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532A - 프리필터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프리필터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532A
KR20190020532A KR1020170105599A KR20170105599A KR20190020532A KR 20190020532 A KR20190020532 A KR 20190020532A KR 1020170105599 A KR1020170105599 A KR 1020170105599A KR 20170105599 A KR20170105599 A KR 20170105599A KR 20190020532 A KR20190020532 A KR 20190020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ain housing
brush
rotating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8095B1 (ko
Inventor
안승수
Original Assignee
안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승수 filed Critical 안승수
Priority to KR1020170105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095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B01D46/0065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필터를 브러시로 재생하며, 이물질을 필터외부로 자동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양측에 개구가 형성된 메인하우징(100);, 상기 메인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하며, 복수의 관통공(201)을 형성하는 회전필터(200);, 상기 회전필터 일측과 밀착되는 브러시(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리필터 재생장치 {Apparatus for recycling a prefilter}
본 발명은 프리필터를 브러시로 재생하며, 이물질을 필터외부로 자동 배출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1은 유해가스 제거와 필터의 재생이 동시에 가능토록 한 배기가스 처리용 가스 스크러버 및 그 배기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유독가스 등의 유해한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배기가스처리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압력강하의 단점이 있고, 용량이 한정되며, 수명이 1회인 입상의 활성탄과 같은 무기물 흡착제를 사용한 가스 스크러버나 종래의 고체 충전물을 사용한 기체 흡수탑과 달리 이온교환필터를 사용하여 압력강하가 적으면서도 재생액에 의해 필터를 재생함으로써 용량 및 수명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배기가스처리용 이온 교환 스크러버 장치 및 처리방법을 제시한다.
특허발명 002는 건식 필터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일단에 건식 필터가 수납되는 입구를 가지며 또한 타단에 건식 필터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심에 설치되어 상기 건식 필터가 삽입 장착되는 장착봉, 상기 장착봉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봉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을 수용한 베어링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장착봉의 상, 하측에 설치되고, 표면에는 복수개의 상, 하측 분사구가 형성되어 상기 장착봉에 장착된 상기 건식 필터의 표면에 에어를 분사하기 위한 상, 하측 분사관, 및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봉에 삽입 장착된 건식 필터에 연결되어 상기 건식 필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를 제시한다.
특허발명 003은 DPF 온도제어 시스템 및 DPF 필터를 재생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DPF 온도제어 시스템은 DPF 필터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DPF 필터로 열을 전달하는 가열부, 가열부 후단의 온도, DPF필터 전단의 온도 또는 DPF 필터 후단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소화물질을 상기 DPF 필터로 소화물질을 분사하는 소화부 및 피드백컨트롤에 기초한 일정 주기로 연료를 공급하고, 상기 DPF 필터의 과열 여부 또는 실화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가열부 또는 상기 소화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제시한다.
특허발명 004는 필터 재생장치를 개시한다. 전면에 필터와 접촉되며 필터의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흡입구가 마련된 헤드와,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상기 헤드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는 필터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흡입구 가장자리에 필터와 마찰 접촉되는 필터털을 제시한다.
10-2001-0047588 A (공개일자 2001년06월15일) 10-2016-0045491 A (공개일자 2016년04월27일) 10-1686404 B1 (등록일자 2016년12월08일) 20-1996-020254 Y1 (공개일자 1996년 07월 18일)
본 발명은 프리필터를 브러시로 재생하며, 이물질을 필터외부로 자동 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 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필터 재생장치는 양측에 개구가 형성된 메인하우징(100);, 상기 메인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하며, 복수의 관통공(201)을 형성하는 회전필터(200);, 상기 회전필터 일측과 밀착되는 브러시(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필터 재생장치는 앞서서 제시한 메인하우징, 회전필터, 브러시에 있어서, 상기 회전필터 외주연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림(220);, 상기 림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필터 재생장치는 앞서서 제시한 메인하우징, 회전필터, 브러시에 있어서,일측에 상기 브러시(300)를 장착하며, 상기 메인하우징 내주연에 장착되는 브러시지지체(3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필터 재생장치는 앞서서 제시한 메인하우징, 회전필터, 브러시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 내측과 연통되며, 공기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석션튜브(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필터 재생장치는 앞서서 제시한 메인하우징, 회전필터, 브러시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 개구에 장착되는 차단판(6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회전하는 프리필터 표면을 브러시로 쓸어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회전필터는 폴리머 또는 스테인레스로 제작되므로 부식 우려가 없다.
