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582B1 -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진방법 - Google Patents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582B1
KR101614582B1 KR1020130118411A KR20130118411A KR101614582B1 KR 101614582 B1 KR101614582 B1 KR 101614582B1 KR 1020130118411 A KR1020130118411 A KR 1020130118411A KR 20130118411 A KR20130118411 A KR 20130118411A KR 101614582 B1 KR101614582 B1 KR 101614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ust collector
bag filter
flow path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9965A (ko
Inventor
고정훈
김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18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582B1/ko
Publication of KR20150039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집진기 내부의 흡입력을 감소시켜 탈진작업시 백필터로부터 제거되어 낙하하는 더스트가 집진기의 흡입력에 의해 다시 백필터로 재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는, 집진기 내부의 유로를 개폐하는 차단수단; 및 상기 집진기 내부에 위치한 백필터에 유체를 분사하여 더스트를 제거하는 탈진수단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유로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평면 및 저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 다공 플레이트와, 상기 다공 플레이트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집진기의 양측면에 체결되는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과, 상기 홀에 삽입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 일단에 형성되되 상기 홀보다 크게 형성되는 밀폐부재와, 상기 지지바의 타단 양측면을 관통하며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되 상기 홀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는 걸림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집진기 탈진방법은, 집진기 내부에 설치된 백필터에 부착된 더스트의 량을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집진기 외부에 위치한 흡입장치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측정 단계와 상기 전류값이 기설정된 전류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백필터에 부착된 더스트의 량이 많다고 판단하고 상기 집진기 내부의 유로를 차단시키는 유로차단 단계와 상기 유로차단 단계 이후에, 상기 백필터를 탈진하는 탈진 단계 및 상기 탈진 단계의 완료시 상기 집진기 내부의 유로를 개방하는 유로개방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진방법{APPARATUS FOR ANTI-REATTACHMENT DUST OF DUST COLLECTOR AND FILLTER CLEANING METHOD THAT CONTAINS THEM}
본 발명은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탈진작업에 의해 백필터로부터 제거되어 낙하하는 더스트가 집진기의 흡입력에 의해 다시 백필터로 재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더스트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집진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기(10) 외부에 위치하며 집진기(10) 내부 상단과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장치(40)에 의해 집진기(10) 외부의 더스트가 유입라인(30)을 통하여 집진기 내부 하단으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더스트는 흡입력에 의해 집진기(10) 상단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집진기 상단에 위치한 백필터(20)와 접촉하게 된다.
백필터(20)와 접촉한 더스트는 백필터(20) 표면에 부착되게 되고, 더스트가 제거된 에어는 백필터(20)를 통과한 후 흡입라인(50)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
집진기(10)의 지속적인 작동에 따라 백필터(20) 표면에 다량의 더스트가 부착되면, 집진기(10) 내부의 흡입력이 약해지게 되고, 백필터(20)의 필터링 효과 또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집진기(10)를 작동시켜 유입되는 더스트를 제거하면서 백필터(20)에 부착되는 더스트가 일정량을 초과하거나 집진기의 작동시간이 일정시간을 경과하면 탈진수단(100)를 이용하여 백필터(20)에 부착된 더스트를 백필터(20)로부터 탈착시키는 탈진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렇게 탈착된 더스트는 자중에 의해 낙하하여 집진기(10) 하단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탈진작업은 흡입장치(40)를 정지시킨 후 실시하는 것이 아닌, 흡입장치(40)가 지속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실시되기 때문에, 백필터(20)로부터 탈착되어 낙하하던 더스트중 일부는 흡입장치940)의 흡입력에 의해 다시 상승하여 백필터(20)에 부착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집진기 내부의 백필터에 부착된 더스트를 제거하기 위한 방안이 종래의 "백필터 분진제거 보조장치(공개특허 10-2013-0104663)" 및 "집진기의 탈진방법 및 장치(등록특허 10-0460666)"에 구체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백필터 분진제거 보조장치(공개특허 10-2013-0104663)"에서는 탈진수단의 백필터에 있어서 탈진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벤츄리 원리를 이용하여 탈진 기능 향상을 향상시키는 탈진 보조장치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백필터 분진제거 보조장치는, 백필터 상단에 내측유입관과 외측유입관으로 이루어지는 탈진 보조장치를 고정 설치하되, 내측유입관은 외측유입관 내부에 형성되고, 내측유입관과 외측유입관 사이는 연결편에 의하여 연결되며, 외측유입관 외주에는 단차진 구조의 지지구를 갖는 고정구를 설치하였다.
