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1956A -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1956A
KR20190021956A KR1020170107467A KR20170107467A KR20190021956A KR 20190021956 A KR20190021956 A KR 20190021956A KR 1020170107467 A KR1020170107467 A KR 1020170107467A KR 20170107467 A KR20170107467 A KR 20170107467A KR 20190021956 A KR20190021956 A KR 20190021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nket
silica sol
gelling catalyst
silica
impreg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7622B1 (ko
Inventor
민경석
이제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07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622B1/ko
Priority to PCT/KR2018/009614 priority patent/WO2019039841A1/ko
Priority to US16/627,564 priority patent/US11554962B2/en
Priority to CN201880040741.9A priority patent/CN110770168B/zh
Priority to EP18847860.6A priority patent/EP3626680B1/en
Priority to JP2019565405A priority patent/JP6909875B2/ja
Publication of KR20190021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622B1/ko
Priority to US18/082,407 priority patent/US2023012438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18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 B01J19/22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in the form of endless be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4Colloidal silica, e.g. dispersions, gels, sols
    • C01B33/152Preparation of hydro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4Colloidal silica, e.g. dispersions, gels, sols
    • C01B33/157After-treatment of gels
    • C01B33/158Purification; Drying; Dehydrating
    • C01B33/1585Dehydration into aerog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015Feeding of the particles in the reactor; Evacuation of the particles out of the re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08Details of the reactor or of the particulate material; Processes to increase or to retard the rate of re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3/00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1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dip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4Colloidal silica, e.g. dispersions, gels, sols
    • C01B33/146After-treatment of s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2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optical microscop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3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SE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1Powder tap 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6Pore diameter
    • C01P2006/17Pore diameter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ilicon Compound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를 분리 투입하여 겔화 시간을 조절함에 따라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의 물성을 용이하게 조절하고, 함침조에서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를 블랑켓에 충분하고 균일하게 함침시켜 균일한 에어로겔의 기공 구조 및 단열 성능을 개선시키며, 겔화 전 오르막 경사면을 통과시켜 적절한 함침량 이상의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를 제거하여 실리카 졸과 겔화 촉매의 손실을 줄이고, 공정 trouble 이 적고, 분진 발생이 적은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을 제공하는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METHOD PREPARING FOR SILICA AEROGEL BLANKET AND APPARATUS PREPARING FOR THE SAME}
본 발명은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겔(aerogel)은 90~99.9% 정도의 기공율과 1~100 nm 범위의 기공크기를 갖는 초다공성의 고비표면적(≥500 m2/g) 물질로서, 뛰어난 초경량/초단열/초저유전 등의 특성을 갖는 재료이기 때문에 에어로겔 소재 개발연구는 물론 투명단열재 및 환경 친화적 고온형 단열재, 고집적 소자용 극저유전 박막, 촉매 및 촉매 담체, 슈퍼 커패시터용 전극, 해수 담수화용 전극 재료로서의 응용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에어로겔의 가장 큰 장점은 종래 스티로폼 등의 유기 단열재보다 낮은 0.300 W/m·K 이하의 열전도율을 보이는 슈퍼단열성(super-insulation)인 점과 유기 단열재의 치명적인 약점인 화재 취약성과 화재시 유해가스 발생을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이다.
종래의 실리카 에어로겔 함유 블랑켓 제조방법은 겔 캐스팅 과정에서 실리카 전구체 졸과 겔화 촉매를 혼합한 용액을 섬유 상에 함침시켜 실리카 에어로겔 함유 블랑켓을 제조하였는 바, 실리카 전구체 졸과 겔화 촉매의 혼합 시 졸-겔 화학 반응이 바로 시작되고 혼합 용액의 점도가 상승하여 섬유 상에 충분히 함침되기 전에 입자가 형성되어 겔화 속도의 제어가 어렵고, 공정 중에 겔화된 에어로겔이 파손되거나 손실되어 최종 제품의 단열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Roll to Roll 공정 등과 같은 이동요소 위에 전구체 졸과 겔화 촉매의 투입 시 이동요소 상에 위치한 섬유상 블랑켓에 전구체 졸과 겔화 촉매의 충분한 함침이 어려워 블랑켓 표면에 불균일한 함침이 발생하여, 단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구체 졸과 겔화 촉매의 투입량을 증가시킬 경우, 섬유상에 함침될 수 있는 양을 초과하여, 함침량 이상의 전구체 졸과 겔화 촉매는 이동요소 위에서 넘쳐흘러 공정 상의 Loss로 발생하거나, 나아가 넘쳐흐른 혼합상의 후속 겔화 과정으로 인해 Powder 등과 같은 고체가 형성되어,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공정 장치에 공정 Trouble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한 끝에 본 발명을 개발하게 되었다.
