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5827A - 도포구 - Google Patents

도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5827A
KR20190025827A KR1020187035277A KR20187035277A KR20190025827A KR 20190025827 A KR20190025827 A KR 20190025827A KR 1020187035277 A KR1020187035277 A KR 1020187035277A KR 20187035277 A KR20187035277 A KR 20187035277A KR 20190025827 A KR20190025827 A KR 20190025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material
liquid
liquid coating
absorber
en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8616B1 (ko
Inventor
히로아키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윈트레이딩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095306A external-priority patent/JP6188865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009264A external-priority patent/JP6241972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020247A external-priority patent/JP6188111B1/ja
Application filed by 윈트레이딩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윈트레이딩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5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72Eyeli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43K1/003Capillary n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8Combinations of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2Ink reservoirs
    • B43K5/10Ink reservoirs with reserve ink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8Arrangements for feeding the ink to the n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2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26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capillar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B43K8/06Wick feed from within reservoir to writing-point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복수 종류 존재하는 벌크액에 대응할 수 있고, 점도가 다른 경우에도 동일한 규격의 도포구를 사용할 수 있고, 저류량도 여러 가지로 다른 것이라도 대응할 수 있고, 각각 액 누설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하고, 코어재로의 벌크액의 함침을 조정할 수 있어서 마지막까지 액 소진하지 않고, 이중 사용할 수 있는 타입이고, 제작의 수고와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 바디와 코어 형상을 갖는 도포 부재와 액상 도포재의 저류부와 함침량을 조정하는 액상 도포재 흡수체와, 후단부측에 삽입 관통 구멍을 삽입 관통시켜 보유지지하는 동시에 저류부측에 노출시키고, 삽입 관통 구멍의 형상은 도포재의 점성이나 재질에 대응하여 도포 부재와의 간극 폭을 조정할 수 있고, 도포재의 양을 조정할 수 있는 플러그를 구비하고, 밀봉 마개 위치의 변경에 의해 저류 영역을 증감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흡수체는 선단측에 설치되어 함침량을 증감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절단에 의해 길이나 크기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포구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아이라이너나 아이브로우(eyebrow)와 같은 화장 용구, 혹은 두발이나 눈썹 등의 부분 백발 염색 도구 등의 내부에 저류된 액상 도포재를 도포부에 침윤시키고, 이를 선단 도포부에 의해 도포 혹은 묘화하여 사용하는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아이라이너 등의 내부에 액상 도포재를 저류하고, 이 액상 도포재를 섬유 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코어재에 의해 구성된 도포 부재에 흡수, 침윤시켜서, 상기 도포 부재의 선단 도포부에 의해 도포 혹은 묘화하는 도포구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도포구에 대해서는, 내부에 저류되어 있는 액상 도포재의 벌크 배출량을 조정하기 위하여, 통상, 상기 코어재를 덮는 흡수체가 설치되어 있고, 이 흡수체에 의해, 코어재로 송출되는 액상 도포재의 배출량을 조정하고 있었다.
종래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흡수체(7)는 일반적으로 외주면을 주름 상자 형상의 요철면으로 형성한 수지 성형품에 의해 제작하고 있으므로, 그 설계에 많은 조정이 필요하고, 또한 고액의 금형 비용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또한, 내부에 액상 도포재(6)를 저류하는 저류부(12)의 영역도 확정되어 있고, 이 영역을 변경할 수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그런데, 상기 액상 도포재(6)는, 사용 형태에 따라, 그 점성이나 재질이 다수 다르게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저류부(12)에 저류시키는 액상 도포재(6)의 저류량도 여러 가지로 다르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 종류 존재하는 액상 도포재(6)에 대응하여, 게다가 그 저류량이 다른 경우도 포함하여 동일한 형상, 동일한 크기의 구조를 갖는 도포구나 내부의 흡수체(7)를 사용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즉, 길이 등을 변경한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체(7)를 별도로 제작하는 것은 고액의 금형 비용을 필요로 하고, 또한, 상기 저류량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도포구의 크기 그 자체를 변경해야만 한다는 과제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상기 벌크 점도는 벌크액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되어 있고, 점도가 다른 벌크액에 맞추어 액 누설이 일어나지 않도록 각각 도포구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은 지극히 비용이 높아, 도저히 용인되는 것이 아니었다.