또한, 내측유입관과 외측유입관 사이는 틈새가 형성되며, 내측유입관과 외측유입관의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게 형성된다. 내측유입관은 그 상단 외주가 벌어진 형상이고 하단은 수직한 형상이며, 외측유입관의 상단은 내측유입관의 아래에서 벌어진 형상이고, 하단은 수직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측유입관의 하단 보다 더 길게 하부로 신장되는 하단부를 갖는다.
또한, 종래의 "집진기의 탈진방법 및 장치(등록특허 10-0460666)"에서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여과백의 외면에 분진을 집진하고, 역기류방식으로 역세되는 외부공기로서 여과백에 부착된 분진을 탈진함으로서 여과속도가 크고 운영비용을 줄일수 있는 집진기의 탈진방법 및 장치를 제시 하였다.
이러한 집진기의 탈진방법 및 장치에서는, 흡입팬의 흡입력에 의해 집진실 내로 유입되는 함진에어중의 분진을 여과포의 외부면에 부착하여 집진하고, 분진이 여과된 청정에어를 스택으로 배출하는 집진단계와, 여과백에 부착되는 분진에 의해 발생되는 집진실 내에서의 압력손실을 차압계로서 측정하고, 차압계의 측정값을 근거로 하여 흡입팬의 구동을 중지하며, 역세팬을 가동시켜 집진실내로 외부공기를 역세공급하는 역세단계를 제시하였다.
또한, 집진실내로 강제 유입되는 역세공기에 의해 여과백의 외면에 부착된 분진을 하부로 탈락제거하여 탈진하는 탈진단계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백필터 분진제거 보조장치(공개특허 10-2013-0104663)" 및 "집진기의 탈진방법 및 장치(등록특허 10-0460666)"는 백필터로부터 탈착되어 낙하하는 더스트가 백필터에 재부착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는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4-0082791 (2004. 09. 30) 한국공개특허 10-2005-0019323 (2005. 03. 03)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집진기 내부의 흡입력을 감소시켜 탈진작업시 백필터로부터 제거되어 낙하하는 더스트가 집진기의 흡입력에 의해 다시 백필터로 재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진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는, 집진기 내부의 유로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집진기의 외부에 위치한 흡입장치로부터 발생되는 흡입력을 감소시키는 차단수단 및 상기 집진기 내부에 위치한 백필터에 유체를 분사하여 더스트를 제거하는 탈진수단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수단이 상기 유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유로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평면 및 저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 다공 플레이트와, 상기 다공 플레이트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집진기의 양측면에 체결되는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과, 상기 홀에 삽입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 일단에 형성되되 상기 홀보다 크게 형성되는 밀폐부재와, 상기 지지바의 타단 양측면을 관통하며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되 상기 홀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는 걸림축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집진기 외부 일측면에 체결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 체결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체결되는 제1스프라켓과, 상기 제1스프라켓과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제1회전축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제2스프라켓과, 상기 제1스프라켓 및 제2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체인을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회전축 끝단에 그 일단이 체결되고 그 타단에는 위치센서가 체결되는 위치바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체결되되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는 제1위치감지센서 및 제2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 및 제2위치감지센서는 상기 위치센서를 인식하여 상기 위치바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흡입장치를 정지시키지 않고 흡입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더스트가 백필터에 재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집진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집진기 내부의 흡입력을 감소시켜 더스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구성이 단순하여 유지 관리 비용이 절약된다.