US 9476123 B2 (2016.10.25 공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를 섬유상 블랑켓에 균일하게 함침시키고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의 투입 속도를 조절하여 균일한 에어로겔의 기공 구조 및 균일하고 우수한 단열 성능을 가진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을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실리카 졸과 겔화 촉매의 손실을 줄이고, 공정 trouble 이 적고, 분진을 감소시키며, 더 나아가 용매 증기 관리를 통해 작업 안정성 및 용매 손실 감소를 통해 경제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을 제조할 수 있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1)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를 함침조 내에 존재하는 블랑켓에 분리 투입하는 단계;
2) 상기 함침조 내에 분리 투입된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를 블랑켓에 함침시키는 단계;
3) 상기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가 함침된 블랑켓을 오르막 경사면을 통해 이동요소로 전달하는 단계; 및
4) 상기 함침된 블랑켓을 이동요소 상에서 겔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랑켓에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가 함침되는 함침조;
상기 함침조 일 측면에 연결되어 함침조로 블랑켓을 공급하는 블랑켓 공급장치;
상기 공급된 블랑켓에 실리카 졸이 함침될 수 있도록 실리카 졸을 상기 함침조로 투입하는 실리카 졸 투입장치;
상기 공급된 블랑켓에 겔화 촉매가 함침될 수 있도록 겔화 촉매를 상기 함침조로 투입하는 겔화 촉매 투입장치; 및
상기 함침조 타 측면에 연결되어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가 함침된 블랑켓을 함침조에서 이동요소로 전달하는 오르막 경사면; 및
상기 오르막 경사면과 연결되어 실리카 졸과 겔화 촉매가 함침된 블랑켓이 겔화되는 이동요소;를 포함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적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는 겔화 시간울 조절함에 따라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의 물성을 용이하게 조절이 가능하며, 균일한 에어로겔의 기공 구조 및 균일하고 우수한 단열 성능을 가진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을 제조할 수 있으며, 공정 중 전구체 졸과 겔화 촉매 및 용매의 손실을 줄일 수 있어, 제조 비용 절감, 공정 trouble 및 분진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장치를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장치 중 실리카 졸과 겔화 촉매의 투입장치 및 함침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의 SEM 사진이다(scale= (a) 100 um, (b) 200 nm).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의 열화상 카메라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의 기공 크기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불균일한 함침에 의한 단열 성능의 저하, 공정상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 등의 원료 Loss에 의해 발생하는 원가 상승, 넘쳐흐른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의 용액의 겔화에 의한 공정 장치에 공정 Trouble 발생 및 분진 발생 등의 종래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신규한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은,
1)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를 함침조 내에 존재하는 블랑켓에 분리 투입하는 단계;
2) 상기 함침조 내에 분리 투입된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를 블랑켓에 함침시키는 단계;
3) 상기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가 함침된 블랑켓을 오르막 경사면을 통해 이동요소로 전달하는 단계; 및
4) 상기 함침된 블랑켓을 이동요소 상에서 겔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1)
본 발명의 단계 1)은 블랑켓 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된 블랑켓에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를 분리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제조방법은 겔 캐스팅 과정에서 실리카 졸과 겔화 촉매를 혼합한 혼합 용액을 블랑켓에 함침시켜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전구체 졸과 겔화 촉매의 혼합 시 겔화 반응이 바로 시작되어 혼합 용액의 점도가 상승하여 섬유상 블랑켓에 충분히 함침되기도 전에 겔화 반응이 일어나 실리카 겔 입자가 형성되거나 겔화 속도 제어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해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의 두께가 불균일하거나 섬유상 블랑켓의 이동 및 공정 중에 겔화된 에어로겔이 파손되거나 손실되어 최종 제품의 단열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블랑켓의 가공에 있어서 절단, 구부림 등의 과정에서 에어로겔 입자가 분리되어 분진 발생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블랑켓에 충분히 함침된 이후 겔화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하여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를 별도의 투입장치를 이용하여 분리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과 같이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를 별도의 탱크에 보관하고 별도의 투입장치로 분리 투입하는 경우, 각각의 제어부를 통해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 각각의 투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겔화 시간의 조절에 따라 의도하는 물성을 가진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는 다양한 방법으로 분리 투입이 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는 블랑켓이 공급되는 함침조를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투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카 졸은 함침조 하부에서, 상기 겔화 촉매는 함침조 상부에서 분리 투입되거나, 상기 실리카 졸은 함침조 상부에서, 상기 겔화 촉매는 함침조 하부에서 분리 투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방향으로 투입되는 경우에 비해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의 혼합이 덜 이루어질 수는 있으나, 이는 함침조에 포함된 squeeze roller에 의해 블랑켓 내부로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의 함침을 유도하여 보완할 수 있으며, 블랑켓에 함침이 됨과 동시에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가 혼합되므로 함짐 전 점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겔화 시간 조절에 따른 물성 조절을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는 함침조 상부에서 분리 투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중력에 의한 가압이 부여되어, 함침조 하부에서 분리 투입되는 경우에 비해 블랑켓의 내부 중심 부분까지 보다 확실하게 충분한 함침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가 다른 방향에서 각각 투입되는 경우에 비해 혼합이 잘 이루어져 균일한 겔화 반응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는 분리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각각의 투입의 방향, 종류, 개수, 투입속도 및 투입장치 간 또는 블랑켓과의 거리 등을 조절하여 겔화 시간 및 물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리카 졸에 사용가능한 전구체는 실리콘 함유 알콕사이드계 화합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테트라메틸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methyl orthosilicate; TMOS), 테트라에틸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 TEOS), 메틸트리에틸 오르소실리케이트(methyl triethyl orthosilicate), 디메틸디에틸 오르소실리케이트(dimethyl diethyl orthosilicate), 테트라프로필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propyl orthosilicate), 테트라이소프로필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isopropyl orthosilicate), 테트라부틸 오르소실리케이트 (tetrabutyl orthosilicate), 테트라세컨드리부틸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 secondary butyl orthosilicate), 테트라터셔리부틸 오르소실리케이트 (tetra tertiary butyl orthosilicate), 테트라헥실오르소실리케이트(tetrahexyl orthosilicate), 테트라시클로헥실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cyclohexyl orthosilicate), 테트라도데실 오르소실리케이트(tetradodecyl orthosilicate) 등과 같은 테트라알킬 실리케이트일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실리카 전구체는 테트라메틸 오르소실리케이트(TMOS), 테트라에틸 오르소실리케이트(TEOS)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겔화 촉매는 염기 촉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염기 촉매는 실리카 졸의 pH를 증가시켜 겔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염기 촉매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무기 염기; 또는 수산화암모늄과 같은 유기 염기를 들 수 있으나, 무기 염기의 경우 화합물 내 포함된 금속 이온이 Si-OH 화합물에 배위(coordination)될 우려가 있으므로, 유기 염기가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 염기는 수산화암모늄(NH4OH), 테트라메틸암모늄 히드록시드(TMAH), 테트라에틸암모늄 히드록시드(TEAH),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히드록시드(TPAH), 테트라부틸암모늄 히드록시드(TBAH), 메틸아민, 에틸아민, 이소프로필아민, 모노이소프로필아민, 디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디부틸아민,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이소프로필아민, 트리부틸아민, 콜린,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2-아미노에탄올, 2-(에틸 아미노)에탄올, 2-(메틸 아미노)에탄올, N-메틸 디에탄올아민, 디메틸아미노에탄올, 디에틸아미노에탄올, 니트릴로트리에탄올, 2-(2-아미노에톡시)에탄올, 1-아미노-2-프로판올, 트리에탄올아민, 모노프로판올아민, 또는 디부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염기는 수산화암모늄(NH4OH)일 수 있다.
