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685A - 하향 환기장치를 위한 인서트 - Google Patents

하향 환기장치를 위한 인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685A
KR20190020685A KR1020187037274A KR20187037274A KR20190020685A KR 20190020685 A KR20190020685 A KR 20190020685A KR 1020187037274 A KR1020187037274 A KR 1020187037274A KR 20187037274 A KR20187037274 A KR 20187037274A KR 20190020685 A KR20190020685 A KR 20190020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collecting element
collecting
filter element
ex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7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5968B1 (ko
Inventor
월터 괴너거
Original Assignee
브루크바우어 빌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루크바우어 빌렘 filed Critical 브루크바우어 빌렘
Publication of KR20190020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향 환기장치(4)를 위한 인서트(12)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조리 연기 흐름을 필터링하기 위한 제거가능한 필터 소자(13) 및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제거가능한 수집 소자(14)를 포함하고, 수집 소자(14)는 조리 연기 흐름을 편향시키기 위한 흐름 유도 표면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20)을 갖는다.

Description

하향 환기장치를 위한 인서트
본 특허 출원은 독일 특허 출원 DE 10 2016 211 206.6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하향 추출기를 위한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유형의 인서트를 갖는 하향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유형의 하향 추출기를 구비한 호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 10 2007 002 241 A1은 조리 연기가 아래쪽으로 추출되는 연기 추출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유형의 시스템은 하향 추출기 또는 하향 시스템으로도 지칭된다.
DE 20 2013 010 646 U1은 그리스 필터 인서트를 개시한다.
특히 그리스 제거 및/또는 세척의 정도와 관련하여 하향 추출기를 개선할 필요성이 계속 존재한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 제 1 항에 청구된 하향 추출기를 위한 인서트 및 상응하는 인서트를 갖는 하향 추출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핵심은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제거가능한 필터 소자 및 제거가능한 수집 소자를 갖는 인서트를 설계하는 것으로서, 수집 소자는 조리 연기의 흐름을 편향시키기 위한 흐름 유도 표면으로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을 갖는다.
필터 소자 및 수집 소자는 특히 함께 결합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필터 소자 및 수집 소자는 또한 단일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은 특히 삽입된 상태에서 특히 흐름 채널 내의 하향 추출기의 하우징 내에서 이들이 서로에 대해 직접 인접하게, 특히 서로에 대해 놓이도록 배치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인서트의 그러한 설계로, 특히 DIN EN 61591에 따라 측정된 그리스의 특히 높은 정도의 제거가 획득질 수 있다.
특히 삽입된 상태에서, 수집 소자는 요리 연기의 흐름을 위한 흐름 채널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는 특히 하나 이상의 조리 연기 유입구로부터 조리 연기를 제거하기 위한 채널로의 전이의 일부를 형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는 특히 호브 평면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둥근 설계, 특히 원형, 또는 직사각형 설계를 가질 수 있다.
수집 소자의 흐름 유도 표면으로서 작용하는 벽은 특히 대략 90°, 특히 적어도 10°, 특히 적어도 30°, 특히 적어도 45°, 특히 60°만큼 조리 연기의 흐름의 편향을 발생시킨다. 수집 소자의 흐름 유도 표면으로서 역할을 하는 벽에 의한 조리 연기의 흐름의 편향은 여기에서 특히 수집 소자의 편향-외부 측면 내부 벽 상으로의 유출-측면 접선 평면이 수집 소자의 내부 벽 상으로의 유입-측면 접선 평면과 감싸는 각도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조리 연기를 제거하기 위한 채널은 특히 평평한 채널의 높이에 대한 폭의 종횡비가 적어도 2:1, 특히 적어도 3:1, 특히 적어도 5:1인 평평한 채널일 수 있다. 종횡비는 일반적으로 100:1보다 작고, 특히 50:1보다 작다.
평평 채널은 특히 100㎠ 이상, 특히 150㎠ 이상, 특히 200㎠ 이상, 특히 250㎠ 이상, 특히 300㎠ 이상의 흐름 단면적을 갖는다. 흐름 단면적은 특히 1000㎠ 이하이다.
수집 소자의 제거가능성은 특히 인서트의 세척을 상당히 용이하게 한다.
조리 연기의 흐름을 편향시키기 위한 흐름 유도 표면으로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을 갖는 수집 소자의 설계에 의해, 특히 상기 수집 소자의 유체 특성이 개선된다. 이것은 요리 연기의 보다 효율적인 추출 및 소음 발생 감소에 기여한다.
인서트는 전체로서 제거가능하다. 필터 소자 및 수집 소자는 특히 고정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수집 소자를 필터 소자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필터 소자는 수집 소자로부터 따로따로 분리 가능하다. 필터 소자는 특히 핸들, 예로서 오목한 핸들 형태 핸들을 갖는다. 핸들은 또한 필터 소자의 벽에서 전개되거나 당겨질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수집 소자는 핸들을 갖는다. 그에 따라 수집 소자의 제거가능성이 용이해진다. 핸들은 필터 소자의 핸들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수집 소자의 흐름 유도 표면으로서 작용하는 벽은 아치형 또는 곡선형 설계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경사 설계를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수집 소자의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벽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직 평면에도 평행하지 않고 수평 평면에도 평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배향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것은 특히 수직 평면과 30° 내지 60° 내의 각도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갖는다. 곡선 설계의 경우, 이러한 세부사항은 벽의 흐름 유도 표면으로 작용하는 내부 측면 상의 접선방향 평면을 참조한다.
벽은 특히 또한 부분적으로 평평한 설계를 가질 수 있다.
인서트의 삽입된 상태에서 적어도 영역 내의 벽은 수평과 적어도 3°, 특히 적어도 5°, 특히 적어도 10°의 각을 둘러싸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특히 유입 측면 상의 측벽의 영역 내에 인서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적어도 영역 내의 상기 벽은 수직과 적어도 10°의 각도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벽의 아치형 설계의 경우, 상기 세부사항은 상기 벽에 대한 접선 평면의 배향과 관련된다. 이것은 조리 연기의 흐름의 편향을 개선한다.
흐름 유도 표면으로 작용하는 벽의 프로파일은 본질적으로 연속식 차동 함수에 의해 기술될 수 있다.
벽은 모서리가 없는 설계가 바람직하다. 벽은 특히 흐름 채널의 외부 벽이다. 조리 연기의 흐름을 편향시키기 위한 흐름 유도 표면으로서 작용하는 수집 소자의 벽은 필터 소자의 벽 내로 실질적으로 모서리가 없는 방식으로 병합될 수 있다. 필터 소자 및 수집 소자는 특히 필터 소자의 벽과 수집 소자의 벽이 조리 연기의 흐름을 편향시키기 위한 실질적으로 모서리가 없는 흐름 유도 표면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또는 이에 더하여, 특히 하나 이상의 흐름 유도 소자의 형태인 흐름 유도 수단이 특히 필터 소자로부터 수집 소자로의 전이 영역 내에서, 조리 연기 흐름을 편향시키기 위한 흐름 유도 표면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벽의 영역 내에 배치된다. 상기 흐름 유도 수단은 또한 조리 연기 흐름의 목표된 소용돌이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인서트의 흐름 단면을 정의하는 필터 소자 및 수집 소자의 벽 모두는 대응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하향 추출기의 하우징의 구조적 구성은 흐름 유도 표면으로서 작용하는 삽입 벽에 의해 단순화된다. 하우징은 특히 직각 설계가 가능하다. 특히 하우징의 모서리 영역에서의 결과적인 흐름 손실이 인서트에 의해 방지된다. 인서트, 특히 흐름 유도 표면으로 작용하는 벽에 의해, 하향 추출기의 하우징 내의 데드 스페이스의 형성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수집 소자 및/또는 필터 소자는 이들이 흐름 채널의 내부 반지름의 영역에서 수평 흐름 섹션의 실질적으로 모서리가 없는 연속부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특히 인서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효과는 흐름 채널이 예리한 모서리의 편향, 특히 예리한 모서리의 90° 편향을 갖지 않는다는 것이다. 여기서 예리한 모서리는 특히 곡률 반경이 1 mm 미만인 편향을 지칭한다.
