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8993A - 조절 가능한 캠을 구비하는 크림프 툴 - Google Patents

조절 가능한 캠을 구비하는 크림프 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8993A
KR20190018993A KR1020170113480A KR20170113480A KR20190018993A KR 20190018993 A KR20190018993 A KR 20190018993A KR 1020170113480 A KR1020170113480 A KR 1020170113480A KR 20170113480 A KR20170113480 A KR 20170113480A KR 20190018993 A KR20190018993 A KR 20190018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late
machining
disposed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3814B1 (ko
Inventor
로버트 더블류. 설리반
쿠안 유 왕
웬-렁 헝
Original Assignee
설스타 테크놀로지스,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스타 테크놀로지스,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설스타 테크놀로지스,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90018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12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involving special transmission means between the handles and the jaws, e.g. toggle levers, ge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2Hand tools for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01R43/048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with crimp height adjus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과 커넥터의 정밀한 가공을 위한 조절 가능한 캠을 구비하는 크림프 툴에 관한 것이다. 조절 가능한 캠은 크림프 툴의 핸들 중 하나에 제공되고 크림프 툴의 머시닝 부분에서 머시닝 블록의 이동 정도를 제어하는, 무빙 핸들의 피봇 범위를 사용자가 조절 가능하게 하여 크림프 툴의 무빙 핸들이 조절 가능한 캠을 지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조절 가능한 캠을 구비하는 크림프 툴{CRIMP TOOL HAVING ADJUSTABLE CAM}
본 발명은 2017년 1월 13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조절 가능한 캠 및 상기 조절 가능한 캠을 구비하는 크림프 툴"이고, 그 내용이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되는 대만 출원 No. 106101313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핸드 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넥터를 정확하게 크림핑하기 위해 조절 가능한 캠을 구비하는 크림프 툴에 관한 것이다.
플라이어(pliers) 및 크림프 툴(crimp tools)은 물품을 가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절연된 배선(insulated wiring) 및 그것의 전기통신 커넥터(telecommunication connectors)를 굽힘(bending), 전단가공(shearing), 스트라이핑(striping) 및 크림핑(crimping)하기 위해 종종 사용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RJ-45 커넥터, 8P8C 모듈식 커넥터와 같이 표준화된 커넥터, RJ-11 커넥터, 전화 연결을 위한 커넥터 등을 포함한다. 크림프 툴은 보통 작업 동안 사용자에 의해 움켜쥐도록 두 개의 핸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크림프 툴이 축소 위치(contracted position)에 있을 때, 컨택트 드라이버(contact driver)는 그것의 제니스 위치(zenith position)에서, 대응하는 커넥터 안으로 케이블 내 와이어를 푸시하고(pushing) 안착시킨다(seating). 이러한 제니스 위치에서, 세계표준, 예를 들어 FCC 68.5 Subpart F Specification에 의해 설정된 정확한 치수는 6.02 +/- .13mm(.237inch +/- .005)의 최종 크림핑된 높이를 제안한다. 많은 크림프 툴이 제작 공차를 생성하는, 링키지(linkages) 및 핀과 함께 다양한 이동 부품으로 제조되므로, 이러한 크림프 툴에서 정밀한 사양을 만족시키기 어려우며, 부적합한 크림프 높이(crimp heights)를 초래한다. 다른 상황에서, 정밀한 사양을 만족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핸들에 과도한 힘을 가하여 크림프 툴을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충분히 정밀한 크림프 높이를 생성하기 위해 툴을 제어하고 조절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갖는 크림프 툴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크림프 툴이 제공된다. 크림프 툴은 제1 플레이트 및 제1 플레이트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제1 핸들 및 단부 부분이 제1 핸들의 단부 부분과 피봇되게 연결되고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제2 핸들; 및 제2 위치를 정의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제2 핸들은 제2 핸들이 제1 핸들로부터 멀어진 제1 위치 및 제2 핸들이 제1 핸들에 인접한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경로를 따라 피봇한다. 제2 위치를 정의하는 수단은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에서 제2 핸들이 제1 핸드를 향해 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핀이다. 핀은 상이한 직경을 구비하는 다른 핀으로 교체 가능하고 제2 핸들이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제2 핸들의 단부는 크림프 툴의 머시닝 부분에 비접촉한다.
본문 내에 포함되어 있음.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림프 툴의 휴식 상태(resting state)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림프 툴의 보관을 위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림프 툴의 작업 상태(working state)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a는 도 1a의 크림프 툴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b는 도 1b의 크림프 툴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c는 도 1c의 크림프 툴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림프 툴의 잠금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림프 툴의 잠금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이때 래치는 리테이너로부터 분리된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림프 툴의 부분적인(regionally) 확대도이다.
도 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림프 툴의 부분적인 확대도이다.
도 4c는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크림프 툴의 부분적인 확대도이다.
도 4d는 또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크림프 툴의 부분적인 확대도이다.
도 4e(1)은 또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크림프 툴의 부분적인 확대도이다.
도 4e(2)는 도 4e(1)의 실시예에서 사용을 위해 상이한 두께의 슬리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f(1)은 또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크림프 툴의 부분적인 확대도이다.
도 4f(2)는 도 4f(1)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슬리브의 확대도이다.
도 4g는 또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크림프 툴의 부분적인 확대도이다.
도 4h는 또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크림프 툴의 부분적인 확대도이다.
도 5a는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의 타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b는 도 1c에 도시된 실시예의 타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의 휴식 상태(resting state)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이때 전단가공 구조가 도시된다.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의 휴식 상태에 대한 다른 개략도이고, 이때 전단가공 구조가 도시된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의 휴식 상태에 대한 추가적인 개략도이고, 이때 크림핑 구조가 도시된다.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의 휴식 상태에 대한 더 추가적인 개략도이고, 이때 크림핑 구조가 도시된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의 작업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이때 전단가공 구조가 도시된다.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의 작업 상태에 대한 다른 개략도이고, 이때 전단가공 구조가 도시된다.
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의 작업 상태에 대한 추가적인 개략도이고, 이때 크림핑 구조가 도시된다.
도 9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세트의 작업 상태에 대한 더 추가적인 개략도이고, 이때 크림핑 구조가 도시된다.
도 10a는 전단가공 및 크림핑되기 전에 커넥터 및 케이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b는 전단가공 및 크림핑된 후 커넥터 및 케이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이때 카세트가 일측으로부터 툴 바디의 머시닝 부분의 개구 안으로 삽입된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이때 카세트가 타측으로부터 툴 바디의 머시닝 부분의 개구 안으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특징, 내용, 이점 및 효과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언급되는 도면은 설명의 목적으로만 의도되었으며 실시예들의 실제 비율 및 정확한 배열을 반드시 도시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비율 및 배열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거나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a - 1c를 참조하기 바란다. 도 1a는 핸들(110, 120)이 펼쳐진 위치(expanded position)에 있는 휴식 상태(resting state)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크림프 툴(100)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림프 툴(100)이 작업 상태(working state)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림프 툴(100)의 핸들(110, 120)이 완전히 축소된 위치에 있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림프 툴(100)의 핸들(110, 120)이 서로 폐쇄되나(closed) 완전히 축소되지 않은 보관을 위한 상태의 크림프 툴(100)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핸들(120)은 보관을 준비하도록 래치(latch; 130)와 래치된다(latched).
