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507A -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하는 에어필터 - Google Patents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하는 에어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3507A
KR20190023507A KR1020170109380A KR20170109380A KR20190023507A KR 20190023507 A KR20190023507 A KR 20190023507A KR 1020170109380 A KR1020170109380 A KR 1020170109380A KR 20170109380 A KR20170109380 A KR 20170109380A KR 20190023507 A KR20190023507 A KR 20190023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air vent
vehicle
vent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현
Original Assignee
(주)성일프라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일프라스틱 filed Critical (주)성일프라스틱
Priority to KR1020170109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3507A/ko
Publication of KR20190023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5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2003/065Details for holding filter elements i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시보드의 덕트 끝부분에 설치되어 차량의 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의 양과 속도 및 방향을 조절하는 에어벤트 댐퍼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한 에어필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하는 에어필터로,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후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대응 형성된 리어 프레임과, 상기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리어 프레임 사이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에어벤트 댐퍼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 속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와 상기 리어 프레임의 바깥쪽 면에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클램프 및 상기 리어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상기 에어벤트 댐퍼와 상기 리어 프레임 사이를 밀폐시키는 패킹을 포함하는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하는 에어필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하는 에어필터{AIR FILTERT FOR MOUNTED ON AIRVENT-DAMPE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시보드의 덕트 끝부분에 설치되어 차량의 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의 양과 속도 및 방향을 조절하는 에어벤트 댐퍼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에어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차량 내의 공기환경을 쾌적하게 또는 운전자에게 적합한 조건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주요 기능인 냉난방 외에도 제습과 가습, 청정, 환기, 방향(Aroma) 등의 기능은 물론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항원 및 항습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에서는 대부분 공기 중 배기가스와 먼지, 황사 등의 오염물질을 걸러주고 정화하는 캐빈 필터를 통해 차량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차량의 내부공기 쾌적 여부에 캐빈 필터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캐빈 필터의 주기적인 점검을 통해 교체해야 밀폐된 차량 내부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람의 세기 저하나 악취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캐빈 필터는 보통 6개월 또는 주행거리 1만km가 넘으면 수명이 다하여 교체가 필요하지만 운전환경이나 운전특성 등에 따라 오염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수시로 확인하고 새 캐빈 필터로 교체해야 한다.
그런데 캐빈 필터는 조수석 앞쪽의 글로브 박스 안쪽에 위치하므로 이를 점검 및 교체할 때 글로브 박스를 열고 분리했다가 원래대로 다시 끼워야 하고, 또 공기가 흐르는 정해진 방향, 즉 방향성을 맞추어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수시로 하기에는 매우 번거롭고 수고스러운 일인 데다 오염 상태를 바로 확인하기 어려워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고 작업도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차종에 따라 캐빈 필터를 교체하는 방법에 약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올바른 교체 방법을 숙지하지 않은 운전자는 교체가 어려울 수밖에 없어 숙련된 정비사를 통해서나 전문 정비소에 방문해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구성 중 차량의 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의 양과 속도 및 방향을 조절하는 이른바 에어벤트 댐퍼는 주로 대시보드(dashboard)의 덕트 끝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에어벤트 댐퍼는, 케이싱(110)의 내부에 다수 개의 수평루버(120)와 수직루버(150)가 격자 형태로 겹쳐지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루버(120)의 양측 단부에 핀(121)이 형성되어 있고, 이는 상기 케이싱(110)의 홈(111)에 결합되어 있어 상기 수평루버(120)는 상기 핀(121)을 중심축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평루버(120) 상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노브(130)가 위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필요나 선택에 따라 상기 노브(130)를 상하로 움직이면 상기 수평루버(120)가 상하로 회전되어 경사각을 변경함으로써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루버(120)들의 일단에는 각각 회전링크(140)가 결합되어 있어 각각의 수평루버(120)들은 연동된다.
