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064Y1 - 아이라이너 - Google Patents

아이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064Y1
KR200475064Y1 KR2020140005560U KR20140005560U KR200475064Y1 KR 200475064 Y1 KR200475064 Y1 KR 200475064Y1 KR 2020140005560 U KR2020140005560 U KR 2020140005560U KR 20140005560 U KR20140005560 U KR 20140005560U KR 200475064 Y1 KR200475064 Y1 KR 2004750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eyeliner
cosmetic
cosmetic material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5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은
박금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버디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버디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버디전자
Priority to KR20201400055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0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0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0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72Eyelin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Abstract

본 고안은 아이라이너 화장료를 눈 주변에 바르는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즉 아이라이너에 있어서, 아이라이너의 보관 위치에 관계없이 복수의 색상을 갖는 액상의 화장료가 브러시로 상시 안정되게 공급이 가능한 아이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아이라이너는, 수납부재(110)와; 홀더부재(120)와; 밀봉부재(130)와; 조절부재(140)와; 브러쉬조립체(150); 및 브러쉬캡조립체(160)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재(130)와 상기 조절부재(140)의 플랜지(144) 사이에 액상 화장료가 저장되는 화장료 수용부(124)가 구비되는 아이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110)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태로서 그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기 홀더부재(120), 밀봉부재(130), 조절부재(140), 그리고 브러쉬조립체(150) 어셈블리가 서로 대향되게끔 구비됨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이라이너{Eye liner}
본 고안은 아이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이라이너 화장료를 눈 주변에 바르는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즉 아이라이너에 있어서, 아이라이너의 보관 위치에 관계없이 복수의 색상을 갖는 액상의 화장료가 브러시로 상시 안정되게 공급이 가능한 아이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눈 화장은 크게 속눈썹을 풍부하게 보이도록 마스카라 화장료를 속눈썹에 바르는 마스카라 화장과, 눈 주변의 윤곽이 선명하게 보이도록 아이라이너 화장료를 눈 주변에 바르는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일명, 아이라이너) 화장이 있다.
이때, 아이라이너 화장은 눈의 윤곽을 그릴 때 눈이 자연스럽게 크게 보이도록 눈의 윤곽을 한번에 가늘게 그려야 아름다운 눈 화장을 할 수 있다.
한편, 아이라이너는 흑색, 암갈색, 회색, 청색, 보라색 등을 구비하며 주로 액상물로 제조되고 있다. 액체상태의 아이라이너 용액 중에는 가는 섬유를 첨가시켜서 화장 후에 섬유가 속눈썹으로 달라붙어 길어 보이게 하는 기능성을 갖춘 제품도 있다.
최근 들어 아이라이너에 사용되는 액체성 화장안료로서, 인체에 무해하고, 무기안료인 미세입자상의 블랙 산화철(black color oxidized steel)외에 황색 산화철, 녹색 산화철, 청색 산화철, 적색 산화철, 갈색 산화철 등을 혼합하여 액체성 화장료로 제조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각 산화철들은 분자량이나 비중 차이에 의해 일정한 점도나 농도의 유지가 곤란하기 때문에 이를 구조적으로 일정하게 유지 공급하지 못하면, 결국 화장시 발색(發色)이 일정하지 못하고, 다양한 컬러의 표현이 상당히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액체성 화장료를 이용하여 눈 화장을 하기 위해 화장료 저장부로부터 액체성 화장료를 중개 심과 삼투압 방식의 조절기를 이용하여 전방으로 구비된 다공성 도포체나 채색 붓에 공급하여 눈 화장을 하는 화장재료용 용기나 아이라이너가 알려져 있다.
도 1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238717호(이하, 인용고안 1이라함)에 따른 화장재료용 용기의 일 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개방된 전단부(12) 및 후단부(11)를 갖춘 슬리이브 홀더(1)와, 이 슬리이브 홀더의 후단부(11)를 폐쇄시키는 플러그(2)와, 다수의 환형홈(인용고안 1 도 6의 311)을 갖춘 조절기(31)와, 이 조절기(31)의 축방향 구멍 안으로 형성되어 상기 환형홈(311)의 일부와 소통하는 다공성 연결코어(인용고안 1 도 6의 32), 및 이 연결코어(32)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조절기(31)의 전단부에 제공된 소켓(인용고안 1 도 6의 313)안에 삽입되는 다공성 도포체(33)를 가지며, 슬리이브 홀더(1)의 전단부(12)에 고정되는 도포체 유닛(3)과, 슬리이브 홀더(1)의 전단부(12)의 외측 원주상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2중 캡(4), 조절기(31)의 후단부와 슬리이브 홀더(1)의 전단부(12) 사이에 형성된 화장재료 저장부(13)를 포함하며, 연결코어(32)가 조절기(31)내에 배열되어 연결코어(32)의 후단부가 저장부(13) 안으로 연장하는 화장재료용 용기가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화장재료용 용기는, 화장재료 저장부(13)에 저장된 화장료가 삼투압 방식의 조절기(31) 및 이 조절기의 중앙에 관통 설치된 연결코어(32)를 통해 전방으로 구비된 붓 형태의 도포체(33)로 직접 공급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기공률이 낮은 연결코어(32)의 구조상 일정한 농도의 배합비율이 유지되는 상태로서 도포체(33)에 대한 화장료의 지속적인 공급이 불가능할 뿐 아니라 화장료의 불규칙한 공급으로 인해 안정되고 일률적인 화장 상태, 예컨대 안정된 발색(發色)의 제공이 어렵다.
