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4888A - 배터리 관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 Google Patents

배터리 관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4888A
KR20190034888A KR1020170123460A KR20170123460A KR20190034888A KR 20190034888 A KR20190034888 A KR 20190034888A KR 1020170123460 A KR1020170123460 A KR 1020170123460A KR 20170123460 A KR20170123460 A KR 20170123460A KR 20190034888 A KR20190034888 A KR 20190034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relay
voltage value
state
switch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4983B1 (ko
Inventor
송현진
유선욱
최양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23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983B1/ko
Priority to JP2019544746A priority patent/JP6780205B2/ja
Priority to EP18858054.2A priority patent/EP3588731B1/en
Priority to PCT/KR2018/010377 priority patent/WO2019059567A1/ko
Priority to CN201880007666.6A priority patent/CN110199454B/zh
Publication of KR20190034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888A/ko
Priority to US16/549,135 priority patent/US1105689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28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19Switching between serial connection and parallel connection of battery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1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the same nominal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 G01R31/3278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of relays, solenoids or reed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40DC to A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2Energy efficient charging or discharging system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복수의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와 상기 제2 충방전 단자 사이에 연결된 프리차지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출력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압하여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또는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에 인가되도록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교류 전압이 인가된 제1 메인 릴레이의 제1 양단 전압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거나, 상기 교류 전압이 인가된 제2 메인 릴레이의 제2 양단 전압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관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Apparatus for managing battery,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관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의 출력 시 프리차징을 수행하고, 배터리 팩의 메인 릴레이를 진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제품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이차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기차량(EV, Electric Vehicle)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HV, Hybrid Vehicle)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충방전을 끊임없이 반복할 수 있어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 활용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상기 자동차 등에 적용되는 배터리 팩은 통상적으로 단위 이차전지 셀(cell)이 복수 개 구성되는 어셈블리와 상기 어셈블리 내지 배터리 모듈이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셀은 양극 집전체, 세퍼레이터, 활물질, 전해액, 알루미늄 박막층 등을 포함하여 구성 요소들 간의 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충방전이 가능한 구조가 된다.
이러한 상기 배터리 팩은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에 반해 안전성이 낮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리튬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경우, 과충전, 과방전, 고온에의 노출, 전기적 단전 등 비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 전지 구성요소들인 활물질, 전해질 등의 분해반응이 유발되어 열과 가스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초래된 고온 고압의 조건은 상기 분해반응을 더욱 촉진하여 급기야 발화 또는 폭발을 초래하기도 한다.
특히, 자동차 등에 적용되는 배터리 팩은 자동차의 충돌 사고로 인한 충격이 인가되는 경우, 충격으로 인해 배터리 팩 자체에 발화 또는 폭발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발생된 화재가 자동차의 화재로 발전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터리 팩이 적용된 자동차에 충동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배터리 팩으로부터 발화 또는 폭발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터리 팩의 출력 및 전기적 흐름을 제어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의 출력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제1 메인 릴레이 및 제2 메인 릴레이에 인가시키고, 제1 메인 릴레이 및 제2 메인 릴레이의 양단 전압값에 기초하여 제1 메인 릴레이 및 제2 메인 릴레이의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의 출력 전압을 이용하여 출력 커패시터의 충전 전압값을 출력 전압의 전압값 보다 낮은 전압값으로 충전시켜 프리차지를 수행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는 배터리 모듈, 제1 충방전 단자, 제2 충방전 단자, 상기 배터리 모듈의 양극 단자와 상기 제1 충방전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1 메인 릴레이 및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음극 단자와 상기 제2 충방전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2 메인 릴레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을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는 복수의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와 상기 제2 충방전 단자 사이에 연결된 프리차지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출력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압하여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또는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에 인가되도록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교류 전압이 인가된 제1 메인 릴레이의 제1 양단 전압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거나, 상기 교류 전압이 인가된 제2 메인 릴레이의 제2 양단 전압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리차지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와 상기 양극 단자 사이의 제1 노드에 일단이 연결된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된 제2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와 상기 제1 충방전 단자 사이의 제2 노드에 타단이 연결된 인덕터 및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 사이의 제3 노드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와 상기 제2 충방전 단자 사이의 제4 노드에 타단이 연결된 제3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와 상기 제2 메인 릴레이가 오프 상태로 제어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3 스위치를 온 상태로 제어한 후, 상기 제1 스위치가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교대로 반복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에 상기 교류 전압을 인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가 오프 상태로 제어되고 상기 제2 메인 릴레이가 온 상태로 제어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3 스위치를 온 상태로 제어한 후, 상기 제2 스위치가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교대로 반복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에 상기 교류 전압을 인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단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에 상기 교류 전압이 인가된 경우, 상기 제1 양단 전압값과 제1 부분 융착 전압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제1 양단 전압값이 상기 제1 부분 융착 전압값과 동일하면,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에 부분 