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819A -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 - Google Patents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819A
KR20190028819A KR1020197007164A KR20197007164A KR20190028819A KR 20190028819 A KR20190028819 A KR 20190028819A KR 1020197007164 A KR1020197007164 A KR 1020197007164A KR 20197007164 A KR20197007164 A KR 20197007164A KR 20190028819 A KR20190028819 A KR 20190028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feedback
vehicle
controlle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8628B1 (ko
Inventor
로스 알랜 오스터만
저스틴 마이클 슈왈츠
Original Assignee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90028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7/00Up-and-down hill tracks; Switchb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0Interpretation of driver requests or dem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5/00Autocar-like self-drivers; Runway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16Amusement arrangements creating illusions of trav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3/00Devices allowing competitions between several pers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7/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B60K2350/1024
    • B60K2350/104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2Brake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2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720/24Direction of tra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시스템(10)은 두 명 이상의 승객(16)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을 포함한다. 상기 주행 놀이 차량(12)은 당해 주행 놀이 차량(12)의 승객들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10)은 또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주행 놀이 차량(12)의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70)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MULTI-PASSENGER RIDE VEHICL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놀이공원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놀이공원의 오락 또는 놀이기구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multi-passenger ride vehicle)에 관한 것이다.
승객에게 독특한 움직임과 시각적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놀이기구가 고안되었다. 예를 들어 테마 놀이기구(theme ride)에는 고정 경로 또는 가변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1인승 차량(single-passenger vehicle) 또는 다인승 차량(multi-passenger vehicle)이 제공될 수 있다. 주행 놀이 차량 자체는 주행 놀이 차량 및/또는 주위 환경에 대한 다양한 레벨의 제어(예를 들어, 다양한 버튼 및 노브)를 승객에게 제공하는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주행 놀이 차량이 사전에 결정된 정해진 경로를 따를 때에는 주행 놀이 차량의 승객에게 주어지는 전통적 제어는 일반적으로 제한된다. 또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전통적 제어는 일반적으로 한 승객에게만 주행 놀이 차량에 대한 조향 제어를 제공한다.
따라서, 더 모험적인 주행 경험을 만들어내기 위해 주행 놀이 차량에 대한 승객의 제어를 향상시킨 향상된 놀이기구에 대한 필요성이 있음이 현재 인식되고 있다.
최초로 청구된 주제의 범위에 상응한 특정 실시예들이 아래에 요약된다. 이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한 간략한 요약을 제공하려는 것일 뿐이다. 실제로, 본 발명은 아래에 설명된 실시예들과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두 명 이상의 승객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을 포함한다.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은, 두 명 이상의 승객 중 한 승객으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각각의 승객으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피드백을 생성시키도록 각각 구성된 복수의 사용자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복수의 사용자 입력 장치들은 제 1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 1 사용자 입력 장치 및 제 2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 2 사용자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제 1 피드백과 제 2 피드백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제 1 작동과 관련된 제 1 피드백 유형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복수의 사용자 입력 장치들은 제 3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 3 사용자 입력 장치 및 제 4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 4 사용자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제 3 피드백과 제 4 피드백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제 1 작동과는 다른 제 2 작동과 관련된 제 2 피드백 유형을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은, 제 1 피드백, 제 2 피드백, 제 3 피드백, 및 제 4 피드백을 수신하도록, 제 1 피드백, 제 2 피드백, 또는 이들 두 피드백의 제 1 선택에 기초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제 1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그리고 제 3 피드백, 제 4 피드백, 또는 이들 두 피드백의 제 2 선택에 기초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제 2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은 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제 1 승객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 1 사용자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은 또한 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제 2 승객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 2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 2 사용자 입력 장치도 포함한다. 또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은 제 1 피드백 및 제 2 피드백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차량 경로 결정을 위해 제 1 피드백, 제 2 피드백, 또는 이들 두 피드백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어기는, 선택에 기초하여 제 1 피드백, 제 2 피드백, 또는 이들 두 피드백을 이용하여 차량 경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그 차량 경로에 기초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제 1 승객으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제 1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제 1 조향 피드백을 수신하기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또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제 2 승객으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제 2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제 1 속도 피드백을 수신하기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방법은 차량 경로를 결정하기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경로를 결정하기는, 제 1 조향 피드백에 기초하여 차량 경로의 방향을 결정하기와, 제 2 조향 피드백에 기초하여 차량 경로의 속도를 결정하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차량 경로에 기초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이동을 제어하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그 밖의 다른 특징들, 양태들, 장점들은 도면 전체에 걸쳐 같은 문자들이 같은 부분을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을 포함하는 쌍방향 놀이기구 시스템을 위에서 내려다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을 포함하는 쌍방향 놀이기구 시스템의 블록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 물리적 포상, 가상 포상, 물리적 장애물, 및 가상 장애물을 포함하는 쌍방향 놀이기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른 두 대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을 포함하는 쌍방향 놀이기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 두 대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 및 이동 가능한 프로젝터에 의해 표시되는 가상 장애물을 포함하는 쌍방향 놀이기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가상 장애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른 승객 성능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른 쌍방향 놀이기구 승자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협동적, 경쟁적, 또는 순차적/교번적 승객 제어를 가능하게 해서 각 승객에게 동적 주행 체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사용자 입력 장치들을 구비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을 포함하는 쌍방향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쌍방향 놀이기구는 각 승객에게 정적 체험을 제공하는 수동적 놀이기구와는 대조적이다. 예를 들어, 수동적 놀이기구는 놀이기구를 탈 때마다의 입력에 기초하는 가변 경로 또는 결과를 포함하지 않으며, 그리고/또는 주행 놀이 차량의 기능들에 대한 승객의 동적 제어를 허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은 놀이기구를 탈 때마다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 각각에 대해 그리고/또는 각 승객에 대해 잠재적으로 각기 다른 체험을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특히,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각 승객은 상호 작용 방식 주행의 적어도 일부를 위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한 명 이상의 승객은 조향 휠, 조이스틱, 가스 페달, 브레이크 페달, 버튼, 레버, 스위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다양한 사용자 입력 장치들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들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움직임(예를 들어, 속도, 가속도, 감속도, 방향 및/또는 배향)에 관한 피드백, 상호 작용 방식 주행에서의 포상과 관련된 피드백, 상호 작용 방식 주행에서의 장애물과 관련된 피드백, 상호 작용 방식 주행에서의 다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 또는 다른 물체와 관련된 피드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한 명 이상의 승객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시킬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들에 의해 생성된 피드백은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에 있어서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이동, 포상 획득, 장애물 회피, 및/또는 다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들 및/또는 물체들과 맞붙음 등과 같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기능 또는 작동을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2 명 이상의 승객들이 협동적 작동 제어를 위해 동시에 동일한 작동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2 명의 승객이 동일한 유형의 피드백(예를 들어, 동일한 작동에 관련된 피드백)을 생성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를 각각 제어할 수 있고, 2 개의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의 피드백을 이용하여 작동을 협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명의 승객이 각각 조향 휠을 제어할 수 있고, 2 개의 조향 휠 제어로부터의 협동적 집계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조향 또는 차량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각 승객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상이한 작동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승객은 조향과 관련된 피드백을 생성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고, 제 2 승객은 가속과 관련된 피드백을 생성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고, 제 3 승객은 포상과 관련된 피드백을 생성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제 4 승객은 장애물에 관한 피드백을 생성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다양한 작동 제어는 상호 작용 주행이 지속되는 동안 내내 승객들 간에 교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다양한 작동의 제어는 승객들 사이에서 순환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각각의 작동에 대해 이전 승객이 수행한 것에 기초하여 승객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호 작용식 주행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각 승객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적어도 한 가지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하여, 각각의 승객에게 독특하고 역동적인 주행 경험을 제공하고, 놀이공원을 여러 번 방문하는 것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제공하게 된다.
본원에 개시된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기구는 탈것 타기, 쇼, 프로모션 등을 포함한 놀이공원의 매력을 가지고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경주 테마와 같은 특정 테마와 함께 상호 작용식 주행을 채용함으로써, 방문객들은 놀이공원 방문에 대한 자극을 받으며, 더 나아가서는 놀이공원에서 제공되는 테마별 경험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가 설정 가능하고 동적이기 때문에, 다수의 상이한 주제 또는 이야기를 갖는 주행, 경주 및/또는 경기의 주인공이 되도록 하는 하나의 주행 놀이 환경(ride environment)이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을 염두에 두고 살피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 시스템(interactive ride system)(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적어도 2 명의 승객(16)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은 승객 좌석(14)을 적어도 2 개(예를 들어, 2, 3, 4, 5, 6, 7, 8, 9, 10 개, 또는 그 이상) 구비한다. 승객 좌석들(14)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예컨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앞쪽 및/또는 뒤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승객 좌석(14)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에 임의의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승객 좌석들(14) 중 하나 이상은 나머지 승객 좌석(14)에 대해 높게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은 또한 전방 차축(20)에 연결된 앞바퀴(18) 및 후방 차축(24)에 연결된 뒷바퀴(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을 위한 주행 놀이 환경(28)을 포함한다. 특히, 하나 이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은 주행 놀이 환경(28) 내에 위치되어, 그 주행 놀이 환경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은 주행 놀이 환경(28) 내의 주행 코스(30)를 따라 주행한다. 주행 코스(3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주행하는 임의의 표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코스(30)는 하나 이상의 트랙, 하나 이상의 도로, 하나 이상의 개방 표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 시스템(10)은 제어기(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제어기)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움직임(예를 들어, 방향, 속도, 가속도 및/또는 배향)을 제어하는 "드라이브 바이 와이어" 시스템이다. 이렇기 때문에, 주행 코스(3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주행하는 경로를 말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대신에, 하나 이상의 제어기가 주행 코스(30) 내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들(12)의 복수의 상이한 또는 가변적 주행 경로들(32)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제어기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자유로운 운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예를 들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들(12)을 어느 곳에서나 혹은 사전에 결정된 경계 내의 어느 곳에서나 운전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제어기가 분기되는 고정 경로들을 통한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제어기가 복수의 분기하는 고정 경로들로부터 가변 주행 경로(32)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제어기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을 가변 속도, 가변 방향(예를 들어, 전방, 후방, 측방, 대각선 방향 등), 및/또는 가변 배향으로 주행시키기 위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에 대한 제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제어기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배향을 바꾸기 위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으로 하여금 스핀, 피칭, 롤링 및/또는 요잉을 하게 할 수 있다. 