또한, 붓 형태의 도포체로서 다공성 소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브러시 타입의 도포체에 비하여 화장에 따른 피부 촉감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슬리이브 홀더(1)의 내부로 조절기(31)의 설치시 플랜지(인용고안 1 도 6의 317)가 슬리이브 홀더(1)의 내벽 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지지되므로, 화장재료용 용기를 수평으로 놓아두는 경우 화장재료 저장부(13)내의 잔존 화장재료가 연결코어(32)의 축선 방향 아래로 머물게 되는 경우 연결코어(32)를 통한 도포체(33)로의 화장재료 공급이 중단되기 때문에 도포체(33)의 흡수력을 크게 저하시키고, 이러한 문제는 화장재료용 용기가 거꾸로 세워지는 경우에도 화장재료 저장부(13) 내의 화장료의 잔류량이 적어 하부로 몰리게 되기 때문에 이 역시 화장재료 저장부(13) 내측으로 연장되게 끼워진 연결코어(32)가 화장재료 속에 묻히지 않게 되어 전방의 도포체(33)에 대한 화장재료의 공급이 중단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다.
한편, 도 2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81544호(이하, 인용고안 2라 함)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분리상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잉크가 충진될 수 있게 길이방향으로 내부 통공되어 후방 단부는 본체마개(16)로 끼움 밀폐되면서 전방에는 용기뚜껑(12)이 끼움되는 용기본체(10)와, 잉크가 균일하게 외부 누출될 수 있게 용기본체(10)에 내장되는 잉크조절기(20)와, 탄력이 우수한 인조모로 사용중에 잉크가 균일하게 누출되어 눈꺼풀 끝에 채색될 수 있게 잉크조절기(20)의 붓체결구 안으로 일단이 삽입되어 용기본체(10)의 전방 단부로 노출되는 채색붓(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잉크조절기를 갖는 아이라이너가 개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또한 필터닙(18)을 통해서만 채색붓(14)으로 잉크를 공급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므로 도 1에 도시된 화장재료용 용기와 마찬가지로 채색붓(14)에 대해 잉크의 배합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로 공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아이라이너는 단일 색상으로만 공급이 되므로, 복수의 색상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아이라이너를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238717호(1999. 10. 1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81544호(2002. 06. 28)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적정량의 화장료가 일정한 농도로서 지속적으로 공급되면서 상기 촉촉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한 아이라이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아이라이너의 보관 위치에 관계없이 화장료가 상시 공급되면서 아이라인을 그리기에 최적의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는 아이라이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목적은 화장시 발색 변화가 심하지 않고 일정하며, 브러쉬의 모 사이가 화장분 등의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현상 없이 안정된 액체 화장료의 공급이 가능한 아이라이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장료 수용부 내에 화장료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아이라이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절부재에 별도로 구비된 제 2이격홈 및 연통공에 의해 화장료가 브러쉬조립체 방향으로 급격하게 누출되는 현상이나 화장료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아이라이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분리형 구조를 갖는 홀더부재를 통해 화장료 수용부에 수용된 화장료의 유체 압력이 본체부 외부로 일부 유출됨에 따라 조절부재의 플랜지 형성부위에 유체 압력이 급격하게 가해지는 것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아이라이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아이라이너에서 서로 다른 색상을 선택하여 사용 가능한 아이라이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한 후 화장하기 위한 수납부재(110)와; 외주면을 통해 상기 수납부재(110)가 삽입되는 홀더부재(120)와; 상기 홀더부재(120)의 후단부를 통해 압입되어 상기 후단부를 밀폐시키는 밀봉부재(130)와; 전단부에 심부재고정부(142)가 구비되고, 후단부에 플랜지(144)가 형성되며, 상기 심부재고정부(142)와 플랜지(144) 사이의 외측 원주상에 화장료공급조절홈(146)이 구비되어 상기 홀더부재(120)의 내부에서 상기 밀봉부재(130)와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조절부재(140)와; 상기 조절부재(140)의 내부를 관통하는 브러쉬조립체(150); 및 내주면 일측에 스토퍼(162a)가 구비된 주 캡(162)과, 상기 주 캡(162)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162a)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탄성부재(166)와, 상기 주 캡(162)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166)에 의해 상기 스토퍼(162a)에 압입되는 보조 캡(164)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재(110)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홀더부재(12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러쉬캡조립체(160)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재(130)와 상기 플랜지(144) 사이에 액상 화장료가 저장되는 화장료 수용부(124)가 구비되는 아이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110)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태로서 그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기 홀더부재(120), 밀봉부재(130), 조절부재(140), 그리고 브러쉬조립체(150) 어셈블리가 서로 대향되게끔 구비됨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라이너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심부재고정부(142)의 입구측에는 통기용 슬릿(142b)이 형성되고, 상기 화장료공급조절홈(146)과 나란한 방향으로 대소(大小) 슬릿(148a)(148b)이 구비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화장료공급조절홈(146)의 일단부와 상기 심부재고정부(142) 사이에 제 1이격홈(a)이 구비되고, 화장료공급조절홈(146)의 타단부와 플랜지(144) 사이에 제 2이격홈(b)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제 2이격홈(b)에는 상기 조절부재(140) 내부의 구멍(140a)과 연통되는 연통공(B-1)이 구비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 상기 브러쉬조립체(150)는, 심(芯)부재(152)와;, 상기 심(芯)부재(152)의 전단부에 구비된 삽입돌기(152a)와; 후단부를 통해 상기 삽입돌기(152a)가 연결되는 중공의 몸체(154a)와, 이 몸체(154a)의 전단부에 구비된 브러쉬(154b)를 포함하는 브러쉬부재(154)와;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가이더(156)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아이라이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브러시에 화장료 수용부로부터 적정량의 화장료가 일정한 농도로서 지속적으로 공급되면서 브러시는 화장료에 의해 상시 촉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둘째, 화장료공급조절홈의 양단부에 화장료가 상시 충진된 상태의 복수의 이격홈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아이라이너의 보관 위치에 관계없이 화장료가 모세관 작용에 의해 심(芯)부재 및 브러시로 상시 공급되면서 아이라인을 그리기에 최적의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다.
