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603A - 필러 함유 필름 - Google Patents

필러 함유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603A
KR20190038603A KR1020197006228A KR20197006228A KR20190038603A KR 20190038603 A KR20190038603 A KR 20190038603A KR 1020197006228 A KR1020197006228 A KR 1020197006228A KR 20197006228 A KR20197006228 A KR 20197006228A KR 20190038603 A KR20190038603 A KR 20190038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resin layer
film
containing fil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6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8199B1 (ko
Inventor
레이지 츠카오
Original Assignee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204750A external-priority patent/JP6187665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66276A external-priority patent/JP7087305B2/ja
Application filed by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17042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8875A/ko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7/036993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074318A1/ja
Publication of KR20190038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6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material in insulating or poorly conductive material, e.g. conductive rub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1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epoxy resins;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epoxy resins;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필러가 수지층에 분산되어 있는 필러 함유 필름에 있어서, 필러 함유 필름과 물품의 압착시에 수지층이 불필요하게 유동하는 것에 의한 필러의 불필요한 유동을 억제한다.
필러 함유 필름 (10A) 은, 필러 (1) 가 수지층 (2) 에 분산되어 있는 필러 분산층 (3) 을 갖는다. 필러 분산층 (3) 에 있어서, 필러 (1) 근방의 수지층의 표면은, 인접하는 필러 사이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수지층의 접평면 (2p) 에 대하여 경사 (2b) 또는 기복 (2c) 을 갖는다. 이 필러 (1) 의 입자경의 CV 값은 20 % 이하이다.

Description

필러 함유 필름
본 발명은 필러 함유 필름에 관한 것이다.
필러가 수지층에 분산되어 있는 필러 함유 필름은, 광택 제거 필름, 콘덴서용 필름, 광학 필름, 라벨용 필름, 대전 방지용 필름, 이방성 도전 필름 등 다종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특허문헌 4). 필러 함유 필름을, 그 필러 함유 필름의 피착체로 하는 물품에 열 압착할 때에는, 필러 함유 필름을 형성하고 있는 수지의 불필요한 수지 유동을 억제하여 필러의 편재를 억제하는 것이, 광학적 특성, 기계적 특성, 또는 전기적 특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필러로서 도전 입자를 함유시키고, 필러 함유 필름을, IC 칩 등의 전자 부품의 실장에 사용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하는 경우에, 전자 부품의 고밀도 실장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절연성 수지층에 도전 입자를 고밀도로 분산시키면, 고밀도로 분산된 도전 입자가 전자 부품의 실장시에 수지 유동에 의해 불필요하게 이동하여 단자 사이에 편재하고, 쇼트의 발생 요인이 된다.
이에 대하여, 쇼트를 저감시킴과 함께, 이방성 도전 필름을 기판에 임시 압착할 때의 작업성을 개선하기 위해, 도전 입자를 단층으로 매립한 광 경화성 수지층과 절연성 접착제층을 적층한 이방성 도전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5). 이 이방성 도전 필름의 사용 방법으로는, 광 경화성 수지층이 미경화로 택성을 갖는 상태에서 임시 압착을 실시하고, 다음으로 광 경화성 수지층을 광 경화시켜 도전 입자를 고정화하고, 그 후, 기판과 전자 부품을 본압착한다.
또, 특허문헌 5 와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 접속층이, 주로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 2 접속층과 제 3 접속층에 협지 (挾持) 된 3 층 구조의 이방성 도전 필름도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6, 7).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 6 의 이방성 도전 필름은, 제 1 접속층이, 절연성 수지층의 제 2 접속층측의 평면 방향으로 도전 입자가 단층으로 배열된 구조를 갖고, 인접하는 도전 입자 사이의 중앙 영역의 절연성 수지층 두께가, 도전 입자 근방의 절연성 수지층 두께보다 얇게 되어 있다. 한편, 특허문헌 7 의 이방성 도전 필름은, 제 1 접속층과 제 3 접속층의 경계가 기복하고 있는 구조를 갖고, 제 1 접속층이, 절연성 수지층의 제 3 접속층측의 평면 방향으로 도전 입자가 단층으로 배열된 구조를 갖고, 인접하는 도전 입자 사이의 중앙 영역의 절연성 수지층 두께가, 도전 입자 근방의 절연성 수지층 두께보다 얇게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568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3890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0336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8326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6432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6015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60151호
그러나, 특허문헌 5 에 기재된 이방성 도전 필름에서는, 이방성 도전 접속의 임시 압착시에 도전 입자가 움직이기 쉬워, 이방성 도전 접속 전의 도전 입자의 정밀한 배치를 이방성 도전 접속 후에 유지할 수 없거나, 또는 도전 입자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이간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이와 같은 이방성 도전 필름을 기판과 임시 압착한 후에 광 경화성 수지층을 광 경화시키고, 도전 입자가 매립되어 있는 광 경화된 수지층과 전자 부품을 첩합 (貼合) 하면, 전자 부품의 범프의 단부에서 도전 입자가 포착되기 어렵다는 문제나, 도전 입자의 압입에 과도하게 큰 힘이 필요해지고, 도전 입자를 충분히 압입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특허문헌 5 에서는, 도전 입자의 압입의 개선을 위해, 광 경화성 수지층으로부터의 도전 입자의 노출의 관점 등에서의 검토도 충분히 이루어져 있지 않다.
그래서, 광 경화성 수지층 대신에, 이방성 도전 접속시의 가열 온도에서 고점도가 되는 절연성 수지층에 도전 입자를 분산시키고, 이방성 도전 접속시의 도전 입자의 유동성을 억제함과 함께, 이방성 도전 필름을 전자 부품과 첩착 (貼着) 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절연성 수지층에 도전 입자를 설령 정밀하게 배치하였다 하더라도, 이방성 도전 접속시에 수지층이 유동하면 도전 입자도 동시에 유동하여 버리기 때문에, 단자에 있어서의 도전 입자의 포착성의 향상이나 쇼트의 저감을 충분히 도모하는 것은 곤란하고, 이방성 도전 접속 후의 도전 입자에 당초의 정밀한 배치를 유지시키는 것도, 도전 입자끼리를 이간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도 곤란하다.
또, 특허문헌 6, 7 에 기재된 3 층 구조의 이방성 도전 필름의 경우, 기본점인 이방성 도전 접속 특성에 대해서는 문제가 관찰되지 않기는 하지만, 3 층 구조이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 제조 공정수를 감수화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 제 1 접속층의 편면에 있어서의 도전 입자의 근방에 있어서, 제 1 접속층의 전체 또는 그 일부가 도전 입자의 외형을 따라 크게 융기하고, 제 1 접속층을 이루는 절연성 수지층 자체가 평탄하지 않고, 그 융기한 부분에 도전 입자가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도전 입자의 유지와 단자에 의한 포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설계상의 제약이 많아지는 것이 우려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이방성 도전 필름을 비롯한 필러 함유 필름에 있어서, 3 층 구조를 필수로 하지 않아도, 또, 도전 입자 등의 필러를 유지하고 있는 수지의 당해 필러 근방에 있어서 수지층의 전체 또는 그 일부를 필러의 외형보다 크게 융기시키지 않아도, 필러 함유 필름의 열 압착시에 있어서의 수지층의 유동에 의한 필러의 불필요한 이동을 억제하는 것, 특히,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서 구성하는 경우에는, 도전 입자의 포착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쇼트를 저감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도전 입자 등의 필러가 수지층에 분산된 필러 분산층을 갖는 필러 함유 필름에 관하여, 수지층의 필러 근방의 표면 형상과 수지층의 점도의 관계에 대하여 이하의 지견을 얻었다. 즉, 특허문헌 5 에 기재된 이방성 도전 필름에서는, 도전 입자가 매립된 쪽의 절연성 수지층 (즉, 광 경화성 수지층) 자체의 표면이 평탄하게 되어 있는 반면, (ⅰ) 도전 입자 등의 필러가 수지층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 필러의 주위의 수지층의 표면을, 인접하는 필러 사이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수지층의 접평면에 대하여 오목해지도록 경사시키면, 그 수지층의 표면의 일부가 결손된 상태가 되고, 그 결과, 필러 함유 필름을 물품에 압착하여 필러를 물품에 접합시킬 때에, 필러와 물품의 접합을 방해할 우려가 있는 불필요한 수지를 저감시킬 수 있고, 또, (ⅱ) 필러가 수지층으로부터 노출되지 않고 수지층 내에 매립되어 있는 경우에, 필러의 바로 위의 수지층에, 인접하는 필러 사이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수지층의 접평면에 대하여, 필러의 매립의 흔적으로 관찰되는, 물결 형상과 같은 미소한 기복 (이하, 간단히 기복이라고만 기재한다) 이 형성되도록 하면, 그 기복의 오목부 부분에서 수지량이 적어져 있음으로써, 필러 함유 필름을 물품에 압착했을 때에 필러가 물품에 압입되기 쉬워지는 것, (ⅲ) 따라서, 필러 함유 필름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2 개의 물품을 압착하면, 대향하는 물품으로 협지된 필러와 그 물품이 양호하게 접속하는 것, 바꿔 말하면, 물품에 있어서의 필러의 포착성, 또는 물품으로 협지된 필러의 압착 전후에 있어서의 배치 상태의 일치성이 향상되고, 추가로 필러 함유 필름의 제품 검사나, 사용면의 확인이 용이해지는 것을 알아냈다. 게다가, 수지층에 있어서의 이와 같은 오목부는, 수지층에 필러를 압입함으로써 필러 분산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필러를 압입하는 수지층의 점도를 조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지견에 기초한 것으로, 필러가 수지층에 분산되어 있는 필러 분산층을 갖는 필러 함유 필름으로서,
필러 근방의 수지층의 표면이, 인접하는 필러 사이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수지층의 접평면에 대하여 경사 혹은 기복을 갖고,
그 경사에서는, 필러 주위의 수지층의 표면이 상기 접평면에 대하여 결손되어 있고,
그 기복에서는, 필러 바로 위의 수지층의 수지량이, 그 필러 바로 위의 수지층의 표면이 상기 접평면에 있는 것으로 했을 때에 비하여 적고,
필러의 입자경의 CV 값이 20 % 이하인 필러 함유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러가 수지층에 분산되어 있는 필러 분산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필러 함유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필러 분산층을 형성하는 공정이, 입자경의 CV 값이 20 % 이하인 필러를 수지층 표면에 유지시키는 공정과,
수지층 표면에 유지시킨 필러를 그 수지층에 압입하는 공정을 갖고,
필러를 수지층 표면에 유지시키는 공정에서는, 수지층 표면에서 필러가 분산된 상태로 하고, 필러를 수지층에 압입하는 공정에서는, 필러 근방의 수지층의 표면이, 인접하는 필러 사이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수지층의 접평면에 대하여 경사 또는 기복을 갖고, 그 경사에서는 필러 주위의 수지층의 표면이 상기 접평면에 대하여 결손되고, 그 기복에서는 필러 바로 위의 수지층의 수지량이, 그 필러 바로 위의 수지층의 표면이 상기 접평면에 있는 것으로 했을 때에 비하여 적어지도록, 필러를 압입할 때의 수지층의 점도, 압입 속도 또는 온도를 조정하는 필러 함유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은, 필러가 수지층에 분산되어 있는 필러 분산층을 갖는다. 이 필러 함유 필름에 있어서는, 필러 근방의, 필러 분산층의 표면을 이루는 수지층의 표면이, 인접하는 필러 사이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수지층의 접평면에 대하여 오목해지도록 경사져 있거나, 혹은 그 접평면에 대하여 기복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러가 수지층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노출되어 있는 필러의 주위의 수지층에 경사가 있고, 필러가 수지층으로부터 노출되지 않고 그 수지층 내에 매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필러의 바로 위의 수지층에 기복이 있다. 또한, 기복은, 수지층에 매립되어 있는 필러가 1 점에서 그 수지층의 표면에 접하는 경우에도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사와 기복은,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한 필러 함유 필름에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필러를 수지층에 압입함으로써 그 수지층에 필러를 매립한다. 그 때문에, 필러의 근방에서는 매립의 정도에 따라, 필러의 전체가 수지층에 매립되어 필러의 바로 위에 그 수지층의 수지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 (예를 들어, 도 4, 도 6 참조) 나, 필러의 정상부가 수지층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필러 근방의 수지층이 필러의 매립에 이끌려 내부로 들어가 있는 경우 (예를 들어, 도 1b, 도 2 참조) 가 존재하고, 또한 양자가 혼재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형성 기전의 면에서 서술하면, 경사는, 필러 근방의 수지층이 필러의 매립에 이끌려 내부로 들어감으로써 필러의 주위에 형성되는 사면이다. 또, 기복은, 필러의 매립에 의해 필러 전체가 수지층에 매립된 경우에, 그 매립의 흔적으로서 필러의 바로 위의 수지층의 표면에 형성된 물결 형상이다.
이와 같이, 경사와 기복은, 비교적 고점도인 수지층에 필러를 압입한 경우에 형성되기 때문에, 수지층에 있어서의 경사 또는 기복의 존재는, 그 수지층이 경사 또는 기복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높은 점도인 것을 의미한다. 수지층이 고점도이면, 필러 함유 필름의 물품에 대한 열 압착시에 불필요한 수지 유동이 억제되어, 필러가 수지 유동에 의해 흘러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열 압착시에 필러와 물품의 접합의 방해가 되는 수지가 존재하지 않거나, 저감되어 있음으로써, 수지층이 고점도이더라도, 수지층이 물품과 필러의 접합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는 없다.
