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806B1 -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 Google Patents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806B1
KR101226806B1 KR1020120110862A KR20120110862A KR101226806B1 KR 101226806 B1 KR101226806 B1 KR 101226806B1 KR 1020120110862 A KR1020120110862 A KR 1020120110862A KR 20120110862 A KR20120110862 A KR 20120110862A KR 101226806 B1 KR101226806 B1 KR 101226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pigment
cap
brush
intermediat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수
양하석
Original Assignee
양하석
김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하석, 김명수 filed Critical 양하석
Priority to KR1020120110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8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65Brushes where the reservoir is specifically intended for being replaced when emp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5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a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72Eyelin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에 제1나사부(111)가 형성된 후방홀더(110)와; 제1나사부(111)에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부(121)가 형성되어 상기 후방홀더(110)에 나사결합되는 중간홀더(120)와; 중간홀더(120)의 전방측에 압입되어 결합되는 전방홀더(130)와; 중간홀더(120) 내측에 결합되는 농도조절유닛(140)과; 전방홀더(130)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브러쉬(151)를 가지는 브러쉬유닛(150)과; 후방홀더(110)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액상의 화장안료가 충진되며 중간홀더(120)에 착탈되는 착탈안료통(160)과; 농도조절유닛(140)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착탈안료통(160)과 브러쉬유닛(150)을 연결하는 연결코어(170)와; 중간홀더(120)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밀봉캡(1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Eyeliner pencil}
본 발명은 아이라이너 펜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안료가 층진된 안료통을 리필할 수 있는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에 관한 것이다.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은 주로 눈에 아이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장을 할 때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농도저절유닛과 도포체와 연결코어의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 안료형 아아리이너 펜슬은, 개방된 전단부 및 개방된 후단부(12)를 갖춘 원통형의 홀더(10)와; 홀더(10)의 후단부(12)를 폐쇄시키는 플러그(20)와; 홀더(10)의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도포체(30)와, 홀더(10)의 내측에 결합되는 농도조절유닛(40)과, 농도조절유닛(40)과 플러그(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충진되는 액상의 화장안료(50)와, 농도조절유닛(40)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화장안료(50)를 도포체(30)에 공급하는 연결코어(60)와, 홀더(10)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도포체(30)를 외부환경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밀봉캡(70)을 포함한다.
도포체(30)는 다공성 스펀지로 구현되거나, 다수의 인조모가 끝이 뾰족하게 가공되어 구현될 수 있다.
농도조절유닛(40)은 외부의 온도나 습도환경에 관계없이 화장안료(50)가 연결코어(60)를 통하여 도포체(30)로 일정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농도조절유닛(40)은, 외측 원주상에 다수의 환형슬릿(41a)이 형성된 농도조절기(41)와, 농도조절기(41)의 내주면에 축선 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환형슬릿(41a)과 연통되는 홈(42)과, 도포체(30)가 고정되는 도포체고정단(43)과, 농도조절기(41)의 후방에 형성된 것으로서 홀더(10)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밀착단(44)을 포함한다.
연결코어(60)는 일측단이 화장안료(50)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측단이 도포체(30)와 연결되며,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화장안료를 흡수할 수 있도록 다공성 재질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화장안료(50)는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연결코어(60)를 통하여 도포체(30)로 이송되고 도포체(30)로 눈화장을 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은 홀더(10)에 충진된 화장안료를 전부 사용하게 되면 폐기할 수 밖에 없어 낭비가 심하였다.
