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001A - 비접촉 급전 시스템 및 수전측 장치 - Google Patents

비접촉 급전 시스템 및 수전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001A
KR20190033001A KR1020180100213A KR20180100213A KR20190033001A KR 20190033001 A KR20190033001 A KR 20190033001A KR 1020180100213 A KR1020180100213 A KR 1020180100213A KR 20180100213 A KR20180100213 A KR 20180100213A KR 20190033001 A KR20190033001 A KR 20190033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ower
coil
road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9227B1 (ko
Inventor
야스나오 요시자키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3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H02J7/02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39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with position-responsive activation of primary c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5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without mechanical contact between the collector and the power supply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22Circuits or methods for driving the primary coil, e.g.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coil
    • H02J5/00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12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40Control modes
    • B60L2260/44Control modes by parameter esti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비접촉 급전 시스템은, 도로에 배치된 복수의 송전 코일(201)로부터, 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10)에 탑재된 수전 코일(101)에 비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비접촉 급전 시스템은,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장래의 위치를 추정하는 제1 추정부(1021, 2021, 51)와, 추정된 장래의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송전 코일 중, 수전 코일에 전력을 공급 가능한 상태인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 코일을 특정하는 특정부(1022, 2022, 5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비접촉 급전 시스템 및 수전측 장치{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AND POWER RECEPTION DEVICE}
본 발명은, 주행 중인 차량에 급전 가능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 및 상기 차량이 구비하는 수전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 분야의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어 차선에 설치된 송전 코일로부터 차량의 수전 코일에 비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이며, 차량을 검지한 경우에, 전원 회로 제어부 등의 다른 시스템을 기동하여 주행하는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15-027149호 참조).
주차 중인 차량에 비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기술이기는 하지만, 수전 코일의 복수 종류의 코일 타입 각각에 대응 가능한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15-116084호 참조).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어 인체 등에의 누설 자계의 영향을 고려하여, 차량(즉, 수전 코일)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송전 코일에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5-027149호에 기재된 기술과 같이, 차량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송전 코일에의 전력 공급 및 전력 공급의 차단이 전환된다.
송전 코일에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송전 코일이, 수전 코일에 비접촉으로 전력을 공급 가능한 상태로 될 때까지는, 어느 정도의 시간(예를 들어, 수십 밀리초 내지 수백 밀리초)을 요한다. 상술한 상태 변화에 관한 기간에도 주행하고 있는 차량의 위치는 변화된다. 상술한 위치의 변화량은, 차량의 속도가 클수록 커진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5-027149호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차량이 급전 경로 내에 진입한 경우에 차량 검지라고 판정되어, 전원 회로 제어부 등이 기동한다. 그 때문에, 차량의 속도에 따라서는, 전원 회로 제어부 등이 기동하였을 때에는 차량이 급전 경로를 이탈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이 비교적 빠르게 주행하고 있는 경우라도, 상기 차량에 적절하게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누설 자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 및 수전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은, 도로에 배치된 복수의 송전 코일로부터, 상기 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에 탑재된 수전 코일에 비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이며, 상기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장래의 위치를 추정하는 제1 추정부와, 상기 추정된 장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송전 코일 중, 상기 수전 코일에 전력을 공급 가능한 상태인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 코일을 특정하는 특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는, 상기 제1 추정부는, 상기 속도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장래의 위치의 집합인 예측 진로를 추정해도 된다. 상기 특정부는, 상기 추정된 예측 진로에 기초하여, 상기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 코일을 특정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상기 복수의 송전 코일 중 상기 수전 코일에 전력을 공급한 하나의 송전 코일의 상기 도로가 연장되는 방향의 위치와, 상기 하나의 송전 코일로부터 상기 수전 코일에 공급된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도로 위에 있어서의 위치를 추정하는 제2 추정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제1 추정부는, 상기 속도 외에도, 상기 제2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장래의 위치를 추정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조작 의사를 나타내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된 송전 코일을 실제로 상기 기동 상태로 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상기 기동 상태로 되도록 상기 복수의 송전 코일 각각을 제어함과 함께, 상기 기동 상태로 한 후에, 상기 수전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상태인 대기 상태로 되도록 상기 복수의 송전 코일 각각을 제어하는 코일 제어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도로 위의 상기 차량의 후방을 주행하는, 상기 차량과는 상이한 타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코일 제어부는, 상기 타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기인하여 상기 기동 상태로 한 송전 코일이 상기 기동 상태를 유지하는 기간을 연장할지 여부를 결정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수전측 장치는, 도로에 배치된 복수의 송전 코일로부터, 상기 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에 탑재된 수전 코일에 비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탑재되는 수전측 장치이며, 상기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장래의 위치를 추정하는 제1 추정부와, 상기 추정된 장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송전 코일 중, 상기 수전 코일에 전력을 공급 가능한 상태인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 코일을 특정하는 특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는, 상기 제1 추정부는, 상기 속도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장래의 위치의 집합인 예측 진로를 추정해도 된다. 상기 특정부는, 상기 추정된 예측 진로에 기초하여, 상기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 코일을 특정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상기 복수의 송전 코일 중 상기 수전 코일에 전력을 공급한 하나의 송전 코일의 상기 도로가 연장되는 방향의 위치와, 상기 하나의 송전 코일로부터 상기 수전 코일에 공급된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도로 위에 있어서의 위치를 추정하는 제2 추정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제1 추정부는, 상기 속도 외에도, 상기 제2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장래의 위치를 추정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조작 의사를 나타내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된 송전 코일을 실제로 기동 상태로 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및 산업적 의의는 유사 요소들을 유사 도면 부호로 나타낸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후술된다.
