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925A -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 Google Patents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925A
KR20190074925A KR1020180058923A KR20180058923A KR20190074925A KR 20190074925 A KR20190074925 A KR 20190074925A KR 1020180058923 A KR1020180058923 A KR 1020180058923A KR 20180058923 A KR20180058923 A KR 20180058923A KR 20190074925 A KR20190074925 A KR 20190074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ink
eyeliner
rotation
pushing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702B1 (ko
Inventor
조지원
Original Assignee
조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지원 filed Critical 조지원
Publication of KR20190074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72Eyeliner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눈매를 아름답게 화장하는 종래의 아이라이너에 누름 조절부와 회전 조절부를 설치함으로서 화장잉크의 과도한 배출을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효율적인 화장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회전 조절부의 회전시 일정 간격으로 라쳇음이 발생되게 하여 화장잉크 배출의 미세한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Eyeliner equipped with cosmetic ink discharge control function}
본 발명은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눈매를 아름답게 화장하는 종래의 아이라이너에 누름 조절부와 회전 조절부를 설치함으로서 화장잉크의 과도한 배출을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효율적인 화장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회전 조절부의 회전시 일정 간격으로 라쳇음이 발생되게 하여 화장잉크 배출의 미세한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눈매를 아름답게 화장하는 아이라이너는 펜슬 타입, 리퀴드 타입, 브러시펜 타입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다.
펜슬 타입의 아이라이너는 화장이 용이하여 초보자도 사용할 수 있으나, 리퀴드 또는 브러시펜 타입보다 쉽게 번지거나 지워져 화장을 자주 고쳐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리퀴드 타입의 아이라이너는 브러시가 뚜껑에 형성되어 있어, 사용 전에 아이라이너를 잘 흔들어준 후 사용해야 하며, 뚜껑에 형성된 브러시에 계속해서 화장잉크를 묻혀 가며 화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브러시펜 타입의 아이라이너는 용기 안에 화장잉크가 내장되어 있어 화장 시 브러시에 조금씩 묻어 나오는 구조로서 리퀴드 타입보다 번거로움 없이 눈매를 그릴 수 있으며 눈꼬리를 그리기가 편한 장점이 있어 초보자의 선호도도 높다.
그러나, 브러시펜 타입의 아이라이너는 화장잉크가 과도하게 배출되는 등 화장잉크의 균등한 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브러시에 묻어 있는 화장잉크가 빠르게 증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브러시펜 타입의 아이라이너에 화장잉크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를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Y1) 제20-0441749호 (등록일: 2008.08.29.)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Y1) 제20-0475064호(등록일: 2014.10.28.)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정간격으로 이동 가능한 피스톤부를 설치함으로서 화장잉크의 배출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스톤부와 연동되는 누름 조절부를 형성함으로서 화장잉크의 배출 또는 흡입을 통해 화장잉크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스톤부와 연동되는 회전 조절부를 형성함으로서 화장잉크의 배출 또는 흡입을 통해 화장잉크의 배출량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 조절부를 회전시킬 때, 일정 간격으로 라쳇음이 발생되게 하여 화장잉크 배출량의 파악을 용이하게 하고, 이를 통해 화장잉크 배출량의 미세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화장잉크가 저장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단부에 장착되며, 브러시가 형성되어 있는 도포부; 상기 몸체부의 타측단부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푸쉬 동작에 따라 전진과 후진을 왕복하여 상기 화장잉크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누름 조절부; 및 상기 누름 조절부와 연동되어 이동하는 피스톤 로드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에 저장된 화장잉크를 배출시키거나 상기 도포부에 축적된 화장잉크를 흡입시키는 피스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누름 조절부는 상기 푸쉬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캠 및 캠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캠 기어는 상기 누름부재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캠은 변환된 상기 회전운동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캠과 연동된 상기 피스톤 로드를 제1 소정거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푸쉬 동작 1 회 시, 상기 전진 거리는 0.5~2.0mm이고, 상기 후진 거리는 0.3~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소정거리의 이동은 상기 푸쉬 동작 6 회 시, 0.5~1.5mm 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회전 동작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화장잉크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회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조절부는 상기 누름 조절부와 연동되어 상기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피스톤 로드를 제2 소정거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소정거리의 이동은 상기 회전 조절부 1 회전 시, 0.5~1.5mm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조절부는 상기 회전 동작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라쳇음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라쳇음은 상기 회전부 1 회전 시, 20~30 회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포부는, 상기 브러시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화장잉크를 상기 브러시 상으로 안내하는 관로가 형성된 탄성부재; 및 상기 도포부를 상기 몸체부에 