또한 밀봉캡(70)이 홀더(10)에 결합되더라도, 홀더(10)와 밀봉캡(70) 사이의 틈새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도포체(30)에 함유된 화장안료를 마르게 한다. 이 경우 화장이 잘 되지 않았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화장안료를 리필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봉캡을 결합하였을 때 외부의 공기가 브러쉬로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여 브러쉬가 마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은, 전방에 제1나사부(111)가 형성된 후방홀더(110); 상기 제1나사부(111)에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부(121)가 형성되어 상기 후방홀더(110)에 나사결합되는 중간홀더(120); 상기 중간홀더(120)의 전방측에 압입되어 결합되는 전방홀더(130); 상기 중간홀더(120) 내측에 결합되는 농도조절유닛(140); 상기 전방홀더(130)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브러쉬(151)를 가지는 브러쉬유닛(150); 상기 후방홀더(110)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액상의 화장안료가 충진되며 상기 중간홀더(120)에 착탈되는 착탈안료통(160); 상기 농도조절유닛(140)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상기 착탈안료통(160)과 브러쉬유닛(150)을 연결하는 연결코어(170); 및 상기 중간홀더(120)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밀봉캡(180);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홀더(120)는, 중앙에 관통공(122a)이 형성된 턱부(122)와,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관형의 스커트부(123)와, 상기 스커트부(123)의 내측에서 상기 턱부(122)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된 관형의 끼움돌부(124)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안료통(160)은, 상기 스커트부(123)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스커트부지지단(163)과, 상기 끼움돌부(124)가 밀착되게 삽입되는 삽입단(164)과, 상기 삽입단(164)의 내측에 형성된 밀봉막(166)과, 상기 밀봉막(166)의 반대측에 밀봉되게 결합되는 안료통밀봉캡(16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봉막(166)은, 상기 삽입단(164)에 내주면측의 폭(d1)이 중앙측의 폭(d2) 보다 두꺼운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밀봉막(166)은, 그 표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방사상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파손홈(166a)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간홀더(120)는, 상기 끼움돌부(124)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돌부경사단(12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착탈안료통(160)은, 상기 삽입단(164)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끼움돌부(124)의 삽입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경사단(165)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유닛(150)은, 다수의 인조모로 구성된 브러쉬(151); 및 상기 브러쉬(151)가 결합되는 것으로, 중앙에 상기 연결코어(170)의 전단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홀더(130)와 농도조절유닛(140) 사이에 끼어져 고정되는 링(15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봉캡(180)은, 중간측 외주면에 돌출단턱(181)이 형성되는 내캡(182)과, 상기 내캡(182)이 내장되는 외캡(183)과, 상기 외캡(183)의 단부와 돌출단턱(181)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84)과, 외캡(183)의 입구측 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중간홀더(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계합홈(120a)에 밀착되게 계합되는 계합돌기(183a)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내캡(182)의 입구측에서 확관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방홀더(130)의 전방홀더밀착단(130a)에 대응되는 역경사면이 형성이 내캡밀착단(182a)을 포함하고; 상기 내캡밀착단(182a)의 내주면에는 상기 전방홀더(130)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탄성단(182b)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상의 화장안료가 충진된 착탈안료통을 중앙홀더에서 용이하게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어 화장안료를 전부 소모한 후, 다른 착탈안료통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복적인 리필이 가능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외캡의 계합돌기가 중간홀더의 계합홈에 계합되었을 때, 스프링은 내캡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때문에 내캡밀착단은 전방홀더밀착단에 넓은 면적으로 밀착된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는 계합돌기 및 계합홈에 의하여 1차로 차단되고 이후 내캡밀착단과 전방홀더밀착단에 의하여 2차로 차단되므로, 내캡 내부로 공기가 전혀 유입되지 않게 된다. 격렬한 운동이나 일상생활 도중에도, 또한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내캡 내부는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브러쉬가 마르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농도저절유닛과 도포체와 연결코어의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후방홀더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중간홀더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농도조절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3의 브러쉬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3의 착탈안료통을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밀봉막에 파손홈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은, 전방에 제1나사부(111)가 형성된 후방홀더(110)와; 제1나사부(111)에 제1나사부(111)에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부(121)가 형성되어 후방홀더(110)에 나사결합되는 중간홀더(120)와; 중간홀더(120)의 전방측에 압입되어 결합되는 전방홀더(130)와; 중간홀더(120) 내측에 결합되는 농도조절유닛(140)과; 전방홀더(130)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브러쉬(151)를 가지는 브러쉬유닛(150)과; 후방홀더(110)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액상의 화장안료가 충진되며 중간홀더(120)에 착탈되는 착탈안료통(160)과; 농도조절유닛(140)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착탈안료통(160)과 브러쉬유닛(150)을 연결하는 연결코어(170)와; 중간홀더(120)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밀봉캡(180);을 포함한다.
