의자 및 안락 의자에 받침대의 배치를 위한 미끄럼 방지 스티커를 갖는, 도 1A의 받침대의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 15, 도 16 및 도 17은 각각 2개의 좌측 및 우측 측방향 지지 요소 사이의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도 1A의 받침대의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 평면도, 및 측방향 단면도;
도 18, 도 19 및 도 20은 각각 도 1A의 받침대의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 정면 단면도 및 측방향 단면도;
도 21은 오디오/비디오 외부 유닛을 포함하는, 도 1A의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 평면도;
도 22는 센서 시스템이 레스트 요소 상에 제공되는, 도 1A의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 평면도;
도 23은 3개의 추가의 라우드 스피커가 제공되는, 도 1A의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 평면도;
도 24는 관절식 구조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지지하도록 배열되는, 도 1A의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 평면도;
도 25는 도 1A의 머리 받침대의 가능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
도 26은 레스트 요소가 수평면에서 일정 각도로 있는 하우징을 갖는, 도 1A의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의 단면도;
도 27은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위한 수용 오목부를 포함하는, 도 1A의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
도 28은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위한 수용 오목부를 포함하는, 도 1A의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
도 29는 도 27 및 도 28에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획득된 헤드 센터링의 효과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30은 증폭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도 1A의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
도 31은 2개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이 좌측 및 우측 청각 채널 내로 배치된, 종래 기술의 입체 음향 녹음 디바이스의 개략도;
도 32는 2개의 마이크로폰 캡슐이 인공 귓바퀴부와 동일 평면에 배열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의 정면도;
도 33은 도 32의 시스템의 평면도;
도 34 및 도 35는 도 32의 시스템의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
도 36은 2개의 추가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이 더미 헤드에 장착된, 도 32의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도;
도 37은 도 36의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의 평면도;
도 38은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이 2개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에 대하여 중앙 위치에서 더미 헤드에 배열되고 더미 헤드의 전방면을 향해 배향되는, 도 32의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도;
도 39는 도 38의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의 개략 평면도;
도 40은 2개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 및 3개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이 더미 헤드에 장착된, 도 32의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 정면도;
도 41은 도 40의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의 개략 평면도;
도 42는 더미 헤드에 장착된 2개의 추가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을 포함하고, 특히 2개의 추가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이 귓바퀴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더 높은 위치에서 장착되고 측방향으로 배향되는, 도 32의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 평면도;
도 43은 4개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 및 3개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을 갖는, 도 32의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 정면도;
도 44는 4개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 및 2개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을 갖는, 도 32의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의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 정면도;
도 45는 2개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 사이에 격벽이 배열되는, 도 44의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 정면도;
도 46은 전치 증폭 유닛, 및 PC 상의 저장 유닛으로, 음원으로부터의 소리를 녹음하도록 구성된 도 32 내지 도 35의 입체 음향 마이크로폰 유닛을 포함하는 오디오 녹음의 블록도;
도 47은 2개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의 추가에 의해 도 42에 대해 변형된 도 36 및 도 37의 입체 음향 마이크로폰 유닛에 의한 오디오 녹음 블록도;
도 48은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의 추가에 의해 도 32에 대해 변형된 도 38 및 도 39의 입체 음향 마이크로폰 유닛에 의한 오디오 녹음 블록도;
도 49는 전치 증폭 유닛 및 PC상의 저장 유닛으로 음원을 획득하도록 배열된 3개의 추가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을 구비한 입체 음향 마이크로폰 유닛에 의한 오디오 녹음 블록도;
도 50은 마이크로폰 캡슐이 음향 방음(acoustic insulation)을 위해 구성된 하우징 내에 배치된, 개선된 입체 음향 시스템의 정면도;
도 51은 마이크로폰 캡슐이 음향 방음을 위해 구성된 하우징 내에 배치된, 개선된 입체 음향 시스템의 단면도;
도 52는 마이크로폰 캡슐이 음향 방음을 위해 구성된 하우징 내에 배치된, 개선된 입체 음향 시스템의 추가 단면도;
도 53은 각각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에 대해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기원하는 소리에 대한 복수의 오디오 트랙을 녹음하는, 도 32 내지 도 52의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을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략도;
도 54는 도 53의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5는 도 53 및 도 5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녹음된 오디오 트랙의 재생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블록도;
도 56은 도 53 및 도 54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득된 오디오 트랙의 재생을 위한 흐름도.
도 1A, 도 1B, 도 2A 및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서,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100)는 사용자의 머리(50)를 위한 레스트 요소(10), 레스트 요소(10)의 우측(11) 및 좌측(12) 측면에 각각 위치된 2개의 우측(20) 및 좌측(30) 측방향 지지 요소를 포함한다.
우측 라우드 스피커(21) 및 좌측 라우드 스피커(31)는 우측(20) 및 좌측(30) 측방향 지지 요소에 각각 장착된다. 측방향 지지 요소는 청취 공간(80)을 향하는 각각의 소리 방출면(22, 32)을 가진다. 레스트 요소(10)는 머리의 부분(51)을 위한 레스트 구역(rest zone)(13)을 제공한다.
청취 공간(80)은 2개의 우측(20) 및 좌측(30) 지지 요소(도 1B에만 도시되었지만 도 1A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사하게 존재하는) 사이에 획정되고, 길이 방향(15)은 지지 요소(20, 30)에 평행하다. 2개의 우측(21) 및 좌측(31) 라우드 스피커의 각각은 우퍼(23, 33) 및 트위터(24, 34)를 가진다. 트위터는 대칭축(60)을 가진다.
하우징(13)은 머리의 부분(51)에 제공되어, 우측 및 좌측 라우드 스피커(21, 31)를 향해 배향된 우측 및 좌측 귀부(52, 53)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머리를 위치시키도록 구성된다. 사용자의 우측 및 좌측 귀는 청취 축(54)를 생성하여서, 트위터(24, 34)의 대칭축(60)은 실질적으로 0과 같은 제1 고도값과 실질적으로 45°와 같은 제2 고도값 사이에서 청취 축(54)에 대해 사전 결정된 고도 각도(α)로 배향된다. 제1 경우에 있어서, 트위터(24, 34)는, 서로 정렬되고 청취 축에 평행한 각각의 대칭축(60)을 가지며, 제2 경우에 있어서, 트위터(24, 34)는 청취 축(54)보다 높게 위치되는 지점을 향해 수렴하는 대칭축을 가진다.