특히 인서트의 도움으로 달성될 수 있는 효과는 유효 흐름 영역이 특수하게 제공된 선회 수단과는 별도로 실질적으로 모서리가 없으며, 특히 바람직하지 않은 예리한 모서리 편향 영역이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인서트는 특히 조리 연기의 흐름을 위한 흐름 유도 표면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영역, 특히 조리 연기를 편향시키기 위한 흐름 유도 표면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수집 소자의 벽이 적어도 1cm, 특히 적어도 2cm의 곡률 반경을 갖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수집 소자는 실질적으로 모서리가 없는 설계, 특히 데드 스페이스가 없는 설계를 가진다. 전체 인서트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데드 스페이스가 없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특히 흐름-최적화된 설계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필터 소자 및/또는 수집 소자는 자가-중심 맞춤 설계를 가진다. 이는 상기 필터 소자 또는 수집 소자가 하향 추출기 내로 삽입될 때 지정된 최종 위치로 자동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수집 소자 및/또는 필터 소자의 외측 상의 가이드 수단의 도움으로 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수단은 하향 추출기의 하우징 내의, 특히 인서트 삽입을 위한 개구의 내부 측면 상의 적절한 가이드 수단과 상호작용한다. 가이드 수단은 홈, 돌출부, 가이드 슬롯 등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필터 소자 및/또는 수집 소자의 자가-중심 맞춤 설계는 상기 소자의 각각의 질량 중심의 적절한 배치에 의해 보조될 수 있다. 특히 핸들 소자 또는 필터 소자 및/또는 수집 소자의 핸들 소자에 대한 질량 중심의 상대적인 위치에 의해, 상기 소자의 배향은 하향 추출기 내로 삽입될 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필터 소자 및 수집 소자는 하향 추출기 내로 삽입될 때, 서로에 대해 상기 두 소자의 지정된 함께 결합되는 상대 위치로 자동으로 슬라이드 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필터 소자 및/또는 수집 소자 상에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적절한 가이드 수단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필터 소자 상의 및/또는 수집 소자 상의 가이드 수단은 특히 서로에 대하여 상보적인 방식으로, 특히 맞물리도록 설계된다. 이들은 특히 기계적 가이드 수단이다. 필터 소자 및 수집 소자의 지정된 상대 위치를 취하는 것은 다른 가이드 수단, 예로서 자성 가이드 수단에 의해서도 보조될 수 있다.
일 대안에 따르면, 삽입된 상태에서 필터 소자 및 수집 소자의 정확한 상대 위치는 하향 추출기의 하우징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만 사전결정된다. 하향 추출기에 삽입되면 특히 지정된 위치로 슬라이드한다. 이들은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놓인다. 이들은 삽입된 상태에서 특히 형태-잠금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놓인다. 특히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놓이는 영역에서, 이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부 경계 및/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부 경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필터 소자 및/또는 수집 소자는 대칭 설계이다. 상기 소자는 특히 비대칭 가이드 수단을 갖는다. 상기 가이드 수단과는 별도로, 필터 소자 및/또는 수집 소자는 중심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인 설계일 수 있다.
필터 소자 및/또는 수집 소자의 비대칭 설계에 의해 각각의 소자가 180° 회전될 수 없으며 오히려 정확한 지정된 배향으로만 하향 추출기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필터 소자는 두 부분 또는 복수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프레임 및 그 위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필터 층을 갖는다. 프레임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다. 또한 금속, 특히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내부식성, 습기-비민감성 및 내열성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 층은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설계된다. 이들은 특히 스테인리스 스틸 편직물로부터 이중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1, 2, 3, 4, 5, 6, 7, 8 또는 그 이상의 이중 층이 제공될 수 있다. 필터 층은 특히 아치형 설계를 갖는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 필터 소자의 이용가능한 폭 내에 배치될 수 있는 필터의 전체 표면이 증가된다.
필터 층의 곡률은 100cm 미만, 특히 50cm 미만, 특히 30cm 미만, 특히 20cm 미만의 곡률 반경을 갖는다.
상이한 필터 층은 상이한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필터 층은 특히 동심원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필터층은 하부 필터층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필터 층은 동일한 각 영역을 덮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원주 방향으로 서로 다른 범위를 가질 수 있다.
하향 추출기에 정확하게 삽입된 필터 소자의 상태에서, 필터 층은 특히 수평으로 배향된 축에 대해 아치형으로 설계된다.
필터 소자는 식기 세척기에 안전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세척이 상당히 단순화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수집 소자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특히 완전히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된다. 이것은 수집 소자의 특히 낮은 중량으로 이어진다. 수집 소자는 특히 내습성 및 내열성이다. 특히 식기 세척기에 안전하도록 설계되었다.
유출 측의 영역에서, 수집 소자는 조리 연기 배출구를 갖는다. 후자는 인서트의 삽입된 상태에서 조리 연기 제거 채널로 이어진다. 수집 소자로부터 조리 연기 제거 채널로의 전이는 실질적으로 모서리가 없는 설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이는 특히 이 영역에서 조리 연기 흐름의 소용돌이가 감소되고, 특히 매우 실질적으로 방지되는 이러한 흐름-최적화된 형태를 갖는다.