또, 수지층이, 경사 또는 기복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고점도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면, 수지층 자체의 두께를 얇게 하고, 그 수지층과 그 수지층에 비하여 저점도인 제 2 수지층을 적층함으로써, 필러 함유 필름을 물품에 열 압착했을 때의 필러 함유 필름의 접착 성능을 유지하며, 또한 열 압착시의 필러의 불필요한 유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지층을 얇게 하는 것은, 접속 툴의 가열 가압 조건의 마진이 취하기 쉬워진다는 효과도 가져온다. 이러한 효과는, 필러의 입자경의 편차가 작으면, 보다 현저하게 발휘된다. 본 발명에서는, 필러의 입자경의 CV 값이 20 % 이하로 낮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게다가, 수지층의 경사나 기복은 필러의 근방에 존재하기 때문에, 필러 함유 필름의 제조시에는 필러 함유 필름의 외관을 관찰함으로써 필러의 분산 상태의 양부를 용이하게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지층에 상기 서술한 경사나 기복이 있으면, 필러 함유 필름의 피착체로 하는 물품에, 필러 함유 필름을 그 필러 함유 필름의 필러측으로부터 압착한 경우에 수지층의 불필요한 유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서 구성한 경우에는, 이방성 도전 필름을 개재하여 제 1 전자 부품과 제 2 전자 부품을 열 압착하는 이방성 도전 접속시에 불필요한 수지 유동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이방성 도전 접속시의 도전 입자의 포착성이 향상된다.
또, 경사에 의해, 특허문헌 6 이나 7 에 비하여, 경사가 있는 분만큼 필러 근방의 수지량이 저감된다. 이 때문에, 필러 함유 필름을 물품에 압착할 때에 수지 유동이 적어짐과 함께, 필러가 물품에 눌려지기 쉬워진다. 또한, 필러 함유 필름을 개재하여 2 개의 물품을 압착할 때에는, 필러가 협지되는 것이나, 필러가 편평하게 찌부러지고자 하는 것에 대하여 수지가 방해가 되기 어렵다. 또, 경사에 의해 필러의 주위의 수지량이 저감되어 있는 만큼, 필러를 불필요하게 유동시키는 것으로 이어지는 수지 유동이 저감된다. 따라서, 물품에 있어서의 필러의 포착성이 향상되고, 특히,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에 구성한 경우에는, 단자에 있어서의 도전 입자의 포착성이 향상됨으로써 도통 신뢰성이 향상된다.
절연성 수지층 내에 매립되어 있는 도전 입자의 바로 위의 절연성 수지층에 기복이 있는 경우에도 경사가 있는 경우와 동일하게, 이방성 도전 접속시에 단자로부터의 압압력 (押壓力) 이 도전 입자에 가해지기 쉬워진다. 이것은, 기복에 수반되는 오목부에 의해 도전 입자의 바로 위의 수지량이 저감되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도전 입자의 바로 위에 수지가 평탄하게 퇴적되어 있는 경우 (도 8 참조) 보다 단자에 있어서의 도전 입자의 포착성이 향상되고 도통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에 의하면, 필러 함유 필름의 피착체로 하는 물품에 필러 함유 필름을 압착할 때에 불필요한 수지 유동을 억제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필러의 불필요한 유동도 억제할 수 있고, 필러와 물품의 접합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서 구성하고, 그 이방성 도전 필름을 사용하여 제 1 전자 부품과 제 2 전자 부품을 접속하면, 단자 상의 도전 입자가 유동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도전 입자의 포착성이 향상되고, 이방성 도전 접속시의 도전 입자의 배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단자 폭 6 ㎛ ∼ 50 ㎛, 단자간 스페이스 6 ㎛ ∼ 50 ㎛ 의 파인 피치의 전자 부품의 접속에 사용할 수 있다. 또, 도전 입자의 크기가 3 ㎛ 미만 (예를 들어 2.5 ㎛ ∼ 2.8 ㎛) 일 때에 유효 접속 단자 폭 (접속시에 대향한 1 쌍의 단자의 폭 중, 평면에서 보아 서로 겹쳐 있는 부분의 폭) 이 3 ㎛ 이상, 최단 단자간 거리가 3 ㎛ 이상이면 쇼트를 일으키지 않고 전자 부품을 접속할 수 있다.
또, 도전 입자의 배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노멀 피치의 전자 부품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도전 입자의 배치 영역이나, 도전 입자의 개수 밀도를 변경한 영역의 레이아웃을 여러 가지 전자 부품의 단자의 레이아웃에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에 있어서, 수지층 내에 매립되어 있는 필러의 바로 위의 수지층에 상기 서술한 기복에 의한 오목부가 있으면, 필러 함유 필름의 외관 관찰에 의해 필러의 위치를 명확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외관에 의한 제품 검사가 용이해지고, 필름면의 표리의 식별도 용이해진다. 이 때문에, 필러 함유 필름을 물품에 압착할 때에, 필러 함유 필름의 어느 쪽의 필름면을 물품에 첩합하는가라는 사용면의 확인이 용이해진다. 필러 함유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이점이 얻어진다.
게다가,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에 의하면, 필러의 배치의 고정을 위해 수지층을 광 경화시켜 두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기 때문에, 필러 함유 필름을 물품에 열 압착할 때에 수지층이 택성을 가질 수 있다. 이 때문에, 필러 함유 필름과 물품을 임시 압착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임시 압착 후에 추가로 제 2 물품을 압착할 때에도 작업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수지층에 상기 서술한 경사 혹은 기복이 형성되도록, 수지층에 필러를 매립할 때의 그 수지층의 점도 등을 조정한다. 그 때문에, 상기 서술한 효과를 발휘하는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a 는,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의 일 양태인 실시예의 이방성 도전 필름 (10A) 의 도전 입자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b 는,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의 일 양태인 실시예의 이방성 도전 필름 (10A) 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의 일 양태인 실시예의 이방성 도전 필름 (10B) 의 단면도이다.
도 3a 는,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의 일 양태인 실시예의 이방성 도전 필름 (10C) 의 단면도이다.
도 3b 는,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의 일 양태인 실시예의 이방성 도전 필름 (10C') 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의 일 양태인 실시예의 이방성 도전 필름 (10D) 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의 일 양태인 실시예의 이방성 도전 필름 (10E) 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의 일 양태인 실시예의 이방성 도전 필름 (10F) 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의 일 양태인 실시예의 이방성 도전 필름 (10G) 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의 비교예가 되는 이방성 도전 필름 (10X) 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의 일 양태인 실시예의 이방성 도전 필름 (10H) 의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의 일 양태인 실시예의 이방성 도전 필름 (10I) 의 단면도이다.
도 11a 는,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의 일 양태인 실시예의 이방성 도전 필름의 상면 사진이다.
도 11b 는,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의 일 양태인 실시예의 이방성 도전 필름의 상면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의 일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필러 함유 필름의 전체 구성>
도 1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필러 함유 필름 (10A) 의 입자 배치를 설명하는 평면도이고, 도 1b 는 그 X-X 단면도이다. 이 필러 함유 필름 (10A) 은,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필러 (1) 로서 도전 입자를 절연성의 수지층 (2) 에 분산시킨 것이다.
이 필러 함유 필름 (10A) 은, 예를 들어 길이 5 m 이상의 장척의 필름 형태로 할 수 있고, 권심 (卷芯) 에 감은 권장체 (卷裝體) 로 할 수도 있다.
필러 함유 필름 (10A) 은 필러 분산층 (3) 으로 구성되어 있고, 필러 분산층 (3) 에서는, 수지층 (2) 의 편면에 필러 (1) 가 노출된 상태로 규칙적으로 분산되어 있다. 필름의 평면에서 보아 필러 (1) 는 서로 접촉되어 있지 않고, 필름 두께 방향으로도 필러 (1) 가 서로 겹치지 않고 규칙적으로 분산되어, 필러 (1) 의 필름 두께 방향의 위치가 고르게 된 단층의 필러층이 형성되어 있다.
개개의 필러 (1) 의 근방에서 그 필러 (1) 의 주위의 수지층 (2) 의 표면 (2a) 에는, 인접하는 필러 사이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수지층 (2) 의 접평면 (2p) 에 대하여 경사 (2b)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에서는, 수지층 (2) 에 매립된 필러 (1) 의 바로 위의 수지층의 표면에 기복 (2c) 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4, 도 6).
본 발명에 있어서, 「경사」란, 필러 (1) 의 근방 또는 주위에서 수지층 (2) 의 표면의 평탄성이 저해되고, 상기 접평면 (2p) 에 대하여 수지층의 일부가 결손되어 수지량이 저감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기복」이란, 도전 입자의 바로 위의 수지층의 표면에 물결 형상이 있고, 물결 형상에 수반되는 오목부 부분이 존재함으로써 수지가 저감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들은, 수지층의 표면에 있어서, 필러의 바로 위에 상당하는 부위와 필러 사이의 평탄한 표면 부분 (도 1b, 4, 6 의 2f. 도 11a 의 2b 의 외측, 도 11b 의 2c 의 외측.) 을 대비하여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기복의 개시점이 경사로서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필러의 분산 상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필러의 분산 상태에는, 필러 (1) 가 랜덤으로 분산되어 있는 상태도 규칙적인 배치로 분산되어 있는 상태도 포함된다. 어느 쪽의 경우에 있어서도, 필름 두께 방향의 위치가 고르게 되어 있는 것이, 필러 함유 필름의 피착체로 하는 물품에 필러 함유 필름을 열 압착할 때의 필러의 불필요한 유동을 억제하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특히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하는 경우에는, 전자 부품의 단자에 있어서의 도전 입자의 포착 안정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필름 두께 방향의 필러 (1) 의 위치가 고르게 되어 있다는 것은, 필름 두께 방향의 단일의 깊이로 고르게 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수지층 (2) 의 표리의 계면 또는 그 근방의 각각에 도전 입자가 존재하고 있는 양태를 포함한다.
필러 함유 필름의 광학적, 기계적 또는 전기적인 특성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특히, 필러를 도전 입자로 하고,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에 구성하는 경우에는, 단자에 있어서의 도전 입자의 포착의 안정성과 쇼트의 억제를 양립시키기 위해, 필러 (1) 는 필름의 평면에서 보아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열의 양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어, 필름의 평면에서 보아 도 1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방 격자 배열로 할 수 있다. 이 밖에, 필러의 규칙적인 배열의 양태로는, 장방 격자, 사방 (斜方) 격자, 육방 격자, 삼각 격자 등의 격자 배열을 들 수 있다. 상이한 형상의 격자가 복수 조합된 것이어도 된다. 필러의 배열의 양태로는, 필러가 소정 간격으로 직선상으로 늘어선 입자열을 소정의 간격으로 병렬시켜도 된다. 또, 필러의 누락이 필름의 소정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존재하는 양태여도 된다.
필러 (1) 를 서로 비접촉으로 하고, 격자상 등의 규칙적인 배열로 함으로써, 필러 함유 필름을 물품에 압착할 때에 각 필러 (1) 에 압력을 균등하게 가하여, 접속 상태의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필러의 누락을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반복 존재시키는 것, 혹은 필러가 누락되어 있는 지점을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점차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로트 관리가 가능해지고, 필러 함유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접속 구조체에 트레이서빌리티 (추적을 가능하게 하는 성질) 를 부여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것은, 필러 함유 필름이나 그것을 사용한 접속 구조체의 위조 방지, 진위 판정, 부정 이용 방지 등에도 유효해진다.
따라서,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에 구성한 경우에는, 도전 입자를 서로 비접촉인 규칙적인 배열로 함으로써, 이방성 도전 필름을 사용하여 제 1 전자 부품과 제 2 전자 부품을 이방성 도전 접속한 경우의 도통 저항의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필러가 규칙적인 배열을 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예를 들어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필러의 소정의 배치가 반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관찰함으로써 판별할 수 있다. 또,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에 구성하는 경우에는, 도전 입자가 필름의 평면에서 보아 규칙적으로 배열되며, 또한 필름 두께 방향의 위치가 고르게 되어 있는 것이, 이방성 도전 필름을 사용하여 제 1 전자 부품과 제 2 전자 부품을 이방성 도전 접속한 경우의 단자에 있어서의 도전 입자의 포착 안정성과 쇼트 억제의 양립을 위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접속하는 전자 부품의 단자간 스페이스가 넓어 쇼트가 발생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도전 입자를 규칙적으로 배열시키지 않고 도통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정도로 도전 입자가 있으면 랜덤으로 분산시키고 있어도 된다.
필러를 규칙적으로 배열시키는 경우에, 그 배열의 격자축 또는 배열축은, 필러 함유 필름의 길이 방향이나 길이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에 대하여 평행이어도 되고, 필러 함유 필름의 길이 방향과 교차해도 되고, 필러 함유 필름을 압착하는 물품에 따라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하는 경우, 규칙적으로 배열한 도전 입자의 격자축 또는 배열축은,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접속하는 단자 폭, 단자 피치, 레이아웃 등에 따라 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러 함유 필름을 파인 피치용의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하는 경우, 도 1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 입자 (1) 의 격자축 (A) 을 이방성 도전 필름 (10A) 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사행시켜, 이방성 도전 필름 (10A) 으로 접속하는 단자 (20) 의 길이 방향 (필름의 폭 방향) 과 격자축 (A) 이 이루는 각도 (θ) 를 바람직하게는 6° ∼ 84°,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 74°로 한다.
필러 함유 필름에 있어서 필러 사이의 거리도 접속하는 물품에 따라 정할 수 있고,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하는 경우에는, 필러 (1) 로 하는 도전 입자의 입자간 거리를,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접속하는 단자의 크기나 단자 피치에 따라 적절히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방성 도전 필름을 파인 피치의 COG (Chip On Glass) 에 대응시키는 경우, 쇼트의 발생을 방지하는 점에서 최근접 필러간 거리 (즉, 최근접 입자간 거리) 를 도전 입자경 (D) 의 0.5 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7 배보다 크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최근접 필러간 거리의 상한은 필러 함유 필름의 목적에 따라 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필러 함유 필름의 제조상의 난이도의 면에서는, 최근접 입자간 거리를 도전 입자경 (D) 의 바람직하게는 100 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배 이하로 할 수 있다. 또, 이방성 도전 접속시의 단자에 있어서의 도전 입자 (1) 의 포착성의 면에서는, 최근접 입자간 거리를 도전 입자경 (D) 의 4 배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 배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에서는, 다음 식으로 산출되는 필러의 면적 점유율을, 필러의 함유 효과를 발현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0.3 % 이상으로 한다.
