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845A -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845A
KR20190035845A KR1020197006288A KR20197006288A KR20190035845A KR 20190035845 A KR20190035845 A KR 20190035845A KR 1020197006288 A KR1020197006288 A KR 1020197006288A KR 20197006288 A KR20197006288 A KR 20197006288A KR 20190035845 A KR20190035845 A KR 20190035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base material
glass substrate
glass base
tabl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6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4537B1 (ko
Inventor
하야토 오쿠
코이치 키타지마
히로유키 나카츠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5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7Sheet handling, means, e.g. manipulators, devices for turning or tilting sheet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2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 B65G51/03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over a flat surface or in troug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8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grippers, e.g. suction grip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유리 기재(基材)의 자세를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효율적으로 변경하여, 효율적으로 유리판을 제조한다. 제1 반송 장치(10)에 의해, 유리 기재(G)를 척부(11)에 의해 세로 방향의 자세로 파지(把持)하면서 반송하는 공정(STEP-1)과, 유리 기재(G)를 배치하는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반전 가능한 테이블부(21)를 가지는 반전대(20)에, 테이블부(21)를 세로 방향의 자세로 한 상태에서, 유리 기재(G)를 제1 반송 장치(10)로부터 테이블부(21)로 이재(移載)하고, 테이블부(21)를 가로 방향으로 반전시켜, 유리 기재(G)의 자세를 가로 방향으로 변경하는 공정(STEP-2)과, 가로 방향의 자세인 유리 기재(G)를, 반전대(反轉臺)(20)로부터 제2 반송 장치(30)로 이재하는 공정(STEP-4)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 제조 장치
[0001] 본 발명은,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 제조 장치의 기술에 관련된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유리판의 자세를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효율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0002] 종래에, 유리판의 제조에 있어서는,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유리 기재(基材)를 세로 방향의 자세로 팰릿 상에 적층시켜 두고, 이후, 팰릿으로부터 1매씩 유리 기재를 꺼내, 원하는 사이즈로 절단하여 유리판을 제조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0003] 1. 국제 공개 제2014/119458호
[0004] 이러한 방법으로 원하는 사이즈의 유리판을 제조하는 경우, 유리판을 잘라내기 위한 유리 기재를, 세로 방향의 자세로부터 가로 방향의 자세로 변경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유리 기재의 자세를 효율적으로 반전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0005] 본 발명은, 이러한 현 상태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리 기재의 자세를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효율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0006]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으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0007] 즉,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은, 제1 반송 장치에 의해, 유리 기재를 세로 방향의 자세로 유지하면서 반송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 후에,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반전 가능한 테이블부를 가지는 반전대(反轉臺)에, 상기 테이블부를 세로 방향의 자세로 한 상태에서, 상기 유리 기재를 상기 제1 반송 장치로부터 상기 테이블부로 이재(移載)하고, 상기 테이블부를 가로 방향으로 반전시켜, 상기 유리 기재의 자세를 가로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 후에, 가로 방향의 자세인 상기 유리 기재를, 상기 반전대로부터 제2 반송 장치로 이재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 후에, 상기 제2 반송 장치에 의해, 가로 방향의 자세인 상기 유리 기재를 반송하는 제4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리 기재의 자세를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효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유리판을 제조할 수 있다.
[0008]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유리 기재의 제품 정보에 따라, 상기 유리 기재의 폭 방향에 대한 상기 테이블부의 배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하는 사이즈의 유리판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절단 공정으로 보내는 유리 기재를 양호한 정밀도로 위치결정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유리 기재를 가로 방향의 자세로 반전시킨 단계에서, 작업원에 의해 위치결정을 행하였기 때문에, 유리판의 위치결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유리 기재를 양호한 정밀도로 위치결정할 수 있다.
[0009]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부는, 해당 테이블부에 배치된 상기 유리 기재의 위치를 검출하는 유리 기재 검출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유리 기재 검출 장치에 의해, 해당 테이블부에 있어서의 상기 유리 기재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에 따라 상기 테이블부의 배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리 기재를 보다 양호한 정밀도로 위치결정할 수 있다.
[001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부는, 상기 유리 기재를 흡착하면서 반송하는 제1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유리 기재를 상기 제2 반송 장치로 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3 단계에서, 테이블부로부터 제2 반송 장치로 효율적으로 이재할 수 있어, 유리판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0011]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부는, 상기 유리 기재를 부상(浮上)시키는 에어 부상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에어 부상부에 의해, 상기 유리 기재를 상기 테이블부로부터 부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3 단계에서, 테이블부로부터 제2 반송 장치로 효율적으로 이재할 수 있어, 유리판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0012]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부는,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테이블부를 가로 방향의 자세로 하였을 때 에어 배관이 접속되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에어 배관으로부터 상기 에어 부상부에 에어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3 단계에서, 에어 부상부에 에어가 확실히 공급되어, 테이블부로부터 제2 반송 장치로 효율적으로 이재할 수 있어, 유리판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0013]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테이블부는, 상기 테이블부 상의 상기 유리 기재를 검출하는 센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유리 기재를 검출한 때보다 나중이면서, 상기 테이블부에 상기 유리 기재의 전체면(全面)이 부합될 때보다 전에, 상기 테이블부의 반전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2 단계에서, 테이블부를 조기에 반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리 기재의 자세를 효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유리판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0014]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유리 기재의 판 두께가 두꺼울수록, 상기 테이블부의 반전을 빠른 타이밍에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2 단계에서, 테이블부를 보다 조기에 반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리 기재의 자세를 효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유리판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0015]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2 단계에서, 서보 모터에 의해, 상기 테이블부를, 상기 유리 기재의 폭 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테이블부의 상기 유리 기재의 폭 방향에 대한 배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리 기재를 반전시킨 후의 단계에서, 유리 기재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유리판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0016]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송 장치는, 상기 유리 기재를 흡착하면서 반송하는 제2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제2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유리 기재를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4 단계에서, 유리 기재를 효율적으로 반송할 수 있어, 유리판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0017]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재는, 상기 제1 단계부터 상기 제4 단계의 동안에, 반송면에 시트상(狀) 완충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리 기재를 손상시키지 않고, 효율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0018]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유리 기재를 2군데(個所)에 배치하고, 상기 제1 반송 장치에 의해, 상기 반전대를 향해, 2군데로부터 상기 유리 기재를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리판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0019]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 제조 장치는, 유리 기재를 세로 방향의 자세로 파지(把持)하면서 반송하는 제1 반송 장치와,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반전 가능한 테이블부를 가지며, 상기 테이블부에 배치한 상기 유리 기재의 자세를 반전시키는 반전대와, 컨베이어를 가지며, 상기 반전대에 의해 자세가 가로 방향으로 변경된 상기 유리 기재를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하는 제2 반송 장치를 구비하는 유리판 제조 장치로서, 상기 테이블부는, 축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블부를 상기 축부 둘레로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테이블부를 상기 축부의 축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변위부와, 상기 구동부와 상기 변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리 기재의 자세를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효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유리판을 제조할 수 있다.