본 발명의 재생장치는 플렌지를 포함하며 모듈화 되므로 종래의 장치에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회전필터는 원주면에 림을 형성하므로 원심력으로 회전에너지를 보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브러시지지체는 탄성수단으로 회전필터를 지지하므로 브러시 마모에도 불구하고 연속적인 접촉효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브러시지지체는 브러시고정체 및 브러시체결체로 고정되므로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재생장치는 분사노즐로 물을 공급하므로 회전필터 표면을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생장치는 유도홈에 포집된 이물질을 석션튜브로 흡입하므로 외부로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프리필터 재생장치의 회전필터 작동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단판을 포함하는 프리필터 재상장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 프리필터 재생장치의 회전필터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1] 필터 재생장치에 이어서, 양측에 개구가 형성된 메인하우징(100);, 상기 메인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하며, 복수의 관통공(201)을 형성하는 회전필터(200);, 상기 회전필터 일측과 밀착되는 브러시(300);를 포함한다.
선박, 자동차, 중장비, 발전설비 등의 장치는 대기중의 공기를 흡입하여 장치를 구동한다. 이들은 공기흡입장치가 의무적으로 장착된다. 공기 흡입 장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순수한 공기만 흡입해야 된다. 이를 위해 필터가 사용된다. 공기 중에는 대형 이물질(나뭇잎, 곤충 등)이 포함되며, 이는 기능성 필터(향균 및 멸균, 악취제거 등)이전에 장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대형 이물질의 사전 제거를 목적으로 한다. 대형 이물질 사전제거를 위해 프리필터가 형성되며, 프리필터는 메인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된다. 프리필터 일측에 브러시를 장착하며, 브러시와 프리필터는 밀착된다. 브러시는 다수의 솔을 형성하여 필터표면을 쓸어낸다. 즉, 프리필터 표면에 부착된 대형 이물질은 브러시에 의해 제거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프리필터는 회전필터로 형성하며, 브러시는 메인하우징 내부에 장착된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필터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회전필터는 메인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메인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한다. 따라서 회전필터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회전필터 형상은 원판형상을 취한다. 원판형상의 회전필터를 수용하기 위해, 메인하우징 내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1-3]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은 제1메인하우징(110) 및 제2메인하우징(120)으로 분리되며, 상기 회전필터는 제1, 2메인하우징 사이에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회전필터가 메인하우징 내부에서 회전되려면, 메이하우징이 제1, 2메인하우징으로 양분되어야 하며, 제1, 2 메인하우징 내부에 회전필터가 삽입된다. 양분된 제1, 2메인하우징은 연결수단(130)으로 체결된다.
[실시예 1-4]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 일단 또는 양단은 플렌지(140)를 형성하며, 상기 플렌지는 복수의 체결구(141)를 포함한다.
회전필터를 수용하는 메인하우징 양단 또는 일단은 플렌지를 형성한다. 플렌지는 다른 장치와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플렌지는 복수의 체결구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구는 볼트 및 너트를 삽입하여 체결한다. 따라서 다른 장치와 용이하게 결합된다. 상기 볼트 및 너트를 대신하여 2개의 구성을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은 균등대상으로 치환하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1-5]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동일한 크기이며, 균일 및/또는 불균일 하게 배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프리필터는 공기중의 대형이물질(곤충, 나뭇잎, 모래, 자갈 등)을 걸러낸다. 따라서 회전필터는 공기만을 통과시키며, 이물질을 걸러야 한다. 이를 위해 회전필터 양면은 관통된 구멍(관통공)을 복수로 형성한다. 상기 관통공은 본 발명의 회전필터가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소정의 크기로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다. 특히 회전필터의 관통공 크기에 따라 다양한 모델을 형성하며, 회전필터의 모델변경에 따른 사용용도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1-6]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회전필터는 폴리머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물질 중에는 수분이 포함될 수 있으며, 해양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 높은 습도환경에서 사용 될 수 있다. 습도가 높은 경우, 회전필터는 부식될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회전필터 소재는 폴리머 또는 금속으로 형성하며, 금속의 경우 스테인레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금속으로 제조된 경우, 표면에 폴리머를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1]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회전필터 외주연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림(220);, 상기 림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400);을 포함한다.
