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4594A - 기계 구조용 강 - Google Patents

기계 구조용 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4594A
KR20190034594A KR1020197005584A KR20197005584A KR20190034594A KR 20190034594 A KR20190034594 A KR 20190034594A KR 1020197005584 A KR1020197005584 A KR 1020197005584A KR 20197005584 A KR20197005584 A KR 20197005584A KR 20190034594 A KR20190034594 A KR 20190034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usions
steel
mns
content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키 하시무라
마코토 에가시라
다카노리 이와하시
쇼우지 도우도우
Original Assignee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4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4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22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cooling cast stock or mould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6Deoxidising, e.g. ki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10Handling in a vacu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6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lead, selenium, tellurium, or antimony, or more than 0.04% by weight of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4Dispersions; Precipi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1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hot wor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피삭성, 녹 발생 특성이 우수하고, 전동 피로 특성이 우수한 기계 부품을 얻을 수 있는 기계 구조용 강을 제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기계 구조용 강은, 질량%로, C:0.30~0.50%, Si:0.01~0.80%, Mn:0.20~2.00%, P:0.030% 이하, S:0.010~0.100%, Pb:0.010~0.100%, Al:0.010~0.050%, N:0.015% 이하, O:0.0005~0.0030%, 및, Cr:0.70% 초과~2.00%를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식 (1)을 만족하는 화학 조성을 가진다. 강 중에 포함되는, MnS 개재물, Pb 개재물, 및, MnS 및 Pb를 함유하는 복합 개재물 중 어느 하나이며, 원상당경이 5μm 이상인 특정 개재물의 총 개수가 40개/mm2 이상이다.
Mn/S≥8.0 (1)
여기서, 식 (1) 중의 각 원소에는, 대응하는 원소의 함유량(질량%)이 대입된다.

Description

기계 구조용 강
본 발명은, 강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기계 구조용 강에 관한 것이다.
일반 기계나 자동차의 부품 등의 구조용 및 동력 전달용으로 이용되는 기계 부품에는, 우수한 전동 피로 특성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기계 부품의 제조 방법의 일례는 다음과 같다. 기계 구조용 강을 열간 가공(열간 단조 등)하여, 중간품을 제조한다. 중간품을 기계 가공(절삭 가공, 연삭 가공)하여 기계 부품을 제조한다. 필요에 따라, 기계 부품에 대해 열처리(불림 등), 표면 경화 열처리(고주파 담금질 등), 또는, 담금질 뜨임을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기계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기계 구조용 강에는, 우수한 피삭성이 요구된다.
피삭성이 우수한 기계 구조용 강은 쾌삭강이라고도 불리며, JIS G 4804(2008)(비특허문헌 1)에 규정되어 있다. 쾌삭강은 Pb를 함유함으로써 피삭성을 높인다.
Pb를 함유하는 기계 구조용 강은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공개 2000-282172호 공보(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계 구조용 강재는, 질량%로, C:0.05~0.55%, Si:0.50~2.5%, Mn:0.01~2.00%, S:0.005~0.080%, Cr:0~2.0%, P:0.035% 이하, V:0~0.50%, N:0.0150% 이하, Al:0.04% 이하, Ni:0~2.0%, Mo:0~1.5%, B:0~0.01%, Bi:0~0.10%, Ca:0~0.05%, Pb:0~0.12%, Ti:0~0.04% 미만, Zr:0~0.04% 미만이며, 또한, Ti(%)+Zr(%):0~0.04% 미만, Te:0~0.05%, Nd:0~0.05%, Nb:0~0.1%, Cu:0~1.5%, Se:0~0.5%를 함유하고,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fn1의 값이 100 이하,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fn2의 값이 0 이상,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fn3의 값이 3.0 이상을 만족하고, 잔부가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화학 조성을 가진다. 또한, 면적 비율로 조직에서 차지하는 페라이트상의 비율이 10~80%이며, Hv 경도가 160~350이다. 여기서, fn1=100 C+11Si+18Mn+32Cr+45Mo+6V, fn2=-23C+Si(5-2Si)-4Mn+104S-3Cr-9V+10, fn3=3.2C+0.8Mn+5.2S+0.5Cr-120N+2.6Pb+4.1Bi-0.001α2+0.13α이다. 각 식에 있어서의 원소 기호는 그 원소의 질량%로의 함유량을 나타내고, α는 조직에 있어서의 페라이트상의 면적 비율(%)을 나타낸다. 이 기계 구조용 강재는, 피삭성 및 인성이 우수하다고 특허문헌 1에는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0-282172호 공보
일본 공업 표준 조사회, 규격 번호:JIS G 4804(2008), 규격 명칭:황 및 황 복합 쾌삭강 강재
그런데, 절삭 가공 등의 기계 가공은, 자동화된 제조 설비로 실시되는 경우가 있다. 자동화된 제조 설비로 1일에 수백개 이상 등, 대량으로 중간품을 절삭 가공하여 기계 부품을 제조하는 경우, 우수한 칩 처리성이 요구된다. 절삭에 수반하여 배출되는 칩은 작게 분단되어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칩이 길게 연결된 상태인 경우, 중간품에 칩이 달라붙어, 절삭 후의 기계 부품의 표면에 흠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칩이 기계 부품에 달라붙은 경우는 또한, 달라붙은 칩을 제거하기 위해, 제조 라인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무인으로의 제조가 곤란하게 되어, 감시를 위한 인원 배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칩 처리성은, 기계 부품의 품질 및 제조 비용의 양면에 영향을 준다. 또한, 자동화된 제조 설비에 있어서, 공구의 마모가 많으면, 생산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기계 구조용 강에서는, 공구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고, 칩 처리성이 우수하다는, 높은 피삭성이 요구된다.
자동화된 제조 설비를 이용한 절삭 가공에서는 또한, 기계 부품에 녹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자동화된 제조 설비에서는, 무인으로의 조업의 관점에서, 수용성의 절삭유가 이용된다. 그 때문에, 기계 부품에 녹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녹은 형상 오차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기계 부품에 도금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품질 불량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절삭 후의 기계 부품은, 절삭 후 다음 공정까지의 동안에, 버킷내 등에서 장기간 대기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국내에서 절삭 가공하고, 다음 공정이 타국의 다른 공장에서 처리되는 경우, 절삭 후, 다음 공정이 실시될 때까지, 수일~수개월의 기간이 경과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기계 구조용 강에는, 피삭성 뿐만이 아니라, 녹의 발생을 억제하는 특성(이하, 녹 발생 특성이라고 한다)도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삭성 및 녹 발생 특성이 우수하고, 전동 피로 특성이 우수한 기계 부품을 얻을 수 있는 기계 구조용 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기계 구조용 강은, 질량%로, C:0.30~0.50%, Si:0.01~0.80%, Mn:0.20~2.00%, P:0.030% 이하, S:0.010~0.100%, Pb:0.010~0.100%, Al:0.010~0.050%, N:0.015% 이하, O:0.0005~0.0030%, Cr:0.70% 초과~2.00%, Ni:0~3.50%, B:0~0.0050%, V:0~0.70%, Mo:0~0.70%, W:0~0.70%, Nb:0~0.050% 미만, Cu:0~0.50%, Ti:0~0.100%, 및, Ca:0~0.0030%를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식 (1)을 만족하는 화학 조성을 가진다. 강 중에 있어서, MnS 개재물, Pb 개재물, 및, MnS 및 Pb를 함유하는 복합 개재물 중 어느 하나이며, 원상당경이 5μm 이상인 특정 개재물의 총 개수가 40개/mm2 이상이다.
Mn/S≥8.0 (1)
여기서, 식 (1) 중의 각 원소에는, 대응하는 원소의 함유량(질량%)이 대입된다.
본 발명에 의한 기계 구조용 강은, 피삭성 및 녹 발생 특성이 우수하고, 전동 피로 특성이 우수한 기계 부품을 얻을 수 있다.
도 1a는, EPMA 분석에 의해 얻어진, 관찰면 중의 S 분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b는, EPMA 분석에 의해 얻어진, 도 1a와 동일한 관찰면 중의 Pb 분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c는, 도 1a 및 도 1b를 합성한 화상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서로 이웃하는 개재물을 1개의 개재물로 간주하는지 여부의 판단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은, 주조된 소재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절삭 시험을 설명하기 위한 절삭 시험기의 모식도이다.
도 5a는, 칩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칩의 평면 사진도이다.
도 6은, 전동 피로 시험에 이용한 전동 피로 시험편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은, 전동 피로 시험을 설명하기 위한 스러스트형 전동 피로 시험기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자들은, 기계 구조용 강의 피삭성 및 녹 발생 특성에 대해서 조사 및 검토를 실시했다. 그 결과, 질량%로, C:0.30~0.50%, Si:0.01~0.80%, Mn:0.20~2.00%, P:0.030% 이하, S:0.010~0.100%, Pb:0.010~0.100%, Al:0.010~0.050%, N:0.015% 이하, O:0.0005~0.0030%, Cr:0.70% 초과~2.00%, Ni:0~3.50%, B:0~0.0050%, V:0~0.70%, Mo:0~0.70%, W:0~0.70%, Nb:0~0.050% 미만, Cu:0~0.50%, Ti:0~0.100%, 및, Ca:0~0.0030%를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화학 조성을 가지는 기계 구조용 강이면, 우수한 피삭성을 얻을 수 있어, 담금질 뜨임 후에 우수한 전동 피로 특성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했다.
