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778B1 - 차단 장치를 구비한 휴대 장치, 특히 필기구 - Google Patents
차단 장치를 구비한 휴대 장치, 특히 필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0778B1 KR102360778B1 KR1020197003947A KR20197003947A KR102360778B1 KR 102360778 B1 KR102360778 B1 KR 102360778B1 KR 1020197003947 A KR1020197003947 A KR 1020197003947A KR 20197003947 A KR20197003947 A KR 20197003947A KR 102360778 B1 KR102360778 B1 KR 1023607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tal end
- ball
- portable device
- chamber
- axial dir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1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3—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flicking or tilting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2—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rub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56—Holders for erasers
- B43L19/0068—Hand-held holders
- B43L19/0075—Hand-held holders of the pencil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11/00—Hand or desk devices of the office or personal type for applying liquid, other than ink, by contact to surfaces, e.g. for applying adhesive
- B43M11/06—Hand-held device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Toy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휴대 장치(10)는 제1 부분(12) 및 제2 부분(14)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12)은 상기 제2 부분(14)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한편 상기 제2 부분(14)에 대해 축선 방향(X)으로 병진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부분(12)은 제1 말단부(12A)를 제공하는 한편 상기 제2 부분(14)은 축선 방향(X)으로 상기 제1 말단부(12A)와 대향하는 제2 말단부(14A)를 제공하며, 상기 휴대 장치는 중력 방향(G)의 관점에서 상기 제1 말단부(12A)가 상기 제2 말단부(14A) 위에 배치될 때에만 상기 제1 부분(12)이 상기 제2 부분(14)에 대해 축선 방향(X)으로 병진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차단 장치(16)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 장치(16)는 챔버(16B)와 상기 챔버(16B) 내에 수용되는 볼 또는 등가물(16A)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력 방향의 관점에서 2개의 부분의 상대 위치의 함수로서 하나의 부분이 다른 부분에 대해 병진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 장치가 장착된 휴대 장치(hand-held device)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필기구에 관한 것이지만 반드시 필기구일 필요는 없다.
휴대 장치는 제2 부분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제1 부분을 제공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후방 부분은 샤프 펜슬의 전방부에 대해 이동 가능한 샤프 펜슬 지우개를 지닌다. 그러나, 제2 부분을 사용하고자 할 때, 예컨대 지우개를 사용하고자 할 때, 제2 부분이 제1 부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제1 부분에 대해 제2 부분을 이동시켜서, 예를 들어, 지우개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샤프 펜슬의 연필심이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므로 이러한 점에서 요구사항이 존재한다.
일 실시형태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휴대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한편 상기 제2 부분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병진적으로 이동 가능(그 역으로도 가능)하며, 상기 제1 부분은 제1 말단부를 제공하는 한편 상기 제2 부분은 축선 방향으로 상기 제1 말단부로부터 반대쪽인 제2 말단부를 제공하며, 상기 휴대 장치는 중력 방향의 관점에서 상기 제1 말단부가 상기 제2 말단부 아래에 있을 때(그 역으로도 가능)에만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2 부분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병진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차단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 장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수용되는 볼 또는 등가물을 포함한다.
물론, 제1 부분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제2 부분에 결합될 수 있으며, 또는 그 역으로, 제2 부분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제1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결합 방향은 축선 방향에 상응한다. 물론, 각각의 부분은 단일 부분에 의해 또는 함께 조립된 복수의 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그리고 반대되는 기재만 없다면, 제2 부분에 대한 "상대적인" 제1 부분의 움직임(예를 들어 병진 이동 또는 슬라이딩 이동)을 포함하는 용어는 당연히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상대적인" 운동을 의미하며, 이는 어느 부분(들)이 움직이는 것인지는 상관없다.
"중력 방향"이라는 용어는 자연적으로 지구 또는 더 일반적으로 휴대 장치가 사용되는 몸체 또는 천체에 의해 생성된 뉴튼 중력 가속도의 방향을 의미한다.
