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831A -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831A
KR20190031831A KR1020170119764A KR20170119764A KR20190031831A KR 20190031831 A KR20190031831 A KR 20190031831A KR 1020170119764 A KR1020170119764 A KR 1020170119764A KR 20170119764 A KR20170119764 A KR 20170119764A KR 20190031831 A KR20190031831 A KR 20190031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cell
end plate
casing
end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9410B1 (ko
Inventor
김동연
공진학
최용석
최지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19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410B1/ko
Priority to CN201880006586.9A priority patent/CN110168771A/zh
Priority to JP2019541703A priority patent/JP7171584B2/ja
Priority to EP18855368.9A priority patent/EP3614453B1/en
Priority to CN202311212669.2A priority patent/CN117219942A/zh
Priority to US16/477,693 priority patent/US11121395B2/en
Priority to PCT/KR2018/008090 priority patent/WO2019054619A1/ko
Publication of KR20190031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배터리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셀이 복수로 마련되고, 복수의 배터리 셀들이 서로 적층되는 배터리 셀 적층체; 배터리 셀 적층체를 둘러싸는 케이싱; 및 배터리 셀의 스웰링 발생시 배터리 셀에 균일한 압력이 형성되도록 배터리 셀과의 간섭을 회피하여 케이싱의 내측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셀의 스웰링 발생시 배터리 셀에 균일한 압력이 걸리도록 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 전지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종래 이차 전지로서 니켈카드뮴 전지 또는 수소이온 전지가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전 및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 이차 전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전지 케이스를 구비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음극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로 이루어지며,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을 어떤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리튬 이온 전지(Lithium Ion Battery, LIB), 리튬 폴리머 전지(Polymer Lithium Ion Battery, PLIB) 등으로 나누어진다. 통상, 이들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 시트(sheet), 메시(mesh), 필름(film), 호일(foil) 등의 집전체에 양극 또는 음극 활물질을 도포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도 1(a)는 종래 배터리 모듈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1(b)는 종래 배터리 모듈에서 배터리 셀에 스웰링이 발생하여 배터리 셀과 엔드플레이트에 불균일한 압력이 형성되는 모습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1)에는 복수의 배터리 셀(2)들이 적층될 수 있다. 그런데, 배터리 셀(2)의 충전과 방전 과정에서 배터리 셀(2)의 내부에 가스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발생된 가스로 인해 배터리 셀(2)이 팽창 및 수축되는 스웰링(swelling) 현상이 반복하여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셀(2)과, 일측 단부의 엔드플레이트(3)는 서로 접촉되어 있으며, 상기 엔드플레이트(3)의 가장자리부는 상측 및 하측 엔드플레이트(4, 5)와 연결되어 상측 및 하측 엔드플레이트(4, 5)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엔드플레이트(3)의 중심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으며, 따라서, 상기 엔드플레이트(3)는 상기 엔드플레이트(3)의 중심부보다 상기 엔드플레이트(3)의 가장자리부에서 배터리 셀(2)을 더욱 가압하게 된다. 즉, 상대적으로 큰 압력으로 가압되는 배터리 셀(2)의 가장자리부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압력으로 가압되는 배터리 셀(2)의 중심부에서 팽창이 원활하게 일어나며, 따라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셀(2)의 스웰링 발생시 배터리 셀(2)의 가장자리부보다 배터리 셀(2)의 중심부가 더 부풀어 오른다. 이와 관련하여, 압력 분포는 도 1(b)의 화살표를 참조하면, 엔드플레이트(3)의 중심부로부터 엔드플레이트(3)의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압력의 크기가 증가하도록, 즉, 압력 분포가 불균일하도록 형성된다. 