상기 염기 촉매는 실리카 졸의 pH가 4 내지 8 이 되도록 하는 양으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졸의 pH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겔화가 용이하지 않거나, 겔화 속도가 지나치게 느려져 공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염기는 고체상으로 투입시 석출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한 알코올(극성 유기 용매)에 의해 희석된 용액상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는 극성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구체적으로 에탄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블랑켓 기재로는 필름, 시트, 네트, 섬유,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유리섬유, Glass Fiber Mat 또는 이들의 2층 이상의 적층체일 수 있다. 또한, 용도에 따라 그 표면에 표면조도가 형성되거나 패턴화된 것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블랑켓 기재는 블랑켓 기재 내로 실리카 에어로 겔의 삽입이 용이한 공간 또는 공극을 포함함으로써 단열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섬유일 수 있다. 또, 상기 블랑켓 기재는 낮은 열전도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랑켓 기재는 폴리아미드, 폴리벤즈이미다졸, 폴리아라미드, 아크릴수지, 페놀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올레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등), 셀룰로오스, 카본, 면, 모, 마, 부직포, 유리섬유 또는 세라믹울 등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랑켓 기재는 유리섬유 또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단계 2)
본 발명의 단계 2)는 함침조 내에 분리 투입된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를 블랑켓에 함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제조방법은 Roll to Roll 공정 등과 같은 이동요소 위에서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를 투입하였는 바, 이동요소 위에서 섬유상 블랑켓에의 충분한 함침이 어려워 블랑켓 표면에 불균일한 함침이 발생하여, 제조된 에어로겔 함유 블랑켓의 단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의 투입량을 증가시킬 경우, 섬유상 블랑켓에 함침될 수 있는 양을 초과하여, 함침량 이상의 실리카 졸과 겔화 촉매는 이동요소 위에서 넘쳐 흘러 공정 상의 Loss로 발생하거나, 나아가 넘쳐흐른 혼합물의 후속 겔화 과정으로 인해 Powder 등과 같은 고체가 형성되어,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공정 장치에 공정 Trouble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블랑켓에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의 충분한 함침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를 함침조에 투입시키고, 상기 함침조에서 충분한 함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살핀 다양한 태양으로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가 분리 투입될 수 있으나, 이와 동시에 그 분리 투입은 함침조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요소 위에서 분리 투입되는 경우, 아직 혼합되어 겔화 반응이 진행되지 않은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는 점도가 높지 않아 이동요소 위에서 흘러 넘쳐 원료의 Loss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가 함침조 내에 존재하는 블랑켓 상에 분리 투입되도록 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 경우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를 이동요소 상에서 분리 투입하는 경우에 비해 원료의 Loss를 획기적으로 줄여 원재료비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잇다.
한편, 이 경우, 투입 속도 등을 조절하여 본 발명의 함침조에서의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의 액위(liquid-level)를 섬유상 블랑켓 위로 약간 넘치도록(overflow) 유지하여 균일한 함침에 의한 균일하고 우수한 단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함침조 내에서의 블랑켓의 체류 시간은 0.01 분 내지 30 분, 구체적으로는 0.5 분 내지 10 분,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분 내지 5 분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범위의 시간 동안 블랑켓을 함침조에 체류하게 하기 위하여 블랑켓 공급장치의 공급 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시간 이상으로 함침조에 체류하는 경우 공정 시간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거나 함침조에서부터 겔화 반응이 진행되어 함침량 이상의 겔화 반응으로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 Loss가 발생하거나, 함침된 블랑켓 위에 블랑켓 없이 존재하는 혼합 용액의 후속 겔화 과정으로 인해 Powder 등과 같은 고체가 형성되어,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공정 장치에 공정 Trouble 요인이 될 수 있고, 상기 시간보다 적게 체류하는 경우 충분한 함침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단계 3)
본 발명의 단계 3)은 상기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가 함침된 블랑켓을 오르막 경사면을 통해 함침조에서 이동요소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제조방법은 섬유상 블랑켓 위에 함침될 수 있는 양을 초과하여, 함침량 이상으로 존재하는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는 이동요소 위에서 넘쳐 흘러 공정 상의 Loss가 발생하여 원료비의 상승으로 인해 경제성이 좋지 않았다.
또한 블랑켓에 함침되지 않고 함침상 위에 섬유 구조물없이 잔존하는 촉매화된 졸은 후속 겔화 과정으로 인해 에어로겔이 형성되나, 구조적 지지체가 없어 기계적으로 약하여, 블랑켓에서 분리되어 Powder 등 형태의 고상으로 떨어져 분리되었다. 이러한 분리되어 나온 Powder 형태의 고상은 후속 공정(에이징, 표면개질, 건조단계)에서 Line 막힘 및 pump 작동 등에 있어 trouble 요인으로 작용하였고, 특히 고압 공정을 사용하는 초임계 건조 공정의 경우에 있어서는 더욱 위험하였다. 또한 이러한 Powder는 제품화된 에어로겔 블랑켓의 가공 과정에 있어 발생하는 분진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여 가공성 및 작업성을 좋지 않게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가 함침된 블랑켓을 함침조에서 오르막 경사면을 통해 이동요소로 전달되게 함으로써, 과도하게 함침된 상기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의 혼합 용액이 경사면을 따라 함침조로 흘러 내리게 하여 과도한 함침을 방지하고, 항상 적절한 수준의 함침(포화 함침)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품의 내구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키고, 원료인 실리카 졸과 겔화 촉매의 Loss 및 비상정지 회수를 감소시키고, 분진 발생을 적게하여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 경우 중력을 이용하는 바, 별도의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이동요소는 함침조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르막 경사면의 각도는 함침조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0°초과 180°미만, 바람직하게는 1°초과 90°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30°초과 60°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과도한 함침을 방지하고, 항상 적절한 수준의 함침(포화 함침)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오르막 경사면의 적절한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상기 경사면의 각도가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 과도한 함침 방지, 원료 Loss 감소 등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면의 각도가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 블랑켓의 이동 각도가 커서 블랑켓의 파손 또는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단계 4)