도 1은 종래의 집진기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 플레이트의 열림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 플레이트의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며,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구성의 도면번호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는, 차단수단(200), 탈진수단(100) 및 구동수단(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단수단(200)은 집진기(10) 내부의 유로를 차단함으로써 집진기(10) 외부에 위치한 흡입장치(40)로부터 발생되는 흡입력을 감소시킨다. 흡입장치(40)는 정지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집진기(10) 내부에는 흡입력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지만, 집진기(10) 내부의 유로를 차단함으로써 흡입장치(40)의 흡입력이 감소하게 된다.
탈진수단(100)는 집진기(10) 내부에 위치한 백필터(20)를 클리닝하기 위한 것으로서, 집진기(10)의 지속적인 가동에 의해 백필터(20)에 다량의 더스트가 부착되면 필터링 기능이 약해지기 때문에, 에어와 같은 유체를 분사하여 백필터(20)에 부착된 더스트를 집진기(10) 하부로 낙하시킨다.
구동수단(400)은 상술한 차단수단(200)이 집진기(10) 내부의 유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동수단(400)의 작동에 따라 차단수단(200)이 집진기(10) 내부를 차단 또는 개방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단수단(200)은 다공 플레이트(210), 제1회전축(220), 제2회전축(250), 지지바(310), 밀폐부재(300), 걸림축(320)을 포함하고, 구동수단(400)은 지지플레이트(420), 모터(410), 제1스프라켓(440), 제2스프라켓(450), 체인(46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 플레이트(210)는 집진기(10) 내로 유입된 에어 및 더스트가 이동하는 유로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그 형상은 집진기(10) 내의 유로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크기는 유로를 밀폐할 수 있도록 유로의 크기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다공 플레이트(210)에는 그 평면 및 저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홀(270)이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복수 개의 홀(270)을 통해 유입라인(30)으로부터 유입된 에어 및 더스트가 이동하게 된다.
다공 플레이트(210)의 일측면에는 제1회전축(220)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제2회전축(250)이 형성되며, 제1회전축(220) 및 제2회전축(250)은 집진기(10)의 양측면을 관통하며 체결된다. 이때, 집진기(10) 외부에 돌출된 제1회전축(220) 및 제2회전축(250)에는 각각 베어링 블록(260)을 체결하여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바(310)는, 다공 플레이트(210) 상에 형성된 홀(270)을 관통하며 삽입되고, 그 일단에는 밀폐부재(300)가 형성되며, 그 타단에는 걸림축(320)이 지지바(310)의 양측면을 관통하며 탈착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때, 밀폐부재(300)의 직경은 홀(27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걸림축(320)의 길이 또한 홀(270)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밀폐부재(300)와 걸림축(320)에 의해 지지바(310)가 홀(270)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
본 일 실시예에서는 밀폐부재(300)의 형상을 반원의 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밀폐부재(300)가 홀(270)과 접촉하여 홀(270)을 밀폐할 수만 있다면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420)는 집진기(10) 외부 일측면에 체결되어 후술하는 모터(410)를 지지하게 된다.
모터(410)는, 지지플레이트(420)의 평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체결되며, 모터(410)에 형성된 제3회전축(430)의 외주면에는 제1스프라켓(440)이 체결된다.