즉, 엔드플레이트(3)의 가장자리부에서는 배터리 셀(2)이 팽창하지 못하므로 압력이 과도하게 걸리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배터리 셀(2)의 스웰링 발생시 배터리 셀(2)에 불균일한 압력분포가 형성되면 배터리 셀(2)의 성능이 저하되고 순간적으로 전기적 연결이 끊겨버리는 서든 데스(sudden death)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 공개번호 특개 제2016-85895호(공개일자:2016년05월19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터리 셀의 스웰링 발생시 배터리 셀에 균일한 압력이 걸리도록 하여 배터리 셀에서 서든 데스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터리 모듈의 설계시 배터리 셀에 작용하는 압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셀이 복수로 마련되고, 복수의 배터리 셀들이 서로 적층되는 배터리 셀 적층체; 상기 배터리 셀 적층체를 둘러싸는 케이싱; 및 상기 배터리 셀의 스웰링 발생시 상기 배터리 셀에 균일한 압력이 형성되도록 상기 배터리 셀과의 간섭을 회피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은 복수의 엔드플레이트들이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복수의 스프링들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스프링들은 상기 케이싱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엔드플레이트들의 가장자리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은 6개의 엔드플레이트들이 결합된 육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4개의 스프링들로 마련되어 양측 단부의 엔드플레이트들의 4 가장자리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엔드플레이트들 중 제1 엔드플레이트는 다른 엔드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엔드플레이트에는 상기 복수의 스프링들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제1 엔드플레이트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제2 엔드플레이트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엔드플레이트의 이동시 상기 제1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제2 엔드플레이트가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제2 엔드플레이트 각각에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돌기 및 결합홈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이 제공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탄성부재를 통해 배터리 셀의 스웰링 발생시 배터리 셀에 균일한 압력이 걸리도록 하여 배터리 셀에서 서든 데스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부재의 스프링 상수를 조정하여 배터리 모듈의 설계시 배터리 셀에 작용하는 압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 배터리 모듈의 부분 측단면도이고, 도 1(b)는 종래 배터리 모듈에서 배터리 셀에 스웰링이 발생하여 배터리 셀과 엔드플레이트에 불균일한 압력이 형성되는 모습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셀 스웰링 발생 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셀 스웰링 발생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셀 스웰링 발생 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셀 스웰링 발생시 제1 엔드플레이트가 이동하여 제2 엔드플레이트에 접촉되는 모습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셀 스웰링 발생 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셀 스웰링 발생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은, 배터리 셀 적층체(100)와, 케이싱(200)과, 탄성부재(300)를 포함한다.
배터리 셀 적층체(100)에는 전극 리드가 구비되는 배터리 셀(110)이 복수로 마련된다. 배터리 셀(110)에 구비되는 전극 리드는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기기에 연결되는 일종의 단자로서 전도성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전극 리드는 양극 전극 리드와 음극 전극 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양극 전극 리드와 음극 전극 리드는 배터리 셀(1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양극 전극 리드와 음극 전극 리드가 배터리 셀(1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동일한 방향에 위치될 수도 있다. 전극 리드는 버스바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 셀(110)은 양극판-세퍼레이터-음극판의 순서로 배열되는 단위 셀(Unit Cell) 또는 양극판-세퍼레이터-음극판-세퍼레이터-양극판-세퍼레이터-음극판의 순서로 배열된 바이 셀(Bi-Cell)을 전지 용량에 맞게 복수개 적층시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배터리 셀 적층체(100)는 복수의 배터리 셀(110)이 서로 적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셀(110)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배터리 셀(110)은 다양한 방식으로 적층될 수 있다.
배터리 셀 적층체(100)는 각각의 배터리 셀(110)을 수납하는 카트리지(미도시)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카트리지(미도시)는 플라스틱의 사출 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배터리 셀(110)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된 복수의 카트리지들(미도시)이 적층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들(미도시)이 적층된 카트리지 조립체에는 커넥터 요소 또는 단자 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 요소는, 예를 들어, 배터리 셀(110)의 전압 또는 온도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미도시) 등에 연결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전기적 연결 부품 내지 연결 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단자 요소는 배터리 셀(110)에 연결되는 메인 단자로서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를 포함하며, 단자 요소는 터미널 볼트가 구비되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셀(11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케이싱(200)에는 배터리 셀 적층체(100) 또는, 배터리 셀 적층체(100)가 수납된 카트리지 조립체가 수납될 수 있다. 케이싱(200)은 배터리 셀 적층체(100) 또는 복수의 카트리지 조립체들의 전체를 둘러싸며 이에 의해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배터리 셀 적층체(100) 또는 카트리지 조립체를 보호한다.