도 4는 도 3의 후방홀더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홀더(110)는, 전방측이 개방되고 후방측이 밀봉되며 전체적으로 통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후방홀더(110)의 전방 내주면에는 제1나사부(111)가 형성된다.
도 5는 도 3의 중간홀더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홀더(120)는, 전체적으로 통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에 제1나사부(111)와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중간홀더(120)는, 중앙에 관통공(122a)이 형성된 턱부(122)와,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착탈안료통(160)의 외주면을 잡아주는 관형의 스커트부(123)와, 스커트부(123)의 내측에서 턱부(122)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된 관형의 끼움돌부(124)와, 끼움돌부(124)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돌부경사단(125)을 포함한다.
턱부(122)는 중간홀더(120) 내부에 결합되는 농도조절유닛(140)의 단부를 지지하고, 관통공(122a)에는 농도조절유닛(140)을 관통하는 연결코어(170)가 끼어진다.
스커트부(123)는 끼움돌부(124) 보다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며, 끼어지는 착탈안료통(160)의 스커트지지단(163)을 견고하게 지지한다.
끼움돌부(124)는 착탈안료통(160)의 삽입단(164)을 관통하여 밀봉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끼움돌부(124)를 통하여 연결코어(170)의 단부면은 착탈안료통(160)의 내측에 위치되고 이에 따라 화장안료는 연결코어(170)의 단부를 통하여 흡수된다.
돌부경사단(125)은 끼움돌부(124)가 후술할 착탈안료통(160)의 삽입단(164)에 용이하게 끼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전방홀더(130)는 중간홀더(120)의 전방측에 압입되어 끼어져 결합되어 결합된 부분은 완전히 밀착된다. 이러한 전방홀더(130)의 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브러쉬(151)가 관통공을 통하여 전방측으로 노출된다.
또한 전방홀더(130)의 표면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전방홀더밀착단(13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방홀더밀착단(130a)은 후술할 내캡밀착단(182a)과 밀착된다.
도 6은 도 3의 농도조절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농도조절유닛(140)은, 외부의 온도나 습도환경에 관계없이 착탈안료통(160)에 충진된 화장안료가 연결코어(170)를 통하여 브러쉬유닛(150)으로 일정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농도도절유닛(140)은, 외측 원주상에 다수의 환형슬릿(141a)이 형성된 농도조절기(141)와, 농도조절기(141)의 내주면에 축선 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환형슬릿(41a)과 연통되는 홈(142)과, 농도조절기(141)의 전방에 형성된 것으로서 브러쉬유닛(150)이 지지되는 지지단(143)을 포함한다.
환형슬릿(141a)의 두께는 0.2mm 이고, 환형슬릿과 다른 환형슬릿 사이의 간격은 0.15mm 이다. 상기한 환형슬릿의 두께와 사이의 간격이 달라질 때, 액상안료가 쉽게 굳거나 내용물의 흐름이 방해된다.
다수의 환형슬릿(141a)은 근접하게 이격되어 있어 모세관작용에 의하여 언제나 화장안료를 머금는다. 따라서 대기압이나 대기 온도 등의 급작스러운 변화에도 화장안료가 브러쉬유닛(150)로 과도하게 공급되거나 누출되는 것이 구조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도 3의 브러쉬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유닛(150)은, 다수의 인조모로 구성된 브러쉬(151)와, 브러쉬(151)가 결합되는 것으로 중앙에 연결코어(170)의 단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링(152)으로 구성된다.