셋째, 일정한 배합 농도의 화장료 공급을 통해 화장시 발색 변화가 심하지 않고 일정하며, 브러쉬의 모 사이가 화장분 등의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현상 없이 안정된 액체 화장료의 공급이 가능하다.
넷째, 화장료 수용부 내에 화장료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볼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화장료 침전 방지를 위해 아이라너를 간헐적으로 흔들어 주는 불편함이 해소된다.
다섯째, 아이라이너가 역립된 상태에 있더라도, 조절부재에 별도로 구비된 제 2이격홈 및 연통공에 의해 화장료가 브러쉬조립체 방향으로 급격하게 누출되는 현상이나 화장료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여섯째, 홀더부재를 분리형 구조로 할 경우 본체부의 개방된 전단부를 통해 화장료 수용부에 수용된 화장료의 유체 압력이 본체부 외부로 일부 유출됨에 따라 조절부재의 플랜지 형성부위에 유체 압력이 급격하게 가해지는 것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일곱째, 하나의 아이라이너에서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화장료를 각각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화장재료용 용기의 일 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아이라이너의 일 예를 나타낸 분리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아이라이너에 있어서의 브러쉬캡부재와 수납부재의 분리 상태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상세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아이라이너에 있어서의 조절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조절부재의 종단면도,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조절부재의 종방향 평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사용 상태를 보인 발췌 확대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아이라이너에 있어서의 홀더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타낸 분리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이라이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전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조립상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아이라이너에 있어서의 브러시캡부재와 수납부재의 분리 상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상세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아이라이너에 있어서의 조절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조절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조절부재의 종방향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아이라이너의 사용 상태를 보인 발췌 확대 단면도로서,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라이너는 크게 수납부재(110), 홀더부재(120), 밀봉부재(130), 조절부재(140), 브러쉬조립체(150), 그리고 브러쉬캡조립체(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수납부재(110)는 사용자가 파지한 후 화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공의 원통 형태를 가지며, 개방된 일단부(112)를 통해 후술하는 홀더부재(120)가 삽입된 후, 이 홀더부재(120)에 구비된 걸림테(122)에 수납부재(110)가 걸림결합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홀더부재(120)는 중공의 원통 형태로서 외주면 일측 둘레를 따라 걸림테(122)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수납부재(110)에 삽입된 후 이동 중에 수납부재(110)의 전단부가 걸림테(122)에 걸려서 더 이상의 삽입이 방지된다. 또한, 홀더부재(120)는 걸림테(122)를 기준으로 전단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감소하고, 후단부는 동일한 폭을 유지하고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밀봉부재(130)는 전단부가 개방되어 있어서 홀더부재(120)의 개방된 후단부를 통해 압입되어 상기 후단부를 밀폐시킨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조절부재(140)는 홀더부재(120)의 내부에서 밀봉부재(130)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끔 끼워지며, 내부를 후술하는 브러쉬조립체(150)가 관통한다.
이때, 조절부재(140)는 전단부에 후술하는 심(芯)부재(도 5의 152)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142a)이 형성된 심부재고정부(142)가 구비되고, 후단부에 플랜지(144)가 형성되며, 심부재고정부(142)와 플랜지(144) 사이의 외측 원주상에 화장료공급조절홈(146)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때, 화장료공급조절홈(146)이 구비된 조절부재(140)의 몸통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공지의 통기공(미도시)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밀봉부재(130)와 플랜지(144) 사이에 액상 화장료가 저장되는 화장료 수용부(124)가 구비되며, 이때, 화장료 수용부(124)에는 후술하는 심(芯)부재(152)로 화장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공지의 모세관 홈(124a)이 화장료 수용부(1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화장료 수용부(124) 내에는 화장료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볼(128)이 내장된다. 즉, 볼(128)은 화장료 수용부(1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면서 액상의 화장료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도 8 중 미설명 부호 140a는 구멍이다.