하나의 대안에 따르면, 수집 소자는 특히 조리 배출구의 영역에서 조리 연기 제거 채널로의 전이에서 분리 모서리를 갖는다. 분리 모서리는 특히 상기 영역에서 조리 연기 흐름의 특정 난류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효과는 수집 소자에 수집된 액체 및/또는 오염물이 조리 연기 흐름에 의해 제거 채널로 끌어들여지지 않고 흐름 채널의 수집통에 수집된다는 것이다. 이들은 그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수집 소자는 수집통으로 설계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 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형태 영역을 포함한다. 수집 소자, 특히 수집통은 적어도 50ml, 특히 100ml 이상, 특히 200ml 이상, 특히 300ml 이상, 특히 500ml 이상, 특히 700ml 이상의 수집 용량을 갖는다. 수집 용량은 통상적으로 200ml보다 작고, 특히 1000ml보다 작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수집 소자는 조리 연기 흐름을 제거하기 위해 필터 소자와 유출 측면에 인접한 채널 사이에 전이 조각을 형성한다. 필터 소자로부터 수집 소자로의 전이부는 특히 실질적으로 모서리가 없는 설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수집통은 적어도 영역에서 액체-투과성인 커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커버는 특히 흐름 유도 소자로서 작용할 수 있다. 수집 소자를 통한 조리 연기의 흐름은 커버의 도움으로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액체 투과성을 획득하기 위해 개구, 예를 들어 보어 또는 슬롯이 커버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신호-방출 소자가 필터 소자 및/또는 수집 소자 상에 제공된다. 이것은 기계적, 전기적 또는 자기적 신호 방출 소자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신호 방출 소자는 하향 추출기에서 이에 매칭된 수신 장치와 상호 작용한다. 이것은 인서트 또는 그 구성 소자가 하향 추출기에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신호가 생성될 수 있는 식별을 허용한다. 상기 신호는 신호 연결을 통해 하향 추출기의 제어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이는 하향 추출기가 인서트가 정확하게 삽입되었을 때 또는 수집 소자가 정확하게 삽입되고/되거나 필터 소자가 정확하게 삽입되었을 때에만 기능할 수 있는 방식으로 하향 추출기의 제어기를 설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필터 소자 및/또는 수집 소자가 정확하게 삽입되지 않은 경우 신호, 특히 광학 또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센서가 수집 소자 및/또는 필터 소자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센서의 도움으로, 상기 소자들의 작동 상태가 모니터될 수 있다. 수집 소자 내의 센서의 도움으로, 특히 수집 소자 내의 액체의 양 또는 수집 소자의 사전결정된 양의 액체를 초과하는 것이 검출될 수 있다. 필터 소자 내의 센서의 도움으로, 적재 상태 또는 그 잔여 용량이 검출될 수 있고, 따라서 필터가 언제 세척되어야 할지가 식별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인서트를 가진 하향 추출기의 장점은 인서트의 장점으로부터 명백하다.
하향 추출기는 특히 세척 가능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특히 유체 특성이 개선되었다.
이것은 전체 호브 시스템의 개선으로 이어진다. 호브 시스템은 특히 장착 유닛일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장착 유닛의 경우, 호브 및 하향 추출기는 단일 공통 설치 유닛에 통합되어 있다. 장착 유닛은 특히 콤팩트한 구조를 갖는다. 이것은 특히 30cm 미만, 특히 25cm 미만, 특히 20cm 미만, 특히 18cm 미만, 특히 16cm 미만, 특히 15cm 미만의 범위 내의 전체 설치 높이를 갖는다.
장착 장치는 완성품으로 조립되어 공급될 수 있다. 이것은 작업대의 리세스에 삽입될 수 있다. 장착 유닛의 영역에 제공된 기본 캐비닛은 여기서 바람직하게 수정될 필요는 없다. 단지 최상단의 서랍을 제거하고 후자를 화면으로 교체하기만 하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세부사항이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나타난다:
도 1은 두 개의 호브 및 그 사이에 배치된 하향 추출기를 갖는 호브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하향 추출기를 위한 인서트의 사시도,
도 3은 다른 시야각으로부터의 도 2에 따른 인서트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인서트의 필터 소자의 도면,
도 5는 도 2에 따른 인서트의 수집 소자의 도면,
도 6은 도 4에 따른 필터 소자의 측면도,
도 7은 인서트의 수집 소자가 제거된, 하향 추출기의 영역 내의 호브 시스템의 단면을 통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하향 추출기에 인서트가 삽입된 도 7에 따른 도면,
도 9는 하향 추출기를 위한 인서트의 다른 대안을 갖는 도 8에 따른 도면,
도 10은 하향 추출기를 위한 인서트의 다른 대안을 갖는 도 8에 따른 도면,
도 11은 하향 추출기를 위한 인서트의 다른 대안을 갖는 도 8에 따른 도면, 그리고
도 12는 수집 소자의 대안의 도면을 도시한다.
호브 시스템(1)의 일반적인 부품이 아래에서 먼저 기술될 것이다. 호브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호브(2)를 포함한다. 호브 시스템(1)의 경우에 두 개의 호브(2)가 도 1에 예시된 방식으로 도시되어 있다. 호브(2)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호브일 수 있다. 상기 호브(2)는 특히 유도 호브, 가스 호브, 테판야키 호브, 냄비용 호브, 전기 호브, 또는 핫플레이트, 그릴 또는 다른 호브일 수 있다.
제어 손잡이(3)는 각각의 경우 호브(2)를 활성화하기 위해 제공되며, 도 1의 예시적인 방식으로 도시된 대안의 경우에 호브(2)를 작동시킨다. 특히 호브(2)에 통합될 수 있는 터치 감지 센서에 의한 작동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별도의 조작 모듈을 통한 조작도 고안될 수 있다. 이 경우, 호브(2)는 비자율적인 것으로, 즉 전용 제어 전자장치 없이 설계될 수 있다. 호브(2)의 구조는 그것으로 인해 단순화될 수 있다. 특히 호브(2)의 구성 높이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구성 높이는 특히 최대 10cm 이하, 특히 최대 6cm 이하, 특히 최대 5cm 이하, 특히 최대 4cm 이하, 특히 최대 3cm 이하, 특히 최대 2cm 이하일 수 있다.
호브 시스템(1)은 하향 추출기(4)를 더 포함한다. 하향 추출기(4)는 조리 연기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대안의 경우의 하향 추출기(4)는 두 개의 호브(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하향 추출기(4)는 호브(2)의 측면 또는 호브(2)의 후방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향 추출기(4)는 둥근, 특히 원형의 조리 연기 유입구(5)를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 도시된 경우의 조리 연기 유입구(5)는 길게, 특히 직사각형이 되도록 설계된다. 조리 연기 유입구(5)는 특히 2:1 이상, 특히 3:1 이상, 특히 5:1 이상, 특히 10:1 이상의 종횡비를 갖는다. 조리 연기 유입구(5)의 종횡비는 통상 100:1 이하, 특히 50:1 이하이다.
복수의 조리 연기 유입구(5)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2개 이상의 조리 연기가 입구(5), 특히 슬롯형 조리 연기 유입구(5)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리 연기 유입구(5)는 특히 서로 평행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조리 연기 유입구(5)는 특히 폐쇄 소자(6)에 의해 가역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복수의 조리 연기 유입구(5)의 경우, 후자는 각각의 경우에 폐쇄 소자(6)에 의해서 상호 독립적인 방식으로 개별인 방식으로 가역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하향 추출기(4)를 활성화하기 위해 제어 손잡이(7)가 제공된다. 터치 감지 센서에 의한 작동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하향 추출기(4)는 특히 호브 평면(8)의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하향 추출기(4)는 호브 평면(8) 위의 영역으로부터 호브 평면(8) 아래의 영역으로 조리 연기를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하향 추출기(4)는 하향 시스템(하향 추출)이라 지칭된다.
조리 연기 유입구(5)는 바람직하게는 호브 평면(8)에 대해 위치상 고정되도록 배치된다.
하나의 대안(도시되지 않음)에 따르면, 조리 연기 유입구(5)를 갖는 하향 추출기(4)의 영역은 호브 평면(8)에 수직인 방향으로 재위치 가능하다.