브러쉬(151)는 다수의 인조모로 이루어지며, 각 인조모 가닥은 나이론수지나 폴리부티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PBT)로 부터 얻어지는 방사(紡絲:spinning)를 이용하여 끝이 뽀족하게 약품 및 열처리하여 구현된다. 이러한 브러쉬(151)는 양호한 화장안료의 흡수 및 텐션력을 발휘하게 된다.
링(15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홀더(130)와 농도조절유닛(140) 사이에 끼어져 고정되고, 연결코어(170)의 전단은 링(152)을 관통하여 브러쉬(151)의 내측에 위치된다.
도 8은 도 3의 착탈안료통을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밀봉막에 파손홈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안료통(160)은, 액상의 화장안료가 충진되는 것으로서 중간홀더(120)의 스커트부(123)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스커트부지지단(163)과, 끼움돌부(124)가 밀착되게 삽입되는 삽입단(164)과, 삽입단(164)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끼움돌부(124)의 삽입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경사단(165)과, 삽입단(164)의 내측에 형성된 밀봉막(166)과, 밀봉막(166)의 반대측에 밀봉되게 결합되는 안료통밀봉캡(167)과, 화장안료에 함유된 성분이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볼(168)을 포함한다.
스커트부지지단(163)은 착탈안료통(160)이 중앙홀더(120)에 결합할 때 스커트부(123)의 내주면에 지지된다.
삽입단(164)은 중앙홀더(120)의 끼움돌부(124)가 압입되어 끼어지는 것이며, 내주면은 끼움돌부(124)의 외주면과 밀봉되게 밀착된다. 따라서 충진된 화장안료는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밀봉막(166)은 삽입단(164)의 내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끼움돌부(124)가 삽입단(164)으로 강하게 압입 끼움될 때 파손되면서 끼움돌부(124)가 삽입단(164)에 완전히 끼어지도록 한다.
이때 끼움돌부(124)가 삽입단(164)에 용이하게 끼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밀봉막(166)은 삽입단(164)에 내주면측의 폭(d1)이 중앙측의 폭(d2) 보다 두꺼운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밀봉막(166)의 폭이 중앙측으로 갈수록 얇아지기 때문에, 끼움돌부(124)에 의하여 압력을 받을 때 밀봉막(166)은 용이하게 파손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끼움돌부(124)가 삽입단(164)에 보다 용이하게 끼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밀봉막(166)의 표면에는 다수개, 바람직하게는 6개의 파손홈(166a)이 방사상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파손홈(166a)이 형성됨으로써, 끼움돌부(124)에 의하여 압력을 받을 때 파손홈(166a)을 따라 밀봉막(166)은 용이하게 파손될 수 있다.
안료통밀봉캡(167)은 착탈안료통(160)에 액상의 화장안료를 충진한 후 끼어져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착탈안료통(160)은 액상의 화장안료가 충진된 상태로 유통되어 리필용으로 사용된다.
연결코어(170)는 농도조절유닛(140)에 머금어진 화장안료를 브러쉬유닛(150)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코어(170)의 단부는 링(152)을 관통한 후 브러쉬(151)와 접촉면적이 최대화되도록 끝이 뾰족하게 가공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코어(170)는 아크릴 또는 폴리에스터 섬유 등과 같은 섬유질 소재로 제조된다.
밀봉캡(180)은, 중간홀더(120)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중간측 외주면에 돌출단턱(181)이 형성되는 내캡(182)과, 내캡(182)이 내장되는 외캡(183)과, 외캡(183)의 단부와 돌출단턱(181)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84)을 포함한다.
이때 내캡(182)의 입구측에는 확관되는 것으로서 전방홀더밀착단(130a)에 대응되는 역경사면이 형성이 내캡밀착단(182a)이 형성된다. 이러한 내캡밀착단(182a)에는 전방홀더밀착단(130a)에 대응되는 역경사면이 형성되므로, 내캡밀착단(182a)이 전방홀더밀착단(130a)에 밀착될 때 넓은 면적이 밀착되는 것이다.