"볼 또는 등가물(ball or the equivalent)"이라는 용어는, 챔버 내에서 이동 가능하고, 챔버의 공동부(cavity)를 획정(define)하는 벽에 대해 중력의 영향 하에서 챔버 내에서 이동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형상의 임의의 고체 요소를 지칭한다. 아래에서는 그리고 반대되는 기재만 없다면, "볼"이라는 용어는 "볼 또는 등가물"을 지칭한다. 물론, 챔버는 단순하거나 복잡한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중력 방향과 관련하여, 볼이 챔버 내에서 이동함에 따라, 제1 말단부가 제2 말단부 아래에 있을 때, 차단 장치는 제2 부분에 대한 제1 부분의 축선 방향으로의 병진 이동을 허용하는 한편, 제1 말단부가 제2 말단부 위에 있을 때, 차단 장치는 제2 부분에 대한 제1 부분의 축선 방향으로의 병진 이동을 차단한다. 아래에서는 그리고 반대되는 기재만 없다면, 제1 및 제2 말단부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위(above)" 또는 "아래(below)"는 중력 방향을 고려한 것이다.
그러므로 차단 장치는 중력에 의해 차단되는 장치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 말단부가 중력 방향의 관점에서 제2 말단부 위에 배치되는 제1 상태에서, 차단 장치는 자동적으로 그리고 단지 중력의 영향만으로 제2 부분에 대한 제1 부분의 축선 방향으로의 병진 이동을 방지하는 한편, 제1 말단부가 중력 방향의 관점에서 제2 말단부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상태에서, 차단 장치는 자동적으로 그리고 단지 중력의 영향만으로 제2 부분에 대한 제1 부분의 축선 방향으로의 병진 이동을 허용한다.
결과적으로 휴대 장치는, 예를 들어,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제1 말단부 및 제2 말단부 중 선택된 말단부로부터 헤드(head)를 후퇴/연장시키기 위한 기구(mechanism)와 같은 임의의 기구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제1 부분이 제2 부분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제1 구성(configuration)을 제공하며, 이러한 제1 구성은 제1 말단부가 제2 말단부 아래에 있는 구성에 상응한다. 또한 휴대 장치는, 예를 들어,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상기 헤드를 후퇴/연장시키기 위한 상기 기구를 차단하기 위해서, 제1 부분이 제2 부분에 대해 추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는 제2 구성을 제공하며, 이러한 제2 구성은 제1 말단부가 제2 말단부 위에 있는 구성에 상응한다. 물론, 차단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차단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어떠한 축선 방향 간격도 없는 엄격한 차단, 또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약간의 축선 방향 간격을 가지는 차단, 또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상대적인 축선 방향 스트로크의 제한(즉, 비교적 큰 간격을 가지는 차단)일 수 있다.
물론, 제2 구성에서, 차단 장치의 볼은 축선 방향으로의 병진적인 상대 이동을 차단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1 부분 및 제2 부분과 상호작용하는 반면, 제1 구성에서, 볼은 축선 방향으로의 병진적인 상대 이동을 차단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1 부분 및 제2 부분과 상호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1 구성에서, 볼은 "자유" 위치(즉, 차단 장치가 제2 부분에 대해 제1 부분을 축선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있는 반면, 제2 구성에서는 볼이 "차단" 위치(즉, 차단 장치가 제2 부분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제1 부분을 차단하는 위치)에 있다.
차단 장치의 구조에 의해서, 즉 볼, 특히 챔버 내에 수용된 볼에 의해서, 휴대 장치의 임의의 다른 요소/기구가 어떻게 구성되어 차단이 독립적으로 제2 구성에서 수행되는지가 관찰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휴대 장치가 제1 및 제2 말단부 중 선택된 말단부로부터 헤드를 연장/후퇴시키는 기구를 제공한다면, 차단 장치는, 상기 헤드의 위치에 관계없이, 즉 헤드가 후퇴 위치에 있는지 혹은 연장 위치에 있는지(물론, 제1 말단부가 제2 말단부 위에 있을 때에만) 여부와 관계없이 제2 부분에 대해 제1 부분을 병진 이동시키는 것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헤드는 임의의 휴대 장치 툴 엔드피스(endpiece), 예를 들어 렌치, 스크류 드라이버, 블레이드, 펀치, 필기체(펠트 팁, 볼펜 팁, 또는 또 다른 팁, 흑연 연필심, 백묵, 또는 기판(substrate)에 필기 가능하게 하는 또 다른 수단), 브러쉬, 지우개, 마찰체, 정전식 터치 스크린용 패드, 화장용 어플리케이터(메이크업 브러쉬, 펜슬, 마스카라 브러쉬, 롤-온 어플리케이터, 립스틱, 또는 화장품 도포를 위한 또 다른 수단)의 엔드피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 장치에 의해서, 휴대 장치의 축선 방향으로 제1 헤드로부터 반대쪽인 제2 헤드가 사용될 때 휴대 장치의 제1 헤드를 취급/작동(예컨대, 후퇴/연장)시키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제1 헤드는 물론 제2 부분에 대해 제1 부분의 축선 방향으로의 병진 이동에 의해 활성화된다). 또한, 차단 장치의 구조는 소형이라는 이점을 제공하여, 이것은 휴대 장치의 전체적인 소형화를 증가시키며, 그에 따라 휴대 장치는 대부분의 사용자의 손에 적합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챔버의 공동부를 획정하는 2개의 벽들 사이의 최소 거리는 볼의 직경(또는 "볼 또는 등가물"이 구형이 아닐 때 볼의 가장 큰 치수)의 102% 내지 125%의 범위 내에 놓인다.