고정시키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리브가 형성된 노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화장잉크가 저장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단부에 장착되며, 브러시가 형성되어 있는 도포부; 상기 몸체부의 타측단부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전진과 후진을 왕복하여 상기 화장잉크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회전 조절부; 및 상기 회전 조절부와 연동되어 이동하는 피스톤 로드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에 저장된 화장잉크를 배출시키거나 상기 도포부에 축적된 화장잉크를 흡입시키는 피스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푸쉬 동작에 따라 전진과 후진을 왕복하여 화장잉크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누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도포부는, 상기 브러시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화장잉크를 상기 브러시 상으로 안내하는 관로가 형성된 탄성부재; 및 상기 도포부를 상기 몸체부에 고정시키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리브가 형성된 노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는,
본 발명은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의 피스톤부와 연동되는 누름 조절부를 형성함으로서 화장잉크의 배출 또는 흡입을 통해 화장잉크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의 피스톤부와 연동되는 회전 조절부를 형성함으로서 화장잉크의 배출 또는 흡입을 통해 화장잉크의 배출량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 조절부를 회전시킬 때, 일정 간격으로 라쳇음이 발생되게 하여 화장잉크 배출량의 파악을 용이하게 하고, 이를 통해 화장잉크 배출량의 미세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b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의 내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의 피스톤부 및 누름 조절부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b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의 누름 조절부 일부 구성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c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의 피스톤부 일부 구성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a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의 회전 조절부 및 몸체부의 측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b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의 몸체부 일단의 평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 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또한,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그리고,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a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100)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b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100)의 내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a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100)의 피스톤부(300) 및 누름 조절부(200)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b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100)의 누름 조절부(200)의 일부 구성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c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100)의 피스톤부(300)의 일부 구성 평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a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100)의 회전 조절부(600) 및 몸체부(400)의 측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b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100)의 몸체부(400) 일단의 평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100)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몸체부(400), 도포부(500), 누름 조절부(200) 및 피스톤부(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구성으로 회전 조절부(600), 캡부(70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몸체부(400)는 화장잉크가 저장되는 구성요소이며, 화장잉크 배출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100)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이다. 이러한 몸체부(400)에는 도포부(500), 누름 조절부(200), 피스톤부(300), 회전 조절부(600) 및 캡부(700) 등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길이를 가진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각 구성들은 나사결합 또는 끼움결합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몸체부(400) 일단의 내면에는, 도 4b에 도시된, 라쳇홈(41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기능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포부(500)는 몸체부(400)의 일측단부에 장착되며, 브러시(550)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도포부(500)는 추가적으로 볼(510), 케이스 홀더(520), 탄성부재 케이스(530), 탄성부재(540) 및 노즐(56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볼(510)은 몸체부(4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자유롭게 움직이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사용자가 몸체부(400)를 파지하고 흔들게 되면 볼(510)이 몸체부(400)의 내면의 벽을 두드리며 자유롭게 돌아다니게 되는데, 이를 이용하면 상기 화장잉크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화장잉크에 침전물이 발생한 경우 이를 섞어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케이스 홀더(520)는 몸체부(400)에 직접적으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화장잉크가 배출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탄성부재 케이스(530)는 상기 케이스 홀더(520)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케이스 홀더(520)의 