내캡밀착단(182a)과 전방홀더(130) 사이에는 상호 밀착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내캡밀착단(182a)의 내주면에는 탄성단(182b)이 형성될수 있다. 이 경우 탄성단(182b)은 실리콘 고무나 천연고무로 된다.
외캡(183)의 입구측 단부 내주면에는 중간홀더(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계합홈(120a)에 밀착되게 계합되는 계합돌기(183a)가 형성된다.
이러한 밀봉캡(180)의 구성에 의하여, 외캡(183)이 계합돌기(183a)가 중간홀더(120)의 계합홈(120a)에 계합된 상태에서, 스프링(184)은 내캡(182)을 전방홀더(130) 측으로 탄성력을 인가하고, 이에 따라 내캡밀착단(182a)은 전방홀더밀착단(130a)에 넓은 면적으로 밀착된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는 계합돌기(183a) 및 계합홈(120a)에 의하여 1차로 차단되고, 이후 내캡밀착단(182a)과 전방홀더밀착단(130a)에 의하여 2차로 차단되므로, 내캡(182) 내부로 공기가 전혀 유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원의 아이라이너 펜슬을 휴대한 상태에서 격렬한 운동이나 일상생활 도중에도, 또한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내캡(182) 내부는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브러쉬(151)가 마르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착탈안료통(160)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후방홀더(110)와 중간홀더(120)를 상호 회전시켜 제1,2나사부(111)(121)에 의하여 나사결합되어 있는 후방홀더(110)를 중간홀더(120)로부터 분리한다. 이후 화장안료가 전부소모된 착탈안료통(160)을 잡아당겨 중간홀더의 끼움돌부(124)로부터 분리시킨다. 이후 화장안료가 충진된 새로운 착탈안료통을 스커트부(123)에 끼운후 끼움돌부(124) 측으로 강제 압입한다. 그러면 끼움돌부(124)는 삽입단(164)으로 삽입되면서 밀봉막(166)을 파손시키고, 더욱 삽입되어 삽입단(164)에 완전히 끼어진다. 그리고 후방홀더(110)를 중간홀더(120)에 끼운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중간홀더(120)에 결합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10 ... 후방홀더 111 ... 제1나사부
120 ... 중간홀더 120a ... 계합홈
121 ... 제2나사부 122 ... 턱부
122a ... 관통공 123 ... 스커트부
124 ... 끼움돌부 125 ... 돌부경사단
130 ... 전방홀더 130a ... 전방홀더밀착단
140 ... 농도조절유닛 141 ... 농도조절기
141a ... 환형슬릿 142 ... 홈
143 ... 지지단 150 ... 브러쉬유닛
151 ... 브러쉬 152 ... 링
160 ... 착탈안료통 163 ... 스커트부지지단
164 ... 삽입단 165 ... 가이드경사단
166 ... 밀봉막 167 ... 안료통밀봉캡
170 ... 연결코어 180 ... 밀봉캡
181 ... 돌출단턱 182 ... 내캡
182a ... 내캡밀착단 183 ... 외캡
184 ... 스프링

Claims (8)

  1. 전방에 제1나사부(111)가 형성된 후방홀더(110);
    상기 제1나사부(111)에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부(121)가 형성되어 상기 후방홀더(110)에 나사결합되는 중간홀더(120);
    상기 중간홀더(120)의 전방측에 압입되어 결합되는 전방홀더(130);
    상기 중간홀더(120) 내측에 결합되는 농도조절유닛(140);
    상기 전방홀더(130)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브러쉬(151)를 가지는 브러쉬유닛(150);
    상기 후방홀더(110)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액상의 화장안료가 충진되며 상기 중간홀더(120)에 착탈되는 착탈안료통(160);
    상기 농도조절유닛(140)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상기 착탈안료통(160)과 브러쉬유닛(150)을 연결하는 연결코어(170); 및
    상기 중간홀더(120)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밀봉캡(180);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홀더(120)는, 중앙에 관통공(122a)이 형성된 턱부(122)와,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관형의 스커트부(123)와, 상기 스커트부(123)의 내측에서 상기 턱부(122)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된 관형의 끼움돌부(124)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안료통(160)은, 상기 스커트부(123)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스커트부지지단(163)과, 상기 끼움돌부(124)가 밀착되게 삽입되는 삽입단(164)과, 상기 삽입단(164)의 내측에 형성된 밀봉막(166)과, 상기 밀봉막(166)의 반대측에 밀봉되게 결합되는 안료통밀봉캡(16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막(166)은,