강 중의 Mn은, S와 결합하여 MnS를 생성한다. MnS는, 그 생성 과정에 따라, MnS 개재물과, MnS 석출물로 나눠진다. MnS 개재물은, 응고 전의 용강 중에 정출된다. 한편, MnS 석출물은 응고 후에 강 중에 석출된다. MnS 개재물은 용강 중에 생성된다. 그 때문에, MnS 개재물의 사이즈는, 응고 후에 생성되는 MnS 석출물과 비교해, 커지기 쉽다.
한편, 강 중의 Pb는, 강에 거의 고용되지 않고, Pb 개재물(Pb 입자)로서 존재한다. MnS 개재물 및 Pb 개재물은 모두, 강의 피삭성을 높인다.
또한, 강 중에 Mn 및 Pb가 존재하는 경우, Mn 및 Pb는, 상술한 MnS 개재물, Pb 개재물 외에, MnS 및 Pb를 함유하는 복합 개재물(이후, 간단히 「복합 개재물」이라고도 칭한다)을 형성한다. 복합 개재물은, MnS 및 Pb를 함유하고, 잔부는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개재물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합 개재물은, MnS와 Pb가 서로 인접하여 구성되는 경우도 있고, MnS 중에 Pb가 고용되어 복합 개재물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MnS 개재물」, 「Pb 개재물」, 「복합 개재물」은, 후술하는 「개수 TN 및 RA 측정 방법」의 항목에 기재된 방법으로 특정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MnS 개재물은, Mn과 S를 함유하고, Pb를 함유하지 않는 개재물이다. Pb 개재물은, Pb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Mn을 함유하지 않는 개재물이다. 복합 개재물은, Mn과 S와 Pb를 함유하는 개재물이다.
MnS 개재물은, 피삭성을 높이는 개재물로서 알려져 있다. 한편, Pb 개재물의 융점은 MnS 개재물의 융점보다 낮다. 그 때문에, Pb 개재물은 절삭 시에 윤활 작용을 발휘하여, 그 결과, 강의 피삭성을 높인다.
또한, 복합 개재물은, MnS 개재물, 및, Pb 개재물 단체보다, 강의 피삭성을 높인다고 생각할 수 있다. 복합 개재물 주변에서 균열이 발생한 경우, 개구한 크랙에 액상화된 Pb가 침입한다. 이것에 의해, 크랙의 진전이 촉진되어, 피삭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MnS 개재물, Pb 개재물이 생성될 뿐만 아니라, 복합 개재물이 생성되면, 피삭성이 더 높아진다.
복합 개재물이 생성되는 기구는 다음과 같다고 생각할 수 있다. Pb는 고상보다 액상 쪽이 움직이기 쉽다. 따라서, 복합 개재물은, 강의 응고 후에 생성되는 MnS 석출물로부터는 거의 생성되지 못하고, 응고 전의 용강 중에 생성되는 MnS 개재물에 Pb가 부착됨으로써 생성된다. 따라서, 복합 개재물을 많이 생성하기 위해서는, 응고 후에 MnS 석출물을 생성하는 것보다, 용강 중에 있어서 MnS 개재물을 많이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대로, 강의 피삭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MnS 개재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을 다수 생성하면 된다. 상술한 대로, MnS 개재물은 정출에 의해 용강 중에 생성된다. 또한, 상술한 대로, 복합 개재물은, MnS 개재물이 많을수록 많이 생성된다. 따라서, 용강 중에 있어서, MnS 개재물을 많이 정출시키면, 강의 피삭성이 높아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한편,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을 함유하는 기계 구조용 강은, 녹이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기계 구조용 강의 녹 발생의 메카니즘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상세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녹 발생의 메카니즘에 대해서, 조사 및 검토를 실시했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다음의 지견을 얻었다.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 자체가, 녹의 기점이 된다. 여기서, 녹 발생 용이성은,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의 크기보다,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의 총 개수에 의존한다. 구체적으로는,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의 총 개수가 증가할수록, 강은 녹이 발생하기 쉽다. 이상의 지견에 의거하여,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피삭성을 얻으면서, 녹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의 총 개수를 저감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의 총 개수를 저감하는 방법에 대해서 검토했다.
상술한 대로, 용강 중에서 정출에 의해 생성된 MnS 개재물은, 용강 중에서 성장(조대화)하기 쉽다. 그 때문에, MnS 개재물은, 응고 후의 강 중에서 석출에 의해 생성되는 MnS 석출물보다 사이즈가 크다. 즉, MnS 석출물은 MnS 개재물보다 미세하게 석출된다. 그 때문에, Mn 함유량 및 S 함유량이 일정한 강에 있어서, MnS 개재물을 정출시키는 경우와 MnS 석출물을 석출시키는 경우를 상정한 경우, 정출에 의해 생성되는 MnS 개재물의 개수보다, 석출에 의해 생성되는 MnS 석출물의 개수가 현저하게 많아진다. 따라서, 강의 녹 발생 특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용강 중에 있어서 MnS 개재물을 정출하여, 성장(조대화)시킴으로써, MnS 석출물의 석출을 억제하면 된다.
용강 중에서 MnS 개재물을 정출하여 성장시킴으로써, MnS 석출물의 석출을 억제하여, 그 결과,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의 총 개수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S 함유량과 비교해 Mn 함유량을 충분히 높이면 된다. Mn 함유량이 S 함유량보다 충분히 높으면, 용강 중에 있어서 조대한 MnS 개재물이 생성되기 쉬워진다. 이 경우, 조대 MnS 개재물의 정출에 S가 소비되기 때문에, 응고 후의 강 중의 고용 S량이 낮아진다. 그 때문에, MnS 석출물의 석출을 억제할 수 있어,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의 총 개수를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우수한 녹 발생 특성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Mn 함유량 및 S 함유량은 다음의 식 (1)을 만족한다.
Mn/S≥8.0 (1)
여기서, 식 (1) 중의 각 원소 기호에는, 대응하는 원소의 함유량(질량%)이 대입된다.
F1=Mn/S라고 정의한다. F1이 8.0 미만이면, 용강 중에 있어서 MnS 개재물이 충분히 정출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응고 후의 강 중의 고용 S량이 충분히 저감되지 못하여, 응고 후에, 미세한 MnS 석출물이 다수 생성된다. 이 경우,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의 총 개수를 저감할 수 없기 때문에, 강의 녹 발생 특성이 저하된다. 한편, F1이 8.0 이상이면, S 함유량과 비교해 Mn 함유량이 충분히 높다. 이 경우, 적절한 제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용강 중에 있어서 MnS 개재물이 충분히 정출되어 성장한다. 그 결과, 응고 후의 강 중의 고용 S량이 충분히 저감되어, 응고 후의 강 중에 있어서의 MnS 석출물의 석출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의 총 개수를 충분히 저감할 수 있어, 강의 녹 발생 특성이 높아진다.
여기서, MnS 개재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 중 어느 하나이며, 원상당경이 5μm 이상인 개재물을 「특정 개재물」로 정의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원상당경이란, 미크로 조직 관찰에 있어서 관찰되는 개재물 또는 석출물의 면적을, 동일 면적을 가지는 원으로 환산한 경우의 원의 직경을 의미한다. 이 경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또한, 상기 화학 조성을 가지고, 식 (1)을 만족하는 기계 구조용 강에 있어서, 특정 개재물의 총 개수가 40개/mm2 이상이다.
강 중의 특정 개재물이 40개/mm2 이상이면, 조대한 MnS 개재물이 충분히 정출되어, MnS 석출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녹 발생의 기점이 되는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의 총 개수를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우수한 피삭성과, 우수한 녹 발생 특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한편, 강 중의 특정 개재물이 40개/mm2 미만이면, MnS 개재물이 충분히 정출되지 않고, MnS 석출물이 다수 생성된다. 그 결과, MnS 석출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녹 발생의 기점이 되는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의 총 개수를 충분히 저감할 수 없다. 그 결과, 우수한 피삭성은 얻을 수 있지만, 충분한 녹 발생 특성을 얻을 수 없다.
이상의 지견에 의거하여 완성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기계 구조용 강은, 질량%로, C:0.30~0.50%, Si:0.01~0.80%, Mn:0.20~2.00%, P:0.030% 이하, S:0.010~0.100%, Pb:0.010~0.100%, Al:0.010~0.050%, N:0.015% 이하, O:0.0005~0.0030%, Cr:0.70% 초과~2.00%, Ni:0~3.50%, B:0~0.0050%, V:0~0.70%, Mo:0~0.70%, W:0~0.70%, Nb:0~0.050% 미만, Cu:0~0.50%, Ti:0~0.100%, 및, Ca:0~0.0030%를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식 (1)을 만족하는 화학 조성을 가진다. 강 중에 있어서, MnS 개재물, Pb 개재물, 및, MnS 및 Pb를 함유하는 복합 개재물 중 어느 하나이며, 원상당경이 5μm 이상인 특정 개재물의 총 개수가 40개/mm2 이상이다.
Mn/S≥8.0 (1)
여기서, 식 (1) 중의 각 원소에는, 대응하는 원소의 함유량(질량%)이 대입된다.
상기 기계 구조용 강의 화학 조성은, Ni:0.02~3.50%, B:0.0005~0.0050%, V:0.05~0.70%, Mo:0.05~0.70%, W:0.05~0.70%, Nb:0.001~0.050% 미만, Cu:0.05~0.50%, 및, Ti:0.003~0.100%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해도 된다.
상기 기계 구조용 강의 화학 조성은, Ca:0.0001~0.0030%를 함유해도 된다.
상기 기계 구조용 강에 있어서, 복합 개재물의 특정 개재물에 대한 개수 비율은, 40% 이상이어도 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기계 구조용 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화학 조성에 있어서의 「%」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질량%를 의미한다.
[화학 조성]
본 실시 형태의 기계 구조용 강의 화학 조성은, 다음의 원소를 함유한다.