조리 연기 유입구(5)가 호브 평면(8) 위의 수 밀리미터 위에 배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 때문에, 하향 추출기(4) 내로의 의도하지 않은 액체 침입의 위험이 특히 끓어 넘치는 액체의 경우에서 뚜렷하게 감소될 수 있다. 특히, 하향 추출기(4)의 작동에서 조리 연기 유입구(5)가 호브 평면보다 수 밀리미터 위의 위치로 재위치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하향 추출기(4)의 스위치 오프 상태에서, 상기 조리 연기 유입구(5)는 호브 평면(8)과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호브 시스템(1)은 모듈식으로 설계된다. 이 경우, 실질적으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는 호브(2)는 하나 또는 복수의 하향 추출기(4)와 유연하게 결합될 수 있다.
호브 시스템(1)은 또한 조립된 유닛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 또는 복수의 하향 추출기(4)를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호브(2)가 단일 시스템 내에 통합된다. 상기 호브(2) 및 상기 하향 추출기(4)는 특히 공통 하우징에 배치된다. 조립을 위한 상기 공통 하우징은 작업대(9) 내의 리세스에만 삽입되어야 한다.
호브 시스템(1) 아래의 영역에 있는 주방 베이스 캐비닛(11)의 구획, 특히 서랍(10)은 실질적으로 어떠한 제한도 없이 활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방 베이스 캐비닛(11)은 주방 가구 물품을 형성한다. 호브 시스템(1), 특히 하향 추출기(4)는 주방 가구의 물품에 통합될 수 있다. 상기 호브 시스템(1) 및 상기 하향 추출기(4)는 특히 주방 가구 제품에 통합될 수 있다.
조립된 유닛, 특히 하향 추출기(4)는 바람직하게는 30cm 미만, 특히 25cm 미만, 특히 20cm 미만, 특히 18cm 미만, 특히 16cm 미만, 특히 15cm 미만의 범위의 전체 구조 높이 h를 갖는다. 조립된 설비 장치는 특히 일반 식기 서랍보다 작업대(9) 아래에 더 많은 간격 필요로하지 않는다.
호브 시스템(1)의 일반적인 구성에 관한 각각의 세부사항 및 추가 정보의 관점에서 EP 2 702 329 A1이 참조될 것이며, 후자는 본 명세서의 부품으로서 완전히 통합된다.
하향 추출기(4), 특히 그의 조리 연기 유입 장치(41)의 다른 특징들이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7 내지 11의 각각의 경우에, 조리 연기 유입 장치(41)의 영역으로부터의 하향 추출기(4)의 단편만이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흐름 방향(27)의 하류에 있는 하류 추출기(4)의 부품은 명확성을 위해 이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하향 추출기(4)는 인서트(12)를 포함한다. 인서트(12)의 대안이 도 2 및 3에 예시적인 방식으로 도시되어 있다. 인서트(12)는 다수의 부분으로 설계된다. 상기 인서트(12)는 필터 소자(13) 및 수집 소자(14)를 포함한다. 필터 소자(13)와 수집 소자(14)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필터 소자(13)는 도 4에서 수집 소자(14) 없이 도시되었다. 수집 소자(14)는 도 5에서 필터 소자(13) 없이 도시되었다.
필터 소자(13)는 하향 추출기(4)로부터 제거가능하다. 상기 필터 소자(13)는 특히 수집 소자(14)와 독립적으로 하향 추출기(4)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제거 능력을 단순화하기 위해, 필터 소자(13)는 핸들(15)을 갖는다. 핸들(15)은 리세스 그립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핸들(15)은 특히 인간의 손의 통상적인 크기의 손가락에 적응되도록 인체 공학적으로 유리하도록 설계된다.
필터 소자는 두 부분으로 설계된다. 상기 필터 소자는 프레임(16)을 갖는다. 프레임(16)은 치수적으로 안정적으로 설계된다. 상기 프레임(16)은 특히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 대안에 따르면, 프레임(16)은 금속, 특히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설계된다. 탄소와 같은 다른 물질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프레임(16)은 특히 내습성 및 내열성 재료로 설계된다.
또한 필터 소자(13)는 실제 필터(17)를 포함한다. 필터(17)는 직조된 필터 직물로부터의 복수의 층(tier)을 포함한다. 필터 층은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이다. 필터(17)는 다수의, 특히 3개 이상, 특히 5개 이상, 특히 8개 이상의 층, 특히 이중 층을 가질 수 있다. 층은 니티드(knitted) 스테인리스 스틸 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층은 특히 양면에 메쉬 직물로 설계될 수 있다.
필터(17)는 특히 그리스 필터이다.
하향 추출기(4), 특히 하향 추출기(4)의 제거가능한 부품을 포함하는 시스템, 특히 필터(17), 수집 소자(14), 선택적으로 현존하는 수집통(28)을 포함하는 시스템은 45% 초과, 특히 55% 초과, 특히 65% 초과, 특히 75% 초과, 특히 85% 초과, 특히 95% 초과의 그리스 분리율을 가진다. 이 정보는 DIN EN 61591에 따른 그리스 분리율과 관련이 있다.
필터(17), 특히 필터 층은 아치형 설계를 가진다. 필터 층은 특히 수평으로 배향된 축에 대해 아치형 설계를 가진다. 이들은 특히 수평 섹션에서 직선 프로파일을 가진다.
필터 소자(13)의 흐름-최적화된 구성 모드는 아치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필터 소자(13)는 식기 세척기에 안전하다. 세척을 위해서 상기 필터 소자(13)는 하향 추출기(4)로부터 간단히 제거되어 식기 세척기에 배치될 수 있다.
신호 방출기(18)는 프레임(16) 상에 배치된다. 자석이 신호 방출기(18)로서 작용한다. 이와 달리, 신호 방출기(18)는 전기적 접촉으로서 또는 기계적으로, 예를 들어 돌출부로서, 특히 래칭 러그(latching lug)의 형태로 설계될 수도 있다.
신호 변환기(18)의 도움으로 필터 소자(13)가 하향 추출기(4)에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 여부가 하향 추출기(4) 내의 적절한 센서 소자를 통해 검출될 수 있다. 상응하는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하향 추출기(4)를 위한 제어 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신호-전달 접속된다.
수집 소자(14)는 하향 추출기(4)로부터 유사하게 제거가능하다. 수집 소자(14)는 핸들(19)을 갖는다. 후자의 구성과 관련하여, 필터 소자(13)의 핸들(15)의 설명이 참조될 것이다.
수집 소자(14)는 필터 소자(13)와 정합하도록 설계된다. 두 개의 소자(13, 14)는 특히 형태-잠금 방식으로 서로의 내에 또는 서로에 대해 플러그 또는 배치될 수 있다. 함께 플러그된 상태 또는 서로에 대해 놓인 상태에서, 이들은 특히 실질적으로 모서리가 없는 설계를 갖는 내부 벽(20)을 가진다. 내부 벽(20)은 아치형 설계를 가진다. 이것은 조리 연기의 흐름을 편향시키기 위한 흐름 유도 표면을 형성한다. 흐름 유도 표면은 실질적으로 모서리가 없도록, 바람직하게는 매끄럽도록 설계된다. 흐름 유도 표면의 프로파일, 특히 수직 평면에 대한, 특히 하향 추출기(4)의 수직 정렬된 중앙 평면에 대한 프로파일은, 특히 연속 함수에 의해, 특히 차동 함수에 의해, 특히 연속 차동 함수의 방식으로 기술된다. 흐름 유도 표면은 일정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흐름 유도 표면은 흐름 방향으로 가변적인 곡률을 가질 수도 있다. 흐름 유도 표면은 특히 조리 연기 유입구(5)를 마주하는 모서리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평평한 설계를 가질 수 있다. 흐름 유도 표면은 특히 연기 배출구(22)와 마주하는 모서리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흐름 유도 표면은 상기 모서리 영역 사이의 영역에서만 아치형 설계를 가진다.