도 2B를 참조하면,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100)의 가능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트위터(24 및 34)는 0 내지 5㎝로 설정된 사전 결정된 높이(z)에 걸쳐서 청취 축보다 높은 중심을 가진다.
트위터(24, 34) 및 우퍼(23, 33)는 0°내지 45°로 설정된 사전 결정된 경사각(β)만큼 수평면에서 일정 각도로 사전 결정된 방향으로 배향되어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경사각은 0° 내지 35°로 설정된다.
또한, 트위터(24, 34)는 0 내지 10㎝로 설정된 사전 결정된 거리(x)에 걸쳐서 상기 사용자에 대해 근위로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병진된 각각의 중심을 가진다.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도 3B)에서, 트위터(24, 34) 및 우퍼(23, 33)는 0°와 10°로 설정된 사전 결정된 배향 각도(γ)만큼 수직면에서 배향된 사전 결정된 방향(26)으로 배열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1A, 도 1B,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의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 머리 받침대의 예시적인 실시예(300)는 사용자의 얼굴(70)의 부분(71)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수용 오목부(14)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전술한 구조 중 하나를 유지하면, 트위터(24, 34)가 서로 맞바뀌고, 우퍼(23, 33)가 서로 맞바뀐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얼굴이 반대쪽으로 배향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에 대한 다차원 효과가 유지된다.
도 1A, 도 1B, 도 2A, 도 2B, 도 3A, 도 3B를 참조하여 나타낸 구조 및 효과는 변경되지 않는 도 5를 참조하면, 머리 받침대의 예시적인 실시예(400)에서, 레스트 요소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머리 받침대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오디오 연결 요소(81)(전술한 구조에서도 당업자에 의한 스트레스없이 고정될 수 있는)를 포함한다.
도 1A, 도 1B, 도 2A, 도 2B, 도 3A, 도 3B를 참조하여 나타낸 구조 및 효과는 변경되지 않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레스트 요소를 위하여 소성 변형 가능 커버(90)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의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400)가 도시되어 있다. 커버는 1 내지 5 mm 사이의 크기를 갖는 복수의 구멍을 갖는 마이크로 천공 재료로 만들어진다.
도 1A, 도 1B, 도 2A, 도 2B, 도 3A, 도 3B를 참조하여 나타낸 구조 및 효과는 변경되지 않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머리 받침대의 예시적인 실시예(500)는 머리의 이마 부분애서 사용자의 정수리 부분을 향하는 레스트 요소(10)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도 11은 아기 요람에 있는 대한 머리 받침대를 도시한다.
도 1A, 도 1B, 도 2A, 도 2B, 도 3A, 도 3B를 참조하여 나타낸 구조 및 효과는 변경되지 않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머리 받침대의 예시적인 실시예(600)는 레스트 요소의 표면의 일부에 배열된 미끄럼 방지 스티커(130)를 포함한다. 미끄럼 방지 스티커(130)의 존재는 예를 들어 소파 또는 안락 의자(610)에 머리 받침대를 장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A, 도 1B, 도 2A, 도 2B, 도 3A, 도 3B를 참조하여 나타낸 구조 및 효과는 변경되지 않는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머리 받침대의 예시적인 실시예(700)는 좌측(30) 및 우측(20)의 측방향 지지 요소를 위한 연결 요소(37)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연결 요소(37)는 소리의 다차원 효과를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받침대를 착용하는 것을 돕는 소리 투과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A, 도 1B, 도 2A, 도 2B, 도 3A, 도 3B를 참조하여 나타낸 구조 및 효과는 변경되지 않는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머리 받침대의 예시적인 실시예(800)는, 2개의 좌측 및 우측 지지 요소를 연결하고 착용되어 개선된 청취 경험을 제공하도록 대상인의 얼굴을 덮을 수 있는 연결 요소(38)를 포함한다.
도 1A, 도 1B, 도 2A, 도 2B, 도 3A, 도 3B를 참조하여 나타낸 구조 및 효과는 변경되지 않는 도 21을 참조하면, 머리 받침대의 예시적인 실시예(900)는, 받침대에 연결되도록 배열되고 제어 디바이스(910),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원격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920)를 포함한다.
도 1A, 도 1B, 도 2A, 도 2B, 도 3A, 도 3B를 참조하여 나타낸 구조 및 효과는 변경되지 않는 도 22를 참조하면, 머리 받침대의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950)는, 레스트 요소(10) 상에 위치되고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센서(930)를 포함한다.
도 1A, 도 1B, 도 2A, 도 2B, 도 3A, 도 3B를 참조하여 나타낸 구조 및 효과는 변경되지 않는 도 23을 참조하면, 머리 받침대의 예시적인 실시예(960)는 레스트 요소(10)에 장착된 4개의 라우드 스피커(940)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1A, 도 1B, 도 2A, 도 2B, 도 3A, 도 3B를 참조하여 나타낸 구조 및 효과는 변경되지 않는 도 24를 참조하면, 받침대의 예시적인 실시예(970)는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980)를 지지하도록 배열된 관절식 구조(990)를 포함한다.
도 25는 가죽 보호 코팅을 갖는 변형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 머리 받침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1A의 오디오 재생 머리 받침대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레스트 요소(10)는 수평면에서 각도(ε)만큼의 각도로 있는 사용자의 머리(50)를 위한 하우징(13)을 가진다.
도 27은 도 1A의 오디오 재생 머리 받침대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위한 수용 오목부(14)는, 길이 방향(15)에 대해 대칭이고 원형 단면을 가진 삽입물(2)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원형 단면을 가진다. 삽입물(2)은 머리(50)에 대한 보다 편안한 지지를 실현하기 위해 레스트 요소를 위해 사용된 재료에 대해 상이한 경도를 갖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삽입물(2)을 수용 하우스(receiving house)(14)에서 수용할 때, 수용 하우스(14)의 가장자리(14')의 존재는 머리(50)를 최적의 청취 위치에서 센터링하는 기준점을 제공하는 추가의 이점을 가진다.
도 28은 수용 하우스(14)가 길이 방향(15)에 대칭인 반원형 슬롯이고, 동일한 형상을 갖는 삽입물(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도 27의 받침대의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서도, 이전 도면에서의 경우에서와 같이 슬롯의 가장자리(14')가 사용자의 머리를 센터링하기 위한 기준점을 제공한다.
