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682A - 차륜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륜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682A
KR20190017682A KR1020180093133A KR20180093133A KR20190017682A KR 20190017682 A KR20190017682 A KR 20190017682A KR 1020180093133 A KR1020180093133 A KR 1020180093133A KR 20180093133 A KR20180093133 A KR 20180093133A KR 20190017682 A KR20190017682 A KR 20190017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oading box
wheel
bracke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7886B1 (ko
Inventor
문상현
Original Assignee
문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상현 filed Critical 문상현
Publication of KR20190017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7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road vehicles
    • B60P3/073Vehicle retainers
    • B60P3/075Vehicle retainers for wheels, hubs, or axle shafts
    • B60P3/077Wheel cradles, chocks, or w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륜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재함에 적재된 중장비의 차륜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적재함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차륜 지지수단을 별도로 마련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적재함 상에서 제거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지지장치는, 이송장비의 적재함에 배치되고, 상기 적재함에 적재된 장비에 구비된 차륜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상기 적재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륜 지지장치{WHEEL SUPPORT DEVICE}
본 발명은 차륜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물차 등의 이송장비에 적재되는 중장비의 차륜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주행 중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차륜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사용되는 트랙터 등의 중장비를 화물차의 적재함에 실을 때는 적재함 후방의 도어를 열고, 적재함에 길이가 긴 판형태로 구성된 받침판을 경사지게 걸어놓은 후, 트랙터를 운전하여 트랙터가 상기 받침판을 타고 올라가서 적재함에 올라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적재함에 적재된 중장비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중장비의 차륜을 지지하여 고정하기 위한 지지기구가 사용된다.
통상 지지기구는 목재의 일부분을 비스듬하게 깎아서 형성된 경사면이 차륜을 지지하는 형태로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지지기구는 적재함과 분리된 구성으로써, 적재함에 중장비를 상차 할 때 마다 지지기구를 적재함에 셋팅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지지기구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재함에 별도의 고정기구로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11794호(2016.09.27)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적재함에 적재된 중장비의 차륜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적재함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차륜 지지수단을 별도로 마련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적재함 상에서 제거할 수 있는 차륜 지지장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적재함에 위치된 차륜의 위치나 폭에 부합되도록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차륜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지지장치는, 이송장비의 적재함에 배치되고, 상기 적재함에 적재된 장비에 구비된 차륜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상기 적재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 각각은,
상기 차륜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작동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작동부재, 일측이 상기 제1작동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고정부에 고정되는 제2작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륜의 위치에 맞게 상기 제1작동부재가 수평 방향 길이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적재함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지지부의 일측이 수용되는 브라켓, 상기 고정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고정부를 축 고정시키는 회동안내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지지부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적재함에 설치되며, 양측 내부에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된 이동가이드부재, 상기 브라켓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재의 슬라이딩공간에서 각각 슬라이딩이동 되면서 지지부 간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차용 접이식 받침대는, 적재함에 적재된 중장비의 차륜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적재함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차륜 지지수단을 별도로 마련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적재함에 위치된 차륜의 위치나 폭에 부합되도록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지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지지장치가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지지장치의 상,하 회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지지장치를 통해 차륜을 지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지지장치에 적용된 작동부가 길이조절 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지지장치에 간격조절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지지장치에 간격조절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지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지지장치가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지지장치의 상,하 회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지지장치를 통해 차륜을 지지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지지장치에 적용된 작동부가 길이조절 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화물차 등의 이송장비(50)의 적재함(51)에 결합되어, 적재함(51)에 상차 된 트랙터, 피복기, 배토기(이하 "중장비"라 함.) 등 다양한 종류의 중장비의 차륜(60)을 지지하는 차륜 지지장치(1)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지지장치(1)는 적재함(51)에 고정되어 적재된 중장비의 차륜(60)을 지지하는 지지부(10), 상기 지지부(10)를 상기 적재함(5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0)는 적재함(51)의 전방에서 중장비의 전측에 구비된 2개의 앞 차륜(60)을 각각 지지하도록 2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11)와 작동부재(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1)는 적재함(51)의 상측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111)과, 상기 지지프레임(111)의 하부 후측을 연결하고, 상기 작동부재(12)와 연결되는 연결부(112)와, 상기 지지프레임(111)의 상부를 연결하고 차륜(60)의 대략 중앙부분에 접촉되는 상부지지대(113) 및 상기 지지프레임(111)의 하부 전측을 연결하고 대략 차륜(60)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12)와 상부지지대(113) 및 하부지지대(114)는 상기 지지프레임(111)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그 양측이 상기 지지프레임(111)에 용접 또는 볼팅결합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1)는 차륜(60)의 크기에 따라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2개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작동부재(12)는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원형 파이프 또는 다각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재(12)는 일측이 상기 연결부(112)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부(20)에 고정된다.