도 1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수전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송전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지상 코일의 상태 천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수전측 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판정 처리의 개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판정 처리의 개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c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판정 처리의 개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판정 처리의 개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로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충전량의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차량의 주행 상황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송전측 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 관한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수전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송전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비접촉 급전 시스템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지상 코일을 구비한다. 상기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 대응하는 차량(10)에는, 차량 코일이 탑재되어 있다. 차량(10)이, 지상 코일이 배열된 도로(또는 차선) 위를 주행하는 경우, 차량 코일에 대향하는 지상 코일로부터, 차량 코일에 비접촉으로 전력이 공급된다.
차량(10)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차량(10)은, 배터리(11), 백색선 인식부(12), 지도 정보(13), 내부 센서(14), 방향 지시 스위치(15) 및 수전측 장치(10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수전측 장치(100)는, 차량 코일(101), 제어부(102) 및 무선 통신부(10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배터리(11)는, 차량 코일(101)에 접속되어 있다. 배터리(11)는, 차량 코일(101)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충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백색선 인식부(12)는, 차량(10)의 전방을 촬상한 화상에 기초하여, 차량(10)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에 그려진 백색선을 인식한다. 백색선 인식에 관한 기술에는, 기존의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그 상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도 정보(13)는, 적어도 도로 형상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커브의 곡률 등) 및 각 지상 코일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내부 센서(14)는, 예를 들어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요 레이트 센서, 타각 센서 등을 포함하고 있다. 수전측 장치(100)의 제어부(102)는, 차량 코일(101)을 통한 배터리(11)의 충전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함). 무선 통신부(103)는, 후술하는 송전측 장치(200)의 무선 통신부(203)와 서로 무선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지상 코일을 구비하는 송전측 장치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송전측 장치(200)는, 지상 코일(201), 제어부(202) 및 무선 통신부(20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송전측 장치(200)는, 다른 송전측 장치(200)와, 예를 들어 전선이나 광 파이버 등의 통신 선로에 의해 유선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각 송전측 장치(200)를 식별 가능하도록, 각 송전측 장치(200)에 고유의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여기서, 지상 코일(201)의 상태 천이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지상 코일의 상태 천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의 시각 t1에 있어서, 차량(10)이 검지되면(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03)(도 2 참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무선 통신부(203)(도 3 참조)가 수신하면), 시각 t2에 있어서, 제어부(202)는 지상 코일(20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도시하지 않음)의 턴 온을 개시한다. 그 후, 시각 t3에 있어서(이때, 차량(10)은 지상 코일(201)의 위에 위치함), 제어부(202)는 차량 코일(101)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지상 코일(201)(엄밀하게는 지상 코일(201)을 포함하는 송전 회로)을 제어한다. 이 결과, 차량(10)의 배터리(11)가 충전된다. 시각 t4에 있어서 급전(충전) 기간이 종료되면, 제어부(202)는, 지상 코일(20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의 턴 오프를 개시한다. 시각 t5에 있어서 상기 전원의 턴 오프가 종료되면, 지상 코일(201)의 상태는 차량 검지 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상기 급전 기간은, 차량(10)의 속도에 따라서 변화된다.
도 4에 있어서의 시각 t2로부터 시각 t3까지의 공정을, 이후 적절하게 「전원 턴 온 공정」이라고 칭한다. 도 4에 있어서의 시각 t3으로부터 시각 t4까지의 공정을, 이후 적절하게 「충전 공정」이라고 칭한다. 도 4에 있어서의 시각 t4로부터 시각 t5까지의 공정을, 이후 적절하게 「전원 턴 오프 공정」이라고 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수전측 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판정 처리의 개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판정 처리의 개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로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충전량의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차량의 주행 상황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서는, 차량(10)이 구비하는 수전측 장치(100)로부터, 송전측 장치(200)에 대한 지령을 나타내는 신호가 송신된다. 송전측 장치(200)는, 상기 신호에 응하여, 지상 코일(201)로부터 차량 코일(101)에 전력을 공급한다.
수전측 장치(100)의 제어부(10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02)의 내부에 논리적으로 실현되는 처리 블록으로서 또는 물리적으로 실현되는 처리 회로로서, 궤도 추정부(1021), 판정부(1022) 및 자차 위치 추정부(102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동 추정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궤도 추정부(1021)는, 내부 센서(14)의 출력(특히, 차속, 가감속도, 요 레이트, 타각) 및 차량(1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의 현재부터 소정 시간 후(예를 들어, 수초 후)까지의, 상기 차량(10)의 장래 위치의 집합인 궤도(바꾸어 말하면, 예측 진로)를 추정한다. 궤도 추정 방법에는, 기존의 기술을 적용 가능하므로, 그 상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치 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자차 위치 추정 처리」를 참조.
판정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판정부(1022)는, 궤도 추정부(1021)에 의해 추정된 궤도에 기초하여, 지상 코일(201)로부터 차량 코일(101)에 전력을 공급 가능한 상태(이후, 적절하게 "기동 상태"라고 칭함)로 해야 하는 송전측 장치(200)를 판정(결정)한다. 여기서, 「기동 상태」는, 상술한 「전원 턴 온 공정」에 의해 전원이 턴 온된 상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판정부(1022)는, 백색선 인식부(12)에 의한 백색선 인식의 결과 및 지도 정보(13)에 기초하여, 차량(10)이 현재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로 경로 정보를 취득한다. 차량(10)의 주변에 지상 코일(201)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도로 경로 정보에는, 지상 코일(201)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도 포함된다.
