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0079A - 아이 라이너 - Google Patents

아이 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0079A
KR20180020079A KR1020170040437A KR20170040437A KR20180020079A KR 20180020079 A KR20180020079 A KR 20180020079A KR 1020170040437 A KR1020170040437 A KR 1020170040437A KR 20170040437 A KR20170040437 A KR 20170040437A KR 20180020079 A KR20180020079 A KR 20180020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holder
brush portion
brush part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4867B1 (ko
Inventor
김명자
Original Assignee
김명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자 filed Critical 김명자
Publication of KR20180020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6Arrangement of mixed bristles or tufts of bristles, e.g. wire, fibre, rubber
    • A46B9/065Arrangement of mixed bristles or tufts of bristles, e.g. wire, fibre, rubber the bristles or the tufts being embedded in a different brush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72Eyelin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 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라이너는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수용공간(110)에 액상 화장품을 수용하는 바디(100), 및 바디(100)의 일단에 결합되어, 바디(100)의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액상 화장품을 흡수하며, 바디(100)로부터 돌출되고 일단이 뾰쪽한 제1 브러쉬부(210), 및 제1 브러쉬부(210)를 둘러싸고 바디(100)로부터 돌출된 일단에 의해서 제1 브러쉬부(210)의 외주면에 단차(230)가 형성되도록 제1 브러쉬부(210)보다 바디(100)로부터 적게 돌출된 제2 브러쉬부(220)를 포함하는 브러쉬(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이 라이너{eye liner}
본 발명은 아이 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아이 라이너는 눈을 크게 보이게 하거나 뚜렷하게 보이기 위한 눈 언저리에 선을 긋는 화장품의 일종이다. 아이 라이너의 종류로는 젤 아이 라이너, 붓펜 아이 라이너, 펜슬 아이 라이너, 리퀴드 아이 라이너 등이 있으며, 아이 라이너의 색은검정, 브라운, 블루, 그린 등이 있다. 또한, 아이 라이너는 아이새도우(eyeshadow)와 컬러 하모니(color harmony)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과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아이 라이너는 단일한 종류의 인조모로 형성된 브러쉬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단일한 종류의 인조모로 형성된 브러쉬는 지지력을 확보하기 어려워 쉽게 휘어지므로 일정한 두께의 선을 그리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액상 화장품을 충분히 흡수하기 어려워 뚜렷한 화장이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
KR 20-0475064 Y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1 브러쉬부의 외주면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제2 브러쉬부로 제1 브러쉬부를 둘러쌈으로써, 브러쉬가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상 화장품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아이 라이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 라이너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액상 화장품을 수용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의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액상 화장품을 흡수하며,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고 일단이 뾰쪽한 제1 브러쉬부, 및 상기 제1 브러쉬부를 둘러싸고,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된 일단에 의해서 상기 제1 브러쉬부의 외주면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브러쉬부보다 상기 바디로부터 적게 돌출된 제2 브러쉬부를 포함하는 브러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 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러쉬부와 상기 제2 브러쉬부는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 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러쉬부와 상기 제2 브러쉬부는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 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상기 바디의 일단에 홀더를 통해서 결합되고, 상기 홀더로부터 노출된 상기 제1 브러쉬부의 길이는 상기 홀더로부터 노출된 상기 제2 브러쉬부의 길이에 대하여 2.5배 내지 3.48배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 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상기 바디의 일단에 홀더를 통해서 결합되고, 상기 브러쉬의 일단이 상기 홀더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브러쉬의 타단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은 상기 홀더의 타단에 걸린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 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러쉬부는 다수의 제1 모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브러쉬부는 다수의 제2 모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제2 모의 밀도는 상기 다수의 제1 모의 밀도보다 크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 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러쉬부는 다수의 제1 모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브러쉬부는 다수의 제2 모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제1 모의 두께는 상기 다수의 제2 모의 두께보다 두껍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브러쉬부의 외주면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제2 브러쉬부로 제1 브러쉬부를 둘러싸 브러쉬의 지지력을 확보함으로써, 브러쉬가 쉽게 휘어지지 않으므로, 일정한 두께의 선을 그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브러쉬부를 둘러싸는 제2 브러쉬부가 존재하므로, 액상 화장품을 충분히 흡수함으로써, 브러쉬로 뚜렷한 화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 라이너의 단면도,
도 1b는 도 1a 도시된 A-A'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 라이너의 브러쉬의 사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 라이너의 브러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 라이너의 단면도,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브러쉬부의 길이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2 브러쉬부의 길이의 변화에 따른 브러쉬로 그려지는 선의 두께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 라이너의 단면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아이 라이너는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수용공간(110)에 액상 화장품을 수용하는 바디(100), 및 바디(100)의 일단에 결합되어, 바디(100)의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액상 화장품을 흡수하며, 바디(100)로부터 돌출되고 일단이 뾰쪽한 제1 브러쉬부(210), 및 제1 브러쉬부(210)를 둘러싸고 바디(100)로부터 돌출된 일단에 의해서 제1 브러쉬부(210)의 외주면에 단차(230)가 형성되도록 제1 브러쉬부(210)보다 바디(100)로부터 적게 돌출된 제2 브러쉬부(220)를 포함하는 브러쉬(20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00)는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수용공간(110)에 액상 화장품을 수용한다. 여기서, 바디(10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개방될 수 있다. 이때, 바디(100)의 일단에는 브러쉬(200), 홀더(300), 유도심(400), 조절기(500, adjuster) 등이 배치되고 외부로 노출된 브러쉬(200)를 커버하도록 커버(12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디(100)의 타단에는 밀봉캡(600)이 결합되어 바디(100)를 밀봉할 수 있다.