도 29에서, 오목부(14)에 의한 머리 센터링 및 가장자리(14')의 효과에 대해, 도 1A의 효과와 유사한 받침대의 개략도가 주어진다. 특히, 사용자가 길이 방향(15)에 대해 편심률(δ)의 오차로 위치되면, 양 측면에서 변경된 청취는 편심률(δ)에 의존하여 인지될 것이다.
도 30은 증폭기 하우징(4)을 포함하는 도 1A의 받침대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소위 "더미 헤드"(101)로 지칭되고 사람의 머리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종래 기술의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더미 헤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발포재로 만들어진 방음 장벽으로서 구성된 바디일 수 있다. 더미 헤드(101)는, 사람의 청취 채널(listening channel)을 모방하는 청취 채널(103a, 103b), 및 청각 채널(auditory channel)을 모방하는 채널 또는 오목부(104)를 각각 갖는 2개의 귀부(102a, 102b)를 가진다. 2개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은 귀부(102a, 102b) 반대편의 청취 채널(103a, 103b)의 한쪽 단부에 배열되고, 사람의 고막의 해부학적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열된다.
도 32 내지 도 35를 참조하면, 개선된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은, 종래 기술과 유사하게, 2개의 대향하는 우측 및 좌측 귓바퀴부(106a, 106b) 사이에 물리적 및 음향 장벽을 제공하도록 배열된 더미 헤드(101)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귓바퀴부(106a, 106b)는 측방향으로 배향된 집음면(1015a, 1015b)을 가지도록 2개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을 수용하기 위해 각각 구성된다. 귓바퀴부(106a, 106b)는 귓바퀴(107a, 107b)와 귓불(108a, 108b) 사이에 획정된 오목부(1017a, 1017b)에 의해 나타나는, 사람의 귀를 모방하지 않는 청취 채널을 가진다.
각각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은 오목부(1017a, 1017b)의 진입부(1018a, 1018b)에서 오목부 내부에 있는 집음면(1015a, 1015b)이 오목부(1017a, 1017b) 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리는, 도 31의 종래 기술의 입체 음향 마이크로폰과 같이 인공 청취 채널을 교차한 후가 아니라, 청취 채널을 나타내고 귓바퀴부의 중심에 위치된 오목부(1017a, 1017b)의 진입부(1018a, 1018b)에서 직접 집음된다. 이러한 것은 종래 기술의 인공 청취 채널의 교차 동안 발생하는 음원의 왜곡 및 굉음을 방지한다.
집음면(1015a, 1015b)이 오목부(1017a, 1017b)에 위치된다는 사실은 귓바퀴부(106a, 106b), 특히 귓바퀴부의 귓바퀴(107a, 107b)가 음향 차폐를 수행함과 동시에 예를 들어 머리에 대해 뒤 또는 위로부터 비롯된 소리를 집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람의 귀처럼, 각각의 우측 또는 좌측 측면에 의해, 뒤 또는 위로부터 비롯된 소리로부터 측방향으로 위치된 음원으로부터 비롯된 소리를 더욱 양호하게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귓바퀴부, 특히 사람 귀에서 더욱 돌출된 부분인 2개의 귓바퀴부(106a, 106b)의 귓바퀴(107a, 107b)는 바람직하게는, 집음면(1015a 및 1015b)보다 더욱 멀리 돌출하고 우측 측면 및 좌측 측면으로부터 비롯된 소리에 대해 위 또는 뒤로부터 비롯된 소리를 부분적으로 차폐하기 위하여 15 내지 20㎝로 설정된 서로로부터의 거리에 있다.
도 36 및 도 37을 참조하면, 개선된 입체 음향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32 내지 도 35에 도시된 것에 따라서 위치된 2개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에 더하여, 더미 헤드(101)의 정면에 위치된 2개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105c, 105d)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위에서 한정된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을 통해 획득된 집음에 또한 정면 방향으로부터 오는 집음이 추가되며, 사람의 얼굴의 정면 부분으로부터의 오디오 느낌처럼 들리게 만들고, 그러므로 정면 방향으로부터 비롯된 소리에 대한 충실도를 개선한다.
2개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 정면(105c, 105d)은 2개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 사이의 선형 거리(d2)보다 작은 선형 거리(d1)를 가질 수 있다(d1<d2). 특히,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의 집음면(1015a, 1015b) 사이의 거리(d2)는 15 내지 13㎝로 설정되고,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105c, 105d) 사이의 거리(d1)는 13 내지 10㎝로 설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이 사람의 귀의 귓바퀴에 의한 청취 수집(listening collection)처럼 들리게 만드는데 반하여,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105c, 105d)의 내부 위치는 각각의 귓바퀴의 안쪽에 있는 사람 귀의 달팽이관을 모방하는 집음을 유발한다.
가능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2개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105c, 105d)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보다 낮은 위치에서, 또는 도시되지 않은 보다 높은 위치에서, 2개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로부터 높이에서 차이를 두고 위치된다(0 <h <h1).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에 대한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 정면(105c, 105d)의 높이에서의 위치의 차이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소리의 청취자에 대한 효과를 보다 현실적인 방식으로 재생하는 것을 돕는다. 사실,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은 정면 캡슐(105c, 105d)과 다른 방식으로, 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하는 세기의 소리를 집음할 것이다. 특히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은 1 내지 3㎝로 설정된 높이에서 차이를 위해 측면 마이크 캡슐보다 낮거나 높다. 이러한 것은 사람의 귀에서, 청각 채널에 대해 달팽이관의 높이에서의 상이한 위치를 모방한다.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은 사전 결정된 제1 세기로 녹음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으며,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105c, 105d)은 1 내지 20 db로 설정된 dB에서의 이득 차이를 위해 제1 세기보다 작은 사전 결정된 제2 세기로 녹음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막을 통해 직접 들리는 소리에 대하여, 얼굴의 골격 부분을 가로지르는 정면 방향으로부터 이동하는 소리에 대해 사람의 귀처럼 전정계 느낌(vestibular sensation)의 감소가 모방된다.