벽은 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공동부를 획정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하며, 벽은 단일 요소의 일부를 형성하는데 적합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벽은 2개의 각각의 별개의 요소의 일부를 형성하고, 서로 마주 보도록 배열 될 때, 볼을 수용하는 공동부를 획정하며, 상기 공동은 챔버의 외장(enclosure)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은 챔버 내에서 볼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을 보장하는 동시에 차단 장치의 소형화를 더욱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챔버는 제1 부분의 일부 및 제2 부분의 일부를 각각 형성하는 2개의 벽 사이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부분의 제1 벽은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상대 위치(예를 들어, 제1 구성)에서 제1 부분을 향하는 제2 부분의 오목 형상부 및/또는 제2 벽을 형성한다. 따라서, 챔버는 이 또는 이들 오목 형상부(들)를(을) 포함하고, 볼의 전부 또는 일부가 이 또는 이들 오목 형상부(들)에 수용된다.
이러한 챔버 구조는 소형화된 구조를 가지는 한편, 볼이 제1 부분과 그리고 제2 부분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챔버의 체적을 획정하는 벽은, 제1 말단부가 중력 방향의 관점에서 제2 말단부 위에 배치될 때, 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receptacle)을 제공한다.
리셉터클은 제1 말단부가 제2 말단부 위에 있을 때 볼의 전부 또는 일부가 수용되는 챔버의 벽의 일부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휴대 장치의 제2 구성에 있어서, 즉 볼이 차단 위치에 있을 때, 리셉터클은 볼을 제 위치에 유지하며, 그에 따라 볼의 차단 위치가 더욱 안정적이고 차단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차단은 더욱 신뢰성을 갖는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리셉터클은 챔버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통로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통로는 볼 또는 등가물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는다.
예를 들어, 통로의 폭은 볼의 직경의 50% 내지 90% 범위(또는 상기 볼 또는 등가물이 구형이 아닐 때, "볼 또는 등가물"의 가장 작은 치수) 내에 놓인다. 물론, 변형예에 있어서, 통로는, 볼보다 넓고, 볼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는 보다 좁은 부분(narrower portion)으로 직접 이어지는 부분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통로는 축선 방향 홈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구성은 단일 요소에 대하여 2개의 개별적인 기능, 예를 들어 요소를 안내하고 또한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역할을 통로가 겸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구성은 통로 내의 ????슬라이딩 요소를 차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단 장치는 제1 말단부가 중력 방향의 관점에서 제2 말단부 위에 배치될 때 볼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어버트먼트(abutment)를 포함한다.
어버트먼트와 챔버의 벽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한편, 제1 말단부가 제2 말단부 위에 배치될 때 볼이 어버트먼트와 벽 사이의 공간에 배열되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구조는 간단하고 소형이며, 그에 따라 차단 장치는 견고하고 휴대 장치의 전체적인 소형화에 거의 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리셉터클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 중 선택된 부분의 일부를 형성하는 벽에 만들어지며, 어버트먼트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 중 다른 부분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는 특히 간단하고 소형이며, 그에 따라 차단 장치는 견고하고 휴대 장치의 전체적인 소형화에 거의 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은 축선 방향으로 어버트먼트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말단부가 제2 말단부보다 위에 있을 때, 볼은 매우 용이하게 차단 위치로 들어가, 축선 방향으로 어버트먼트와 마주하게 배열되면서 리셉터클에 의해서 차단 위치에 유지된 채로 남아있으며, 이것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서 축선 방향으로 가능한 한 간격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부분에 대한 제1 부분의 병진 이동 동안에 어버트먼트는 통로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 말단부가 제2 말단부 아래에 있을 때, 즉 제1 부분이 제2 부분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을 때, 어버트먼트 및 통로는 슬라이딩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고, 어버트먼트는 통로 내에 결합되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 구성에서, 통로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상대 이동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제1 말단부가 제2 말단부 위에 있을 때, 볼은 통로의 입구에 형성된 리셉터클에 의해 수용되고, 따라서 통로에 대한 어버트먼트의 접근을 차단하고, 그에 따라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상대적인 슬라이딩은 차단된다. 예를 들어, 휴지 위치에 있어서, 즉 제1 및 제2 부분이 사용자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되지 않을 때, 어버트먼트와 통로의 입구와의 사이의 축선 방향 공간은 볼의 직경의(또는 "볼 또는 등가물"이 구형이 아닐 때 볼의 가장 큰 치수의) 105% 내지 110%의 범위 내에 놓인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볼 또는 등가물은 금속이다.
