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504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504A
KR20190035504A KR1020180103160A KR20180103160A KR20190035504A KR 20190035504 A KR20190035504 A KR 20190035504A KR 1020180103160 A KR1020180103160 A KR 1020180103160A KR 20180103160 A KR20180103160 A KR 20180103160A KR 20190035504 A KR20190035504 A KR 20190035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ixing
connection device
vehicle
cabl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5125B1 (ko
Inventor
김영주
석 김
김성진
김영인
엄부용
이찬영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136,781 priority Critical patent/US11220156B2/en
Priority to CN202210511860.6A priority patent/CN114701328A/zh
Priority to CN201811113415.4A priority patent/CN109624644B/zh
Publication of KR20190035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57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means connecting the initiating means, e.g. control lever, to the damper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8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bowden wi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케이블 연결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공조케이스 상에 일체로 구비하되 그 설치 위치를 최적화하고 강성은 유지하면서도 경량화와 조립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차량 실내를 공조하는 것으로서, 공조케이스 내의 도어를 작동시키도록 차량 컨트롤러측 작동수단과 공조케이스측 작동수단을 케이블로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에 상기 케이블 연결장치를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조케이스 내의 도어를 회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인 케이블 풀리 어셈블리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도입하거나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로서,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및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 모드 전환용 도어를 사용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1)는 공조케이스(10)와, 송풍기(미도시)와,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온도조절도어(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공조케이스(10)의 입구측에는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각각 모드도어(16)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디프로스트 벤트(12a), 페이스 벤트(12b) 및 플로어 벤트(12c)가 형성된다. 송풍기는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11)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한다.
증발기(2) 및 히터코어(3)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순차로 설치된다. 온도조절도어(15)는 증발기(2)와 히터코어(3)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와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유로의 개도를 조절한다.
모드도어(16)는 디프로스트 벤트(12a)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 도어와, 페이스 벤트(12b)의 개도를 조절하는 벤트 도어와, 플로어벤트(12c)의 개도를 조절하는 플로어 도어로 구성된다. 온도조절도어(15) 및 모드도어(16)는 공조케이스(10)의 외측에 설치된 엑츄에이터에 연결되어 회전 작동하여 냉,온풍유로의 개도를 조절하거나 각 벤트(12a~12c)로 향하는 유로의 개도를 조절한다.
선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7263호(2014.11.25)에는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가 개시된바 있다. 도 2는 종래의 케이블 연결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공조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온도조절도어(15)와 모드도어(16)들은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아암(28), 레버(25) 및 캠(21)에 의해 개폐각도가 조절된다. 아암(28), 레버(25) 및 캠(21)을 통해 모드도어(16)뿐 아니라 온도조절도어(15)를 제어할 수 있다.
캠(21)은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슬롯(22)이 형성된다. 아암(28)은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각 도어들의 회전축과 직접 연결되어 도어(16)와 함께 회전된다. 레버(25)는 캠(21)과 아암(28)의 사이에 위치하며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레버(25)의 일단부는 핀(26)을 통해 슬롯(22)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아암(28)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캠(21)으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아암(28)에 전달한다.
공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차량의 센터페시어 패널에는 컨트롤러가 설치된다. 컨트롤러는 하우징에 스위치가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하우징의 후방측에는 노브의 회전시 케이블(53)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케이블 연결장치(50)가 설치된다. 또한, 케이블 연결장치(50)는 공조케이스(10)내의 도어(16)를 작동시키도록 차량 컨트롤러측 작동수단과 공조케이스(10)측 작동수단을 외주면이 튜브(31)로 감싸져 있는 케이블(53)로 연결한다.