본 발명의 단계 4)는 상기 함침된 블랑켓을 이동요소 상에서 겔화시켜 실리카 습윤겔 블랑켓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함침조에서 충분한 함침이 이루어지게 하고, 오르막 경사면을 통해 적절한 함침량 이상의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를 제거한 이후 겔화 반응이 진행되므로, 이동요소의 속도, 온도 및 길이 조절에 따라 정확하게 겔화 시간을 조절하여 의도하는 물성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가 함침된 블랑켓은 오르막 경사면을 오르면서 겔화 반응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오르막 경사면에서 겔화 반응이 수행된다고 하여 상기 오르막 경사면의 효과가 감소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겔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겔화 반응이란 실리카 전구체 물질로부터 망상구조를 형성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망상구조(network structure)는 원자 배열이 1 종 혹은 그 이상의 종류로 되어 있는 어떤 특정한 다각형이 이어진 평면 그물 모양의 구조 또는 특정 다면체의 정점, 모서리, 면 등을 공유하여 3 차원 골격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구조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리카 졸과 겔화 촉매의 손실을 줄이는 것뿐만 아니라 최종 생성물의 품질을 손상시키거나 겔화 시간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용매 증기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리카 겔의 기공은 전형적으로 실리카 겔 전구체가 중합되는 용매에서 유래하는 용매로 채워져 있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용매는 탄소수 1 내지 6의,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의 알코올과 같은 낮은 분자량의 유기 화합물이다. 다른 사용가능한 용매로는 에틸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 아세톤, 디클로로메탄, 에테르 등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용매의 상대적으로 높은 증기압(통상적으로 상온에서) 때문에, 상당한 양의 용매 증발이 일어나고, 그에 의해 다양한 문제 예를 들어, 환경에의 용매 증기 방출, 고농도 용매에의 작업자의 노출, 고농도 가연성 용매 증기로 인한 화재 위험, 전반적으로 낮은 공정 효율 및 필요한 운영 비용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액체, 본 발명에 있어서 용매가 액체 표면 근처의 공기와 발화 가능한 혼합물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증기 농도를 방출하는 최저 온도를 '인화점(flash point)'이라고 한다. 상온에서 상기 용매의 대부분은 인화점 이상이다. 예를 들어, 상압에서 에탄올 및 메탄올의 인화점은 각각 약 13 ℃ 및 약 11 ℃이며; 따라서 이러한 매질을 사용하여 제조된 겔에 대해 추가적인 안전 조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는 예를 들어 커다란 에어로겔 블랑켓이 개방된 환경(open environment)에서 제조되는 대규모 생산 규모에서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출 표면적이 수 평방 피트인 두께가 1 mm 보다 두꺼운 실리카 습윤겔 블랑켓은 많은 양의 용매를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1) 더 두꺼운 겔을 주조하거나, 2) 노출된 표면이 넓은 주조 겔, 즉 큰 주조 영역인 경우, 또는 3) 이 둘 모두인 경우에 더 많은 혹은 더 고농도의 용매 증발이 예상된다. 이에 본 발명의 경우는 적어도 약 0.5 mm, 1 mm, 2 mm 이상의 두께를 갖는 블랑켓인 경우에 적용되며, 이것은 전형적으로 마이크론 범위의 두께를 나타내는 겔 필름과는 대조적이다.
일반적으로 용매 증기 농도의 감소는 1) 액체 용매 (즉, 용매 증기 공급원)를 냉각시키는 것, 2) 용매 증기를 다른 가스 (예를 들어, N2, 아르곤 등)로 희석하는 것, 3) 용매 증기를 용매로부터 멀리 보내는 공기 흐름(예를 들어, 배기 팬(exhaust fan))을 도입하는 것, 또는 4) 이들의 조합에 의해 확립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주조 장치(casting apparatus) 또는 그 적어도 일부는 용매 증기 관리를 보조하기 위해 밀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용매 증기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인화점의 용매 증기 농도보다 낮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특정한 용매 증기 관리를 통해 형성된 실리카 겔의 부근에서 용매 증기 농도를 감소시켜 작업 안정성 및 용매 손실 감소를 통해 경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명확하게, 겔 형성은 전구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흐름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지점 및/또는 혼합물의 체적 전체에 걸쳐 연속적인 중합체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지점으로서 이해된다. 겔 형성에 관련된 반응 속도는 반응 메커니즘, 성분의 농도/화학적 동일성 및 반응 조건과 같은 요인에 따라 크게 다를 수 있다. 실제로 어떤 제한없이, 실리케이트 전구체로부터 겔 물질을 형성하기 위한 졸-겔 반응은 낮은 온도에서 상당히 느려진다. 다르게 말하면, 겔 시간은 일반적으로 저온에서 증가한다. 연속 겔 제조를 포함하는 것과 같은 특정 생산 방식의 경우, 느린 공정은 보다 큰 주조 장치, 보다 많은 촉매 등을 필요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용매 증기 농도는 겔 물질이 형성된 후에 감소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형성된 겔이 냉각되는 연속(continuous) 또는 반-연속(semi-continuous) 겔 제조방법에 대해 겔 캐스팅 방법을 사용한다. 보다 낮은 온도에서 습윤겔 (실리카겔 블랑켓) 내의 용매의 증기압은 상당히 감소되어 보다 경제적인 공정 및 보다 안전한 작업 환경을 가능하게 한다. 용매 증기 재활용을 위한 다른 단계를 고려할 때 용매 재활용이 요구되는 경우 이러한 경제적 이점이 더욱 두드러질 수 있다. 특히 저온, 즉 용매의 인화점 이하에서 연소 확률이 크게 감소하고 공정 운전자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겔 전구체 혼합물을 겔 전구체 혼합물이 겔화가 일어나도록 하는 소정의 속도로 분배하여 실리카 습윤겔 블랑켓을 형성하는 단계; 생성된 겔을 냉각시켜 이로부터 용매 증발 속도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형성된 실리카 겔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냉각 시스템들은 형성된 실리카 습윤겔 블랑켓의 일 측면 또는 다중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냉각 시스템은 상기 실리카 습윤겔 복합체를 우회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 시스템은 1) 실리카 습윤겔 복합체를 직접 냉각시키는 단계, 2) 이동요소를 통해 실리카 습윤겔 복합체를 냉각시키는 단계, 또는 3) 이동요소 및 실리카 습윤겔 복합체 모두를 냉각시키는 단계, 또는 4) 전구제 및 겔화 촉매를 각각 냉각하여 투입하는 단계, 또는 5) 함침조 혹은 함침조 내 혼합물을 냉각시키는 단계를 통해 형성된 실리카 습윤겔 복합체를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각의 정의는 겔 중의 용매의 온도 감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실리카 습윤겔 블랑켓은 범위 내의 모든 개별 값을 포함하여 상온 미만, 약 20 ℃ 미만 또는 약 0 ℃ 내지 약 20 ℃ 의 온도로 냉각된다.