도 1a -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림프 툴(100)은: 제1 핸들(first handle; 110), 제2 핸들(second handle; 120), 잠금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 130), 구동 메커니즘(driving mechanism; 190), 및 머시닝 부분(machining portion; 150)을 포함한다. 머시닝 부분(150)은 제1 핸들(110)과 연결되고 카세트(200)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181)를 구비하는 프레임(180)을 포함한다. 구동 메커니즘(190)은 일단이 제2 핸들(120)의 단부(122)와 피봇되게 연결된 링크(link; 191) 및 링크(191)의 타단과 피봇되게 연결된 구동 요소(driving element; 192)를 포함한다. 구동 메커니즘(190)은 제2 핸들(120)에 의해 작동된다. 제1 핸들(110)은 제1 플레이트(first plate; 112a) 및 제1 플레이트(112a)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2 플레이트(112b)를 포함한다. 제2 핸들(120)의 단부 부분(122)은 제1 핸들(110)의 단부 부분(112)과 피봇되게 연결되고 제1 플레이트(112a) 및 제2 플레이트(112b) 사이에 배치된다. 작동 시에, 제2 핸들(120)이 제1 핸들(110)로부터 멀어진 제1 위치(P1)(도 1a를 보기 바란다) 및 제2 핸들(120)이 제1 핸들(110)에 인접한 제2 위치(P2)(도 1c를 보기 바란다) 사이에서 회전 경로(R)를 따라 제2 핸들(120)은 피봇한다. 제2 핸들(120)이 제2 위치(P2)에 있을 때, 크림프 툴(100)은 커넥터 및 케이블을 크림핑하기 위한 작업 상태에 있다.
사용자가 핸들(110, 120)을 잡을 때, 링크(191)를 통해 제2 핸들(120)이 구동 요소(192)를 상부로 이동시키고, 카세트(200)가 커넥터 및 케이블을 전단가공 또는 크림핑하는 것과 같이, 커넥터 및 케이블을 기계가공하도록 작동된다. 그런 다음 크림프 툴(100)은 휴식 상태로부터 작업 상태로 전환된다. 사용자가 핸들(110, 120)을 해제할 때, 두 개의 핸들(110, 120)의 피봇에 제공된 스프링(S)(도 2a 및 2b를 보기 바란다)이 제2 핸들(120)을 편향시켜 핸들(110, 120)이 펼쳐진 위치로 된다. 그런 다음 크림프 툴(100)은 작업 상태로부터 휴식 상태로 전환된다. 전술된 작동 동안, 구동 요소(192)의 운동 방향(즉, 상부 또는 하부 방향)은 제1 축/수직 방향(L1)을 정의한다. 조절 가능한 캠(adjustable cam; 160) 같이, 제2 위치를 정의하는 수단이 제1 핸들(110)의 단부 부분(112)에 제공되고 제2 핸들(120)의 단부 부분(122)에서 근접한 주변부(proximate periphery)의 측면에 있어 제2 핸들(120)이 회전 경로(R)를 따라 제1 핸들(110)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동될 때, 제2 위치(P2)에서 조절 가능한 캠(160)에 의해 정지될 것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핸들(110)의 단부 부분(112)은 제1 플레이트(112a) 및 제1 플레이트(112a)에 반대되는 제2 플레이트(112b)를 포함한다. 제2 핸들(120)의 단부 부분(122)은 제3 플레이트(122a) 및 제3 플레이트(122a)에 반대되는 제4 플레이트(122b)를 포함하고, 제2 핸들(120)의 단부 부분(122)의 제3 플레이트(122a) 및 제4 플레이트(122b)는 제1 핸들(110)의 단부 부분(112)의 제1 플레이트(112a) 및 제2 플레이트(112b) 사이에 끼워지고 피봇되게 연결된다. 머시닝 부분(150)은 제5 플레이트(150a) 및 제5 플레이트(150a)에 반대되는 제6 플레이트(150b)를 포함한다. 머시닝 부분(150)의 제5 플레이트(150a) 및 제6 플레이트(150b)는 제1 핸들(110)의 단부 부분(112)의 제1 플레이트(112a) 및 제2 플레이트(112b) 사이에 끼워지고 고정된다. 도 2a-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시닝 부분(150)의 제5 플레이트(150a) 및 제6 플레이트(150b)는 제2 핸들(120)의 단부 부분(122)의 제3 플레이트(122a) 및 제4 플레이트(122b)와 개별적으로 수직 방향(L1)에 대해 가로지르는 방향(L2)으로 대체로 정렬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플레이트(122a) 및 제4 플레이트(122b)의 상부 주변 표면(upper peripheral surfaces)은 갭(a)을 구비하여 머시닝 부분(150)의 제5 플레이트(150a) 및 제6 플레이트(150b)의 하부 주변 표면(lower peripheral surfaces)으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제2 핸들(120)이 회전 경로(R)를 따라 제1 핸들(110)을 향해 제2 위치(P2)로 이동하도록 프레스될(pressed) 때, 제2 핸들(120)의 단부 부분(122)이 머시닝 부분(150)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핸들(120)은 제2 위치(P2)를 정의하는, 조절 가능한 캠(160)에 의해 정지되거나, 제2 위치(P2)에 도달하기 전에 잠금 위치(lock position; PL)에서 잠금 메커니즘(130)에 의해 제1 핸들(10)을 향해 더 이동하는 것이 구속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메커니즘(130)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잠금 메커니즘(130)의 분해도이다.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메커니즘(130)은 래치(131) 및 리테이너(140)를 포함한다. 래치(131)는 디스크(134) 및 디스크(134)를 통과하는 샤프트(132)를 포함하고, 샤프트(132)의 중앙 주위 영역은 디스크(134)의 중심에 고정된다. 샤프트(132)는 디스크(134)와 동축이다. 바람직하게, 샤프트(132)는 디스크(134)와 일체로 형성된다. 리테이너(140)는 관통홀(140a) 및 그 안에 형성된 리세스(140b)를 구비하는 슬리브이다. 래치(131)는 리세스(140b) 안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리세스(140b)는 관통홀(140a)과 연통된다(communicates). 슬리브는 탄성 재질, 바람직하게 폴리우레탄으로 마련된다. 샤프트(132)의 직경은 디스크(134)의 직경보다 작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131)는 횡방향(L2)을 따라 제1 핸들(110)의 단부 부분(112)에 피봇 가능하게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래치(131)의 샤프트(132)는 두 양단부에서 각각 제1 핸들(110)의 단부 부분(112)의 제1 플레이트(112a) 및 제2 플레이트(112b)에 피봇 가능하게 지지된다. 래치(131)는 횡방향(L2)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그에 따라서 제1 위치(P1) 또는 잠금 위치(lock position; PL)에 제2 핸들(120)을 붙잡아 두도록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3 위치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4 위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다. 잠금 위치(PL)는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 사이에 있고 제2 위치(P1)에 근접한다. 래치(131)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위치에 있을 때, 디스크(134)는 리세스(140b) 내에 있고, 샤프트(132)의 일단은 제1 핸들(110)의 제1 플레이트(112a)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래치(131)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위치에 있을 때, 디스크(134)는 횡방향(L2)을 따라 리세스(140b)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되고 샤프트(132)의 타단은 제1 핸들(110)의 제2 플레이트(112b)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래치(131)가 제3 위치에 있을 때, 제2 핸들(120)은 회전 경로(R)를 따라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 사이에서 피봇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도 1a 및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제2 핸들(120)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다면, 스프링(S)이 제2 핸들(120)을 편향시켜 제1 핸들(110)로부터 멀리 이동하게 하고 래치(131)의 샤프트(132)는 제1 위치(P1)에 제2 핸들(120)을 유지시킨다(restrain). 도 1b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핸들(110)을 향해 잠금 위치(PL)로 이동하도록 제2 핸들(120)이 프레스될 때, 래치(131)는 제3 위치로부터 횡방향(L2)을 따라 제4 위치로 이동되고 래치(131)의 디스크(134)는 잠금 위치(PL)에 제2 핸들(120)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경우에, 제2 핸들(120)은 잠금 위치(PL)에 고정되고 크림프 툴(100)은 더 작은 공간을 차지해서 보관에 용이하다. 전술된 관점에서, 제3 위치 및 제4 위치 사이에서 래치(131)를 전환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제2 핸들(120)은 제1 위치(P1) 또는 잠금 위치(PL)에 유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리테이너(140)는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 사이에서 제2 핸들(120)의 회전 경로(R) 내에 위치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리테이너(140)는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폴리우레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슬리브의 적어도 일부는 제2 핸들(120)의 단부 부분(122)의 제3 플레이트(122a) 및 제4 플레이트(122b) 사이에 끼워진다. 횡방향(L2)을 따라 슬리브의 길이는 대략적으로 제2 핸들(120)의 단부 부분(122)의 제3 플레이트(122a) 및 제4 플레이트(122b)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슬리브의 적어도 일부는 머시닝 부분(150)의 제5 플레이트(150a) 및 제6 플레이트(150b) 사이에 끼워진다. 그러한 경우에, 횡방향(L2)을 따라 슬리브의 길이는 대략적으로 머시닝 부분(150)의 제5 플레이트(150a) 및 제6 플레이트(150b)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슬리브의 일 부분은 제2 핸들(120)의 단부 부분(122)의 제3 플레이트(122a) 및 제4 플레이트(122b) 사이에 끼워지고 슬리브의 다른 부분은 머시닝 부분(150)의 제5 플레이트(150a) 및 제6 플레이트(150b) 사이에 끼워진다.