유로와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 케이스(530)는 상기 탄성부재(540)가 직접 끼움결합되어 탄성부재(540)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케이스 홀더(520)는 상기 탄성부재 케이스(530)가 삽입되어 유동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 케이스(530)는 케이스 홀더(520)에 삽입된 상태로 피스톤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만약, 탄성부재(540)가 몸체부(400)의 선단부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면, 상기 화장잉크가 몸체부(400)로부터 배출될 때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540)가 이탈되거나 파손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피스톤 운동이 가능하여 유동성을 가질 수 있는 탄성부재 케이스(530) 및 케이스 홀더(520)와 같은 구성을 함께 구성함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탄성부재(540)가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탄성부재(540)는 브러시(550)의 내부에 삽입되는 구성요소로서, 탄성부재 케이스(530)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540)에는 내부에 관로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관로는 케이스 홀더(520) 및 탄성부재 케이스(530)의 유로와 연통되어 상기 화장잉크를 브러시(550) 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로가 형성된 탄성부재(540)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브러시(550)가 휘어질 때 함께 휘어질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540)의 양단은 서로 직경이 상이할 수 있는데, 이때, 직경이 작은 쪽이 브러시(550) 방향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탄성을 갖는 소재에 대한 예를 들면, 고무재질, 실리콘재질, 스테인레스 재질 등과 같은 내화학성 재료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재질일 수 있다. 스테인레스 재질을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한다면 탄성부재(540)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화장을 할 때에는 브러시(550)의 끝단 부분을 이용하여 화장하게 되는데, 상기 관로가 형성된 탄성부재(540)는 브러시(550)에 깊숙히 삽입될 수 있으면서도 잘 휘어질 수 있기 때문에, 기타 탄성이 없는 소재로 형성된 파이프를 브러시(500)에 삽입하여 사용할 때 보다 안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처럼 상기 관로가 형성된 탄성부재(540)를 이용하게 되면 브러시(550)의 측면으로 상기 화장잉크가 새어나가 필요 이상으로 낭비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더욱 효율적인 화장이 가능하다.
브러시(550)는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구성요소로서, 브러시(550)는 미세 단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재질은 PBT(Polybutylen Terepthalate)를 포함하는 재질이거나 나일론과 같은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잉크를 효과적으로 흡착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고르게 전달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브러시(550)의 내부에는 탄성부재(540)가 삽입되도록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노즐(560)은 도포부(500)를 몸체부(40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러한 노즐(560)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리브가 노즐(5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브러시(550)가 노즐(560)에 삽입되게 되면 상기 돌출리브가 브러시모 사이로 침입하여 브러시(550) 내부에 틈새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틈새공간은 화장잉크를 축적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브러시(550)에 묻어 있는 화장잉크가 마르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어 지속적인 화장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누름 조절부(200)는 몸체부(400)의 타측단부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푸쉬 동작에 따라 전진과 후진을 왕봉하여 상기 화장잉크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누름부재(21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기본적으로 누름부재(210), 캠 기어(220), 캠(230) 및 캠 스프링(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누름부재(210)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르는 푸쉬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푸쉬력을 직접 받아들이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캠 기어(220)는 누름부재(210)가 받아들인 상기 푸쉬력을 캠(230)에 전달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한편, 캠 기어(220)는 상기 푸쉬력의 운동 형태인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사선형상으로 돌출된 기어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회전운동을 하는 것은 상기 푸쉬력이 전달된 캠(230)이며, 캠 기어(220)는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고 직선운동만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사선형상의 각도는 사용자가 누름부재(210)를 1 회 푸쉬할 때 필요한 캠(230)의 회전각도에 따라 다른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선형상의 경사가 낮아지게 되면 캠(230)의 회전각도는 증가하게 되고, 반대로 경사가 높아지게 되면 캠(230)의 회전각도는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푸쉬력에 의해 캠 기어(220)는 전진하게 되고, 상기 사선형상으로 인해 상기 푸쉬력에 따르는 직선 운동이 회전 운동으로 변환되어 캠(2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캠(230)은 캠 기어(220)의 상기 푸쉬력을 전달받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캠(230)에는 캠 기어(220)의 상기 사선형상으로 돌출된 기어와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캠(230)에서 상기 푸쉬력의 일부가 상기 회전력으로 변환되게 되므로 캠(230)은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캠(23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통홀(23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1 관통홀(231)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피스톤부(300)의 피스톤 로드(320)가 상기 푸쉬력에 따라 전진 되었다가 후진될 수 있다.