C:0.30~0.50%
탄소(C)는, 강의 강도를 높인다. 기계 구조용 강을 이용하여 부품을 제조하는 경우, 기계 구조용 강을 단조 후, 필요에 따라 열처리(불림 등), 표면 경화 열처리(고주파 담금질 등), 또는, 담금질 뜨임이 실시된다. 이 경우, C는 강의 강도를 높인다. C 함유량이 0.30% 미만이면,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없다. 연질인 강에 있어서는, 절삭에 있어서 칩이 연결되어, 공구나 재료에 감겨 그들을 파손시키는 경우가 있다. C 함유량이 0.30% 미만이면 또한, 절삭 저항도 높아진다. 한편, C 함유량이 0.50%를 초과하면, 담금질 뜨임 전의 강도가 높아, 강의 피삭성이 저하된다. C 함유량이 0.50%를 초과하면 또한, C 이외의 합금 원소를 많이 포함하는 경우, 마텐자이트 등의 과랭 조직이 생긴다. 이 경우, 품질이 불균일해져, 냉간 가공 시에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C 함유량은 0.30~0.50%이다. C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35%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40%이다. C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45%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42%이다.
Si:0.01~0.80%
실리콘(Si)은, 강을 탈산시킨다. 탈산 처리 시에 있어서, Mn을 첨가한 후에 Si를 첨가함으로써 Si는 산화물을 개질한다. 구체적으로, 용강 중에 첨가된 Si는, Mn을 주체로 하는 산화물을, Si를 주체로 하는 산화물로 개질한다. Si를 첨가한 후, Al을 첨가함으로써 강 중에 Si 및 Al을 함유하는 복합 산화물이 생성된다. 복합 산화물은, MnS 개재물이 정출되는 핵이 된다. 그 때문에, 복합 산화물은 강의 녹 발생 특성을 높인다. Si는 또한, 뜨임 연화 저항을 높여, 강도를 높인다. Si 함유량이 0.01% 미만이면,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없다.
한편, Si는 페라이트 생성 원소이다. Si 함유량이 0.80%를 초과하면, 강의 표층이 탈탄되는 경우가 있다. Si 함유량이 0.80%를 초과하면 또한, 페라이트 분율이 높아져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Si 함유량은 0.01~0.80%이다. 뜨임 연화 저항을 높이기 위한 Si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1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이다. 페라이트 분율을 억제하기 위한 Si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7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0%이다.
Mn:0.20~2.00%
망간(Mn)은 MnS 개재물과, MnS 및 Pb를 함유하는 복합 개재물을 생성하여, 강의 피삭성을 높인다.
Mn은 또한, 강을 탈산시킨다. Mn의 탈산력은 Si나 Al과 비교해 약하다. 그 때문에, Mn을 다량으로 함유해도 된다. 용강 중에 다른 강탈산 원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용강 중에 Mn을 주체로 하는 산화물이 생성된다. 그 후, 용강에 다른 강탈산 원소(Si, Al)가 첨가되면, 산화물 중의 Mn이 용강 중에 배출되어, 산화물이 개질된다. 이하, 개질된 산화물을 복합 산화물이라고 칭한다. 산화물로부터 용강 중에 배출된 Mn은, S와 결합하여 MnS 개재물을 형성한다. 또한, 산화물의 개질에 의해 생성된 복합 산화물은, MnS 개재물이 정출되는 핵이 되기 쉽다. 그 때문에, 복합 산화물이 생성된 경우, MnS 개재물의 정출이 촉진된다. 정출에 의해 생성된 MnS 개재물은 또한, 복합 개재물을 생성하기 쉽다.
Mn 함유량이 0.20% 미만인 경우, MnS 개재물이 충분히 정출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응고 후의 강 중에 MnS 석출물이 다수 생성된다. 이 경우,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의 총 개수가 증가한다. 그 때문에, 강의 녹 발생 특성이 저하된다. 한편, Mn 함유량이 2.00%를 초과하면, 강의 담금질성이 너무 높아져, 그 결과, 강의 경도가 너무 높아진다. 이 경우, 강의 피삭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Mn 함유량은 0.20~2.00%이다. Mn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50%이다. Mn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1.5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이다.
P:0.030% 이하
인(P)은, 불가피하게 함유된다. P는 강을 취화하여, 피삭성을 높인다. 한편, P 함유량이 0.030%를 초과하면, 열간 연성이 저하된다. 이 경우, 압연 흠이 발생하는 등, 생산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P 함유량은 0.030% 이하이다. 피삭성을 높이기 위한 P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5%이다. 이 경우, 피삭성, 특히, 칩 처리성이 높아진다. P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15%이다.
S:0.010~0.100%
황(S)은, 강 중에서 MnS를 생성하여, 피삭성을 높인다. MnS는 특히, 공구 마모를 억제한다. S 함유량이 0.010% 미만이면, MnS는 충분히 정출되지 않고, MnS와 Pb를 함유하는 복합 개재물이 생성되기 어렵다. 그 결과, 녹 발생 특성이 저하된다. 한편, S 함유량이 0.100%를 초과하면, S가 입계에 편석하고, 강이 취화되어, 강의 열간 가공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S 함유량은 0.010~0.100%이다. 피삭성 및 기계 특성 중, 기계 특성을 우선하는 경우의 S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15%이며, 바람직한 상한은 0.030%이다. 피삭성을 우선하는 경우의 S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30%이며, 바람직한 상한은 0.050%이다.
Pb:0.010~0.100%
납(Pb)은 단독으로 Pb 개재물(Pb 입자)을 생성하여, 강의 피삭성을 높인다. Pb는 또한, MnS 개재물과 결합하여 복합 개재물을 생성하여, 강의 피삭성을 높이며, 특히 칩 처리성을 높인다. Pb 함유량이 0.010% 미만이면,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없다. 한편, Pb 함유량이 0.100%를 초과하면, Pb 개재물이 과잉하게 증가하기 때문에, 강의 녹 발생 특성이 저하된다. Pb 함유량이 0.100%를 초과하면 또한, 피삭성은 높아지지만, 강이 취화된다. 그 결과, 강의 열간 가공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Pb 함유량은 0.010~0.100%이다. 복합 개재물의 생성을 촉진하여, 피삭성을 높이기 위한 Pb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2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5%이다. 녹 발생 특성을 높이기 위한 Pb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50%이다.
Al:0.010~0.050%
알루미늄(Al)은, 강을 탈산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기계 구조용 강에서는, 응고 시의 공공(空孔) 및 표면 흠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Al 킬드에 의한 탈산을 실시한다. 후술하는 대로, 용강 중에 Mn, Si에 이어 Al을 첨가하고 탈산을 행하면, 강 중의 산화물이 개질되어, Si 및 Al을 함유하는 복합 산화물이 생성된다. 복합 산화물은 MnS 개재물의 정출핵이 되기 쉽다. 그 때문에, MnS 개재물이 분산되어 정출되고, 성장하여 조대화하기 쉽고, 또한, MnS 및 Pb를 함유하는 복합 개재물이 생성되기 쉽다. 이 경우, 강의 피삭성이 높아진다. MnS 개재물이 분산되어 정출된 경우는 또한, 미세한 MnS 석출물의 석출이 억제된다. 이 경우,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의 총 개수가 증가한다. 그 때문에, 강의 녹 발생 특성이 높아진다. Al은 또한, N과 결합하여 AlN을 형성하고, 각종의 열처리에 있어서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조대화를 억제한다. Al 함유량이 0.010% 미만이면,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없다.
한편, Al 함유량이 0.050%를 초과하면, 조대한 복합 산화물이 생성되기 쉽다. 조대한 복합 산화물이 강 중에 생성된 경우, 강에 표면 흠이 발생하기 쉽다. 조대한 복합 산화물이 강 중에 생성된 경우 또한, 강의 피로 강도가 저하된다. Al 함유량이 0.050%를 초과하면 또한, 과도하게 탈산이 진행되어, 용강 중의 산소량이 저하된다. 이 경우, MnS 개재물이 형성되기 어려워, 강의 피삭성(특히, 공구 마모 억제)이 저하된다. 이 경우 또한, MnS 개재물에 Pb가 결합한 복합 개재물이 생성되기 어려워져, Pb 개재물이 단독으로 강 중에 다수 잔존한다. 그 결과,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의 총 개수가 증가하여, 녹 발생 특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Al 함유량은 0.010~0.050%이다. AlN의 생성에 의한 결정립의 조대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더 얻기 위한 Al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1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0%이다. Al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35%이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Al 함유량은, 산 가용 Al(sol. Al)의 함유량을 의미한다.
N:0.015% 이하
질소(N)는 불가피하게 함유된다. N은 Al과 결합하여 AlN을 형성하고, 열처리 시의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조대화를 억제하여, 강의 강도를 높인다. 한편, N 함유량이 0.015%를 초과하면, 강의 절삭 저항이 높아져, 피삭성이 저하된다. N 함유량이 0.015%를 초과하면 또한, 열간 가공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N 함유량은 0.015% 이하이다. N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2%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4%이다. N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12%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8%이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N 함유량은, 전체 N(t-N)의 함유량을 의미한다.