면적 점유율 (%) = [평면시 (視) 에 있어서의 필러의 개수 밀도] × [필러 1 개의 평면시 면적의 평균] × 100
이 면적 점유율은, 필러 함유 필름을 물품에 압착하기 위해 압압 지그에 필요해지는 추력의 지표가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러 함유 필름을 물품에 압착하기 위해 압압 지그에 필요해지는 추력을 억제하는 점에서, 면적 점유율은, 바람직하게는 3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다.
여기서, 필러의 개수 밀도의 측정 영역으로는, 1 변이 100 ㎛ 이상인 사각형 영역을 임의로 복수 지점 (바람직하게는 5 개 지점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개 지점 이상) 설정하고, 측정 영역의 합계 면적을 2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개의 영역의 크기나 수는, 개수 밀도의 상태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파인 피치 용도의 이방성 도전 필름의 비교적 개수 밀도가 큰 경우의 일례로서, 필러 함유 필름으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면적 100 ㎛ × 100 ㎛ 의 영역의 200 개 지점 (2 ㎟) 에 대하여, 금속 현미경 등에 의한 관찰 화상을 사용하여 개수 밀도를 측정하고, 그것을 평균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식 중의 「평면시에 있어서의 필러의 개수 밀도」를 얻을 수 있다. 면적 100 ㎛ × 100 ㎛ 의 영역은,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하는 경우에는, 범프간 스페이스 50 ㎛ 이하의 접속 대상물에 있어서, 1 개 이상의 범프가 존재하는 영역이 된다.
또한, 면적 점유율이 상기 서술한 범위 내이면 개수 밀도의 값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하는 경우에는 실용상, 개수 밀도는 30 개/㎟ 이상이면 되고, 150 ∼ 70000 개/㎟ 가 바람직하고, 특히 파인 피치 용도의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6000 ∼ 42000 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 40000 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0 ∼ 35000 개/㎟ 이다.
필러의 개수 밀도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금속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여 구하는 것 외에,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 (예를 들어, WinROOF, 미타니 상사 주식회사 등) 에 의해 관찰 화상을 계측하여 구해도 된다. 관찰 방법이나 계측 수법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필러 1 개의 평면시 면적의 평균은, 필름면의 금속 현미경이나 SEM 등의 전자 현미경 등에 의한 관측 화상의 계측에 의해 구해진다.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해도 된다. 관찰 방법이나 계측 수법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면적 점유율은, 바람직하게는 3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고, 이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즉, 종래, 이방성 도전 필름에서는, 파인 피치에 대응시키기 위해, 쇼트를 발생시키지 않는 한에서 도전 입자의 입자간 거리를 좁혀, 개수 밀도가 높여져 왔다. 그러나, 전자 부품의 단자 개수가 증가하고, 전자 부품 1 개당 접속 총면적이 커짐에 따라, 도전 입자의 개수 밀도를 높이면, 이방성 도전 필름을 전자 부품에 열 압착하기 위해 압압 지그에 필요해지는 추력이 커지고, 종전의 압압 지그로는 압압이 불충분해진다는 문제가 생기는 것이 우려된다. 이와 같은 압압 지그에 필요해지는 추력의 문제는, 이방성 도전 필름에 한정되지 않고, 필러 함유 필름 전반에 공통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면적 점유율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3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로 하여, 필러 함유 필름을 물품에 열 압착하기 위해 압압 지그에 필요해지는 추력을 억제한다.
<필러>
본 발명에 있어서 필러 (1) 는, 필러 함유 필름의 용도에 따라, 공지된 무기계 필러 (금속, 금속 산화물, 금속 질화물 등), 유기계 필러 (수지 입자, 고무 입자 등), 유기계 재료와 무기계 재료가 혼재한 필러 (예를 들어, 코어가 수지 재료로 형성되고, 표면이 금속 도금되어 있는 입자 (금속 피복 수지 입자), 도전 입자의 표면에 절연성 미립자를 부착시킨 것, 도전 입자의 표면을 절연 처리한 것 등) 로부터, 경도, 광학적 성능 등의 용도에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예를 들어, 광학 필름이나 광택 제거 필름에서는, 실리카 필러, 산화티탄 필러, 스티렌 필러, 아크릴 필러, 멜라민 필러나 여러 가지 티탄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콘덴서용 필름에서는, 산화티탄, 티탄산마그네슘, 티탄산아연, 티탄산비스무트, 산화란탄, 티탄산칼슘, 티탄산스트론튬, 티탄산바륨, 티탄산지르콘산바륨, 티탄산지르콘산납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 필름에서는 폴리머계의 고무 입자, 실리콘 고무 입자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이방성 도전 필름에서는 도전 입자를 함유시킨다. 도전 입자로는, 니켈, 코발트, 은, 구리, 금, 팔라듐 등의 금속 입자, 땜납 등의 합금 입자, 금속 피복 수지 입자, 표면에 절연성 미립자가 부착되어 있는 금속 피복 수지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금속 피복 수지 입자가, 접속된 후에 수지 입자가 반발함으로써 단자와의 접촉이 유지되기 쉬워지고, 도통 성능이 안정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도전 입자의 표면에는 공지된 기술에 의해, 도통 특성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절연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용도별로 열거한 필러는, 당해 용도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른 용도의 필러 함유 필름이 함유해도 된다. 또, 각 용도의 필러 함유 필름에서는, 필요에 따라 2 종 이상의 필러를 병용할 수 있다.
필러의 형상은, 필러 함유 필름의 용도에 따라, 구형, 타원구, 기둥상, 침상, 그들의 조합 등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정해진다. 필러 배치의 확인이 용이해지고, 균등한 상태를 유지하기 쉬운 점에서, 구형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방성 도전 필름에서는, 도전 입자가, 대략 진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 입자로서 대략 진구인 것을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6015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사형을 사용하여 도전 입자를 배열시킨 이방성 도전 필름을 제조함에 있어, 전사형 상에서 도전 입자가 매끄럽게 구르기 때문에, 도전 입자를 전사형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밀도로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도전 입자를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대략 진구란, 다음 식으로 산출되는 진구도가 70 ∼ 100 인 것을 말한다.
진구도 = {1 - (So - Si)/So} × 100
상기 식 중, So 는 필러의 평면 화상에 있어서의 그 필러의 외접원의 면적이고, Si 는 필러의 평면 화상에 있어서의 그 필러의 내접원의 면적이다.
이 산출 방법에서는, 필러의 평면 화상을 필러 함유 필름의 면시야 및 단면에서 찍고, 각각의 평면 화상에 있어서 임의의 필러 100 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 개 이상) 의 외접원의 면적과 내접원의 면적을 계측하고, 외접원의 면적의 평균치와 내접원의 면적의 평균치를 구하여, 상기 서술한 So, Si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면시야 및 단면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진구도가 상기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면시야 및 단면의 진구도의 차는 20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내이다. 필러 함유 필름의 생산시의 검사는 주로 면시야이고, 물품에 열 압착한 후의 상세한 양부 판정은 면시야와 단면의 양방에서 실시하기 때문에, 진구도의 차는 작은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진구도는 필러 단체라면, 습식 플로우식 입자경·형상 분석 장치 FPIA-3000 (맬번사) 을 사용하여 구할 수도 있다.
필러의 입자경 (D) 은, 필러 함유 필름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정해진다. 예를 들어, 이방성 도전 필름에서는, 배선 높이의 편차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또, 도통 저항의 상승을 억제하며, 또한 쇼트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3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 9 ㎛ 이하이다. 접속 대상물에 따라서는, 9 ㎛ 보다 큰 것이 적합한 경우도 있다.
또한, 수지층 (2) 에 분산시키기 전의 필러의 입자경 (D) 은, 일반적인 입도 분포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할 수 있고, 또, 평균 입자경도 입도 분포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입도 분포 측정 장치의 일례로서 FPIA-3000 (맬번사) 을 들 수 있다. 한편, 필러 함유 필름에 있어서의 필러의 입자경 (D) 은, SEM 등의 전자 현미경 관찰로부터 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입자경 (D) 을 측정하는 샘플수를 20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필러의 형상이 구형이 아닌 경우, 최대 길이 또는 구형을 모방한 형상의 직경을 필러의 입자경 (D) 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필러 함유 필름에 있어서의 필러의 입자경 (D) 의 편차를, CV 값 (표준 편차/평균) 20 % 이하로 한다. CV 값을 20 % 이하로 함으로써, 필러 함유 필름의 물품에 대한 압착시에 필러 함유 필름이 균등하게 압압되기 쉬워지고, 특히 필러가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는 압압력이 국소적으로 집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접속의 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접속 후에 압흔에 의한 접속 상태의 평가를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서 구성한 경우에, 이방성 도전 필름과 전자 부품의 이방성 도전 접속 후의 검사에 있어서, 단자 사이즈가 큰 것 (FOG 등) 이든, 작은 것 (COG 등) 이든 압흔에 의한 접속 상태의 확인을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방성 도전 접속 후의 검사가 용이해지고, 접속 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입자경의 편차는 화상형 입도 분석 장치 등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필러 함유 필름에 함유되어 있지 않은, 필러 함유 필름의 원료 입자로서의 필러의 입자경도 상기 서술한 습식 플로우식 입자경·형상 분석 장치 FPIA-3000 (맬번사) 을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이 경우, 필러 개수는 1000 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0 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개 이상을 측정하면 정확하게 필러 단체의 편차를 파악할 수 있다. 필러가 필러 함유 필름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진구도와 동일하게 평면 화상 또는 단면 화상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수지층>
(수지의 점도)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지층 (2) 의 최저 용융 점도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필러 함유 필름의 용도나, 필러 함유 필름의 제조 방법 등에 따라 적절히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경사 (2b) 또는 기복 (2c) 을 형성할 수 있는 한, 필러 함유 필름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는 1000 ㎩·s 정도로 할 수도 있다. 한편, 필러 함유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필러를 수지층의 표면에 소정의 배치로 유지시키고, 그 필러를 수지층에 압입하는 방법을 실시할 때, 수지층이 필름 성형을 가능하게 하는 점에서 수지의 최저 용융 점도를 1100 ㎩·s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후술하는 필러 함유 필름의 제조 방법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도 1b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층 (2) 에 압입한 필러 (1) 의 노출 부분의 주위에 경사 (2b) 를 형성하거나, 도 4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층 (2) 에 압입한 필러 (1) 의 바로 위의 수지층의 표면에 기복 (2c) 을 형성하거나 하는 점에서, 최저 용융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500 ㎩·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 ∼ 15000 ㎩·s,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0 ∼ 10000 ㎩·s 이다. 이 최저 용융 점도는, 일례로서 회전식 레오미터 (TA instruments 사 제조) 를 사용하고, 측정 압력 5 g 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직경 8 ㎜ 의 측정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구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온도 범위 30 ∼ 200 ℃ 에 있어서, 승온 속도 10 ℃/분, 측정 주파수 10 ㎐, 상기 측정 플레이트에 대한 하중 변동 5 g 으로 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수지층 (2) 의 최저 용융 점도를 1500 ㎩·s 이상의 고점도로 함으로써, 필러 함유 필름의 물품에 대한 열 압착시에 필러의 불필요한 이동을 억제할 수 있고, 특히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하는 경우에는, 이방성 도전 접속시에 단자 사이에서 협지되어야 할 도전 입자 (1) 가 수지 유동에 의해 흘러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수지층 (2) 에 필러 (1) 를 압입함으로써 필러 함유 필름 (10A) 의 필러 분산층 (3) 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필러 (1) 를 압입할 때의 수지층 (2) 은, 필러 (1) 가 수지층 (2) 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필러 (1) 를 수지층 (2) 에 압입했을 때에 수지층 (2) 이 소성 변형하여 필러 (1) 의 주위의 수지층 (2) 에 경사 (2b) (도 1b) 가 형성되는 고점도인 점성체로 하거나, 혹은, 필러 (1) 가 수지층 (2) 으로부터 노출되지 않고 수지층 (2) 에 매립되도록 필러 (1) 를 압입했을 때에, 필러 (1) 의 바로 위의 수지층 (2) 의 표면에 기복 (2c) (도 4, 도 6) 이 형성되는 고점도인 점성체로 한다. 그 때문에, 수지층 (2) 의 60 ℃ 에 있어서의 점도는,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3000 ㎩·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 ㎩·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500 ㎩·s 이상이고,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0000 ㎩·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0 ㎩·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s 이하이다. 이 측정은 최저 용융 점도와 동일한 측정 방법으로 실시하고, 온도가 60 ℃ 인 값을 추출하여 구할 수 있다.
수지층 (2) 에 필러 (1) 를 압입할 때의 그 수지층 (2) 의 구체적인 점도는, 형성하는 경사 (2b), 기복 (2c) 의 형상이나 깊이 등에 따라, 하한에 대해서는 바람직하게는 3000 ㎩·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 ㎩·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500 ㎩·s 이상이고, 상한에 대해서는, 바람직하게는 20000 ㎩·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0 ㎩·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s 이하이다. 또, 이와 같은 점도를 바람직하게는 40 ∼ 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60 ℃ 에서 얻어지도록 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수지층 (2) 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필러 (1) 의 주위에 경사 (2b) (도 1b) 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필러 함유 필름의 물품에 대한 압착시에 생기는 필러 (1) 의 편평화에 대하여 수지층 (2) 으로부터 받는 저항이, 경사 (2b) 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저감된다. 이 때문에,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한 경우에는, 이방성 도전 접속시에 단자에 있어서의 도전 입자의 협지가 되기 쉬워짐으로써 도통 성능이 향상되고, 또한 단자에 있어서의 도전 입자의 포착성이 향상된다.