판정부(1022)는, 궤도 추정부(1021)에 의해 추정된 궤도와, 도로 경로 정보를 비교한다. 예를 들어, 추정된 궤도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궤도인 것으로 한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 경로 정보에 의해 도시된 도로의 형상이 직선로인 경우, 판정부(1022)는, 추정된 궤도가, 도로의 형상을 따른 것이라고 판정한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10)의 현재 위치가 N번째의 지상 코일(201)의 위치라고 하면, 판정부(1022)는, 추정된 궤도와 겹치는 N+1번째 및 N+2번째의 지상 코일(201)을 각각 구비하는 송전측 장치(200)를,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측 장치(200)의 후보로서 특정한다. 이때, 판정부(1022)는, 예를 들어 위치 정보 및 내부 센서(14)의 출력 각각의 오차에 기인하는 추정된 궤도의 오차를 고려하여, 상기 후보를 특정한다.
한편,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 경로 정보에 의해 도시된 도로의 형상이 커브로인 경우, 판정부(1022)는, 추정된 궤도가, 도로의 형상을 따른 것은 아니라고 판정한다. 상술한 경우, 금회 추정된 궤도에 기초하여,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측 장치(200)는 판정되지 않는다.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측 장치(200)의 후보가 특정된 후, 판정부(1022)는, 예를 들어 방향 지시 스위치(15)의 ON/OFF 상태에 기초하여, 차량(10)의 실제의 진로가, 추정된 궤도로부터 괴리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방향 지시 스위치(15)가 ON 상태인 경우,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10)의 운전자에 의해 차선 변경에 관한 조작이 행해질 가능성이 비교적 높다. 상술한 경우, 판정부(1022)는, 예를 들어 차속과, 방향 지시 스위치(15)가 ON 상태로 되고 나서 실제로 차선 변경에 관한 조작이 개시될 때까지의 예측 시간 등에 기초하여, 차선 변경이 개시되는 위치를 추정한다. 판정부(1022)는, 상기 추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측 장치(200)의 후보 중 실제로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측 장치(200)를 판정한다. 도 7에 도시한 예에서는, 판정부(1022)는, N+1번째의 지상 코일(201)을 구비하는 송전측 장치(200)를 기동 상태로 해야 한다고 판정한다.
한편, 방향 지시 스위치(15)가 OFF 상태인 경우, 차량(10)의 운전자에 의해 차선 변경에 관한 조작이 행해질 가능성은 비교적 작다. 상술한 경우, 판정부(1022)는, 차량(10)이 추정된 궤도를 따라 주행할 가능성이 비교적 높다고 판정하고,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측 장치(200)의 후보 중 실제로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측 장치(200)를 판정한다. 도 7에 도시한 예에서는, 판정부(1022)는, N+1번째 및 N+2번째의 지상 코일(201)을 구비하는 송전측 장치(200)를 기동 상태로 해야 한다고 판정한다.
판정부(1022)는, 무선 통신부(103)를 통해, 실제로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측 장치(200)에 대해, 차량(10)에의 비접촉 급전을 행한다는 취지의 지령을 나타내는 신호인 지상 코일 ON 신호를 송신한다. 전형적으로는, 상기 지상 코일 ON 신호는, 차량(10)에 가장 가까운 송전측 장치(200)의 무선 통신부(203)에 의해 수신되고, 송전측 장치(200) 사이의 유선 통신에 의해, 실제로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측 장치(200)에 전송된다.
판정부(1022)는, 방향 지시 스위치(15)의 ON/OFF 상태에 추가하여, 또는 대신하여, 예를 들어 (i) 내부 센서(14)의 출력에 기초하는 가속도나 타각의 변화량이나, (ii) 주변 인식 센서(도시하지 않음)의 출력에 기초하는, 차량(10)과, 상기 차량(10)의 바로 앞을 주행하고 있는 차량 사이의 차간 거리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차량(10)의 실제의 진로가, 추정된 궤도로부터 괴리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가속도의 변화량이 비교적 큰 경우, 차량(10)의 실제의 위치가, 추정된 궤도에 의해 나타나는 차량(10)의 장래의 위치에 대해, 차량(10)의 전후 방향으로 비교적 크게 어긋날 가능성이 있다. 타각의 변화량이 비교적 큰 경우, 차량(10)의 실제의 위치가, 추정된 궤도에 의해 나타나는 차량(10)의 장래의 위치에 대해, 차량(10)의 폭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비교적 크게 어긋날 가능성이 있다. 차간 거리가 짧아지고 있는 경우, 차량(10)의 바로 앞을 주행하고 있는 차량을 피하기 위해, 차선 변경이 행해질 가능성이 비교적 높다.
자차 위치 추정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지상 코일(201)로부터 차량 코일(101)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량(10)의 상방으로부터 평면적으로 본 경우에, 차량(10)의 폭 방향의 차량 코일(101) 및 지상 코일(201) 사이의 어긋남량에 따라서 변화된다. 예를 들어, 도 8에 있어서, 차량 코일(101)의 중심이 위치 P1에 있는 경우, 지상 코일(201)로부터 차량 코일(101)에 공급되는 전력(도 8에서는 "충전량")은 최대가 된다. 한편, 차량 코일(101)의 중심이 위치 P2에 있는 경우, 지상 코일(201)로부터 차량 코일(101)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량 코일(101)의 중심이 위치 P1에 있는 경우에 비해 현저하게 작아진다.