[002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 제조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테이블부를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반전시키는 동안에, 상기 변위부에 의해, 상기 테이블부의 상기 축부의 축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테이블부를 조기에 반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리 기재의 자세를 효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유리판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0021] 본 발명의 효과로서,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0022]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 제조 장치에 의하면, 유리 기재의 자세를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효율적으로 변경하여, 유리판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0023]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제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斜視)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제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제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제조 장치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상황(STEP-1)을 나타낸 평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제조 장치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상황(STEP-1)을 나타낸 측면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제조 장치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상황(STEP-2)을 나타낸 평면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제조 장치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상황(STEP-2)을 나타낸 정면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제조 장치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상황(STEP-1∼STEP-3)을 나타낸 측면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제조 장치에 의한 유리판의 제조 상황(STEP-3∼STEP-4)을 나타낸 평면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제조 장치를 나타낸 평면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제조 장치를 나타낸 평면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제조 장치를 구성하는 유리 기재 검출 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0024] 다음으로는,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제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유리판 제조 장치의 주위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는 X·Y·Z축으로 이루어진 3 차원 좌표계를 규정하고 있다. 또한, X축 방향과 Y축 방향은 수평이며, Z축 방향은 연직이다.
[0025]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제조 장치(1)는, 유리 기재(G)로부터 유리판(도시 생략)을 제조하기 위해, 절단 공정(도시 생략)의 상류부에서, 유리 기재(G)의 자세를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변경하는 동시에, 상기 절단 공정으로 유리 기재(G)를 반송하는 장치이며, 제1 반송 장치(10), 반전대(20), 제2 반송 장치(30)를 구비하고 있다.
[0026] 유리판 제조 장치(1)에 의해 취급되는 유리 기재(G)는, 다운드로법이나 플로트법에 의해 연속 성형된 유리 리본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상기 절단 공정에 대비하여 준비된 유리판이다. 유리 기재(G)에는, 해당 유리 기재(G)의 반송면을 보호하기 위한 완충 시트(S)가 배치되어 있으며, 유리판 제조 장치(1)에 있어서는, 완충 시트(S)가 배치된 상태인 채로 반송된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는, 완충 시트(S)가 배치되어 있는 유리 기재(G)에 대해, 완충 시트(S)의 기재 및 도시를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0027] 그리고, 유리 기재(G)는, 팰릿(40)에 형성된 경사면(41)에 기대어 세우도록 하여, 세로 방향의 자세로 적층하여 준비되어 있다.
또한, 본 설명에서 말하는 「세로 방향의 자세」에는, 유리 기재(G)의 상단부가 관념(觀念; 인식)될 수 있는 상태에 있고, 해당 상단부를 파지할 수 있는 자세를 넓게 포함하고 있으며, 연직 방향으로부터 경사져 있는 자세인 「대략 세로 방향의 자세」가 포함된다.
[0028] 여기서, 제1 반송 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반송 장치(10)는, 팰릿(40)에 있어서 세로 방향의 자세로 적층되어 있는 유리 기재(G)를, 세로 방향의 자세인 채로 반전대(20)까지 반송하기 위한 장치이며,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척부(11·11)와, 변위부(12)를 구비하고 있다.
[0029] 척부(11)는, 유리 기재(G)를 파지하기 위한 부위이며, 변위부(12)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설치(突設)되어 있고, 척부(11)의 하방에 위치하는 세로 방향의 유리 기재(G)의 상단부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0030] 변위부(12)는, 척부(11·11)를 지지하는 부위이며, 트레버스 장치나 로봇 아암 등의 도시되지 않은 변위 장치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X·Y·Z의 각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0031] 그리고, 제1 반송 장치(10)는, 팰릿(40) 상에 적층되어 있는 유리 기재(G)를, 반전대(20)까지 반송하고, 척부(11·11)에 의한 파지를 멈춤으로써, 세로 방향의 자세인 채로 반전대(20)에 이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팰릿(40) 상에 적층되어 있는 유리 기재(G)를 척부(11·11)로 파지시킬 때에는, 작업원이 개입하여, 척부(11)와 유리 기재(G)의 상대 위치를 미세조정해도 된다.
[0032] 여기서, 반전대(20)에 대해, 설명한다.
반전대(20)는, 세로 방향의 자세인 유리 기재(G)를 가로 방향의 자세로 반전시키는 동시에, 자세를 변경한 유리 기재(G)를 제2 반송 장치(30)로 이재하기 위한 장치이며, 테이블부(21), 축부(22), 축 지지부(23), 축 변위부(24) 등을 구비하고 있다.
[0033] 테이블부(21)는, 유리 기재(G)의 자세를 반전시킬 때, 해당 유리 기재(G)를 부합시키기 위한 면(面)인 배치면(25)이 형성되어 있는 테이블 형상의 부위이다. 또한, 테이블부(21)는, 축부(22)에 의해, 해당 축부(22)의 축심(軸心) 둘레로 회동(回動)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0034] 축부(22)는, 테이블부(21)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축 형상의 부위이며, 그 축심 방향이 X축 방향에 대해 평행이 되도록 축 지지부(23)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테이블부(21)가, 축부(22)의 축심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0035] 축 지지부(23)는, 축부(22)의 양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위이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22)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M1)를 구비하고 있다.
[0036]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 변위부(24)는, 축 지지부(23)를 X축 방향을 향해 변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부위이며, 축 지지부(23)(나아가서는, 축부(22) 및 테이블부(21))가, X축 방향을 향해 변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축 변위부(2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 지지부(23)를 X축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서보 모터(M2)를 구비하고 있다.
[0037] 반전대(20)에는, 배치면(25) 상으로 유리 기재(G)를 부상(浮上)시키기 위한 에어 부상부가 되는 복수의 에어 분출 구멍(26·26…)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에어 분출 구멍(26·26…)에는, 도시되지 않은 에어 공급원이 접속되어 있으며, 에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한 에어를, 복수의 에어 분출 구멍(26·26…)으로부터 분출시킴으로써, 유리 기재(G)를 배치면(25)으로부터 부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0038] 또한, 반전대(20)에는, 배치면(25)에 배치된 유리 기재(G)를 반송하기 위한 제1 컨베이어(27·27)가 구비되어 있다.