경사 (2b) 는, 필러의 노출 부분의 외형을 따르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에 있어서의 경사의 효과가 보다 발현되기 쉬워지는 것 이외에, 필러를 인식하기 쉬워짐으로써, 필러 함유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의 제품 검사 등이 실시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또, 수지층 (2) 으로부터 노출되지 않고 매립되어 있는 필러 (1) 의 바로 위의 수지층 (2) 의 표면에 기복 (2c) (도 4, 도 6) 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경사의 경우와 동일하게, 물품에 대한 압착시에 물품으로부터의 압압력이 필러에 가해지기 쉬워진다. 또, 기복의 오목부가 있음으로써, 필러의 바로 위의 수지가 평탄한 경우보다 필러의 바로 위의 수지량이 저감되어 있기 때문에, 압착시에는 필러 바로 위의 수지가 배제되기 쉬워지고, 물품과 필러의 접속 상태가 양호해진다. 특히,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하는 경우에는, 이방성 도전 접속시에 단자와 도전 입자가 접촉하기 쉬워지는 점에서, 단자에 있어서의 도전 입자의 포착성이 향상되고, 도통 신뢰성이 향상된다.
경사 (2b) 및 기복 (2c) 은, 수지층에 히트 프레스하는 것 등에 의해, 그 일부가 소실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는데, 본 발명은 이것을 포함한다. 또, 필러는 수지층의 표면에 1 점에서 노출되고, 그 1 점의 주위에 경사 또는 기복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는데, 본 발명은 이것도 포함한다. 이들 양태는, 필러 함유 필름의 용도나, 열 압착하는 물품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즉,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은 설계의 자유도가 높고, 필요에 따라 경사 또는 기복의 정도를 저감시키거나, 또는 경사 또는 기복을 부분적으로 소실시켜 사용할 수 있다.
(수지층의 층두께)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에서는, 수지층 (2) 의 층두께 (La) 와 필러의 입자경 (D) 의 비 (La/D) 가 0.6 ∼ 10 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필러의 입자경 (D) 은, 그 평균 입자경을 의미한다. 수지층 (2) 의 층두께 (La) 가 지나치게 크면 필러 함유 필름의 물품에 대한 압착시에 필러가 위치 어긋남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필러 함유 필름을 광학 필름으로 한 경우에는, 광학 특성에 편차가 생긴다. 또,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한 경우에는, 전자 부품과 이방성 도전 접속한 단자에 있어서의 도전 입자의 포착성이 저하된다. 이 경향은 La/D 가 10 을 초과하면 현저하다. 그래서 La/D 는 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6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반대로 수지층 (2) 의 층두께 (La) 가 지나치게 작아 La/D 가 0.6 미만이 되면, 필러 (1) 를 수지층 (2) 에 의해 소정의 입자 분산 상태 혹은 소정의 배열로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특히, 필러 함유 필름이 이방성 도전 필름인 경우에 접속하는 단자가 고밀도 COG 일 때에는, 절연성 수지층 (2) 의 층두께 (La) 와 도전 입자경 (D) 의 비 (La/D) 는, 바람직하게는 0.6 ∼ 3,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 2 이다. 한편, 필러 함유 필름이 이방성 도전 필름인 경우에, 접속하는 전자 부품의 범프 레이아웃 등에 의해 쇼트 발생의 리스크가 낮다고 생각될 때에는, 비 (La/D) 의 하한에 관하여, 0.25 이상으로 해도 된다.
(수지층의 조성)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지층 (2) 은,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고점도 점착성 수지 조성물, 또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할 수 있다. 수지층 (2) 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필러 함유 필름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고, 또, 수지층 (2) 을 절연성으로 할지의 여부도 필러 함유 필름의 용도에 따라 결정된다.
여기서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예를 들어, 열 중합성 화합물과 열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열 중합성 조성물로 형성할 수 있다. 열 중합성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광 중합 개시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열 중합 개시제와 광 중합 개시제를 병용하는 경우에, 열 중합성 화합물로서 광 중합성 화합물로서도 기능하는 것을 사용해도 되고, 열 중합성 화합물과는 별도로 광 중합성 화합물을 함유시켜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열 중합성 화합물과는 별도로 광 중합성 화합물을 함유시킨다. 예를 들어, 열 중합 개시제로서 카티온계 경화 개시제, 열 중합성 화합물로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고, 광 중합 개시제로서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 광 중합성 화합물로서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한다.
광 중합 개시제로서, 파장이 상이한 광에 반응하는 복수 종류를 함유시켜도 된다. 이로써, 필러 함유 필름의 제조시에 있어서 수지층을 필름화하기 위한 수지의 광 경화와, 필러 함유 필름을 물품에 압착할 때의 수지의 광 경화에서 사용하는 파장을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필러 함유 필름의 제조시에 광 경화를 실시하는 경우, 수지층에 포함되는 광 중합성 화합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광 경화시킬 수 있다. 이 광 경화에 의해, 수지층 (2) 에 있어서의 필러 (1) 의 배치가 유지 내지 고정화된다. 따라서,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하는 경우에는, 쇼트의 억제와 단자에 있어서의 도전 입자의 포착성의 향상이 전망된다. 또, 이 광 경화에 의해, 필러 함유 필름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수지층의 점도를 적절히 조정해도 된다.
수지층에 있어서의 광 중합성 화합물의 배합량은 3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 질량% 미만이 더욱 바람직하다. 광 중합성 화합물이 지나치게 많으면 필러 함유 필름을 물품에 압착할 때의 압입에 가해지는 추력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열 중합성 조성물의 예로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열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열 라디칼 중합성 아크릴레이트계 조성물, 에폭시 화합물과 열 카티온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열 카티온 중합성 에폭시계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열 카티온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열 카티온 중합성 에폭시계 조성물 대신에, 열 아니온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열 아니온 중합성 에폭시계 조성물을 사용해도 된다. 또, 특별히 지장을 초래하지 않으면, 복수 종의 중합성 화합물을 병용해도 된다. 병용예로는, 열 카티온 중합성 화합물과 열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병용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는, 종래 공지된 열 중합형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2 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열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유기 과산화물, 아조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기포의 원인이 되는 질소를 발생하지 않는 유기 과산화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열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지나치게 적으면 경화 불량이 되고, 지나치게 많으면 제품 라이프의 저하가 되기 때문에,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 ∼ 6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40 질량부이다.
에폭시 화합물로는,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 형 에폭시 수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그들의 변성 에폭시 수지, 지환식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또, 에폭시 화합물에 더하여 옥세탄 화합물을 병용해도 된다.
열 카티온 중합 개시제로는, 에폭시 화합물의 열 카티온 중합 개시제로서 공지된 것을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열에 의해 산을 발생하는 요오드늄염, 술포늄염, 포스포늄염, 페로센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온도에 대하여 양호한 잠재성을 나타내는 방향족 술포늄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열 카티온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지나치게 적어도 경화 불량이 되는 경향이 있고, 지나치게 많아도 제품 라이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에폭시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 ∼ 6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40 질량부이다.
열 아니온 중합 개시제로는, 통상 사용되는 공지된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산디히드라지드, 디시안디아미드, 아민 화합물, 폴리아미드아민 화합물, 시아네이트에스테르 화합물, 페놀 수지, 산 무수물, 카르복실산, 3 급 아민 화합물, 이미다졸, 루이스산, 브렌스테드산염, 폴리메르캅탄계 경화제,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이미다졸 변성체를 핵으로 하고 그 표면을 폴리우레탄으로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마이크로캡슐형 잠재성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 중합성 조성물은, 막 형성 수지나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막 형성 수지로는, 페녹시 수지,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수지, 부타디엔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제막성 (製膜性), 가공성, 접속 신뢰성의 관점에서, 페녹시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실란 커플링제로는, 에폭시계 실란 커플링제, 아크릴계 실란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실란 커플링제는, 주로 알콕시실란 유도체이다.
열 중합성 조성물에는, 용융 점도 조정을 위해, 상기 서술한 필러 (1) 와는 별도로 절연성 필러를 함유시켜도 된다. 이것은 실리카분 (粉) 이나 알루미나분 등을 들 수 있다. 절연성 필러는 입자경 20 ∼ 1000 ㎚ 의 미소한 필러가 바람직하고, 또, 배합량은 에폭시 화합물 등의 열 중합성 화합물 (광 중합성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5 ∼ 50 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러 (1) 와는 별도로 함유시키는 절연성 필러는, 필러 함유 필름의 용도가 이방성 도전 필름인 경우에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용도에 따라서는 절연성이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어 도전성의 미소한 필러를 함유시켜도 된다.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하는 경우, 필러 분산층을 형성하는 수지층에는, 필요에 따라, 필러 (1) 와는 상이한 보다 미소한 절연성 필러 (소위 나노 필러) 를 적절히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에는, 상기 서술한 절연성 또는 도전성의 필러와는 별도로 충전제, 연화제, 촉진제, 노화 방지제, 착색제 (안료, 염료), 유기 용제, 이온 캐처제 등을 함유시켜도 된다.
(수지층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필러의 위치)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에서는, 수지층 (2) 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필러 (1) 의 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필러 (1) 가 수지층 (2) 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어도 되고, 노출되지 않고, 수지층 (2) 내에 매립되어 있어도 되지만, 인접하는 필러 사이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접평면 (2p) 으로부터의 필러의 최심부의 거리 (이하, 매립량이라고 한다) (Lb) 와 필러의 입자경 (D) 의 비 (Lb/D) (이하, 매립률이라고 한다) 가 60 % 이상 10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매립률 (Lb/D) 을 60 % 이상으로 함으로써, 필러 (1) 를 수지층 (2) 에 의해 소정의 입자 분산 상태 혹은 소정의 배열로 유지하고, 또, 105 % 이하로 함으로써, 필러 함유 필름의 물품과의 압착시에 필러를 불필요하게 이동시키도록 작용하는 수지층의 수지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매립률 (Lb/D) 의 수치는, 필러 함유 필름에 포함되는 전체 필러수의 80 %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6 % 이상이, 당해 매립률 (Lb/D) 의 수치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매립률이 60 % 이상 105 % 이하란, 필러 함유 필름에 포함되는 전체 필러수의 80 %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6 % 이상의 매립률이 60 % 이상 105 % 이하인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전체 필러의 매립률 (Lb/D) 이 고르게 되어 있음으로써, 필러 함유 필름을 물품에 압착할 때의 압압 가중이 필러에 균일하게 가해진다. 따라서, 필러 함유 필름을 물품에 압착하여 첩합한 필름 첩착체에서는 광학 특성, 기계적 특성 등의 품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한 경우에는, 이방성 도전 접속시에 단자에 있어서의 도전 입자의 포착 상태가 양호해지고, 도통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매립률 (Lb/D) 은, 필러 함유 필름으로부터 면적 30 ㎟ 이상의 영역을 임의로 10 개 지점 이상 추출하고, 그 필름 단면의 일부를 SEM 화상으로 관찰하고, 합계 50 개 이상의 필러를 계측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보다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200 개 이상의 필러를 계측하여 구해도 된다.
또, 매립률 (Lb/D) 의 계측은, 면시야 화상에 있어서 초점 조정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개수에 대하여 일괄하여 구할 수 있다. 혹은 매립률 (Lb/D) 의 계측에 레이저식 판별 변위 센서 (키엔스 제조 등) 를 사용해도 된다.
(매립률 60 % 이상 100 % 미만의 양태)
매립률 (Lb/D) 60 % 이상 105 % 이하의 필러 (1) 의 보다 구체적인 매립 양태로는, 먼저, 도 1b 에 나타낸 필러 함유 필름 (10A) 과 같이, 필러 (1) 가 수지층 (2) 으로부터 노출되도록 매립률 60 % 이상 100 % 미만으로 매립된 양태를 들 수 있다. 이 필러 함유 필름 (10A) 은, 수지층 (2) 의 표면 중 그 수지층 (2) 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필러 (1) 와 접하고 있는 부분 및 그 근방이, 인접하는 필러 사이의 중앙부의 수지층의 표면 (2a) 에 있어서의 접평면 (2p) 에 대하여 오목해진 경사 (2b) 를 갖고, 이 오목부는 필러의 외형을 대략 따른 능선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사 (2b) 또는 기복 (2c) (도 4, 도 6) 은, 필러 함유 필름을, 수지층 (2) 에 필러 (1) 를 압입함으로써 제조하는 경우에, 필러 (1) 의 압입시의 수지층 (2) 의 점도를,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3000 ㎩·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 ㎩·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500 ㎩·s 이상으로 하고,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0000 ㎩·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0 ㎩·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s 이하로 한다. 또, 이와 같은 점도를 바람직하게는 40 ∼ 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60 ℃ 에서 얻어지도록 한다.
(매립률 100 % 의 양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 중, 매립률 (Lb/D) 100 % 의 양태로는, 도 2 에 나타내는 필러 함유 필름 (10B) 과 같이, 필러 (1) 의 주위에 도 1b 에 나타낸 필러 함유 필름 (10A) 과 동일한 필러의 외형을 대략 따른 능선을 형성하는 경사 (2b) 를 갖고, 수지층 (2) 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필러 (1) 의 노출 직경 (Lc) 이 필러의 입자경 (D) 보다 작은 것, 도 3a 에 나타내는 필러 함유 필름 (10C) 과 같이, 필러 (1) 의 노출 부분의 주위의 경사 (2b) 가 필러 (1) 근방에서 급격하게 나타나고, 필러 (1) 의 노출 직경 (Lc) 과 필러의 입자경 (D) 이 대략 동등한 것, 도 4 에 나타내는 필러 함유 필름 (10D) 과 같이, 수지층 (2) 의 표면에 얕은 기복 (2c) 이 있고, 필러 (1) 가 그 정상부 (1a) 의 1 점에서 수지층 (2) 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필러의 노출 부분의 주위의 수지층 (2) 의 경사 (2b) 나, 필러의 바로 위의 수지층 (2) 의 기복 (2c) 에 인접하여 미소한 돌출 부분 (2q) 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일례를 도 3b 의 필러 함유 필름 (10C') 에 나타낸다.