따라서, 상기 벌크 점도가 다른 경우라도, 동일한 규격의 도포구를 사용할 수 있고, 게다가 각각 액 누설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된 도포구가 요구되고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도포구는, 도포구 내에 저류된 벌크액이 적어지면, 코어재로 송출되는 액상 도포재의 배출량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경향이 있었다. 왜냐하면, 도포구의 사용 상태는 그것을 평행하게 하여 사용하거나 혹은 약간 후단부측을 내려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그와 같은 사용 상태라면, 코어재로의 저류부로부터의 벌크액의 함침을 잘 조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 공개 평 11-48678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특허 공개 제 2013-102910호 공보 특허문헌3: 일본 특허 공개 제 2004-344858호 공보
본 발명에 따른 도포구는,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내부에 저류시키는 액상 도포재, 즉 벌크액에 대하여, 그 점성이나 재질이 다른 것이 복수 종류 존재하고, 또한 상기 저류부에 저류시키는 액상 도포재의 저류량도 각각 다른 것이라 하더라도, 이 복수 종류 존재하는 벌크액에 대응할 수 있고, 게다가 그 벌크액의 점도가 다른 경우라 하더라도, 예를 들어, 크기나 형상 등이 동일한 규격의 도포구를 사용할 수 있고, 각각 액 누설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된 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도포구를 평행하게 하여 사용하거나 혹은 약간 후단부측을 내려서 사용한 상태가 길어졌다 하더라도, 코어재로의 저류부로부터의 벌크액의 함침을 조정할 수 있어서 가령 벌크액의 양이 줄어든다 하더라도 마지막까지 액이 소진되지 않는 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이중 사용이 가능한 타입의 도포구이며, 양쪽의 사용에 대하여 액상 도포재를 사용한 도포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일측은 도포구로 타측은 파우더로서 사용하는 것이라도, 나아가 타측에는 백발 염색하는 것으로 도포구를 사용한 경우에도, 동일한 구격의 바디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고, 제작의 수고와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포구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에 수납되는 코어 형상을 갖는 도포 부재와, 도포 부재에 함침되는 액상 도포재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도포 부재에의 액상 도포재의 함침량을 조정하는 액상 도포재 흡수체와,
상기 바디 내에서 상기 도포 부재의 후단부측에 대하여, 천공 설치된 삽입 관통 구멍을 삽입 관통시켜 보유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후단부측을, 저류부측으로 노출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 관통 구멍의 형상은, 상기 액상 도포재의 점성이나 재질에 대응하여, 상기 삽입 관통 구멍과 삽입 관통되는 도포 부재 사이의 간극 폭을 조정할 수 있고, 액상 도포재 흡수체측에 침윤되는 액상 도포재의 양을 조정할 수 있는 플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저류부는, 상기 밀봉 마개의 설치 위치의 변경에 의해 액상 도포재의 저류 영역을 증감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액상 도포재 흡수체는, 상기 도포 부재에 대하여, 상기 플러그의 설치 위치보다 선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액상 도포재의 함침량을 증감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절단에 의해 길이나 크기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는,
대략 통 형상을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에 수납되는 도포 부재와, 도포 부재에 함침되는 액상 도포재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도포 부재에의 액상 도포재의 함침량을 조정하는 액상 도포재 흡수체와, 상기 바디 내에 설치된 액상 도포재 흡수체를 바디 내에서 압축하는 압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압축부재는, 상기 액상 도포재 흡수체의 바디 내에서의 압축 정도를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도포 부재에 함침되는 액상 도포재의 함침량을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는,
상기 액상 도포재 흡수체는, 내부에 연속 기포 구조체를 갖는 폼 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는,
상기 저류부 내에는 교반용 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에 수납되고, 바디의 길이 방향 일단부로부터 묘화 가능하게 구성된 선단부를 갖는 코어 형상을 갖는 도포 부재와, 상기 바디 내에 설치되고, 상기 도포 부재에 함침되는 액상 도포재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바디 내에 수납된 상기 도포 부재 후단부측에 대하여, 저류부측으로 노출시켜서 상기 액상 도포재를 도포 부재에 함침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또한 상기 도포 부재 후단부를 보유지지하는 동시에, 액상 도포재를 함침할 수 있도록 상기 저류부 내에 설치된 흡수체에 접촉 상태로 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흡수체는, 상기 액상 도포재의 점성이나 재질에 따라서 상기 함침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는,
상기 코어 형상을 갖는 도포 부재는, 섬유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액상 도포재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함침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는,
상기 도포 부재는, 긴 중계 코어와 상기 중계 코어의 선단에 접속된 도포용 브러시를 갖고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에 수납되고, 바디의 길이 방향 일단부측으로부터 묘화 가능하게 구성된 코어 형상을 갖는 도포 부재와, 상기 도포 부재의 후단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도포 부재에 함침되는 액상 도포재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도포 부재에의 액상 도포재의 함침량을 조정하는 액상 도포재 흡수체를 갖고,
상기 저류부를 형성하는 후단부측 구획벽과, 상기 구획벽으로부터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 타단부측을 향하여 설치된 공간에는,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 일단부측에 설치된 코어 형상의 도포 부재와 동일한 규격의 도포 부재가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바디의 양측에 도포 부재가 설치되었을 때, 상기 저류부를 형성하는 상기 구획벽이 펀칭되어, 상기 저류부의 액상 도포재를 상기 바디의 양측에 도포 부재로 겸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는,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 타단부측의 공간에는, 도포 부재 대신에, 상기 도포 부재 이외의 화장용 부재를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고, 그 경우에는, 상기 구획벽은 펀칭되지 않고 남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포구에 따르면, 내부에 저류시키는 액상 도포재에 대하여, 그 점성이나 재질이 다른 것이 복수 종류 존재하고, 또한 상기 저류부에 저류시키는 액상 도포재의 저류량도 각각 다른 것이라 하더라도, 이 복수 종류 존재하는 액상 도포재에 대응할 수 있고, 게다가 그 벌크액의 점도가 다른 경우라 하더라도, 예를 들어 크기나 형상에 대하여 동일한 규격의 도포구를 사용할 수 있고, 각각 액 누설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도포구를 평행하게 하여 사용하거나 혹은 약간 후단부측을 내려서 사용한 상태가 길어졌다 하더라도, 코어재로의 저류부로부터의 벌크액의 함침을 조정할 수 있어, 가령 벌크액의 양이 줄어든다 하더라도 최후까지 액이 소진되지 않는 도포구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이중 사용 타입의 도포구이며, 양쪽의 사용에 대하여 액상 도포재를 사용한 도포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일측은 도포구로 타측은 파우더로서 사용하는 것이라도, 나아가 타측에는 백발 염색하는 것으로 도포구를 사용한 경우에도 동일한 구격의 바디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고, 이중 사용에 대응한 도포구 제작의 수고와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포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1)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포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2)이다.
도 3은, 플러그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종래의 도포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종래의 흡수체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액 충전 후의 흔들기 검사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도포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3)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도포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4)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도포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5)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 사용 도포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중 사용 도포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1)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중 사용 도포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2)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중 사용 도포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3)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도포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6)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도포구(1)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포구(1)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 바디(2)을 갖고 있다. 또한, 캡(3) 및 이너 캡(4)을 갖고 있다.