케이싱(200)은 배터리 셀 적층체(100) 또는 카트리지 조립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셀 적층체(100) 또는 카트리지 조립체가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케이싱(200)도 이에 대응되도록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케이싱(200)은 예를 들어, 금속 재질의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제조될 수 있고 또는 플라스틱 사출물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케이싱(200)은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또는 분리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케이싱(200)에는 전술한 커넥터 요소 또는 단자 요소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관통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넥터 요소 또는 단자 요소는 외부의 소정 부품 내지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기적 연결이 케이싱(200)에 의해 방해되지 않도록 케이싱(200)에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200)은 복수의 엔드플레이트(210)들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엔드플레이트(210)들의 개수는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케이싱(200)은 6개의 엔드플레이트(210)들이 결합된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케이싱(200)이 반드시 6개의 엔드플레이트(210)들로 구성될 필요는 없고 엔드플레이트(210)의 개수는 다양할 수 있으며, 케이싱(200)의 형상 역시 육면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케이싱(200)의 형상은 보다 다양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케이싱(200)이 6개의 엔드플레이트(210)들로 형성된 육면체 형상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탄성부재(300)는 배터리 셀(110)과의 간섭을 회피하여 케이싱(200)의 내측에 결합되며, 이에 의해 배터리 셀(110)의 스웰링 발생시 배터리 셀(110)에 균일한 압력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여기서, 탄성부재(300)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스프링들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스프링들은 육면체 케이싱(200)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된 엔드플레이트(210)들의 가장자리부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300)를 예를 들어 4개의 스프링들로 마련되어 양측 단부의 엔드플레이트(210)들의 4 가장자리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스프링들이 케이싱(200)의 양측 단부의 엔드플레이트(210)들에 각각 결합되는 경우 케이싱(200)의 양측 단부의 엔드플레이트(210)들 사이에 개재된 배터리 셀(110)들에 대해 균일한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 배터리 셀(2)의 경우 배터리 셀(2)의 스웰링 발생시 배터리 셀(2)의 가장자리부보다 배터리 셀(2)의 중심부가 더 부풀어 오르게 되므로 배터리 셀(2)의 스웰링 발생시 배터리 셀(2)에 불균일한 압력분포가 형성되며, 이에 의해 배터리 셀(2)의 성능이 저하되고 순간적으로 전기적 연결이 끊겨버리는 서든 데스(sudden death)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의 경우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싱(200)의 양측 단부의 엔드플레이트(210)들의 가장자리부, 즉 배터리 셀(110)의 중심부보다 더 큰 압력이 걸리는 배터리 셀(110)의 가장자리부에 대응되는 엔드플레이트(210)들의 가장자리부에 스프링들이 각각 결합되어 있고, 엔드플레이트(210)들의 가장자리부에 탄성력이 제공되므로, 배터리 셀(110)의 스웰링 발생시 배터리 셀(110)들에는 도 3에서와 같이 균일한 압력 분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배터리 셀(110)에서 서든 데스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300)가 스프링으로 마련되는 경우 스프링 상수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의 압력이 배터리 셀(110)에 가해지도록 배터리 모듈(10)의 설계시 배터리 셀(110)에 작용하는 압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싱(200)에는 배터리 셀 적층체(100)가 수납되며, 탄성부재(300)에 구비된 복수의 스프링이 케이싱(200)의 내측 가장자리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배터리 셀(110)의 스웰링 발생시 엔드플레이트(210)의 중심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압력이 걸리는 엔드플레이트(210)의 가장자리부에 스프링의 탄성력이 제공되며, 이에 의해 엔드플레이트(210)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엔드플레이트(210)의 중심부에 걸쳐 전체적으로 균일한 압력 분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셀 스웰링 발생 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서 셀 스웰링 발생시 제1 엔드플레이트가 이동하여 제2 엔드플레이트에 접촉되는 모습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 제1 엔드플레이트(211)가 이동하여 제2 엔드플레이트(212)에 접촉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싱(200)의 일측 단부에는 하나의 고정된 제3 엔드플레이트(213)가 설치되어 있고, 케이싱(200)의 타측 단부에는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엔드플레이트(211)와, 제1 엔드플레이트(211)로부터 이격되어 고정 배치되는 제2 엔드플레이트(21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엔드플레이트(211)는 케이싱(200)의 일측 단부에 고정된 제3 엔드플레이트(213)와 제2 엔드플레이트(212)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제1 엔드플레이트(211)와 제3 엔드플레이트(213)에 복수의 스프링들이 각각 결합된다. 제1 엔드플레이트(211)는 제2 엔드플레이트(212)를 향해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배터리 셀(110)의 스웰링시 제1 엔드플레이트(211)가 이동하여 제2 엔드플레이트(212)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엔드플레이트(211)와 제2 엔드플레이트(212) 각각에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돌기(215)와 결합홈(216)이 형성되며, 배터리 셀(110)의 스웰링시 제1 엔드플레이트(211)가 제2 엔드플레이트(212)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엔드플레이트(211)와 제2 엔드플레이트(212) 각각에 형성된 결합돌기(215)와 결합홈(216)이 서로 결합하면 제1 엔드플레이트(211)와 제2 엔드플레이트(212)의 접촉 부분이 계속적으로 접촉 유지될 수 있으므로, 엔드플레이트(210)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엔드플레이트(210)의 중심부에 걸쳐 전체적으로 균일한 압력 분포가 형성될 뿐만 아니라 균일한 압력 분포가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미도시)은,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팩(미도시)은, 이러한 배터리 모듈(10) 이외에, 이러한 배터리 모듈(10)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510), 배터리 모듈(10)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장치, 이를테면 BMS, 전류 센서, 퓨즈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미도시)는 전술한 배터리 모듈(10) 또는 배터리 팩(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팩(미도시)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10)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은, 상기 자동차(미도시),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전기를 사용하도록 마련되는 소정의 자동차(미도시)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배터리 모듈 100 : 배터리 셀 적층체
