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446A - 재봉틀 동작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재봉틀 - Google Patents

재봉틀 동작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446A
KR20190033446A KR1020180111527A KR20180111527A KR20190033446A KR 20190033446 A KR20190033446 A KR 20190033446A KR 1020180111527 A KR1020180111527 A KR 1020180111527A KR 20180111527 A KR20180111527 A KR 20180111527A KR 20190033446 A KR20190033446 A KR 20190033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needle
feed
sewing machine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4632B1 (ko
Inventor
야콥 하르더
안드레아스 리펠
페터 클라쎈
토마스 뇔트게
Original Assignee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뒤르콥 아들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90033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20Work-feeding means constituted by sewing need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재봉틀의 동작에서, 적어도 하나의 솔기가 하나의 직물 조각 내에 재봉된다. 동시에, 직물 공급 구동 메커니즘(8)에 의해서 직물 조각의 공급 유닛이 직물 공급 방향(2)으로 구동된다. 솔기가 재봉되는 동안, 재봉틀(3)의 바늘 공급 유닛(18)은 각각의 스티치가 만들어지는 동안 바늘(4, 5)이 직물 조각을 직물 공급 방향(2)과 반대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동작된다. 그 결과, 동작 방법 및 그러한 동작 방법으로 동작하는 재봉틀이 획득되어 개선된 솔기 패턴이 생산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재봉틀 동작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재봉틀{METHOD OF OPERATING A SEWING MACHINE AND SEWING MACHINE ADAPTED TO CARRY OUT THE METHOD}
본 발명은 재봉틀을 동작하는 방법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상기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재봉틀에 관련된다.
재봉틀에 대한 동작 방법이 EP 3 088 589 A1 및 DE 100 22 237 B4로부터 알려졌다. 문서 DE 10 2011 100 103 A1는 스텝 길이를 변경하기 위한 바늘 운송 유닛을 갖는 재봉틀을 기술한다. 독일 특허 제1 485 148호는 바늘 공급기를 갖는 재봉틀을 기술하며, 이때 상응하는 공급 공구가 슬리브를 삽입하기 위해 필요한 슬리브 직물의 추가 층을 추가하도록 제공된다. 문서 DE 34 11 217 A1은 재봉 바늘의 스윙 운동 또는 직물 공급의 절대량을 설정하도록 구동가능한 셔틀 구동 메커니즘을 갖는 이중 사슬 스티치 재봉틀을 기술한다. 문서 DE 10 2007 004 549 A1은 재봉틀의 공급 조정 장치를 기술한다. 독일 특허 제868 832호는 재봉틀에 대한 공급 장치를 기술한다. 문서 DE 33 42 391 C1은 바늘 공급 유닛 및 바닥 공급 메커니즘을 갖는 재봉틀을 기술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솔기 패턴이 향상되는 방식으로 아웃셋(outset)에서 지정되는 유형의 재봉틀을 추가로 발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재봉틀의 동작 방법에 의해 달성되고, 이 방법은 하나의 직물 조각 내에 적어도 하나의 솔기를 재봉하는 한편 동시에 이 직물 조각이 직물 공급 구동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직물 공급 방향으로 공급되는 단계 및 각각의 스티치가 만들어지는 동안 바늘이 직물 공급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직물 조각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솔기가 재봉되는 동안에 재봉틀의 바늘 공급 유닛이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직물 조각을 공급하기 위해 제공된 바늘 공급 유닛이 추가 직물 공급 구동 메커니즘의 직물 공급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동작된다면, 놀랍게도 직물 품질 및 직물 두께에 따라서, 그리고 재봉 바늘 파라미터에 따라서 솔기 패턴이 향상된다는 점이 밝혀졌다. 한 편으로는 이러한 바늘 공급 유닛의 "반대 동작"이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자신의 직물 공급 구동 메커니즘이 좋지 않은 솔기 패턴을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될 수 있지만, 솔기 패턴은 사실 직물 및 재봉 바늘의 유형에 따라서 이러한 반대 동작에 의해서 재생산 가능하게 향상된다.