지상 코일(201)과 차량 코일(101)의 높이 방향의 거리는, 차량(10)의 차고로부터 이미 알고 있다. 지상 코일(201)로부터 차량 코일(101)에의 비접촉 급전 시에, 지상 코일(201)에 공급되는 전력은 전형적으로는 일정하다. 이 때문에, 도로의 폭 방향의 차량 코일(101)의 중심 위치와, 차량 코일(101)에 공급되는 전력량의 관계는 비교적 용이하게 구할 수 있다.
자차 위치 추정부(1023)는, 상기 관계와, 차량 코일(101)에 공급되는 전력량(바꾸어 말하면, 차량 코일(101)에 의해 수전된 전력량)에 기초하여, 도로의 폭 방향의 차량(10)의 위치를 추정한다. 자차 위치 추정부(1023)는, 차량 코일(101)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송전측 장치(200)에 할당되어 있는 번호와, 지도 정보(13)에 포함되는 지상 코일(201)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도로가 연장되는 방향의 차량(10)의 위치를 추정한다.
자차 위치 추정부(10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추정된 차량(10)의 위치를,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의해 구해진 위치 정보 대신에, 궤도 추정부(1021)에 출력한다. 혹은, 자차 위치 추정부(10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추정된 차량(10)의 위치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GPS에 의해 구해진 위치 정보를 보정하여, 궤도 추정부(1021)에 출력한다. 상술한 자차 위치 추정 처리는, 차량(10)에 비접촉 급전이 행해지고 있는 기간에 실시된다.
송전측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송전측 장치(200)의 제어부(202)는, 지상 코일 ON 신호를 수신한 것을 계기로 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 턴 온 공정, 충전 공정, 전원 턴 오프 공정의 순으로, 지상 코일(201)의 상태를 천이시킨다. 이 결과, 충전 공정에 있어서, 지상 코일(201)로부터 차량(10)의 차량 코일(101)에 전력이 공급된다(즉, 차량(10)에 비접촉 급전이 행해짐).
그런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10)의 일례로서의 차량 A의 후방을, 차량(10)의 다른 예로서의 차량 B가 주행하고 있는 경우, 예를 들어 M번째의 지상 코일(201)을 구비하는 송전측 장치(200)는, 차량 A의 수전측 장치(100)로부터의 지상 코일 ON 신호와, 차량 B의 수전측 장치(100)로부터의 지상 코일 ON 신호를 수신한다. 상술한 경우, 차량 A와 차량 B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는, 차량 A가 M번째의 지상 코일(201)을 통과한 후에, 상기 지상 코일(20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턴 오프한 후, 차량 B에의 비접촉 급전을 위해, 지상 코일(201)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다시 턴 온 해서는, 차량 B에의 비접촉 급전을 적절하게 행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송전측 장치(200)의 제어부(202)는, 차량 A 및 차량 B 각각의 위치에 기초하여, 충전 공정을 유지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중복 판정을 행한다. 상기 중복 판정에 있어서, 충전 공정을 유지할 것이라고 판정된 경우, 제어부(202)는 차량 B가 지상 코일(201)을 통과할 때까지, 충전 공정을 유지한다. 차량 A 및 차량 B 각각의 위치는, 예를 들어 차량 A의 수전측 장치(100)의 무선 통신부(103) 및 차량 B의 수전측 장치(100)의 무선 통신부(103) 각각과 무선 통신을 행하고 있는 무선 통신부(203)를 구비하는 송전측 장치(200)의 위치로부터 추정하면 된다.
송전측 장치(200)의 제어부(202)는, 차량(10)이 구비하는 수전측 장치(100)로부터의 지상 코일 ON 신호를 수신한 것을 계기로 하여, 전원 턴 온 공정, 충전 공정, 전원 턴 오프 공정의 순으로, 지상 코일(201)의 상태를 천이시킨다(도 4 참조). 차량(10)에 비접촉 급전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기간은 지상 코일(201)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차량(10)에 비접촉 급전이 행해지는 기간만큼 지상 코일(201)에 전력이 공급되므로, 누설 자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전원 턴 온 공정에는, 어느 정도의 시간(예를 들어, 수십 밀리초 내지 수백 밀리초)을 요한다. 예를 들어, 차량(10)이 시속 100킬로미터로 주행하고 있는 경우, 100밀리초 동안에 차량(10)은 약 2.78미터 진행한다. 이 때문에, 차량(10)이 지상 코일(201)의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전원이 턴 온되도록(즉, 송전측 장치(200)가 기동 상태로 되도록), 지상 코일 ON 신호를 송신하지 않으면, 차량(10)에의 비접촉 급전이 적절하게 행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차량(10)의 장래의 위치는, 예를 들어 상기 차량(10)의 운전자의 조작의 영향 등을 받는다.