제1 컨베이어(27)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 등의 구동원에 의해 둘레 방향(周方向)으로 회전 구동되는 이음매 없는 벨트(endless belt)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음매 없는 벨트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흡인 구멍(28·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흡인 구멍(28)에는, 도시되지 않은 진공 펌프 등의 흡인 수단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흡인 수단에 의해 흡인 구멍(28)으로부터 에어를 흡인함으로써, 해당 흡인 구멍(28)에 접한 유리 기재(G)를 흡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0039] 그리고, 제1 컨베이어(27)는, 흡인 구멍(28·28…)에 의해, 배치면(25)에 배치된 유리 기재(G)를 흡착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유리 기재(G)를 흡착한 상태로 이음매 없는 벨트를 회동시킴으로써, Y축 방향(이음매 없는 벨트의 회동 방향)을 향해 유리 기재(G)를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0040] 또한, 세로 방향의 자세인 반전대(20)의 배치면(25)에 이재된 유리 기재(G)는, 폭 방향이 X축 방향을 향하고 있다. 또한, 반전대(20)를 가로 방향의 자세로 하였을 때에는, 배치면(25) 상의 유리 기재(G)는, 폭 방향이 X축 방향을 향하고 있고, 길이 방향이 Y축 방향을 향하고 있고, 두께 방향이 Z축 방향을 향하고 있다.
[0041] 반전대(20)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면(25)에 유리 기재(G)가 배치되었음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29)가 구비되어 있다.
[0042] 또한, 반전대(2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어 장치(50)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50)는, 반전대(20)를 구성하는 축 지지부(23)와 축 변위부(24)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며, 축 지지부(23)와 축 변위부(24)와 센서(29)가, 제어 장치(50)에 접속되어 있다. 센서(29)는, 배치면(25)에 유리 기재(G)가 배치되었음을 검출하고, 그러한 취지의 신호를 제어 장치(50)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0043] 반전대(20)에서는, 센서(29)에 의해, 배치면(25)에 유리 기재(G)가 배치되었음을 검출하면, 그러한 취지의 신호가 제어 장치(50)에 입력되고, 그 신호를 트리거로 하여, 제어 장치(50)에 의해, 축 지지부(23)와 축 변위부(24)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0044] 반전대(20)는, 축 지지부(23)에 구비된 모터(M1)로 축부(22)를 회전시킴으로써 테이블부(21)가 회동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며, 제어 장치(50)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테이블부(21)의 자세를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M1)로 축부(22)를 회전시켜, 테이블부(21)를 회동시키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예컨대,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테이블부(21)에 접속된 상기 액추에이터의 신장 및 수축에 의해, 테이블부(21)를 축부(22) 둘레로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되며, 본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0045] 축 변위부(24)는, 축 변위부(24)에 구비된 서보 모터(M2)와 직동(直動) 가이드(도시 생략)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제어 장치(50)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서보 모터(M2)를 작동시킴으로써, 축 지지부(23)를 X축 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반전대(20)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축 변위부(24)에 의해, 테이블부(21)를 고정밀도로 위치결정하면서, X축 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어, X축 방향에 대한 유리 기재(G)의 배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0046] 또한, 반전대(20)는, 유리 기재(G)의 제품 정보(유리 기재(G)의 사이즈나 결함 위치)에 따라, 유리 기재(G)의 배치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0047] 또한, 반전대(20)는, 축 지지부(23)에 의해 축부(22)를 회동시키고 있는 동안에, 축 변위부(24)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세로 방향의 자세로 테이블부(21)에 부합시켜 배치한 유리 기재(G)를, 테이블부(21)에서 반전시켜 가로 방향의 자세로 변경하는 동시에, X축 방향의 배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0048] 여기서, 제2 반송 장치(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반송 장치(30)는, 반전대(20)에 의해 가로 방향의 자세로 반전된 유리 기재(G)를, 후(後)공정(본 실시형태에서는 절단 공정)을 향해 Y축 방향으로 반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장치이며, 제2 컨베이어(31), 챔버(32)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컨베이어(31)는, 이음매 없는 반송 벨트(33)와 풀리(34)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반송 벨트(33)의 표면에는, 복수의 관통구멍(35·3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 벨트(33)의 이면측(裏側)의 복수의 관통구멍(35·35)에 대응하는 위치에 챔버(3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풀리(34)를 1개만 도시하고 있지만, 반송 벨트(33)는, 복수(적어도 한 쌍)의 풀리(34·34) 사이에 감겨진다.
[0049] 제2 반송 장치(30)는, 반송 벨트(33)의 상면(上面)이 수평이 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으며, 챔버(32)의 내부를 도시되지 않은 배기 설비에 의해 배기함으로써, 관통구멍(35·35…)에 접한 완충 시트(S)를 흡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반송 장치(30)에서는, 챔버(32)에 에어를 급기(給氣)함으로써, 관통구멍(35·35…)으로부터 에어를 분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반송 벨트(33) 상의 완충 시트(S) 및 유리 기재(G)를 부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제2 반송 장치(30)는, 챔버(32)로의 배기와 급기를, 작업의 상황에 따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0050] 반송 벨트(33)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 등의 구동원에 의해 풀리(34)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둘레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반송 장치(30)는, 반송 벨트(33)의 상면에 재치(載置)된 완충 시트(S)(및 유리 기재(G))를 흡착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완충 시트(S)를 흡착한 상태로 반송 벨트(33)를 회동시켜, 유리 기재(G)를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0051] 다음으로, 유리판 제조 장치(1)를 이용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판 제조 장치(1)를 이용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우선, 팰릿(40)에 있어서 세로 방향의 자세로 적층되어 있는 유리 기재(G) 1매를 척부(11)로 파지하여, 제1 반송 장치(10)에 의해, 반전대(20)의 소정의 위치까지 반송하고, 세로 방향의 자세로 한 반전대(20)에 대해, 제1 반송 장치(10)로부터 유리 기재(G)를 이재한다(STEP-1).
[0052] 이때의 반전대(20)의 유리 기재(G)가 반송되는 「소정의 위치」는, 항상 동일한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테이블부(21)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를 「소정의 위치」로 하고, 유리 기재(G)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를, 「소정의 위치」에 일치시키도록 반송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053] 반전대(20)로 이재된 유리 기재(G)는, 제1 컨베이어(27·27)에 의해 배치면(25)에 흡착하여 유지되고, 세로 방향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배치면(25)에 배치된다.