바늘 피드 유닛에 대한 직물 피드 구동 메커니즘의 조정가능한 위상 관계는 솔기 패턴을 최적화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바늘 공급 유닛과 직물 공급 구동 메커니즘의 주기적 동작 시퀀스 사이의 반대 동작의 미세 조정을 허용한다. 한 편으로 직물 공급 구동 메커니즘의 개별 동작 시퀀스의 일 주기와 다른 한 편으로 비늘 공급 유닛의 일 주기는 정확히 하나의 스티치를 형성하는 재봉틀의 주기와 일치할 수 있다.
동작 시퀀스 미세 조정의 장점은 특히 솔기가 재봉되는 동안 수행되는 위상 관계 조정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재봉될 솔기의 시작에서 바늘 공급 유닛과 직물 공급 구동 메커니즘의 주기적인 동작 시퀀스 사이의 제 1 위상 관계가 존재할 수 있는 한편 솔기의 끝에서 이러한 유형의 상이한 위상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위상 관계 조정은 솔기 형성 중에 재봉틀이 다양한 재봉 조건에 적응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스티치가 만들어지는 동안 바늘 공급 유닛에 의해 직물 조각이 따라서 공급되는 바늘 공급 스텝 길이가 -절대값의 측면에서- 스티치가 만들어지는 동안에 직물 공급 드라이브에 의해 직물 조각이 따라서 공급되는 공급 스텝 길이보다 더 작도록 하는 스텝 길이 관계는 솔기 패턴을 개선하기에 특히 적합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직물 피드 스텝 길이에 대한 바늘 피드 스텝 길이의 절대 관계는 1/10과 2/1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반대 동작에서, 절대 바늘 공급 스텝 길이가 또한 일반적으로 직물 공급 스텝 길이보다 더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재봉틀의 장점은 동작 방법에 대해 전술된 바와 일치한다. 재봉틀은 단일 바늘 재봉틀일 수 있거나 또는 이중 바늘 재봉틀일 수도 있다.
직물 클램프로서 구성된 직물 공급 드라이브는 바늘 공급 유닛의 작동에 대한 직물 공급 유닛 내의 직물 공급의 독립적인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직물 공급 구동 메커니즘이 또한 적어도 하나의 상단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상단 공급 유닛으로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하단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바닥 공급 유닛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직물 공급 구동 메커니즘은 솔기 형성 동안 직물 조각과의 마찰 접촉에 의해 재봉되도록 직물 조각을 공급할 수 있다.
바늘 공급 스텝 길이를 조정하도록 조정 샤프트에 대해 작용하는 바늘 공급 유닛의 스텝퍼 모터는 바늘 공급 스텝 길이의 정확한 설정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스텝 길이는 작은 증분으로 달라질 수 있고 특히 사실상 연속적이다.
직물 공급 구동 메커니즘과 바늘 공급 유닛 사이의 위상 관계를 정의하도록 적응된 제어 유닛은 직물 공급 구동 메커니즘과 바늘 공급 유닛 사이의 대응 동작의 유연한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이중 바늘 재봉틀을 포함하는 재봉 유닛의 주요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사시도;
도 2 및 3은 각각 "전진 바늘 공급" 위치에서의 바늘 공급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재봉틀의 바늘 공급 구성요소 조립체 및 암 샤프트로부터 유래되는 설정 구성요소의 사시도;
도 4 및 5는 도 2 및 3과 유사하게, "후진 바늘 공급" 위치에서의 바늘 공급 구성요소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및
도 6 및 7은 도 4 및 5와 유사하게, "중립 바늘 공급" 위치에서의 바늘 공급 구성요소 조립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예를 들어 특히 가방 입구가 파이핑으로 트리밍된 가방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봉 유닛(1)의 주요 구성요소의 부분적이고 개략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재봉 유닛(1)은 바지 부분 또는 수트 재킷 부분과 같은 기본적인 직물 부분에 파이핑과 같은 추가 직물 부분을 재봉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 재봉 유닛은 또한 플랩 포켓 또는 웰트 포켓을 재봉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솔기를 직물 조각 내로 재봉할 때, 직물 조각은 아래에서 재봉 방향으로도 지칭되는 직물 공급 방향(2)에서 구동 방식으로 동시에 공급된다. 재봉 방향(2)은 도 1에 포함된 카테시안 XYZ 좌표계의 X-방향을 따라서 이어진다.