또한, 2개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105c, 105d)은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과 반대 위상으로 녹음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2개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105c, 105d)은 20/40개의 샘플의 위상 변이로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에 대해 녹음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도 38 및 도 39를 참조하면, 개선된 입체 음향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32 내지 도 35에 도시된 것에 따라서 위치된 2개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 및 높이에서의 차이(h2), 예를 들어 4 내지 5㎝에 걸쳐서 2개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에 대해 낮은 위치에서 더미 헤드의 전방에 위치된 제3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e)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서도, 더미 헤드(101)의 정면 방향으로부터 비롯된 소리의 전정계 느낌의 집음이 획득된다. 이러한 것은 녹음된 소리를 청취하는 동안 사람의 얼굴의 정면 부분으로부터 비롯되는 동일한 느낌처럼 들리게 만들고, 정면 방향으로부터 비롯된 소리에 대하여 충실도를 개선한다.
도 40 및 도 41을 참조하면, 개선된 입체 음향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32 내지 도 35에 도시된 것에 따라서 위치된 2개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 및 도 36, 도 37, 도 38, 및 도 39에 도시된 것에 따라서 더미 헤드의 전방에 위치된 3개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105c, 105d, 105e)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의 집음 지점들 때문에, 정면 방향으로부터 오는 집음된 소리의 여전히 높은 충실도가 획득된다.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105e)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소리에 대한 녹음된 소리의 충실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른 2개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105c, 105d)에 대하여 수직 방향(d3 <h)의 하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하는 음원의 방향성을 더욱 잘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2개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105c, 105d)은 5 내지 8 dB로 설정된 데시벨에서의 이득 차이를 위하여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의 제1 세기보다 작은 사전 결정된 제2 세기로 녹음하기 위해 설정될 수 있으며,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105e)는 3 내지 5dB로 설정된 데시벨에서의 이득 차이를 위하여 제1 세기보다 작은 사전 결정된 제3 세기로 녹음하기 위해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얼굴의 하부 골격 부분을 가로지르는 정면 방향으로부터 이동하는 소리에 대하여, 사람의 얼굴의 상부 골격 부분을 가로지르는 정면 방향으로부터 이동하는 소리에 대해 사람의 귀처럼 전정계 느낌의 감소가 재현된다.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105e)은 카디오이드 캡슐(cardioid capsule)일 수 있다. 특히, 1 hz 내지 20 KHz의 전체 범위에 대하여 사전 결정된 주파수를 차단하는 필터가 제공될 수 있다. 필터는 4-5 KHz 이하의 주파수를 차단하고, 12 내지 20 KHz의 주파수를 12 dB의 이득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얼굴의 골격 부분을 가로지르는 정면 방향으로부터 이동하는 소리에 대한 사람의 귀의 거동이 재현된다. 특히, 이러한 소리는 낮은 주파수에서는 감소되고 높은 주파수에서 강화된다.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105c, 105d, 105e)은 오토 팬포트(auto-panpot) 설정에 의해 집음된 신호를 진동시키기 위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청취자의 귀는 정면 방향으로부터 비롯된 소리에 대해 자극될 것이다. 오토 팬포트의 범위는 20 내지 30%로 구성된 좌측/중심점과 우측/중심점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으며, 좌측/중심점과 우측/중심점 사이의 이동 시간은 20 내지 80 ms 내에서 구성된다.
도 42를 참조하면, 개선된 입체 음향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32 내지 도 35에 도시된 것에 따라서 위치된 2개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이 제공되며, 2개의 각각의 우측 및 좌측 측면 상에서, 2개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보다 높게, 그리고 귓바퀴부 위에서(h4>h3), 더미 헤드(101)에 대해 측방향으로 위치된 2개의 추가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9c, 109d)가 제공된다.
귓바퀴부를 가지지 않는 2개의 추가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9c, 109d)은 귓바퀴부(106a, 106b)에 위치된 전술한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을 통해 획득된 집음에 집음을 추가하여, 정면으로 오는 소리와 측방향으로 오는 소리 사이의 보다 양호한 구별을 획득한다.
도 43을 참조하면, 개선된 입체 음향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32 내지 도 35 및 도 42에 도시된 것에 따라서 위치된 4개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 109c, 109d), 및 상대적인 효과를 추가하는 도 38 및 도 39에 도시된 것에 따라서 위치된 3개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105c, 105d, 105e)을 포함한다.
도 44를 참조하면, 도 32 내지 도 35 및 도 42에서 도시된 것에 따라서 위치된 4개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 109c, 109d)을 구비한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며, 2개의 추가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105c, 105d)은 상대적인 효과를 추가하는 도 36 및 도 37에 도시된 것에 따라서 제공된다
도 45를 참조하면, 도 44의 것과 유사한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의 정면도가 도시되며, 여기에서 2개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105c, 105d) 사이에 위치된 격벽(1020)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격벽(1020)의 존재는 각각의 정면 캡슐(105c, 105d)이 각각의 우측 및 좌측 측면으로부터 비롯된 소리를 한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음향 차폐를 결정한다.
도 46을 참조하면, 2개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이 음원으로부터 비롯된 아날로그 신호를 획득하고 이를 전치 증폭 유닛으로 전송하는 입체 음향 마이크로폰 유닛의 처리 위상에 대한 예시적인 블록도가 도시된다. 전치 증폭 유닛에 의한 처리 후에,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위해 오디오 인터페이스로 전송된다. 디지털 신호는 그런 다음 녹음 유닛에 의해 취득된다.
유사하게, 도 47은 2개의 측면(105a, 105b) 및 2개의 전방(105c, 105d)의 4개의 마이크로폰 캡슐의 경우에서의 처리 위상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8은 2개의 측면(105a, 105b) 및 전방(105e)의 3개의 마이크로 캡슐의 경우에서의 처리 위상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9는 2개의 측면(105a, 105b) 및 3개의 전방(105c, 105d, 105e)의 5개의 마이크로 캡슐의 경우에서의 처리 위상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캡슐, 도 4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측방향 캡슐 및 3개의 정면 캡슐, 또는 도 44에 도시되 바와 같이 4개의 측방향 캡슐 및 2개의 정면 캡슐의 경우에서의 소리의 처리가 획득될 수 있다.
도 50 내지 도 5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음향 시스템의 가능한 실시예의 정면도(도 50) 및 2개의 단면도(LI-LI(도 51) 및 LII-LII(도 52))를 도시한다. 2개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 및 3개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 정면(105c, 105d, 105e)을 구비한 도 40 및 도 41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예로서 사용된다. 당업자는 분명히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기 도시된 다른 경우까지 확장할 수 있다.