융착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단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에 상기 교류 전압이 인가된 경우, 상기 제1 양단 전압값과 미리 설정된 제1 정상 전압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제1 양단 전압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정상 전압값과 동일하면,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에 부분 융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단부는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에 상기 교류 전압이 인가된 경우, 상기 제2 양단 전압값과 제2 부분 융착 전압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제2 양단 전압값이 상기 제2 부분 융착 전압값과 동일하면,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에 부분 융착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단부는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에 상기 교류 전압이 인가된 경우, 상기 제2 양단 전압값과 미리 설정된 제2 정상 전압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제2 양단 전압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제2 정상 전압값과 동일하면,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에 부분 융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모듈의 출력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제1 메인 릴레이 및 제2 메인 릴레이에 인가시켜 고장 여부를 진단함으로써, 과방전, 과충전 및 과전류로부터 배터리 팩을 보호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의 출력 전압을 감압 전압으로 감압하여 부하로 출력하고, 부하에 흐르는 전류의 부하 전류값에 기초하여 부하 내부의 연결 상태를 진단함으로써, 연결 상태에 문제가 발생한 부하로부터 배터리 팩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의 출력 전압을 이용하여 출력 커패시터의 충전 전압값을 출력 전압의 전압값 보다 낮은 전압값으로 충전시켜 프리차지를 수행함으로써, 써지성 전류로부터 메인 릴레이와 부하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구성과 회로 연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가 제2 메인 릴레이를 진단하기 위하여 제2 메인 릴레이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5는 제1 메인 릴레이와 제2 메인 릴레이가 정상 상태인 경우 접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메인 릴레이와 제2 메인 릴레이에 부분 융착이 발생한 경우 접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가 제1 메인 릴레이를 진단하기 위하여 제1 메인 릴레이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가 프리차지를 수행하기 위하여 프리차지부에 구비된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10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1000)의 구성과 회로 연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배터리 팩(1000)에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배터리 팩(1000)에는 배터리 모듈(B), 제1 충방전 단자(T1), 제2 충방전 단자(T2), 제1 충방전 단자(T1)와 제2 충방전 단자(T2) 사이에 연결된 출력 커패시터(VC), 배터리 모듈(B)의 양극 단자(P)와 제1 충방전 단자(T1) 사이에 연결된 제1 메인 릴레이(R1) 및 배터리 모듈(B)의 음극 단자(P)와 제2 충방전 단자(T2) 사이에 연결된 제2 메인 릴레이(R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메인 릴레이(R1)는 연결 상태가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제어되어 배터리 모듈(B)의 양극 단자(P)와 제1 충방전 단자(T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변경시킬 수 있다.
제2 메인 릴레이(R2)는 연결 상태가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제어되어 배터리 모듈(B)의 음극 단자(P)와 제2 충방전 단자(T2)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팩(1000)에 포함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제1 메인 릴레이(R1)와 제2 메인 릴레이(R2)의 고장을 진단하고, 배터리 팩(1000)의 출력 시 프리차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의 고장 진단과 프리차지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프리차지부(110), 제어부(120) 및 진단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차지부(110)는 복수의 스위치(111, 112, 114)와 인덕터(113)를 구비하며, 제1 메인 릴레이(R1)와 병렬로 연결되고, 제2 메인 릴레이(R2)와 제2 충방전 단자(T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리차지부(110)는 제1 스위치(111), 제2 스위치(112), 인덕터(113) 및 제3 스위치(11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스위치(111)는 제1 메인 릴레이(R1)와 양극 단자(P) 사이의 제1 노드(n1)에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위치(112)는 제1 스위치(111)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인덕터(113)는 제2 스위치(112)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1 메인 릴레이(R1)와 제1 충방전 단자(T1) 사이의 제2 노드(n2)에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제3 스위치(114)는 제1 스위치(111)와 제2 스위치(112) 사이의 제3 노드(n3)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2 메인 릴레이(R2)와 제2 충방전 단자(T2) 사이의 제4 노드(n4)에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스위치(111), 제2 스위치(112) 및 인덕터(113)는 차례로 직렬 연결되어 제1 메인 릴레이(R1)와 병렬로 연결되고, 제3 스위치(114)는 제3 노드(n3)와 제4 노드(n4)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리차지부(110)에 포함된 복수의 스위치(111, 112, 114)는 모스펫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20)는 복수의 스위치(111, 112, 114)의 동작 상태를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프리차지부(110)에 구비된 복수의 스위치(111, 112, 114)는 제어부(120)에 의해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진단부(130)로부터 입력되는 명령 신호에 대응하여 프리차지부(110)에 구비된 복수의 스위치(111, 112, 114)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20)는 배터리 모듈(B)의 출력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압하여 제1 메인 릴레이(R1) 및 제2 메인 릴레이(R2) 중 하나 이상에 인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진단부(130)로부터 제2 메인 릴레이(R2)의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제2 진단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진단 명령 신호에 대응하여 제2 스위치(112)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제3 스위치(114)를 온 상태로 제어하며, 제1 스위치(111)를 온 상태와 오프 상태가 교대로 반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메인 릴레이(R1)와 제2 메인 릴레이(R2)는 동작 상태가 오프 상태일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제2 진단 명령 신호가 수신되면, 제2 스위치(112)와 제3 스위치(114)를 각각 오프 상태와 온 상태로 제어한 후, 제1 스위치(111)의 동작 상태만을 온 상태와 오프 상태가 교대로 반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가 제2 메인 릴레이(R2)를 진단하기 위하여 제2 메인 릴레이(R2)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더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위치(112)와 제3 스위치(114)를 각각 오프 상태와 온 상태로 제어한 후, 제1 스위치(111)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B)의 출력 전압은 제1 스위치(111), 제3 스위치(114) 및 제2 메인 릴레이(R2)가 차례로 직렬 연결된 폐회로에 인가되고, 제2 메인 릴레이(R2)에는 전압이 인가되며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위치(112)와 제3 스위치(114)를 각각 오프 상태와 온 상태로 제어한 후, 제1 스위치(111)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B)의 양극 단자(P)와 음극 단자(P)에 연결된 모든 회로가 개방되어 제2 메인 릴레이(R2)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며 전류가 흐르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20)는 제2 스위치(112)와 제3 스위치(114)를 각각 오프 상태와 온 상태로 제어한 후, 제1 스위치(111)의 동작 상태만을 온 상태와 오프 상태가 교대로 반복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2 메인 릴레이(R2)에 교류 전압을 인가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상술된 복수의 스위치(111, 112, 114) 제어를 통해 제2 메인 릴레이(R2)에 미리 설정된 제2 전류값의 교류 전류가 흐르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제2 메인 릴레이(R2)에 미리 설정된 제2 주파수의 교류 전류가 흐르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제어부(120)와 프리차지부(110)는 하나의 벅 컨버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프리차지부(110)에 구비된 복수의 스위치(111, 112, 114)를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하여 구형파를 발생시키는 구형파 발생기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MCU)일 수 있다.