바디(2) 내에는 코어 형상을 갖는 도포 부재(5)가 보유지지되어 있다. 당해 도포 부재(5)는 통상 섬유 부재로 구성되고, 후술하는 액상 도포재(6)가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 서서히 함침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호 7은, 흡수체를 나타낸다. 도 1, 도 1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당해 흡수체(7)는, 외주면에 아무런 요철 형상도 실시하지 않은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축방향 중심부에는, 축방향을 향하여 관통하는 관통 구멍(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관통 구멍(8)에 상기 도포 부재(5)가 삽입 관통되어 설치되어 있다. 종래 이 흡수체(7)는,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가 주름 상자 형상의 요철면으로서 구성된 수지 성형품으로 제작되어 있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지 성형품의 금형 비용이 비교적 고액이므로, 복수 종류의 형태를 갖는 다른 흡수체(7)를 제작하면 도포구 자체의 비용이 고가로 되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흡수체(7)는, 예를 들어 내부에 연속 기포를 갖는 폼 재 등의 함침력을 갖는 유연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그 크기나 길이를 간단히 절단함으로써 형상을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길이 방향이나 직경 방향으로 압축함으로써 형상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호 9는 노즈 피스이며, 상기 코어 형상을 갖는 도포 부재(5)의 선단측을 보유지지하고, 바디(2)의 선단부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포 부재(5)의 선단측에는 묘화 부재(10)가 덮어 씌워 끼워져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묘화 부재(10)에 의해 함침된 액상 도포재(6)를 사용하여 묘화 혹은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부호 11은, 플러그이며, 바디(2) 내에서 도포 부재(5)의 후단부측을 삽입 관통시켜 보유지지하는 동시에, 그 후단부를 이웃하여 형성된 저류부(12)측으로 노출시키고 있다. 또한,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포 부재(5)의 후단부측에 대하여, 삽입 관통 구멍(16) 내를 삽입 관통시켜 도포 부재(5)를 보유지지하고 있지만, 이 삽입 관통 구멍(16)의 형상은 사각 형상 혹은 육각 형상 등의 다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액상 도포재(6)의 점성이나 재질에 대응하여 삽입 관통 구멍(16)과 이것을 삽입 관통하는 도포 부재(5) 사이의 간극 폭을 조정하고, 흡수체(7)측에 침윤되는 액상 도포재(6)의 양을 조정하려고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저류부(12)에는 액상 도포재(6)가 저류되게 된다.
또한, 부호 13은, 상기 저류부(12)를 형성하기 위한 밀봉 마개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밀봉 마개(13)는 바디(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어느 개소에도 설치 가능하게 되어 있고, 따라서, 저류부(12)의 영역은 간단히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부호 14는 볼이며, 저류부(12)에 액상 도포재(6)를 저류한 후, 당해 볼(14)을 상기 저류부(12)에 넣음으로써, 액상 도포재(6)의 도포 부재(5)에의 함침을 촉진할 수 있고, 마지막까지 낭비 없이 액상 도포재(6)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볼(14)을 갖지 않는 타입의 도포구(1)도 존재한다.
이어서, 도포구(1)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바디(2) 내에 선단측에 노즈 피스(9)를 통하여 묘화 부재(10)가 설치되고, 후단부측에는, 원하는 길이로 커트된 흡수체(7)와 플러그(11)가 설치된 코어 형상의 도포 부재(5)가 설치된다. 그 후, 바디(2)의 후단부 개구(15)로부터 액상 도포재(6)를, 원하는 영역 공간으로 한 저류부(12) 내에 충전하고, 밀봉 마개(13)에 의해 덮어서 액상 도포재(6)를 저류부(12) 내에 저류한다. 그 후, 후방 마개(17)로 바디(2)의 후단부를 덮어 조립이 종료된다.
그런데, 상기 액상 도포재(6)는, 그 종류에 따라 점도가 각각 다르고, 그 때문에 점도가 작은 액상 도포재(6)의 경우에는, 상기 도포 부재(5)의 선단에 설치된 묘화 부재(10)측으로부터 액 누설이 발생해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 액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흡수체(7)의 길이를 다르게 하거나, 상기 저류부(12)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도포구를 구성하고 있었지만, 그것만으로는 최종적으로 상기 액 누설을 해소할 수 없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하는 발명에서는, 동일한 크기(길이)의 흡수체(7)나 동일한 크기로 설계된 저류부(12)를 내장한 도포구라도, 각각의 종류의 벌크 점도에 맞추어 액 누설이 발생하지 않는 도포구(1)를 상기 1종류의 도포구(1)로 구성할 수 있는 발명으로 한 것이다. 즉, 도포구(1)의 바디(2) 내에 수납된 상기 흡수체(7)를 압축하고, 그 흡수체(7)의 크기(길이)를 변경하는 압축부재(20)를 바디(2) 내에 설치한 것이다.
여기서, 흡수체(7)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연속 기포를 갖는 폼 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흡수체(7)는,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도포 부재(5)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8)을 갖고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7)의 일측에 압축부재(20)를 개재시키면, 개재시킨 압축부재(20)의 길이 분만큼, 흡수체(7)는 길이 방향으로 압축되게 된다. 즉, 흡수체(7)가 20mm 길이일 때, 4mm 길이의 압축부재(20)를 개재시키면, 흡수체(7)는 16mm 길이로 압축되어, 줄어들게 된다.
흡수체(7)가 압축되면, 내부에 연속 기포를 갖는 폼 재로 형성된 흡수체(7)는, 관통 구멍(8)에 삽입 관통된 도포 부재(5)와의 밀착성이 높아지고, 도포 부재(5)측으로 침투한 액상 도포재(6)를 모세관 현상에 의해 빨아 올리게 된다. 따라서 도포 부재(5)나 묘화 부재(10)측에는 여분의 액상 도포재(6)가 함침되지 않고, 그 결과 액상 도포재(6)의 액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그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에서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도포구(1)를 샘플1, 샘플2, 샘플3으로 하여 3개 제작하고, 각각에 대하여, 압축부재(20)가 없는 것, 압축부재(20)의 길이가 4mm인 것, 압축부재(20)의 길이가 5.5mm인 것의 액상 도포재(6) 충전 후의 흔들기 검사 시험을 행하였다. 흔들기 검사란, 도포구(1)를 들고, 들어올린 도포구(1)를 상하 방향으로 수회 흔드는 검사이다. 이에 의해 몇 번 흔들었을 때에 액 누설이 발생하는가를 검사하였다.
여기서, 액상 도포재(6)의 점도는 6.0CP(센티 포이즈)로 하였다.