도 50 내지 도 52에서, 요소(109, 1010, 1011)는 2개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105c, 105d), 및 추가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105e) 및 2개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에 속하는 레스트 요소들이다. 귓바퀴부(106a, 106b)의 지지를 위한 강성 프레임(1011)을 포함하는 더미 헤드(101)는 음향 방음 재료,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과 같은 개방 또는 폐쇄 셀을 갖는 발포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강성 프레임은 저주파수에서의 진동을 감소시키도록 배열된다. 또한, 요소(109, 1010, 1011)는 강성 프레임에 수용된다.
도 51 및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소(1011)는 나일론, 폴리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고, 광 방음재(13),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발포재, 양모 등이 채워질 수 있는 관형 요소이다.
요소(109)는 관형 형상을 가지며 방음재의 바디 내로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귓바퀴부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105e)을 지지하도록 사용되는 관형 요소(11)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리 녹음에 영향을 미치는 잡음이 감소될 수 있다.
도 5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서, 도 32 내지 도 52의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을 사용하는 재생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서, 각각이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101)에 대하여 사전 결정된 위치에서 기원하는 소리에 관련되는 복수의 오디오 트랙이 녹음된다. 특히, 공간의 각각의 위치는 인체처럼 보이게 만들도록 구성된 인체 물체(101')를 사용하여 식별되는 인체 부분으로 지칭된다.
도 53에 도시된 예에서, 인체 물체(101')는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과 관련되고, 인체의 부분들의 위치를 한정하며, 인체 물체의 머리는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101)이다. 이상적인 구획은 인체 물체(101')에 중첩하는 영역들의 m × n 행렬을 식별하기 위해, 인체가 그 안에 수용되는 2차원 공간으로 만들어진다. 특히 각각의 영역은 m 라인과 n 열의 조합한 결과이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행렬 m x n의 각각의 영역에 대해, 음원은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101)에 의해 획득된 사전 결정된 위치(mn)에서 활성화된다. 음원은 그런 다음 모든 다른 위치(mn)에서 활성화되고, 녹음이 행해질 때마다, 상대 트랙 오디오를 획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행렬의 m개의 라인(41, 42, 43, 44, 45, 47, 48, 49)과 n개의 열(40, 40', 40")의 조합 사이에서 선택된 위치(mn)에서 생성된 소리에 각각 관련되는 복수의 오디오 트랙이 만들어진다.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101)은 음원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유지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이와 같이 생성된 고충실도의 오디오 트랙은 도 1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처럼 동일한 충실도 레벨의 재생 시스템으로 재생될 수 있다.
물체(101')와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101)을 수용하는 3차원 공간의 구획을 도시하는 도 5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53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도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의 추가 공간적 차원이 오디오 트랙을 위해 획득된다. 특히, 음원은 도 53의 임의의 위치(mn)에서, 환자의 인체처럼 보이게 만들어지는 물체(101') 위 또는 아래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980) 및 오디오 재생을 위한 머리 받침대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이러한 오디오 트랙은 음원이 녹음 동안 활성화된 위치(mn)로부터 비롯되는 것으로서 인지되는 소리를 환자가 청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 많은 오디오 트랙을 조합하면, 재생을 위해 선택된 셀(mn)에 따라서 사전 결정된 방식으로 환자에 대해 이동하는 소리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환자가 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하는 소리를 인지하게 하는 오디오 트랙이 제조될 수 있다.
더욱 많은 구역(mn)을 가로지르는 이동하는 음원에 대해 오디오 트랙을 녹음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더욱 많은 구역을 커버하는 이러한 오디오 트랙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재생을 위한 상대 위치를 선택하여 재생될 수 있다.
도 55를 참조하면, 블록도는 도 53 및 도 5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획득된 복수의 오디오 트랙의 재생을 위해, 인터페이스(1000)에 설치된 시스템의 가능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포인팅 디바이스(1001)에 의한 인터페이스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받침대에 위치된 사용자는 각각의 인체 부분에 의해 위치된 오디오 원본으로부터 비롯된 것으로서 느껴지는 오디오 트랙의 청취를 경험한다.
인터페이스(1000)가 태블릿 또는 스마트폰이면, 이러한 것은 인체 및 인체 부분에 중첩된 복수의 영역을 묘사하는 이미지(1002)가 주어지는 터치 스크린(1000')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예를 들어 오디오 재생의 받침대에 위치된 환자, 또는 환자가 일부 선택된 소리를 인식하고 이미지(1002)와 상호 작용하기를 희망하는 치료사는 전술한 기준으로 녹음된 오디오 트랙의 재생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는 인체 부분 근처의 이미지(1002)에 존재하는 영역의 선택에 의해, 그리고 이미지(1002)의 사전 결정된 연속 영역을 통해 진행하는 자극 경로의 선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003)는 사전 결정된 인체 부분(1004)에 대한 녹음의 오디오 트랙, 및 다수의 인체 부분을 가로지르는 경로(1005)에 대한 오디오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제어 유닛(1006)은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에 의해 획득된 오디오 트랙을 재생하기 위해 머리 받침대를 제어하도록 적응된다. 활성화된 오디오 트랙은 무선 연결에 의해 또는 플레이어(1007)에 의한 케이블 연결에 의해 오디오 재생을 위하여 머리 받침대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환자의 우측 발의 높이에서 인지된 소리 또는 발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머리로 이동하는 소리 등이 재생될 수 있다.
도 56은 인터페이스(1000)와의 상호 작용의 결과로서 오디오 트랙을 재생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세션(850)의 시작 시에 인터페이스(1000)의 터치 스크린(1000')과 상호 작용하여 자극 제어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의 다수의 영역(851)에 대한 제어를 제공하였으면, 선택된 영역(853)에 대한 오디오 트랙이 수행되거나, 또는 다양한 영역 사이에서 크로스 페이딩(cross fading)의 가능성과 함께, 다수의 영역(852)의 경로를 포함하는 트랙 오디오가 수행된다. 사용자가 단일 영역(855)에 대한 제어를 제공하였으면, 선택된 영역에 대한 트랙 오디오가 수행된다.