수집 소자(14)는 액체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집 소자(14)는 수집통(21) 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 형태의 영역을 갖는다. 수집통(21)은 적어도 50ml, 특히 100ml 이상, 특히 200ml 이상, 특히 300ml 이상, 특히 500ml 이상, 특히 700ml 이상의 수집 용량을 갖는다.
수집 소자(14)는 치수상 안정적인 재료로 설계된다. 수집 소자(14)는 특히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유래한다. 상기 수집 소자(14)는 또한 금속, 특히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일 수 있다. 수집 소자(14)는 또한 다른 물질, 예를 들어 탄소로부터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유형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집 소자(14)는 특히 내습성 재료로만 제조된다. 상기 수집 소자는 특히 최대 75℃, 특히 최대 80℃, 특히 최대 95℃, 특히 적어도 100℃의 온도에 대해 내열성이다.
수집 소자(14)는 연기 배출구(22)를 갖는다. 조리 연기 배출을 위한 채널(23)은 하향 추출기(4) 내의 수집 소자(14)의 삽입된 상태에서 연기 배출구(22)에 접한다. 수집 소자(14)로부터 채널(23)로의 트랜지션은 특히 실질적으로 모서리가 없도록 설계된다. 상기 트랜지션은 바람직하게는 특정 데드 스페이스 및/또는 난류 영역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난류가 없는 조리 연기 흐름이 가능해지는 방식으로 흐름-최적화되도록 설계된다. 그리스 필터(17) 하류의 흐름 단면은 초기에 증가할 수 있다. 편향 후의 흐름 단면은 상기 편향과 인접한 영역에서 감소한다. 특히, 인서트(12)의 하향 추출기(4)의 유체 특성은 흐름 영역, 특히 편향 영역, 특히 이러한 영역 내의 버클링 포인트(buckling point)를 방지하는 방식으로 제한하는 내부 및/또는 외부 벽의 둥근 구성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흐름 손실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였다.
삽입된 상태의 수집 소자(14)는 하향 추출기(4)의 바닥 벽(24), 특히 조리 연기를 제거하기 위한 채널(23)을 지탱한다. 필터 소자(13)가 하향 추출기(4)로부터 제거되면, 수집 소자(14)는 상향으로, 특히 수직 상향으로 제거될 수 있다.
수집 소자(14)는 흐름-최적화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수집 소자(14)는, 특히 흐름 영역에 대면하는 그 내부 측면 상에 실질적으로 모서리가 없도록 설계된다.
수집 소자(14), 특히 수집통(21)은 채널(23) 내의 수집통(28)과 동일 평면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수집 소자(14)는 특히 적어도 상기 영역에서 수집통(28) 상에서 동일 평면을 유지한다. 이 때문에, 필터 소자(13)의 수집통(21)과 채널(23)의 수집통(28) 사이 영역에서의 기류가 방지될 수 있다.
수집 소자(14)는 핸들(19)에 대한 그 질량 중심(25)의 위치가 특히 수평으로 움직이는 축 둘레의 수집 소자(14)의 피봇을 용이하게, 특히 개시하게 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며, 이는 하향 추출기(4) 내로의 수집 소자(14)의 삽입을 단순화한다. 핸들(19)에 대한 수집 소자(14)의 질량 중심(25)은 특히 올바르게 삽입된 상태에서의 최대 수평 범위에 비교하여 수집 소자(14)가 핸들 상에 매달려있을 때의 수평 범위가 감소되도록, 특히 최소화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수집 소자(14)는 핸들(19) 상에 제거되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피봇된다. 수집 소자(14)의 회복 가능성은 이로 인해서 용이해질 수 있다.
수집 소자(14)에는 하향 추출기에 삽입될 때 수집 소자(14)의 자체 중심 맞춤 설계를 유도하는 가이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복수의 홈, 웹, 돌출부, 벌지(bulge) 또는 리세스가 가이드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필터 소자(13) 및 수집 소자(14)는 특히 함께 플러그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필터 소자(13)와 상기 수집 소자(14)는 각각 돌출부 또는 리세스의 형태인 상호 적응된 연결 수단(26)을 갖는다. 이것은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특별한 연결 수단은 또한 생략될 수 있다. 필터 소자(13) 및 수집 소자(14)는 서로 래치가능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삽입된 상태에서, 이들은 또한 서로에 대해 느슨하게 놓일 수 있다. 서로에 대해 느슨하게 놓인 상태에서, 특히 함께 플러그된 상태에서, 필터 소자(13) 및 수집 소자(14)는 실질적으로 모서리가 없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특히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한다.
수집 소자(14) 및 필터 소자(13)는 하향 추출기(4)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수집 소자(14) 및 상기 필터 소자(13)가 올바른 상대 위치로 스스로 가져가는 방식으로 서로 가이드하는 식으로 바람직하게 설계된다. 이를 위해, 특히 리세스 형태의 가이드 수단, 특히 필터 소자(13) 및 수집 소자(14)의 외부 벽 또는 하향 추출기(4)의 내부 측면과 상호작용하는 가이드 홈 및 돌출부가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수집 소자(14)는 하향 추출기(4) 내의 조리 연기의 흐름 방향(27)에서 필터 소자(13)에 대해 하류에 배치된다. 따라서 배출되는 액체 및 그리스는 흐름 방향(27)에서 필터 소자(13) 하류의 수집 소자(14) 내에 수집될 수 있다.
특히 액체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통(28)은 바람직하게는 조리 연기 자체를 제거하기 위해 채널(23) 내에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상향으로 돌출하는 러그(29) 형태의 액체 장벽이 채널(23) 내에 형성된다. 수집통(21) 또는 연기 배출구(22)의 하부 모서리는 수집 소자(14)가 하향 추출기(4)에 삽입된 상태에서 러그(29)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놓인다.
수집통(28)은 제거 가능하거나 꺼내질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수집통(28)은 특히 채널(23), 특히 채널(23)의 나머지에 래치가능(latchable)할 수 있다. 상기 수집통(28)은 특히 수집통(28)의 방식인 상기 채널(23)이 외부에 대해 방수식으로 폐쇄되도록 채널(23)에 부착 가능하거나 채널(23) 내에 있다.
수집통(21)과 함께 수집 소자(14)가 하향 추출기(4)로부터 제거되는 경우에도 수집통(28)은 추출 가이드 내에 남아있을 수 있다. 유지보수 통으로도 지칭되는 수집통(28)은 유지보수 작업만을 위해 하향 추출기(4)로 맞춤식으로 제거되거나 또는 심각한 오염의 경우에 제거된다.
삽입된 상태에서, 인서트(12)는 조리 연기 흐름을 편향 및 제거하기 위한 채널의 부품을 형성한다. 다시 말하면, 인서트(12)는 특히 흐름-유도 기능을 갖는다. 즉 내부 벽(20)은 조리 연기 흐름을 위한 흐름 유도 표면으로 작용한다. 조리 연기의 흐름은 상기 내부 벽(20)의 구성으로 인하여, 특히 아치형의 실질적으로 모서리가 없는 구성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개선된다. 바람직하지 않은 난기류 및 특히 사각 간격이 크게 방지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대안에 따르면, 내부 벽(20)에는 하향 추출기(4)의 흐름 조건을 더욱 개선하도록 구조화된 특징부가 제공될 수 있다.
