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820A - 구조물 연결장치 및 연결장치의 유동방지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구조물 연결장치 및 연결장치의 유동방지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820A
KR20190031820A KR1020170119744A KR20170119744A KR20190031820A KR 20190031820 A KR20190031820 A KR 20190031820A KR 1020170119744 A KR1020170119744 A KR 1020170119744A KR 20170119744 A KR20170119744 A KR 20170119744A KR 20190031820 A KR20190031820 A KR 20190031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slit
side surfaces
elongated hol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3595B1 (ko
Inventor
김효환
박종원
백기열
이경황
정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철강융합신기술연구조합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철강융합신기술연구조합,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19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595B1/ko
Publication of KR20190031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철골 구조물을 이루는 각 부재간의 틀어짐과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각 부재간의 상대적인 회전 변위를 방지할 수 있도록, 연결될 제1 부재와 제2 부재에 각각 접하는 면을 갖고 적어도 일 면에 긴구멍을 형성한 파스너, 상기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에 형성된 슬릿과 상기 긴구멍을 통해 상기 파스너를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에 체결하는 체결수단, 상기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와 파스너 사이에 설치되는 유동방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구조물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조물 연결장치 및 연결장치의 유동방지용 브라켓{APPARATUS FOR JOINTING FRAME STRUCTURE AND SUPPORT BRACKET FOR THE SAME}
철골 구조물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 및 연결장치에 구비되는 유동방지용 브라켓을 개시한다.
예를 들어, 건축물에는 내장재나 외장재를 시공하기 위해 철골 구조물이 건축물의 구조체에 설치된다. 철골 구조물은 철 재질로 된 관이나 빔을 수평과 수직으로 배치하여 접합한 트러스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철골 구조물은 건축물의 구조체와 내외장 패널 시스템을 연결하는 구성부로,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비구조 요소이다.
철골 구조물의 각 부재가 용접으로 접합된 구조의 경우, 이음부가 용접으로 접합되어 매우 견고하나, 지진 발생시 구조체의 동적 거동에 대해 추종하지 못하고 파손될 위험이 있다.
이에, 내진성 개선을 위해 철골 구조물을 이루는 각 부재를 볼트로 접합하는 무용접 연결 구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철골 구조물을 이루는 각 부재간의 틀어짐과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구조물 연결장치 및 연결장치의 유동방지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철골 구조물을 이루는 각 부재간의 상대적인 회전 변위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구조물 연결장치 및 연결장치의 유동방지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본 구현예의 구조물 연결장치는, 구조물을 이루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에 각각 접하는 면을 갖고 적어도 일 면에 긴구멍을 형성한 파스너, 상기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에 형성된 슬릿과 상기 긴구멍을 통해 상기 파스너를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에 체결하는 체결수단, 및 상기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와 파스너 사이에 설치되는 유동방지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구현예의 유동방지 브라켓은 표면에 장공을 길게 형성하고, 상기 장공을 따라 일측에서 양면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파스너의 긴구멍 및 제1 부재나 제2 부재의 슬릿으로 삽입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각각 장공의 일측 선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각각 폭방향 양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평면을 이루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각각 폭방향 양 측면이 긴구멍의 폭방향 양 측면 및 슬릿의 폭방향 양 측면에 각각 적어도 두 곳 이상에서 접촉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각각 상기 긴구멍의 폭 및 상기 슬릿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긴구멍의 폭방향 양 측면과 상기 슬릿의 폭방향 양 측면에 접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돌기는 각각 걸림부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긴구멍의 선단 및 상기 슬릿의 선단에 접하는 원호형태로 만곡된 만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 브라켓은 금속 재질 또는 우레탄을 포함하는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파스너와 철골 구조물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이 방지되어, 시공 중에 철골 구조물이 비틀리거나 틀어져 체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철골 구조물을 보다 양호하고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철골 구조물과 파스트 간의 밀착력과 체결력을 높일 수 있고, 지진 발생시 파스너에서 볼트가 미끄러져 탈락되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내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연결장치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연결장치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연결장치의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연결장치의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연결장치로 조립된 철골 구조물의 내진성 실험 결과를 종래와 비교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연결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와 도 3은 구조물 연결장치의 조립된 상태와 그 단면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이하, 본 실시예는 사각의 단면 구조를 갖는 각관이 격자 형태로 연결되는 철골 구조물에 대한 연결장치를 예로서 설명한다. 구조물 연결장치(10)는 격자 형태의 철골 구조물 외에 다양한 형태로 조립되는 구조물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격자 형태로 연결되는 구조물 중 수직으로 배치된 부재를 제1 부재(100)라 하고, 수평으로 배치되는 부재를 제2 부재(200)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조물 연결장치(10)는,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를 연결하는 파스너(20), 파스너(20)를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에 각각 체결하는 체결수단, 제1 부재(100) 또는 제2 부재(200)와 파스너(20) 사이에 설치되는 유동방지 브라켓(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수단은 볼트(30)와 너트(32)일 수 있다. 볼트(30)에 너트(32)를 체결하여 조여줌에 따라 파스너(20)가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에 고정된다. 이에, 파스너(20)를 매개로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가 조립된다.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는 각각 파스너(20)와의 체결면에 슬릿(110,2120)이 길게 연장 형성된다. 슬릿(110.210)은 대략 볼트(30)의 나사축 직경보다 크고 볼트(30)의 머리 직경보다 작아 볼트(30) 나사축이 충분히 통과되고 볼트의 머리는 걸리는 정도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폭이라 함은 도 1에서 z축 방향에 대한 길이를 의미하며, 폭방향이라 함은 z축 방향을 의미한다.