상기 브러쉬(200)는 실제로 눈 언저리에 선을 긋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바디(100)의 일단에 홀더(300) 등을 통해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홀더(30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브러쉬(200)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브러쉬(200)의 일단은 홀더(300)의 일단으로부터 노출된다. 또한, 브러쉬(200)는 바디(100)의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액상 화장품을 유도심(400)을 통해서 흡수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200)는 제1 브러쉬부(210)와 제2 브러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브러쉬부(210)는 상대적으로 중심에 배치되고, 제2 브러쉬부(220)는 상대적으로 외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브러쉬부(210)는 바디(100, 홀더(300))로부터 돌출되고 일단이 뾰족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2 브러쉬부(220)는 제1 브러쉬부(210)를 둘러싸고 제1 브러쉬부(210)보다 바디(100, 홀더(300))로부터 적게 돌출된다. 따라서, 바디(100, 홀더(300))로부터 돌출된 제2 브러쉬부(220)의 일단에 의해서 제1 브러쉬부(210)의 외주면에는 단차(23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브러쉬부(210)의 외주면에 단차(230)가 형성되도록 제2 브러쉬부(220)로 제1 브러쉬부(210)를 둘러싸면, 브러쉬(200)의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어, 브러쉬(200)가 쉽게 휘어지지 않으므로, 일정한 두께의 선을 그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제1 브러쉬부(210)의 일단뿐만 아니라, 제2 브러쉬부(220)의 일단 역시 홀더(30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홀더(300)로부터 노출된 제2 브러쉬부(220)는 제1 브러쉬부(21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홀더(300)로부터 노출되어 제1 브러쉬부(210)를 지지하는 제2 브러쉬부(220)의 길이(b)는 홀더(300)로부터 노출된 제1 브러쉬부(210)의 길이(a)보다 짧을 수 있다(도 1a 참조).
더욱 구체적으로, 홀더(300)로부터 노출된 제1 브러쉬부(210)의 길이(a)와 홀더(300)로부터 노출된 제2 브러쉬부(220)의 길이(b) 사이의 최적의 비율을 산출하기 위해서, 홀더(300)로부터 노출된 제1 브러쉬부(210)의 길이(a)를 고정하고, 홀더(300)로부터 노출된 제2 브러쉬부(220)의 길이(b)를 변화시키며 실제 브러쉬(200)로 그려지는 선의 두께를 측정해 보았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브러쉬부의 길이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2 브러쉬부의 길이의 변화에 따른 브러쉬로 그려지는 선의 두께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는 홀더(300)로부터 노출된 제1 브러쉬부(210)의 길이(a)를 8mm로 고정하고, 홀더(300)로부터 노출된 제2 브러쉬부(220)의 길이(b)를 1.5mm에서 4.0mm까지의 범위에서 0.1mm 단위로 변화시키면서(X축), 브러쉬(200)로 그려지는 선의 두께를 측정하였다(Y축). 여기서, 브러쉬(200)로 그려지는 선의 두께는 동일한 조건에서 50번 이상 반복하여 측정한 두께의 평균값이다.