일 실시예에서, 리테이너(140)는 관통홀(140a) 및 그 안에 형성된 리세스(140b)를 구비하는 슬리브이다. 래치(131)는 관통홀(140a)과 연통되는 리세스(140b) 안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샤프트(132)의 일단은 슬리브(140)의 관통홀(140a)을 통과한다. 샤프트(180)의 두 개의 단부는 제1 핸들(110)의 단부 부분(112)에 피봇 가능하게 지지된다. 래치(131)가 제3 위치에 배치된 때, 래치(131)는 리세스(140b) 내에 수용되고 래치(131)의 디스크(134)의 노출된 측면은 대체로 슬리브(140)의 측면과 동일한 높이로 된다. 래치(131)가 횡방향(L2)을 따라 제3 위치로부터 제4 위치로 이동되도록 프레스될 때, 디스크(134)는 그것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 리세스(140b)로부터 이동된다.
이와 같이, 래치(131)가 리세스(140b) 내에 (즉, 제3 위치 내에) 수용된 때, 샤프트(132)는 제2 핸들(120)의 회전 경로(R) 내에 있다. 크림프 툴(100)의 핸들(110, 120)이 움켜쥐지 않은 경우, 제2 핸들(120)은 제1 핸들(110)로부터 멀리 이동되도록 스프링(S)에 의해 편향되고 제2 핸들(120)의 단부 부분(122)의 제3 플레이트(122a) 및 제4 플레이트(122b)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은 제3 플레이트(122a) 및 제4 플레이트(122b)의 상부 주변 표면 중 적어도 하나가 샤프트(132)에 대하여 인접하게 하여 제2 핸들(120)이 제1 위치(P1)에 유지되게 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3 플레이트(122a) 및 제4 플레이트(122b)의 상부 주변 표면은 모두 샤프트(132)의 측면에 대해 인접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플레이트(122a) 및 제4 플레이트(122b)의 상부 주변 표면이 샤프트(132)에 대해 인접할 때 (즉, 제2 핸들이 제1 위치(P1)에 있을 때), 디스트(134)의 직경이 제4 플레이트(122b)에 의해 인접하게 된 샤프트(132)의 직경보다 크므로, 제4 플레이트(122b)의 상부 부분은 옆에 위치되고 횡방향(L2)으로 디스크(134)와 겹쳐져서 래치(131)가 제3 위치로부터 제4 위치를 향해 횡방향(L2)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2 핸들(120)은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 사이에서 자유롭게 피봇하고 크림프 툴(100)은 잠기지 않는다. 대안적인 실시에에서, 제3 플레이트(122a) 및 제4 플레이트(122b) 중 오직 하나의 상부 주변 표면이 샤프트(132)에 대하여 인접하게 될 수 있고 래치(131)가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제3 플레이트(122 a)가 될 수 있다.
제1 위치(P1)로부터 잠금 위치(PL)를 향해 점차 이동하도록 제2 핸들(120)이 프레스될 때, 래치(131)의 디스크(134)와 제4 플레이트(122b)의 상부 부분 사이의 겹치는 면적은 점차 감소한다. 도 1b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핸들(120)이 잠금 위치(PL)에 도달할 때, 제4 플레이트(122b)의 상부 부분은 횡방향(L2)으로 래치(131)의 디스크(134)에 겹쳐지지 않고 사용자는 래치(131)의 샤프트(134)에 대해 프레스하여 래치(131)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3 위치로부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4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크(134)는 제2 핸들(120)의 회전 경로(R) 내에서 그리고 리세스(140b)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도록 횡방향(L2)을 따라 이동된다. 사용자가 제2 핸들(120)에 대한 그/그녀의 쥠(grasp) 압력을 해제할 때, 제4 플레이트(122b)의 주변 표면은 스프링(S)에 의해 디스크(134)의 주변 표면에 대해 인접하게 되어, 제2 핸들(120)이 잠금 위치(PL)에 유지되고(잠기고) 제1 핸들(110)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없다.
작동 시에, 제2 핸들(120)이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 회전 경로(R)를 따라 피봇될 때, 머시닝 부분(150)은 케이블 및 커넥터를 기계가공하기 위해 작동된다. 제2 위치(P2)는 조절 가능한 캠(160) 같은, 제2 위치를 정의하는 수단에 의해 정의된다. 도 1c 및 2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위치(P2)를 정의하는 수단은 제2 핸들(120)이 조절 가능한 캠(160)을 지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플레이트(112a) 및 제2 플레이트(112a)에 대해 대체로 수직한 방위로 제1 핸들(110)의 단부 부분(112)의 제1 플레이트(112a) 및 제2 플레이트(112b) 사이에 배치된 조절 가능한 캠(160)이다. 제2 핸들(120)이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 이동되는 프로세스에서, 제3 플레이트(122a) 및 제4 플레이트(122b)의 주변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다는 궁극적으로 조절 가능한 캠(160)에 대하여 인접하게 될 것이고 제2 핸들(120)은 제2 위치(P2)에서 제1 핸들(110)을 향해 더 이동될 수 없다. 게다가, 잠금 위치(PL)는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 사이에 있고 제2 위치(P2)에 근접한다.
도 4a의 부분적으로 확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조절 가능한 캠(160)은 제1 플레이트(112a) 및 제2 플레이트(112b)에 대체로 수직한 방위로 제1 핸들(110)의 단부 부분(112)의 제1 플레이트(112a) 및 제2 플레이트(112b) 사이에 배치된 핀(161)이다. 핀(161)은 제2 핸들(120)의 단부 부분(122)의 근접한 측면에 있어 핀(161)이 제1 핸들(110) 및 제2 핸들(120)의 길이방향에 의해 정의된 액슬에 의해 형성된 각도 내에 포함된다. 작동 시에, 핸들(110 및 120)은 움켜지고 제2 핸들(120)은 경로(R)를 따라 제1 핸들(110)을 향해 피봇하고 궁극적으로 제2 핸들(120)의 단부 부분(122)의 제3 플레이트(122a) 및 제4 플레이트(122b) 모두의 주변부는 핀(161)의 주변부에 대하여 인접한다. 따라서, 핀(161)은 제2 위치(P2)를 정의한다. 게다가, 제1 방향(L1)으로 머시닝 부분(150)의 머시닝 블록(220)의 운동 범위(extent of the movement)를 조절하도록 사용자가 제2 핸들(120)의 피봇 범위를 조절하게 하기 위해, 핀(161)은 제거 가능하고 상이한 직경을 갖는 다른 핀(161)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이한 직경을 구비하는 다른 핀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제2 핸들(120)의 피봇 범위를 결정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제1 방향(L1)으로 머시닝 부분(150)의 머시닝 블록(220)의 운동 범위를 결정하여 커넥터의 정밀한 기계가공을 달성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위치(P2)를 정의하는 수단은 제1 핸들(110)의 제1 플레이트(112a) 및 제2 플레이트(112b) 모두에 배치된 호 형상의 슬롯(114) 및 호 형상의 슬롯(114)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핀(161)을 포함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호 형상의 슬롯(114)은 제1 핸들(110)의 제1 플레이트(112a) 및 제2 플레이트(112b) 중 오직 하나 안에 배치된다. 호 형상의 슬롯(114)은 제2 핸들(120)의 단부 부분(122)의 근접한 측면에 있어 호 형상의 슬롯(114)이 제1 핸들(110) 및 제2 핸들(120)의 길이방향에 의해 정의된 액슬에 의해 형성된 각도 내에 포함된다. 사용자는 제2 위치(P2)를 정의하도록 호 형상의 슬롯(114) 내에 핀(16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제2 핸들(120)의 피봇 범위를 제어하고 제1 방향(L1)으로 머시닝 부분(150)의 머시닝 블록(220)의 운동 범위를 결정할 수 있어 커넥터의 정밀한 기계가공을 달성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위치(P2)를 정의하는 수단은 제1 핸들(110)의 제1 플레이트(112a) 및 제2 플레이트(112b) 모두에 제공된 복수 개의 나사산 홀(a plurality of threaded holes; 115), 및 복수 개의 나사산 홀(115) 중 하나 안으로 선택적으로 나사결합되는(threaded) 볼트(161)를 포함한다. 나사산 홀(115)은 제2 핸들(120)의 단부 부분(122)의 근접한 주변부를 따라 정렬되고 배치된다. 복수 개의 나사산 홀(115)은 제1 핸들(110) 및 제2 핸들(120)의 길이방향에 의해 정의된 액슬에 의해 형성된 각도 내에 포함된다. 사용자는 제2 위치(P2)를 정의하기 위해 나사산 홀(115) 중 하나 내에 볼트(161)를 선택적으로 스크류할 수 있다(screw).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제2 핸들(120)의 피봇 범위를 제어하고 제1 방향(L1)으로 머시닝 부분(150)의 머시닝 블록(220)의 운동 범위를 결정할 수 있어 커넥터의 정밀한 기계가공을 달성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나사산 홀(115)은 제1 핸들(110)의 제1 플레이트(112a) 및 제2 플레이트(112b) 중 하나 내에 제공되고, 볼트(161)는 나사산 없는 핀(161)으로 대체되고 나사산 홀(115)은 나사산 없는 홀로 대체된다.