이렇기 때문에,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 시스템(10)은 주행 놀이가 취해질 때마다 각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을 위한 잠재적인 상이한 주행 경로(32)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승객들(16)이 그 각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하나 이상의 작동(예를 들어, 동작, 기능 등)을, 예컨대 그 각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이동, 포상 획득, 장애물 회피, 및/또는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 시스템(10) 내의 다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들(12)과의 맞붙음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 내의 승객들(16)은 그 각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이동(예를 들어, 방향, 속도 및/또는 배향)을 협력해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그 각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취하는 주행 경로(3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승객들(16)은 그 각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자유로운 운행을 협력해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승객들(16)은 복수의 분기하는 고정 경로들로부터 하나의 고정 주행 경로(32)를 선택하는 것을 협력해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승객들(16)이 각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각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은 각 승객(16)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는 승객(16)으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피드백 또는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는 승객(16)에 의한 각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의 작동 또는 이동에 응답하여 피드백 또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입력 장치(34)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이동과 관련된 피드백, 포상과 관련된 피드백, 장애물과 관련된 피드백, 또는 이들의 조합을 생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승객 좌석(14) 내의 승객(16)이 그 각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와 쉽게 상호 작용하고 그리고/또는 그 사용자 입력 장치를 쉽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가 승객 좌석(14)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승객 좌석(14)을 위한 각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는 각각의 승객 좌석(14) 주위에 배치되되, 각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가 각각의 승객 좌석(14)에서 승객(16)의 팔이 도달하는 범위 내에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는 한 승객 좌석(14)에 근접하게 배치하되, 사용자 입력 장치들(34)이 각각의 승객 좌석(14)의 승객(16)에 근접하게(예를 들어, 팔이 도달하는 범위 내에) 배치되지만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다른 승객 좌석(14)의 승객들(16)로부터는 먼 거리(예를 들어, 그 승객들의 팔이 도달하는 범위 밖)에 배치되도록 하여, 배치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는 조향 휠(36), 가스 페달(38), 브레이크 페달(40), 하나 이상의 버튼(42), 및 조이스틱(44)(예를 들어, 또는 측방 및/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나 혹은 모든 방향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는 임의의 수의 사용자 입력 장치들을 포함하고 스로틀, 핸드 브레이크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사용자 입력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한 승객(16)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장치(34)가 다른 승객(16)을 위한 다른 사용자 입력 장치(34)와 동일한 유형의 피드백을 생성하거나 혹은 다른 유형의 피드백을 생성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은 제 1 승객 좌석에 근접한 조향 휠(36), 제 2 승객 좌석에 근접한 가스 페달(38), 제 3 승객 좌석에 근접한 브레이크 페달(40), 및 제 4 승객 좌석에 근접한 버튼(4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은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 신호(예를 들어, 입력, 피드백 등)를 수신하여 그 수신 신호를 처리해서 각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작동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기(70)(예를 들어, 단일 제어기 또는 협력하는 다수의 제어기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 받은 신호를 처리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작동을, 예컨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이동, 포상 획득, 장애물 회피, 및/또는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 시스템(10) 내의 다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들(12) 및/또는 캐릭터들과의 맞붙음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차량 제어기(70)는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 받은 하나 이상의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각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경로(32)를 결정할 수 있다. 위에서 주지한 바와 같이, 경로(32)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운행이 자유로운 경로이거나 혹은 복수의 분기하는 고정 경로들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고정 경로일 수 있다. 경로(32)가 선택된 고정 경로인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30)는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 받은 하나 이상의 신호에 기초하여 경로(32)를 변경할 수 있다(예를 들어, 다른 고정 경로(32)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3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 받은 하나 이상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고정 경로(32)(예를 들어, 주행 경로(30) 중의 제 1 분기부)를 선택할 수 있고, 그리고 차량 제어기(3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 받은 하나 이상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고정 경로(32)(예를 들어, 주행 경로(30) 중의 제 2 분기부로)를 선택할 수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차량 제어기(70)는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의 입력들, 차량 제어기(70)에 저장된 명령들, 및/또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 시스템(10)의 시스템 제어기(72)(예를 들어, 단일 제어기 또는 협력하는 다수의 제어기들)로부터의 명령들에 기초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는 애플리케이션 특정 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서(74: 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나타낼 수 있음)를 채용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는 또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을 위한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제어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74)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76)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4)는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76)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비일시적 기계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기(72)는 애플리케이션 특정 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서(78: 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나타낼 수 있음)를 채용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시스템 제어기(72)는 또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 및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 시스템(10)을 위한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제어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78)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80)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8)는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80)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비일시적 기계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기계 실행 가능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 형태의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유지하거나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74), 프로세서(78), 또는 임의의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를 갖춘 여타 기계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기(72)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경로를 통해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 시스템(12)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들(12) 및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은 차량 통신 모듈(82)을 포함할 수 있고, 시스템 제어기(72)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과 시스템 제어기(72) 사이의 정보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통신 모듈(84)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차량 통신 모듈(82)은 또한 다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들(12)과의 정보 전송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기(72)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자동화된 입/출력 인터페이스(88) 및 디스플레이(86)를 포함하는 분산 제어 시스템(DCS) 또는 임의의 컴퓨터 기반 워크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은 모터(90) 및 브레이크(92)를 포함한다.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이동에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주행(예를 들어, 가속, 감속), 선회, 및 정지가 포함될 수 있다. 모터(90)는 배터리, 태양 전지, 전기 발전기, 가스 엔진,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적절한 전원(94)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모터(90)와 브레이크(92)의 작동은 차량 제어기(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하나 이상의 가스 페달(38) 또는 스로틀과 같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 수신된 피드백에 기초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을 가속 또는 감속시킬 수 있게 모터의 출력이 조정되도록 모터(90)를 제어한다. 차량 제어기(70)는 또한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페달(40) 또는 핸드 페달과 같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 수신된 피드백에 기초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을 감속 또는 정지시킬 수 있도록 브레이크(92)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조향을 제어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조향 휠(36) 및/또는 하나 이상의 조이스틱(44)과 같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 수신된 피드백에 기초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전방 차축(20) 및/또는 후방 차축(24)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량 제어기(7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 받은 피드백에 기초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경로(32)를 결정 및/또는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최소 속도 임계값 이상의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모터(9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최소 속도 임계값 이상의 속도로 주행하도록 하기 위해 가스 페달(38)로부터의 입력 및/또는 브레이크 페달(40)로부터의 입력과 같은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의 입력들을 오버라이드(override)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사전에 결정된 시간 내에 주행을 완료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어서, 상기 최소 속도 임계값은 주행을 사전에 결정된 시간 내에 용이하게 완료시킬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들(12)이 동시에 주행 코스(30)를 통해 주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들(12) 간의 충돌 발생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기 위해, 주행 코스(30)를 따라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들(12)의 간격을 떨어뜨리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들에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들(12)이 사전에 결정된 간격으로 주행 코스(30)를 시작할 수 있고, 최소 속도 임계값은 주행 코스(30) 전체에 걸쳐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들(12) 사이를 원하는 간격으로 떨어뜨리는 것이 용이해지도록 선택될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의 메모리(76) 및/또는 시스템 제어기(72)의 메모리(80)가 하나 이상의 최소 속도 임계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의 프로세서(74) 및/또는 시스템 제어기(72)의 프로세서(78)가 원하는 완료 시간,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들(12) 간의 원하는 간격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주행 인자들에 기초하여, 메모리(76) 및/또는 메모리(8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최소 속도 임계값들로부터 최소 속도 임계값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은 주행 코스(30)에서의 그 차량의 위치를 모니터하기 위한 위치 피드백 시스템(9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위치 피드백 시스템(96)은 주행 놀이 환경(28) 내의 하나 이상의 센서(100)와 상호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98)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98)와 센서(100)는 이미터 및/또는 검출기와 같은 광학 구성 요소와; RFID 태그 및/또는 RFID 송신기, 카메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무선 주파수 식별(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들(100)은 주행 코스(30) 내에 또는 그 코스 상에 배치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주행 놀이 환경(28) 내의 하나 이상의 물리적 물체 내에 또는 그 물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센서들(98)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 내에 또는 그 위에 배치되거나 혹은 그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위치 피드백 시스템(96)의 센서들(98)은 주행 놀이 환경(28)의 센서들(100)로부터의 피드백 또는 그 센서들과의 상호 작용에 기초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센서들(98)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센서들(98)로부터의 피드백 또는 그 센서들과의 상호 작용에 기초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여 그 위치 정보를 시스템 제어기(72)에 제공할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 및/또는 시스템 제어기(72)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위치 정보를 주행 놀이 환경(28)에 대한 정보와 결합해서 사용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이동을 제어하되 충돌 발생을 최소화하거나, 피하거나, 방지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놀이 환경(28)에 대한 정보는 주행 코스(30)의 경계, 주행 놀이 환경(28) 내의 물리적 물체들, 주행 코스(30) 내의 다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들(12)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 놀이 환경(28)에 대한 정보는 차량 제어기(70) 및/또는 시스템 제어기(72)에 의해서 하나 이상의 센서(98)로부터 수신된 피드백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센서(100)로부터 수신된 피드백에 기초하여, 메모리(76) 및/또는 메모리(8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특히, 차량 제어기(70) 및/또는 시스템 제어기(72)는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입력들을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위치 정보 및 주행 놀이 환경(28)에 대한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오버라이드하거나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 및/또는 시스템 제어기(72)는 조향 휠(36), 가스 페달(38), 브레이크 페달(40), 조이스틱(44) 등으로부터의 입력을 오버라이드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 및/또는 시스템 제어기(72)는 또한 속도, 모터 출력,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의 입력 등과 같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통신 모듈(82)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상태 및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과 관련된 고유 식별자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시스템 제어기(72)로 전송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 및/또는 시스템 제어기(72)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위치 정보 및 주행 놀이 환경(28)에 대한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주행 놀이 환경(28) 내의 물체의 사전에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차량 제어기(70) 및/또는 시스템 제어기(72)는 상기 물체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키거나 증가시킬 수 있도록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이동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입력들을 오버라이드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 및/또는 시스템 제어기(72)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위치 정보와 주행 놀이 환경(28)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입력에 기초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주행 놀이 환경(28) 내의 물체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차량 제어기(70) 및/또는 시스템 제어기(72)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물체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고 결정하면, 그 차량 제어기(70) 및/또는 시스템 제어기(72)는 상기 물체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키거나 증가시킬 수 있도록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이동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입력들을 오버라이드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 및/또는 시스템 제어기(72)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주행 코스(30)의 도전 구간, 예컨대 좁은 구간, 곡선 구간, 물리적 장애물(예: 과속방지턱, 원뿔, 표지판, 웅덩이, 또는 그 밖의 다른 물체)이 있는 구간, 또는 다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들(12)이 있는 구간으로 들어가고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 및/또는 시스템 제어기(72)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주행 코스(30)의 도전 구간으로 들어가고 있다고 결정할 수 있을 때에는, 그 차량 제어기(70) 및/또는 시스템 제어기(72)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이동을 조정하기 위해(예, 속도를 줄이기 위해)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입력들을 오버라이드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량 제어기(70) 및/또는 시스템 제어기(72)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과 주행 놀이 환경(28) 내의 물체들 간의 충돌 발생을 최소화하거나, 회피하거나,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는 또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하나 이상의 작동(예컨대, 주행 코스(30)의 특정 부분 동안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어느 사용자 입력 장치(34)가 차량 제어기(70)에 피드백 또는 신호를 제공하게 할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들(34)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바와 같이, 활성화된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의 피드백은 차량 제어기(70)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며, 비활성화된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의 피드백은 차량 제어기(70)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량 제어기(70)는 어느 승객(16)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어떤 작동을 제어하게 할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는 스위치(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의 피드백은 그 각각의 스위치가 닫힌 때에는 차량 제어기(70)로 제공될 수 있는 반면에 그 각각의 스위치가 열린 때에는 차량 