도 7, 도 8, 도 10을 참조하면, 심부재고정부(142)의 입구측에는 통기용 슬릿(142b)이 형성되고, 상기 화장료공급조절홈(146)과 나란한 방향으로 모세관 현상(capillarity)이 발현되기 위한 대소(大小) 슬릿(148a)(148b)이 서로 대향되게 끔 형성되며, 이 대소(大小) 슬릿(148a)(148b)은 도 5에 도시된 홀더부재(120)의 내부 구멍과 소통한다.
이때, 대소(大小) 슬릿(148a)(148b)은 화장료공급조절홈(146)의 외측 원주상에서 전단부~후단부에 걸쳐 2개 형성된 것이 나타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장료공급조절홈(146)의 둘레를 따라 슬릿이 120°간격으로 3부위 형성되거나, 또는 90°간격으로 4부위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조절부재(140)와, 후술하는 브러쉬조립체(150)가 홀더부재(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통기용 슬릿(142b), 대소(大小) 슬릿(148) 그리고 홀더부재(120)에 형성되는 틈새(도 4의 126)를 통해 화장료 수용부(124)의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며, 이와 같이 화장료 수용부(124)내로 외기가 유입되면, 온도 변화로 따라 화장료 수용부(124)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되는 경우에 조절부재(140) 내의 화장료공급조절홈(146)과 화장료 수용부(124)의 사이로 화장료가 유입되어 압력 변화가 자동으로 조절된다.
이에 따라 조절부재(140)의 모세관 작용(삼투압 현상)에 의해 대기압이나 대기 온도 등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여 화장료가 브러시(도 5의 154b)로 과도하게 공급되거나 또는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도 8을 참조하면 화장료공급조절홈(146)의 일단부와 심부재고정부(142) 사이에 제 1이격홈(a)이 구비되고, 화장료공급조절홈(146)의 타단부와 플랜지(144) 사이에 제 2이격홈(b)이 구비된다.
이때, 제 2이격홈(b)에는 조절부재(140) 내부의 구멍(140a)과 연통되는 연통공(B-1)이 형성되며, 이러한 연통공(B-1)의 폭은 0.2~0.8㎜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가 바람직하다. 연통공(B-1)의 폭을 이와 같이 한정한 것은 연통공(B-1)의 폭이 0.2㎜ 미만시 효과가 미미하고, 0.8㎜ 초과시 액상 화장료의 분출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된 복수의 이격홈(a)(b) 및 연통공(B-1)에 의해 아이라이너(100)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삼투압 방식에 의해 화장료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다(추후 상술함).
도 5를 참조하면, 브러쉬조립체(150)는 일정 직경을 갖는 심(芯)부재(152)의 전단부에 구비된 삽입돌기(152a)가 브러쉬부재(154)의 몸체(154a)를 통해 일정 깊이로 삽입,지지되며, 심부재(152)는 섬유질 소재로서 이를 통해 화장료가 흡수 내지 배출된다.
삽입돌기(152a)는 심(芯)부재(152)의 전단부에 구비되며, 높은 기공률(氣孔率)을 통해 화장료의 높은 흡수 저장능력을 갖도록 다공성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심부재(152) 및 후술하는 브러쉬(154b) 사이에 구비되어 화장료가 원활히 공급되도록 한다.
삽입돌기(152a)는 심(芯)부재(152)의 전단부에 일체형 또는 분리 가능한 구조로 구비시킬 수 있다. 몸체(154a)는 후단부에 삽입돌기(152a)가 연결되고, 전단부에 브러쉬(154b)가 연결되어 인조 모(毛) 재질의 브러쉬(154b)를 보호하며, 이러한 브러시(154b)와 삽입돌기(152a)에 의해 화장료가 공급되면서 브러시(154b)는 항상 화장료가 촉촉하게 흡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중이 상이한 여러 화장료를 배합 사용하더라도 화장에 따른 발색 변화없이 고른 화장이 가능하다.
이때, 브러쉬부재(154)는 중공의 몸체(154a)와, 이 몸체의 전단부에 구비된 브러쉬(154b)를 포함하며, 삽입돌기(152a)가 브러쉬부재(154)의 몸체(154a)에 삽입되고, 이 몸체(154a)가 중공의 가이더(156)를 관통하여 가이더(156) 내부에 지지된다.
상기 화장료 수용부(124)에 수용된 화장료는 아이라이너가 수평방향으로 놓여 있거나, 역립된 상태이거나, 비스듬하게 놓여지는 상태로서 보관되더라도 상시 모세관 홈(124a)에 접촉하며, 이러한 화장료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 모세관 홈(124a)을 따라 이동되고, 이와 같이 모세관 홈(124a)을 따라 이동되는 화장료는 심(芯)부재(152)로 공급되고, 심부재(152)는 전체 길이를 따라 화장료를 흡수 및 배출한다.