재봉 유닛(1)은 직물 조각을 재봉하도록 적응된 재봉틀(3)을 구비하고, 이 재봉틀(3)은 재봉 바늘(4, 5)을 포함하는 이중 바늘 재봉틀로서 구성된다(예로서, 도 2를 참조). 파이핑 또는 플랩 폴딩과 공급 장치는 재봉 방향(2)에서 보았을 때 재봉 바늘(4, 5)의 상류에 배치되며, 다시 말해 음의 X-방향에서 오프셋된다. 상기 파이핑 공급 장치의 기능의 일반적인 모드는 종래기술로부터 알려졌다. 이에 대한 보다 많은 정보는 이전에 공개된 문서 DE 100 16 410 C1, DE 199 26 866 C1 및 DE 198 45 624 C1와 이들의 인용참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직물 조각은 재봉틀(1)의 베어링 플레이트(7) 상에 놓인다. 베어링 플레이트(7)는 XY 평면에 평행인 베어링 평면을 정의한다.
도 1에 따른 개략적인 도면에서 점선으로만 윤곽이 도시되었으며 일반적으로 EP 3 088 589 A로부터 직물 공급 구동 메커니즘으로서 알려진 구동된 직물 클램프(8)는 생산될 솔기의 각 면에서 베어링 플레이트(7)에 대해 직물 조각을 압착하고 이러한 직물 조각을 재봉 방향(2)을 따라서 공급하도록 사용된다. 재봉틀(3)은 직물 조각의 추가의 바늘 공급 유닛이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임시로 활성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터치스크린으로서 구성될 수 있는 재봉 유닛(1)의 동작가능한 디스플레이가 재봉 데이터를 입력하고 재봉 공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재봉 프로그램을 선택하도록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도시되지 않은 디스플레이는 도 1의 개략적인 도면에 도시된 중앙 제어 유닛(9)을 통해서 작동된다.
클램프 프레임을 포함하는 직물 클램프(8)는 커버링 후드(10)에 의해 커버된다.
재봉 유닛(1)은 재봉틀(3)과 함께 스티치 형성 영역에 직물 조각을 공급하도록 적응된 직물 공급 운송 구성요소 및 스티치 형성 영역으로부터 직물 조각을 방출하도록 적응된 직물 방출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메인 프레임(11)을 구비한다. 메인 프레임(11)은 베어링 플레이트(7)를 포함한다. 재봉 유닛(1)의 슬라이딩 플레이트(12)는 베어링 플레이트(7)의 영역 내에 설치된다. 직물 조각은 공급 중에 슬라이딩 플레이트(12)를 따라서 슬라이드한다.
도 2 내지 7은 바늘 공급 운동을 생성하도록 사용되는 바늘 공급 유닛(18)의 세부사항을 도시하고, 이러한 바늘 공급 유닛(18)은 직물 조각에 진입하는 재봉 바늘(4, 5)이 재봉 방향(2) 또는 재봉 방향(2)의 반대 방향으로 직물 조각을 공급하도록, 또는 직물 조각에 진입하는 재봉 바늘(4, 5)이 직물 공급 기능을 갖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3은 "재봉 방향(2), 다시 말하면 양의 X-방향으로의 바늘 공급" 설정 위치에 있는 바늘 공급 유닛(187)을 도시한다. 도 4 및 5는 바늘 공급 유닛(18)이 재봉 방향(2)에 반대 방향으로, 즉 음의 X-방향으로 바늘 공급 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설정 위치를 도시한다. 도 6 및 7은 재봉 바늘(4, 5)이 직물 공급 기능을 갖지 않는 설정 위치에 있는 바늘 공급 유닛(18)을 도시한다.