케이블 연결장치(50)는 풀리(52)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내부에 풀리수용부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케이블(53)의 일단부가 풀리수용부의 내부로 삽입되게 설치된 케이싱(51)을 구비한다. 상기 케이싱(51)의 내측에는 디텐트돌기가 탄성부재를 통해 탄력적으로 설치되고, 풀리(52)의 일측면에는 디텐트돌기가 탄력적으로 걸리도록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디텐트홈(54)이 형성된 디텐트부가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전술한 케이블을 이용한 메뉴얼 타입(Manual type)의 공조장치는 납품 등의 이유로 컨트롤러와 함께 이송해야 하는 경우 케이블 연결장치(50)가 파손되거나 분실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케이블 연결장치(50)의 납품 시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추가됨으로써 이송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메뉴얼 타입의 공조장치는 패키지 조립 마지막 단계에서 케이블 연결장치(50)가 공조케이스(10) 외부에 장착되어 납품이 이루어진다. 케이블 연결장치(50)는 차량조립 단계에서 차량에 연결되기 때문에, 차량조립 라인에서 공조케이스(10)에서 쉽게 분리되어야 한다. 종래의 케이블 연결장치(50)는 체결성이 약하여 조립 및 이송 과정에서 분리되거나 외부 충격으로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7263호(2014.11.25)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 연결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공조케이스 상에 일체로 구비하되 그 설치 위치를 최적화하고 강성은 유지하면서도 경량화와 조립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 연결장치의 탈착이 용이하면서도 부착 강도를 향상시켜 제품 이송 시 공조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차량 실내를 공조하는 것으로서, 공조케이스 내의 도어를 작동시키도록 차량 컨트롤러측 작동수단과 공조케이스측 작동수단을 케이블로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에 상기 케이블 연결장치를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케이블 연결장치를 공조장치와 동시에 납품 가능하고, 이송 비용 및 파손 또는 분실 우려를 감소시키며, 강성은 보강하면서 제조 비용 및 중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연결장치의 체결이 매우 간단하고 단순 삽입 방식으로 차량 조립 과정에서 케이블 연결장치의 탈착이 용이하면서도 부착 강도를 향상시켜 제품 이송 시 공조케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 손상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케이블 연결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공조케이스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케이블 고정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케이블 연결장치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부에 케이블 연결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부에 케이블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장치가 케이블 고정부에 결합된 상태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케이블 고정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케이블 연결장치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내부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차량 실내를 공조하는 것으로서, 공조케이스(110)와, 송풍기(200)와, 증발기(102) 및 히터코어(103)와, 온도조절도어(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공조케이스(110)의 입구측에는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각각 모드도어(116)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디프로스트 벤트(112a), 페이스 벤트(112b) 및 플로어 벤트(112c)가 형성된다.
송풍기(200)는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한다. 송풍기(200)의 인테이크(Intake) 케이스에는 내기를 유입하기 위한 내기유입구(211)와 외기를 유입하기 위한 외기유입구(212)가 형성된다. 송풍기(200)의 스크롤(Scroll) 케이스에는 블로워 휠 및 블로워 모터를 구비한 블로워 유닛(220)이 구비되며, 블로워 휠의 상부에 에어 필터(230)가 구비된다.
증발기(102) 및 히터코어(103)는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순차로 설치된다. 온도조절도어(115)는 증발기(102)와 히터코어(103)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히터코어(10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와 히터코어(103)를 통과하는 온풍유로의 개도를 조절한다.
모드도어(116)는 디프로스트 벤트(112a)의 개도를 조절하는 디프 도어와, 페이스 벤트(112b)의 개도를 조절하는 벤트 도어와, 플로어벤트(112c)의 개도를 조절하는 플로어 도어로 구성된다. 온도조절도어(115) 및 모드도어(116)는 공조케이스(110)의 외측에 설치된 엑츄에이터에 연결되어 회전 작동하며, 냉, 온풍유로의 개도를 조절하거나 각 벤트(112a~112c)로 향하는 유로의 개도를 조절한다.
공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차량의 센터페시어 패널에는 컨트롤러가 설치된다. 컨트롤러는 하우징에 스위치가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케이블 연결장치(500)를 구비한다. 케이블 연결장치(500)는 공조케이스(110) 내의 도어를 작동시키도록 차량 컨트롤러측 작동수단과 공조케이스측 작동수단을 케이블(510)로 연결한다.