금속 볼은 일정량의 관성을 제공하여 차단 위치에서의 유지력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휴대 장치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필기구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1 말단부 및/또는 제2 말단부에는 필기 팁, 예를 들어 수축 가능한 팁 또는 정지된 팁, 예를 들어 샤프 펜슬 연필심, 흑연 연필심, 볼펜 팁, 펠트 팁 등이 끼워지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볼 차단 장치가 장착된 휴대 장치는 필기구에 특히 적합하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말단부에는 필기 팁이 장착되는 한편, 제2 말단부에는 지우개, 마찰체 또는 정전식 터치 스크린용 패드가 장착된다.
마찰체(friction body)는 예를 들어 열을 발생시켜 열 변색성 잉크, 즉 열이 가해짐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잉크의 색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표면 상에서 마찰되도록 구성된 몸체인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정전식 터치 스크린(capacitive screen)용 패드는 정전식 터치 스크린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종단부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패드는 (패드의 재질이나 코팅으로 인해) 전도성이다. 패드가 정전식 터치 스크린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면, 즉 스크린이 패드와 접촉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면, 패드의 형상, 가요성/강성, 및 재료에는 제한이 없다.
볼 차단 장치가 장착된 휴대 장치는 헤드의 조합을 갖는 필기구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 및 그 장점은 비-제한적인 예를 들어 주어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더욱 잘 이해될 수 있다.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다.
- 도 1은 휴대 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 2는 도 1의 휴대 장치의 제1 및 제2 부분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 도 3은 제1 부분의 내부 상세도이다.
- 도 4는 제1 말단부가 제2 말단부 아래에 있는 절개도이다. 그리고,
- 도 5는 제1 말단부가 제2 말단부 위에 있는 절개도이다.
- 도 1은 휴대 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 2는 도 1의 휴대 장치의 제1 및 제2 부분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 도 3은 제1 부분의 내부 상세도이다.
- 도 4는 제1 말단부가 제2 말단부 아래에 있는 절개도이다. 그리고,
- 도 5는 제1 말단부가 제2 말단부 위에 있는 절개도이다.
도 1은 휴대 장치(10),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기구, 보다 구체적으로는 샤프 펜슬을 도시하며, 상기 휴대 장치는 제1 부분(12) 및 상기 제1 부분(12)에 결합되는 한편 축선 방향(X)으로 병진 이동하는 제2 부분(1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부분(12, 14) 사이에서의 상대적인 슬라이딩 방향(X)은 휴대 장치(10)가 연장되는 방향에 상응한다.
제1 부분(12)은 제1 헤드(12B)와 끼워맞춰지는 제1 말단부(12A)를 제공하고, 제1 헤드(12B)를 통과시키는 오리피스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헤드(12B)는 필기 팁(writing tip)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부분(12A)으로부터 후퇴/연장될 수 있는 흑연 연필심이다. 도 1에서, 제1 헤드(12B)는 연장되어 제1 말단부(12A)로부터 돌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부분(12)은 나사-고정(도시생략)에 의해 서로 장착되는 2개의 부분(12-1 및 12-2)에 의해 형성된다. 물론, 변형예에 있어서, 2개의 부분(12-1, 12-2)은 하나의 동일한 부분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제1 부분(12)은 2개 이상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12)은, 제1 부분(12)이 제2 부분(14)에 대해 이동될 때(또는 그 반대일 때), 연필심(12B)을 전진시키기 위한 연필심-전진 기구(lead-propelling mechanism) (도시생략)를 수용하며, 또한 그러한 기구는 공지되어 있다.