O:0.0005~0.0030%
산소(O)는 산화물 중에 포함될 뿐만 아니라, MnS 개재물에도 포함된다. O는, MnS 개재물의 정출핵이 되는 복합 산화물을 생성한다. O 함유량이 0.0005% 미만이면, 복합 산화물의 생성량이 부족하여, 용강 중에서 MnS 개재물이 정출되기 어려워진다. 이 경우, 강의 피삭성이 저하된다. 이 경우 또한, 응고 후에 미세한 MnS 석출물이 다수 생성된다. 그 결과,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의 총 개수가 증가하여, 녹 발생 특성이 저하된다. 한편, O 함유량이 0.0030%를 초과하면, 파괴의 기점이 되는 조대한 산화물이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강의 전동 피로 특성이 저하된다. O 함유량이 0.0030%를 초과하면 또한, 조대한 알루미나계 산화물이 생성되어, 절삭 공구의 마모를 촉진하기 때문에, 강의 피삭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O 함유량은 0.0005~0.0030%이다. 강의 피삭성 및 강의 녹 발생 특성을 더 높이기 위한 O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07%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0%이다. O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02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20%이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O 함유량은, 전체 산소(t-O)의 함유량을 의미한다.
Cr:0.70% 초과~2.00%
크롬(Cr)은 강 중에 고용되어, 강의 담금질성 및 뜨임 연화 저항을 높여, 강의 강도를 높인다. 그 결과, 강의 전동 피로 특성이 높아진다. Cr은 또한, 열간 단조 후에 담금질 뜨임을 실시하는 경우, 경화층 깊이를 깊게 한다. Cr 함유량이 0.70% 이하이면,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없다. 한편, Cr 함유량이 2.00%를 초과하면, 담금질성이 너무 높아져, 냉각 시에 과랭 조직(마텐자이트)을 생성하여, 강이 너무 단단해진다. 이 경우, 강의 피삭성이 저하된다. Cr 함유량이 2.00%를 초과하면 또한, 오스테나이트가 저온에서도 안정화되어, 강이 취화되는 경우가 있다. Cr 함유량이 2.00%를 초과하면 또한, 고주파 담금질을 실시하는 경우, 세멘타이트가 고용되지 않아, 담금질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Cr 함유량은 0.70% 초과~2.00%이다. Cr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9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이다. Cr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1.8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기계 구조용 강의 화학 조성의 잔부는,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불순물이란, 기계 구조용 강을 공업적으로 제조할 때에, 원료로서의 광석, 스크랩, 또는 제조 환경 등에서 혼입되는 것이며, 본 실시 형태의 기계 구조용 강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허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임의 원소에 대해서]
본 실시 형태의 기계 구조용 강의 화학 조성은 또한, Ni, B, V, Mo, W, Nb, Cu, 및, Ti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해도 된다.
Ni:0~3.50%
니켈(Ni)은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Ni는 강에 고용되어 강의 담금질성을 높여, 강의 강도를 높인다. Ni는 또한, 매트릭스의 연성도 높인다. Ni는 또한, 강의 인성을 높인다. Ni는 또한, 강의 내식성을 높인다. Ni가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를 어느 정도 얻을 수 있다. 한편, Ni 함유량이 3.50%를 초과하면, 잔류 오스테나이트가 많이 잔존한다. 이 경우, 가공 유기 변태에 의해,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일부가 마텐자이트로 변태하여, 강의 연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Ni 함유량은 0~3.50%이다.
상기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기 위한 Ni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2%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이다.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더 억제하기 위한 Ni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2.5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이다. 인성을 우선하는 경우, Ni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20%이다. 또한, Ni는 Cu를 무해화하여 인성을 높인다. 강이 Cu를 함유하는 경우, Ni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Cu 함유량 이상이다.
B:0~0.0050%
붕소(B)는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B는 강의 담금질성을 높여, 강의 강도를 높인다. B는 또한, 인성을 저하시키는 P, S의 입계로의 편석을 억제하여, 파괴 특성을 높인다. B가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를 어느 정도 얻을 수 있다. 한편, B 함유량이 0.0050%를 초과하면, BN이 다량으로 생성되어 강이 취화된다. 따라서, B 함유량은 0~0.0050%이다. 질화물 생성 원소인 Ti 또는 Nb를 함유한 경우의 B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05%이다. B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020%이다.
V:0~0.70%
바나듐(V)은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V는 뜨임 시 및 질화 처리 시에 V 탄화물, V 질화물, 또는 V 탄질화물로서 석출되어, 강의 강도를 높인다. V 석출물(V 탄화물, V 질화물 및 V 탄질화물)은 또한,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조대화를 억제하여, 강의 인성을 높인다. V는 또한, 강에 고용되어, 강의 뜨임 연화 저항을 높인다. V가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를 어느 정도 얻을 수 있다.
한편, V 함유량이 0.70%를 초과하면, V 석출물이 A3점 이상에서도 생성된다. A3점 이상에서 생성된 V 석출물은, 강에 고용되기 어려워, 미용해 석출물로서 강 중에 잔존한다. 미용해 석출물이 잔존하는 경우, 고용 V량이 저감한다. 그 때문에, 강의 뜨임 연화 저항이 저하된다. 미용해 석출물이 잔존하는 경우 또한, 그 후의 열처리에 의해 미세한 V 석출물이 석출되기 어렵다. 이 경우, 강의 강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V 함유량은 0~0.70%이다. 상기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기 위한 V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이다. V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5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이다.
Mo:0~0.70%
몰리브덴(Mo)은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Mo는 뜨임이나 질화 처리 등의 A1점 이하의 저온에서의 열처리에 있어서, Mo 탄화물로서 석출된다. 그 때문에, 강의 강도 및 뜨임 연화 저항이 높아진다. Mo는 또한, 강에 고용되어, 강의 담금질성을 높인다. Mo가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를 어느 정도 얻을 수 있다. 한편, Mo 함유량이 0.70%를 초과하면, 강의 담금질성이 너무 높아진다. 이 경우, 압연이나, 신선(伸線) 전의 연화 열처리 등에서 과랭 조직이 생기기 쉬워진다. 따라서, Mo 함유량은 0~0.70%이다.
상기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기 위한 Mo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15%이다. 강의 미크로 조직에 페라이트, 펄라이트, 및, 베이나이트를 안정적으로 얻기 위한 Mo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4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이다.
W:0~0.70%
텅스텐(W)은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W는 강 중에서 W 탄화물로서 석출되고, 강의 강도 및 뜨임 연화 저항을 높인다. W 탄화물은, A3점 이하의 저온에서 생성된다. 그 때문에, W는, V나 Nb, Ti 등과는 상이하여, 미용해 석출물을 생성하기 어렵다. 그 결과, W 탄화물은, 석출 강화에 의해 강의 강도 및 뜨임 연화 저항을 높인다. W는 또한, 강에 고용되어 강의 담금질성을 높여, 강의 강도를 높인다. W가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를 어느 정도 얻을 수 있다.
한편, W 함유량이 0.70%를 초과하면, 과랭 조직이 생성되기 쉬워져, 강의 열간 가공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W 함유량은 0~0.70%이다. 강의 뜨임 연화 저항을 안정적으로 높이기 위한 W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이다. 강의 미크로 조직에 페라이트, 펄라이트, 및, 베이나이트를 안정적으로 얻기 위한 W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4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이다.
W 및 Mo는 질화물을 생성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이들 원소는, N 함유량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강의 뜨임 연화 저항을 높일 수 있다. 높은 뜨임 연화 저항을 얻기 위한 W 및 Mo의 바람직한 총 함유량은 0.10~0.30%이다.
Nb:0~0.050% 미만
니오브(Nb)는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Nb는 Nb 질화물, Nb 탄화물, 또는 Nb 탄질화물을 생성하여, 담금질 시나 불림 시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조대화를 억제한다. Nb는 또한, 석출 강화에 의해 강의 강도를 높인다. Nb가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를 어느 정도 얻을 수 있다. 한편, Nb 함유량이 0.050%를 초과하면, 미고용 석출물이 생성되어 강의 인성이 저하된다. Nb 함유량이 0.050%를 초과하면 또한, 과랭 조직이 생성되기 쉬워져, 강의 열간 가공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Nb 함유량은 0~0.050% 미만이다. 상기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기 위한 Nb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1%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이다. Nb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3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이다.
Cu:0~0.50%
구리(Cu)는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Cu는 탈탄을 방지한다. Cu는 또한, Ni와 마찬가지로 내식성을 높인다. Cu가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를 어느 정도 얻을 수 있다. 한편, Cu 함유량이 0.50%를 초과하면, 강이 취화되어 압연 흠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Cu 함유량은 0~0.50%이다. 상기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기 위한 Cu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이다. Cu를 0.30% 이상 함유하는 경우, Ni 함유량이 Cu 함유량보다 많으면, 열간 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Ti:0~0.100%
티탄(Ti)은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Ti는 질화물, 탄화물, 또는 탄질화물을 생성하여, 담금질 시나 불림 시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 입자의 조대화를 억제한다. Ti는 또한, 석출 강화에 의해 강의 강도를 높인다. Ti는 또한, 강을 탈산시킨다. Ti는 또한, B를 함유하는 경우, 고용 N과 결합하여 고용 B량을 유지한다. 이 경우, 담금질성이 높아진다. Ti가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를 어느 정도 얻을 수 있다.
한편, Ti는 상기 질화물 및 황화물을 생성하기 때문에, MnS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에 영향을 준다. 구체적으로는, Ti 함유량이 0.100%를 초과하면, MnS 개재물의 정출량이 감소하고, 복합 개재물의 생성도 감소한다. 이 경우, 강의 녹 발생 특성이 저하된다. Ti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 또한, 질화물 및 황화물을 생성하여 피로 강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Ti 함유량은 0~0.100%이다. 상기 효과를 유효하게 얻기 위한 Ti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3%이다. 특히, B를 함유한 경우이며, 고용 N을 저감하기 위한 Ti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5%이다. 내식성을 높이기 위한 Ti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9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0%이다.