그래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수전측 장치(100)의 제어부(102)의 궤도 추정부(1021)가, 내부 센서(14)의 출력 및 차량(1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의 현재부터 소정 시간 후까지의 궤도를 추정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10)의 궤도 추정에, 차량(10)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내부 센서(14)의 출력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비교적 신뢰성이 높은 궤도를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102)의 판정부(1022)는, 추정된 궤도와, 백색선 인식의 결과 및 지도 정보에 기초하는 도로 경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측 장치(200)의 후보를 특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추정된 궤도와 도로 경로 정보가 비교됨으로써, 추정된 궤도가 도로 형상을 따른 것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잘못된 송전측 장치(200)가 후보로서 특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판정부(1022)는 또한, 예를 들어 방향 지시 스위치(15)의 ON/OFF 상태 등에 기초하여, 차량(10)의 실제의 진로가, 추정된 궤도로부터 괴리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특정된 후보 중 실제로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측 장치(200)를 판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향 지시 스위치(15)의 ON/OFF 상태 등의 차량(10)의 운전자의 조작 의사를 나타내는 신호가 고려된다. 그 때문에, 차량(10)의 실제의 진로가 추정된 궤도로부터 괴리될 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경우라도, 실제로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측 장치(200)를 적절하게 판정할 수 있다.
수전측 장치(100)의 무선 통신부(103)와 송전측 장치(200)의 무선 통신부(203)가 서로 무선 통신 가능한 범위는, 예를 들어 수십 미터 내지 100미터이다. 이 때문에, 차량(10)이 시속 100킬로미터로 주행하고 있는 경우라도, 차량(10)이 상기 차량(10)에 비접촉 급전을 행하는 지상 코일(201)의 위치에 도달하기 1초 정도 전에는, 지상 코일 ON 신호를 수전측 장치(100)로부터 상기 지상 코일(201)을 구비하는 송전측 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즉, 상기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서는, 차량(10)이 지상 코일(201)의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전원이 턴 온되도록, 상기 지상 코일(201)을 구비하는 송전측 장치(200)에 지상 코일 ON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 상기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10)이 비교적 높은 속도로 주행하고 있는 경우라도, 상기 차량(10)에의 비접촉 급전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원래 기동 상태로 해서는 안 되는 송전측 장치(200)가 기동 상태로 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누설 자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자차 위치 추정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차량(10)의 위치 정보의 정밀도를, 예를 들어 GPS에만 의해 구해진 위치 정보의 정밀도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궤도 추정 처리에 있어서 추정되는 궤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송전측 장치(200)에 의해 상술한 중복 판정이 행해짐으로써, 전원의 턴 오프 및 상기 전원을 다시 턴 온시키는 것에 기인하여 비접촉 급전의 기회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궤도 추정 처리에 의해 차량(10)의 궤도가 추정되고, 상기 추정된 궤도 등에 기초하여,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측 장치(200)가 판정된다. 예를 들어 변형예로서, 편측 1차선의 직선로에 복수의 지상 코일(201)이 배열되어 있는 경우(즉, 차선 변경이나 비교적 큰 조타 조작이 없을 가능성이 높은 경우), 궤도 추정 처리 대신에, 차량(10)의 속도로부터 상기 차량(10)의 장래의 위치를 추정하여, 상기 추정된 장래의 위치에 기초하여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지상 코일(201)을 판정해도 된다.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 관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궤도 추정 처리 등이 송전측 장치에서 실시되는 점에서 상이한 것 이외에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제1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함과 함께, 도면상에 있어서의 공통 개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기본적으로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송전측 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서는, 차량(10)이 구비하는 수전측 장치(100)로부터 차량(10)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 등이, 복수의 송전측 장치(200) 중 어느 것으로 송신된다. 상기 신호를 수신한 송전측 장치(200)는, 차량(10)의 궤도를 추정하여,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측 장치(200)를 판정(결정)한다.
송전측 장치(200)의 제어부(202)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202)의 내부에 논리적으로 실현되는 처리 블록으로서, 또는 물리적으로 실현되는 처리 회로로서, 궤도 추정부(2021) 및 판정부(202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궤도 추정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수전측 장치(100)의 제어부(102)는, 내부 센서(14)의 출력(특히, 차속, 가감속도, 요 레이트, 타각) 및 차량(1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송전측 장치(200)에 송신한다. 상기 송전측 장치(200)의 제어부(202)의 궤도 추정부(2021)는, 내부 센서(14)의 출력 및 차량(1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또한 통신에 기인하는 타임 래그를 고려하여, 차량(10)의 현재부터 소정 시간 후까지의 궤도를 추정한다.
판정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102)는 또한, 백색선 인식부(12)에 의한 백색선 인식의 결과 및 지도 정보(13)에 기초하는 도로 경로 정보나, 방향 지시 스위치(15)의 ON/OFF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 등을, 송전측 장치(200)에 송신한다. 제어부(202)의 판정부(2022)는, 궤도 추정부(2021)에 의해 추정된 궤도 및 도로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나아가 방향 지시 스위치(15)의 ON/OFF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 등에 기초하여,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측 장치(200)를 판정(결정)한다. 그리고 판정부(2022)는, 기동 상태로 해야 한다고 판정된 송전측 장치(200)에 대해 지상 코일 ON 신호를, 유선 통신으로 송신한다.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 관한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궤도 추정 처리 등이 네트워크상의 서버에서 실시되는 점에서 상이한 것 이외에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제1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함과 함께, 도면상에 있어서의 공통 개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기본적으로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은, 예를 들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상의 서버(5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서버(50)는, 궤도 추정부(51), 판정부(52) 및 통신부(5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서는, 차량(10)이 구비하는 수전측 장치(100)로부터 차량(10)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 등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50)에 송신된다. 상기 신호를 수신한 서버(50)는, 차량(10)의 궤도를 추정하여,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측 장치(200)를 판정(결정)한다.