    상기 삽입단(164)에 내주면측의 폭(d1)이 중앙측의 폭(d2) 보다 두꺼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막(166)은,
    그 표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방사상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파손홈(166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홀더(120)는, 상기 끼움돌부(124)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돌부경사단(12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착탈안료통(160)은, 상기 삽입단(164)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끼움돌부(124)의 삽입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경사단(16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유닛(150)은,
    다수의 인조모로 구성된 브러쉬(151); 및 상기 브러쉬(151)가 결합되는 것으로, 중앙에 상기 연결코어(170)의 전단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홀더(130)와 농도조절유닛(140) 사이에 끼어져 고정되는 링(1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캡(180)은,
    중간측 외주면에 돌출단턱(181)이 형성되는 내캡(182)과, 상기 내캡(182)이 내장되는 외캡(183)과, 상기 외캡(183)의 단부와 돌출단턱(181)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84)과, 외캡(183)의 입구측 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중간홀더(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계합홈(120a)에 밀착되게 계합되는 계합돌기(183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182)의 입구측에서 확관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방홀더(130)의 전방홀더밀착단(130a)에 대응되는 역경사면이 형성이 내캡밀착단(182a)을 포함하고,
    상기 내캡밀착단(182a)의 내주면에는 상기 전방홀더(130)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탄성단(182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KR1020120110862A 2012-10-05 2012-10-05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KR101226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862A KR101226806B1 (ko) 2012-10-05 2012-10-05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862A KR101226806B1 (ko) 2012-10-05 2012-10-05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6806B1 true KR101226806B1 (ko) 2013-01-25

Family

ID=47842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862A KR101226806B1 (ko) 2012-10-05 2012-10-05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806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004B1 (ko) * 2013-12-17 2014-06-19 주식회사 리치코스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
KR101464934B1 (ko) * 2014-04-18 2014-12-04 주식회사 버디전자 아이라이너
WO2018074890A3 (ko) * 2016-10-21 2018-08-09 석종완 펜타입 화장품 용기
KR102011479B1 (ko) * 2019-03-13 2019-10-14 서진희 화장료 도포구
WO2020027359A1 (ko) * 2018-07-31 2020-02-06 서진희 화장료 도포구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067233A (zh) * 2020-01-15 2020-04-28 浙江正庄实业有限公司 抗菌高分子储液眼线笔及其材料制备方法
KR20200095020A (ko) 2019-01-31 2020-08-10 조지원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
KR102175072B1 (ko) 2019-06-26 2020-11-05 조지원 펄입자가 이동되는 홈이 형성된 이중 구획 잉크조절기를 구비한 도포구
KR102175091B1 (ko) 2019-06-26 2020-11-05 조지원 펄입자가 이동되는 홈이 형성된 펄가이드부재 삽입형 도포구