본 실시 형태의 기계 구조용 강은 또한, Ca를 함유해도 된다.
Ca:0~0.0030%
칼슘(Ca)은 임의 원소이며, 함유되지 않아도 된다. 함유되는 경우, Ca는 CaS 또는 (Mn, Ca)S를 생성하여 MnS 개재물을 구상화(球狀化)하여, 공구 마모량을 저감한다. 그 결과, 강의 피삭성이 높아진다. Ca가 조금이라도 함유되면, 상기 효과를 어느 정도 얻을 수 있다. 한편, Ca 함유량이 0.0030%를 초과하면, 산화물계 개재물이 조대화하여, 강의 피로 강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Ca 함유량은 0~0.0030%이다. 피삭성을 보다 높이기 위한 Ca 함유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0.0001%이다. 피삭성보다 피로 강도를 우선하는 경우, Ca 함유량의 바람직한 상한은 0.001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3%이다.
[식 (1)에 대해서]
본 실시 형태의 기계 구조용 강의 화학 조성은 또한, 식 (1)을 만족한다.
Mn/S≥8.0 (1)
여기서, 식 (1) 중의 각 원소에는, 대응하는 원소의 함유량(질량%)이 대입된다.
F1=Mn/S라고 정의한다. F1은 S 함유량에 대한 Mn 함유량을 의미한다. F1이 8.0 미만이면, MnS 개재물이 충분히 정출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응고 후의 강 중의 고용 S량이 충분히 저감되지 못하여, 응고 후에, 미세한 MnS 석출물이 다수 생성된다. 이 경우,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의 총 개수를 저감할 수 없기 때문에, 강의 녹 발생 특성이 저하된다. 응고 후의 강 중의 고용 S량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는 경우 또한, 응고 후의 고용 S가 결정 입계에 잔류한다. 그 결과, 강의 열간 가공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F1이 8.0 이상이면, S 함유량과 비교해 Mn 함유량이 충분히 높다. 이 경우, 용강 중에 있어서 MnS 개재물이 충분히 정출되어 성장한다. 그 결과, 응고 후의 강 중의 고용 S량이 충분히 저감되어, 응고 후의 강 중에 있어서의 MnS 석출물의 석출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강 중의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의 총 개수를 충분히 저감할 수 있어, 강의 녹 발생 특성이 높아진다. 강의 녹 발생 특성을 높이기 위한 F1의 바람직한 하한은 1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이다.
[강의 미크로 조직에 대해서]
본 발명에 의한 기계 구조용 강의 미크로 조직은, 주로 페라이트, 펄라이트, 및, 베이나이트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 조성의 기계 구조용 강의, 미크로 조직에 있어서의 페라이트, 펄라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합계 면적율은, 99% 이상이다.
미크로 조직 중의 페라이트, 펄라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합계 면적율은,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기계 구조용 강으로부터 샘플을 채취한다. 예를 들어, 기계 구조용 강이 봉강 또는 선재인 경우, 횡단면(축방향에 수직인 면) 중, 표면과 중심축을 잇는 반경 R의 중앙부(이하, R/2부라고 한다)로부터 샘플을 채취한다. R/2부의 샘플의 횡단면(표면) 중, 기계 구조용 강의 중심축과 수직인 표면을 관찰면으로 한다. 관찰면을 연마한 후, 3% 질산알코올(나이탈 부식액)로 에칭한다. 에칭된 관찰면을 200배의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임의의 5시야의 사진 화상을 생성한다.
각 시야에 있어서, 페라이트, 펄라이트, 베이나이트 등의 각 상은, 상마다 콘트라스트가 상이하다. 따라서, 콘트라스트에 의거하여, 각 상을 특정한다. 특정된 상 중, 각 시야에서의 페라이트, 펄라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합계 면적(μm2)을 구한다. 각 시야에서의 합계 면적을 모든 시야(5시야)에서 합계하여, 모든 시야의 총 면적에 대한 비를 구한다. 구한 비를, 페라이트, 펄라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합계 면적율(%)로 정의한다.
[특정 개재물의 개수 TN]
본 발명에 의한 기계 구조용 강은, 강 중에 있어서, MnS 개재물, Pb 개재물, 및, MnS 및 Pb를 함유하는 복합 개재물 중 어느 하나이며, 원상당경이 5μm 이상인 개재물(즉, 특정 개재물)의 총 개수 TN이 40개/mm2 이상이다.
특정 개재물의 개수 TN이 40개/mm2 이상이면, 원상당경이 5μm 이상인 조대한 MnS 개재물이 충분히 정출되고 있어, 그 결과,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의 총 개수를 충분히 저감하고 있다. 그 때문에, 우수한 피삭성과 우수한 녹 발생 특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한편, 강 중의 특정 개재물의 개수 TN이 40개/mm2 미만이면, 원상당경이 5μm 이상인 조대한 MnS 개재물이 충분히 정출되지 않아, 그 결과,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의 총 개수를 충분히 저감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충분한 녹 발생 특성은 얻을 수 없다. 특정 개재물의 개수 TN의 바람직한 하한은 80개/mm2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개/mm2이다. 특정 개재물의 개수 TN의 바람직한 상한은 300개/mm2이다. 또한, 특정 개재물의 원상당경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00μm이다.
[특정 개재물 중, 복합 개재물의 개수의 비(복합 비율) RA]
바람직하게는, 원상당경이 5μm 이상인 복합 개재물의 총 개수(개/mm2)의, 특정 개재물에 대한 개수(개/mm2)의 비(이하, 「복합 비율」이라고도 말한다) RA가 40% 이상이다.
상술한 대로,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의 총 개수가 증가할수록, 강은 녹이 발생하기 쉽다. 여기서, MnS 개재물과 Pb 개재물이 복합 개재물을 많이 생성할수록,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의 총 개수를 저감할 수 있다. 특히, 강 중의 Pb 개재물의 총 개수를 저감할 수 있다. Pb 개재물은 특히, 녹 발생 특성을 저하시키기 쉽다. 복합 비율이 40% 이상이면,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의 총 개수를 저감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존재하는 Pb 개재물의 개수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강의 녹 발생 특성이 더 높아진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복합 비율 RA가 40% 이상이다. 이 경우, 강의 녹 발생 특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복합 비율 RA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60%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75%이다.
[특정 개재물의 개수 TN 및 복합 비율 RA의 측정 방법]
특정 개재물의 개수 TN 및 복합 비율 RA는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으로, 기계 구조용 강으로부터 샘플을 채취한다. R/2부의 샘플의 횡단면(표면)에 대해,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1000배의 배율로 랜덤으로 20시야 관찰한다. 각 시야(관찰면이라고 한다)에 있어서, 특정 개재물(MnS 개재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 중 어느 하나이며, 원상당경이 5μm 이상이다)을 특정한다. 특정 개재물과 다른 개재물은, 콘트라스트로 구별 가능하다. 또한, 특정 개재물 중, MnS 개재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은, 각각 다음의 방법으로 특정한다.
각 관찰면에 있어서, 파장 분산형 X선 해석 장치(EPMA)에 의해, 관찰면 중의 S 분포 및 Pb 분포의 화상을 얻는다. 도 1a는, EPMA 분석에 의해 얻어진, 관찰면 중의 S 분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1b는, EPMA 분석에 의해 얻어진, 도 1a와 동일한 관찰면 중의 Pb 분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a 중의 부호 10은, S가 존재하는 영역이다. S는 거의 MnS로서 존재하기 때문에, 도 1a 중의 부호 10에는 MnS가 존재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도 1b 중의 부호 20은, Pb가 존재하는 영역이다.
도 1b에 나타내는 대로, Pb는 부호 20A로 나타내는 대로, 압연 등에 의해 분단되어, 압연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가 있다. S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2에 나타내는 대로, EPMA 분석으로 얻어진 화상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개재물(IN)이 모두 5μm 이상의 원상당경을 가지는 경우, 서로 이웃하는 개재물(IN)의 간격(D)이 10μm 이내이면, 이들 개재물(IN)은 1개의 개재물로 간주한다. 또한, 상술한 대로, 원상당경이란, 각 개재물 또는 각 석출물의 면적을, 동일 면적을 가지는 원으로 환산한 경우의 원의 직경을 의미한다. 1개의 개재물로 정의된 개재물군이어도, 원상당경은, 개재물군의 총 면적과 동일한 원의 직경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 1b를 합성한 화상이다. 도 1c를 참조하여, MnS 개재물(10)에 Pb 개재물(20)이 중복되는 경우, 그 개재물은 복합 개재물(30)인 것으로 인정한다. 한편, 도 1c를 참조하여, MnS 개재물(10)과 Pb 개재물(20)이 중복되지 않는 경우(도 1c 중의 영역 A1, 영역 A2 등), 그들 개재물은 MnS 개재물(10), Pb 개재물(20)이라고 특정한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주사형 현미경 및 EPMA를 이용하여, MnS 개재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을 특정한다. 특정된 각 개재물의 면적을 구하여, 동일 면적의 원의 직경을, 각 개재물의 원상당경(μm)으로서 구한다.
각 개재물 중, 원상당경이 5μm 이상인 특정 개재물을 특정한다. 특정된 특정 개재물의 총 개수(20시야에서의 개수)를 구하여, 1mm2당 개수 TN(개/mm2)으로 환산한다. 이상의 방법에 의해, 특정 개재물의 개수 TN을 구한다. 또한, 특정된 특정 개재물 중, 원상당경이 5μm 이상인 복합 개재물의 개수 MN(개/mm2)을 구하여, 다음의 식 (2)에 의거하여, 복합 비율 RA(%)를 구한다.