제2스프라켓(450)은 제1스프라켓(440)과 이격되어 위치하며 제2스프라켓(450)이 회전할 수 있도록 그 하단에는 제2스프라켓(450)을 지지하는 지지축 등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2스프라켓(450)은 상술한 제1회전축(220)의 외주면에 체결되며, 제1스프라켓(440)과 체인(460)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1스프라켓(440) 및 제2스프라켓(450)의 연결에 의해 모터(410)의 작동시 다공 플레이트(210)가 회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위치바(230), 제1위치감지센서(470), 제2위치감지센서(480), 전류측정기(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바(230)는 제1회전축(220)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1회전축(220)의 끝단에 그 일단이 체결되며, 그 타단에는 위치센서(240)가 체결된다. 이에 따라 제1회전축(220)이 회전하게 되면 위치바(230) 또한 회전하게 됨으로 위치센서(240)의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제1위치감지센서(470) 및 제2위치감지센서(480)는 지지플레이트(420) 상에 체결되되 제1회전축(220)을 중심에 두고 양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제1위치감지센서(470) 및 제2위치감지센서(480)는 상술한 위치센서(240)를 인식하여 위치센서(240)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전류측정기(미도시)는 흡입장치(40)의 전류값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것으로, 측정된 전류값은 후술하는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한다.
집진기(10)의 외부에 위치한 흡입장치(40)의 전류값은, 흡입장치(40)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구동수단(400) 및 차단수단(200)에 의해 집진기(10) 내부의 유로가 차단되면 흡입력이 감소하여 전류값이 변하게 된다.
삭제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제1위치감지센서(470) 및 제2위치감지센서(480)로부터 위치신호를 전송받아, 모터(410)가 무한궤도로 회전하지 않고 일정만큼만 회전하여 상술한 다공 플레이트(210)가 반바퀴만 회전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일 실시예에서는 다공 플레이트(210)의 측면이 항상 집진기(10)의 측면과 접촉한 상태로 있게 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다공 플레이트(210)의 정지상태를 집진기(10)와 비접촉되게 할 수도 있다. 만약 이러한 상태를 형성하려면, 위치감지센서를 추가하여 설치하면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7을 참고로 더스트 재부착 방지를 위한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흡입장치(40)의 가동에 의해 집진기(10)내에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유입라인(30)을 통해 집진기(10) 외부의 에어 및 더스트가 유입되게 된다.
집진기(10) 내부로 유입된 에어 및 더스트는 다공 플레이트(210)에 형성된 홀(270)을 통과하여 백필터(20)로 이동하게 되고, 백필터(20)에 의해 더스트가 필터링된 후 에어는 백필터(20)를 통과하여 흡입라인(5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집진기(10)의 지속적인 가동에 의해 백필터(20)에 다량의 더스트가 부착되면 집진기(10) 내부의 흡입력이 약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외부에 유입되던 공기 및 더스트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탈진공정을 시행하는데,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일정 주기로 자동적으로 시행하게할 수도 있고, 작업자가 수동으로 시행할 수도 있다.
탈진공정을 시행하기 전에,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모터(410)를 작동시킨다. 모터(410)의 회전이 시작되면 제1스프라켓(440) 및 제2스프라켓(450)에 연결된 체인(460)이 제2스프라켓(450)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고, 제2스프라켓(450) 또한 회전하게 된다.
제2스프라켓(450)이 회전하면 그와 체결된 제1회전축(220)이 회전하게 되고, 결국 다공플레이트 및 제2회전축(250) 또한 회전하게 된다.
제1회전축(220)이 회전함에 따라 위치바(230) 또한 회전하게 되는데, 제1회전축(220)이 회전하기 전에는 제1위치감지센서(470)에 의해 위치센서(240)가 감지되지만, 제1회전축(220)이 회전하게 되면 제2위치감지센서(480)에서 위치센서(240)를 감지하게 된다.