이들 필러 함유 필름 (10B, 10C, 10C', 10D) 은 매립률 100 % 이기 때문에, 필러 (1) 의 정상부 (1a) 와 수지층 (2) 의 표면 (2a) 이 면일 (面一) 로 고르게 되어 있다. 필러 (1) 의 정상부 (1a) 와 수지층 (2) 의 표면 (2a) 이 면일로 고르게 되어 있으면, 도 1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러 (1) 가 수지층 (2) 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필러 함유 필름과 물품의 열 압착시에 개개의 필러의 주변에서 필름 두께 방향의 수지량이 불균일해지기 어렵고, 수지 유동에 의한 필러의 이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립률이 엄밀하게 100 % 가 아니어도, 수지층 (2) 에 매립된 필러 (1) 의 정상부와 수지층 (2) 의 표면이 면일로 되는 정도로 고르게 되어 있으면 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매립률 (Lb/D) 이 개략 80 ∼ 105 %, 특히, 90 ∼ 100 % 인 경우에는, 수지층 (2) 에 매립된 필러 (1) 의 정상부와 수지층 (2) 의 표면은 면일이라고 할 수 있고, 수지 유동에 의한 필러의 이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들 필러 함유 필름 (10B, 10C, 10C', 10D) 중에서도, 10D 는 필러 (1) 의 주위의 수지량이 불균일해지기 어렵기 때문에 수지 유동에 의한 필러의 이동을 해소할 수 있고, 또한 정상부 (1a) 의 1 점이더라도 수지층 (2) 으로부터 필러 (1) 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필러와 물품이 접합하기 쉬워지고, 필러 함유 필름이 이방성 도전 필름인 경우에는, 단자에 있어서의 도전 입자 (1) 의 포착성도 좋고, 도전 입자의 약간의 이동도 일어나기 어렵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양태는, 특히 파인 피치나 범프간 스페이스가 좁은 경우에 유효하다.
또한, 경사 (2b), 기복 (2c) 의 형상이나 깊이가 상이한 필러 함유 필름 (10B (도 2), 10C (도 3a), 10D (도 4)) 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러 (1) 의 압입시의 수지층 (2) 의 점도 등을 변경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매립률 100 % 초과의 양태)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 중, 매립률 100 % 를 초과하는 경우, 도 5 에 나타내는 필러 함유 필름 (10E) 과 같이 필러 (1) 가 노출되고, 그 노출 부분의 주위의 수지층 (2) 에 접평면 (2p) 에 대한 경사 (2b) 가 있는 것, 또는 도 6 에 나타내는 필러 함유 필름 (10F) 과 같이 필러 (1) 의 바로 위의 수지층 (2) 의 표면에 접평면 (2p) 에 대한 기복 (2c) 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필러 (1) 의 노출 부분의 주위의 수지층 (2) 에 경사 (2b) 를 갖는 필러 함유 필름 (10E) (도 5) 과 필러 (1) 의 바로 위의 수지층 (2) 에 기복 (2c) 을 갖는 필러 함유 필름 (10F) (도 6) 은, 그들을 제조할 때의 필러 (1) 의 압입시의 수지층 (2) 의 점도 등을 변경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필러 함유 필름 (10E) 과 물품을 압착하면, 필러 (1) 가 물품으로부터 직접 압압되기 때문에, 물품과 필러가 접합하기 쉬워지고,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한 경우에는, 단자에 있어서의 도전 입자의 포착성이 향상된다. 또, 도 6 에 나타내는 필러 함유 필름 (10F) 과 물품을 압착하면, 필러 (1) 가 물품을 직접은 압압하지 않고, 수지층 (2) 을 개재하여 압압하게 되지만, 압압 방향으로 존재하는 수지량이 도 8 의 상태 (즉, 필러 (1) 가 매립률 100 % 를 초과하여 매립되고, 필러 (1) 가 수지층 (2) 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수지층 (2) 의 표면이 평탄한 상태) 에 비하여 적기 때문에, 필러에 압압력이 가해지기 쉬워진다. 따라서,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한 경우에는, 이방성 도전 접속시에 단자 사이의 도전 입자 (1) 가 수지 유동에 의해 불필요하게 이동하는 것이 방해된다.
상기 서술한 필러의 노출 부분의 주위의 수지층 (2) 의 경사 (2b) (도 1b, 도 2, 도 3a, 도 3b, 도 5) 나, 필러의 바로 위의 수지층 (2) 의 기복 (2c) (도 4, 도 6) 의 효과를 얻기 쉽게 하는 점에서 필러 (1) 의 노출 부분의 주위의 경사 (2b) 의 최대 깊이 (Le) 와 필러 (1) 의 입자경 (D) 의 비 (Le/D) 는, 바람직하게는 50 %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25 % 이고, 필러 (1) 의 노출 부분의 주위의 경사 (2b) 의 최대 직경 (Ld) 과 필러 (1) 의 입자경 (D) 의 비 (Ld/D) 는,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150 % 이고, 필러 (1) 의 바로 위의 수지에 있어서의 기복 (2c) 의 최대 깊이 (Lf) 와 필러 (1) 의 입자경 (D) 의 비 (Lf/D) 는, 0 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10 %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다.
또한, 필러 (1) 의 노출 직경 (즉, 노출되어 있는 부분의 직경) (Lc) 은, 필러 (1) 의 입자경 (D) 이하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필러의 입자경 (D) 의 10 ∼ 90 % 이다.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러 (1) 의 정상부의 1 점에서 노출되도록 해도 되고, 필러 (1) 가 수지층 (2) 내에 완전히 매립되어, 노출 직경 (Lc) 이 제로가 되도록 해도 된다.
한편, 수지층 (2) 에 매립된 필러 (1) 의 정상부와 수지층 (2) 의 표면이 대략 면일이며, 또한 경사 (2b) 또는 기복 (2c) 에 의한 오목부의 깊이 (인접하는 필러 사이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접평면으로부터의 오목부의 최심부의 거리) 가 입자경의 10 % 이상인 필러 (이하, 간단히 「수지층과 면일이고 오목부 깊이가 10 % 이상인 필러」라고 한다) 가 국소적으로 집중한 영역이 존재하면, 필러 함유 필름의 성능이나 품질에 문제는 없어도, 외관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또, 그와 같은 영역의 경사 (2b) 또는 기복 (2c) 을 물품을 향하게 하여 필러 함유 필름과 물품을 첩합하면 경사 (2b) 또는 기복 (2c) 이 첩합 후에 들뜸 등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필러 함유 필름이 이방성 도전 필름인 경우에, 절연성 수지층 (2) 과 면일이고 경사 또는 기복에 의한 오목부 깊이가 10 % 이상인 도전 입자가 하나의 범프에 집중적으로 존재하면 범프와의 접속 후에 들뜸이 생기고, 도통성의 저하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수지층 (2) 과 면일이고 오목부 깊이가 10 % 이상인 임의의 필러로부터 필러의 입자경의 200 배 이내의 영역에 있어서, 토탈 필러수에 대한, 수지층과 면일이고 오목부 깊이가 10 % 이상인 필러수의 비율이 50 %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 이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 이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대하여 이 비율이 50 % 를 초과하는 영역에는, 필러 함유 필름의 표면에 수지를 산포하거나 하여 경사 (2b) 또는 기복 (2c) 에 의한 오목부를 얕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산포하는 수지는, 수지층 (2) 을 형성하는 수지보다 저점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산포 후에 수지층 (2) 의 오목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도로, 산포하는 수지의 농도가 희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경사 (2b) 또는 기복 (2c) 에 의한 오목부를 얕게 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외관이나 들뜸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립률 (Lb/D) 이 60 % 미만인 필러 함유 필름 (10G) 에서는, 수지층 (2) 상에서 필러 (1) 가 구르기 쉬워지기 때문에, 필러 함유 필름과 물품의 압착시에, 필러와 물품의 접속 상태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 특히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한 경우에는, 이방성 도전 접속시의 단자에 있어서의 도전 입자의 포착률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매립률 (Lb/D) 을 6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매립률 (Lb/D) 이 100 % 를 초과하는 양태에 있어서, 도 8 에 나타내는 비교예의 필러 함유 필름 (10X) 과 같이 수지층 (2) 의 표면이 평탄한 경우에는, 필러 함유 필름과 물품의 열 압착시에, 필러 (1) 와 단자 사이에 개재하는 수지량이 과도하게 많아지고, 또, 필러 (1) 가 직접적으로 물품을 압압하지 않고, 수지층을 개재하여 물품을 압압하게 되어, 필러가 수지 유동에 의해 흘러가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지층 (2) 의 표면의 경사 (2b), 기복 (2c) 의 존재는, 필러 함유 필름의 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고, 면시야 관찰에 있어서도 확인할 수 있다. 광학 현미경, 금속 현미경으로도 경사 (2b), 기복 (2c) 의 관찰은 가능하다. 또, 경사 (2b), 기복 (2c) 의 크기는 화상 관찰시의 초점 조정 등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히트 프레스에 의해 경사 또는 기복을 감소시킨 후에도, 잔존하는 경사 또는 기복을, 상기 서술과 동일한 수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필러 함유 필름의 변형 양태>
(제 2 수지층)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은, 도 9 에 나타내는 필러 함유 필름 (10H) 과 같이, 필러 분산층 (3) 의 수지층 (2) 의 경사 (2b) 가 형성되어 있는 면에, 그 수지층 (2)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저 용융 점도가 낮은 제 2 수지층 (4) 을 적층해도 된다. 제 2 수지층 및 후술하는 제 3 수지층은, 그 수지층 자체에는 필러 분산층 (3) 에 분산되어 있는 필러 (1) 를 함유하지 않는 층이 된다. 또한 도 10 에 나타내는 필러 함유 필름 (10I) 과 같이, 필러 분산층 (3) 의 수지층 (2) 의 경사 (2b)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 그 수지층 (2) 보다 최저 용융 점도가 낮은 제 2 수지층 (4) 을 적층해도 된다. 경사 (2b) 대신에 기복 (2c) 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동일하다.
제 2 수지층 (4) 도 필러 함유 필름의 용도에 따라 절연성 또는 도전성으로할 수 있다. 제 2 수지층 (4) 을 적층하면, 필러 함유 필름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2 개의 물품을 열 압착하는 경우에, 그들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필러 함유 필름을, 제 2 수지층으로서 절연성 수지층을 갖는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하고, 전자 부품을 이방성 도전 접속할 때에는, 전자 부품의 전극이나 범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제 2 수지층으로 충전하여, 전자 부품끼리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수지층 (4) 을 갖는 필러 함유 필름을 사용하여 대향하는 물품끼리를 접속하는 경우, 제 2 수지층 (4) 이 경사 (2b) 의 형성면 상에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제 2 수지층 (4) 이, 열 압착 툴로 가압하는 물품측에 있는 것,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하는 경우에는, 열 압착 툴로 가압하는 IC 칩 등의 제 1 전자 부품측에 있는 것 (바꿔 말하면, 수지층 (2) 이 스테이지에 재치 (載置) 되는 기판 등의 제 2 전자 부품측에 있는 것) 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필러의 뜻하지 않은 이동을 피할 수 있고, 이방성 도전 필름에 있어서는 이방성 도전 접속시의 도전 입자의 포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경사 (2b) 가 기복 (2c) 이어도 동일하다. 또한, 제 1 전자 부품과 제 2 전자 부품을 이방성 도전 필름을 사용하여 접속하는 경우, 통상은 IC 칩 등의 제 1 전자 부품을 압압 지그측으로 하고, 기판 등의 제 2 전자 부품을 스테이지측으로 하고, 이방성 도전 필름을 제 2 전자 부품과 임시 압착한 후에, 제 1 전자 부품과 제 2 전자 부품을 본압착하지만, 제 2 전자 부품의 열 압착 영역의 사이즈 등에 따라서는, 이방성 도전 필름을 제 1 전자 부품에 임시 부착한 후에, 제 1 전자 부품과 제 2 전자 부품을 본압착한다.
수지층 (2) 과 제 2 수지층 (4) 의 최저 용융 점도는, 차가 있을수록, 필러 함유 필름을 개재하여 접속하는 2 개의 물품 사이의 공간이 제 2 수지층 (4) 으로 충전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제 1 전자 부품과 제 2 전자 부품을 이방성 도전 접속하는 경우에는, 전자 부품의 전극이나 범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제 2 절연성 수지층 (4) 으로 충전되기 쉬워지고, 전자 부품끼리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이 차가 있을수록 도전 입자 분산층에 있어서 도전 입자를 유지하고 있는 절연성 수지층 (2) 의 이동량이 제 2 수지층 (4) 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단자에 있어서의 도전 입자의 포착성이 향상되기 쉬워진다.
수지층 (2) 과 제 2 수지층 (4) 의 최저 용융 점도비는, 실용상으로는, 수지층 (2) 과 제 2 수지층 (4) 의 층두께의 비율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 이상이다. 한편, 이 비가 지나치게 크면 장척의 필러 함유 필름을 권장체로 한 경우에, 수지의 비어져 나옴이나 블로킹이 생길 우려가 있기 때문에, 실용상으로는 15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 2 수지층 (4) 의 바람직한 최저 용융 점도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서술한 비를 만족하며, 또한 3000 ㎩·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s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 2000 ㎩·s 이다.
또한, 제 2 수지층 (4) 은, 수지층 (2) 과 동일한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점도를 조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제 2 수지층 (4) 의 두께는, 필러 함유 필름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이 두께는 열 압착하는 물품이나 열 압착 조건에 영향을 받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제 2 수지층 (4) 의 적층 공정의 난이도를 과도하게 올리지 않는 점에서는, 일반적으로 필러의 입자경의 0.2 ∼ 50 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 (10H, 10I) 으로 하는 경우에는, 제 2 수지층 (4) 의 층두께는, 바람직하게는 4 ∼ 20 ㎛ 이고, 또, 도전 입자경의 바람직하게는 1 ∼ 8 배이다.