제2 부분(14)은 제2 헤드(14B),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우개와 끼워맞춰지는 제2 말단부(14A)를 제공한다. 또한, 공지된 방식으로,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I 방향으로 지우개(14B)를 가압함으로써, 제1 부분(12)은 축선 방향(X)으로 제2 부분(14)에 대해 병진 이동하고, 그에 따라 연필심-전진 기구가 동작하여 연필심(12B)이 제1 말단부(12A)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차단(blocking) 장치(16)는 도 1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장치는 물론 휴대 장치(10)의 내부에 위치되어 통상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차단 장치(16)는 금속의 볼(16A) 및 이 볼(16A)을 수용하는 챔버(16B)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차단 장치(16)의 어버트먼트(abutment)(12D)는 명료함을 위해 도 1에 도시되지 않았다.
차단 장치(16)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챔버(16B)는 제1 및 제2 부분(12, 14)의 일부를 각각 형성하는 2개의 대향 벽(12C, 14C) 사이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벽(12C)은 제1 부분(12)의 내벽이고, 벽(14C)은 제2 부분(14)의 외벽이다. 이들 벽(12C 및 14C) 각각은 오목 형상부(12CA 및 14CA)를 갖는다. 이들 2개의 오목 형상부(12CA 및 14CA)는 챔버(16)를 형성한다.
제1 부분(12)은 축선방향 스플라인에 의해 형성된 어버트먼트(12D)를 제공한다. 제2 부분(14)은 제1 통로(14D1) 및 제2 통로(14D2)를 제공하며, 각각의 통로는 축선방향 홈에 의해 형성된다. 어버트먼트(12D)는 통로(14D1, 14D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이 통로 내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통로(14D1, 14D2) 각각은, 오목 형상부(14CA)로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챔버(16B)로) 이어지며, 축선 방향(X)으로 오목 형상부(14CA)의 양쪽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통로(14D1 및 14D2)는 각각 볼(16A)의 직경(D)보다 작은 동일하고 일정한 폭(L)을 갖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폭(L)은 직경(D)의 60%와 동일하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어버트먼트(12D)는 제1 통로(14D1)에 영구적으로 결합되며, 즉 제2 부분(14)에 대한 제1 부분(12)의 위치에 관계없이 결합된다. 이것은 축선 방향(X) 주위에서의 제2 부분(14)에 대한 제1 부분(12)의 회전(또한 그 반대 경우)을 방지할 수 있게 하며, 그에 따라 어버트먼트(12D)는 제2 통로(14D2)와 영구적으로 정렬된 상태를 유지된다. 또한, 휴지시, 즉 사용자가 제1 부분(12)을 제2 부분(14)에 대해 축선 방향(X)으로 이동시키지 않을 때, 어버트먼트(12D)는 제2 통로(14D2)와 결합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제2 통로(14D2)의 입구(14D21)는, 중력 방향(G)의 관점에서 제1 말단부(12A)가 제2 말단부(14A) 위에 있을 때, 부분적으로 볼(16A)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리셉터클을 형성한다. 환언하면, 이 리셉터클은 제2 통로(14D2)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말단부(12A)가 중력 방향(G)의 관점에서 제2 말단부(14A) 아래에 있을 때, 차단 장치(16)는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 사이에서의 축선 방향(X)으로의 병진적인 상대 이동을 허용한다. 실제로, 볼(16A)은 챔버(16B)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며,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볼(16A)은, 중력의 영향 하에서, 중력의 관점에서 챔버(16B)의 최저점에 자동적으로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챔버(16B)의 최저점이 축선 방향(X)에 있어서 제2 통로(14D2)의 실질적으로 반대쪽이기 때문에, 상기 통로의 입구(14D21)는 장애물이 없는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어버트먼트(12D)는 막히지 않고 제2 통로(14D2) 내의 부분과 결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부분(12)은 제2 부분(14)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1 및 제2 부분(12 및 14)의 병진적인 축선방향 상대 이동은 도 4에서 양방향 화살표 II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휴대 장치(10)가 제1 구성(configuration)에 있는 동안 볼(16A)은 자유 위치에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중력 방향(G)의 관점에서 제1 말단부(12A)가 제2 말단부(14A) 위에 있고, 이 위치에 있을 때에만, 차단 장치(16)는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 사이의 축선 방향(X)으로의 병진적인 상대 이동을 차단한다. 실제로, 이러한 위치에 있어서, 중력의 영향 하에서, 볼(16A)은 제2 통로(14D2)의 입구(14D21)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하며, 이 입구는 볼(16A)을 위한 리셉터클을 형성하고 어버트먼트(12D)와 제2 통로(14D2) 사이에 위치한다. 이 구성에서, 입구(14D21)는 챔버(16B)의 최저점을 형성한다. 따라서, 어버트먼트(12D)는 볼(16A)에 의해 축선 방향 병진이동이 차단되고, 그에 따라 제1 및 제2 부분(12 및 14) 사이의 병진 이동은 차단된다. 도 5에서 볼(16A)은 차단 위치(blocking position)에 있는 한편, 휴대 장치(10)는 제2 구성에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12D)와 입구(14D21) 사이,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어버트먼트(12D)와 챔버(16B)의 벽 사이의 축선 방향 공간(E)은, 볼(16A)의 직경의 105%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그에 따라 볼(16A)이 차단 위치에 있을 때,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4) 사이의 축선 방향 간격이 특히 작다.