바늘 공급 드라이브는 재봉틀(3)의 암(20)에서 연장하는(도 2 참조) 암 샤프트(19)로부터 유래된다. 자유 단부에서, 암 샤프트(19)는 수동으로 동작 가능한 손바퀴(21)에 비회전식으로 접속된다.
편심부(eccentric)(22)를 통해서, 암 샤프트(19)는 바늘 공급 조정 기어 메커니즘(23)에 대해 작용한다. 조정 기어 메커니즘(23)은 텅(tongue) 기어 메커니즘으로서 구성된다.
재봉 동작에서, 암 샤프트(19)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구동 모터에 의해 모터로 구동되며, 예를 들어 재봉틀(3)의 베어링 플레이트(7) 아래에 있는 메인 프레임(11) 내에 또는 스탠드(24)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조정 기어 메커니즘(23)은 바늘 공급 유닛(18)의 출력 레버(23)의 스윙 운동을 생성한다. 출력 레버(23)의 스윙 각도 및 스윙 진폭은 조정 기어 메커니즘(23)의 상응하는 기어 설정에 의해 사전결정된다. 이러한 기어 설정은 조정 기어 메커니즘(23)과 상호작용하고 또한 암 샤프트(19)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기어 샤프트(26)로서 구성된 조정 샤프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따라서 기어 샤프트(26)의 각각의 각도 설정은 재봉 방향(2)에서 바늘 공급 유닛의 서로 다른 공급 스트로크를 발생시킨다.
기어 샤프트(26)의 각도 설정은 스텝퍼 모터의 형태인 액추에이터로서 구성된 바늘 공급 스위치오버 장치(27)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스텝퍼 모터는 프레임 래치(28)를 통해서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재봉틀(3)의 프레임에 견고하게 접속된다. 스텝퍼 모터(27)의 모터 샤프트(29)는 레버 구동 메커니즘(30)을 통해서 기어 샤프트(26)에 접속된다. 조정 기어 메커니즘(23)의 프레임, 레버 구동 메커니즘(30)의 출력 레버 구성요소(31) 및 기어 샤프트(26)는 서로에 비회전식으로 접속된다. 도 6 및 7의 중립 위치로부터 시작하는 모터 샤프트(29)의 스윙 운동은 도 2 및 3에 따른 최대 "전진 바늘 공급"과 도 4 및 5에 따른 최대 "후진 바늘 공급"의 두 위치에 도달하기 위한 ±30°이다.
스텝퍼 모터(27)는 재봉 유닛(1)의 중앙 제어 유닛(9)과 신호 통신한다. 이러한 제어 유닛(9)은 예를 들어 직물 클램프(8), 바늘 공급 스위치오버 장치(27)의 스텝퍼 모터 및 암 샤프트(19)를 위한 구동 모터를 통해 직물 공급 구동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도록 사용된다.
도 2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공급 유닛(18)은 바늘 공급 스위치오버 장치(27)에 의해서 세 개의 위치 "재봉 방향(2)으로의 바늘 공급"(도 2/3 참조), "재봉 방향(2)의 반대 방향으로의 바늘 공급"(도 4/5 참조) 및 "바늘 공급 기능이 없는 중립 위치"(도 6/7 참조)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출력 레버(25)는 조정 기어 메커니즘(23)에 의해 정의된 스윙 진폭을 바늘대 링크 샤프트(36)에 전달한다. 바늘대 링크 샤프트(36)의 스윙 진폭은 따라서 출력 레버(25)의 스윙 진폭에 의해서 정의된다. 바늘대 링크 샤프트(36)는 또한 암 샤프트(19)에 대해서도 평행하게 이어진다.
바늘대 링크 샤프트(36)는 두 개의 바늘대(4, 5)가 바늘 홀더(39)에 의해 고정되는 바늘대(38)를 위한 바늘대 링크(37)에 비회전식으로 접속된다.