또, 수지층 (2) 과 제 2 수지층 (4) 을 합친 필러 함유 필름 (10H, 10I) 전체의 최저 용융 점도는, 필러 함유 필름의 용도나, 수지층 (2) 과 제 2 수지층 (4) 의 두께의 비율 등에 따라 정하지만,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하는 경우, 실용상으로는 8000 ㎩·s 이하로 하고, 범프 사이에 대한 충전을 실시하기 쉽게 하기 위해 200 ∼ 7000 ㎩·s 로 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200 ∼ 4000 ㎩·s 이다.
(제 3 수지층)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에서는, 제 2 수지층 (4) 과 수지층 (2) 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제 3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 3 수지층도, 필러 함유 필름의 용도에 따라 절연성 또는 도전성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러 함유 필름을, 절연성의 제 3 수지층을 갖는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한 경우에, 그 제 3 수지층을 택층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하는 경우, 제 3 수지층은, 제 2 수지층과 동일하게, 전자 부품의 전극이나 범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충전시키기 위해 형성해도 된다.
제 3 수지층의 수지 조성, 점도 및 두께는 제 2 수지층과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수지층 (2) 과 제 2 수지층 (4) 과 제 3 수지층을 합친 필러 함유 필름의 최저 용융 점도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8000 ㎩·s 이하로 해도 되고, 200 ∼ 7000 ㎩·s 여도 되고, 200 ∼ 4000 ㎩·s 로 할 수도 있다.
(그 밖의 적층 양태)
필러 함유 필름의 용도에 따라서는, 필러 분산층을 적층해도 되고, 적층한 필러 분산층 사이에, 제 2 수지층과 같이 필러를 함유하고 있지 않은 층을 개재시켜도 되고, 추가로 최외층에 제 2 수지층이나 제 3 수지층을 형성해도 된다.
<필러 함유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의 제조 방법은, 필러가 수지층에 분산되어 있는 필러 분산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다. 이 필러 분산층을 형성하는 공정은, 필러를 수지층 표면에, 특정의 면적 점유율로 유지시키는 공정과, 수지층에 유지시킨 필러를 그 수지층에 압입하는 공정을 갖는다.
이 중, 필러를 수지층 표면에 유지시키는 공정에서는, 수지층의 표면에 유지시키는 필러의 입자경의 CV 값을 20 % 이하로 한다. 또, 필러가 수지층의 표면에서 분산되며, 또한 다음 식으로 산출되는 필러의 면적 점유율이 0.3 % 이상이 되도록 필러를 수지층의 표면에 유지시킨다.
면적 점유율 (%) = [평면시에 있어서의 필러의 개수 밀도] × [필러 1 개의 평면시 면적의 평균] × 100
한편, 수지층에 유지시킨 필러를 그 수지층에 압입하는 공정에서는, 필러 근방의 수지층의 표면이, 인접하는 필러 사이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수지층의 접평면에 대하여 경사 또는 기복을 갖도록, 수지층의 표면에 유지시킨 필러를 수지층에 압입한다.
필러를 압입하는 수지층은, 전술한 경사 (2b) 또는 기복 (2c) 을 형성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최저 용융 점도를 1100 ㎩·s 이상, 60 ℃ 에 있어서의 점도를 3000 ㎩·s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최저 용융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500 ㎩·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 ∼ 15000 ㎩·s,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0 ∼ 10000 ㎩·s 이고, 60 ℃ 에 있어서의 점도는,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3000 ㎩·s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 ㎩·s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500 ㎩·s 이상이고,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0000 ㎩·s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0 ㎩·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s 이하이다.
필러 함유 필름이 필러 분산층 (3) 의 단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은, 예를 들어, 수지층 (2) 의 표면에 필러 (1) 를 소정의 배열로 유지시키고, 그 필러 (1) 를 평판 또는 롤러로 수지층에 압입함으로써 제조된다. 또한, 매립률 100 % 초과의 필러 함유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 필러의 배열에 대응한 볼록부를 갖는 누름판으로 압입해도 된다.
여기서, 수지층 (2) 에 있어서의 필러 (1) 의 매립량은, 필러 (1) 의 압입시의 압압력, 온도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또, 경사 (2b), 기복 (2c) 의 형상 및 깊이는, 압입시의 수지층 (2) 의 점도, 압입 속도, 온도 등에 의해 조정한다.
수지층 (2) 에 필러 (1) 를 유지시키는 수법으로는, 공지된 수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층 (2) 에 필러 (1) 를 직접 산포하거나, 혹은 2 축 연신시킬 수 있는 필름에 필러 (1) 를 단층으로 부착시키고, 그 필름을 2 축 연신시키고, 그 연신시킨 필름에 수지층 (2) 을 압압하여 필러를 수지층 (2) 에 전사함으로써, 수지층 (2) 에 필러 (1) 를 유지시킨다. 또, 전사형에 필러를 충전하고, 그 필러를 수지층 (2) 에 전사함으로써, 수지층 (2) 에 필러 (1) 를 유지시킬 수도 있다.
전사형을 사용하여 수지층 (2) 에 필러 (1) 를 유지시키는 경우, 전사형으로는, 예를 들어, 실리콘, 각종 세라믹스, 유리,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 등의 무기 재료나, 각종 수지 등의 유기 재료 등에 대하여, 포토리소그래프법 등의 공지된 개구 형성 방법에 의해 개구를 형성한 것, 인쇄법을 응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전사형은, 판상, 롤상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수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필러를 압입한 수지층의, 그 압입측의 표면, 또는 그 반대면에, 수지층보다 저점도의 제 2 수지층을 적층할 수 있다.
필러 함유 필름과 물품의 압착을 공업적 생산 라인에서 경제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러 함유 필름은 어느 정도의 장척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필러 함유 필름은 길이를, 바람직하게는 5 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m 이상으로 제조한다. 한편, 필러 함유 필름을 과도하게 길게 하면, 기존의 압착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취급성도 열등하다. 그래서, 필러 함유 필름은, 그 길이를 바람직하게는 5000 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m 이하로 제조한다. 또, 이와 같은 장척의 필러 함유 필름은, 권심에 감겨진 권장체로 하는 것이 취급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필러 함유 필름의 사용 방법>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은, 종전의 필러 함유 필름과 동일하게 물품에 첩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필러 함유 필름을 첩합할 수 있으면 물품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필러 함유 필름의 용도에 따른 여러 가지 물품에 압착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열 압착에 의해 첩착할 수 있다. 이 첩합시에는 광 조사를 이용해도 되고, 열과 광을 병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필러 함유 필름의 수지층이, 그 필러 함유 필름을 첩합하는 물품에 대하여 충분한 점착성을 갖는 경우, 필러 함유 필름의 수지층을 물품에 가볍게 누름으로써 필러 함유 필름이 하나의 물품의 표면에 첩착된 필름 첩착체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 물품의 표면은 평면에 한정되지 않고, 요철이 있어도 되고, 전체로서 굴곡져 있어도 된다. 물품이 필름상 또는 평판상인 경우에는, 압착 롤러를 사용하여 필러 함유 필름을 물품에 첩합해도 된다. 이로써, 필러 함유 필름의 필러와 물품을 직접적으로 접합시킬 수도 있다.
또, 대향하는 제 1 물품과 제 2 물품 사이에 필러 함유 필름을 개재시키고, 열 압착 롤러나 압착 툴로 대향하는 2 개의 물품을 접속하고, 그 물품 사이에서 필러가 협지되도록 해도 된다. 또, 필러와 물품을 직접 접촉시키지 않도록 하여 필러 함유 필름을 물품으로 끼워넣도록 해도 된다.
또,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하는 경우, 열 압착 툴을 사용하여 이방성 도전 필름을, IC 칩, IC 모듈, FPC 등의 제 1 전자 부품과, FPC, 유리 기판, 플라스틱 기판, 리지드 기판, 세라믹 기판 등의 제 2 전자 부품의 이방성 도전 접속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방성 도전 필름을 사용하여 IC 칩이나 웨이퍼를 스택하여 다층화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접속하는 전자 부품은, 상기 서술한 전자 부품에 한정되지 않는다. 최근, 다양화되고 있는 여러 가지 전자 부품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이 여러 가지 물품에 열 압착에 의해 첩착되어 있는 첩착체나, 첩착체의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특히, 필러 함유 필름을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 하는 경우에는, 이방성 도전 필름을 사용하여 제 1 전자 부품과 제 2 전자 부품을 이방성 도전 접속하는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이나, 그것에 의해 얻어진 접속 구조체, 즉, 본 발명의 이방성 도전 필름에 의해 제 1 전자 부품과 제 2 전자 부품이 이방성 도전 접속되어 있는 접속 구조체도 포함한다.
이방성 도전 필름을 사용한 전자 부품의 접속 방법으로는, 이방성 도전 필름이 도전 입자 분산층 (3) 의 단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종 기판 등의 제 2 전자 부품에 대하여, 이방성 도전 필름의 도전 입자 (1) 가 표면에 매립되어 있는 쪽으로부터 임시 부착하여 임시 압착하고, 임시 압착한 이방성 도전 필름의 도전 입자 (1) 가 표면에 매립되어 있지 않은 쪽에 IC 칩 등의 제 1 전자 부품을 맞추고, 열 압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절연성 수지층에 열 중합 개시제와 열 중합성 화합물뿐만 아니라, 광 중합 개시제와 광 중합성 화합물 (열 중합성 화합물과 동일해도 된다) 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광과 열을 병용한 압착 방법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도전 입자의 뜻하지 않은 이동은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도전 입자가 매립되어 있지 않은 쪽을 제 2 전자 부품에 임시 부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제 2 전자 부품이 아니고, 제 1 전자 부품에 이방성 도전 필름을 임시 부착할 수도 있다.
또, 이방성 도전 필름이, 도전 입자 분산층 (3) 과 제 2 절연성 수지층 (4) 의 적층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도전 입자 분산층 (3) 을 각종 기판 등의 제 2 전자 부품에 임시 부착하여 임시 압착하고, 임시 압착한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 2 절연성 수지층 (4) 측에 IC 칩 등의 제 1 전자 부품을 얼라인먼트하여 재치하고, 열 압착한다.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 2 절연성 수지층 (4) 측을 제 1 전자 부품에 임시 부착해도 된다. 또, 도전 입자 분산층 (3) 측을 제 1 전자 부품에 임시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필러 함유 필름의 일 양태인 이방성 도전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 11, 비교예 1 ∼ 2
(1)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
표 1 에 나타낸 배합으로, 절연성 수지층 및 제 2 절연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을 각각 조제하였다.
절연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을 바 코터로 필름 두께 50 ㎛ 의 PET 필름 상에 도포하고, 80 ℃ 의 오븐에서 5 분간 건조시켜, PET 필름 상에 표 2 에 나타내는 두께의 절연성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동일하게 하여, 제 2 절연성 수지층을, 표 2 에 나타내는 두께로 PET 필름 상에 형성하였다.
Figure pct00001
한편, 도전 입자 (1) 가 평면에서 보아 도 1a 에 나타내는 정방 격자 배열이고 입자간 거리가 도전 입자의 입자경과 동동해지고, 도전 입자의 개수 밀도가 28000 개/㎟ 가 되도록, 금형을 제작하였다. 즉, 금형의 볼록부 패턴이 정방 격자 배열이고, 격자축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피치가 평균 도전 입자경 (3 ㎛) 의 2 배이고, 격자축과 이방성 도전 필름의 폭 방향 (단자의 길이 방향) 이 이루는 각도 (θ) 가 15°가 되는 금형을 제작하고, 공지된 투명성 수지의 펠릿을 용융시킨 상태에서 그 금형에 흘려 넣고, 냉각시켜 굳힘으로써, 오목부가 도 1a 에 나타내는 배열 패턴인 수지형을 형성하였다.
도전 입자로서, 금속 피복 수지 입자 (세키스이 화학 공업 주식회사, AUL703, 평균 입자경 3 ㎛) 를 준비하고, 이 도전 입자를 수지형의 오목부에 충전하고, 그 위에 상기 서술한 절연성 수지층을 씌우고, 60 ℃, 0.5 ㎫ 로 압압함으로써 첩착시켰다. 그리고, 형(型)으로부터 절연성 수지층을 박리하고, 절연성 수지층 상의 도전 입자를, 가압 (압압 조건 : 60 ∼ 70 ℃, 0.5 ㎫) 함으로써 절연성 수지층에 압입하여, 도전 입자 분산층의 단층으로 이루어지는 이방성 도전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6 ∼ 11 및 비교예 2). 도전 입자의 매립 상태는, 압입 조건으로 컨트롤하였다. 또한, 사용한 금속 피복 수지 입자의 CV 값은 FPIA-3000 (맬번사) 을 사용하여, 입자 개수 1000 개 이상으로 측정한 결과 20 % 이하였다.
이렇게 하여 제조한 이방성 도전 필름에 있어서의 도전 입자의 면적 점유율은, 28000 개/㎟ × (1.5 × 1.5 × 3.14 × 10-6) × 100 = 19.8 % 이다.
또, 동일하게 제작한 도전 입자 분산층에, 제 2 절연성 수지층을 적층함으로써 2 층 타입의 이방성 도전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 ∼ 5, 비교예 1).
(2) 매립 상태
각 실시예 1 ∼ 11 및 비교예 1 ∼ 2 의 이방성 도전 필름을, 도전 입자를 통과하는 절단선으로 절단하고, 그 단면을 금속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또, 도전 입자가 이방성 도전 필름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지, 도전 입자가 이방성 도전 필름의 필름 표면 근방에 있는 실시예 4 ∼ 11, 비교예 2 에 대하여, 그 필름 표면을 금속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11a 에 실시예 4 의 상면 사진, 도 11b 에 실시예 8 의 상면 사진을 나타낸다.