조리 연기 유입 장치(41)는 전체 높이(h)가 약 15cm이다. 조리 연기 유입 장치(41)의 전체 높이(h)는 특히 30cm 이하, 특히 20cm 이하, 특히 15cm 이하이다. 상기 전체 높이(h)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cm, 특히 적어도 10cm이다. 따라서 상기 조리 연기 유입 장치(41)는 콤팩트한 구성을 가지지만 한편으로는 그의 유체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화된다. 또한, 상기 조리 연기 유입 장치(41)는 상기 호브가 흐름 방향(27)에서 조리 연기 유입 장치(41)의 하류인 하향 추출기(4)의 구성소자와 충돌하지 않고, 호브(2)가 조리 연기 유입 장치(41) 옆의 호브 평면(8)의 영역 내에 있는 작업대(9) 내에 배치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것은 특히 채널(23)의 영역 내의 호브 평면(8)과 채널(23)의 상부 제한 사이의 작업대(9) 내에, 특히 조리 연기 유입 장치(41)의 연기 배출구의 영역에 호브(2)를 배치하기 위한 충분한 간격이 남아있는 방식으로 구성되며, 이 영역에서 하향 추출기(4)의 하향 구성소자에 채널(23)가 흐름-유도 방식으로 연결된다.
인서트(12)의 대안이 도 9를 참조로 아래에서 기술된다. 도 9에 따른 대안은 실질적으로 도 8에 따른 대안과 일치하며, 여기에서 도 8을 참조한다.
도 9에 도시된 대안의 경우에, 특히 흐름-유도 소자 또는 흐름-유도 배플(baffle) 형태의 흐름-유도 수단(31)이 조리 연기 흐름의 흐름 방향(27)의 편향의 외부 측면의 필터 소자(13)의 프레임(16) 상에 제공된다. 흐름-유도 수단(31)은 특히 조리 연기 흐름을 위한 편향 영역의 내부 반지름(r)의 영역에서 다른 흐름-유도 수단(32)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배향된다. 흐름-유도 수단(32)은 수집 소자(14)의 흐름 유도 표면(33)에서 계속된다. 흐름-유도 소자, 특히 흐름 배플이 흐름-유도 수단(32)으로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흐름-유도 수단(31, 32)은 필터 소자(13) 및/또는 수집통(21)의 프레임(16)과 동일한 재료로부터 구성된다. 이들은 특히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흐름 유도 표면(33)은 채널(23)을 향한 트랜지션, 특히 둥근 트랜지션, 특히 실질적으로 모서리가 없는 트랜지션을 형성한다. 편향 영역의 내부 측면 상의 예리한 모서리 둘레의 조리 연기의 흐름은 특히 흐름-유도 수단(32) 및 흐름 유도 표면(33)에 의해 방지된다. 하향 추출기(4)의 유체학적 성질은 그것으로 인해 상당히 개선된다.
조리 연기 흐름을 위한 편향 영역은 내부 반경의 영역에서 특히 적어도 1cm, 특히 2cm 이상, 특히 3cm 이상, 특히 5cm 이상의 곡률 반경을 갖는다.
도 9에 도시된 대안의 경우에 수집 소자(14)의 수집통(21)은 연기 배출구(22)를 향한 방향으로 약간 상승하도록 설계된 바닥 표면(34)을 갖는다. 삽입된 상태의 인서트(12) 내의 바닥 표면(34)은 특히 3° 내지 30°의 범위 내의 각도 b를 가지며, 수평 평면(35)을 갖는다. 각도 b는 특히 적어도 5°, 특히 적어도 10°이다. 상기 각도 b는 특히 최대 20°, 특히 최대 15°이다. 바닥 표면(34)의 경사 구성으로 인해 수집통(21) 내에 축적되는 액체가 수집통(21)의 후방 영역(38)에 축적되는 것이 획득된다. 본 명세서에서 후방 영역(38)은 연기 배출구(22)에 대향하는 수집통(21)의 베이스 상의 영역을 지칭한다. 후방 영역(38)은 수집될 액체를 위한 수집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후방 영역(38)은 또한 그리스 필터(17)로부터 이어지는 그리스용 수집 영역을 형성한다.
수집통(28)의 바닥벽(24)은 유사하게 적어도 수평 평면(35)을 향하는 영역에서 경사지도록 설계된다. 수집통(21)의 바닥 표면(34)은 특히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수집통(28)의 바닥 벽(24)에 대해 동일한 평면에 놓인다.
수집통(21)의 바닥 표면(34)은 조리 연기 배출구(22)의 영역 내의 분리 모서리(42)를 가진다. 분리 모서리(42)는 수집통(28)의 러그(29)로부터 이격된다.
바닥 표면(34)의 경사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효과는 조리 연기 흐름이 인접 채널(23) 내로 러그(29)를 통해 효율적으로 유도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그리스 방울과 같은 더 무거운 입자는 여기에서 러그(29)에 대해 상류 측에 남아있을 수 있으며 수집통(28) 내에 축적될 수 있다.
러그(29)는 수집통(28) 내에 축적된 입자 및/또는 액체가 조리 연기 흐름에 의해 채널(23) 내로 흡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필터 소자(13)의 핸들(15)은 조리 연기 흐름의 영역(36) 외측에 배치된다. 흐름 영역(36)은, 특히 조리 연기 유입구(5)의 연장부에서 수직 하향으로, 특히 수평면(35)에 수직하도록 연장한다. 흐름 영역(36) 외측에 핸들(15)을 폐기함으로써 핸들(15)이 조리 연기 흐름의 난류로 이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인서트(12)의 추가의 대안이 도 10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기술될 것이다. 도 10에 따른 대안은 도 9에 따른 대안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며, 이것은 도 9의 설명을 참조한다.
도 10에 따른 대안의 경우에 후크(37)가 흐름-유도 소자(31) 상에 배치된다. 후크(37)는 흐름-유도 소자(31)의 편향 영역과 마주하는 면에 배치된다. 이것은 조리 연기 흐름 내의 난류를 특정하게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후크(37)는 난류 발생 수단을 형성한다. 이러한 유형의 난류는 인서트(12) 내의 그리스 제거 정도를 증가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수집 소자(14) 내의 그리스 제거 정도가 후크(37)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상응하는 후크(38, 39)는 편향 영역의 내부 측면, 특히 흐름 유도 표면(33) 상에, 그리고 연기 배출구(22)를 향하는 바닥 표면(34)의 단부 영역에 제공된다.
따라서 수집 소자(14)에는 복수의 난류 생성 수단이 제공된다.
전술된 대안의 경우에 필터 소자(13) 및 수집 소자(14)는 각각의 경우에 인서트(12)의 개별적인 또는 분리 가능한 부품을 형성한다. 이것은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수집 소자(14)는 특히 필터 소자(13)에 단일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유체학적 측면에서 특히 바람직한 인서트(12)의 설계가 그것으로 인해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서트(12)는 필터 수집 인서트를 형성한다.