캠 스프링(240)은 상기 푸쉬력에 따라 푸쉬된 캠(230)을 복원시켜주는 구성요소로서. 이를 이용하여 피스톤 로드(320)가 전진된 후 후진될 수 있다.
피스톤부(300)의 구성요소는 피스톤 홀더(310), 피스톤 로드(320) 및 피스톤 헤드(330)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 홀더(310)는 캠 스프링(24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어 상기 푸쉬력을 전달받은 캠(230)에 복원력을 전달하여 복원시킬 수 있다.
한편, 피스톤 홀더(31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관통홀(3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2 관통홀(311)의 형상은 피스톤 로드(32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피스톤 로드(320)의 일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캠(230)에서 발생되는 상기 회전력에 대해 저항할 수 있게 되어, 상기 푸쉬력만 전달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 로드(320)는 상기 푸쉬력에 따라 전진 되었다가 후진될 수 있다.
피스톤 로드(320)는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단면의 형상이 사각형 형상에서 양측단만이 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 형상 부분에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피스톤 로드(320)에는 수나사가 캠(230)의 제1 관통홀(231)에 형성된 암사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캠(230)의 제1 관통홀(231)에 나사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각형 형상이 피스톤 홀더(310)의 제2 관통홀(311)의 형상과 대응되므로, 피스톤 로드(320)가 캠(230)과의 마찰에 따라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캠(230)이 1 회전하게 되면 피스톤 로드(320)는 상기 수나사로 인해 나사산의 1 피치만큼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피스톤 헤드(330)는 피스톤 로드(320)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화장잉크를 밀어내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피스톤 헤드(330)는 몸체부(400)의 내부공간을 전부 밀어낼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피스톤 헤드(330)의 재질은 고무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실리콘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도 있으며, 몸체부(400)에 저장된 상기 화장잉크를 효율적으로 밀어내며 내화학성을 가진 재질이라면 이용할 수 있다.
회전 조절부(600)는 몸체부(400)에 탈착 가능하면서도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 조절부(600)의 회전력을 캠(230)에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캠(230)은 캠 기어(220)에 의한, 즉, 누름 조절부(200)에 의해 변환되는 회전뿐만 아니라, 회전 조절부(600)에 의해서도 회전될 수 있다.
한편, 회전 조절부(600)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610)가 연장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삽입부(610)는 회전 조절부(600)가 회전 가능하면서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610)에는 라쳇폴(61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는데, 라쳇폴(611)은 회전 조절부(600)가 회전할 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400)에 형성된 라쳇홈(410)을 타격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조절부(600)에서는 회전 시 일정 간격으로 라쳇음이 발생될 수 있다.
캡부(700)의 구성요소는 내면 캡(710), 캡 스프링(720) 및 외면 캡(730)을 포함할 수 있다.
캡부(700)는 내면 캡(710)과 외면 캡(730) 사이에 캡 스프링(720)을 배치하여 캡부(700)가 도포부(500)에 장착될 때, 내면 캡(710)이 도포부(500)에 밀착되어 브러시(550)가 공기 중에 노출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100)의 구성들을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구성들은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기타 구성요소가 필요에 따라 추가 될 수도 있으며, 또는, 화장잉크의 배출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이라면 다른 구성요소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세부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잉크 배출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1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100)는 화장잉크가 저장되는 몸체부(400); 상기 몸체부(400)의 일측단부에 장착되며, 브러시(550)가 형성되어 있는 도포부(500); 상기 몸체부(400)의 타측단부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푸쉬 동작에 따라 전진과 후진을 왕복하여 상기 화장잉크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누름부재(210)를 포함하는 누름 조절부(200); 및 상기 누름 조절부(200)와 연동되어 이동하는 피스톤 로드(320)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400)에 저장된 화장잉크를 배출시키거나 상기 도포부(500)에 축적된 화장잉크를 흡입시키는 피스톤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누름부재(210)를 푸쉬하게 되면 누름 조절부(200)와 연동된 피스톤 로드(320)가 푸쉬되어 상기 화장잉크를 밀어내게 되고, 밀려난 상기 화장잉크는 도포부(500)의 브러시(550) 방향으로 배출되어 브러시(550)에 흡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화장잉크가 흡착된 브러시(500)를 이용하여 눈매를 화장할 수 있게 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누름 조절부(200)는 상기 푸쉬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캠(230) 및 캠 기어(220)를 더 포함하고, 캠 기어(220)는 누름부재(210)와 연동되는 것이 특징이다.