실시예 1 ∼ 6, 9 ∼ 11 및 비교예 1 에서는, 도전 입자가 절연성 수지층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었다. 이 중 실시예 1 ∼ 6, 9 ∼ 11 에서는 그 도전 입자의 주위의 절연성 수지층 표면에 경사 (2b) 가 관찰되고, 그 주위의 표면 부분 (도 11a 의 점선의 외측 부분) 이 평탄한 것이 관찰되었다. 한편, 비교예 1 에서는 도전 입자의 주위에 경사는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8 에서는 도전 입자가 절연성 수지층에 완전히 매립되어 있고, 도전 입자가 절연성 수지층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지 않지만, 도전 입자의 바로 위의 절연성 수지층 표면에 기복 (2c) 이 관찰되고, 또, 그 주위의 표면 부분 (도 11b 의 점선의 외측 부분) 이 평탄한 것이 관찰되었다. 비교예 2 는 매립률이 100 % 보다 약간 크고, 도전 입자가 수지층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지 않지만, 수지층의 표면은 평탄하고, 도전 입자의 바로 위의 수지층 표면에도 기복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7 의 이방성 도전 필름은, 실시예 6 의 경사 (2b) 와 실시예 8 의 기복 (2c) 이 혼재한 예이다. 절연성 수지층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도전 입자의 주위의 절연성 수지층 표면에 경사 (2b) 가 관찰되고, 또, 그 주위의 표면 부분이 평탄한 것이 관찰되었다. 한편, 절연성 수지층에 완전히 매립된 도전 입자의 바로 위의 절연성 수지층 표면에 기복 (2c) 이 관찰되고, 그 주위의 표면 부분이 평탄한 것이 관찰되었다.
(3) 평가
(1) 에서 제작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이방성 도전 필름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하여 (a) 초기 도통 저항, (b) 도통 신뢰성, (c) 입자 포착성을 측정 내지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a) 초기 도통 저항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이방성 도전 필름을, 접속에 충분한 면적으로 재단하고, 도통 특성의 평가용 IC 와 유리 기판 사이에 끼우고, 가열 가압 (180 ℃, 60 ㎫, 5 초) 하여 각 평가용 접속물을 얻고, 얻어진 평가용 접속물의 도통 저항을 4 단자법으로 측정하였다. 초기 도통 저항은, 실용상 B 평가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A 평가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C 평가이더라도, 2 Ω 이하이면 실용상 문제는 없다.
여기서, 평가용 IC 와 유리 기판은, 그들의 단자 패턴이 대응하고 있고, 사이즈는 다음과 같다. 또, 평가용 IC 와 유리 기판을 접속할 때에는, 이방성 도전 필름의 길이 방향과 범프의 폭 방향을 맞추었다.
도통 특성의 평가용 IC
외형 1.8 × 20.0 ㎜
두께 0.5 ㎜
범프 사양 사이즈 30 × 85 ㎛, 범프간 거리 50 ㎛, 범프 높이 15 ㎛
유리 기판 (ITO 배선)
유리 재질 코닝사 제조 1737F
외형 30 × 50 ㎜
두께 0.5 ㎜
전극 ITO 배선
초기 도통 저항 평가 기준
A 0.3 Ω 이하
B 0.3 Ω 초과 1 Ω 미만
C 1 Ω 이상
(b) 도통 신뢰성
(a) 에서 제작한 평가용 접속물을, 온도 85 ℃, 습도 85 % RH 의 항온조에 500 시간 둔 후의 도통 저항을, 초기 도통 저항과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도통 신뢰성은, 실용상 B 평가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A 평가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C 평가이더라도, 6 Ω 이하이면 실용상 문제는 없다.
도통 신뢰성 평가 기준
A 2.5 Ω 이하
B 2.5 Ω 초과 5 Ω 미만
C 5 Ω 이상
(c) 입자 포착성
입자 포착성의 평가용 IC 를 사용하고, 이 평가용 IC 와, 단자 패턴이 대응하는 유리 기판 (ITO 배선) 을, 얼라인먼트를 6 ㎛ 어긋나게 하여 가열 가압 (180 ℃, 60 ㎫, 5 초) 하고, 평가용 IC 의 범프와 기판의 단자가 겹치는 6 ㎛ × 66.6 ㎛ 의 영역의 100 개에 대하여 도전 입자의 포착수를 계측하여, 최저 포착수를 구하고,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실용상, B 평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 포착성의 평가용 IC
외형 1.6 × 29.8 ㎜
두께 0.3 ㎜
범프 사양 사이즈 12 × 66.6 ㎛, 범프 피치 22 ㎛ (L/S = 12 ㎛/10 ㎛), 범프 높이 12 ㎛
입자 포착성 평가 기준
A 5 개 이상
B 3 개 이상 5 개 미만
C 3 개 미만
Figure pct00002
표 2 로부터, 도전 입자의 매립률이 60 ∼ 105 % 이고, 도전 입자가 절연성 수지층으로부터 노출되며, 또한 경사 (2b) 를 갖는 실시예 1 ∼ 7, 9 나, 도전 입자가 절연성 수지층에 완전히 매립되며, 또한 기복 (2c) 을 갖는 실시예 8 은, 초기 도통 저항 및 도통 신뢰성이 모두 A 평가이고, 입자 포착성의 평가도 양호하지만, 매립률이 이 범위에 있고 도전 입자가 절연성 수지층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어도 경사 (2b) 가 없는 비교예 1 과, 매립률이 대략 100 % 로 도전 입자가 절연성 수지층에 완전히 매립되고, 기복 (2c) 이 없는 비교예 2 는 입자 포착성이 C 평가이고, 접속시에 도전 입자를 유지할 수 없고, 파인 피치 접속에는 대응할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절연성 수지층 (2) 의 표면이 도전 입자 (1) 의 주위 또는 바로 위에서 평탄하면 이방성 도전 접속시에 도전 입자가 수지 유동의 영향을 받기 쉬워지고, 또한 도전 입자의 단자에 대한 압입이 부족한 것을 추찰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예 1 ∼ 7, 9 는 절연성 수지층의 최저 용융 점도가 2000 ㎩·s 이상, 60 ℃ 용융 점도가 3000 ㎩·s 이상이지만, 비교예 1, 2 는 최저 용융 점도가 1000 ㎩·s, 60 ℃ 용융 점도가 1500 ㎩·s 이고, 도전 입자의 압입 조건의 조정에 의해 압입시의 점도가 낮아졌기 때문에 경사 (2b), 기복 (2c) 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5 와 실시예 6, 9 로부터, 이방성 도전 필름을 도전 입자 분산층과 제 2 절연성 수지층의 2 층 타입으로 한 경우도, 도전 입자 분산층의 단층으로 한 경우도, 입자 포착성의 평가가 실용상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과 실시예 4, 5 로부터, 이방성 도전 필름을 도전 입자 분산층과 제 2 절연성 수지층의 2 층 타입으로 하는 경우에, 절연성 수지층의 도전 입자를 압입한 면에 제 2 절연성 수지층을 적층한 경우도, 그것과 반대측에 제 2 절연성 수지층을 적층한 경우도 입자 포착성의 평가가 실용상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 5 의 이방성 도전 필름의 도전 입자가 노출되어 있는 표면에 희석된 동일한 수지 조성물을 분무하고, 그 표면을 대략 평탄하게 한 것에 대하여, 동일한 평가를 한 결과, 대략 동등한 결과가 얻어졌다.
모든 실시예의 초기 도통을 측정한 평가물에 있어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085983호의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쇼트수의 측정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범프 사이 100 개에 있어서의 쇼트수를 확인한 결과, 쇼트되어 있는 것은 없었다. 또, 모든 실시예의 이방성 도전 필름에 대하여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085982호에 기재되어 있는 실시예의 쇼트 발생률의 측정 방법에 따라 쇼트 발생률을 구한 결과, 모두 50 ppm 미만이고 실용상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전 입자를 절연성 수지 중에 혼련하여 랜덤으로 분산시킨 이방성 도전 필름의 경우, 이것보다 큰 자릿수의 쇼트 발생률이 된다. 이것은 특허문헌 2 의 비교예 2 나, 특허문헌 3 의 비교예 2 등을 참조하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경사와 기복이 혼재하는 실시예 7 의 이방성 도전 필름은, 실시예 6, 8 과 동등한 결과가 얻어졌다. 이러한 점에서, 경사 또는 기복이 도전 입자의 근방에 존재함으로써, 그 효과가 발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6 ∼ 8 에서 동등한 효과가 얻어졌다는 것은,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 조건에 있어서 마진을 넓게 취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로써,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 비용의 저감화나 설계 변경의 신속화 등, 여러 가지 효과가 전망되고, 산업상의 메리트가 크다.
실험예 1 ∼ 4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작)
COG 접속에 사용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에 대하여, 절연성 수지층의 수지 조성이 필름 형성능과 도통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표 3 에 나타내는 배합으로 절연성 수지층과 제 2 절연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경우, 절연성 수지 조성물의 조제 조건에 의해 수지 조성물의 최저 용융 점도를 조정하였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절연성 수지층을 형성하고, 그 절연성 수지층에 도전 입자를 압입함으로써 도전 입자 분산층의 단층으로 이루어지는 이방성 도전 필름을 제작하고, 추가로 그 절연성 수지층의 도전 입자를 압입한 쪽에 제 2 절연성 수지층을 적층하여 표 4 에 나타내는 이방성 도전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경우, 도전 입자의 배치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것이다. 또, 도전 입자의 압입 조건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도전 입자는 표 4 에 나타내는 매립 상태가 되었다.
이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작 공정에 있어서, 절연성 수지층에 도전 입자를 압입한 후에 실험예 4 에서는 필름 형상이 유지되지 않았지만 (필름 형상 평가 : NG), 그 이외의 실험예에서는 필름 형상이 유지되었다 (필름 형상 평가 : OK). 그 때문에, 실험예 4 를 제외한 실험예의 이방성 도전 필름에 대하여 도전 입자의 매립 상태를 금속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계측하고, 추가로 이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예 4 를 제외한 각 실험예에서는 경사, 또는 경사와 기복의 쌍방이 관찰되었지만, 표 4 에는, 각 실험예마다 경사가 가장 명확하게 관찰된 것의 계측치를 나타냈다. 관찰된 매립 상태는 전술한 바람직한 범위를 만족하고 있었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평가)
(a) 초기 도통 저항 및 도통 신뢰성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초기 도통 저항과 도통 신뢰성을 각각 3 단계로 평가하였다. 이 경우의 평가 기준도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b) 입자 포착성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입자 포착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험예 1 ∼ 3 모두 B 평가 이상이었다.
(c) 쇼트 발생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쇼트 발생률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험예 1 ∼ 3 모두 50 ppm 미만이고 실용상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4 로부터 절연성 수지층의 최저 용융 점도가 대략 1000 ㎩·s 보다 낮으면, 도전 입자 근방의 절연성 수지층이 경사를 갖는 필름의 형성은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절연성 수지층의 최저 용융 점도가 1500 ㎩·s 이상이면, 도전 입자의 매립시의 조건의 조정에 의해 도전 입자 근방의 절연성 수지층의 표면에 경사를 형성할 수 있는 것, 이렇게 하여 얻어진 이방성 도전 필름은 COG 용으로 도통 특성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 8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작)
FOG 접속에 사용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에 대하여, 절연성 수지층의 수지 조성이 필름 형성능과 도통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표 5 에 나타내는 배합으로 절연성 수지층과 제 2 절연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경우, 도전 입자의 배치는 개수 밀도 15000 개/㎟ 의 육방 격자 배열로 하고, 그 격자축의 하나를 이방성 도전 필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15° 경사시켰다. 또, 절연성 수지 조성물의 조제 조건에 의해 수지 조성물의 최저 용융 점도를 조정하였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절연성 수지층을 형성하고, 그 절연성 수지층에 도전 입자를 압입함으로써 도전 입자 분산층의 단층으로 이루어지는 이방성 도전 필름을 제작하고, 추가로 그 절연성 수지층의 도전 입자를 압입한 쪽에 제 2 절연성 수지층을 적층하여 표 6 에 나타내는 이방성 도전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경우, 도전 입자의 압입 조건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도전 입자는 표 6 에 나타내는 매립 상태가 되었다.
이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작 공정에 있어서, 절연성 수지층에 도전 입자를 압입한 후에 실험예 8 에서는 필름 형상이 유지되지 않았지만 (필름 형상 평가 : NG), 그 이외의 실험예에서는 필름 형상이 유지되었다 (필름 형상 평가 : OK). 그 때문에, 실험예 8 을 제외한 실험예의 이방성 도전 필름에 대하여 도전 입자의 매립 상태를 금속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계측하고, 추가로 이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예 8 을 제외한 각 실험예에는 경사, 또는 경사와 기복의 쌍방이 관찰되었지만, 표 6 에는, 각 실험예마다 경사가 가장 명확하게 관찰된 것의 계측치를 나타냈다. 관찰된 매립 상태는 전술한 바람직한 범위를 만족하고 있었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평가)
(a) 초기 도통 저항 및 도통 신뢰성
다음과 같이 하여 (ⅰ) 초기 도통 저항과 (ⅱ) 도통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ⅰ) 초기 도통 저항
각 실험예에서 얻은 이방성 도전 필름을 접속에 충분한 면적으로 재단하고, 도통 특성의 평가용 FPC 와 논알칼리 유리 기판 사이에 끼우고, 열 압착 툴의 툴 폭 1.5 ㎜ 로 가열 가압 (180 ℃, 4.5 ㎫, 5 초) 하여, 각 평가용 접속물을 얻었다. 얻어진 평가용 접속물의 도통 저항을 4 단자법으로 측정하고, 그 측정치를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도통 특성의 평가용 FPC :
단자 피치 20 ㎛
단자 폭/단자간 스페이스 8.5 ㎛/11.5 ㎛
폴리이미드 필름 두께 (PI)/동박 두께 (Cu) = 38/8, Sn plating
논알칼리 유리 기판 :
전극 ITO 배선
두께 0.7 ㎜
초기 도통 저항의 평가 기준
OK : 2.0 Ω 미만
NG : 2.0 Ω 이상
(ⅱ) 도통 신뢰성
(ⅰ) 에서 제작한 평가용 접속물을, 온도 85 ℃, 습도 85 % RH 의 항온조에 500 시간 두고, 그 후의 도통 저항을 초기 도통 저항과 동일하게 측정하고, 그 측정치를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도통 신뢰성의 평가 기준
OK : 5.0 Ω 미만
NG : 5.0 Ω 이상
(b) 입자 포착성
(ⅰ) 에서 제작한 평가용 접속물의 단자 100 개에 대하여 도전 입자의 포착 수를 계측하고, 최저 포착수를 구하였다. 최저 포착수가 10 개 이상이면, 실용상 문제는 없다.