한편, 진단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메인 릴레이(R2)의 고장을 진단하기 위하여 제어부(120)로 제2 진단 명령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진단부(130)는 제어부(120)가 프리차지부(110)에 구비된 복수의 스위치(111, 112, 114)를 제어함에 따라 교류 전압이 인가된 제2 메인 릴레이(R2)의 제2 양단 전압값에 기초하여 제2 메인 릴레이(R2)의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단부(130)는 제어부(120)로 제2 진단 명령 신호를 송신한 이후, 제2 메인 릴레이(R2)에 교류 전압이 인가된 경우, 제2 양단 전압값과 제2 부분 융착 전압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제2 양단 전압값이 제2 부분 융착 전압값과 동일하면, 제2 메인 릴레이(R2)에 부분 융착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반대로, 진단부(130)는 제어부(120)로 제2 진단 명령 신호를 송신한 이후, 제2 메인 릴레이(R2)에 교류 전압이 인가된 경우, 제2 양단 전압값과 미리 설정된 제2 정상 전압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제2 양단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제2 정상 전압값과 동일하면, 제2 메인 릴레이(R2)에 부분 융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부분 융착 전압값은 제2 진단 명령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20)가 복수의 스위치(111, 112, 114)를 제어함에 따라 부분 융착이 발생된 제2 메인 릴레이(R2)에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제2 메인 릴레이(R2)의 양단에서 측정되는 전압값일 수 있다.
도 5는 제1 메인 릴레이(R1)와 제2 메인 릴레이(R2)가 정상 상태인 경우 접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제1 메인 릴레이(R1)와 제2 메인 릴레이(R2)에 부분 융착이 발생한 경우 접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더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 융착이 발생되지 않은 제2 메인 릴레이(R2)는 동작 상태가 오프 상태인 경우, 제1 가동 접점(OP1)과 고정 접점(FP) 사이에 커패시턴스 성분 C가 발생되고, 제2 가동 접점(OP2)과 고정 접점(FP) 사이 또한 커패시턴스 성분 C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분 융착이 발생되지 않은 제2 메인 릴레이(R2)는 두 개의 커패시턴스 성분 C가 직렬 연결되어 총 커패시턴스 성분 C/2가 발생될 수 있다.
반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 융착이 발생된 제2 메인 릴레이(R2)는 동작 상태가 오프 상태인 경우, 제1 가동 접점(OP1)과 고정 접점(FP) 사이에 커패시턴스 성분이 없어지고, 제2 가동 접점(OP2)과 고정 접점(FP) 사이 또한 커패시턴스 성분 C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분 융착이 발생된 제2 메인 릴레이(R2)는 한 개의 커패시턴스 성분 C만이 발생되어 총 커패시턴스 성분 C가 발생될 수 있다.
제2 진단 명령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메인 릴레이(R2)에 미리 설정된 제2 전류값과 미리 설정된 제2 주파수의 교류 전류가 흐르도록 복수의 스위치(111, 112, 114)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진단부(130)는 미리 설정된 제2 전류값, 미리 설정된 제2 주파수 및 부분 융착이 발생된 제2 메인 릴레이(R2)의 총 커패시턴스를 이용하여 제2 부분 융착 전압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제2 부분 융착 전압값과 제2 메인 릴레이(R2)의 제2 양단 전압값을 비교하여 제2 메인 릴레이(R2)의 부분 융착을 진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단부(130)는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제2 부분 융착 전압값을 설정할 수 있다.
<수학식 1>
V2'=I2(π/2)fC
여기서, V2'는 제2 부분 융착 전압값, I2는 미리 설정된 제2 전류값, f는 미리 설정된 제2 주파수 및 C는 부분 융착이 발생한 제2 메인 릴레이(R2)의 총 커패시턴스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진단부(130)는 제2 메인 릴레이(R2)의 제2 양단 전압값이 제2 부분 융착 전압값과 동일하면 제2 메인 릴레이(R2)에 부분 융착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상술된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부(130)는 제2 양단 전압값이 제2 부분 융착 전압값과 동일하면 제2 메인 릴레이(R2)의 부분 융착을 진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부(130)는 설정된 제2 부분 융착 전압값을 기준으로 제2 부분 융착 전압 범위를 다시 설정하고, 제2 양단 전압값이 제2 부분 융착 전압 범위에 포함되면 제2 메인 릴레이(R2)에 부분 융착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부(130)는 배터리 팩(1000) 내의 회로 구성과 전압 센서 및 전류 센서로 인한 측정 오차로 발생하는 진단 오류를 방지 할 수 있다.