케이블 연결장치(500)는 컨트롤러의 하우징의 후방측에 구비되며, 노브의 회전시 케이블(51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케이블 연결장치(500)는 공조케이스(110)내의 도어를 작동시키도록 차량 컨트롤러측 작동수단과 공조케이스(110)측 작동수단을 외주면이 튜브로 감싸져 있는 케이블(510)로 연결한다. 케이블 연결장치(500)는 풀리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내부에 풀리수용부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케이블(510)의 일단부가 풀리수용부의 내부로 삽입되게 설치된 케이싱을 구비한다. 케이싱의 내측에는 디텐트돌기가 탄성부재를 통해 탄력적으로 설치되고, 풀리의 일측면에는 디텐트돌기가 탄력적으로 걸리도록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디텐트홈이 형성된 디텐트부가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케이블 고정부(300)를 구비한다. 케이블 고정부(300)는 공조케이스(110)에 케이블 연결장치(500)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공조케이스(1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공조케이스(110)에 케이블 고정부(300)를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공조장치의 이송 시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보호를 위해 별도의 보호 수단을 추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송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케이블 고정부(300)는 케이블 연결장치(500)를 고정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가거치 구조로 이루어진다. 케이블 고정부(300)는 공조장치의 이송 시 케이블 연결장치(500)를 공조케이스(110)에 용이하게 고정시키고, 공조장치를 차량에 조립 등의 이유로 케이블 연결장치(500)를 공조케이스(110)에서 분리하여야 할 경우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공조케이스(110)에 케이블 연결장치(500)를 고정 및 분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케이블 고정부(300)는 공조케이스(110)의 외측에 돌출 형성된 리브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케이블 고정부(300)는 리브 형상으로 공조케이스(110)의 외측에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이로 인해, 케이블 고정부(300)가 케이블 연결장치(500)를 고정하는 기능과 함께 공조케이스(110)의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케이블 고정부(300)는 컨트롤러측 작동수단에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장치(500)를 고정한다. 케이블 연결장치(500)는 공조케이스측 작동수단과 컨트롤러측 작동수단에 각각 구비되며, 공조케이스측 작동수단에 구비된 케이블 연결장치와 컨트롤러측 작동수단에 구비된 케이블 연결장치는 케이블(510)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공조케이스측 작동수단에 구비된 케이블 연결장치는 공조장치의 이송 시 별도의 고정수단을 요구하지 않고 공조케이스에 고정시켜 납품이 가능하나, 컨트롤러측 작동수단에 구비되는 케이블 연결장치(500)는 조립 시 차량 패널의 컨트롤러에 결합되므로 납품 시 공조케이스(110)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요구한다. 따라서, 케이블 고정부(300)가 컨트롤러측 작동수단에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장치(500)를 고정하여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공조장치의 납품이 가능하다.
케이블 고정부(300)는 히터코어(103) 앞쪽인 차량 전후 방향으로 공조케이스(110)의 후방 정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 고정부(300)를 공조케이스(110)의 후방 정면에 형성하여 케이블 고정부(300)를 형성하기 위한 추가의 공간을 필요로하지 않고 제품의 파손 및 분실을 줄일 수 있다.
케이블 고정부(300)는 측벽부를 구비한다. 측벽부는 공조케이스(110)의 외측면에서 돌출 연장되어,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측면에 밀착되며 후크 구조로 이루어진다.
측벽부는 제1 측벽부(310) 및 제2 측벽부(340)를 구비한다. 제1 측벽부(310) 및 제2 측벽부(340)는 차량 좌우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 형성되어, 그 사이에 케이블 연결장치(500)를 탄성 지지한다. 제1 측벽부(310)와 제2 측벽부(340)의 사이에는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케이블(510)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350)가 이격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차량 좌우 폭 방향은 도 6에서 좌우 방향이다.
제1 측벽부(310)와 제2 측벽부(340)의 사이에는 케이블 고정부(300)를 안착하기 위한 소정의 공간부(360)가 형성된다. 즉, 제1 측벽부(310)와 제2 측벽부(340)는 차량 좌우 폭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각각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좌우 측면을 탄성 지지한다. 제1 측벽부(310)는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측면을 감싸도록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형상에 대응되게 연장 형성되어,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폭 방향 측면뿐 아니라 하면 또는 상면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측벽부(310)와 제2 측벽부(340)의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350)는 도 6과 같은 정면도 상에서 대각선 방향, 즉, 제1 측벽부(310)와 제2 측벽부(340)의 이격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케이블 연결장치(500)가 케이블 고정부(3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케이블(510)을 인출하기 위한 부위를 지지하되, 측벽부의 탄성 지지 방향과 경사지게 지지하여 이탈의 가능성을 낮춤으로써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고정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측벽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살빼기홈(311,341)이 형성된다. 살빼기홈(311,341)은 측벽부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즉, 제1 측벽부(310)에는 살빼기홈(311)이 형성되며, 제2 측벽부(340)에는 살빼기홈(341)이 형성된다. 살빼기홈(311,341)은 측벽부에 두께 방향, 즉, 차량 좌우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살빼기홈(311,341)의 구성을 통해, 중량을 최소화하고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리브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측벽부에는 차량 폭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정면을 지지하는 이탈방지부(320)를 구비한다. 이탈방지부(320)는 케이블 고정부(300)의 측벽부 정면 단부에 형성되며 케이블 연결장치(500)가 고정된 상태에서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정면 단부를 지지한다.