도 4d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위치(P2)를 정의하는 수단은 내주부에 배치된 복수 개의 노치(a plurality of notches; 116a)를 구비하는 개구(116) 및 복수 개의 노치(116a) 중 하나와 선택적인 맞물림하는 핀(161)을 포함한다. 개구(116)는 제1 핸들(110)의 단부 부분(112)의 제1 플레이트(112a) 및 제2 플레이트(112b) 모두 안에 형성된다. 내주부는 지그재그형으로 되고, 복수 개의 노치(116a)는 각각 지그재그형으로 된 내주부의 코너에 제공된다. 복수 개의 노치(116a)는 각각 그 안에 삽입된 핀(161)과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크기로 된다. 사용자는 제2 위치(P2)를 정의하기 위해 노치(161a) 중 하나 안에 핀(161)을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제2 핸들(120)의 피봇 범위를 제어하고 제1 방향(L1)으로 머시닝 부분(150)의 머시닝 블록(220)의 운동 범위를 결정할 수 있어 커넥터의 정밀한 머시닝을 달성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노치(116a)는 제1 핸들(110)의 단부 부분(112)의 제1 플레이트(112a) 및 제2 플레이트(112b) 중 하나에만 제공된다.
도 4e(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위치(P2)를 정의하는 수단은 제1 플레이트(112a) 및 제2 플레이트(112b)에 대체로 수직한 방위로 제1 핸들(110)의 단부 부분(112)의 제1 플레이트(112a) 및 제2 플레이트(112b) 사이에 배치된 핀(161), 및 핀(161) 주위에 감싸는 슬리브(162)를 포함하고 제2 핸들(120)의 제2 위치는 슬리브(162)를 상이한 두께를 구비하는 다른 슬리브로(162)로 대체하는 것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슬리브(162)로 감싸진 핀(161)은 제1 핸들(110) 및 제2 핸들(120)의 길이방향에 의해 정의된 액슬에 의해 형성된 각도 내에 포함된다. 사용자는 제2 위치(P2)를 정의하기 위해 핀(161)을 위해 상이한 두께(도 4e(2)를 보기 바란다)의 슬리브(162)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2 핸들(120)이 제1 핸들(110)을 향해 피봇될 때, 제2 핸들(120)은 궁극적으로 핀(161) 주위에 감싸진 슬리브(162)의 외주부에 접촉하고 정지될 것이다. 따라서 제2 핸들(110)은 제1 핸들(110)을 향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제2 핸들(120)의 피봇 범위를 제어하고 제1 방향(L1)으로 머시닝 부분(150)의 머시닝 블록(220)의 운동 범위를 결정할 수 있어 커넥터의 정밀한 기계가공을 달성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슬리브(162)로 감싸진 핀(161)은 제1 핸들(110)의 단부 부분(112)의 제1 플레이트(112a) 및 제2 플레이트(112b) 중 하나에만 제공된다.
도 4f(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위치(P2)를 정의하는 수단은 제1 플레이트(112a) 및 제2 플레이트(112b)에 대체로 수직한 방위로 제1 핸들(110)의 단부 부분(112)의 제1 플레이트(112a) 및 제2 플레이트(112b) 사이에 배치된 핀(161) 및 내주부에서 핀(161)을 둘러싸고 핀(161) 상에 후크되는 슬리브(163)를 포함한다. 도 4f(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63)는 내부주(inner periphery; 164)에 배치된 복수 개의 호 형상의 리세스(D1, D2, D3, D4)를 구비하고, 예를 들어, 슬리브(163)는 호 형상의 리세스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이한 두께를 구비한다. 핀(161)은 복수 개의 호 형상의 리세스(D1, D2, D3, D4) 중 하나 상에 후크되고 제1 핸들(110) 및 제2 핸들(120)의 길이방향에 의해 정의된 액슬에 의해 형성된 각도 내에 포함된다. 제2 핸들(120)이 제1 핸들(110)을 향해 피봇될 때, 제2 핸들(120)은 궁극적으로 핀(161) 상에 후크된 슬리브(163)의 외주부에 접촉하고 정지될 것이다. 따라서 제2 핸들(120)이 제1 핸들(110)을 향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이한 호 형상의 리세스(D1, D2, D3, D4) 중 하나와 핀(161) 상에 슬리브(163)를 선택적으로 후크(hook)하는 것에 의해, 제2 핸들은 상이한 두께를 구비하는 슬리브의 상이한 부분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 핸들(120)이 상대적으로 더 두꺼운 슬리브의 부분과 접촉하는 경우, 제2 핸들(120)의 피봇 범위는 상대적으로 더 작아지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핸들(120)의 피봇 범위를 제어하고 제1 방향(L1)으로 머시닝 부분(150)의 머시닝 블록(220)의 운동 범위를 결정할 수 있어 커넥터의 정밀한 머시닝을 달성할 수 있다.
도 4g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위치(P2)를 정의하는 수단은 제1 플레이트(122a) 및 제2 플레이트(122b)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제2 핸들(120)의 단부 부분(122)의 제1 플레이트(122a) 및 제2 플레이트(122b)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편심 축(eccentric shaft; 165) 및 인서트(insert; 118)를 포함한다. 편심 축(165)은 그것의 주변부를 따라 복수 개의 노치(166)를 구비하는 스플라인 형상의 헤드(spline-shaped head; 165H)를 구비한다. 인서트(118)는 편심 축(165)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 개의 노치(166) 중 하나 안으로 삽입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편심 축(165)은 제1 플레이트(122a) 및 제2 플레이트(122b)에 제공된 대응하는 홀과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편심 축(165)은 그것의 둘레를 따라 다양한 반경(radii)을 구비한다. 편심 축(165)의 둘레를 따라 외주부(165S)는 제2 핸들(120)이 제1 핸들(110)을 향해 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위치되고 제2 핸들(120)의 제2 위치(P2)를 정의한다. 작동 시에 특정 반경을 구비하는 편심 축(165)의 특정 외주부(165S)가 제2 핸들(120)에 대응하도록 사용자는 특정 방위로 편심 축(165)을 회전시킨 다음, 편심 축(165)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스플라인 형상의 헤드(165H)의 노치(166) 안으로 인서트(118)를 넣는다. 이처럼, 편심 축(165)의 특정 외주부(165S)는 제2 핸들(120)에 접촉할 것이고 제1 핸들(120)을 향해 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사용자는 제2 핸들(120)의 피봇 범위를 제어하고 제1 방향(L1)으로 머시닝 부분(150)의 머시닝 블록(220)의 운동 범위를 결정할 수 있어 커넥터의 정밀한 머시닝을 달성할 수 있다.