상기 냉각 시스템은 실리카 습윤겔 블랑켓의 온도를 감소시키기에 충분히 근접하면서도 이동요소를 수용하기에 적절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냉각은 전도, 대류, 복사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열 전달 메커니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 시스템은 실리카 습윤겔 블랑켓이 형성되는 영역만을 목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계에 관한 한, 상기 냉각 시스템은 전술한 범위의 온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임의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냉각 시스템은 원하는 체적의 냉각제 유체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컨테이너일 수 있으며, 상기 유체는 상기 컨테이너를 통해 흐르거나 내부에 고정되어 있을 수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냉각 시스템은 슬래브 (slab), 하우징 또는 냉각제를 운반하는 한 세트의 유동 라인과 결합될 수 있다. 플로우 라인(flow line)은 슬래브를 냉각시키는 방식으로 구성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는 단순한 감기 패턴(winding pattern)이다. 냉각 시스템의 또 다른 형태로 감소된 온도에서 가스 스트림을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용매 증기 관리를 위한 본 발명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은,
상기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가 겔화하기에 충분한 예정된 속도로 제1 온도에서 연속적으로 투입되어 적어도 0.5 mm의 두께를 갖는 실리카 습윤겔 블랑켓을 제조하고,
상기 실리카 습윤겔 블랑켓을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방식의 냉각 시스템으로 이동요소 상에서 제2 온도에서 냉각시키며,
상기 제2 온도는 제1 온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은,
상기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가 겔화하기에 충분한 예정된 속도로 제1 온도에서 연속적으로 투입되어 적어도 0.5 mm의 두께를 갖는 실리카 습윤겔 블랑켓을 제조하고,
상기 실리카 습윤겔 블랑켓의 적어도 일 측면은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방식의 냉각 시스템으로 이동요소 상에서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에서 냉각시키고,
상기 실리카 습윤겔 블랑켓 복합체의 적어도 타 측면은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방식의 냉각 시스템으로 이동요소 상에서 제1 온도보다 낮은 제3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은,
상기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가 겔화하기에 충분한 예정된 속도로 제1 온도에서 연속적으로 투입되어 적어도 0.5 mm의 두께를 갖는 실리카 습윤겔 블랑켓을 제조하고,
상기 실리카 습윤겔 블랑켓의 적어도 두 측면은 냉각 시스템으로 이동요소 상에서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에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온도는 20 ℃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0 ℃ 내지 20 ℃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 시스템에 사용되는 냉각 매체(medium)는 유체, 기체 또는 이들의 혼합일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실리카 습윤겔 블랑켓은 roll 형태로 회수되어 숙성, 표면개질 및 건조 단계가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숙성은 상기 실리카 습윤겔 블랑켓 복합체를 적당한 온도에서 방치하여 화학적 변화가 완전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암모니아 등의 염기성 촉매를 유기 용매에 1 내지 10 % 농도로 희석시킨 용액 내에서 50 내지 90 ℃의 온도에서 1 내지 10 시간 동안 방치시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숙성 단계를 거침으로써, 상기 형성된 망상구조를 더 견고하게 형성시킬 수 있어, 기계적 안정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된 실리카 에어로겔은 건조 직후에는 낮은 열전도율을 유지하나, 실리카 표면의 실라놀기(Si-OH)의 친수성 때문에 공기 중의 물을 흡수하게 되어, 실라놀기의 축합반응으로 인한 나노 기공 구조의 수축이 일어나, 열전도율이 점차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낮은 열전도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실리카 에어로겔 표면을 소수성으로 개질할 필요가 있다. 이에, 표면개질제를 사용하여 실리카 에어로겔 표면을 소수성으로 개질하는 표면개질 단계가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상기 표면개질은 트리메틸클로로실란(Trimethylchlorosilane, TMCS), 헥사메틸디실라잔(hexamethyldisilazane, HMDS),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 트리메틸에톡시실란(trimethylethoxysilane), 에틸트리에톡시실란(ethyltriethoxysilane), 페닐트리에톡시실란(phenyltriethoxysilane) 및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표면개질제를 첨가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헥사메틸디실라잔(hexamethyldisilazane, HMDS)을 첨가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후 표면개질된 소수성 실리카 겔의 기공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용매를 제거하는 건조 공정을 통해 소수성 실리카 에어로겔을 제조할 수 있다. 건조 공정으로는 상압 건조 또는 초임계 건조 공정에 의할 수 있다.
상압 건조 공정은 고압의 반응 조건 및 초임계 건조를 위한 특수한 고압 설비 등이 필요하지 않아, 공정이 간단하고 경제적인 측면이 있지만, 물 또는 유기용매가 고온에서 증발함에 따라, 초임계 건조 대비 겔의 내부 기공 구조의 무너짐이 발생하여 단열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제는 표면장력이 낮은 유기 용매로의 치환 없이 바로 건조하는 경우에는 더욱 심화될 수 있다.
이에 비해, 초임계 건조는 기공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바, 상압 건조에 의하는 실리카 에어로겔에 비하여 단열 성능이 월등히 우수할 수 있다.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장치
또한,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에 의해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을 제조할 수 있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장치는,
블랑켓에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가 함침되는 함침조;
상기 함침조 일 측면에 연결되어 함침조로 블랑켓을 공급하는 블랑켓 공급장치;
상기 공급된 블랑켓에 실리카 졸이 함침될 수 있도록 실리카 졸을 상기 함침조로 투입하는 실리카 졸 투입장치;
상기 공급된 블랑켓에 겔화 촉매가 함침될 수 있도록 겔화 촉매를 상기 함침조로 투입하는 겔화 촉매 투입장치; 및
상기 함침조 타 측면에 연결되어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가 함침된 블랑켓을 함침조에서 이동요소로 전달하는 오르막 경사면; 및
상기 오르막 경사면과 연결되어 실리카 졸과 겔화 촉매가 함침된 블랑켓이 겔화되는 이동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장치에 따르면,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는 별도의 탱크(tank)에 보관되며, 실리카 졸은 실리카졸 투입장치(2), 겔화 촉매는 겔화 촉매 투입장치(3)에 의해 분리 투입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는 수 개의 Flow meter로 유입되어 노즐을 통해 함침조(5)에 공급된 블랑켓 상에 분사되며, 각각의 투입 속도는 각각의 탱크에 연결된 제어장치(4)에 의해 조절된다.