그렇게 하면,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부재(20)가 없는 것에 대해서는, 샘플1, 샘플2에서는 6회 흔들었을 때에 액 누설이 발생하고, 샘플3에서는 5회 흔들었을 때에 액 누설이 발생하였다. 또한, 4mm 길이의 압축부재(20)를 바디(2) 내에 설치하여 흡수체(7)를 압축했을 때에는, 샘플1에서는 8회 흔들었을 때에 액 누설이 발생하고, 샘플2에서는 7회 흔들었을 때에 액 누설이 발생하고, 샘플3에서는 9회 흔들었을 때에 액 누설이 발생하였다.
또한, 5.5mm 길이의 압축부재(20)를 설치하여 흡수체(7)를 압축했을 때에는, 샘플1에서는 12회 흔들었을 때에 액 누설이 발생하고, 샘플2에서는 11회 흔들었을 때에 액 누설이 발생하고, 샘플3에서는 13회 흔들었을 때에 액 누설이 발생하였다.
이어서, 액상 도포재(6)의 점도를 5.0CP(센티 포이즈)로 변경하여 재차 시험하였다.
그러자, 압축부재(20)가 없는 것에 대해서는, 샘플1, 샘플2, 샘플3에서는 4회 흔들었을 때에 액 누설이 발생하였다. 또한, 4mm 길이의 압축부재(20)를 설치하여 흡수체(7)를 압축했을 때에는, 샘플1에서는 6회 흔들었을 때에 액 누설이 발생하고, 샘플2에서는 7회 흔들었을 때에 액 누설이 발생하고, 샘플3에서는 6회 흔들었을 때에 액 누설이 발생하였다.
또한, 5.5mm 길이의 압축부재(20)를 설치하여 흡수체(7)를 압축했을 때에는, 샘플1, 샘플2에서는 9회 흔들었을 때에 액 누설이 발생하고, 샘플3에서는 10회 흔들었을 때에 액 누설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압축부재(20)를 사용하고, 흡수체(7)를 길이 방향으로 압축하여 도포 부재(5)와의 밀착성을 높이면, 도포 부재(5)측에 여분의 액상 도포재(6)가 침투하지 않고, 흡수체(7)가 여분의 액상 도포재(6)를 흡수한다.
따라서, 그 결과, 본 발명의 도포구(1)에서는, 액 누설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포구(1)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포구(1)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 바디(2)를 갖고 있다. 이 바디(2)의 길이는 일단 규격으로 정해져 있고, 내부에 저류되어 있는 액상 도포재(6)의 점성이나 재질이 상이해도, 동일한 길이의 바디(2)로 각 종류의 도포구(1)를 구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복수 종류의 도포구(1)를 형성해도 그 바디(2)에 대하여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최종적으로 제조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당해 바디(2)의 선단에는, 캡(3) 및 이너 캡(4)이 장착된다.
여기서, 바디(2) 내에는, 코어 형상을 갖는 긴 도포 부재(5)가 보유지지되어 있고,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당해 도포 부재(5)는, 중계 코어(21)와 상기 중계 코어(21)의 선단에 덮어 씌워지고, 묘화에 사용되는 도포용 브러시(100)를 갖고 구성된다.
그리고, 중계 코어(21) 및 도포용 브러시(100)는, 통상 섬유 부재로 구성되고, 후술하는 액상 도포재(6)가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 서서히 함침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호 7은, 흡수체를 나타낸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당해 흡수체(7)는, 외주면에 아무런 요철 형상도 실시하지 않은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축방향 중심부에는, 표면에 형성된 개구(200)로부터 축방향 안측을 향하여 설치된 긴 구멍(8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긴 구멍(80)에 상기 도포 부재(5)의 후단부(22)가 끼워 넣어져 도포 부재(5)와 흡수체(7)가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양자가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종래 이 흡수체(7)는, 외주가 주름 상자 형상의 요철면으로서 구성된 수지 성형품으로 제작되어 있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지 성형품의 금형 비용이 고액이므로, 복수 종류의 형태를 갖는 다른 흡수체(7)를 제작하면 도포구 자체의 비용이 고가가 되어버린다라는 과제가 있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흡수체(7)는, 예를 들어 내부에 연속 기포를 갖는 폼 재 등의 함침력을 갖는 유연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그 크기나 길이를 간단히 절단함으로써 형상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부호 9는 노즈 피스이며, 상기 코어 형상을 갖는 도포 부재(5)의 선단측을 보유지지하고, 바디(2)의 선단부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포 부재(5)의 선단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포 브러시(100)가 중계 코어(21)에 덮어 씌워진 상태로 접속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도포용 브러시(100)에 의해 함침된 액상 도포재(6)를 사용하여 묘화 혹은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포 부재(5)를 중계 코어(21)와 도포용 브러시(100)의 별체 부품을 연결하여 구성해도 좋고, 중계 코어(21)와 도포용 브러시(100)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도포 부재(5)라도 좋다.
다음에 부호 23은 스노클을 나타낸다. 상기 스노클(23)은 대략 긴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의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공간(25)에 전술한 중계 코어(21)가 삽입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계 코어(21)의 후단부는 스노클(23)보다 노출되고, 그 후단부(22)가, 전술한 바와 같이 흡수체(7)의 긴 구멍(80)에 끼워 넣어져 보유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노클(23)의 외주면과 바디(2)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은, 액상 도포재(6)의 저류부(12)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스노클(23)의 선단측은, 상기 관통 공간(25)의 형태보다 큰 구멍을 갖는 팽출 통체(26)로서 구성되고, 이 팽출 통체(26) 내에는 플러그(11)가 끼워 넣어져 있다.