사용자가 누름부재(210)를 푸쉬하여 발생된 직선운동은 누름부재(210)와 직접 접촉된 캠 기어(220)에 전달되며 이후 캠(230)에 의해 회전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때,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캠 기어(220) 및 캠(23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소정의 경사를 가진 사선형상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사선형상의 경사에 따라 캠(230)의 회전각도가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캠(230)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320)가 관통하는 제1 관통홀(2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관통홀(231)의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피스톤 로드(320)는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길이 방향을 따르는 외면에 캠(230)의 암나사와 대응하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캠(230)의 회전력을 피스톤 로드(320)에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캠(230)의 회전에 따라 피스톤 로드(320)가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a 및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피스톤부(300)는 제2 관통홀(311)이 형성되어 피스톤 로드(320)가 관통되는 피스톤 홀더(310)를 더 포함하며, 제2 관통홀(311)의 형상은 피스톤 로드(320)의 회전을 방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스톤 로드(320)의 일단면의 형상은 사각형 형상을 기초로 하되, 양측단은 호 형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호 형상 부분에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320)의 상기 사각형 형상 부분이 피스톤 홀더(310)의 제2 관통홀(311) 형상과 대응되게 되어, 피스톤 로드(320)가 캠(230)이 회전될 때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피스톤 로드(320)는 회전운동은 하지 않으면서 직선운동만을 할 수 있게 되어, 누름부재(210)를 푸쉬할 때, 전진과 후진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 로드(320)가 전진되면 상기 화장잉크를 브러시(550)에 충분히 공급하게 되고, 후진하게 되면 상기 화장잉크를 일정량 흡입하게 되므로, 상기 화장잉크가 과도하게 배출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누름부재(210)를 적어도 1 회 이상 푸쉬함에 따라 캠(240)이 1 회전 되는 경우, 피스톤 로드(320)는 나사산의 1 피치 거리만큼 전진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화장잉크는 상기 1 피치 거리에 따르는 양만큼 배출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인해, 상기 전진 후 후진하는 거리는 캠 기어(220) 및 캠(230)에 형성된 상기 사선형상의 경사와 캠(230) 및 피스톤 로드(320)에 형성된 상기 나사산의 1 피치 거리에 따를 수 있다. 따라서, 캠(230)은 회전운동함에 따라 피스톤 로드(320)를 제1 소정거리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캠(230)이 1 회 푸쉬될 때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피스톤 로드(320)가 전진하게 되므로, 상기 전진 거리와 상기 후진 거리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100)는 상기 푸쉬 동작 1 회 시, 상기 전진 거리는 0.5~2.0mm이고, 상기 후진 거리는 0.3~2.0mm가 되도록 캠 기어(220) 및 캠(230)의 상기 사선형상의 각도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쉬 동작 6 회 시, 상기 제1 소정거리가 0.5~1.5mm가 전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리들은 상기 사선형상의 각도 및 상기 나사산의 1 피치 거리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100)는 상기 사용자의 회전 동작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화장잉크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회전 조절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조절부(600)는 누름 조절부(200)와 연동되어 상기 회전 동작에 따라 피스톤 로드(320)를 제2 소정거리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2 소정거리의 이동은 회전 조절부(600) 1 회전 시, 0.5~1.5mm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조절부(600)는 누름 조절부(200)의 캠(230)과 연동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 조절부(600)가 회전할 때 캠(230)이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제2 소정거리 역시 피스톤 로드(320)의 이동에 따르게 된다. 그리고, 회전 조절부(60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피스톤 로드(320)가 전진 또는 후진 하게 되는데 전진 또는 후진하는 원리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100)는 상기 화장잉크를 배출시키거나 흡수시킬 수 있으며, 또한, 회전 수에 따라 피스톤 로드(320)의 거리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화장잉크의 배출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100)의 회전 조절부(600)는 상기 회전 동작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라쳇음이 발생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라쳇음은 회전 조절부(600) 1 회전 시, 20~30 회 발생될 수 있다.