일부 예시적인 특정 실시예들의 전술한 설명은 개념적 관점에 따라서 본 발명을 완전히 드러낼 것이며, 현재의 지식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다른 것들은 다양한 적용에서 추가의 연구없이, 그리고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를 수정 및/또는 적응시킬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적응 및 수정은 특정 실시예와 동등한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상이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 및 재료는 이러한 이유 때문에 본 발명의 분야에서 벗어남이 없이 상이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또는 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이지 제한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5)

  1. 라우드 스피커(loudspeaker)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head support)로서,
    - 변형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 사용자의 머리(50)를 위한 레스트 요소(rest element)(10);
    - 상기 레스트 요소(10)의 2개의 각각의 우측 및 좌측 측면(11, 12)에 각각 위치되는 우측 측방향 지지 요소(20) 및 좌측 측방향 지지 요소(30)로서, 상기 레스트 요소(10)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우측 측방향 지지 요소(20) 및 좌측 측방향 지지 요소의 서로의 사이에 청취 공간(80) 및 상기 측방향 지지 요소(20, 30)에 평행한 길이 방향(15)을 획정하는, 상기 우측 측방향 지지 요소(20) 및 상기 좌측 측방향 지지 요소(30);
    - 상기 우측 및 좌측 측방향 지지 요소(20, 30)에 각각 장착된 우측 라우드 스피커(21) 및 좌측 라우드 스피커(31)로서, 상기 청취 공간(80)을 향하는 소리 방출면(22, 32)을 각각 갖는, 상기 우측 라우드 스피커(21) 및 좌측 라우드 스피커(31)를 포함하되;
    상기 레스트 요소(10)는 상기 우측 및 좌측 라우드 스피커(21, 31)를 향하여 배향된 우측 및 좌측 귀부(52, 53)와 사용자를 정렬하도록 구성된, 머리(50)의 부분(51)을 위한 하우징 구역(13)을 제공하고, 상기 우측 및 좌측 귀부(52, 53)는 청취 축(54)을 생성하며,
    상기 라우드 스피커(21, 31)는 우퍼(woofer)(23, 33) 및 트위터(tweeter)(24, 34)를 각각 가지며, 상기 트위터는 대칭축(60)을 가지며, 상기 라우드 스피커(21, 31)는 상기 트위터(24, 34)가 상기 청취 공간(80)을 향해 배향되도록 상기 우측 및 좌측 측방향 지지 요소(20, 30)에 장착되며, 상기 대칭축(60)은, 상기 트위터(24, 34)가 서로 정렬되고 상기 청취 축(54)에 평행한 상기 대칭축(60)을 갖게 되는 실질적으로 0과 같은 제1 고도값과, 상기 트위터(24, 34)가 상기 청취 축(54)보다 높이 위치된 지점(81)을 향해 수렴하는 상기 대칭축(60)을 갖게 되는 실질적으로 45°와 같은 제2 고도값 사이에서 상기 청취 축(54)에 대해 사전 결정된 고도 각도(α)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터는 0 내지 5㎝로 설정된 사전 결정된 높이(z)만큼 상기 청취 축(54)보다 높은 중심을 갖는, 머리 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터는 0 내지 10㎝로 설정된 사전 결정된 거리(x)만큼 상기 사용자에 대해 근위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병진된 중심을 갖는, 머리 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트위터(24, 34)는 상기 사용자가 머리(50)를 상기 하우징(13)에 놓을 때 상기 대칭축(60)이 상기 청취 축(54)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머리 받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터(24, 34)와 상기 우퍼(23, 33)는 사전 결정된 방향(25)으로 배향되고, 상기 방향은 수평면에서 0°내지 45°로 설정된 사전 결정된 경사각(β)에 의한 각도로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각은 0°내지 35°로 설정되는, 머리 받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터(24, 34)와 상기 우퍼(23, 33)는 사전 결정된 방향(25)으로 배향되고, 상기 방향은 수직면에서 0°내지 10°로 설정된 사전 결정된 배향 각도(γ)에 의해 배향되는, 머리 받침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스트 요소(10)는 상기 레스트 요소(10)에서 상기 사용자의 머리의 부분을 정렬하도록 배열된 수용 오목부(14)를 제공하며, 상기 수용 오목부(14)는 상기 길이 방향(15)에 대해 대칭인, 머리 받침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및 좌측 트위터(24, 34)는 서로 전기적으로 맞바꾸도록 배열되고 상기 우측 및 좌측 우퍼(23, 33)는 서로 전기적으로 맞바뀌어, 사용자에 대한 다차원 효과를 유지하는, 머리 받침대.
  9.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의 움직임 또는 상기 레스트 요소 상에서의 사용자의 압력을 측정하고, 사용자의 상태에 관한 표시를 제공하고, 머리 및 눈의 움직임을 식별하고, 상기 받침대의 소프트웨어 콘텐츠와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센서(930)가 상기 레스트 요소(10) 상에 제공되어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도록 배열되는,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
  10. 제1항 있어서, 상기 라우드 스피커(22, 32)로 서라운드 청취 장치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청취 공간에 위치된 라우드 스피커(940)가 추가로 제공되는,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태블릿 또는 이동 전화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980)를 지지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레스트 요소(10)에서 쉬고 있는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배열되는 관절식 구조(990)가 제공되며, 상기 관절식 구조(99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98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조정 가능하도록 배열되는, 오디오 재생 디바이스.