바늘(4, 5)은 바늘대 링크 샤프트(36)의 스윙 증폭에 응답하여 바늘 공급 스윙 축(40) 둘레에서 스윙 운동을 수행한다.
도 2 내지 7은 위아래 방향으로 바늘대(38)를 작동시키기 위한 암샤프트 크랭크(armshaft crank)(42) 및 베어링 포인트를 갖는 바늘 레버 조정 요소(44)를 포함하는 바늘 레버(thread lever)(43)를 추가로 도시한다.
재봉틀(3)이 동작할 때 각각의 솔기가 재봉되는 한편, 동시에 직물 조각이 재봉 방향(2)으로, 다시 말해 직물 공급 방향으로 직물 공급 구동 메커니즘에 의해서, 다시 말하면 직물 클램프(8)에 의해서 구동되는 방식으로 공급된다. 각각의 솔기를 재봉할 때, 바늘 공급 유닛(18)은 각각의 스티치가 만들어지는 동안 바늘(4, 5)이 직물 공급 방향(2)에 반대로 직물 조각을 공급하도록 동작된다. 따라서 재봉 동작 중에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늘 공급 유닛(18)의 동작 위치 또는 스텝퍼 모터(27)의 각각의 스텝 위치를 통해 정의된,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대 후진 바늘 공급" 위치와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립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가 존재한다.
스텝퍼 모터(27)는 사실상 연속적인 조정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대 전진/후진 바늘 공급" 위치와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립 위치 사이에서 수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만약 직물 공급 구동 메커니즘, 다시 말해 직물 클램프(8)가 스티치가 만들어지는 동안에 주기적인 동작 시퀀스를 갖는다면, 상기 직물 공급 구동 메커니즘(18)은 각각의 스티치가 만들어지는 동안 바늘 공급 유닛(18)에 대해 조정가능한 위상 관계를 가지고 작업한다. 따라서 제어 유닛(9)을 통해 직물 클램프(8)의 공급 구동 메커니즘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위상 관계는 각각의 스티치가 만들어지는 동안에도 각각의 솔기의 형성 중에 조정될 수 있다.
스티치가 만들어지는 동안 바늘 공급 유닛(18)을 통해 직물 조각이 따라서 공급되는, 스텝퍼 모터(27)를 통해 조정가능한 바늘 공급 스텝 길이는 -절대값의 측면에서- 스티치가 만들어지는 동안에 직물 클램프(8)를 통해 직물 조각이 따라서 공급되는 공급 스텝 길이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바늘 공급 스텝 길이가 -절대값의 측면에서- 공급 스텝 길이보다 더 큰 것 또한 가능하다. 바늘 공급 스텝 길이/공급 스텝 길이의 절대 스텝 길이 비율이 1/10와 2/1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1/10와 8/10의 범위 내에, 2/10와 7/10의 범위 내에, 그리고 예로서 3/10의 범위 내, 4/10의 범위 내, 5/10의 범위 내 또는 6/10의 범위 내에 있는 것도 가능하다. 직물 공급 스텝의 스텝 길이는 2.5m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반대 동작에서 절대 바늘 공급 스텝 길이는 0.1mm와 3.5mm 사이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직물 클램프로서 구성된 직물 공급 구동 메커니즘의 대안으로서, 직물 공급 구동 메커니즘은 또한 상단 공급 유닛 및/또는 바닥 공급 유닛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직물 상단 공급 운동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피드독(feed dog)이 DE 196 03 294 C1로부터 알려졌다. 직물 바닥 공급 운동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피드독은 EP 2 330 241 B1로부터 알려졌다.
바늘 공급 스텝 길이의 조정은, 예를 들어 직물 두께의 검출에 응답하여 제어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어 유닛(9)은 직물 두께 센서(도시되지 않음)와 통신할 수 있으며 사전결정된 직물 두께에 도달하였을 때 스텝퍼 모터(27)를 작동할 수 있다. 바늘 공급의 조정은 또한 측정된 직물 공급 속도에 응답하여도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예를 들어 광학 센서를 이용하여 재봉 동작 중에 직물 공급의 속도가 모니터링된다.