한편, 진단부(130)는 미리 설정된 제2 전류값, 미리 설정된 제2 주파수 및 부분 융착이 발생된 제2 메인 릴레이(R2)의 총 커패시턴스를 이용하여 제2 정상 전압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제2 정상 전압값과 제2 메인 릴레이(R2)의 제2 양단 전압값을 비교하여 제2 메인 릴레이(R2)의 정상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단부(130)는 하기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제2 정상 전압값을 설정할 수 있다.
<수학식 2>
V2=I2(π/2)f(C/2)
여기서, V2는 제2 정상 전압값, I2는 미리 설정된 제2 전류값, f는 미리 설정된 제2 주파수 및 C는 부분 융착이 발생한 제2 메인 릴레이(R2)의 총 커패시턴스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진단부(130)는 제2 메인 릴레이(R2)의 제2 양단 전압값이 제2 정상 전압값과 동일하면 제2 메인 릴레이(R2)에 부분 융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상술된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부(130)는 제2 양단 전압값이 제2 정상 전압값과 동일하면 제2 메인 릴레이(R2)의 부분 융착을 진단하지 않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부(130)는 설정된 제2 정상 전압값을 기준으로 제2 정상 전압 범위를 다시 설정하고, 제2 양단 전압값이 제2 정상 전압 범위에 포함되면 제2 메인 릴레이(R2)에 부분 융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부(130)는 배터리 팩(1000) 내의 회로 구성과 전압 센서 및 전류 센서로 인한 측정 오차로 발생하는 진단 오류를 방지 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부(130)는 제2 양단 전압값이 제2 부분 융착 전압값과 상이하면 제2 메인 릴레이(R2)에 부분 융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부(130)는 제2 양단 전압값이 제2 부분 융착 전압값 및 제2 정상 전압값과 상이하면 제2 메인 릴레이(R2)에 부분 융착 외에 다른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한편, 진단부(130)는 제2 메인 릴레이(R2)에 부분 융착이 발생된 것으로 진단되면 제1 메일 릴레이 및 제2 메일 릴레이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배터리 팩(1000)의 충방전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하, 제1 메인 릴레이(R1)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가 제1 메인 릴레이(R1)를 진단하기 위하여 제1 메인 릴레이(R1)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더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진단부(130)로부터 제1 메인 릴레이(R1)의 고장을 진단하기 위한 제1 진단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진단 명령 신호에 대응하여 제1 스위치(111)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제3 스위치(114)를 온 상태로 제어하며, 제2 스위치(112)를 온 상태와 오프 상태가 교대로 반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메인 릴레이(R1)의 동작 상태는 오프 상태이고, 제2 메인 릴레이(R2)는 동작 상태가 온 상태일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제1 진단 명령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스위치(111)와 제3 스위치(114)를 각각 오프 상태와 온 상태로 제어한 후, 제2 스위치(112)의 동작 상태만을 온 상태와 오프 상태가 교대로 반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위치(111)와 제3 스위치(114)를 각각 오프 상태와 온 상태로 제어한 후, 제2 스위치(112)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B)의 출력 전압은 제1 메인 릴레이(R1), 인덕터(113), 제2 스위치(112), 제3 스위치(114) 및 제2 메인 릴레이(R2)가 차례로 직렬 연결된 폐회로에 인가되고, 제1 메인 릴레이(R1)에는 전압이 인가되며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위치(111)와 제3 스위치(114)를 각각 오프 상태와 온 상태로 제어한 후, 제2 스위치(112)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B)의 양극 단자(P)와 음극 단자(P)에 연결된 모든 회로가 개방되어 제1 메인 릴레이(R1)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며 전류가 흐르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20)는 제1 스위치(111)와 제3 스위치(114)를 각각 오프 상태와 온 상태로 제어한 후, 제2 스위치(112)의 동작 상태만을 온 상태와 오프 상태가 교대로 반복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메인 릴레이(R1)에 교류 전압을 인가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20)는 상술된 복수의 스위치(111, 112, 114) 제어를 통해 제1 메인 릴레이(R1)에 미리 설정된 제1 전류값의 교류 전류가 흐르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메인 릴레이(R1)에 미리 설정된 제1 주파수의 교류 전류가 흐르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진단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메인 릴레이(R1)의 고장을 진단하기 위하여 제어부(120)로 제1 진단 명령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진단부(130)는 제어부(120)가 프리차지부(110)에 구비된 복수의 스위치(111, 112, 114)를 제어함에 따라 교류 전압이 인가된 제1 메인 릴레이(R1)의 제1 양단 전압값에 기초하여 제1 메인 릴레이(R1)의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단부(130)는 제어부(120)로 제1 진단 명령 신호를 송신한 이후, 제1 메인 릴레이(R1)에 교류 전압이 인가된 경우, 제1 양단 전압값과 제1 부분 융착 전압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제1 양단 전압값이 제1 부분 융착 전압값과 동일하면, 제1 메인 릴레이(R1)에 부분 융착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반대로, 진단부(130)는 제어부(120)로 제1 진단 명령 신호를 송신한 이후, 제1 메인 릴레이(R1)에 교류 전압이 인가된 경우, 제1 양단 전압값과 미리 설정된 제1 정상 전압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제1 양단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제1 정상 전압값과 동일하면, 제1 메인 릴레이(R1)에 부분 융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분 융착 전압값은 제1 진단 명령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20)가 복수의 스위치(111, 112, 114)를 제어함에 따라 부분 융착이 발생된 제1 메인 릴레이(R1)에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제1 메인 릴레이(R1)의 양단에서 측정되는 전압값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 융착이 발생되지 않은 제1 메인 릴레이(R1)는 동작 상태가 오프 상태인 경우, 제1 가동 접점(OP1)과 고정 접점(FP) 사이에 커패시턴스 성분 C가 발생되고, 제2 가동 접점(OP2)과 고정 접점(FP) 사이 또한 커패시턴스 성분 C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분 융착이 발생되지 않은 제1 메인 릴레이(R1)는 두 개의 커패시턴스 성분 C가 직렬 연결되어 총 커패시턴스 성분 C/2가 발생될 수 있다.