궤도 추정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수전측 장치(100)의 제어부(102)는, 내부 센서(14)의 출력(특히, 차속, 가감속도, 요 레이트, 타각) 및 차량(1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서버(50)로 송신한다. 서버(50)의 궤도 추정부(51)는, 내부 센서(14)의 출력 및 차량(1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또한 통신에 기인하는 타임 래그를 고려하여, 차량(10)의 현재부터 소정 시간 후까지의 궤도를 추정한다.
판정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102)는 또한, 백색선 인식부(12)에 의한 백색선 인식의 결과 및 지도 정보(13)에 기초하는 도로 경로 정보나, 방향 지시 스위치(15)의 ON/OFF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 등을, 서버(50)에 송신한다. 판정부(52)는, 궤도 추정부(51)에 의해 추정된 궤도 및 도로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또한 방향 지시 스위치(15)의 ON/OFF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 등에 기초하여,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측 장치(200)를 판정(결정)한다. 그리고 판정부(52)는 통신부(53)를 통해, 기동 상태로 해야 한다고 판정된 송전측 장치(200)에 대해 지상 코일 ON 신호를 송신한다.
이상에 설명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로부터 도출되는 본 발명의 각종 양태를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은, 도로에 배치된 복수의 송전 코일로부터, 상기 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에 탑재된 수전 코일에 비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이며, 상기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장래의 위치를 추정하는 제1 추정부와, 상기 추정된 장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송전 코일 중, 상기 수전 코일에 전력을 공급 가능한 상태인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 코일을 특정하는 특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궤도 추정부(1021, 2021 및 51)」가 제1 추정부의 일례이고, 「판정부(1022, 2022 및 52)」가 특정부의 일례이고, 「차량 코일(101)」이 수전 코일의 일례이고, 「지상 코일(201)」이 송전 코일의 일례이다.
상기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서는,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장래의 위치가 추정되고,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 코일이 특정된다. 이 때문에, 차량의 장래의 위치에 해당되는 송전 코일이 기동 상태로 되는 한편, 차량의 장래의 위치에 해당되지 않는 송전 코일은 기동 상태로는 되지 않는다. 게다가, 차량의 속도가 고려되어 있으므로, 차량이 비교적 빠르게 주행하고 있는 경우라도,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 코일을 적절하게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이 비교적 빠르게 주행하고 있는 경우라도, 상기 차량에 적절하게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누설 자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차량의 속도」는, 예를 들어 차속 센서 등에 의해 직접 측정된 속도여도 되고, 예를 들어 차량의 가속도나 차량의 위치로부터 간접적으로 구해진 속도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서는, 상기 제1 추정부는, 상기 속도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장래의 위치의 집합인 예측 진로를 추정해도 된다. 상기 특정부는, 상기 추정된 예측 진로에 기초하여, 상기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 코일을 특정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 코일을 적합하게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송전 코일 중 상기 수전 코일에 전력을 공급한 하나의 송전 코일의 상기 도로가 연장되는 방향의 위치와, 상기 하나의 송전 코일로부터 상기 수전 코일에 공급된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도로 위에 있어서의 위치를 추정하는 제2 추정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제1 추정부는, 상기 속도 외에도, 상기 제2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장래의 위치를 추정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차량의 위치를 비교적 고정밀도로 추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제1 추정부에 의한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자차 위치 추정부(1023)」가 제2 추정부의 일례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은,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조작 의사를 나타내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된 송전 코일을 실제로 상기 기동 상태로 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구비해도 된다. 상술한 양태에 의하면, 차량의 위치가, 추정된 장래의 위치로부터 괴리될 가능성을 고려하여,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 코일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판정부(1022, 2022 및 52)」가 결정부의 일례이다. 「방향 지시 스위치(15)의 ON/OFF 상태」, 「가속도가 비교적 높은 것」, 「타각이 비교적 큰 것」 및 「차간 거리가 짧아지고 있는 것」은, 「운전자의 조작 의사」의 일례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은, 상기 기동 상태로 되도록 상기 복수의 송전 코일 각각을 제어함과 함께, 상기 기동 상태로 한 후에, 상기 수전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상태인 대기 상태로 되도록 상기 복수의 송전 코일 각각을 제어하는 코일 제어부를 구비해도 된다. 상기 도로 위의 상기 차량의 후방을 주행하는, 상기 차량과는 상이한 타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코일 제어부는, 상기 타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기인하여 상기 기동 상태로 한 송전 코일이 상기 기동 상태를 유지하는 기간을 연장할지 여부를 결정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지상 코일의 대기 상태 및 기동 상태의 전환에 기인하여 타차량에의 비접촉 급전이 행해지는 기회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어부(202)」가 코일 제어부의 일례이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수전측 장치는, 도로에 배치된 복수의 송전 코일로부터, 상기 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에 탑재된 수전 코일에 비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탑재되는 수전측 장치이며, 상기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장래의 위치를 추정하는 제1 추정부와, 상기 추정된 장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송전 코일 중, 상기 수전 코일에 전력을 공급 가능한 상태인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 코일을 특정하는 특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수전측 장치에 의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비접촉 급전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차량이 비교적 빠르게 주행하고 있는 경우라도, 상기 차량에 적절하게 전력을 공급함과 함께, 누설 자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수전측 장치에서는, 상기 제1 추정부는, 상기 속도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장래의 위치의 집합인 예측 진로를 추정해도 된다. 상기 특정부는, 상기 추정된 예측 진로에 기초하여, 상기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 코일을 특정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하면,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 코일을 적합하게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수전측 장치는, 상기 복수의 송전 코일 중 상기 수전 코일에 전력을 공급한 하나의 송전 코일의 상기 도로가 연장되는 방향의 위치와, 상기 하나의 송전 코일로부터 상기 수전 코일에 공급된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도로 위에 있어서의 위치를 추정하는 제2 추정부를 구비해도 된다. 상기 제1 추정부는, 상기 속도 외에도, 상기 제2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장래의 위치를 추정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하면, 차량의 위치를 비교적 고정밀도로 추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제1 추정부에 의한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수전측 장치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조작 의사를 나타내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된 송전 코일을 실제로 기동 상태로 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하면, 차량의 위치가, 추정된 장래의 위치로부터 괴리될 가능성을 고려하여,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 코일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 및 명세서 전체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발명의 요지 또는 사상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변경을 수반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 및 수전측 장치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이다.