[0054]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STEP-1)에 있어서, 제1 반송 장치(10)로부터 반전대(20)로 유리 기재(G)가 이재될 때, 배치면(25)에 대한 유리 기재(G)의 접지 면적이 서서히 증가되어 간다. 유리판 제조 장치(1)를 이용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유리 기재(G)의 대략 하측 절반의 부위가 배치면(25)에 접지되었을 때, 센서(29)에 의해, 유리 기재(G)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센서(29)의 배치 위치는 예시이며, 센서(29)에 의해 유리 기재(G)의 어느 부위를 검출할지에 대해서는, 유리 기재(G)의 사양 등에 따라, 최적의 위치를 적절히 선택한다.
[0055] 이와 같이 유리판 제조 장치(1)를 이용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센서(29)에 의해 유리 기재(G)를 검출한 후, 약간 시간이 경과하고 나서, 유리 기재(G)(보다 자세하게는, 유리 기재(G)에 배치된 완충 시트(S))의 전체면이 배치면(25)에 접하게 된다.
유리판 제조 장치(1)를 이용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센서(29)가 유리 기재(G)를 검출하고 나서 유리 기재(G)의 전체면이 배치면(25)에 접하기까지의 시간을 고려하여, 센서(29)에 의해 유리 기재(G)를 검출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이면서, 유리 기재(G)가 배치면(25)에 대해 전면적으로 접하기 전에, 테이블부(21)의 회동을 개시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0056] 이때의 「소정의 시간」은, 유리 기재(G)의 두께에 따라 변경하도록 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유리 기재(G)의 두께가 클수록, 「소정의 시간」을 짧게 하여, 센서(29)에 의해 유리 기재(G)를 검출한 후의 보다 빠른 타이밍에, 테이블부(21)의 반전을 개시하도록 하고 있다.
[0057]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리 기재(G)가, 배치면(25)에 대해 전면적으로 접하기 전에, 테이블부(21)의 회동을 시작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유리 기재(G)를 반전시키는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0058] 즉,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테이블부(21)는, 테이블부(21) 상의 유리 기재(G)를 검출하는 센서(29)를 가지고 있으며, (STEP-2)에 있어서, 센서(29)에 의해 유리 기재(G)를 검출한 때보다 나중이면서, 테이블부(21)에 유리 기재(G)의 전체면이 부합될 때보다 전에, 테이블부(21)의 반전을 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STEP-2)에 있어서, 테이블부(21)를 조기에 반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리 기재(G)의 자세를 효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유리판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0059]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은, (STEP-2)에 있어서, 유리 기재(G)의 두께가 클수록, 테이블부(21)의 반전을 빠른 타이밍으로 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STEP-2)에 있어서, 테이블부(21)를 보다 조기에 반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리 기재(G)의 자세를 효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유리판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0060] 다음으로, 유리판 제조 장치(1)를 이용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도 4 및 도 7∼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블부(21)가 반전된다(STEP-2).
구체적으로는, 센서(29)(도 3 참조)에 의한 배치면(25)에 있어서의 유리 기재(G)의 검출을 트리거로 하여, 축 지지부(23)에 의해 축부(22)를 회전시켜, 테이블부(21)를 「세로 방향의 자세」로부터 「가로 방향의 자세」로 회동시킴으로써, 유리 기재(G)를 「세로 방향의 자세」로부터 「가로 방향의 자세」로 반전시킨다.
[0061] 유리판 제조 장치(1)를 이용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센서(29)에 의해, 배치면(25)에 유리 기재(G)가 배치되었음을 검출하면, 제어 장치(50)로부터의 명령에 근거하여, 소정의 시간 후에, 축 지지부(23)에 의해, 축부(22)를 회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0062] 제어 장치(50)에는, 유리 기재(G)의 판 두께에 관련된 정보가 입력되어 있으며, 유리 기재(G)의 판 두께에 따라 상기 「소정의 시간」을 변경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리판 제조 장치(1)를 이용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유리 기재(G)의 판 두께가 얇을수록, 「소정의 시간」을 길게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0063] 또한, 유리판 제조 장치(1)를 이용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STEP-2)의 동안(즉, 유리 기재(G)를 세로 방향의 자세로부터 가로 방향의 자세로 반전시키는 동안)에, 축 변위부(24)에 의해, 테이블부(21)를 변위시켜, 배치면(25)에 배치된 유리 기재(G)의 X축 방향에 대한 배치 위치를 조정한다.
[0064] 예컨대, 팰릿(40)에 적층되어 있는 유리 기재(G)가 결함부(도시 생략)를 가지고 있고, 그 결함부의 위치를 이미 알고 있는 경우, 결함부에 걸리지 않는 부분부터 유리판을 잘라내기 위해서는, 결함부의 위치를 고려하여, 유리 기재(G)의 배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0065] 유리판 제조 장치(1)를 이용한 유리 기재(G)의 제조 방법에서는, 결함부에 걸리지 않는 부분부터 유리판을 잘라내도록, 유리 기재(G)의 제품 정보를 제어 장치(50)에 입력하고, 유리 기재(G)의 제품 정보에 따라, 유리 기재(G)의 X축 방향에 대한 배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0066] 또한, 유리 기재(G)의 제품 정보로서는, 로트 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며, 로트마다 결함 위치를 미리 조사해 두고, 로트마다 배치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0067] 유리판 제조 장치(1)를 이용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테이블부(21)를 회동시키는 동안에, 테이블부(21)의 X축 방향으로의 위치 조정이 완료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유리 기재(G)의 배치 조정으로 인해, 유리 기재(G)의 자세 반전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지연될 일이 없고, 또한, 작업자에 의해, 유리 기재(G)의 배치를 조정할 필요도 없다.
[0068] 즉,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은, 척부(11·11)를 가지는 제1 반송 장치(10)에 의해, 유리 기재(G)를, 척부(11·11)에 의해 세로 방향의 자세로 파지하면서 반송하는 제1 단계인 (STEP-1)과, (STEP-1)의 다음에, 유리 기재(G)를 배치하는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반전 가능한 테이블부(21)를 가지는 반전대(20)에, 테이블부(21)를 세로 방향의 자세로 한 상태에서, 유리 기재(G)를 제1 반송 장치(10)로부터 테이블부(21)로 이재하고, 테이블부(21)를 가로 방향으로 반전시켜, 유리 기재(G)의 자세를 가로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2 단계인 (STEP-2)와, (STEP-2)의 다음에, 가로 방향의 자세인 유리 기재(G)를, 반전대(20)로부터 제2 반송 장치(30)로 이재하는 제3 단계인 (STEP-3)와, (STEP-3)의 다음에, 제2 반송 장치(30)에 의해, 가로 방향의 자세인 유리 기재(G)를 반송하는 제4 단계인 (STEP-4)를 구비하고 있다.