또한, 부호 140은 소위 제2 흡수체라고도 칭할 수 있고, 중계 코어(21)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 동시에, 그 일측 단부면은 플러그(11)의 단부면에 접하고, 타측 단부면은 바디(2)의 걸림 돌기부(27)에 걸려 바디(2) 내에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스노클(23)의 후단부측에 있어서의 관통 공간(25-1)은, 중계 코어(21)의 원기둥 형상 외주면에 모두 접하는 원통 형상으로는 구성되어 있지 않고, 예를 들어 6각 형상 혹은 8각 형상 등의 다각 형상을 갖는 관통 공간(25)으로서 구성되고, 중계 코어(21)의 외주면과 상기 관통 공간(25)은, 예를 들어 6점 혹은 8점에서 접하지만, 다른 외주면 위치에서는 간극이 발생하고, 그 간극으로부터 액상 도포재(6)가 중계 코어(21)의 외주면으로부터 함침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간극으로부터 공기가 도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액상 도포재(6)가 중계 코어(21)에 원활하게 함침될 수 있도록, 즉 모세관 현상이 원활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스노클(23)의 중간부로부터 선단측에 위치하는 관통 공간(25-2)의 직경은, 중계 코어(2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스노클(23)의 중간부로부터 선단측에 위치하는 관통 공간(25-2)에는 상기 액상 도포재(6)가 유입될 수 있고, 또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간극, 즉 클리어런스부(28)로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전술한 흡수체(7)는, 예를 들어 후방 마개(17)의 후단부측에 설치되어 있고, 당해 후방 마개(17)는 바디(2)의 후방 개구로부터 바디(2) 내에 끼워 넣어지고, 상기 흡수체(7)의 긴 구멍(80)에 중계 코어(21)가 끼워 넣어지고, 흡수체(7)와 중계 코어(21)가 접촉하여 접속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흡수체(7)는 상기 액상 도포재(6)가 저류되는 저류부(12) 내에 배치되게 되므로, 상기 흡수체(7)에는 끊임없이 액상 도포재(6)가 함침되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흡수체(7)는 항상 중계 코어(21)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함침된 액상 도포재(6)를 모세관 현상에 의해 중계 코어(21)측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저류부(12) 내의 액상 도포재(6)의 양이 적어지고, 도포구(1)를 평행하게 하여 사용하는 것 같은 상태가 길어져서, 저류부(12)의 액상 도포재(6)가 상기 저류부재(12)에 노출되어 있는 중계 코어(21)에 도달하지 않게 된 경우에도, 미리 액상 도포재(6)를 함침한 흡수체(7)로부터 액상 도포재(6)를 공급할 수 있고, 따라서 도포용 브러시(100)에 있어서 액 소진 상태를 야기하지 않는다. 그 의미에서 보면 상기 흡수체(7)는 액상 도포재(6)의 예비 탱크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도포구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하면, 예를 들어 선단측에 제2 흡수체(140)가 설치되고, 이 제2 흡수체(140) 옆에 플러그(11)가 끼움 장착된 스노클(23)이 덮어 씌워진 중계 코어(21)가 바디(2)의 후방으로부터 끼워진다. 계속해서, 흡수체(7)를 설치한 후방 마개(17)를 바디(2)의 후방으로부터 끼워 넣어 상기 중계 코어(21)를 소정의 위치에 장착시키는 동시에, 중계 코어(21)와 흡수체(7)를 접촉, 접속시켜서 후방 마개(17)를 장착한다. 또한, 상기 후방 마개(17)를 장착하기 전에, 미리 저류부(12)에는 액상 도포재(6)를 충전해 둘 필요가 있다.
또한, 바디(2)의 선단측으로부터, 중계 코어(21)의 선단측에 노즈 피스(9)가 장착된 도포용 브러시(100)를 연결시킨다. 그리고, 바디(2)의 선단측에 이너 캡(4) 및 캡(3)을 설치하고, 이에 의해 도포구(1)의 조립이 완료된다.
도 8,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흡수체(7)의 길이, 크기를 변경한 구성의 예이다. 이와 같이 흡수체(7)의 크기나 길이는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따라서 이에 의해 액상 도포재(6)의 점도나 재질에 차이가 있어도, 전혀 문제없이 상기 흡수체(7)가 액상 도포재(6)의 예비 탱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플러그(11)의 구멍도 다각 형상으로 하여 간극을 설치하면, 그 간극이 공기의 이동 경로가 되어, 중계 코어(21)에의 액상 도포재의 함침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흡수체(140)의 존재에 의해, 중계 코어(21)에의 액상 도포재(6)의 함침량을 조정할 수 있고, 따라서 이에 의해 액 누설이나 액 소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 사용 도포구(101)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도포구(101)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 바디(2)를 갖고 있다. 그리고, 당해 바디(2)의 양단에는, 각각 캡(171) 및 이너 캡(181)을 갖고 이중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이 채용된다.
즉, 바디(2) 내에는, 코어 형상을 갖는 도포 부재(5)가 한 쌍 양측으로부터 보유지지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도포 부재(5)는 통상 섬유 부재로 구성되고, 후술하는 액상 도포재(6)가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 서서히 함침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도포 부재(5)가 바디(2)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2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어서, 부호 7은, 흡수체이며, 도 10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당해 흡수체(7)는, 도포 부재(5)의 길이 방향으로 2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외주면에 아무런 요철 형상도 실시하지 않은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축방향 중심부에는, 축방향을 향하여 관통하는 관통 구멍(8)이 설치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8)에 상기 도포 부재(5)가 삽입 관통되어 설치되어 있다. 종래 이 흡수체(7)는, 외주가 주름 상자 형상의 요철면으로서 구성된 수지 성형품으로 제작되어 있었지만, 상기 수지 성형품의 금형 비용이 고액이므로, 복수 종류의 형태를 갖는 다른 흡수체(7)를 제작하면 도포구 자체의 비용이 고가가 되어버리고 있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흡수체(7)는, 예를 들어 내부에 연속 기포를 갖는 폼 재 등의 함침력을 갖는 유연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그 크기나 길이를 간단히 절단함으로써 형상을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부호 9는 노즈 피스이며, 상기 코어 형상을 갖는 도포 부재(5)의 선단측을 보유지지하고, 바디(2)의 선단부에 고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포 부재(5)의 선단측에는 묘화 부재(10)가 덮어 씌워 끼워져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묘화 부재(10)에 의해 함침된 액상 도포재(6)를 사용하여 묘화 혹은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호 11은, 플러그이며, 바디(2) 내에서 도포 부재(5)의 후단부측을 삽입 관통시켜 보유지지하는 동시에, 그 후단부를 이웃하여 형성된 저류부(12)측으로 노출시키고 있다. 또한, 플러그(11)는, 도포 부재(5)의 후단부측에 대하여, 플러그 삽입 관통 구멍(161) 내를 삽입 관통시켜 도포 부재(5)를 보유지지하고 있지만, 이 삽입 관통 구멍(161)의 형상은 사각 형상 혹은 육각 형상 등의 다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액상 도포재(6)의 점성이나 재질에 대응하여 삽입 관통 구멍(161)과 이것을 삽입 관통하는 도포 부재(5) 사이의 간극 폭을 조정하고, 흡수체(7)측에 침윤되는 액상 도포재(6)의 양을 조정하려고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저류부(12)에는 액상 도포재(6)가 저류되게 된다.