아울러 상기 수직루버(150)들도 상기 노브(130)와 결합되어 있어 상기 노브(130)를 좌우로 이동시키면 상기 수직루버(150)들도 좌우로 회전됨으로써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노브(13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수평루버(120)와 상기 수직루버(150)의 각도를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하거나 스윙하도록 조절하여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10-0755968 B1(2007.08.30) KR10-1758135 B1(2017.07.10)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차량용 에어필터가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운전자 등의 사용자가 교체시기를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면서 교체가 간편하고 용이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고, 아울러 수명이 다한 필터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에어필터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운전자 등이 교체시기를 직접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하는 에어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교체가 간편하고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하는 에어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필터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하는 에어필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하는 에어필터로,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후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대응 형성된 리어 프레임과, 상기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리어 프레임 사이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에어벤트 댐퍼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 속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와 상기 리어 프레임의 바깥쪽 면에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클램프 및 상기 리어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상기 에어벤트 댐퍼와 상기 리어 프레임 사이를 밀폐시키는 패킹을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하는 에어필터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운전자나 탑승자 등이 필터의 교체시기를 직접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면서 교체가 간편하고 용이하여 교체 작업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수명이 다한 필터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교체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리어 프레임에는, 상기 에어벤트 댐퍼의 루버 각도를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하거나 스윙하도록 조절하여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 노브와 접촉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노브 삽입구멍이 형성됨으로써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 시 풍향조절용 노브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리어 프레임이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의 표면에 더욱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에어벤트 댐퍼의 루버에 끼워지도록 끝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면서 두 갈래로 갈라져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포크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의 표면에 한결 간편하고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의 표면에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나 탑승자 등이 필터의 오염 등에 따른 교체시기를 직접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수명이 다한 필터는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종래와 달리 교체 작업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사용수명이 다한 필터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교체에 소모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차량용 에어벤트 댐퍼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하는 에어필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하는 에어필터를 결합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하는 에어필터를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하는 에어필터를 확대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하는 에어필터는, 크게 프론트 프레임(10), 리어 프레임(20), 필터(30), 클램프(40) 및 패킹(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론트 프레임(10)과 리어 프레임(20)은 서로 대응 결합되어 필터(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프론트 프레임(10)과 리어 프레임(20)의 가운데 부분에는 좌우로 가로질러 지지하고, 패킹(50)을 상하로 양분하여 고정하는 크로스 프레임(12)(22)이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되어 있다.
즉, 프론트 프레임(10)과 리어 프레임(20)은 서로 마주하는 면끼리 탈부착 가능하게 마치 사각 틀처럼 대응 형성 및 분리가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분리하여 수명이 다한 필터(30)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론트 프레임(10)과 리어 프레임(20)은 상호 결합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결속용 부재(미도시)에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결속용 부재로는 프론트 프레임(10)과 리어 프레임(20)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억지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을 위한 후크 등의 암수 대응 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나 외력을 받을 시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일정한 결합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방식 혹은 나사못 등을 이용한 조임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특히 리어 프레임(20)의 가운데 부분에는 에어벤트 댐퍼의 루버 각도를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하거나 스윙하도록 조절하여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 노브와 접촉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노브 삽입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즉, 노브 삽입구멍(21)은 리어 프레임(20)의 가운데 부분을 좌우로 가로질러 지지하고, 패킹(50)을 상하로 양분하여 고정하며, 아울러 클램프(40)가 고정되는 크로스 프레임(22) 상에 형성되어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 시 풍향조절용 노브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고, 그로 인해 리어 프레임(20)이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의 표면에 더욱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프레임(20)의 바깥쪽 면 가장자리에는 패킹(50)이 억지끼워 맞춤 방식으로 끼워져 쉽게 빠지거나 움직이지 않고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패킹(50)이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리어 프레임(20)의 바깥쪽 면보다 약간 더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30)는 에어벤트 댐퍼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 속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즉, 필터(30)는 프론트 프레임(10)과 리어 프레임(20) 사이에 삽입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필터(30)는 일정한 폭과 너비로 이루어진 여과지를 지그재그로 접은 형태나 스펀지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채용할 수 있다.
클램프(40)는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간편하게 장착하기 위해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져 리어 프레임(20)의 바깥쪽 면, 즉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와 마주하는 면의 크로스 프레임(22)상 양쪽에 외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클램프(40)는 에어벤트 댐퍼의 루버에 끼워지도록 끝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면서 두 갈래로 갈라져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마치 포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훨씬 간편하고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패킹(50)은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와 리어 프레임(20) 사이를 기밀하게 밀폐(sealing)시키기 위해 마치 사각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리어 프레임(20)의 바깥쪽 면, 즉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와 마주하는 면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있다.