이러한 작동부재(12)는 적재함(51)에 적재되는 중장비의 길이에 따라 지지부(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부재(12)는 제1작동부재(121), 제2작동부재(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작동부재(121)는 상기 지지부재(11)의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제1작동부재(121)는 상기 제2작동부재(122)의 외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작동부재(122)와 마주하는 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작동부재(122)는 일측이 상기 고정부(2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1작동부재(121)의 내부공간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제1작동부재(121)는 상기 제2작동부재(122)를 따라 중장비의 전륜과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지지부(1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작동부재(12)는 상기 적재함(51)에 위치된 차륜(60)의 위치에 부합되게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차륜(60)이 어디에 위치해 있던지 상부지지대(113) 및 하부지지대(114)가 차륜(60)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작동부재(121)의 양측면 또는 상,하면에는 서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길이조절홀(121a)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제2작동부재(122)의 양측면 또는 상,하면에는 관통홀(122a) 관통형성되어, 상기 관통홀(122a)과 길이조절홀(121a)에 고정장치(40)를 설치하면 길이조절이 완료된 제1작동부재(121)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장치(40)는 상기 관통홀(122a)과 길이조절홀(121a)에 관통되는 볼트와, 상기 관통홀(122a)의 외부로 돌출된 볼트의 외주연에 체결되는 너트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지지부(10)를 적재함(51)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적재함(51)에 중장비를 상차할 경우에는 지지부(10)를 적재함(51)의 상면에 배치시키고, 중장비를 하차할 경우에는 지지부(10)를 임시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브라켓(21), 회동안내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1)은 2개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적재함(51)의 전방 상면 또는 적재함(51)의 전방에 설치된 수직벽(511)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21)은 중장비의 전측에 구비된 2개의 앞 차륜(60) 간격과 부합되는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1)은 평면에서 바라본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브라켓(21)의 전측은 개방되고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2작동부재(122)의 일측이 상기 브라켓(21)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빈 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1)과 제2지지부재(11)가 접하는 부분에는 후술되는 회동안내부재(22)를 설치하기 위한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지지부재(11)와 브라켓(21)의 관통홀은 서로 수평선상에 위치된다.
상기 회동안내부재(22)는 상기 제2작동부재(122)를 상기 브라켓(21)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하 방향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공지의 볼트 및 너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는 상기 브라켓(21)과 제2작동부재(122)의 관통홀에 설치되며 일부분이 상기 브라켓(21)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너트는 상기 브라켓(21)의 외부로 돌출된 볼트의 외주연에 체결되어, 상기 제2작동부재(122)가 상기 브라켓(21)에 안정적으로 고정 및 정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기 회동안내부재(22)를 통해 제2작동부재(122)가 브라켓(21)에 설치됨으로 인해, 상기 제2작동부재(122)는 상기 볼트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11) 또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적재함(51)에 중장비를 상차할 경우에는 지지부(10)가 적재함(51)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지지부재(11)가 중장비의 차륜(6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고, 중장비를 적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10)를 상 방향으로 회동시켜 적재함(51)의 수직벽(511)에 접촉시켜 중장비 이외의 다양한 종류의 적재물을 적재하면 된다.