플러그(11)의 저류부(12)측에는 바디(2)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편(211)이 설치되어 있고, 그 돌출편(211) 내에 도포 부재(5)의 후단부가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볼(14)이 도포 부재(5)의 후단부에 직접 충돌하는 일이 없고, 도포 부재(5)의 후단부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러그(11)는 도포 부재(5)의 중간 위치에서도 사용되어 있고, 이 중간 위치에 설치된 플러그(11)에 의해, 액상 도포재(6)의 액 누설이나 과침윤을 방지하고 있다.
부호 14는 볼이며, 저류부(12)에 액상 도포재(6)를 저류한 후, 당해 볼(14)을 상기 저류부(12)에 넣음으로써, 액상 도포재(6)의 도포 부재(5)에의 함침을 촉진할 수 있고, 마지막까지 낭비 없이 액상 도포재(6)를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볼(14)을 갖지 않는 타입의 이중 사용 도포구(1)도 존재한다.
그런데, 도 12나 도 1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포구(1)를 구성하는 바디(2) 내에는, 그 대략 중간 위치에 펀칭 가능한 구획벽(30)이 미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획벽(30)에는, 상기 구획벽(30)과 바디(2) 내주면과의 접속부에 절입부(201)가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어 구획벽(30)을 바디(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누름으로써, 간단하게 구획벽(30)을 바디(2)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도포구(1)는, 일측에는 액상 도포재(6)를 사용하여 묘화하는 도포구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페이스용 파우더 부재(40)가 설치되는 타입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중 사용 도포구(1)의 경우에는, 상기 구획벽(30)을 펀칭하여 파우더 부재(40)측에 액상 도포재(6)를 공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구획벽(30)을 펀칭하지 않고 사용하게 된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도포구(1)는, 일측에는 액상 도포재(6)를 사용하여 묘화하는 도포구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페이스용 펜슬 부재(1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중 사용 도포구(1)의 경우에도, 상기 구획벽(30)을 펀칭하여 펜슬 부재(130)측에 액상 도포재(6)를 공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구획벽(30)을 펀칭하지 않고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도 10이나 도 11의 경우, 바디(2)의 양측에 도포구(1)가 형성되어 있고, 양쪽 모두, 액상 도포재(6)의 사용이 필요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이중 사용의 경우에는, 상기 구획벽(30)을 펀칭하여 사용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즉, 구획벽(30)을 펀칭하면, 하나의 저류부(12)로 양쪽 도포구(101)의 액상 도포재(6)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도포 부재(5)의 선단에 설치된 묘화 부재(10)를 다양하게 준비해 두면, 다양한 사용에 대응할 수 있는 도포구(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중 사용 도포구(1)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바디(2) 내에서, 그 일측의 선단에는, 노즈 피스(9)를 통하여 묘화 부재(10)가 설치되고, 대략 중간 위치로부터 후단부측을 향해서는, 원하는 길이로 커트된 흡수체(7)와 플러그(11)가 설치되어 코어 형상의 도포 부재(5)가 설치된다.
또한, 이때, 상기 구획벽(30)은 펀칭되어서 제거되게 된다. 그 후, 바디(2)의 후단부 개구(15)로부터 액상 도포재(6)를, 원하는 영역 공간으로 한 저류부(12) 내에 충전한다.
그 후, 바디(2)의 후단부측으로부터, 또 하나의 도포 부재(5)가 끼워진다. 즉, 선단에 노즈 피스(9)를 통하여 묘화 부재(10)가 설치되고, 대략 중간 위치로부터 후단부측을 향해서는, 원하는 길이로 커트된 흡수체(7)와 플러그(11)가 설치된 코어 형상의 도포 부재(5)가 바디(2)의 타측으로부터 끼워넣어져 설치되는 것이다.
다음에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이중 사용 도포구(101)에 관한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바디(2) 내에서, 그 일측의 선단에 노즈 피스(9)를 통하여 묘화 부재(10)가 설치되고, 대략 중간 위치로부터 후단부측을 향해서는, 원하는 길이로 커트된 흡수체(7)와 플러그(11)가 설치된 코어 형상의 도포 부재(5)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구획벽(30)은 펀칭되지 않고 남겨진다. 즉, 액상 도포재(6)를 바디(2)의 양측에서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디(2)의 선단 개구 191측으로부터 액상 도포재(6)를, 원하는 영역 공간으로 한 저류부(12) 내에 충전하고, 그 후, 도포 부재(5)를 상기와 같이 설치한다.
계속해서, 바디(2)의 후단부측으로부터는, 액상 도포재(6)를 사용하지 않는 다른 종류의 도포구(101)가 끼워진다. 즉, 예를 들어 타측에는 페이스용 파우더 부재(40)나 페이스용 펜슬 부재(130)가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도포구의 경우에는, 구획벽(30)을 펀칭하지 않고 사용하게 된다.
또한, 도 12, 도 13에는 바디(2)의 타측에 있어서 페이스용 파우더 부재(40)나 페이스용 펜슬 부재(130)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상 도포재(6)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라면 이 타측에 설치하여 이중 사용 도포구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용의 경우에는, 상기 구획벽(30)은 그대로 남겨서 바디(2)를 사용하게 된다.