제어기(70)로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차량 제어기(70)는 스위치를 열어서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비활성화시키고 스위치를 닫아서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다른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운전 관련 피드백(예를 들어, 조향 피드백, 속도 피드백 등)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비운전 관련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차량 제어기(70)는 한 명 이상의 승객들(16)을 위한 조향 휠(36), 가스 페달(38), 브레이크 페달(40), 하나 이상의 버튼(42) 및/또는 조이스틱(44)을, 다른 승객(16)의 버튼들(42)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입력 장치들(34)은 비활성화되어 있는 동안에도 여전히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비활성화된 사용자 입력 장치(34)가 승객들(16)에 의해 작동되어서, 차량 제어기(70)에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각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제어하는 과정에서 승객에 의한 수행을 결정하기 위해 비활성화된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의 피드백을 여전히 처리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는 그 각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가 어느 승객 좌석(14)에 근접하게 배치되었는지와 관련된 정보 및/또는 각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어느 승객(16)이 제어하는지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1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모리(102)는 각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에 관련된 승객 좌석(14) 및/또는 승객(16)을 식별하는 고유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메모리(102)는 사용자 입력 장치(34)의 유형(예를 들어, 조향 휠, 조이스틱, 브레이크 페달, 가스 페달, 버튼, 포상 버튼, 장애물 버튼 등)에 관련된 정보 및/또는 사용자 입력 장치(34)에 의해 생성된 피드백의 유형 또는 유형들(예를 들어, 조향 피드백, 속도 피드백, 가속 피드백, 감속 피드백, 포상 피드백, 장애물 피드백 등)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은 2 개의 버튼(4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2 개의 버튼(42) 중 제 1 버튼은 포상에 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2 개의 버튼(42) 중 제 2 버튼은 장애물에 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사용자 입력 장치(34)와 관련된 승객 좌석(14), 사용자 입력 장치(34)와 관련된 승객(16), 사용자 입력 장치(34)의 유형, 및/또는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 사용자 입력 장치(34)에 의해 생성된 피드백의 유형 또는 유형들을 결정하기 위해, 각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의 메모리(102)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포상 획득을 제어하기 위해 특정 승객 좌석(14)의 승객(16)을 선택할 수 있고, 포상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특정 승객 좌석(14)에 근접하게 배치된 버튼(42)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승객들(16)에게 어느 사용자 입력 장치(34)가 활성화되었는지를 알려줄 수 있는 표시를 승객들(16)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입력 장치(34)는 하나 이상의 표시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 제어기(70)는 활성화된 사용자 입력 장치들(34)의 표시기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기는 라이트(예를 들어, 표시기 라이트, 이미터),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활성화된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나타내는 그래픽 또는 텍스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오디오 알림 장치(예를 들어, 스피커) 및/또는 그 밖의 임의의 적합한 표시기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표시기들은 활성화된 사용자 입력 장치들(34)에 관한 표시를 승객들(16)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2 명 이상의 승객(16)이 동일한 유형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가지거나, 혹은 이동과 관련된 피드백, 조향과 관련된 피드백, 속도 및/또는 가속과 관련된 피드백, 포상과 관련된 피드백, 장애물과 관련된 피드백 등과 같은 동일한 유형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은 각 승객(16)을 위한 조향 휠(36), 가스 페달(38), 브레이크 페달(40), 하나 이상의 버튼(42), 및 조이스틱(44)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한 번에 한 가지 유형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의 피드백이나 혹은 한 유형의 피드백만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제 1 승객 좌석(14)에 근접한 조향 휠(36), 제 2 승객 좌석(14)에 근접한 가스 페달(38) 및 브레이크 페달(40), 제 3 승객 좌석(14)에 근접한 제 1 버튼(42), 및 제 4 승객 좌석(14)에 근접한 제 2 버튼(44)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각 승객(16)에게 역동적이고 상호 작용하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각 승객 좌석(14)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는 또한 어느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주행 동안 내내 활성화시킬 것인지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사전에 결정된 시간 후에,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사전에 결정된 거리를 주행한 후에, 또는 주행 코스(30) 중의 사전에 결정된 위치에서, 어느 사용자 입력 장치(34)가 활성화되는지를 변경할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는 메모리(76)에 저장될 수 있는 사전에 결정된 스케줄(예를 들어, 리스트 또는 계층)에 기초하거나, 또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이전의 승객에 의한 수행에 기초하여, 상이한 사용자 입력 장치들(34)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가능한 선택이며 차량 제어기(70)는 사용자 입력 장치 들(34)을 임의의 원하는 조합으로, 임의의 원하는 순서로, 그리고 임의의 원하는 시간 길이 동안 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동일한 유형의 피드백을 포함하거나 동일한 유형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 나온 2 이상의 입력을 사용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차량 제어기(70)는 동일한 유형의 2 개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 또는 동일한 유형의 피드백을 동시에 제공하는 2 개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제 1 승객 좌석(14)에 근접한 조향 휠(36) 및 제 2 승객 좌석(14)에 근접한 조향 핸들(36)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고, 그리고 차량 제어기(70)는 2 개의 활성화된 조향 휠(36)로부터의 피드백을 하나의 집합 신호로 결합시켜(예를 들어, 평균, 가중 평균, 가산 등)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조향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이 실시예는 하나의 가능한 선택일 뿐이며, 차량 제어기(70)는 사용자 입력 장치들(34)을 임의의 원하는 조합으로, 임의의 원하는 순서로, 그리고 임의의 원하는 시간 길이 동안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활성화된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의 피드백을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특정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제어하기 위해서 이전의 승객에 의한 수행에 기초하여 피드백을 가중시킬 수 있다.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 시스템(10)은 승객들(16)과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 및 주행 놀이 환경(28)과의 상호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주행 놀이 환경(28)은 상호 작용 및 동적 주행 놀이 요소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놀이 환경(28)은 주행 놀이 환경(28) 내에 프로젝션 또는 비디오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모듈(10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4)은 주행 코스(30)를 따라서 있는 혹은 주행 놀이 환경(28)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위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또는 프로젝션은 주행 놀이 환경(28)의 벽, 천장 및/또는 바닥에 표시되거나, 주행 코스(30) 상에 표시되거나, 주행 놀이 환경 내의 하나 이상의 물리적 물체에 표시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표시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4)은 가상 장애물(예를 들어, 웅덩이, 과속방지턱, 원뿔, 표지판, 차단막, 장벽, 차량, 나무, 암석, 캐릭터 등)의 투영; 가상 포상(예를 들어, 돈, 코인, 금, 가스통, 속도 증폭 장치, 마술봉, 장난감 무기, 장난감 탄약, 갑옷, 자동차, 캐릭터, 음식 등)의 투영;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 시스템(10)의 캐릭터; 및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 시스템(10)의 배경 또는 테마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4)은 가상 장애물의 투영, 가상 포상의 투영,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 시스템(10)의 캐릭터 및/또는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 시스템의 배경 또는 테마를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헤드 착 디스플레이(HMD)(예를 들어, 승객들(16)이 착용하는 HMD)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주행 놀이 환경(28)은 다양한 오디오 효과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스피커 등과 같은 사운드 모듈(10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행 놀이 환경(28)은 특수 효과 및/또는 물리적 물체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물리적 효과를 제어하기 위한 물리적 효과 모듈(108)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수 효과에는 연기, 물, 눈, 불, 바람, 얼음, 온도 효과, 냄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물리적 효과 모듈(108)은 주행 놀이 환경(28)에 물리적 물체를 부가하도록, 주행 놀이 환경(28)으로부터 물리적 물체를 제거하도록, 그리고/또는 주행 놀이 환경(28)의 물리적 물체를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리적 물체에는 물리적 포상물 및 물리적 장애물뿐만 아니라 주행 놀이 환경(28)에 대한 시각적인 관심을 제공하는 기타 물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주행 놀이 환경(28)의 하나 이상의 개시된 특징들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에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스피커는 차량 제어기(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은 차량 제어기(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전면 유리 상의 하나 이상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액정 디스플레이(LCD) 스크린 또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조향 휠(40)에 배치됨), 하나 이상의 프로젝터, 하나 이상의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HMD),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각각의 승객(16)을 위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LCD 스크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프로젝터,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HMD),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젝터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 안에 배치되고, 그 차량 상에 배치되며, 그리고/또는 그 차량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하나 이상의 프로젝터는 투영물을 주행 놀이 환경(28)의 벽, 천장 및/또는 바닥에, 주행 코스(30) 상에, 주행 놀이 환경(28) 내의 하나 이상의 물리적 물체에, 다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에, 또는 이들의 조합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젝터, 헤드업 디스플레이, LCD 스크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및/또는 HMD는 전술한 것들과 같은 가상 포상 및/또는 가상 장애물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또한 차량 제어기(70) 및/또는 시스템 제어기(72)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주행 놀이 정보도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어느 사용자 입력 장치들(34)이 활성화되는지를 나타낼 수 있는 표시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놀이 정보는 승객(16)의 개별 득점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득점은 포상 받기, 장애물 피하기,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조향(예를 들어, 사전에 결정된 "이상적인" 경로에 적절한 조종), 다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과의 맞붙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행함에 있어서의 그 승객의 수행에 기초할 수 있다. 또한, 주행 놀이 정보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 내의 모든 승객들(16)의 팀 득점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득점은 포상 받기, 장애물 피하기,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조향(예를 들어, 사전에 결정된 "이상적인" 경로에 적절한 조종), 다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과의 맞붙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행함에 있어서의 각 승객의 수행에 기초할 수 있다. 또한, 주행 놀이 정보는 주행 코스(30)의 표시(예를 들어, 주행 코스(30) 및 주행 코스(30) 내의 차량 위치뿐만 아니라 임의의 이용 가능한 상호 작용 장애물 및/또는 포상의 2D 동적 그래픽 표시)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주지한 바와 같이, 주행 놀이 환경(28)은 물리적 장애물, 물리적 포상, 가상 장애물, 및 가상 포상을 포함할 수 있고, 승객들(16)은 주행 놀이 환경(28)에서 포상을 획득하고 장애물을 피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은 물리적 포상(130), 물리적 장애물(132), 가상 포상(134), 및 가상 장애물(136)을 포함하는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 시스템(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 시스템(10)은 임의의 적절한 수의 물리적 포상(130), 물리적 장애물(132), 가상 포상(134), 및/또는 가상 장애물(136)을 포함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물리적 포상물(130), 물리적 장애물(132), 가상 포상물(134), 및/또는 가상 장애물(136)은 주행 놀이 환경(28)의 임의의 적절한 위치 주위에, 예컨대 주행 코스(30), 주행 놀이 환경(28)의 벽 또는 장벽, 및/또는 주행 놀이 환경(28) 내의 하나 이상의 물리적 물체(138)에, 배치될 수 있다. 물리적 포상물(130) 및 가상 포상물(134)에는 돈, 코인, 금, 가스통, 속도 증폭 장치, 마술봉, 장난감 무기, 장난감 탄약, 갑옷, 자동차, 캐릭터, 음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물리적 장애물(132) 및 가상 장애물(136)에는 웅덩이, 과속방지턱, 원뿔, 표지판, 차단막, 장벽, 차량, 나무, 바위, 캐릭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물리적 포상물(130) 및 물리적 장애물(132)은 특정 포상물 또는 장애물을 나타내는 소품일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물리적 포상물(130) 및 물리적 장애물(132)은 시스템 제어기(7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물리적 효과 모듈(108)에 의해 제공되고 그리고/또는 이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상 포상물(134) 및 가상 장애물(136)은 주행 놀이 환경(28)의 디스플레이 모듈(104)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상 포상물(134) 및 가상 장애물(136)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승객들(16)은 조향 휠(36) 및/또는 조이스틱(44)과 같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사용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을 물리적 포상물(130) 및 가상 포상물(134) 쪽으로 조종함으로써 그 물리적 포상물(130) 및 가상 포상물(134)을 수집 또는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물리적 포상물(130) 또는 가상 포상물(134)의 사전에 결정된 거리 내에 있거나, 그 포상물과 접촉하거나, 또는 그 포상물을 통과한 때에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또는 조향을 제어하는 한 명 이상의 승객들(16))이 포상물을 획득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게 되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과 포상물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그 거리를 포상물 거리 임계값(예를 들어, 메모리(76)에 저장된 것)과 비교하고, 그 비교에 기초하여 포상물 획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과 포상물 사이의 거리가 포상물 거리 임계값보다 작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포상물이 획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주행 코스(30) 상의 포상물을 지나쳤고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과 포상물 사이의 거리가 포상물 거리 임계값보다 크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포상물이 획득되지 않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승객들(16)은 조향 휠(36) 및/또는 조이스틱(44)과 같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사용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을 물리적 장애물(132) 및 가상 장애물(136)로부터 멀어지게 조종함으로써 물리적 장애물(132) 및 가상 장애물(136)을 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주행 코스(30) 상의 물리적 장애물(132) 또는 가상 장애물(136)을 통과했고 물리적 장애물(132) 또는 가상 장애물(136)의 사전에 결정된 거리 이내에 들어오지 않았거나, 그 장애물과 접촉하지 않았거나, 혹은 그 장애물을 지나가지 않았다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또는 조향을 제어하는 한 명 이상의 승객들(16))이 물리적 장애물(132) 또는 가상 장애물(136)을 피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과 장애물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주행 코스(30) 상의 장애물로 접근하고 통과할 때의 거리를 모니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12)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장애물로 접근하고 통과할 때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과 장애물 사이의 거리가 메모리(102)에 저장될 수 있는 장애물 거리 임계값보다 크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장애물을 피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과 장애물 사이의 거리가 장애물 거리 임계값보다 작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장애물을 피하지 못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12)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과 장애물 간의 거리를 메모리(102)에 저장될 수 있는 제 2 장애물 거리 임계값과 비교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장애물에 접근하고 있는지 여부 및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장애물을 통과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제어기(12)는 상기 거리가 제 2 장애물 거리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장애물에 접근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거리가 제 2 장애물 거리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장애물을 통과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량 제어기(70)는 단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만나서 피한 장애물만 식별하게 된다.