이때, 회동안내부재(22)의 구성은 볼트 및 너트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2작동부재(122)의 고정 및 회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기타 다양한 구성으로 변경 가능함을 밝힌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지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지지장치에 간격조절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륜 지지장치에 간격조절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브라켓(21)을 차륜(60) 간의 간격에 부합되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30)는 이동가이드부재(31), 슬라이딩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부재(31)는 상기 수직벽(511) 또는 적재함(51)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부재(31)는 관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가이드부재(31)는 양측면이 개방되고 그 내부에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32)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이동가이드부재(31)의 양측 슬라이딩 공간에 각각 삽입되되, 일부분은 외부로 돌출되어 브라켓(21)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부재(32)들을 멀어지는 방향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브라켓(21) 및 이에 결합된 지지부(1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재(32)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길이조절홀(32a)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및 상기 이동가이드부재(31)에 형성된 관통홀(31a)을 일치시킨 후 볼트 및 너트를 설치하여 고정
즉, 본 실시예에서는 브라켓(21) 및 지지부(10) 간의 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차륜(60) 간의 간격이 각기 모든 종류의 중장비를 모두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이송장비의 적재함에 배치되고, 상기 적재함에 적재된 장비에 구비된 차륜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상기 적재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차륜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 각각은,
    상기 차륜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차륜 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작동부재,
    일측이 상기 제1작동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고정부에 고정되는 제2작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륜의 위치에 맞게 상기 제1작동부재가 수평 방향 길이 조절되는 차륜 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적재함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지지부의 일측이 수용되는 브라켓,
    상기 고정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브라켓에 고정부를 축 고정시키는 회동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차륜 지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지지부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적재함에 설치되며, 양측 내부에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된 이동가이드부재,
    상기 브라켓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재의 슬라이딩공간에서 각각 슬라이딩이동 되면서 지지부 간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는 차륜 지지장치.
KR1020180093133A 2017-08-11 2018-08-09 차륜 지지장치 KR102127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273 2017-08-11
KR20170102273 2017-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682A true KR20190017682A (ko) 2019-02-20
KR102127886B1 KR102127886B1 (ko) 2020-06-29

Family

ID=65562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133A KR102127886B1 (ko) 2017-08-11 2018-08-09 차륜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8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085Y1 (ko) * 2000-12-21 2001-06-15 주식회사세진기업 차량운반용 트럭
KR100822261B1 (ko) * 2007-07-26 2008-04-17 왕종문 견인차용 리프팅 장치
KR20160111794A (ko) 2015-03-17 2016-09-27 이상진 운송수단용 차륜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085Y1 (ko) * 2000-12-21 2001-06-15 주식회사세진기업 차량운반용 트럭
KR100822261B1 (ko) * 2007-07-26 2008-04-17 왕종문 견인차용 리프팅 장치
KR20160111794A (ko) 2015-03-17 2016-09-27 이상진 운송수단용 차륜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886B1 (ko) 202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30586A2 (en) Shipping system for objects such as an aircraft engine
JP2005059702A (ja) 車体の移載装置
CN106271318A (zh) 多车型白车身焊接总组合夹具
KR101627485B1 (ko) 지지판이 형성된 이송용 팔레트
JP6075183B2 (ja) 組付用台車
AU2017100497A4 (en) Platform lifting arrangement
KR20190017682A (ko) 차륜 지지장치
KR20180065300A (ko) 어태치먼트, 및 이를 구비한 운반 장치
KR20160092158A (ko) 물류 운송용 레일 변환장치
WO2018028112A1 (zh) 集装箱用汽车运输架及具有其的集装箱
JP2008239323A (ja) 横行トロリ
JP2010000988A (ja) エスカレータの運搬台車
KR102470654B1 (ko) 배관 이송롤러가 장착된 대차 시스템
WO2016076045A1 (ja) 車両用リヤゲート
KR101526538B1 (ko) 자동 덮개이송장치
KR101143822B1 (ko) 글라스 패널 보관장치
JP6195383B2 (ja) 重量物移載装置
KR102355414B1 (ko) 안전 펜스 및 차량시험장치
JP5177598B2 (ja) 折り畳み可能なキャットウォークを備えた物品取扱い機械
KR101424450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커버장치
JP2011046281A (ja) 運搬台車装置
KR20160051958A (ko)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
KR101821546B1 (ko) 차량 견인용 가변 트레일러
JP7274364B2 (ja) 装置移動用着脱治具
CN206202060U (zh) 一种快速装货货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