1: 도포구
2: 바디
3: 캡
4: 이너 캡
5: 도포 부재
6: 액상 도포재
7: 흡수체
8: 관통 구멍
9: 노즈 피스
10: 묘화 부재
11: 플러그
12: 저류부
13: 밀봉 마개
14: 볼
15: 후단부 개구
16: 삽입 관통 구멍
17: 후방 마개
20: 압축부재
21: 중계 코어
22: 도포 부재의 후단부
23: 스노클
25: 관통 공간
25-1: 스노클의 후단부측에 있어서의 관통 공간
25-2: 스노클의 중간 위치로부터 선단측에 위치하는 관통 공간
26: 팽출 통체
27: 걸림 돌기부
28: 클리어런스부
30: 구획벽
40: 파우더 부재
80: 긴 구멍
100: 도포용 브러시
101: 이중 사용 도포구
130: 펜슬 부재
140 : 제2 흡수체
161: 플러그 삽입 관통 구멍
171: 캡
181: 이너 캡
191: 바디의 선단 개구
200: 개구
201: 절입부
211: 돌출편

Claims (9)

  1.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에 수납되는 코어 형상을 갖는 도포 부재와, 도포 부재에 함침되는 액상 도포재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도포 부재에의 액상 도포재의 함침량을 조정하는 액상 도포재 흡수체와,
    상기 바디 내에서 상기 도포 부재의 후단부측에 대하여, 천공 설치된 삽입 관통 구멍을 삽입 관통시켜 보유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후단부측을, 저류부측으로 노출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 관통 구멍의 형상은, 상기 액상 도포재의 점성이나 재질에 대응하여, 상기 삽입 관통 구멍과 삽입 관통되는 도포 부재 사이의 간극 폭을 조정할 수 있고, 액상 도포재 흡수체측에 침윤되는 액상 도포재의 양을 조정할 수 있는 플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저류부는, 상기 마개의 설치 위치의 변경에 의해 액상 도포재의 저류 영역을 증감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액상 도포재 흡수체는, 상기 도포 부재에 대하여, 상기 플러그의 설치 위치보다 선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액상 도포재의 함침량을 증감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절단에 의해 길이나 크기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2. 대략 통 형상을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에 수납되는 도포 부재와, 도포 부재에 함침되는 액상 도포재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도포 부재에의 액상 도포재의 함침량을 조정하는 액상 도포재 흡수체와, 상기 바디 내에 설치된 액상 도포재 흡수체를 바디 내에서 압축하는 압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압축부재는, 상기 액상 도포재 흡수체의 바디 내에서의 압축 정도를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도포 부재에 함침되는 액상 도포재의 함침량을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도포재 흡수체는, 내부에 연속 기포 구조체를 갖는 폼 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 내에는, 교반용 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5.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에 수납되고, 바디의 길이 방향 일단부로부터 묘화 가능하게 구성된 선단부를 갖는 코어 형상을 갖는 도포 부재와, 상기 바디 내에 설치되고, 상기 도포 부재에 함침되는 액상 도포재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바디 내에 수납된 상기 도포 부재 후단부측에 대하여, 저류부측으로 노출시켜서 상기 액상 도포재를 도포 부재에 함침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또한 상기 도포 부재 후단부를 보유지지하는 동시에, 액상 도포재를 함침할 수 있도록 상기 저류부 내에 설치된 흡수체에 접촉 상태로 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흡수체는, 상기 액상 도포재의 점성이나 재질에 따라서 상기 함침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형상을 갖는 도포 부재는, 섬유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액상 도포재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함침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부재는, 긴 중계 코어와 상기 중계 코어의 선단에 접속된 도포용 브러시를 갖고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구.
  8.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에 수납되고, 바디의 길이 방향 일단부측으로부터 묘화 가능하게 구성된 코어 형상을 갖는 도포 부재와, 상기 도포 부재의 후단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도포 부재에 함침되는 액상 도포재를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도포 부재에의 액상 도포재의 함침량을 조정하는 액상 도포재 흡수체를 갖고,
    상기 저류부를 형성하는 후단부측 구획벽과, 상기 구획벽으로부터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 타단부측을 향하여 설치된 공간에는,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 일단부측에 설치된 코어 형상의 도포 부재와 동일한 규격의 도포 부재가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바디의 양측에 도포 부재가 설치되었을 때, 상기 저류부를 형성하는 상기 구획벽이 펀칭되어, 상기 저류부의 액상 도포재를 상기 바디의 양측에 도포 부재로 겸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용 도포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 타단부측의 공간에는, 도포 부재 대신에, 상기 도포 부재 이외의 화장용 부재를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고, 그 경우에는, 상기 구획벽은 펀칭하지 않고 남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용 도포구.