차단 장치(16)는 연필심-전진 장치(도시생략)와 완전히 독립적이기 때문에, 물론 차단은 연필심-전진 장치의 구성에 관계없이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제1 헤드(12B)의 작동 기구와 관계없이 사실이다. 예를 들어, 변형예에 있어서, 제1 헤드는 볼펜 또는 펠트-팁(felt-tip)이지만, 상기 작동 기구는 제1 헤드를 제1 말단부(12A)에 넣거나 빼내는 래칫 기구(ratchet mechanism)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2 헤드는 예를 들어 마찰체(friction body) 또는 정전식 터치 스크린(capacitive screen)을 위한 패드이다. 물론, 제1 및 제2 헤드의 또 다른 조합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청구항들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이러한 실시형태들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특히, 도시되고/되거나 언급된 다양한 실시형태들의 개별적인 특징들이 추가적인 실시형태들에 결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설명 및 도면은 제한적이라기보다는 예시적인 의미로 고려되어야 한다.
Claims (8)
- 제1 부분(12) 및 제2 부분(14)을 포함하는 휴대 장치(10)로서,
상기 제1 부분(12)은 상기 제2 부분(14)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한편 상기 제2 부분(14)에 대해 축선 방향(X)으로 병진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부분(12)은 제1 말단부(12A)를 제공하는 한편 상기 제2 부분(14)은 축선 방향(X)으로 상기 제1 말단부(12A)로부터 반대쪽인 제2 말단부(14A)를 제공하며,
상기 휴대 장치는 중력 방향(G)의 관점에서 상기 제1 말단부(12A)가 상기 제2 말단부(14A) 위에 있을 때에만 상기 제1 부분(12)이 상기 제2 부분(14)에 대해 축선 방향(X)으로 병진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차단 장치(16)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 장치(16)는 챔버(16B)와 상기 챔버(16B) 내에 수용되는 볼(16A)을 포함하며,
상기 챔버(16B)의 체적을 획정하는 벽은 중력 방향(G)의 관점에서 상기 제1 말단부(12A)가 상기 제2 말단부(14A) 위에 배치될 때 상기 볼(16A)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리셉터클(14D21)을 제공하며,
상기 차단 장치(16)는 중력 방향(G)의 관점에서 상기 제1 말단부(12A)가 상기 제2 말단부(14A) 위에 배치될 때 상기 볼(16A)과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어버트먼트(12D)를 포함하며,
상기 리셉터클(14D21)은 상기 제1 부분(12) 및 상기 제2 부분(14) 중 선택된 부분의 일부를 형성하는 벽 내에 만들어지는 한편, 상기 어버트먼트(12D)는 상기 제1 부분(12) 및 상기 제2 부분(14) 중 선택되지 않은 부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10).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12) 및 상기 제2 부분(14)의 일부를 각각 형성하는 2개의 벽(12C, 14C) 사이에는 챔버(16B)가 형성되는 휴대 장치(10).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14D21)은 상기 챔버(16B)로부터 축선 방향(X)으로 연장하는 통로(14D2)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통로(14D2)는 상기 볼(16A)의 직경(D)보다 작은 폭(L)을 가지는 휴대 장치(10).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12D)는 상기 제2 부분(14)에 대한 상기 제1 부분(12)의 병진 이동 동안에 상기 통로(14D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휴대 장치(10).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16A)은 금속인 휴대 장치(10).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16B)의 공동부분을 획정하는 2개의 벽들 사이의 최소 거리는 상기 볼(16A)의 직경(D)의 102% 내지 125%의 범위 내에 놓이는 휴대 장치(10). - 청구항 1에 있어서,
축선 방향(X)으로 연장되는 필기구를 형성하는 휴대 장치(10).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말단부(12A)에는 필기 팁(12B)이 끼워지고, 상기 제2 말단부(14A)에는 지우개(14B), 마찰체(friction body), 또는 정전식 터치 스크린(capacitive screen)용 패드가 끼워지는 휴대 장치(1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R1656658 | 2016-07-12 | ||