반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 융착이 발생된 제1 메인 릴레이(R1)는 동작 상태가 오프 상태인 경우, 제1 가동 접점(OP1)과 고정 접점(FP) 사이에 커패시턴스 성분이 없어지고, 제2 가동 접점(OP2)과 고정 접점(FP) 사이 또한 커패시턴스 성분 C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분 융착이 발생된 제1 메인 릴레이(R1)는 한 개의 커패시턴스 성분 C만이 발생되어 총 커패시턴스 성분 C가 발생될 수 있다.
제1 진단 명령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메인 릴레이(R1)에 미리 설정된 제1 전류값과 미리 설정된 제1 주파수의 교류 전류가 흐르도록 복수의 스위치(111, 112, 114)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진단부(130)는 미리 설정된 제1 전류값, 미리 설정된 제1 주파수 및 부분 융착이 발생된 제1 메인 릴레이(R1)의 총 커패시턴스를 이용하여 제1 부분 융착 전압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제1 부분 융착 전압값과 제1 메인 릴레이(R1)의 제1 양단 전압값을 비교하여 제1 메인 릴레이(R1)의 부분 융착을 진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단부(130)는 하기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제1 부분 융착 전압값을 설정할 수 있다.
<수학식 3>
V1'=I1(π/2)fC
여기서, V1'은 제1 부분 융착 전압값, I1는 미리 설정된 제1 전류 값, f는 미리 설정된 제1 주파수 및 C는 부분 융착이 발생한 제1 메인 릴레이(R1)의 총 커패시턴스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진단부(130)는 제1 메인 릴레이(R1)의 제1 양단 전압값이 제1 부분 융착 전압값과 동일하면 제1 메인 릴레이(R1)에 부분 융착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상술된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부(130)는 제1 양단 전압값이 제1 부분 융착 전압값과 동일하면 제1 메인 릴레이(R1)의 부분 융착을 진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부(130)는 설정된 제1 부분 융착 전압값을 기준으로 제1 부분 융착 전압 범위를 다시 설정하고, 제1 양단 전압값이 제1 부분 융착 전압 범위에 포함되면 제1 메인 릴레이(R1)에 부분 융착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부(130)는 배터리 팩(1000) 내의 회로 구성과 전압 센서 및 전류 센서로 인한 측정 오차로 발생하는 진단 오류를 방지 할 수 있다.
한편, 진단부(130)는 미리 설정된 제1 전류값, 미리 설정된 제1 주파수 및 부분 융착이 발생된 제1 메인 릴레이(R1)의 총 커패시턴스를 이용하여 제1 정상 전압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제1 정상 전압값과 제1 메인 릴레이(R1)의 제1 양단 전압값을 비교하여 제1 메인 릴레이(R1)의 정상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단부(130)는 하기의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제1 정상 전압값을 설정할 수 있다.