슬릿(110,210)의 일측 선단은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의 단부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슬릿의 반대쪽 선단에는 체결수단인 볼트(30)의 볼트 머리가 끼워질 수 있도록 원형의 홀(120,220)이 형성될 수 있다.
파스너(20)는 직각으로 굽어진 두께가 얇은 판 구조물일 수 있다. 파스너(20)는 직각으로 굽어져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200)에 각각 접하게 된다. 이하, 파스너(20)의 굽어진 각 부분을 제1 플레이트(22)와 제2 플레이트라 한다. 제1 플레이트(22)는 제1 부재(100)에 접하는 부분이고, 제2 플레이트는 제2 부재(200)에 접하는 부분이다.
파스너(20)의 제1 플레이트(22)와 제2 플레이트(24)는 각각 표면에 긴구멍(26,28)을 구비한다. 긴구멍(26,28)은 슬릿(110,210)과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긴구멍(26,28)은 각각 슬릿(110,210)의 폭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예를 들어 파스너(20)의 제1 플레이트(22)를 제1 부재(100)에 밀착시키면 제1 플레이트(22)에 구비된 긴구멍(26)이 제1 부재(100)에 형성된 슬릿(110)과 일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유동방지 브라켓(40)은 제1 부재(100)와 파스너(20)의 제1 플레이트(2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구조 외에 유동방지 브라켓(40)은 제2 부재(200)와 파스너(20)의 제2 플레이트(24) 사이에도 설치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예는 유동방지 브라켓(40)이 제1 부재(100)와 파스너(20)의 제1 플레이트(22) 사이에 설치된 구조를 예로서 설명한다.
유동방지 브라켓(40)은 두께가 얇은 판 구조물로, 대략 제1 플레이트(22)와 유사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유동방지 브라켓(40)은 표면에 길게 형성된 장공(42)을 구비한다. 장공은 길게 연장된 구멍으로, 장공(42)의 폭은 제1 플레이트(22)에 구비된 긴구멍(26)의 폭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플레이트(22)와 제1 부재(100) 사이에 유동방지 브라켓(40)이 삽입된 상태에서 긴구멍(26)과 장공(42) 및 슬릿(110)을 통해 볼트(30)가 관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플레이트의 긴구멍(26)을 지나 외측으로 돌출된 볼트(30)에 너트(32)를 체결하여 조여줌으로써, 스파너를 제1 부재에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동방지 브라켓(4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동방지 브라켓(40)은 금속재질 외에 열전도성이 낮은 비금속 재질 예를 들어, 우레탄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동방지 브라켓(40)이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결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우레탄의 점탄성 및 마찰력에 의해 유동방지 브라켓(40)이 파스너(20)와 구조물 사이에서 밀착성을 향상시킬 있게 된다. 이에, 파스너(20)와 구조물 사이 이음부를 보다 긴밀하게 밀착시켜 내진 특성 향상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유동방지 브라켓(40)은 파스너(20)와 제1 부재(10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부재(100)에 대해 파스너(20)가 회전 변위되거나 비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방지 브라켓(40)은 양면에서 외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돌기(44)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44)는 장공(42)을 따라 일측에 형성되어, 각각 파스너(20)의 긴구멍(26) 및 제1 부재(100)의 슬릿(110)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돌기(44)의 돌출된 높이는 긴구멍(26)이나 슬릿(110)에 충분히 삽입될 정도면 충분하며, 철골 구조물의나 파스너(20)의 두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돌기(44)는 장공(42)의 일측 선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돌기(44)는 같은 위치에서 방향만 달리하여 유동방지 브라켓(40)의 양면에 돌출 형성된다. 이에, 장공(42)의 일측 선단에 돌기(44)가 위치하므로, 장공(42)의 나머지 길게 연장된 부분을 통해 볼트(30)와 유동방지 브라켓(40)이 적절한 위치로 상대 이동가능하다.