인서트(12)의 추가의 대안이 도 11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1에 따른 대안은 실질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대안에 대응하며, 여기에서 도 9를 참조한다.
도 11에 도시된 대안의 경우에, 인서트(12)는 필터 소자(13)만을 포함하며 수집 소자(14)는 포함하지 않는다. 필터 소자(13)는 수집통(28) 상에 직접 놓인다.
흐름-유도 소자(32)는 이것이 흐름의 내부 측면상의 채널(23)로의 트랜지션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연장된 설계를 가진다. 상기 흐름-유도 소자(32)는 특히 상기 흐름-유도 소자(32)가 도 9에 따른 대안의 경우에서 수집통(21)의 부품인 흐름 유도 표면(33)을 또한 포함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수집통(28)의 바닥 벽(24)은 도 9 및 10에 도시된 대안의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설계될 수 있다. 특히 연기 배출구(22)의 영역 내의 바닥 표면(34)의 자유 단부가 수집통(28)의 러그(29) 상에 놓여 도 8에 도시된 대안에 대응하게 수집통(21)의 바닥 표면(34)이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수집통(21)의 바닥 표면(34)은 특히 실질적으로 러그(29) 상에 밀착하게, 특히 방수식으로 놓일 수 있다. 수집통(21)과 수집통(28) 사이 영역 내로의 액체, 특히 그리스의 침투가 그로 인해 방지된다.
도 12는 수집 소자(14)의 다른 대안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응하며 여기에서 그 내용이 참조된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서, 흐름 유도 소자가 조리 연기 배출구(22)의 영역 내의 수집 소자(14) 내에 제공된다. 특히 수직 배향된 핀(43)은 흐름 유도 소자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두 개의 핀(43)이 제공된다. 다른 개수의 핀 또한 가능하다.
핀(43)은 먼저 흐름 속성을 향상시키고 둘째로 수집 소자(14), 특히 그의 바닥 표면(34)의 기계적 안정화를 향상시키게 한다.
핀(43)은 바람직하게는 수집 소자(14)에 인접하는 채널(23) 내의 상응하는 흐름 유도 소자와 정렬하는 흐름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응하는 흐름 유도 소자에 의해서, 특히 채널(23)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핀(43)은 흐름-최적화된 형태를 가진다. 이들은 특히 조리 연기 배출구(22)의 상한 영역에서보다 바닥 표면(34)의 영역에서 더 넓다.
서로 다른 대안, 특히 도 8 내지 12에 도시된 대안의 세부사항은 실질적으로 자유로운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필터 소자(13) 및 수집 소자(14)의 서로 다른 대안은 실질적으로 자유로운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이한 세부사항이 상이한 용어들을 이용하여 아래의 요약에서 다시 한번 기술될 것이다.
필터 소자(13) 및 수집 소자(14)를 갖는 인서트(12)는 전체적으로 매우 낮은 중량을 가진다. 인서트(12)의 전체 중량은 특히 3kg 미만, 특히 2kg 미만, 특히 1kg 미만일 수 있다. 특히 수집 소자(14)의 중량은 1kg 미만, 특히 500g 미만, 특히 300g 미만일 수 있다. 이것은 인서트, 특히 수집 소자(14)를 하향 추출기(4) 밖으로 가져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특히 수집 소자(14)의 의도하지 않은 낙하에 의해 발생하는 손해의 위험이 감소된다.
수집 소자(14) 및 필터 소자(13)가 하향 추출기(4) 내에 삽입될 때, 이들은 자동으로 이들에 대해 제공된 위치로 슬라이드된다. 이것은 자가-중심 맞춤 성질로 지칭된다. 이것은 특히 조리 연기 유입구(5)의 영역 내의 및/또는 수집통(28)의 영역 내의 하향 추출기(4)의 하우징의 상응하는 설계에 의해 도움을 받거나 또는 가능하게 된다.
수집 소자(14) 및/또는 필터 소자(13)의 자가-중심 맞춤 성질을 돕기 위해서, 상기 소자들과 상호작용하는 가이드 수단이 특히 하향 추출기(4)의 하우징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수집 소자(14) 및 필터 소자(1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들은 겹치지 않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하향 추출기(4) 내로의 삽입에 따라, 필터 소자(13)는 자동으로 수집 소자(14)에 대한 정확한 위치로 슬라이드한다.

Claims (16)

  1. 하향 추출기(4)를 위한 인서트(12)로서,
    1.1. 조리 연기 흐름을 필터링하기 위한 제거가능한 필터 소자(13), 및
    1.2.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제거가능한 수집 소자(14)를 포함하고,
    1.3. 상기 필터 소자(13) 및 상기 수집 소자(14)는 함께 결합될 수 있도록 설계되고,
    1.3. 상기 수집 소자(14)는 조리 연기 흐름을 편향시키기 위한 흐름 유도 표면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20)을 구비하며,
    1.4. 상기 수집 소자(14)의 흐름 유도 표면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상기 벽(20)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만곡된 및/또는 기울어진 설계를 갖는, 인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소자(14) 및 상기 필터 소자(13)는 형태-잠금(form-locking)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인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흐름 유도 표면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상기 벽(20)은 조리 연기 흐름을 적어도 45°만큼 편향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인서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20)의 실질적으로 모서리가 없는 설계에 의해서 특징지어지는, 인서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소자(13) 및 상기 수집 소자(14)는 상기 필터 소자(13)의 벽과 상기 수집 소자(14)의 벽이 조리 연기 흐름을 편향시키기 위한 실질적으로 모서리가 없는 흐름 유도 표면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함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인서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소자(14) 및/또는 상기 필터 소자(13)의 외부 측면 상에 가이드 수단이 제공되어 상기 수집 소자(14) 및/또는 상기 필터 소자(13)의 자가-중심 맞춤 설계로 이어지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인서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소자(13) 및/또는 상기 수집 소자(14)는 비대칭 설계를 갖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인서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소자(13)는 수평으로 배향된 축에 대해 아치형인 설계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층을 갖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인서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소자(13) 및/또는 상기 수집 소자(14)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인서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신호-방출 소자(18)가 상기 필터 소자(13) 및/또는 상기 수집 소자(14)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인서트.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소자(14)는 하나 이상의 흐름 유도 소자가 배치되는 조리 연기 배출구(22)를 구비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인서트.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서트(10)를 갖는 하향 추출기(4).
  13. 제 12 항에 있어서,
    삽입된 상태에 있는 상기 필터 소자(13) 및/또는 상기 수집 소자(14)는 조리 연기 흐름을 위한 흐름 채널의 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하향 추출기.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제거가능하도록 또는 꺼내질 수 있도록 설계된 유지보수 통(maintenance trough)(28)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하향 추출기.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삽입된 상태에 있는 상기 수집 소자(14)는 상기 유지보수 통(28) 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놓이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하향 추출기.
  16. 호브 시스템(1)으로서,
    16.1. 적어도 하나의 호브(2), 및
    16.2.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하향 추출기(4)를 포함하는, 호브 시스템.