도 4h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위치(P2)를 정의하는 수단은 제1 플레이트(112a) 및 제2 플레이트(112b)에 대체로 수직한 방위로 제1 핸들(110)의 단부 부분(112)의 제1 플레이트(112a) 및 제2 플레이트(112b) 사이에 배치된 핀(161), 제2 핸들(120)의 단부 부분(122)에 배치되고 방향(B)을 따라 그 안에 관통홀(169)을 구비하는 홀더(167), 및 홀더(167)의 관통홀(169)과 나사식으로 맞물리는 볼트(168)를 포함한다. 홀더(167)는 바람직하게 제2 핸들(120)의 단부 부분(122)의 제3 플레이트(122a) 및 제4 플레이트(122b) 사이에 배치된다. 방향(B)은 제2 방향(L2)에 수직한다. 핀(161)은 제1 핸들(110) 및 제2 핸들(120)의 길이방향에 의해 정의된 액슬에 의해 형성된 각도 내에 포함된다. 작동 시에, 볼트(168)는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되어 그것의 단부가 홀더(167)의 외부에 노출된다. 이처럼, 제2 핸들(120)이 제1 핸들(110)을 향해 피봇될 때, 궁극적으로 볼트(168)의 노출된 단부에 접촉되고 제1 핸들(110)을 향해 더 이동할 수 없다. 사용자는 홀더(167) 내 볼트(168)를 적절하게 스트류잉(screwing) 또는 언스크류잉(unscrewing)에 의해 홀더로부터 볼트(168)의 단부의 노출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볼트(168)의 단부의 노출된 길이는 홀더(167) 및 핀(161) 사이의 길이를 결정한다. 홀더(167)가 제2 핸들(120)에 설치되고 핀(161)이 제1 핸들(110)에 설치되므로, 홀더(167) 및 핀(161) 사이의 거리는 제2 핸들(120)의 피봇 범위를 결정하고 제1 방향(L1)으로 머시닝 부분(150)의 머시닝 블록(220)의 운동 범위를 결정하여 커넥터의 정밀한 머시닝을 달성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9b, 11a 및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200)는 카세트 바디(cassette body; 210) 및 머시닝 블록(machining block; 220)을 포함한다. 카세트 바디(210)는 머시닝 부분(150)의 프레임(180)의 개구(181) 내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안에 머시닝 개구(machining opening; 214)를 구비한다. 카세트 바디(210)에는 그 안에 슬롯(212)이 제공되고 머시닝 블록(220)은 제1 축(C1)을 따라 슬롯(212)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탈착 가능한 설계를 구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림프 툴(100)은 대응되는 카세트(200)를 사용하여 상이한 사양(specifications)을 구비하는 커넥터 및 케이블을 크림핑할 수 있다. 카세트(200)의 머시닝 개구(214)는 특정 커넥터(예를 들어, RJ-45 커넥터, RJ-11 커넥터)와 맞는다(fit). 상이한 카세트는 상이한 사양의 커넥터 및 케이블과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이한 머시닝 개구의 카세트와 사용될 수 있는 프레임(180)을 제공한다. 이러한 카세트의 카세트 바디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외부 구성으로 되어, 그것들 모두 동일한 프레임(180)의 개구(181)와 맞을 수 있다.
카세트 바디(210)의 슬롯(212)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공된 머시닝 블록(220) 및 프레임(180)의 맞물림 요소(222)는 서로 연결된다. 머시닝 블록(220)은 프레임(180)의 구동 요소(190)와 탈착 가능하게 맞물리는 맞물림 요소(222)를 구비한다. 맞물림 요소(222)를 통해, 구동 요소(190)는 머시닝 개구(214)를 향해 또는 머시닝 개구(214)로부터 멀리 제1 축(C1)을 따라 슬라이딩 하도록 머시닝 블록(220)을 구동시킨다(도 5a 및 5b를 보기 바란다). 핸들(110, 120)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도록 프레스될 때, 제2 핸들(120)은 구동 요소(190)가 상부로 이동하게 하고 구동 요소(190)는 머시닝 블록(220)이 제1 축(C1)을 따라 상부로 슬라이딩 하도록 푸시해서(push) 구동 요소(190) 및 맞물림 요소(222) 사이의 맞물림을 통해 케이블 및 커넥터를 기계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 요소(190)는 T-형상의 돌출부(T-shaped protrusion)와 같은 수 구조(male structure)이고, 맞물림 요소(222)는 T-형상의 돌출부와 짝을 이루는 그루브(groove) 같은 암 구조(female structure)이다. T-형상의 구조는 구동 요소(190)가 맞물림 요소(222)로부터 쉽게 맞물림 해제되는(disengaged) 것을 방지한다. 이처럼, 머시닝 블록(220)은 제1 축(C1)을 따라 슬롯(212) 내에서 상부로 또는 하부로 슬라이딩하도록 구동 요소(190)에 의해 작동된다.
도 6a-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시닝 개구(214)는 커넥터를 기계가공하기 위해 카세트 바디(210) 내에 제공된다. 머시닝 개구(214)에 대응해서, 머시닝 블록(220)은 적어도 하나의 머시닝 구조(machining structure; 224)를 포함한다. 작동 시에, 맞물림 요소(222)는 구동 요소(190)에 의해 작동되어 맞물림 요소(222)를 구비하는 머시닝 블록(220)이 머시닝 개구(214)에 대해서 슬롯(212) 내에서 제1 축(C1)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머시닝 블록(220)이 작업 위치로 구동될 때, 적어도 하나의 머시닝 구조(224)는 머시닝 개구(214)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친다. 이처럼, 적어도 하나의 머시닝 구조(224)는 예를 들어 전화 연결 또는 근거리 통신망(LAN)을 위한 케이블을 구비하는 커넥터를 크림핑 또는 전단가공하는 것 같이, 머시닝 개구(214) 내에 위치된 커넥터를 기계가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머시닝 구조(224)는 두 개의 머시닝 구조, 즉 카세트 바디(210)의 일 측에 배치된 크림핑 구조(crimping structure; 224a) 및 카세트 바디(210)의 타 측에 배치된 전단가공 구조(shearing structure; 224b)를 포함한다. 도 7a, 7b, 9a 및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림핑 구조(224a)는 크리스탈 조인트(커넥터)를 크림핑하기 위한 구조이다. 도 6a, 6b, 10a 및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가공 구조(224b)는 절단을 위한 블레이드(blade)이다. 도 8a, 8b, 9a 및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시닝 블록(220)이 작업 위치로 구동될 때, 크림핑 구조(224a)는 머시닝 개구(214)의 일 측과 부분적으로 겹치고, 전단가공 구조(224b)는 머시닝 개구(214)의 타 측과 완전히 겹친다.