Claims (9)

  1. 도로에 배치된 복수의 송전 코일(201)로부터, 상기 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10)에 탑재된 수전 코일(101)에 비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이며,
    상기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장래의 위치를 추정하는 제1 추정부(1021, 2021, 51)와,
    상기 추정된 장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송전 코일 중, 상기 수전 코일에 전력을 공급 가능한 상태인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 코일을 특정하는 특정부(1022, 2022, 52)를 포함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정부(1021, 2021, 51)는, 상기 속도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장래의 위치의 집합인 예측 진로를 추정하고,
    상기 특정부(1022, 2022, 52)는, 상기 추정된 예측 진로에 기초하여, 상기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 코일을 특정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전 코일 중 상기 수전 코일에 전력을 공급한 하나의 송전 코일의 상기 도로가 연장되는 방향의 위치와, 상기 하나의 송전 코일로부터 상기 수전 코일에 공급된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도로 위에 있어서의 위치를 추정하는 제2 추정부(10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추정부는, 상기 속도 외에도, 상기 제2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장래의 위치를 추정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조작 의사를 나타내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된 송전 코일을 실제로 상기 기동 상태로 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1022, 2022, 52)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상태로 되도록 상기 복수의 송전 코일 각각을 제어함과 함께, 상기 기동 상태로 한 후에, 상기 수전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상태인 대기 상태로 되도록 상기 복수의 송전 코일 각각을 제어하는 코일 제어부(20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로 위의 상기 차량의 후방을 주행하는, 상기 차량과는 상이한 타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코일 제어부는, 상기 타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에 기인하여 상기 기동 상태로 한 송전 코일이 상기 기동 상태를 유지하는 기간을 연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
  6. 도로에 배치된 복수의 송전 코일로부터, 상기 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에 탑재된 수전 코일에 비접촉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비접촉 급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탑재되는 수전측 장치(100)이며,
    상기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장래의 위치를 추정하는 제1 추정부(1021)와,
    상기 추정된 장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송전 코일 중, 상기 수전 코일에 전력을 공급 가능한 상태인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 코일을 특정하는 특정부(1022)를 포함하는, 수전측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정부는, 상기 속도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의 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장래의 위치의 집합인 예측 진로를 추정하고,
    상기 특정부는, 상기 추정된 예측 진로에 기초하여, 상기 기동 상태로 해야 하는 송전 코일을 특정하는, 수전측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전 코일 중 상기 수전 코일에 전력을 공급한 하나의 송전 코일의 상기 도로가 연장되는 방향의 위치와, 상기 하나의 송전 코일로부터 상기 수전 코일에 공급된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도로 위에 있어서의 위치를 추정하는 제2 추정부(102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추정부는, 상기 속도 외에도, 상기 제2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장래의 위치를 추정하는, 수전측 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조작 의사를 나타내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된 송전 코일을 실제로 기동 상태로 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1022)를 더 포함하는, 수전측 장치.