Claims (8)

  1. 재봉틀(3)을 동작하는 방법으로서,
    - 하나의 직물 조각 내에 적어도 하나의 솔기를 재봉하는 한편, 동시에 직물 공급 구동 메커니즘(8)을 이용하여 상기 직물 조각이 직물 공급 방향(2)으로 공급되는 단계;
    - 재봉틀(3)의 바늘 공급 유닛(18)을 동작시키는 한편, 각각의 스티치가 만들어지는 동안 바늘(4, 5)이 상기 직물 조각을 상기 직물 공급 방향(2)과 반대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솔기가 재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공급 구동 메커니즘(8)은 상기 바늘 공급 유닛(18)에 대한 조정가능한 위상 관계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솔기가 재봉되는 동안 상기 위상 관계가 조정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스티치가 만들어지는 동안 상기 바늘 공급 유닛(18)에 의해 직물 조각이 따라서 공급되는 바늘 공급 스텝 길이(needle feed step length)는 -절대값의 측면에서- 스티치가 만들어지는 동안 직물 공급 드라이브(8)에 의해 직물 조각이 따라서 공급되는 공급 스텝 길이보다 더 작은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방법.
  5. 제 1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재봉틀(3).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공급 구동 메커니즘(8)이 직물 클램프로서 구성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재봉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공급 유닛(18)이 바늘 공급 스텝 길이를 조정하도록 조정 샤프트(26)에 대해 작용하는 스텝퍼 모터(27)를 구비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재봉틀.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공급 구동 메커니즘(8)과 상기 바늘 공급 유닛(18) 사이의 위상 관계를 정의하도록 적응된 제어 유닛(9)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재봉틀.
KR1020180111527A 2017-09-21 2018-09-18 재봉틀 동작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재봉틀 KR1025546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16725.4A DE102017216725A1 (de) 2017-09-21 2017-09-21 Verfahren zum Betrieb einer Nähmaschine sowie Nähmaschin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02017216725.4 2017-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446A true KR20190033446A (ko) 2019-03-29
KR102554632B1 KR102554632B1 (ko) 2023-07-11

Family

ID=63528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527A KR102554632B1 (ko) 2017-09-21 2018-09-18 재봉틀 동작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재봉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460116B1 (ko)
JP (1) JP2019055188A (ko)
KR (1) KR102554632B1 (ko)
CN (1) CN109537173B (ko)
DE (1) DE102017216725A1 (ko)
TW (1) TWI8200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56260B2 (ja) * 2019-05-17 2023-10-04 Juki株式会社 針送りミシン
TWI764054B (zh) * 2019-10-17 2022-05-11 陳儀聰 縫紉裝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5591A (ja) * 1999-05-07 2001-01-30 Juki Corp 針送りミシン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68832C (de) * 1941-01-29 1953-02-26 Singer Mfg Co Vorschubvorrichtung fuer Naehmaschinen
DE1485148B1 (de) * 1964-01-22 1969-09-04 Richard Flachmann Naehmaschine mit Nadelvorschub,insbesondere AErmeleinnaehmaschine
US3687096A (en) * 1970-12-23 1972-08-29 Union Special Machine Co Feed adjust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DE3342391C1 (de) * 1983-11-24 1985-03-14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6750 Kaiserslautern Naehmaschine mit Nadel und Untertransport und einer Einrichtung zum Ansteuern eines vorbestimmten Endpunktes einer Naht
DE3411217A1 (de) * 1984-03-27 1985-10-10 Kochs Adler Ag, 4800 Bielefeld Doppelkettenstich-naehmaschine
DE19603294C1 (de) 1996-01-30 1997-09-25 Duerkopp Adler Ag Nähmaschine mit Obertransportvorrichtung
JP3714578B2 (ja) * 1997-10-02 2005-11-09 Juki株式会社 針送りミシン
DE19845624C1 (de) 1998-10-05 2000-05-11 Duerkopp Adler Ag Nähanlage zur Herstellung einer paspelierten Taschenöffnung
DE19903264C1 (de) * 1999-01-28 2000-05-18 Duerkopp Adler Ag Gelenkgetriebe zur Erzeugung einer veränderbaren Schwingbewegung, insbesondere für den Antrieb des Stoffschiebers einer Nähmaschine
IT1320073B1 (it) 1999-05-07 2003-11-12 Juki Kk Macchina per cucire con ago mobile lungo la direzione di avanzamentodel tessuto.