또한, 심(芯)부재(152)로 공급된 화장료는 조절부재(140)의 삼투압 작용에 의해 심(芯)부재(152)를 통해 삽입돌기(152a)로 흡수 저장되고, 이 삽입돌기(152a)에 흡수 저장된 화장료는 브러시(154b)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면서 브러시(154b)는 화장료에 의해 상시 촉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르면, 화장료공급조절홈(146)의 양단부에 복수의 이격홈(a)(b)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아이라이너가 수평방향으로 놓여 있거나, 역립된 상태이거나, 비스듬하게 놓여지는 상태로서 보관되더라도 각각 일정 폭을 갖는 상기 이격홈(a)(b)내에 화장료가 상시 충진된 상태이므로 이러한 화장료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 심(芯)부재(152)로 공급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돌기(152a)를 거쳐 브러시(154b)로 상시 공급되면서 브러시(154b)를 통해 아이라인을 그리기에 최적의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이격홈(b)에는 조절부재(140) 내부의 구멍(140a)과 연통되는 연통공(B-1)이 형성되어 있는 바, 아이라이너(100)가 수평 상태로 놓여 있거나 사용자가 눈화장을 위해 수납부재(110)를 브러쉬캡조립체(160)로부터 분리시키면, 화장료 수용부(124)에 수용된 화장료가 조절부재(140)측으로 이동하면서 이동에 따른 유체 압력이 조절부재(140)의 플랜지(144) 형성부위에 급격하게 가해진다.
이때, 제 2이격홈(b)의 연통공(B-1)은 상기 화장료 이동에 따른 유체 압력을 일부 흡수하면서 화장료의 일부가 연통공(B-1)을 통해 제 2이격홈(b)으로 분출되며, 이와 같이 분출된 화장료는 화장료공급조절홈(146)에 유입되면서 제 1이격홈(a) 형성 부위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아이라이너(100)가 가령 역립된 상태에 있더라도, 상기 제 2이격홈(b) 및 이에 구비된 연통공(B-1)에 의해 화장료가 브러쉬조립체(150) 방향으로 급격하게 누출되는 현상이나 화장료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열대 지방의 경우 수납부재(110)를 브러쉬캡조립체(160)로부터 분리시킬 때 화장료가 급격하게 이동하면서 이에 따른 압력에 의해 화장료가 쏟아지는 경우가 빈발하나, 본 고안에 따르면 제 2이격홈(b) 및 이에 구비된 연통공(B-1)에 의해 화장료가 브러쉬조립체(150) 방향으로 급격하게 누출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사용자가 눈화장을 위해 수납부재(110)를 브러쉬캡조립체(160)로부터 분리시키더라도 화장료가 브러시(154b)를 통해 사용자측으로 튀는 현상 역시 방지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브러쉬캡조립체(160)는 주 캡(162), 보조 캡(164), 그리고 탄성부재(166)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재(110)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홀더부재(120)의 외측 원주상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후단부가 개방된 주 캡(162)의 내주면 일측에는 스토퍼(162a)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탄성부재(166)가 주 캡(162)에 삽입된 후, 스토퍼(162a)에 의해 그 이탈이 방지된다.
보조 캡(164)은 주 캡(162)과 유사한 형태로서, 외주면 일측에 걸림돌기(164a)가 구비되어 있어서, 탄성부재(166)와 함께 주 캡(162)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돌기(164a)가 스토퍼(162a)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며, 이러한 보조 캡(164)은 탄성부재(166)의 탄성력에 의해 스토퍼(162a)에 압입되고, 탄성부재(166)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려진다.
이에 따라 수납부재(110)가 브러시캡조립체(160)에 삽입되면, 수납부재(110)에 수용된 브러쉬조립체(150)가 보조 캡(164) 및 탄성부재(166)를 밀면서 주 캡(162)의 내측에 밀착되고, 브러시조립체(150)가 브러쉬캡조립체(160) 내부에 수용되면서 브러쉬(154b)를 보호하게 된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수납부재(110)는 그 중앙부를 중심으로 홀더부재(120), 밀봉부재(130), 조절부재(140), 그리고 브러쉬조립체(150) 어셈블리(assembly)가 서로 대향되게끔 구비됨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색상(가령, 흑색 과 보라색)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즉, 수납부재(110)의 개방된 일단부(112)를 통해 홀더부재(120), 밀봉부재(130), 조절부재(140), 그리고 브러쉬조립체(150) 어셈블리가 연결되고, 수납부재(110)의 개방된 타단부(114)를 통해 다른 홀더부재(120), 밀봉부재(130), 조절부재(140), 그리고 브러쉬조립체(150) 어셈블리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각기 다른 홀더부재(120), 밀봉부재(130), 조절부재(140), 그리고 브러쉬조립체(150) 어셈블리를 통해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액상의 화장료를 각각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여러 개의 아이라이너를 구입하지 않고, 하나의 아이라이너에서 복수의 색상(흑색과 보라색)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조립 과정의 일 예를 도 3 및 도 5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전, 주 캡(162)에 탄성부재(166)와 보조 캡(164)을 차례로 삽입하여 브러쉬캡조립체(160)를 준비한다.