KR1020187035277A 2016-05-11 2017-05-10 도포구 KR1022486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95306A JP6188865B1 (ja) 2016-05-11 2016-05-11 塗布具
JPJP-P-2016-095306 2016-05-11
JP2017009264A JP6241972B1 (ja) 2017-01-23 2017-01-23 塗布具
JPJP-P-2017-009264 2017-01-23
JPJP-P-2017-020247 2017-02-07
JP2017020247A JP6188111B1 (ja) 2017-02-07 2017-02-07 ダブル使用の塗布具
PCT/JP2017/017699 WO2017195830A1 (ja) 2016-05-11 2017-05-10 塗布具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554A Division KR102181363B1 (ko) 2016-05-11 2017-05-10 도포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827A true KR20190025827A (ko) 2019-03-12
KR102248616B1 KR102248616B1 (ko) 2021-05-06

Family

ID=602670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277A KR102248616B1 (ko) 2016-05-11 2017-05-10 도포구
KR1020207017554A KR102181363B1 (ko) 2016-05-11 2017-05-10 도포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554A KR102181363B1 (ko) 2016-05-11 2017-05-10 도포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27816B2 (ko)
KR (2) KR102248616B1 (ko)
CN (1) CN109068829B (ko)
WO (1) WO201719583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769B1 (ko) * 2019-07-19 2020-09-03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더블 힌지 화장품 어셈블리
KR102212392B1 (ko) * 2019-08-21 2021-02-03 조지원 잉크 배출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76284B2 (ja) * 2018-05-22 2022-05-27 ケミコスクリエイションズ株式会社 直液式アイライナー
JP7340217B2 (ja) * 2018-10-17 2023-09-07 アサヌマ 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液体化粧料用容器
JP6632690B1 (ja) * 2018-11-16 2020-01-22 ウィントレーディング株式会社 塗布具
CN109527771A (zh) * 2018-12-11 2019-03-29 上海洋明塑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双头化妆笔
EP3760452A1 (en) 2019-07-04 2021-01-06 Société BIC Marker for variable shading under pressur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7874A (en) * 1978-04-10 1979-06-12 Freeman Transfer Printing Co. Dye marking device
JPH1148678A (ja) 1997-07-31 1999-02-23 Pentel Kk 高粘度塗布液用塗布具
JPH11301168A (ja) * 1998-04-23 1999-11-02 Pilot Ink Co Ltd 直液式筆記具
JP2001080277A (ja) * 1999-09-14 2001-03-27 Sakura Color Prod Corp 塗布具、並びに、その塗布液供給弁
JP2001219693A (ja) * 2000-02-09 2001-08-14 Mitsubishi Pencil Co Ltd 両頭式直液筆記具
JP2004344858A (ja) 2002-05-28 2004-12-09 Pentel Corp 塗布具
KR20130102910A (ko) 2012-03-08 2013-09-23 이진호 입자 필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47410B1 (ko) * 1967-09-09 1972-11-30
CA2246422A1 (en) * 1997-08-29 1999-02-28 The Pilot Ink Co., Ltd. Direct liquid supply writing implement
US6554521B1 (en) 1999-09-14 2003-04-29 Sakura Color Products Corporation Applicator
JP2001080269A (ja) * 1999-09-14 2001-03-27 Sakura Color Prod Corp 塗布具
WO2002076763A1 (en) * 2001-03-26 2002-10-03 Sanford L.P. Free ink system
US7077593B2 (en) 2002-06-24 2006-07-18 Hics Corporation Writing utensil
JP2005074973A (ja) * 2003-09-04 2005-03-24 Pentel Corp 塗布具における部材の接合構造
KR100758391B1 (ko) * 2003-12-16 2007-09-14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양두식 필기구
KR100562280B1 (ko) * 2004-06-15 2006-03-23 주식회사모나미 필기구
US7887246B2 (en) * 2004-06-22 2011-02-15 Yayoi Hori Liquid supply device
DE202007010060U1 (de) * 2007-07-17 2007-10-18 H & M Gutberlet Gmbh Applikatoreinrichtung zum Auftragen eines flüssigen Mediums
KR200446130Y1 (ko) * 2007-11-30 2009-09-28 (주)아모레퍼시픽 마스카라 겸용 속눈썹 고대기
JP2010089383A (ja) 2008-10-08 2010-04-22 Kowa Kagaku Sangyo Kk 直液式器具
JP5687529B2 (ja) * 2010-03-26 2015-03-18 株式会社サクラクレパス 塗布具
JP2013102910A (ja) 2011-11-14 2013-05-30 3S:Kk 液体供給装置
JP2014128891A (ja) * 2012-12-28 2014-07-10 Pentel Corp 塗布具
JP6142622B2 (ja) * 2013-03-28 2017-06-07 シヤチハタ株式会社 生インキ内蔵筆記具
KR200475064Y1 (ko) * 2014-07-24 2014-11-07 주식회사 버디전자 아이라이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7874A (en) * 1978-04-10 1979-06-12 Freeman Transfer Printing Co. Dye marking device
JPH1148678A (ja) 1997-07-31 1999-02-23 Pentel Kk 高粘度塗布液用塗布具
JPH11301168A (ja) * 1998-04-23 1999-11-02 Pilot Ink Co Ltd 直液式筆記具
JP2001080277A (ja) * 1999-09-14 2001-03-27 Sakura Color Prod Corp 塗布具、並びに、その塗布液供給弁
JP2001219693A (ja) * 2000-02-09 2001-08-14 Mitsubishi Pencil Co Ltd 両頭式直液筆記具
JP2004344858A (ja) 2002-05-28 2004-12-09 Pentel Corp 塗布具
KR20130102910A (ko) 2012-03-08 2013-09-23 이진호 입자 필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769B1 (ko) * 2019-07-19 2020-09-03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더블 힌지 화장품 어셈블리
WO2021015354A1 (ko) * 2019-07-19 2021-01-28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더블 힌지 화장품 어셈블리
KR102212392B1 (ko) * 2019-08-21 2021-02-03 조지원 잉크 배출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WO2021033800A1 (ko) * 2019-08-21 2021-02-25 조지원 잉크 배출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27816B2 (en) 2020-11-10
CN109068829B (zh) 2022-01-18
KR20200088431A (ko) 2020-07-22
CN109068829A (zh) 2018-12-21
KR102181363B1 (ko) 2020-11-20
KR102248616B1 (ko) 2021-05-06
US20180199691A1 (en) 2018-07-19
WO2017195830A1 (ja) 201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5827A (ko) 도포구
CN111183041B (zh) 涂布工具
WO2005123416A1 (ja) 液体供給装置
KR101914349B1 (ko) 도포구
JP2013102910A (ja) 液体供給装置
EP3424746B1 (en) Direct liquid type writing tool
KR101958956B1 (ko) 압력 변동 완충 기구 및 도포구
JP6338798B1 (ja) 塗布具及び塗布液吸蔵体
JP6188865B1 (ja) 塗布具
JP6315637B1 (ja) 塗布具
JP6022093B1 (ja) 塗布具
US11737546B2 (en) Applicator
JP6188111B1 (ja) ダブル使用の塗布具
JP6241972B1 (ja) 塗布具
JP2019187464A (ja) 塗布具
JP6281997B1 (ja) 塗布具
JP2021007421A (ja) 塗布具
JP2020062182A (ja) 液体化粧料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