즉, 패킹(50)은 필터(30)를 통해서만 차량의 내부로 여과된 공기를 공급하고 틈새 등의 다른 경로로 이물질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와 리어 프레임(20) 사이의 틈새를 확실하게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패킹(50)은 압력이 가해지면 부드럽고 유연하게 변형되어 기밀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합성고무나 합성수지 및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체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하는 에어필터는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끼우고 빼는 방식으로 그 가장자리를 감싸듯이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나 탑승자 등이 필터(30)의 오염 등에 따른 교체시기를 직접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간편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더구나 사용수명이 다한 필터(30)를 교체할 경우 별도의 결속용 부재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프론트 프레임(10)과 리어 프레임(20)을 분리하고 필터(30)를 제거한 후 새 필터(30)를 끼우고 원래대로 프론트 프레임(10)과 리어 프레임(20)을 결합함으로써 교체가 필요한 필터(3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재사용할 수 있어 교체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프론트 프레임 12: 크로스 프레임
20: 리어 프레임 21: 노브 삽입구멍
22: 크로스 프레임 30: 필터
40: 클램프 50: 패킹

Claims (3)

  1.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하는 에어필터로,
    프론트 프레임;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후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대응 형성된 리어 프레임;
    상기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리어 프레임 사이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에어벤트 댐퍼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 속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상기 리어 프레임의 바깥쪽 면에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클램프; 및
    상기 리어 프레임의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상기 에어벤트 댐퍼와 상기 리어 프레임 사이를 밀폐시키는 패킹;
    을 포함하는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하는 에어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프레임에는, 상기 에어벤트 댐퍼의 루버 각도를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하거나 스윙하도록 조절하여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 노브와 접촉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노브 삽입구멍이 형성된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하는 에어필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에어벤트 댐퍼의 루버에 끼워지도록 끝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면서 두 갈래로 갈라져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포크 모양으로 형성된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하는 에어필터.
KR1020170109380A 2017-08-29 2017-08-29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하는 에어필터 KR201900235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380A KR20190023507A (ko) 2017-08-29 2017-08-29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하는 에어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380A KR20190023507A (ko) 2017-08-29 2017-08-29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하는 에어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507A true KR20190023507A (ko) 2019-03-08

Family

ID=65800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380A KR20190023507A (ko) 2017-08-29 2017-08-29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하는 에어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35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651A (ko) * 2020-02-14 2021-08-24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필터가 장착된 통풍시트용 블로워
WO2023059816A1 (en) * 2021-10-06 2023-04-13 RZ Industries LLC Filter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968B1 (ko) 2006-04-28 2007-09-06 한국Trw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
KR101758135B1 (ko) 2016-02-17 2017-07-27 (주)훠링 글러브박스 개방시 노출되는 차량용필터 위치에 교체사용하는 기능성패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968B1 (ko) 2006-04-28 2007-09-06 한국Trw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
KR101758135B1 (ko) 2016-02-17 2017-07-27 (주)훠링 글러브박스 개방시 노출되는 차량용필터 위치에 교체사용하는 기능성패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651A (ko) * 2020-02-14 2021-08-24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필터가 장착된 통풍시트용 블로워
WO2023059816A1 (en) * 2021-10-06 2023-04-13 RZ Industries LLC Filter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3507A (ko)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에 장착하는 에어필터
BRPI0718449A2 (pt) Montagem de ventilação para o alívio de pressão do interior de um automóvel
KR20180040416A (ko) 덕트용 댐퍼
ES2263716T3 (es) Sistema de sellado de filtro para instalaciones de calefaccion y aire acondicionado.
US20150375598A1 (en) Pressure relief valve
JP4943266B2 (ja) エアコンユニットと空調ダクトとの取り付け構造
KR100904642B1 (ko) 에어 필터
JP3747681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通風ユニット
JP2009236949A (ja) 画像形成装置
GB2550319A (en) Air diffuser
JP2010249347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5148979B2 (ja) 風向調整装置
KR20020083804A (ko) 자동차의 공조 장치용 에어필터 어셈블리
KR200238910Y1 (ko) 공기조화기용 미디움필터의 프레임구조
KR20060041379A (ko) 에어컨 필터 교환주기 감지기능을 가진 필터 어셈블리구조
JP2019196872A (ja) フィルタ付き送風装置
US20230271651A1 (en) Airflow device
KR20050017510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필터 조립구조
JP6380090B2 (ja) 通気装置
JP2007168558A (ja) レジスタ
KR100336399B1 (ko) 자동차의실내공기정화용필터어셈블리
KR200154231Y1 (ko) 자동차의 에어배출구용 그릴
JPH08918Y2 (ja) 換気クッションシート
JP3481370B2 (ja) レジスタ
JP6060288B2 (ja) エアフィル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