KR1020187037274A 2016-06-22 2017-06-22 하향 환기장치를 위한 인서트 KR102305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11206.6 2016-06-22
DE102016211206.6A DE102016211206A1 (de) 2016-06-22 2016-06-22 Einsatz für einen Muldenlüfter
PCT/EP2017/065410 WO2017220728A1 (de) 2016-06-22 2017-06-22 Einsatz für einen muldenlüf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685A true KR20190020685A (ko) 2019-03-04
KR102305968B1 KR102305968B1 (ko) 2021-09-28

Family

ID=59152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7274A KR102305968B1 (ko) 2016-06-22 2017-06-22 하향 환기장치를 위한 인서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948198B2 (ko)
EP (1) EP3475622B1 (ko)
KR (1) KR102305968B1 (ko)
CN (1) CN109416186B (ko)
AU (1) AU2017281474B2 (ko)
CA (1) CA3028836C (ko)
DE (1) DE102016211206A1 (ko)
ES (1) ES2959733T3 (ko)
WO (1) WO20172207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361A1 (ko) * 2022-09-14 202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87701B1 (de) * 2016-08-26 2021-11-17 BSH Hausgeräte GmbH Kombinationsgerät umfassend ein kochfeld und eine dunstabzugsvorrichtung
DE102017223828A1 (de) 2017-12-27 2019-06-27 Wilhelm Bruckbauer Dunstabzugsvorrichtung zum Abzug von Kochdünsten nach unten
US20210310666A1 (en) * 2018-07-24 2021-10-07 Wilhelm Bruckbauer Cooktop system and fume extraction device for the downward extraction of cooking fumes
EP3956610A1 (de) * 2019-04-17 2022-02-23 BSH Hausgeräte GmbH Kombinationsgerät mit dunstabzugsvorrichtung und kochfeld
DE102019213610B3 (de) * 2019-09-06 2020-12-17 Wilhelm Bruckbauer Einströmdüse
EP4103886A1 (de) * 2020-02-14 2022-12-21 BSH Hausgeräte GmbH Dunstabzugsvorrichtung, system zur installation und montagesatz für eine dunstabzugsvorrichtung
IT202000027516A1 (it) 2020-11-17 2022-05-17 Faber Spa Gruppo filtro perfezionato per cappa aspirante
EP4187160A1 (en) 2021-11-24 2023-05-3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Container for a kitchen apparatus and kitchen apparatus with a container
EP4332441A1 (en) * 2022-08-30 2024-03-06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Filter assembly and combination applian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1850A (ja) * 2007-08-09 2009-02-26 Hideo Nishina ロースター
DE202009008286U1 (de) * 2009-06-10 2009-09-24 Bruckbauer, Wilhelm Kochdunst-Eintrittsvorrichtung mit abnehmbarer deckelförmiger Verschließeinrichtung
US20140048057A1 (en) * 2011-04-28 2014-02-20 Wilhelm Bruckbauer Hob with central removal of cooking vapours by suction-extract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US20140326145A1 (en) * 2013-05-02 2014-11-06 William B. McEvoy Tabletop Cooking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1738A (en) * 1976-01-06 1978-01-31 Jenn Air Corporation Ventilated range with convertible radiant convection oven
US4962694A (en) * 1988-04-15 1990-10-16 Graver James H Grill exhaust system
US6455818B1 (en) * 2001-08-23 2002-09-24 Maytag Corporation Downdraft filter assembly for a cooking appliance
EP1705430B1 (de) * 2005-07-04 2016-09-21 V-Zug AG Dunstabzugshaube mit Fettfilter
US7687748B2 (en) * 2005-08-01 2010-03-30 Western Industries, Inc. Induction cook top system with integrated ventilator
DE202006016179U1 (de) * 2006-10-23 2008-03-06 Maier, Max Lufterfassungseinrichtung, insbesondere Wrasenerfassungseinrichtung
DE102007002241B4 (de) 2007-01-10 2021-11-18 Wilhelm Bruckbauer Vorrichtung zum Abzug von Kochdünsten
CN201351954Y (zh) 2008-11-27 2009-11-25 过林华 下吸式油烟机活动集油烟盒装置
CN201387055Y (zh) 2009-01-08 2010-01-20 过林华 一种集油烟罩
US9612022B2 (en) * 2011-03-29 2017-04-04 Fancy Food Service Equipment Co., Ltd. Teppanyaki assembly
DE102012207850B4 (de) * 2012-05-11 2022-03-10 BSH Hausgeräte GmbH Absaugvorrichtung zum Absaugen von Luft von einem Herd
DE102013007722B4 (de) * 2013-05-07 2021-03-04 BORA - Vertriebs GmbH & Co KG Muldenlüftung zum Abzug von Kochdampf an einem Kochfeld
DE202013010646U1 (de) 2013-11-25 2014-02-27 Berthold Hawener Dunstabzug ohne Haube
CN205094201U (zh) 2015-10-14 2016-03-23 威海韩泰自动化设备制造有限公司 下排烟烤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1850A (ja) * 2007-08-09 2009-02-26 Hideo Nishina ロースター
DE202009008286U1 (de) * 2009-06-10 2009-09-24 Bruckbauer, Wilhelm Kochdunst-Eintrittsvorrichtung mit abnehmbarer deckelförmiger Verschließeinrichtung
US20140048057A1 (en) * 2011-04-28 2014-02-20 Wilhelm Bruckbauer Hob with central removal of cooking vapours by suction-extract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US20140326145A1 (en) * 2013-05-02 2014-11-06 William B. McEvoy Tabletop Cooking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361A1 (ko) * 2022-09-14 202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28836A1 (en) 2017-12-28
US10948198B2 (en) 2021-03-16
DE102016211206A1 (de) 2017-12-28
CN109416186B (zh) 2024-02-13
US20190203949A1 (en) 2019-07-04
CA3028836C (en) 2023-12-12
KR102305968B1 (ko) 2021-09-28
EP3475622B1 (de) 2023-08-23
CN109416186A (zh) 2019-03-01
ES2959733T3 (es) 2024-02-28
EP3475622A1 (de) 2019-05-01
AU2017281474A1 (en) 2019-01-03
WO2017220728A1 (de) 2017-12-28
AU2017281474B2 (en)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0685A (ko) 하향 환기장치를 위한 인서트
CN109416187B (zh) 用于抽排烹饪烟气的装置
JP7168658B2 (ja) 調理用レンジ
JP7441604B2 (ja) 調理蒸気を下方に排出するための排気ファン装置、及び調理のためのホブシステム
CN107923631B (zh) 具有烹调区域和排烟设备的组合式装置
EP3271657B1 (en) Cooking device
CN107923630A (zh) 具有烹调区域和排烟设备的组合式装置
CN110578943B (zh) 烟雾排出装置和带有烟雾排出装置和灶台的组合设备
EP3380791B1 (en) A hood for domestic use
MX2007013368A (es) Arreglo de filtro para una campana de clasificacion.
CN109642736B (zh) 灶具
CN113646588B (zh) 具有抽油烟机设备和灶台的组合设备
EP3767184B1 (en) Cooktop with downdraft extraction
CN113646587A (zh) 用于抽油烟机设备的过滤设备和具有过滤设备的抽油烟机设备
EP2821710A1 (en) Household extractor hood provided with a fluid collection container
NL1040502C2 (nl) Afzuigkap voor aansluting op een centraal ventilatiesysteem en centraal ventilatiesysteem omvattende een dergelijke afzuigkap.
IT201800003164U1 (it) Unita' per l'aspirazione dei fumi e vapori prodotti durante le operazioni di cottura di cibi e pietanz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