한편, 상기 섬유상 블랑켓은 롤 형태로 권취되어 블랑켓 공급장치(1)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함침조(5)에 공급된다. 분사된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는 함침조(5) 내에서 블랑켓에 혼합됨과 동시에 함침된다. 함침조(5)에 분사된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의 혼합 용액의 액위(liquid-level)는 섬유상 블랑켓 위로 약간 넘치도록(overflow) 유지하여 균일한 함침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함침조(5) 내에는 하나 이상의 squeeze roller(6)가 추가적으로 존재하여 블랑켓 내부로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의 혼합 및 균일한 함침을 유도한다.
블랑켓은 함침조(5)에서 일정 시간 체류하여 충분하고 균일한 함침이 이루어지도록 한 뒤, 오르막 경사면(7)을 따라 이동하면서 과도하게 함침된 상기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의 혼합 용액이 경사면을 따라 함침조로 흘러 내리게 하여 과도한 함침을 방지하고, 항상 적절한 수준의 함침(포화 함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 오르막 경사면(7)에서 전달된 블랑켓은 이동요소(8)로 이동하고, 이동요소(8) 상에서 겔화 반응이 일어나 실리카 습윤겔 블랑켓이 제조된다. 이동요소(8) 상에 추가적으로 존재하는 스크래퍼(9)는 블랑켓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조장치에서 제조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의 두께를 균일하고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겔화 반응이 완료된 실리카 습윤겔 블랑켓은 이동요소 상 또는 롤 형태로 회수된 이후 별도의 용기에서 숙성, 표면개질 및 건조 단계를 추가적으로 거쳐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을 최종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실리카 전구체로서 가수분해된 TEOS 9.9kg을 에탄올 27kg과 혼합하여 실리카졸 32.5L (Target density(TD) 40 kg/m3)을 제조하였다. 이와 별도로 에탄올 4.2kg 및 NH4OH(30% 수용액) 0.35kg를 혼합하여 겔화 촉매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리카졸을 겔 캐스팅 장치 이전의 함침조에 일정 유량 1.2 L/min으로 도입한 후, 여기 함침조에 일정 속도로 지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Glass fiber 섬유 매트)를 함침시켰다. 상기 졸이 함침된 섬유 및 함침조 위에 상기 겔화 촉매 용액을 0.12 L/min 으로 투입하였다. 함침조에서 실리카 졸과 겔화 촉매를 함침한 섬유상 매트는 이후 경사면을 따라 상부로 상승시켰으며, 이후 컨베이어 벨트 위를 일정한 속도로 지나며 겔화를 수행하였다. 겔화는 10분 동안 겔화를 수행하였으며, 겔화 완료 후 상온(25℃)에서 10분 간 안정화시킨 후, 70℃ 오븐에서 50분간 프리에이징을 수행하였다. 결과의 반응물에 에탄올과 NH4OH의 혼합물(98:2의 부피비)을 제조하여 실리카졸 부피의 1.6배의 양으로 첨가한 후 70℃ 오븐에서 1시간 에이징과 Hexamethyldisilazane을 이용하여 표면개질을 실시하였다. 표면개질이 완료 후 70L 초임계 추출기에 실리카겔-섬유 복합체를 넣고, 28℃, 70bar로 CO2를 주입하되 10분간 70L/min의 속도로 연속 주입하였다. 이후 추출기 내의 온도를 1시간 20분에 걸쳐 50℃로 승온하고, 50℃, 150bar 도달시 20 분간 5L/min의 속도로 연속해서 CO2를 주입하였다. 이때 분리기 하단을 통해 에탄올을 회수하였다. 20분간 휴지 후 20분 동안에 걸쳐 다시 5L/min의 속도로 연속해서 CO2를 주입하는 방법으로 초임계 건조를 수행하였다. 이후 2시간 동안에 걸쳐 CO2 를 배출 (venting) 하고,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4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리카졸 32.5L (TD = 60kg/m3, 80kg/m3, 100kg/m3) 및 겔화 촉매 용액을 각각 0.06, 0.048, 0.041L/min으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리카 전구체로서 가수분해된 TEOS 9.9kg을 에탄올 27kg과 혼합하여 실리카졸 32.5L (Target density(TD) 40 kg/m3)을 제조하였다. 이와 별도로 에탄올 4.2kg 및 NH4OH(30% 수용액) 0.35kg를 혼합하여 겔화 촉매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실리카 졸과 혼합하며 상기 함침조 없이 여기에 컨베이어 벨트를 일정 속도로 지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Glass fiber 섬유 매트)를 위에 즉, 겔 캐스팅 장치 위에 일정 유량 1.32 L/min 으로 도입한 후 함침시키고 10분 동안 겔화를 수행하였으며, 겔화 수행 후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블랑켓 에어로겔 함량 및 열전도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에서 제조한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내 포함된 에어로겔 함량은 제조된 에어로겔 블랑켓 무게에서 초기 블랑켓 fiber 무게를 차감하여 측정하였으며, 열전도도는 NETZSCH社의 GHP 456장비를 이용하여 GHP(Guarded Hot Plate) 고온 열전도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 에 나타내었다.
Target density (kg/m3) 촉매 투입 속도
(L/min)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내 에어로겔 함량
(wt%)
열전도도
(mW/mK)
실시예 1 40 0.120 30 14.5
실시예 2 60 0.060 38 13.9
실시예 3 80 0.048 45 13.3
실시예 4 100 0.041 55 13.0
비교예 1 40 0.120
(졸과 혼합하여 투입)
27 18.0
실험예 2: 분진 발생 실험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에서 제조한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을 600 X 900 mm2 크기가 되도록 절단한 뒤, 12 Hz에서 6시간 동안 진동시켜 진동 전/후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표시하였다.