양방향으로 돌출된 돌기(44)는 각각 그 폭(D)이 각각 긴구멍(26)의 폭 및 상기 슬릿(110)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돌기(44)는 폭방향 양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평면을 이루는 걸림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을 이룬다는 것은 걸림부의 측면이 평평하여 긴구멍의 폭방향 양 측면이나 슬릿의 폭방향 양 측면에 면접촉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에에서, 걸림부(46)는 폭(D)이 슬릿이나 긴구멍의 폭과 동일하고 폭방향 양 측면이 직선으로 연장되어 평평한 평면인 구조를 이룬다. 걸림부(46)는 긴구멍(26)이나 슬릿(110)에 끼워져 긴구멍 내측면과 슬릿 내측면에 면접촉된다. 즉, 각 돌기(44)의 걸림부(46)는 각각 긴구멍의 폭방향 양 측면 및 슬릿의 폭방향 양 측면에 접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기(44)의 걸림부(46)가 슬릿(110)의 측면에 면접촉되어 있어, 제1 부재(100)와 유동방지 브라켓(40)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유동방지 브라켓(40) 반대쪽에서 돌기(44)의 걸림부(46)가 긴구멍(26)의 측면에 면접촉되어 있어, 유동방지 브라켓(40)과 제1 부재(100)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유동방지 브라켓(40)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어 있는 파스너(20)와 제1 부재(100)는 서로 상대적인 회전이 방지된다. 즉, 제1 부재(100)와 유동방지 브라켓(40)이 서로 회전 시 걸림부(46)의 모서리가 슬릿의 내측면에 걸려 회전이 방지되는 것이다.
돌기(44)의 걸림부(46) 길이(L)는 유동방지 브라켓(4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며 유동방지 브라켓(40)이나 파스너(20) 또는 구조물의 재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걸림부는 언급한 바와 같이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평면 구조 외에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로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각 돌기의 걸림부는 폭방향 양 측면이 긴구멍의 폭방향 양 측면 및 슬릿의 폭방향 양 측면에 각각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곳 이상에서 접촉하는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긴구멍의 폭방향 측면과 걸림부가 적어도 두 곳에서 접촉하고 있어, 걸림부의 각 접촉 지점이 마치 펴평면의 걸림부 모서리와 같은 작용을 하여 긴구멍에서 돌기가 회전하는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걸림부가 면접촉하는 구조 외에 상기와 같이 두 곳에서 접촉하는 구조 역시 두 부재 간의 회전 변위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돌기(44)는 각각 걸림부(46)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긴구멍(26)의 선단 및 상기 슬릿(110)의 선단에 접하는 만곡부(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곡부(48)는 걸림부(46)와 한 몸체를 이룬다. 만곡부(48)는 긴구멍의 선단이나 슬릿의 선단과 대응되도록 원호형태로 만곡 형성될 수 있다.
만곡부(48)를 구비함으로써, 역시 원호형태로 가공되어 있는 돌기(44)가 긴구멍(26)의 선단이나 슬릿(110)의 선단에 돌기(40)가 보다 부드럽게 밀착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돌기(44)의 구조를 달리한 유동방지 브라켓(40)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유동방지 브라켓(40)은 만곡부(도 5의 48 참조)없이 걸림부(46)만을 구비한 구조란 점을 제외하고 이미 설명한 유동방지 브라켓(40)의 구조와 동일하다. 이에, 이미 설명한 구성부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유동방지 브라켓(40)의 돌기(44)는 간단하게 걸림부(46)만을 구비함으로써, 제조가 보다 용이하고 제조시 사용되는 원재료를 줄일 수 있어, 제품 원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실험예]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유동방지용 브라켓을 적용하여 철골 구조물을 연결장치로 조립하였다. 이렇게 조립된 철골 구조물에 대해 진동 테이블을 적용한 지진 모사 시험을 실시하여 내진 성능을 실험하였다.
이하, 실시예는 언급한 바와 같이, 유동방지용 브라켓이 적용된 구조의 철골구조물이고, 비교예는 유동방지용 브라켓이 적용되지 않은 종래의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조립된 철골 구조물이다.