회전필터는 메인하우징 내부에서 회전되며, 외부 동력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회전필터 외부에는 림을 장착한다. 림은 회전필터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이는 중량을 확보하여 회전시 원심력을 얻기 위함이다. 또한, 림 외주연은 외부동력으로 회전력을 공급받는다.
[실시예 2-2]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림의 양단은 제1메인하우징 및 제2메인하우징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면에는 베어링(230)이 삽입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오일레스베어링 또는 테프론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회전필터 외주연 양단은 제1, 2메인하우징과 접촉된다. 접촉과정 중 마찰이 발생되며, 상기 마찰은 림 또는 메인하우징 마멸을 유발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베어링을 장착한다. 또한 베어링은 원활한 회전을 위해 사용되며, 이는 동력전달수단의 동력효율 향상을 위함이다. 베어링은 테프론 링을 사용하거나 오일레스베어링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4]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림의 외주연에 형성된 기어(411);, 상기 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412);, 상기 피니언을 구동시키는 모터(441) 및 감속기(442);를 포함한다.
[실시예 2-5]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림의 외주연에 형성된 종동풀리(421);, 상기 종동풀리와 벨트(423) 결합되는 원동풀리(422);, 상기 원동풀리를 회전시키는 모터(441) 및 감속기(442);를 포함한다.
[실시예 2-6]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림의 외주연에 형성된 종동스포로켓(431);, 상기 종동스프로켓과 체인(433) 결합되는 원동스프로켓(432);, 상기 원동스프로켓을 회전시키는 모터(441) 및 감속기(442);를 포함한다.
회전필터의 림을 회전시키기 위해, 메인하우징에는 모터(441)를 장착하며,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감속기(442)를 장착한다. 감속기 회전에너지는 피니언을 통해 기어에 전달되며, 또는, 원동풀리와 벨트 연결되는 종동풀리로 전달되며, 또는 원동스프로켓과 체인 연결되는 종동스프로켓으로 절단된다. 앞에서 제시한 기어, 종동풀리, 종동스프로켓은 림에 장착된다. 즉, 모터 회전력은 회전필터를 회전시킨다.
[실시예 2-7]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메인하우징과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동력전달수단은 메인하우징과 결합되거나 외부에 장착된다. 메인하우징과 동력전달수단이 결합되는 것은 프리필터 공간을 축소시키며, 모듈화를 위한 것이다. 동력전달수단이 메인하우징과 결합되는 경우, 진동에 의한 공진방지를 위해 방진마운트를 장착한다. 상기 방진마운트는 고무판 또는 스프링을 장착한다.
[실시예 3-1] 실시예 1-1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브러시(300)를 장착하며, 상기 메인하우징 내주연에 장착되는 브러시지지체(310);를 포함한다.
브러시는 회전필터 일면과 밀착된다. 상기 브러시는 브러시지지체와 결합되며, 브러지시지체는 메인하우징 내부에 장착된다. 브러시는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회전필터 중심부터 외주연까지 설치된다. 즉, 회전필터 1회전시, 브러시는 회전필터 일면 전부를 접촉한다. 다른 실시 예로서, 브러시는 회전필터 직경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회전필터가 장착될 수 있다.
[실시예 3-2] 실시예 3-1에 있어서, 원통형상이며, 외주면이 메인하우징 내부면과 결합되며, 상기 브러시지지체가 고정되는 브러시고정체(320);를 포함한다.
[실시예 3-3] 실시예 3-2에 있어서, 원통형상이며, 상기 메인하우징 내부면과 고정되며, 일면이 상기 브러시고정체를 밀착하는 브로시체결체(350);를 포함한다.
브러시가 장착되는 브러시지지체는 메인하우징 내부에 결합된다. 브러시는 소모품 이므로 교체 가능한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브러시고정체가 메인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브러시고정체 및 메인하우징은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다. 브러시고정체가 메인하우징에 직접결합 될 수 있으며, 다른 구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브러시체결체가 사용된다. 상기 브러시체결체는 브러시고정체와 메인하우징을 결합하는 구성으로 사용된다. 브러시체결체는 복수의 볼트에 의해 결합되거나, 탄성클립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연에 숫나사를 형성하며, 메인하우징 내주연에 암나사를 형성하여 체결할 수 있다.