차량 제어기(70)는 물리적 포상물(130), 물리적 장애물(132), 가상 포상물(134), 및 가상 장애물(136)에 대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하나 이상의 센서(98)로부터의 피드백 및/또는 주행 놀이 환경(28)의 하나 이상의 센서(100)로부터의 피드백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센서들(98)에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14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카메라(14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에 장착되거나, 그 차량 안에 배치되거나, 또는 그 차량에 일체가 될 수 있는데,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임의의 위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제어기(70)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140)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여 언제 포상물을 얻고 언제 장애물을 피했는지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센서들(98)은 물리적 포상물(130), 물리적 장애물(132), 가상 포상물(134), 및/또는 가상 장애물(136)에 근접하게, 또는 이들 안에, 또는 이들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주행 놀이 환경(28)의 센서들(100)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100)에 하나 이상의 이미터(142)가 포함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100)에 하나 이상의 검출기(14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검출기(144)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 내에 또는 상에 배치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이미터(142)가 하나 이상의 검출기(144)의 사전에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 때에 그리고/또는 하나 이상의 검출기와 일치한 때에 그 하나 이상의 이미터(142)로부터 나온 빛을 검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나의 이미터(142)는 물리적 물체(138) 내에 또는 상에 배치되며 가상 포상물(134) 가까이에 있다. 그러나,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터(142)는 물리적 포상물(130), 물리적 장애물(132) 및/또는 가상 장애물(136) 내에 또는 상에 또는 이들에 근접하게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센서들(98)에 이미터들(142)이 포함되고 상기 센서들(100)에 검출기들(144)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100)에 하나 이상의 무선 주파수 식별(RFID) 태그(146)가 포함되고 상기 센서들(98)에 하나 이상의 RFID 판독기(148)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RFID 판독기들(148)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에 장착되거나, 또는 그 차량 안에 배치되거나, 또는 그 차량에 일체가 될 수 있고,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들(146)의 사전에 결정된 거리 내에 있을 때에 그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들(146)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RFID 태그(146)가 물리적 포상물(142)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들(146)이 가상 포상물들(134), 물리적 장애물들(132) 및/또는 가상 장애물들(136) 내에 또는 상에 또는 이들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센서들(98)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RFID 태그들(146)이 포함되고 상기 센서들(100)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RFID 판독기들(148)이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RFID 태그들(146)은 그 각각의 RFID 태그(146)와 연관된(예를 들어, 각각의 RFID 태그가 안에 배치되어 있거나, 위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근접해 있는) 물체(예를 들어, 물리적 포상물(130), 물리적 장애물(132), 가상 포상물(134), 또는 가상 장애물(136))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는 물체의 유형을 포상물 또는 장애물로서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신호는 또한 물체가 물리적인 것인지 혹은 가상적인 것인지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신호에는 특정 물체를 획득하거나 피할 때의 난도, 특정 물체를 획득하거나 피해서 얻는 득점, 특정 물체의 상태(예를 들어, 획득이나 피하는 것에 수여된 활성/포인트들 또는 획득이나 피하는 것에 수여되지 않는 비활성/포인트들)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RFID 판독기(148)는 RFID 태그(146)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가 인코딩된 경우에는 정보를 디코딩하여, 그 정보를 차량 제어기(70)에 제공할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는 센서들(98)(예를 들어, 이미터들(142), 검출기들(144), RFID 태그들(146) 및/또는 RFID 판독기들(148))로부터의 신호, 센서들(100)(예를 들어, 이미터들(142), 검출기들(144), RFID 태그들(146) 및/또는 RFID 판독기들(148))로부터의 신호, 시스템 제어기(72)로부터의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신할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는 상기 신호들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물리적 포상물들(130), 물리적 장애물들(132), 가상 포상물들(134) 및/또는 가상 장애물들(136)에 대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근접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기(70)는 포상물들이 획득되는지 여부 및 장애물을 피하는지 여부를, 하나 이상의 물리적 포상물들(130), 물리적 장애물들(132), 가상 포상물들(134) 및/또는 가상 장애물들(136)에 대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근접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RFID 태그들(146)이 그 각각의 RFID 태그(146)와 관련된 특정 물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포상물을 획득하는지 여부 및 장애물을 피하는지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 상기 RFID 태그들(146)로부터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승객들(16)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사용하여 그들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을 포상물 쪽으로 조종하고 장애물로부터 멀어지게 조종함으로써, 그리고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입력 장치(34)와 상호 작용하여 포상물 또는 장애물이 한 명 이상의 승객(16)에 의해 식별되었다는 확인을 차량 제어기(70)에 제공함으로써, 포상물을 획득하고 장애물을 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버튼들(42)에 포상 버튼(156) 및 장애물 버튼(158)이 포함될 수 있다. 승객(16)이 주행 놀이 환경(28)에서 포상물을 식별한 때에 그 승객(16)은 포상 버튼(156)을 누르거나 작동시킬 수 있고, 그 포상 버튼(156)은 포상 버튼 누름에 응답하여 차량 제어기(70)에 포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승객(16)이 주행 놀이 환경(28)에서 장애물을 식별한 때에 그 승객(16)은 장애물 버튼을 누르거나 작동시킬 수 있고, 그 장애물 버튼(158)은 장애물 버튼(158)의 누름에 응답하여 차량 제어기(70)에 장애물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포상 버튼(156)과 장애물 버튼(158)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조향 휠(36)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식별된 포상물 또는 장애물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데에는 예를 들어 스위치, 레버,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일부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사용자 입력 장치(34)가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포상물의 사전에 결정된 거리 내에 있다는 결정 및 포상 버튼(156)이 눌려졌다는(예를 들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포상물의 사전에 결정된 거리 내에 있을 때) 결정에 응답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 및/또는 조향을 제어하고 포상 버튼(156)과 상호 작용하는 승객(16)이 포상물을 획득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장애물로부터 적어도 사전에 결정된 거리에 떨어져 있다는 결정 및 장애물 버튼(158)이 눌려졌다는(예를 들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장애물로부터 사전에 결정된 거리에 떨어져 있을 때) 결정에 응답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 및/또는 조향을 제어하고 장애물 버튼(158)과 상호 작용하는 승객(16)이 장애물을 피하였다고 결정할 수 있다. 포상 버튼(156)과 장애물 버튼(158)을 제공함으로써 적어도 두 명의 승객들(16)에게 역동적인 상호 작용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승객(16)은 (예를 들어, 조향 휠(36) 또는 조이스틱(44)을 통해) 조향을 제어하고, 제 2 승객(16)은 포상 버튼(156)을 제어할 수 있고, 제 3 승객(16)은 장애물 버튼(158)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승객들(16)은 가상 보상물(134) 및/또는 가상 장애물(136)이 표시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디스플레이 모듈(110)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가상 포상물(134) 및/또는 가상 장애물(136)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디스플레이 모듈(110)로 하여금 포상 버튼(156)으로부터의 피드백에 응답하여 가상 포상물(134)을 표시하게 하고, 장애물 버튼(158)으로부터의 피드백에 응답하여 가상 장애물(136)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포상 버튼(156)과 장애물 버튼(158)은 적어도 두 명의 승객들(16)에게 역동적인 상호 작용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승객(16)은 포상 버튼(156) 및/또는 장애물 버튼(158)을 통해 가상 포상물(134) 및/또는 가상 장애물(136)의 표시를 각각 제어할 수 있고, 다른 승객(16)은 가상 포상물(134)을 획득하고 그리고/또는 가상 장애물(136)을 피하기 위해 다른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제어할 수 있다. 제 2 포상 버튼, 제 2 장애물 버튼, 레버, 스위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영역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사용자 입력 장치(34) 또는 사용자 입력 장치들(34)이 가상 포상물(134) 및/또는 가상 장애물(134)의 표시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가상 포상물(134) 및 가상 장애물(136)을 표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젝터(1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젝터(164)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에 장착되거나, 그 차량 안에 배치되거나, 또는 그 차량과 일체가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젝터(164)는 주행 놀이 환경(28)에 배치되어 차량 제어기(7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은 각각의 승객 좌석(14)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는, 각 승객(16)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16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은 가상 포상물들(134)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각 승객(16)을 위한 제 1 프로젝터(164) 및 가상 장애물들(136)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각 승객(16)을 위한 제 2 프로젝터(1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승객(16)은 가상 포상물(134)의 표시, 가상 장애물(136)의 표시, 또는 이들 모두의 표시를 독립적으로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제어기(12)는 하나 이상의 프로젝터들(164)로부터 한 프로젝터(164)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프로젝터(164)로 하여금, 승객(16)이 사용자 입력 장치(34)(예를 들어, 포상 버튼(156), 장애물 버튼(158) 등)를 작동시킨 때의 그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그리고 각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의 메모리(102)로부터의 정보, 예컨대 사용자 입력 장치(34)의 유형(예를 들어, 포상 버튼(156) 또는 장애물 버튼(158)),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의 피드백의 유형(예를 들어, 포상 피드백 또는 장애물 피드백), 사용자 입력 장치(34)와 관련된 승객 좌석(14), 사용자 입력 장치와 관련된 승객(16),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포상물(134) 또는 가상 장애물(136)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사전에 결정된 시간 후에 그리고/또는 사용자 입력 장치(34)(예를 들어, 포상 버튼(156) 또는 장애물 버튼(158))로부터의 피드백에 응답하여 가상 포상물(134) 또는 가상 장애물(136) 표시를 중단시키기 위해 프로젝터(164)를 비활성화시키거나 끌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에 대한 가상 포상물(134) 및 가상 장해물(136)의 위치가 시간에 따라 변하도록, 이는 가상 포상물(134)을 획득하고 가상 장애물(136)을 피하는 데 있어서의 흥미 및 난도를 증대시킬 수 있음, 프로젝터들(164)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주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터(164)의 위치 및/또는 방향은 포상 버튼(156)이 매번 눌러진 후에, 장애물 버튼(158)이 매번 눌러진 후에, 가상 포상물(134)이 매번 획득된 후에, 또는 가상 장애물(136)이 매번 피해진 후에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프로젝터(164)의 위치 및/또는 방향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16)이 조이스틱(44)을 제어하여 프로젝터(164)의 위치 및/또는 방향 조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하나 이상의 전면 유리(168) 상에 표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헤드업 디스플레이(16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하나 이상의 헤드업 디스플레이(166)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가상 포상물(134) 또는 가상 장애물(136)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은 각각의 승객 좌석(14)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는, 각 승객(16)을 위한 하나의 헤드업 디스플레이(16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제어기(12)는 하나 이상의 헤드업 디스플레이들(166)로부터 한 헤드업 디스플레이(166)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헤드업 디스플레이(166)로 하여금, 승객(16)이 사용자 입력 장치(34)(예를 들어, 포상 버튼(156), 장애물 버튼(158) 등)를 작동시킨 때의 그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그리고 각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의 메모리(102)로부터의 정보, 예컨대 사용자 입력 장치(34)의 유형(예를 들어, 포상 버튼(156) 또는 장애물 버튼(158)),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의 피드백의 유형(예를 들어, 포상 피드백 또는 장애물 피드백), 사용자 입력 장치(34)와 관련된 승객 좌석(14), 사용자 입력 장치와 관련된 승객(16),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포상물(134) 또는 가상 장애물(136)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주행 놀이 환경(28)의 디스플레이 모듈(104)로 하여금 포상 버튼(156) 또는 장애물 버튼(158)과 같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가상 포상물(134) 또는 가상 장애물(136)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디스플레이 모듈(104)(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04)의 하나 이상의 프로젝터)로 하여금 가상 포상물(134) 또는 가상 장애물(136)을 표시하게 할 수 있는 명령을 시스템 제어기(72)로 보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4)은 주행 놀이 환경(28) 및/또는 주행 코스(30) 주위의 복수의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시스템 제어기(72) 및/또는 상기 차량 제어기(7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가상 포상물(134) 및/또는 가상 장애물(136)을 표시하기 위한 프로젝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4)의 복수의 프로젝터들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시스템 제어기(70) 및/또는 차량 제어기(70)는 가상 포상물(134) 또는 가상 장애물(136)을 표시하기 위해, 피드백을 생성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에 근접하게(예를 들어, 사전에 결정된 거리 내에, 가장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프로젝터를 복수의 프로젝터들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스템 제어기(70) 및/또는 차량 제어기(70)는 가상 포상물(134) 또는 가상 장애물(136)을 표시하기 위해, 피드백을 생성하지 않은 다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에 근접하게(예를 들어, 사전에 결정된 거리 내에, 가장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프로젝터를 복수의 프로젝터들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승객(16)은 장애물 버튼(158)을 눌러 가상 장애물(136)이 표시되게 할 수 있고, 시스템 제어기(72) 및/또는 차량 제어기(70)는 복수의 프로젝터들 중에서 제 2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예컨대, 제 1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과 경쟁하는 차량)에 근접한 프로젝터로 하여금 가상 장애물(136)을 표시하게(예를 들어, 제 2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경로에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이 포상물의 사전에 결정된 거리 이내에 있을 때에는 포상물이 획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는 포상물을 획득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에 1 이상의 포인트를 수여하는데, 이 포인트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 내의 모든 승객(16)의 팀 득점에 더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조향 휠(40), 조이스틱(44) 및/또는 포상을 획득하는 데 사용된 포상 버튼(156)과 같은 다양한 입력 장치(34)를 제어한 승객(16)에게 1 이상의 포인트를 수여할 수 있다. 