110 : 배터리 셀 200 : 케이싱
210 : 엔드플레이트 211 : 제1 엔드플레이트
212 : 제2 엔드플레이트 213 : 제3 엔드플레이트
215 : 결합돌기 216 : 결합홈
300 : 탄성부재

Claims (8)

  1. 배터리 셀이 복수로 마련되고, 복수의 배터리 셀들이 서로 적층되는 배터리 셀 적층체;
    상기 배터리 셀 적층체를 둘러싸는 케이싱; 및
    상기 배터리 셀의 스웰링 발생시 상기 배터리 셀에 균일한 압력이 형성되도록 상기 배터리 셀과의 간섭을 회피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복수의 엔드플레이트들이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복수의 스프링들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스프링들은 상기 케이싱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엔드플레이트들의 가장자리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6개의 엔드플레이트들이 결합된 육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4개의 스프링들로 마련되어 양측 단부의 엔드플레이트들의 4 가장자리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엔드플레이트들 중 제1 엔드플레이트는 다른 엔드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엔드플레이트에는 상기 복수의 스프링들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제1 엔드플레이트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제2 엔드플레이트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엔드플레이트의 이동시 상기 제1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제2 엔드플레이트가 서로 접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제2 엔드플레이트 각각에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돌기 및 결합홈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70119764A 2017-09-18 2017-09-18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229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764A KR102229410B1 (ko) 2017-09-18 2017-09-18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201880006586.9A CN110168771A (zh) 2017-09-18 2018-07-17 电池模块以及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JP2019541703A JP7171584B2 (ja) 2017-09-18 2018-07-17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EP18855368.9A EP3614453B1 (en) 2017-09-18 2018-07-17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CN202311212669.2A CN117219942A (zh) 2017-09-18 2018-07-17 电池模块以及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和车辆
US16/477,693 US11121395B2 (en) 2017-09-18 2018-07-17 Battery module with movable end plate responsive to cell swelling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PCT/KR2018/008090 WO2019054619A1 (ko) 2017-09-18 2018-07-17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764A KR102229410B1 (ko) 2017-09-18 2017-09-18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831A true KR20190031831A (ko) 2019-03-27
KR102229410B1 KR102229410B1 (ko) 2021-03-17

Family

ID=65723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764A KR102229410B1 (ko) 2017-09-18 2017-09-18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21395B2 (ko)
EP (1) EP3614453B1 (ko)
JP (1) JP7171584B2 (ko)
KR (1) KR102229410B1 (ko)
CN (2) CN110168771A (ko)
WO (1) WO2019054619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333A (ko) * 2019-11-05 2021-05-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셀 가압 장치
KR20220010796A (ko) 2020-07-20 2022-01-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정하중 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20220011967A (ko) 2020-07-22 2022-02-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전지 모듈 시스템 및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2065700A1 (ko) * 2020-09-22 2022-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의 수명이 향상된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2108280A1 (ko) * 2020-11-23 2022-05-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6528A (ko) * 2018-05-02 2019-1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너지 저장장치 시스템
CN209401761U (zh) * 2019-04-18 2019-09-1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块
CN111834676B (zh) * 2019-04-18 2021-12-24 荣盛盟固利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压力可控的软包电池模组
US11215519B2 (en) * 2020-02-20 2022-01-04 Lenovo (Singapore) Pte. Ltd. Device component swelling detection
KR20210116062A (ko) * 2020-03-17 2021-09-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EP3883007A1 (en) * 2020-03-20 2021-09-22 Samsung SDI Co., Ltd. A battery module, a method for assembling a battery module and a vehicle including a battery pack comprising at least one battery module
DE102020117191A1 (de) 2020-06-30 2021-12-30 Audi Aktiengesellschaft Batterie für Kraftfahrzeug sowie Kraftfahrzeug und Herstellverfahren hierzu
DE202020104503U1 (de) * 2020-08-04 2021-09-07 Webasto SE Gehäuse für ein Batteriemodul zur Aufnahme von Batteriezellen
EP4050706B1 (en) * 2020-12-11 2023-08-02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Battery, power consumption apparatus, and battery preparation method
CN112670643B (zh) * 2020-12-17 2022-06-03 湖南久森新能源有限公司 一种带有防震结构的锂离子电池
KR20220101507A (ko) * 2021-01-11 2022-07-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팽창완화 유닛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EP4356469A1 (en) * 2021-06-18 2024-04-24 HELLA GmbH & Co. KGaA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lithium-ion state-of-charge
CN114388975B (zh) * 2021-12-16 2023-06-09 杭州申昊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巡检机器人的电池包