회전 조절부(600)는 몸체부(400)에 삽입되는 삽입부(610)가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부(610)의 외면에는 몸체부(400)의 내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라쳇폴(6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부(400)의 내면에는 라쳇폴(611)이 타격하는 적어도 하나의 라쳇홈(410)이 형성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라쳇폴(611)은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회전 조절부(600)를 회전하게 되면 라쳇폴(611)의 돌출된 부분이 라쳇홈(410)을 타격하게 되어 라쳇음이 발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라쳇음의 횟수를 감지하여 회전 조절부(600)의 회전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라쳇폴(611)이 형성되고, 라쳇홈(410)이 24개로 형성된 경우, 회전 조절부(600)의 1 회전 시 발생되는 라쳇음은 24번이 될 수 있으며, 24번의 라쳇음이 발생되는 경우, 피스톤 로드(320)의 이동거리를 0.5~1.5mm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라쳇음을 감지하여 사용자는 상기 화장잉크의 배출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상기 라쳇음은 라쳇홈(410)의 개수 또는 라쳇폴(611)의 개수에 따르게 되며,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100) 제조 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200: 누름 조절부 210: 누름부재
220: 캠 기어 230: 캠
231: 제1 관통홀 240: 캠 스프링
300: 피스톤부 310: 피스톤 홀더
311: 제2 관통홀 320: 피스톤 로드
330: 피스톤 헤드 400: 몸체부
410: 라쳇홈 500: 도포부
510: 볼 520: 케이스 홀더
530: 탄성부재 케이스 540: 탄성부재
550: 브러시 560: 노즐
600: 회전 조절부 610: 삽입부
611: 라쳇폴 700: 캡부
710: 내면 캡 720: 캡 스프링
730: 외면 캡

Claims (14)

  1. 화장잉크가 저장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단부에 장착되며, 브러시가 형성되어 있는 도포부;
    상기 몸체부의 타측단부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푸쉬 동작에 따라 전진과 후진을 왕복하여 상기 화장잉크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누름 조절부; 및
    상기 누름 조절부와 연동되어 이동하는 피스톤 로드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에 저장된 화장잉크를 배출시키거나 상기 도포부에 축적된 화장잉크를 흡입시키는 피스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조절부는 상기 푸쉬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캠 및 캠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캠 기어는 상기 누름부재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변환된 상기 회전운동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캠과 연동된 상기 피스톤 로드를 제1 소정거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동작 1 회 시, 상기 전진 거리는 0.5~2.0mm이고, 상기 후진 거리는 0.3~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거리의 이동은 상기 푸쉬 동작 6 회 시, 0.5~1.5mm 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회전 동작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화장잉크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회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절부는 상기 누름 조절부와 연동되어 상기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피스톤 로드를 제2 소정거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정거리의 이동은 상기 회전 조절부 1 회전 시, 0.5~1.5mm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절부는 상기 회전 동작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라쳇음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라쳇음은 상기 회전부 1 회전 시, 20~30 회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상기 브러시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화장잉크를 상기 브러시 상으로 안내하는 관로가 형성된 탄성부재; 및
    상기 도포부를 상기 몸체부에 고정시키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리브가 형성된 노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12. 화장잉크가 저장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단부에 장착되며, 브러시가 형성되어 있는 도포부;
    상기 몸체부의 타측단부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전진과 후진을 왕복하여 상기 화장잉크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회전 조절부; 및