또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획득한 가상 포상물(134)의 표시를 승객(16)이 유발시키는 실시예에서, 차량 제어기(12)는 가상 포상물(134)의 표시를 유발시킨 승객(16)과 가상 포상물(134)을 획득하기 위해 다양한 사용자 입력 장치들(34)을 제어한 한 명 이상의 승객들(16)에게 1 이상의 포인트를 수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들(16)에게 수여되는 상기 1 이상의 포인트는 각각의 승객(16)의 개별 득점에 더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수여되는 포인트의 수는 차량 제어기(7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포상 획득의 난도에 기초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포상물이 획득되었을 때에는, 차량 제어기(70)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하나 이상의 수행 특성을 증가시켜주거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해제"시켜주거나,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 시스템(10)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해제"시켜주거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예컨대, 운전 관련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켜 주거나, 혹은 이들의 조합을 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최대 속도를 증가시켜줄 수 있고,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선회 반경을 줄여줄 수 있고, 해당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에게 장애물 및 다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행동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임시의 가상 "갑옷"을 제공할 수 있고, 해당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에게 주행 코스(30)의 새로운 구간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고, 그리고 기타 등등의 것을 해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 승객(16)이 포상물을 획득하는 데 사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34)(예를 들어, 포상 버튼(156))를 작동시킨 경우, 차량 제어기(70)는 그 승객(16)을 위한 운전 관련 입력 장치(34)(예를 들어, 조향 휠(36), 가스 페달(38), 브레이크 페달(40) 및/또는 조이스틱(44))를 활성화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주지한 바와 같이,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주행 코스(30) 상의 장애물을 통과해서 장애물로부터 사전에 결정된 거리에 떨어져 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장애물을 피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는 장애물을 피했다고 결정한 경우에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에 1 이상의 포인트를 수여하는데, 이 포인트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 내의 모든 승객(16)의 팀 득점에 더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조향 휠(40), 조이스틱(44) 및/또는 장애물을 피하는 데 사용된 장애물 버튼(158)과 같은 다양한 입력 장치(34)를 제어한 승객(16)에게 1 이상의 포인트를 수여할 수 있다. 또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피한 가상 장애물(136)의 표시를 승객(16)이 유발시키는 실시예에서, 차량 제어기(12)는 가상 장애물(136)의 표시를 유발시킨 승객(16)과 가상 장애물(136)을 피하기 위해 다양한 사용자 입력 장치들(34)을 제어한 한 명 이상의 승객들(16)에게 1 이상의 포인트를 수여할 수 있다. 위에서 주지한 바와 같이, 승객들(16)에게 수여되는 상기 1 이상의 포인트는 각각의 승객(16)의 개별 득점에 더해질 수 있다. 또한, 수여되는 포인트의 수는 차량 제어기(7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장애물 피하기 난도에 기초할 수 있다. 또한, 포상물 획득과 유사하게, 차량 제어기(70)는, 장애물을 피한 경우에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하나 이상의 수행 특성들을 증대시켜줄 수 있고 그리고/또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들(34)(예를 들어, 운전 관련 사용자 입력 장치들(34))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 승객(16)이 장애물을 피하는 데 사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34)(예를 들어, 장애물 버튼(158))를 작동시킨 경우, 차량 제어기(70)는 그 승객(16)을 위한 운전 관련 입력 장치(34)(예를 들어, 조향 휠(36), 가스 페달(38), 브레이크 페달(40) 및/또는 조이스틱(44))를 활성화시켜 줄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장애물을 피하지 못한 경우, 차량 제어기(70)는 팀 득점에서 그리고/또는 한 명 이상의 승객(16)의 개별 득점에서 점수를 뺄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장애물을 피하지 못한 경우,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하나 이상의 수행 특성들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리고/또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들(34)(예를 들어, 운전 관련 사용자 입력 장치들(34))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최대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을 스핀 회전시킬 수 있고,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장애물에 충돌한 것 같은 반응을 하게 할 수 있고, 그리고 기타 등등의 것을 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주행 경쟁을 위해, 제 1 승객(16)과 동일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에 있거나 혹은 다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에 있는 한 명 이상의 다른 승객(16)이 가상 장해물(238)을 피하지 못한 경우, 차량 제어기(70)는 가상 장애물(136)의 표시를 일으킨 제 1 승객(16)에게 1 이상의 포인트를 수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객(16)이 사용자 입력 장치(34)(예를 들어, 장애물 버튼(158))를 작동시켜서 가상 장애물(136)을 표시했으나 가상 장애물(136)을 피하지 못한 경우, 차량 제어기(70)는 그 승객(16)을 위한 운전 관련 입력 장치(34)(예를 들어, 조향 휠(36), 가스 페달(38), 브레이크 페달(40) 및/또는 조이스틱(44))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 승객(16)이 사용자 입력 장치(34)(예를 들어, 장애물 버튼(158))를 작동시켜서 가상 장애물(136)을 표시했고 다른 승객(16)이 가상 장애물(136)을 피하지 못한 경우, 차량 제어기(70)는 그 승객(16)을 위한 운전 관련 입력 장치(34)(예를 들어, 조향 휠(36), 가스 페달(38), 브레이크 페달(40) 및/또는 조이스틱(44))는 활성화시켜 줄 수 있다.
위에서 주지한 바와 같이,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 시스템(10)은 둘 이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 시스템(10)은 둘 이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들(12) 간의 주행 경쟁 또는 경주를 제공하기 위해 주행 코스(30) 상에 둘 이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들(12)을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 시스템(10)은 주행 코스(30)를 따라 서로 경주하도록 구성된 제 1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a) 및 제 2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b)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4는 가능한 경주를 하는 중에 주행 코스(30)를 따라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들(12a, 12b)의 가능한 위치들을 도시하고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및 제 2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들(12a, 12b)은 주행 코스(30) 상의 동일한 위치로부터 동시에 급파될 수 있는데, 이는 현실적인 경주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 1 및 제 2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들(12a, 12b)은 주행 코스(30) 상의 상이한 위치에서 동시에 주행을 시작하거나, 혹은 주행 코스(30)를 따라 동일한 위치 또는 상이한 위치에서 상이한 시간에 주행을 시작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는 2 대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을 포함하고 있지만,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 시스템(10)은 주행 코스(30)를 따라 임의의 수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을, 예컨대 3, 4, 5, 6, 7, 8, 9, 10 대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경주하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들(12)의 그룹에 간격을 두기 위해, 2 대 이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들(12)은 사전에 결정된 간격을 유지해서 동일한 위치에서 동시에 급파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한 번에 한 대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급파될 수 있다.
2 대 이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들(12)이 나란히 경주할 수 있게 하고 서로 추월해서 경주에서의 위치를 바꿀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행 코스(30)는 하나 이상의 다수 차선 구간(2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코스(30)는 또한 하나 이상의 단일 차선 구간(242)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코스(30)는 주행 코스(30)의 주경로(246)에서 분기하여 다시 합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분기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기 때문에, 하나 이상의 분기부(244)는 주경로(246)의 구간(248)을 우회할 수 있다. 분기부(244)는 단일 차선 또는 다수 차선일 수 있다.
분기부들(244)을 제공함으로써, 주행 코스(30)는 승객(16)이 사용자 입력 장치들(34)을 사용하여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독특한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상이한 경로를 취할 수 있게 하며 각 승객(16)이 놀이기구를 탈 때마다 상이한 경로를 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분기부(244)는 우회 구간들(248)로부터의 상이한 포상물, 장애물, 캐릭터 및/또는 다른 주행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 장치들(34)과 주행 코스(30)는 각 승객(16)에게 독특하고 역동적이며 상호 작용하는 경험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우회 구간들(248)은 단일 차선 구간(242)일 수 있다. 이렇기 때문에, 단일 차선 구간(242)에서 한 다인승 주행 놀기 차량(12)이 다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을 추월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분기부들(244)이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부(244) 전의 단일 차선 구간(242)에서는 제 1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a)이 제 2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b) 앞에 있을 수 있는데, 제 2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b)의 승객들(16)은 제 1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a)을 추월하기 위해 그들의 제 2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b)을 분기부(244)를 통해 방향을 돌릴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승객들(16)은 다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을 추월하기 위해 분기부(244)를 통해 주행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승객들(16)은 우회 구간(248)에서 장애물(250)을 피하려고 그리고/또는 분기부(244)에서 포상물(252)을 획득하려고 분기부(244)를 통해 주행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승객들(16)은 경주 코스(30)의 레이아웃을 모르거나 혹은 포상물 및 장애물이 위치하는 곳을 모를 수 있지만, "이상적인" 경로를 선택하려고 시도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이상적인" 경로는 "이상적이지 않은" 경로와 비교할 때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으로 하여금 가장 빠른 경주 시간, 가장 많은 포상물 획득 개수, 및 가장 적은 장애물 직면 횟수(또는 승객들(16)에게 장애물을 피한 점수를 수여하는 경우에는 가장 많이 장애물을 피한 횟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주행 경쟁 또는 경주의 경우, 어느 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승객들(16)은 다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에 근접한 가상 장애물(136)이 표시되게 한다. 예를 들어,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a)의 승객(16)이 장애물 버튼(158)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눌러서 프로젝터(164)로 하여금 가상 장애물(136)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주지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객(16)이나 혹은 제 1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a) 내의 다른 승객(16)이 조이스틱(44)과 같은 또 다른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제어하여서 프로젝터(164)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그 결과 가상 장애물(136)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a)은 프로젝터(164)와, 이 프로젝터(164)의 위치를 회전시키고 그리고/또는 조정하도록 구성된 전자 제어식 액추에이터(27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제어식 액추에이터(270)는 로봇 팔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젝터(164)는 하우징(272) 안에 배치될 수 있고, 전자 제어식 액추에이터(270)는 하우징(272)에 결합되고 그 하우징의 위치를 회전시키고 그리고/또는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제어식 액추에이터(270)는 프로젝터(164)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프로젝터(164)와 하우징(272)은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 1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a) 내에 또는 그 위에 배치될 수 있거나, 혹은 제 1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a)에 (예를 들어, 전자 제어식 액추에이터(270)를 거쳐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주지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 및/또는 시스템 제어기(72)는 주행 놀이 환경(28) 내의 디스플레이 모듈(104)의 프로젝터로 하여금 다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으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경쟁 상대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들(12)의 경로에 가상 장애물들(136)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프로젝터(164)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승객(16)(예를 들어, 승객(16a))이 조이스틱(44)을 움직일 수 있는데, 이 조이스틱은 상기 프로젝터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차량 제어기(70)에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는 조이스틱(44)으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전자 제어식 액추에이터(270)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프로젝터(164)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이스틱(44)은 승객(16)에게 가상 장애물(136)의 배치에 대한 제어를 제공함으로써 그 조이스틱(44)을 제어하는 승객(16)에게 독특한 상호 작용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한 승객(16)(예를 들어, 승객(16a))은 조이스틱(44)을 제어하여 프로젝터(164)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고, 다른 승객(예를 들어, 승객(16b))은 장애물 버튼(158)을 제어하여 가상 장애물(136)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는데, 이는 적어도 2 명의 승객에게 독특한 상호 작용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는 하나의 이동 가능한 프로젝터(164)를 포함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은 프로젝터(164)와, 2 명 이상의 승객(16) 또는 각 승객(16)을 위해 각각의 프로젝터(164)를 움직이기 위한 전자 제어식 액추에이터(2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주지한 바와 같이, 가상 장애물(136)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헤드업 디스플레이(166)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a, 12b)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헤드업 디스플레이(166)(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헤드업 디스플레이(166a, 166b))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전면 유리(168)(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전면 유리(168a, 168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헤드업 디스플레이(166a, 166b)는 주행 코스(30)의 제 1 및 제 2 그래픽 표현(280a, 280b)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제 1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a)의 제 1 차량 제어기(70a)는 카메라들(140),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a)의 센서들(98), 주행 놀이 환경(28)의 센서들(100) 및/또는 시스템 제어기(72)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제 1 헤드업 디스플레이(166a)로 하여금 제 1 그래픽 표현(280a)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 2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b)의 제 2 차량 제어기(70b)는 