<수학식 4>
V1=I1(π/2)f(C/2)
여기서, V1은 제1 정상 전압값, I1는 미리 설정된 제1 전류 값, f는 미리 설정된 제1 주파수 및 C는 부분 융착이 발생한 제1 메인 릴레이(R1)의 총 커패시턴스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진단부(130)는 제1 메인 릴레이(R1)의 제1 양단 전압값이 제1 정상 전압값과 동일하면 제1 메인 릴레이(R1)에 부분 융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상술된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부(130)는 제1 양단 전압값이 제1 정상 전압값과 동일하면 제1 메인 릴레이(R1)의 부분 융착을 진단하지 않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부(130)는 설정된 제1 정상 전압값을 기준으로 제1 정상 전압 범위를 다시 설정하고, 제1 양단 전압값이 제1 정상 전압 범위에 포함되면 제1 메인 릴레이(R1)에 부분 융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부(130)는 배터리 팩(1000) 내의 회로 구성과 전압 센서 및 전류 센서로 인한 측정 오차로 발생하는 진단 오류를 방지 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부(130)는 제1 양단 전압값이 제1 부분 융착 전압값과 상이하면 제1 메인 릴레이(R1)에 부분 융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단부(130)는 제1 양단 전압값이 제1 부분 융착 전압값 및 제1 정상 전압값과 상이하면 제1 메인 릴레이(R1)에 부분 융착 외에 다른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한편, 진단부(130)는 제1 메인 릴레이(R1)에 부분 융착이 발생된 것으로 진단되면 제1 메일 릴레이 및 제2 메일 릴레이의 동작 상태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배터리 팩(1000)의 충방전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의 프리차지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가 프리차지를 수행하기 위하여 프리차지부(110)에 구비된 복수의 스위치(111, 112, 114)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더 참조하면, 진단부(130)는 프리차지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2 메인 릴레이(R2)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제어한 후 프리차지를 수행하기 위한 프리차지 명령 신호를 제어부(120)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프리자지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차지 명령 신호에 대응하여 제2 스위치(112)를 온 상태로 제어하고, 제1 스위치(111)와 제3 스위치(114)를 온 상태와 오프 상태가 교대로 반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메인 릴레이(R1)의 동작 상태는 오프 상태이고, 제2 메인 릴레이(R2)는 동작 상태가 온 상태일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프리차지 명령 신호가 수신되면, 제2 스위치(112)를 온 상태로 제어하고, 제1 스위치(111)와 제3 스위치(114)를 오프 상태와 온 상태가 교대로 반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위치(112)를 온 상태로 제어한 후, 제1 스위치(111)와 제3 스위치(114)를 각각 온 상태와 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B)의 출력 전압은 제1 스위치(111), 제2 스위치(112), 인덕터(113), 출력 커패시터(VC) 및 제2 메인 릴레이(R2)가 차례로 직렬 연결된 폐회로에 인가되어, 인덕터(113)와 출력 커패시터(VC)가 충전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2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위치(112)를 온 상태로 제어한 후, 제1 스위치(111)와 제3 스위치(114)를 각각 오프 상태와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B)의 양극 단자(P)와 음극 단자(P)가 연결된 회로가 개방되어 제2 스위치(112), 인덕터(113), 출력 커패시터(VC), 제3 스위치(114)가 차례로 직력 연결된 폐회로가 구성되고, 폐회로 내에서 인덕터(113)에 충전된 전력이 출력 커패시터(VC)로 충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20)의 스위치 제어에 따라 배터리 팩(1000)의 제1 충방전 단자(T1)와 제2 충방전 단자(T2)에는 배터리 모듈(B)의 고전압이 급격하게 출력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의 상술된 스위치 제어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경우, 출력 커패시터(VC)의 충전 전압을 서서히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진단부(130)는 출력 커패시터(VC)의 충전 전압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프리차지를 종료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단부(130)는 출력 커패시터(VC)의 충전 전압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값을 비교한 결과, 충전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값을 초과하는 경우, 프리차지를 종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단부(130)는 충전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값을 초과하면, 제어부(120)로 프리차지 종료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프리차지 종료 명령을 수신하면 프리차지부(110)에 구비된 모든 복수의 스위치(111, 112, 114)의 동작 상태를 오프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진단부(130)는 오프 상태로 유지된 제1 메인 릴레이(R1)의 동작 상태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배터리 모듈(B)의 양극 단자(P)와 제1 충방전 단자(T1)를 연결시키고, 배터리 모듈(B)의 음극 단자(P)와 제2 충방전 단자(T2)를 연결시킴으로써, 배터리 팩(1000)의 전력을 외부로 출력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전자식 반도체인 모스펫으로 구성된 복수의 스위치(111, 112, 114)를 파형을 발생시키는 제어부(120)를 통해 제어함으로써, 프리차지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1000)은, 상술한 배터리 모듈(B)을 하나 이상 포함한다. 이때, 배터리 팩(1000)에는 배터리 모듈(B) 이외에, 이러한 배터리 모듈(B)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 카트리지 및 버스바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1000)은, 상술된 배터리 관리 장치(100)를 더 포함하여 프리차지를 수행하고 메인 릴레이의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는,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0: 배터리 팩 100: 배터리 관리 장치
110: 프리차지부 120: 제어부
130: 진단부

Claims (10)

  1. 배터리 모듈, 제1 충방전 단자, 제2 충방전 단자, 상기 배터리 모듈의 양극 단자와 상기 제1 충방전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1 메인 릴레이 및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음극 단자와 상기 제2 충방전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2 메인 릴레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을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와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와 상기 제2 충방전 단자 사이에 연결된 프리차지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출력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압하여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또는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에 인가되도록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교류 전압이 인가된 제1 메인 릴레이의 제1 양단 전압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거나, 상기 교류 전압이 인가된 제2 메인 릴레이의 제2 양단 전압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진단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차지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와 상기 양극 단자 사이의 제1 노드에 일단이 연결된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된 제2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와 상기 제1 충방전 단자 사이의 제2 노드에 타단이 연결된 인덕터 및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 사이의 제3 노드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와 상기 제2 충방전 단자 사이의 제4 노드에 타단이 연결된 제3 스위치를 구비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와 상기 제2 메인 릴레이가 오프 상태로 제어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3 스위치를 온 상태로 제어한 후, 상기 제1 스위치가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교대로 