[실시예 3-4]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지지체 타측은 상기 브러시고정체와 탄성수단(330)으로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5]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회전필터는 브러시와 접촉된 상태로 회전된다. 빈번한 회전은 브러시를 마멸시킨다. 장시간 사용시 회전필터와 브러시 간격이 벌어지는 문제를 유발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브러시지지체 및 브러시고정체는 탄성수단을 결합한다. 상기 탄성수단은 스프링을 장착하며, 구체적으로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수단은 일정한 탄성력을 부여하여 브러시지지체를 회전필터 일면방향으로 일정한 압력으로 밀착력을 유발한다. 따라서 브러시의 마모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압착력이 발생되며, 이는 회전필터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 3-6]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지지체에 형성되는 분사노즐(340);을 포함한다.
회전필터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경우, 브러시는 1차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한다. 브러시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은 경우, 공압 또는 수압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공압 또는 수압 분출을 위해 분사노즐이 브러시지지체에 형성된다. 상기 분사노즐은 복수로 형성된다. 분사노즐들 토출방향은 회전필터의 일부 또는 전면을 향한다. 분사노즐의 분사속도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3-7] 실시예 3-6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340)에 분사수를 공급하는 분사수공급관(351);, 상기 분사수공급관 중간에 형성되는 분사수제어밸브(352);, 상기 분사수공급관 중간에 형성되는 분사수펌프(353);, 상기 분사수공급관과 연통되는 분사수용기(354);를 포함한다.
[실시예 3-8] 실시예 3-7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제어밸브(352) 및 상기 분사수펌프(353) 제어용 분사수제어장치(355);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노즐이 수압을 분출하는 경우, 수압발생을 위해, 분사수용기의 분사수를 수용하며, 수용된 분사수는 분사수펌프에 의해 압력을 발생시킨다. 분사수는 분사수공급관 및 분사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시킨다. 분사수 분출여부 및 분출속도 제어를 위해, 분사수제어밸브가 분사수공급관 중간에 설치되며, 분사수펌프 및 분사수제어밸브 작동 제어를 위해 분사수제어장치를 장착한다.
[실시예 3-9] 실시예 3-8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세정액공급통(356);을 포함한다.
회전필터 일면에 물 분사와 동시에 세정을 위해 세정액을 분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세정액공급통이 분사수용기 내부에 수용되며, 세정액 공급통의 세정액은 분사수용기 내부에서 분사수와 혼합된다. 세정액은 분사수와 혼합되어 분사노즐로 방출된다. 분사수용기는 혼합장치가 장착된다. 상기 혼합장치는 세정액과 분사수의 원활한 혼합을 위해 분사수용기 내부에 유체를 회동시킨다.
[실시예 4-1]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 내측과 연통되며, 공기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석션튜브(50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석션튜브와 연통되는 석션밸브(501);, 상기 석션튜브와 연통되는 석션펌프(502);를 포함한다.
[실시예 4-3]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석션밸브 및 석션펌프 작동을 제어하는 석션제어기(503);를 포함한다.
회전필터에 걸러진 이물질은 메인하우징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위해 메인하우징 내부에는 석션튜브를 장착한다. 석션튜브는 공기흡입을 하므로 공기 흡입용 석션펌프를 메인하우징 외부에 형성한다. 상기 석션튜브 작동은 간헐적으로 필요에 따라 작동된다. 이를 위해 석션밸브를 장착하며, 상기 석션밸브는 석션제어기에 의해 작동시점이 제어된다. 석션효과를 높이기 위해 석션펌프와 석션밸브 사이에는 석션챔버를 장착한다. 석션챔버는 일정한 부합을 유지하며, 석션밸브 작동시 순간적인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실시예 4-4]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측이 부분적으로 형성되며, 홈으로 형성되며, 석션튜브와 연통되는 유도홈(130);을 포함한다.