진동 전
(g)
진동 후
(g)
무게 변화
(g)
증감율
(%)
실시예 1 1035 1030 < 5 < -0.5 %
비교예 1 1035 1019 16 -1.5 %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시예 1 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분진(dust) 발생량이 현저히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가 블랑켓에 균일하고 충분히 함침되도록 함침장치 내에서 함침을 수행하고, 과도하게 함침된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를 하부의 함침장치로 흘러내리게 하여 섬유상의 블랑켓 구조물 없이 형성된 에어로겔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르막 경사면을 통해 함침장치에서 이동요소로 블랑켓이 전달되도록 한것에 의한 것이다.
실험예 3: 전자현미경( SEM ) 사진 촬영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에서 제조한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에 대해 전자현미경(SEM) 사진을 촬영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시예 1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섬유상의 블랑켓 사이에 실리카 에어로겔이 균일하게 복합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열화상카메라 사진 촬영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에서 제조한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을 -175 ℃의 배관에 감싸고, FLIR사의 FLIR-T62101 장비를 이용하여 열화상카메라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시예 1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균일한 단열 성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에어로겔 기공 크기 분포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에서 제조한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의 실리카 에어로겔 기공 크기의 분포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시예 1의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실리카 에어로겔의 기공 크기 분포가 균일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블랑켓 공급장치
2: 실리카 졸 투입장치
3: 겔화 촉매 투입장치
4: 제어장치
5: 함침조
6: squeeze roller
7: 오르막 경사면
8: 이동요소
9: 스크래퍼

Claims (18)

1)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를 함침조 내에 존재하는 블랑켓에 분리 투입하는 단계;
2) 상기 함침조 내에 분리 투입된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를 블랑켓에 함침시키는 단계;
3) 상기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가 함침된 블랑켓을 오르막 경사면을 통해 이동요소로 전달하는 단계; 및
4) 상기 함침된 블랑켓을 이동요소 상에서 겔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요소는 함침조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졸은 함침조 하부에서, 상기 겔화 촉매는 함침조 상부에서 분리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졸은 함침조 상부에서, 상기 겔화 촉매는 함침조 하부에서 분리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는 함침조 상부에서 분리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는 각각 하나 이상의 투입장치에 의해 분리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조 내에서의 블랑켓의 체류 시간은 0.01 분 내지 30 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조 내에서 squeeze roller에 의해 블랑켓 내부로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의 함침을 유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르막 경사면의 각도는 0° 초과 18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를 제1 온도에서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적어도 0.5 mm의 두께를 갖는 실리카 습윤겔 블랑켓을 제조하고,
상기 실리카 습윤겔 블랑켓을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방식의 냉각 시스템으로 이동요소 상에서 제2 온도에서 냉각시키며,
상기 제2 온도는 제1 온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
블랑켓에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가 함침되는 함침조;
상기 함침조 일 측면에 연결되어 함침조로 블랑켓을 공급하는 블랑켓 공급장치;
상기 공급된 블랑켓에 실리카 졸이 함침될 수 있도록 실리카 졸을 상기 함침조로 투입하는 실리카 졸 투입장치;
상기 공급된 블랑켓에 겔화 촉매가 함침될 수 있도록 겔화 촉매를 상기 함침조로 투입하는 겔화 촉매 투입장치; 및
상기 함침조 타 측면에 연결되어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가 함침된 블랑켓을 함침조에서 이동요소로 전달하는 오르막 경사면; 및
상기 오르막 경사면과 연결되어 실리카 졸과 겔화 촉매가 함침된 블랑켓이 겔화되는 이동요소;를 포함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장치.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요소는 함침조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장치.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졸 투입장치 및 겔화 촉매 투입장치는 투입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장치.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졸 투입장치 및 겔화 촉매 투입장치는 함침조보다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장치.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졸 투입장치 및 겔화 촉매 투입장치는 각각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장치.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조는 블랑켓 내부로 실리카 졸 및 겔화 촉매의 함침을 유도하는 squeeze roll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장치.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르막 경사면의 각도는 0° 초과 18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장치.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요소는 하나 이상의 스크래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장치.
KR1020170107467A 2017-08-24 2017-08-24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KR102377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467A KR102377622B1 (ko) 2017-08-24 2017-08-24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PCT/KR2018/009614 WO2019039841A1 (ko) 2017-08-24 2018-08-21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US16/627,564 US11554962B2 (en) 2017-08-24 2018-08-21 Method for producing silica aerogel blanket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CN201880040741.9A CN110770168B (zh) 2017-08-24 2018-08-21 制造二氧化硅气凝胶毡的方法和制造其的设备
EP18847860.6A EP3626680B1 (en) 2017-08-24 2018-08-21 Method for producing silica aerogel blanket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JP2019565405A JP6909875B2 (ja) 2017-08-24 2018-08-21 シリカエアロゲルブランケッ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US18/082,407 US20230124388A1 (en) 2017-08-24 2022-12-15 Method for producing silica aerogel blanket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467A KR102377622B1 (ko) 2017-08-24 2017-08-24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956A true KR20190021956A (ko) 2019-03-06
KR102377622B1 KR102377622B1 (ko) 2022-03-24

Family

ID=65439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467A KR102377622B1 (ko) 2017-08-24 2017-08-24 실리카 에어로겔 블랑켓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554962B2 (ko)
EP (1) EP3626680B1 (ko)
JP (1) JP6909875B2 (ko)
KR (1) KR102377622B1 (ko)
CN (1) CN110770168B (ko)
WO (1) WO2019039841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127A (ko) *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 및 방법
CN113195432A (zh) * 2019-09-18 2021-07-30 株式会社Lg化学 气凝胶毡及其制造方法
CN113423677A (zh) * 2019-09-03 2021-09-21 株式会社Lg化学 气凝胶毡及其制造方法