그 결과, 홀더(300)로부터 노출된 제2 브러쉬부(220)의 길이(b)가 1.5mm에서 2.2mm까지의 범위에서는 브러쉬(200)로 그려지는 선의 두께가 0.8mm에서 1.2mm까지의 범위에서 변화하며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지 못하였다. 이는 홀더(300)로부터 노출된 제2 브러쉬부(220)의 길이(b)가 상대적으로 너무 짧아 제1 브러쉬부(2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면서, 제1 브러쉬부(210)가 쉽게 휘어지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홀더(300)로부터 노출된 제2 브러쉬부(220)의 길이(b)가 3.3mm에서 4.0mm까지의 범위에서는 브러쉬(200)로 그려지는 선의 두께가 0.7mm에서 1.3mm까지의 범위에서 변화하며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지 못하였다. 이는 홀더(300)로부터 노출된 제2 브러쉬부(220)의 길이(b)가 상대적으로 너무 길어 제2 브러쉬부(220)가 제1 브러쉬부(210)를 간섭하면서, 제2 브러쉬부(220)로도 선이 그려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반하여, 홀더(300)로부터 노출된 제2 브러쉬부(220)의 길이(b)가 2.3mm 내지 3.2mm까지의 범위에서는 제1 브러쉬부(210)로 그려지는 선의 두께가 0.4mm로 일정하였다. 이는 제2 브러쉬부(220)가 제1 브러쉬부(2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제2 브러쉬부(220)가 제1 브러쉬부(210)를 간섭하지 않으므로, 제1 브러쉬부(210)로만 선이 일정하게 그려지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결국, 홀더(300)로부터 노출된 제2 브러쉬부(220)의 길이(b)가 2.3mm 내지 3.2mm까지의 범위에서는 제1 브러쉬부(210)로 그려지는 선의 두께가 일정한 반면, 홀더(300)로부터 노출된 제2 브러쉬부(220)의 길이(b)가 2.3mm 미만이거나, 3.2mm 초과인 범위에서는 제1 브러쉬부(210)로 그려지는 선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홀더(300)로부터 노출된 제2 브러쉬부(220)의 길이(b)가 2.3mm 내지 3.2mm까지의 범위에서는 제1 브러쉬부(210)로 그려지는 선의 두께가 0.4mm로 상대적으로 얇은 반면, 홀더(300)로부터 노출된 제2 브러쉬부(220)의 길이(b)가 2.3mm 미만이거나, 3.2mm 초과인 범위에서는 제1 브러쉬부(210)로 그려지는 선의 두께가 급격히 두꺼워지는 차이점도 확인할 수 있다.
즉, 홀더(300)로부터 노출된 제2 브러쉬부(220)의 길이(b)가 2.3mm인 경우와 3.2mm인 경우를 기준으로 이질적이고 현저한 작용효과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브러쉬부(210)로 그려지는 선을 얇으면서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홀더(300)로부터 노출된 제1 브러쉬부(210)의 길이(a)가 8mm일 때, 홀더(300)로부터 노출된 제2 브러쉬부(220)의 길이(b)가 2.3mm 내지 3.2mm까지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홀더(300)로부터 노출된 제1 브러쉬부(210)의 길이(a)는 홀더(300)로부터 노출된 제2 브러쉬부(220)의 길이(b)에 대하여 2.5배(=8mm/3.2mm)내지 3.48배(=8mm/2.3mm)가 바람직하다.