또한, 측벽부에는 강성 보강과 함께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고정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돌출부(33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320)의 구성을 통해, 케이블 연결장치(500)가 케이블 고정부(3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여 고정력이 증대된다.
케이블 고정부(300)는 도어를 구동시키는 도어 구동부와 서로 다른면에 배치된다. 즉, 도어 구동부는 공조케이스(110)의 측면에 배치되고, 케이블 고정부(300)는 공조케이스(110)의 전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어 구동부와 케이블 고정부(300) 간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공조케이스(110)의 측면은 차량 폭 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서, 송풍기(200)와 연결되는 측의 반대측인 공조케이스(110)의 일면이다. 아울러, 공조케이스(110)의 전면은 차량 전후 방향으로 후방으로서, 차량 실내측을 향하는 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케이블 고정부(300)는 케이블(510)을 고정시키는 고리부(318,319)를 구비한다. 고리부(318,319)는 하나의 케이블(510)당 2개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리부(318,319)는 제1 측벽부(310) 및 제2 측벽부(340)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고리부(318,319)는 측벽부의 단부에서 공조케이스(110)의 외면을 향해 굴곡 형성되어 고리 형상을 갖는다. 케이블(510)은 고리부(318,319)에 끼워져 고정되며, 2개소에서 고정이 이루어져 안정적인 고정력을 갖는다. 그리고, 케이블(510)은 용이하게 고리부(318,319)에서 분리가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부에 케이블 연결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부에 케이블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장치가 케이블 고정부에 결합된 상태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8의 상하 방향이 차량 높이 방향이고, 좌우 방향이 차량 폭 방향이며, 도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이 차량 전후 방향이다. 각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의한 것이며 본 발명이 반드시 상기 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케이블 연결장치(500) 및 케이블 고정부(300)를 구비한다. 케이블 고정부(300)는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 및 하단 지지부(373)로 구성된다. 또한, 케이블 연결장치(500)는 내측에 버클 및 샤프트가 결합되어 하우징 기능을 하는 원판 형상의 홀더(530)를 구비하며, 홀더(530)의 측면 일측에 케이블(510)을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부(525)가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고정부는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케이블 연결부(525)를 고정하며, 제2 고정부는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홀더(530)를 고정한다. 하단 지지부(373)는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홀더(530) 하부를 지지한다. 즉, 하단 지지부(373)는 원판 형상의 홀더(530)의 측면을 지지한다.
제2 고정부는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홀더(530)와 차량 전후 방향으로 끼움 고정된다. 제1 고정부는 공조케이스(110)의 전후 방향으로 케이블 연결부(525)를 구속하여, 케이블 연결장치(500)가 케이블 고정부(300)에 결합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고정부는 공조케이스(110) 외면으로부터 차량 전후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홀더(530)에는 돌출부에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브라켓부를 구비한다.
브라켓부는 제1 브라켓부(528)와 제2 브라켓부(526)로 구성된다. 제1 브라켓부(528)는 케이블 연결부(525)와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되며, 제2 브라켓부(526)는 제1 브라켓부(528)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1 브라켓부(528) 및 제2 브라켓부(526)는 각각 홀더(53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브라켓부(528) 및 제2 브라켓부(526)에 각각 끼움홈(529,527)이 차량 전후 방향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는 제1 브라켓부(528)의 끼움홈(529)에 삽입되는 제1 돌출부(372) 및 제2 브라켓부(526)의 끼움홈(527)에 삽입되는 제2 돌출부(371)로 구성된다. 제1 돌출부(372) 및 제2돌출부(371)는 공조케이스(110)의 외면으로부터 차량 후방을 향해 돌출 연장된다. 제2돌출부(371)는 차량 높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하단 지지부(373)와 마주하게 배치되며, 제1 돌출부(372)는 차량 폭 방향(좌우 방향)으로 제1 고정부와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 고정부는 탄성지지부(374)를 구비한다. 탄성지지부(374)는 케이블 연결부(525)의 양측을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차량 전후 방향으로 케이블 연결부(525)를 적어도 일부 막아 구속한다. 탄성지지부(374)에는 케이블 연결부(525)를 안착하기 위해 오목하게 요입된 안착홈(377)이 형성된다. 탄성지지부(374)는 높이 방향으로 후크 형상의 부재 한 쌍이 소정거리 이격 배치되며, 각 후크 형상의 부재가 오므라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갖는다. 케이블 연결부(525)를 탄성지지부(374)를 향해 누르면 후브 형상의 부재가 벌어진 후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오므라져 케이블 연결부(525)를 고정한다.