KR102618649B1 (ko) 2023-07-12 2023-12-27 한광현 배터리 셀 적층체에 압력을 가하는 장치를 포함하는배터리 모듈과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0295A (ja) * 2008-08-04 2010-02-18 Toyota Motor Corp 蓄電装置
KR20160085895A (ko) 2013-12-06 2016-07-1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이미지 복호화 장치, 이미지 부호화 장치, 및 부호화된 데이터 변환 장치
JP2017004693A (ja) * 2015-06-08 2017-01-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2252A (ja) * 1993-10-25 1995-05-12 Sony Corp 組電池
JP2000048867A (ja) 1998-07-31 2000-02-18 Toyota Motor Corp 組電池
JP4127985B2 (ja) 2001-07-23 2008-07-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5270454B2 (ja) 2009-05-29 2013-08-21 プライムアースEv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の分別方法
DE102010012930A1 (de) 2010-03-26 2011-09-29 Daimler Ag Batterie mit einem Stapel von Batterieeinzelzellen
US8999557B2 (en) * 2010-04-21 2015-04-07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with elastic frame
JP5537497B2 (ja) 2011-05-26 2014-07-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池モジュール
JP2013026090A (ja) * 2011-07-23 2013-02-04 Toyota Industries Corp 電池パック
JP5880473B2 (ja) 2013-02-27 2016-03-09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ユニット
JP2014175078A (ja) 2013-03-06 2014-09-22 Captex Co Ltd 電池パック
DE202013003672U1 (de) * 2013-04-10 2014-07-11 Reinz-Dichtungs-Gmbh Zellstapel
PL3133669T3 (pl) 2014-10-07 2020-04-30 Lg Chem, Ltd. Moduł akumulatorowy mający poprawione bezpieczeństwo i czas eksploatacji
JP2016085895A (ja) 2014-10-28 2016-05-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モジュール
KR101853526B1 (ko) 2015-05-12 2018-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팩
KR101806995B1 (ko) * 2015-05-18 2017-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DE102016201605A1 (de) 2016-02-03 2017-08-03 Robert Bosch Gmbh Batteriemodul mit einer Mehrzahl an Batteriezelle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Batterie
KR20170119764A (ko) 2016-04-19 2017-10-3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비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과 그를 이용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
CN209357789U (zh) * 2019-01-21 2019-09-06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组的固定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0295A (ja) * 2008-08-04 2010-02-18 Toyota Motor Corp 蓄電装置
KR20160085895A (ko) 2013-12-06 2016-07-1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이미지 복호화 장치, 이미지 부호화 장치, 및 부호화된 데이터 변환 장치
JP2017004693A (ja) * 2015-06-08 2017-01-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333A (ko) * 2019-11-05 2021-05-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셀 가압 장치
KR20220010796A (ko) 2020-07-20 2022-01-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정하중 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2019445A1 (ko) * 2020-07-20 2022-01-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정하중 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20220011967A (ko) 2020-07-22 2022-02-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전지 모듈 시스템 및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2065700A1 (ko) * 2020-09-22 2022-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의 수명이 향상된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2108280A1 (ko) * 2020-11-23 2022-05-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14453A1 (en) 2020-02-26
CN110168771A (zh) 2019-08-23
US20190363392A1 (en) 2019-11-28
JP7171584B2 (ja) 2022-11-15
EP3614453B1 (en) 2023-08-30
JP2020507186A (ja) 2020-03-05
US11121395B2 (en) 2021-09-14
KR102229410B1 (ko) 2021-03-17
EP3614453A4 (en) 2020-07-01
CN117219942A (zh) 2023-12-12
WO2019054619A1 (ko)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9410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203248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152347B1 (ko) 배터리 팩
KR102187067B1 (ko)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
KR20180055407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90016353A (ko) 배터리 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066198B1 (ko) 배터리 팩
KR20180127760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80129170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모듈 생산 방법
EP3285313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KR20190069044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20100424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N114930631A (zh) 电池模块及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和车辆
EP4138190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automobile including same
KR20210060239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20200106377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EP4336639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KR20230012355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220057068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JP2023542176A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
KR20220047057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20200063792A (ko)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00421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20220075045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20220100359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