실시예와 비교예 모두 실제 관측지진파(EL centro NS, 1940)을 사용하여 가진하였다. 이때 기준이 되는 입력지진파의 최대가속도를 설계레벨 가속도가 되도록 사용지진파의 가속도 배율을 조정하고 최대가속도의 크기를 증가시키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 모두 철골 구조물의 배치 구조와 형태는 동일하다. 철골 구조물은 모두 외장재가 세로 2개 가로 6개가 부착될 수 있도록 연결하였다. 철골 구조물에 부착되는 외장재로 석재 마감재를 동일하게 시공 제작하여 실시예와 비교예의 철골 구조물에 장착하였다.
실험은 동일한 조건에서 실시되었으며, 가진 시험 후 철골 구조물의 건전성 및 석재 마감재의 탈락 여부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가속도레벨에 따른 피해 상황을 관찰하였을 때, KBC 설계 규정을 1로 보았을 경우 실시예와 비교예 모두 미미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에, 설계 규정의 내진 성능은 실시예와 비교예 모두 확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설계 규정의 3.5배로 0.7233PGA(g)의 가진력을 가하였을 경우, 실시예와 비교예의 실험결과에 확연한 차이가 나타났다.
도 7 내지 도 9는 설계 규정의 3.5배의 가진력을 가한 후 실시예와 비교예의 외부 상태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서, 오른쪽은 비교예에 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왼쪽은 실시예에 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경우 지진파에 의해 석재 마감재의 접합부가 탈락하여 석재 마감재가 철골 구조물에서 탈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실시예의 경우 유격방지 브라켓을 적용함에 따라 지진파에 대해 비틀림이 방지되어 석재 마감재가 탈락되지 않고 매우 건전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후면에 대한 상태를 관찰하였을 때, 비교예의 경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철골 구조물을 연결하는 연결장치가 분리되어 석재 마감재와 함께 탈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실시예의 경우 철골 구조물을 연결하는 연결장치가 최초 연결 상태 그대로 매우 건전하게 유지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동방지 브라켓을 적용한 본 실시예의 연결장치로 철골 구조물을 조립함에 따라 철골 구조물과 연결장치 간의 비틀림이나 회전 변위를 방지하여 설계 기준 3.5배 이상 가진력에도 강한 내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연결장치 20 : 파스너
22 : 제1 플레이트 24 : 제2 플레이트
26,28 : 긴구멍 30 : 볼트
32 : 너트 40 : 유동방지 브라켓
42 : 장공 44 : 돌기
46 : 걸림부 48 : 만곡부

Claims (14)

  1. 구조물을 이루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에 각각 접하는 면을 갖고 적어도 일 면에 긴구멍을 형성한 파스너,
    상기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에 형성된 슬릿과 상기 긴구멍을 통해 상기 파스너를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에 체결하는 체결수단, 및
    상기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와 파스너 사이에 설치되는 유동방지 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방지 브라켓은 표면에 장공을 길게 형성하고, 상기 장공을 따라 일측에서 양면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파스너의 긴구멍 및 제1 부재나 제2 부재의 슬릿으로 삽입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구조물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각각 상기 긴구멍의 폭 및 상기 슬릿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는 구조물 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 브라켓은 금속 재질 또는 우레탄을 포함하는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구조물 연결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각각 폭방향 양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평면을 이루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구조물 연결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각각 폭방향 양 측면이 긴구멍의 폭방향 양 측면 및 슬릿의 폭방향 양 측면에 각각 적어도 두 곳 이상에서 접촉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구조물 연결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각각 상기 긴구멍의 폭방향 양 측면과 상기 슬릿의 폭방향 양 측면에 접하는 구조의 구조물 연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각각 걸림부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긴구멍의 선단 및 상기 슬릿의 선단에 접하는 원호형태로 만곡된 만곡부를 더 포함하는 구조물 연결장치.
  8. 구조물을 이루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에 각각 접하는 면을 갖고 적어도 일 면에 긴구멍을 형성한 파스너와, 상기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에 형성된 슬릿과 상기 긴구멍을 통해 상기 파스너를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에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구조물 연결장치의 파스너와 제1 부재, 또는 파스너와 제2 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유동방지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 브라켓은 표면에 장공을 길게 형성하고, 상기 장공을 따라 일측에서 양면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파스너의 긴구멍 및 제1 부재나 제2 부재의 슬릿으로 삽입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구조물 연결장치의 유동방지 브라켓.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각각 상기 긴구멍의 폭 및 상기 슬릿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는 구조물 연결장치의 유동방지 브라켓.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 브라켓은 금속 재질 또는 우레탄을 포함하는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구조물 연결장치의 유동방지 브라켓.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각각 폭방향 양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평면을 이루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구조물 연결장치의 유동방지 브라켓.