DE19926866C1 (de) 1999-06-12 2000-08-24 Duerkopp Adler Ag Nähmaschine
JP4272766B2 (ja) * 1999-09-06 2009-06-03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送り装置
JP2001212386A (ja) * 2000-02-02 2001-08-07 Brother Ind Ltd 針揺動機能を有するミシン
DE10016410C1 (de) 2000-04-01 2001-06-07 Duerkopp Adler Ag Patten-Zuführeinrichtung für eine Paspelstreifen-Nähanlage
JP4809551B2 (ja) * 2001-07-19 2011-11-09 Juki株式会社 針送りミシン
JP4823700B2 (ja) * 2006-01-31 2011-11-24 Juki株式会社 ミシン
DE102007026651A1 (de) * 2007-06-08 2008-12-18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sowie Betriebsverfahren für eine derartige Nähmaschine
DE102009047534A1 (de) 2009-12-04 2011-06-09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DE102011100103A1 (de) * 2011-04-30 2012-10-31 Pfaff Industriesysteme Und Maschinen Ag Nähmaschine mit Nadeltransport
US9644297B2 (en) * 2014-02-28 2017-05-09 Card-Monroe Corp. Variable stroke drive system for tufting machine
DE102015207758A1 (de) 2015-04-28 2016-11-03 Dürkopp Adler AG Nähanlage sowie Betriebsverfahren hierfür
CN107761258B (zh) * 2017-12-05 2024-02-06 浙江中捷缝纫科技有限公司 一种缝纫机的送布调节机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5591A (ja) * 1999-05-07 2001-01-30 Juki Corp 針送り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4632B1 (ko) 2023-07-11
DE102017216725A1 (de) 2019-03-21
TWI820040B (zh) 2023-11-01
EP3460116A1 (de) 2019-03-27
JP2019055188A (ja) 2019-04-11
CN109537173A (zh) 2019-03-29
CN109537173B (zh) 2022-06-14
EP3460116B1 (de) 2022-06-15
TW201920796A (zh) 201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5877A (en) Sewing machine equipped for producing shaped seams
JP3181916U (ja) ミシン
KR20190033446A (ko) 재봉틀 동작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재봉틀
JP2007195806A (ja) 自動玉縁縫いミシン
CN109295616B (zh) 缝纫机
JP2009160071A (ja) 玉縁縫いミシンの玉布押さえ機構
TWI720980B (zh) 縫紉設備及其操作方法
JP2019022621A (ja) ミシン
JP2002542910A (ja) 余剰幅を組み込みながら第1縫製素材を第2縫製素材に接合するためにミシンを作動操作する方法
TWM544524U (zh) 縫紉設備
TWI787232B (zh) 製造線縫開頭面線的方法和配置成實施這種方法的縫紉機
JP2009050638A (ja) ミシン
US1943301A (en) Sewing machine
US2773463A (en) Shirring device
US1961951A (en) Combined ruffling and ornamental stitching mechanism
US2322207A (en) Feed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US976256A (en) Blindstitch sewing-machine.
US1158391A (en) Scallop-stitching machine.
US2063995A (en) Ornamented loop-stitch sewing machine
CN106048906B (zh) 纽扣孔锁边缝纫机
US194610A (en) Improvement in machines for sewing button-holes
US132326A (en) Improvement in sewing-machines
US1574270A (en) Multiple-needle sewing machine
US763001A (en) Sewing-machine for felling.
US2145885A (en) Embroidering machin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