제2위치감지센서(480)에서 위치센서(240)가 감지되면, 제어부(미도시)로 위치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어부(미도시)에서는 모터(41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축(220)이 회전하기 전에는 밀폐부재(300)가 다공 플레이트(210)의 하단에 위치하며, 자중에 의해 다공 플레이트(210) 및 밀폐부재(300)는 비접촉 상태로 있게된다. 이때, 걸림축(320)이 다공 플레이트(210)와 접촉함으로써 지지바(310)는 홀(270)을 이탈하지 않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축(220)이 회전한 후 모터(410)가 정지하게 되면, 밀폐부재(300)가 다공 플레이트(210)의 상단에 위치하게 되고, 자중에 의해 다공 플레이트(210) 및 밀폐부재(300)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접촉에 의해 다공 플레이트(210)에 형성된 홀(270)이 차단되게 되고, 결국 홀(270)을 통과하던 에어 및 더스트의 이동도 정지하며, 유입라인(30)을 따라 유입되던 에어 및 더스트도 더이상 유입되지 않게 된다.
홀(270)이 차단되면 집진기(10) 내부의 흡입력 또한 감소하게 되며, 그와 상응하여 흡입장치(40)의 전류가 변하게 된다. 이러한 전류값을 전류측정기(미도시)가 실시간으로 측정하게 되는데, 측정된 전류값은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하게 된다.
삭제
분사된 유체에 의해 백필터(20)에 부착되어 있던 더스트는 떨어져 나오게 되고, 집진기(10) 하단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집진기(10) 내부의 흡입력은 감소된 상태이므로 낙하하는 더스트가 백필터(20)에 재부착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낙하되는 더스트는 다공 플레이트(210) 및 밀폐부재(300)의 표면에 쌓이게 되고, 탈진작업이 완료되면 제어부(미도시)에서는 다시 모터(4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모터(410)의 회전방향은 작업자가 설정한 모터(410)의 상태에 따라 처음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고, 그와 반대로 회전할 수도 있다. 모터(410)의 회전에 의해 위치센서(240)가 제1위치감지센서(470)에 인식되면 제어부(미도시)에서는 모터(41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러한 모터(410)의 회전에 의해 다공 플레이트(210) 또한 회전하게 되면, 그에 따라 다공 플레이트(210) 및 밀폐부재(300)의 표면에 쌓여있던 더스트는 집진기(10) 하단으로 낙하하게 된다.
다공 플레이트(210)가 회전하여 처음의 상태로 돌아옴에 따라 다공 플레이트(210)와 접촉해 있던 밀폐부재(300)가 비접촉 상태로 바뀌게 되고, 홀(270) 또한 개방 상태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홀(270)의 개방에 의해 집진기(10) 내부의 흡입력이 다시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유입라인(30)을 통해 외부의 에어 및 더스트가 다시 유입되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진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진방법은, 전류측정 단계, 유로차단 단계, 탈진 단계 및 유로개방 단계를 포함한다.
전류측정 단계는 집진기(10) 외부에 위치한 흡입장치(40)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단계로, 흡입장치(40)의 전류값은 흡입장치(40)로부터 발생되는 흡입력에 따라 변하게 된다.
유로차단 단계는 집진기(10) 내부의 유로를 차단하여 흡입장치(40)의 흡입력을 감소시키는 단계로, 흡입장치(40)를 직접 정지시키지 않아도 내부의 유로를 차단함에 따라 흡입력이 감소하게 된다.