FR1656658A FR3053924B1 (fr) | 2016-07-12 | 2016-07-12 | Dispositif manuel, notamment instrument d'ecriture, equipe d'un dispositif de blocage |
PCT/FR2017/051833 WO2018011488A1 (fr) | 2016-07-12 | 2017-07-05 | Dispositif manuel, notamment instrument d'ecriture, equipe d'un dispositif de bloca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6883A KR20190026883A (ko) | 2019-03-13 |
KR102360778B1 true KR102360778B1 (ko) | 2022-02-09 |
Family
ID=57750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03947A KR102360778B1 (ko) | 2016-07-12 | 2017-07-05 | 차단 장치를 구비한 휴대 장치, 특히 필기구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10807405B2 (ko) |
EP (1) | EP3484717B1 (ko) |
JP (1) | JP2019527633A (ko) |
KR (1) | KR102360778B1 (ko) |
CN (1) | CN109641478B (ko) |
BR (1) | BR112019000475B1 (ko) |
CA (1) | CA3030610A1 (ko) |
FR (1) | FR3053924B1 (ko) |
MX (1) | MX2019000552A (ko) |
PL (1) | PL3484717T3 (ko) |
WO (1) | WO201801148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080326B1 (fr) * | 2018-04-19 | 2020-05-01 | Societe Bic | Dispositif manuel, notamment instrument d'ecriture, comprenant deux tetes escamotable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1100962A (fr) | 1954-03-10 | 1955-09-27 | Anciens Etablissements Baignol | Perfectionnement aux instruments graphiques |
US7296942B2 (en) | 2003-02-18 | 2007-11-20 | Geoffrey Peter Mayne | Writing instrument |
CN105082830A (zh) | 2014-05-05 | 2015-11-25 | 梅迪奇创意股份有限公司 | 自动回收手持文具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1850A (en) * | 1893-07-18 | stuart | ||
US2605746A (en) * | 1947-12-12 | 1952-08-05 | Kahn David Inc | Fountain pen |
US2587935A (en) * | 1949-01-10 | 1952-03-04 | Frank C Wallace | Retractable pen device |
US2693170A (en) * | 1949-06-09 | 1954-11-02 | Hartley Pen Company | Retractable writing instrument |
NL103716C (ko) * | 1954-09-14 | |||
NL89314C (ko) * | 1955-03-04 | |||
GB771521A (en) * | 1955-07-13 | 1957-04-03 | Rollrite Plastics Ltd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riting instruments |
CN2213642Y (zh) * | 1995-01-23 | 1995-11-29 | 赵文贵 | 按压式自动铅笔 |
CN2236950Y (zh) * | 1995-02-25 | 1996-10-09 | 周志昌 | 一种螺旋式出铅的活动铅笔 |
JP3553699B2 (ja) * | 1995-09-14 | 2004-08-11 | 三菱鉛筆株式会社 | ボールペンのリフィール |
JPH10236062A (ja) * | 1997-02-25 | 1998-09-08 | Mitsubishi Pencil Co Ltd | ノック式ボールペンのリフィール |
JP2003175694A (ja) * | 2001-12-10 | 2003-06-24 | Tsukasa Nakatani | ボールペン等の中軸抑止装置 |
CN1228195C (zh) * | 2003-02-11 | 2005-11-23 | 胡义福 | 原子笔笔芯传动结构的定位方法及其装置 |
CN2820562Y (zh) * | 2005-07-11 | 2006-09-27 | 也比不拉·买合买提 | 多功能美工笔 |
CN202225594U (zh) * | 2011-09-09 | 2012-05-23 | 魏竹青 | 不断铅的自动铅笔 |
JP6304958B2 (ja) | 2013-07-16 | 2018-04-04 | 三菱鉛筆株式会社 | 消去部材を備えた筆記具 |
CN103722941B (zh) * | 2013-12-25 | 2015-10-14 | 宁波江北瑞臣工艺品设计有限公司 | 一种小孩无法打开的笔 |
-
2016