도 10a 및 10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크리스탈 커넥터(crystal connector; 50)를 크림핑하기 위한 크림핑 구조(224a)는 크림핑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두 개의 크림핑 블록(crimping blocks; B1, B2)을 포함한다. 제1 크림핑 블록(B1)은 크리스탈 커넥터(50)의 바디를 크림핑하기 위한 것이고 제2 크림핑 블록(B2)은 그 안에 포함된 전기 접속 블레이드(electrical contact blades; 54)를 케이블(60)의 코어(들)(62)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1 크림핑 블록(B1) 및 전단가공 구조(224b) 사이에 제공된다. 머시닝 블록(220)이 구동 요소(190)에 의해 작업 위치로 구동될 때, 크림핑 구조(224a)는 머시닝 개구(214)의 일 측과 부분적으로 겹치고, 크림핑 구조(224a)의 제1 크림핑 블록(B1)이 크리스탈 커넥터(50)의 저면에서 리지(ridge; 52)에 대하여 프레스해서 리지(52)가 변형되고 깨진다. 따라서 변형되고 깨진 리지(52)는 케이블(60)이 크리스탈 커넥터(5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케이블의 최외곽 인슐레이터(들)(outmost insulator)을 스퀴즈한다(squeeze). 이처럼, 크리스탈 커넥터(50)의 일부는 케이블(60)을 유지하고 크리스탈 커넥터(50)는 케이블(60)의 일단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동시에, 제2 크림핑 구조(B2)는 크리스탈 커넥터(50)의 전기 접속 블레이드(54)를 푸시해서 상부로 이동시키고 케이블(60)의 코어(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케이블(60)의 코어(62)의 인슐레이터를 통해 펀치해서(punch) 신호가 코어(62)로부터 크리스탈 커넥터(50)를 통해 대응하는 암 커넥터(corresponding female connector)에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단가공 구조(224b)는 코어(62)의 불필요한 부분(redundant parts)을 잘라내기(shearing off) 위한 블레이드이다. 머시닝 블록(220)이 구동 요소(190)에 의해 작업 위치로 구동될 때, 블레이드(224b)는 크림핑 구조(224a)에 반대되는 머시닝 개구의 측면과 완전히 겹치고 동시에 크리스탈 커넥터(50)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코어(62)의 단부를 잘라낼 때까지 제1 축(C1)을 따라 이동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블레이드(224)는 또한 도 10a 및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리스탈 커넥터(50)의 어팬딕스(appendix; 56) 및 코어(62)의 돌출된 부분을 모두 잘라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전단가공된 코어(62)의 단부는 크리스탈 커넥터(50)의 전단된 단부와 동일한 높이가 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크리스탈 커넥터(50)에 대한 전단가공 구조(224b)는 구체적인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배치될 수 있고 도 10a 및 10b에 도시된 것과 다를 수 있다.
커넥터 및/또는 케이블을 기계가공할 때 머시닝 블록(220)이 지속적으로 및 적절하게 작업하는 것을 담보하기 위해, 카세트(200)는 프레임(180)의 머시닝 부분의 개구(181) 내에 확실하게 위치되어야 한다. 도 11a 및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80)의 머시닝 부분은 개구(181)의 내측면에 배치된 제1 커넥팅 구조(first connecting structure; 182)를 포함하고 카세트(200)의 카세트 바디(210)는 그 위에 배치된 제2 커넥팅 구조(216)를 더 포함하고, 제1 커넥팅 구조(182)는 제2 커넥팅 구조(216)와 맞물려서 카세트 바디가 프레임(180) 내에 고정된다. 이하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팅 구조(182) 및 제2 커넥팅 구조(216) 사이의 맞물림 설계는 프레임(180)의 머시닝 부분에 대한 카세트(200)의 용이한 조립 및 프레임(180)의 머시닝 부분으로부터 카세트(200)의 용이한 분해를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고 프레임(180)의 머시닝 부분의 개구(181)와 카세트(200) 사이의 확실한 맞물림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제2 커넥팅 구조(216)는 카세트 바디(210)가 프레임(180)의 머시닝 부분의 개구(181) 내에 배치된 때 제1 축(C1)에 수직한 제2 축(C2)을 따라 툴 바디(210)의 프레임(180)의 제1 표면(180a) 및 제2 표면(180b) 중 하나에 대하여 인접한 스토퍼(stopper; 216a)를 포함한다. 제2 커넥팅 구조(216)는 카세트 바디(210)의 두 측면에 각각 배치된 제1 후크(216b) 및 제2 후크(216c)를 포함한다. 제1 후크(216b) 및 제2 후크(216c)는 제2 축(C2)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스토퍼(216a)로부터 멀리 연장한다. 스토퍼(216a)가 툴 바디(210)의 프레임(180)의 제1 표면(180a) 및 제2 표면(180b) 중 하나에 대하여 인접할 때, 제1 후크(216b) 및 제2 후크(216c)는 프레임(180)의 머시닝 부분의 제1 및 제2 표면(180a, 180b) 중 다른 하나와 맞물려서 프레임(180)의 머시닝 부분 내에 카세트(200)를 고정시킨다.
도 11a 및 1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오른손잡이 및 왼손잡이 사용자에게 모두 편리한 크림프 툴(100)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카세트(200)는 프레임(180)의 제1 표면(180a) 또는 제2 표면(180b) 중 어느 하나로부터 프레임(180)의 개구(181)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핸들(120)이 제1 핸들(110) 및 제2 핸들(120)의 조인트에 제공된 피봇에 대해서 제1 핸들(110)에 관하여 피봇 가능하므로, 제1 핸들(110)은 정지된 핸들로 정의되고 제2 핸들(120)은 무빙 핸들(moving handle)로 정의된다. 오른손잡이 사용자가 크림프 툴(100)을 사용할 때, 카세트(200)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80)의 제2 표면(180b)으로부터 프레임(180)의 개구(181)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처럼, 오른손잡이 사용자는 케이블을 구비한 커넥터를 유지하기 위해 그/그녀의 왼손을 사용하여 그것을 카세트(200)의 머시닝 개구(210) 안에 넣고 그/그녀의 오른손을 사용하여 크림프 툴(100)을 작동시킨다. 제1 핸들(110)은 오른손의 엄지손가락(thumb) 및 손바닥(palm) 사이에 위치되고 오른손의 엄지손가락(thumb) 및 손바닥(palm)에 대하여 인접하여 제1 핸들(110)이 여전히 유지된다. 오른손의 다른 네 손가락은 제2 핸들(120)이 제1 핸들(110)을 향해 이동하도록 프레스하기 위해 제2 핸들(120) 상에 위치된다. 제2 핸들(120)이 제1 핸들(110)에 가까이(또는 인접하게) 이동될 때, 머시닝 블록(220)은 구동 요소(190)에 의해 작업 위치로 구동되고 케이블을 구비한 커넥터가 기계가공된다.
유사하게, 왼손잡이 사용자가 크림프 툴(100)을 작동시킬 때, 카세트(200)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80)의 제1 표면(180a)으로부터 프레임(180)의 머시닝 부분의 개구(214)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왼손잡이 사용자는 케이블을 구비하는 커넥터를 유지하기 위해 그/그녀의 오른손을 사용할 수 있고 그것을 카세트(200)의 머시닝 개구(214) 안에 넣고 그/그녀의 왼손을 사용하여 크림프 툴(10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제1 핸들(110)은 왼손의 엄지손가락 및 손바닥 사이에 위치되고 왼손의 엄지손가락 및 손바닥에 대하여 인접하여 제1 핸들(110)이 여전히 유지된다. 왼손의 다른 네 손가락은 제2 핸들(120)이 제1 핸들(110)을 향해 이동하도록 프레스하기 위해 제2 핸들(120) 상에 위치되어 커넥터를 기계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후크(216b) 및 제2 후크(216c)는 제1 축(C1)의 방향을 따라 카세트 바디(210)의 두 개의 측면에 비대칭으로 배치된다. 제1 커넥팅 구조(182)는 제1 노치(182a), 제2 노치(182b), 제3 노치(182c) 및 제4 노치(182d)를 포함하고, 제1 노치(182a) 및 제3 노치(182c)는 프레임(180)의 개구(181)의 일측 내면에 배치되고 제2 노치(182b) 및 제4 노치(182d)는 프레임(180)의 개구(181)의 타측 내면에 배치된다. 제1 노치(182a) 및 제4 노치(182d)는 동일한 제1 높이에 있고 제2 노치(182b) 및 제3 노치(182c)는 동일한 제2 높이에 있다. 제1 높이는 제2 높이보다 높다. 제1 노치(182a) 및 제2 노치(182b)는 프레임(180)의 제2 표면(180b)으로부터 디프레션(depression)을 형성하고, 제3 노치(182c) 및 제4 노치(182d)는 프레임(180)의 제1 표면(180a)으로부터 디프레션을 형성한다.