KR1020180100213A 2017-09-20 2018-08-27 비접촉 급전 시스템 및 수전측 장치 KR102179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80523A JP6834877B2 (ja) 2017-09-20 2017-09-20 非接触給電システム及び受電側装置
JPJP-P-2017-180523 2017-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001A true KR20190033001A (ko) 2019-03-28
KR102179227B1 KR102179227B1 (ko) 2020-11-16

Family

ID=63452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213A KR102179227B1 (ko) 2017-09-20 2018-08-27 비접촉 급전 시스템 및 수전측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52781B2 (ko)
EP (1) EP3482996A1 (ko)
JP (1) JP6834877B2 (ko)
KR (1) KR102179227B1 (ko)
CN (1) CN109546697B (ko)
BR (1) BR102018069131A2 (ko)
RU (1) RU2702485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34877B2 (ja) * 2017-09-20 2021-0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給電システム及び受電側装置
WO2020196746A1 (ja) 2019-03-26 2020-10-01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絶縁回路基板
CN110126649B (zh) * 2019-04-26 2020-07-31 南京师范大学 一种集群式电动汽车动态无线充电分段导轨稳定功率控制方法
SE1950714A1 (en) * 2019-06-13 2020-09-29 Elonroad Ab Method, control circuit and control system for guiding a sliding contact of a vehicle to collect electrical power
JP7140081B2 (ja) * 2019-09-18 2022-09-2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給電システム
CN111016693B (zh) * 2019-11-27 2021-03-09 上海电机学院 一种适用于多角度弯道下电动汽无线充电系统
JP7398670B2 (ja) * 2020-03-23 2023-12-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車両
US11532958B2 (en) * 2021-02-18 2022-12-20 Google Llc Predictive wireless charging of electronic devices
JP6968391B1 (ja) * 2021-02-24 2021-11-17 株式会社ジーエスエレテック 非接触給電用コイルユニットおよ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1744A (ja) * 2011-08-30 2013-03-14 Mitsubishi Motors Corp 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JP2015073380A (ja) * 2013-10-03 2015-04-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KR20160111970A (ko) * 2014-02-25 2016-09-27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비접촉 급전 시스템 및 송전 장치
KR20170035920A (ko) * 2014-07-25 2017-03-3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위치 검출을 갖는 동적 전기 차량 충전을 위한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08476C2 (ru) * 2009-01-20 2011-01-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се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электрификации сельского хозяйства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наук (ГНУ ВИЭСХ Россельхозакадемии) Способ беспроводной передачи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JP2010268661A (ja) * 2009-05-18 2010-11-25 Toyota Motor Corp 非接触給電システム
WO2011071344A2 (ko) 2009-12-11 2011-06-16 한국과학기술원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세그먼트 충전 제어방법
US20110184842A1 (en) * 2010-01-28 2011-07-28 Roger D Melen Energy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vehicles
JP5537981B2 (ja) * 2010-02-15 2014-07-02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移動体給電装置
EP2541730A1 (en) * 2011-06-28 2013-01-02 Alcatel Lucent A method, a system, a server, a computer program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ransferring power inductively in particular for charging a moving battery
JP5983281B2 (ja) * 2012-10-12 2016-08-31 Tdk株式会社 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6221460B2 (ja) 2013-07-25 2017-11-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6156115B2 (ja) 2013-12-13 2017-07-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送電装置
US9608465B2 (en) * 2014-04-18 2017-03-28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of dynamic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s
EP3189532A4 (en) * 2014-09-05 2018-12-05 Momentum Dynamics Corporation Near field, full duplex data link for use in static and dynamic resonant induction wireless charging
US9698608B2 (en) * 2014-12-29 2017-07-0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ulti-coil dual backbone dynamic inductive power transfer
JP6541560B2 (ja) 2015-12-03 2019-07-1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供給計画装置および電力供給計画方法ならびに電力供給システム
JP6834877B2 (ja) * 2017-09-20 2021-0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給電システム及び受電側装置
JP6958243B2 (ja) * 2017-11-01 2021-11-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運転車両
JP2019087045A (ja) * 2017-11-07 2019-06-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ドライバレス輸送システム
JP6958273B2 (ja) * 2017-11-16 2021-11-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ドライバレス輸送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1744A (ja) * 2011-08-30 2013-03-14 Mitsubishi Motors Corp 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JP2015073380A (ja) * 2013-10-03 2015-04-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KR20160111970A (ko) * 2014-02-25 2016-09-27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비접촉 급전 시스템 및 송전 장치
KR20170035920A (ko) * 2014-07-25 2017-03-3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위치 검출을 갖는 동적 전기 차량 충전을 위한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57990A (ja) 2019-04-11
CN109546697B (zh) 2022-06-10
CN109546697A (zh) 2019-03-29
BR102018069131A2 (pt) 2019-04-16
EP3482996A1 (en) 2019-05-15
RU2702485C1 (ru) 2019-10-08
US11052781B2 (en) 2021-07-06
JP6834877B2 (ja) 2021-02-24
KR102179227B1 (ko) 2020-11-16
US20190084434A1 (en)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3001A (ko) 비접촉 급전 시스템 및 수전측 장치
EP3088280B1 (en) Autonomous driving vehicle system
US10093316B2 (en) Vehicle traveling control device
US10525983B2 (en) Automatic driving system and vehicle control method
US9811092B2 (en) Vehicle traveling control device
US11703860B2 (en) Automated driving apparatus
JP5277858B2 (ja) 給電システム及び移動体用給電装置
CN111204238B (zh) 汽车的无线充电对准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
US20210086649A1 (en) Vehicle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200361330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a stationary electric charging station and a motor vehicle, controller and charging system
KR101377854B1 (ko) 삼각대 기기 및 이를 위한 삼각대 설치 제어 장치
US20220194397A1 (en) Autonomous driving system and abnormality determination method
US20210291681A1 (en) Parking aid system
JPH1083499A (ja) 車両位置及び方向角検出装置
KR101736257B1 (ko) 통근 버스 운행 관리 시스템
US20200252848A1 (en) In-vehicle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server device
KR101946714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추측항법 기반 네비게이션 시스템
JP2016206717A (ja) 物体検出装置及び物体検出方法
JP2019208321A (ja) 給電車両
CN111273653A (zh) 自动驾驶装置
JP2021162349A (ja) 電動車両の走行支援方法および走行支援装置
KR101709294B1 (ko) 고속열차 위치 검지 시스템, 이를 위한 리더 및 틸팅 코일 기반의 전력 전송 방법
KR20150062805A (ko) 공급 전원으로 파악한 이동 정보에 기반한 위치추적 장치 및 그의 위치계산 방법
US20230045958A1 (en) Vehicle and mobile terminal utilized therefor
US20230294702A1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