제1 돌출부(372) 및 제2 돌출부(371)는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홀더(530)를 끼움에 따라 차량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을 구속한다. 탄성지지부(374)는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케이블 연결부(525)를 고정시킴에 따라 차량 전후 방향을 구속한다. 하단 지지부(373), 제1 돌출부(372), 제2 돌출부(371) 및 탄성지지부(374)로 둘러쌓인 내측에 소정에 공간부(360)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360)에 케이블 연결장치(500)가 장착된다.
또한, 케이블 고정부(300)는 케이블(510)을 고정시키는 케이블 삽입부(375,379)를 구비한다. 케이블 삽입부(375,379)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 경우, 좌측의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케이블(510)은 우측의 케이블 삽입부(375,379)에 고정되며, 우측의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케이블(510)은 좌측의 케이블 삽입부(375,379)에 고정된다.
하나의 케이블 삽입부(375)는 케이블(510)을 끼울 수 있도록 내측에 안착홈(376)이 형성되며, 탄성지지부(374)의 상부에 배치된다. 다른 하나의 케이블 삽입부(379)는 제2 돌출부(371)의 인접한 측 상부에 배치된다. 각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케이블(510)은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게 고정시켜, 케이블(510)은 적어도 1회 이상의 비틀림 구간을 갖게 되며, 이러한 케이블(510)의 비틀림 힘이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고정에 도움을 주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고정력을 더욱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케이블 연결장치(500)는 공조케이스(110)에 형성된 제1 돌출부(372) 및 제2 돌출부(371)에 끼우면서 탄성지지부(374)를 향해 소정의 힘으로 눌러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케이블 고정부(300)에 결합된다.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분리 작업은 탄성지지부(374)를 소정의 힘으로 약간 벌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가 케이블 연결장치(500)를 공조케이스(110)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부착 강도가 우수해지며 이송시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분리로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차량용 공조장치
102: 증발기 103: 히터코어
110: 공조케이스 111: 공기유입구
112a: 디프로스트 벤트 112b: 페이스 벤트
112c: 플로어 벤트 115: 온도조절도어
116: 모드도어 200: 송풍기
211: 내기유입구 212: 외기유입구
220: 블로워 유닛 230: 에어 필터
300: 케이블 고정부 310: 제1 측벽부
318,319: 고리부
320: 이탈방지부 330: 돌출부
340: 제2 측벽부 311,341: 살빼기홈
350: 개구부 360: 공간부
371: 제1 돌출부 372: 제2 돌출부
373: 하단 지지부 374: 탄성지지부
375,379: 케이블 삽입부
500: 케이블 연결장치 510: 케이블
525: 케이블 연결부 526: 제2 브라켓부
528: 제1 브라켓부 527,529: 끼움홈
530: 홀더

Claims (19)

  1. 내부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차량 실내를 공조하는 것으로서, 공조케이스(110) 내의 도어를 작동시키도록 차량 컨트롤러측 작동수단과 공조케이스측 작동수단을 케이블(510)로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장치(500)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에 상기 케이블 연결장치(500)를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부(300)가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300)는 케이블 연결장치(500)를 고정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한 가거치 구조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300)는 공조케이스(110)의 외측에 돌출 형성된 리브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300)는 컨트롤러측 작동수단에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장치(500)를 고정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300)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히터코어(103) 앞쪽인 공조케이스(110)의 후방 정면에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300)는 공조케이스(110)의 외측면에서 돌출 연장되어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측면에 밀착되며 후크 구조로 이루어지는 측벽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차량 좌우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 형성되어 그 사이에 케이블 연결장치(500)를 탄성 지지하는 제1 측벽부(310) 및 제2 측벽부(340)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측벽부(310)와 제2 측벽부(340) 사이에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케이블(510)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350)가 이격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차량용 공조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살빼기홈(311,341)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에 차량 폭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정면을 지지하는 이탈방지부(320)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300)는 도어를 구동시키는 도어 구동부와 서로 다른면에 배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구동부는 공조케이스(110)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 고정부(300)는 공조케이스(110)의 전면에 배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300)는 케이블(510)을 고정시키는 고리부(318,319)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318,319)는 하나의 케이블(510)당 2개씩 구비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300)는: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케이블 연결부(525)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 및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홀더(530)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300)는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홀더(530) 하부를 지지하는 하단 지지부(373)를 더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고정부(300)는,