카메라들(140),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b)의 센서들(98), 주행 놀이 환경(28)의 센서들(100) 및/또는 시스템 제어기(72)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제 2 헤드업 디스플레이(170b)로 하여금 제 2 그래픽 표현(280b)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위에서 주지한 바와 같이, 승객(16)이 장애물 버튼(158)을 누르거나 활성화시켜서 헤드업 디스플레이(166) 상에 가상 장애물(136)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장애물 버튼(158)의 작동은 다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헤드업 디스플레이(166) 상에 가상 장애물(136)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a)의 제 1 승객(16a)이 제 1 장애물 버튼(158a)을 작동시킬 수 있고, 이는 제 1 차량 제어기(70a)에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차량 제어기(70a)는 제 1 장애물 버튼(158a)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 2 차량 제어기(70b)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제 1 차량 제어기(70a)는 제 1 및 제 2 통신 모듈(82a, 82b)을 통해 제 2 차량 제어기(70b)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신호에는 제 2 차량 제어기(70b)에 의해 실행될 때 제 2 헤드업 디스플레이(166b) 상에 가상 장애물(136)이 표시되게 하는 명령들이 포함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승객(16)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사용해서 그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승객(16)이 조향 휠(36), 가스 페달(38), 브레이크 페달(40), 버튼들(42)(예를 들어, 포상 버튼(136) 및 장애물 버튼(138)), 조이스틱(44), 또는 이들의 조합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들(34)을 작동하고(operate) 그리고/또는 동작시킬(actuate)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장치들(34)은 승객(16)에 의한 작동에 응답하여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는 각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의 작동에 응답하여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고, 그리고 차량 제어기(70)는 그 피드백을 사용해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하나 이상의 작동(operation)을, 예컨대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움직임, 포상물과의 상호 작용, 장애물과의 상호 작용, 다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과의 상호 작용,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기(70)는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의 피드백을 사용하여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 시스템(10) 내의 각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수행 측정 기준(performance metrics)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은 하나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 내의 각 승객(16)에 대한 하나 이상의 수행 측정 기준을 결정하는 방법(32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방법(320)은 제어 로직 또는 프로그래밍을 사용하여 여기에 제공된 바와 같이 차량 제어기(70)에 의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한 승객(16)의 조향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블록 322). 차량 제어기(70)는, 상기 승객(16)에 의해 작동된 하나 이상의 조향 사용자 입력 장치(34)로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조향을 제어하기 위해 차량 제어기(7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피드백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조향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의 조향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조향 사용자 입력 장치(34)에 조향 휠(36) 및/또는 조이스틱(44)이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향 사용자 입력 장치(34)가 작동될 때(예를 들어, 차량 컨트롤러(70)에 의해 피드백이 사용되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조향이 제어됨), 차량 제어기(70)는 하나 이상의 조정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 조향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조향 사용자 입력 장치(34)가 비활성화된 때에도(예를 들어, 차량 컨트롤러(70)에 의해 피드백이 사용되지 않고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조향이 제어됨), 차량 제어기(70)는 하나 이상의 조향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 조향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실제로, 위에서 주지한 바와 같이, 차량 제어기(70)는 비활성화된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어느 한 승객(16)이 비활성화된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작동시킬 수 있고, 차량 제어기(70)는 그 작동에 기초하여 비활성화된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고,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작동을 제어하는 데에는 그 피드백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는 조향 피드백에 기초하여 승객에 대한 조종 득점을 결정할 수 있다(블록 324).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승객의 조향 결과로 생긴 차량 경로를, 메모리(76)에 저장될 수 있거나 차량 제어기(70)에 의해 결정될 수 있거나 혹은 시스템 제어기(72)로부터 수신될 수 있는 "이상적인" 경로와 비교함으로써, 조종 득점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차량 경로에는 승객(16)의 조향 결과로 생긴 것으로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에 의해 취해진 실제 경로, 승객(16)에 의해 제어된 비활성화 조향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의 조향 피드백에 기초한 가설적인 경로, 또는 이들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상적인" 경로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으로 하여금 가장 빠른 시간 내에 주행 코스(30)를 완료할 수 있게 하거나, 가장 많은 수의 포상물을 얻을 수 있게 하거나, 가장 많은 장애물을 피할 수 있게 하거나, 혹은 이들의 조합을 가능하게 하는 루트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선회의 "급격함(jerkiness)" 또는 "부드러움(smoothness)"을 평가 및/또는 정량화해서 조종 득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조종 득점을 결정함에 있어 충돌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향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의 피드백이 차량 제어기(70) 및/또는 시스템 제어기(72)에 의해 오버라이딩됨으로써 충돌을 피한 경우나, 혹은 비활성화된 조향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의 피드백으로 인해 충돌이 야기된 경우, 차량 제어기(70)는 낮은 조종 득점을 할당하거나 조종 득점을 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또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 내의 다른 승객들(16)에 의해 제어된 하나 이상의 조향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 조향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고(블록 326), 그 승객(16)으로부터의 조향 피드백을 다른 승객들(16)로부터의 조향 피드백과 비교하여 조종 득점을 결정할 수 있다(블록 324).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주행 코스(30)의 하나 이상의 위치들에서의 승객(16)으로부터의 조향 피드백을 상기와 동일한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의 다른 승객들(16)로부터의 조향 피드백과 비교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승객(16)에 대한 속도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블록 328).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상기 승객(16)에 의해 작동된 하나 이상의 속도 사용자 입력 장치(34)로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속도, 가속도, 및/또는 감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차량 제어기(7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피드백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속도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의 속도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속도 피드백은 또한 가속 및 감속 피드백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 이상의 속도 사용자 입력 장치(34)에 가스 페달(40) 및/또는 브레이크 페달(42)이 포함될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는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 속도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 속도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는 속도 피드백에 기초하여 승객(16)에 대한 속도 득점을 결정할 수 있다(블록 330).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속도 피드백의 결과로 생긴 평균 속도를, 메모리(76)에 저장될 수 있거나 차량 제어기(70)에 의해 결정될 수 있거나 혹은 시스템 제어기(72)로부터 수신될 수 있는 "이상적인" 평균 속도와 비교함으로써, 속도 득점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이상적인" 평균 속도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으로 하여금 가장 빠른 시간 내에 주행 코스(30)를 완료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주행 코스(30)의 하나 이상의 위치들로부터의 속도 피드백을 상기와 동일한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의 "이상적인" 속도와 비교하여 속도 득점을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속도 득점을 결정함에 있어서 평균 속도, 최대 속도, 최소 속도, 속도의 표준 편차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측정 기준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또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 내의 다른 승객들(16)에 의해 제어된 하나 이상의 속도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 속도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고(블록 332), 그 승객(16)으로부터의 속도 피드백을 다른 승객들(16)로부터의 속도 피드백과 비교하여 속도 득점을 결정할 수 있다(블록 330).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상기 승객(16)의 속도 피드백의 결과로 생긴 평균 속도를 다른 승객들의 속도 피드백의 결과로 생긴 평균 속도들과 비교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주행 코스(30)의 하나 이상의 위치들에서의 상기 승객(16)으로부터의 속도 피드백을 상기와 동일한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의 다른 승객들(16)로부터의 속도 피드백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승객(16)에 대한 포상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블록 334). 차량 제어기(70)는, 상기 승객(16)에 의해 작동된 하나 이상의 포상 사용자 입력 장치(34)로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을 위한 포상물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 제어기(7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피드백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포상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의 포상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포상 사용자 입력 장치(34)에 조향 휠(36), 버튼들(42) (예를 들어, 포상 버튼(156)), 조이스틱(44), 또는 이들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는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 포상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 포상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기(70)는 카메라들(140), 센서들(98), 센서들(100),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포상 피드백(예를 들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과 포상물 사이의 거리에 관한 데이터 또는 정보)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기(70)는 포상 피드백에 기초하여 승객(16)에 대한 포상 득점을 결정할 수 있다(블록 336). 예를 들어,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승객(16)이 포상물을 획득하기 위해 포상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제어한 경우, 차량 제어기(70)는 승객(16)에게 포인트(예를 들어, 포상 포인트)를 수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승객(16)에 대한 포상 포인트의 수에 기초하여 포상 득점을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포상 득점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포상 포인트의 수를 주행 코스(30)에 대한 가능한 포상 포인트의 총 수와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기(70)는 주행 코스(30)에 대한 가능한 포상의 총 수로부터 승객(16)이 획득한 포상물의 백분율에 기초하여 포상 득점을 결정할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는 또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 내의 다른 승객들(16)에 의해 제어된 하나 이상의 포상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 포상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고(블록 338), 그 승객(16)으로부터의 포상 피드백을 다른 승객들(16)로부터의 포상 피드백과 비교하여 포상 득점을 결정할 수 있다(블록 336).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승객(16)에 대한 포상 포인트의 수를 다른 승객들(16)의 포상 포인트의 수와 비교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승객(16)이 획득한 포상의 백분율을 다른 승객들(16)이 획득한 포상의 백분율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승객(16)에 대한 장애물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블록 340). 차량 제어기(70)는, 상기 승객(16)에 의해 작동된 하나 이상의 장애물 사용자 입력 장치(34)로서 장애물을 피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장애물을 표시하게 하기 위해 차량 제어기(7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피드백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장애물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의 장애물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장애물 사용자 입력 장치(34)에 조향 휠(36), 버튼들(42) (예를 들어, 장애물 버튼(158)), 조이스틱(44), 또는 이들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는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 장애물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 장애물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기(70)는 카메라들(140), 센서들(98), 센서들(100),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장애물 피드백(예를 들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과 장애물 사이의 거리에 관한 데이터 또는 정보)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기(70)는 장애물 피드백에 기초하여 승객(16)에 대한 장애물 득점을 결정할 수 있다(블록 342). 예를 들어,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승객(16)이 장애물을 피하기 위해 장애물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제어한 경우와 그리고 다른 승객(16)이 피하지 못하는 가상 장애물(136)이 표시되게 하기 위해 승객(16)이 장애물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제어한 경우, 차량 제어기(70)는 그 승객(16)에게 포인트(예컨대, 장애물 포인트)를 수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승객(16)에 대한 장애물 포인트의 수에 기초하여 장애물 득점을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장애물 득점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장애물 포인트의 수를 주행 코스(30)에 대한 가능한 장애물 포인트의 총 수와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기(70)는 주행 코스(30)에 대한 가능한 장애물의 총 수로부터 승객(16)이 피한 장애물의 백분율에 기초하여 장애물 득점을 결정할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는 또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 내의 다른 승객들(16)에 의해 제어된 하나 이상의 장애물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 장애물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고(블록 344), 그 승객(16)으로부터의 장애물 피드백을 다른 승객들(16)로부터의 장애물 피드백과 비교하여 장애물 득점을 결정할 수 있다(블록 342).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승객(16)에 대한 장애물 포인트의 수를 다른 승객들(16)의 장애물 포인트의 수와 비교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승객(16)이 피한 장애물의 백분율을 다른 승객들(16)이 피한 장애물의 백분율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기(70)는 조종 득점, 속도 득점, 포상 득점, 및 장애물 득점에 기초하여 승객(16)의 종합 득점을 결정할 수 있다(블록 346).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조종 득점, 속도 득점, 포상 득점, 및 장애물 득점을 합산하여 종합 득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기(70)는 또한 승객(16)의 조향 득점, 속도 득점, 포상 득점, 장애물 득점, 복합 득점, 또는 이들의 조합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블록 348).