[0069]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제조 장치(1)는, 척부(11·11)를 가지며, 해당 척부(11·11)에 의해 유리 기재(G)를 세로 방향의 자세로 파지하면서 반송하는 제1 반송 장치(10)와,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반전 가능한 테이블부(21)를 가지며, 테이블부(21)에 배치한 유리 기재(G)의 자세를 반전시키는 반전대(20)와, 제2 컨베이어(31)를 가지며, 반전대(20)에 의해 자세가 가로 방향으로 변경된 유리 기재(G)를 제2 컨베이어(31)에 의해 반송하는 제2 반송 장치(30)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테이블부(21)는, 축부(2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테이블부(21)를 축부(22) 둘레로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인 축 지지부(23)와, 테이블부(21)를 축부(22)의 축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변위부인 축 변위부(24)와, 축 지지부(23)와 축 변위부(24)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50)를 구비하는 것이다.
[0070] 이와 같이 구성된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 제조 장치(1)에 의하면, 유리 기재(G)의 자세를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효율적으로 변경하여, 유리판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0071]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은, (STEP-2)에 있어서, 유리 기재(G)의 제품 정보에 따라, 유리 기재(G)의 폭 방향(X축 방향)에 대한 테이블부(21)의 배치를 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유리 기재(G)를 양호한 정밀도로 위치결정할 수 있다.
[0072]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은, (STEP-2)에 있어서, 서보 모터(M2)에 의해, 테이블부(21)를, 유리 기재(G)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구동하여, 테이블부(21)의 유리 기재(G)의 폭 방향에 대한 배치를 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리 기재(G)를 반전시킨 후의 공정에서, 유리 기재(G)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유리판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0073] 나아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제조 장치(1)를 구성하는 제어 장치(50)는, 축 지지부(23)에 의해, 테이블부(21)를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반전시키는 동안에, 축 변위부(24)에 의해, 테이블부(21)의 축부(22)의 축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테이블부를 조기에 반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리 기재(G)의 자세를 효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어, 유리판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0074] 다음으로, 유리판 제조 장치(1)를 이용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도 4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전대(20)에서, 유리 기재(G)의 X축 방향의 배치를 조정한 상태로, 제1 컨베이어(27·27)에 의해, 반전대(20)로부터 제2 반송 장치(30)로 유리 기재(G)를 이재한다(STEP-3).
[0075] (STEP-3)에 있어서의 반전대(20)로부터 제2 반송 장치(30)로의 유리 기재(G)의 이재는, 복수의 흡인 구멍(28·28…)에 의해, 유리 기재(G) 및 완충 시트(S)를 제1 컨베이어(27)에 흡착시킨 상태에서 행하도록 하고 있어, 유리 기재(G)와 제1 컨베이어(27) 간에 미끄러짐 등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원활하게 이재할 수 있다.
[0076] 즉,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테이블부(21)는, 유리 기재(G)를 흡착하면서 반송하는 제1의 컨베이어인 제1 컨베이어(27·27)를 구비하고 있으며, (STEP-3)에 있어서, 제1 컨베이어(27·27)에 의해, 유리 기재(G)를 제2 반송 장치(30)로 이재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STEP-3)에 있어서, 테이블부(21)로부터 제2 반송 장치(30)로 효율적으로 이재할 수 있어, 유리판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0077] 또한, (STEP-3)에 있어서의 반전대(20)로부터 제2 반송 장치(30)로의 유리 기재(G)의 이재는, 복수의 에어 분출 구멍(26·26…)으로부터 에어를 분출시켜, 유리 기재(G) 및 완충 시트(S)를 배치면(25)으로부터 부상시킨 상태에서 행하도록 하고 있어, 배치면(25) 상을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여, 유리 기재(G)를 원활하게 이재할 수 있다.
[0078] 즉,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테이블부(21)는, 유리 기재(G)를 부상시키는 에어 부상부인 복수의 에어 분출 구멍(26·26…)을 구비하고 있으며, (STEP-3)에 있어서, 복수의 에어 분출 구멍(26·26…)에 의해, 유리 기재(G)를 테이블부(21)로부터 부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3 단계에서, 테이블부(21)로부터 제2 반송 장치(30)로 효율적으로 이재할 수 있어, 유리판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0079]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판 제조 장치(1)는, 반전대(20)의 하방에 있어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배관(60)을 구비하고 있으며, 에어 배관(60)의 단부(端部)는, 상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또한, 반전대(20)는, 테이블부(21)의 하면에 있어서, 에어 분출 구멍(26)에 연통(連通)되는 에어 배관의 단부인 에어 접속부(61)를 구비하고 있다.
에어 배관(60)은, 축 지지부(23)에 설치한 스테이(62)에 대해 고정되어 있으며, 축 변위부(24)에 의해 축 지지부(23)가 변위될 때, 축 지지부(23)와 함께 변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축 지지부(23)가 변위되었을 때, 에어 배관(60)과 에어 접속부(61)의 위치 관계가 변화하는 일이 없다.
또한, 에어 배관(60)은, 축 지지부(23)에 대해 고정되는 부위보다 에어의 공급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에서, 호스 등의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배관 부재(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으며, 그 가요성을 가지는 배관 부재에 의해 축 지지부(23)의 변위를 흡수함으로써, 에어 배관(60)의 파손을 방지하고 있다.
[0080] 그리고, 유리판 제조 장치(1)는, (STEP-2)에 있어서, 반전대(20)가 가로 방향의 자세로 반전되었을 때, 에어 접속부(61)가 에어 배관(60)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에어 배관(60)과 에어 접속부(61)의 접속 및 이탈이 효율적으로 행해진다.
이와 같이 유리판 제조 장치(1)에서는, 반전대(20)의 반전 동작에 의해, 용이하고 확실하게 에어 분출 구멍(26)에 대해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STEP-3)에 있어서, 에어 분출 구멍(26)에 대해 확실하게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0081] 즉,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테이블부(21)는, (STEP-2)에 있어서, 테이블부(21)를 가로 방향의 자세로 하였을 때 에어 배관(60)이 접속되며, (STEP-3)에 있어서, 에어 배관(60)으로부터 복수의 에어 분출 구멍(26·26…)으로 에어가 공급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STEP-3)에 있어서, 복수의 에어 분출 구멍(26·26…)으로 에어가 확실히 공급되어, 테이블부(21)로부터 제2 반송 장치(30)로 유리 기재(G)를 효율적으로 이재할 수 있어, 유리판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0082] 다음으로, 유리판 제조 장치(1)를 이용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도 4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반송 장치(30)에 이재된 유리 기재(G)를, 제2 컨베이어(31)에 의해, 후(後)공정(본 실시형태에서는, 절단 공정)을 향해 반송한다(STEP-4).