WO2022075781A1 (ko) * 2020-10-08 2022-04-14 조영수 에어로젤 블랑켓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에어로젤 블랑켓
JP2022541827A (ja) * 2019-09-03 2022-09-27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エアロゲルブランケッ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4585A (zh) * 2020-12-31 2021-05-11 广东埃力生高新科技有限公司 纤维增强体复合气凝胶材料及其制备方法
CN113292347B (zh) * 2021-04-30 2023-06-09 武安市新晨耐火材料有限公司 一种碳纳米纤维改性的含碳耐火浇注料制备预处理装置
CN114477949B (zh) * 2022-01-29 2023-02-14 巩义市泛锐熠辉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凝胶毡的制备方法、制备凝胶毡的设备及气凝胶毡
CN114541059B (zh) * 2022-01-29 2024-07-23 巩义市泛锐熠辉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制备凝胶毡的设备、凝胶毡的制备方法及气凝胶
CN114892389A (zh) * 2022-04-21 2022-08-12 纳诺科技有限公司 一种气凝胶毡涂布系统及生产涂布方法
CN114956775A (zh) * 2022-05-09 2022-08-30 纳诺科技有限公司 一种二氧化硅气凝胶的制备方法
CN115073127B (zh) * 2022-07-08 2023-07-07 巩义市泛锐熠辉复合材料有限公司 同时生产凝胶毡体和改性凝胶体的设备及方法
CN115094623B (zh) * 2022-07-25 2023-06-30 巩义市泛锐熠辉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模块占体型凝胶槽以及凝胶方法
CN115852616A (zh) * 2022-12-15 2023-03-28 航天材料及工艺研究所 一种织物的辊压浸渍设备及辊压浸渍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0136A (ja) * 2010-03-12 2011-09-29 Asahi Kagaku Kk エアロゲルシート製造装置
KR101329087B1 (ko) * 2011-09-23 2013-11-14 (주)에스케이아이 에어로젤 결합물 제조장치 및 에어로젤 결합물 제조방법
KR20150093063A (ko) * 2014-02-06 2015-08-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실리카 에어로겔의 제조방법
KR101660116B1 (ko) * 2014-10-01 2016-09-2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축성 섬유 전극,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슈퍼커패시터 및 이의 제조방법
US9476123B2 (en) 2005-05-31 2016-10-25 Aspen Aerogels, Inc. Solvent management methods for gel production
KR101748532B1 (ko) * 2016-01-19 2017-06-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어로겔 시트의 제조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5087A (en) 1971-11-26 1975-07-15 Champion Int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a molded composite urethane foam structural panel
US4158297A (en) * 1977-12-09 1979-06-19 Cotton, Incorporated Impregnator/rinser
JP2001137713A (ja) * 1999-11-12 2001-05-22 Nichias Corp ハニカム構造体
JP4898435B2 (ja) * 2003-06-24 2012-03-14 アスペン・エアロジェル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ゲル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1190551A (ja) 2010-03-12 2011-09-29 Asahi Kagaku Kk エアロゲルシート製造装置
CN103011745A (zh) 2012-11-27 2013-04-03 天津大学 二氧化硅气凝胶隔热复合材料及制备方法
KR101555573B1 (ko) 2014-01-27 2015-09-25 주식회사 관평기술 에어로겔 복합재가 결착된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복합 단열재
US9433966B2 (en) * 2014-02-21 2016-09-0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and system of chemical bath deposition
JP6738990B2 (ja) * 2014-08-26 2020-08-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断熱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53346B1 (ko) 2016-01-19 2019-0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어로겔 시트의 제조방법 및 제조기
CN106810139A (zh) * 2016-12-28 2017-06-09 伊科纳诺(北京)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超声辅助制备疏水二氧化硅气凝胶复合材料的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6123B2 (en) 2005-05-31 2016-10-25 Aspen Aerogels, Inc. Solvent management methods for gel production
JP2011190136A (ja) * 2010-03-12 2011-09-29 Asahi Kagaku Kk エアロゲルシート製造装置
KR101329087B1 (ko) * 2011-09-23 2013-11-14 (주)에스케이아이 에어로젤 결합물 제조장치 및 에어로젤 결합물 제조방법
KR20150093063A (ko) * 2014-02-06 2015-08-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실리카 에어로겔의 제조방법
KR101660116B1 (ko) * 2014-10-01 2016-09-2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축성 섬유 전극,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슈퍼커패시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8532B1 (ko) * 2016-01-19 2017-06-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어로겔 시트의 제조방법 및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127A (ko) *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장치 및 방법
CN113423677A (zh) * 2019-09-03 2021-09-21 株式会社Lg化学 气凝胶毡及其制造方法
JP2022541827A (ja) * 2019-09-03 2022-09-27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エアロゲルブランケット
US12053753B2 (en) 2019-09-03 2024-08-06 Lg Chem,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erogel blanket
CN113195432A (zh) * 2019-09-18 2021-07-30 株式会社Lg化学 气凝胶毡及其制造方法
US11926529B2 (en) 2019-09-18 2024-03-12 Lg Chem, Ltd. Aerogel blank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22075781A1 (ko) * 2020-10-08 2022-04-14 조영수 에어로젤 블랑켓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에어로젤 블랑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26680A1 (en) 2020-03-25
JP2020521710A (ja) 2020-07-27
EP3626680B1 (en) 2024-05-15
KR102377622B1 (ko) 2022-03-24
US20200216322A1 (en) 2020-07-09
CN110770168A (zh) 2020-02-07
WO2019039841A1 (ko) 2019-02-28
JP6909875B2 (ja) 2021-07-28
US11554962B2 (en) 2023-01-17
CN110770168B (zh) 2023-04-21
EP3626680A4 (en) 2020-06-17
US20230124388A1 (en) 202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26680B1 (en) Method for producing silica aerogel blanket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US10710332B2 (en) Heat-insulation sheet,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heat-insulation sheet
US1186632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erogel blanket
KR102148388B1 (ko)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KR101938655B1 (ko) 실리카 에어로겔 및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KR102574283B1 (ko) 에어로겔 블랭킷
KR101958995B1 (ko)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 초임계 건조 방법
JP7320063B2 (ja) エアロゲルブランケ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40228304A1 (en) Silica sol, silica aerogel blanket manufactured us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23526871A (ja) エアロゲルブランケ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エアロゲルブランケット
KR20200073730A (ko)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KR102604538B1 (ko)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의 제조방법
KR102429099B1 (ko)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의 초임계 건조 방법
KR102434826B1 (ko) 실리카 습윤겔 블랭킷의 초임계 건조 방법
KR20220037782A (ko) 초임계 건조방법
KR20220062811A (ko) 에어로겔 블랭킷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