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디스플레이 모듈(110)로 하여금 조종 득점, 속도 득점, 포상 득점, 장애물 득점, 및/또는 종합 득점을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표시 장치에, 예컨대 헤드업 디스플레이(166), LCD 스크린, 및/또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주행 놀이 환경(28)의 디스플레이 모듈(104)로 하여금 상기 득점들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승객(16)의 득점을 모두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오로지 종합 득점만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주행이 지속되는 동안 내내 조종 득점, 속도 득점, 포상 득점, 장애물 득점 및/또는 종합 득점을 주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주행 중에 조종 득점, 속도 득점, 포상 득점, 장애물 득점 및/또는 종합 득점을 표시하고, 이 득점들을 주행 중 내내 디스플레이 상에 주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주행이 완료된 후에는 조종 득점, 속도 득점, 포상 득점, 장애물 득점, 및/또는 종합 득점을 결정해서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도 8은 상호 작용식 주행 놀이 시스템(10)의 경주 또는 주행의 승자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37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방법(370)은 제어 로직 또는 프로그래밍을 사용하여 여기에 제공된 바와 같이 차량 제어기(70)에 의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경주 또는 주행하는 각각의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 내의 각 승객(16)의 종합 득점을 결정할 수 있다(블록 372). 차량 제어기(70)는 위에서 설명한 기술들 중 임의의 기술을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하여 종합 득점을 결정할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는 각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 내의 개인 우승자를 결정할 수 있다(블록 374). 예를 들어, 각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 내에서 가장 높은 복합 득점을 취한 승객(16)이 우승자가 된다. 또한, 경주 또는 주행에 한 대 초과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포함되는 실시예에서, 차량 제어기(12)는 각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 내의 승객들(12)의 복합 득점들에 기초하여 각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팀 득점을 결정할 수 있고(블록 376), 그리고 차량 제어기(12)는 각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팀 득점들에 기초하여 팀 우승자를 결정할 수 있다(블록 378). 예를 들어, 가장 높은 팀 득점을 취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우승자가 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또한 주행의 개인 우승자도 결정할 수 있는데, 그 우승자는 주행에 있어서 가장 높은 종합 득점을 취한 승객(16)이 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기(70)는 개인 우승자 및/또는 팀 우승자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블록 380).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디스플레이 모듈(110) 및/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4)로 하여금 개인 우승자 및/또는 팀 우승자의 표시를 디스플레이하게 할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는 주행이 완료된 후에 개인 우승자 및 팀 우승자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또한 주행 중에 주기적 또는 연속적으로 종합 득점들 및 팀 득점들을 이용하여 어느 승객(16)과 어느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이 현재 선두에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고, 그리고 차량 제어기(70)는 주행 중에 흥미가 더해질 수 있도록 선두 승객(16) 및 선두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방법(400)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방법(400)은 제어 로직 또는 프로그래밍을 사용하여 여기에 제공된 바와 같이 차량 제어기(70)에 의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제 1 승객(16)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제 1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 제 1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블록 402). 또한, 차량 제어기(70)는 제 2 승객(16)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제 2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 제 2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블록 404). 제 1 피드백과 제 2 피드백은 동일한 유형의 피드백이거나, 혹은 다른 유형의 피드백일 수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 입력 장치(34)는 제 2 사용자 입력 장치(34)와 동일한 유형이거나, 혹은 제 2 사용자 입력 장치(34)와 다른 유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사용자 입력 장치(34)는 모두 조향 휠(36)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사용자 입력 장치(34)는 조향 휠(36)이고 제 2 사용자 입력 장치는 가스 페달(38)일 수 있다. 전술한 사용자 입력 장치들(34)의 임의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2 명 이상의 승객들(16)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2 개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동일한 승객(16)에 의해 제어되는 2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승객(16)이 2 개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들(34)을 제어할 수 있고, 그리고 각각의 승객(16)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 내의 다른 승객(16)과 동일한 유형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각각의 승객(16)이 조향 휠(36), 가스 페달(38), 브레이크 페달(40), 및 하나 이상의 버튼(42)을 제어할 수 있고,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각각의 승객(16)에 의해 제어되는 각각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제 1 피드백, 제 2 피드백, 또는 이들 두 피드백을 선택할 수 있다(블록 406). 위에서 주지한 바와 같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하나 이상의 작동에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움직임,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속도,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방향,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배향,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과 주행 놀이 환경(28) 내의 포상물 간의 상호 작용,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과 주행 놀이 환경(28) 내의 장애물 간의 상호 작용, 및/또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과 주행 놀이 환경(28) 내의 다른 특징물들 및/또는 다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들(12) 간의 상호 작용이 포함될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가 2 개 이상의 사용자 입력 장치들(34)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하는 실시예에서 차량 제어기(70)는 하나, 둘, 또는 임의의 수의 사용자 입력 장치(34)로부터 피드백을 선택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메모리(76)에 저장될 수 있는 사전에 결정된 스케줄에 기초하여 제 1 피드백, 제 2 피드백, 또는 이들 두 피드백을 선택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제 1 및 제 2 피드백의 피드백 유형, 제 1 및 제 2 사용자 입력 장치(34)의 유형, 및/또는 제 1 및 제 2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제어하는 승객들(16) 또는 그 승객들(16)의 수행에 기초하여, 제 1 피드백, 제 2 피드백, 또는 이들 두 피드백을 선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제 1 피드백과 제 2 피드백이 상이한 유형일 때 제 1 피드백과 제 2 피드백을 모두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제 1 피드백과 제 2 피드백을 모두 선택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고, 제 1 피드백(예를 들어, 조향 피드백)을 사용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고, 제 2 피드백(예를 들어, 속도 피드백)을 사용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제 1 피드백과 제 2 피드백이 동일한 유형일 때 제 1 피드백과 제 2 피드백을 모두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제 1 피드백과 제 2 피드백을 결합해서 하나의 결합 피드백을 결정한다. 차량 제어기(70)는 제 1 피드백과 제 2 피드백을 더하거나, 하나에서 다른 하나를 빼거나, 제 1 피드백과 제 2 피드백을 평균하거나, 제 1 피드백과 제 2 피드백의 가중 평균을 결정하거나, 혹은 다른 적절한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제 1 피드백과 제 2 피드백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도 7에서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피드백 및 제 2 피드백에 대한 득점을 결정하고, 그들 각각의 득점에 기초하여 제 1 피드백 및 제 2 피드백을 가중시키고, 그 가중된 제 1 및 제 2 피드백에 기초하여 제 1 피드백 및 제 2 피드백에 대한 가중 평균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득점을 갖는 피드백에는 높은 가중치를 줄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득점에 기초하여 제 1 피드백 또는 제 2 피드백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제 1 피드백에 대한 득점이 제 2 피드백에 대한 득점보다 높을 때에는 제 1 피드백을 선택할 수 있고, 이와 반대의 경우는 이와 반대되는 선택을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도 7에서 위에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 내의 각 승객(16)에 대한 종합 득점 또는 개별 득점을 결정할 수 있고, 각 승객(16)에 대한 개별 득점에 기초하여 제 1 피드백 또는 제 2 피드백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제 1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제어하는 승객(16)에 대한 개별 득점이 제 2 사용자 입력 장치(34)를 제어하는 승객(16)에 대한 개별 득점보다 큰 때는 제 1 피드백을 선택할 수 있고, 이와 반대의 경우는 이와 반대되는 선택을 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제 1 피드백, 제 2 피드백, 또는 이들 두 피드백을 선택하기(블록 406)에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하나 이상의 작동들의 각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제 1 피드백, 제 2 피드백, 또는 이들 두 피드백을 선택하기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일부 유형의 피드백은 특정 작동과 연관되지 않을 수 있어서 각기 다른 작동들에 대해 각기 다른 피드백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 입력 장치(34)는 조향 피드백을 생성하는 조향 휠(36)일 수 있고, 제 2 사용자 입력 장치(34)는 포상 피드백을 생성하는 포상 버튼(156)일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움직임(예를 들어, 조향)을 제어하기 위해 조향 피드백을 선택할 수 있고, 포상물과의 상호 작용을 제어하기 위해 조향 피드백과 포상 피드백 모두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제어기(70)는 하나 이상의 선택에 기초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블록 408). 특정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이 차량 제어기(70)에 의해 결정된 차량 경로(예를 들어, 가변 경로(32))에 기초하여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차량 제어기(70)는 그 선택(예를 들어,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선택)에 기초하여 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을 위한 차량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차량 제어기(70)는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피드백, 제 2 피드백, 또는 이들 두 피드백을 선택할 수 있고, 그 선택에 기초하여 차량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차량 제어기(70)는 해당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을 위한 가변 속도, 가변 방향(예를 들어, 전방, 후방, 측방, 대각선 방향 등), 가변 배향을 포함하는 차량 경로(32)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70)는 해당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배향을 바꾸기 위해 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으로 하여금 스핀, 피칭, 롤링 및/또는 요잉을 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제어기(70)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속도와 관련된 피드백,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방향과 관련된 피드백, 및/또는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배향과 관련된 피드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차량 경로를 결정하고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12)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조향 피드백, 방향 피드백, 및 배향 피드백을 수신하거나 혹은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차량 제어기(70)는 속도, 방향, 및/또는 배향에 대한 하나 이상의 디폴트 설정치들을 차량 경로의 결정에 사용하기 위해 적절하게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폴트 설정치들은 메모리(76)에 저장될 수 있고,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각 주행 코스(30)마다 그리고/또는 각 주행 코스(30)의 구간들마다 특정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의 특정 특징들만이 본 명세서에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많은 수정 및 변경이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떠오를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 사상 내에 속하는 그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을 포괄하도록 의도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의 특정 요소들은 서로 조합되거나 교환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들은 차량 제어기(7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다양한 기술 및 방법을 포함하지만, 전술한 기술들과 방법들 중 임의의 것은 시스템 제어기(72)에 의해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Claims (20)

  1.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제어기로서,
    제 1 승객 입력 장치로부터 제 1 승객 피드백을 수신하고,
    제 2 승객 입력 장치로부터 제 2 승객 피드백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승객 피드백, 상기 제 2 승객 피드백, 또는 이들 피드백의 조합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승객 피드백, 상기 제 2 승객 피드백, 또는 이들 피드백의 조합을 사용하여 차량 경로를 결정하며,
    상기 차량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어기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경로는 상기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속도, 상기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방향, 상기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배향, 상기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가속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승객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승객 입력 장치는 조향 휠, 가스 페달, 브레이크 페달, 버튼, 조이스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차축의 위치, 상기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모터, 상기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브레이크,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제어하여 상기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주행 놀이 환경 또는 배치와 관련되는 센서 피드백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센서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경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센서 피드백과 상기 제 1 승객 피드백을 비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센서 피드백과 상기 제 1 승객 피드백의 비교를 고려하여 상기 제 1 승객 피드백을 오버라이드(override)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센서 피드백과 상기 제 1 승객 피드백 및 상기 제 2 승객 피드백을 비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센서 피드백과 상기 제 1 승객 피드백 및 상기 제 2 승객 피드백의 비교를 고려하여 상기 제 1 승객 피드백 및 상기 제 2 승객 피드백을 오버라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센서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경로의 조정을 결정하고,
    상기 차량 경로에 기초한 상기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움직임을 제어하기에 앞서 상기 차량 경로의 조정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경로를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피드백은 상기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이 작동하는 주행 코스의 경계, 상기 주행 놀이 환경 내의 물리적 물체, 상기 주행 코스 내의 다른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 또는 이들의 조합과 관련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 승객 피드백을 사전에 결정된 이상적인 차량 경로의 대응하는 데이터와 비교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시스템.