    상기 회전 조절부와 연동되어 이동하는 피스톤 로드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에 저장된 화장잉크를 배출시키거나 상기 도포부에 축적된 화장잉크를 흡입시키는 피스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푸쉬 동작에 따라 전진과 후진을 왕복하여 화장잉크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누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상기 브러시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화장잉크를 상기 브러시 상으로 안내하는 관로가 형성된 탄성부재; 및
    상기 도포부를 상기 몸체부에 고정시키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리브가 형성된 노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KR1020180058923A 2017-12-20 2018-05-24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KR1020187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262 2017-12-20
KR20170176262 2017-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925A true KR20190074925A (ko) 2019-06-28
KR102018702B1 KR102018702B1 (ko) 2019-09-04

Family

ID=6706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923A KR102018702B1 (ko) 2017-12-20 2018-05-24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392B1 (ko) * 2019-08-21 2021-02-03 조지원 잉크 배출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47A (ja) * 1995-06-21 1997-01-07 Mitsubishi Pencil Co Ltd 固形化粧料容器
KR100735931B1 (ko) * 2006-09-28 2007-07-06 임효빈 화장품 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KR200441749Y1 (ko) 2007-05-03 2008-09-05 주식회사 인터워크 코리아 휘발성 아이라이너 용기
JP2014046153A (ja) * 2012-09-04 2014-03-17 Tokiwa Corp 塗布具の製造方法
KR200475064Y1 (ko) 2014-07-24 2014-11-07 주식회사 버디전자 아이라이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47A (ja) * 1995-06-21 1997-01-07 Mitsubishi Pencil Co Ltd 固形化粧料容器
KR100735931B1 (ko) * 2006-09-28 2007-07-06 임효빈 화장품 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KR200441749Y1 (ko) 2007-05-03 2008-09-05 주식회사 인터워크 코리아 휘발성 아이라이너 용기
JP2014046153A (ja) * 2012-09-04 2014-03-17 Tokiwa Corp 塗布具の製造方法
KR200475064Y1 (ko) 2014-07-24 2014-11-07 주식회사 버디전자 아이라이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392B1 (ko) * 2019-08-21 2021-02-03 조지원 잉크 배출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WO2021033800A1 (ko) * 2019-08-21 2021-02-25 조지원 잉크 배출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702B1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8875B1 (en) Multiple-function cosmetic pens
US9101194B2 (en) Rod-shaped cosmetic material feeding container
KR20050078625A (ko) 측방녹크식 조출기구
WO2008038870A1 (en) Unit for supplying a cosmetic material and make-up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4519428A (ja) 押し出し機構を備えた多機能筆記具
WO2015057378A1 (en) Handheld precise liquid marker
KR20190074925A (ko) 화장잉크 배출조절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JP3660948B2 (ja) ネジ棒繰出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用いたピストン式押出容器
JPH061266Y2 (ja) 塗布具
JP2001315488A (ja) 安全ノック式筆記具
JPH0620418Y2 (ja) 塗布具
US6257787B1 (en) Ball point pen smooth touch
US6857807B2 (en) Liquid applicator
US10786063B2 (en) Flow-through applicator device
TW201424623A (zh) 睫毛膠筆
KR200225436Y1 (ko) 심회전식 필기구
KR102212392B1 (ko) 잉크 배출 조절 기능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KR102360778B1 (ko) 차단 장치를 구비한 휴대 장치, 특히 필기구
KR20190133925A (ko) 돌출리브가 형성된 노즐을 구비하는 아이라이너
KR102135043B1 (ko) 관로가 형성된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아이라이너
KR200214559Y1 (ko) 심회전식 필기구
US20150132043A1 (en) Writing instrument
JP4111741B2 (ja) 棒状化粧料容器
JP2665397B2 (ja) 筆記具用詰め替えユニット
JP2002165637A (ja) 液体塗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