또한, 수납부재(110), 홀더부재(120), 밀봉부재(130), 조절부재(140), 브러쉬조립체(150)를 조립한다. 즉, 브러쉬조립체(150)의 심부재(152)를 조절부재(140)의 심부재고정부(142)에 연결하고, 몸체(154a)의 외주면에 가이더(156)를 연결한 후에 이 조립체를 홀더부재(120)의 후단부를 통해 이 홀더부재 내부로 밀어서 수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절부재(140)의 후방에 화장료 수용부(124)가 형성되고, 이 화장료 수용부(124)에 액상의 화장료를 충전시킨 후에 볼(128)을 넣은 후, 밀봉부재(130)를 통해 홀더부재(120)의 후단부를 밀폐시킨다. 또한, 홀더부재(120)를 수납부재(110)에 삽입시켜서 홀더부재(120)의 걸림테(122)에 수납부재(110)의 전단부가 걸리도록 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조립체를 브러쉬캡조립체(160)에 연결함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이라이너가 조립되고, 이때 당초 신장되어 있던 탄성부재(166)는 브러쉬조립체(150)가 보조 캡(164) 내부로 삽입되면서 압축되며, 이때 브러쉬조립체(150)의 브러쉬(154b)는 주 캡(162) 및 보조 캡(164) 내부에서 보호되며, 브러쉬(154b)의 건조가 방지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아이라이너를 사용하기 위해 수납부재(110)를 브러쉬캡조립체(160)로부터 분리시키면, 탄성부재(166)가 원래 상태로 복귀하면서 수납부재(110), 홀더부재(120), 밀봉부재(130), 조절부재(140), 브러쉬조립체(150)가 브러쉬캡조립체(160)로부터 분리되면서 눈 화장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브러쉬(154b)를 통해 눈 주변의 윤곽이 선명하게 보이도록 화장료를 눈 주변에 바른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르면 브러시(154b)에 화장료 수용부(124)로부터 적정량의 화장료가 일정한 농도로서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즉, 화장료 수용부(124)에 수용된 화장료는 아이라이너의 보관 위치에 상관없이 상시 모세관 홈(124a)에 접촉하며, 이러한 화장료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 모세관 홈(124a)을 따라 이동되고, 화장료는 모세관 홈(124a)을 따라 이동되는 화장료는 심(芯)부재(152)로 공급된다.
또한, 심(芯)부재(152)로 공급된 화장료는 조절부재(140)의 삼투압 작용에 의해 삽입돌기(152a)로 흡수 저장되고, 이 삽입돌기(152a)에 흡수 저장된 화장료는 브러시(154b)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면서 브러시(154b)는 화장료에 의해 상기 촉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화장료공급조절홈(146)의 양단부에 복수의 이격홈(a)(b)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아이라이너의 보관 위치(수평 상태, 역립 상태, 비스듬한 상태등)에 관계없이 이격홈(a)(b)내에 화장료가 상시 충진된 상태이므로 이러한 화장료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 심(芯)부재(152) 및 브러시(154b)로 상시 공급되면서 이를 통해 아이라인을 그리기에 최적의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아이라이너(100)가 역립된 상태에 있더라도, 상기 제 2이격홈(b) 및 이에 구비된 연통공(B-1)에 의해 화장료가 브러쉬조립체(150) 방향으로 급격하게 누출되는 현상이나 화장료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눈화장을 위해 수납부재(110)를 브러쉬캡조립체(160)로부터 분리시키더라도 화장료가 브러시(154b)를 통해 사용자측으로 튀는 현상 역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정한 배합 농도의 화장료 공급을 통해 화장시 발색 변화가 심하지 않고 일정하며, 종래 붓 형태의 다공성 도포체와는 달리 브러시(154b) 모 사이가 화장분 등의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현상 없이 안정된 액체 화장료의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화장료 수용부(124) 내에는 화장료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볼(128)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화장료 침전 방지를 위해 아이라너를 간헐적으로 흔들어 주는 불편이 해소된다.
한편,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아이라이너에 있어서의 홀더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전술한 홀더부재(120)가 분리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재(200)는 본체부(210) 및 끼움부(220)를 포함한다. 본체부(210)는 중공의 원통 형태로서 후단부가 밀폐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밀봉부재(130)가 불필요하다. 또한, 본체부(210)의 전단부에는 수나사 형태의 결합돌기(212)가 돌출 형성되고, 본체부(210)와 플랜지(144) 사이에 전술한 화장료 수용부(124) 및 모세관 홈(124a)이 구비된다.
또한, 화장료 수용부(124) 내에는 화장료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볼(128)이 내장된다.
끼움부(220)는 중공의 원통 형태로서 외주면 일측 둘레를 따라 걸림테(222)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수납부재(110)에 삽입된 후 이동 중에 수납부재(110)의 전단부가 걸림테(222)에 걸려서 더 이상의 삽입이 방지된다. 또한, 끼움부(220)의 후단부의 암나사 형태의 결합홈(224)에 결합돌기(212)의 외주면이 미끄럼결합된다.