RA=MN/TN×100 (2)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한 기계 구조용 강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계 구조용 강의 일례로서, 봉강 또는 선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기계 구조용 강은, 봉강 또는 선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 방법의 일례는, 용강을 정련하고, 주조하여 소재(주편 또는 잉곳)를 제조하는 제강 공정과, 소재를 열간 가공하여 기계 구조용 강을 제조하는 열간 가공 공정을 구비한다. 이하, 각각의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강 공정]
제강 공정은, 정련 공정과, 주조 공정을 포함한다.
[정련 공정]
정련 공정에서는, 처음에 주지의 방법으로 제조된 용선(溶銑)에 대해, 전로(轉爐)에서의 정련(일차 정련)을 실시한다. 전로로부터 출강(出鋼)한 용강에 대해, 이차 정련을 실시한다. 이차 정련에 있어서, 성분 조정의 합금 첨가를 실시하여, 상기 화학 조성을 가지는 용강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전로로부터 출강한 용강에 대해, Mn을 첨가한다. 그 결과, 용강 중에는 Mn을 주체로 하는 산화물이 생성된다. Mn의 첨가를 완료한 후, Mn보다 탈산력이 강한 Si를 첨가한다. 그 결과, Mn을 주체로 하는 산화물은, Si를 주체로 하는 산화물로 개질된다. Si의 첨가를 완료한 후, Si보다 더 탈산력이 강한 Al을 첨가한다. 그 결과, Si를 주체로 하는 산화물은, Si 및 Al을 함유하는 복합 산화물(이후, 간단히 「복합 산화물」이라고도 칭한다)로 개질된다.
이상의 정련 공정에 의해 생성된 복합 산화물은, MnS 개재물의 정출핵이 된다. 그 때문에, 복합 산화물을 생성함으로써 MnS 개재물이 충분히 정출되어, 조대하게 성장한다. 즉, 복합 산화물이 생성되면, 원상당경이 5μm 이상인 개재물인 특정 개재물이 생성되기 쉬워, 특정 개재물의 개수 TN이 40개/mm2 이상이 된다. 그 결과, 응고 후의 강 중의 고용 S량이 충분히 저감되어, 응고 후의 강 중에 있어서의 MnS 석출물의 석출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의 총 개수를 충분히 저감할 수 있어, 강의 녹 발생 특성이 높아진다.
탈산 처리를 실시한 후, 주지의 제재(除滓) 처리를 실시한다. 제재 처리 후, 이차 정련을 실시한다. 이차 정련은 예를 들어, 복합 정련을 실시한다. 예를 들어, 처음에, LF(Ladle Furnace) 또는 VAD(Vacuum Arc Degassing)를 이용한 정련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RH(Ruhrstahl-Hausen) 진공 탈가스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이차 정련에 있어서, Mn, Si, 및 그 외의 원소를 필요에 따라 첨가하고, 용강의 성분 조정을 실시한다. 용강의 성분 조정 후, 주조 공정을 실시한다.
[주조 공정]
상기 정련 공정에 의해 제조된 용강을 이용하여, 소재(주편 또는 잉곳)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는, 용강을 이용하여 연속 주조법에 의해 주편을 제조한다. 또는, 용강을 이용하여 조괴법에 의해 잉곳을 제조해도 된다. 이하, 주편 및 잉곳을 총칭하여 소재라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소재의 횡단면적은 예를 들어, 200~350mm×200~600mm이다.
주조 시의 응고 냉각 속도 RC는 100℃/분 이하이다. 응고 냉각 속도 RC가 100℃/분 이하이면, 용강에 있어서, MnS 개재물이 충분히 정출되어 성장한다. 그 때문에, 특정 개재물이 생성되기 쉬워, 그 개수 TN이 40개/mm2 이상이 된다. 그 결과, 응고 후의 강 중의 고용 S량이 충분히 저감되어, 응고 후의 강 중에 있어서의 MnS 석출물의 석출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의 총 개수를 충분히 저감할 수 있어, 강의 녹 발생 특성이 높아진다.
한편, 응고 냉각 속도 RC가 100℃/분을 초과하면, MnS 개재물이 충분히 정출되지 않고, 또한, MnS 개재물이 충분히 성장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특정 개재물이 생성되기 어려워, 특정 개재물의 개수 TN이 40개/mm2 미만이 된다. 이 경우, 응고 후의 강 중의 고용 S량이 충분히 저감되지 못하여, 응고 후에, 미세한 MnS 석출물이 다수 생성된다. 그 결과, MnS 개재물, MnS 석출물, Pb 개재물, 및, 복합 개재물의 총 개수를 저감할 수 없기 때문에, 강의 녹 발생 특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응고 냉각 속도 RC는 100℃/분 이하이다.
바람직한 응고 냉각 속도 RC는 8~50℃/분 미만이다. 이 경우, MnS 개재물이 더 정출 및 성장하기 쉽다. 응고 냉각 속도 RC가 8~50℃/분 미만이면 또한, 응고할 때까지의 시간이 길기 때문에, Pb가 용강 중을 이동하여 MnS 개재물에 부착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MnS 및 Pb를 함유하는 복합 개재물이 생성되기 쉬워져, 복합 비율 RA가 40% 이상이 된다. 응고 냉각 속도 RC의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30℃/분이다. 응고 냉각 속도 RC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0℃/분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5℃/분이다.
응고 냉각 속도 RC는, 주조된 소재로부터 구할 수 있다. 도 3은, 주조된 소재의 횡단면도이다. 두께 W(mm)의 소재 중, 표면으로부터 소재 중심을 향해 W/4의 위치의 지점 P1에 있어서, 액상선 온도로부터 고상선 온도까지의 냉각 속도를, 주조 공정에 있어서의 응고 냉각 속도 RC(℃/분)로 정의한다. 응고 냉각 속도 RC는 다음의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응고 후의 소재를 횡단 방향으로 절단한다. 소재의 횡단면 중, 지점 P1에서의 응고 조직의 두께 방향의 2차 덴드라이트 아암 간격 λ2(μm)를 측정한다. 측정값 λ2를 이용하여, 다음의 식 (3)에 의거하여 응고 냉각 속도 RC(℃/분)를 구한다.
RC=(λ2/770)-(1/0.41) (3)
2차 덴드라이트 아암 간격 λ2는 응고 냉각 속도 RC에 의존한다. 따라서, 2차 덴드라이트 아암 간격 λ2를 측정함으로써 응고 냉각 속도 RC를 구할 수 있다.
[열간 가공 공정]
열간 가공 공정에서는 통상, 1회 또는 복수회의 열간 가공을 실시한다. 각 열간 가공을 실시하기 전에, 소재를 가열한다. 그 후, 소재에 대해 열간 가공을 실시한다. 열간 가공은 예를 들어, 열간 단조나, 열간 압연이다. 복수회 열간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 최초의 열간 가공은 예를 들어, 분괴 압연 또는 열간 단조이며, 다음의 열간 가공은, 연속 압연기를 이용한 마무리 압연이다. 열간 압연기에서는, 한 쌍의 수평 롤을 가지는 수평 스탠드와, 한 쌍의 수직 롤을 가지는 수직 스탠드가 번갈아 일렬로 배열된다. 열간 가공 후의 소재는 공랭 등의 주지의 냉각법에 의해 냉각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기계 구조용 강을 제조한다. 기계 구조용 강은 예를 들어, 봉강 또는 선재이다.
이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기계 구조용 강은, 피삭성 및 녹 발생 특성이 우수하다. 기계 구조용 강으로부터 기계 부품으로의 제조는, 예를 들어, 다음의 방법으로 실시된다.
기계 구조용 강에 대해 열간 단조를 실시하여, 조(粗)형상의 중간품을 제조한다. 중간품에 대해, 필요에 따라 불림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중간품에 대해 기계 가공을 실시한다. 기계 가공은 예를 들어 절삭 가공이다. 기계 가공을 실시한 중간품에 대해 조질 처리(담금질 뜨임)를 실시해도 된다. 조질 처리한 경우, 조질 처리 후의 중간품에 대해 절삭 가공 등의 기계 가공을 실시해도 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기계 부품이 제조된다. 열간 단조 대신에, 냉간 단조에 의해 기계 부품을 제조해도 된다.
[실시예]
표 1에 나타내는 화학 조성을 가지는 용강을 제조했다.
Figure pct00001
각 시험 번호의 용강은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했다. 주지의 방법으로 제조된 용선에 대해 전로에서의 일차 정련을 동일한 조건으로 제조했다.
시험 번호 48 및 49 이외의 시험 번호의 용강에 대해서는, 전로로부터 출강 후, Mn, Si, Al의 순으로 첨가하여 탈산 처리를 실시했다. 시험 번호 48의 용강에 대해서는, 전로로부터 출강 후, Si, Al, Mn의 순으로 첨가하여 탈산 처리를 실시했다. 시험 번호 49의 용강에 대해서는, 전로로부터 출강 후, Mn, Al, Si의 순으로 첨가하여 탈산 처리를 실시했다.
탈산 처리 후, 제재 처리를 실시했다. 제재 처리 후, VAD를 이용한 정련 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 RH 진공 탈가스 처리를 실시했다. RH 진공 탈가스 처리 후, 합금 원소의 최종 조정을 실시했다. 이상의 공정으로, 표 1에 나타내는 화학 조성의 용강을 제조했다.
용강을 주조하여 직육면체형의 실험용 잉곳을 제조했다. 잉곳의 횡단 형상은 직사각형상이며, 190mm×190mm였다. 각 시험 번호의 응고 냉각 속도 RC(℃/분)는 표 2에 기재한 대로였다. 응고 냉각 속도 RC는, 잉곳의 2차 덴드라이트 아암 간격을 측정하여, 상술한 식 (3)에 의해 구했다.