  11.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제 1 승객 입력 장치로부터의 제 1 승객 피드백을 제어기를 통해 수신하는 것;
    상기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제 2 승객 입력 장치로부터의 제 2 승객 피드백을 상기 제어기를 통해 수신하는 것;
    상기 제 1 승객 피드백, 상기 제 2 승객 피드백, 또는 이들 피드백의 조합에 기초하여 차량 경로를 상기 제어기를 통해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차량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움직임을 상기 제어기를 통해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주행 놀이 환경 또는 배치와 관련된 센서 피드백을 상기 제어기를 통해 수신하는 것; 및
    수신된 상기 센서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경로를 상기 제어기를 통해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센서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경로를 결정하는 것은, 수신된 상기 센서 피드백과, 상기 제 1 승객 피드백, 상기 제 2 승객 피드백, 또는 이들 피드백의 조합 사이를 상기 제어기를 통해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센서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경로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센서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승객 피드백, 상기 제 2 승객 피드백, 또는 이들 피드백의 조합을 상기 제어기를 통해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수신된 상기 센서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경로를 결정하는 것은,
    수신된 상기 제 1 승객 피드백, 수신된 상기 제 2 승객 피드백, 또는 이들 피드백의 조합에 기초하여 조정되지 않은 제 1 차량 경로를 상기 제어기를 통해 결정하는 것; 및
    수신된 상기 센서 피드백에 기초하여 조정된 제 2 차량 경로를 상기 제어기를 통해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은 결정된 상기 조정된 제 2 차량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움직임을 상기 제어기를 통해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6.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승객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
    상기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제 1 승객 시트에 근접하여 위치된 제 1 승객 입력 장치로서, 상기 제 1 승객 입력 장치는 상기 복수의 승객 중 제 1 승객으로부터의 제 1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입력에 응답하여 제 1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제 1 승객 입력 장치;
    상기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제 2 승객 시트에 근접하여 위치된 제 2 승객 입력 장치로서, 상기 제 2 승객 입력 장치는 상기 복수의 승객 중 제 2 승객으로부터의 제 2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승객으로부터의 상기 제 2 입력에 응답하여 제 2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제 2 승객 입력 장치;
    상기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주행 놀이 환경, 배치, 또는 이들의 조합과 관련되는 센서 피드백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센서; 및
    상기 제 1 피드백, 상기 제 2 피드백, 및 상기 센서 피드백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 1 피드백, 수신된 상기 제 2 피드백, 및 수신된 상기 센서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의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하도룩 구성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수신된 상기 제 1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동작 중 제 1 동작을 제어하고, 수신된 상기 제 2 피드백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동작 중 제 2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수신된 상기 제 1 피드백, 수신된 상기 제 2 피드백, 또는 이들 피드백의 조합을 대응하는 제어 임계값과 비교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수신된 상기 제 1 피드백, 수신된 상기 제 2 피드백, 또는 이들 피드백의 조합과 상기 대응하는 제어 임계값과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피드백, 상기 제 2 피드백, 또는 이들 피드백의 조합을 오버라이딩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하도룩 구성되는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수신된 상기 센서 피드백을 고려하여 기준 동작의 조정된 동작을 결정하는 것 및 상기 기준 동작의 조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 1 피드백 및 수신된 상기 제 2 피드백을 고려하여 상기 기준 동작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KR1020197007164A 2015-12-15 2016-12-13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 KR101978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70,132 2015-12-15
US14/970,132 US9889860B2 (en) 2015-12-15 2015-12-15 Multi-passenger ride vehicle
PCT/US2016/066350 WO2017106172A2 (en) 2015-12-15 2016-12-13 Multi-passenger ride vehic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954A Division KR101960237B1 (ko) 2015-12-15 2016-12-13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819A true KR20190028819A (ko) 2019-03-19
KR101978628B1 KR101978628B1 (ko) 2019-05-14

Family

ID=587658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164A KR101978628B1 (ko) 2015-12-15 2016-12-13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
KR1020187019954A KR101960237B1 (ko) 2015-12-15 2016-12-13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954A KR101960237B1 (ko) 2015-12-15 2016-12-13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9889860B2 (ko)
EP (2) EP3389806B1 (ko)
JP (2) JP6499383B2 (ko)
KR (2) KR101978628B1 (ko)
CN (2) CN108697937B (ko)
CA (1) CA3007765C (ko)
ES (2) ES2763567T3 (ko)
MY (1) MY196738A (ko)
RU (2) RU2019100427A (ko)
SG (2) SG10201912284QA (ko)
WO (1) WO201710617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8063A (ko) * 2019-05-30 2020-12-09 (주)이노시뮬레이션 운전자 주행의도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67279B2 (en) * 2015-06-08 2021-04-06 Battlekart Europe System for creating an environment
DE102015117012A1 (de) * 2015-10-06 2017-04-06 Mack Rides Gmbh & Co Kg Interaktives Fahrgeschäft, insbesondere Achterbahn
US10589625B1 (en) 2015-12-11 2020-03-17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gmenting an appearance of an actual vehicle component with a virtual vehicle component
US10969748B1 (en) * 2015-12-28 2021-04-06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vehicle as a motion base for a simulated experience
US11524242B2 (en) 2016-01-20 2022-12-13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ustomized instances of a game within a virtual space
SG11201903030YA (en) * 2016-10-27 2019-05-30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ide control synchronization
US11318952B2 (en) * 2017-01-24 2022-05-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eedback for an autonomous vehicle
US10639557B2 (en) * 2017-06-22 2020-05-05 Jntvr Llc Synchronized motion simulation for virtual reality
US10633025B2 (en) * 2017-09-26 2020-04-28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witching between a driver mode and an autonomous driving mode for a vehicle
US10585471B2 (en) 2017-10-03 2020-03-10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an interactive space based on predicted events
CN111512277A (zh) * 2017-12-27 2020-08-07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及程序
US10828572B1 (en) 2017-12-27 2020-11-10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s and method for dynamic content unlock and adaptive control
US10970560B2 (en) 2018-01-12 2021-04-06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s and methods to trigger presentation of in-vehicle content
IL276854B2 (en) 2018-03-02 2024-01-01 St Eng Land Systems Ltd Hybrid electronic drive-by-wire system for operating a crawler vehicle
US11294378B2 (en) * 2018-03-29 2022-04-05 Disney Enterprises, Inc. Park attraction with collaborative passenger control of holonomic vehicles
US10322353B1 (en) * 2018-05-15 2019-06-18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ride profiles
US20190354099A1 (en) * 2018-05-18 2019-11-21 Qualcomm Incorporated Augmenting a robotic vehicle with virtual features
US10841632B2 (en) 2018-08-08 2020-11-17 Disney Enterprises, Inc. Sequential multiplayer storytelling in connected vehicles
DE102018213556A1 (de) * 2018-08-10 2020-02-13 Audi Ag Verfahren und System zum Betreiben von zumindest zwei von jeweiligen Fahrzeuginsassen am Kopf getragenen Anzeigeeinrichtungen
KR102118606B1 (ko) * 2018-10-30 2020-06-03 양동헌 이미지로 생성되는 로봇 게임장 구성 방법과 장치 및 그의 로봇 제어 방법과 장치
US10668391B1 (en) * 2018-12-04 2020-06-02 Universal City Studios Llc Rid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amusement park rides
US11318607B2 (en) * 2019-01-04 2022-05-03 Universal City Studios Llc Extended reality ride test assembly for amusement park system
US11533557B2 (en) * 2019-01-22 2022-12-20 Universal City Studios Llc Ride vehicle with directional speakers and haptic devices
CN109808859A (zh) * 2019-03-20 2019-05-28 上海彩虹鱼深海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中心对称结构的载人潜水器
US10722805B1 (en) * 2019-05-23 2020-07-28 Disney Enterprises, Inc. Techniques for concealed vehicle reset
CN110588364B (zh) * 2019-05-29 2020-10-23 诸暨市迅翔云科技有限公司 电动机转速修正方法
US10785621B1 (en) 2019-07-30 2020-09-22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an interactive space based on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s
US11518410B2 (en) * 2020-02-17 2022-12-06 Wipro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velocity profiles for autonomous vehicles
US11076276B1 (en) 2020-03-13 2021-07-27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uting platforms and articles
US11805160B2 (en) * 2020-03-23 2023-10-31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current content presentation
US11790364B2 (en) 2020-06-26 2023-10-17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ulti-factor authentication for vehicle transactions
US11599880B2 (en) 2020-06-26 2023-03-07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ulti-factor authentication for vehicle transactions
CN112550304A (zh) * 2020-12-10 2021-03-26 芜湖职业技术学院 一种车载游戏系统及方法
WO2022174189A1 (en) * 2021-02-15 2022-08-18 Michel Papineau Vehicle occupancy multiple verification utilizing proximity confirmation
US20220340145A1 (en) * 2021-04-21 2022-10-27 Here Global B.V. Automatic recommendation of control in a simultaneous mix mode vehicle
USD985619S1 (en) 2021-08-23 2023-05-09 Waymo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230A (ko) * 1998-04-02 1998-07-06 김구형 자전거
KR20000008295U (ko) * 1998-10-19 2000-05-15 조철호 이인 이륜 구동 이륜 자전거
KR101545078B1 (ko) * 2014-02-14 2015-08-1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인승 자전거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174A (ja) 1984-06-18 1986-01-10 菱星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4923739A (en) 1987-07-30 1990-05-08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Composite electrical interconnection medium comprising a conductive network, and article, assembly, and method
JPH052232Y2 (ko) * 1987-09-12 1993-01-20
JP2782209B2 (ja) * 1988-11-29 1998-07-30 株式会社鈴鹿サーキットランド 遊戯車両
JPH088944B2 (ja) * 1989-12-25 1996-01-31 株式会社三井三池製作所 二人乗り遊戯車
AU6021398A (en) 1997-01-16 1998-08-07 Orlo J. Fiske Amusement vehicle
KR100268601B1 (ko) 1998-07-11 2000-10-16 우병일 기지국의 음영지역을 효과적으로 커버하고 그 서어비스 지역의확장이 용이한 이동통신시스템
US6241573B1 (en) * 2000-02-10 2001-06-05 Mattel, Inc. Toy vehicle trackset having plural intersections
US6796908B2 (en) * 2001-06-14 2004-09-28 Creative Kingdoms, Llc Interactive dark ride
US8145382B2 (en) 2005-06-17 2012-03-27 Greycell, Llc Entertainment system including a vehicle
CN1916995B (zh) * 2006-09-11 2010-07-28 邓志 装有两套操控装置的汽车
US8226479B2 (en) * 2008-04-07 2012-07-24 Disney Enterprises, Inc. Group decision haptic feedback systems and methods
US8162768B2 (en) * 2010-06-21 2012-04-24 Disney Enterprises, Inc. Telescoping-arm round ride for amusement parks
US8371951B2 (en) * 2010-12-13 2013-02-12 Disney Enterprises, Inc. Rider-controlled swing ride
US8398497B2 (en) * 2010-12-13 2013-03-19 Disney Enterprises, Inc. Twister ride system
JP5985612B2 (ja) * 2011-05-11 2016-09-06 オーシャニアリング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無軌道のダークな乗物用の車両、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352225B2 (en) * 2011-08-18 2016-05-31 Game Na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ulti-player game experience
US8578857B2 (en) * 2011-12-08 2013-11-12 Disney Enterprises, Inc. Amusement park ride with passenger loading separated from vehicle insertion into simulators
US9120021B2 (en) * 2013-04-10 2015-09-01 Disney Enterprises, Inc. Interactive lean sensor for controlling a vehicle motion system and navigating virtual environments
CN203186453U (zh) 2013-04-25 2013-09-11 江西凯马百路佳客车有限公司 一种双驾驶室客车
US9043056B2 (en) 2013-07-08 2015-05-26 Disney Enterpris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dynamic boundaries to manage the progression of ride vehicles that have rider control inputs
CN103646578B (zh) * 2013-12-12 2016-02-10 安徽猎豹汽车有限公司 教练车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US9463379B1 (en) * 2013-12-17 2016-10-11 Thinkwell Group Ride vehicle mounted interactive game system
US9943759B2 (en) * 2014-06-16 2018-04-17 Universal City Studios Llc Interactive game floor system and method
US9084941B1 (en) * 2014-09-22 2015-07-21 Eric Fram Combination ride for amusement park
ITBS20140015U1 (it) * 2014-09-23 2016-03-23 Ivar Spa Dispositivo di regolazione per impianti termici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230A (ko) * 1998-04-02 1998-07-06 김구형 자전거
KR20000008295U (ko) * 1998-10-19 2000-05-15 조철호 이인 이륜 구동 이륜 자전거
KR101545078B1 (ko) * 2014-02-14 2015-08-1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인승 자전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8063A (ko) * 2019-05-30 2020-12-09 (주)이노시뮬레이션 운전자 주행의도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96738A (en) 2023-05-03
CA3007765C (en) 2019-03-19
SG11201804528YA (en) 2018-06-28
JP6499383B2 (ja) 2019-04-10
KR20180084146A (ko) 2018-07-24
EP3593876B1 (en) 2022-03-30
US10293837B2 (en) 2019-05-21
WO2017106172A3 (en) 2017-12-21
CN111974001B (zh) 2023-07-04
KR101978628B1 (ko) 2019-05-14
EP3593876A1 (en) 2020-01-15
WO2017106172A2 (en) 2017-06-22
JP2019155105A (ja) 2019-09-19
US20170166221A1 (en) 2017-06-15
US9889860B2 (en) 2018-02-13
CN108697937B (zh) 2020-10-16
ES2915840T3 (es) 2022-06-27
RU2677844C1 (ru) 2019-01-21
EP3389806A2 (en) 2018-10-24
RU2019100427A (ru) 2019-01-24
SG10201912284QA (en) 2020-02-27
ES2763567T3 (es) 2020-05-29
JP2019505265A (ja) 2019-02-28
US20180170399A1 (en) 2018-06-21
EP3389806B1 (en) 2019-11-06
KR101960237B1 (ko) 2019-03-19
JP6616033B2 (ja) 2019-12-04
CN108697937A (zh) 2018-10-23
CN111974001A (zh) 2020-11-24
CA3007765A1 (en)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628B1 (ko) 다인승 주행 놀이 차량
JP7091380B2 (ja) 対話型ゲームフロア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7529188A (ja) ビデオゲーム乗り物
CN113056313A (zh) 交互式迷宫景点系统和方法
US20230286532A1 (en) Autonomous vehicle interactive experience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