전술된 구조를 구비하여, 카세트(200)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축(C2)을 따라 프레임(180)의 제2 표면(180b)으로부터 프레임(180)의 머시닝 부분의 개구(181) 안으로 삽입될 때, 제1 후크(216b) 및 제2 후크(216c)는 각각 제1 노치(182a) 및 제2 노치(182b)와 맞물린다. 제1 후크(216b) 및 제2 후크(216c)의 헤드는 궁극적으로 프레임(180)의 제1 표면(180a)에 대하여 인접하게 되고 스토퍼(216a)는 프레임(180)의 제2 표면(180b)에 대하여 인접하게 될 것이다. 유사하게, 카세트(200)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축(C2)을 따라 프레임(180)의 제1 표면(180)으로부터 프레임(180)의 머시닝 부분의 개구(181) 안으로 삽입될 때, 제1 후크(216b) 및 제2 후크(216c)는 각각 제4 노치(182d) 및 제3 노치(182c)에 맞물린다. 제1 후크(216b) 및 제2 후크(216c)의 헤드는 궁극적으로 프레임(180)의 제2 표면(180b)에 대해서 인접하게 되고, 스토퍼(216a)는 프레임(180)의 제1 표면(180a)에 대하여 인접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카세트(200)는 사용자의 습관에 따라서 프레임(180)의 제1 표면(180a) 또는 제2 표면(180b) 중 어느 하나로부터 프레임(180)의 개구(181) 안으로 위치될 수 있다. 두 개의 조립 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핸드 툴(100)은 동일한 크림핑 및 전단가공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된 이점에 추가적으로, 머시닝 블록(220)에 제공된 크림핑 구조(224a) 및 전단가공 구조(224b)를 구비하여, 크림핑 툴(100)은 케이블(60)에 크리스탈 커넥터(50)를 고정시키고, 케이블(60)의 코어(62)에 크리스탈 커넥터(50)의 전기 접속 블레이드(5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크리스탈 커넥터(50)의 어팬딕스(56) 및 코어(62)의 돌출된 부분을 잘라내는 것을 한 단계에서 동시적으로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특성을 예시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에 대한 통찰력을 얻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 및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이루어진 모든 동등한 수정 및 변형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100: 크림프 툴
110: 제1 핸들
112: 단부 부분
112a: 제1 플레이트
112b: 제2 플레이트
120: 제2 핸들
122: 단부 부분
122a: 제3 플레이트
122b: 제4 플레이트
130; 잠금 매커니즘
140: 리테이너
150: 머시닝 부분
160: 조절 가능한 캠
180: 프레임
190: 구동 메커니즘
192: 구동 요소

Claims (15)

  1.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단부 부분을 포함하는 제1 핸들;
    제2 핸들 - 상기 제2 핸들의 단부 부분은 상기 제1 핸들의 단부 부분과 피봇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됨 -; 및
    제2 위치를 정의하는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핸들은 상기 제2 핸들이 상기 제1 핸들로부터 멀어진 제1 위치 및 상기 제2 핸들이 상기 제1 핸들에 인접한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경로를 따라 피봇하는, 크림프 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2 위치를 정의하는 수단은 핀이고,
    상기 핀은 상기 제2 핸들이 상기 핀을 지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크림프 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제거 가능하고, 상기 크림프 툴은 상기 핀 주위를 감싸는 슬리브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슬리브를 상이한 두께를 구비하는 다른 슬리브로 교체함으로써 상기 제2 핸들의 제2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클림프 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제2 핸들의 제2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이한 직경을 구비하는 다른 핀으로 교체 가능하고, 상기 제2 핸들이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제2 핸들의 단부 부분은 상기 크림프 툴의 머시닝 부분(machining portion)에 비접촉하는, 크림프 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를 정의하는 수단은 상기 제1 핸들의 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 내에 배치된 호 형상의 슬롯, 및 상기 호 형상의 슬롯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핀을 포함하는, 크림프 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를 정의하는 수단은 상기 제1 핸들의 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 내에 제공된 복수 개의 홀 및 상기 복수 개의 홀 중 하나 안으로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핀을 포함하는, 크림프 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를 정의하는 수단은 내주부(inner periphery)에 배치된 복수 개의 노치를 구비하는 개구 및 상기 복수 개의 노치 중 하나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핀을 포함하는, 크림프 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를 정의하는 수단은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대해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핀, 상기 제2 핸들의 단부 부분에 배치되고 안에 관통홀을 구비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관통홀과 나사식으로(threadly) 맞물리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는 상기 홀더로부터 노출될 때까지 구동될 수 있는, 크림프 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를 정의하는 수단은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핀 및 상기 핀을 둘러싸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슬리브의 내주부에 배치된 복수 개의 호 형상의 리세스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호 형상의 리세스는 각각 상기 슬리브의 둘레(circumference)를 따라 상이한 두께에 대응하며, 상기 핀은 상기 복수 개의 호 형상의 리세스 중 하나와 맞물리는, 크림프 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를 정의하는 수단은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편심 축을 포함하고, 상기 편심 축은 주변부(periphery)를 따라 복수 개의 노치를 구비하는 스플라인 형상의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위치를 정의하는 수단은 상기 편심 축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노치 중 하나 안으로 삽입되는 인서트(insert)를 더 포함하는, 크림프 툴.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메커니즘은,
    래치 및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는,
    디스크; 및
    상기 디스크를 통과하고 상기 디스크에 고정되며, 상기 디스크와 동축인 샤프트;
    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는 횡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핸들의 단부 부분에 피봇되게 배치되고 제3 위치 및 제4 위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고(switchable),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제3 위치 또는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래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핸들의 단부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래치가 상기 제3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2 핸들을 상기 제1 위치에서 구속하고, 상기 래치가 상기 제4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디스크는 상기 제2 핸들을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인 래칭 위치(latching position)에서 구속하는, 크림프 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디스크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2 핸들의 경로 안에 있지 않으며, 상기 리테이너는 관통홀 및 그 안에 형성된 리세스를 구비하는 시트(seat)이고, 상기 래치는 상기 리세스 안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리세스는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며, 상기 래치가 상기 제3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디스크는 상기 리세스 내에 있고, 상기 래치가 상기 제4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디스크는 상기 리세스로부터 횡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크림프 툴.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핸들과 연결된 프레임;
    상기 제2 핸들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구동 요소 - 상기 구동 요소의 방향은 제1 액슬을 정의함-; 및
    카세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는,
    툴 바디의 프레임의 개구 내에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카세트 바디 - 상기 카세트 바디는 안에 머시닝 개구를 구비함-; 및
    상기 카세트 바디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머시닝 블록 - 상기 머시닝 블록은 상기 툴 바디의 구동 요소와 탈부착 가능하게 맞물리는 맞물림 요소를 구비함-;
    을 포함하고,
    상기 맞물림 요소를 통해, 상기 구동 요소는 상기 제1 액슬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머시닝 개구로부터 멀리 또는 상기 머시닝 개구를 향해 이동되도록 상기 머시닝 블록을 구동하는, 크림프 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요소는 수 구조이고, 상기 맞물림 요소는 암 구조이고,
    상기 카세트 바디 안에는 슬롯이 제공되고 상기 머시닝 블록은 상기 슬롯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머시닝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머시닝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머시닝 블록이 작업 위치로 구동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머시닝 구조는 상기 머시닝 개구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머시닝 구조는 상기 카세트 바디의 일측에 배치된 크림핑 구조(crimping structure) 및 상기 카세트 바디의 타측에 배치된 전단가공 구조(shearing structure)를 포함하고,
    상기 머시닝 블록이 상기 작업 위치로 구동될 때, 상기 크림핑 구조는 상기 머시닝 개구의 일측과 부분적으로 겹치고, 상기 전단가공 구조는 상기 머시닝 개구의 타측과 완전히 겹치는, 크림프 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내측면에 배치된 제1 커넥팅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세트 바디는 상기 카세트 바디 상에 배치된 제2 커넥팅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팅 구조는 상기 제2 커넥팅 구조와 맞물려서 상기 카세트 바디가 상기 툴 바디 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커넥팅 구조는 상기 카세트 바디가 상기 툴 바디의 프레임의 개구 내에 배치될 때 상기 제1 액슬에 수직하는 제2 축을 따라 상기 툴 바디의 프레임의 제1 표면 및 제2 표면 중 하나에 대하여 접하는 스토퍼(stopper)를 포함하는, 크림프 툴.