제2 반송 장치(30)에서는, 챔버(32)에 의해, 반송 벨트(33)에 형성된 관통구멍(35·35…)으로부터 에어를 흡인함으로써, 유리 기재(G)를 흡착하면서 반송할 수 있기 때문에, 미끄러짐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효율적으로 유리 기재(G)를 반송할 수 있다.
[0083] 이와 같이, 유리판 제조 장치(1)를 이용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제2 반송 장치(30)로 이재된 시점(STEP-4의 시점)에서는, 유리 기재(G)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배치 위치의 조정이 완료되었으므로, 제2 반송 장치(30)에 의해, 그대로 후공정(절단 공정)으로 반송하기만 하면, 다시 후공정에서 유리 기재(G)의 배치 위치를 조정하는 일 없이, 결함부가 있는 위치를 피하여, 유리판을 자를 수 있다.
[0084] 즉,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2 반송 장치(30)는, 유리 기재(G)를 흡착하면서 반송하는 제2의 컨베이어인 제2 컨베이어(31)를 구비하고 있으며, (STEP-4)에 있어서, 제2 컨베이어(31)에 의해, 유리 기재(G)를 반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STEP-4)에 있어서, 유리 기재(G)를 효율적으로 반송할 수 있어, 유리판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0085]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유리 기재(G)는, (STEP-1)∼(STEP-4)의 동안에, 반송면에 시트상 완충재인 완충 시트(S)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리 기재(G)를 손상시키지 않고, 효율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0086]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유리 기재(G)를 준비해 두는 팰릿(40)을, 2군데에 배치해 두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도 11에 나타낸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제조 장치(2)에서는, 팰릿(40)을 2군데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유리판 제조 장치(2)는, 제1 반송 장치(10)에 의해, 좌우 어느 팰릿(40·40)으로부터도 반전대(20)를 향해 유리 기재(G)를 반송할 수 있도록, 제1 반송 장치(10)의 가동(可動) 범위를 설정하고 있다. 또한, 유리판 제조 장치(2)는, 팰릿(40)의 배치 수와 제1 반송 장치(10)의 가동 범위의 설정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제조 장치(1)의 구성과 공통되어 있다.
[0087] 유리판 제조 장치(2)를 이용한 경우의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2군데에 팰릿(40·40)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어느 한 쪽(一方)의 팰릿(40) 상의 유리 기재(G)가 없어졌을 때, 유리판 제조 장치(2)를 정지시키는 일 없이, 곧바로 다른 쪽(他方)의 팰릿(40)으로부터 유리 기재(G)를 공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리판 제조 장치(2)를 이용한 경우의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팰릿(40)의 교체준비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생략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유리판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88] 즉, 본 발명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은, (STEP-1)에 있어서, 유리 기재(G)를 2군데에 배치하고, 제1 반송 장치(10)에 의해, 반전대(20)를 향해, 2군데로부터 유리 기재(G)를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리판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0089] 나아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반전대(20)의 테이블부(21) 상으로 이재된 유리 기재(G)의 위치를 검출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090] 도 12에 나타낸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제조 장치(3)에서는, 테이블부(21)에 있어서, 배치면(25) 상의 유리 기재(G)의 위치를 검출하는 유리 기재 검출 장치(70)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유리판 제조 장치(3)는, 유리 기재 검출 장치(70)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제조 장치(1)의 구성과 공통되어 있다.
[0091] 유리 기재 검출 장치(70)는, 배치면(25) 상에 있어서의 유리 기재(G)의 배치 위치를 검출하는 장치이며,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71), 본체 케이스(72), 축 부재(73), 접촉 부재(74), 스프링 부재(75), 위치 검출 센서(76) 등을 구비하고 있다.
[0092] 가이드 레일(71)은, 본체 케이스(72)를 직선 상에서 왕복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재이며, 반전대(20)의 유리 기재(G)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단부에 있어서, 테이블부(21)의 폭 방향에 대해 평행이 되는 양태로, 해당 테이블부(21)에 부설(附設)되어 있다.
[0093] 본체 케이스(72)는, 유리 기재(G)에 대해 접촉시키기 위한 부위인 접촉 부재(74)를 변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동시에, 위치 검출 센서(76)를 수용하기 위한 부위이며, 도시되지 않은 서보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여, 가이드 레일(71)을 따라 왕복 변위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0094] 축 부재(73)는, 접촉 부재(74)를 지지하는 부재이며, 본체 케이스(72)에 형성된 한 쌍의 구멍부(77·77)에 삽입통과(揷通)되어, 본체 케이스(72)의 변위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변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 부재(73)의 일단에는, 접촉 부재(74)가 고정되어 있다.
[0095] 접촉 부재(74)는, 유리 기재(G)에 대해 접촉하는 부재이며, 유리 기재(G)에 접촉하였을 때, 유리 기재(G)를 손상시킬 일이 없는 재질(예컨대, 수지)을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접촉 부재(74)는, 해당 접촉 부재(74)의 하단 위치가, 배치면(25) 상의 유리 기재(G)의 표면의 위치보다 배치면(25)에 가까운 위치가 되도록 위치를 조정하여 배치되어 있다.
[0096] 또한, 축 부재(73)는, 스프링 부재(75)에 삽입통과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75)는, 본체 케이스(72)와 축 부재(73) 상에 고정된 플랜지부(78)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유리 기재 검출 장치(70)에서는, 접촉 부재(74)가 본체 케이스(72)측으로 변위하였을 때, 플랜지부(78)에 의해 스프링 부재(75)가 압축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접촉 부재(74)가 유리 기재(G)에 접촉하였을 때의 충격을 스프링 부재(75)로 흡수함으로써, 유리 기재(G)의 파손을 방지하고 있다.
[0097] 본 실시형태에 나타낸 유리 기재 검출 장치(70)에서는, 위치 검출 센서(76)를, 리니어 인코더에 의해 구성하고 있으며, 센서부(76A)와 스케일부(76B)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부(76A)는, 스케일부(76B)에 대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스케일부(76B)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위치 검출 센서(76)는, 스케일부(76B)의 눈금을, 센서부(76A)에 의해 파악하여, 접촉 부재(74)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유리판 제조 장치(3)에 있어서의 위치 검출 센서(76)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리니어 인코더를 이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0098] 여기서, 유리 기재 검출 장치(7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유리 기재 검출 장치(70)는, 반전대(20)의 센서(29)에 의해, 테이블부(21)의 배치면(25)에 유리 기재(G)(및 완충 시트(S))가 배치되었음을 검출하였을 때, 가이드 레일(71)을 따라, 본체 케이스(72)를 유리 기재(G)를 향해 변위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때 본체 케이스(72)를 변위시킬 목표 위치는, 접촉 부재(74)에 의해 유리 기재(G)의 단면(端面)을 가압 가능한 위치(즉, 유리 기재(G)와 접촉하는 위치를 약간 초과하는 위치)로 하고 있다.