KR102359099B1 (ko) * 2020-12-04 2022-02-07 조지원 병진 이동 가능한 중계심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KR102359107B1 (ko) * 2020-12-04 2022-02-07 조지원 바이패스유로부가 형성된 아이라이너
KR20240059130A (ko) 2022-10-27 2024-05-07 (주)경원씨엠비 일체형 브러쉬가 구비된 개량 아이라이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819A (ko) * 1993-10-13 1995-05-15 가와까미 게에 화장재료용 용기
KR200335626Y1 (ko) * 2003-07-15 2003-12-11 조삼현 리필용 화장솔
KR100518193B1 (ko) 2004-09-23 2005-09-30 주식회사 케미코스크리에이션즈코리아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KR20090027340A (ko) * 2007-09-12 2009-03-17 주식회사 케미코스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819A (ko) * 1993-10-13 1995-05-15 가와까미 게에 화장재료용 용기
KR200335626Y1 (ko) * 2003-07-15 2003-12-11 조삼현 리필용 화장솔
KR100518193B1 (ko) 2004-09-23 2005-09-30 주식회사 케미코스크리에이션즈코리아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KR20090027340A (ko) * 2007-09-12 2009-03-17 주식회사 케미코스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004B1 (ko) * 2013-12-17 2014-06-19 주식회사 리치코스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
KR101464934B1 (ko) * 2014-04-18 2014-12-04 주식회사 버디전자 아이라이너
WO2018074890A3 (ko) * 2016-10-21 2018-08-09 석종완 펜타입 화장품 용기
WO2020027359A1 (ko) * 2018-07-31 2020-02-06 서진희 화장료 도포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95020A (ko) 2019-01-31 2020-08-10 조지원 입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된 도포구
KR102011479B1 (ko) * 2019-03-13 2019-10-14 서진희 화장료 도포구
KR102175072B1 (ko) 2019-06-26 2020-11-05 조지원 펄입자가 이동되는 홈이 형성된 이중 구획 잉크조절기를 구비한 도포구
KR102175091B1 (ko) 2019-06-26 2020-11-05 조지원 펄입자가 이동되는 홈이 형성된 펄가이드부재 삽입형 도포구
CN111067233A (zh) * 2020-01-15 2020-04-28 浙江正庄实业有限公司 抗菌高分子储液眼线笔及其材料制备方法
CN111067233B (zh) * 2020-01-15 2023-08-29 浙江正庄实业有限公司 抗菌高分子储液眼线笔
KR102359099B1 (ko) * 2020-12-04 2022-02-07 조지원 병진 이동 가능한 중계심이 구비된 아이라이너
KR102359107B1 (ko) * 2020-12-04 2022-02-07 조지원 바이패스유로부가 형성된 아이라이너
KR20240059130A (ko) 2022-10-27 2024-05-07 (주)경원씨엠비 일체형 브러쉬가 구비된 개량 아이라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806B1 (ko)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KR101226853B1 (ko)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KR200475064Y1 (ko) 아이라이너
KR900006217Y1 (ko) 두발용 화장재료의 도포구
KR101464934B1 (ko) 아이라이너
KR100897854B1 (ko) 액체 화장료용 도포구
KR101858427B1 (ko) 액체 도포가 가능한 두피 케어용기용 마개
KR101274866B1 (ko) 화장용 아이라이너 용기
JP2007021230A (ja) アプリケータ及びアプリケータを含むパッケージ化及びアプリケータ装置
KR20160114518A (ko) 액체 도포가 가능한 두피 케어용기용 마개
KR101267518B1 (ko) 아이 라이너
EP3208102B1 (en) Pen and pen refill
KR200466900Y1 (ko) 세필 브러시 타입 아이라이너
JP6514480B2 (ja) インク充填具
KR20080024942A (ko) 용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퍼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KR101196200B1 (ko) 새치 염색기구
JP6406972B2 (ja) 髪用塗布具
TWI771457B (zh) 自來水毛筆
KR102187398B1 (ko) 중계심 일체형 도포체를 구비한 아이라이너
JP2002255255A (ja) 簡易塗布具
KR200281544Y1 (ko) 잉크조절기를 갖는 아이라이너
JP2010253379A (ja) 塗布具
JP4162432B2 (ja) ペン型塗布具のカートリッジ
JP2017094526A (ja) 熱変色性筆記具
KR20100001626U (ko) 염색용 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