  12. 음원의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으로서,
    - 2개의 대향하는 우측 및 좌측 측면 사이에 물리적 및 음향 장벽을 제공하도록 배열된 더미 헤드(101),
    - 상기 더미 헤드(1)의 2개의 대향하는 우측 및 좌측 측면에 장착된 2개의 귓바퀴부(106a, 106b)로서, 외측을 향하는 진입부(1018a, 1018b)를 갖는 오목부(1017a, 1017b)를 획정하는 중앙 채널, 및 귓바퀴(107a, 107b)와 귓불(108a, 108b) 사이의 캐비티(cavity)를 갖는, 상기 귓바퀴부(106a, 106b), 및
    - 상기 2개의 귓바퀴부(106a, 106b)와 관련된 2개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을 포함하되,
    상기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은 녹음 환경에 존재하는 음원으로부터 비롯된 소리를 녹음하기 위해 구성되고, 상기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은 집음면(1015a, 1015b)을 가지며,
    상기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의 각각은 실질적으로 상기 진입부(1018a, 1018b) 및 상기 오목부(1017a, 1017b)에 배열된 상기 집음면(1015a, 1015b)이 각각의 귓바퀴부(106a, 106b)의 상기 중앙 채널의 상기 오목부(1017a, 1017b)에 위치되고,
    상기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은, 그 2개의 대향하는 우측 및 좌측 측면 상에서 상기 더미 헤드(101)에 장착되고, 측방향으로 배향된 집음면을 갖는 2개의 추가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9c, 109d)이 제공되며, 상기 2개의 추가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9c, 109d)은 상기 귓바퀴부(106a, 106b)로부터 외부에, 특히 상기 귓바퀴부(106a, 106b)에, 특히 상기 귓바퀴부 위에 장착된 상기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헤드(101)의 전방면을 향하여 배향된 집음면을 갖는 2개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105c, 105d)이 상기 더미 헤드(101)에 장착되며, 특히 상기 2개의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의 상기 2개의 집음면은 서로로부터 사전 결정된 제1 거리에 배열되며, 상기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은 상기 제1 거리보다 작은 서로로부터 제2 거리에 배열되며, 특히,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귓바퀴부(106a, 106b)로부터, 15 내지 13㎝로 설정되고, 상기 제2 거리는 13 내지 10㎝로 설정되며, 특히 상기 2개의 귓바퀴부(106a, 106b)의 귓바퀴(107a, 107b)는 서로로부터 15 내지 20㎝로 설정된 거리에 있으며, 특히, 상기 2개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105c, 105d)은 상기 측방향 마이크로폰 캡슐(105a, 105b)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h1)에 배열되고, 특히 이로부터 1 내지 3㎝ 더 높거나 낮게 배열되는,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105c, 150d)을 서로 음향 방음하도록 배열된 방음재로 만들어진 격벽(1020)이 상기 2개의 정면 마이크로폰 캡슐(105c, 150d) 사이에 배열되는,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
  15. 다차원 음향 효과를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 제1항에 따른 라우드 스피커(100)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
    - 복수의 오디오 트랙을 포함하는 메모리 유닛으로서, 각각의 오디오 트랙이 인체의 부수물을 한정하는 물체와 관련된 입체 음향 녹음 시스템에 의해 획득되고, 각각의 오디오 트랙이 음원이 녹음 시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 결정된 인체 부분과 관련되는, 상기 메모리 유닛;
    - 상기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에 상기 오디오 트랙을 전송하도록 배열된 제어 유닛(1006);
    - 상기 제어 유닛(1006)에 연결되고, 상기 또는 각각의 인체 부분의 화상을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적어도 하나의 인체 부분을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입력 인터페이스(100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유닛(1006)은, 상기 인터페이스(1000)에 존재하는 상기 또는 각각의 인체 부분이 선택될 때, 상기 받침대의 라우드 스피커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인체 부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트랙을 재생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다차원 음향 효과를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197005429A 2016-08-18 2017-08-18 다차원 음향 효과를 재생하기 위한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 및 시스템 KR201900399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6000085955 2016-08-18
IT102016000085931 2016-08-18
IT102016000085955A IT201600085955A1 (it) 2016-08-18 2016-08-18 Supporto per la testa con casse acustiche incorporate
IT102016000085931A IT201600085931A1 (it) 2016-08-18 2016-08-18 Microfono binaurale con sensibilità aumentata
PCT/IB2017/055018 WO2018033885A2 (en) 2016-08-18 2017-08-18 Head support incorporating loudspeakers and system for playing multi-dimensional acoustic effec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960A true KR20190039960A (ko) 2019-04-16

Family

ID=5988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429A KR20190039960A (ko) 2016-08-18 2017-08-18 다차원 음향 효과를 재생하기 위한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대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223903B2 (ko)
EP (1) EP3501179A2 (ko)
JP (1) JP2019528626A (ko)
KR (1) KR20190039960A (ko)
CN (2) CN113709632A (ko)
RU (1) RU2019104365A (ko)
WO (1) WO201803388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9259B2 (en) * 2018-04-19 2022-09-13 William Mess Sensory stress relief aid
CN108650592B (zh) * 2018-06-21 2020-12-08 珠海金山网络游戏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颈带式环绕立体声的方法及立体声控制系统
US11576508B2 (en) * 2018-06-28 2023-02-14 Transpacific Technologies, Llc Resting pillow with integrated headphones
US11509981B2 (en) * 2018-10-17 2022-11-22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Loudspeaker arrangement
CN110072172B (zh) * 2019-04-25 2020-10-16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音频信号的输出方法、系统、电子设备及可读介质
WO2021192167A1 (ja) * 2020-03-26 2021-09-3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スピーカシステム
JP6958763B1 (ja) * 2020-03-26 2021-11-0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音響システム
KR102359742B1 (ko) * 2020-05-15 2022-02-08 박재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JP7485548B2 (ja) 2020-05-29 2024-05-16 トヨタ自動車九州株式会社 車内異音検知装置
USD969521S1 (en) 2020-11-20 2022-11-15 Marc Mani Travel pillow
US11160400B1 (en) * 2020-11-20 2021-11-02 Marc Mani Travel pillow
US11357347B1 (en) 2020-11-20 2022-06-14 Marc Mani Portable head and neck support pillow
CN116648377A (zh) * 2020-12-31 2023-08-25 哈曼国际工业有限公司 带有可展开扬声器模块的车辆头枕组件
CN116802080A (zh) * 2020-12-31 2023-09-22 哈曼国际工业有限公司 具有可配置扬声器模块和用于多个音频模式的控件的车辆头枕组件
KR102475734B1 (ko) * 2021-09-07 2022-12-07 이송식 위치조절 가능한 사운드 유닛이 장착된 베개
US20230233003A1 (en) * 2022-01-26 2023-07-27 Sharbell Karout Audio Emitting Pillow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10146C2 (de) * 1974-03-02 1976-01-02 Sennheiser Electronic Kg, 3002 Wennebostel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reotonen Aufnahme von Schallereignissen
DE7508842U (de) * 1974-12-20 1976-01-02 Blaupunkt-Werke Gmbh, 3200 Hildesheim Kopfstuetze mit lautsprecher
DE2545446A1 (de) 1975-10-10 1977-04-14 Johannes Dipl Phys Dr Lensing Eine anordnung zur aufnahme und wiedergabe kopfbezogen-stereophoner informationen
JPS5312602A (en) * 1976-07-21 1978-02-04 Hitachi Ltd Dummy head
US4075438A (en) * 1976-12-02 1978-02-21 Gary Kappel Stereo speaker system
AT386504B (de) 1986-10-06 1988-09-12 Akg Akustische Kino Geraete Einrichtung zur stereophonen aufnahme von schallereignissen
DE3641067A1 (de) * 1986-12-01 1988-06-16 Ever Clean Gmbh Dem kopf einer person zugeordnete tonwiedergabeeinrichtung
DE3840766C2 (de) 1987-12-10 1993-11-18 Goerike Rudolf Stereophone Aufnahmevorrichtung
JP3184901B2 (ja) * 1990-03-29 2001-07-09 宏一 菊野 3次元立体定位情報の抽出方法と装置
GB9419832D0 (en) 1994-10-01 1994-11-16 Central Research Lab Ltd A camera and an accessory for a camera
US5684879A (en) * 1996-01-19 1997-11-04 Verdick; Michael Combination head mounted speaker assembly and multi-channel audio processing system
IT1283803B1 (it) 1996-08-13 1998-04-30 Luca Gubert Finsterle Sistema di registrazione dei suoni a due canali e sistema di riproduzione dei suoni tramite almeno quattro diffusori con
JP2001112572A (ja) * 1999-10-20 2001-04-24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ピーカ付シート並びに音響システム
US7684577B2 (en) * 2001-05-28 2010-03-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Vehicle-mounted stereophonic sound field reproducer
JP4104930B2 (ja) * 2002-07-25 2008-06-18 てるみ 清水 スピーカ付き枕
FR2877554B1 (fr) 2004-11-08 2006-12-22 Jean Claude Oliver Oreiller musical galbe
ITTV20070070A1 (it) * 2007-04-20 2008-10-21 Swing S R L Dispositivo trasduttore del suono.