Figure pct00002
제조된 실험용 잉곳에 대해 2회의 열간 가공을 실시하여, 봉강을 제조했다. 열간 가공에서는, 분괴 압연을 실시하고, 그 후, 마무리 압연(봉강 압연)을 실시했다. 제조된 실험용 잉곳에 대해 열간 단조를 실시하여, 직경 50mm의 봉강을 제조했다. 또는, 실험용 잉곳에 대해 분괴 압연을 실시하고, 다음에 마무리 압연을 실시하여, 직경 50mm의 봉강을 제조했다. 제조된 봉강에 대해, 800~950℃의 불림 처리를 실시했다. 불림 처리에 있어서의 냉각 방법은 방랭이었다. 이상의 제조 공정에 의해, 직경 50mm의 봉강(기계 구조용 강)을 제조했다.
[평가 시험]
[미크로 조직 관찰]
각 시험 번호의 봉강의 R/2부로부터, 조직 관찰용 시험편을 채취했다. 시험편의 표면 중, 봉강의 길이 방향(즉, 압연 방향 또는 연신 방향)과 평행한 단면을 관찰면으로 정의했다. 상술한 방법에 의거하여, 페라이트, 펄라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합계 면적율(%)을 구했다. 각 시험 번호의 봉강의 미크로 조직은, 모두 합계 면적율이 99% 이상이었다. 합계 면적율이 99% 이상인 미크로 조직에 대해서, 「F+P+B」로서 표 2에 나타낸다.
[특정 개재물의 개수 TN 및 복합 비율 RA]
각 시험 번호의 봉강의 R/2부로부터, 조직 관찰용 시험편을 채취했다. 시험편의 표면 중, 봉강의 길이 방향(즉, 압연 방향 또는 연신 방향)과 평행한 단면을 관찰면으로 정의했다. 각 시험 번호의 조직 관찰용 시험편의 관찰면에 대해서, 상술한 방법에 의거하여, 특정 개재물 개수 TN(개/mm2)와, 복합 비율 RA(%)를 구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피삭성]
피삭성은, 통상 드릴에 의한 공구 수명 특성 및 칩 처리성을 평가했다.
[공구 수명 특성 CL1000]
직경 50mm의 봉강을 20mm의 길이로 절단하여 천공 시험편으로 했다. 천공 시험편에 대해, 천공을 실시했다. 천공의 조건을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구체적으로, 드릴 외주 속도를 변화시켜, 드릴 파손까지의 누적 구멍 깊이를 측정했다. 드릴은 고속도 강 스트레이트 드릴을 이용했다. 드릴의 노즈 R은 3mm이며, 선단각은 118°였다. 절삭 속도:10~70m/분, 이송량:0.25mm/rev, 구멍 깊이 9mm로 하여, 천공을 실시했다. 누적 구멍 깊이(구멍 깊이×천공수)가 1000mm에 이른 경우는, 하나의 드릴로의 천공을 종료했다. 이 경우, 드릴을 바꿔 달고, 다시 드릴 외주의 속도를 고속으로 하여 파손까지 시험을 반복했다. 누적 구멍 깊이 1000mm를 천공 가능한 최대 드릴 외주 속도를 CL1000(m/분)으로 정의하고, 피삭성의 지표로 했다. 결과를 표 2의 「CL1000」의 란에 나타낸다. CL1000이 40m/분 이상인 경우, 공구 수명 특성이 우수하다고 판단했다. 한편, CL1000이 40m/분 미만인 경우, 공구 수명 특성이 우수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칩 처리성 평가]
직경 50mm의 봉강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절삭 시험편으로 했다. 절삭 시험편에 대해, 도 4에 나타내는 외주 선삭(旋削)을 실시했다. 외주 선삭의 조건을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구체적으로, 공구(50)는, P20종 초경합금 공구를 이용했다. 공구(50)의 노즈 R은 0.4이며, 경사각은 5°였다. 절삭 속도(V1):250m/분, 이송 속도(V2):0.2mm/rev, 절입 깊이(D1):2mm, 길이 방향 절삭 길이(L1):200mm로 하여, 외주 선삭을 실시했다. 외주를 절삭 후, 재차 D1:2mm만 소경이 되도록 절입 선삭을 반복하여, 시험편(5)에 대해 4분간의 상기 조건의 선삭 시험을 실시했다.
1000개째의 시험편의 선삭에서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칩이 얻어졌다. 그래서, 칩의 길이(L20)와, 직경(D20)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칩의 직경(D20)이 30mm 이하인 코일 형상인 경우, 또는 코일 형상이 아니어도 칩 길이(L20)가 50mm 미만인 경우, 칩 처리성이 우수하다고 판단했다(표 2 중의 「○」). 한편, 칩의 직경(D20)이 30mm 이하인 코일 형상이 아니고, 또한, 칩 길이(L20)도 50mm 이상인 경우, 칩 처리성이 우수하지 않다고 판단했다(표 2 중의 「×」).
[녹 발생 특성(내식성) 평가 시험]
직경 50mm의 봉강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녹 발생 시험편을 제작했다. 녹 발생 시험편에 대해, 상술한 절삭 시험과 동일한 조건으로 선삭 가공을 실시했다. 그 후, 절삭면에 수돗물을 분무하면서, 습도 70%, 20℃의 분위기 내에 1시간 시험편을 보관했다. 보관 후, 시험편의 절삭면을 관찰하여, 녹점(銹点)의 개수를 측정했다. 측정 결과를 표 2의 「녹 발생 특정」란에 나타낸다. 녹점이 10점 미만인 경우(표 2 중의 「◎」), 및, 녹점이 10점 이상 20점 미만인 경우(표 2 중의 「○」), 녹 발생 특성이 우수하다고 판단했다. 한편, 녹점이 20점 이상인 경우(표 2 중의 「×」), 녹 발생 특성이 우수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전동 피로 시험]
전동 피로 수명의 평가는, 모리식 스러스트형 전동 피로 시험에 의해 행했다. 각 시험 번호의 봉강의 R/2부로부터, 도 6에 나타내는, 직경 60mm, 두께 5mm의 원반형의 전동 피로 시험편(100)을 각 10장 채취했다. 전동 피로 시험편(100)에 대해, 담금질 뜨임을 실시하여, 표면을 경화시켰다. 유효 경화층 깊이는 0.8mm 이상으로 했다.
담금질 뜨임 처리의 조건은 이하대로였다. 880℃×1시간, 기름 담금질, 세정, 170℃×2시간의 저온 뜨임을 행했다. 담금질 및 뜨임을 실시한 시험편에 대해, 표면을 연삭하여, 유효 경화층 깊이를 0.5mm로 했다. 유효 경화층 깊이는, HV550이 되는 위치의 표면으로부터의 깊이로 했다. 연삭에 의한 제거는 0.1mm 정도로 했다. Cp 및 연삭 제거량을 조절하여, 각 시험편에 있어서의 경도 분포 및 유효 경화층 깊이를 조정했다.
도 7에 나타내는 대로, 전동 피로 시험편(100)을, 기름 70% 및 물 30%의 윤활유(102)에 침지하고, 윤활유 중의 수분은 발열에 의해 증발하기 때문에, 1일에 1회, 물 30ml를 추가했다. 시험 면압은 4kN으로 일정하게 했다. 경구(硬球)는, Si3N4 세라믹스 경구를 이용했다. 전동 피로 시험편(100) 상에 접하는 경구는 3구로 하고, 회전수는 1200rpm으로 했다. 전동 피로 수명의 척도로서, 「시험 결과를 와이블 확률지에 플롯하여 얻어지는 누적 파손 확률 10%에 있어서의 피칭을 일으킬 때까지의 시간(시간)」을 내구 수명으로서 이용했다. 결과를 표 2의 「전동 피로 수명」의 란에 나타낸다. 전동 피로 수명이 3.1시간 이상인 경우, 전동 피로 특성이 우수하다고 판단했다. 한편, 전동 피로 수명이 3.1시간 미만인 경우, 전동 피로 특성이 우수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시험 결과]
시험 번호 1~27에서는, 화학 조성이 적절하고, F1이 8.0 이상이며, 탈산 순서가 적절하며, 응고 냉각 속도 RC가 100℃/분 이하였다. 그 때문에, 특정 개재물의 개수 TN이 40개/mm2 이상이었다. 그 결과, CL1000이 40m/분 이상이며, 또한, 우수한 칩 처리성을 얻을 수 있었다. 즉, 우수한 피삭성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녹 발생 특성 평가 시험에 있어서, 모두, 녹점이 20점 미만이며, 우수한 녹 발생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전동 피로 시험에 있어서, 모두, 전동 피로 수명이 3.1시간 이상이며, 우수한 전동 피로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시험 번호 1~6, 20, 및, 24에서는 또한, 응고 냉각 속도 RC가 8~50℃/분 미만이었다. 그 때문에, 특정 개재물의 개수 TN이 40개/mm2 이상일 뿐만 아니라, 복합 비율 RA가 40% 이상이었다. 그 결과, 모두, 녹점이 10점 미만이며, 시험 번호 7~19, 21~23, 및, 25~27과 비교해, 더 우수한 녹 발생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시험 번호 28~36에서는, 화학 조성이 적절하고, F1이 8.0 이상이며, 탈산 순서가 적절했지만, 응고 냉각 속도 RC가 100℃/분을 넘었다. 그 때문에, 특정 개재물의 개수 TN이 40개/mm2 미만이었다. 그 결과, 우수한 녹 발생 특성을 얻을 수 없었다.