반복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에 상기 교류 전압을 인가시키는 배터리 관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가 오프 상태로 제어되고 상기 제2 메인 릴레이가 온 상태로 제어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3 스위치를 온 상태로 제어한 후, 상기 제2 스위치가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교대로 반복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에 상기 교류 전압을 인가시키는 배터리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에 상기 교류 전압이 인가된 경우, 상기 제1 양단 전압값과 제1 부분 융착 전압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제1 양단 전압값이 상기 제1 부분 융착 전압값과 동일하면,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에 부분 융착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에 상기 교류 전압이 인가된 경우, 상기 제1 양단 전압값과 미리 설정된 제1 정상 전압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제1 양단 전압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정상 전압값과 동일하면,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에 부분 융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진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에 상기 교류 전압이 인가된 경우, 상기 제2 양단 전압값과 제2 부분 융착 전압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제2 양단 전압값이 상기 제2 부분 융착 전압값과 동일하면,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에 부분 융착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에 상기 교류 전압이 인가된 경우, 상기 제2 양단 전압값과 미리 설정된 제2 정상 전압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제2 양단 전압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제2 정상 전압값과 동일하면, 상기 제2 메인 릴레이에 부분 융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진단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9. 상기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10. 상기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70123460A 2017-09-25 2017-09-25 배터리 관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204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460A KR102204983B1 (ko) 2017-09-25 2017-09-25 배터리 관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JP2019544746A JP6780205B2 (ja) 2017-09-25 2018-09-05 バッテリー管理装置、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
EP18858054.2A EP3588731B1 (en) 2017-09-25 2018-09-05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battery pack and automobile including same
PCT/KR2018/010377 WO2019059567A1 (ko) 2017-09-25 2018-09-05 배터리 관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N201880007666.6A CN110199454B (zh) 2017-09-25 2018-09-05 电池管理装置以及包括电池管理装置的电池组和车辆
US16/549,135 US11056894B2 (en) 2017-09-25 2019-08-23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battery pack and automobile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460A KR102204983B1 (ko) 2017-09-25 2017-09-25 배터리 관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888A true KR20190034888A (ko) 2019-04-03
KR102204983B1 KR102204983B1 (ko) 2021-01-18

Family

ID=65811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460A KR102204983B1 (ko) 2017-09-25 2017-09-25 배터리 관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56894B2 (ko)
EP (1) EP3588731B1 (ko)
JP (1) JP6780205B2 (ko)
KR (1) KR102204983B1 (ko)
CN (1) CN110199454B (ko)
WO (1) WO2019059567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9368A (zh) * 2019-11-12 2020-02-1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预充电路及其控制方法
CN111591169A (zh) * 2020-05-29 2020-08-28 重庆长安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高压回路、控制方法及电动汽车
WO2021006626A1 (ko) * 2019-07-10 2021-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WO2021101322A1 (ko) * 2019-11-21 2021-05-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Mux를 포함하는 병렬구조 mosfet의 진단회로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KR20210064932A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회로 진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12924859A (zh) * 2021-01-26 2021-06-08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高压预充回路及继电器粘连状态检测方法
WO2022203325A1 (ko) * 2021-03-24 2022-09-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US11815556B2 (en) 2019-11-13 2023-11-14 Lg Energy Solution,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failure of switch unit included in multi battery p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983B1 (ko) * 2017-09-25 2021-0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관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20210042655A (ko) * 2019-10-10 2021-04-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히팅 패드 제어 장치
CN111016655B (zh) * 2019-12-16 2021-03-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空调充电控制电路、方法及电压检测方法
KR20210080070A (ko)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병렬 배터리 릴레이 진단 장치 및 방법
CN113721137A (zh) * 2020-05-25 2021-11-30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回路中继电器的检测方法、装置及车辆
CN113022480B (zh) * 2021-02-04 2022-10-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的控制方法、装置、空调、存储介质及处理器
TWI761249B (zh) * 2021-07-05 2022-04-11 倍米科技股份有限公司 可從電池箱外直接連接箱內芯塊電極的外接裝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2336A (ko) * 2011-05-26 2012-12-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241226B1 (ko) * 2011-10-27 2013-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차량의 메인 릴레이 모니터링장치 및 방법
JP2013206643A (ja) * 2012-03-28 2013-10-07 Hitachi Ltd 電池システムのリレー溶着検知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池システム
KR20140025627A (ko) * 2012-08-21 2014-03-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릴레이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79112A (ko) * 2012-12-18 201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31808A (ko) * 2014-09-15 2016-03-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8696A1 (ja) 2003-03-31 2004-10-14 Nec Lamilion Energy Ltd. リレー接点の溶着の検出方法及び装置
JP4265381B2 (ja) * 2003-11-13 2009-05-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リレーの故障判定装置およびリレーの故障判定方法
JP2006278210A (ja) * 2005-03-30 2006-10-12 Toyota Motor Corp 故障診断装置および故障診断方法