유로차단 단계에 의해 외부에서 유입되던 에어 및 더스트는 더이상 집진기(1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삭제
유로개방 단계는 탈진 단계가 완료되면 다시 집진기(10) 내부의 유로를 개방하여 감소되었던 흡입력을 원상복구시키는 단계이다. 유로개방 단계에 의해 외부의 에어 및 더스트가 다시 집진기(1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집진기 20 : 백필터
30 : 유입라인 40 : 흡입장치
50 : 흡입라인 100 : 탈진수단
200 : 차단수단 210 : 다공 플레이트
300 : 밀폐부재 400 : 구동수단
410 : 모터 420 : 지지플레이트
460 : 체인 470 : 제1위치감지센서
480 : 제2위치감지센서

Claims (7)

  1. 집진기 내부의 유로를 개폐하는 차단수단; 및 상기 집진기 내부에 위치한 백필터에 유체를 분사하여 더스트를 제거하는 탈진수단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유로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평면 및 저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 다공 플레이트와, 상기 다공 플레이트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집진기의 양측면에 체결되는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과, 상기 홀에 삽입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 일단에 형성되되 상기 홀보다 크게 형성되는 밀폐부재와, 상기 지지바의 타단 양측면을 관통하며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되 상기 홀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는 걸림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이 상기 유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집진기 외부 일측면에 체결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상에 체결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체결되는 제1스프라켓과, 상기 제1스프라켓과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제1회전축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제2스프라켓과, 상기 제1스프라켓 및 제2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회전축 끝단에 그 일단이 체결되고 그 타단에는 위치센서가 체결되는 위치바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체결되되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는 제1위치감지센서 및 제2위치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 및 제2위치감지센서는 상기 위치센서를 인식하여 상기 위치바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30118411A 2013-10-04 2013-10-04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진방법 KR101614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411A KR101614582B1 (ko) 2013-10-04 2013-10-04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411A KR101614582B1 (ko) 2013-10-04 2013-10-04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965A KR20150039965A (ko) 2015-04-14
KR101614582B1 true KR101614582B1 (ko) 2016-04-21

Family

ID=53031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411A KR101614582B1 (ko) 2013-10-04 2013-10-04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5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532A (ko) * 2017-08-21 2019-03-04 안승수 프리필터 재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8539B (zh) * 2020-04-13 2021-09-14 运城其龙新材料有限公司 一种自清理袋滤式除尘装置
CN113959891B (zh) * 2021-10-23 2024-04-12 浙江必利夫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职业卫生快速检测仪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181B1 (ko) 2006-07-31 2007-10-25 주식회사 포스코 백필터 집진기에 채용된 다기능 배플 댐핑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181B1 (ko) 2006-07-31 2007-10-25 주식회사 포스코 백필터 집진기에 채용된 다기능 배플 댐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532A (ko) * 2017-08-21 2019-03-04 안승수 프리필터 재생장치
KR102108095B1 (ko) * 2017-08-21 2020-05-07 안승수 프리필터 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965A (ko) 201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6060B2 (en) Apparatus for cleaning exhaust after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JP2010017823A (ja) オイルミスト除去装置
KR101614582B1 (ko) 집진기용 더스트 재부착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진방법
KR101549242B1 (ko) 집진기용 백필터의 분진 탈진장치
KR101544800B1 (ko) 조, 세목 협잡물의 동시제거가 가능한 일체형 로터리제진기
KR20060118987A (ko) 고액분리 여과장치
KR20190020943A (ko) 자체 세척 스크린 장치
US20150298041A1 (en) Dust collector with monitor air filter
JP2001232127A (ja) 自動再生ろ過式集じん装置
KR20120114791A (ko) 자체 세척 스트레이너
CN213933462U (zh) 一种用于检测零件清洁度的装置
CN206045535U (zh) 过滤器
CN103638732B (zh) 带式转鼓过滤机
JPH08103616A (ja) 移動パルスジェット式バグフィルタ
KR100467768B1 (ko) 미스트 오일 집진기의 스와프 제거장치
JP2006192343A (ja) 洗壜機用濾過装置の運転方法及び洗壜機用濾過装置
CN203694726U (zh) 带式转鼓过滤机
CN208389482U (zh) 一种旋流分离含尘含漆雾废气预处理设备
KR100559342B1 (ko) 절삭유 여과용 백 필터 장치
KR20110091095A (ko) 수질 원격감시 시스템용 여과장치
KR101246190B1 (ko) 여과집진 장치, 및 여과집진용 필터
CN217829354U (zh) 一种履带式大型气体管道自清洁过滤器
CN104174204A (zh) 一种流体过滤方法和装置
JPS58144769A (ja) 放射性ダストモニタ−
CN216963952U (zh) 一种脉冲喷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