시험 번호 37 및 38에서는, 화학 조성이 적절하고, 탈산 순서가 적절하며, 응고 냉각 속도 RC가 100℃/분 이하였지만, F1이 8.0 미만이었다. 그 때문에, 특정 개재물의 개수 TN이 40개/mm2 미만이었다. 그 결과, 우수한 녹 발생 특성을 얻을 수 없었다.
시험 번호 39에서는, 화학 조성이 적절하고, 탈산 순서가 적절했지만, 응고 냉각 속도 RC가 100℃/분을 초과하고, 또한 F1이 8.0 미만이었다. 그 때문에, 특정 개재물의 개수 TN이 40개/mm2 미만이었다. 그 결과, 우수한 녹 발생 특성을 얻을 수 없었다.
시험 번호 40에서는, Mn 함유량이 너무 많았다. 그 결과, CL1000이 40m/분 미만이며, 우수한 피삭성을 얻을 수 없었다.
시험 번호 41에서는, Mn 함유량이 너무 낮았다. 그 때문에, 특정 개재물의 개수 TN이 40개/mm2 미만이었다. 그 결과, 우수한 녹 발생 특성을 얻을 수 없었다.
시험 번호 42에서는, S 함유량이 너무 낮았다. 그 결과, 우수한 녹 발생 특성을 얻을 수 없었다.
시험 번호 43에서는, Pb 함유량이 너무 많았다. 또한, 응고 냉각 속도 RC가 100℃/분을 넘었다. 그 결과, 우수한 녹 발생 특성을 얻을 수 없었다.
시험 번호 44에서는, Pb 함유량이 너무 낮았다. 그 결과, CL1000이 40m/분 미만이며, 또한, 우수한 칩 처리성을 얻을 수 없었다. 즉, 우수한 피삭성을 얻을 수 없었다.
시험 번호 45에서는, Al 함유량이 너무 낮았다. 그 때문에, 특정 개재물의 개수 TN이 40개/mm2 미만이었다. 그 결과, 우수한 녹 발생 특성을 얻을 수 없었다.
시험 번호 46에서는, Cr 함유량이 너무 많았다. 그 결과, CL1000이 40m/분 미만이며, 우수한 피삭성을 얻을 수 없었다.
시험 번호 47에서는, Cr 함유량이 너무 낮았다. 그 결과, 전동 피로 수명이 3.1시간 미만이며, 우수한 전동 피로 특성을 얻을 수 없었다.
시험 번호 48 및 49에서는, 화학 조성이 적절하고, F1이 8.0 이상이며, 응고 냉각 속도 RC가 100℃/분 이하였지만, 탈산 순서가 부적절했다. 그 때문에, 특정 개재물의 개수 TN이 40개/mm2 미만이었다. 그 결과, 우수한 녹 발생 특성을 얻을 수 없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다. 그러나, 상술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술한 실시 형태를 적당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MnS 개재물
20 Pb 개재물
30 복합 개재물

Claims (4)

  1. 질량%로,
    C:0.30~0.50%,
    Si:0.01~0.80%,
    Mn:0.20~2.00%,
    P:0.030% 이하,
    S:0.010~0.100%,
    Pb:0.010~0.100%,
    Al:0.010~0.050%,
    N:0.015% 이하,
    O:0.0005~0.0030%,
    Cr:0.70% 초과~2.00%,
    Ni:0~3.50%,
    B:0~0.0050%,
    V:0~0.70%,
    Mo:0~0.70%,
    W:0~0.70%,
    Nb:0~0.050% 미만,
    Cu:0~0.50%,
    Ti:0~0.100%, 및,
    Ca:0~0.0030%를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며, 식 (1)을 만족하는 화학 조성을 가지고,
    강 중에 있어서, MnS 개재물, Pb 개재물, 및, MnS 및 Pb를 함유하는 복합 개재물 중 어느 하나이며, 원상당경이 5μm 이상인 특정 개재물의 총 개수가 40개/mm2 이상인, 기계 구조용 강.
    Mn/S≥8.0 (1)
    여기서, 식 (1) 중의 각 원소에는, 대응하는 원소의 함유량(질량%)이 대입된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학 조성은,
    Ni:0.02~3.50%,
    B:0.0005~0.0050%,
    V:0.05~0.70%,
    Mo:0.05~0.70%,
    W:0.05~0.70%,
    Nb:0.001~0.050% 미만,
    Cu:0.05~0.50%, 및,
    Ti:0.003~0.100%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함유하는, 기계 구조용 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학 조성은,
    Ca:0.0001~0.0030%를 함유하는, 기계 구조용 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개재물의 상기 특정 개재물에 대한 개수 비율이 40% 이상인, 기계 구조용 강.
KR1020197005584A 2016-07-27 2017-07-27 기계 구조용 강 KR201900345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47193 2016-07-27
JP2016147193 2016-07-27
PCT/JP2017/027153 WO2018021451A1 (ja) 2016-07-27 2017-07-27 機械構造用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594A true KR20190034594A (ko) 2019-04-02

Family

ID=6101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584A KR20190034594A (ko) 2016-07-27 2017-07-27 기계 구조용 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271065A1 (ko)
EP (1) EP3492614A4 (ko)
JP (1) JP6760378B2 (ko)
KR (1) KR20190034594A (ko)
CN (1) CN109477187A (ko)
WO (1) WO20180214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644B1 (ko) * 2018-05-31 2023-03-08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스틸 피스톤용 강재
JP7376784B2 (ja) 2019-12-13 2023-11-09 日本製鉄株式会社 熱間鍛造部品
CN114829650B (zh) * 2019-12-23 2023-06-02 杰富意钢铁株式会社 易切削钢及其制造方法
CN111304539B (zh) * 2020-04-09 2021-02-09 莆田学院 一种高速高功率密度电机转轴及其制备方法
CN112359278B (zh) * 2020-10-19 2021-08-24 中天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工程机械齿轮用钢的制备法及其锻件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2172A (ja) 1999-01-28 2000-10-10 Sumitomo Metal Ind Ltd 被削性と靱性に優れた機械構造用鋼材及び機械構造部品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7630B2 (ja) * 1987-10-15 1996-12-25 愛知製鋼株式会社 高疲労強度快削鋼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9842A (ja) * 1997-07-15 1999-02-02 Sumitomo Metal Ind Ltd フェライト・パーライト型非調質鋼
JP3437079B2 (ja) * 1998-02-05 2003-08-1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切りくず処理性に優れた機械構造用鋼
JP2000219936A (ja) * 1999-02-01 2000-08-08 Daido Steel Co Ltd 快削鋼
JP2000328182A (ja) * 1999-05-13 2000-11-28 Sanyo Special Steel Co Ltd 熱間加工性に優れる機械構造用快削鋼
JP3468239B2 (ja) * 2001-10-01 2003-11-17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機械構造用鋼及びその製造方法
JP4023196B2 (ja) * 2001-11-28 2007-12-19 大同特殊鋼株式会社 被削性にすぐれた機械構造用鋼
JP5114658B2 (ja) * 2006-12-20 2013-01-09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機械的特性及び被削性に優れた機械構造用鋼
JP5231101B2 (ja) * 2008-06-27 2013-07-1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疲労限度比と被削性に優れた機械構造用鋼
TWI391500B (zh) * 2008-08-06 2013-04-01 Posco 環保無鉛之快削鋼及其製作方法
CN105492644B (zh) * 2013-08-26 2017-04-12 新日铁住金株式会社 转向齿条杆用轧制圆钢材以及转向齿条杆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2172A (ja) 1999-01-28 2000-10-10 Sumitomo Metal Ind Ltd 被削性と靱性に優れた機械構造用鋼材及び機械構造部品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업 표준 조사회, 규격 번호:JIS G 4804(2008), 규격 명칭:황 및 황 복합 쾌삭강 강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60378B2 (ja) 2020-09-23
WO2018021451A1 (ja) 2018-02-01
EP3492614A4 (en) 2020-01-29
US20190271065A1 (en) 2019-09-05
EP3492614A1 (en) 2019-06-05
CN109477187A (zh) 2019-03-15
JPWO2018021451A1 (ja)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0378B2 (ja) 機械構造用鋼
JP6760375B2 (ja) 機械構造用鋼
JP6468366B2 (ja) 鋼、浸炭鋼部品、及び浸炭鋼部品の製造方法
JP6468365B2 (ja) 鋼、浸炭鋼部品、及び浸炭鋼部品の製造方法
JP6760379B2 (ja) 機械構造用鋼
JP2017193767A (ja) 冷間鍛造用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683075B2 (ja) 浸炭用鋼、浸炭鋼部品及び浸炭鋼部品の製造方法
JP6683074B2 (ja) 浸炭用鋼、浸炭鋼部品及び浸炭鋼部品の製造方法
JP2012117098A (ja) 冷間鍛造用快削鋼
JP6668741B2 (ja) 熱間圧延棒線材
JP6465206B2 (ja) 熱間圧延棒線材、部品および熱間圧延棒線材の製造方法
JPS6137953A (ja) 非磁性鋼線材の製造方法
JP2011256447A (ja) 被削性に優れた高強度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683073B2 (ja) 浸炭用鋼、浸炭鋼部品及び浸炭鋼部品の製造方法
JP6642236B2 (ja) 冷間鍛造用鋼
JP2000063988A (ja) 穴明け加工性に優れた快削鋼棒線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8061191A1 (ja) 冷間鍛造用鋼及びその製造方法
JP6683072B2 (ja) 浸炭用鋼、浸炭鋼部品及び浸炭鋼部品の製造方法
JP6766531B2 (ja) 冷間鍛造用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030089A (ja) 粒径粗大化防止特性に優れた浸炭部品用鋼と浸炭部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