JP5675045B2 (ja) * 2008-11-26 2015-02-25 三洋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システム
JP2010141958A (ja) * 2008-12-09 2010-06-24 Denso Corp 車載電源装置
JP5200986B2 (ja) 2009-02-17 2013-06-05 新神戸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
CN102646960B (zh) * 2011-02-22 2016-10-05 北京科易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组主回路接口保护电路及保护方法
JP5697034B2 (ja) 2011-03-30 2015-04-0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車両用電源供給回路
JP5461478B2 (ja) * 2011-06-15 2014-04-0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充電システムおよび電動車両
JP5265736B2 (ja) * 2011-07-05 2013-08-14 富士重工業株式会社 充電システム、電動車両、および充電器
KR20140029800A (ko) * 2012-08-30 2014-03-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JP5955714B2 (ja) * 2012-09-18 2016-07-20 株式会社東芝 電池パックおよび電気自動車
KR102052956B1 (ko) * 2013-05-21 2019-1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릴레이 진단장치 및 배터리 제어 시스템
JP2015095442A (ja) 2013-11-14 2015-05-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スイッチ診断装置、スイッチ回路及びスイッチ診断方法
CN203967797U (zh) * 2014-07-15 2014-11-26 中国兵器工业第二0八研究所 电动汽车充电机输出保护电路
KR101716886B1 (ko) * 2014-11-07 2017-03-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정확한 진단 전압의 측정이 가능한 전기 접촉기 진단 장치
KR101853427B1 (ko) * 2015-04-27 2018-04-30 한국알박(주) 차량용 고전압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CN204679600U (zh) * 2015-06-19 2015-09-30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包高压继电器粘合故障诊断系统
KR101780396B1 (ko) 2015-06-29 2017-09-20 주식회사 코캄일렉트로닉스 배터리 보호 장치 및 방법
KR102432318B1 (ko) 2015-07-21 2022-08-1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pra 제어방법
KR102065737B1 (ko) 2016-02-18 2020-0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컨택터의 상태를 진단하는 충방전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99287A (ko) 2016-02-23 2017-08-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터리 디스커넥트 유닛의 릴레이 감시 장치
KR101916510B1 (ko) 2016-04-29 2018-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압 수소 저장용기 라이너 사출 장치 및 방법
KR102204983B1 (ko) * 2017-09-25 2021-0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관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JP6903820B2 (ja) * 2018-04-02 2021-07-14 株式会社東芝 電池装置および車両
JP6965830B2 (ja) * 2018-05-24 2021-1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源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2336A (ko) * 2011-05-26 2012-12-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241226B1 (ko) * 2011-10-27 2013-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차량의 메인 릴레이 모니터링장치 및 방법
JP2013206643A (ja) * 2012-03-28 2013-10-07 Hitachi Ltd 電池システムのリレー溶着検知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池システム
KR20140025627A (ko) * 2012-08-21 2014-03-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릴레이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79112A (ko) * 2012-12-18 201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31808A (ko) * 2014-09-15 2016-03-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6626A1 (ko) * 2019-07-10 2021-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CN110789368A (zh) * 2019-11-12 2020-02-1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预充电路及其控制方法
US11815556B2 (en) 2019-11-13 2023-11-14 Lg Energy Solution,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failure of switch unit included in multi battery pack
WO2021101322A1 (ko) * 2019-11-21 2021-05-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Mux를 포함하는 병렬구조 mosfet의 진단회로 및 이를 이용한 진단방법
KR20210064932A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회로 진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21107627A1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회로 진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11591169A (zh) * 2020-05-29 2020-08-28 重庆长安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高压回路、控制方法及电动汽车
CN111591169B (zh) * 2020-05-29 2022-11-04 重庆长安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高压回路、控制方法及电动汽车
CN112924859A (zh) * 2021-01-26 2021-06-08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高压预充回路及继电器粘连状态检测方法
WO2022203325A1 (ko) * 2021-03-24 2022-09-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199454B (zh) 2023-06-06
EP3588731B1 (en) 2022-02-09
EP3588731A4 (en) 2020-02-12
CN110199454A (zh) 2019-09-03
KR102204983B1 (ko) 2021-01-18
US11056894B2 (en) 2021-07-06
JP6780205B2 (ja) 2020-11-04
EP3588731A1 (en) 2020-01-01
US20190379217A1 (en) 2019-12-12
WO2019059567A1 (ko) 2019-03-28
JP2020511103A (ja) 202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4983B1 (ko) 배터리 관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056876B1 (ko) 배터리 관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N109975695B (zh) 电系统和诊断电系统中的功率继电器的功能能力的方法
US8120365B2 (en) Power control unit
CN101740839B (zh) 电池系统
US9682673B2 (en) Vehicle power source device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power source device
JP6694548B2 (ja) 電圧分配を用いたヒューズ診断装置および方法
EP2793308A1 (en) Battery modu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15719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agnosing switch using voltage distribution
KR101610921B1 (ko) 선택적 스위칭을 이용한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80023647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1856068B1 (ko) 배터리 팩 전압을 이용한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JP2014007821A (ja) 車両に搭載される蓄電装置の制御装置
JP2014147138A (ja) 蓄電池システム
JP5678915B2 (ja) バッテリ充電制御装置
CN112290608B (zh) 电源的控制方法
JP2018057115A (ja) 電源制御装置及び電源システム
US20210188111A1 (en)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al energy store by means of voltage pulses
Pusya et al. An Investigation into Battery Modelling for Electric Vehicles and Applications for Electric Power Systems
JP2023178577A (ja) 蓄電池制御装置、蓄電システム、及び蓄電池制御方法
CN110609240A (zh) 检测设备和用于运行检测设备的方法
CN117543740A (zh) 蓄电系统
JP2023542972A (ja) 電池管理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JP2013132144A (ja) 蓄電システムおよび異常判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