[0099] 여기서, 배치면(25)의 예정대로의 위치에 유리 기재(G)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접촉 부재(74)와 유리 기재(G)가 접촉하게 되며, 접촉 부재(74)와 유리 기재(G)가 접촉한 후에, 본체 케이스(72)가 유리 기재(G)측으로 더 변위됨에 따라, 접촉 부재(74)가 본체 케이스(72)측으로 변위되어, 스프링 부재(75)가 압축된다.
[0100] 접촉 부재(74)가 본체 케이스(72)측으로 변위되었을 때에는, 위치 검출 센서(76)에 의해, 접촉 부재(74)의 이동량을 검출하여, 유리 기재(G)의 단부의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알아낸다.
[0101] 그리고,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판 제조 장치(3)에서는, 이때 위치 검출 센서(76)에서 검출한 유리 기재(G)의 위치에 근거하여, 현 상태의 유리 기재(G)의 위치가 후공정(예컨대 절단 공정)에 있어서의 가공에 적절한 위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현 상태의 유리 기재(G)의 위치가, 후공정에 있어서의 가공에 적절한 위치로 되어 있지 않으면, 유리 기재(G)의 위치 정보를 반전대(20)의 축 변위부(24)로 피드백하여, 유리 기재(G)의 위치를 적절히 조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현 상태의 유리 기재(G)의 위치가, 후공정에 있어서의 가공에 적절한 위치로 되어 있으면, 그대로 가공을 진행시킨다.
[0102] 또한, 위치 검출 센서(76)가, 접촉 부재(74)의 이동을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예정하고 있는 위치에 유리 기재(G)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된다. 이때에는, 유리 기재(G)의 이재에 실패한 것, 유리 기재(G)가 파손되어 있는 것, 유리 기재(G)의 배치가 어긋나 있는 것 등이 상정(想定)되기 때문에, 곧바로 유리판 제조 장치(3)를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0103] 즉, 유리판 제조 장치(3)를 이용한 경우의 유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테이블부(21)는, 해당 테이블부(21)에 배치된 유리 기재(G)의 위치를 검출하는 유리 기재 검출 장치(70)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STEP-2)에 있어서, 유리 기재 검출 장치(70)에 의해, 해당 테이블부(21)에 있어서의 유리 기재(G)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에 따라 테이블부(21)의 배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리 기재(G)를 보다 양호한 정밀도로 위치결정할 수 있다.
[0104] 이러한 구성의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 제조 장치(3)에 의하면, 유리 기재 검출 장치(70)에 의해, 유리 기재(G)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배치면(25)에 있어서의 유리 기재(G)의 배치가 적절한지의 여부를 알 수 있어, 테이블부(21)에 대해 보다 양호한 정밀도로 유리 기재(G)를 위치결정할 수 있으므로, 후공정에서 부적절한 가공이 실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 제조 장치(3)에 의하면, 유리 기재 검출 장치(70)에 의해, 유리 기재(G)의 이재에 실패한 것이나 유리 기재(G)에 파손이 생긴 것 등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곧바로 적절한 처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생산 정지 기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0105] 1 : 유리판 제조 장치
10 : 제1 반송 장치
20 : 반전대
21 : 테이블부
22 : 축부
23 : 축 지지부
24 : 축 변위부
26 : 에어 분출 구멍
27 : 제1 컨베이어
30 : 제2 반송 장치
31 : 제2 컨베이어
60 : 에어 배관
70 : 유리 기재 검출 장치
G : 유리 기재
S : 완충 시트

Claims (14)

  1. 제1 반송 장치에 의해, 유리 기재(基材)를 세로 방향의 자세로 유지하면서 반송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 후에,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반전 가능한 테이블부를 가지는 반전대(反轉臺)에, 상기 테이블부를 세로 방향의 자세로 한 상태에서, 상기 유리 기재를 상기 제1 반송 장치로부터 상기 테이블부로 이재(移載)하고, 상기 테이블부를 가로 방향으로 반전시켜, 상기 유리 기재의 자세를 가로 방향으로 변경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 후에, 가로 방향의 자세인 상기 유리 기재를, 상기 반전대로부터 제2 반송 장치로 이재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 후에, 상기 제2 반송 장치에 의해, 가로 방향의 자세인 상기 유리 기재를 반송하는 제4 단계
    를 구비한 유리판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유리 기재의 제품 정보에 따라, 상기 유리 기재의 폭 방향에 대한 상기 테이블부의 배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부는,
    해당 테이블부에 배치된 상기 유리 기재의 위치를 검출하는 유리 기재 검출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유리 기재 검출 장치에 의해,
    해당 테이블부에 있어서의 상기 유리 기재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위치에 따라 상기 테이블부의 배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부는,
    상기 유리 기재를 흡착하면서 반송하는 제1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유리 기재를 상기 제2 반송 장치로 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부는,
    상기 유리 기재를 부상(浮上)시키는 에어 부상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에어 부상부에 의해, 상기 유리 기재를 상기 테이블부로부터 부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부는,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테이블부를 가로 방향의 자세로 하였을 때 에어 배관이 접속되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에어 배관으로부터 상기 에어 부상부에 에어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부는,
    상기 테이블부 상의 상기 유리 기재를 검출하는 센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유리 기재를 검출한 때보다 나중이면서, 상기 테이블부에 상기 유리 기재의 전체면(全面)이 부합될 때보다 전에, 상기 테이블부의 반전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유리 기재의 판 두께가 두꺼울수록, 상기 테이블부의 반전을 빠른 타이밍에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서보 모터에 의해, 상기 테이블부를, 상기 유리 기재의 폭 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테이블부의 상기 유리 기재의 폭 방향에 대한 배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송 장치는,
    상기 유리 기재를 흡착하면서 반송하는 제2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4 단계에서,
    상기 제2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유리 기재를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재는,
    상기 제1 단계부터 상기 제4 단계의 동안에, 반송면에 시트상(狀) 완충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유리 기재를 2군데(個所)에 배치하고,
    상기 제1 반송 장치에 의해, 상기 반전대를 향해, 2군데로부터 상기 유리 기재를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13. 유리 기재를 세로 방향의 자세로 파지(把持)하면서 반송하는 제1 반송 장치와,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반전 가능한 테이블부를 가지며, 상기 테이블부에 배치한 상기 유리 기재의 자세를 반전시키는 반전대와,
    컨베이어를 가지며, 상기 반전대에 의해 자세가 가로 방향으로 변경된 상기 유리 기재를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하는 제2 반송 장치
    를 구비하는 유리판 제조 장치로서,
    상기 테이블부는, 축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블부를 상기 축부 둘레로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테이블부를 상기 축부의 축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변위부와,
    상기 구동부와 상기 변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제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테이블부를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반전시키는 동안에,
    상기 변위부에 의해,
    상기 테이블부의 상기 축부의 축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제조 장치.