    상기 제2 고정부는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홀더(530)와 차량 전후 방향으로 끼움 고정되며,
    상기 제1 고정부는 공조케이스(110)의 전후 방향으로 케이블 연결부(525)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공조케이스(110) 외면으로부터 차량 전후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홀더(530)에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브라켓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고정부는 케이블 연결부(525)의 양측을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차량 전후 방향으로 케이블 연결부(525)를 적어도 일부 막아 구속하는 탄성지지부(374)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는 케이블 연결부(525)와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된 제1 브라켓부(528) 및 상기 제1 브라켓부(528)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제2 브라켓부(526)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는 제1 브라켓부(528)의 끼움홈(529)에 삽입되는 제1 돌출부(372) 및 제2 브라켓부(526)의 끼움홈(527)에 삽입되는 제2 돌출부(371)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조장치.
  19. 제14 항에 있어서,
    케이블(510)을 고정시키는 케이블 삽입부(375,379)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 삽입부(375,379)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좌측의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케이블(510)은 우측의 케이블 삽입부(375,379)에 고정되고, 우측의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케이블(510)은 좌측의 케이블 삽입부(375,379)에 고정되어, 케이블(510)의 비틀림 힘이 케이블 연결장치(500)의 고정에 도움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80103160A 2017-09-25 2018-08-31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45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136,781 US11220156B2 (en) 2017-09-25 2018-09-20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202210511860.6A CN114701328A (zh) 2017-09-25 2018-09-25 车辆用空调装置
CN201811113415.4A CN109624644B (zh) 2017-09-25 2018-09-25 车辆用空调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203 2017-09-25
KR20170123203 2017-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504A true KR20190035504A (ko) 2019-04-03
KR102545125B1 KR102545125B1 (ko) 2023-06-20

Family

ID=6616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160A KR102545125B1 (ko) 2017-09-25 2018-08-31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1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9280A (ko) * 2008-03-17 2009-09-22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
KR20090129591A (ko) * 2008-06-13 2009-12-17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67263B1 (ko) 2008-08-20 2014-12-0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
CN205292193U (zh) * 2015-11-24 2016-06-08 上海德尔福汽车空调系统有限公司 汽车空调带缓冲装置的手动拉索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9280A (ko) * 2008-03-17 2009-09-22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
KR20090129591A (ko) * 2008-06-13 2009-12-17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67263B1 (ko) 2008-08-20 2014-12-0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
CN205292193U (zh) * 2015-11-24 2016-06-08 上海德尔福汽车空调系统有限公司 汽车空调带缓冲装置的手动拉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5125B1 (ko)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6694B1 (ko) 내-외기 분리 유동 제어가 가능한 자동차용 공조 장치
US10792973B2 (en) Blower device for air-conditioning of vehicle
US20060260783A1 (en) Center mounting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90035504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09624644B (zh) 车辆用空调装置
KR10202409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9006642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932627B1 (ko) 차량의 공조장치용 캠과 액츄에이터 결합구조
JP2007055370A (ja) 車両用空調装置
WO2019188367A1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KR100727868B1 (ko) 공조유니트의 도어 구동장치의 캠세팅 구조
KR10148169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8728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1132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40102529A (ko) 공기조화장치용 도어 구동유닛
KR10114602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170096047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240010618A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23203949A1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10019218A (ko) 공기조화기
KR20210059180A (ko) 도어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10551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6448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40068751A (ko)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
KR20160023948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