본 고안에서는 본체부(210)의 전단부에 결합돌기(212)가 구비되고, 끼움부(220)의 후단부에 결합홈(224)이 구비된 것이 나타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부(210)에 결합홈(224)를 형성하고, 끼움부(220)에 결합돌기(212)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결합돌기(212)와 결합홈(224)은 수나사나 암나사등 단순히 나사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돌기(212)를 원통 형태로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결합홈(224)을 상기 원통 형태의 결합돌기(212)가 미끄럼 삽입되는 개구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전술한 브러쉬캡조립체(160)를 준비한다.
또한, 브러쉬조립체(150)의 심부재(152)를 조절부재(140)의 심부재고정부(142)에 연결하고, 몸체(154a)의 외주면에 가이더(156)를 연결한 후에 이 조립체를 본체부(210)의 상부로부터 연결한다.
이때, 본체부(210)는 미리 내부에 화장료를 충진하고, 볼(128)을 내장시킨후에 조절부재(140)의 일부를 본체부(210)에 수납하며, 브러쉬부재(154)를 끼움부(220)의 전단부를 통해 노출시킨다.
또한, 홀더부재(200)를 수납부재(110)에 삽입시켜서 홀더부재(200)의 걸림테(222)에 수납부재(110)의 전단부가 걸리도록 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조립체를 브러쉬캡조립체(160)에 연결함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이라이너가 조립된다.
이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210)는 내부에 화장료를 충진된 상태에서 전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끼움부(220)를 연결하기 전에 이 개방된 전단부를 통해 화장료 수용부(124)에 수용된 화장료의 유체 압력이 본체부(210) 외부로 일부 유출됨에 따라 상기 조절부재(140)의 플랜지(144) 형성부위에 유체 압력이 급격하게 가해지는 것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제 2이격홈(b)의 연통공(B-1)은 상기 화장료 이동에 따른 유체 압력을 일부 흡수하면서 화장료의 일부가 연통공(B-1)을 통해 제 2이격홈(b)으로 분출되며, 이와 같이 분출된 화장료는 화장료공급조절홈(146)에 유입되면서 제 1이격홈(a) 형성 부위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아이라이너(100)가 가령 역립된 상태에 있더라도, 상기 제 2이격홈(b) 및 이에 구비된 연통공(B-1)에 의해 화장료가 브러쉬조립체(150) 방향으로 급격하게 누출되는 현상이나 화장료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즉, 홀더부재(200)를 본체부(210) 및 끼움부(220)를 포함하는 분리형 구조로 할 경우, 상기 조절부재(140)에 구비된 제 2이격홈(b) 및 이에 구비된 연통공(B-1)과 함께 화장료가 브러쉬조립체(150) 방향으로 급격하게 누출되는 현상이나 화장료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더욱 더 방지됨과 아울러, 사용자가 눈화장을 위해 수납부재(110)를 브러쉬캡조립체(160)로부터 분리시키더라도 화장료가 브러시(154b)를 통해 사용자측으로 튀는 현상 역시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아이라이너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아이라이너 110 : 수납부재
120,200 : 홀더부재 122,222 : 걸림테
130 : 밀봉부재 140 : 조절부재
142 : 심부재고정부 144 : 플랜지
146 : 화장료공급조절홈 148a,148b : 대소(大小) 슬릿
150 : 브러쉬조립체 152 : 심부재
154 : 브러쉬부재 156 : 가이더
160 : 브러쉬캡조립체 162 : 주 캡
164 : 보조 캡 166 : 탄성부재
210 : 본체부 212 : 결합돌기
220 : 끼움부 224 : 결합홈

Claims (4)

  1. 사용자가 파지한 후 화장하기 위한 수납부재(110)와; 상기 수납부재(110)에 삽입되는 홀더부재(120)와; 상기 홀더부재(120)의 후단부를 통해 압입되어 상기 후단부를 밀폐시키는 밀봉부재(130)와; 전단부에 심부재고정부(142)가 구비되고, 후단부에 플랜지(144)가 형성되며, 상기 심부재고정부(142)와 플랜지(144) 사이의 외측 원주상에 화장료공급조절홈(146)이 구비되어 상기 홀더부재(120)의 내부에서 상기 밀봉부재(130)와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조절부재(140)와; 상기 조절부재(140)의 내부를 관통하는 브러쉬조립체(150); 및 내주면 일측에 스토퍼(162a)가 구비된 주 캡(162)과, 상기 주 캡(162)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162a)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탄성부재(166)와, 상기 주 캡(162)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166)에 의해 상기 스토퍼(162a)에 압입되는 보조 캡(164)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재(110)와 반대방향으로 상기 홀더부재(12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러쉬캡조립체(160)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재(130)와 상기 플랜지(144) 사이에 액상 화장료가 저장되는 화장료 수용부(124)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수납부재(110)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태로서 그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기 홀더부재(120), 밀봉부재(130), 조절부재(140), 그리고 브러쉬조립체(150) 어셈블리가 서로 대향되게끔 구비됨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아이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공급조절홈(146)의 일단부와 상기 심부재고정부(142) 사이에 제 1이격홈(a)이 구비되고, 화장료공급조절홈(146)의 타단부와 플랜지(144) 사이에 제 2이격홈(b)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제 2이격홈(b)에는 상기 조절부재(140) 내부의 구멍(140a)과 연통되는 연통공(B-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라이너.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40005560U 2014-07-24 2014-07-24 아이라이너 KR2004750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560U KR200475064Y1 (ko) 2014-07-24 2014-07-24 아이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560U KR200475064Y1 (ko) 2014-07-24 2014-07-24 아이라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064Y1 true KR200475064Y1 (ko) 2014-11-07