회전필터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은 회전필터 회전시 브러시에 의해 분리되며, 분리된 이물질은 메인하우징 하부에 포집된다. 포집된 이물질이 외부 배출되어야 하므로 메인하우징 내부는 유도홈을 형성한다. 상기 석션튜브는 상기 유도홈 내측에 형성된다.
[실시예 5-1]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 개구에 장착되는 차단판(600);을 포함한다.
[실시예 5-2]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메인하우징 일측에 형성되는 제1차단판(610); 및/또는 메인하우징 타측에 형성되는 제2차단판(620);를 포함한다.
메인하우징 내부의 이물질 배출효율 향상을 위해 메인하우징 양단의 개구는 밀폐되어야 한다. 상기 밀폐를 위해 메인하우징 양단에 차단판을 설치한다. 차단판 작동은 메인하우징 양단을 밀폐시키며, 메인하우징 하부에 포집된 이물질은 석션튜브를 통해 메인하우징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차단판은 외부동력에 의해 작동된다. 각각의 차단판은 각각의 동력원에 의해 차단되거나, 하나의 동력원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동력원은 모터와 감속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동력원으로 각각의 차단판을 작동하는 경우, 각각의 차단판은 차단판 회전축의 회전으로 작동되며, 각각의 회전축은 하나의 동력원과 결합된다. 즉, 동력원은 각각의 회전축을 동시에 구동하며, 이를 위해 기어결합, 체인결합, 로프결합, 벨트결합으로 작동된다.
[실시예 5-3]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 회전축은 상기 석션제어기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차단판이 폐쇄될 경우에만 석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제어하기 위해 석션제어기 신호에 의해 차단판을 구동한다.
[실시예 5-4]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제2차단판은 공기 흡입구에 형성되며, 차단판에 관통된 자유유동홈(630)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5] 실시예 5-4에 있어서, 상기 자유유동홈 단면적은 석션튜브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또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메인하우징 내부가 차단판으로 밀폐되는 경우, 이물질 흡입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완전하게 밀폐되는 경우, 오히려 흡입효율이 저하된다. 이는 흡입에 의해 메인하우징 내부가 부압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차단판에는 자유유동홈을 형성한다. 상기 자유유동홈은 외부공기를 흡입시켜 메인하우징 내부에 부압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자유유동홈은 석션튜브 단면적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한다. 이는 흡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100 : 메인하우징 110 : 제1메인하우징
120 : 제2메인하우징 130 : 유도홈
140 : 플렌지 141 : 체결구
200 : 회전필터 201 : 관통공
220 : 림 230 : 베어링
300 : 브러시 310 : 브러시지지체
320 : 브러시고정체 330 : 탄성수단
340 : 분사노즐 350 : 브로시체결체
351 : 분사수공급관 352 : 분사수제어밸브
353 : 분사수펌프 354 : 분사수용기
355 : 분사수제어장치 400 : 동력전달수단
411 : 기어 412 : 피니언
421 : 종동풀리 422 : 원동풀리
423 : 벨트 431 : 종동스포로켓
432 : 원동스프로켓 433 : 체인
441 : 모터 442 : 감속기
500 : 석션튜브 501 : 석션밸브
502 : 석션펌프 503 : 석션제어기
600 : 차단판 610 : 제1차단판
620 : 제2차단판 630 : 자유유동홈

Claims (5)

  1. 필터 재생장치에 이어서,
    양측에 개구가 형성된 메인하우징(100);,
    상기 메인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하며, 복수의 관통공(201)을 형성하는 회전필터(200);,
    상기 회전필터 일측과 밀착되는 브러시(300);를 포함하는 필터 재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필터 외주연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림(220);,
    상기 림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400);을 포함하는 필터 재생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에 상기 브러시(300)를 장착하며, 상기 메인하우징 내주연에 장착되는 브러시지지체(310);를 포함하는 필터 재생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 내측과 연통되며, 공기 및 이물질을 흡입하는 석션튜브(500);를 포함하는 필터 재생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 개구에 장착되는 차단판(600);을 포함하는 필터 재생장치.