실험예 5 ∼ 7 모두 최저 포착수가 10 개 이상이었다.
(c) 쇼트 발생률
(ⅰ) 에서 제작한 평가용 접속물의 쇼트수를 계측하고, 계측된 쇼트수와 평가용 접속물의 갭수로부터 쇼트 발생률을 구하였다. 실험예 5 ∼ 7 모두 쇼트 발생률은 50 ppm 미만이고 실용상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6 으로부터 절연성 수지층의 최저 용융 점도가 대략 1000 ㎩·s 보다 낮으면, 도전 입자 근방의 절연성 수지층의 표면에 경사를 갖는 필름의 형성은 어려운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절연성 수지층의 최저 용융 점도가 1500 ㎩·s 이상이면, 도전 입자의 매립시의 조건의 조정에 의해 도전 입자 근방의 절연성 수지층의 표면에 경사를 형성할 수 있는 것, 이렇게 하여 얻어진 이방성 도전 필름은 FOG 용으로 도통 특성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1 : 필러, 도전 입자
1a : 필러의 정상부
2 : 수지층, 절연성 수지층
2a : 수지층의 표면
2b : 경사
2c : 기복
2f : 평탄한 표면 부분
2p : 접평면
2q : 돌출 부분
3 : 필러 분산층, 도전 입자 분산층
4 : 제 2 수지층, 제 2 절연성 수지층
10A, 10B, 10C, 10C', 10D, 10E, 10F, 10G, 10H, 10I : 필러 함유 필름, 실시예의 이방성 도전 필름
20 : 단자
A : 격자축
D : 도전 입자경, 필러의 입자경
La : 수지층의 층두께
Lb : 매립량 (인접하는 필러 사이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접평면으로부터의 필러의 최심부의 거리)
Lc : 노출 직경
Ld : 경사의 최대 직경
Le : 경사의 최대 깊이
Lf : 기복의 최대 깊이
θ : 단자의 길이 방향과 도전 입자의 배열의 격자축이 이루는 각도

Claims (25)

  1. 필러가 수지층에 분산되어 있는 필러 분산층을 갖는 필러 함유 필름으로서,
    필러 근방의 수지층의 표면이, 인접하는 필러 사이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수지층의 접평면에 대하여 경사 또는 기복을 갖고,
    그 경사에서는, 필러 주위의 수지층의 표면이 상기 접평면에 대하여 결손되어 있고,
    그 기복에서는, 필러 바로 위의 수지층의 수지량이, 그 필러 바로 위의 수지층의 표면이 상기 접평면에 있는 것으로 했을 때에 비하여 적고,
    필러의 입자경의 CV 값이 20 % 이하인 필러 함유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평면으로부터의 필러의 최심부의 거리 (Lb) 와 필러의 입자경 (D) 의 비 (Lb/D) 가 60 % 이상 105 % 이하인 필러 함유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필러가 수지층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필러 함유 필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필러가 수지층으로부터 노출되지 않고 수지층 내에 매립되어 있는 필러 함유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또는 기복의 상기 접평면으로부터의 깊이 (Le) 와 필러의 입자경 (D) 의 비 (Le/D) 가 50 % 미만인 필러 함유 필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또는 기복의 최대 직경 (Ld) 과 필러의 입자경 (D) 의 비 (Ld/D) 가 100 % 이상인 필러 함유 필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층의 층두께 (La) 와 필러의 입자경 (D) 의 비 (La/D) 가 0.6 ∼ 10 인 필러 함유 필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음 식으로 산출되는 필러의 면적 점유율
    면적 점유율 (%) = [평면시에 있어서의 필러의 개수 밀도] × [필러 1 개의 평면시 면적의 평균] × 100
    이 0.3 % 이상인 필러 함유 필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러가 서로 비접촉으로 배치되어 있는 필러 함유 필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근접 필러간 거리가 필러의 입자경의 0.5 배 이상인 필러 함유 필름.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러 분산층의 수지층의 경사 또는 기복이 형성되어 있는 표면과 반대측의 표면에, 제 2 수지층이 적층되어 있는 필러 함유 필름.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러 분산층의 수지층의 경사 또는 기복이 형성되어 있는 표면에, 제 2 수지층이 적층되어 있는 필러 함유 필름.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제 2 수지층의 최저 용융 점도가 필러 분산층의 수지층의 최저 용융 점도보다 낮은 필러 함유 필름.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러가 도전 입자이고, 필러 분산층의 수지층이 절연성 수지층이고, 이방성 도전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필러 함유 필름.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러 함유 필름이 물품에 첩착 (貼着) 되어 있는 필름 첩착체.
  16.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러 함유 필름을 개재하여 제 1 물품과 제 2 물품이 접속되어 있는 접속 구조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제 14 항에 기재된 필러 함유 필름을 개재하여 제 1 전자 부품과 제 2 전자 부품이 이방성 도전 접속되어 있는 접속 구조체.
  18.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러 함유 필름을 개재하여 제 1 물품과 제 2 물품을 압착하는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제 1 물품, 제 2 물품을 각각 제 1 전자 부품, 제 2 전자 부품으로 하고, 제 14 항에 기재된 필러 함유 필름을 개재하여 제 1 전자 부품과 제 2 전자 부품을 열 압착함으로써 제 1 전자 부품과 제 2 전자 부품이 이방성 도전 접속된 접속 구조체를 제조하는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20. 필러가 수지층에 분산되어 있는 필러 분산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필러 함유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필러 분산층을 형성하는 공정이, 입자경의 CV 값이 20 % 이하인 필러를 수지층 표면에 유지시키는 공정과,
    수지층 표면에 유지시킨 필러를 그 수지층에 압입하는 공정을 갖고,
    필러를 수지층 표면에 유지시키는 공정에서는, 수지층 표면에서 필러가 분산된 상태로 하고, 필러를 수지층에 압입하는 공정에서는, 필러 근방의 수지층의 표면이, 인접하는 필러 사이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수지층의 접평면에 대하여 경사 또는 기복을 갖고, 그 경사에서는 필러 주위의 수지층의 표면이 상기 접평면에 대하여 결손되고, 그 기복에서는 필러 바로 위의 수지층의 수지량이, 그 필러 바로 위의 수지층의 표면이 상기 접평면에 있는 것으로 했을 때에 비하여 적어지도록, 필러를 압입할 때의 수지층의 점도, 압입 속도 또는 온도를 조정하는 필러 함유 필름의 제조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필러를 수지층에 압입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접평면으로부터의 필러의 최심부의 거리 (Lb) 와 필러의 입자경 (D) 의 비율 (Lb/D) 이 60 % 이상 105 % 이하가 되도록 압입시의 압압력 (押壓力), 수지층의 점도, 압입 속도, 또는 온도를 조정하는 필러 함유 필름의 제조 방법.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필러를 수지층 표면에 유지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그 수지층 표면에 있어서의 다음 식으로 산출되는 필러의 면적 점유율
    면적 점유율 (%) = [평면시에 있어서의 필러의 개수 밀도] × [필러 1 개의 평면시 면적의 평균] × 100
    을 0.3 % 이상으로 하는 필러 함유 필름의 제조 방법.
  23. 제 20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러를 수지층 표면에 유지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수지층의 표면에 필러를 소정의 배열로 유지시키고,
    필러를 수지층에 압입하는 공정에 있어서, 필러를 평판 또는 롤러로 수지층에 압입하는 필러 함유 필름의 제조 방법.
  24. 제 20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러를 수지층 표면에 유지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전사형에 필러를 충전하고, 그 필러를 수지층에 전사함으로써 수지층의 표면에 필러를 소정의 배치로 유지시키는 필러 함유 필름의 제조 방법.
  25. 제 20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러로서 도전 입자를 사용하고, 필러 분산층의 수지층으로서 절연성 수지층을 사용하고, 필러 함유 필름으로서 이방성 도전 필름을 제조하는 필러 함유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97006228A 2016-10-18 2017-10-12 필러 함유 필름 KR102478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42083A KR20210158875A (ko) 2016-10-18 2017-10-12 필러 함유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04750 2016-10-18
JP2016204750A JP6187665B1 (ja) 2016-10-18 2016-10-18 異方性導電フィルム
JP2017084915 2017-04-23
JPJP-P-2017-084915 2017-04-23
JP2017158303 2017-08-20
JPJP-P-2017-158303 2017-08-20
JPJP-P-2017-166276 2017-08-30
JP2017166276A JP7087305B2 (ja) 2017-04-23 2017-08-30 フィラー含有フィルム
PCT/JP2017/036993 WO2018074318A1 (ja) 2016-10-18 2017-10-12 フィラー含有フィル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2083A Division KR20210158875A (ko) 2016-10-18 2017-10-12 필러 함유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603A true KR20190038603A (ko) 2019-04-08
KR102478199B1 KR102478199B1 (ko) 2022-12-15

Family

ID=66164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228A KR102478199B1 (ko) 2016-10-18 2017-10-12 필러 함유 필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299474A1 (ko)
KR (1) KR102478199B1 (ko)
CN (1) CN1098040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30768B2 (ja) 2018-06-06 2023-08-22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接続体の製造方法、接続方法
US20210229222A1 (en) * 2018-06-26 2021-07-29 Showa Denko Materials Co., Ltd. Solder particles and method for producing solder particles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8632A (ja) * 1994-05-17 1995-11-28 Sumitomo Metal Ind Ltd 潤滑性に優れた金属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126516A (ja) * 1997-10-21 1999-05-11 Sekisui Finechem Co Ltd 異方性導電接着剤及び導電接続構造体
JP2003064324A (ja) 2001-06-11 2003-03-05 Hitachi Chem Co Ltd 異方導電性接着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回路基板の接続方法、回路基板接続体
JP2006015680A (ja) 2004-07-05 2006-01-19 Oike Ind Co Ltd 艶消しフィルム
KR20110137158A (ko) * 2010-06-16 2011-12-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도성 입자 수용홈이 형성된 이방 도전성 필름, 전도성 입자 수용홈이 형성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한 플립 칩 접합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립 칩 패키지
JP2013103368A (ja) 2011-11-11 2013-05-30 Sekisui Chem Co Ltd 多層フィルム
JP2014060151A (ja) 2012-08-24 2014-04-03 Dexerials Corp 異方性導電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異方性導電フィルム
JP2014060150A (ja) 2012-08-24 2014-04-03 Dexerials Corp 異方性導電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83266A (ja) 2013-03-21 2014-09-29 Hitachi Chemical Co Ltd 回路部材の接続方法
JP2015138904A (ja) 2014-01-23 2015-07-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高誘電率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
JP2016103476A (ja) * 2014-11-17 2016-06-02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異方性導電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953B1 (ko) * 2008-04-17 2014-03-07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접착재 테이프 및 접착재 테이프 권중체
JP6273875B2 (ja) * 2014-02-04 2018-02-07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異方性導電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8632A (ja) * 1994-05-17 1995-11-28 Sumitomo Metal Ind Ltd 潤滑性に優れた金属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126516A (ja) * 1997-10-21 1999-05-11 Sekisui Finechem Co Ltd 異方性導電接着剤及び導電接続構造体
JP2003064324A (ja) 2001-06-11 2003-03-05 Hitachi Chem Co Ltd 異方導電性接着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回路基板の接続方法、回路基板接続体
JP2006015680A (ja) 2004-07-05 2006-01-19 Oike Ind Co Ltd 艶消しフィルム
KR20110137158A (ko) * 2010-06-16 2011-12-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도성 입자 수용홈이 형성된 이방 도전성 필름, 전도성 입자 수용홈이 형성된 에폭시 수지를 사용한 플립 칩 접합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립 칩 패키지
JP2013103368A (ja) 2011-11-11 2013-05-30 Sekisui Chem Co Ltd 多層フィルム
JP2014060151A (ja) 2012-08-24 2014-04-03 Dexerials Corp 異方性導電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異方性導電フィルム
JP2014060150A (ja) 2012-08-24 2014-04-03 Dexerials Corp 異方性導電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48670A (ko) * 2012-08-24 2015-05-07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이방성 도전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4183266A (ja) 2013-03-21 2014-09-29 Hitachi Chemical Co Ltd 回路部材の接続方法
JP2015138904A (ja) 2014-01-23 2015-07-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高誘電率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
JP2016103476A (ja) * 2014-11-17 2016-06-02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異方性導電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99474A1 (en) 2020-09-24
CN109804002A (zh) 2019-05-24
KR102478199B1 (ko) 2022-12-15
CN109804002B (zh)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52254B2 (ja) フィラー含有フィルム
JP6187665B1 (ja) 異方性導電フィルム
KR102524169B1 (ko) 필러 함유 필름
KR102240767B1 (ko) 이방성 도전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80064503A (ko) 이방성 도전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접속 구조체
KR20170135963A (ko) 이방성 도전 필름 및 접속 구조체
KR102652055B1 (ko) 필러 함유 필름
CN109964371B (zh) 各向异性导电膜
JP7087305B2 (ja) フィラー含有フィルム
JP7081097B2 (ja) フィラー含有フィルム
KR102250339B1 (ko) 이방성 도전 필름
CN109843992B (zh) 含填料膜
WO2018101106A1 (ja) 異方性導電フィルム
KR20190038603A (ko) 필러 함유 필름
JP7352114B2 (ja) フィラー含有フィルム
CN112740483A (zh) 各向异性导电薄膜、连接结构体、连接结构体的制备方法
JP7319578B2 (ja) フィラー含有フィルム
TWI835252B (zh) 含填料膜
CN113078486B (zh) 各向异性导电膜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324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1222

Effective date: 20220902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