Family

ID=52287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560U KR200475064Y1 (ko) 2014-07-24 2014-07-24 아이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064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0400B1 (ko) 2015-10-01 2017-04-26 최재민 에어 타이트 기능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WO2017100210A1 (en) * 2015-12-07 2017-06-15 Djarar Fischer Lida Makeup applicator
KR20180020079A (ko) 2016-08-17 2018-02-27 김명자 아이 라이너
KR20190024352A (ko) * 2017-08-31 2019-03-08 (주)아모레퍼시픽 두 가지 화장료를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EP3453286A4 (en) * 2016-05-04 2019-05-08 Shya Hsin Packaging Industry (China) Co., Ltd. REPLACEABLE MAKE-UP MATERIAL TANK
KR20190074925A (ko) 2017-12-20 2019-06-28 조지원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KR20190133924A (ko) 2018-05-24 2019-12-04 조지원 관로가 형성된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아이라이너
KR20190133925A (ko) 2018-05-24 2019-12-04 조지원 돌출리브가 형성된 노즐을 구비하는 아이라이너
KR20200088431A (ko) * 2016-05-11 2020-07-22 윈트레이딩 가부시키가이샤 도포구
KR102212392B1 (ko) 2019-08-21 2021-02-03 조지원 잉크 배출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KR20210085010A (ko) 2019-12-30 2021-07-08 김명자 다단 브러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9549B2 (ja) * 2002-02-28 2006-11-22 ぺんてる株式会社 塗布具
KR20090027340A (ko) * 2007-09-12 2009-03-17 주식회사 케미코스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9549B2 (ja) * 2002-02-28 2006-11-22 ぺんてる株式会社 塗布具
KR20090027340A (ko) * 2007-09-12 2009-03-17 주식회사 케미코스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0400B1 (ko) 2015-10-01 2017-04-26 최재민 에어 타이트 기능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WO2017100210A1 (en) * 2015-12-07 2017-06-15 Djarar Fischer Lida Makeup applicator
EP3453286A4 (en) * 2016-05-04 2019-05-08 Shya Hsin Packaging Industry (China) Co., Ltd. REPLACEABLE MAKE-UP MATERIAL TANK
KR20200088431A (ko) * 2016-05-11 2020-07-22 윈트레이딩 가부시키가이샤 도포구
KR102181363B1 (ko) 2016-05-11 2020-11-20 윈트레이딩 가부시키가이샤 도포구
KR20180020079A (ko) 2016-08-17 2018-02-27 김명자 아이 라이너
KR20190024352A (ko) * 2017-08-31 2019-03-08 (주)아모레퍼시픽 두 가지 화장료를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KR101971920B1 (ko) 2017-08-31 2019-04-24 (주)아모레퍼시픽 두 가지 화장료를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
KR20190074925A (ko) 2017-12-20 2019-06-28 조지원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KR20190133924A (ko) 2018-05-24 2019-12-04 조지원 관로가 형성된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아이라이너
KR20190133925A (ko) 2018-05-24 2019-12-04 조지원 돌출리브가 형성된 노즐을 구비하는 아이라이너
KR102212392B1 (ko) 2019-08-21 2021-02-03 조지원 잉크 배출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KR20210085010A (ko) 2019-12-30 2021-07-08 김명자 다단 브러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064Y1 (ko) 아이라이너
KR101464934B1 (ko) 아이라이너
KR100897854B1 (ko)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US7237973B1 (en) Cosmetic structure
EP0622035B1 (en) Applicator system for fluid cosmetic material
US7172360B2 (en) Art instrument
KR101226806B1 (ko)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US20070227552A1 (en) Applicator and a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KR101806524B1 (ko) 화장품 용기
EP1044625A1 (fr) Capsule applicatrice et ensemble d'application équipé d'une telle capsule applicatrice
EP3031351B1 (en) Airless compact container
JPS6395005A (ja) 化粧品アプリケ−タ
WO2008072823A1 (en) A dispenser container provided with an applier
JP7411713B2 (ja) 2つの化粧品を塗布するためのキャップ及びバイアルのアプリケータシステム
KR20160095459A (ko) 화장품 용기
KR20170044862A (ko) 색소수용공간이 형성된 도포부재를 갖는 립메이크업 용기
KR101267518B1 (ko) 아이 라이너
KR101754693B1 (ko) 액상 아이브로우 용기
JP3344447B2 (ja) 化粧用塗布具
CN114587061A (zh) 眼线笔
KR102175091B1 (ko) 펄입자가 이동되는 홈이 형성된 펄가이드부재 삽입형 도포구
KR200466900Y1 (ko) 세필 브러시 타입 아이라이너
US10786063B2 (en) Flow-through applicator device
TWM578532U (zh) Brush pen structure
KR102379109B1 (ko) 화장용 어플리케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