KR1020197006288A 2016-08-01 2017-07-20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 제조 장치 KR1025245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51237 2016-08-01
JP2016151237A JP6702065B2 (ja) 2016-08-01 2016-08-01 ガラス板の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板製造装置
PCT/JP2017/026207 WO2018025646A1 (ja) 2016-08-01 2017-07-20 ガラス板の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板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845A true KR20190035845A (ko) 2019-04-03
KR102524537B1 KR102524537B1 (ko) 2023-04-20

Family

ID=6107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288A KR102524537B1 (ko) 2016-08-01 2017-07-20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02065B2 (ko)
KR (1) KR102524537B1 (ko)
CN (1) CN109562975B (ko)
TW (1) TWI738829B (ko)
WO (1) WO20180256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46087B (zh) * 2018-07-27 2023-07-28 江苏云天高胜机器人科技有限公司 盖片供给装置
CN110092575B (zh) * 2019-06-14 2021-11-23 湖南诺际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整理手机显示屏玻璃切割设备
CN110078364B (zh) * 2019-06-14 2021-11-26 华发(台州)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分解电子产品显示屏玻璃切割设备
CN110156313B (zh) * 2019-06-14 2021-11-19 江西华尔升科技有限公司 一种逐级分解显示屏玻璃切割设备
CN110482220A (zh) * 2019-07-26 2019-11-22 蚌埠凯盛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玻璃基板存储工艺、装置及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661B1 (ko) * 2007-01-22 2008-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리기판 이송장치
CN201165488Y (zh) * 2008-02-28 2008-12-17 王伟中 一种玻璃的加工工作台
CN203545140U (zh) * 2013-08-22 2014-04-16 彩虹(张家港)平板显示有限公司 Tft玻璃用自动移载机
KR20140119458A (ko) 2013-04-01 2014-10-10 엄광진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
KR20150115723A (ko) * 2013-02-04 2015-10-14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시트재 취급 방법, 및 시트재 취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49576A (en) * 1975-04-17 1979-02-27 Vereinigte Glaswerke G.M.B.H. Apparatus for stacking and unstacking sheet material, more particularly glass sheets
JPH01162649A (ja) * 1987-12-15 1989-06-27 Nippon Sheet Glass Co Ltd 板ガラスの吸着受渡し装置
FR2632298B1 (fr) * 1988-06-07 1990-08-10 Saint Gobain Vitrage Amelioration des performances des installations de bombage et de trempe de plaques de verre a lit de conformation courbe dans la direction de defilement du verre
CA2151620C (en) * 1994-07-15 1999-08-24 Ppg Industries Ohio, Inc. Flexible press
JP4222849B2 (ja) * 2003-02-03 2009-02-12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曲げ炉内へのガラス板の自動投入システム
JP5370776B2 (ja) * 2010-03-15 2013-12-1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基板搬送装置及びガラス基板搬送方法
CN102441825A (zh) * 2010-09-30 2012-05-09 旭硝子株式会社 玻璃板的端面研磨装置
CN102795763B (zh) * 2011-05-24 2015-01-21 洛阳兰迪玻璃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真空玻璃构件连续加工装置
AT510986B1 (de) * 2011-09-12 2012-08-15 Inova Lisec Technologiezentrum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randausschnitten in flachglas
JP5831212B2 (ja) * 2011-12-26 2015-12-0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帯状ガラスの製造方法
CN105314840B (zh) * 2014-07-30 2018-02-13 东莞奔迅汽车玻璃有限公司 卸片装置及自动卸片方法
CN105461193B (zh) * 2014-09-30 2018-11-23 安瀚视特控股株式会社 显示器用玻璃基板的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661B1 (ko) * 2007-01-22 2008-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리기판 이송장치
CN201165488Y (zh) * 2008-02-28 2008-12-17 王伟中 一种玻璃的加工工作台
KR20150115723A (ko) * 2013-02-04 2015-10-14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시트재 취급 방법, 및 시트재 취급 장치
KR20140119458A (ko) 2013-04-01 2014-10-10 엄광진 가변 칸막이를 구비하는 연타석 골프 연습장
CN203545140U (zh) * 2013-08-22 2014-04-16 彩虹(张家港)平板显示有限公司 Tft玻璃用自动移载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62975A (zh) 2019-04-02
WO2018025646A1 (ja) 2018-02-08
KR102524537B1 (ko) 2023-04-20
CN109562975B (zh) 2022-04-22
JP2018020915A (ja) 2018-02-08
TW201819321A (zh) 2018-06-01
JP6702065B2 (ja) 2020-05-27
TWI738829B (zh) 2021-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5845A (ko)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 제조 장치
JP5399690B2 (ja) 切断装置
JP2007238287A (ja) ワーク搬送装置およびワーク搬送方法
CN108147062B (zh) 输送体、输送装置以及划线系统
JP3721866B2 (ja) 基板位置決め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塗布機または装着機
JP2007112626A (ja) 基板搬送装置及び基板検査装置並びに基板搬送方法
WO2013084298A1 (ja) 位置決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部品搬送装置
JP2010023946A (ja) ワーク搬送装置及びワーク処理装置
CN210972999U (zh) 玻璃板的制造装置
JP2008159784A (ja) ステージ装置
JP4149750B2 (ja) ガラス板の加工装置
JP4402996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CN108349088B (zh) 示教用夹具及机器人的示教方法
CN112041136B (zh) 板材加工设备、运行板材加工设备的方法以及控制和/或调节装置
JPH01161846A (ja) 移載装置
JP2003037394A (ja) 基板保持装置および電気回路の製造方法
JP6374344B2 (ja) 搬送方法及び搬送システム
JP5385016B2 (ja) 搬送機構
WO2009113160A1 (ja) 基板搬送装置及び基板搬送方法
JP2011091460A (ja) 基板保持装置
JP6752566B2 (ja) 基板搬送装置
JPH0761556A (ja) コンベア
JP2012182273A (ja) ガラス基板インライン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328830A (ja) 板材加工装置
KR20190018079A (ko) 스크라이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