JP2009260524A (ja) * 2008-04-15 2009-11-05 Sony Corp スピーカー装置
CA2639409A1 (fr) * 2008-09-09 2009-05-30 Luc Riopel Coussin cinema maison
US8442244B1 (en) * 2009-08-22 2013-05-14 Marshall Long, Jr. Surround sound system
US9950793B2 (en) * 2009-10-02 2018-04-24 Dennis A Tracy Loudspeaker system
US9555890B2 (en) * 2009-10-02 2017-01-31 Dennis A Tracy Loudspeaker system
US8879743B1 (en) * 2010-12-21 2014-11-04 Soumya Mitra Ear models with microphones for psychoacoustic imagery
JP5867799B2 (ja) * 2011-06-23 2016-02-24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収音再生装置、プログラム及び収音再生方法
JP2013034122A (ja) * 2011-08-02 2013-02-14 Denso Corp 車両用立体音響装置
US8996296B2 (en) * 2011-12-15 2015-03-31 Qualcomm Incorporated Navigational soundscaping
US9131305B2 (en) * 2012-01-17 2015-09-08 LI Creative Technologies, Inc. Configurable three-dimensional sound system
JP2014029658A (ja) * 2012-07-04 2014-02-13 Yasunari Ito タブレット型機器支持具
JP2014023715A (ja) * 2012-07-26 2014-02-06 Sharp Corp 測定支援装置、測定支援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9529431B2 (en) * 2012-09-06 2016-12-27 Thales Avionics, Inc. Directional sound systems including eye tracking capabilities and related methods
US8566986B1 (en) * 2012-12-18 2013-10-29 Hua Ling Chu Multi-functional pillow device
EP2866465B1 (en) * 2013-10-25 2020-07-22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Spherical microphone array
JP6300267B2 (ja) * 2014-02-28 2018-03-28 学校法人 中央大学 音補正出力システム及び音補正出力装置
WO2015196135A1 (en) * 2014-06-19 2015-12-23 Loos Rick Smart pillow
JP6611474B2 (ja) * 2015-06-01 2019-11-27 クラリオン株式会社 集音装置、及び集音装置の制御方法
US9596544B1 (en) * 2015-12-30 2017-03-14 Gregory Douglas Brotherton Head mounted phased focused speakers
US10405095B2 (en) * 2016-03-31 2019-09-03 Bose Corporation Audio signal processing for hearing impairment compensation with a hearing aid device and a speaker
CN106017665A (zh) * 2016-06-27 2016-10-12 洛阳理工学院 乘客座位声品质听觉感知测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28626A (ja) 2019-10-10
CN109691126A (zh) 2019-04-26
EP3501179A2 (en) 2019-06-26
US20190182593A1 (en) 2019-06-13
US11223903B2 (en) 2022-01-11
CN113709632A (zh) 2021-11-26
RU2019104365A (ru) 2020-09-18
WO2018033885A3 (en) 2018-04-12
US20220159380A1 (en) 2022-05-19
RU2019104365A3 (ko) 2020-11-19
WO2018033885A2 (en) 2018-02-22
CN109691126B (zh) 202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3903B2 (en) Head support incorporating loudspeakers and system for playing multi-dimensional acoustic effects
US11676568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djustable noise cancellation
US10904664B2 (en) Device for generating chest-chamber acoustic resonance and delivering the resultant audio and haptic to headphones
CN101032186B (zh) 用录音来产生幻像三维声音空间的方法及装置
US20080112581A1 (en) Vibrating earphone with enhanced base sound effect
JP3529787B2 (ja) グローバルサウンドマイクロホンシステム
US9420392B2 (en) Method for operating a virtual reality system and virtual reality system
Roginska Binaural audio through headphones
KR200461682Y1 (ko) 입체영상용 판독장치가 구비된 헤드셋
WO2004040941A1 (en) Multichannel headphones
CN102395074B (zh) 声音方向或立体声效果可调耳机
JP6776342B6 (ja) 音楽鑑賞装置
Hirahara et al. Impact of dynamic binaural signal associated with listener's voluntary movement in auditory spatial perception
CN102387444B (zh) 声音方向或立体声效果可调耳机
CN102413398B (zh) 声音方向或立体声效果可调耳机
KR102534802B1 (ko) 멀티-채널 바이노럴 기록 및 동적 재생
WO202126108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収録再生システム
CN104661157B (zh) 一种随身还原现场三维音效的设备
IT201600085955A1 (it) Supporto per la testa con casse acustiche incorporate
CN102395086B (zh) 声音方向或立体声效果可调耳机
JPH0477197A (ja) パーソナル用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