한편,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러쉬부(210)는 다수의 제1 모(210a)로 이루어지고, 제2 브러쉬부(220)는 다수의 제2 모(220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브러쉬부(220)의 다수의 제2 모(220a)의 밀도가 제1 브러쉬부(210)의 다수의 제1 모(210a)의 밀도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브러쉬부(220)의 다수의 제2 모(220a)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큼으로써, 액상 화장품을 충분히 흡수하여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추가적으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러쉬부(210)의 다수의 제1 모(210a)의 두께는 제2 브러쉬부(220)의 다수의 제2 모(220a)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브러쉬부(210)의 다수의 제1 모(210a)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움으로써, 실제로 화장을 수행하는 제1 브러쉬부(210)의 탄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 라이너의 브러쉬의 단면도로, 이를 참조하여 아이 라이너의 브러쉬(200)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러쉬부(210)는 다수의 제1 모로 다수의 고분자 합성수지(예를 들어, PBT NYLON)를 필요한 양만큼 준비하여, 소정길이로 절단한 후, 금형에 삽입하고 고온의 열(200 내지 250℃)을 가진 히터판이나 열풍으로 가열하여 다수의 고분자 합성수지를 녹여서 서로 접합시킴으로써, 제1 브러쉬부(210)의 타단(바디(100)로부터 돌출된 일단의 반대 말단)에 제1 단턱(213)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유도심(4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브러쉬부(210)의 타단 중앙부분에 펀치 등으로 제1 홀(215)을 형성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브러쉬부(220)는 다수의 제2 모로 다수의 고분자 합성수지(예를 들어, PBT NYLON)를 필요한 양만큼 준비하여, 제1 브러쉬부(210)보다 짧은 길이로 절단한 후, 금형에 삽입하고 고온의 열(200 내지 250℃)을 가진 히터판이나 열풍으로 가열하여 다수의 고분자 합성수지를 녹여서 서로 접합시킴으로써, 제2 브러쉬부(220)의 타단(바디(100)로부터 돌출된 일단의 반대 말단)에 제2 단턱(223)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2 브러쉬부(220)의 타단에 형성된 제2 단턱(223)은 홀더(300)의 타단(브러쉬(200)의 일단이 노출되는 일단의 반대 말단, 도 1a 참조)에 걸릴 수 있다. 이후, 제1 브러쉬부(2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브러쉬브(220)의 중앙부분에 펀치 등으로 제2 홀(225)을 형성한다(도 3b 참조). 한편, 제1 브러쉬부(210)의 제1 단턱(213)이 강제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브러쉬부(220)의 제2 단턱(223)에는 요철부(227)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자동 피더를 이용하여 제1 브러쉬부(210)와 제2 브러쉬부(220)를 1열로 정렬한다. 이후, 호퍼를 이용하여 제2 브러쉬부(220)를 고정시킨 후,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브러쉬부(220)의 제2 홀(225)에 제1 브러쉬부(210)를 삽입하여 브러쉬(200)를 조립할 수 있다.
한편, 도 1a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러쉬부(210)의 타단(뾰쪽한 일단의 반대 말단으로 바디(100)에 삽입된 말단)에는 중앙부분에 제1 홀(215)이 형성되고, 이러한 제1 브러쉬부(210)의 제1 홀(215)에 유도심(400)의 말단이 삽입된다. 이때, 유도심(400)은 바디(100)의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액상 화장품을 흡수하여, 모세관 현상으로 브러쉬(20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조절기(500)는 유도심(400)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절기(500)는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액상 화장품의 압력이 소정 값 이상으로 높아지면, 액상 화장품을 일부 흡수하여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액상 화장품의 압력을 낮추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 라이너는 제1 브러쉬부(210)와 제2 브러쉬부(220)가 별로도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아이 라이너는 반드시 제1 브러쉬부(210)와 제2 브러쉬부(220)가 별도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 라이너의 단면도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200)는 제1 브러쉬부(210)와 제2 브러쉬부(220)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브러쉬부(210)와 제2 브러쉬부(220)를 포함하는 브러쉬(200)는 다수의 고분자 합성수지(예를 들어, PBT NYLON)를 필요한 양 만큼 준비하여, 단차(230)가 형성되도록 소정길이로 절단한 후, 금형에 삽입하고 고온의 열(200 내지 250℃)을 가진 히터판이나 열풍으로 가열하여 다수의 고분자 합성수지를 녹여서 서로 접합시킴으로써, 브러쉬(200)의 타단(바디(100, 홀더(300))로부터 돌출된 일단의 반대 말단)에 단턱(228)을 형성한다. 여기서, 브러쉬(200)의 타단에 형성된 단턱(228)은 홀더(300)의 타단(브러쉬(200)의 일단이 노출되는 일단의 반대 말단)에 걸릴 수 있다.