KR1020170113480A 2017-01-13 2017-09-05 조절 가능한 캠을 구비하는 크림프 툴 KR102023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6101313A TWI614096B (zh) 2017-01-13 2017-01-13 夾鉗工具及可調限位機構
TW106101313 2017-0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993A true KR20190018993A (ko) 2019-02-26
KR102023814B1 KR102023814B1 (ko) 2019-09-20

Family

ID=59077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480A KR102023814B1 (ko) 2017-01-13 2017-09-05 조절 가능한 캠을 구비하는 크림프 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04664B2 (ko)
EP (1) EP3349313B1 (ko)
JP (4) JP6568153B2 (ko)
KR (1) KR102023814B1 (ko)
CA (3) CA3167639A1 (ko)
MX (1) MX2017012531A (ko)
TW (1) TWI6140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14096B (zh) * 2017-01-13 2018-02-11 Sullstar Technologies Inc 夾鉗工具及可調限位機構
EP3656504B1 (de) * 2018-11-20 2022-02-23 WEZAG GmbH & Co. KG Presswerkzeug, presswerkzeug-set, presswerkzeug-netzwerk und verfahren zum verpressen eines werkstücks
CN109773462A (zh) * 2019-02-20 2019-05-21 张家港市盛鼎纺织机械有限公司 钳柄护套推送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8299U (ko) * 1975-02-28 1976-08-30
JPS5496898A (en) * 1977-12-23 1979-07-31 Thomas & Betts Corp Tool
US5105648A (en) * 1990-02-16 1992-04-21 Rostra Tool Company Molded lightweight handtool with structural insert
JP2563233Y2 (ja) * 1990-11-28 1998-02-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圧着装置
US5870925A (en) * 1997-06-27 1999-02-16 The Whitaker Corporation Hand tool crimping a terminal onto a conductor
EP1987922A2 (en) * 2007-05-03 2008-11-05 Simes-Senco, S.A. Ring-forming tool with variable lever arm and variable torque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6327A (en) * 1952-05-17 1956-05-22 Kearney James R Corp Crimping tools with replaceable dies
US3212317A (en) * 1963-10-01 1965-10-19 Thomas & Betts Co Inc Toggle actuated crimping tool
JPS51108299A (ko) 1975-03-19 1976-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US4158312A (en) 1977-05-31 1979-06-19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yro erection
US4157594A (en) 1978-02-21 1979-06-12 Raabe Vern J Roller chain plier
JPS6062788U (ja) * 1983-10-06 1985-05-02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圧着工具の送り機構
JPS60129086U (ja) * 1984-02-09 1985-08-29 株式会社 白山製作所 工具のストツパ機構
US5012666A (en) * 1989-07-24 1991-05-07 Chen Ching Wen Crimp tool with adjustable jaw
DE19713580C2 (de) * 1997-04-02 1999-12-30 Wezag Gmbh Preßzange zum Verformen eines Werkstückes
US5842371A (en) * 1998-02-12 1998-12-01 Liaw; Gwo-Jiang Wire crimper having adjustment mechanism for adjusting pitch of the jaw mouth
CN2329596Y (zh) 1998-04-29 1999-07-21 宋达华 纸塑打包机轧钳
JP2000117656A (ja) * 1998-10-19 2000-04-25 Izumi Products Co 手動圧縮工具
CN2549628Y (zh) * 2002-05-30 2003-05-07 简天赐 同轴电缆与端子压接的改良工具
US20040163505A1 (en) * 2003-02-26 2004-08-26 Logicor, Llc Tool for gripping
US7210327B1 (en) * 2004-12-08 2007-05-01 Capewell Components Company, Llc Reduced actuation force compression assembly tool
DE102007056262A1 (de) * 2007-04-24 2008-11-06 Rennsteig Werkzeuge Gmbh Hand-Zangenwerkzeug
DE102009026470A1 (de) * 2009-05-26 2010-12-09 Rennsteig Werkzeuge Gmbh Verfahren zur Überwachung des Verschleißes einer Handzange und Vorrichtung hierfür
US20110030447A1 (en) * 2009-08-06 2011-02-10 Thomas Emery Backenstoes Crimping tool with pivotable workpiece holder
SE536123C2 (sv) * 2011-04-15 2013-05-14 Pressmaster Ab Handdrivet krimpverktyg
US9844857B2 (en) * 2012-01-27 2017-12-19 Stanley Black & Decker, Inc. Locking pliers with handle locking mechanism
TWM445482U (zh) * 2012-09-04 2013-01-21 min-zheng Zeng C型扣環鉗結構改良
TWM449066U (zh) * 2012-09-20 2013-03-21 Ming-Jie Wu 具有多功能調節鈕的萬能鉗
CN202957536U (zh) 2012-11-28 2013-05-29 沧州供电公司 一种高压电缆剥皮钳
US9352453B2 (en) * 2013-12-14 2016-05-31 Shwu-Ruu Chern Multiple-function hand tool
TWM489056U (en) * 2014-06-18 2014-11-01 hong-wen Lin Pliers with lighting function
CN204843894U (zh) * 2015-05-22 2015-12-09 杭州巨星工具有限公司 一种夹钳
TWI581923B (zh) 2015-10-13 2017-05-11 Sullstar Technologies Inc Clamp tool and its stop mechanism
TWI581920B (zh) 2015-10-13 2017-05-11 Sullstar Technologies Inc 可拆卸接頭加工卡匣及應用其之夾鉗工具
CN109273960B (zh) 2015-10-13 2021-11-16 莎尔星科技股份有限公司 可拆卸接头加工卡匣及应用其之夹钳工具
CN106571576B (zh) 2015-10-13 2019-01-08 莎尔星科技股份有限公司 夹钳工具及其挡止机构
TWM521832U (zh) * 2015-12-11 2016-05-11 Hanlong Ind Co Ltd 壓接鉗
TWI614096B (zh) * 2017-01-13 2018-02-11 Sullstar Technologies Inc 夾鉗工具及可調限位機構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8299U (ko) * 1975-02-28 1976-08-30
JPS5496898A (en) * 1977-12-23 1979-07-31 Thomas & Betts Corp Tool
US5105648A (en) * 1990-02-16 1992-04-21 Rostra Tool Company Molded lightweight handtool with structural insert
JP2563233Y2 (ja) * 1990-11-28 1998-02-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圧着装置
US5870925A (en) * 1997-06-27 1999-02-16 The Whitaker Corporation Hand tool crimping a terminal onto a conductor
EP1987922A2 (en) * 2007-05-03 2008-11-05 Simes-Senco, S.A. Ring-forming tool with variable lever arm and variable tor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814B1 (ko) 2019-09-20
EP3349313A1 (en) 2018-07-18
JP2018111193A (ja) 2018-07-19
US20180205194A1 (en) 2018-07-19
US10804664B2 (en) 2020-10-13
TWI614096B (zh) 2018-02-11
JP6879651B2 (ja) 2021-06-02
CA3080862A1 (en) 2018-07-13
JP2020011377A (ja) 2020-01-23
CA2988344A1 (en) 2018-07-13
CA3080862C (en) 2022-10-18
MX2017012531A (es) 2018-09-26
JP7153421B2 (ja) 2022-10-14
CA3167639A1 (en) 2018-07-13
TW201825239A (zh) 2018-07-16
JP2021130194A (ja) 2021-09-09
EP3349313C0 (en) 2023-06-28
JP2023002582A (ja) 2023-01-10
CA2988344C (en) 2020-08-25
JP6568153B2 (ja) 2019-08-28
EP3349313B1 (en) 202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53421B2 (ja) 可変カムを有する圧着工具
EP3157108B1 (en) Detachable cassette to be disposed in a crimp tool for machining connector
US9484700B2 (en) Hydraulic power tool
CN106961062B (zh) 用于模块化电连接器的卷曲工具和其组装方法
US7073245B2 (en) Multiple-wire termination tool with translatable jack and cutting blade precision alignment carrier
EP1820607B1 (en) Crimping die and crimping tool
CN112045580B (zh) 夹钳工具及可调限位机构
US6768059B1 (en) Offset and polarized crimping die and die holder
CN117293617B (zh) 一种网线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