KR1020170105599A 2017-08-21 2017-08-21 프리필터 재생장치 KR102108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599A KR102108095B1 (ko) 2017-08-21 2017-08-21 프리필터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599A KR102108095B1 (ko) 2017-08-21 2017-08-21 프리필터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532A true KR20190020532A (ko) 2019-03-04
KR102108095B1 KR102108095B1 (ko) 2020-05-07

Family

ID=65760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599A KR102108095B1 (ko) 2017-08-21 2017-08-21 프리필터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0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06235A (zh) * 2019-12-11 2020-04-14 武汉长天福瑞达科技有限公司 一种锅炉燃烧机用烟气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588A (ko) 1999-11-22 2001-06-15 김태일 유해가스 제거와 필터의 재생이 동시에 가능토록 한배기가스 처리용 가스 스크러버 및 그 배기처리방법
KR20080014589A (ko) * 2007-04-06 2008-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5197851B2 (ja) * 2009-09-01 2013-05-1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用の除塵装置
KR101614582B1 (ko) * 2013-10-04 2016-04-21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진방법
KR20160045491A (ko) 2014-10-17 2016-04-27 주식회사 포스코 건식 필터 재생 장치
KR20160135479A (ko) * 2015-05-18 2016-11-28 주식회사씨알스타 필터 장치
KR101686404B1 (ko) 2016-05-23 2016-12-15 (주)코스탈파워 Dpf 온도제어 시스템 및 dpf 필터를 재생하기 위한 방법
KR20170073009A (ko) * 2015-12-17 2017-06-28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탈지액의 이물질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588A (ko) 1999-11-22 2001-06-15 김태일 유해가스 제거와 필터의 재생이 동시에 가능토록 한배기가스 처리용 가스 스크러버 및 그 배기처리방법
KR20080014589A (ko) * 2007-04-06 2008-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5197851B2 (ja) * 2009-09-01 2013-05-1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用の除塵装置
KR101614582B1 (ko) * 2013-10-04 2016-04-21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진방법
KR20160045491A (ko) 2014-10-17 2016-04-27 주식회사 포스코 건식 필터 재생 장치
KR20160135479A (ko) * 2015-05-18 2016-11-28 주식회사씨알스타 필터 장치
KR20170073009A (ko) * 2015-12-17 2017-06-28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탈지액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686404B1 (ko) 2016-05-23 2016-12-15 (주)코스탈파워 Dpf 온도제어 시스템 및 dpf 필터를 재생하기 위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06235A (zh) * 2019-12-11 2020-04-14 武汉长天福瑞达科技有限公司 一种锅炉燃烧机用烟气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095B1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83781B2 (ja) スプレーしぶき除去システムを持つ塗装ブースおよびスプレーしぶきを除去するための方法ならびに設備
US11724225B2 (en) Filtering medium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CN112246552B (zh) 一种用于管道加工的管道内壁防腐处理设备
CN212237121U (zh) 一种用于涂料搅拌机的除尘装置
CN112870867A (zh) 一种高效过滤粉尘颗粒的装置
CN109164891B (zh) 智能嵌入式网络安全信息处理装置
KR20190020532A (ko) 프리필터 재생장치
CN210543894U (zh) 一种工业粉尘废气处理装置
CN115155248A (zh) 一种活性炭吸附废气净化处理箱
CN114082256A (zh) 一种用于化工生产的除异味装置
CN214809514U (zh) 一种环保废气高效处理设备
CN115569452A (zh) 一种环保设备的废气处理输送装置
CN212790323U (zh) 一种节能减排除尘塔
CN114109787A (zh) 一种工业用抽水的新型气动隔膜泵
CN215428096U (zh) 一种用于燃烧尾气的喷淋吸附处理装置
CN207546118U (zh) 一种水膜除尘装置
CN221085105U (zh) 一种涂装线烘烤炉废气净化装置
CN217367762U (zh) 一种用于脱附废气催化燃烧的废气净化设备
CN111013386A (zh) 一种化工烟气去尘脱硫处理装置及去尘脱硫处理工艺
KR20100073656A (ko) 복수탈염설비용 전치여과기의 여재 세정장치
CN219978250U (zh) 一种环境检测用低能耗的挥发性有机物在线监测系统
CN216498373U (zh) 一种用于型煤废气的净化装置
CN218944737U (zh) 一种工业废气净化设备
CN215086077U (zh) 一种智能化干法脱硝设备
CN117427448B (zh) 一种工业废气高效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