- 2016-07-12 FR FR1656658A patent/FR3053924B1/fr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7
- 2017-07-05 JP JP2019501547A patent/JP2019527633A/ja active Pending
- 2017-07-05 EP EP17745838.7A patent/EP3484717B1/fr active Active
- 2017-07-05 KR KR1020197003947A patent/KR10236077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7-05 WO PCT/FR2017/051833 patent/WO2018011488A1/fr unknown
- 2017-07-05 BR BR112019000475-0A patent/BR112019000475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7-07-05 US US16/317,344 patent/US10807405B2/en active Active
- 2017-07-05 MX MX2019000552A patent/MX2019000552A/es unknown
- 2017-07-05 PL PL17745838.7T patent/PL3484717T3/pl unknown
- 2017-07-05 CN CN201780050927.8A patent/CN109641478B/zh active Active
- 2017-07-05 CA CA3030610A patent/CA3030610A1/fr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1100962A (fr) | 1954-03-10 | 1955-09-27 | Anciens Etablissements Baignol | Perfectionnement aux instruments graphiques |
US7296942B2 (en) | 2003-02-18 | 2007-11-20 | Geoffrey Peter Mayne | Writing instrument |
CN105082830A (zh) | 2014-05-05 | 2015-11-25 | 梅迪奇创意股份有限公司 | 自动回收手持文具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DE A*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807405B2 (en) | 2020-10-20 |
EP3484717B1 (fr) | 2020-10-21 |
EP3484717A1 (fr) | 2019-05-22 |
BR112019000475A2 (pt) | 2019-04-24 |
WO2018011488A1 (fr) | 2018-01-18 |
PL3484717T3 (pl) | 2021-03-22 |
BR112019000475B1 (pt) | 2022-09-06 |
US20190291501A1 (en) | 2019-09-26 |
CN109641478A (zh) | 2019-04-16 |
MX2019000552A (es) | 2019-07-04 |
JP2019527633A (ja) | 2019-10-03 |
CN109641478B (zh) | 2020-12-08 |
FR3053924A1 (fr) | 2018-01-19 |
KR20190026883A (ko) | 2019-03-13 |
FR3053924B1 (fr) | 2019-07-12 |
CA3030610A1 (fr) | 2018-0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492855B (zh) | 具有推動機構之多功能書寫器具 | |
JP2020175646A (ja) | 回転係止ペン | |
JP7303275B2 (ja) | 消去具を備えた筆記具 | |
KR101951039B1 (ko) | 다심 필기구 | |
US20110129285A1 (en) | Retractable pen | |
KR102360778B1 (ko) | 차단 장치를 구비한 휴대 장치, 특히 필기구 | |
US11897278B2 (en) | Writing instrument equipped with a locking device | |
US10766297B2 (en) | Hand-held device, in particular a writing instrument, having two retractable heads | |
KR20190060340A (ko) | 노크식 펜 | |
JP4027692B2 (ja) | 筆記具 | |
JP6774331B2 (ja) | 熱変色性筆記具 | |
KR102649786B1 (ko) | 단일의 스프링을 구비한 단일의 기구를 포함하는 2개의 인입 가능한 헤드를 구비한 수동 장치 | |
WO2020222141A1 (en) | Retractable element for a writing implement | |
JP2015037865A (ja) | 筆記具 | |
JP2013039743A (ja) | シャープペンシル | |
JP4367858B2 (ja) | 繰り出し式ボールペン装置 | |
JP6007235B2 (ja) | 出没式筆記具 | |
JP7377061B2 (ja) | 筆記具 | |
JP6778613B2 (ja) | 熱変色性筆記具 | |
JP3189221U (ja) | ノック式筆記具 | |
JPH0432303Y2 (ko) | ||
JPH0329184Y2 (ko) | ||
JP2021000843A (ja) | 熱変色性筆記具 | |
JP2000062389A (ja) | 棒状体繰り出し容器 | |
KR200225436Y1 (ko) | 심회전식 필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