이후, 유도심(4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브러쉬(200)의 타단 중앙부분에 펀치 등으로 홀(229)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바디 110: 수용공간
120: 커버 200: 브러쉬
210: 제1 브러쉬부 210a: 제1 모
213: 제1 단턱 215: 제1 홀
220: 제2 브러쉬부 220a: 제2 모
223: 제2 단턱 225: 제2 홀
227: 요철부 228: 단턱
229: 홀 230: 단차
300: 홀더 400: 유도심
500: 조절기 600: 밀봉캡
a: 홀더로부터 노출된 제1 브러쉬부의 길이
b: 홀더로부터 노출된 제2 브러쉬부의 길이

Claims (7)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액상 화장품을 수용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의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액상 화장품을 흡수하며,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고 일단이 뾰쪽한 제1 브러쉬부, 및 상기 제1 브러쉬부를 둘러싸고,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된 일단에 의해서 상기 제1 브러쉬부의 외주면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브러쉬부보다 상기 바디로부터 적게 돌출된 제2 브러쉬부를 포함하는 브러쉬;
    를 포함하는 아이 라이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러쉬부와 상기 제2 브러쉬부는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된 아이 라이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러쉬부와 상기 제2 브러쉬부는 일체로 형성된 아이 라이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상기 바디의 일단에 홀더를 통해서 결합되고,
    상기 홀더로부터 노출된 상기 제1 브러쉬부의 길이는 상기 홀더로부터 노출된 상기 제2 브러쉬부의 길이에 대하여 2.5배 내지 3.48배인 아이 라이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상기 바디의 일단에 홀더를 통해서 결합되고,
    상기 브러쉬의 일단이 상기 홀더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브러쉬의 타단에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은 상기 홀더의 타단에 걸리는 아이 라이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러쉬부는 다수의 제1 모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브러쉬부는 다수의 제2 모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제2 모의 밀도는 상기 다수의 제1 모의 밀도보다 큰 아이 라이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러쉬부는 다수의 제1 모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브러쉬부는 다수의 제2 모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제1 모의 두께는 상기 다수의 제2 모의 두께보다 두꺼운 아이 라이너.
KR1020170040437A 2016-08-17 2017-03-30 아이 라이너 KR101934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04448 2016-08-17
KR1020160104448 2016-08-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079A true KR20180020079A (ko) 2018-02-27
KR101934867B1 KR101934867B1 (ko) 2019-04-05

Family

ID=61394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437A KR101934867B1 (ko) 2016-08-17 2017-03-30 아이 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8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840B1 (ko) * 2019-12-30 2021-12-08 김명자 다단 브러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7340A (ko) * 2007-09-12 2009-03-17 주식회사 케미코스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KR20120001943U (ko) * 2010-09-07 2012-03-15 주식회사 리치코스 아이라이너 브러시 구조
KR101285716B1 (ko) * 2012-01-20 2013-07-12 히로키 하세가와 브러쉬를 구비한 화장용 도포구 및 화장용 도포구를 포함한 화장품 용기
KR200475064Y1 (ko) 2014-07-24 2014-11-07 주식회사 버디전자 아이라이너
KR101464934B1 (ko) * 2014-04-18 2014-12-04 주식회사 버디전자 아이라이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7340A (ko) * 2007-09-12 2009-03-17 주식회사 케미코스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KR20120001943U (ko) * 2010-09-07 2012-03-15 주식회사 리치코스 아이라이너 브러시 구조
KR101285716B1 (ko) * 2012-01-20 2013-07-12 히로키 하세가와 브러쉬를 구비한 화장용 도포구 및 화장용 도포구를 포함한 화장품 용기
KR101464934B1 (ko) * 2014-04-18 2014-12-04 주식회사 버디전자 아이라이너
KR200475064Y1 (ko) 2014-07-24 2014-11-07 주식회사 버디전자 아이라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867B1 (ko) 201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5553B1 (ko) 메이크업용 브러시를 포함한 기구, 제조방법 및 어플리케이터
JP2004329946A (ja) マスカラブラシ
JP2006334429A (ja) 物質を皮膚に塗布するよう構成されたアプリケータエレメントを有するアプリケータ
CN107136729B (zh) 液态化妆品容器
CN107136728B (zh) 液态化妆品容器
CN108348061B (zh) 用于涂抹化妆品的涂抹器
JP2012235885A (ja) 棒状化粧料繰出容器
JP2004337614A (ja) アプリケータ、並びにアプリケータを含む包装及びアプリケータ装置
KR101934867B1 (ko) 아이 라이너
CN107920651A (zh) 美容品涂抹器
JP2018514305A (ja) 加熱要素を備えた化粧製品アプリケータ用の加熱支持体
CN110809418B (zh) 刷具以及具备其的睫毛膏容器
EP3192391B1 (en) Mascara for eyelash makeup
JP6868377B2 (ja) 液状化粧料容器
JP2012101395A (ja) 塗布具
US10392170B2 (en) Container cap
US9888762B2 (en) Fan brush cosmetic applicator
US11925248B2 (en) Liquid cosmetic material container
KR101284701B1 (ko) 화장용 브러시 및 그 제조방법
KR102336840B1 (ko) 다단 브러쉬
JP4749778B2 (ja) 化粧料塗布具
US4207013A (en) Writing instrument
MXPA05010677A (es) Lapiz cosmetico y metodo para su produccion.
CN109770524B (zh) 一种睫毛膏涂抹器
KR101924918B1 (ko) 피부에 유체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 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