  12.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각각 폭방향 양 측면이 긴구멍의 폭방향 양 측면 및 슬릿의 폭방향 양 측면에 각각 적어도 두 곳 이상에서 접촉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구조물 연결장치의 유동방지 브라켓.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각각 상기 긴구멍의 폭방향 양 측면과 상기 슬릿의 폭방향 양 측면에 접하는 구조의 구조물 연결장치의 유동방지 브라켓.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각각 걸림부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긴구멍의 선단 및 상기 슬릿의 선단에 접하는 원호형태로 만곡된 만곡부를 더 포함하는 구조물 연결장치의 유동방지 브라켓.
KR1020170119744A 2017-09-18 2017-09-18 구조물 연결장치 및 연결장치의 유동방지용 브라켓 KR102023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744A KR102023595B1 (ko) 2017-09-18 2017-09-18 구조물 연결장치 및 연결장치의 유동방지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744A KR102023595B1 (ko) 2017-09-18 2017-09-18 구조물 연결장치 및 연결장치의 유동방지용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820A true KR20190031820A (ko) 2019-03-27
KR102023595B1 KR102023595B1 (ko) 2019-09-20

Family

ID=65907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744A KR102023595B1 (ko) 2017-09-18 2017-09-18 구조물 연결장치 및 연결장치의 유동방지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5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430B1 (ko) * 2019-10-16 2020-06-22 신동호 스테인리스 타입의 창틀 프레임 결합구조
KR102186545B1 (ko) * 2020-07-21 2020-12-03 조우일 캔틸레버 교량의 착탈식 지지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캔틸레버 교량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612B1 (ko) * 2021-03-18 2023-01-03 정영환 조립형 모듈러 주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7118A (ja) * 2003-02-26 2004-09-16 Sumitomo Forestry Co Ltd ユニット吊上げ連結金具
JP2004353348A (ja) * 2003-05-29 2004-12-16 Matsuyama Kozai Kk 鉄骨材の連結機構
KR101197548B1 (ko) * 2009-05-18 2012-11-09 (주)석촌 위치 가변이 가능한 석재패널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7118A (ja) * 2003-02-26 2004-09-16 Sumitomo Forestry Co Ltd ユニット吊上げ連結金具
JP2004353348A (ja) * 2003-05-29 2004-12-16 Matsuyama Kozai Kk 鉄骨材の連結機構
KR101197548B1 (ko) * 2009-05-18 2012-11-09 (주)석촌 위치 가변이 가능한 석재패널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430B1 (ko) * 2019-10-16 2020-06-22 신동호 스테인리스 타입의 창틀 프레임 결합구조
KR102186545B1 (ko) * 2020-07-21 2020-12-03 조우일 캔틸레버 교량의 착탈식 지지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캔틸레버 교량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595B1 (ko) 2019-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742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raming components including brackets with flex-fit flanges
KR20190031820A (ko) 구조물 연결장치 및 연결장치의 유동방지용 브라켓
KR101450161B1 (ko) 클램핑 요소
US8250822B2 (en) Wall framing system, method and product
US20160222650A1 (en) Bearing wall and wall surface member for bearing wall
US8959730B2 (en) Push-on clip fastener
GB2500244A (en) Clamp assembly
US20030129026A1 (en) Steel beam coupling device
US10273991B2 (en) Mounting clip and related methods
JP3732838B2 (ja) 連結用具セット、構造物及び金属管の連結方法
JP2008019692A (ja) 筋かい接合部材
JP6584890B2 (ja) 逆転防止機構付きアンカーボルト
JP6664169B2 (ja) 壁パネル取付補助具及びそれを用いた壁構造
JP2018138719A (ja) 鋼製部材の縦継構造
JP6635491B1 (ja) ブレース連結金具
JP5164778B2 (ja) 杭頭接合構造
JP3682054B2 (ja) 鉄骨材の連結機構
JP5147749B2 (ja) 壁パネルの取付構造
JP5969868B2 (ja) 脱落防止具
JP3739367B2 (ja) 鉄骨材の連結機構
JP5528265B2 (ja) 固定具
JP6124853B2 (ja) コンクリート床構造
JP4521046B2 (ja) 吊りボルト取付け装置
WO2020237485A1 (zh) 风扇吊架及风扇装置
JP2016044536A (ja) 両挟み耐震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